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Articl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ol. 73, No. 1, pp.18-32
ISSN: 1229-6880 (Print) 2287-7827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28 Feb 2023
Received 14 Dec 2022 Revised 20 Dec 2022 Accepted 23 Dec 2022
DOI: https://doi.org/10.7233/jksc.2023.73.1.018

컬렉션에 나타난 가변적 패션디자인의 지속가능한 표현방법 분석

YANG XIAOYU ; 유영선
경희대학교 의상학과 석사과정
경희대학교 의상학과 교수
Sustainable Design Approaches through Analysis of Transformable Fashion Design in Collections
YANG XIAOYU ; Youngsun Yoo
Master course,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Kyung Hee University
Professor,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Kyung Hee Univerisity

Correspondence to: Youngsun Yoo, e-mail: ysyoo@khu.ac.kr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 design approach for the sustainable fashion industry by identifying the expression method and characteristics of variable design in fashion collections. The research method consisted of a case study and associated literature re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ransformable fashion was divided into five types: expandable fashion, folding fashion, detachable fashion, multifunctional fashion, and modular fashion. Expandable fashion is a design method whereby the whole garment, or part thereof, can be stretched or folded enabling a design that is customizable according to the user's tastes and extending the lifespan of fashion through emotional durability. Folding fashion can also increase emotional durability but, in this case, through handicrafts, and extends the lifespan of fashion through its flexibility that allows considerable adaptability to changes in the user's body shape. Detachable fashion is easily maintained and repaired while allowing the user to adapt the style of the garment, thus extending the lifespan of the product and increasing the reduction of CO2 emissions through the saving in resources. Multifunctional fashion is a slow-fashion design method that reduces environmental impact through the saving of resources as one item of clothing can be us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user’s environment and purpose. The purpose of modular fashion is to allow the user to form a variety of structures and uses through the combination and matching of each detachable module.

Keywords:

detachable design, expandable design, folding design, modular design, multifunctional design, transformable fashion

키워드:

탈부착 디자인, 확장형 디자인, 접이식 디자인, 모듈러 디자인, 다기능 디자인, 가변적 패션

Ⅰ. 서론

유엔 유럽경제위원회(UNECE)의 ‘지속가능 패션보고서’(2018)에 따르면 2050년에는 패션 산업분야에서 매년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이 전 세계 전체의 4분의 1을 차지할 것으로 예측하였다(Kim, 2018). 미래의 환경과 자원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패션산업의 지속가능한 디자인 개발이 시급함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현대의 소비자들은 지속 가능성의 필요와 중요성에 대해 높은 인식을 갖고 있으며 지속가능한 제품을 구매할 때 최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요인은 디자인이며 그 중에서도 기능적ㆍ미학적 측면을 가장 중시한다고 하였다(Du, Ruan, & Zhou, 2020). Hyun & Oh(2015)는 친환경 디자인은 환경 유해 물질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오랫동안 사용이 가능하고, 사용이 끝난 후에는 분해, 재이용 및 폐기하기 쉽도록 설계하고 생산 및 사용 시 에너지 소비가 적게 드는 등 환경을 배려하여 제품과 포장을 디자인하는 것을 말한다고 하였으며, 그 대표적인 디자인 방법으로 가변적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가변적 디자인은 형태 다양화나 모듈화가 비교적 수월하여 복잡한 메커니즘을 필요로 하지 않는 패션제품에서 주로 활용되어 다양한 기능과 외관으로 변화할 수 있다(Lee & Kim, 2019). 가변적 패션디자인은 소비자들에게 기능의 다양성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게 되면서 동시에 옷의 수명 주기를 연장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가변적 디자인은 하나의 아이템으로 다양한 스타일링을 추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새로움, 다변성, 개성 등을 추구하는 오늘날의 패션 소비자들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가변적 디자인의 표현방법과 특성을 밝혀 지속가능한 패션디자인의 세부적인 방법을 밝히는 데 있다. 패션디자인 분야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Park(2015)은 차연적 놀이의 운동성과 대리보충의 논리로 패션스타일의 가변화 과정을 분석하였고, Park & Seong(2020)은 한글에 내포된 구조적 특성과 지퍼의 기계적 특성을 응용한 가변적 패션 디자인실물 개발을 연구하였으며, Kim(2014)은 현대 패션 디자이너들의 가변적 스타일링 디자인 특징을 분석하였다. 건축 및 제품 디자인 분야에서는 가변시스템의 유형과 특성을 적용하여 실물을 디자인한 Yoon(2016)의 연구가 있었다. 이들 연구는 가변적 디자인의 특성을 미학적 관점으로 분석하거나, 가변적 디자인의 실물을 개발하거나, 가변적 디자인이 가지는 특성으로 사례를 분석하여 자신의 작품에 적용하여 제품 디자인을 개발한 경우들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성을 기반으로 하는 건축과 제품 디자인 분야의 가변적 디자인 방법과 특성을 고찰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보그 런웨이컬렉션에 나타난 가변적 디자인 사례들을 분석하여 지속가능한 패션에서 활용할 수 있는 디자인의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Ⅱ. 이론적 고찰

1. 지속가능성과 가변적 디자인

가변성의 사전적 설명은 일정한 조건에서 변할 수 있는 속성이다. ‘alterability’, ‘changeability’, ‘transformability’, ‘variability’와 같은 영어 단어들은 모두 가변성을 말하는 용어이다(Huh & Jung, 2015). 가변성이란 일정한 조건에서 변화가 가능한 성질을 말하며, 변화란 제품이 가진 형태나 구조의 물리적 변화이며, 사용자의 의도나 상황의 변화에 맞추어 형태를 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Hyun & Oh, 2015). 가변적 디자인은 건축과 가구 디자인에서 자주 사용되는 방법이며 디자이너의 창의적인 사고로 다양한 기능과 외관의 변화를 가지는 디자인을 창안하는 것이다(Lee & Kim, 2019). Kim & Kim(2018)은 디자인 과정에서 폐기물을 완전히 없애거나 줄이는 방법을 미리 계획하는 제로 웨이스트 디자인을 전개하는 디자인 방법으로 가변성을 지닌 접기 방법이 혁신적인 지속가능한 디자인 방법이 될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지속가능한 디자인 방법으로 가변적 디자인의 활용을 위하여 가변적 패션의 세부적인 디자인 방법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2. 건축과 제품디자인 분야의 가변적 특성

1) 선행연구

다음은 가변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가변적 디자인 방법을 자주 활용하는 건축과 제품디자인 분야의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였다. 농촌주택의 가변성을 연구한 Lee(2015)는 주택설계의 가변 방법을 확장형, 전환형, 다기능형으로 구분하였다. 친환경 가변가구에 관한 Hyun & Oh(2015)의 연구에서는 친환경 가변가구의 구조적 특징을 조립구조(Knock down structure), 접이구조(Folding structure), 팽창구조(Inflating structure), 축적 및 걸이구조(Stacking structure), 모듈러구조(Modular structure), 단위구조(Unit structure)로 구분하였다. Özçelik & Kaprol(2016)은 소형 가구 디자인에 대한 연구에서 유연성, 기능성, 모듈화를 가변적 특성으로 밝혔다. Brancart et al.(2017)은 가변적 디자인을 배치 가능성(deployability)과 분해를 위한 디자인(design for disassembly)으로 구분하였다. Temuulen & Han(2021)의 연구에서는 가변 가구의 기능적 특징을 확장성, 적층성, 수납성, 이동성, 결합성, 접이성, 변형성의 7가지로 분류했다. 본 연구에서는 앞에서 언급한 선행연구들의 가변적 디자인 특성 분류들을 기반으로 ‘확정성’, ‘접이식’, ‘탈부착성’, ‘다기능’, ‘모듈러’를 본 연구의 가변적 디자인 특성 분류의 틀로 삼았다. <Table 1>은 이러한 분류과정을 설명하는 것이다.

Categorization of the Transformable Design Characteristics Based on Previous Studies

3. 건축과 제품디자인 분야의 가변적 특성사례

1) 확장성

가변적 디자인에서 확장성은 사물의 길이, 면적, 부피 등을 증가시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Temuulen & Han, 2021). 가스와 액체를 주입하거나 배출하는 방식으로 물건의 부피를 변화시키는 팽창구조도 여기에 포함할 수 있다(Hyun & Oh, 2015).

<Fig. 1>은 건축가 Michael Jantzen의 재배치 및 변형이 가능한 혁신적이고 스마트한 ‘M-House’이다. 이 집은 7개의 맞물리는 큐브로 구성된 열린 공간 프레임 그리드에 경첩으로 부착된 일련의 직사각형 패널로 구성되고 각 구성 요소는 상호 교환이 가능하며 숫자와 크기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패널은 곡선 구성과 다양한 유형의 재료로 만들 수 있다. 지지 프레임은 지형 변화에 맞게 조정할 수 있고, 태양과 바람과 같은 대체 에너지원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자급자족하도록 설계된 친환경적인 구조물이다. <Fig. 2>는 영국의 Fletcher Burwell-Taylor 사의 1.67M에서 3M까지 확장할 수 있는 ‘Fletcher Capstan Table’이다. 확장 리프는 테이블 내에 저장되며 원형을 유지하면서 용량을 두 배의 크기로 늘릴 수 있다. 본 연구에서의 확장성은 제품의 길이, 면적, 부피를 확대 및 축소 시키는 단순한 변화를 의미하며, 표현 형식상으로는 물건 전체 비율의 확대와 축소일 수도 있고, 부분적인 구조나 디테일의 확장일 수도 있다.

<Fig. 1>

The M-house by Michael Jantzen(If it‘s hip it’s here, n.d.)

<Fig. 2>

The Fletcher Capstan Table(Fletcher, n.d.)

2) 접이식

접이식 구조는 제품을 쉽게 접어서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 있도록 설계한 것으로(Hyun & Oh, 2015), 보통 종이접기 예술에서 영감을 얻어 평면 구조를 3D 구조로 바꾸는 것을 말한다. Liapi(2002)는 접이식을 전개성과 접이식이라는 두 가지 혼합된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했다. Demaine, Demaine, Koschitz, & Tachi(2011)은 가변적인 가구 디자인에서 접이성은 물체를 접고 펼 수 있는 구조로 설계하는 것으로, 고정된 면적을 차지하지 않고 간단한 조작을 통해 다른 형태로 변환하거나 더 작은 부피로 변화시킴으로써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가능하게 한다고 했다. <Fig. 3>은 딜러 스코피디오+렌프로(Diller Scofidio+Renfro)건축사무소와 록웰 그룹(Rockwell Group)이 공동 설계한 뉴욕의 허드슨 시티 스퀘어(Hudson Yards)에 위치하고 있는 “Culture Shed”이다. 이 건물은 37m의 접이식 케이스를 갖춰 예술 공간의 크기를 마음대로 바꿀 수 있다. <Fig. 4>는 디자이너 Nils Frederking의 접히는 테이블로 용도에 따라 좁은 공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디자인이다.

<Fig. 3>

The Shed New York, NY(Diller Scofidio + Renfro, n.d.)

<Fig. 4>

Folding Elegance(Shoebox Dwelling, 2012)

3) 탈부착

탈부착 가능한 디자인은 지속가능한 디자인 측면에서 추구하는 목표에 따라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재활용에 중점을 둔 디자인으로 제품 수명이 끝난 후 리뉴얼이나 재사용 가능한 부분을 최대한 재활용함으로써 경제적 지속가능성을 실현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제품 복구에 중점을 둔 디자인으로 제품의 정상 수명 동안 마모되거나 손상된 부분을 분리한 후 따로 수리하여 제품사용 주기를 연장할 수 있다(Han & Jin, 2005). 제품에서 가장 가치 있는 부품, 재사용 가능한 부품, 파손된 부품 또는 일반 부품 모두 탈부착이 가능하다. <Fig. 5>는 디자이너 Edo Kim과 Yeseul Kim이 디자인한 Clip이라는 탈부착 가능한 브러쉬가 있는 칫솔이다. Clip의 브러쉬가 마모되면 사용자는 오래된 브러쉬를 꺼내고 새 브러쉬를 홈에 끼우기만 하면 브러쉬 부분을 교체할 수 있다.

<Fig. 5>

Detachable Toothbrush(Shawn, 2021)

4) 다기능

다기능성은 제품의 용도가 변경되어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갖도록 디자인된 것을 말한다(Kim, 2006). 가변 디자인의 기능성은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사용 방식에 따라 달라지거나 위치와 방향의 변화를 통해서도 새로운 용도가 만들어질 수 있다(Yoon, 2016). <Fig. 6>은 이탈리아의 Campeggi사를 위해 Emanuele Magini가 디자인한 Sosia 라는 다기능 소파는 제한적 공간에서 유용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두 개의 의자와 변형 가능한 패브릭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용도에 따라 다양한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다.

<Fig. 6>

Multifunctional Design by Campeggi(Goods Home Design, n.d.)

5) 모듈러

모듈러 디자인(modular design)은 규격화ㆍ세분화된 작업 공정을 통해, 자동차, 건축과 같은 거대 산업에서 생산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들에게는 자신의 니즈와 취향에 따라 조립하여 사용하는 맞춤형 디자인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모듈러 구조는 물건의 각 부분을 표준화된 유닛으로 보고 임의로 조합하여 디자인을 변경하는 것이다(Hyun & Oh, 2015). <Fig. 7>은 영국엔지니어링 회사인 Buro Happold와 미국 건축 회사인 Cookfox Architects가 개발한 작은 야생 동물, 곤충, 새 및 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프로토 타입 테라코타 파사드 시스템이다. 모듈식 시스템은 벌, 새, 식물을 포함한 야생 동물이 도시 환경에서 건물 외벽에서 번성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 것이다. Jang & Chang(2021)의 연구에서 모듈러 디자인은 각 산업 분야에서 불필요한 세부 공정이나 재료 사용을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산업 폐기물의 배출을 감소시킴으로써, 환경오염을 최소화하고 자원을 보존하는데 기여하는 지속가능한 디자인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하였다.

<Fig. 7>

A Living Facade for Birds and Insects(Domus, 2022)


Ⅲ. 연구 방법

1. 연구 방법과 범위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배경에서 정리된 가변적 디자인 문헌연구를 근거로 만들어진 분석항목으로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사례 수집은 우선 포털사이트에서 가변적 디자인과 세부 디자인 방법의 키워드인 ‘Transformable fashion’, ‘Variable fashion’, ‘Expansibility fashion’, ‘Folding fashion’, ‘Detachable fashion’, ‘Multifunctional fashion’, ‘Modular fashion’ 키워드들을 검색한 후 사례들의 디자이너들을 중심으로 Vogue runway(https://www.vogue.com/fashion-shows)에서 사례들을 다시 수집하였다. 사례수집 시간적 범위는 2019년 S/S부터 2022년 F/W까지 4년간으로 하였고, 선정 범위는 이론적 고찰에서 정리된 5가지 세부 디자인 특성 중 하나 이상을 가진 것으로 하였다. 사례선정은 5인의 전문가 집단 모두가 동의한 것으로 하였고, 최종적으로 총 275장의 가변적 패션디자인 사례들이 선정되었다. 또한 패션 사례들은 앞에 선행연구에서 정리된 5가지 디자인 방법의 특성에 따라 확장형 가변패션, 접이식 가변패션, 탈부착 가변패션, 다기능 가변패션, 모듈러 가변패션으로 분류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2. 분석항목

분석 항목은 가변적 디자인 방법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하여 의복구성의 기본요소인 실루엣, 소재, 색채를 중심으로 하였으며, 가변적 디자인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이템들로 조화 또는 조합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소재와 색채는 소재조합과 색채배색의 분류방법을 분석항목으로 조절하였다. 먼저 가변적 디자인 방법 유형에 따라 접이식 가변패션, 탈부착 가변패션, 다기능 가변패션, 모듈러 가변패션으로 나누었다. 확장형 가변패션은 물리적 또는 기술적 수단을 통하여 제품의 길이, 면적, 부피를 확대 및 축소시키는 것이다. 접이식 가변패션은 접기 기술을 통해 물건의 전체 또는 일부 구조를 접거나 늘여 그 외형이나 기능에 변화를 줄 수 있는 것이다. 탈부착 가변패션은 부분 구조를 조립 및 탈부착할 수 있으며 형태와 기능을 변경하거나 부분 교체 및 회수가 가능하도록한 디자인이다. 다기능 가변패션은 물건이 두 가지 이상의 다른 용도를 가지며 사용자의 용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모듈러 가변패션은 표준화된 유닛들이 사용자의 용도나 취향에 따라 조합분해가 가능하며 스타일링이 변경가능 한 것이다.

가변적 패션 디자인 구성요소의 분석 항목들은 선행연구를 근거로 도출하였다. 실루엣은 선행연구 Hwang(2017)의 스트레이트, 벌크, 아워글래스, Kim(2018)의 스트레어트, 배럴, Y, A, 핏 앤플레어, 머메이드, 슬림 앤 바디컨셔스의 분류, Jeong(2020)의 H, O, Y, A, X, 비정형 분류, Liu(2022)의 루즈한 스타일, 핏한 스타일, 슬림한 스타일 분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인체 곡선에 맞은 피티드(fitted)실루엣, 몸의 형태를 강조하지 않는 스트레이트(straight) 실루엣, 인체에 여유로운 루스(loose) 실루엣으로 구분하였다. 가변적 패션의 색채는 가변적 디자인 방법으로 활용되는 옷의 색채를 분석하는 것으로 색의 배색을 분석한 Chung(2017)의 동일 배색, 유사 배색, 보색 배색, 엑센트 배색분류를 본 연구의 분석항목으로 하였다. 소재도 배색분류와 마찬가지로 가변적 디자인에 자주 활용되는 소재 혼합을 중심으로한 선행연구 Chung(2017)의 동일 소재 결합, 유사 소재 결합, 다른 소재 결합을 본 연구의 소재 분석항목으로 채택하였다. 동일 소재결합은 전체적인 룩에 같은 소재를 사용한 것을 의미하며, 유사 소재결합은 시각적으로 질감과 두께가 비슷한 원단을 조합한 것이다. 다른 소재결합은 전체 룩에서 시각적 차이가 큰 질감, 두께, 텍스처들을 혼합 사용한 것을 의미한다.


Ⅳ. 컬렉션에 나타난 가변적 패션디자인 사례 분석

1. 가변적 패션 디자인 유형별 출현빈도 분포

<Fig. 8>은 2019년 S/S에서 2022년 FW까지 보그 런웨이 컬렉션에 나타난 가변적 디자인 유형별 출현빈도 분포도이다. 다기능형 가변패션이 71개(25.8%)로 제일 많이 나타났으며 모듈러 가변패션이 61개(22.2%), 탈부착 가변패션은 57개(20.7%), 확장형 가변패션이 55개(20.0%), 접이식 가변패션이 31개(11.3%)의 순으로 나타났다.

<Fig. 8>

2019 S/S~2021 F/W Distribution by Transformable Fashion Type

<Fig. 9>는 2019년 S/S부터 2022년 F/W까지 8개의 시즌별 가변적 유형별 출현 분포와 빈도 변화 추이이다. 전반적으로 2021년 SS와 2020년 FW에 가변적 패션이 많이 나타났는데 이 시기가 펜데믹이 막 끝나려는 시기로 지속가능한 패션에 대한 대중적 관심이 보다 높아진 것과 관련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특징적인 점은 시즌별 분포도에서 2022년 SS와 FW의 두 시즌에 걸쳐 탈부착 가변패션의 비중이 높아진 점이다. 탈부착 가변패션은 분해형 디자인(Design for disassembly)으로 표준화된 조각의 탈부착으로 수선 보완 또는 소비자 취향을 반영하여 옷의 수명을 연장한다는 측면에서 지속가능한 디자인 방법으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는 점과 맥락을 같이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자료선정기간 전반부에는 확장형 가변패션의 비중이 컸다가 중반에는 접이식 가변패션이, 최신 경향에서는 탈부착 가변패션사례들의 비중이 많았다는 점에서 지속가능한 디자인방법론으로 가변적 디자인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 9>

Changes in the Emergence of Transformable Fashion Types by Season in Vogue Runway

2. 가변적 패션 유형별 디자인 구성요소 분포도와 관련성

1) 실루엣

<Fig. 10>은 가변적 패션 유형별 실루엣 출현빈도 분포도이다. 확장형 가변패션의 경우는 스트레이트 실루엣이 25개(45.5%)로 제일 많이 나타났고, 루즈 실루엣은 18개(32.7%), 피티드 실루엣은 12개(21.8%)의 순으로 타나났다. 접이식 가변패션도 스트레이트 실루엣이 12개(38.7%)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나 다른 유형들과는 달리 피티드 실루엣이 10개(32.3%)로 두 번째로 많이 나타났다. 접이식 가변패션의 경우는 신체의 외곽선을 따라 팽창과 축소가 가능하여 피티드 실루엣으로 분류된 것으로 사료된다. 루스 실루엣이 9개(29.0%)로 뒤를 이었다. 탈부착 가변패션은 스트레이트 실루엣 35개(61.4%)로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이어서 루스 실루엣이 14개(24.6%), 피티드 실루엣이 8개(14.0%)로 뒤를 이었다. 다기능 가변패션의 경우, 루스 실루엣은 45개(63.4%)로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다는점이 다른 가변패션 유형과는 차별화 되는 점이다. 스트레이트 실루엣은 24개(33.8%)나타났고, 피티드 실루엣은 2개(2.8%)로 미미하게 나타났다. 모듈러 가변패션은 탈부착 가변패션과 마찬가지로 스트레이트 실루엣이 38개(62.3%)로 과반을 넘어 나타났고, 루스 실루엣 15개(24.6%), 피티드 실루엣은 8개(13.1%)로 나타났다.

<Fig. 10>

2019 S/S~2021 F/W Frequency Distribution by Silhouette according to Transformable Fashion Type

<Fig. 11>은 가변적 디자인 유형별로 관련된 실루엣을 보여주는 것이다. 특징적인 점은 다기능 가변패션은 루스 실루엣과 매우 큰 관련성을 보여주고 있고, 모듈러 가변패션경우와 탈부착 가변패션 경우 모두 스트레이트 실루엣과 관련성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모듈러 가변패션의 경우는 탈착되면서 다른 부분으로 이동되어 변화하는 디자인 유형이라면 탈부착 가변패션의 경우는 제자리에서 탈부착하는 기능을 가진 것이다. 두 유형은 차이는 있으나 표준화된 모듈 조각으로 가변한다는 점은 같은 맥락의 가변기능을 갖고 있어 같은 유형의 실루엣과 관련되어진 것으로 사료된다.

<Fig. 11>

2019 S/S~2021 F/W Silhouette Relevance by Transformable Fashion Type

2) 색채

<Fig. 12>는 가변적 패션 유형별 색채조합 출현빈도 분포도이다. 분석 결과, 확장형 가변패션의 경우는 동일배색과 유사배색이 20개(36.4%), 19개(34.5%)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보색 배색은 16개(29.1%), 엑센트 배색은 없었다. 접이식 가변패션은 동일배색이 13개(41.9%), 보색 배색이 10개(32.3%)의 순으로 나타났다. 유사배색과 엑센트배색은 각각 4개(12.9%)로 나타났다. 탈부착 가변패션은 동일배색과 보색배색이 각각 19개(33.3%)로 나타났고, 이어서 유사배색이 12개(21.1%), 엑센트 배색이 7개(12.3%)로 나타났다. 다기능 가변패션의 경우는 다른 유형의 색채조합과는 달리 보색 배색이 30개(42.3%)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기능변화를 표시하는 것으로 보색배색을 많이 사용한 것과 관련한 것으로 추정된다. 유사배색은 18개(25.3%), 엑센트 배색은 14개(19.7%), 동일배색은 9개(12.7%)로 나타났다. 모듈러 가변패션의 경우는 동일배색은 24개(39.3%)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보색배색은 19개(31.2%), 유사배색은 15개(24.6%), 엑센트 배색은 3개(4.9%)로 나타났다. 모듈러 가변패션에서도 보색배색이 많이 나타난 것은 표준화된 유닛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디자인 연결의 가이드로 보색배색이 자주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Fig. 12>

2019 S/S~2021 F/W Frequency Distribution by Color Matching according to Transformable Fashion Type

<Fig. 13>은 가변적 디자인 유형별 색채 관련성을 정리한 것이다. 다기능 가변패션은 보색배색과 관련성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난 것과 더불어 다른 유형들보다 보색 배색과 엑센트배색을 상대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앞에서도 언급한 소비자 사용가이드로 보색배색이 사용된 것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Fig. 13>

S/S~2021 F/W Color Matching Relevance by Transformable Fashion Type

3) 소재

<Fig. 14>는 가변적 패션 유형별 소재조합 출현빈도 분포도이다. 분석 결과, 확장형 가변패션의 경우는 동일 소재조합이 33개(60.0%)로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유사 소재조합의 경우는 15개(27.3%), 다른 소재조합은 7개(12.7%)로 나타났다. 접이식 가변패션의 경우는 동일 소재조합이 26개(83.9%)로 출현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접이식 디자인 경우 한 장의 천에서 디자인의 접힌 흔적으로 가변적 형태를 만드는 제로웨이스트 디자인 특성과 관련한 것으로 보인다. 유사 소재4개(12.9%), 다른 소재는 1개(3.2%)로 나타났다. 탈부착 가변패션은 다른 소재조합이 28개(49.1%)로 다른 유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났다. 동일 소재조합은 18개(31.6%)로 나타났고 유사소재조합은 11개(19.3%)로 나타났다. 다기능 가변패션은 동일 소재조합이 55개(77.5%)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다른 소재조합은 12개(16.9%), 유사소재조합은 4개(5.6%)로 나타났다. 모듈러 가변패션의 경우는 동일 소재 조합 29개(47.6%), 다른 소재 조합 26개(42.6%)로 나타났다.

<Fig. 14>

2019 S/S~2021 F/W Frequency Distribution by Texture Combination according to Transformable Fashion Type

<Fig. 15>는 가변적 디자인 유형별 소재 관련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확장형 가변패션, 접이식 가변패션, 다기능 가변패션은 동일 소재조합과 높은 관련성이 있으며. 반면에 탈부착 가변패션과 모듈러 가변패션 경우는 다른 소재조합과 관련성이 높았다.

<Fig. 15>

2019 S/S~2021 F/W Texture Combination Relevance by Transformable Fashion Type

3. 가변적 패션디자인 표현 방법과 지속가능성 논의

1) 확장형 가변패션

확장형 가변패션은 의복의 크기, 길이, 면적, 부피 등이 어떤 기법을 통해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확장의 과정에서 의복의 전체 또는 디테일을 늘이거나 접어서 의복의 부분 형태를 숨기고 노출함으로써 옷을 유연하게 변형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확장형 가변패션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여러가지 방식의 옷으로 스타일링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지속가능성의 정서적 내구성 강화의 디자인 방법이다. 폭으로의 확장가능성이 있을 때는 신체변화에도 적응하여 옷의 수명연장에 기여할 수 있다. <Fig. 16>은 은 지속가능성 브랜드로 알려져있는 Chopova Lowena의 디자인으로 두 가지 소재를 사용하여 폭으로 절개하여 이어 박아서 나누어져 있는 부분에 부착된 끈 조정으로 옷의 실루엣 변화가 가능하며 신체크기 변화에도 적응할 수 있다. <Fig. 17>은 Juna Watanabe의 디자인으로 케이프의 가로로 여러 단으로 나누어져 있는 지퍼를 열고 닫음으로서 디자인의 길이와 형태가 가변성을 가진다. 시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르게 스타일링 할 수 있어 옷의 수명연장을 할 수 있는 디자인이다.

<Fig. 16>

Chopova Lowena 2022 FW(Vogue, n.d.-a)

<Fig. 17>

Junya Watanabe 2022 FW(Vogue, n.d.-b)

2) 접이식 가변패션

접이식 가변패션은 옷의 일부를 접고 펼치는 방식으로 옷의 형태와 크기, 길이 등을 조절하는 것이다. 접이식 구조는 접는 방식에 따라 디자이너의 창의성이 접목되고 전통적 접기 기법을 바탕으로 쉽게 예술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방법은 한 장의 원단을 사용하여 접기를 적용함으로써 원단의 손실을 최소화 한다는 점에서 지속가능 패션이라 할 수 있으며 접기 방식에서 비롯된 신축성 특징은 신체 외형의 변화가 있다고 하더라도 신체 크기에 적응이 가능해 의복의 수명연장을 도울 수 있다.

<Fig. 18>은 Issey Miyake의 대표적인 기법인 오리가미가 반영된 바느질 선이 없는 디자인이다. 종이접기 예술성을 바탕으로 디자인되어 모델의 신체 움직임에 따라 옷의 각 부분 형태가 늘어나거나 줄어들면서 가변적 디자인으로 나타났다. <Fig. 19>도 Issey Miyake의 디자인으로 동일한 크기로 된 8개의 주름 직물의 원형의 연결로 만들어져 이 원형 부분들을 접었을 때 수납에 매우 편리한 방식으로 바닥에 평평하게 놓을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다. 원반 하나를 들어 올렸을 때, 접이 구조를 가진 원피스로 변환시킬 수 있다.

<Fig. 18>

Issey Miyake 2020 FW(Vogue, n.d.-c)

<Fig. 19>

Issey Miyake 2022 SS(Vogue, n.d.-d)

3) 탈부착 가변패션

탈부착 가변패션은 옷의 일부 구조를 분리한 후에 다시 붙일 수 있는 디자인이다. 지퍼, 단추, 마술 스티커, 끈, 고리 등을 통해 옷의 일부 구조를 분해할 수 있다. 탈부착 가변패션은 탈착한 구조를 원래 위치에서만 부착하여 옷의 용도를 변경 한다는 것이며, 탈착되어 다른 부분으로 이동하여 가변적 형태를 만드는 모듈러 디자인과는 구분이 되나 옷의 한부분이 손상되었을 때 같은 크기의 형태로 교체 수선이 쉽다는 점에서 두 디자인 방법은 같은 원리의 지속가능성 디자인의 특징을 가진다. <Fig. 20>은Rochas가 탈부착의 방법으로 옷의 용도와 기능을 변화 시킨 디자인이다. 봉제선에 따라 여러 쪽으로 나누어진 상의의 바디 부분과 소매 부분은 단추로 연결되어 탈부착이 가능하다. 심지어 스커트도 허리 부분의 단추이 개폐로 탈부착이 가능하다. <Fig. 21>은 Chloe의 디자인으로 코트의 허리선 부분에서 탈부착을 가능하도록 하여 재킷과 롱코트의 두 가지 기능을 갖추게 한 디자인이다.

<Fig. 20>

Rochas 2022 SS(Vogue, n.d.-e)

<Fig. 21>

Chloé 2021 FW(Vogue, n.d.-f)

4) 다기능 가변패션

다기능 가변패션은 환경과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에 적합한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이 하나의 옷에 포함된 것이다. 본 연구에서 다기능성 디자인은 접기, 펼치기, 비틀기의 방법으로 디자인을 변환하고 사용자의 생활방식과 활동에 필요한 다른 용도로 전환할 수 있다. 하나의 아이템으로 장소와 공간에 따라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고 옷의 위치와 방향을 바꿔 의류 아이템을 다른 아이템으로 변환해서 다른 용도와 기능을 발휘할 해 지속가능한 환경에 영향을 줄일 수 있다는 측면에서 슬로우 패션의 기능을 가진다 할 수 있다.

<Fig. 22>는 디자이너 CRAIG GREEN이 패딩브랜드 MONCLER와 협업한 컬렉션중 하나이다. 이 컬렉션은 '웨어러블 야외 서식 장치'를 디자인 영감으로 야외 텐트의 구조를 개조해 남성복 디자인에 접목하였다. 텐트를 해체하여 등산 점퍼와 등산 바지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Fig. 23>은 브랜드 Anrealage의 컬렉션에 나타난 다기능 텐트스커트이다. 텐트의 구조는 견고하지만 옷의 구조는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편이다. 디자이너는 같은 구조로 두 가지 용도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제품을 디자인하였다. 모델이 입은 옷은 펼쳐진 후 뒤에 있는 텐트 모양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모델들이 쓰는 머리 장식도 어두운 밤에 빛을 낼 수 있는 전등갓으로 가변할 수 있다.

<Fig. 22>

Moncler 5 Craig Green 2019 SS(Vogue, n.d.-g)

<Fig. 23>

Anrealage 2021 SS(Vogue, n.d.-h)

5) 모듈러 가변패션

모듈러 가변패션은 하나의 의복에서 나누어질 수 있는 각 부분을 표준화하여, 분해, 배열, 조합, 교체할 수 있는 디자인이다. 사례분석 결과 옷의 칼라, 소매, 바짓가랑이, 밑단 등 부분을 분해해서 같은 구조의 다른 색채와 무늬의 부품으로 교체할 수 있는 것과, 일정한 모양의 유닛이 이동하여 디자이너나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한 방법으로 나타났다. 모듈러 가변패션은 부품이 손상되거나 분실될 경우는 사용자가 손상된 부분을 분해한 후 새 부품을 교체할 수 있다. 이로써 옷의 폐기될 가능성을 줄이고 의류 제품의 수명주기를 연장할 수 있으며, 표준화된 유닛의 재구성으로 착용자의 감성과 취향을 반영할 수 있어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감성적 내구력을 지니는 디자인 방법이 될 수 있다.

<Fig. 24>는 Anrealage가 모듈화 디자인 방법을 적용한 제품이다. 디자이너는 블록에 영감을 받아 의상의 각 부분을 직사각형, 삼각형, 반원형 등 기하학적 실루엣으로 디자인했고 스냅버튼을 통해 그것들을 분할하여 서로 다른 외관으로 조립할 수 있다. 이 컬렉션은 다양한 컬러와 원단이 있고 소비자들은 여러 벌의 다른 옷을 구입하여 소비자는 몇 벌의 다른 옷을 선택하여 구매하고, 그것들을 교차 조합하여 새롭게 조합할 수 있다. <Fig. 25>는 Noir Kei Ninomiya의 2019년 F/W 시즌의 모듈러 가변패션이다. 스티치리스 리베티드 테크니크(stitchless liveted technique)로 지속가능한 환경 영향력을 줄이고자 하였고, 옷의 각 부분을 꿰매는 대신 단추, 스터드, 매듭 등의 연결 방식으로 대체하였다. 옷의 각 부분은 여러 개의 표준화된 유닛으로 만들아졌다. 유닛의 이동에 따라 다른 형태를 구현할 수 있다. <Fig. 26>은 가변적 패션 각 유형들의 디자인 구성요소 표현과 지속가능성과의 관련성을 정리한 표이다.

<Fig. 24>

Anrealage 2020 FW(Verner, 2020)

<Fig. 25>

Noir Kei Ninomiya 2019 FW(Leitch, 2019)

<Fig. 26>

Summary of Sustainable Design Approache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Transformable Fashion


Ⅴ. 결론

본 연구는 패션 컬렉션에서 가변적 디자인의 표현과 특성을 규명하여 지속가능한 패션 산업을 위한 디자인 접근법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변적 디자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건축과 가구 디자인분야의 선행연구 고찰에서 가변적 디자인의 유형은 확장형, 접이식, 탈부착, 다기능, 모듈러의 유형으로 나타났다. 이를 기반으로 보그 런웨이에 나타난 가변적 패션디자인 사례를 분석하였다.

가변적 패션디자인 유형별 지속가능성 디자인의 관련성은 다음과 같다.

확장형 가변패션은 옷 전체나 디테일을 늘리거나 접어서 길이나 폭의 확대 축소가 가능한 유형이다.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맞춤형 디자인으로 감성적인 내구성을 가짐으로써 패션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접이식 가변패션은 수공예적 요소가 접목된 것으로 감성적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다. 접고 펼치는 유연성으로 인해 사용자가 체형이 변화 하더라도 유연허게 적응하기 쉬워 오래 입는 옷이 가능하다. 한 장의 천으로 접어 만든 소재는 제로 웨이스트 디자인의 특성을 가진다. 탈부착형 가변 패션은 수선과 관리가 쉬워 제품의 수명 연장이 용이하고, 아이템 하나로 스타일을 바꿀 수 있어 자원절약에 따른 CO2 배출 저감에도 영향을 미친다. 다기능 가변패션은 하나의 아이템을 환경과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함으로써 자원을 절약하고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는 슬로우패션 디자인이라 할 수 있다. 모듈러 가변패션은 의류의 각 구조를 표준화하고 각 모듈의 결합과 매칭을 통해 다양한 구조와 용도를 형성하는 것이다. 모든 디자인 방법 중에서 모듈러 디자인은 가장 단순한 변환 방법, 가장 많은 결합 방법 및 시각적 효과가 특징이다. 결론적으로 가변적 패션디자인은 소비자 미적 감성과 취향을 반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복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어 패션산업분야의 미래적 디자인 방법으로 제안될 수 있다.

References

  • Brancart, S., Paduart, A., Vergauwen, A., Vandervaeren, C., De Laet, L., & De Temmerman, N. (2017). Transformable structures: Materialising design for change. International Journal of Design & Nature and Ecodynamics, 12(3), 357-366.
  • Chung, S. H. (2017). A study on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gyeop in layered fashion desig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 Demaine, E. D., Demaine, M. L., Koschitz, D., & Tachi, T. (2011, September). Curved crease folding: A review on art, design and mathematics. In Proceedings of the IABSE-IASS symposium: taller, longer, lighter (pp. 20-23). Citeseer.
  • Diller Scofidio + Renfro (n.d.). The Shed New York, NY. Retrieved from https://dsrny.com/project/the-shed
  • Domus, L. (2022, September 23). A living facade for birds and insects. Domus. Retrieved from https://www.domusweb.it/en/sustainable-cities/gallery/2022/09/20/a-living-facade-for-birds-and-insects.html
  • Du, Y. J., Ruan, B. Y., & Zhou, C. Y. (2020, November 18). Focusing on sustainable fashion consumers in China in the post-epidemic era. R.I.S.E. Retrieved from https://max.book118.com/html/2020/1118/5300031302003024.shtm
  • Fletcher (n.d.). The fletcher capstan table. Retrieved from https://www.fletchertables.com/
  • Goods Home Design (n.d.). Multifunctional design by campeggi. Retrieved from https://www.goodshomedesign.com/multifunctional-design-campeggi/
  • Han, X. Z. & Jin, B. Y. (2005). DFD design theory and its design method. Agricultural Equipment & Technology, 31(4), 20-21.
  • Huh, B. Mu. & Jung, Y. K. (2015). A proposal of notebook bag design for transformation. A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13(3), 183-192.
  • Hwang, J. I. (2017). A study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floral fashion desig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 Hyun, G. H. & Oh, C. H. (2015). A study on design element and concept of eco-friendly variable furnitu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Design Culture, 21(2), 647-658.
  • If it's hip it's here (n.d.). The M-house by Michael Jantzen. Retrieved from https://ifitshipitshere.blogspot.com/2008/10/m-vironments-m-velopes-m-house-by.html
  • Jang, J. H. & Chang, K. C. (2021). Research on the value and sustainability of modular design: Focusing on cases of spatial design.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22(2), 523-539. [https://doi.org/10.47294/KSBDA.22.2.37]
  • Jeong, H. (2020). A study on the hybrid fashion style design of romanticism and sportis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 Kim, G. S.(2018. March 9). UNECE, “Fast fashion prod uction is bad for the future environment"... 2,700ℓ of water required to produce one cotton shirt water pollution level. G-enews. Retrieved from https://news.g-enews.com/article/Global-Biz/2018/03/201803090738498192d6eb469fd3_1?md=20180309113413_U
  • Kim, H. (2006). Research on the introduction of variable form in product design: Focused on the analysis of variable elements in form and function. Journal Korea Society of Visual Design Forum, 13(0), 129-141.
  • Kim, H. R. (2014). A study on contemporary fashion designers adapting modifiable styl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Design Culture, 20(3), 189-198.
  • Kim, S. H. & Kim, H. Y. (2018). A study on zero waste fashion design that applied formative beauty of paper–folding.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8(1), 137-155.
  • Lee, H. & Kim. K. (2019). The conditions and definition of transformable design.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11(-), 21-22.
  • Lee, J. (2015).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ndard rural house design reflecting flexibility.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the Spatial Design, 10(3), 101-110.
  • Leitch, L. (2019, March 2). Noir Kei Ninomiya: Fall 2019 ready-to-wear. Vogue. Retrieved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9-ready-to-wear/noir-kei-ninomiya
  • Liapi, K. A. (2002, October). Transformable architecture inspired by the origami art: Computer visualization as a tool for form exploration. In Proc Ann Conf Assoc Comp Aided Design Archit (pp. 381-388). Retrieved from http://papers.cumincad.org/data/works/att/6cde.content.pdf
  • Liu, J. M. (2022). A study on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fashion design with traditional Chinese patterns: Based on the comparison of Chinese and western desinger collec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 Özçelik, Ö. & Kaprol, T. (2016, October). Concepts that shaped the design of transformable furniture. In IInd Iternational Furniture Congress, 325.
  • Park, S. & Seong, C. (2020). A study on transformable fashion design using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the transformability of hangeul. Journal of Communication Design, 70(0), 94-106.
  • Park, S. (2015). The changeability of fashion style using the concept expressed in the mobility of “la Differant" play and supplement logic.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5(3), 28-46.
  • Shawn, M. K. (2021, October 21). The replaceable heads of this Minimal toothbrush are made from recycled thermoplastic. Yankodesign. Retrieved from https://www.yankodesign.com/2021/10/21/the-replaceable-heads-of-this-minimal-toothbrush-are-made-from-recycled-thermoplastic/
  • Shoebox Dwelling (2012, August 7). Folding elegance. Retrieved from http://shoeboxdwelling.com/2012/08/07/folding-elegance/#more-8369
  • Temuulen, K. & Han, H. R. (2021). Suggestion of flexible furniture for small apartments for space efficiency: Focusing on the mongolian ulaanbaatar reg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30(3), 46-53.
  • Verner, A. (2020, February 25). Anrealage: Fall 2020 ready-to-wear. Vogue. Retrieved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20-ready-to-wear/anrealage
  • Vogue (n.d.-a). Retrieved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22-ready-to-wear/chopova-lowena/slideshow/collection#10
  • Vogue (n.d.-b). Retrieved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22-ready-to-wear/junya-watanabe/slideshow/collection#26
  • Vogue (n.d.-c). Retrieved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20-ready-to-wear/issey-miyake/slideshow/collection#43
  • Vogue (n.d.-d). Retrieved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22-ready-to-wear/issey-miyake/slideshow/collection#2
  • Vogue (n.d.-e). Retrieved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22-ready-to-wear/rochas/slideshow/collection#24
  • Vogue (n.d.-f). Retrieved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21-ready-to-wear/chloe/slideshow/collection#9
  • Vogue (n.d.-g). Retrieved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9-ready-to-wear/moncler-5-craig-green/slideshow/collection#2
  • Vogue (n.d.-h). Retrieved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21-ready-to-wear/anrealage/slideshow/collection#16
  • Yoon, J. A. (2016). The development of fashion design applying transformable system.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6(3), 99-119.

<Fig. 1>

<Fig. 1>
The M-house by Michael Jantzen(If it‘s hip it’s here, n.d.)

<Fig. 2>

<Fig. 2>
The Fletcher Capstan Table(Fletcher, n.d.)

<Fig. 3>

<Fig. 3>
The Shed New York, NY(Diller Scofidio + Renfro, n.d.)

<Fig. 4>

<Fig. 4>
Folding Elegance(Shoebox Dwelling, 2012)

<Fig. 5>

<Fig. 5>
Detachable Toothbrush(Shawn, 2021)

<Fig. 6>

<Fig. 6>
Multifunctional Design by Campeggi(Goods Home Design, n.d.)

<Fig. 7>

<Fig. 7>
A Living Facade for Birds and Insects(Domus, 2022)

<Fig. 8>

<Fig. 8>
2019 S/S~2021 F/W Distribution by Transformable Fashion Type

<Fig. 9>

<Fig. 9>
Changes in the Emergence of Transformable Fashion Types by Season in Vogue Runway

<Fig. 10>

<Fig. 10>
2019 S/S~2021 F/W Frequency Distribution by Silhouette according to Transformable Fashion Type

<Fig. 11>

<Fig. 11>
2019 S/S~2021 F/W Silhouette Relevance by Transformable Fashion Type

<Fig. 12>

<Fig. 12>
2019 S/S~2021 F/W Frequency Distribution by Color Matching according to Transformable Fashion Type

<Fig. 13>

<Fig. 13>
S/S~2021 F/W Color Matching Relevance by Transformable Fashion Type

<Fig. 14>

<Fig. 14>
2019 S/S~2021 F/W Frequency Distribution by Texture Combination according to Transformable Fashion Type

<Fig. 15>

<Fig. 15>
2019 S/S~2021 F/W Texture Combination Relevance by Transformable Fashion Type

<Fig. 16>

<Fig. 16>
Chopova Lowena 2022 FW(Vogue, n.d.-a)

<Fig. 17>

<Fig. 17>
Junya Watanabe 2022 FW(Vogue, n.d.-b)

<Fig. 18>

<Fig. 18>
Issey Miyake 2020 FW(Vogue, n.d.-c)

<Fig. 19>

<Fig. 19>
Issey Miyake 2022 SS(Vogue, n.d.-d)

<Fig. 20>

<Fig. 20>
Rochas 2022 SS(Vogue, n.d.-e)

<Fig. 21>

<Fig. 21>
Chloé 2021 FW(Vogue, n.d.-f)

<Fig. 22>

<Fig. 22>
Moncler 5 Craig Green 2019 SS(Vogue, n.d.-g)

<Fig. 23>

<Fig. 23>
Anrealage 2021 SS(Vogue, n.d.-h)

<Fig. 24>

<Fig. 24>
Anrealage 2020 FW(Verner, 2020)

<Fig. 25>

<Fig. 25>
Noir Kei Ninomiya 2019 FW(Leitch, 2019)

<Fig. 26>

<Fig. 26>
Summary of Sustainable Design Approache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Transformable Fashion

<Table 1>

Categorization of the Transformable Design Characteristics Based on Previous Studies

Researcher Transformable Design Characteristics
Lee(2015) Expandable Convertible Multifunctional
Hyun & Oh(2015) Knock down Folding Stacking Modular Unit
Özçelik & Kaprol(2016) Flexibility Functional Modularization
Brancart et al.(2017) Deployability Design for disassembly
Temuulen & Han(2021) Expandable Layering
Folding
Composability Storage Mobility
Variability
Categorization Expandable Folding Detachable Multifunctional Modul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