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Articl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ol. 68, No. 1, pp.14-29
ISSN: 1229-6880 (Print) 2287-7827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Jan 2018
Received 16 Sep 2017 Revised 02 Jan 2018 Accepted 24 Jan 2018
DOI: https://doi.org/10.7233/jksc.2018.68.1.014

국내외 스트리트 패션에 나타난 밀리터리룩의 스타일링 비교 연구

김찬주 ; 노미경+
인천대학교 패션산업학과 교수
+인천대학교 패션산업학과 겸임교수
Styling Comparison of Military Look Appeared on Street Fashion of Korea and Overseas
Chanju Kim ; Mikyung Ro+
Professor, dept. of Fashion Industry, Incheon National University
+Concurrent professor, dept. of Fashion Industry, Incheon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Mikyung Ro, e-mail: sorriso@nate.com

Abstract

To both its ability to express individuality and its suitability for an active lifestyle, the "military look" has been a globally popular fashion trend among young peopl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military styles worn among young people. The study works to achieve this goal by analyzing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of military fashion as it has appeared in thestreet fashions of Korea and overseas. 310 photos from two portal sites with high volume of search records for street style in Seoul, and 258 photos of 5 fashion-leading cities (Paris, Milan, London, New York and Tokyo) were collected from a street fashion magazine(STREET) between 2013-2016. The photos were classified by style type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ir design elements. The military look was classified into4 styles: mix-and-match, hip-hop, layered, and work wear. In both Seoul and overseas cities, the military look has common design elements, such as field jackets, bomber jackets, pants with pockets, olive-green and khaki colors, and camouflage patterns with green, khaki, and black colors. As for differences, the styles in Seoul used limited kinds of items, similar camouflage patterns, and showed less diversity in styling. On the other hand, overseas street fashion tended to boldly and aggressively express the wearers' personalities, using different sizes of camouflage pattern and decorations, and often idiosyncratic mix-and-match styling.

Keywords:

military look, overseas fashion, street fashion, styling

키워드:

밀리터리룩, 해외 패션, 스트리트 패션, 스타일링

Ⅰ. 서론

스트리트 패션은 길거리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사람들의 패션 스타일을 말한다. 이는 하이패션과 구별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용어로서 대중들의 패션 취향과 기호를 읽을 수 있다는 점에서 패션트렌드의 실제를 확인할 수 있다. 과거와 달리 패션 정보의 수용과 확산이 블로그나 트위터, 페이스북 등의 SNS를 통해 영향력을 발휘하며, 네트워크의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정보를 생성, 공유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스트리트 패션은 이러한 매체 활용도가 매우 높으며, 정보 수용의 가능성도 매우 크다. 새로운 매체에 가장 친밀한 젊은이들은 그들만의 소통 공간에서 패션 트렌드를 창조, 공유하면서 동질감을 형성하고 있다. 이들은 트렌드를 무조건 모방하지 않으며, 자신들이 공감하는 개성적인 패션에만 열광하고 수용하여 나만의 스타일을 만드는 일 즉 스타일링(styling)에 주력한다.

최근 국내외 스트리트 패션에서 나타나는 젊은이들의 개성적인 패션스타일 가운데 공통된 현상이 밀리터리룩의 트렌드화이다. 밀리터리룩은 ‘군대풍의 옷차림’이라는 뜻으로 유에스 아미(US army)룩, 카키(Khaki)룩이라는 별칭도 있다. 1960년대 이후 반전 의사를 나타내려는 의도에서 젊은이들에게 폭발적인 인기를 얻게 되었다. 이 룩은 젊은이들이 선호하는 개성과 활동성을 표현하기에 좋은 요소들을 갖추고 있다. 밀리터리 룩을 상징하는 카모플라주(camouflage) 패턴은 색상, 크기, 모양 등의 다양한 변형을 통해서 여러 가지 이미지의 변화를 꾀할 수 있으며, 주요 색상인 초록색의 다양한 톤 변화와 색다른 스타일 연출을 통해서도 다양한 이미지를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남성에게는 밀리터리룩이 스타일링의 편리함과 남성성을 강조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여성은 여성성을 희석하고 강한 이미지로 변신시키는 요소로 작용하기도 한다.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밀리터리 룩의 조형미를 중심으로 고찰하거나 컬렉션에 나타난 밀리터리룩을 분석하여 디자이너들이 창조하는 밀리터리룩의 특성을 설명하는데 치중하였다(Kim, 2013), (Lee, 2011), (Chu, Kim, 2007). 그러나 이들은 여전히 실제 밀리터리룩을 주로 착용하는 대중들의 일상복과는 다소 괴리가 있다. 대중들의 패션스타일을 보여주는 스트리트 패션에 나타난 국내외 밀리터리룩의 특성을 분석한다면 디자이너들이 표현하는 밀리터리룩과의 차이점을 파악할 수 있고, 개성에 민감한 젊은이들이 트렌드와 상관없이 밀리터리룩을 선호하는 이유와 자신들의 개성과 독창성을 어떤 형식으로 표현하는지 이해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그러므로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외국의 스트리트 패션에 나타난 밀리터리룩을 조사하여 스타일링의 관점에서 그 특성을 비교함으로서 밀리터리룩을 개인의 스타일로 연출하는 방식의 공통점과 차이점들을 이해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밀리터리룩의 구성요소를 찾아보고 스타일을 연출하는 방법에 따라 유형을 분류하고 특징들을 파악하며, 시기, 성(gender), 지역(한국과 외국)에 따라 밀리터리룩 스타일 유형들이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를 비교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한국과 외국의 젊은이들이 밀리터리룩을 통해 자신의 개성과 패션취향을 표현하는 방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이해할 수 있고, 이후 지속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는 밀리터리풍의 의류상품 기획에 도움이 될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서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Ⅱ. 이론적 배경

1. 밀리터리룩의 역사적 배경

군복은 오랫동안 남성들의 전유물로 사회적 권위를 의미해왔으며, 1, 2차 세계대전을 통해 여성들도 군복을 착용할 수 있게 되면서 성취한 사회적 지위를 상징하기도 한다(Suzihara, 2007). 2차 세계대전 이후 군복에서의 성 구분이 줄어들고 기능성과 편리성 등이 추가되어 노동에 적합하도록 기능적인 형태로 변화되었으며, 이로 인해 군복의 의미가 전쟁수행 시 뿐 아니라 노동에 적합한 작업복의 의미로 확대되기에 이르렀다(Bond, 2000).

밀리터리룩이 패션화하기 시작한 것은 2차 대전 후 젊은이들이 자신들의 문화적 코드로 적용한데서 비롯된다. 1960~70년대 이후 히피나 펑크와 같이 지배문화 혹은 기성문화의 일반적인 규범과 기준에 저항하기 위해 생겨난 하위집단은 밀리터리룩을 이용해 자신들만의 특징적인 스타일을 탄생시켰다(Kim, 2013). 또한 베트남 전쟁은 강한 반전 운동을 일으키며 사회적 이슈가 되면서 젊은이들이 반전의사의 표시로 군복을 즐기게 되는 계기가 되었으며(Bond, 2000), 이들은 풍자적 반전 의미로 낡고 루즈한 군복, 군화, 베레모 등에 평화를 상징하는 엠블렘이나 문자로써 밀리터리룩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또한 팝 아트(pop art), 옵아트(op art) 등과 결합하면서 젊은이들만의 새로운 감각의 밀리터리 룩을 탄생시켰으며(Chu, Kim, 2007), U.S. Army Look이라는 가짜 배지 등을 부착한 낡은 군용 셔츠와 바지, 술 달린 진, 부츠 등을 착용하는 것이 유행이었다. 또한 이 시기에 여성들은 균등한 교육의 기회를 통해서 여권의 신장과 사회진출이 활발해졌으며, 남성복중 특히 밀리터리룩을 적극적으로 차용하여 남녀평등의 일환으로 사회에서의 남성의 성역할에 도전하는 이미지를 상징하게 되었다(Han, 1999).

1990년대 이후 포스트모더니즘의 성행과 함께 밀리터리룩은 많은 변화를 보여 동, 서양, 남성과 여성, 하이패션과 스트리트 패션 등 서로 다른 요소들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스타일로 나타났다. 특히 그런지 룩(Grunge look)은 남녀 모두 공통적으로 낡은 중고 군복이나, 겹쳐 입기, 군화를 일상복으로 착용하였다(Kim, 2013). 많은 디자이너들이 제복과 스포츠 웨어를 결합, 남성적인 밀리터리룩에 로맨틱한 요소를 결합하거나, 미국, 중국, 러시아, 아프가니스탄을 비롯한 여러 나라의 민속적인 요소를 결합하여 새로운 밀리터리 룩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켰다(Kim, 2013). 이후부터 현재까지 밀리터리 룩은 한정된 이미지가 아닌 여러 종류의 이미지가 공존하는 감각적인 스타일링을 표현할 수 있는 양상을 보이게 되었다. 즉 밀리터리 룩을 통해 반전의사를 표현하는 문화적 코드나 사회적 항거의 표현으로서의 이미지에서 벗어나 개인의 개성과 취향을 표현하는 개인적 표현의 이미지가 강화되었다.

2. 밀리터리룩의 의미와 구성요소

밀리터리는 ‘군대’, ‘군인’, ‘육군풍의’ 라는 뜻으로 밀리터리룩은 ‘군복’ 혹은 ‘군복에서 디자인 요소를 얻은 일체의 것’을 포함한다. 군복은 세분하면 육, 해, 공군 으로 나누는데, 이 중 밀리터리로 육군의 복식풍이면 아미(army)라 부른다(Han, 1999). 군의 특성에 따라서 육군복, 해군복, 공군복 등으로 분류되고, 직책에 따라 장교용, 사병용으로 분류되는데, 장교용은 예복, 정복, 근무복, 전투복, 사병용은 근무복, 전투복으로 분류된다(Han, 1999).

밀리터리룩의 구성은 재킷이나 점퍼, 티셔츠와 바지, 군화 및 소품들로 이루어진다. 주요 아이템 중 재킷은 직선적인 선을 주로 사용하여 남성성, 기능성 및 활동성을 부각하는 형태이며, 주로 육군풍의 야전 상의를 의미하였다. 최근 밀리터리룩에 공군이 주로 입는 항공점퍼(bomber jacket)가 더해져 육군의 복장이라는 기존 개념이 확장되고 있다. 이 항공점퍼는 착용자의 개성에 따라 다양한 소재와 장식 등 디자인의 변형이 더해져 트렌드 아이템으로 인기가 높다. 바지는 측면에 큰 주머니를 부착하였고, 짧은 바지의 길이는 무릎 위 길이이다. 주 소재는 솔리드의 면을 평직이나 능직으로 직조한 치노(chino)이고, 색상은 올리브 그린 카키와 네이비 블루색상이며, 문양으로 자연환경에서 적을 위장하기 위해 나뭇잎이나 밀림을 모티브로 개발된 카모플라쥬(camouflage) 패턴으로서 갈색이나 그린계열 색의 조합으로 이루어졌다(Han, 1999).

신발은 군용장화 스타일의 웰링턴(wellington)이 대표적이며, 일반 군화로서 워커가 있다. 가장 대표적인 디테일은 주머니로서 전투복 상의의 가슴부위에 덧붙이는 패치 포켓(patch pocket), 플랩 앤 버튼 다운(flap&button down)이며 소지품 활용 등의 기능적인 면 외에 상체를 커보이게 하여 상대를 압도하는 효과를 갖게 한다(Han, 1999). 어깨에 다는 견장인 에폴레트(epaulet) 역시 어깨를 넓어보이게 하는 착시 효과로 상대방을 제압하는 효과를 갖게 한다. 이 외에 부대표시 마크, 병과별 마크, 계급장, 군장이나 훈장 등이 있다.

3. 밀리터리룩 관련 선행연구

밀리터리 룩을 주제로 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컬렉션에 나타난 디자이너들의 밀리터리룩을 분석한 사례가 주를 이룬다. 먼저 밀라노와 파리 컬렉션에 나타난 밀리터리룩을 분석한 결과 현대 패션에서 밀리터리룩을 고정된 군복의 의미를 벗어나 시즌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패션트렌드 중의 하나로서 대중의 정서를 반영하여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Chu, Kim, 2007). 디자이너 컬렉션을 분석한 결과 트렌치코트나 더플(duffel) 코트와 같은 코트류와 재킷, 카고 팬츠(cargo pants) 등을 주로 착용하고 직선적인 실루엣과 벨트로 인한 X-자 실루엣이 많으며 검은색, 흰색, 갈색, 올리브색이 대다수를 이룬다고 하였다. 밀라노와 파리 공통적으로 모던, 스포티, 댄디 이미지가 주류를 이루었으며 파리는 아방가르드와 클래식 이미지도 더해져 더욱 다양한 밀리터리룩 이미지를 보여주었다(Chu, Kim, 2007). Kim(2013)은 현대 여성패션에 나타나는 밀리터리 룩을 클래식, 로맨틱, 섹슈얼, 스포티, 아방가르드, 에스닉 이미지의 6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Kim, 2013). 이러한 연구들은 현대 하이패션 컬렉션에서 나타나는 디자이너 주도의 밀리터리룩이 매우 다양한 이미지를 표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밀리터리 룩의 조형적 가치에 대한 연구들을 보면 Kim(2013)은 밀리터리 룩이 사회적 지위와 권력을 나타내는 권위성, 노동에 적합한 기능성, 반항의식을 드러내는 저항성, 남성성과 여성성을 동시에 표출하는 양성성 등 다양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하였다. 또한 Lee(2011)는 밀리터리 룩이 전쟁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요구되는 기능성과 시대적 상황, 미의식 들이 복합적으로 어우러져 나타나는 하이퍼리얼(hyper-real)적 특성이 강하게 나타난다고 보고한 바 있다. 그 대표적 사례로 사파리룩과 히피풍의 밀리터리 룩을 예를 들었다. 사파리룩은 정글에서 이루어진 베트남 전쟁과 60년대 사회적 분위기, 군복의 이미지가 혼합하여 만들어진 하이퍼리얼로서 주로 유니섹스 룩으로 착용되었으며 이후 캐주얼한 이미지로 변화하여 모험과 탐험이미지의 자연세계로의 동경을 표현하기 적합한 스타일의 이미지로 정착해갔다고 설명하였다. 반면 히피풍 밀리터리 룩은 전쟁을 반대하던 히피들에 의해 반전문구를 쓴 군모나 군화착용 등 군복으로서의 이미지가 약화 내지 왜곡되고 또 청바지와 함께 착용하는 방식을 통해 자유로운 히피정신을 기능적인 군복에 담아내었다는 것이다(Lee, 2011). 이러한 사례들은 밀리터리 룩이 20세기 후반으로 오면서 전쟁을 의미하는 대신 시대정신이나 개인의 취향(taste)을 표현하는 스타일로 변화해갔음을 알 수 있다.


Ⅲ. 연구방법

자료 수집은 한국과 해외도시로 나누어 수집하였다. 한국은 서울을 선정하고, 해외도시는 패션컬렉션이 개최되며 패션 트렌드를 선도하는 도시들인 유럽의 밀라노, 파리, 런던과 미국의 뉴욕, 아시아 지역권에서는 개성 있는 스트리트 패션으로 잘 알려진 도쿄를 포함하여 5대 패션 선도도시(fashion leading cities)를 선정하였다. 밀리터리룩의 선정은 이론적 연구에서 제시된 형태, 색상, 패턴, 디테일, 액세서리 가운데 한 가지 이상의 디자인요소가 포함된 스타일을 수집하였다. 한국의 밀리터리룩은 스트리트 스타일 검색 순위가 높은 2개 사이트(http://www.musinsa.com, http://www.hiphoper.com) 검색을 통해 310장을 수집하였고, 해외도시의 밀리터리 룩은 위의 5대 패션도시 스트리트 패션을 전문적으로 촬영하는 월간정보지 “STREET”에서 258장을 수집하여 총 568장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자료검색 및 수집기간은 2013년 6월부터 2016년 6월까지이다.

자료 분석은 그룹화, 판별, 이름 짓기, 특징분석의 4단계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2인의 연구자가 공동으로 행하였다. 먼저 그룹화 단계에서는 지역별로 자료를 나누어 스타일 연출 방식의 유사성을 관찰하였다. 스타일 연출의 주안점(스타일링 포인트)이라 할 수 있는 착용방식과 코디네이트하는 의복과 소품의 종류, 전체적 이미지의 유사성에 근거한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둘째, 판별단계에서는 스타일링 방식과 전체적 이미지가 각 그룹 내에서는 유사하며 다른 그룹과는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였다. 셋째, 각 스타일 그룹을 총괄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이름을 부여하였다. 넷째, 각 유형에 속한 스타일들의 특징을 디자인요소(형태, 색채, 소재, 디테일, 소품)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스타일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유형분류를 행한 후에 각 밀리터리 유형이 시기, 지역과 남녀 성에 따라 어떤 구성비의 차이를 보이는지 알기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또한 남녀의 밀리터리룩 착용경향 차이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표로 제시하였다.


Ⅳ. 결과 분석

1. 밀리터리룩의 디자인 요소적 특징

서울과 해외 패션선도도시의 스트리트 패션에 나타난 밀리터리룩을 디자인 요소의 관점에서 살펴본 결과 형태, 색채, 패턴, 디테일과 액세서리 등의 요소에서 다음과 같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었고 이들은 전체적으로 밀리터리룩을 이루는 공통된 디자인 특징이라 하겠다.

1) 형태

조사기간 동안 서울과 외국 패션 도시 스트리트 패션의 밀리터리룩에서 남녀 모두에게 공통적으로 가장 많이 착용된 아이템은 항공점퍼로서 길이와 형태의 다양한 변형을 보여주었다. 색상은 단색이 주를 이루지만 간혹 카모플라쥬 패턴도 있으며, 팔에 기능성을 위한 지퍼주머니와 소속과 계급을 상징하는 다양한 와펜(wappen)이 장식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육군 밀리터리룩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아이템인 야전상의도 서울과 해외도시에서 남녀 모두 공통적으로 많이 나타났다. 원래의 육군복으로서 재킷 형태가 가장 많으며, 셔츠나 사파리 재킷, 패딩 같은 형태로 변형되어 착용하였고, 무릎길이, 과장된 오버 핏 등 폭과 길이의 다양성도 크게 나타나는 등 폭 넓은 밀리터리 아이템으로 활용되었다. 대표적인 군복 스타일의 카고팬츠는 주머니가 달린 기본 형태는 같으나 몸에 밀착되는 형태에서부터 힙합 이미지의 매우 헐렁한 실루엣까지 서울과 해외도시의 남성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2) 색채

밀리터리룩을 상징한다고 볼 수 있는 색채는 카키색을 중심으로 한 색조의 변화이며, 전통적인 카키 계열의 색상부터 네이비, 블랙, 회색 등의 명도와 채도가 낮은 색상들이 주로 사용되었다. 많은 사례들에서 카키색의 색조 변화 또는 유사색상들과의 조화를 발견할 수 있었다. 서울은 남녀 모두 카키색 이외에 동일, 유사색 계열의 베이지색, 갈색이나 회색, 청색, 검은색 등 중간 톤이거나 낮은 톤의 색들을 선호하였다. 그러나 해외도시에서는 카키색이 많기는 하나 서울에 비해 남녀 모두 흰색, 주황색, 빨간색 등 분위기에 따라서 다양한 색과 배색하거나 강조 색으로 사용하는 사례가 더욱 많았다.

3) 패턴

밀리터리룩에서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는 패턴은 위장 패턴이라고 하는 카모플라쥬 (camouflage) 패턴이다. 서울과 해외도시, 남녀 모두에게 공통적으로 카모플라쥬 패턴과 이 패턴에서 모양과 크기, 색을 다양하게 변화시킨 변형된 카모플라쥬 패턴들이 나타났다. 예를 들어 소량의 파란색과 검은색, 흰색 조합의 카모플라쥬 패턴도 있었다. 패턴이 강한 야전상의는 디테일장식을 생략한 사례가 많았지만 때로 군대의 소속과 지위를 상징하기 위해 사용된 와펜을 장식하기도 하였다. 카모플라쥬 패턴은 상의로만, 하의로만, 간혹 상하의로 착용하기도 하였다.

4) 디테일과 액세서리

서울과 해외도시의 남녀 모두 야전상의나 항공점퍼에 사용된 디테일은 주로 지퍼와 금속 스냅단추이며, 가슴이나 소매 부분에 커다란 박스주머니나 아코디언 주머니를 부착하여 편안함과 실용성, 기능성을 도모하였다. 주로 사용한 소품은 주로 서울에서 남녀 모두 카모플라쥬 패턴의 에코백이나, 크기가 큰 배낭, 크로스로 둘러매거나 허리에 찰 수 있는 패니 백(fanny bag)이었다. 그리고 스냅 백(snap back)이나 벙거지 모자, 비니(beanie) 등의 모자와 선글라스도 많이 착용하였다. 신발은 주로 스니커즈를 착용하였고 목이 높은 하이탑(high top), 워커(walker)를 착용한 경우도 많았다.

2. 밀리터리룩 스타일링 유형 분류

스트리트 패션에 나타난 밀리터리룩의 유형분류를 시도한 결과 스타일링 즉 스타일 연출 방법에 따라 크게 믹스앤매치(mix&match) 스타일, 레이어드(layered) 스타일, 힙합(hip-hop) 스타일, 워크웨어(workwear) 스타일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서울과 해외도시로 나누어 각 스타일 유형들의 특성을 비교해보았다.

1) 믹스앤매치 스타일

믹스앤매치 스타일이란 서로 다른 느낌을 주는 대조적 이미지의 아이템을 섞어 새로운 멋을 추구하는 패션 스타일로서 상식을 넘어선 부조화를 통하여 색다른 아름다움을 만들어낸다. 조화의 기술이 필요한 옷차림으로 디자인의 한 요소는 변화를 주고(믹스), 한 요소는 통일시키는(매치) 형식을 사용한다.

밀리터리룩에 있어 믹스앤매치 스타일의 스타일링 포인트는 밀리터리 아이템들을 성격이 다른 다양한 의복들과 조화시켜 새로운 스타일을 창조해내는 연출방식에 있다. 이 때 가장 많이 활용된 밀리터리 아이템은 항공점퍼, 야전상의이다. 코디네이션하는 의복아이템들은 서울과 해외도시 공통적으로 남자들은 수트나 셔츠와 바지 형태의 단정한 캐주얼 아이템들이 주류를 이룬다<Fig. 1>. 여성들은 항공점퍼나 야전상의 아래 플레어나 개더스커트, 미니와 맥시 등 다양한 길이와 실루엣의 스커트와 원피스를 착용한 스타일이 주류를 이루었다. 또한 밀리터리룩의 전체적인 실루엣이 인체의 선이 드러나지 않는 오버 핏(over fit) 형태이기 때문에 여성들은 벨트 등으로 실루엣을 조정하기도 하고, 몸에 붙는 스커트 혹은 원피스 등을 착용하여 서로 다른 이미지를 조화시키는데 주력하였다. 야전상의에는 핫팬츠, 미니스커트나 미니 원피스의 착용이 많았다면, 짧은 길이의 항공 점퍼에는 원피스와 긴 와이드 팬츠나 길고 넓은 스커트를 착용하는 사례가 많았다. 화려한 색상이나 무늬와도 조화를 이루기도 하였다<Table 1>. 믹스앤매치 스타일 유형은 대도시 거주 남녀들의 단정하고 섹시한 기본이미지에 활동적이고 야성적인 이미지를 복합적으로 연출하려는 스타일링에 주안점을 두는 것으로 보인다.

Comparison of mix & match style of military look between Seoul and 5 Fashion leading cities

서울과 해외도시의 믹스앤매치 밀리터리룩은 전체적인 연출방식은 유사하지만 남녀 모두 코디네이션에 사용된 의복아이템과 소품에 다소 차이를 보였다. 서울 남성들은 단정한 수트나 카디건과 바지들과 조화시킨 스타일이 많았다. 반면 해외 도시 남성들은 다양한 형과 배색의 카모플라쥬 패턴으로 된 수트를 착용하거나 화려한 색상의 셔츠나 스웨터, 청바지 등과 야전상의, 항공점퍼를 함께 착용하여 믹스앤매치를 통해 더 다양하고 적극적인 스타일링을 보여주고 있다<Fig. 4>. 여성들의 경우 서울의 여성들이 항공점퍼나 야전 상의 아래 스커트 또는 짧은 바지를 주로 입고, 소품은 운동화나 워커 등을 주로 착용하며. 색채도 대부분 카키나 블랙 등의 어두운 색상을 사용하는 사례가 많았다<Fig. 2, 3>. 이에 비해 해외 여성들은 정장풍의 수트, 짧고 몸에 밀착되는 섹시한 이미지의 원피스, 화려한 스커트 등과 코디네이션 하며 강렬한 색상, 기하학, 추상 패턴도 자주 발견되었다. 소품도 하이힐이나 사이 하이(thigh-high) 부츠 등 밀리터리룩과 관련 없는 신발을 착용하여 자신의 개성과 패션감각을 대담하게 표현하는데 중점을 두는 모습을 보였다<Fig. 5, 6>. 즉 해외도시 남성과 여성들은 자신의 패션취향과 개성을 표현하기 위해서 밀리터리 아이템을 믹스앤매치 방식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많았다.

2) 레이어드 스타일

레이어드는 여러 겹을 겹쳐 입은 스타일을 뜻하며 따라서 밀리터리룩에서의 레이어드 스타일은 밀리터리 아이템을 다른 의복아이템과 함께 여러 겹 겹쳐 입는 것에서 스타일링 포인트를 찾을 수 있다. 레이어드 스타일은 여러 겹을 입다보니 자연 보온이 필요한 가을, 겨울에 더욱 많이 나타났다. 코디네이션 방식을 보면 주로 2가지로 나타난다. 단정한 이미지는 안쪽에 셔츠, 가디건, 재킷 등의 아이템들을 입으며<Fig. 7, 9>, 캐주얼한 이미지 연출에는 데님 재킷, 후드 티셔츠, 트레이닝 점퍼 등을 안에 입고 겉에 항공점퍼나 야전상의, 패딩코트와 베스트 등을 겹쳐서 착용하는 스타일링 방법을 보였다<Fig. 8, 10>. 해외 도시에서는 남녀 모두 가장 겉에 입은 점퍼나 야전상의보다 길이가 더 긴 옷을 안쪽에 착용하여 길이의 변화를 통해 스타일링을 한 경우와 카키 계열의 색상과 함께 화려한 원색조의 색상이나 메탈 컬러 등을 액센트 컬러로 사용한 예가 많았다<Fig. 10, 12>. 밀리터리 레이어드 스타일은 실용적으로는 보온의 효과와 함께 격식에 얽매이지 않고, 멋스럽게 각각의 자유로운 이미지를 구현하는 스타일링 방법으로 보인다<Table 2>.

Comparison of layered style of military look between Seoul and 5 Fashion leading cities

3) 힙합스타일

힙합스타일은 원래 힙합 음악과 춤을 즐기는 사람들의 복장 스타일로서 헐렁하고 편안한 멋을 추구하는 스타일이다. 따라서 실루엣이나 형태의 정석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영혼을 옷으로 표현하며, 편안함을 중시하여 인체를 구속하지 않는 과장된 사이즈의 의상을 조합하여 개성을 표출한다. 밀리터리룩에서도 이처럼 서울과 해외, 남녀 모두 자신의 사이즈보다 큰 밀리터리풍의 헐렁한 상, 하의를 착용한 모습들이 다수 발견되어 힙합스타일로 칭하였다<Table 3>. 특히 서울은 남녀 모두 길이가 길고 카모플라쥬 패턴이 있는 바지를 헐렁한 티셔츠와 레이어드 해서 착용한 모습이 매우 많았다<Fig. 13, 14, 15>. 이 스타일은 일상복 뿐 아니라 보드나 농구 등의 스포츠나 여러 야외 활동을 위한 아웃도어 의상으로도 활용되고 있다<Fig. 15>. 해외 도시에서는 서울에 비해 바지에서 카모플라쥬 패턴보다는 단색이 많고 반바지 착용이 많았으며, 야전상의 보다는 카키색과 어두운 네이비 색상을 사용하고 엠블렘 패치 장식을 한 항공점퍼 스타일이 많았다<Fig. 16, 17, 18>.

Comparison of hip-hop style of military look between Seoul and 5 Fashion leading cities

소품으로는 서울과 해외도시 공통적으로 스니커즈가 가장 많았고, 하이 탑(high top)을 착용한 경우도 있었다. 힙합스타일은 특히 액세서리 사용이 많아서 야외활동에 자유로움을 추구하는 페니백과 선글라스, 스냅백 등의 소품들을 통해서 전체적으로 스웩(swag) 이미지를 표출하고 있다.

4) 워크웨어 스타일

워크웨어 스타일 역시 힙합스타일과 같이 편안함을 위주로 스타일을 구성하는 유형이다. 그러나 힙합스타일에 비해 실루엣의 길고 헐렁함이 적은 대신 주머니 달린 디자인들이 많아 작업복, 사무복 스타일을 연상시키고 따라서 실용적이고 활동적인 이미지를 전달한다. 워크 룩(work look) 또는 워킹웨어 스타일(working wear style)로도 칭할 수 있다. 대표적인 스타일링으로는 야전상의나 항공점퍼에 트레이닝 상ㆍ 하의를 입거나, 군복 스타일 바지에 편안한 티셔츠를 착용하는 모습<Fig. 19>, 카모플라쥬 패턴의 상의나 하의를 일반 캐주얼웨어와 착용하여 편안하고 꾸미지 않은 듯 자연스럽게 연출하였다. 특히 티셔츠나 항공점퍼 등에 레터링이나 그림, 다양한 칼라 패치를 활용한 개성적인 모습도 다수 발견되었다<Fig. 21>. 이 스타일에서 가장 특징적인 점은 서울과 해외, 남녀 모두 다양한 핏의 오버올(overall)을 착용한 것이다<Fig. 20, 22, 23, 24>. 상의와 하의가 함께 연결되고 편안한 실루엣을 보이는 오버올들은 카키색과 함께 검은색, 빨간색, 회색, 핑크색 등 가장 다양한 색상들이 사용되었고 카모플라쥬 패턴도 많았으며 주로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주머니가 달려있었다. 소품은 샌들이나 운동화 등 편한 신발들과 모자, 크로스로 매는 가방들도 착용하여 편안하면서도 기능성을 추구하는 취향을 보여주었다.

서울과 해외 도시, 남녀 사이에 큰 차이점은 보이지 않았다. 다만 해외도시의 경우 편안하면서도 핏(fit)을 살린 다양한 색상의 오버올이 더욱 많았으며, 선명한 색상의 다양한 패치나 와펜, 글씨 등의 디테일 사용이 더욱 많았다<Table 4>.

Comparison of work wear style of military look between Seoul and 5 Fashion leading cities

3. 시기별 밀리터리룩 스타일링 유형의 변화 분석

서울과 외국의 5대 패션선도 도시의 스트리트 패션에 나타난 밀리터리 룩의 시기별 스타일링 경향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시기를 전기(2013~2014년)와 후기(2015~2016년)로 나누어 앞에서 분류한 4가지 유형의 착용빈도를 비교하였다. 각 연도는 자료빈도의 차이가 커서 2개년을 함께 묶어 비교하였다. 서울은 2013~3014년과 2015~2016년의 자료의 양이 큰 차이가 나지 않았는데, 해외도시에서는 2015~2016년의 비중이 매우 높아 해외도시들에서는 이 시기에 밀리터리 룩이 더욱 활성화된 것으로 보인다<Table 5>.

Comparison of military look styling Frequency between Seoul and 5 Fashion leading cities by Year (%)

1) 서울

서울은 조사한 시기 동안 모두 워크웨어 스타일이 가장 많았다. 전기에 해당하는 2013-2014년에는 워크웨어 스타일(43.2%)이 가장 많고 믹스앤매치(23.8%)와 힙합(23.8%)스타일이 그 뒤를 이으며 레이어드 스타일(9.2%)이 가장 적었다. 후기(2015-3016년)에서는 워크웨어 스타일(62.4%)의 비중이 더욱 높아졌으며, 힙합(21.6%)은 전기와 비슷한 비중을 유지하나 믹스앤매치(9.6%) 스타일은 현저하게 줄어들었다. 즉 시기적 변화를 볼 서울에서는 밀리터리룩을 통해 편안함과 활동성을 추구하는 경향이 보편적이며 이것은 후기로 갈수록 더욱 높아졌다.

2) 해외유행 선도 도시

해외에서는 전 시기 동안 믹스앤매치 스타일이 가장 많았고 이어서 워크웨어 스타일이 많았다. 전기와 후기 모두 믹스앤매치 스타일(48.8%, 45.3%), 워크웨어 스타일(30.2%, 34.9%)이 합하여 약 80%에 이르고 힙합과 레이어드 스타일은 20% 미만의 분포를 보여 한국과 다른 변화추이를 보였다. 전기와 후기를 비교했을 때 각 유형이 차지하는 비중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것은 해외도시에서는 시기에 관계없이 밀리터리룩을 통해 자신의 개성과 패션취향을 표현하는 것을 원하는 경향이 높음을 의미한다.

4. 남녀의 밀리터리룩 스타일링 유형의 특성 분석

스트리트 패션에 나타난 남성과 여성의 밀리터리룩의 차이를 이해하기 위해 착용빈도를 비교하였다<Table 6, 7>. 먼저 서울과 외국도시를 전체적으로 비교하면 서울은 남성이 79.0%, 여성은 21.0%의 분포를 보여 남성이 밀리터리룩을 착용하는 비율이 여성에 비해 현저히 높은데 비해, 해외도시들의 경우는 남성이 34.5%, 여성은 65.5%를 보여 밀리터리룩을 착용하는 여성의 비율이 남성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났다<Table 6>.

Frequency of the wearer of military look (%)

Frequency of the people who wear each style of Military Look (%)

1) 남성

<Table 7>에서 볼 수 있듯이 서울의 스트리트 패션에 나타난 남성들의 밀리터리룩은 워크웨어 스타일이 가장 많았고(55.9%), 힙합스타일(24.1%), 믹스앤매치 스타일(13.5%)과 레이어드 스타일(6.5%)의 순서를 보였다. 이것은 서울의 남성들은 밀리터리룩의 스타일링에서 실루엣은 헐렁하고, 티셔츠와 트레이닝 상하의, 오버올 등 일상적인 아이템들과 쉽게 조화시켜 입을 수 있는 스타일을 선호함을 나타낸다. 즉 밀리터리룩 연출에서 개인의 일상성과 활동에서의 편안함을 우선시하고 이와 함께 스냅백, 헤어밴드 등 소품을 이용하여 자신의 개성과 취향을 표현하는 것을 즐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비해 해외도시에서 남성들의 밀리터리룩은 서울에 비해 유형별로 비교적 고른 분포를 나타냈다. 그 중에서도 작은 차이지만 힙합 스타일이 가장 많았고, 믹스앤매치와 워크웨어 스타일도 유사한 빈도를 보였다.

힙합 스타일은 서울과 마찬가지로 힙합 음악을 즐기며 거리의 자유로움을 즐기는 스웩 이미지의 헐렁하며 멋스러운 스타일링을 나타내었다. 워크웨어 스타일은 오버올과 같은 실용성을 강조하면서도 다양한 색상과 패치 등을 활용하여 개성을 추구하였다. 그리고 밀리터리 의상과 전혀 다른 이미지의 아이템을 조합한 믹스앤매치 스타일의 착용을 통해 압도적인 유행을 따르기보다는 자신이 추구하는 개성과 취향을 표현하는데 중점을 두는 스타일링을 선호하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스타일의 경향을 종합하면 해외남성들이 국내에 비해 밀리터리룩에 있어서 비교적 다양한 스타일링을 즐기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것은 각 개인이 개성과 취향을 표현하는 것을 중시하여 결과적으로 다양성과 독창적 스타일링을 추구하는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2) 여성

서울의 경우 여성들의 밀리터리룩은 워크웨어 스타일(41.5%), 믹스앤매치 스타일(33.9%), 힙합 스타일(18.4%), 레이어드 스타일(6.1%)의 순서를 보였다<Table 7>. 이는 남자에 비해 여자는 밀리터리룩 스타일링에서 편안함과 실용성을 추구하면서도 스커트, 원피스와 같이 여성성을 나타내는 의복들과 조화시켜 입음으로서 자신의 성적 정체성과 개성을 동시에 표현하려는 경향이 있음을 의미한다.

해외도시 여성들의 밀리터리룩은 믹스앤매치 스타일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고(55.6%), 그 다음이 워크웨어(33.1%)가 높게 나타났다. 믹스앤매치 스타일은 특히 서울의 여성들보다 더 다양한 스타일링 방법을 보여주었다. 섹시, 포멀, 아방가르드한 디자인 요소들과 밀리터리룩의 요소를 다양하게 혼합하여 새로운 스타일링을 추구하였다. 이를 통해 밀리터리룩의 요소들이 남성들의 전유물이 아님을 증명하고 있다. 두 번째로 많았던 워크웨어 스타일은 서울과 마찬가지로 오버올을 중심으로 기능적이고 활동적인 일상복풍의 캐주얼웨어로 착용하고 있다.


Ⅳ. 결론

밀리터리 룩은 현대 패션에서 젊은이들에게 반전, 반항, 안티, 자유로운 영혼, 성역할, 성 평등 등을 상징하게 되었고, 젊은이들은 각 시대마다 자신들의 이상, 의지 등을 표출하는 매개체로 활용하면서 자연스럽게 일상복으로 착용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젊은이들의 일상 패션을 가장 잘 파악할 수 있는 스트리트 패션을 통해 서울과 해외 패션 도시들의 밀리터리 룩의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국내외 스트리트 패션에서 나타난 밀리터리룩을 구성하는 디자인 요소들은 공통된 특징을 보였다. 예를 들어 항공점퍼, 야전상의, 패딩재킷, 커다란 주머니가 달린 헐렁한 바지와 아코디언 주름 포켓의 형태, 색채는 카키, 올리브와 검정색 사용 그리고 이들 3가지 색상이 조화된 카모플라쥬 패턴, 와펜과 금속장식 등이 밀리터리룩의 특징적 요소로 보인다. 이러한 밀리터리룩의 디자인 요소들은 시대적 패션트렌드의 영향을 받아 길이와 형태, 색조, 장식방법들이 조금씩 변화하며 트렌디한 스타일링을 창조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스트리트 패션에서 나타난 밀리터리룩은 스타일을 연출하는 방식에 따라 유형으로 분류한 결과 국내외 모두 믹스앤매치 스타일, 레이어드 스타일, 힙합 스타일, 워크웨어 스타일의 크게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이들 스타일 유형들이 글로벌 젊은이들에게 나타나는 밀리터리 패션트렌드라 할 수 있다.

밀리터리룩의 각 스타일 유형의 특성을 지역과 성에 따라 비교한 결과 공통점과 차이점을 동시에 보여주었다. 첫째, 믹스앤매치 스타일은 밀리터리 룩과 성격이 다른 의복들을 한 개 이상 착용하여 조화롭게 스타일링 함으로써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서울 남성들은 단정한 이미지에 거칠고 강한 남성성과 활동성을 함께 표현하려는 경향을 보였고, 해외의 남성들은 상상력을 발휘하는 아이템의 조화를 통해 독특한 개성을 표출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여성들은 서울과 해외 모두 야전상의와 항공점퍼 아래 스커트와 원피스의 착용이 가장 많았다. 차이점으로 서울은 차분하고 청순한 여성성을, 해외는 좀 더 섹시하고 적극적인 여성성을 다양하게 표현했다는 점이다. 색채에서도 서울은 카키, 블랙 등 중성적이고 어두운 색채를 주로 선호했다면, 해외는 화려한 패턴과 원색의 사용이 두드러졌다.

둘째, 레이어드 스타일에서는 안쪽에 셔츠, 카디건, 후드셔츠 등을 입고 중간이나 겉에 야전상의나 항공점퍼, 패딩, 코트 등 여러 겹의 옷을 레이어드해서 입는 방식을 의미하며 날씨와 용도에 각기 적합한 의상을 대비할 수 있는 실용성과 자유로운 옷 입기의 의지를 보여주었다. 남녀, 서울과 해외도시에서 큰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셋째, 편안함과 여유로움에 스타일링 포인트를 두는 힙합 스타일은 자신의 체형보다 매우 큰 사이즈의 의상을 주로 착용하여 편안하면서 과장되어 보이는 스타일로 특징지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신체와 영혼의 자유로움을 표현하려고 하며, 힙합 음악의 스웩 이미지를 추구한다. 서울은 주로 큰 사이즈의 카모플라쥬 패턴의 군복 바지, 반바지 착용이 많았다면, 해외는 단색의 군복스타일 바지에 항공점퍼, 야전상의 등을 착용한 경향을 보였다. 워크웨어 스타일은 힙합에 비해 실루엣은 덜 길고 헐렁하나 여전히 편안하고 여유 있는 모습을 보이며 코디네이션에 신경 쓰지 않고 자유롭게 입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다. 서울과 해외의 남녀 모두 다양한 형태와 색상의 오버올을 주로 착용하는 공통점을 보여주었다. 특히 워크웨어 스타일은 카키계열색의 톤 변화와 스냅백, 모자 등 소품을 이용해 가장 일상적이고 자연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였다.

밀리터리룩 스타일링은 시기별 변화보다는 지역과 성에 따라 밀리터리 패션스타일 취향의 차이를 보였다. 서울은 시기와 상관없이 편안함을 우선시하는 워크웨어 스타일에 대한 선호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해외에서는 전 시기동안 믹스앤매치 스타일에 대한 선호가 높았다. 또한 남성과 여성이 선호하는 스타일링의 차이점도 지역에 따라 뚜렷하게 나타났다. 서울에서는 남성이 밀리터리 룩의 착용빈도가 여성에 비해 매우 높았고 해외는 여성의 착용빈도가 남성에 비해 더욱 높았다. 서울은 남성과 여성 공통적으로 워크웨어 스타일이 높은 비율을 보여 스타일 연출에서 일상적 편안함과 활동성을 중시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해외에서는 남자는 믹스앤매치 스타일과 힙합, 워크웨어 스타일들이 고르게 분포되고, 여성은 믹스앤매치 스타일에 대한 선호가 확연했다. 즉 해외에서는 서울에 비해 성별에 상관없이 믹스앤매치 스타일의 밀리터리룩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시기, 지역, 성에 따른 밀리터리 스타일의 경향을 종합하면, 서울에서는 밀리터리룩에서 활동성과 기능성을 높게 추구하고 해외에서는 개인의 자유롭고 창의적인 개성표현과 다양성을 중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밀리터리 룩을 구성하는 의복아이템들은 젊은이들의 일상복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지만 실제 강한 군인의 이미지를 표현하기 보다는 자신의 취향이나 개성을 강조하기 위한 스타일링의 요소로 활용하려는 경향이 더욱 높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로부터 서울과 해외도시 밀리터리룩은 기본 구성요소는 같으나 이들을 다른 의복들과 조화해서 입을 때는 스타일의 개성을 표현하고 싶은 욕구와 연출의 주안점에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패션을 대하는 개인적, 사회적 문화적 코드에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캐주얼 브랜드에서 패션트렌드인 밀리터리룩 상품을 기획하는데 있어 지역과 성에 따라 차이를 두어야함을 제안할 수 있다. 마케팅 측면에서 서울에서는 남녀 모두 과하지 않은 개성과 실용성을 표현할 수 있는 상품기획에 높은 비중을 둔다면, 해외도시에서는 각기 다양한 코디네이션이 가능하도록 기획해야 할 것이다.

제한점으로는 사진자료 조사이기 때문에 소재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워서 디자인 요소 분석에서 제외했다는 점과 시기별로 일정하지 않은 자료의 양 때문에 연도별로 세분화하여 비교 분석을 하기가 어려웠다는 점이다. 또한 조사 매체의 특성상 서울과 해외 도시 모두 패션에 매우 높은 관심을 가진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여서, 대중들의 취향으로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Acknowledgments

이 연구는 2016년 인천대학교 자체연구비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음.

References

<Table 1>

Comparison of mix & match style of military look between Seoul and 5 Fashion leading cities

style military look - mix & match style characteristics
area
Seoul Alternate Text: <Fig.1> mix & match style 2013. 11. Seoul (musinsa. com, n.d-a).
Alternate Text: <Fig. 2> mix & match style 2016.3, Seoul (musinsa.com, n.d-b).
Alternate Text: <Fig. 3> mix & match style 2014. 4, Seoul (hip hoper.com, n.d-a).
ㆍItem
field jacket, bomber jacket
+suit, shirts, sweater,
camouflage pants(M) / skirt,
one piece, short pants,
leggings(F)
ㆍColor
black, brown, beige, green, blue green
ㆍAccessaries
hat, sunglass, sneakers,
walkers, boots
5
Fashion
leading
cities
(FLC)
Alternate Text: <Fig. 4> mix & match style 2015. 7, Tokyo (STREET, n.d-a).
Alternate Text: <Fig. 5> mix & match style 2015. 6, Milano (STREET,n.d-b).
Alternate Text: <Fig. 6> mix & match style 2016. 2, Milano (STREET,n.d-c).
ㆍItem
field jacket, bomber jacket +
suit,shirts, sweater
camouflage jacket,
pants(M)/skirt, dress,
jacket(F)
ㆍColor
white, green, black, orange,
blue, vivid accent
ㆍAccessaries
clutch, sunglass, muffler, high heel, thigh high boots

<Table 2>

Comparison of layered style of military look between Seoul and 5 Fashion leading cities

style military look - layered style characteristics
area
Seoul Alternate Text: <Fig. 7> layered style 2013. 11, Seoul(musinsa.com, n.d-e).
Alternate Text: <Fig. 8> layered style 2013. 11, Seoul(musinsa. com, n.d-f).
Alternate Text: <Fig. 9> layered style 2013. 11, Seoul(musinsa. com, n.d-g).
ㆍItem
field jacket,
bomber jacket, T-shirts,
denim shirts & jacket,
hoodies, denim pants,
camouflage
pattern pants
ㆍColor
white, green, blue, dark tone
ㆍAccessaries
beanie, sneakers, back pack
5
fashion
leading
cities
Alternate Text: <Fig. 10> layered style 2013. 7, Paris (STREET,n.d-g).
Alternate Text: <Fig. 11> layered style 2016. 5, New York (STREET, n.d-h).
Alternate Text: <Fig. 12> layered style 2016. 5, New York (STREET, n.d-i).
ㆍItem
field jacket, bomber
jacket,T-shirts, denim shirts,
hood, padding jacket,
denim pants, leather pants,
camouflage
pattern pants
ㆍColor
white, gray, blue, black, dark
tone + vivid color accent
ㆍAccessaries
beanie, sunglass snapback,
sneakers, walker, high top

<Table 3>

Comparison of hip-hop style of military look between Seoul and 5 Fashion leading cities

style military look - hip-hop style characteristics
area
Seoul Alternate Text: <Fig. 13> hip-hop style 2014. 6, Seoul (musinsa.com, n.d-c).
Alternate Text: <Fig. 14> hip-hop style 2016. 5, Seoul (musinsa.com, n.d-d).
Alternate Text: <Fig. 15> hip-hop style 2013. 10, Seoul (hiphoper.com, n.d-b).
ㆍItem
field jacket, bomber jacket,
graphic, logo T-shirts,
camouflage pattern pants
ㆍColor
white, blue, green
dark tone
ㆍAccessaries
snapback, board, sneakers,
high top, fanny bag
5
fashion
leading
cities
Alternate Text: <Fig. 16> hip-hop style 2015. 7, Tokyo (STREET, n.d-d).
Alternate Text: <Fig. 17> hip-hop style 2015. 4, New York (STREET, n.d-e).
Alternate Text: <Fig. 18> hip-hop style 2015. 4, New York (STREET, n.d-f).
ㆍItem
field jacket, air jumper,
T-shirts camouflage pattern
pants, chino pants
logo, emblem
ㆍColor
white, gray, blue, black,
dark tone
ㆍAccessaries
bini, fanny bag, snapback,
sunglass, sneakers, high top

<Table 4>

Comparison of work wear style of military look between Seoul and 5 Fashion leading cities

style military look - work wear style characteristics
area
Seoul Alternate Text: <Fig. 19> work wear style 2016. 5, Seoul, (musinsa.com,n.d-h).
Alternate Text: <Fig. 20> work wear style 2013. 7, Seoul, (hiphoper.com, n.d-c).
Alternate Text: <Fig. 21> work wear style 2015. 4, Seoul, (hiphoper.com, n.d-d).
ㆍItem
overall, field jacket,
T-shirts, training suits logo,
letter picture detail
ㆍColor
middle~dark tone
khaki. gray, black
ㆍAccessaries
snapback, sunglass, sneakers,
sandal
5
fashion
leading
cities
Alternate Text: <Fig.22> work wear style 2015. 12, New York (STREET, n.d-j).
Alternate Text: <Fig. 23> work wear style 2016. 4, Paris, (STREET, n.d-k).
Alternate Text: <Fig. 24> work wear style 2014. 7, London (STREET, n.d-l).
ㆍItem
T-shirts, overall, field jacket,
training suits, emblem,
patch with letter & picture
ㆍColor
white, khaki, black, dark
tone, vivid accent color
ㆍAccessaries
snapback, sunglass, fanny
bag, walker, sneakers,
hairband

<Table 5>

Comparison of military look styling Frequency between Seoul and 5 Fashion leading cities by Year (%)

area/year Seoul 5 fashion leading cities
styling 2013~2014 2015~2016 2013~2014 2015~2016
mix&match style 44(23.8) 12(9.6) 42(48.8) 78(45.3)
layered style 17(9.2) 8(6.4) 9(10.4) 13(7.5)
hiphop style 44(23.8) 27(21.6) 9(10.4) 21(12.2)
workwear style 80(43.2) 78(62.4) 26(30.2) 60(34.9)
Total 185/310(59.6) 125/310(40.3) 86/258(33.3) 172/258(66.6)

<Table 6>

Frequency of the wearer of military look (%)

city gender military look total
Seoul men 245 (79.0) 310 (100.0 )
women 65 (21.0)
Overseas men 89 (34.5) 258 (100.0 )
women 169 (65.5)

<Table 7>

Frequency of the people who wear each style of Military Look (%)

style mix&match style hip hop style layered style workwear style total
classification
men seoul 33(13.5) 59(24.1) 16(6.5) 137(55.9) 245 (100.0 )
Overseas 24(26.9) 27(30.3) 14(15.7) 24(26.9) 89 (100.0 )
women seoul 22(33.9) 12(18.4) 4(6.1) 27(41.5) 65 (100.0 )
Overseas 94(55.6) 10(5.9) 9(5.3) 56(33.1) 169 (1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