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Articl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ol. 68, No. 3, pp.19-37
ISSN: 1229-6880 (Print) 2287-7827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Apr 2018
Received 04 Dec 2017 Revised 26 Mar 2018 Accepted 05 Apr 2018
DOI: https://doi.org/10.7233/jksc.2018.68.3.019

웨딩부케의 구성요소에 따른 셀러브리티의 웨딩부케 트렌드 분석 : 2000년∼2017년 중심으로

김은영 ; 유지헌
상명대학교 웨딩비지니스 박사수료
상명대학교 의류학과 교수
Trend Analysis of Celebrity Wedding Bouquet according to its Component : Focused on 2000~2017
Eun-Young Kim ; Ji-Hun Yu
Doctorial Candidate, Dept, of Wedding Business, Sangmyung University
Professor, Dept, of Clothing & Textiles, Sangmyung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Ji-Hun Yu e-mail: jyu@smu.ac.kr

Abstract

In celebrity weddings, flower decorations and bouquets have an affect and importance equal to the bride’s dress and makeup. This study therefore proposed the changes and uses of wedding bouquets. We analyzed the structure of bouquets from a total of 60 celebrity weddings that took place between 2000 and 2017. We divided the celebrity weddings into three stages. Our analysis of wedding bouquet types, materials, colors, and production techniques produc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round type is the most preferred. This could be interpreted as an indicator of the simplicity of the hosts’ personalities. Second, in contrast to the early stage of observation, the current stage showed other noticeably unique materials. Media stories about imported flowers seem to have increased public interest in unique materials. Third, regarding the colors, we found that the preference for white still dominated in the early stage but has begun decreasing as a result of increasing interest in accentual colors. Fourth, our analysis showed that the hand-tied production techniques is preferred because it facilitates the creation of natural bouquets and helps maintain flower moisture. This study showed that wedding bouquet preferences change over time and that materials and colors ar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s in producing these changes. We recommend additional research about the current wedding bouquet preferences and variables such as materials and colors to effectively address the changes in trend.

Keywords:

bouquet, celebrity, trend, wedding

키워드:

부케, 셀러브리티, 트랜드, 웨딩

Ⅰ. 서론

결혼은 남녀가 부부관계를 맺는 계약임과 동시에 새로운 인생의 출발점이자 성스러운 의식이라 할 수 있다. 현대사회의 발달과 함께 결혼의식은 점점 많은 변화를 가져왔고 결혼식장의 분위기 또한 개성화 고급화 되면서 신랑 신부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개인적인 측면이 강조되는 웨딩 플라워 장식은 결혼식장의 주인공인 신랑 신부를 더욱 사랑스럽고 아름답게 할 수 있는 요소 중 하나로 결혼식장 내의 총체적인 연출과 장식을 의미하며 직접적으로는 신부가 드는 부케(Bouquet), 신랑의 부토니에(Boutoniere), 코사지(Corsage), 들러리 및 화동의 화관이나 웨딩 카(Wedding car) 장식을 비롯하여 결혼식장 및 피로연장 내ㆍ외부의 장식 등을 의미한다.

웨딩 플라워 중 신랑 신부가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부케이며, 최근 웨딩플라워 디자인은 더욱 고급화 되어가는 추세로 소비자들은 적게는 수백만 원부터 많게는 수천만 원까지 비용을 지불하면서 결혼식에 있어 웨딩플라워 디자인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Kim & Seo, 2006 ; Lim, 2001). 현대는 다양성의 시대로 개개인의 의사와 스타일이 중요시 되면서 소비자의 성향과 개성에 맞는 웨딩부케의 제작을 원하고 있으며, 주체가 다양해짐에 따라 웨딩 부케의 트랜드의 기준이 변화되어 신부들에게 하나의 개성을 나타날 수 있는 적절한 웨딩부케 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 2000년대의 웨딩부케의 디자인적 특성은 획일화된 유행보다는 각자의 개성을 존중하는 ‘다양성의 시대’라고 할 만큼 다양한 트랜드가 공존하고 있다(Choi, 2012 ; Lee, 2004).

트랜드를 동요하며 스타일을 선도하는 셀러브리티들은 일반적으로 대중매체를 통해 알려진 인물이다. ‘연예인’, ‘정치인’, ‘스포츠 스타’ 등과 같이 미디어에서 자주 등장하여 대중들에게 친숙한 사람이며 동경과 선망의 대상으로 이미지만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룰 모델로 유행의 주체가 되어 마케팅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셀러브리티는 특별한 업적보다는 대중의 주의를 끄는 매력적인 흡입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그 무엇보다 대중들을 동요시킬 수 있는 자기 자신만의 특별한 매력과 능력이 가장 우선시 된다(Kim, 2007). 자기표현 및 개성연출의 아름다움을 열망하는 현대사회는 대중에게 선방의 대상이 되는 셀러브리티의 워너비현상 까지 확산되고 있으며 소비자들은 지식과 정보 외에 시각적 이미지를 전달해 주는 대중매체에 노출됨으로서 셀러브리티를 무의식적으로 모방하려 하고 있는 것이다(Go & Gwag, 2010). 빠르게 변화하는 웨딩 플라워 디자인은 트랜드 흐름에 따라 계속해서 변모해 가고 있으나 대중들에시선을 끌어 미디어 매체에 이슈 되어 트랜드를 선도하는 셀러브리티의 대상으로 웨딩부케 트랜드 분석은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트랜드의 의미로 해석 될 수 있는 셀러브리티를 새로운 기준으로 해석하는 시도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트랜드에 가장 민감하고 뛰어난 대중성을 가지고 있는 셀러브리티들이 스튜디오, 드레스, 메이크업은 물론 장소, 플라워장식 그리고 부케에 이르기까지 모든 요소에 막강한 영향력이 미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웨딩부케 관련 연구는 주로 웨딩 플라워에 대한 역사적 고찰에 관한 연구(Lim, 2001). 웨딩부케의 특성의 관한 연구(Gil, 2001). 웨딩 플라워 구성의 변천을 다룬 연구(Jeong, 2000). 현대 웨딩 부케 트랜드 관한연구(Kim & Seo, 2013). 등으로 다양하나 셀러브리티 대상으로 웨딩부케의 구성요소를 연대기별로 연구한 사례는 거의 찾을 수가 없는 실정이다.

이상과 같은 연유로 셀러브리티를 활용한 웨딩부케의 디자인적 특성 즉, 부케의 형태, 소재, 그리고 컬러 및 배색, 제작기법을 전문적으로 분석함으로서 결혼을 앞둔 웨딩 소비자 및 잠재 소비자들에게 보다 전문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학문적으로는 웨딩부케의 구성요소별 시대적 변화 및 특성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대중매체에 중심인 셀러브리티의 웨딩 부케 스타일이 대중들 즉 예비 신부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우선적으로 셀러브리티 웨딩 부케의 트랜드를 분석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부분적으로 이루어졌던 웨딩부케 관련 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2000년 이후 지금까지의 웨딩부케의 변천을 구성요소별로 분석해 봄으로써 웨딩부케 트랜드의 사이클 및 원인을 규명해 보고, 향후 웨딩 부케와 웨딩드레스, 또는 착용자의 특성과의 관계를 연구하는데 기초 자료를 정립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


Ⅱ. 이론적 배경

1. 셀러브리티 의미 및 영향

셀러브리티는 대중매체에 등장하는 인물로 “유명하다”라는 의미와 “스타”라는 의미로 인용되고 있다. 스타란 유명한 배우, 가수, 탤런트를 막론하고 정치, 스포츠인, 경영인, 디자이너, 모델 등 더 나아가 만화 캐릭터의 가상인물도 포함하여 대중 매체 속 이름이 거론되어 사람들에 관심을 받아 그들이 사회적으로 인지도를 인정받는 유명인 개념이라 볼 수 있다.

최근에는 그 의미가 확대되어 사회구성원들에게 공적인지도가 높은 유명인사(celebrity)나 사회적 우상(idol)으로 부각된 사람 등 연예인이라는 뜻을 넘어서 음악, 스포츠를 비롯한 정치인이나 경영인등 각종전문 직종에 이르기까지 스타를 지칭하는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Kim it al, 2007). 즉, 유명 연예인이 대중들에게 워너비(wannabe) 현상으로 나타나 TV, 인터넷, SNS, 미디어 중심으로 그 흥미와 관심은 더욱 증폭되고 있다.

Song(2011)는 셀러브리티 특성과 SNS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을 중심으로 SNS 특성이 럭셔리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 SNS의 상호작용성, 구전성, 맞춤화가 브랜드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였다. 이렇듯 유명연예인을 동경하는 사람으로 그들의 생활, 행동, 태도 등을 그들처럼 되고자하는 사람들을 뜻하는 워너비 현상은 최근 미디어발달로 그들과 소통하고 있는 매체발달로 인해 멀게만 느꼈던 셀러브리티 더욱 가까이 느끼고 소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오늘날 현대인들의 모바일 SNS 이용자 수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으므로 현재 향후 기업들은 모바일 SNS 가치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Lee. Y & Lee. Y, 2013). 따라서 인쇄 매체, TV, 인터넷, SNS 등과 같은 다양한 매체 속에 셀러브리티의 결혼 관련 정보나 결혼 생활 등은 잠재 고객인 예비 신랑 신부에게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최근 웨딩플라워는 전문적인 표현을 다룬 기법보다는 트랜드 요소로 제시한 유명 연예인의 웨딩스타일이 현재 유행하는 웨딩 플라워 스타일에 반영되므로 스타일에 세부항목을 고려하여 장식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Wang, Han, Lee, Song & Park, 2013). 이에 다양한 매체나 미디어 정보로 결혼식에 연예인이 들고 나오는 웨딩부케는 오늘날 특별한 웨딩을 추구하는 신부들에게 워너비 현상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다고 본다. 그러므로 웨딩 문화의 터닝 포인트라 할 수 있는 요즈음 셀러브리티들의 웨딩부케의 특성을 웨딩 부케의 구성 요소별로 분석 제안하는 작업은 웨딩 부케의 변천을 재조명한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크다고 본다.

2. 웨딩 부케의 구성요소

1) 부케의 형태

웨딩 플라워는 웨딩연회연출과 웨딩 부케로 구분할 수 있다. 웨딩연회연출은 단상, 버진로드, 테이블연출로 나누어지며, 웨딩부케의 경우는 결혼 본식용 부케, 촬영용 부케, 피로연 부케, 화동 부케, 신부들러리 부케, 토스 부케와 신랑의 부토니에, 양가부모님과 사회자 및 주례자의 코사지, 결혼식장 신부에게 가장 중요한 본식용 부케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그 중 신부의 부케는 목적 유형에 따라 식을 올릴 때 사용되는 결혼식 부케, 웨딩촬영용 부케, 피로연 부케 등으로 구분된다.

부케를 제작할 때에는 신부의 체형, 웨딩드레스의 스타일, 예식의 장소 및 신부의 선호도에 따라 제작되며 무엇보다 신부이미지와 부케의 조화가 가장 중요하다.

부케의 형태는 <Fig. 1>과 같이 가장 기본적인 형태로 시대와 나이 신부의 키와 몸매, 얼굴형 등 트랜드의 영향을 받지 않는 원형이나 반구형 모양의 라운드 부케(Round Bouquet), 폭포처럼 물이 물방울형태로 밑으로 떨어지는 형으로 원형과 갈런드의 조합이라 볼 수 있으며 최근 다양하고 트랜드하게 디자인 되고 있는 캐스케이드 부케(Cascade Bouquet), 허리 라인을 강조할 수 있고 두 가지 갈런드 조합으로 구성되는 형태로 비대칭 구조가 특징이며 초승달의 모양으로 양끝이 아름다운 선이 떨어지는 크리센트 부케(Crescent Bouquet), 중심 부에 부등변 삼각형을 이루어 꼭짓점이 드러나며 세 개의 갈런드의 조합으로 개성 있는 비대칭 역삼각형 형태의 삼각형 부케(Triangular Bouquet), 꽃이 흩날리듯 내추럴 하면서 풍성해 보이며 적은 꽃으로 볼륨감 있는 형태가 특징인 샤워 부케(Shower Bouquet), 절화 형태 분류 중 폼 꽃을 사용하며 신부의 팔 사이로 눕혀지는 형태로 신부의 단아함과 모던함을 느낄 수 있는 형태가 특징인 암부케(Arm Bouquet)가 있다.

<Fig. 1>

Wedding Bouquet Type Photo

그 외의 세 개의 작은 부케가 3단으로 조화와 균형을 이루는 엠파이어부케(Empire Bouquet), 고리 모양의 틀을 이용하여 잎이나 꽃으로 장식하고 2단 3단의 링 형태로 다이내믹 형태가 특징인 링부케(Ring Bouquet), 비더마이너부케, 바구니부케, 워터플부케 등 다양한 형태가 장소와 목적에 따라 사용하고 있다.

부케의 형태는 웨딩드레스를 입고 있는 신부의 이미지를 더욱 부각시켜 주는 시각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사회적배경과 시대의 흐름, 부케의 사용 목적에 따라 트랜드를 반영하며 변화하고 있다.

2) 부케의 소재

웨딩부케의 소재는 절화, 절엽, 절지로 구분지어 진다. 신부마다 꽃 소재, 부케의 사용 목적과 형태 크기에 따라 색상과 질감을 고려하여 선택해야 하며, 신부의 얼굴, 체격, 개성과 특징 드레스의 색상과 스타일 취향 계절적 감각을 고려하여 꽃의 소재와 형태를 선택해야 한다(Korean Florists Association [KFA], 2011). 소재가 극히 한정적이였던 옛날과 다르게 교통과 통신수단의 발달로 종의 수가 다양해 졌으며 소재 선택 또한 광범위해졌다. 서양의 수입 꽃이 들어오면서 그 소재는 컬러를 비롯하여 화려해졌으며 가격 또한 저가 소재에서 고가 소재로 분류되어지고 있다.

최근 사회흐름과 더불어 웨딩소비패턴은 각자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하며 과시소비형 소비자나 유행과 개성을 중요시하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으며 감성만족과 미디어를 의식하는 셀러브리티 또한 <Fig. 2>와 같이 장미, 수국, 백합, 호접란, 리시안서스, 히아신스, 브바르디아, 튤립, 칼라, 소국, 작약, 스카비오사, 다알리아, 줄 아이비, 유칼립투스, 레몬잎, 호엽난, 트러스터, 스마일왁스, 아스파라거스등 조금 더 새로운 소재 특이한 소재 우리나라 소재가 아닌 수입소재를 선호 하고 있다. 그러므로 웨딩부케의 소비패턴을 선정하여 다양한 소재를 “맞춤형” 웨딩부케로 구축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Fig. 2>

Wedding Bouquet Material Photo

3) 부케의 컬러 및 배색

웨딩플라워 시장이 세분화되면서 개인의 취향, 감성에 따라 소재의 다양화 개성화되어 가고 있다. 특히 색채는 감성의 미를 표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심리적인 특징이 직접적으로 나타난다.

상품의 가치와 취향에 따라 이미 가격이 정해지며 마지막 선택기준은 컬러로 결정이 되고 소비자가 상품을 결정하는 요소 또한 컬러인 것이다(Kim, 2010). 신부에게 웨딩부케 선택 시 플라워의 컬러는 드레스 디자인과 어울릴 수 있는 것으로 부케의 소재와 함께 배색의 효과를 주어 신부를 더욱 부각시킬 수 있는 시각적 요소 중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화려한 컬러를 지니고 있는 수많은 꽃의 종류에 비해 웨딩플라워 컬러는 매우 한정적이다. 신부를 상징하는 순수, 순결하다는 우리나라의 보수적인 의식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최근 트랜드한 나만의 웨딩을 선호하는 신부들이 늘면서 부케의 컬러 또한 파스텔 톤으로 배색기법 효과를 주어 나만의 트랜드한 웨딩 부케를 선호하고 있다. 플로랄 디자인에서의 시각적 효과로는 색 70∼80%, 형태 20∼30%, 질감 10∼20%로 색은 시각적 효과가 매우 높으며 트랜드를 선도하고 나만의 웨딩을 선호하는 셀러브리티에게 웨딩 부케컬러는 특이한 소재와 함께 구매를 결정지을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웨딩부케의 체계적인 색채계획은 웨딩 소비자의 취향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Lee, Kim. S. & Kim. Y., 2016). 무엇보다 웨딩의 전체적인 주조색인 공간장식과 신부가 입는 드레스 모두 화이트일 수 있기 때문에 웨딩부케 컬러의 역할은 플라워에 배색 효과를 주어 신부의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역할이라 할 수 있다.

4) 부케의 제작기법

웨딩부케는 다양한 플라워소재와 적절한 컬러 배색을 사용하여 제작기법에 따라 형태를 분류할 수 있다. <Fig. 3>과 같이 식물에 줄기, 꽃, 잎 등을 보강하여 철사로 줄기를 대처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제작기법. 부케 자체에 물올림이 가능한 홀더를 이용한 제작기법. 자연줄기 그대로 사용하여 표현되는 핸드타이드를 이용한 제작기법이 있다. 특히 사용 목적과 장소 시대별 특징에 따라 제작기법이 다르게 나타나기도 한다.

<Fig. 3>

Wedding Bouquet Making technique Photo

(1) 와이어제작기법

플라워 산업의 발달로 웨딩 부케를 제작하는 방법은 다양한 와이어 테크닉 기법에 따라 형태가 자유롭게 연출 가능해 졌고 식물의 중량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특성이 있으나 물올림을 할 수 없어 신속히 제작하여 장기간 외부 노출을 피해야 하므로 수분증발에 각별히 신경 써야 하는 특징이 있다.

(2) 홀더제작기법

전문예식장이 등장하고 웨딩업체들이 생기면서 웨딩부케 또한 생산량이 많아졌으나 그만큼 물 공급에 취약했다. 그러나 홀더를 이용한 기법으로 홀더에 플로랄 폼이 내장되어 있어 플라워를 직접 꽂을 수 있어 물 공급에 유지성이 가능해 졌고 캐스케이드 형이나 크리센트 형처럼 기술력이 필요한 형태를 간단하고 편리하게 제작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3) 핸드타이드기법

자연줄기를 이용하여 내추럴 부케의 등장 또한 미디어의 영항으로 신부에게 어울릴 수 있도록 연출 가능해 졌으며 자연스러우면서 자유롭게 연출도 가능하고 줄기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물 공급이 가능한 핸드타이드 부케는 다양한 소재로 신부의 개성을 살릴 수 있는 충분한 특징을 가지고 있기에 나만의 특별한 웨딩을 선호하는 신부에게 적절한 부케이다.


Ⅲ. 연구방법

1. 연구 내용 및 범위

웨딩 플라워 중에 신부 부케는 신부를 특별하고 트랜드하게 마무리 할 수 있는 웨딩 상품 중의 하나로 신부의 이미지를 고급스러우면서 우아하고 세련되게 완성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한다. 21세기 들면서 웨딩 플라워 규모는 다양한 형태, 소재, 종의 수, 제작기법등으로 확대되어 가는 추세이다. 특히 색다른 결혼식을 추구하는 젊은 예비부부가 늘어나면서 장소와 웨딩드레스에 따른 웨딩부케의 정보는 미디어를 쉽게 접하는 소비자들에게 큰 영향력을 주고 있다. 시각적인 정보를 빠르게 접하고 트랜드를 한 눈에 파악하기 위해서는 특정 분야에서 능력을 발휘하고 있는 셀러브리티 대상으로 그 정보를 수집하려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며, 이는 대중들의 셀러브리티에 대한 동경으로 그들을 따라 하고자 하는 모방의 욕구 때문이라 본다(Go & Gwag et al., 2010). 트랜드를 선호하는 연예인이 어떤 장소에서 어떤 드레스를 입고 어떤 부케를 들었는지는 세간에 화제가 되고 있으며 이는 결혼을 앞둔 예비 신부뿐만 아니라 미혼 여성에게 까지 미치는 영향은 크다고 본다. 그러므로 셀러브리티를 통해 웨딩부케의 트랜드 분석을 활용하여 부케의 구성요소를 분석함으로써 예비신부의 웨딩부케 선정에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며, 웨딩부케 제작 종사자들에게는 차기년도의 유행을 예측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에 본 연구는 셀러브리티의 부케를 2000년 이후 최근까지, 2000년∼2005년, 2006년∼2011년, 2012년∼2017년, 6년 간격으로 3기로 나누고, 각 시기별로 각각 20커플의 웨딩 사진 60장을 <Table 1>과 같이 2000년부터 2017년까지 SNS, 인터넷, 미디어에서 가장 이슈가 되었던 셀러브리티 웨딩사진을 60장임의 선정하여 부케의 구성 요소별 즉, 부케의 형태, 소재, 컬러 및 배색, 제작기법 등으로 분류ㆍ분석하여 각 시기별 특성을 내용 분석법으로 도출하고자 한다.

Yearly Celebrity Wedding Bouquet Number of photos

2.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사례를 내용분석 방법에 의해 분류ㆍ분석하기 위하여, 2000년부터 2017년까지 SNS, 인터넷, 미디어에서 가장 이슈가 되었던 샐럽들의 웨딩 사진을 60장 수집한 후, 경력 10년 이상의 전문가 웨딩 플래너 5명, 웨딩 플로리스트 5명으로부터 각 분석 기간을 두어 20커플씩 총 60장을 선별하도록 하였다.

Celebrity Wedding Bouquet Design Analysis Item

선별된 분석 도구는 <Table 2>과 같이 웨딩부케의 구성요인 형태, 소재, 컬러, 제작기법등의 항목으로 분류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세부분석 방법으로는 SNS, 인터넷, 미디어에 게시되어진 사진의 개수나 화질의 상태가 미비하므로 소재의 분류에 있어 꽃과 식물의 분류, 재료의 구성, 종의 수는 제외 하였으며, 셀러브리티 웨딩부케 트랜드 소재는 절화만을 사용했던 과거와는 다르게 절화와 절엽, 절지를 사용한 부케의 수가 많아졌으므로 본 연구는 절화, 절엽, 절지를 소재로 지칭하기로 하였으며 과거 홀더기법을 이용했던 웨딩부케에 디자인적 효과를 위한 인공적인 소재는 본 연구의 구성에서 배제하였다. 형태 또한 2000년 이전 선행연구 형태구분에 있어 형태를 구분 짓는 수많은 형태가 나타난 반면, 본 연구는 2000년 이후부터 2017년까지 최근 미디어 정보 수집을 연구한 사례로 공간과 환경, 나이, 유행에 관계없는 라운드형태의 90%선호도로 라운드형, 캐스케이드형, 암형, 샤워형으로 제한하였다. 셀러브리티의 웨딩부케 디자인 항목 또한 미디어 정보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만으로 한정 하였다

3. 자료 분석

본 연구의 분석 자료는 2000년부터 2017년까지 SNS, 인터넷, 미디어에서 가장 이슈가 되었던 셀러브리티 웨딩 사진을 60장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용 자료는 각 년도 별 1장씩 18장을 선별하여 <Fig. 4><Fig. 5><Fig. 6><Fig. 7><Fig. 8> <Fig. 9>, <Fig. 10><Fig. 11><Fig. 12><Fig. 13><Fig. 14><Fig. 15>, <Fig. 16><Fig. 17><Fig. 18><Fig. 19><Fig. 20><Fig. 21>과 같이 6년 간격으로 3기로 나누었으며 <Table 3>과 같이 웨딩 부케의 형태, 소재, 컬러, 제작기법등으로 각 항목별로 구체화하여 분류분석 하였다.

1) 2000∼2005 Celebrity Wedding Bouquet photo

2) 2006∼2011 Celebrity Wedding Bouquet photo

3) 2012 ∼ 2017 Celebrity Wedding Bouquet photo

yearly Celebrity Wedding Bouquet component


Ⅳ. 분석 결과

1. 부케의 형태

본 연구에서 셀러브리티 웨딩 부케 형태 2000년부터 2017년까지 분석한 결과 18년간 가장 많이 나타난 웨딩 부케형태는 2000년부터 2005년까지 라운드형 >암형이였으며, 2006년부터 2011년까지 라운드형 > 암형/샤워형 순, 2012년부터 2017년까지 라운드형 > 암형 순으로 round형태가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Fig. 22>. 이는 Kim & Seo(2013)에서 연구 결과인 round형 > cascade형> oval형 순과, Moon, Han, & Park(2010)의 연구결과인 round형 > cascade형 > crescent형과도 유사한 경향으로 round형은 여전히 가장 이용도가 높은 선호 형태임을 알 수 있지만 기존연구와는 다르게 캐스케이드형의 비율은 본 연구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Fig. 22>

2000∼2017 Celebrity Wedding Bouquet Shape Ratio Data

이처럼 round형이 높은 비율로 나타나는 것을 Kim & Seo et al.(2013)는 유행을 타지 않고 영원함을 뜻하는 의미 때문이라 보았으며, Jeong(2000)은 round형이 가장 기본적인 형태이며 원형이라는 것은 완성된 형태이므로 어떤 시대에도 좌우되지 않은 불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최근 다양하고 독특한 수입 꽃과 기타 소재로 자칫 산만할 수 있는 부케의 형태를 심플한 round형으로 잡아 줌으로써 신부의 개성과 감성을 더욱 돋보이게 할 수 있기에 round형의 부케선호는 계속 늘어 날 것으로 사료된다. 이외에 arm형 또한, 심플한 형태가 특징인 것으로 비추어 볼 때 계속적인 증가 추이를 예측해볼 수 있다.

2. 부케의 소재

대중매체의 중심인 셀러브리티에게 소재의 다양성은 그만큼 본인의 개성과 감성을 드러낼 수 있는 항목이다. 본 연구의 결과 선행연구의 동향에 비추어 보면, 1990년대 이후부터는 나리, 양란의 사용 비율이 증가한 가운데 다양한 꽃들이 부케에 사용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2001년에는 장미, 심비디움, 덴드로비움의 사용 비율이 증가한 가운데 종의 수가 다양해지고 있다(Gil, 2001).

본 연구인 셀러브리티의 웨딩부케 소재 연구결과, 2000년부터 2005년에는 장미 > 리시안서스> 작약 순으로 많이 사용되었으며, 그 외에 왁스플라워 > 소국/아이비 > 후리지아/루무라고사리/다래덩쿨 > 호접란/라년클러스/석죽/수국/백합/엽란/유칼립투스/둥굴레잎 등이 소재로 사용되었다. 2006부터 2011년까지는 작약 > 장미 > 리시안서스 순으로 많이 사용되었고, 그 외에 수국 > 아마릴리스/칼라/묵수국/브바르디아/호접란/은방울꽃 > 클레마티스/카틀레아/라년클라스/블러싱블라이드/조팝/소국/히아신스/스키미아/루코코리네/튤립/퐁퐁/아이비/왁스플라워/레몬잎/백묘국/다알리아/유차리스 등도 사용되었다. 2012년부터 2017년에는 유칼립투스 > 작약 > 장미 순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에 왁스플라워/쥴리엣장미/스위트피/옥시/가든로즈/백묘국 > 반다/천일홍/히야신스/라벤더/수선화/후리지아/스리토메인/튤립/아네모네/옥스포드/유차리스/스카비오사/아이비/킹브로니아/헬레부르스/은방울꽃/스마일왁스/수레국화/미니호접/유채/카탈리아장미/루스커스 등의 소재가 꾸준히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Fig. 23>.

<Fig. 23>

2000∼2017 Celebrity Wedding Bouquet Material Ratio Data

2000년부터 2017년 까지 전체 기간을 통합 정리해 보면, 장미>작약>리시안서스 순으로 장미의 사용이 여전히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1993부터 2010년까지 분석한, Kim & Seo et al.(2013) 연구결과에서도 유사한 결과로 장미의 사용이 아직까지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나, 예년 대비 장미의 사용은 점차 줄고 유칼립투스의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를 본 연구에서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하나의 특정 소재의 소비보다는 새로운 소재가 꾸준히 개발되어 다양한 절화, 절지, 절엽의 소재가 자연스럽게 어우러져 컬러와 조화를 이루는 디자인이 각 시대의 트랜드를 이끌어 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최근 개성과 감성을 추구하는 감성소비형 소비패턴이 늘면서 종의 수가 늘어가고 있는 추세로 Gil et al.(2001)의 연구결과에서 역시 볼 수 있듯이, 1970년대의 1종이 1980년대 이후는 2~3종으로 늘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으며, 본 연구결과에서도 2000년 이후 18년간 소재의 수는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추세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과거에 절화를 주축으로 절지, 절엽을 적절히 사용하였다면, 최근 신부 부케는 다양한 절화, 절지, 절엽을 주축으로 내추럴(natural)하게 디자인되어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처럼 부케소재가 다양해질수록 부케의 형태, 색배합 그리고 제작기법의 새로운 연구개발이 요구되며, 이러한 신 기법 개발 및 제안은 웨딩 부케 제작 종사자뿐만 아니라 결혼을 앞둔 예비 신랑 신부 그리고 잠재 고객에게 웨딩 부케 선택에 매우 중요한 정보로 작용할 것이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고 본다.

3. 부케의 컬러 및 배색

부케 플라워의 컬러는 신부가 입는 드레스와 함께 특징적으로 두드러지게 나타날 수 있는 시각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 Kim&Seo et al.(2013)의 연구결과는 white가 41.9%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었고, Gil et al.(2001)의 연구결과 또한 흰색의 사용이 꾸준히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결과의 결과에서도 역시 2000년부터 2005년까지 white > green > pink > brown > purple/gray 등이 주를 이루었으며, 2006년부터 2011년까지는 white > green > pink > purple > rad/orange/gray, 2012년부터 2017년까지 white > green > pink > yellow > purple/peach pink > burgundy/sky blue/red 순으로 여전히 흰색이 가장 높은 비율을 유지하고 있다<Fig. 24>.

<Fig. 24>

2000∼2017 Celebrity Wedding Bouquet Color Ratio Data

배색 또한 2000년부터 2005년까지 유사배색 > 동일배색 > 톤온톤배색 > 톤인톤배색으로 2006년부터 2011년까지 유사배색 > 동일배색 >보색배색 > 톤인톤배색으로, 그리고 2012년부터 2017년까지는 유사배색 > 동일배색 > 보색배색/악센트배색 순으로 유사배색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소재의 비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컬러 또한 소재의 다양한 종의 수에 비례하여 peach pink, burgundy, sky blue, orange 컬러가 2%, 1% 등 여러 가지 컬러로 나타나 웨딩 컬러에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배색 또한 여러 소재의 사용으로 개성이 분명하게 나타나는 악센트배색 비율이 2%로 나타나 점차 상승추세를 보이고 있다<Fig. 25>.

<Fig. 25>

2000∼2017 Celebrity Wedding Bouquet Color Arrangement Ratio Data

이러한 현상은 개성과 다양한 소비패턴을 절제했던 일반신부에 비해, 부케의 한정된 틀을 깨고 개성을 추구하려는 셀러브리티들의 새로운 시도로, 셀러브리티들이 시도하는 웨딩부케의 컬러와 배색의 다양함은 일반 소비자들에게 워너비 현상으로 나타나 그 영향력이 점차 커지리라 본다.

4. 부케의 제작기법

웨딩부케는 제작기법을 적절하게 이용하여 형태를 구분 지을 수 있으며 각 특징적 기법으로 시대별 일정한 목적에 따라 기능에 맞게 쓰이고 있다.

Kim & Seo et al.(2013)의 연구결과에서 1993년부터 1995년에는 와이어제작기법 비율이 높았으나, 1996년부터 홀더제작기법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가 2003년 감소 현상을 보였고 있다. 반면, 핸드타이드 제작기법은 1996년 증가세를 보이기 시작하다가 2004부터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또한 셀러브리티의 웨딩부케 제작기법 비율 추이를 살펴본 결과, 2000년부터 2005년까지는 홀더기법 > 핸드타이드 기법 > 와이어기법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2006년부터 2012년에는 핸드타이드기법 > 홀더기법 > 와이어기법순으로 핸드타이드 제작기법이 높은 비율을 차지한 반면, 홀더제작기법이 30%로 감소하였으며, 와이어제작 기법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2013년부터 2017년에는 핸드타이드 제작기법이 100%로, 와이어제작 기법과 홀더제작기법은 나타나지 않았다<Fig. 26>.

<Fig. 26>

2000∼2017 Celebrity Wedding Bouquet Production Technique Ratio Data

그 결과 전체 2000년부터 2017년까지의 셀러브리티 웨딩부케 제작기법 비율추이는 홀더 제작기법과 와이어 제작기법이 감소추세로 핸드타이드 제작기법은 점차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사회흐름과 함께 소재를 자유롭게 디자인 할 수 있는 와이어 제작기법에서 대량으로 제작하여 물 공급이 용이했던 홀더 제작기법으로, 그 후 물 공급도 용이하고 자연줄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소재와 컬러 배색으로 디자인이 자유로운 핸드타이드 제작기법으로 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핸드타이드 제작기법은 셀러브리티의 개성과 감성을 살릴 수 있는 충분한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선호도는 계속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

5. 종합 분석

앞의 분석결과 웨딩부케의 구성요소에 따라 셀러브리티들의 웨딩부케 형태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2000년~2005년까지는 라운드형태 95%, 2006년~2011년에는 90%, 2012년~2017년 동안은 85%로 나타났으며, 최근에는 암형이 15%로 그 뒤를 차지하고 있었다. 이는 수입 꽃의 개방과 소재의 독특함이 자칫 산만 할 수 있는 소재를 라운드형태와 암형태의 단순한 형태로 신부의 개성을 돋보이고자함으로 해석할 수 있다.

웨딩부케 소재는 2000년~2005년 동안 장미가 20%, 2006년~2011년에는 9%, 2012년~2017년에는 8%로 순백의 장미를 추구하였던 과거와는 다르게 점점 낮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그 외에 다양한 플라워 소재들이 개성과 독특함을 추구하는 셀러브리티에 비추어 한번 뿐인 결혼을 남들과 다른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특별한 웨딩을 꿈꾸는 신부의 모습을 웨딩플라워 소재에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웨딩 컬러 또한 순수함의 상징인 white는 2000년~2005년에 45%, 2006년~2011년 동안엔 48%, 2012년~2017년에는 33%로 여지없이 웨딩의 컬러로 나타났으나 최근에는 burgundy, sky blue 등이 3%대로 나타나 화려한 컬러가 웨딩컬러로 사용되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웨딩부케 컬러 배색 또한 보색컬러, 악센트컬러가 5%대로 나타나 과거 white컬러의 동일배색에서 자유롭고 다양한 컬러배색이 차츰 늘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웨딩부케 제작기법은 2000년~2005년에는 핸드타이드가 70%, 2006년~2011년에는 80%, 2012년~2017년 동안에는 핸드타이드 100%로 나타났다. 이는 디자인도 자유롭고 물 공급도 가능하여 단기간에 많은 양이 제작 가능한 핸드타이는 트랜드를 빠르게 수용하되 웨딩부케 상품을 빠르고 합리적인 가격을 제시하는데 유용하리라 본다. 웨딩부케의 구성요소에 따른 셀러브리티의 웨딩부케 트랜드 종합분석은 <Table 4>와 같다.

Celebrity Wedding Bouquet Trend analysis by year


Ⅴ. 결론

본 연구는 웨딩부케의 트랜드 체계의 기초를 구축하고자, 셀러브리티의 웨딩사진 60커플을 선정하여 2000년부터 2017년까지의 6년 기간을 3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별로 20커플씩 선정하여 부케의 형태와, 소재, 컬러, 배색, 그리고 제작기법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웨딩부케 형태의 대표적인 트랜드는 라운드형, 암형, 샤워형을 들 수 있으며 그 중 라운드형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그 이유는 심플하고 모던한 기본 라운드 형태를 기반으로 소재나 컬러로 혼례자의 개성을 드러내기 위함으로 보이며, 신부의 단아함과 모던함을 강조할 수 있는 암형의 상승 비율 또한 그 이유일 것으로 본다.

둘째, 2000년부터 2017년까지 장미, 작약, 리시안서스 순으로 장미의 소재 사용량이 높았으나, 점점 낮아짐과 동시에 그 외에 왁스플라워, 유칼립투스, 은방울꽃, 호접란 등 특이하고 개성 있는 소재들의 혼합사용이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6년 단위로 소재 수가 점점 늘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좀 더 특이한 수입 꽃과 미디어에 대한 시각적 정보가 남들과 다른 개성 지향 성향이 높은 셀러브리티 웨딩부케 소재에 반영되어 나타나고 있다고 본다.

셋째, 셀러브리티 웨딩부케 트랜드 색상 및 배색을 분석한 결과, 순결함의 상징인 white 컬러가 여전히 높게 나타났지만 상대적 비율은 점점 낮아지는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파스텔 톤이나 개성을 드러내는 원색의 컬러가 이전과는 달리 새롭게 추가됨을 알 수 있었다. 신부의 순결함의 상징으로 알려진 white컬러를 선호하고 있지만 그 비율은 점점 낮아짐과 동시에 파스텔 톤이나 개성을 나타나는 원색의 컬러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단아하고 순수한 여성의 이미지가 현대적인 감각으로 소재와 함께 반영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고 본다.

배색의 특징으로는 그동안 높았던 유사, 동일배색에서 보색배색, 악센트배색의 증가 추세를 발견할 수 있었다. 유사배색의 파스텔컬러 부케제작에서 개성을 반영하는 플라워소재의 다양화가 특별한 나만의 부케를 선호하는 원인으로 추정된다.

넷째, 셀러브리티 웨딩부케 트랜드 제작기법의 특징으로는 핸드타이드 제작기법이 늘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자연 줄기를 그대로 사용하고 자연스러운 디자인이 가능하며 물 공급이 수월하여 단시간에 많은 양의 부케를 제작할 수 있기 때문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시대별 웨딩부케의 구성요소 즉 형태, 소재, 컬러 및 배색, 제작기법 등에서 시기별 트랜드 및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셀러브리티들의 웨딩부케가 일반 예비신부들의 웨딩부케 선정에 근거가 될 수 있으며, 미래 웨딩 부케의 트랜드를 이끌어 갈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계속 변화되는 시대의 흐름과 더불어 웨딩플라워 산업 또한 변화하고 있다. 다양한 정보력, 수입 꽃 개방으로 남들과 다른 특이한 소재를 손쉽게 접할 수 있는 시대가 도래 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인, 셀러브리티의 웨딩부케 구성요소인 형태, 소재, 컬러 및 배색, 제작기법 별 특성 및 동향 분석 결과는, 소비자인 예비신부의 웨딩부케 선정에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며, 산업현장에 있는 웨딩부케 제작 종사자들에게는 차기년도의 유행을 예측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학문적으로는 웨딩 부케와 웨딩드레스 또는 착용자의 특성과 웨딩 부케와의 관계 연구에 기초자료로 매우 유용하리라 본다.

그러나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인 셀러브리티 커플 선정이나 측정도구인 온라인상의 부케사진 자료 등의 표본선정이 전문가 집단의 검증을 거쳤음에도 불구하고 전체로 확대 해석하는 데는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체계적인 트랜드 분석을 통하여 과거처럼 획일화된 디자인에 치중하기 보다는 예비 혼례자의 개성, 취향, 외적 특성, 소비성향뿐 만 아니라 예식 장소의 특성과 웨딩드레스 등을 고려한 다양한 웨딩부케 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할 것이다.

Acknowledgments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a 2018 Research Grant from Sangmyung University.

References

  • Celebrity, (n.d), In Naver Dictionary, Retrieved from http://endic.naver.com/enkrEntry.nhn?sLn=kr&entryId=500bcc9f0c9b496389a862c46bd16cec.
  • Choi, S. A., (2012), The trend of Korean wedding bouquetand consumer awaren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libproxy.smu.ac.kr/90a6552/_Lib_Proxy_Url/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e8ac914b5a8ab6e3ffe0bdc3ef48d419.
  • Gil, G. S., (2001), Study on the types of Korean wedding bouquet and changes in its materia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Wonkwang University, Iksan,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libproxy.smu.ac.kr/90a6552/_Lib_Proxy_Url/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5cbb77b23045f34e.
  • GOOGLE.CO.KR, (n.d.-a), Retried from http://blog.naver.com/idjmgxpd/20196709322.
  • GOOGLE.CO.KR, (n.d.-b), Retried from http://blog.naver.com/ys8657/50096042465.
  • GOOGLE.CO.KR, (n.d.-c), Retried from http://m.blog.naver.com/chsun40/70877309.
  • GOOGLE.CO.KR, (n.d.-d), Retried from http://woman.donga.com/3/all/12/129667/1.
  • GOOGLE.CO.KR, (n.d.-e), Retried from http://yurajun.tistory.com/1144.
  • GOOGLE.CO.KR, (n.d.-f), Retried from http://blog.naver.com/bben76/140041455978.
  • GOOGLE.CO.KR, (n.d.-g), Retried from http://blog.naver.com/bben76/140041455978.
  • GOOGLE.CO.KR, (n.d.-h), Retried from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FoJg&articleno=2278511.
  • GOOGLE.CO.KR, (n.d.-i), Retried from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KVzt&articleno=3713923&categoryId=437341&regdt=20080427154226.
  • GOOGLE.CO.KR, (n.d.-j), Retried from http://theqoo.net/index.php?mid=square&document_srl=260666537&m=0.
  • GOOGLE.CO.KR, (n.d.-k), Retried from http://m.blog.naver.com/freewed/90159665287.
  • GOOGLE.CO.KR, (n.d.-l), Retried from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minu_wedding&logNo=150123725218.
  • GOOGLE.CO.KR, (n.d.-m), Retried from http://blog.daum.net/lover11370/11.
  • GOOGLE.CO.KR, (n.d.-n), Retried from http://entertain.naver.com/read?oid=310&aid=0000019745.
  • GOOGLE.CO.KR, (n.d.-o), Retried from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2895959.
  • GOOGLE.CO.KR, (n.d.-p), Retried from http://mbn.mk.co.kr/pages/news/newsView.php?news_seq_no=2408468.
  • GOOGLE.CO.KR, (n.d.-q), Retried from http://m.blog.naver.com/florbonito/220661568471.
  • GOOGLE.CO.KR, (n.d.-r), Retried from http://photagram.org/media/BZqXWIlgGXw.
  • Go, Y. H., & Gwag, T. G., (2010), Study on the wanna-be phenomenon by celebrity fashion style, Academic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1(1), p17-36.
  • Jeong, J. G., (2000), Changes in wedding bouquet, Academic Journal of Korean Flowers and Arts, 2(-), p208-235.
  • Kim, D. C., & Seo, B. Y., (2013), Analysis on the design trend of modern wedding bouquet, The Society of Design Culture, 19(1), p52-64.
  • Kim, M. K., (2010), Kim Min-Kyeong’s use of practical coloring(6rd ed.), Seoul, Republic of Korea, Yelim Book.
  • Kim, S. R., (2007), The effects of celebrities on the fashion socie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Women’s Graduate School, Seoul,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libproxy.smu.ac.kr/90a6552/_Lib_Proxy_Url/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b3f0e6bf71086801ffe0bdc3ef48d419.
  • Korea Florist Association, (2013), Flower decorator articles, Seoul, Republic of Korea, Bumin.
  • Lee, E. S., Kim, S. B., & Kim, Y. S., (2016), Analysis and proposal of wedding bouquet styles according to emotional vocabulary, The Korea Society of Floral Art&Design, 35(-), p31-51.
  • Lee, H. A., (2004), Study on the design trend of modern flow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Design, the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libproxy.smu.ac.kr/90a6552/_Lib_Proxy_Url/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ee2b498a24555779.
  • Lee, Y. J., & Lee, Y. J., (2013), Experimental qualit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brand mobile SNS – focusing on mobile facebook, the Costume Culture Association, 21(6), p877-890. [https://doi.org/10.29049/rjcc.2013.21.6.877]
  • Lim, S. Y., (2001), Historical consideration of the wedding flowers of Europe, The Department of Horticulture, Sangmyung University, 9(2), p81-86.
  • Mun, H, S., Han, G. E., & Park, C. H., (2010), Analysis on the types and materials of wedding bouquet used in Korea and Germany, Korea Flower Research Association, 13(4), p93-100.
  • Song, H. J., (2011), Study on the effects of the characte ristics of social networking service(SNS) on luxury brand loyalty – Focusing on the Celebrity characteristics and SNS Users’ lifestyles,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libproxy.smu.ac.kr/90a6552/_Lib_Proxy_Url/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f6897eaeb4a744eeffe0bdc3ef48d419.
  • Wang, K. H., Han, S. M., Lee, S. Y., Song, C. E., & Park, Y. J., (2013), Design analysis of virgin road flower decoration in hotel wedding, The Korea Society of Floral Art&Design, 29(-), p85-102.

<Fig. 1>

<Fig. 1>
Wedding Bouquet Type Photo

<Fig. 2>

<Fig. 2>
Wedding Bouquet Material Photo

<Fig. 3>

<Fig. 3>
Wedding Bouquet Making technique Photo

<Fig. 22>

<Fig. 22>
2000∼2017 Celebrity Wedding Bouquet Shape Ratio Data

<Fig. 23>

<Fig. 23>
2000∼2017 Celebrity Wedding Bouquet Material Ratio Data

<Fig. 24>

<Fig. 24>
2000∼2017 Celebrity Wedding Bouquet Color Ratio Data

<Fig. 25>

<Fig. 25>
2000∼2017 Celebrity Wedding Bouquet Color Arrangement Ratio Data

<Fig. 26>

<Fig. 26>
2000∼2017 Celebrity Wedding Bouquet Production Technique Ratio Data

<Table 1>

Yearly Celebrity Wedding Bouquet Number of photos

Term Couple Selection Sub Total
(GOOGLE.CO.KR, n.d.)
2000 ~ 2005 Choi, J. S., Cho, S. M(2000)., Kim, J. H., Kim. H. J(2001)., Park, J. M., Lee, J. W(2001)., Lee, H. W., Ahn, J. H(2001)., Park, H. J., Park, S. Y(2002)., Lee, S.Y., Lee, S. J(2002)., Hong, E. H., Yoo, J. S(2003)., Chae, L., Lee, S. W(2003)., Lee, Y. W., Park, J. W(2003)., Hong, J. K., Kim, J. W(2003)., Kim, J. Y., Nam, S. J(2004)., Hwang, J. M., Kim, M. H(2004)., Lee, H. Y., Lee, S. M(2004)., Lee, Y. M., Ju, Y. H(2005)., Chae, J. A., Kim, S. C(2005)., Chung, H. Y., No, S. H(2005)., Han, G. I., Yeon, J. H(2005)., Shim, E. H., Ji, S. W(2005)., Kim, W. H., Son, H. C(2005)., Kim, N. J., Kim, S. W(2005). 20
Couples
2006 ~ 2011 No, H. J., Jeong, D. S(2006)., Seon, H. U., Shin, D. Y(2006)., Yun, S. H., Shin, J. H(2006)., Kim, H. S., Park, J. Y(2007)., Han, C. Y., Choi, D. J(2007)., Myeong, S. B., Kang, H. S(2007)., Lee, S. H., Kim, M. C(2007)., Lm, Y. J., Yun, T. Y(2007)., Park, E. H., Kim, H. S(2008)., Kang, H. J., Lee, S. W(2009)., Jin, H. J., Lee, S. G(2009)., Son, T. Y., Kwon, S. W(2009)., Lee, Y. A., Chung, H. Y(2009)., Wang, B. N., Jung, S. W(2009)., Moon, J. W., Lee, H. J(2010)., Yo, S. Y., Lim, H. S(2010)., Ko, S. Y., Jang, D. G(2010)., Seo, J. Y., Kim, Y. G(2011)., Kim, Y. J., Ki, T. Y(2011)., Park, S. Y., Park, S. H(2011). 20
Couples
2012 ~ 2017 Jeon, J. H., Choe, J. H(2012)., Kim, H. J., Yoo., J. T(2012)., Lee, H. R., Lee, S. S(2013)., Lee, M. J., Lee, B. H(2013)., Han, H. J., Kee, S. Y(2013)., Lee, B. Y., Kwar, T. K(2013)., So, Y. J., Baek, J. W(2013)., Baek, J. Y., Jung, S. W(2103)., Kim, J. W., Kim, R(2013)., Jang, Y. J., Do, G. W(2013)., Kim, M. J., Park, J. S(2014)., So, Y. H., In, G. J(2014)., Yoon, S. A., Kim, M. Y(2015)., Kim, N. Y(2015)., Kim, H. N(2016)., Uhm, J. W., Oh, Y. W(2016)., Shin, D. E., Lim, S. B(2016)., Kim, J. E(2016)., Hwang, J. U., Lee, Y. D(2016)., Jo, Y. H., Lee, D. G(2017). 20
Couples
Sum 60Couples

<Table 2>

Celebrity Wedding Bouquet Design Analysis Item

Division Material composition
Type Round bouquet, Cascade bouquet, Shower type, Arm type
Material Rose, Banda, Wax flower, Gomphrena globosa, Lavender, Paeonia lactiflora, Narcissus tazetta, Juliet rose, Sweetie, Freesia, Thryptomene, Mini orchid, Oxypetalum, Anemone, Oxford, Eucharis, Scabiosa, Kingboronia, Helleborus, Convallaria keiskei, Garden rose, Dianthus chinensis, Calla, Dahlia, Amarvllis, Clematis, Bigleaf hydrangea, Cattleya, Mok Bigleaf hydrangea, Bouvardia, Blushing Bride, Ranunculus, Spiraea, Orchid, Lisianthus, Chrysanthemum, Hyacinth, Seukinia, Leucocoryne, Tulip, PomponChrysanthemum, Dicotyledoneae, Pinkrice, Smile Lax, Astrantia, Cornflower, Eucalyptus, Ivy, Bower Actinidia,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leaf, Rumohra adiantiformis, Lemon leaf, Ruscus ,Lily, Rapeseed, Monocotyledoneae
Color Color white, green, brown, pink, purple, gray, red, yellow, peachpink, burgundy, sky blue, orange
scheme same color, similar color scheme, tone-on-tone color, tone-in-tone color, complementary color scheme, accent color
Making technique wire technique, holder technique, hand-tight technique


Type: round bouquet
Material: Rose, Waxflower, Eucalyptus
Color: white, green=similar technique: hand-tight

Type: round bouquet
Material: Rose, Freesia
Color: white, green=similar technique: holder
<Fig. 4> Choi, J. S., Cho, S. M. 2000
(GOOGLE.CO.KR, n.d.-a)
<Fig. 5> Lee, H. W., Ahn, J. H. 2001
(GOOGLE.CO.KR, n.d.-b)

Type: round bouquet
Material: Lisianthus, Rose, Bower Actinidia
Color: white, green, brown=similar technique: holder

Type: round bouquet
Material: Paeonia lactiflora, Ivy
Color: white, green, pink=tone-on-tone technique: holder
<Fig. 6> Lee, S. Y., Lee, S. J. 2002
(GOOGLE.CO.KR, n.d.-c)
<Fig. 7> Hong, J. K., Kim, J. W, 2003
(GOOGLE.CO.KR, n.d.-d)

Type: round bouquet
Material: Lisianthus,Wax flower, Rumohra adiantiformis
Color: white, green=similar

Type: round bouquet
Material: Bigleaf hydrangea
Color: white, green=same technique: holder technique: hand-tight
<Fig. 8> Hwang, J. M., Kim, M. H. 2004
(GOOGLE.CO.KR, n.d.-e)
<Fig. 9> Shim, E. H., Ji, S. W. 2005
(GOOGLE.CO.KR, n.d.-f)


Type: round bouquet
Material: Bigleaf hydrangea
Color: white=same
technique: hand-tight

Type: arm bouquet
Material: Clematis, Cattleya, Mok Bigleaf hydrangea
Color: white, green, purple=complementary technique: holder
<Fig. 10> No, H. J., ,Jeong, D. S. 2006
(GOOGLE.CO.KR, n.d.-g)
<Fig. 11> Han, C. Y., Choi, D. J. 2007
(GOOGLE.CO.KR, n.d.-h)

Type: round bouquet
Material: Paeonia lactiflora, Chrysanthemum
Color: white, green=similar technique: holder

Type: round bouquet
Material: Rose, Lisianthus, Lemon leaf
Color: white, green=similar technique: holder
<Fig. 12> Park, E. H., Kim, H. S. 2008
(GOOGLE.CO.KR, n.d.-i)
<Fig. 13> Lee, Y. A., Chung, H. Y. 2009
(GOOGLE.CO.KR, n.d.-j)

Type: round bouquet
Material: Convallaria keiskei
Color: white, green=similar technique: hand-tight

Type: shower bouquet
Material:Orchid,Pompon Chrysant hemum, Calla
Color: whith, green, pink=similar technique: hand-tight
<Fig. 14> Ko, S. Y., Jang, D. G. 2010
(GOOGLE.CO.KR, n.d.-k)
<Fig. 15> Kim, Y. J., Ki, T. Y. 2011
(GOOGLE.CO.KR, n.d.-l)


Type: arm bouquet
Material: Tulip
Color: white=same
technique: hand-tight

Type: arm bouquet
Material: Banda, Wax flower, Gomphrena globosa,Senecio
Color: white, green, pink=similar
technique: hand-tight
<Fig. 16> Kim, H. J., Yoo, J. T. 2012
(GOOGLE.CO.KR, n.d.-m)
<Fig. 17> Lee, H. R., Lee, S. S. 2013
(GOOGLE.CO.KR, n.d.-n)

Type: round bouquet
Material: Mini orchid, Oxypetalum, Eucalyptus
Color: white, green=similar
technique: hand-tight

Type: round bouquet
Material: Anemone,Rose,Oxford
Color: yellow, red, burgundy=accent
technique: hand-tight
<Fig. 18> So, Y. H., In, G. J. 2014
(GOOGLE.CO.KR, n.d.-o)
<Fig. 19> Yoon, S. A., Kim, M. Y. 2015
(GOOGLE.CO.KR, n.d.-p)

Type: round bouquet
Material: Paeonia lactiflora, Oxypetalum
Color: pink, sky-blue=similar
technique: hand-tight

Type: round bouquet
Material: Garden rose
Color: pink=similar
technique: hand-tight
<Fig. 20> Kim, H. N. 2016
(GOOGLE.CO.KR, n.d.-q)
<Fig. 21> Jo, Y. H., Lee, D. G. 2017
(GOOGLE.CO.KR, n.d.-r)

<Table 3>

yearly Celebrity Wedding Bouquet component

Year Type Material Color Technique
2000 round bouquet Rose, Waxflower, Eucalyptus white, green=similar hand-tight
2001 round bouquet Rose, Freesia white, green=similar holder
2002 round bouquet Lisianthus, Rose, Bower Actinidia white,green,brown=similar holder
2003 round bouquet Paeonia lactiflora, Ivy white, green, pink=tone-on-tone holder
2004 round bouquet Lisianthus, Wax flower, Rumohra adiantiformis white, green=similar holder
2005 round bouquet Bigleaf hydrangea white, green=same hand-tight
2006 round bouquet Bigleaf hydrangea white=same hand-tight
2007 arm bouquet Clematis, Cattleya, Mok Bigleaf hydrangea white, green, purple=complementary holder
2008 round bouquet Paeonia lactiflora, Chrysanthemum white, green=similar holder
2009 round bouquet Rose, Lisianthus, Lemon leaf white, green=similar holder
2010 round bouquet Convallaria keiskei white, green=similar hand-tight
2011 shower bouquet Orchid, Pompon Chrysant hemum, Calla white, green, pink=similar hand-tight
2012 arm bouquet Tulip white=same hand-tight
2013 arm bouquet Banda, Wax flower, Gomphrena globosa, Senecio white, green, pink=similar hand-tight
2014 round bouquet Mini orchid, Oxypetalum, Eucalyptus white, green=similar hand-tight
2015 round bouquet Anemone, Rose, Oxford yellow, red, burgundy=accent hand-tight
2016 round bouquet Paeonia lactiflora, Oxypetalum pink, sky-blue=similar hand-tight
2017 round bouquet Garden rose pink=similar hand-tight

<Table 4>

Celebrity Wedding Bouquet Trend analysis by year

Division The year Celebrity Wedding Bouquet Trend analysis by year
Shape 2000~2005 Round type(95%), Arm type(5%), Cascade/Shower type(0%)
2006∼2011 Round type(90%), shower/Arm type(5%), Cascade(0)%
2012~2017 Round type(85%), Arm type(15%), Cascade/Shower type(0%)
Material
(flower, Vegetal)
2000~2005 Rose(20%), Lisianthus(11%), Wax flower/Paeonia lactiflora(9%), Ivy/Bigleaf hydrangea/Freesia/Rumohra adiantiformis/Bower Actinidia(5%), Orchid/ Ranunculus/Dianthus chinensis/Calla/Dahlia/Eucalyptus/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leaf/Senecio/Pinkrice(2%)
2006~2011 Lisianthus(11%), Rose(9%), Calla/aeonia lactiflora/Convallaria keiskei(7%), Ranunculus/Mok Bigleaf hydrangea/Bouvardia/Orchid/Tulip/Hyacinth(5%), Amarvllis/Bigleaf hydrangea/Clematis/Cattleya/Blushing Bride/Brdal wreath/ Chrysanthemum/Seukinia/Leucocoryne/PomponChrysanthemum/Ivy/Wax flower/ Lemon leaf/Eucharis(2%)
2012~2017 Eucalyptus(11%),Rose(8%), Paeonia lactiflora/Oxypetalum/Eucharis/Scabiosa(5%) Banda/Wax flower/Gomphrena globosa/Gardenia/Lavender/Narcissus tazetta/Juliet rose/Sweetie/Freesia/Thryptomene/Orchid/Anemone/Wildflower/Kingboronia/Hellebor us/Convallaria keiskei/Garden rose/Senecio/Smile Lax/Cornflower/Astrantia/Ruscus(3%)
Color & Color arrangement 2000~2005 Color white(45%), green(34%), pink(9%), brown/purple(5%), gray(2%)
Color arrangement similar color scheme(60%), same color(20%), tone-on-tone color(15%), tone-in-tone color(5%), complementary color scheme/accent color(0%)
2006~2011 Color white(48%), green(33%), pink(8%), purple(8%), ray/orange(3%)
Color arrangement similar color scheme(50%), same color(35%), complementary color scheme(10%), tone-in-tone color(5%), tone-on-tone color/accent color(0%)
2012~2017 Color white(33%)green(28%), yellow(11%) pink/purple/peach pink(6%), burgundy/sky blue/red(3%)
Color arrangement similar color scheme(75%), complementary color scheme/accent color(5%), same color/tone-on-tone color/tone-in-tone color(0%)
Technique 2000~2005 holder technique(70%), hand-tight technique(25%), wire technique(5%)
2006~2011 hand-tight technique(80%), holder technique(20%), wire technique(0%)
2012~2017 hand-tight technique(100%), holder technique(0%), wire technique(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