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Thesi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ol. 68, No. 4, pp.56-75
ISSN: 1229-6880 (Print) 2287-7827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18
Received 05 Feb 2018 Revised 25 May 2018 Accepted 25 Jun 2018
DOI: https://doi.org/10.7233/jksc.2018.68.4.056

중국 이족 전통복식의 디자인 특징을 반영한 현대 패션디자인 연구

왕주림 ; 서승희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교수
A Study of Fashion Design by Utilizing the Design Characteristic of China's Ethnic Yi Costume
Shulin Wang ; Seunghee Suh
Dept. of Fashion Design, Sungkyunkwan University
Professor, Dept. of Fashion Design, Sungkyunkwan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Seunghee Suh, e-mail: shsuh@skku.edu

Abstract

With the onset of postmodernism at the end of the 20th century, fashion started to reflect the combination of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as the specific clothing of various ethnic groups around the world became a prominent source of ideas in fashion design. Particularly, the clothing of Chinese ethnic minorities features unique aesthetic values and dress codes. Reinterpreting these clothes is therefore useful for creatingnew fashion styles. Prior research focused onthe traditional clothing of the Yi tribe—one of China’s ethnic minorities—to study their historical, environmental, and sociocultural influencesand examine their design characteristics. The Yi traditional clothing’s design elements include motifsexpressing the five senses; five sets of apparel were therefore designed and crafted. Current research suggeststhe applicability of Yi traditional clothing in modern fashion design. For instance, modern clothing designs featureYi motifs and elements such as the Yi clothing’s round neckline, standing collar, short low-height Chinese collar, and triangular pockets. Modern designers have also incorporated Yi women’s accessories, a Yi shape in the sublobar hat’s visor, a necktie-shaped band on purses, a hanging appearance through the use of a belt, a pleated skirt,and U-shaped and V-shaped hemlines.There is, additionally, the shape of a sleeve that appears when wearinga long-sleeved innerwear top and a short-sleeved outerwear top, as well asa wool vest’s decorated sleeves, a layering effect by wearing outerwear and innerwear tops with different lengths, an opening or slit, the arrangement of a curved-line pattern on the collar, a pattern arrangement on the front closure, and Maya patterns

Keywords:

chinese ethnic minorities, developing fashion design, liangshan Yi tribe, yi people’s costume

키워드:

중국 소수 민족, 패션디자인 개발, 량산 이족, 이족 복식

Ⅰ. 서론

20세기 후반 포스트모더니즘을 시작으로 동서양 문화의 결합이 패션에도 반영되어 세계 각 민족의 복식이 패션디자인의 주요 아이디어 소스로 적용되어왔다. 세계 각 민족들은 자신들만의 심미관과 누적된 의상 제작 경험을 바탕으로 독특한 민족 복식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이에 민족 복식에 대한 재해석은 새로운 패션 스타일의 창작 방법으로 활용 가능하다. 특히, 중국 소수민족의 민속 복식은 고유한 미적 가치관과 복식문화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를 재해석 하는 것은 새로운 패션 스타일을 제시하기 위한 방법으로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중국은 한족과 55개의 소수민족으로 구성되는데(Chen, 2014), 소수민족 중 하나인 이족은 민속 복식의 종류가 300종에 달할 정도로 세계에서 복식의 종류가 가장 많은 민족이다(Zong & Zhou, 2008). 사천성의 서남부에 위치한 량산(凉山)은 이족의 최대 거주지로, 티베트 고원의 동남쪽 끝에 붙은 고원 산간지역이다. 산세가 험준하고 하천과 계곡이 깊어 역사적으로 외부의 침입을 지켜낼 수 있었고(Zhou, 1999), 이에 량산 이족은 천년에 가까운 시간 동안 폐쇄적인 전통 사회를 유지하며 고유의 민족 복식문화를 완벽하게 유지해왔다. 그 결과 량산(凉山) 이(彝)족 복식은 2014년에 중국의 무형문화유산(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으로 선정되기도 하였는데(凉山非遺網(2017, February 12), 전통복식의 원형을 유지 계승한 이족복식은 인류의 복식문화의 자료가 될 뿐만 아니라 독특한 복식의 조형적 요소들은 새로운 패션디자인 영감의 소스로서 유용한 자료될 수 있다.

지금까지 이족복식에 관한 선행연구로는 색채의 특징과 의미에 관한 연구(Bao, 2012; Long, 2012; Ma, 2007), 전통 복식 문화에 관한 연구(Fen, 2001; Ma, 2010; Ma, 2006), 수복의 의미와 미적 특징에 대한 연구(Wang, 2013; Wu, 2007), 전통 문양의 특징을 대한 연구(An, 2011; Deng, 2009; Fan, 2004; Huang, 2007; Li, 2014; Liu, 2011; Wu, 2007), 자수 공예에 대한 연구(Lin, 2002; Li, 2012), 복식의 미적 표현에 대한 연구(Cheng, 2007; Liu, 2005; Ye, 2008; Ye, 2009;) 등이 있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선행연구는 주로 이족 복식의 스타일, 색채, 문양, 재질 등의 디자인 요소 분석 및 유형분류가 대부분으로, 현대적인 패션디자인으로 제시하기 위한 디자인 개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소수민족인 량산 이족 복식의 디자인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대적 감각을 접목한 패션 디자인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중국 소수민족인 이족 복식문화에 대한 이해를 돕는 자료로 활용되고, 나아가 복식 자체의 미학적 가치 뿐 아니라 그 안에 내재된 역사와 전통, 관습을 함께 반영함으로써 다각적인 가치를 제시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그리고 중국 소수민족의 복식을 현대 패션에 접목함으로써, 현대 패션디자인의 새로운 적용 방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의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와 작품제작으로 구성하였다. 이족 관련 중국 서적과 선행 논문을 중심으로 연구되었고, 사례조사는 중국에서 공신력을 가지며 이족에 대해 정확한 자료를 제공하는 중국 이족 사이트(www.yizucn.com), 이족 민족 사이트(www.yizuren.com), 중국 이족 문화 사이트(www.yzuwhw.com), 이족 세계 사이트(www.yizuworld.com), 중국 정보 사이트(www.china.com.cn), 중국 신문 사이트(www.chinanews.com)를 중심으로 하였다.

연구범위는 이족의 6개의 거주 지역 중 량산(凉山) 이족으로 설정하였다. 이족은 언어와 문자의 차이로 량산형, 전동남(滇東南)형, 초웅(楚雄)형, 오몽산(烏蒙山)형, 홍하(紅河)형, 전서(滇西)형으로 나뉘는데 이 중 량산은 이족이 집중되어 있는 거주지로(Su, 2008), 독자적인 문화를 완벽하게 보존하고 있어 중국의 무형문화유산으로 선정되었기에 본 연구의 범위로 타당하다고 판단되었다.


Ⅱ. 이론적 배경

1. 이족의 역사

이족은 고대의 강족(羌族)이 남쪽으로 내려오는 과정에서 중국 서남지역의 토착 부족과 융합하여 형성된 민족이다(Li, 2014). 오랫동안 발전을 거듭하면서 오늘날 중국 서남부에 운남성(雲南省), 사천성(四川省), 귀주성(貴州省)과 광서성(廣西省)의 일부분까지 거주지역이 되었다(Li, 2014).

수당시대(隋唐, A.D. 581∼907)에 이족의 선조는 오만(烏蠻)과 백만(白蠻)으로 나뉘어졌다. 그 뒤 오만(烏蠻)의 일부는 운남 지역에 남조국(南詔國)을 건국하였으며, 남조국이 멸망한 뒤 분열상태가 지속되다가 이족의 귀족 계층인 흑이(黑彛)가 등장하여 주변의 농경민족인 백이(白彝)와 태족(傣族), 묘족(苗族) 및 한족 등과의 전쟁을 통해 노예로 삼았다(Kim, 2015). 이후 730년대 운남성 이족 거주 지역에 정치집단인 육조(六詔)를 건립했다. 이어 귀주성 이족 거주 지역에는 라전(羅甸) 정권이 출현하였고 사천성의 량산(凉山) 이족 거주 지역에는 부족 군사지도자 '자막'(玆莫)들이 수십 개의 정치집단을 건립하였다(Wang, 2013).

진한 시대(B.C. 221∼A.D. 220)부터 량산 지역에 행정관청이 설치되었는데 원나라(1271∼1368)는 라라사선위사(羅羅斯宣慰司)라는 행정관청을 설치하여 이족을 통제하였다. 이어 명나라 시대(1368∼1644)에도 세습 제도로 관직을 주고 지역에 대한 일정한 자치권을 부여하는 이족의 족장격인 토사(土司)를 임명하고 노예 제도를 유지하였다. 청나라(清朝) 시대에는 이족 지역에 토사세습 제도를 폐지하고 중앙에서 직접 토사를 임명하는 봉건제 사회로 이행되었지만 운남성 및 대소량산(大小凉山)등 일부 지역은 예외적으로 기존의 노예제도를 유지하였다. 특히 량산 지역은 20세기 초반의 중화민국 시대에도 관련 제도를 유지하여 '라라(羅羅)독립국'으로 불렸고, 소수민족으로서의 이족이 인정된 것은 중화인민공화국 설립 이후로(Wang, 2013) 1952년 4월 량산 이족 자치구를 건립하였다(Su, 2008).

2. 이족 복식

1) 이족 복식의 형성 요인

중국 량산 이족의 복식은 거주 지역의 지리적, 환경적, 사회·문화적, 종교적 요인들의 영향을 복합적으로 받아 타 민족과는 구분되는 그들만의 뚜렷한 정체성을 만들어냈다.

이족 복식의 형성요인으로는 첫째, 복식은 일차적으로 민족의 자연환경에 영향을 받아 이에 상응하는 양상으로 발전하는데 량산 이족 역시 환경적 요인에 의해 복식의 형태, 소재, 색상, 문양 등이 결정되었다. 지리적 특성으로 인하여 비교적 오랜 시간 외부와 단절된 채 살아온 량산 이족은 복식에 있어서도 민족적 특성을 고스란히 유지하고 있어 복식학적으로 연구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량산 이족의 거주 지역은 대부분 고랭지역과 산간지역으로 되어있어 양의 사육에 적합하며 이러한 양털로 제작한 망토 형식의 찰아와(擦尔瓦)는 산간지역의 비바람과 추위를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Hwang, 2013).

둘째, 인류사회에 계급이 생겨나면서 복식은 사회적 구별의 방식으로 작동하게 되는데, 량산 이족 역시 노예사회로 진입하면서 복식을 통한 계층 구분이 명확하게 나타났었다. 노예제도가 사라진 현대에는 이러한 계급 개념은 량산 이족 복식에서 사라지고 대신 이족 부족을 구분하기 위하여 부족에 따라 독자적인 복식을 착용하게 되었다. 즉, 부족별로 남성과 여성의 상의, 하의 형태, 색상, 문양 등이 다르게 나타나는데, 이는 부족의 정체성을 상징하는 동시에 응집력을 강화하기 위해서이다. 이족은 특히 타 부족 간의 혼인을 철저하게 금지했기 때문에 오랜 세월 독자적인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었다.

셋째, 종교적 요소가 복식에 반영되기도 하는데 이족은 자연 숭배, 토템 숭배, 조상 숭배 등의 원시적인 종교를 신앙의 대상으로 믿고 있다(Hwang, 2013). 량산 이족은 이러한 자연 숭배, 토템 숭배, 조상 숭배를 바탕으로 전통 종교인 필마교(畢摩教)를 만들었는데 필마(畢摩) 문화는 량산 이족의 독특한 문화로(Su, 2008) 이족 정신문화의 근간을 이루며 이는 복식에도 반영되어 나타났다. 필마교의 법사는 우측으로 옷섶을 여는 우임(右襟)의 상의에 바지를 착용하고(Yang, 2015) 상의 위에는 찰이와 또는 피전을 걸치는 법복(法衣)을 착용하는데 이 법복의 구성은 이복 복식의 기본적인 복종에 해당한다<Fig. 1>.

<Fig. 1>

Bi Ma ecclesiastical robe(Cheng, 2007, p. 48)

2) 이족 복식의 종류

이족 복식은 성별, 지역, 부족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기본적으로는 상의와 하의, 망토, 수복(首服), 장신구로 나뉠 수 있다.

(1) 상의

이족 여성 전통 상의는 일반적으로 겉상의와 속상의로 구성된다. 겉상의는 소매 있는 형태 혹은 조끼 형태이며, 속상의는 겉상의와 함께 속에 입는 옷으로 단독적으로 입지는 않는다. 성인 여성들은 보통 속상의 위에 소매 있는 형태의 겉상의를 입는다<Fig. 2>.

<Fig. 2>

Outerwear and inner wear with sleeve(Taken in Liangshan Yi national culture museum)

소매가 있는 겉상의는 보통 소맷부리가 넓고 소매 길이가 5부 또는 9부 정도이며 옷 밑자락에 옆트임이 있거나 등 뒤에 트임이 있고 옷의 길이는 다양하다. 조끼 형태의 겉상의는 보온성을 위해 소매 진동둘레와 아랫단에 백색의 토끼털로 장식하기도 한다<Fig. 3>. 겉상의 옷깃은 주로 오른쪽 여밈이지만 가슴 중앙에서 두 옷자락이 겹쳐지지 않고 마주한 여밈 모양인 대금(對襟)의 형태가 있기도 하며, 옷 여밈에는 매듭단추(盤扣) 또는 은(銀) 매듭단추를 달아 장식적인 효과를 더한다<Fig. 4>. 겉상의의 칼라는 주로 칼라가 없는 라운드 네크라인에 목 장신구를 착용하지만 스탠딩 칼라와 높이가 낮은 쇼트 차이나 칼라도 있다<Fig. 5>, <Fig. 6>, <Fig. 7>.

<Fig. 3>

Vest trimmed with rabbit fur(Taken in Liangshan Yi national district)

<Fig. 4>

Chinese knot button made of silver(China Yi national collection editorial committee, 1999, p. 182)

<Fig. 5>

Woolly vest(yizuren.com, n.d.-a)

<Fig. 6>

Collarless round neckline(yizuworld.com, n.d.-a)

<Fig. 7>

Standing collar(Taken in Liangshan Yi national district)

일부 지역의 여성은 형태가 독특한 양모 조끼를 착용하는데, 목둘레가 좁고 가슴 중앙에 여밈이 있으며 양 어깨에는 좁고 짧은 소매 모양의 장식을 부착하여 어깨에 걸치는 형식으로 착용한다<Fig. 8>.

<Fig. 8>

Short Chinese color(yizuworld.com, n.d.-b)

속상의는 칼라가 없으며 소매통이 좁은 긴 소매에 오른쪽으로 옷깃을 여미며 다양한 길이를 보인다. 겉에 겉상의를 입기 때문에 속상의는 가슴, 등 뒤 부분에 따로 문양장식이 없으며 밑단과 소매 부리 부분에만 보통 겉상의의 문양에 맞춰 문양을 장식한다. 속상의와 겉상의의 햄라인은 주로 <Fig. 9>의 U자 형태와 직선 형태이다.

<Fig. 9>

U-shaped hemline(Taken in Liangshan Yi national district)

이외에도, 일부 지역의 이족 여성들은 겉옷으로서 긴 소매 겉상의만 입기도 하는데 비교적 타이트한 실루엣에 소매통은 좁고 소매 부리는 좁거나 살짝 넓어지며 길이는 엉덩이까지 닿는다.

남성 상의의 경우, 여성 상의와 크게 차이가 없으며 여성 상의에 비해 색상이 단순하고 차분한 편이다. 소매는 좁고 보통 엉덩이를 가리는 길이이며, 중ㆍ노년남성들의 상의는 젊은 남성들의 상의에 비해 비교적 품이 여유가 있고 문양장식은 적은 편이다. 남성 상의의 밑단 모양과 길이는 조금씩 차이는 있으나 햄라인(hemline)은 <Fig. 10>의 V자 형태, U자 형태 또는 직선 형태이다.

<Fig. 10>

V-shaped hemline men's top(Su, 2008, p. 31)

(2) 하의

이족 여성은 노소를 막론하고 긴 주름치마를 입는다. 주름치마는 길이방향으로 5조각이 나누어져 각각 다른 색상으로 만들어지는데, 아래 3조각에 주름이 있으며 가장 밑 부분에 주름 분량이 가장 많다(Su, 2008)<Fig. 11>.

<Fig. 11>

Pleated skirt(Taken in Liangshan Yi national fashion show)

이족의 남성하의인 바지는 바지통의 크기에 따라 대바지(大褲脚), 중바지(中褲脚), 소바지(小褲脚)로 분류할 수 있다. 대바지는 현대여성의 스커트 팬츠와 비슷하며 치마처럼 바지 전체에 풍성한 주름으로 만들어져있다. 대바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6m 가량의 옷감이 필요하며, 바지부리는 1.5-2m 정도의 폭으로 다 펼치면 부채 모양이 된다(Zhang, 2003). 바지통이 넓고, 밑위길이는 매우 긴 편으로 크러치 부위가 무릎 위치까지 내려오므로 활동성이 우수하다<Fig. 12>. 소바지는 엉덩이 부분이 넓게 여유가 있으며 바지부리로 내려올수록 좁아지는 승마바지 형태에 밑위가 길며<Fig. 13>, 중바지는 대바지와 소바지의 중간 정도의 바지통 넓이이다(Ma, 2010)<Fig. 14>.

<Fig. 12>

Extremely wide legged pants(Taken in Liangshan Yi national fashion show)

<Fig. 13>

Narrow-legged pants(Su, 2008, p. 41)

<Fig. 14>

Wide- legged pants(The 2nd cultural festival for Liangshan Yi national clothing)

(3) 망토

피전(披毡)과 찰아와(擦尔瓦)는 량산 이족의 남녀노소가 착용하는 망토 형식의 전통복식으로 뛰어난 보온성을 가지고 있다. 목둘레를 모직으로 만든 끈으로 묶어 두르는 착용 방식이며, 찰아와는 피전으로부터 발전하고 변화된 복식으로 피전과 비슷한 형태이지만 소재가 다양하다.

최초의 피전은 일반적으로 동물의 가죽과 털로 만들었으나(Miao, 2010), 방직기술의 발전으로 오늘날 피전은 양털을 가공하는 이족 전통방직기술인 간전(擀毡)의 방식으로 만든 소재, '전'(毡)으로 만들어지며(Chen, 2012), 5-6cm 폭의 주름이 있는 것도 있다<Fig. 15>. 무릎까지 길이의 긴 피전과 엉덩이를 가리는 길이의 짧은 피전도 있다. 짧은 피전은 어깨가 위로 솟아있고 솟은 어깨 옆선에 구멍이 나 있는 구조적인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어깨 위에 걸치는 방식으로 착용하는데(Ma, 2010)<Fig. 16>, 찰아와 안에 입기도 한다. 색상은 회색, 검은색, 청색의 색상이 주를 이룬다.

<Fig. 15>

Long pijeon made by pleated material(Cheng, 2007, p. 52)

<Fig. 16>

Short pijeon(Su, 2008, p. 37)

찰아와는 옷깃이 없고 끈으로 목둘레를 조여매는 종모양의 실루엣이며 무릎까지 오는 길이에 밀단에는 술로 장식하는 경우도 있다<Fig. 17>, <Fig. 18>.

<Fig. 17>

Chalawa(Taken in Liangshan Yi national district)

<Fig. 18>

Chalawa ornamented with tassel(Su, 2008, p. 98)

망토는 신석기시대부터 입던 비교적 원시적인 복식으로, 최초에 인간은 나무껍질, 나뭇잎과 짐승 껍질 등으로 몸을 감싸고 추위와 더위를 막았다. 량산에는 현재까지도 나무껍질, 양가죽, 말총 등 다양한 식물과 동물가죽으로 만든 망토를 보존하고 있는데, 이는 복식의 살아 있는 화석이라고 할 수 있다.

(4) 수복

이족은 머리가 인체 중 가장 시선을 끌 수 있는 부위라고 여겨 옷차림 중 중요한 일부라고 남녀노소 모두 수복을 즐겨 착용한다(Li, 2009). ‘수복’은 머리에 동이거나 감싸는데 사용하는 두건인 파(帕), 파(帕)에 비해 길이와 폭이 더 큰 두건인 건(巾), 모자 등 머리를 감싸는 물건의 총칭으로, 양식에 따라 두건식(包頭式), 두파식(頭帕式), 모자식(冠帽式)으로 나뉜다.

첫째, 머리를 천으로 감싸는 두건식은(Li, 2009) 이족 성인 남녀들이 선호하는 머리장식으로 검은 색이나 청색 천으로 머리를 감싸 추위를 막거나 햇빛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미적인 효과가 있다. 여성의 두건은 양식 및 착용방식에 따라 장두건과 방두건으로 구분되는데, 평면으로 보면, 장두건은 가로 길이가 긴 장방형모양이고, 방두건은 정방형이다. 장두건은 보통 길이가 3-10m로, 머리를 땋아 올린 후, 그 위에 두건을 얹어 상호 교차하여 감싸는 방식으로 착용하며<Fig. 19>, 방두건은 땋은 머리를 감싸는 형식으로 착용한다<Fig. 20>. 상대적인 편의성 때문에 방두건은 나이에 상관없이 이족 여성들이 자주 애용하는 스타일이다.

<Fig. 19>

Long headscarf(You, 2004, p. 49)

<Fig. 20>

Square headscarf(Su, 2008, p. 39)

이족 남성은 보통 부드러운 광목천으로 만든 독특한 매듭방식의 수복인 영웅결(英雄結)을 두르고 다닌다<Fig. 21>. 영웅결은 매듭 끝부분에 천으로 뿔모양을 만들어 고정시켜 남성의 용맹함을 상징하는데 이는 남성들의 영웅 숭배 심리를 드러낸다.

<Fig. 21>

Heroic knot(You, 2004, p. 49)

둘째, 두파는 여성들이 방한용ㆍ장식용으로 사용하는 천을 뜻하며, 두파식은 두파를 겹겹이 얹은 기와 모양이나 사다리꼴 모양으로 만든 머리장식으로 옥발(沃髮)이라고도 불린다(Wang, 2013). 흑색이나 청색 포목을 여러 겹으로 겹쳐 그 모양이 겹겹이 얹은 기와와 흡사한 기와모양 두파의 착용방식은 두파를 머리 위에 얹고 나서 땋은 머리와 가짜 변발을 연결하여 두파를 머리 위에 고정시키고 그 위에 금속제품, 구슬제품, 장식물 등으로 꾸미며(Wei, 2015)<Fig. 22>, 다양한 색상의 자수를 놓고 가장자리를 감치기도 한다. 사다리꼴 모양의 두파는 딱딱한 사다리꼴 모양 받침대 위에 두파를 얹고 그 위에 흑색 천을 씌운 형태로, 횃불축제나 이족설날과 같은 중요한 명절 때에는 다양한 은제품과 조화 등을 꽂아서 장식한다<Fig. 23>.

<Fig. 22>

Tiled turban(Taken in Liangshan Yi national district)

<Fig. 23>

Trapezium turban(Taken in Liangshan Yi national district)

셋째, 량산 이족들의 모자는 그 종류가 다양하다. 어린이들은 동물의 형태에 근거하여 만든 닭볏 모양의 모자인 계관모(雞冠帽)와 호랑이머리 모양의 모자인 호두모(虎頭帽)를 쓴다<Fig. 24>, <Fig. 25> 계관모의 앞부분에 닭볏과 같은 장식품이 꽂아져 있고 중간 부분은 닭의 등처럼 오목하고 뒷부분은 닭의 꽁지처럼 치켜들며 주로 붉은색, 노란색, 검은색을 섞어서 만든다(Wei, 2015). 호두모는 호랑이모양을 본 따 앞부분과 뒷부분에 각각 호랑이의 머리와 꼬리모양으로 만들어지는데, 이는 호랑이에 대한 숭배를 보여준다.

<Fig. 24>

Jiguan hat(Su, 2008, pp. 67, 69)

<Fig. 25>

Hutou hat(Su, 2008, p. 73)

이족 여성들은 아이를 낳으면 머리에 쓰던 두건을 모자로 바꾸는데, 하엽모(荷葉帽), 라과모(羅鍋帽), 원판팔방모(圓盤八方帽) 등이 있다(Wang, 2010).

하엽모는 삼각형 천 여덟 조각을 연결하여 만드는데 안에는 여러 겹으로 된 안감이 덧대어져 있고, 모자 윗부분 중앙에는 은으로 만든 둥근 장식이나 단추가 달려 있으며 모자 뒷부분에는 오색실로 수놓은 검(剑, 칼)의 앞부분 모양과 비슷한 문양이 있다. 이 하엽모는 일반적으로 기혼여성이 착용하며 창이 넓고 전체모양이 연잎과 흡사해서 연잎 모자라고도 불린다(Ma, 2010)<Fig. 26>.

<Fig. 26>

Heye hat(Su, 2008, p. 74)

라과모는 중·노년 여성들이 착용하며 넓은 모자의 창을 위로 접어 올린 모양으로 창 가장자리를 실로 감치는 것이 특징이다<Fig. 27>. 이때 사용하는 실의 색깔은 모자를 착용하는 여성의 연령에 따라 다른데(Wei, 2015), 중년 여성은 빨강색 실을 사용하고 노년 여성은 청색 실을 사용한다(Wang, 2005).

<Fig. 27>

Luoguo hat(Wang, 2013, p. 42)

원판팔방모는 피라미드 모양 여덟 조각의 천을 연결하여 만든 것으로(Su, 2008), 일반적으로 착용할 때에는 화려한 문양이나 은 장식품을 장식하지 않으나, 명절에는 오색 구슬과 꽃모양의 은 장식품을 모자에 걸어 착용한다<Fig. 28>, <Fig. 29>. 이 모자는 아기를 낳은 기혼 여성이나 중·노년 여성들이 착용한다(Wang, 2005).

<Fig. 28>

Silver conical hat(Taken in Liangshan Yi national culture museum)

<Fig. 29>

Red-tasselled conical hat(Su, 2008, p. 79)

삿갓은 여성들이 명절이나 혼례를 올릴 때 착용하는 모자로 은 삿갓과 붉은 술 삿갓이 있다(Su, 2008)<Fig. 30>, <Fig. 31>. 은 삿갓은 주로 신부가 결혼할 때 모자 위에 다양한 은장식품을 달아 두건 위에 덧쓰는 용으로 착용한다. 또한 붉은 삿갓은 청나라 때 이족 장인들이 청나라 관원들이 쓰던 관모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것으로 삿갓 위를 붉은 술로 화려하게 장식하고 있고 그 크기가 청나라 관원들이 쓰던 관모보다는 커서 햇빛이나 비바람을 가리는 용도로 쓰인다.

<Fig. 30>

Wanpanbafang hat(Su, 2008, p. 76)

<Fig. 31>

Wanpanbafang hat with ornament(You, 2004, p. 51)

(5) 장신구

장신구는 이족 복식의 주요 특징 중 하나로, 장신구 재료는 조개껍질, 짐승 발, 짐승 발톱, 맹수의 이빨 및 천산갑의 비늘 등 손쉽게 구할 수 있는 것들에서 특별한 제작 및 가공을 필요로 하는 금, 은으로 변화하여 왔다. 전통 문화의 영향을 받은 장신구는 장식의 부위에 따라 목장신구, 허리장신구, 몸판 장신구로 나뉠 수 있다.

첫째, 이족 여성들은 목이 긴 것을 아름다운 것으로 여겨 목 부분의 장식을 통해 긴 목을 강조한다. 이족 복식 중에 가장 특색이 있는 장신구 중의 하나인 목 장신구는(Su, 2008) 'Fake collar'의 일종으로 옷과 분리되어 있어서 필요에 따라 다른 옷에 코디하기도 하며 찬바람을 막거나 동시에 여성들의 목이 길어 보이는 효과를 보여준다. 젊은 여성들은 보통 붉은색 혹은 연한 색을 쓰며, 중년의 여성들은 청색을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 목 장신구는 천으로 만들어졌으며 큰 직사각형 또는 꽃모양의 은 장신구가 그 위에 장식되기도 한다<Fig. 32>.

<Fig. 32>

Neck accessory ornamented with silver(Su, 2008, p. 94)

둘째, 이족은 남녀를 막론하고 허리 장신구를 선호하는데 허리 장신구는 옷맵시를 살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지품을 담을 수도 있다(Lin, 2002). 여성들이 착용하는 허리 장신구에는 오색 띠가 달려 있는 삼각형 모양의 작은 주머니인 <Fig. 33>의 '염낭'과(Su, 2008) 긴 술 장식이 달려있는 허리띠가 있다. 염낭은 작은 소지품을 담을 수 있는 실용적인 용도와 더불어 장식적인 효과를 주어, 삼각형 주머니의 밑 부분에는 넥타이 모양의 띠가 달려 있는데 이는 원시 토템에 대한 숭배를 띠 장식으로 드러내는 이족의 풍습을 보여주는 것이다(Deng, 2016)<Fig. 34>. 긴 술 장식이 달려있는 허리띠는 술들이 자연스럽게 주름치마 위에 드리워져 장식효과를 더 한다<Fig. 35>.

<Fig. 33>

Purse(Su, 2008, p. 103)

<Fig. 34>

The decorative effects of wearing purse(yizuren.com, n.d.-b)

<Fig. 35>

The image of wearing tassel belt(Taken in Liangshan Yi national district)

이족 남성들의 허리장신구로는 천을 두 겹으로 접은 허리띠가 있는데, 이는 여성용 허리띠보다 단순하고 실용적이다. 남성용 허리띠는 씨름시합을 할 때 샅바용으로 사용되고 천이 접혀지면서 생긴 공간에 소지품이나 간식을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되기도 한다<Fig. 36>.

<Fig. 36>

Men's belt(Su, 2008, p. 108)

셋째, 횃불 축제나 설날과 같은 성대한 명절날에 소녀들과 젊은 미혼여성들은 화려한 의상에 은으로 만든 장신구를 몸판에 착용한다. 이러한 몸판 장신구는 기본적으로 여러 형태의 은장식들을 은줄로 연결하여서 제작하는데 그 길이가 보통 1m 정도에 달하며, 목에 걸어 몸 앞부분에만 드리우거나<Fig. 37> 어깨에 걸쳐 앞, 뒤 몸판에 모두 드리우기도 한다<Fig. 38>.

<Fig. 37>

Neck-bound accessory(Taken in Liangshan Yi national district)

<Fig. 38>

Shoulder-to-shoulder accessory(Taken in Liangshan Yi national district)

2) 량산 이족 복식의 색채 및 문양

본 연구에서는 량산 이족의 자연, 문화, 종교적 요소가 반영되어 량산 이족 복식만의 독특한 특징을 보여주는 데 역할 하는 대표적인 디자인 요소인 색채와 문양에 대해 분석하였다.

(1) 색채

복식에서의 재현된 색채는 그 민족의 자연환경, 전통풍습, 생활방식 등과 모두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사용되어왔다. 민족마다 선호하는 특정 색채가 있는 것도 민족의 역사와 관습, 정체성과 심미관 등이 녹아있기 때문이다(Jin, 2005). 따라서 복식의 색채를 통하여 민족의 미적 감각과 가치관, 세계관을 유추할 수 있기에, 이족 복식의 색채 특징을 살펴보는 것은 그들이 속한 공동체를 이해하기 위해 필수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족 복식의 색채는 선명한 색상 대비로 강렬한 시각적 효과를 만들어내는데, 이는 그들의 고유한 색채 관념인 '오색관'에 기반한 것이다. 이족이 선호하는 다섯 가지 색채인 흑(黑), 홍(紅), 황(黃), 청(青), 백(白)은 모두 오행에서 유래된 것으로, 오행은 우주의 만물을 화(火), 수(水), 목(木), 금(金), 토(土)의 다섯 종류의 활동적 원소의 구성으로 해석하는 형이상학적 이론이다(You, 2013). 오행색에 담긴 의미를 ≪려씨춘추(呂氏春秋)≫에서는 황색에는 흙의 기운이, 청색에는 나무의 기운이, 백색에는 금속의 기운이, 적색에는 불의 기운, 흙색에는 물의 기운이 담겨있다고 기록하고 있으며, 이들 색은 서로 상생하고 또는 상극하며 세계를 발전시킨다(Hu, Zhang & Lin 2009). 이족 복식의 오색관은 중국 고대의 오행색을 참조하였으며, 따라서 이족 복식에 사용된 다섯 가지 색상을 오행색의 틀에서 분석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는데(Chen, 2010), 이에 따르면, 흑색은 무거움을, 홍색은 열정과 용감함을, 황색은 광명과 아름다움을, 백색은 순결과 길상을, 청색은 높음과 고귀함을 나타낸다(Bao, 2012).

첫째, 이족은 토템에 대한 숭배와 이족의 기원에서 기인하여(Zong & Zhou, 2008) 대대로 흑색 토지와, 흑색 독수리, 흑색 호랑이를 숭배해 왔으며, 이는 이후에 흑색에 대한 숭배로 이어졌다. 이족에게 있어 흑색은 풍작과 풍요를 주는 땅의 색이자, 전통과 신앙을 상징하는 색이며, 장엄함과 위엄을 나타내는 색으로 여겨져 왔다. 흑색을 주조색으로 사용한 복식은 명도와 채도가 높은 색으로 문양을 수놓아 강한 색채 대비를 보여준다.

둘째, 홍색은 불을 의미하며 기본적으로 열정과 용감함을 상징한다. 이족은 불을 생명의 색으로 인식하기도 하고, 장례에 사용되는 불은 죽은 이를 광명으로 인도하는 동시에 따뜻함을 준다고 여겼다(Li & Fen, 1993). 그러나 불을 재난을 가져오는 두려운 존재로도 인식하기에 무서워하면서도 숭배하는 이중적 태도를 가지고 있다. 또한 횃불축제에서는 불의 신을 숭배하고 평안과 재물을 기원하는데, 이러한 문화적 관습은 이족의 복식에도 상당 부분 반영된다. 량산 이족 복식에서 홍색은 장식적 역할을 하는 보조색으로 사용되는데, 흑색 여성 상의의 옷자락, 소맷부리, 밑단과 주름치마에 배색으로 사용되어 가시성을 높인다. 홍색은 또한 장신구와 문양에서 자주 사용되어 시각적 효과를 강조하며 색채 배색의 역할을 한다.

셋째, 황색은 태양을 의미하며, 광명, 선함, 부유함, 위엄을 상징한다. 예로부터 황색은 만물을 만들어내고 이를 성장시키고 번식하게 하며 정화의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Wu, 1993). 특히 황색은 오행색 가운데 '중간(中)'을 상징하며, 중앙의 의미를 가지기에 따라서 중국 역대 왕조의 중심지인 중원(中原) 지역의 왕조에서는 황색을 숭배하여 황제의 전용색으로 사용하였다. 이족 역시 황색을 귀하게 여겼는데, 태양은 아주 높은 공중에서 지상의 모든 것을 내려다보는 존재로 숭배 대상이 되었다(You, 2013). 황색은 량산 이족 복식에 주조색으로 사용되지는 않았으나, 거의 모든 장식적 요소에 사용되었다.

넷째, 청색은 침착함과 고귀함을 상징한다. 량산 이족이 거주하는 해발 2000~4000m의 고지는 대기 질이 우수하여, 파란 하늘과 하얀 구름, 그리고 홍색의 토양이 선명한 대비를 이루는 곳으로(Ma, 2007), 청명한 기후 환경은 파란 하늘에 대한 동경과 자유, 그리고 포용적인 민족성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청색은 량산 이족 복식에서 흑색과 함께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색이다.

다섯째, 백색은 건강, 아름다움, 순결을 상징한다. 량산에 분포되어 있는 “목극기(穆克基)”라는 식물은 뿌리 부분이 순백색으로, 이것으로 약을 만들면 남성 불임과 여성 유방암을 치유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영향으로 백색이 건강을 상징하게 되었으며(You, 2013) 또한 과거에는 염색하지 않은 천연 그대로의 백색 의복이 평민의 신분을 나타내기도 했으나 서양의 색채 관념에서 영향을 받아 순결, 젊음, 아름다움의 의미 또한 내포하게 되었다. 백색은 량산 이족 복식 중 찰아와와 피전 그리고 주름치마에서 사용된다.

(2) 문양

량산 이족의 복식 문양은 자연과 호흡하며 얻어진 산물이고, 그들의 역사와 문화의 결정체이다. 이족이 문양을 그들의 조상들이 추구했던 삶의 방식과 정신적 가치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량산 이족 복식의 문양은 전반적으로 동물의 모양을 과장되게 표현하거나, 식물문양을 기하학적으로 해석하여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Li, 2004). 문양들은 복식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일정한 모양이 규칙적으로 반복되어 나타난다.

량산 이족은 만물에 영혼이 있음을 믿으며 자연물은 모든 악운을 물리치고 재해를 몰아내는 숭배의 대상이었다. 이러한 사상은 복식 문양으로 표현되었으며, 그 주제는 크게 자연물과 사회문화에 관련된 문양의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Cheng, 2007).

자연물의 문양은 구체적으로 식물, 동물, 자연현상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식물은 고사리, 해바라기 등 각종 식물의 뿌리, 줄기, 잎, 꽃, 과실, 동물은 호랑이, 용, 독사, 수리, 양뿔, 소뿔, 게발, 닭의 볏, 자연현상은 해, 달, 별, 소용돌이, 무지개, 물결, 산 문양 등이 자주 사용된다(Su, 2008)<Fig. 39>-<Fig. 44>.

<Fig. 39>

Pteropsida pattern(Su, 2008, p. 117)

<Fig. 40>

Sheep's horn pattern(Su, 2008, p. 118)

<Fig. 41>

Comb pattern(http://rs.bift.edu.cn)

<Fig. 42>

Crab leg pattern(You, 2004, p. 40)

<Fig. 43>

Sun and moon pattern(You, 2004, p. 40)

<Fig. 44>

Whirlpool pattern(Su, 2008, p. 119)

사회문화 관련 문양에는 대표적으로 부싯돌 문양과 토사(土司) 인장 문양이 있다<Fig. 45>, <Fig. 46>. 부싯돌 문양은 불이 활활 타오르는 것을 연상케 하고, 부싯돌 형상의 다양한 변형을 통해 행복과 행운을 기원한다. 토사 인장 문양은 상위계급에 대한 존경과 경외를 바탕으로 탄생하였으며, 주로 사각형의 일정한 틀에 다양한 변형을 가미하여 표현되었다.

<Fig. 45>

Flint pattern(Su, 2008, p. 117)

<Fig. 46>

ToSa seal pattern(Su, 2008, p. 118)


Ⅲ. 작품 제작

본 연구에서는 이족의 문화와 이족 전통복식의 디자인특징을 응용하여 전통복식의 형식에서 벗어나 현대패션과 접목한 새로운 패션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작품 제작에서는 이족 전통복식의 디자인 요소인 디테일, 색채, 문양의 특징을 활용하였으며, 이족 복식에 사용된 오색인 흑, 백, 청, 황, 홍색 중 흑색과 청색을 기본으로 하고 황색, 백색, 홍색을 배색으로 사용하였다. 제작진행은 1)이족의 복식에서 영감을 받아 스케치하고 일러스트레이션과 도식화로 표현하였으며, 2)최종 제작이 확정된 디자인은 소재와 부자재를 재선정하여 완성한 후, 3)패턴제작과 봉제작업으로 5벌의 작품을 제작하였다.

1. Design 1의 디자인 설명

<Fig. 47>은 이족 전통 복식의 특징인 토사인장문양과 화초문양으로 제직된 원단을 배색으로 사용한 A라인 실루엣의 원피스이다. 흑색을 메인 색상으로 사용하였으며, 초록빛 메탈색과 녹색을 부분적으로 사용하여 색상대비를 보여주었다.

소재는 실크 100%의 실크소재, 면 60%, 실크 40%의 실크면 혼방소재, 울 70%, 실크 30%의 실크울 혼방의 물결모양 자카드, 실크 100%의 메탈릭 소재, 토사인장문양과 화초문양을 조합한 이족 문양의 브로케이드 소재, 면 저지(jersey)를 조합해서 사용하였다.

<Fig. 47>

Photograph of Design 1

작품의 디자인 디테일은 이족 복식에서의 디자인 특징을 모티프로 하여 표현하였다. 첫째, <Fig. 47>의 네크라인은 이족 상의의 라운드 네크라인 형태로 표현하였다. 둘째, 소매는 이족의 긴 소매 속상의와 짧은 소매 겉상의를 착용 시 보여지는 소매 모양을 모티프로 하여 디자인하였다. 셋째, 염낭의 띠 장식 모양을 모티프로 하여 앞판 허리선에 장식적인 포인트 요소로 끈을 끼워 물렸다. 넷째, 이족 복식은 겉상의와 함께 길이가 긴 속상의를 입고 하의로는 긴 주름치마를 입음으로써 여러 층으로 겹쳐진 모양을 나타내는데, 이를 모티프로 원피스의 스커트 부분은 3겹의 레이어드 된 형태로 디자인하였다. 가장 윗단의 햄라인은 이족 복식 상의의 U자 형태의 햄라인을 모티프로 하였으며, 2번째 층의 햄라인은 이족 복식의 V자 형태의 햄라인을 모티프로 하였다. 다섯째, 이족 여성이 염낭을 착용 시 치마 밑으로 드러나는 염낭의 띠 모양을 모티프로 하여 햄라인 밑으로 끈이 늘어뜨려진 효과를 표현하기 위해 허리 절개선에 끼워 물렸다. 여섯째, 남성들이 허리띠를 착용 시 아래로 자연스럽게 드리워지는데, 이때의 착용 모양을 모티프로 하여 원피스 뒤판 허리선에 장식적인 요소로 끈을 늘어뜨리게 디자인하였다.

<Fig. 48>

Flat sketch of Design 1

2. Design 2의 디자인 설명

<Fig. 49>는 박스 핏(fit)의 재킷과 타이트 스커트로 구성되었다. 전체 의상에 흑색을 메인 색상으로 사용하였고 상의는 녹색과 메탈 초록색을 포인트로, 스커트는 적색과 녹색, 흑색 등의 원색 대비로 이루어진 토사인장문양과 화초문양의 원단과 녹색, 초록빛 메탈 원단으로 색상 대비를 보여주었다.

<Fig. 49>

Photograph of Design 2

소재는 실크 100%의 실크소재, 면 60%, 실크 40%의 실크면 혼방소재, 울 70%, 실크 30%의 실크울 혼방의 물결모양 자카드, 실크 100%의 메탈릭 소재, 토사인장문양과 화초문양을 조합한 이족 문양의 브로케이드 소재, 면 저지(jersey)를 조합하여 사용하였다.

작품의 디자인 디테일은 이족 복식에서의 디자인 특징을 모티프로 하여 표현하였다. 첫째, <Fig. 49>의 칼라는 이족 복식의 목 장신구를 모티프로하여 하이 넥 칼라(High Neek Collar)로 디자인하였다. 둘째, 소매는 이족의 긴 소매 속상의와 짧은 소매 겉상의 착용 시 보여지는 소매 모양을 모티프로 하여 왼쪽 소매를 디자인하였고, 오른쪽 소매는 턱을 잡아 연결하여 겹쳐진 효과를 연출하였다. 셋째, 곡선모양의 옷깃을 따라 배열된 선 형태의 문양을 모티프로 하여 <Fig. 49> 재킷의 앞판에 곡선모양의 절개선을 넣어 메탈릭 원단으로 표현하였다. 넷째, 길이 차이가 나는 겉상의와 속상의를 함께 착용한 형태를 모티프로 하여 재킷의 밑단을 2겹으로 디자인하였는데, 윗단의 햄라인은 이족 복식의 V자 형태의 햄라인을 모티프로 하여 제작하였다. 다섯째, 이족의 염낭에 달린 넥타이 모양의 띠 장식을 모티프로 하여 재킷 뒤 중심선에 이와 비슷한 형태의 끈 모양을 배색으로 장식하였다. 여섯째, 이족 복식의 트임을 참조하여 스커트 양 옆 솔기에 긴 트임을 넣어 디자인하였다. 일곱째, 상의의 옷깃을 따라 배열된 곡선 모양의 문양을 모티프로 하여, 스커트 앞판 왼쪽 윗부분에 곡선모양의 절개선을 넣고 색조 대비뿐만 아니라 재질 대비를 보여주는 메탈릭 원단으로 표현하였다. 여덟째, 이족 복식의 V자 형태의 햄라인을 모티프로 하여 스커트의 앞 뒤판의 길이 차이가 있는 비대칭의 V자형 햄라인을 디자인하였다. 아홉째, 이족 주름치마의 허리띠가 늘어뜨려진 착장 모습을 모티프로 하여, 스커트 뒤판 아래 부분 사선의 절개라인 부분에 끈 모양을 끼워 물렸다.

3. Design 3의 디자인 설명

<Fig. 50>은 A라인 실루엣의 원피스로, 곤색 메인 색상에 홍색과 파란색을 포인트 색상으로 하고 황색, 홍색, 청색의 이족 문양의 원단을 부분적으로 사용하여 색상 대비를 보여주었다.

<Fig. 50>

Flat sketch of Design 2

소재는 실크 100%의 청색과 홍색의 오간자, 실크 42%, 린넨 58%의 실크린넨 자카드, 실크 95%, 라이크라 5%의 크레이프드신(Crepe de chine) 소재, 해와 달 문양의 브로케이드 소재를 사용하였다.

작품의 디자인 디테일은 이족 복식의 디자인 특징을 모티프로 하여 표현하였다. 첫째, <Fig. 51>의 네크라인은 이족 상의의 라운드 네크라인 형태로 표현하였다. 둘째, 상의의 네크라인에서부터 옆선, 밑단까지 이어진 선 형태의 문양 배열을 모티프로 하여, 원피스의 앞 몸판에 절개선을 넣어 색상 대비의 배색으로 선 형태를 표현하였다. 셋째, 주름치마를 모티프로 하여 원피스 오른쪽 하단 햄라인에 주름을 넣어 디자인했다. 넷째, 이족 여성들이 착용하는 하엽모의 차양 형태를 모티프로 하여 원피스의 치마하단 폭을 넓게 표현하였으며 왼쪽 하단 햄라인에 프릴을 넣었다. 다섯째, 이족 복식 상의의 네크라인을 따라 배열된 반원형곡선을 모티프로 하여, 원피스 뒤판 네크라인을 따라 곡선으로 된 절개선을 넣고 같은 곡선 형태의 덮개를 덧대었다. 여섯째, 이족의 염낭에 달린 넥타이 모양의 띠를 모티프로 하여 길이가 차이나는 2개의 넥타이 모양 끈을 원피스 뒤판 어깨부분의 곡선 절개선에 끼워 물렸다. 일곱째, 원피스 앞판의 절개선과 햄라인은 이족 복식의 V자 형태 햄라인을 모티프로 하여 부드러운 V자 형태 라인으로 디자인하였다.

<Fig. 51>

Photograph of Design 3

<Fig. 52>

Flat sketch of Design 3

4. Design 4의 디자인 설명

<Fig. 53>은 삼각형 덮개가 있는 스트레이트 실루엣 원피스이다. 곤색을 메인 색상으로 하고 홍색과 파란색을 보조 색상으로 부분적으로 사용하여 색상 대비를 보여주었다.

<Fig. 53>

Photograph of Design 4

소재는 실크 95%, 라이크라 5%의 크레이프 소재, 이족 해와 달 문양의 브로케이드 소재, 실크 40%, 면 60%의 실크면 혼방소재, 실크 26%, 폴리에스터 74%의 실크폴리에스터 혼방소재, 실크 40%, 울 60%의 앰보싱 자카드를 사용하였다.

작품의 디자인 디테일은 이족 복식의 디자인 특징을 모티프로 하여 표현하였다. 첫째, <Fig. 53>의 소매는 상의 소맷부리 부분의 배색장식을 모티프로 하여, 원피스 소맷부리 부분에 커프스(cuffs) 디테일을 배색으로 장식하였다. 둘째, 염낭의 삼각형 주머니 모양을 모티프로 하여 가슴 부분에 절개선을 넣고, 삼각형 덮개를 덧대는 디자인을 넣어 장식 효과를 주었다. 또한 염낭에 달린 넥타이 모양의 띠를 모티프로 이족 문양이 들어간 소재로 한 끈을 가슴 부분의 절개선에 끼워 물려 표현하였다. 셋째, 여성의 주름치마를 모티프로 하여 원피스 앞판 스커트 무릎 부위에 절개선을 넣어 나이프주름(knife pleats)을 연결하였다. 넷째, V자 형태의 햄라인을 모티프로 하여 앞 판의 햄라인을 V자형으로 디자인하였으며 주름과 레이어링 효과를 주었다. 다섯째, 여성 상의의 앞여밈 단에 선형태의 문양 배열로 만든 곡선 모양의 문양을 모티프로 하여 원피스 뒤판에 절개선을 넣어 질감이 다른 동색의 광택소재를 사용하여 표현하였다. 여섯째, 은으로 만든 몸판 장신구를 모티프로 하여 장신구모양의 도안을 원피스 뒤판 하단에 장식적인 포인트로 덧대고 밑 부분을 끈으로 장식하였다. 일곱째, U자 형태의 햄라인을 모티프로 하여 원피스 뒤판의 햄라인을 U자형으로 디자인하였다.

<Fig. 54>

Flat sketch of Design 4

5. Design 5의 디자인 설명

<Fig. 55>는 짧은 블라우스와 H라인 스커트로 구성되었다. 상의는 황색을 메인 색상으로 흑색을 포인트 색상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스커트는 흑색 바탕에 황색과 백색을 부분적으로 사용하여 색상 대비 효과를 나타내고자 하였다.

<Fig. 55>

Photograph of Design 5

소재는 실크 100%의 실크소재, 실크 100%의 크레이프 소재, 실크 42%, 울 44%, 메탈 14%의 꽃문양 자카드, 백색과 흑색의 실크 44%, 울 51%의 실크울 새틴 소재, 울 70%, 실크 30%의 실크울 혼방의 물결모양 자카드, 이렇게 6가지 소재를 조합하여 사용하였다.

작품의 디자인 디테일은 이족 복식의 디자인 특징을 모티프로 하여 표현하였다. 첫째, <Fig. 55>의 칼라는 이족 복식의 스탠딩 칼라와 높이가 낮은 쇼트 차이나 칼라를 모티프로 활용하여 비대칭 스탠딩 칼라로 디자인하였다. 둘째, 이족 양모 조끼의 장식적인 소매 형태를 모티프로 활용하여 소매 햄라인을 곡선으로 디자인하였다. 셋째, U자 형태의 햄라인을 모티프로 하여 상의 앞판의 햄라인과 스커트 앞판의 햄라인을 U자형으로 디자인하였다. 넷째, 상의의 뒷 네크라인을 따라 배열된 반원형 곡선 문양을 모티프로 하여 블라우스 뒤판 등에 곡선 절개선을 넣고 곡선 형태의 덮개를 끼워 물려 장식하였다. 다섯째, 염낭에 달린 띠를 참조하여, 뒤판의 곡선 절개선에 끈을 끼워 물렸다. 여섯째, 이족 상의의 하단 부분 장식 문양 모양을 모티프로 하여 스커트 뒤판 햄라인을 이와 유사한 곡선 형태로 디자인하였다. 일곱째, 이족 마야문양을 모티프로 활용하여 스커트 엉덩이 덮개 부분에 삼각형 모양으로 접은 덧댐 장식을 넣었다.

<Fig. 56>

Flat sketch of Design 5


Ⅳ. 결론

본 연구에서는 중국 소수 민족 중 하나인 이족의 전통복식을 역사, 환경, 사회·문화적 요인을 통해 고찰함과 동시에 전통복식의 디자인특징을 응용하여 새로운 현대 패션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표현력이 있는 문화 표시로서 복식을 통해 이족의 문화를 더 대중적으로 소개하고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하며 나아가 중국소수민족의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작품을 제작하였다(Chen, 2014). 중국 소수민족의 문화적 요소를 모티프로 하여 현대 패션 디자인 개발의 아이디어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Xu, 2016).

이족 전통복식을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족 복식의 종류는 크게 겉상의, 속상의, 주름치마, 바지, 망토, 수복, 장신구로 나뉜다. 둘째, 이족 복식의 구성은 주로 칼라, 소매, 밑단, 옷깃의 여밈 형태의 네 부분으로 구분된다. 칼라 모양은 칼라가 없는 라운드 네크라인, 스탠딩 칼라, 높이가 낮은 쇼트 차이나 칼라가 있으며, 소매의 종류로는 소매부리가 넓은 반소매, 소매통이 좁은 긴소매, 소매부리가 넓은 긴소매, 민소매가 있다. 햄라인의 형태는 U자형과 V자형, 직선형이 있다. 옷깃은 오른쪽 여밈 옷깃과 대금(對襟) 형태가 있다. 셋째, 이족 여성 복식 형태는 주로 오른쪽 옷깃을 교차하여 여미는 모양의 겉상의와 속상의를 함께 입고, 하의는 주름치마를 입으며, 망토와 수복을 착용하는 것이 주된 특징이다. 이족 남성 복식 형태는 오른쪽 옷깃을 교차하여 여미는 모양의 상의와 대바지, 중바지, 소바지를 입고, 수복과 망토를 착용하는 것이 주된 특징이다. 또한 이족 복식의 중요한 디자인 요소인 장신구는 장식 부위에 따라 목 장신구, 허리 장신구, 몸판 장신구로 구분할 수 있다. 넷째, 이족 복식의 색채는 오색관의 영향을 받아 흑색, 청색, 홍색, 황색, 백색이 주로 사용되는데, 흑색과 청색을 메인색으로 사용하고 홍색과 황색, 백색을 보조색으로 사용하는 것이 주된 특징이다. 다섯째, 이족 복식 문양의 주제는 크게 자연물과 사회문화와 관련된 문양 두 종류로 나뉜다. 이족 복식의 문양은 고정된 형태의 직선이나 곡선으로 배열하여 장식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문양 배열의 특징이다.

이상으로 한 이족 복식에 나타난 디자인 특징을 반영하여, 다섯 벌의 여성복을 디자인하여 실물 제작하였다.

첫째, <Design 1>은 A라인 원피스로, 이족 복식의 라운드 네크라인, 긴 소매 속상의와 짧은 소매 겉상의를 착용 시 보여지는 소매 모양, 염낭에 달린 넥타이 모양의 띠, 길이가 다른 겉상의와 속상의의 착용을 통해 레이어링 효과, U자 형태의 햄라인, V자 형태의 햄라인, 치마 밑으로 드러나는 염낭의 띠 모양, 허리띠를 착용하여 늘어뜨려진 모습을 모티프로 하여 디자인하였다.

둘째, <Design 2>는 박스 핏(fit)의 재킷과 타이트 스커트로 구성되었으며, 이족 여성의 목 장신구, 짧은 겉소매와 긴 속소매가 겹쳐 입혀진 모양, 네크라인에서 앞 옷깃에 이어진 문양 배열, 길이 차이가 나는 겉상의와 속상의를 겹쳐 착용한 형태, 염낭에 달린 넥타이 모양의 띠, 트임, 옷깃에 곡선 모양의 문양 배열, V자 형태의 햄라인, 허리띠가 늘어뜨려진 모습을 모티프로 하여 디자인하였다.

셋째, <Design 3>은 A라인 실루엣의 원피스로, 이족 전통복식 중 라운드 네크라인, 네크라인에서 옆선, 밑단까지의 문양배열, 주름치마, 하엽모의 차양 형태, 네크라인의 곡선문양, 염낭에 달린 넥타이 모양의 띠, V자형태의 햄라인을 모티프로 하여 디자인하였다.

넷째, <Design 4>는 스트레이트 실루엣의 원피스로, 이족 여성 상의에서 소맷부리의 배색 장식, 삼각형 모양의 주머니와 넥타이 모양의 띠로 구성된 염낭, 주름치마, V자형태의 햄라인, 앞여밈단의 문양 배열, 몸판 장신구, U자형태의 햄라인을 모티프로 하여 디자인하였다.

다섯째, <Design 5>는 짧은 블라우스와 재킷과 스커트로 구성하여, 이족 복식의 스탠딩 칼라, 높이가 낮은 쇼트차이나 칼라, 양모 조끼의 장식 소매, U자 형태의 햄라인, 곡선모양의 문양 배열, 염낭에 달린 띠 장식, 하단의 곡선 문양 배열, 마야 문양을 모티프로 하여 디자인하였다.

본 연구는 이족 전통 복식의 디자인 요소를 활용한 현대적인 패션 디자인을 통해 이족 문화를 대중적으로 전파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중국 소수민족의 문화적 요소를 모티프로 하여 현대 패션디자인 개발의 아이디어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 자국의 전통문화의 발전과 확장을 기대하는 중국 시장의 니즈 즉, 차별화된 중국만의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면서도 보편적 감성으로 소비할 수 있는 현대 패션디자인에 대한 요구에 부합하는 작품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제시한 디자인 작품들은 향후 중국 시장에서의 상업적 가능성을 확인받고자 한다.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석사학위논문의 일부임

References

  • An, Y., (2011), A study of Yi nation's typical patterns, Kunmi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Kunming, China.
  • Bao, D., (2012), The meanings of the study on Yi’s color symbolism, Minzu University of China, Beijing, China.
  • Chen, Q., (2014), A study of fashion design by utilizing the China’s Tibetan dress culture, Sungkyunkwan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 Cheng, H., (2007), Research and development of Yi costume culture, Beijing Institute of Fashion Technology, Beijing, China.
  • Chen, X., (2012), The influences of Liangshan Yi people’s costume by nature geographical environment, Anhui Agricultural Sciences, 40(34), p61-63. [https://doi.org/10.13989/j.cnki.0517-6611.2012.34.036]
  • Chen, W., (2010), Blackeagle'sgorgeousplumage. Chengdu, China, Sichuan fine arts publishing house.
  • Deng, J., (2009), The application research on costume pattern element of Yi in the modern fashion design, Donghua University, Shanghai, China.
  • Deng, H., (2016), Clothing and accessories modeling of the Yi people in Liangshan, Journal of Hubei University of Education, 9(33), p69-72.
  • Fen, M., (2001), The study on the Liangshan Yi's national clothing art, Ethno-National Studies, 5, p76-87.
  • Fan, L., (2004), The pattern of the attire and ornaments of the Yi people, Journal of Yunnan Normal University, 2(2), p31-35.
  • Huang, J., (2007), On fire patterns in Yi's fashion style, Journal of Nanning Polytechnic, 12(3), p15-18.
  • Hu, L., Zhang, K., & Lin, J., (2009), Chinese fashions coloringbook, Beijing, China, Higher education press.
  • Jin, S., (2005), A study of Yi's national culture of ethnology, Minzu University of China, Beijing, China.
  • Kim, M., (2015), A study on women's costumes of the Yi minority in the Honghe Hani and Yi Autonomous prefecture of Yunnan: focusing on the counties of Yuanyang, Honghe, and Ship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 Long, F., (2012), Analysis and application of the Yi's color, Chongqing University, Chongqing, China.
  • Li, M., (2014), Development of a bag design using a Yi tribe's traditional patterns, Gachon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 Lin, Y., (2002), A study of Yi's pattern craftwork in Sichuan, Sichuan Cultural Relics, 4, p59-62.
  • Liu, H., (2011), A study of Religious Element of Liangshan Yi's patterns, Writer Magazine, 24, p52-53.
  • Li, J., (2012), A elementary study on style and needle craft character of Yi's traditional embroidery of Liangshan region, Northern Literature, 8(82), p82.
  • Liu, D., (2005),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Yi's daytime wear in Liangshan, Journal of Southwest University for Nationalities, 26(6), p57-58.
  • Li, L., (2009), A study of Yi's costume art, Art Literature, 16, p147-148.
  • Li, S., & Fen, M., (1993), Yi people, Beijing, China, The ethnic publishing house.
  • Ma, S., (2007), Black, Red, Yellow and Yi's national Culture, Journal of The Second Northwest Institute For Ethnic Minorities, 3, p67-70.
  • Ma, C., (2010), A Research on the Traditional Costume Design of Liangshan Yi in Sichuan Province, Southeast University, Nanjing, China.
  • Ma, X., (2006), A study of Liangshan Yi's national costume in Sichuan Province, Minzu University of China, Beijing, China.
  • Miao, C., (2010), Yi Ethnic, Changchun, China, Jilin history press.
  • Su, X., (2008), Liangshan Yi's costume culture and craft, Beijing, China, China textile & apparel press.
  •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Liangshan [涼山非遺網], (2017, February, 12), Retrieved from http://lsfy.ls666.com/index.html.
  • Wang, H., (2013), A Study on the Women's Headdress of Yi Nationality in China,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 Wu, X., (2008), The head dress of Yi poeple, Beijing Institute of Fashion Technology, Beijing, China.
  • Wu, G., (2007), Study on the art of the pattern of Yi's people, Kunmi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Kunming, China.
  • Wei, W., (2015), Research on Han-embroidery craft process and productive protection under the creative industry background, South-Central University for Nationalities, Wuhan, China.
  • Wang, Y., (2010), A study of the style and culture of Yi's headdress in Liangshan, Data of Culture and Education, 9, p106-108.
  • Wu, J., (1993), The custom of the Yi in Liangshan, Chengdu, China, Sichuan national press.
  • Xu, X., (2016), A study of fashion design by utilizing the characteristic of female characters' costume, Sungkyunkwan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 Ye, L., (2008), The aesthetic consciousness research of Yi ethnic group's costume, Guizhou University, Guizhou, China.
  • Ye, L., (2009), Yi ethnic group's costume and its own characteristics of the formal beauty, Journal of Bijie University, 7(27), p32-36.
  • You, L., (2013), The study and application of the Liangshan Yi's clothing element in modern fashion design, Zhejiang Sci-Tech University, Hangzhou, China.
  • Yang, Q., (2015), The Design and Application of Yi Nationality Clothing Patterns in Scarves, Zhejiang Sci-Tech University, Hangzhou, China.
  • Zong, S., & Zhou, W., (2008), Yi's clothing in China, Kunming, China, Yunnan group publications.
  • Zhou, L., (1999), Yi's shamanism: Sichuan Liangshan district, Comparative literature research, 5, p55-58.
  • Zhang, Y., (2003), Chinese Festival culture series: The Saizhuang Festival of Yi ethnic group, Hefei, China, Anhui peoples publishing house.

<Fig. 1>

<Fig. 1>
Bi Ma ecclesiastical robe(Cheng, 2007, p. 48)

<Fig. 2>

<Fig. 2>
Outerwear and inner wear with sleeve(Taken in Liangshan Yi national culture museum)

<Fig. 3>

<Fig. 3>
Vest trimmed with rabbit fur(Taken in Liangshan Yi national district)

<Fig. 4>

<Fig. 4>
Chinese knot button made of silver(China Yi national collection editorial committee, 1999, p. 182)

<Fig. 5>

<Fig. 5>
Woolly vest(yizuren.com, n.d.-a)

<Fig. 6>

<Fig. 6>
Collarless round neckline(yizuworld.com, n.d.-a)

<Fig. 7>

<Fig. 7>
Standing collar(Taken in Liangshan Yi national district)

<Fig. 8>

<Fig. 8>
Short Chinese color(yizuworld.com, n.d.-b)

<Fig. 9>

<Fig. 9>
U-shaped hemline(Taken in Liangshan Yi national district)

<Fig. 10>

<Fig. 10>
V-shaped hemline men's top(Su, 2008, p. 31)

<Fig. 11>

<Fig. 11>
Pleated skirt(Taken in Liangshan Yi national fashion show)

<Fig. 12>

<Fig. 12>
Extremely wide legged pants(Taken in Liangshan Yi national fashion show)

<Fig. 13>

<Fig. 13>
Narrow-legged pants(Su, 2008, p. 41)

<Fig. 14>

<Fig. 14>
Wide- legged pants(The 2nd cultural festival for Liangshan Yi national clothing)

<Fig. 15>

<Fig. 15>
Long pijeon made by pleated material(Cheng, 2007, p. 52)

<Fig. 16>

<Fig. 16>
Short pijeon(Su, 2008, p. 37)

<Fig. 17>

<Fig. 17>
Chalawa(Taken in Liangshan Yi national district)

<Fig. 18>

<Fig. 18>
Chalawa ornamented with tassel(Su, 2008, p. 98)

<Fig. 19>

<Fig. 19>
Long headscarf(You, 2004, p. 49)

<Fig. 20>

<Fig. 20>
Square headscarf(Su, 2008, p. 39)

<Fig. 21>

<Fig. 21>
Heroic knot(You, 2004, p. 49)

<Fig. 22>

<Fig. 22>
Tiled turban(Taken in Liangshan Yi national district)

<Fig. 23>

<Fig. 23>
Trapezium turban(Taken in Liangshan Yi national district)

<Fig. 24>

<Fig. 24>
Jiguan hat(Su, 2008, pp. 67, 69)

<Fig. 25>

<Fig. 25>
Hutou hat(Su, 2008, p. 73)

<Fig. 26>

<Fig. 26>
Heye hat(Su, 2008, p. 74)

<Fig. 27>

<Fig. 27>
Luoguo hat(Wang, 2013, p. 42)

<Fig. 28>

<Fig. 28>
Silver conical hat(Taken in Liangshan Yi national culture museum)

<Fig. 29>

<Fig. 29>
Red-tasselled conical hat(Su, 2008, p. 79)

<Fig. 30>

<Fig. 30>
Wanpanbafang hat(Su, 2008, p. 76)

<Fig. 31>

<Fig. 31>
Wanpanbafang hat with ornament(You, 2004, p. 51)

<Fig. 32>

<Fig. 32>
Neck accessory ornamented with silver(Su, 2008, p. 94)

<Fig. 33>

<Fig. 33>
Purse(Su, 2008, p. 103)

<Fig. 34>

<Fig. 34>
The decorative effects of wearing purse(yizuren.com, n.d.-b)

<Fig. 35>

<Fig. 35>
The image of wearing tassel belt(Taken in Liangshan Yi national district)

<Fig. 36>

<Fig. 36>
Men's belt(Su, 2008, p. 108)

<Fig. 37>

<Fig. 37>
Neck-bound accessory(Taken in Liangshan Yi national district)

<Fig. 38>

<Fig. 38>
Shoulder-to-shoulder accessory(Taken in Liangshan Yi national district)

<Fig. 39>

<Fig. 39>
Pteropsida pattern(Su, 2008, p. 117)

<Fig. 40>

<Fig. 40>
Sheep's horn pattern(Su, 2008, p. 118)

<Fig. 41>

<Fig. 41>
Comb pattern(http://rs.bift.edu.cn)

<Fig. 42>

<Fig. 42>
Crab leg pattern(You, 2004, p. 40)

<Fig. 43>

<Fig. 43>
Sun and moon pattern(You, 2004, p. 40)

<Fig. 44>

<Fig. 44>
Whirlpool pattern(Su, 2008, p. 119)

<Fig. 45>

<Fig. 45>
Flint pattern(Su, 2008, p. 117)

<Fig. 46>

<Fig. 46>
ToSa seal pattern(Su, 2008, p. 118)

<Fig. 47>

<Fig. 47>
Photograph of Design 1

<Fig. 48>

<Fig. 48>
Flat sketch of Design 1

<Fig. 49>

<Fig. 49>
Photograph of Design 2

<Fig. 50>

<Fig. 50>
Flat sketch of Design 2

<Fig. 51>

<Fig. 51>
Photograph of Design 3

<Fig. 52>

<Fig. 52>
Flat sketch of Design 3

<Fig. 53>

<Fig. 53>
Photograph of Design 4

<Fig. 54>

<Fig. 54>
Flat sketch of Design 4

<Fig. 55>

<Fig. 55>
Photograph of Design 5

<Fig. 56>

<Fig. 56>
Flat sketch of Design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