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These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ol. 70, No. 4, pp.65-79
ISSN: 1229-6880 (Print) 2287-7827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Aug 2020
Received 14 Jun 2020 Revised 22 Jun 2020 Accepted 20 Jul 2020
DOI: https://doi.org/10.7233/jksc.2020.70.4.065

한국 여자 청소년의 화장이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선우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연구원
Effects of Korean Female Adolescent Makeup on School Adjustment
Sunwoo Kim
Researcher, Research Institute of Human Ec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Sunwoo Kim, e-mail: swkim36@snu.ac.kr

Abstract

In Korean society, older generations consider adolescent makeup deviant behavior, whereas millennials have rapidly accepted makeup as their peer group culture. This generation gap has fueled a generational conflict. In this situati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Korean adolescent makeup on their school adjustment (i.e., learning achievement and relationships with friends). For a rigorous understanding of this relationship, this study developed a research framework that includes the internalization of beauty ideals and body satisfac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s of relevant studies. In total, five hypotheses were established within the research framework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with 107 Korean female adolescents aged 15–17 yea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higher-order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ternalization of beauty ideals negatively affected body satisfaction. Adolescent makeup reinforced by the internalization of beauty ideals improved body satisfaction, which had a suppression effect on the decline in body satisfaction caused by the internalization of beauty ideals. Additionally, both body satisfaction and adolescent makeup positively influenced school adjustment. These results could reduce the generation gap regarding adolescent makeup and provide educational and industrial implications for Korean society.

Keywords:

adolescent makeup, body satisfaction, internalization of beauty ideals, Korean female adolescent, school adjustment

키워드:

청소년 화장, 신체 만족, 사회적 이상미의 내면화, 한국 여자 청소년, 학교 적응

Ⅰ. 서론

최근 한국 사회에서 유투브, 인스타그램, 트위터의 미디어 컨텐츠를 통해 외모 꾸미기 방법을 공유하는 것이 청소년 또래 문화의 축으로 부상하면서, 이전 시대 한국 사회에서 터부시되었던 청소년 화장이 빠른 속도로 보편화되고 있다(Kim, 2019). 화장하는 청소년이 급속히 증가하여, 고등학교 3학년 여학생의 63.1%가 색조 화장품을 사용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었다(Jang & Kim, 2014). 그러나, 청소년 화장의 보편화에도 불구하고, 청소년의 화장에 대한 세대 간의견 수렴은 아직도 진행 중에 있다. 기성 세대들은 청소년 화장을 사회적 일탈 행위로 보고 규제해야 한다고 주장하나(Kim & Kim, 2006), 밀레니얼 세대는 청소년 화장을 신세대의 새로운 또래 문화로 인정해주길 바라고 있다(Hwang & Cheon, 2011; Kim, 2019; Kim & Kim, 2019). 한국 사회에서 청소년 화장에 대한 세대 간 인식의 차이는 청소년 화장에 대한 교육의 방향 설정에도 어려움을 주고 있다. 기성 세대인 교사와 학부모들는 화장하는 청소년을 ‘날라리’로, 청소년 또래 집단은 화장하지 않는 친구들을 ‘범생이’로 낙인찍으며(Hwang & Cheon, 2011), 청소년 화장과 관련된 교육 실행을 지연시켜왔다. 또한, 관련 산업군에서는 신체적, 심리적 성장기에 있는 청소년을 보호할 수 있는 정책이 충분하지 않아, 청소년의 화장이 이들의 건강한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청소년 화장이 이들의 신체 만족, 학업 성취와 교우 관계를 포괄하는 학교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봄으로써, 청소년 화장에 대한 세대 간 합의 도출, 관련 산업의 청소년 보호 정책 수립, 청소년 화장 관련 교육의 방향 설정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성인 여성의 경우, 화장은 식이 조절, 성형같은 위험한 외모 관리 방법에 비해 부작용이 비교적 적으면서도 개인의 고유한 개성을 강화할 수 있는 긍정적 외모 관리 행동으로 간주된다(Kim & Lee, 2018; Roach-Higgins & Eicher, 1992). 또한, 화장과 같은 외모 관리를 통해 심리 문제를 해결하고, 정서 상태를 개선하여 신체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존재한다(Lee, Lee, & Ha, 2016; Yoh, 2015). 반면에, 기존의 한국 사회에서 청소년 화장은 학업에 대한 관심을 저해시키고 비행 청소년 집단과의 융화를 가속시킨다는 이유로 금기되어 왔다(Kim & Kim, 2006). 화장이라는 동일한 외모 관리 방법이 행동 주체의 연령대와 사회적 신분에 따라 사회적으로 다르게 인식되는 현 상황에서, 본 연구는 청소년 화장이 이들의 신체 만족과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여 청소년 화장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한다.

청소년 화장의 영향력을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 청소년 화장 전파의 선행 요소임과 동시에 이들의 신체 만족에도 영향을 미치는 미디어를 통해 확산되는 이상미의 내면화 현상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사회적 이상미의 내면화란 미디어를 통해 확산된 현실에서 실현되기 어려운 이상적인 미의 기준을 승인하여 개인의 가치로 수용하고 내면화함으로써 자신의 평가 기준으로 삼는 것을 말한다(Heinberg, Thompson, & Stormer, 1995). 급격히 신체가 변화하고 성장하는 청소년들은 일생 중 외모의 중요성을 가장 크게 인식하며, 이 때 형성된 신체 이미지는 성인기의 신체인식과 자기 개념 형성에까지 영향을 미친다(Lee, 2008; Rosenberg, 1989). 그러나, 외모에 대한 절대적인 평가 기준이 없기 때문에, 신체 이미지는 외모에 대한 사회적 고정관념에 영향을 받아 형성된다(Rudd & Lennon, 2001). 현대 사회에서 외모에 대한 사회적 고정관념 형성에 미디어가 큰 영향을 미치며(Silverstein, Perdue, Peterson, & Kelly, 1986; Thompson & Heinberg, 1999), 이러한 고정관념은 행복, 성공과 같은 긍정적인 상징과 결합되어 파급력이 강화된다(Evans, 2003; Rhode, 2010). 특히 청소년들은 타 연령대에 비해 미디어가 전달하는 정보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미디어를 통해 전파되는 사회적 이상미 내면화로 인한 부작용도 성인에 비해 더 크게 경험할 수 있다(Tiggemann & Pickering, 1996).

이상의 논의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대한민국 여자 청소년의 화장이 이들의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관련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미디어를 통해 확산되는 사회적 이상미의 내면화와 신체 만족을 포함하는 연구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도출된 연구 가설을 통계적 절차를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미디어를 통해 전파되는 이상미의 내면화와 이로 인해 확산된 청소년 화장이 청소년의 신체 만족과 학교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청소년 화장에 대한 교육적, 산업적 방향 수립과 청소년 화장에 대한 세대 간 합의 도출에도 기여 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Ⅱ. 선행 연구 분석과 가설 도출

1. 사회적 이상미의 내면화와 청소년 화장

사회적 이상미는 사회에 속한 구성원에게 내재화되어 각 개인의 미에 대한 수용과 기호를 결정하고, 전반적인 자기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Trekels, Eggermont, Koppen, & Vandenbosch, 2018). 최근 다양한 소셜 미디어의 등장으로 인해 미디어 매체가 다양화되면서, 현대인들은 일상적이고 반복적으로 미디어가 생산하는 정보에 노출되며(Kleemans, Daalmans, Carbaat, & Anschütz, 2018), 무의식 중에 미디어를 통해 노출된 이상미를 내면화하여 자신의 외모를 관리하고 신체를 평가하고 있다(Engeln-Maddox, 2006; Reddy, 2013).

미디어를 통해 확산된 사회적 이상미의 내면화는 청소년에게 더 강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청소년들은 이에 따른 부작용도 더 크게 경험할 수 있다. 미디어 노출이 여성의 신체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메타 분석을 통해 분석한 Grabe, Ward, & Hyde(2008)의 연구에 의하면, 10~18세의 여자 청소년 집단에서 미디어 노출이 사회적 이상미의 내면화에 영향을 미친 반면, 19~32세의 젊은 성인 여성 집단에서는 이러한 영향력이 통계적으로 검증되지 않았다. 현대 사회에서 미디어는 현실에서 실현되기 어려운 왜곡된 이상미를 전파하기 때문에(Grabe et al., 2008), 청소년들이 왜곡된 사회적 이상미를 내면화하게 되면 위험한 외모 관리 행동, 외모에 대한 과도한 집착, 그릇된 자의식 형성, 신체 불만족 증대와 같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Thompson & Heinberg, 1999; Tiggemann & Pickering, 1996). 또한, 청소년기 피부는 여드름과 같은 피부 트러블이 잦고 학교 생활이 청소년의 삶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미디어에 의해 형성된 왜곡된 이상미를 내면화하게 되면 피부에 부담을 주는 과도한 화장, 학교 생활에 맞지 않는 어색한 화장을 할 수 있어 청소년의 건강한 화장 습관 형성을 저해할 수 있다.

인간 아름다움에 대한 인식은 미디어와 같은 사회매체에 의해 형성된 문화적 산물이며, 인간은 다양한 외모 관리 행동을 통해 사회적 이상미에 부합하는 신체를 만들기 위해 노력해왔다(Thompson & Heinberg, 1999). 다양한 외모 관리 행동 중에서도, 화장은 화장품을 피부에 도포하여 얼굴의 형태나 컬러를 비영구적 변형시키는, 한시적 효과가 있는 일상적 행동이다(Lee, Kwon, & Lee, 2018; Reilly & Rudd, 2009). 특히, 화장은 문신, 피어싱과 같은 장식이나 성형같이 영구적으로 신체를 변형시키는 외모 관리 방법에 비해 신체에 가하는 위험이 적다(Roach-Higgins & Eicher, 1992). 또한, 화장은 신체의 외형적 변화를 넘어서는 사회 심리적 변신(psychosocial transformation)의 기능을 수행한다(Rudd, 1997). 사회의 구성원인 인간은 화장을 통해 사회적인 이상미에 가깝도록 신체를 변화시키며, 이러한 변화는 사회적으로 유용한 인상 형성에 기여한다(Leary, Tchividjian, & Kraxberger, 1994; Lee et al., 2018). 화장이 자아를 구성하고 변화시킨다고 본 Rudd(1997)는, 화장은 신체를 새롭게 구성하여 사회적 이상미에 가까운 신체를 창조하며, 새롭게 창조된 신체는 화장 시행자의 자아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개선시킨다고 주장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기반으로 하였을 때, 미디어를 통해 사회적 이상미를 내면화한 여자 청소년들은 자신의 신체를 사회적 이상미에 가깝게 변화시키기 위해 적극적으로 화장을 시행할 것으로 생각된다. 미디어 노출과 사회적 이상미의 내면화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선행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도 이러한 관련성을 유추해 볼 수 있다. Yoo & Kim(2010)은 미국 남녀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미디어 노출이 화장품 사용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는데, 미디어에 더 많은 영향을 받은 청소년들은 그렇지 않은 청소년에 비해 헤어 스타일링 화장품과 염모제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im & Wee(2015)은 한국 남녀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Heinberg et al.(1995)가 제시한 사회적 이상미에 대한 인식과 내면화가 이들의 헤어 스타일, 얼굴, 체중, 청결관리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여학생의 경우 중, 고등학생 집단 모두에서 사회적 이상미의 내면화가 헤어스타일과 얼굴 관리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얼굴관리는 성인용 화장품의 사용과 얼굴 부위의 성형시행을 포함하고 있었다. 이상의 논의를 기반으로, 다음의 가설 1이 도출되었다.

가설 1. 대한민국 여자 청소년 집단에서, 사회적 이상미의 내면화는 청소년 화장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2. 신체 만족

청소년기에는 자아에 대한 인식이 강화되고 외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며 신체가 급속히 성장하여 변화하기 때문에(Yu & Jung, 2018), 청소년들은 자신의 신체 변화에 당황하고 불안감을 느낄 수 있다(Rosenberg, 1989). 이 시기에 형성된 신체 인식은 자아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 성인기 삶의 행복에까지 장기간에 걸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Steiger, Allemand, Robins, & Fend, 2014), 청소년기에 긍정적인 신체 인식을 형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한국 사회에서는 외모에 수반되는 강력한 사회적 권력과 획일화된 미의 기준으로 인해, 미디어에 의해 노출되는 미의 기준을 내면화하는 경향이 타 문화권에 비해 강하게 나타난다(Kim & Lee, 2018). 특히 청소년들은 성인에 비해 미디어를 통해 전파되는 사회적 이상미를 내면화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Grabe et al., 2008), 미디어를 통해 접한 이상적인 외모와 동일시되고자 하는 강한 욕구를 갖고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이러한 이상미는 현실에서 실현되기 어려운 왜곡된 형상에 가깝기 때문에, 사회적 이상미를 내면화하는 경향이 강할수록 이상미와는 거리가 먼 자신의 신체에 대해 불만족하게 될 것이라 예측된다(Grabe et al., 2008; Kleemans et al., 2018; Tiggemann & Pickering, 1996). 실제로, 미디어에 의해 형성된 이상미의 내면화가 신체 만족에 미치는 부적 영향력은 다양한 선행 연구를 통해 검증된바가 있다(Grabe et al., 2008; Jun & Lee, 2014; Silverstein et al., 1986; Tompson & Heinberg, 1999; Yu & Jung, 2018). 특히, Yu & Jung(2018)은 여성 집단을 대상으로 미디어의 이상적 이미지 노출이 자아 인식과 신체 만족에 부적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검증하였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가설 2a를 도출하였다.

가설 2a. 대한민국 여자 청소년 집단에서, 사회적 이상미의 내면화는 신체 만족에 부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청소년 화장 역시 이들의 신체 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어, 본 연구는 유사한 주제를 다룬 선행 연구들을 통해 이러한 영향력을 유추해보았다. 화장, 패션 스타일링과 같은 외모 관리 행동의 심리적 치료 효과를 살펴본 패션 테라피 연구들은 외모 관리 행동이 시행자의 실질적, 이상적 자아 이미지를 모두 개선시켜 외모와 신체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킨다고 주장하였으므로(Lee et al., 2016; Shin & Lee, 2000; Yoh, 2015), 외모 관리 방법 중 하나인 화장 역시 청소년의 신체 만족도를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유추된다. 화장이 화장 시행자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직접적으로 살펴본 연구들도 시행 되었다. Kim & Kim(2019)은 대한민국 여중생들의 화장에 대한 인식과 사용 실태를 살펴본 연구를 통해, 청소년 화장이 이들의 자신감을 상승시켜 신체 만족도를 함께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화장의 긍정적 효과에 대해 밝힌 Kim & Kim(2005)은 화장의 여러 긍정적 효과 중 신체 만족을 언급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유추해본 결과, 본 연구는 다음의 가설 2b를 도출하였다.

가설 2b. 대한민국 여자 청소년 집단에서, 청소년 화장은 신체 만족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3. 학교 적응

학교는 청소년의 심리적 건강과 관련된 중요한 장소임과 동시에, 교육과 학습을 통해 지적 역량을 발달시키고, 사회에서의 유능감과 소속감과 경험하며, 부모가 아닌 다른 어른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곳이기 때문에, 청소년의 삶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Vieno, Santinello, Pastore, & Perkins, 2007). 학교 적응은 청소년이 학교에서의 교육 프로그램과 교육 이외의 부가 활동을 통해 개인의 욕구를 합리적으로 해결하여 만족을 느끼며, 교사 및 학생들과 원활한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는 정도를 의미한다(Yoon & Wee, 2010). 학교와 학교 적응이 청소년의 일상 생활에서 차지하는 중요성 때문에,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연구에서 학교 적응의 개념을 다루어왔다. 이들 연구들은 대체로 학교 적응을 하위 차원으로 구성된 다차원적 개념으로 접근하기 보다, 학교 적응의 포괄적인 개념을 연구에 적용시켜왔다(Han & Kim, 2010; Jang & Song, 2004). 그러나, 이러한 접근은 학교 적응의 개념을 구성하는 다양한 차원의 효과를 연구에 반영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Lee & Kim(2008)은 대한민국 중학생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통해, 학업 성취, 교우 관계, 교사와의 관계, 학교 생활로 구성된 학교 적응의 차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Lee & Kim(2008)이 제시한 학교 적응의 네 가지 하위 차원 중 학업 성취와 교우 관계에 주목하였다. 한국의 기성 세대들은 청소년 화장을 학업 성취를 저해하는 요소로 간주하여 부정적으로 인식해온 것에 반해(Kim & Kim, 2006), 밀레니얼 신세대에게 화장은 또래 문화의 한 분야이며 원활한 교우 관계를 강화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Hwang & Cheon, 2011). 이처럼, 청소년의 화장에 대해 상반되는 세대 간 인식이 실제 학교에서는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해보고자,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교 적응을 학업 성취와 교우 관계로 구성된 다차원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 사회에서 청소년 화장이 이들의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적으로 검증한 선행 연구가 다수 존재하지는 않기 때문에, 본 연구는 몇몇 유사한 연구 설계를 보인 선행 연구의 결과를 통해 청소년 화장이 이들의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유추하였다. 밀레니얼 세대의 화장과 관련된 선행 연구에 의하면, Kang(2014)은 학교 생활이나 학문적 수행과 관련된 학문적 역량이 청소년 화장과 정적 관련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Kim & Kim(2019)의 연구에서는 학교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이 외모에 대한 높은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화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소년의 화장이 이들의 자신감을 상승시킨다는 점을 발견했다. 청소년의 자신감 상승이 학업 성취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하였을 때(Di Giunta, Alessandri, Gerbino, Kanacri, Zuffiano, & Caprara, 2013; Jo, 2011; Lee, 2011; Parker, Marsh, Ciarrochi, Marshall, & Abduljabbar, 2014), 청소년 화장은 학업 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Kang(2014)은 친구와의 상호 작용과 관련된 학교에서의 사회적 역량과 청소년 화장 간에 정적 관련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여중생의 화장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를 수행한 Hwang & Cheon(2011)은 청소년 화장이 즐거움을 제공하는 우정의 매개체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을 통해, 청소년의 화장이 원활한 교우 관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종합하였을 때, 대한민국 밀레니얼 세대 청소년의 화장은 이들의 학업 성취와 교우 관계 모두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이들의 학교 적응을 향상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다음의 가설 3a가 도출되었다.

가설 3a. 대한민국 여자 청소년 집단에서, 청소년 화장은 학업 성취도와 교우 관계의 하위 범주로 구성되는 학교 적응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청소년의 신체 만족과 학교 적응 간의 관련성을 다룬 선행 연구들은, 이들의 정적 관련성을 주장하였다. 다문화 가정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Han & Kim(2010)은 외모에 민감한 청소년기의 신체 만족도가 학교 적응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였다. Jang & Song(2004)은 신체에 대한 만족이 자아 존중, 타인과의 관계, 지도력과 인기 등에 정적 영향을 미쳐, 궁극적으로 학교 적응에도 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종합하면, 청소년들이 자신의 신체에 만족하게 되면 긍정적으로 자아를 인식하여 자아 존중감, 자아 효능감이 상승하기 때문에, 자신감있게 학교 생활에 적응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따라서, 다음의 가설 3b가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이상과 같이 도출된 총 5개의 연구 가설을 기반으로 다음의 <Fig. 1>과 같은 연구 모형이 도출되었다.

가설 3b. 대한민국 여자 청소년 집단에서, 신체 만족은 학업 성취도와 교우 관계의 하위 범주로 구성되는 학교 적응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Fig. 1>

Research Framework and Hypothesis Development


Ⅲ.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와 샘플 특성

본 연구는 마케팅 조사 업체의 패널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을 통해 2019년 1월 25일부터 일 주일 간 자료를 수집하였다. 대한민국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15~17세 여자 청소년 153명이 설문에 참여하였으며, 그 중에서 모든 문항에 성실히 응답한 107명의 응답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응답자의 연령은 15세가 19명(17.7%), 16세가 24명(22.4%), 17세가 64명(59.8%)로 나타났으며, 학년대는 중학교 2학년에서 고등학교 2학년까지 분포되었다. 설문 참가자의 평균 나이는 16.4세였다. 거주 지역은 서울이 47명(43.9%), 경기 지역이 60명(56.1%)의 비중을 보였다. 100명의 응답자(93.5%)가 자신의 가족이 경제적 중산층에 속한다고 응답하였으며, 한달 용돈으로 평균 6.49만원을, 한달에 화장품 구입을 위해 평균적으로 1.85만원을 지출한다고 응답하였다. 29명(17.1%)의 응답자는 자신의 성적이 상위권이라고 응답하였으며, 58명(54.2%)과 20명(18.7%)은 각각 자신의 성적이 중위권과 하위권이라고 응답하였다.

2. 측정 도구

본 연구는 연구 모형의 통계적 검증을 위해 설문지 기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미디어를 통해 형성된 사회적 이상미의 내면화는 Heinberg et al. (1995)이 개발한 SATAQ(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s appearance questionnaire) 척도의 내면화(internalization) 요인 중 본 연구의 상황에 맞는 세 문항을 선정하여 측정하였다. 청소년 화장은 대한민국 중고등학교 여학생의 뷰티 행동을 살펴본 Seol & Choi(2010)의 연구에 사용된 화장 행동과 화장 관여를 측정하는 세 문항을 본 연구의 상황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측정하다. 청소년의 신체 만족는 미디어에 노출된 젊은 여성의 자아 존중감과 신체 만족을 살펴본 Yu & Jung(2018)의 연구 중 신체 만족을 측정하는 세 문항을 본 연구의 상황에 맞게 수정하여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학교 적응은 Lee & Kim(2008)이 대한민국 청소년을 대상으로 개발한 학교적응 척도의 하위 차원 중 학업 성취와 교우 관계문항을 본 연구의 상황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측정하였다. 모든 문항은 5점 리커트 척도로 측정되었다.

3. 자료 분석

수집된 데이터는 SPSS, AMOS 통계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확인적 요인 분석, 고차 요인 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 모형을 구성하는 구성 개념의 신뢰성와 타당성 확인을 위해,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해 구성개념의 수렴 타당성(convergent validity)과 판별 타당성(discriminant validity)을 확인하였으며, 크론바하의 α(Cronbach’s α) 값을 통해 신뢰성(reliability)을 검증하였다. 확인적 요인 분석은 공분산 행렬(covariance matrix)을 통해 각 구성 개념의 측정 모델(measurement model)을 검증하였으며, 모형 적합성 확인을 위해 Hair, Black, Babin, Anderson, & Tatham (2006)가 제시한 X2 값, p-value, df(degree of freedom), GFI(goodness of fit index), NFI(normed for index), RFI(relative fit index), CFI(comparative fit index), RMSEA(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 지수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청소년의 학교 적응 변수는 학업 성취와 교우 관계의 두 가지 차원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2차 이상의 요인들로 이루어진 모형 분석에 적용되는 고차 요인 분석이 시행되었다(Lee & Lim, 2011). 여러 차원으로 나뉘어지는 문항들을 하나의 구성 개념에 모두 대입하는 경우에 구성 개념에 대한 설명이 불완전해지고 다양한 하위 구성 개념의 기여도를 파악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Koufteros, Babbar, & Kaighobadi, 2009). 하나의 구성 개념이 2차 요인 구조로 구성된 개념을 측정하기 위해, 본 연구는 우선 연구 모형을 단일 차원 구조로 변환하여 1차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시행하고, 측정 항목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을 평가하였다. 이어서, 평가된 1차 요인들의 측정값을 2차 요인의 측정 지표로 사용하여 2차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시행하였으며(Seo, Lee, & Kee, 2014), 이를 통해 2차 요인 구조의 타당성을 평가하였다. 최종적으로, 두 차례의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해 도출된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하고, 구성 개념 간 경로를 분석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Ⅳ. 연구 결과

1. 구성 개념의 신뢰성과 타당성 확인

구성 개념의 신뢰성과 타당성 확인을 위해, 크론바하의 α값을 이용하여 신뢰성이 검증되었으며, 수렴 타당성과 판별 타당성의 확인을 위해 확인적 요인 분석이 시행되었다. 신뢰성 충족을 위해, 각 구성 개념 별 크론바하의 α 값이 Hair et al.(2006)가 제시한 통상적 기준인 0.7 이상인지 확인하였으며, 모든 값은 .855~.941 로 나타나 기준치를 상회하였다.

구성 개념의 수렴 타당성은 요인 부하량의 크기와 평균 분산 추출값(average variance extracted: AVE), 잠재요인 신뢰도(construct reliability: CR) 값의 크기를 통해 검증되었으며, 이를 위해 학교 적응의 두 차원인 학업 성취와 교우 관계를 독립된 구성 개념으로 보는 1차 확인적 요인 분석과, 학교 적응의 상기 두 차원을 학교 적응의 하위 차원으로 대입한 고차 요인 분석이 차례로 시행되었다. 우선, 구성 개념이 측정 항목들을 설명하는 표준화 요인 부하량 값과 이들 값의 유의 수준을 확인하였다. 표준화 요인 부하량 값은 .658~.998 사이로 나타났으며, 이들 값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었다. 학업 성취와 교우 관계의 하위 차원으로 구성된 학교 적응의 고차 요인분석 결과의 경우, 두 하위 차원의 표준화 요인 부하량 값이 각각 .751과 .711로 나타나, 두 하위차원이 학교 적응에 대해 갖는 설명력이 유사한 수준임이 밝혀졌다. AVE는 표준화 요인 부하량을 제곱한 값들의 평균을 의미하며 그 크기가 .5이상일때 수렴 타당성을 만족시키는데(Bagozzi & Yi, 1988), 본 연구의 AVE값은 .535~.880사이로 나타나 만족할 만한 수준의 수렴 타당성을 보였다. CR은 표준화 요인 부하량과 오차 분산 값으로 계산하며, 그 값이 .6이상이면 수렴 타당성을 만족시킨다(Bagozzi & Yi, 1988). 본 연구에서는 CR 값이 .743~.974사이의 값을 보여 만족할 만한 수준의 수렴 타당성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1차 확인적 요인 분석과 고차 요인 분석의 모형 적합도 확인을 위해 Hair et al.(2006)이 제시한 지수들을 확인하였으며, 이들은 모두 Bagozzi & Yi(2012)가 제시한 기준에 부합하는 만족스러운 수준의 모델 적합도를 보였다. 지금까지 살펴본 지수들과 각 구성 개념의 측정 문항은 다음의 <Table 1>에 기술되어 있다.

The Results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구성 개념이 다른 구성 개념과 서로 명확히 구분 되는가를 나타내는 판별 타당성는 두 잠재 요인 각각의 AVE값과 그 두 잠재 요인 간의 상관 관계 제곱근 값을 비교하여 파악할 수 있다. 이들 지표들은 다음의 <Table 2>에 기술되어 있는데, 각 구성 개념들 간의 상관 계수 제곱값은 .000~.178 사이에 분포하고, AVE값은 .692 이상으로 상관 계수의 제곱값을 상회한다. 따라서 각 구성 개념 간의 다중공선성이 의심되지 않아 만족할만한 수준의 판별 타당성이 확인되었다. 이상과 같은 구성 개념의 신뢰성, 타당성 검증을 기반으로, 본 측정 모델 기반의 가설 검증이 시행되었다.

Inter-Construct Correlation Estimates

2. 가설 검증

연구 가설의 검증을 위해 구조 방정식 모형 분석이 시행되었으며, Hair et al.(2006)가 제시한 지수들을 기반으로 모형의 적합성이 판정되었다. 지수들은 X2=52.864, df=70, GFI=.922, NFI=.960, RFI=.949, CFI=.998, RMSEA=.068의 값을 보여, 수용할만한 수준을 보였다(Bagozzi & Yi, 2012).

가설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회적 이상미의 내면화는 청소년 화장에 정적 영향을 미쳐(β=0.315, p=0.004), 가설 1이 지지되었다. 이는 사회적 이상미를 내면화하는 정도가 강할수록 청소년의 화장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회적 이상미의 내면화와 청소년 화장이 이들의 신체 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가설 2a와 2b에서는, 사회적 이상미의 내면화가 신체 만족에 부적 영향력을(β=-.514, p=0.000), 청소년 화장이 신체 만족에 정적 영향력을 보여(β=0.205, p=0.042), 두 가설이 모두 지지되었다. 가설 1, 2a, 2b을 포괄적 관점에서 살펴보면, 이들 가설들은 사회적 이상미의 내면화가 청소년의 신체 만족에 미치는 직접 효과(가설 2a)와 이러한 효과에 대한 청소년 화장의 간접 효과(가설 1, 가설 2b)를 나타낸다. 사회적 이상미의 내면화가 청소년의 신체 만족에 강한 부적 효과를 보였으나(가설2a: β=-.514, p=0.000), 사회적 이상미의 내면화가 청소년 화장 행동에 미치는 영향(가설 1: β=0.315, p=0.004)과 청소년 화장이 신체 만족에 미치는 영향(가설 2b: β=0.205, p=0.042)은 모두 정적으로 나타나는 비일관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직접효과와 간접 효과의 부호가 다르고 그로 인해 총효과보다 직접효과의 크기가 큰 비일관적 효과(inconsistent effect) 혹은 억제 효과(suppression effect)가 발생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Kim & Kim, 2020). 이와 같은 상황에서 청소년 화장의 억제 효과에 주목할 만한데, 이는 청소년 화장이 청소년의 신체 만족도를 저하시키는 사회적 이상미의 내면화에 의해 강화되지만 오히려 청소년의 신체 만족도를 회복시키는 효과를 보였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청소년이 사회적 이상미를 내면화하게 되면 자신의 신체에 대한 만족도가 저하되지만, 사회적 이상미의 내면화로 인해 증가된 화장 시행은 신체 만족도 저하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청소년 화장과 신체 만족이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 가설 3a와 3b는, 청소년 화장(β=0.353, p=0.005)과 신체 만족(β=0.363, p=0.002) 모두 학교 적응에 정적 영향력을 보여, 두 가설이 모두 지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 화장이 이들의 학교 적응에 도움이 되고, 청소년이 자신의 신체에 만족할수록 학교 생활에 더 잘 적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서의 학교 적응은 학업 성취와 원활한 교우 관계를 모두 내포하는 의미이다. 이상과 같이 살펴본 연구 가설 검증의 세부 내용은 다음의 <Table 3>, <Fig. 2>와 같다.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ig. 2>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V. 결론 및 제언

1. 연구 요약 및 결론

본 연구는 대한민국 기성 세대와 밀레니얼 세대간 인식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있는 청소년 화장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미디어를 통해 확산된 이상미의 내면화가 청소년 화장과 신체 만족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 화장이 청소년의 신체 만족과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총 5개의 연구 가설을 통해 살펴보았다. 자료의 수집을 위해 대한민국 15~17세 여자 청소년 10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시행하였으며, 확인적 요인 분석, 고차 요인 분석,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을 통해 연구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를 통해 미디어를 통해 확산된 사회적 이상미의 내면화가 청소년의 신체 불만족을 강화시키는 요인임이 밝혀졌다. 또한, 청소년 화장은 사회적 이상미의 내면화에 영향을 받아 강화되지만 사회적 이상미의 내면화로 인해 나타나는 청소년의 신체 불만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최근 한류가 전 세계로 확산되면서 미디어에 등장하는 연예인의 아름다운 외모를 동경하고 모방하는 현상이 한국 사회에 나타나고 있다(Kim & Lee, 2018). 이러한 상황에서, 외모에 대한 관심이 많은 청소년이 미디어에서 접한 현실에서 실현되기 어려운 비현실적인 이상미를 내면화하게 되었을 때, 사회적 이상미에 가깝게 신체를 변화시키기 위해 화장 행동은 증가하고, 자신의 신체에 불만족하는 정도는 강화되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반면에, 청소년 화장이 신체 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사회적 이상미의 내면화로 인한 청소년의 신체 만족 저하를 억제하였다는 점은 주목할 만 한데, 이는 화장을 포함하는 외모 관리 행동이 신체 인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 선행 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Kim & Kim, 2005; Kim & Kim, 2019; Lee et al., 2016; Shin & Lee, 2000; Yoh, 201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청소년이 화장을 한다는 것 자체를 문제삼기 보다는 청소년의 신체 만족 저하에 강력한 부적 효과를 보인 사회적 이상미의 내면화를 막을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해 보인다. 아직 신체적, 정신적 성장기에 있는 청소년이 현실에서 실현되기 어려운 왜곡된 이상미를 내면화하여 자신의 신체에 만족하지 못하고, 왜곡된 이상미에 가깝게 신체를 변화시키기 위해 때와 장소에 어울리지 않는 과도한 화장, 피부 건강을 해치는 화장을 무차별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더 문제의 소지를 갖고 있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문제 해소를 위해, 청소년 화장을 단순히 억압하고 규제하기 보다는 미디어를 통해 왜곡된 이상미가 청소년에게 내면화되지 않도록 사회적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특히, 왜곡된 사회적 이상미의 내면화는 청소년의 신체 불만족을 강화하여 성장기에 있는 청소년의 건강한 신체상 형성을 저해하므로, 산업적, 교육적 차원의 노력을 기울여 이들이 건강한 자아와 신체상 형성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

청소년 화장과 신체 만족은 모두 이들의 학업 성취와 원활한 교우 관계를 포괄하는 학교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업성취와 교우 관계는 학교 적응에 유사한 수준의 설명력을 보이는 하위 차원인 것으로 나타나, 청소년의 원활하고 행복한 학교 생활을 위해서는 공부를 잘하는 것과 친구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것 모두가 중요한 요소임이 확인되었다. 학업 성취 저하는 대한민국의 기성 세대들이 청소년의 화장을 반대하는 주요 이유 중 하나이므로, 청소년 화장이 이들의 학업 성취를 포함하는 학교 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 결과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더불어, 청소년 화장이 학교에서의 원활한 교우 관계를 포함하는 학교 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결과는 청소년 화장이 청소년들의 핵심 또래 문화로 부상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시사점은 청소년 화장이 이들의 학업 성취를 저해하여 학교 생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해 온 기성 세대에게 신세대 청소년의 화장은 자신이 청소년이었던 시대와는 다른 역할과 의미가 있다는 점을 확인시켜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밀레니얼 청소년의 화장은 더 이상 일부 비행 청소년의 일탈 행동이 아니며 오히려 이들의 학교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밝혀졌으므로, 본 연구가 한국 사회의 여러 세대를 아우르는 청소년 화장에 대한 새로운 사회적 합의 도출에 기여하길 바라본다. 더불어, 청소년의 신체 만족이 이들의 학교 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확인되었으므로, 청소년의 건강한 신체상 확립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산업적, 사회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2. 산업적, 교육적 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청소년의 왜곡된 사회적 이상미 내면화 지양, 긍정적인 신체상 함양, 건강하고 적절한 화장 습관 형성을 위한 산업적, 교육적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우선, 현대 사회에서 사회적 이상미는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형성되므로, 미디어 컨텐츠를 생산하는 문화 산업은 건강한 사회적 이상미 형성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미디어 산업은 건강을 해치는 지나친 성형과 다이어트, 외모 만능주의, 외모의 권력화, 지나치게 마른 체형의 이상화를 포함하는 문화 컨텐츠 제작을 지양하여, 사회적 이상미가 왜곡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특히, 청소년들이 쉽게 동질감을 느낄 수 있는 청소년 연예인들의 과도한 신체 노출과 성 상품화된 이미지 확산은 청소년에게 왜곡된 사회적 이상미를 내면화시키는 기폭제 역할을 하므로(Hwang & Cheon, 2011),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제도적 노력도 필요하다.

청소년 교육을 담당하는 교육계는 청소년이 왜곡된 이상미에 영향받지 않고, 건강한 신체상을 함양하며, 건강하고 적절한 화장 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행할 수 있다. 이러한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미디어를 통해 접한 사회적 이상미의 기준이 과도한 성형과 다이어트, 외모관리 전문가의 관리, 이미지 보정을 기반으로 달성된 것이기 때문에(Mears, 2008), 현실에서 실현되기 어렵게 왜곡되어 있다는 것을 청소년에게 인지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청소년이 왜곡된 사회적 이상미 추구를 지양하고, 청소년 개개인이 갖고 있는 외모의 다양성을 인정하며, 자신만의 개성 있는 아름다움을 개발하여, 건강하고 아름다운 성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Ruth, 2017). 또한, 청소년의 화장을 사회적으로 금기시하기 보다는, 처음 화장을 시작하는 청소년들이 화장을 통해 건강하고 올바르게 신체 만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컨텐츠가 개발되어야 한다. 실제로, 뉴욕시는 2013년에 10대 소녀들의 건강한 신체상 함양을 목표로 하는 NYC girls’ project를 시행하여 긍정적 성과를 달성하였으며(Hartocollis, 2013; Staff, 2013), 해외의 학계에서는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시행하여 소기의 성과를 달성하였다(McVey & Davis, 2002; McVey, Davis, Tweed, & Shawl, 2004; O’Dea & Abraham, 2000). 국내 연구자의 경우, Lee(2015)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패션 스타일링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러한 교육이 이들의 긍정적 정서를 함양시키고 신체 만족도를 상승시킨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3. 연구의 의의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청소년 화장이 학업 성취와 교우 관계의 하위 범주로 구성된 학교 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여, 청소년 화장이 일부 비행 청소년의 일탈 행동이 아닌 밀레니얼 세대의 새로운 또래 문화임을 밝혔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청소년 화장에 대한 대한민국 사회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화를 기반으로 청소년 화장에 대한 세대 간 합의 형성을 기대해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청소년이 화장을 하는 현상 그 자체를 문제시하기 보다는, 사회적으로 만연한 왜곡된 이상미를 청소년들이 내재화하지 않도록 돕는 것이 우선시되어야 함을 밝혔다. 이를 위해서는 청소년의 건강한 신체 인식 함양과 왜곡된 사회적 이상미의 내재화 지양을 목표로 하는 청소년 대상의 교육 프로그램과 청소년 보호를 위한 미디어 산업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학교 적응의 개념에 포괄적인 관점에서 접근했던 선행 연구와 달리, 고차 요인분석을 통해 학교 적응의 개념을 학업 성취와 교우 관계의 하위 차원으로 구성된 다차원적 개념으로 접근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업 성취와 교우 관계가 학교 적응에 대해 유사한 정도의 설명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두 하위 차원 모두가 청소년의 원활한 학교 생활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이 밝혀졌다. 청소년의 화장이 이들의 학업 성취를 저해한다고 생각하는 기성 세대와 청소년 화장을 교우 관계를 강화하는 또래 문화로 인식하는 청소년 세대의 인식 차이가 존재하는 현 상황에서, 이러한 접근을 통해 두 세대의 관점을 모두 연구에 적절하게 반영할 수 있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이상과 같은 연구의 의의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연구 모형의 구성에 있어 청소년 화장과 좀 더 밀접한 관련이 있을 수 있는 요인들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였다는 아쉬움이 있다. 인간의 아름다움(human beauty)은 얼굴과 몸의 매력(face and body attractiveness)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을 감안하였을 때(Alicke, Smith, & Klotz, 1986), 청소년의 화장은 본 연구에서 살펴본 신체 만족보다는 얼굴의 매력 인식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 살펴보지 못한 청소년 화장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측되는 연구 변수들을 후속 연구를 통해 살펴볼 것을 제안한다. 더불어, 본 연구 결과는 15~17세로 제한된 여자 청소년만을 대상으로 도출된 것이기 때문에, 연구 대상을 다변화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청소년 화장에 대해 남녀 청소년의 인식이 다를 수 있으므로, 남성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최근 화장을 시작하는 청소년의 연령대가 점차 낮아져 다수의 초등학생이 화장을 시도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으므로(Kang, 2014), 연구의 대상을 다양한 연령대의 여자 청소년으로 확장시킨 후속 연구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청소년 화장에 대한 기성 세대와 신세대의 인식 차이를 줄이기 위해서 청소년 화장에 대한 기성 세대의 인식을 파악할 수 있는 후속 연구도 진행되길 기대해본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7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7S1A5B5A07063136)

References

  • Alicke, M., Smith, R., & Klotz, M. (1986). Judgments of physical attractiveness: The role of faces and bodie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12(4), 381-389. [https://doi.org/10.1177/0146167286124001]
  • Bagozzi, R. P. & Yi, Y. (1988).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6(1), 74-94. [https://doi.org/10.1007/BF02723327]
  • Bagozzi, R. P. & Yi, Y. (2012). Specification, evaluation, and interpretation of stu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40(1), 8-34. [https://doi.org/10.1007/s11747-011-0278-x]
  • Di Giunta, L., Alessandri, G., Gerbino, M., Kanacri, P. L., Zuffiano, A., & Caprara, G. V. (2013). The determinants of scholastic achievement: The contribution of personality traits, self-esteem, and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27, 102-108. [https://doi.org/10.1016/j.lindif.2013.07.006]
  • Engeln-Maddox, R. (2006). Buying a beauty standard of dreaming of a new life? Expectations associated with media ideals.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30(3), 258-266. [https://doi.org/10.1111/j.1471-6402.2006.00294.x]
  • Evans, P. (2003). “If only I were thin like her, maybe I could be happy like her” The self-implications of associatiing a thin female ideal with life success.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7(3), 209-214. [https://doi.org/10.1111/1471-6402.00100]
  • Grabe, S., Ward, L. M., & Hyde, J. S. (2008). The role of the media in body image concerns among women: A meta-analysis of experimental and correlational studies. Psychological Bulletin, 134(3), 460-476. [https://doi.org/10.1037/0033-2909.134.3.460]
  • Hair, J. F., Black, W. C., Babin, B. J., Anderson, R. E., & Tatham, R. L. (2006). Mulltivariate data analysis (6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Prentice Hall.
  • Han, H.-R. & Kim, H.-S. (2010). The effect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appearance consciousness on school adoption among the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The mediating role of fashion conformity. Korean Education Inquary, 28(2), 61-76.
  • Hartocollis, A. (2013, September 30). City unveils campaign to improve girls’ self-esteem.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from https://www.nytimes.com/2013/10/01/nyregion/city-unveils-a-campaign-to-improve-girls-self-esteem.html
  • Heinberg, L. J., Thompson, J. K., & Stormer, S. (1995).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s appearance questionnaire.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17(1), 81-89. [https://doi.org/10.1002/1098-108X(199501)17:1<81::AID-EAT2260170111>3.0.CO;2-Y]
  • Hwang, H.-M. & Cheon, H.-J. (2011). The makeup experience of middle school girls. Media, Gender & Culture, 19, 179-211.
  • Jang, S. C. & Song, M. H. (2004). Relationships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 11(3), 115-133.
  • Jang, S. M. & Kim, J. D. (2014). A study on the use realities and purchasing behaviors of cosmetics in adolescents.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40(1), 55-88. [https://doi.org/10.15230/SCSK.2014.40.1.55]
  • Jo, S. (2011). A study of factors effecting on gifted students' achievement: Self-determination, learning goal-orientation, self-efficacy, implicit theory of intelligence,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1(3), 611-630. [https://doi.org/10.9722/JGTE.2011.21.3.611]
  • Jun, J.-H. & Lee, M.-S. (2014). Media involvement on appearance evaluation, appearance stress,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8(4), 518-527. [https://doi.org/10.5850/JKSCT.2014.38.4.518]
  • Kang, M. J. (2014). A study on the beauty make-up behavior according to self perceived competence in teenage female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0(3), 1-12.
  • Kim, A. (2019). A new perspective on the beauty of a generation wearing digital media: Focused on the beauty contents culture. Media, Gender & Culture, 34(1), 131-173. [https://doi.org/10.38196/mgc.2019.03.34.1.131]
  • Kim, H.-H. & Kim, S.-Y. (2020). Exploring the possible direction of interpreting inconsistent mediational effect.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39(1), 91-115. [https://doi.org/10.22257/kjp.2020.3.39.1.91]
  • Kim, J.-Y. & Kim, J.-H. (2006). A study on the clothing attitude and clothing deviation related to social deviation and clothing interest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8(3), 119-128.
  • Kim, M.-L. & Kim, J-D. (2005). A study for psychological effects which make-up behavior has on women.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31(1), 127-134.
  • Kim, S. & Lee, Y. (2018). Why do women want to be beautiful ? A qualitative study proposing a new “human beauty values” concept. PLoS One, 13(8), e0201347.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201347]
  • Kim, S. J. & Wee, E. H. (2015). Effect of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appearance comparison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9(1), 1-14. [https://doi.org/10.5850/JKSCT.2015.39.1.1]
  • Kim, S.-E. & Kim, J.-D. (2019). Middle school girl’s awareness and behavior of make-up. Korean Society of Cosmetics and Cosmetology, 9(2), 211-224.
  • Kleemans, M., Daalmans, S., Carbaat, I., & Anschütz, D. (2018). Picture perfect: The direct effect of manipulated instagram photos on body image in adolescent girls. Media Psychology, 21(1), 93-110. [https://doi.org/10.1080/15213269.2016.1257392]
  • Koufteros, X., Babbar, S., & Kaighobadi, M. (2009). A paradigm for examining second-order factor models emplying structural equation odeling. International Journal of Production Economics, 120(2), 633-652. [https://doi.org/10.1016/j.ijpe.2009.04.010]
  • Leary, M. R., Tchividjian, L. R., & Kraxberger, B. E. (1994). Self-presentation can be hazardous to your health: Impression management and health risk. Health Psychology, 13(6), 461-470. [https://doi.org/10.1037/0278-6133.13.6.461]
  • Lee, H. (2015). Fashion styling program development for adolescent girl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9(2), 171-181. [https://doi.org/10.12940/jfb.2015.19.2.171]
  • Lee, H. S. & Lim, J. (2011).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18.0/19.0. Seoul, Republic of Korea: Jyphyunjae.
  • Lee, K. M. & Kim, M. S. (2008). A validation study on the school adjustment scale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5(1), 27-40. [https://doi.org/10.16983/kjsp.2008.5.1.27]
  • Lee, M.-S. (2008). The effects of the internalization of socio-cultural values relating to appearance on adolescents’ body images and clothing behavi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8(6), 96-109.
  • Lee, S. E., Lee, Y., & Ha, J. (2016). A review of fashion therapy and proposal of protoco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40(5), 788-800. [https://doi.org/10.5850/JKSCT.2016.40.5.788]
  • Lee, S. J. (2011). The effect of flow on learning and self-efficacy on college adapt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undergraduat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5(2), 235-253.
  • Lee, S., Kwon, O., & Lee, J. (2018). Personal image making. Seoul, Republic of Korea: Kuhminsa.
  • McVey, G. L. & Davis, R. (2002). A program to promote positive body image: A 1-year follow-up evaluation. The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22(1), 96-108. [https://doi.org/10.1177/0272431602022001005]
  • McVey, G. L., Davis, R., Tweed, S., & Shawl, B. F. (2004). Evaluation of a school-based program designed to improve body image satisfaction, global self-esteem, and eating attitudes and behaviors: A replication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36, 1-11. [https://doi.org/10.1002/eat.20006]
  • Mears, A. (2008). Discipline of the catwalk: Gender, power and uncertainty in fashion modeling. Ethnography, 9(4), 429-456. [https://doi.org/10.1177/1466138108096985]
  • O’Dea, J. A. & Abraham, S. (2000). Improving the body image, eating attitudes, and behaviors of young male and female adolescents: A new educational approach that focuses on self-esteem.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28(1), 43-57. [https://doi.org/10.1002/(SICI)1098-108X(200007)28:1<43::AID-EAT6>3.0.CO;2-D]
  • Parker, P. D., Marsh, H. W., Ciarrochi, J., Marshall, S., & Abduljabbar, A. S. (2014). Juxtaposing math self-efficacy and self-concept as predictors of long-term achievement outcomes. Educational Psychology, 34(1), 29-48. [https://doi.org/10.1080/01443410.2013.797339]
  • Reddey, S. (2013). Fashion blogging and personal style bloggers: The evolving enterprise.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and Fashion, 13(1), 1-10. [https://doi.org/10.7233/ijcf.2013.13.1.001]
  • Reilly, A. & Rudd, N. A. (2009). Social anxiety as predictor of personal aesthetic among women.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27(3), 227-239. [https://doi.org/10.1177/0887302X08329645]
  • Rhode, D. L. (2010). The beauty bias : The injustice of appearance in life and law.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 Roach-Higgins, M. E. & Eicher, J. B. (1992). Dress and identity.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0(4), 1-8. [https://doi.org/10.1177/0887302X9201000401]
  • Rosenberg, M. (1989).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Middletown, CT: Wesleyan University Press.
  • Rudd, N. A. & Lennon, S. J. (2001). Body image: Linking aesthetics and social psychology of appearance.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9(3), 120-133. [https://doi.org/10.1177/0887302X0101900303]
  • Rudd, N. A. (1997). Cosmetics consumption and use among women: Ritualized activities that construct and transform the self. Journal of Ritual Studies, 11(2), 59-77. Retrieved from https://www.jstor.org/stable/44368986
  • Ruth, M. (2017). Positive body image for kids: A strengths-based curriculum for children aged 7-11. Philadelphia, PA: Jessica Kingsley Publishers.
  • Seo, I., Lee, S. & Kee, Y. (2014). Analysis on conceptions and indicators of community wellbeing via panel date of seoul city.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25(2), 101-130.
  • Seol, H. & Choi, I. (2010). A study on beauty action of the growing generatio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8(3), 514-525. [https://doi.org/10.29049/rjcc.2010.18.3.514]
  • Shin, H. Y. & Lee, I. J. (2000). Effect of the fashion therapy for the psychiatric patients (Part 1).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4(7), 1088-1099.
  • Silverstein, B., Perdue, L., Peterson, B., & Kelly, E. (1986). The role of the mass Media in promoting a thin standard of bodily attractiveness for women. Sex Roles, 14(9/10), 519-532. [https://doi.org/10.1007/BF00287452]
  • Staff, A. (2013, October 2). NYC girls project hopes to improve self-esteem in young girls. American Council on Science and Health. Retrieved from https://www.acsh.org/news/2013/10/02/nyc-girls-project-hopes-to-improve-self-esteem-in-young-girls
  • Steiger, A. E., Allemand, M., Robins, R. W., & Fend, H. A. (2014). Low and decreasing self-esteem during adolescence predict adult depression two decades later. Journal of Persoality and Social Psychology, 106(2), 325-338. [https://doi.org/10.1037/a0035133]
  • Thompson, J. K. & Heinberg, L. J. (1999). The media’s influence on body iamge disturbance and eating disorders: We’ve reviled them, now can we rehabilitate them? Journal of Social Issues, 55(2), 339-353. [https://doi.org/10.1111/0022-4537.00119]
  • Tiggemann, M. & Pickering, A. (1996). Role of television in adolescent women’s body dissatisfaction and drive for thinness.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 20(2), 199-203. [https://doi.org/10.1002/(SICI)1098-108X(199609)20:2<199::AID-EAT11>3.0.CO;2-Z]
  • Trekels, J., Eggermont, S., Koppen, E., & Vandenbosch, L. (2018). Beauty ideals from reality television and young women’s tanning behavior: An internalization and self-objectification perspective. Communication Quarterly, 66(3), 325-343. [https://doi.org/10.1080/01463373.2017.1381627]
  • Vieno, A., Santinello, M., Pastore, M., & Perkins, D. D. (2007). Social support, sense of community in school, and self-efficacy as resources during early adolescence: An integrative model.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9(1-2), 177-190. [https://doi.org/10.1007/s10464-007-9095-2]
  • Yoh, E. (2015). Application of the fashion therapy to reduce negative emotion of female patient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3(1), 85-101. [https://doi.org/10.7741/rjcc.2015.23.1.085]
  • Yoo, J. J. & Kim, H. Y. (2010). Use of beauty products among U.S. adolescents: An exploration of media influence. Journal of Global Fashion Marketing, 1(3), 172-181. [https://doi.org/10.1080/20932685.2010.10593069]
  • Yoon, S.-I. & Wee, E. (2010). A study on the effects of appearance management attitude in school adjustment for adolescents.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ciation, 22(2), 1-13.
  • Yu, U. & Jung, J. (2018). Effects of self-discrepancy and self-schema on young women’s body image and self-esteem after media image exposure.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Research Journal, 47(2), 142-160. [https://doi.org/10.1111/fcsr.12284]

<Fig. 1>

<Fig. 1>
Research Framework and Hypothesis Development

<Fig. 2>

<Fig. 2>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able 1>

The Results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actor Item Factor Loading t AVE CR Cronbach’s α
1st order Internalization of beauty ideals Music Videos that show thin women make me wish that I were thin.
Photographs of thin women make me wish that I were thin.
Women who appear in TV shows and movies project the type of appearance that I see as my goal.
.981

.988

.658
8.766***

8.773***

-
.790 .864 .900
Adolescent Makeup I often do makeup.
I know various kinds of makeup products.
I know various kinds of makeup brands.
.651
.940
.877
-
7.568***
7.547***
.692 .746 .855
Body satisfaction I am satisfied with my weight.
I am satisfied with my body size.
I am satisfied with my body shape.
.935
.930
.890
-
16.915***
15.123***
.844 .958 .941
Learning achievement I can understand most of what I learned in my class.
I am well acquainted with what I learned at school.
.998

.874
-
9.622***
.880 .974 .935
Relationship with friends I have many interesting friends at my school.
I feel at ease when I am with my school friends.
I spend school break time with my friends rather than being alone.
.879
.944
.826
-
13.483***
11.168***
.782 .952 .915
2nd order School
Adjustment
Learning achievement
Relationship with friends
.751
.711
-
3.141***
.535 .743 -
1st order model fit indexes: X2=46.096, df=67, GFI=.947, NFI=.965, RFI=.953, CFI=.998, RMSEA=.064
2nd order model fit indexes: X2=49.895, df=69, GFI=.939, NFI=.963, RFI=.951, CFI=.996, RMSEA=.061

<Table 2>

Inter-Construct Correlation Estimates

Internalization of Beauty Ideals Adolescent Makeup Body Satisfaction Learning Achievement Relationship with Friends
a: Average Variance Extracted (AVE) for constructs are displayed on the diagonal.
b: Numbers below the diagonal are squared correlation estimates of two variables.
Internalization of Beauty Ideals .790a
Adolescent Makeup .089b .692
Body Satisfaction .178 .001 .844
Learning Achievement .000 .031 .122 .880
Relationship with Friends .014 .052 .020 .139 .782

<Table 3>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tructural Path Standardized estimate (β) CR p
H1 Supported Internalization of Beauty Ideals → Adolescent Makeup .315 2.871 .004
H2a Supported Internalization of Beauty Ideals → Body Satisfaction -.514 -4.612 .000
H2b Supported Adolescent Makeup → Body Satisfaction .205 2.038 .042
H3a Supported Adolescent Makeup → School Adjustment .353 2.785 .005
H3b Supported Body Satisfaction → School Adjustment .363 3.035 .002
X2=52.864, df=70, GFI=.922, NFI=.960, RFI=.949, CFI=.998, RMSEA=.068, ***p<.01, ** p<.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