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Articl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ol. 71, No. 1, pp.48-64
ISSN: 1229-6880 (Print) 2287-7827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28 Feb 2021
Received 24 Jan 2021 Revised 01 Feb 2021 Accepted 14 Feb 2021
DOI: https://doi.org/10.7233/jksc.2021.71.1.048

한국 전통의 조형미를 반영한 패션상품 디자인 개발 : 한옥의 미적 모티브를 이용한 가방디자인

남혜진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박사
Fashion Product Design that Reflects Korean Formative Beauty : Handbag Design using the Aesthetic Motif of the Hanok
HyeJin Nam
Ph.D., Dept. of Textiles, Merchandising & Fashion Design, Seoul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HyeJin Nam, e-mail: namhyejin08@gmail.com

Abstract

This study aims to reinterpret the unique formative and elegant beauty of the traditional Korean house called hanok, in terms of modern sensibilities through a variety of new handbag designs. The courtyard, lattice doors and unique structure of the traditional Korean house have been the main inspirational elements for this handbag collection. Considering that hanoks are made of wood, stone, paper, and eco-friendly materials, the handbags’ locking systems, handles, and decorative details were developed using mainly wood. The diverse patterns of traditional windows and doors made of wood lattices were applied in designing the handbags' structural patterns. Also, fabrics that evoke images of wood were developed by mimicking the cozy landscapes of pine trees in hanok gardens, which seem part of nature. The unique hanok structure that connects the doors between rooms was used as a design element incorporating overlapping and layering. Under the surge in the worldwide popularity of the South Korean culture, modern fashion design that sophisticatedly integrates the emotions and beauty of Korea is more urgent than ever. We aim for this study to provide inspiration in applying Korea's unique culture and aesthetic values to modern fashion design, so that traditional Korean dignity and emotional design will naturally permeate the global fashion market.

Keywords:

aesthetic consciousness of Korea, aesthetic motif, formative beauty, handbag design, hanok

키워드:

한국인의 미의식, 미적모티브, 조형미, 가방디자인, 한옥

Ⅰ. 서론

1. 연구목적

사회 전 분야에서 세계화를 추구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의 것을 지키고 새롭게 개발하려는 움직임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코로나 바이러스(coronavirus)로 전 세계가 단절된 상황에서도 한류는 새로운 기술과 소통방식으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뛰어넘으며 가능성을 여는 데 성공했고, 앞으로는 더욱 빛나는 신 한류의 전성시대가 펼쳐지리라는 것이 한국 문화계의 기대이다(Park, 2021). 한류에 관한 선행연구들에서는 한류의 긍정적 이미지가 고부가가치 패션제품으로의 시장진출을 촉진할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Choi, 2017). 특히 한류 확산의 핵심요소로 전통문화가 비중 있는 역할을 하고 있는데, 전통을 유지하면서도 다양한 장르와 융화되어 새로운 형태로 끊임없이 발전하는 철학이 중요해진 시점이다(Lee, 2020). 패션업계에서도 한국적 이미지가 뚜렷한 패션상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고, 학계에서도 한국 복식문화의 정체성과 현대화 활용에 대한 연구가 급증하고 있으나, 이론과 실제의 연결고리는 미진한 상태이다(Kim, 2009).

그동안 한국 고유의 조형미를 바탕으로 패션제품을 개발한 연구에서의 아이템은 주로 의상에 편중되어있고, 실용적이기보다는 전시용 디자인이 많았다. 한편 의상디자인에 주로 사용된 한국의 미적 모티브는 전통 꽃이나 민화, 조각보 등에서 영감을 받거나 떡살, 창살, 길상무늬 등을 적용한 디자인이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현대 패션의 주요 아이템으로 급부상한 구두나 가방 등의 액세서리 디자인 개발과 제작과정에 대해서는 연구가 활발하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고유의 정서를 형성한 하나의 주요 기원인 전통 한옥의 아름다움에서 느껴지는 감성을 콘셉트로 하여, 현대적 감각의 실용적인 가방 디자인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문제는 첫째, 한국 전통의 미의식과 조형성에 나타난 특징을 분석한다. 둘째, 한옥의 조형미를 고찰하고, 가방디자인을 위한 미적 모티브를 도출한다. 셋째, 이를 바탕으로 가방디자인 실물제작의 전 과정을 제시한다. 이는 한국 고유의 미의식이 담긴 조형성을 바탕으로 하여, 학술적 연구가 미흡한 가방디자인과 제작과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과 한국의 전통미를 현대적 패션제품으로 재해석하는 하나의 실질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의가 있다.

2.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의 조형미를 반영한 가방디자인 및 제작을 위해 문헌연구와 사례개발연구를 하였다. 문헌연구로는 전문서적과 선행연구에서 한국 전통의 미의식과 조형적 특성을 고찰하였고, 한옥의 조형미에서 도출한 미적모티브를 바탕으로 가방 디자인을 위한 3가지 콘셉트를 도출하여, 각각의 이미지 맵을 제작하였다. 각 콘셉트에 따라 6개씩, 총 18개의 가방디자인을 제시했으며, 텍스타일 디자인을 개발하고, 최종 선정된 2개의 디자인은 도식화를 작성하여 실물 제작하였다.


Ⅱ. 이론적 배경

1. 한국 전통의 미의식과 조형성에 나타난 특성

전 세계적으로 한국 고유의 음악과 음식은 물론 생활양식까지 이슈가 되고 있는 가운데, 그 저변에 자리한 한국만의 특별한 미의식은 과연 무엇인지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의 전통미에 관한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주목하는 것은 무기교의 기교, 혹은 무심인데, 이는 어떠한 목적의식이나 전제된 조건 없이, 마치 자연이 자연을 창조하는 작품을 만드는 것과 같은 자연적 태도를 의미한다(Kim, 2008). 이러한 한국인들의 ‘자연주의’는 눈에 보이는 감각적인 형식미보다는 주체의 정신적인 미를 중요시하는 경향이 강하고, 특히 소박하고 솔직한 인간미에 높은 가치를 두었다(Lee, 2011). 한국인의 미의식은 오랜 세월동안 깎이고 다듬어지는 과정에서 도달한 부족한 듯 유연한 형태, 자연과 대지에 동화하고 평온을 추구하는 둥긂의 미, 비움으로 도달한 허와 실의 균형 감각, 자연과 더불어 존재하는 천인합일사상 그리고 손쉽게 변화와 통일성을 이루는 유기적 총체성으로 언급되기도 한다(Kim, 2009). 또한 한국의 미에는 좋은 것과 나쁜 것, 우아한 것과 우아하지않은 것, 미와 추가 공존하는 특성도 있다(Lee, 2013). 이는 한국인의 정서를 바탕으로 근원을 유추해볼 수 있는데, 한국인의 즐거움은 ‘흥’으로, 슬픔은 ‘한’으로 표현되며, 한국의 미의식은 이 모두를 세상사의 일부이자 자연과 우주의 이치로서 포용하는 관조적 정신을 지닌다. 즉, 한국인들의 미적 지향성은, 원숙한 기교와 소박한 상태가 상통하는 고졸미 혹은 한을 뚫고 나오는 신명 등 대립이나 모순되는 것이 통합되어 보다 높은 미적 차원을 이룬다는 것이다(Lee, 2011).

한국의 미를 연구하는 학자들은 한국의 조형성에 대해, 인위적이지 않은 소박성의 미, 자연의 미, 절제된 형, 간결한 선의 유기적인 통일에 의한 구성미, 청초한 미, 해학의 미등으로 정의한다(Kang et al., 2004). 또한 한국의 전통문화와 조형예술에 나타난 미는 자연의 미, 무 장식과 무작위성으로 언급되거나(Kim, 2009), 한국적인 패션 디자인의 조형미는 천연염색과 천연소재에 나타난 편안한 소재미, 전통복식의 상징적인 선과 형태를 응용한 고아한 형태미, 음향오행의 색채미로 분석되기도 했다(Yun & Park, 2009).

한편 최근 10여 년간, 한국의 전통 모티브를 바탕으로 개발한 패션디자인에 관한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조각보, 전통주머니, 매듭 혹은 창살과 문살문양, 떡살문양, 민화 등의 조형성에서 영감을 얻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에 나타난 한국 고유의 조형적 특성은 다음과 같았다. 한국 전통 끈 보자기의 조형미는 친환경성, 포용성, 중첩의 미, 가변적 미 등으로 나타났고(Kim & Kim, 2020), 전통 누비의 조형미는 대칭에 의한 균형미, 회전에 의한 변화로 표현되었다(Lee, 2012). 한편 떡살문양의 조형미는 대칭적 조화, 통일감, 반복에 의한 율동감 등으로(Ha, 2012), 전통 한옥의 벽은 여백의 미, 자연미, 비구조적인 미, 선과 형태의 조형미를 지닌 것으로 언급되었고(Kim & Cho, 2013), 창살의 조형미는 기하학적 규칙성, 일률적인 직선미, 창살의 반투명의 미(Ko, 2010), 그리고 나무질감에서 오는 아늑하고 안정된 분위기, 화려함과 리듬감 등으로 분석되었다(Jeon, 2010). 또한 한국의 민화 화조도에 나타난 조형성은 평면적 장식성, 문양의 상징성, 해학미로 나타났으며(Seo, 2015), 전통 조각보는 소박한 장식미, 민예미, 자연성, 본능적 심미성, 경제성과 모던한 형태미를 지닌 것으로 표현되었고(Chung, 2016), 전통주머니 매듭의 조형성은 여유로운 자연미, 균형미, 주술미, 상징미 등으로 표현되었다(Seong, 2010). 그밖에 한국 전통 도깨비 문양은 해학적, 상징적, 민예적 특징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Shin & Kang, 2013). 이와 같이 전문 서적과 선행연구를 분석한 결과로 도출한 한국 전통의 미의식과 조형성은 <Table 1> 과 같이 요약할 수 있었다.

Aesthetic Consciousness and Formative Beauty of Korea

즉, 한국 전통의 미의식은 멋을 부리지만 자연스럽게 드러나고, 소박하고 솔직하며, 자연과 동화하는 자연미, 형식보다 정신의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정신미, 그리고 허와 실, 미와 추, 변화와 통일, 기교와 소박과 같이 상반되는 것을 포용하고 아우르는 포용과 관조의 미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 전통의 조형미는 이러한 미의식을 바탕으로 대칭에 의한 균형미과 변화에 의한 율동미를 포괄하는 고아하고 소박하며 자연스러운 미, 그리고 웃음을 포함하는 해학미로 도출되었다.

한편, 한국적 모티브를 바탕으로 한 가방디자인에 관한 연구는 전통 주머니의 조형성, 보자기나 조각보의 배열, 매듭 등의 주제로 편중되어 있었다(Kang, 2020; Kim, 2018, Seong, 2010; Suh, 2017; Suh, 2020). 또한 한국적 모티브로 디자인된 가방 제품은 주로 박물관에서 문화상품의 개념으로 판매되는 경우가 많고, 그 마저도 대부분 단순한 에코백 형태이거나, 일반 제품과 큰 차별성이 느껴지지 않는 실정이다(Ha, 2017).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단순한 주거공간을 넘어 한국의 자연환경과 생활방식 그리고 민족 고유의 정서가 담긴 한옥을 모티브로 하여 새로운 형태의 가방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2. 한옥의 특징과 미적 요소

인간의 독특한 디자인은 집과 옷이 있어서 가능한 것으로, 옷과 집이 인간의 역사, 특히 디자인의 역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크다(Lee, 2016). 주택은 인간의 생활을 담는 그릇으로서 역사적 경험과 전통을 반영하는 생활문화의 총체적인 산물이다(Kang et al., 2004). 한옥은 넓은 의미로는 한국 땅에 지어지고 한민족과 함께 생성되고 발전해온 집으로 서민집이나 사대부 집, 절, 그리고 궁궐까지 통틀어 말한다(Shin, 2012). 한옥이라는 용어는 19세기말 20세기 초에 처음 등장하게 되었는데, 개항과 함께 서구의 건축양식이 우리나라에 소개되면서, 그에 대비되는 형태를 가진 재래의 건축물을 총칭하는 말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Yi, 2008). Shin(2012)은 한옥의 아름다움을 사람의 온기를 이해한 난방, 자연을 닮은 여유와 자연과 공존하고 조화를 중시하는 점, 인체를 고려한 치수, 해의 고도를 고려한 처마를 가진 과학적인 구조 그리고 바람과 풍경이 드나드는 창 등으로 보았다. 이처럼 한옥은 자유롭고, 단순한 듯 보이지만 과학적이며, 특히 자연과의 조화가 아름답다. 전문서적과 선행연구에서 한옥의 조형성으로 도출한 미적 요소는 다음과 같다.

1) 자연 친화적 미

자연을 인간의 집으로 생각하는 동양에서 집은 자연에 가깝다. 이에 비해 인간의 주체성이 발달한 서양에서 집은 자연과 꽤 먼 거리에 있고 집을 인간의 연장이라고 생각한다(Lee, 2016). 한옥은 자연 지형을 거스르지 않고 그대로 짓는데, 이는 말 그대로 자연스러움을 최고의 아름다움으로 추구하기 때문이다(Seo, 2010). 한국의 자연환경은 아름다운 산과 맑은 강물 그리고 사계절이 분명하고 청명한 일기를 갖고 있기에, 한국 사람들은 자연에 순응하는 철학을 갖게 되었으며, 이는 건축 문화에도 영향을 주어 서까래를 고를 때나 기둥을 세울 때도 나무 본래의 형태를 그대로 사용하여 자연이 지니고 있는 불규칙성이나 비대칭성을 모두 포용한다(Kang et al., 2004). 또한 한옥은 나무, 황토 그리고 볏짚 등의 천연자원을 활용하여 재료의 재순환을 가능하게 하는 친환경적인 건축이기도하고, 주변의 나무, 들과 산이 보이도록 가능한 낮게 집의 경계를 낮추어 자연의 풍광과 하나가 된다(Shin, 2012). 특히 창호지는 해로운 자외선을 차단하는 친환경적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가볍고 자연적인 특성을 갖는 목재와 반투명성이라는 독특한 특성을 갖는 창호지가 어울리면서, 빛이 방안 가득히 은은하게 넘쳐흐르는 모습은 아름다운 건축적 장면 가운데 하나이다(Kim, 2008). 한편 한국의 미가 동양 삼국 중에서도 가장 자연적인 형태를 유지한데에는 마당이 중요한 구실을 했는데, 마당은 외부 공간이지만 생활의 중심공간이었고, 끊임없이 자신을 변화시키며 무언가를 낳는 생성 공간이다(Lee, 2013). 한옥의 마당은 한옥을 아름답게 하는 중요한 요소인데, 한옥에서는 방들이 여러 개의 작은 건물들로 분산되어 있거나 중간이 꺾인 구조이기 때문에 각 방들 사이를 이동할 때는 외부공간을 지나야하고, 이를 마당이라고 부른다(Yi, 2008). 한옥의 마당은 하늘의 마음을 들이고 자연과 소통하며, 부분을 허물어 전체의 화합을 이루는 공법이다(Shin, 2012). <Fig. 1>은 서애 류성룡 선생이 징비록을 집필했던 안동 옥연정사의 여름과 겨울 마당 픙경인데, 사람과 자연이 함께 머물고, 안과 밖이 어우러져 아름답고 포근한 느낌을 준다. 한편 한옥 실내 공간의 천장과 벽에는 문양 없는 흰색 한지를 바르고, 바닥역시 아무런 문양 없는 장판지로 마무리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탈기교적인 특성은 포용성과 더불어 한옥을 편안한 만드는 요소이다(Kang et al., 2004).

<Fig. 1>

Madang of Ogyeonjeongsa House in Summer and Winter(left-Photographed by author, 2015; right-Photographed by author, 2020)

2) 여백의 미

한옥에는 필요한 가구만 들이거나 그림만 걸고 나머지 공간은 그대로 비워두는데, 이러한 여백의 미는 고요한 가운데 생명력이 있고 겸허한 가운데 세련된 격조를 보여주는 소박성으로, 자신이 돋보이고자하는 하는 욕망이 배제된 순수하고 겸허한 성숙한 내면의 미이다(Kang et al., 2004). 한편 한옥의 마당은 건물과 건물, 사람과 사람의 거리를 유지하는 여유 공간으로서 온기 가득한 여백의 미를 보여주는데, 남과 여, 신분 차의 거리를 연결 혹은 분리하기도하고, 잔치와 노동의 공간으로 소통의 미를 보여준다(Shin, 2012).

3) 창호의 미

한국의 창호는 창문이라고도 하며 창과 문으로 대표되는데, 한국의 전통 건축에서는 문과 창이 구별 없이 쓰인 경우가 많고, 개구부 하나가 문과 창을 겸하여 사람이 드나들면 문이고, 햇빛과 바람이 드나들면 창이 되니 두 단어를 합쳐 창문이라는 말이 생긴 것이다(Yim, 2005). 한국의 창살은 무를 중요시하는 동양의 유교성향에 따라 기하학적인 문양을 통해 공을 표현하였고, 있음을 중요시하는 서양의 창살은 스테인드글라스를 통하여 구체적인 인물 중심을 창에 표현하는 양식으로 나타났다(Lee & Son, 2012). 한편 서양의 스테인드글라스가 외부와의 단절을 꾀하였다면 한지의 창은 외부와의 연결을 꾀하였는데, 빛은 우리의 감성과 심리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건축 실내외의 분위기를 결정하는 핵심적인 요소이다(Lee & Lee, 2013). 한옥의 창호는 안쪽에 창호지를 발라 만드는데, 한지는 빛과 바람을 통과시키고, 막으면서 통하되 거칠지 않은 부드러움을 방 안으로 들이고, 햇빛, 물, 바람, 불, 시간이라는 자연이 만들어낸 자연의 색으로 아늑함을 준다(Shin, 2012). 한옥 창호의 아름다운 특징은, 깊이가 있는 창살과 은은한 반투명의 창호지가 햇살과 함께 이루어내는 신비롭고 다채로운 음영인데, 햇빛이 들어 그림자가 지면 창살의 기하문양은 더욱 다양해지고, 방안에서도 자연의 변화에 의해 다채롭게 변하는 바깥 풍경을 줄길 수 있다(Yoon & Oh, 2009). 우리나라의 창살문양은 단순하고 직선적이어서 일반주택용으로 많이 사용된 용자(用字)살, 띠살, 아자(亞字)살, 만자(卍字)살과 정교하고 육중한 느낌을 주어 궁궐에서 사용된 정자(井字)살, 빗살 등의 창살 그리고 사원이나 사찰 에 주로 사용된 꽃살 등으로 분류 할 수 있다(Kim, 1998). 화려하고 장식적인 면은 중국 쪽이 강하고 섬세하고 조밀한 것은 일본이 강한데, 우리의 창호는 장식을 안 한 듯 전체적인 비례감을 중시하고, 공간의 변화에 따른 율동감을 생명으로 하며, 과장과 허식이 없는 것을 최고로 생각하는 미적인 기준이 드러난다(Cho, 2008).

4) 기술적 미

온돌은 기원전 5000년쯤 신석기유적에서 처음 모습이 발견되었는데, 고려시대 중기 이후에 방전체가 온돌로 된 통구들이 보급되었다(Shin, 2012). 온돌은 취사와 동시에 난방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지속적이고 쾌적성이 뛰어나다. 또한 온돌 난방은 발의 온도를 증가시키고, 이는 신체혈류량을 증가시켜 신체의 건강에 좋은 역할을 한다(Ahn, 2014). 또한 한옥의 아궁이는 많은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기도 하다. 한옥은 정확하게 축조해가는 짜맞춤식 건축기법으로, 치밀하게 치목하고, 중량이나 균형으로 빈틈없이 물리적인 힘의 원리를 이용해 건축물을 완성한다(Shin, 2012). 특히 한옥의 지붕 밑 처마의 길이는 태양의 고도에 따라 달라지는 계절별 일사량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여름에는 일사가 건물 깊숙이 들어오는 것을 막고, 겨울에는 일사가 처마를 넘어 건물 깊은 곳까지 들어오도록 실내온도를 적절히 조절한다(Ahn, 2014). 또한 한옥의 기둥을 다듬는 방법은 착각을 교정하는 고급스러운 기법으로, ‘민흘림법’은 나무 본래의 밑동이 굵고 위로 올라갈수록 가늘게 자라는 안정적인 모습으로 다듬는 방식을 말하며, 보통의 살림집에 많이 쓴다(Shin, 2011). 한옥의 미학적 교정 기법의 또 다른 예로는 귀솟음이 있는데, 이는 바깥쪽에 있는 기둥을 안쪽의 기둥보다 높게 만들어서 멀리 있는 지붕의 양끝이 처져 보이는 착시를 줄이려는 방법으로, 기둥에 놓이는 부재의 치수까지 미세하게 조절해야하는 고도의 기법이다(Shin, 2012). 이처럼 한옥은 대충 만든 듯 자연스러워 보이지만 치밀하게 계산되고, 인체에 이로우며, 미적인 균형을 추구한 과학적인 아름다움을 가지고 있다.

5) 풍경작용의 미

‘풍경작용’은 집이 창을 통해 주변을 하나의 풍경화처럼 만들어낸다는 뜻으로, 한옥이 주변과 어울리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Yim, 2010a). 한옥의 창문은 풍경을 담을 수 있는 액자가 되어 계절과 시간에 따라 다양하게 변하는 자연을 감상할 수 있는데, 이를 경치를 빌린다는 뜻의 차경이라고 하였다(Shin, 2012). <Fig. 2>는 소수서원의 강학당인데, 문을 열면 자연의 아름다운 풍경이 액자처럼 담긴다. 차경의 원리는 중첩에서 찾을 수 있는데, 이는 공간의 켜가 많은 한옥만의 독특한 구조 때문에 생기는 아름다움으로, 창문 속에 창문이 있고 그 밖에 풍경이 보이는 ‘풍경 속 풍경’이다(Yim, 2010b). 이처럼 한옥의 문과 창문은 여러 공간이 서로 중첩되어 독특한 연속성의 미를 느끼게 한다<Fig. 3>.

<Fig. 2>

Sosuseowon(Photographed by author, 2020)

<Fig. 3>

Byeongsanseowon(Photographed by author, 2020)


III. 한옥의 미적 모티브를 이용한 가방디자인

1. 한옥의 조형성에 나타난 미적모티브 도출

미술사학자 한스 제들마이어(Hans Sedlmayr)는 건축을 예술의 중심이라고 하며, 모든 예술을 통합시키는 힘을 건축에서 찾았다(Lee, 2013).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정서가 담긴 전통 가옥인 한옥 고유의 조형미와 아름다움에서 느껴지는 감성을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하여 새로운 형태의 다양한 가방의 디자인 및 프로토타입을 제작하는 과정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먼저 한옥 관련 전문서적과 선행연구, 인터넷자료에 나타난 한옥의 조형적, 심미적 특성을 분석하여, 미적요소를 5가지로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가방디자인을 위한 세가지 콘셉트를 설정하여, 각각의 이미지 맵을 제작하였다. 또한 각 컨셉의 최종 이미지 맵에 나타난 한옥의 미적 모티브를 바탕으로 가방디자인을 6점씩, 총 18가지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이중 대표적인 디자인 2점을 선정하여 도식화를 작성하고, 실제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다.

1) 한옥의 미적요소 분류

본 연구에서는 한옥의 미적요소를 자연친화적인 미, 여백의 미, 창호의 미, 기술적 미, 그리고 풍경작용의 미로 분류하였다.

자연친화적인 미에는 한옥에 쓰이는 친환경재료와 담장을 낮게 하여 자연풍광과 하나가 되는 특징, 그리고 자연 그대로의 불규칙적이고 비대칭적인 형태를 수용하는 포용성을 포함하여 탈기교성, 소박성 등이 나타났다. 한옥의 건물 사이가 떨어진 구조가 만든 마당과 필요한 것만 구비하는 선비정신을 보여주는 한옥의 빈 실내공간은 겸허하지만 세련된 여백의 미로 분류하였다. 또한 창살과 창호지가 어울려 만들어내는 아름다운 그림자와 율동미가 살아 있는 창호의 패턴은 창호의 미로 보았다. 한편 한옥이 지닌 기술적 아름다움의 요소에는 착시 고정을 위한 배흘림기둥, 민흘림기둥, 귀솟음공법 그리고 우리 고유의 온돌 난방방식과 지붕 밑 처마각도와 길이로 계절별 일사량을 조절했던 지혜가 포함되었다. 또한 여러 공간이 서로 겹쳐 강한 연속성의 미가 느껴지는 한옥의 독특한 구조와 경치를 빌리는 차경효과는 풍경작용의 미로 분류하였다.

2) 한옥의 미적 모티브를 이용한 가방디자인 콘셉트설정

본 연구의 가방디자인 프로토타입 제작을 위한 큰 타이틀은 “Stepping into the Soul”로 하고, 이를 세가지 콘셉트로 나누어서 제품을 구성하였으며, 한옥의 전통적 소재와 구조, 패턴에서 얻은 영감을 바탕으로 소재와 부자재 등을 모두 개발하여 가방을 디자인한 후,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첫 번째 콘셉트는 “Embrace of Nature”라는 주제로, 마치 자연의 연장선상인 것처럼 자연과 한데 어우러지는 평화로운 느낌의 한옥 마당을 표현하였다. 특히 마당에 심어진 소나무들의 아름다움을 극대화시켜 마치 숲을 연상시키는 자연친화적 미를 모티브로 하였다. 두 번째 콘셉트는 “Spectrum of Shadow”로 나무와 한지 그리고 문살의 조화로이루어진 아름다운 창호의 미를 바탕으로 문살의 패턴 및 창살에 비친 햇빛이 만들어내는 다채로운 그림자의 기하문양을 모티브로 하였다. 그리고 세번째는 “Stratum of Serenity”라는 콘셉트를 정하고, 한옥의 풍경작용의 미를 표현하였는데, 방과 방사이 문들이 모두 연결되는 독특한 한옥의 구조를 중첩과 레이어링의 프레임으로 보고, 빛과 바람을 집안 가득 받아들이는 한국인들의 자연친화적 정서에서 영감을 받았다. 한옥의 미적요소를 가방 디자인에 적용한 콘셉트는 <Fig. 4>와 같다.

<Fig. 4>

Concept Development

2. 이미지 맵 작성

1) Embrace of Nature

<Fig. 5>는 집의 안과 밖을 다 포용하는 열린 개념의 한옥 마당을 표현한 이미지 맵으로, 자연과 하나인 듯 어우러지는 한옥의 평화로운 감성을 표현하였다. 특히 한국의 소나무를 중점적으로 찍는 사진작가 배병우의 소나무 작품들을 중심으로 한옥 마당의 여백의 미와 자연을 끌어안은 것 같은 포용성을 디자인에 담았다.

<Fig. 5>

Concept 1. Image Map(left-Pinterest, n.d.-a; right-Museumnews, n.d.)

2) Spectrum of Shadow

<Fig. 6>은 한옥의 깊은 창살과 은은한 반투명의 창호지가 햇살과 만나 이루어내는 신비롭고 다채로운 그림자의 아름다움을 표현하였다. 창살에 빛이 들어 그림자가 지면 창살의 기하문양은 더욱 다양해지고, 방안에서도 시간과 자연의 변화에 의해 다채롭게 변하는 바깥 풍경을 줄길 수 있다. 자연과 조화를 이루면서 집안전체를 포근하게 감싸는 한옥 창호의 패턴 및 율동미를 표현하였다.

<Fig. 6>

Concept 2. Image Map(Pinterest, n.d.-b; Pinterest, n.d.-c; Pinterest, n.d.-d; Pinterest, n.d.-e)

3) Stratum of Serenity

<Fig. 7>은 방과 방사이의 문들이 연결되어 자연의 빛, 바람 그리고 정겨운 소리를 집안 가득 받아들이는 독특한 한옥의 구조를 보여주는 디자인을 주제로 표현하고자 했다. 겹쳐진 문의 반복에서 오는 율동감과 원근감, 조형미에서 표현방법을 착안하였다.

<Fig. 7>

Concept 3. Image Map(left-Pinterest, n.d.-f; middle-Pinterest, n.d.-g; right-Pinterest, n.d.-h)

3. 한옥의 미적 모티브를 이용한 가방디자인 제시

본 연구에서는 한옥의 소재와 구조, 패턴의 아름다움을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하여 가방디자인에 적용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한옥은 나무, 흙, 돌, 종이 등의 친환경재료를 주로 사용하여 지어진 따뜻한 감성의 집이라는 점에서 착안하여, 가방의 잠금장치, 손잡이, 장식 디테일 등을 나무를 주로 사용하여 개발하였으며, 한지와 나무창살로 이루어진 전통창호의 다양한 무늬들을 가방의 구조적인 패턴으로 응용하였다.

1) 가방디자인 일러스트레이션 1: Embrace of Nature

콘셉트1의 가방디자인은 잘 가꾸어진 정원이라기보다는 마치 자연의 연장선상처럼 자연과 함께 어우러지는 평화로운 느낌의 한옥 마당을 표현한 디자인이다<Fig. 8>.

<Fig. 8>

Concept 1. Bag Design

가방 디자인을 위한 색상은 한옥과 마당에 심어진 소나무 그리고 자연의 흙에서 영감을 받은 black, brown, wood brown, pink beige 등을 사용하였고, gold를 포인트 색상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주요 소재로는 calf leather, lamb skin, pony 그리고 안감은 polyester와 cotton의 혼합소재를 사용하였다. 특히 소나무의 아름다움을 극대화시켜 마치 숲을 연상시키는 패턴의 소재를 개발하였고, 클러치 디자인에서는 gold frame과 나무로 만든 여밈 장치를 개발하였다.

2) 가방디자인 일러스트레이션 2: Spectrum of Shadow

콘셉트 2는 나무와 한지 그리고 문살의 조화로 이루어진 한옥의 아름다운 창호를 바탕으로 한 가방디자인이다<Fig. 9>.

<Fig. 9>

Concept 2. Bag Design

색상은 이른 아침과 해질녘, 한옥에 드리운 그림자에서 영감을 얻은 것으로 shadow brown, wood brown, grey, sky blue, sky green를 사용하였다. 소재는 calf leather, pony, embossed calf 그리고 안감은 polyester와 cotton의 혼합소재를 사용하였다. 특히 한옥 문살의 패턴을 단순화시켜 가방의 전체적인 패턴으로 적용하고, 안감을 디자인했다.

3) 가방디자인 일러스트레이션 3: Stratum of Serenity

콘셉트 3는 방과 방사이의 문들이 모두 연결되는 독특한 한옥의 구조를 중첩과 레이어링의 프레임으로 보고, 이를 착안하여 디자인한 것이다. 즉, 문의 반복에서 오는 원근감 및 겸쳐짐의 조형미를 살린 가방디자인을 구성하였다<Fig. 10>.

<Fig. 10>

Concept 3. Bag Design

색상은 나무로 된 한옥과 독특한 구조에 겹쳐지는 빛을 표현하였고, brown, dark grey, beige grey, mustard 등을 사용하였으며, gold를 포인트 색상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주요 소재는 calf leather, embossed calf, python leather 등을 사용하였고, 안감은 polyester와 cotton의 혼합소재를 사용하였다.

4. 가방디자인 프로토타입 제작

1) 소재개발: 콘셉트 1

한옥 주위에 가득한 소나무의 아름다움을 텍스타일에 표현하기 위하여, 먼저 나무표면의 질감이 느껴지는 calf leather를 선정하였다. 그 위에 소나무 숲의 밑그림을 그린 후, 레이저로 잘라, 자연의 연장선처럼 느껴지는 한옥 마당에 심어진 소나무들의 고즈넉한 풍경을 극대화시켜 마치 숲을 연상시키는 소재를 개발하였다<Fig. 11>. 또한 나무를 깎아 클러치의 잠금장치를 만들고, 테두리에 얇은금 합판을 붙여 가공하였다.

<Fig. 11>

Concept 1. Fabric Development

2) 가방디자인 작업지시서: 콘셉트 1

콘셉트 1의 도식화는 <Fig. 12>와 같다.

<Fig. 12>

Concept 1. Flat Sketch of Bag Design

3) 소재개발: 콘셉트 2

콘셉트 2의 가방디자인을 위해서는 한옥 문살의 패턴을 단순화시킨 안감을 디자인했는데, 짜임새가 아기자기 하면서도 여성스러운 느낌의 아자살을 위주로 패턴을 개발하여 프린팅하였다<Fig. 13>. 또한 창살에 햇빛이 들어 그림자가 지면 더욱 다양하게 변하는 기하문양을 모티브로 탈부착이 가능한 charm장식도 개발하였다. 전체적으로 한국의 전통적인 우아함과 현대적인 감각을 세련되게 융합하는데 중점을 두었다<Fig. 14>.

<Fig. 13>

Concept 1. Fabric Development

<Fig. 14>

Concept 1. Flat Sketch of Bag Design

4) 가방디자인 작업지시서: 콘셉트 2

콘셉트 2의 도식화는 <Fig. 14>와 같다.

5. 가방디자인 프로토타입 완성

한옥 마당의 풍경에서 느껴지는 정취에서 모티브를 얻은 가방디자인의 도식화 <Fig. 12>를 바탕으로 실물 제작한 가방 프로토타입은 <Fig. 15>와 같다. 또한 한옥 문살의 무늬와 형태에서 영감을 얻은 가방디자인의 도식화 <Fig. 14>을 바탕으로 실물 제작한 가방 디자인은 <Fig. 16>과 같다.

<Fig. 15>

Bag Prototype 1

<Fig. 16>

Bag Prototype 2


Ⅳ. 결론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의 미의식과 조형성에 나타난 특징을 분석하고, 한옥의 조형미를 고찰하여 가방디자인을 위한 미적 모티브로 삼았다. 연구 결과, 한국 전통의 미의식은 멋이 자연스레 드러나고, 소박하고 솔직하며, 자연과 동화하는 자연미, 형식보다는 정신의 아름다움을 중시하는 정신미, 그리고 허와 실, 미와 추, 변화와 통일, 기교와 소박등과 같이 상반되는 모든 것을 포용하고 아우르는 관조의 미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 전통의 조형미는 대칭에 의한 균형미과 변화에 의한 율동미를 포괄하는 고아하고 소박하며 자연스러운 미, 그리고 웃음을 포함하는 해학미 등으로 도출되었다.

한옥의 조형미로는 친환경재료를 사용하고 자연풍광과 하나가 되며, 자연 그대로의 불규칙적이고 비대칭적인 형태를 수용하는 자연친화적인 미, 겸허하면서도 세련된 여백의 미, 창살과 창호지가 어울려 만들어내는 그림자와 율동미가 살아있는 창호의 미, 착시 고정을 위한 공법, 온돌 난방방식 등의 기술적 아름다움 그리고 여러 공간들이 서로 중첩되어 다양한 연속미가 느껴지는 독특한 구조와 경치를 빌리는 풍경작용의 미로 분류하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한옥의 아름다움을 전통적인 모티브 그대로 보여주는데 그치지 않고 모던하게 재해석하여 현대 도시여성의 감성에 어울리는 가방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옥 마당의 풍경에서 느껴지는 정취, 문살의 무늬와 형태, 방과 방사이의 문들이 모두 연결되는 독특한 한옥의 구조 등을 바탕으로 가방의 형태와 텍스타일을 디자인하고, 실물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다. 특히 한옥을 떠올릴 때 연상되는 따뜻한 감성을 표현하고자, 한옥의 주재료인 나무를 사용하여, 가방의 잠금장치, 손잡이, 장식 디테일 등을 개발하였으며, 완성도 있는 디테일 제작을 위해 많은 시도를 거듭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전통의 조형미를 반영한 패션디자인을 수행하는 과정과 방법을 상세하게 제시함으로써, 의상에 비해 연구가 활발하지 않았던 가방디자인 분야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한 가방디자인은 한옥이 지닌 많은 장점과 아름다움 중의 일부분인 창호와 구조, 문살무늬 그리고 마당에서 느껴지는 정취 등에서 모티브를 얻은 것이 므로, 추후에는 창호의 손잡이, 한옥의 서까래 등 더욱 다양한 요소를 바탕으로 콘셉트를 확장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최근 한류의 전 세계적인 열풍은 우리문화에 대한 긍지와 자부심을 느끼게 한다. 한편 한국의 정서와 아름다움을 세련되게 녹여낸 현대적인 패션디자인의 시도가 그 어느 때보다도 절실한 시점이다. 본 연구가 우리나라 고유의 문화와 미적 가치를 패션디자인에 모던하게 적용하는 하나의 작은 발판이 되기를 기대하고, 이러한 연구들이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져 한국 전통의 품격과 감성적 디자인이 전 세계 패션시장에도 자연스럽게 스며들기를 고대한다.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Domus Academy Italy 석사학위 논문의 일부임.

References

  • Ahn, U. J. (2014). An analysis of the natural characteristics of Hanok that is beneficial to human factors. KIEAE Journal, 14(5), 97-102. [https://doi.org/10.12813/kieae.2014.14.5.097]
  • Cho, J. H. (2008). Hanok, from tradition to modernity: The elements of hanok. Seoul, Republic of Korea: Jutaekmunhwasa.
  • Choi, M. Y. (2017). The effect of adolescent Chinese consumers' clothing conformity and interest in Korean entertainers on their evaluation and purchase intention towards Korean fashion produ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7(7), 36-53. [https://doi.org/10.7233/jksc.2017.67.7.036]
  • Chung, Y. S. (2016).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 design applying traditional Jogakbo: Scarf and necktie design. Th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Art & Design, 19(4), 9-28.
  • Ha, S. Y. (2012). Design and development of a wedding dress using a traditional Tteoksal pattern. Journal of Fashion Design, 12(3), 23-41.
  • Ha, S. Y. (2017). Bag design development as a fashion cultural product: Focused on historic and cultural contents of Baekj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7(6), 60-78. [https://doi.org/10.7233/jksc.2017.67.6.060]
  • Jeon, B. R. (2010). Clothing design applying traditional Korean lattice patter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 Kang, E. M. (2020). A study on the design of bags using Kojipggi technique in traditional Bojagi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nam University, Daejeon, Republic of Korea.
  • Kang, S. J., Kim, D. N., Min, C. H., Park, Y. S., Oh, H. K., Chun, J. H., ... Hong, H. O. (2004). Culture in traditional Korean homes. Kyunggido, Republic of Korea: Gyomoonsa.
  • Kim, E. S. (2018). Study on development of designing bag based on Korean traditional pouch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nam University, Daejeon, Republic of Korea.
  • Kim, M. J. (2009). Finding the Je-daum of Korean fashion design: Focusing on aesthetics of tradition and its modern adaptation. Seoul, Republic of Korea: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 Kim, M. Y. (1998). A study on fabric design adapting window bars in Chosun dynasty: Focusing on vertical blind produ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 Kim, S. H. & Kim, H. Y. (2020). A Study on zero waste fashion design that applied formative beauty of string Bojagi, Korean traditional wrapping cloth. Journal of Fashion Design, 20(3), 127-145. [https://doi.org/10.18652/2020.20.3.8]
  • Kim, Y. J. (2008). Korea's traditional beauty. PhilosophyㆍThoughtㆍCulture, 7, 1-27.
  • Kim, Y. K. & Cho, M. H. (2013). A study on woman's wear design based on aesthetic value of the walls and windows of the traditional Korean house.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knit Design, 11(1), 43-54.
  • Ko, J. H. (2010). A study on costume designs employing structural beauty of the muntin developed in the Joseon Dynasty: Focuses on taping technique(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 Lee, C. G. (2020, October 28). The value of traditional culture extending to the new Korean wave. Ohmy news. Retrieved from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687798&CMPT_CD=P0001&utm_campaign=daum_news&utm_source=daum&utm_medium=daumnewsum=daumnews
  • Lee, H. S. & Son, H. J. (2012). Comparative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religious windows of the east and the west: Focused on ornament windows and stained glass windows. Design Convergence Study, (36), 275-289.
  • Lee, J. E. & Lee, H. S. (2013). The application of the traditional window pattern to the modern Hanok based on cross comparative window pattern between Korea, China, and Japan. Design Convergence Study, (41), 215-227.
  • Lee, J. E. (2012). Fabric applied figurativ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Nubi'. A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10(3), 229-240. [https://doi.org/10.18852/bdak.2012.10.3.229]
  • Lee, J. Y. (2011). A study on diversity of Korean aesthetic consciousness and the classification through its types. The Journal of Aesthetics and Science of Art, 34, 383-426.
  • Lee, S. H. (2013). Humanities, living in a Hanok [인문학, 한옥에 살다]. Seoul, Republic of Korea: Chaeryunseo.
  • Lee, S. H. (2016). A new imagination of design, Hanok [디자인의 새로운 상상. 한옥]. Seoul, Republic of Korea: Chaeryunseo.
  • Museumnews. (n.d.). Retrieved from https://museumnews.kr/%EB%B0%B0%EB%B3%91%EC%9A%B0-%EC%B0%BD%EB%8D%95%EA%B6%81/
  • Park, J. H. (2021, January 4). Post-corona, on and off, The Renaissance of the New Korean Wave which exists in reality and virtuality will be held [포스트 코로나, 온·오프, 현실·가상 오가는 新한류 르네상스 열린다]. SeoulGyeongje. Retrieved from https://www.sedaily.com/NewsView/22H4I6UWM3
  • Pinterest. (n.d.-a). Retrieved from https://www.pinterest.co.kr/pin/382594930835044765/
  • Pinterest. (n.d.-b). Retrieved from https://www.pinterest.co.kr/pin/124763852157446895/
  • Pinterest. (n.d.-c). Retrieved from https://www.pinterest.co.kr/pin/117023290297169351/
  • Pinterest. (n.d.-d). Retrieved from https://www.pinterest.co.kr/pin/8514686775501298/
  • Pinterest. (n.d.-e). Retrieved from https://www.pinterest.co.kr/pin/14636767528077557/
  • Pinterest. (n.d.-f). Retrieved from https://www.pinterest.co.kr/pin/326651779228892498/
  • Pinterest. (n.d.-g). Retrieved from https://www.pinterest.co.kr/pin/1618549855749647/
  • Pinterest. (n.d.-h). Retrieved from https://www.pinterest.co.kr/pin/5348093296131044/
  • Seo, J. H. (2010). The beauty of Hanok 1 [한옥의 미. 1]. Seoul, Republic of Korea: Kyunginmunhwasa.
  • Seo, J. Y. (2015). Study on the fashion design of crochet lace of combined traditional Korean painting of flower and bird patterns: Focused on the laser cutting techniqu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 Seong, M. S. (2010). A bag design applying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bag knot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Republic of Korea.
  • Shin, K. C. (2012). The beauty of Hanok: Indulge in hanok [한옥의 멋: 한옥에 빠지다]. Kyunggido, Republic of Korea: Hanmunhwasa.
  • Shin, K. H. & Kang, M. H. (2013). A study on futurism fashion design applying the traditional Korean Dokaebi pattern.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3(4), 21-40.
  • Shin, Y. H. (2011). Our hanok we really need to know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한옥]. Seoul, Republic of Korea: Hyeonamsa.
  • Suh, O. K. (2017). A study on bag design inspired by Jogakbo.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18(6), 297-308.
  • Suh, O. K. (2020). A study on bag design applied by decorative techniques of traditional Hanbok. Th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Art & Design, 23(2), 225-241.
  • Yi, S. M. (2008). Stepping into Hanok for the new millennium Hanok. Seoul, Republic of Korea: National Trust of Korea.
  • Yim, S. J. (2005). Windows and Doors: A study of Korean Architecture. Seoul, Republic of Korea: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 Yim, S. J. (2010a). I enjoy scenery in Hanok [나는 한옥에서 풍경놀이를 즐긴다]. [e-book]. Kyunggido, Republic of Korea: Hangilsa.
  • Yim, S. J. (2010b, May 2). Jungcheob [중첩]. Retrieved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69216&cid=58767&categoryId=59123
  • Yoon, J. H. & Oh, Y. O. (2009). A study on fashion design applying the images of the Hano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5(4), 356-369.
  • Yun, E. Y. & Park, S. K. (2009). Formative esthetics of Korean fashion design in modern fashion.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10(2), 299-307.

<Fig. 1>

<Fig. 1>
Madang of Ogyeonjeongsa House in Summer and Winter(left-Photographed by author, 2015; right-Photographed by author, 2020)

<Fig. 2>

<Fig. 2>
Sosuseowon(Photographed by author, 2020)

<Fig. 3>

<Fig. 3>
Byeongsanseowon(Photographed by author, 2020)

<Fig. 4>

<Fig. 4>
Concept Development

<Fig. 5>

<Fig. 5>
Concept 1. Image Map(left-Pinterest, n.d.-a; right-Museumnews, n.d.)

<Fig. 6>

<Fig. 6>
Concept 2. Image Map(Pinterest, n.d.-b; Pinterest, n.d.-c; Pinterest, n.d.-d; Pinterest, n.d.-e)

<Fig. 7>

<Fig. 7>
Concept 3. Image Map(left-Pinterest, n.d.-f; middle-Pinterest, n.d.-g; right-Pinterest, n.d.-h)

<Fig. 8>

<Fig. 8>
Concept 1. Bag Design

<Fig. 9>

<Fig. 9>
Concept 2. Bag Design

<Fig. 10>

<Fig. 10>
Concept 3. Bag Design

<Fig. 11>

<Fig. 11>
Concept 1. Fabric Development

<Fig. 12>

<Fig. 12>
Concept 1. Flat Sketch of Bag Design

<Fig. 13>

<Fig. 13>
Concept 1. Fabric Development

<Fig. 14>

<Fig. 14>
Concept 1. Flat Sketch of Bag Design

<Fig. 15>

<Fig. 15>
Bag Prototype 1

<Fig. 16>

<Fig. 16>
Bag Prototype 2

<Table 1>

Aesthetic Consciousness and Formative Beauty of Korea

Aesthetic Consciousness of Korea Formative Beauty of Korea
effortless natural beauty

mental beauty
bojagi eco-friendly / embrace layering / versatile embrace

rhythmical

balanced
pursuing mental beauty over formal beauty / simple and honest humanity nubi balanced beauty by symmetry / rhythm by rotation
tteogsal a sense of unity / a sense of movement through symmetrical harmony and repetition
assimilate to nature and earth / pursuing tranquility window subtle and cozy beauty / rhythm and geometric regularity natural

simple

geometric
a sense of balance between false and real, beauty and ugliness, unity and variety, technical and humble embrace

balance

compromise
wall of hanok beauty of emptiness / natural beauty / beauty of geometric lines and forms
maedeub natural beauty / balanced beauty / shamanic beauty humorous

symbolic
jogagbo simple / folklore / natural / economic
dokkaebi humorous / symbolic / folklore
minhwa humorous / symbo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