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RESEARCH PAPER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ol. 66, No. 1, pp.42-57
ISSN: 1229-6880 (Print) 2287-7827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Jan 2016
Received 24 Aug 2015 Revised 11 Jan 2016 Accepted 26 Jan 2016
DOI: https://doi.org/10.7233/jksc.2016.66.1.042

티베트 복식 문양에 나타난 종교적 상징성

최미정 ; 소황옥
중앙대학교 대학원 패션예술학과 석사과정
중앙대학교 패션예술학과 교수
A Study on Religious Symbolism of the Costume Pattern of Tibet
Mijeong Choi ; Hwangoak Soh
Master Course, dept. of Fashion, Graduate School, Chung-Ang University
Professor, Dept. of Fashion, Chung-Ang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Hwangoak Soh, e-mail: oaksoh@cau.ac.kr

Abstract

The Tibetan people are an ethnic group that is native to Tibet who have adapted to the region’s harsh climate and environment, and developed their own culture. Religion played a central role in maintaining its traditional culture and society in the histor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ibetan costume and religion, and examine patterns that appear on the costume to study their religious symbolism.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explaining the symbolisms of the patterns that appear on the costume in terms of cultural maintenance and change. Based on literature review, I summarized the data about Tibet’s environment, history and religion, and divided the residential district into three: Ü-Tsang, Amdo, Khamba. Then, I organized each region’s characteristics and clothes, and studied Tibetan Buddhism (Vajrayana) costumes and features of the patterns that appear on the costumes. Through combining these data, I would like to examine the religious symbolism of the costume pattern of Tibet. Buddhism is at the heart of cultural and social maintenance and change in Tibet, and the patterns shown in the costume is influenced mostly from Buddhism. The features of general Tibetan costume vary with the region and life style, but the patterns that appear on the costume are used over a wide area to represent good luck and the spread of Buddhist teachings. The costumes for religious rites vary with religious sects, but most of the patterns are commonly used. The symbolism of pattern is a form of figure that represents the human psyche and physical world. The symbolism of pattern implies meanings such as compensation or futuristic wish. First, the lucky omen normally means long life, happiness and peace, and means religious salvation in Buddhist perspective. Second, warding off evil spirits(辟邪) normally means avoiding misfortune, and means dignity and self-protection, and protection of Buddhadharma in Buddhist perspective.

Keywords:

pattern, symbolism, Tibet, Tibetan costumes, Tibetan religion

키워드:

문양, 상징성, 티베트, 티베트 복식, 티베트 종교

Ⅰ. 서론

티베트는 세계의 지붕이라 불리는 티베트고원(靑藏高原) 서남부에 위치하고, 동경 78° 24ˊ~99° 06ˊ, 북위 26° 52ˊ~36° 32ˊ 사이에 있다. 지리적으로 동쪽으로는 쓰촨성(四川省), 동남쪽으로는 윈난성(雲南省), 북쪽으로는 신장자치구(新疆自治區), 동북으로는 칭하이성(靑海省), 남부와 서부로는 인도(India), 부탄(Bhutan), 네팔(Nepal), 미얀마(Myanmar) 등과 인접해 있다. 현재의 중국 시장자치구(中國西藏自治區) 행정구역으로는 4개의 지급시(地級市)와 3개의 지구(地區)를 관할하고, 산하에 70개의 현(縣)과 4개의 시할구(市轄區)로 구성되어 있다. 지급시는 라싸(拉萨), 르카쩌(日喀则), 창두(昌都), 린즈(林芝)이고, 지구는 나취(那曲), 산난(山南), 아리(阿里) 이다(Wikipedia, n.d.). 중심지는 라싸(Lasa)이다. 이전시기에는 티베트의 전통 지방을 3개로 구분하였는데, 중부를 뜻하는 위장(衛藏, U-Tsang), 남부를 뜻하는 강파(康巴, Kham), 북부를 뜻하는 안다(安多, Amdo)지방으로 알려져 있다. 지정학적으로, 위장지방은 티베트 문명권의 중앙과 서부를 차지하고 있다. 강파지방은 동쪽으로 50개 지역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현재 쓰촨성에 16개 지역, 윈난성에 3개 지역, 칭하이성에 6개 지역, 시장자치구에 25개 지역으로 나뉘어 있다. 안다지방은 티베트의 동북쪽에 있는 지역으로 현재의 칭하이성 일대이다. 현재의 시장자치구 행정구역은 이전 시기의 위장지방과 서부 강파지방에 해당한다. 다른 지방인 동부 강파지방과 안다지방은 현재 칭하이성, 간쑤성(甘肅省), 쓰촨성, 윈난성에 분포되어 있다.

<Fig. 1>

Traditional Region of Tibet(Wikipedia, n.d.)

지형은 광활한 고원을 기초로 대체로 서북에서 동남으로 기울어져 있다. 기후 환경은 서북부는 매우 춥고 건조하며, 동남부는 온난 습윤하다. 겨울은 길고 여름은 없지만, 일조량은 충분하고 복사열이 큰 편이며 연평균기온이 낮고 주야간의 일교차가 크다(Moon, 1998). 또한, 지대가 높으며 지리적 환경이 척박하기 때문에 인구밀도가 매우 낮다. “주민의 대부분은 장족(藏族)으로 전체 인구의 90.48%, 한족(漢族)은 8.17%, 기타 소수민족은 1.3%를 차지한다"(ZhongguoXizangZizhiquTongjiju, 2010). 주민의 대부분이 티베트어(西藏語)를 사용하고, 종교는 대부분이 티베트 불교(藏傳佛教또는 金剛乘佛教)를 믿으며 뵌교(苯教)도 일부 존재한다.

티베트의 민족인 장족(藏族)은 인간의 생존기후에 맞지 않은 기후와 척박한 환경에 순응하며, 자생적인 문화를 이루어 왔다(Park, 2004). 티베트는 중앙아시아의 높은 고원에 있으면서도 최초의 통일 국가인 토번(吐藩)때부터 인도·네팔·중국·몽골을 비롯한 여러 주변 국가와 역사·문화적인 교류를 해왔으며, 이를 통해 복식과 사회 전반에 서로 많은 영향을 주고받았다. 이런 역사 속에서 티베트 사회·문화를 유지하는 중심이 불교이다.

<Fig. 2>

Administrative district of Xizang Autonomous Region, China(America Pink, 2015)

이러한 티베트를 배경으로 해서 복식과 관련된 선행연구는 Park(2004)의 연구에서 환경에 따른 복식의 차이점에 대해 다루고 있고, Park & Soh(2005)의 연구에서 장족의 복식과 불교문화를 중심으로 연구 되었다. Wu & Lee(2006)은 중국 현대복식에 나타난 소수민족 복식의 특징에서 장족복식에 대한 연구를 하였고, 중국사천사범대학의 Li(2008)는 장족에게 전해 내려오는 승가 복식에 대한 연구를 하였으며, Li(2009)는 장족복식의 미학분석에 관한 연구도 하였다. Qiao & Soh(2010)은 티베트족 공연의상에 관한 연구에서 명절에 행하여지는 공연 때 착용되는 의상에 대해 집중분석을 하였다. 또한 티베트 승려가 착용하는 의례용 관모의 종류와 특성에 대한 연구가 Kwon & Lee(2012)에 의해 진행되었다. 티베트 문양에 관한 연구로는 Y. Q. Li(2007)이 장전복식길상문화특징추론(藏族服飾吉祥文化特徵芻論)에서 복식과 복식에 사용된 문양의 상징에 대한 연구가 있다. 그러나 복식에 나타난 문양의 상징성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문화의 변화와 유지라는 관점에서 종교를 중심으로 복식에 나타나는 문양의 상징성을 설명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은 티베트의 복식과 종교를 이해하고, 티베트 복식에 나타난 문양을 분석하여 종교적으로 어떠한 상징성을 가지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먼저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티베트의 환경, 역사 및 종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티베트인들의 거주 지역을 크게 위장(衛藏)ㆍ안다(安多)ㆍ강파(康巴)지역 등 3개 지구로 구분하여, 각 지역별 특징과 남녀의 복식에 대해 정리하고 티베트 불교 복식 및 문양의 특색을 고찰하고, 이를 종합하여 복식에 나타나는 문양을 바탕으로 티베트 복식에 나타난 문양의 종교적 상징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범위는 복식은 티베트에서 문양이 나타나는 복식을 일반복식과 종교복식으로 분류하였고 시기적으로 1910년 이후부터 현대까지의 사진 자료와 1990년 이후의 동영상을 참고하였기 때문에 1910년부터 현대까지를 연구의 범주에 놓는다.


Ⅱ. 티베트 복식과 문양의 이해

1. 티베트 역사 및 종교

1) 티베트의 역사

티베트의 역사는 기원전 2세기 얄룽(Yarlung) 왕조로부터 시작되었지만, "서기 6세기 이전은 역사적으로 확실한 자료가 없다. 그러나 티베트인들은 이점에 관해 비록 신화와 전설이기는 하지만 자신들의 전승을 가지고 있다"(Stein, 2004, p. 48). 6세기 말에서 7세기 초에 걸쳐서 티베트 고원에는 수많은 부족들이 활거하고 있었다. 그들은 네팔이나 당(唐)과 교섭을 가지며 문화적으로 어느 정도 영향을 받고 있었다. 이러한 군소 부족들을 정치적으로 통합하고, 티베트에 처음으로 통일 국가를 수립한 사람은 송첸강포(松赞干布, 581~649) 왕이다. 서기 600년경 기록된 역사가 송첸강포 왕과 함께 시작되었고, 당나라의 문성공주(文成公主)와 네팔의 왕녀 티췬(Khri btsun)이 송첸강포 왕의 왕비로 들어오면서 불교가 전해졌다. 9세기 중엽에 이르기까지 3세기 동안 9대의 왕이 중앙아시아에서 토번(吐藩)왕국을 유지했다. 이 시기에 정치적인 변혁을 거치면서 9세기 중엽 티베트 불교는 암흑기를 맞이했다. 번역 사업은 중단되고 티베트의 민중 종교인 뵌교 세력이 득세했다. 그 기간은 5년여에 불과 했지만 불교가 입은 상처는 대단히 크다. 사원은 파괴되고, 승려들은 환속했다. 그 후 랑달마(郞達瑪)왕이 암살되자 티베트 전역은 호족들에 의해서 분할되고, 각 지역마다 호족들을 중심으로 사원들이 건립되었으며, 인도로부터 학승들을 초청하여 티베트 불교의 부흥을 도모했다. 이때부터 티베트 불교는 티베트적인 색채를 띠면서 전개되었다. 토번 왕국이 분열된 뒤 성립된 지방정권으로 비교적 세력이 강성한 국가가 구게(古格) 왕국이다. 이 왕조는 700여 년간 16명의 왕이 통치했으며, 강성했을 때는 서쪽으로 카슈미르(Kashmir) 일대와 지금의 파키스탄(Pakistan) 일부까지도 지배했다.

13세기 징기즈 칸(成吉思汗)이 이끄는 몽골(蒙古) 제국이 서쪽으로 유럽, 동쪽으로 중국으로 확대되자 몽골의 침략을 피하기 위해 티베트 불교 사캬파의 지도자들은 몽골의 지배자들과 정치적인 충성과 종교적 의례를 약속하는 협정을 체결했다. 이후 쿠빌라이 칸(忽必烈)이 원(元)왕조를 세우자 사캬 라마를 국사와 법왕으로 초청했다. 이 같은 우호적인 관계는 20세기까지 계속되었는데, 이런 이유로 두 나라는 문화, 특히 종교적 유사성을 서로 잘 반영하고 있다. 1642년 몽골의 후원으로 티베트에서 통치권을 가지게 된 달라이 라마는 청(淸)왕조를 설립한 후금(後金) 황제들과 긴밀한 종교적 관계를 발전시켜, 황제의 정신적 지도자가 되기로 합의하고 그 대가로 보호와 후원을 받았다. 이 영향력은 1904년 영국이 라싸를 침공하여 라싸협정을 체결하는 시점에서 사라지게 된다. 1950년 10월 중국은 티베트를 침공하여 점령하고, 1951년 5월 23일 티베트와 십칠조협의(十七條協議)를 체결하여 합병하였다. 이후 티베트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지배를 받는 시장자치구가 되었다.

2) 티베트 종교

티베트의 종교는 원시자연 종교인 뵌교와 인도에서 전래된 티베트 불교가 있다. 뵌교는 일종의 원시 자연종교로 만물에 영혼이 있다고 믿는 종교이다. “하늘, 땅, 달, 해, 별, 우레, 천둥, 눈, 구름, 산천, 계곡, 돌, 초목, 짐승 내지 일체 만물 등에 영혼이 있다고 믿고, 복을 빌고 재난을 극복해 달라고 빌었다"(Peng, 2002, p. 12). 송첸강포 왕의 손자 티송데쩬 왕(赤松德贊, 742~796)의 치하에서 뵌교의 금지와 뵌교 사제들이 추방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계속 존속했고, 티베트 불교의 지도자들에 의해 시작된 뵌교의 개조와 순응이 행해졌다. 고대의 문헌에서 열거된 뵌교의 모든 전문영역, 즉 실로 만든 타래, 산 재물, 대체 입상 및 의례에서의 희생은 티베트 불교에 의해 접수 되었다. “체계화되고 동화된 신앙적 관념은 전문술어를 제외하면 닝마파와 동일하다"(Stein, 2004, pp. 298-299).

인도불교는 티베트에 크게 두 번에 나누어 전래되었다. 티베트 역사가들은 그 두 번의 전래를 전기전래(前期傳來, 600~850)와 후기전래(後期傳來, 950~1250)으로 나눈다.

전기전래란 티베트에 불교가 유입되어 왕실에서 공식으로 채택되고 발전하다 왕조의 몰락과 함께 중앙집권적 후원이 끊어진 시기까지를 말한다. 초기 티베트불교의 발전은 토번 왕조의 송첸강파포 왕의 후원이 큰 역할을 했다(Lee, 2014, p. 52).

이 시기에 불교의 경전 번역을 위해 산스크리트어를 배워 티베트 문자와 문법을 만들도록 했다. 그리고 네팔과 중국의 공주들을 왕비로 맞아들이면서 인도불교와 중국불교를 받아들여 티베트불교의 입지를 다졌다. 티송데쩬 왕은 날란다(Nālandā) 승원의 승려 산타락시타(寂護)와 파드마삼바바(蓮華生)를 초청하여 뵌교도 뿐만 아니라 티베트 토속의 신들을 불교에 귀의하도록 하였다. 산타락시타는 왕실의 후원 하에 삼예사(桑耶寺)를 건립하고 티베트의 첫 승단을 만들었다. 닝마파는 이때 산타락시타가 대동했던 밀교승 파드마삼바바와 그의 가르침을 그 중심으로 삼는다. 또한 카말라실라(蓮華戒)를 초청했는데, 카말라실라는 삼예사에서 중국의 승려 마하연(摩訶衍)과 왕 앞에서 논쟁을 벌려, 중국 선종(禪宗)을 논파하여 티베트불교가 인도불교의 맥을 잇는 데 큰 역할을 했다. 티쏭데쩬 왕의 아들 랑달마 왕의 폐불(廢佛) 정책으로 인해 전기전래에 종지부를 찍게 되었다. 랑달마 왕은 뵌교에 의지해 모든 사원을 폐지하고 승려들을 죽이거나 환속시켰다.

후기전래는 이 시기에 들어 중앙아시아 지역의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티베트의 서부 아리(阿里)와 동부 안다(安多) 및 강파(康巴) 지방이 활기를 띄기 시작했고, 그 여파가 중앙 티베트까지 이어졌다. 또한 인도불교가 쇄락기에 접어들면서 티베트에 불교를 전파하기 위해 스님들과 밀교수행자들이 10세기 중반부터 티베트에 직접 들어오기 시작했다(Lee, 2014, p. 53).

티베트불교의 수행 및 교학체계 정립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이 인도 비크라마실라(Vikramaśīla) 승원의 아티샤(Atiśa)이다. 아티샤의 가르침을 따르는 카담파의 성립은 이후 티베트불교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카담파는 사카파, 조낭파에 이어 신카담파라 불리는 겔룩파까지 영향을 미쳤다. 이 시기의 특징 가운데 하나는 밀교의 활발한 전개이다. 밀교 수행자들이 인도로부터 들어오고, 티베트인들이 인도와 네팔로 가서 직접 밀교를 배우고 돌아왔다. 특히 카규파와 사카파의 경우가 그러하다.

원나라가 멸망하면서 사카파의 중앙 티베트에 대한 지배력은 급속도로 약해졌다. 총카파(宗喀巴)와 제자들에 의해 라싸를 중심으로 점차 영향력을 넓히고 있던 겔룩파는 중앙 티베트의 주요 종교와 정치의 중심이 된다. 혼돈에도 불구하고 이 시대(1250~1450)를 황금시대라고 부르는 것은 각 종파가 상호 간의 교류 및 견제를 통해 자신의 확고한 교리 체계를 확립했고 이 시기 동안의 발전은 이후 티베트불교의 근간이 되기 때문이다(Lee, 2014, p. 54).

티베트불교의 종파는 티베트에 불교가 정착하고 발전하는 과정과 긴밀한 관계가 있다. 닝마파ㆍ겔룩파ㆍ카규파ㆍ사캬파 등 4대 종파가 역사적으로 확립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고, 각 파에는 특징적인 수행법이 있다.

2. 티베트 복식의 이해

티베트의 기본 복식은 일반적으로 장포(長袍), 상의(上衣), 바지, 모자, 장화, 장신구이다. 의복은 가죽과 털(毛皮), 모직류로 만들며 선장식(線裝飾)을 두르고 있다. 남자는 바지와 상의를 입고 긴 소매가 달린 품이 넓은 포를 오른쪽으로 깊게 여며 입고 허리띠를 두르며, 모자를 쓰고 장화를 신는다. 여자의 의복은 발목까지 오는 긴 포(袍)를 입고 빵딴(邦單)이라는 앞치마를 착용한다. 정교한 의복보다 크고 다양한 장신구를 사용하여 외형을 강조하며, 유목민족이므로 재물을 장신구로 몸에 매달아 항상 휴대하였고 다양한 장신구는 지위와 재산을 상징한다. 이렇듯 다양한 장신구는 티베트 복식 문화의 특징이다. 티베트인들의 남자복식은 위엄이 있고, 넓고 편안함을 추구하며 여자 복식은 섬세하고 아름다우며 화려하다.

티베트인들의 복식은 생활환경에 따라 농업지역과 유목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농업지역에서는 비교적 따뜻한 기후 때문에 얇은 홑겹이 많으며 가볍고 부드러운 천이나 비단 등으로 안감을 넣거나 면을 덧댄다. 유목 지역에서는 목축한 동물의 가죽이나 털의 생산이 가능하여 가죽포를 중심으로 한 의복의 형태에 안감을 넣지 않고 옷의 가장 자리를 다른 재질로 장식 하며 장포(藏袍)의 품은 넉넉하여 고정한 허리띠를 풀면 침구의 역할을 한다. 특히 장포는 지리적 조건으로 인한 기후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의복이라고 볼 수 있다(Park, 2004).

티베트인들의 장신구는 매우 화려하다. 여자들은 머리장식을 중요시 하였고, 목걸이, 반지, 팔찌를 즐겨 착용하였으며, 남자들은 장신구를 몸에 달거나 허리에 차는 형태로 착용하였다. 머리장식부터 귀걸이, 가슴 장식, 허리장식, 반지에 이르는 다양한 장신구는 금(金), 은(銀), 산호(珊瑚), 옥(玉), 진주(珍珠), 마노(瑪瑙), 터키석, 견사(絹絲), 비취(翡翠), 상아(象牙), 호박(琥珀) 등으로 만들었다. 대도시에 근접한 농업지역에서는 수입에 의존했던 진주, 터키석, 은, 옥 등의 재료를 다양하게 사용하여 만든 장신구를 패용하였고, 머리 장식의 규모가 비교적 크고 머리카락과 실을 함께 틀어 올리는 등의 섬세함을 보인다. 유목 생활을 하는 지역의 패식(佩飾)은 주로 귀중품을 몸에 착용하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장신구 전체적인 이미지가 농업지역 보다는 섬세함이 없고 투박하다. 티베트인들에게 있어 중요시 되고 다양하게 관찰 되는 머리 모양만 보아도 그들의 차이점을 알 수 있다. 일 년에 한번 씻기도 어려운 유목민의 머리 모양은 간단하면서 고정력이 중요시 되었고, 도시 근접 농업 지역의 머리 장식은 다양했다.

티베트 라마승려 의복의 기본은 깃이 달리고 소매가 없는 붉은색 상의로서 에린가(Eringa)라고 하며 길이는 허리선까지 내려오게 입고 붉은색의 모직으로 주름을 잡아 만든 하의인 샨티브(Shantav)를 입는다. 기본적으로 에린가(Eringa)의 자락을 샨티브(Shantav)의 허리 안쪽으로 오도록 속으로 넣어 입고, 그 위에 가사인 어르힘지(Orgimji)를 입는다(Ogawa, 2010, p. 192).

1) 티베트 지역별 복식

티베트의 복식은 지역에 따라 독특한 복식 문화를 가지고 있다. 티베트는 크게 위장, 안다, 강파의 3개 지역으로 구분된다. 각 지역은 언어와 생활 방식에 차이가 있으며, 복식도 각 지역에 따라 그 특징을 달리 한다.

(1) 위장(衛藏)지역

위장지역은 해발고도 3,500미터 이상이며, 티베트 지역 농지의 67.7%에 해당되며 비교적 살기 좋은 자연환경으로 농경과 유목이 병행된다. 산호, 터키석, 진주 등의 귀한 보석을 이용한 머리장식과 패식(佩飾)이 발달 하였고, 다른 지역에 비해서 색이 다양하고 화려하며 복식의 소재가 다양하다(National Museum of Korea, 2009, p. 241).

위장지역의 복식은 온화하면서도 점잖은데 라싸나르카쩌(日喀则)와 같은 대도시가 있어서 귀족들이 당(唐)의 견직물, 원(元)ㆍ청(淸)의 외래 복식 문화를 비교적 많이 받아 들였던 것으로 보인다. 아리(阿里)지역의 여자 머리는 소뿔형 머리장식을 하고 여러 줄의 긴 구슬로 얼굴을 가리고 끝에 은장식을 단무용복식이 특징이다.

위장지역의 가장 대표적인 장식으로 손꼽히는 파주(巴珠)는 삼각형이나 아치형의 머리 장식이다. 과거에 귀족들은 진주를, 평민들은 산호를 사용하여 제작 하였으며 여성들은 성년이 되는 날에 엄숙한 의식을 통해 처음으로 파주를 착용하였다(National Museum of Korea, 2009, p. 241).

큰 활처럼 휘어서 홍색으로 염색한 면직물을 감고 모양을 만드는 파과(巴戈)는 산호, 호박, 진주 등으로 장식하는데, 진주는 목걸이처럼 꿰어서 사용하였다. 파과ㆍ파주의 장식 모양은 신분의 지위 등급을 나타내는 상징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2) 안다(安多)지역

안다지역은 평균 해발 고도가 약 3,000미터 정도로 건조하고 바람이 많이 불며, 겨울은 춥고 여름에도 선선한 전형적인 대륙성 건조 기후이다. 약 90%의 지역에서 목축을 하며 농경은 북동부의 일부 지역에서만 이루어지고 있다. 주로 동물의 가죽을 포(袍)로 만들어 입고 동물의 털로 가장자리를 장식한 형태가 많다. 대도시와의 지역적 거리감으로 외래문화를 적게 받았기 때문에 가장 전통적인 티베트의 복식 형태를 지켜오고 있다(National Museum of Korea, 2009).

(3) 강파(康巴)지역

강파지역은 높은 산과 깊은 계곡으로 이루어져 있고, 삼림 면적이 제일 넓은 지역이다. 추운 대륙성 기후를 형성하고 있으며, 창두(昌都)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 경사지와 계단식 밭농사를 주로 한다. 이 지역의 복식은 남녀 모두 패식(佩飾)을 주로 많이 착용하며, 조화와 대비가 특징이다. 화려함과 수수함, 강렬한 색상과 문양의 크기, 색의 조화를 많이 사용한다. "남자들은 긴 머리카락을 땋아서 머리위에 돌리고 붉은색 술을 두르는 머리 모양을 좋아하며, 통여우 가죽의 머리와 꼬리를 두른다"(National Museum of Korea, 2009, p. 243). 넓은 가죽으로 만든 포(袍)를 입고, 호랑이, 퓨마, 수달 가죽으로 장식하며 허리에는 긴 칼을 찬다.

여자들은 자신의 신분을 상징하고자 금, 은, 구슬, 보석 등으로 꾸민다. 윈난성의 장족여자들은 선명하고 화려한 색을 좋아해서 포(袍), 허리띠, 앞치마의 색이 화려하고, 상의는 주로 복숭아색 또는 백색이며 머리 장식은 붉은색과 녹색으로 꾸민다. 주름치마를 입고 모직 백화대를 두르며 금, 은, 산호로 만든 긴 귀걸이를 걸고 머리카락에 여러 가지 색깔의 끈을 땋아서 두르고 오른쪽 귀 밑으로 늘어뜨린다(National Museum of Korea, 2009, p. 244).

<Fig. 6>

Changdu(昌都) Region(Zhang, 2001, p. 93, 98)

<Fig. 7>

Kham(康巴) Region(Yang, 1999, p. 168. & National Museum of Korea, 2009, p. 236)

Regional Characteristics of Costume

2) 티베트 불교 복식

티베트의 불교복식은 넓은 의미로 승려들이 사원에서 공공활동을 할 때나 개인적으로 외출을 할 때 입는 의복과 패식을 뜻한다. 티베트 불교의 가사(袈裟)는 종파별로 복식제도나 복식의 종류는 대동소이(大同小異) 하다. 후기 불교종파 중의 하나인 겔룩파의 복식을 위주로 정립 되었다. 티베트 언어로는 “잉열(gzan, 仍熱)”로 표현하며, 가사는 입는 때와 장소에 따라서 “당규(mthing gos, 唐奎)”, “라규(bla kos, 喇奎)”와 “랑가(snam sbyr, 朗袈)”등 세 가지 종류로 구분된다(Li, 2010, p. 178). 크기는 폭 45cm에 길이 4m정도의 긴 천을 왼쪽 어깨에서 가슴, 오른쪽 겨드랑이, 다음으로 등과 왼쪽 어깨를 지나 앞으로 늘어뜨리고 반복하여 다시 왼쪽 어깨에 걸치는 방법으로 착용한다.

상의는 조끼 형태로서 티베트 언어로는 “퇴알(stod vgag, 堆嘎)”이며, 티베트 불교복식의 독창적인 유형 중의 하나이다. 깃이 큰 조끼 형태로 깃과 어깨 부분을 몸판과 동일한 색이나 다른 색으로 배색을 하기도 했다. 소재는 면과 비단, 모직류, 방로(氆氌) 등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치마는 안에 입는 것과 밖에 입는 것으로 구분되며, 안에 입는 치마는 티베트어로 “매월화(smad gyog, 邁月和)”이며 형태는 랩 스커트(wrap skirt)와 같으며 허리띠로 상부를 매는 방법으로 착용한다. 외부에 입는 치마는 티베트어로 “하목탑포(gsham thab, 夏木塔布)”이며, 면직물로 소재를 제한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주름을 잡은 구조이다. 주름의 앞과 뒷부분의 구조는 종파별로 약간의 차이가 있다.

망토(披風)는 티베트어로 “달객목(zla gam, 達喀木)”이며 라마(Lama)와 일반승려들이 법회 때 입는 외투라고 할 수 있다. 특징적인 것은 매우 여유로우며 무겁고 부채 모양이고 뒷면에는 많은 주름이 잡혀 있다. 대부분의 승려들이 홍색을 착용하지만 일부 승려는 황색을 착용한다.

장조끼(連衣裙長背心)는 티베트어로 “두후간(豆侯干)”이며 일반적으로 골이 있는 방로(氆氌)나 면섬유의 합성소재를 사용하고 진한 갈색이나 붉은 흙색이다

“라마승의 직물은 반드시 남자가 짜는 것이 특징이며, 라마승의 법복(法服)은 비단에 수(繡)를 놓고 그 자수 위에 당채(唐彩)로 채색을 하기도 하여 화려하게 장식한 것도 있다”(Lee et al., 2002, p. 112).

승려들의 복식은 일반적으로 붉은 갈색이나 붉은 황색의 방로(氆氌)로 만들어진다. “승려들의 복식은 교파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지만, 라마의 지위나 등급에 따라 품질, 모양, 만드는 공정이 달라진다"(Zhang, 2001, p. 3).

<Fig. 3>

Ornaments of Ali(阿里) Pulan(普蘭)(Zhang, 2001, p. 49)

<Fig. 4>

Bage(巴戈), Shigatse(日喀則) Region(Yang, 1999, p. 169)

<Fig. 5>

Zhuoni(卓尼) and Nanzhou(南州) Region of Gansu Province (甘肅省)(Yang, 1999, p. 165)

“티베트의 승려복식은 15세기에 겔룩파가 성립되고 청(淸)나라 때 최대 교파가 된 이후, 복식 또한 점차 통일되어 청대(淸代)부터 지금까지 기본적인 특징은 변화가 크지 않다"(Kwon & Lee, 2012, p. 17).

승려신발은 티베트어로 “한모(lham, 漢母)”이며 일반적으로 소가죽으로 신발 밑창을 만들고, 발목이 길게 올라오는 형태이다. 신발의 앞코 부분이 버선코처럼 올라와 있다.

<Fig. 8>

Tibetan Monks' Costume in the late 1910s(Dbang-phyug, 2005, p. 23)

<Fig. 9>

Lama's Costume in the 1980s(Dbang-phyug, 2005, p. 171)

3. 티베트의 문양

“문양은 본래 물체의 겉에 나타나는 장식 무늬의 형태를 말한다”(Institute of Fashion Dictionary, 1999, p. 188).

문양은 미적 감각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점이나 선, 색채를 도형과 같이 형상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우리말로 ‘무늬’라 하며 한자로는 ‘문양(文樣)’ 혹은 ‘문양(紋樣)’이라고 표현한다. ‘문(文)’은 글자(書契, 사물을 표시하는 부호), 꾸밈(飾), 아름다움(美), 빛남(華), 아롱짐(斑), 빛깔(文彩) 등을 뜻한다. (Culture Portal, 2015)

그리고 “‘문(紋)’은 무늬 또는 문채를 뜻하는 것이니, 앞의 것은 문화적인 것으로 인간의 내적 활동의 소산이라고 말할 수 있고, 뒤의 것은 문명 즉 외적ㆍ물질적 소산이라고 구분지어 말할 수 있다”(Lim, 2004, p. 11). 즉 “문양은 모든 물체의 겉에 나타나는 장식 형태”를 말하며(Park, 1996, p. 6), “문양이미지는 모티프의 대상, 표현, 배열이 합쳐져 형성된다”(Ryu & Kim, 2009, p. 4).

“종교는 문화의 정수이며, 문화는 종교의 표현이다”(Tillich, 1948, p. xvii). “종교 사상은 상징을 통해 세상을 이해하고 또 상징을 통해 행위를 유발한다”(Smart, 2000, pp. 55-57).

티베트 불교에 나타나는 상징부호 및 기물(器物)은 주로 팔길상(八吉祥) 또는 팔서상(八瑞相), 팔서물(八瑞物), 다섯 감각기관의 대상을 표현한 오묘욕(五妙欲), 전륜왕(轉輪王)과 7가지 진보(珍寶), 상징물과 공물(供物), 동물 및 신화 동물, 성상(星象) 부호, 주요 예의(禮儀)와 밀종(密宗) 기구(器具), 병기(兵器), 길상천모(吉祥天母)의 5가지 신기(神器), 식물 공품(供品), 기타 공물(供物), 불교의 세계를 표현하는 법원(Mandala), 수인(Mudra) 등이 있다(Robert, 2007, pp. 1-2).

또 “지(地)ㆍ수(水)ㆍ화(火)ㆍ풍(風)ㆍ무지개 등 자연물, 우주, 6가지 장수(長壽) 상징, 다양한 진보(珍寶), 문자나 도형 등이 부가되어 티베트 문화 전반에 상징과 문양으로 나타난다”(Robert, 1999, pp. xii-xviii).

본 연구에서는 문양의 분류를 표현 대상에 따라 기하학적인 문양, 자연상징 문양, 길상문자도안 문양의 3가지로 문양을 상세 분류 하였다.

1) 기하학적인 문양

기하학적인 문양은 자연 상징 문양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자연의 현상을 추상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삼각형이나 직선,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추상무늬를 말하며 추상적으로 도식화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Lim, 1998, p. 40).

기본적으로 원형(圓形), 방형(方形), 삼각형(三角形)이 연결되어 나타난다. 또 “공자(工字) 모양, 회자(回字) 모양, 편결(編結) 모양, 장성연(長城連) 모양, 횡조홍채(橫條虹彩) 모양, 삼태극(三太極) 등이 있다"(Li, 2010, p. 44). 공자문양이나 회자문양은 상징성을 가지고 사용되기보다는 의미가 없이 장식적인 효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기하문양의 범주에 포함한다.

2) 자연상징 문양

자연을 상징하는 문양은 자연문과 동물문, 식물문을 포함한다. 자연문은 동물과 식물을 제외한 해와 달, 구름, 무지개, 산, 암석, 폭포, 하늘, 별, 우주, 산호 등 자연을 소재로 한 무늬를 말한다. 불교에서 이 세계를 구성하는 기본 요소인 4대원소(四大元素)를 나타내는 지(地), 수(水), 화(火), 풍(風)이 있다, 땅은 사각 모양으로, 불는 불꽃이나 빛으로, 물은 파도로, 바람은 흐름으로 표현되어 나타난다.

이로움과 두려움의 존재였던 동물들은 문양으로 형상화할 때는 그들의 형태와 인간의 의식 속에서 만들어진 상징성을 함께 표현한다.

3) 길상도안 문양

길상도안으로 가장 대표적인 것은 팔길상문으로 산개, 법륜, 일산, 보병, 매듭, 금어(쌍어), 법라, 연꽃의 여덟 가지 상서로운 문양이다. 불교미술에서 빈번히 나타나는 인물문양으로 부처, 보살, 인도와 티베트 대승불교의 스승, 전륜왕(轉輪王)과 천신, 약샤(夜叉) 등이 있다. 또한 신체의 일부인 손으로 다양한 의미를 표현하는 수인(手印), 부처의 발자국(佛跡) 등이 있다. 문자문으로는 만자(卍字)문양, 십자(十字)문양, 옴자(唵字)문양, 수자(壽字)문양, 복자(福字)문양 등이 있다. 문자문이란 글자를 도식화하여 특정한 글자를 연속해서 나열한 문양이다. 사물에 길한 의미를 가진 문자들을 새김으로써 글자 뜻대로 이루어지기를 염원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자, 단수자(団壽字), 장수자(長壽字), 복자, 십자 등이 널리 쓰인다.


Ⅲ. 티베트 복식에 나타난 문양

1. 일반 복식에 나타난 문양

“티베트의 복식(服飾)은 안정과 변화의 통일체로서 동적인 아름다움과 조화로움을 표현하고 있다"(Li, 2010, p. 174). 티베트 복식에서의 도안과 그것을 형상으로 표현하는 문양은 복식문화 중에서도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티베트인들의 복식 문양은 강렬한 민족 정서와 종교적인 색채를 충족시키고 있다. “도안의 대부분은 간절히 소망하는 길상의 의미와 행복한 생활의 추구를 염원하는 의미가 담겨져 있다"(Li, 2010, p. 169).

티베트의 문화에 문양이 사용 되는 분야는 불화와 건축 및 조형물, 그리고 복식과 공예품 등의 생활 전반에 다양하게 나타난다. 문양은 각각의 문화양식에 중복되어 사용 되어지는 것도 있지만 복식에만 나타난 문양의 종류도 있다. 복식에 사용된 문양의 종류를 티베트 문양의 종류에서와 마찬가지로 표현 대상에 따라서 기하학적인 문양, 자연 상징 문양, 길상도안 문양으로 하였다. 문양의 상징적 의미와 표현방식을 세 가지 분류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하학적인 문양은 보편적으로 허리장식이나 옷의 깃 부분에 장식적으로 나타난다. 주로 선으로 구성 되었거나 삼각형과 원형, 사각형의 추상적인 구성으로 표현 되었으며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복식에 사용된 기하학적인 문양은 실질적인 의미가 없고 장식적인 의미로 분포되어 있다.

둘째, 자연상징 문양은 자연문과 동물문, 식물문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범위가 매우 넓다. 티베트인들은 용을 길상물로 여기기 때문에 복식에서는 귀족이나 고위 권력의 상징으로 관료복에 많이 사용되었다. 용문양은 원룡(圓龍)의 형태나 구름을 가로지르는 형상으로 수염을 흩날리는 도안으로 표현하였다. “중국에서는 황권의 상징이었던 용문양을 티베트인들은 그들의 마음속에 부귀와 아름다움에 상징적 의미를 두고 있다"(Li, 2010, p. 41). 화문(花紋)과 새의 문양은 사실적으로 혹은 추상적으로 방전이나 두건에 많이 사용되었으며 과장된 표현을 쓰기도 하였다.

세 번째, 길상도안 문양이 있다. 길상 도안 문양 중에서도 여덟 가지 보물로 표현한 팔길상문이 사용범위가 가장 넓다.

팔보문양은 매듭문양, 연화, 일산, 산개, 법라, 보병, 금어, 법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매듭문은 만자 문양이 두 개 연결된 형태로서 영생불멸, 단결, 화목의 뜻이 있다. 범라는 백색이며, 불교의 법을 사방으로 알려 준다고 한다. 연꽃은 활짝 피며 열매가 가득 차 있어서 안과 밖이 깨끗하며 고귀한 의의를 가지고 있다. 일산은 탐욕과 어리석음, 느림, 의심을 뜻하며 크고 작은 고난을 이겨낸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법륜은 불교 숭상과 구원을 의미하고, 보병은 삶의 원만함과 소망의 성취를 의미 한다. 금어는 정법을 준수하고 빠르고 지혜롭다고 하여 해방을 상징한다. 또한 부활과 영생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Li, 2010, p. 39).

길상도안 문양에는 팔길상문 외에도 문자문에 십자문양, 만자문양, 수자문양, 옴자문양 등이 있다.

<Fig. 10>

S-Shaped Pattern of Zhangpo(B. Li, 2007)

<Fig. 11>

Rainbow Pattern of Tibetan Apron(Tibetan Costume and Ornaments, 2015)

<Fig. 12>

Jewel-Wheel Pattern of Splendid Dress(Tibetan Costume and Ornaments, 2015)

<Fig. 13>

U-Shaped Pattern of Accessory(Park, 2004, p. 42)

<Fig. 14>

Cloud Pattern of Po(Zhang, 2001, p. 4)

<Fig. 15>

Dragon & Flower Patterns of Po(Jam & Wang, 2000, p. 90)

<Fig. 16>

Flower Pattern of Tibetan Caps(Dbang-phyug, 2005, p 144)

<Fig. 17>

Flower Pattern of Tibetan Shoes(Zhang, 2001, p. 14)

<Fig. 18>

Cross Pattern of Zhangpo(Anawalt, 2009, p. 249)

<Fig. 19>

Swastika Pattern of Po(Zhang, 2001, p. 97)

<Fig. 20>

Knot & Dzi Pattern of Accessory(Dbang-phyug, 2005, p 183)

<Fig. 21>

Cross Pattern of Tibetan Shoes(Zhang, 2001, p. 15)

2. 불교복식에 나타난 문양

티베트에서 불교는 신비적인 종교문화로서 정신세계를 지배하고 있다. 불교복식에 나타난 문양은 대표적으로 길상도안 문양인 팔길상문, 인물문과 문자문이 있고, 자연상징 문양인 동물문, 식물문도 있으며 기하학적인 문양인 선의 표현도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팔길상문은 단독으로 쓰이기보다는 한 개 이상으로 복합해서 사용되고, “문자문인 십자문은 승려복에 쓰일 때는 동서남북의 방위를 상징한다”(Research Institute of Sungbo Cultural Heritage, 2001, p. 193). 승려들은 일상적으로 승려의 지위에 따라 복식의 차이가 크지 않지만, 착용되는 불교복식에서의 문양은 승려의 지위에 따라 가사 안에 착용하는 감견(조끼)에 직금(織金)하는 소재로 문양을 활용했고 고승들이 착용하였다. 전체적으로 문양이 드러나기 보다는 가사 안쪽으로 어깨부분만 보이는 정도이다. 불교복식에 나타난 문양은 의례에 착용한 가사와 의식용포에 표현되었다. 의식용 관모에도 문양이 많이 사용되었다.

<Fig. 22>

Cross Pattern of Monk's Cloak(Research Institute of Sungbo Cultural Heritage, 2001, p. 140)

<Fig. 23>

Skelton & Shell Patterns of Monk's Costume at Buddhist Ceremony(Research Institute of Sungbo Cultural Heritage, 2001, p. 144)

<Fig. 24>

Flower & Vajra Patterns of Karmapa Dress(djinpadorje, 2015)

<Fig. 25>

Sun & Moon Patterns of Monk's Hats(Research Institute of Sungbo Cultural Heritage, 2001, p. 151)


Ⅳ. 티베트 복식문양의 종교적 상징성

문양이 지닌 상징성은 인간의 정신세계와 물질세계를 반영하여 인간 본연의 미적 발현과 주술적 종교의식이 융합되어 나타내는 도형의 한 형식이다(Lim, 1996). 문양의 상징성을 통하여 인간은 마음의 일면을 보상 받거나 미래적인 기원에 대한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상징이란 연상과 유사성 또는 관습에 따라 어떤 것을 바꾸어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어떤 물건들은 그 자체로 상징이기 때문에 그것이 나타내는 것 외에 다른 고유의 의미가 없는 단순한 표시인 경우가 있다. 티베트인들의 복식에 표현된 문양은 티베트 불교로부터 기인하는 것이 많은데 길상도안 문양인 만자(卍字)문, 십자(十字)문, 여덟 가지 상서로운 모양인 팔길상문(八吉祥紋) 등이 대표적인 문양이라 할 수 있다.

1. 길상(吉祥)

티베트인들의 복식문양에는 강렬한 민족 정서와 종교적인 색채가 깃들어 있다. 그래서 “문양이 포함하는 의미도 아름다움을 추구 하면서 간절히 바라는 길상의 마음을 담고 있다” (Li, 2010, p. 169). 사전적 의미로서 길상은 장수나 행복 따위의 좋은 일을 상징한다. 이처럼 문양은 대상이나 형태를 단순화하고 시각화하여 문화적 또는 종교적인 의미를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Fig. 26>

Vajra Pattern of Baby Carrier(gettyimages, 2015)

<Fig. 27>

Lotus & Shell Patterns of Baby Carrier(Tibetan Costume and Ornaments, 2015)

티베트복식에 사용된 길상도안 문양인 만자문, 십자문, 팔길상문은 의복과 장신구에 다양하게 사용 되었고, 자연상징 문양인 봉황문도 재앙을 막고 복을 부르는 길상적(吉祥的) 의미로 쓰였다. 십자문양은 자비와 선을 베푸는 의미가 담겨 있다. 그중에서도 팔길상문은 사용 범위가 가장 넓은 문양이기도 하다.

“티베트인들은 문양을 사용함으로써 불교신의 보호와 행운을 불러 온다고 믿는다”(Li, 2010, p. 38). 하나의 예로 어린 아이의 포데기에 연꽃을 수놓고 소라껍데기를 걸어 두면 어린이한테 좋은 기운과 복을 가져다준다고 믿었다. 이처럼 문양을 복식에 사용함으로써 복을 받고 액을 피한다는 길상과 벽사의 상징성을 모두 내포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2. 벽사(辟邪)

벽사의 사전적 의미는 요사스러운 귀신을 물리친다는 뜻이다. 일반적 관점에서의 벽사는 흉을 피한다는 상징적 의미를 가지며, 불교적 관점에서는 불법을 수호하는 위엄과 호신의 상징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질병, 저주, 장애, 해악을 끼치려는 자들로부터의 안전과 보호를 상징하는 일산(日傘), 순수한 몸과 마음과 영혼, 불결한 세상에서의 선행을 상징하는 연화(蓮花), 세상의 모든 악(惡)에 대한 필연적인 승리를 상징하는 산개(傘蓋) 등이 위엄과 호신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문양이다. 벽사의 의미를 가지는 문양은 의복에 사용하기보다는 신발이나 장신구에 주로 나타난다. “신발의 옆 부분에 물고기 뼈의 모양으로 자수를 놓는 것과, 벽사의 의미로 흉식의 일부를 물고기 뼈를 연결시켜 패용하였다"(Park, 2004, p. 69)는 것에서 근거를 찾을 수 있다. 흉식인 격제나 호신함이 대표적인 벽사의 의미를 가진 문양을 사용한 장신구이며 항상 몸에 패용 하였다. 또한 “휴대용 부적이나 불감(佛龕)은 장거리 여행의 필수품으로 여자들은 목걸이로 이러한 것들을 많이 착용하였으며, 불행과 질병을 막아주는 타라(Tara)여신을 문양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Hong, Shin & Choi, 2004, p. 252).

3. 기타

“티베트인들은 불교 윤회 관념의 영향으로 복식문양에 “원통(圓通)”, “원각(圓覺)”, “원만(圓滿)”의 구성을 추구한다"(Li, 2010, p. 169).

문양 구성의 완전함과 매끄러움, 풍부하면서 빽빽한 구성이 그러하다. 기물의 형태나 문양의 구조가 대칭식이거나 방사식, 윤곽의 굵기나 수량의 많고 적음의 표현은 윤회 관념의 요구 아래 구성된 것이다. 티베트의 예술인들은 원형 도안의 안정성을 중요시한다. "원형 도안은 티베트 민족의 종교적인 감정을 전달하고 사람들의 심리와 생리적인 구조와 적합하며, 동질감과 균형, 통일, 조화의 모두가 원만함의 완성미이다"(Li, 2010, p. 169).

이렇듯 복식에 사용되는 문양은 길상과 벽사의 의미로 상징성이 구별되어지기보다는 각각의 문양이 가지는 의미에 따라 길상과 벽사의 상징성을 함께 갖는다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티베트 복식에 있어서의 문양은 액을 막고 복을 부르는 동시성을 가지는 상징적 의미가 있다. 이러한 불교적 상징성을 가지는 문양을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Religious Symbolic Patterns


Ⅳ. 결론

티베트인들에게 불교는 티베트인들의 삶의 방식을 표현하는 방법이다. 생활 방식으로 그들의 복식 문화를 구분 한다면 농경지역과 유목지역으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을 것이고, 지역적인 구분으로는 위장지역, 안다지역, 강파지역 등의 세 지역으로 나누어 특징적인 모습을 보인다. 티베트인들이 사용 했던 문양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대부분이 종교적인 행사나 의례에 사용되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종교적인 관점에서 본 복식에 나타난 문양의 상징성은 자연환경에 순응하면서 생활했던 티베트인들의 환경에 잘 나타나 있다.

불교적 관점에서 바라본 상징적 문양은 팔길상문 이외에도 수레바퀴(法輪)와 함께 사용되어진 부처의 발자국이나 불꽃, 만자문양, 금강저 등도 그 근거를 찾아볼 수 있다. 팔길상문 중에 소라 껍데기는 그 자체로 의식을 행할 때 사용되는 경우도 있지만 작은 소라 껍데기를 사선방향의 반복된 십자문양으로 가방이나 요대 장식으로 주로 농경지역에서 사용하였다. 만자 문양은 의복의 등 부분에 수를 놓는다는 기록과 함께 유목지역 포(袍)의 장식에 상징적으로 사용되었는데, 금강저 문양과 만자문양이 함께 사용되거나 포(袍)와 함께 착용했던 방전에 해골 문양과 함께 사용 되어진 경우가 있다. 매듭문양은 주로 금속 패식의 장신구로 쓰여졌고, 방전의 자수문양으로도 쓰여졌다.

농경지역에서는 용을 신성시 했는데, 장포의 원단에 쓰여졌고 용의 문양은 단독으로 사용되기 보다는 구름문과 같이 사용되었다. 유목지역에서는 새를 신성시하여 봉황 문양을 사용하는데, 단독으로 사용하기 보다는 구름문양이나 그 외 다른 문양들과 함께 쓰여졌다.

상징성을 갖는 문양이 사용된 복식(服飾)은 불교적 의식을 행할 때나, 축제 등에서 예복에 주로 사용되었으며, 티베트의 복식 문양은 종교적으로 길상과 벽사의 상징성과 내세와 윤회의 원만함을 상징하고 있다. 각각의 문양이 가지고 있는 의미는 알 수 있으나, 그들이 착용했던 복식과 다양한 장신구들에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문양의 구체적인 의미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다. 왜냐하면, 그 의미와 이유에 대한 명확한 분석 자료가 부족하고, 문헌을 통한 사진 자료는 첨부되어진 배경에 대한 설명이 자세하게 기록 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문양의 모양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티베트 의복, 장신구, 문양의 상징성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를 위하여 티베트 불교의 전통행사 및 축제 등의 답사와 티베트 종교 전적(典籍)을 통한 고찰이 필요하다.

References

  • America Pink, (2015, Aug, 12), Retrieved from http://america.pink/list-administrative-divisions-the-tibet-autonomous-region_2666385.html.
  • Anawalt, P. R., (2009), The Worldwide History of Dress, Korean Society of Costume, Trans. Seoul, Republic of Korea, Yedam, (Original Work published 2007).
  • Culture Portal [문화포털], (2015, Aug, 12), Retrieved from http://www.culture.go.kr/traditional/pattern.do.
  • Dbang-phyug, R. R., (2005), Tibet through the Lenses of the Tulku and His Son(1925-2005), Beijing, China, Tibetology Pubilshing House.
  • DJINPADORJE, (2015, Dec., 12), Retrieved from http://djinpadorje.org/wp-content/uploads/2014/10/PLV-KAR-1-DTG-GB-FR2vectorise.jpg.
  • Gettyimages, (2015, Dec., 12), Retrieved from http://www.gettyimages.com/detail/video/villager-at-ringmomonastery-in-traditional-stock-video-footage/141671409.
  • Hong, N. Y., Shin, H. S., & Choi, J. H., (2004), Traditional costumes of Asia, Seoul, Republic of Korea, Kyomunsa.
  • Institute of Fashion Dictionary, (1999), Fashion Dictionary, Seoul, Republic of Korea, Kyomunsa.
  • Jam, d., & Wang, M. X., (2000), Precious Deposits: Historical Relics of Tibet vol. 1, Beijing, China, Chaohua chubanshe(Morning Glory Publishers).
  • Kwon, Y. S., & Lee, K. H., (2012), The Types and Features of Formal Ritual Hats for Tibetan Buddhist Pries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2(5), p6-30.
  • Lee, J. B., (2014), Study on School of Tibetan Buddhism, The Buddhist Review, 59.
  • Lee, S. H., Lee, K. S., Cho, S. H., Choi, K. H., Kwon, H. J., Kim, O. K., & Kim, H. J., (2002), Information of World Costume and Fashion, Seoul, Republic of Korea, Kyomunsa.
  • Li, B., (2007), Tibetan Culture[DVD], China, China International Communication Center.
  • Li, Y. Q., (2007), Tentative Discussion About Tibetan Auspicious Dressing and Adorning Culture, Journal of Sichuan Normal University, 34(2), p45-54.
  • Li, Y. Q., (2008), Study on the Costume of Tibetan Buddhist Priests, Xizang Research, 1.
  • Li, Y. Q., (2009), Study on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ibetan Costume, Journal of Xizang University, 24(2).
  • Li, Y. Q., (2010), A Study on Tibetan Costume Culture, Beijing, China, People's publishing house.
  • Lim, Y. J., (1998), Korean traditional patterns vol. 1, Seoul, Republic of Korea, Yewon.
  • Lim, Y. J., (2004), Korean traditional patterns, Seoul, Republic of Korea, Daewonsa.
  • Lim, Y. J., (1996), A Study about the Aesthetics of Oriental in Modern Fashion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30, p261-261.
  • Moon, S. C., (1998), Research of Tibetan Society and Buddhist Culture: Tibet's Feature of Nature and Human Environment, East Asian Studies, 36, p249-250.
  • National Museum of Korea, (2009), The Ancient Tea Horse Road, Life & Culture, Seoul, Republic of Korea, Friends of National Museum of Korea.
  • Ogawa, Y., (2010), World Ethnic clothing assembly, W. H. Cho, & C. S. Park Trans, Seoul, Republic of Korea, Minsokwon, (Original Work published 1991).
  • Park, K. O., (1996), (An)emperical study on visual images of fabric colors and patterns, (Unpublished docto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 Park, S. Y., (2004), A Study on the Clothes of Zangzu,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 Park, S. Y., & Soh, H. O., (2005), The Buddhist Civilization and Jangjok's Clothes in China, Journal of Human Ecology, 21.
  • Peng, Y. Q., (2012), A General Statement of Tibetan Religion, S. I. Kim Trans, Seoul, Republic of Korea, M-Ad, (Original Work published 2002).
  • Qiao, D., & Soh, H. O., (2010), A Study on Tibetan Folk Costume on the Stage - Focused on the CCTV Spring Festival Gal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0(9), p26-40.
  • Research Institute of Sungbo Cultural Heritage, (2001), Buddhist Kingdom near the Sky, Tibet, Gyeongnam, Republic of Korea, Tongdosa Museum.
  • Robert, B., (1999), The Encyclopedia of Tibetan Symbols and Motifs, Boston, U.S., Shambhala Publication.
  • Robert, B., (2007), The Handbook of Tibetan Buddhist Symbols, H. J. Xiang Trans, Beijing, China, China Tibetology Pubilshing House, (Original Work published 2003).
  • Ryu, H. J., & Kim, M. J., (2009), A Study on Image of Patterns [1] -With a Focus on Development on Image Positioning of Patter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9(2), p29-41.
  • Smart, N., (2000), Worldviews: Crosscultural Explorations of Human Beliefs, Y. S. Kim Trans, Seoul, Republic of Korea, Ehaksa, (Original Work published 1999).
  • Stein, R. A., (1962), Tibetan Civilization, S. D. Ahn Trans, Seoul, Republic of Korea, Moowoosoo, (Original Work published2004).
  • Tashi Tag-gye, (2015, August, 12), Retrieved from http://www.tibetan-museum.org/coding/sub5/sub7_2.asp.
  • Tibetan Costume and Ornaments, (2015, Dec., 12), Retrieved from http://zt.tibet.cn/tibetzt-en/tcao/2local/041.htm.
  • Tillich, P. J., (1948), The Protestant Era, Chicago, U.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Wikipedia, (n.d.), Retrieved from https://en.wikipedia.org/wiki/Kham.
  • Wu, Z., & Lee, H. J., (2006), Characteristics of National Races' Costumes in Chinese Contemporary Costume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4(6), p956-970.
  • Yang, Y., (1999), Chinese National Costume Culture, Beijing, China, Dazong Literature Publishing House.
  • Zhang, Y., (2001), Tibetan Folk Art Series: Costumes and Ornaments, China, Chongqing Publishing House.
  • ZhongguoXizangZizhiquTongjiju[中國西藏自治区统计局], XizangZizhiqu2010niandiliuciquanguorenkou-PuchaZ huyaoShujuGongbao[西藏自治区2010年第六次全国人口普查主要数据公报], (2010, Nov., 1), Retrieved from http://www.stats.gov.cn/tjsj/tjgb/rkpcgb/dfrkpcgb/201202/t20120228_30406.html.

<Fig. 1>

<Fig. 1>
Traditional Region of Tibet(Wikipedia, n.d.)

<Fig. 2>

<Fig. 2>
Administrative district of Xizang Autonomous Region, China(America Pink, 2015)

<Fig. 6>

<Fig. 6>
Changdu(昌都) Region(Zhang, 2001, p. 93, 98)

<Fig. 7>

<Fig. 7>
Kham(康巴) Region(Yang, 1999, p. 168. & National Museum of Korea, 2009, p. 236)

<Fig. 3>

<Fig. 3>
Ornaments of Ali(阿里) Pulan(普蘭)(Zhang, 2001, p. 49)

<Fig. 4>

<Fig. 4>
Bage(巴戈), Shigatse(日喀則) Region(Yang, 1999, p. 169)

<Fig. 5>

<Fig. 5>
Zhuoni(卓尼) and Nanzhou(南州) Region of Gansu Province (甘肅省)(Yang, 1999, p. 165)

<Fig. 8>

<Fig. 8>
Tibetan Monks' Costume in the late 1910s(Dbang-phyug, 2005, p. 23)

<Fig. 9>

<Fig. 9>
Lama's Costume in the 1980s(Dbang-phyug, 2005, p. 171)

<Fig. 10>

<Fig. 10>
S-Shaped Pattern of Zhangpo(B. Li, 2007)

<Fig. 11>

<Fig. 11>
Rainbow Pattern of Tibetan Apron(Tibetan Costume and Ornaments, 2015)

<Fig. 12>

<Fig. 12>
Jewel-Wheel Pattern of Splendid Dress(Tibetan Costume and Ornaments, 2015)

<Fig. 13>

<Fig. 13>
U-Shaped Pattern of Accessory(Park, 2004, p. 42)

<Fig. 14>

<Fig. 14>
Cloud Pattern of Po(Zhang, 2001, p. 4)

<Fig. 15>

<Fig. 15>
Dragon & Flower Patterns of Po(Jam & Wang, 2000, p. 90)

<Fig. 16>

<Fig. 16>
Flower Pattern of Tibetan Caps(Dbang-phyug, 2005, p 144)

<Fig. 17>

<Fig. 17>
Flower Pattern of Tibetan Shoes(Zhang, 2001, p. 14)

<Fig. 18>

<Fig. 18>
Cross Pattern of Zhangpo(Anawalt, 2009, p. 249)

<Fig. 19>

<Fig. 19>
Swastika Pattern of Po(Zhang, 2001, p. 97)

<Fig. 20>

<Fig. 20>
Knot & Dzi Pattern of Accessory(Dbang-phyug, 2005, p 183)

<Fig. 21>

<Fig. 21>
Cross Pattern of Tibetan Shoes(Zhang, 2001, p. 15)

<Fig. 22>

<Fig. 22>
Cross Pattern of Monk's Cloak(Research Institute of Sungbo Cultural Heritage, 2001, p. 140)

<Fig. 23>

<Fig. 23>
Skelton & Shell Patterns of Monk's Costume at Buddhist Ceremony(Research Institute of Sungbo Cultural Heritage, 2001, p. 144)

<Fig. 24>

<Fig. 24>
Flower & Vajra Patterns of Karmapa Dress(djinpadorje, 2015)

<Fig. 25>

<Fig. 25>
Sun & Moon Patterns of Monk's Hats(Research Institute of Sungbo Cultural Heritage, 2001, p. 151)

<Fig. 26>

<Fig. 26>
Vajra Pattern of Baby Carrier(gettyimages, 2015)

<Fig. 27>

<Fig. 27>
Lotus & Shell Patterns of Baby Carrier(Tibetan Costume and Ornaments, 2015)

<Table 1>

Regional Characteristics of Costume

Costume Accessory
U-Tsang It’s a metropolitan area like Lhasa or Shigatse(日喀則) that has fancy costume, variety of costume materials and accepted relatively large amount of foreign costume culture. It has developed head adornments and ornaments(佩飾) decorated with precious jewels, and typical head ornaments are Bazhu(巴珠) and Bage(巴戈).
Amdo Most of the area is nomadic region, so due to its distance from metropolitan area, it received less influence from foreign cultures, and maintains traditional Tibet costume form. Women of Qinghai wear hair ornament called Yindun(銀盾) and leather belt decorated with silver or jade called Qianmo(錢莫). Hair ornaments of Qinghai and Gansu area are made of silver and seashell.
Kham Characterized in fancy but plain costume, strong colors and groups of patterns in various sizes and colors are mostly used. Both men and women usually wear ornaments(佩飾), and classify social status using precious jewels.

<Table 2>

Religious Symbolic Patterns

Conch shell (法螺) Parasol (日傘) Lotus flower (蓮花) Golden Fish pair (金魚) Wheel of Dharma (法輪)
spread of dharma, strength safety and protection good deed, enlightenment freedom, good fortune and richness noble eightfold path (八正道)
Endless knot(盤長) Treasure Vase(寶甁) Victory Banner(傘蓋) Swastika(卍字) Cross(十字)
unity and circulation, mutual contact richness and blessing victory of wisdom lucky sign and all kind of virtue (吉祥萬德) mercy and good
Skeleton(骸骨) Phoenix(鳳凰) Cloud(雲) Vajra (金剛杵) Footprint of the Buddha
wisdom leads to emptiness auspicious sign and authority longevity and lucky sign solidity of spirit and divine nature rolling Dharma cakra, enlighte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