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Current Issu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ol. 74 , No. 1

[ Articl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ol. 73, No. 2, pp. 31-49
Abbreviation: JKSC
ISSN: 1229-6880 (Print) 2287-7827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Apr 2023
Received 16 Jan 2023 Revised 12 Apr 2023 Accepted 23 Apr 2023
DOI: https://doi.org/10.7233/jksc.2023.73.2.031

한복에 관한 연구와 교육 현황에 대한 분석
김혜영 ; 김문영
계명대학교 계명시민교육원 강사
계명대학교 패션마케팅학 교수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and Curriculum Status of the Hanbok in Korean Traditional Clothing
Hye Young Kim ; Mun Young Kim
Lectuer, Keimyung University Center for Continuing Education
Professor, Dept. of Fashion Marketing, Keimyung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Mun Young Kim, e-mail: munyoung@kmu.ac.kr

Funding Information ▼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show the current costume-related research trends and the development of the Hanbok education system from 2016 to 2021 and suggest ways to improve the Hanbok education system further in Korea. As for the research trends, 50–60 master's degree papers, 10–20 doctoral papers, and 100–120 academic journal articles have been published every year over the past six years. The classification of subjects of doctoral theses and academic journal articles showed that most of them discuss the history of costumes followed by the material for costumes. In contrast, the master’s theses mostly discuss the material for costumes followed by the history of costumes. As for the Hanbok education system, this study surveyed specialized high schools, universities, and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and found that 3 specialized high schools, 74 universities, and 123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are now conducting Hanbok-related courses. When looking at the current content of education, two–three-year universities and four-year private universities are mostly focusing on the history of costumes, while four-year national and public universities are mostly focusing on composition in costume design. In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centering on composition in costume design, sewing craft, and knots.


Keywords: education status, Hanbok, Hanbok education, Hanbok studies, research trends
키워드: 교육 현황, 한복, 한복 교육, 한복 연구, 연구 동향

Ⅰ. 서론

한복을 알리는 다채로운 행사가 개최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의 관련 기관으로 한국공예ㆍ디자인 문화진흥원 부설 한복진흥센터에서 주관한 ‘한복상점’을 비롯하여, ‘찾아가는 한복 문화교육’과 종로구청에서 실시한 ‘한복 입는 날’ 행사 등 한복을 접하는 기회의 장이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해외의 K-한류 열풍에 힘입어 한복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국내에서도 한복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고 있다. 이런 흐름 속에서 한복의 접근성을 쉽게 하고, 올바른 한복 인식의 향상을 위한 기초 교육 제공으로 S. H. Kim(2019)은 한국 복식 유물을 이용한 서비스 러닝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등 학습자 중심의 상호 유동적인 수업으로 교육, 체험, 홍보, 사회공헌 프로그램의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학교와 박물관 등 다양한 교육 현장 수업은 유례없는 코로나19라는 펜데믹 상황에서 많은 변화가 생겼다. 달라진 교육환경은 전통적인 대학의 대면 강의에 변화를 가져왔다. 부가적으로 진행되었던 온라인 강좌가 비대면 강좌로 인해 전면 확대하여 진행하였다. M. Kim (2020)은 이러한 교육환경의 변화로 한국 복식에 대한 강의 수요자를 국내에 한정하지 않는 해외까지 확대되는 “국경 없는 온라인 교육 환경”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움직임에도 국내 대학에서는 한복 전임강사의 수가 줄어들고 강좌가 축소하는 실정이다. 한복 교육에 관련된 현장에서의 교육 및 연구의 동향 조사는 향후 한복의 발전을 위한 후세대의 교육 및 연구에 있어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는 2016년 발간된 한복백서를 통해 조사된 자료에 더하여 2016년 이후 한복에 관한 연구와 교육 현황조사로 향후 한복 연구 및 교육의 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를 둔다. 연구내용은 첫째, 국내에서 발간된 학술지의 한복 관련 연구 논문 분석을 통해 한복에 관한 연구 주제의 변화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둘째, 한복에 관련된 교육 현장의 교육 내용분석을 통해 국내 한복 교육과정의 향후 방향성에 대해 알아본다. 셋째. 한복 연구의 동향과 교육의 유기적인 관계를 고찰하여, 한복 교육의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16~2021년까지 한국 전통에 관한 다각적인 시선을 수렴할 수 있도록 키워드 검색을 통해 학위논문과 학술지에 게재된 한복 관련 연구에 대해 전수 조사를 하였으며, 교육 부분에서는 국공립 및 사립대학의 한복 관련 교육과정과 평생교육원, 지역 문화센터와 복지회관의 교육과정을 조사 분석하였다.


Ⅱ. 이론적 배경
1. 한복의 정의

Kim(2022)은 한복의 사전적 정의에서 한복은 시대에 따라 정체되지 않고 변화하는 것으로 정의를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집된 연구 논문과 교육과정에 등장하는 한복 명칭을 위주로 살펴보니 궁중복식, 전통한복, 개량한복, 생활한복, 패션한복, 퓨전한복, 신한복, 모던한복, 우리 옷으로 수집되었다. 이런 명명은 한복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궁중복식은 착용 장소를 예복화한 특징을 보이고, 전통한복은 전통적 구성과 여밈을 특징으로 하고 있고, 개량한복은 전통한복의 불편한 점을 수정한 특징을 가지며, 생활한복은 일상생활에서 자주 착용이 가능하다는 특징을 보인다. 패션한복은 한복의 요소가 응용된 패션제품의 특징을 보이며, 퓨전한복은 동ㆍ서양 복식의 경계가 불분명한 창의적인 패션의 특징을 나타내고, 신한복은 새로운 한복 디자인 개발이라는 특징을 보이고, 모던한복은 전통보다는 현대적이라는 특징을 보이고, 우리 옷은 한국인의 옷이라는 특징을 보인다(Park et al., 2007a; Yim, 2019; Yun, Jang, & Lee, 2022). 한복의 가장 큰 특징 중에는 완전한 평면으로 구성된 한복이 신체에 착용하는 순간 3차원의 공간적인 변화가 생기면서 제작자의 조형미와 착용자의 맵시 미가 결합하여 하나의 완성된 복식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Park et al., 2007b). 이런 평면구성의 보안으로 패턴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고 컴퓨터 패턴 개발은 3D 가상착의 프로그램을 활용한 연구까지 진행되고 있다(Ha & Kim, 2017). 가상 착용 프로그램에서 아쉬웠던 실제 착용 시의 옷맵시를 구현하기 위한 노력 중에는 한복진흥센터에서 진행한 ‘찾아가는 한복 문화교육’ 프로그램에서 찾아볼 수 있다. 한복을 바르게 착용하는 법을 교육하는 프로그램이다. 바른 한복 착용법에는 어울리는 머리형태와 소품 등이 필요하다. 한복을 넓은 범위로 정의하면 복식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한민족을 대표하는 문화이다. 한복을 착용하는 행위와 인식에는 한국인의 민족성과 가치관을 나타내는 중요한 상징적 의미를 갖기 때문이다(Lee & Kim, 2021).

이상과 같이 한복의 정의는 한국인의 민족성과 가치관을 표현하는 전통 복식으로 정의하고 한복의 키워드를 전통한복뿐 아니라 개량한복, 퓨전한복 등 새로운 범주의 한복도 포함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2. 한복 연구 관련 선행연구 고찰

한복 관련 연구 동향에 대한 조사는 Kim(1990)이 1958~1989년까지 발표된 학술지 논문과 석ㆍ박사 학위논문을 발표 연대별과 논문 주제 시대별로 분류하여 분석한 것이 처음이었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1960년대 연구는 주로 개괄적인 한복의 형태, 복식 구조 등 한복의 모양새에 집중적 연구가 실시되었고, 1970년대는 의복의 종류와 장신구, 문양과 수식 등 복식의 종류별로 세부적인 연구가 진행되었다. 1980년대는 인문학, 민속학 등 다른 학문과의 접근하는 연구와 동아시아 주변 국가와 비교하는 연구가 증가한 시대별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 시기는 Kim(2007)이 1998~2007년까지 한복문화 학술지에 게재한 논문을 통하여 한복문화학회의 연구 현황을 분석한 연구이다. 연구의 의의를 살펴보면 연구물을 역사, 디자인, 미학, 산업, 염색, 구성, 동양, 기타(서양 복식)의 주제로 분류하여 분석한 것이다. 한복문화 학술지의 연구경향은 역사 연구가 가장 많은 논문 편수를 보이고 염색 부분이 가장 적은 논문을 발표하였다. 창립 당시부터 전통 염색 시연을 시행하는 등 노력한 것에 비해 연구 발표가 미흡한 결과를 보였다. Choi(2011)는 의류학 관련 등재 학술지 5개의 창간호부터 2009년까지 게재된 한국 전통 직물 연구의 경향을 분석한 연구이다. 직물의 특성상 섬유와 조직의 종류, 시대적 분포 및 문양 연구를 내용으로 분석하였고 염색은 제외되었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70년대까지는 고문헌 속의 직물 명칭과 생산 기관을 수집 정리하는 연구가 진행되었고, 90년대에는 특정 섬유 조직의 통시적인 유형이나 변화 양상, 주변 지역과의 교류로 직조 기술 유추에 관한 연구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2000년대 이후에는 출토 복식의 등장으로 유물을 중심으로 하는 실증 연구가 증가하였다. 출토 직물의 분석으로 출토 유물의 보존과 복원 및 전통 직조 기술의 규명 연구가 활발해졌다. 「2016 한복 백서」는 2014~2015년 학위논문, 학회지 논문, 단행본 및 저서를 인터넷 키워드 검색으로 수집하여 실태조사를 하였다. 2년간의 한복 연구 현황은 분야별로 다른 결과를 보여주었다(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MCST], 2017). 학위논문은 디자인 관련, 학회지 논문은 복식사 관련, 단행본은 예술/대중문화와 어린이 도서 분야가 높은 비중을 보였다. K. H. Kim(2017)은 2005~2015년까지 5개의 의류학 학술지를 중심으로 연구 동향을 고찰하여 분석한 연구이다. Kim(2007)의 주제 분류와 다르게 역사, 디자인 및 미학, 마케팅, 직물 및 염색, 구성, 기타의 주제로 분류하여 한국 복식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디자인 및 미학이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고, 시기적으로는 2008년에 가장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음이 나타났다. Ha & Kim(2017)은 1981~2016년까지 인터넷 키워드 검색을 통하여 한복 패턴 관련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발췌하여 시대의 흐름에 따른 패턴 연구 동향을 파악한 연구이다. 수집결과는 12개 학회지, 8개 대학교 연구소, 14개 학위논문이다. 전통한복과 생활한복으로 주제를 나누어 분석한 결과 전통한복이 높게 나타났고 그중에는 저고리 패턴 연구가 높게 나타났다. 생활한 복은 교복과 일상복에 관한 연구가 시작되었지만 2005년 이후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 Chang(2018)은 2007~2017년까지 5개의 등재 의류학 학술지에 게재된 한국 전통 복식과 디자인 관련 논문을 한국적 형태, 색채, 소재, 문양의 응용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연구이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한국적 형태 응용이 가장 높은 비중을 보이고 시기별로는 2008년에 가장 높은 게재율을 보이다가 점차 감소하고 2016년에 증가함을 보였다. Han & Lee(2020)는 ‘복식’과 ‘한복문화’ 학술지의 창간호부터 2019년까지 게재된 한국 복식 및 한국적 전통과 관련된 논문의 연구 동향을 분석한 연구이다. 한국 복식사, 미학, 디자인, 마케팅, 의복구성, 소재, 액세서리 및 소품, 뷰티 및 향장으로 분류한 주제 중에 디자인 분야를 세분하여 분석하였다. 세분된 디자인 분류는 한복 디자인 작품 분석, 한복 디자인 활용 분석, 한복 디자인 및 스타일링 방향 제시, 실질적 한복 디자인 및 작품 제시이다. 연구결과는 실질적 한복 디자인 및 작품 제시 연구 중 한복 원형의 변형 방법을 활용한 디자인 연구가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선행 한복 연구 동향은 2017년까지 학술지에 게재한 논문과 학위논문이 계속 연구되었다. 직물과 패턴, 디자인이 세부 주제 중에서 중점적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대상은 5개 의류학 전문학술지를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고, 연구 시기는 학술지 창간호부터 2017년까지 분석되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학술지 5개 전수 조사가 중점적으로 진행되었고, 인터넷 검색의 수집연구가 2건 진행되었다.

3. 한복 교육 관련 선행연구 고찰

한복 교육 선행연구는 대학과 평생학습의 교과연구와 교육사례연구 및 한복 교육의 정책적 방안 연구가 있다.

대학과 평생학습의 교과 연구는 「2007 한복진흥을 위한 기초실태조사」에서 2007년 대학, 여성복지회관, 사설 학원, 평생교육원의 한복 관련 교과 및 강좌를 집계하여 현황을 파악하였다(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MCST], 2008). 「2016 한복 백서」는 2014~2015년 정규ㆍ민간 교육기관의 한복 교육사례와 한복 NCS 특성을 살펴보았다. 한복 교육사례는 한복 입기, 전통 예절, 다례 등 체험 위주의 프로그램과 한복을 제작하는 실습 교육이다. 앞선 Yun et al.(2022)연구는 한복전문교육 기관의 한복 교육 현황을 파악한 연구이다. 연구 방법은 향후 시사점을 한복 관련 전문가와 일대일 심층 인터뷰로 수집하고, 대학과 전문학원의 교육프로그램을 조사하였다. 평생학습은 검색 키워드를 선정해 한복 관련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학습기관을 조사하였다. 연구내용은 조사한 기관의 교과 프로그램을 ‘역사 및 문화’, ‘디자인 및 생산’, ‘한복 마케팅 및 비즈니스’, ‘복합형’의 4가지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대학 교육은 ‘역사 및 문화’ 범주에서 한국복식사, ‘디자인 및 생산’ 범주에서 전통한복구성, 전통섬유공예 수업이 다수를 차지하고, 타 교육기관은 ‘디자인 및 생산’ 범주에서 실습 교육에 치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층 인터뷰를 통해 한복교과목의 감소와 수업을 진행할 전문 강사의 부재가 드러났다. 평생교육 학습으로 학점은행제를 통한 학습효과를 제공하는 연구와 평생교육원 교육프로그램을 분석한 연구이다. 연구내용은 패션 분야 학점은행제 교과과정으로 패션디자인과 패션비즈니스 전공의 교육과정 개설현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전공의 특성에 따라 교과목이 패션디자인, 패션마케팅 분야로 편성됨을 나타내고 있다. 현장실습과 창업 등에 주목하여 관련 교과목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S. Y. Kim, 2016; Kim & Kim, 2020)

Yun, Jung, & Lee(2020)은 한복 업계 사업자를 대상으로 ‘한복 비즈니스 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실행한 후, 수강생의 만족도를 조사한 연구이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소량 맞춤 기반의 한복 산업 특수성을 고려한 교육과정 개발의 필요성이 나타났다. Lee & Yun(2022)은 한복 브랜드 종사자 및 예비 창업가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전통주의자’, ‘창업가’, ‘기회 탐색자’, ‘비즈니스맨’의 4 집단으로 세분하여 교육과 공공지원 프로그램 수요를 분석한 연구이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4 집단의 교육적 경험이 다른 것이 특성으로 나타났다. 특성이 다른 만큼 필요로 하는 교육과 공공지원 프로그램의 수요가 다르게 나타났다. 서로 다른 특성에 유용한 한복 교육 자료와 교육과정 및 공공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자료로 의의를 둔다.

한복 교육의 정책적 방안 연구로 Yoon(2019)은 한복 산업 세대교체 인력의 한복에 대한 교육 정책을 제안하는 연구이다. 연구내용은 한복의 정체성을 훼손하지 않고 상품 개발이 가능한 한복 디자이너의 역량 강화와 올바른 한복 문화의 콘텐츠 개발을 위한 한복 문화 리더의 양성 교육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Lee & Kim(2021)은 한복 문화정책 방안을 국가 정책의 관점에서 제시하는 연구이다. 연구내용에 따르면 1997년 한복 종사자 교육을 시작으로 한복 디자인 공모전, 한복 컬렉션개최 등 한복 디자이너 육성 정책을 지원하고, 한복 문화의 확대와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교육기관으로 ‘한복진흥센터’, ‘한국 한복진흥원’을 설립하였다.


Ⅲ. 연구 방법
1. 연구 논문 수집 및 분석

본 연구는 2016~2021년까지 전공과 학과의 구분 없이 한복을 주제로 연구한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석ㆍ박사 학위논문 432편과 학술지 127개에 게재된 논문 670편이다. 선정 방법은 학술 플랫폼의 수록된 자료를 바탕으로 검색어를 선정하여 검색된 논문을 수집하였다. 한복관련 검색어는 ‘한복’, ‘한국복식’, ‘전통복식’, ‘출토복식’, ‘궁중복식’, ‘민속복식’, ‘우리옷’, ‘전통문양’, ‘전통직물’, ‘전통염색’과 시대를 적용한 ‘고조선, 고구려, 발해, 가야, 신라, 백제, 고려, 조선, 근대, 현대’에 ‘복식’과 ‘직물’의 단어를 결합하여 재검색하였다.

선정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주제를 복식사, 구성, 디자인, 소재, 마케팅, 소품, 뷰티, 기타의 8가지로 분류하였다(Kim, 2007; K. H. Kim, 2017; Han & Lee, 2020). 분류 기준은 다음 내용과 같다. 복식사 분야는 Jin & Lee(2021), Kim & Cho (2018), Cho & Park(2020) 등의 연구와 같이 한국 복식의 시대적 변천, 복식의 고증, 사회문화적 제도와 규범 등에 관한 연구를 포함한다. 구성 분야는 Kweon(2019), Kim & Lee(2016) 등의 연구와 같이 한복의 패턴, 구성, 형태, 치수와 봉제 등에 관한 연구를 포함한다. 디자인 분야는 Lee, Nomura, & Lee(2021), Jang(2016) 등의 연구와 같이 한복을 이용한 디자인 개발 및 한복 디자이너의 작품 분석과 한국적 이미지를 응용한 한복 디자인 및 무대의상 등을 포함한다. 소재 분야는 Kang & Hong(2020), Park & Kim(2017), Lee, Kim, & Jeong(2018) 등의 연구와 같이 한국 복식의 소재가 되는 전통 직물과 염색, 출토 직물의 보수와 보존, 바느질법과 문양 등에 관한 연구를 포함한다. 마케팅 분야는 Lee & Son(2021), Kim(2021) 등의 연구와 같이 한복의 생산과 구매, 한복에 대한 인식도, 감성 평가, 한복의 선호도, 한복의 산업화, 한복 체험, 관광 및 대여점 등에 관한 연구를 포함한다. 소품 분야는 Choi & Kim(2016), Yun(2017), Lee(2018) 등의 연구와 같이 한복의 전통 장신구류와 전통 모자 및 신발 등에 관한 연구를 포함한다. 뷰티 분야는 Barng(2021), Lee & Kim(2016) 등의 연구와 같이 한국 전통머리와 화장법 등에 관한 연구를 포함한다. 기타 분야는 S. Kim(2019a)의 연구와 같이 고등학교의 한복 교과 교육에 관한 연구와 E. J. Kim(2020)의 연구와 같이 한복 관련 연구이지만 주제를 명확하게 구분이 어려운 한복 전반의 총체적 연구를 포함한다.

2. 교육 현황 수집 및 분석

한복 교육 현황은 대학교와 평생 교육기관을 연구 대상으로 한다. 연구 대상으로 선정된 기관은 전문대학교 137개, 4년제 대학 204개, 평생교육기관 123개이다. 전문대학은 2022년 전문대학교육협의회에 등록된 자료, 4년제 대학은 교육부 주관 ‘2021학년도 4년제 대학 모집 단위별 입학정원’의 자료, 평생교육기관은 KESS 교육통계서비스에서 제공하는 ‘2021년 비형식 평생교육기관 현황’의 자료를 바탕으로 하였다(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College Education [KCUCE], 2022; National Institute for Lifelong Education [NILE], 2021; Korean Education Statistics Service [KESS], 2021).

선정된 연구 대상 중에 대학의 경우에는 총 341개 대학을 전수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의상관련 학과를 운영 중인 대학 132개교 중 교과과정에 한복 관련 교과목을 진행하는 70개교의 교과목현황을 최종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평생교육 백서 자료에 따른 총 3,034개 평생 교육기관을 전수 조사하였다. 이중 한복과 관련된 강좌가 진행 중인 123개 기관의 강좌 내용을 최종 선정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대학 교과목과 평생교육기관 강좌는 2021년도를 중심으로 취합하였고, 2022년도를 참고하였다. 수집 방법은 각 기관의 홈페이지에서 교과목과 강좌자료를 집계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앞선 Yun et al.(2022)의 주제 분류를 세분화하여 대학의 경우에는 복식사, 구성, 디자인, 소재, 마케팅, 소품으로 분류하고, 평생교육기관의 경우에는 전통한복, 생활한복, 신한복, 규방공예, 매듭, 자수, 염색, 인형 옷, 기타로 분류하였다.


Ⅳ. 연구 결과
1. 한복에 관한 연구 주제의 변화 특성
1) 연구 논문 발간현황

한복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석ㆍ박사 학위 논문과 학술지에 게재된 한복 관련 논문을 조사하였다. 발간된 논문 수는 다음 <Table 1>과 같이 총 1102편이다. 이중 석사학위논문은 334편, 박사학위논문은 98편, 학술지 게재논문은 670편이다. 2016년 발간논문은 193편, 2017년은 175편, 2018년은 163편, 2019년은 203편, 2020년은 193편, 2021년은 175편이다. 최근 6년간 석사학위논문은 매년 50~60편, 박사학위논문은 매년 10~20편, 학술지에 게재된 한복 관련 논문은 매년 100~120편씩 발간되었다. 학위논문 전공은 의류학, 미술학, 사학 전공과 별도로 영화언론콘텐츠학, 원예학, 법학, 통일학 등 다양한 학과 전공에서 논문을 발표하였다. 학회 학술지도 관광학, 문헌정보학, 인터넷정보처리, 조경학, 컴퓨터학 등 다양한 주제 분야의 학회에서 논문을 게재하였다.

<Table 1> 
Paper publication status (No. of units)
Category/year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Sum
A master's thesis 59 56 49 62 56 52 334
A doctoral dissertation 17 12 7 17 22 23 98
A paper published in a journal 117 107 107 124 115 100 670
Sum 193 175 163 203 193 175 1102

학위논문의 경우 2020년과 2021년에 박사학위 논문의 증가세가 많이 나타났다. 이들 논문은 주로 ‘3D 프린팅을 활용한 패션 문화상품 개발 연구(Lee, 2021)’, ‘안동포와 천연염료의 항균성을 적용한 의사 가운 개발에 관한 융합 연구(Bae, 2021)’. ‘지역 문화자원을 활용한 유니폼 디자인 개발 연구(Na, 2020)’ 등 타 학문과 접목하여 다양한 시각으로 한복에 접근하는 융합적 연구가 많이 시도되고 있다. 반면 학술지 게제 논문은 감소추세이다. 그 이유로는 Yoon(2019)의 연구에서 나타난 한복 산업의 세대교체와 밀접한 관계가 보인다. 한복 산업화가 활성화되면서 연구 쪽의 인력이 산업화 쪽으로 인력의 재정비가 이루어진 것으로 여겨진다.

2) 논문 주제 현황

논문 주제별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주제를 8개로 분류하였다. 주제별 논문 발간현황은 다음 <Table 2>와 같이 복식사(308), 구성(70), 디자인(151), 소재(270), 소품(110), 마케팅(102), 뷰티(38), 기타(53)이다.

<Table 2> 
Publishing status of thesis by subject (No. of units)
Research classification/year Dress history Construction Design Material Props Marketing Beauty Etc. Sum
2016 A master's thesis 18 2 4 15 5 4 6 5 59
A doctoral dissertation 6 1 0 4 5 1 0 0 17
A paper published in a journal 38 10 17 34 5 8 3 2 117
Subtotal 62 13 21 53 15 13 9 7 193
2017 A master's thesis 11 0 9 16 5 7 1 7 56
A doctoral dissertation 2 1 4 3 0 2 0 0 12
A paper published in a journal 30 10 19 26 9 6 4 3 107
Subtotal 43 11 32 45 14 15 5 10 175
2018 A master's thesis 11 1 5 15 7 5 3 2 49
A doctoral dissertation 0 2 0 3 2 0 0 0 7
A paper published in a journal 39 5 15 18 7 18 3 2 107
Subtotal 50 8 20 36 16 23 6 4 163
2019 A master's thesis 13 0 5 21 9 7 2 5 62
A doctoral dissertation 9 0 0 4 2 1 0 1 17
A paper published in a journal 30 11 21 29 17 9 4 3 124
Subtotal 52 11 26 54 28 17 6 9 203
2020 A master's thesis 10 5 9 16 5 5 1 5 56
A doctoral dissertation 8 0 2 4 3 3 2 0 22
A paper published in a journal 34 10 17 24 9 9 2 10 115
Subtotal 52 15 28 44 17 17 5 15 193
2021 A master's thesis 13 0 7 12 10 2 3 5 52
A doctoral dissertation 8 0 3 7 3 2 0 0 23
A paper published in a journal 28 12 14 19 7 13 4 3 100
Subtotal 49 12 24 38 20 17 7 8 175
Sum 308 70 151 270 110 102 38 53 1102

연구 주제별로 석사학위논문은 복식사(23%), 구성(2%), 디자인(12%), 소재(28%), 소품(12%), 마케팅(9%), 뷰티(5%), 기타(9%)이다. 복식사 분야는 ‘인조 장렬왕후 가례도감의궤 노의 일습 복원에 관한 연구(N. H. Kim, 2016)’ 등 복식의 고증 및 재현 고찰을 연구하는 논문이다. 구성 분야는 ‘조선시대 거들치마의 형태 및 바느질 연구(J. H. Kim, 2020)’ 등 의복 패턴에 관한 연구 논문이다. 디자인 분야는 ‘단청의 꽃문양을 활용한 신한복 디자인 연구(H. Lee, 2017)’ 등 한국적 이미지를 응용한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논문이다. 소재 분야는 ‘기산 풍속화의 항라 직기 복원에 관한 연구(Kweon, 2021)’ 등 직물에 관한 연구와‘생활한복 바느질 전승의 양상과 의미(M. Lee, 2020)’ 등 바느질 기법에 관한 연구, ‘흉배ㆍ보에 표현된 전통 문양의 상징성 연구(Jung, 2019)’ 등 문양에 관한 연구 논문이다. 소품 분야는 ‘전통주머니를 응용한 한복용 핸드백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Jeon, 2020)’ 등 한복 소품에 관한 연구 논문이다. 마케팅 분야는 ‘한복 체험 마케팅이 관광지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Park, 2017)’ 등 한복대여점의 실상과 한복 체험의 선호도 분석 및 문화 체험관광에 관한 연구 논문이다. 뷰티 분야는 ‘조선시대 여성 머리모양과 장신구를 응용한 헤어아트 연구(Koo, 2021)’ 등 전통 머리모양의 디자인과 화장법에 관한 연구 논문이다. 기타 분야는 중고등학교의 ‘한복 문화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S. Lee, 2020)’ 등 수업방안에 관한 연구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석사학위 논문은 소재 분야가 95(28%)편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이고, 복식사 76편(23%), 가장 적은 논문 분야는 구성 8편(2%)이다.

박사학위논문은 복식사(34%), 구성(4%), 디자인(9%), 소재(26%), 소품(15%), 마케팅(9%), 뷰티(2%), 기타(1%)이다. 복식사 분야는 ‘16세기~18세기 출토(出土) 장의(長衣)의 사회 문화적 변천 연구(H. Y. Kim, 2019)’ 등 복식의 고증 및 문화의 변천을 연구하는 논문이다. 구성 분야는 ‘조선시대 편복포의 구성 요소별 형태 변화 연구(J. A. Kim, 2018)’ 등 가변적 구성 요소에 관한 연구논문이다. 디자인 분야는 ‘디지털 한복 디자인 연구(Cho, 2017)’ 등 온라인 게임과 가상착의 및 지역문화 자원을 활용한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논문이다. 소재 분야는 ‘조선시대 검은색의 염색법 재현(Park, 2018)’ 등 염색에 관한 연구와 ‘조선시대 화포(花布) 제작기법 연구(Choi, 2020)’ 등 직물에 관한 연구 논문이다. 소품 분야는 ‘조선시대 왕실 흉배 연구(Song, 2019)’ 등 소품에 관한 연구 논문이다. 마케팅 분야는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한국적 이미지 원형 연구(Kang, 2017)’ 등 한류 콘텐츠 활용에 관한 연구 논문이다. 뷰티 분야는 ‘고려시대 단장(丹粧) 문화의 미적 특성 연구(E. Kim, 2020)’ 등 전통 화장법에 관한 연구논문이다. 기타 분야는 ‘고등학교 가정과 메이커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평가(S. Kim, 2019b)’ 등 수업방안에 관한 연구 논문이다. 박사학위 논문은 복식사 분야가 33(34%)편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이고, 소재(25편), 소품(15편), 마케팅과 디자인(각 9편), 구성(4편), 뷰티(2편), 기타(1편) 순으로 나타났다.

학술지게재 논문은 복식사(30%), 구성(9%), 디자인(15%), 소재(22%), 소품(8%), 마케팅(9%), 뷰티(3%), 기타(3%)이다. 복식사 분야는 ‘사례편람에 기초한 남자 상복(喪服)의 고증 제작에 관한 연구(Cho, Kim, Dong, & Park, 2016)’, ‘고려 말 조선 초 관복제의 변화와 문화적 지향(Y. Kim, 2018)’ 등 복식의 고증 및 정책변화에 따른 문화 변천을 연구하는 논문이다. 구성 분야는 ‘커스터마이징 시스템 개발을 위한 신한복 저고리 패턴 비교(Cha, Heo, & An, 2020)’, 등 패턴의 비교와 제작법 및 원형 개발에 관한 연구 논문이다. 디자인 분야는 ‘안동지역 축제 의상 개발에 관한 연구(H. Kim, 2017)’, ‘패션 한류 활성화 방안:한국적 패션디자인을 중심으로(Kim, Kim, & Moon, 2017)’ 등 소재의 다양한 시도와 지역문화 자원을 활용한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논문이다. 소재분야는 ‘류정 부인 경주 이씨 묘 출토 복식의 직물 무늬(E. Lee, 2017)’, ‘현대 신한복의 니트 소재 활용 현황(Shin & Chang, 2020)’ 등 직물과 새로운 소재에 관한 연구 논문이다. 소품 분야는 ‘악학궤범 유소 매듭 분석을 통한 신한복 장신구 개발(Choi & Kim, 2018)’, ‘전통 장식기법을 적용한 규방공예품의 DIY 패키지 개발(Ma & Kim, 2019)’ 등 다양한 소품 착용 연구와 문화상품 DIY 패키지 개발에 관한 연구 논문이다. 마케팅 분야는 ‘광주 한복 산업 집적의 특성과 최근 변화(Heo & An, 2019)’, ‘한복 체험이 한복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Ko, Hwang, & Rhee, 2020)’ 등 한복 산업의 시장 변화와 상품 개발 및 한복 체험 인식에 관한 연구 논문이다. 뷰티 분야는 ‘조선시대 전통 머리 실용화를 위한 디자인 연구(Woo & Park, 2019)’, ‘향장(香粧) 용어의 성립 배경과 화장(化粧)문화의 변화(Baek & Chae, 2017)’ 등 머리모양과 화장법 및 향에 관한 연구 논문이다. 기타 분야는 ‘찾아가는 한복 문화 체험 교육 프로그램 개발(Lee & Lee, 2016)’, ‘천연염색 교육을 통한 평택지역 일자리 창출 활성화 연구(Park, 2020)’ 등 박물관 전시 및 교육프로그램의 정책적 제도적 방안에 관한 연구 논문이다. 학술지게재 논문은 복식사 분야가 199(30%)편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이고, 소재(150편), 디자인(103편), 소품, 구성, 마케팅(약 60편), 뷰티와 기타(약 20편) 순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석사학위논문의 주제는 매년 소재 분야가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염색과 직조 및 자수 등의 다양한 소재 연구는 한복 연구의 영역을 넓히는 계기를 마련해준다. 박사학위논문과 학술지 게재 논문의 주제는 복식사 분야가 높은 비중을 보인다. 복식문화의 변천과 제도 등의 연구는 한복의 정체성을 지키며 문화유산으로 자리매김을 확고히 하도록 이끌어준다.

2. 한복 교육의 기관별 교육 동향 및 특성
1) 교육기관 별 과정 운영현황

(1) 정규 대학 교육 현황

한복 관련 운영대학은 다음 <Table 3>과 같이 총 341개 대학 중에 70개교로 집계되었다.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에 등록된 2~3년제 대학은 총 137개이다. 이중 사립대학 총 129개 대학 중에 의상 관련 교과 운영대학은 34개 대학이고, 한복 관련 교과를 운영하는 대학은 7개(약 20%) 대학으로 조사 되었다. 2~3년제 국ㆍ공립대학은 총 8개 대학 중에 의상 관련 교과 운영대학이 없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4년제 대학은 총 204개 대학이며 이중 국ㆍ공립대학은 총 40개 중에 의상 관련 대학이 21개이고 한복 관련 교과를 운영하는 대학은 19개(약 90%) 대학이다. 4년제 사립대학은 총 164개 중에 의상 관련 대학이 77개이고 한복 관련 교과를 운영하는 대학은 44개(약 57%) 대학으로 집계되었다. 의상 관련 대학 중 한복 관련 교과를 운영하는 비중이 기관별로 차이를 보였다. 의상관련 4년제 국ㆍ공립대학은 한복 교과를 대부분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3> 
The number of Hanbok curriculum by educational institution
Type of educational institution No. of institution No. of fashion curriculum institution No. of Hanbok curriculum institution
College National and public school 8 0 0
Private school 129 34 7
Subtotal 137 34 7
University National and public school 40 21 19
Private school 164 77 44
Subtotal 204 98 63
Sum 341 132 70

교육 기관별로 한복 관련 교과 현황을 살펴보면 2~3년제 대학은 7개 대학 8개 학과 중 7개 학과가 1개의 교과를 운영하고, 나머지 1개 학과는 3개 교과를 운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년제 국ㆍ공립대학은 19개 대학 20학과 중 1개 교과를 운영하는 학과가 4개(20%), 2개 교과를 운영하는 학과가 6개(30%), 3~4개 교과를 운영하는 학과가 5개(25%), 5~6개 교과를 운영하는 학과 5개(25%)이다. 4년제 사립대학은 44개 대학 45학과 중 1개 교과를 운영하는 학과가 21개(약 47%), 2개 교과를 운영하는 학과가 10개(약 22%), 3~4개 교과를 운영하는 학과가 11개(약 24%), 5~6개 교과를 운영하는 학과 3개(약 7%)이다. 그 외 한복 관련 전문 학과인 배화여자대학교 한복문화콘텐츠과는 10개, 원광디지털대학교 한국복식과학학과는 29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미술공예학과는 30개 교과를 운영하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2~3년제 대학과 4년제 사립대학은 1개 교과를 운영하는 학과가 가장 높은 비중을 보이고 4년제 국ㆍ공립대학은 2개 교과를 운영하는 학과가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앞선 선행연구(Yun et al., 2022)의 연구와 비교하면 의상 관련 교과 운영대학이 129개교에서 132개교로 3개 학교가 증가하였고, 한복 관련 교과 운영대학은 91개교에서 70개교로 21개 학교가 감소하였다. 이러한 한복 교육을 운영하는 대학의 감소는 최근 확대되고 있는 지자체의 한복에 대한 홍보 노력이나, 세계적인 한류를 통한 한복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는 시점과는 역행되는 추세로 그 원인에 대한 파악과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한복에 대한 전문과정을 개설하기는 어려움이 있으며, 최근 교육환경의 변화 등 고려해야 할 여건이 많이 존재하겠지만 이런 결과에 대한 원인과 방안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2) 평생교육원 등 비정규 교육 현황

지역별 평생교육기관 대분류별 한복 관련 강좌진행 기관 수는 다음 <Table 4>와 같이 총 123개로 집계되었다. 이중 평생학습관은 76(약 62%)개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다음으로 대학(원)부설로 27(22%)개, 사업장 부설이 11(약 9%)개, 시민사회 단체부설이 5(약 4%)개, 지식ㆍ인력 개발 형태와 언론기관 부설이 각 2(약 2%)개의 기관이 보였다. 평생학습관은 국공립 기관의 박물관, 도서관과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학습관을 이르며 여성문화회관, 여성 인력개발센터, 여성회관, 여성복지회관 등을 포함한다. 대학(원) 부설은 전문대학과 4년제 일반 대학 내의 부설 기관인 평생교육원을 이른다. 민간 부분인 지식ㆍ인력 개발 형태, 시민사회 단체부설, 언론기관 부설은 개인적인 자격증을 소지한 중소규모의 사업자이고, 사업장 부설은 유통업체의 문화센터를 이른다. 최근 발표한 앞선 Yun et al.(2022)의 연구와 비교하면 2020년에 한복 강좌 진행 기관 수가 50개였다. 2년 후인 현재는 123개의 기관으로 집계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정규 교육기관이 감소하는 추세에 비하여 매우 상이로운 부분이다. 즉, 교육활동이 정규 교육과정에서와는 달리 비정규 교육기관에서 활발해지고 있다는 반증이 될 수 있다. 이는 소비자 패러다임의 변화에서 기인한 것으로 생각될 수도 있으나 일반소비자의 한복에 관한 관심 증가로도 파악할 수 있다.

<Table 4> 
Number of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conducting courses related to Hanbok by region and major classification (No. of units)
Region Lifelong learning center Lifelong education center Knowledge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form Est. of civil society organizations Est. of a business establishment Est. of a press organization Sum
Seoul 14 6 1 1 4 0 26
Busan 9 2 0 1 0 0 12
Gwangju 2 2 0 0 0 0 4
Daegu 1 2 0 0 3 0 6
Daejeon 2 1 0 0 1 0 4
Sejong 0 2 0 0 0 0 2
Ulsan 1 0 0 0 0 0 1
Incheon 5 2 0 0 0 0 7
Gyeonggi 15 3 1 0 3 2 24
Gangwon 5 1 0 1 0 0 7
Gyeongnam 5 2 0 0 0 0 7
Gyeongbuk 4 2 0 0 0 0 6
Jeonnam 3 0 0 1 0 0 4
Jeonbuk 4 0 0 0 0 0 4
Chungnam 5 2 0 0 0 0 7
Chungbuk 1 0 0 1 0 0 2
Jeju 0 0 0 0 0 0 0
Sum 76 27 2 5 11 2 123

지역적으로는 서울이 26개 약 21%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이고, 다음은 경기가 24개 약 20%의 비중을 보였다. 세종시와 충청북도가 각 2개 약 2%와 울산시가 1개 약 1%로 낮은 비중이 나타났고 제주는 시행하는 기관이 없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서울, 경기에 집중적으로 강좌가 시행하는 지역적 편차가 심하게 나타나고 있다. 지역적 편차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교육기관은 정부에서 운영하는 평생학습관이다. 서울, 부산, 경기는 9개이상의 강좌를 보이고 나머지 도시는 5개 이하로 집계되었다. 평생학습관 76개 강좌 중 50%에 해당하는 38개 강좌가 서울, 부산, 경기를 합한 강좌이다. 지자체 차원에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부분이라 여겨진다. 반면 대학의 평생교육원은 서울을 제외하고는 전국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교과과정의 특성 분석

(1) 정규 대학 교육과정의 특성

전국 대학별 한복 관련 교과목은 다음 <Table 5>와 같이 총 166개 교과목이 집계되었다. 2~3년제 사립대학은 총 10개 과목 중 복식사 분야가 7개(70%)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이고, 디자인 2개, 구성 분야 1개 과목으로 나타났다. 4년제 국ㆍ공립대학은 총 61개 교과목 중 구성 분야가 25개(약 41%)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이고, 복식사 16개(약 26%), 디자인 12개(약 20%), 소재 7개(약 11%), 소품 분야 1개(약 2%) 과목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4년제 사립대학은 총 95개 교과목 중 복식사 분야가 39개(약 41%)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이고, 구성 27개(약 28%), 디자인 16개(약 17%), 소재 8개(약 8%), 마케팅 4개(약 4%), 소품 1개(약 1%) 과목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5> 
Status of Hanbok subjects by educational institution (No. of units)
Type of educational institution Dress history Construction Design Material Marketing Props Sum
Private college 7 1 2 0 0 0 10
National and public university 16 25 12 7 0 1 61
Private university 39 27 16 8 4 1 95
Sum 62 53 29 15 5 2 166

2~3년제 대학 교육 현황을 살펴보면 1개 과목을 운영하는 7개 학과 중 6개 학과가 복식사 분야를 운영하고 1개 학과가 디자인 분야 ‘한복기획과 생산’ 과목을 운영하고 있다. 3개 과목을 운영하는 1개 학과는 복식사, 구성, 디자인 분야 과목이다. 실습보다 한복 관련 이론 수업을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4년제 국ㆍ공립대학 교육 현황에서 1개 과목을 운영하는 3개 학과는 디자인 2개, 소재 분야 1개 과목이다. 2~6개 과목을 운영하는 17개 학과는 복식사와 구성 분야 과목을 기본 과정으로 하고, 디자인과 소재 분야 과목을 추가하는 형태이다. 4년제 사립대학 교육 현황에서는 1개 과목을 운영하는 21개 학과 중 복식사 분야가 13개(약 62%), 구성 5개(약 24%), 소재 1개, 마케팅 1개, 소품 1개 과목이다. 2~6개 과목을 운영하는 23개 학과는 복식사와 구성 분야 과목을 기본 과정으로 하고, 디자인과 소재 분야 과목을 중점적으로 추가하며, 다음으로 마케팅 분야 과목을 선택적으로 추가하는 형태이다. 2개 이상 과목을 운영할 때 복식사와 구성 분야 과목에 편중된 경향이 보이지만, 1개 과목을 운영할 땐 4년제 국ㆍ공립대학은 복식사와 구성 분야 과목은 보이지 않고 디자인과 소재 분야 과목이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특색있는 학과의 중요 교과목 운영으로 보인다.

분야별로 복수 교과목을 진행하는 학과를 살펴보면 4년제 국공립대학은 구성 분야에서 6개 학과가 2~3개 과목을 운영하며 과목명은 ‘한국전통예복구성’, ‘고급전통의상 디자인’, ‘한국전통복식(1, 2)’ 과목 등이다. 디자인 분야는 4개 학과가 2~3개 과목, 소재 분야는 1개 학과가 2개 과목을 운영하며 과목명은 ‘안동포 전통문화의 이해’와 ‘대마생산문화’이다. 4년제 사립대학은 복식사 분야에서 5개 학과가 2~3개 과목을 운영하며 과목명은 ‘동양 복식사’, ‘세계민속복식’, ‘큐레이터와 복식문화’, ‘한국전통복식연구’, ‘동아시아 문화와 패션’과목 등이다. 구성 분야는 2개 학과가 2개 과목, 디자인 분야는 4개 학과가 2~3개 과목, 소재 분야는 1개 학과가 3개 과목, 마케팅 분야는 1개 학과가 2개 과목을 운영한다. 대학별로 중점분야가 나누어진다. 국ㆍ공립대학은 구성 분야에 중점 하는 특징이 보이고, 소재 분야는 지역의 특성을 잘 살려낸 것으로 여겨진다. 사립대학은 다양한 분야의 심화 과정을 추진하면서 특히 복식사에 중점하는 특징이 보인다. 또한 한복 관련 전문 학과 교과목에서는 전통 섬유의 제직 및 재현, 한복 전통공예 등 다양한 소재 교과목이 두드러진다.

(2) 비정규 교육과정의 지역적 비중 및 내용 특성

평생교육기관 내 한복 관련 강좌 수는 다음 <Table 6>과 같이 총 309개 집계되었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76개(약 25%)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이고, 경기 64개(약 21%), 부산 41개(약 13%), 그리고 대구, 인천, 경남, 경북, 전북, 충남 지역이 15개 내외의 강좌 수를 나타냈고, 그 외 지역인 광주, 대전, 세종, 울산, 강원, 전남, 충북이 10개 미만의 강좌 수를 나타냈고, 제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6> 
Number of Hanbok-related courses by region and subject (No. of units)
Region A traditional hanbok Daily hanbok New hanbok Gyubang Knot Embroidery Dyeing Doll clothes Etc. Sum
Seoul 7 3 6 29 14 5 1 2 9 76
Busan 4 10 2 6 6 1 1 4 7 41
Gwangju 0 0 0 2 1 2 0 0 0 5
Daegu 0 1 0 3 7 1 1 0 2 15
Daejeon 3 1 0 1 0 1 3 0 0 9
Sejong 0 0 0 0 0 1 0 0 1 2
Ulsan 1 0 0 1 0 0 0 0 0 2
Incheon 3 4 3 1 2 1 1 0 0 15
Gyeonggi 7 18 3 18 5 1 3 7 2 64
Gangwon 1 5 0 2 0 0 0 0 1 9
Gyeongnam 5 1 0 2 6 1 0 0 0 15
Gyeongbuk 3 5 0 3 0 1 3 1 0 16
Jeonnam 0 2 0 0 0 1 2 0 1 6
Jeonbuk 1 2 0 0 2 1 4 0 0 10
Chungnam 0 1 3 6 3 0 1 0 1 15
Chungbuk 0 4 0 2 1 0 2 0 0 9
Jeju 0 0 0 0 0 0 0 0 0 0
Sum 35 57 17 76 47 17 22 14 24 309

주제별로 강좌 수를 살펴보면 전통한복(35개), 생활한복(57개), 신한복(17개), 규방공예(76개), 매듭(47개), 염색(22개), 자수(17개), 인형 옷(14개), 비고(24개) 순으로 나타났다. 전통한복, 생활한복, 신한복을 한복 구성으로 합치면 109개 강좌로 전체 총 309개 강좌의 약 35%를 차지하는 높은 비중을 보인다. 전통한복은 궁중복식과 응용 예복과정, 돌쟁이 한복, 한복 산업기사, 전통한복 전문가 과정, 등 예복을 제작하는 강좌를 포함하였다. 생활한복은 매일 입을 수 있는 한복을 추구하며 아이들의 생활한복, 실용적인 한복을 제작하는 강좌를 포함하였다. 신한복은 퓨전한복, 신한복 만들기, 패션 한복 디자인 강좌를 포함하였다. 규방공예 강좌는 침선공예로 조각보 만들기가 가장 많고, 누비, 댕기, 배씨댕기 만들기 등과 규방공예지도자 과정을 포함하며 76개(약 25%)의 비중을 보인다. 매듭 강좌는 47개(약 15%)로 전통매듭을 이용하여 팔찌나 장신구 만드는 강좌를 포함한다. 염색 강좌는 22개(약 7%)로 천연 염색을 이용하여 소품을 만드는 강좌가 가장 많고 천연 염색 지도자 과정도 포함한다. 자수 강좌는 17개(약 6%), 인형 옷 강좌는 14개(약 5%), 비고는 24개(약 8%)이다. 비고에는 한복 전문모델, 예절교육, 머리와 신(생활사), 인문학 등의 강좌가 포함되었다.

평생교육기관의 교육은 실습 중심으로 강좌가 개설되고 있다. 교육 대상은 일반인이면 누구나 등록하여 수강할 수 있다. 수강에 횟수 제한이 없고, 등급별로 기초반, 전문가 및 심화 과정의 강좌를 개설하여 운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통한복은 35개 강좌 중 8개(약 23%), 생활한복 57개 강좌 중 4개(약 7%), 신한복 17개 강좌 중 3개(약 18%), 규방공예 76개 강좌 중 4개(약 5%), 매듭 47개 강좌 중 2개(약 4%), 염색 22개 강좌 중 2개(약 9%), 자수 16개 강좌 중 1개(약 6%), 인형 옷 14개 강좌 중 4개(약 29%)의 강좌가 ‘지도자 과정’, ‘전문가 과정’이라는 강좌명으로 개설되었다. 비전공자가 심화 과정 강좌를 수강하여 자격을 획득 후 지도자나 창업하는 사례가 나타났다. 우리 옷을 알고자 하는 일반인에게 전문가 자격을 획득할 수 있는 교육 기회의 장을 마련해 주는 것이다. 대학 교육은 자격이 갖추어져야 수강할 수 있는 반면에 평생교육기관은 횟수와 자격요건이 무관하게 수강할 수 있다.


Ⅴ. 결론

본 연구는 한복에 관한 연구 동향과 교육 현황실태조사를 목적으로 하며, 연구 변화가 어떤 흐름으로 진행되었는지를 파악하는 연구 동향과 한복 교육 발전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끌어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복에 관한 연구 주제 변화 특성은 학위논문과 학술지게재 논문으로 분석하였다. 석사학위논문은 50~60편, 박사학위논문은 10~20편, 학술지에 게재된 한복 관련 논문은 100~120편씩 매년 발간되었다. 주제별 현황을 분석하면 석사학위 논문은 소재(28%), 복식사(23%), 디자인과 소품(12%), 마케팅과 기타(9%), 뷰티(5%), 구성(2%)의 순으로 발간되었다. 박사학위논문은 복식사(34%), 소재(26%), 소품(15%), 마케팅과 디자인(9%), 구성(4%), 뷰티(2%), 기타(1%) 순으로 발간되었다. 학술지게재 논문은 복식사(30%), 소재(22%), 디자인(15%), 구성과 마케팅(9%), 소품(8%), 뷰티와 기타(3%) 순으로 발간되었다. 연구주제의 비중에서 차이가 있었다. 박사학위논문과 학술지 게재논문에서는 복식사 분야가 가장 높은 비중을 보이고 두 번째가 소재 분야로 나타났다. 반면 석사학위논문은 소재 분야가 가장 높은 비중을 보이고 다음으로 복식사 분야로 나타났다. 석사학위논문은 소재를 활용한 연구가 많이 발간되었다.

둘째, 한복 교육 현황은 교육기관 별 운영현황과 교과과정 특성을 분석하였다.

한복 관련 교과를 진행하는 대학은 2~3년제 국립대학은 0개교, 2~3년제 사립대학은 7개교, 4년제 국ㆍ공립대학은 19개교, 4년제 사립대학은 44개교이다. 4년제 국ㆍ공립대학 의상 관련 교과운영대학이 21개교인데, 그중에 19개 대학이 한복관련 교과를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4년제 의상 관련 국ㆍ공립대학에서 한복 관련 교과를 존속하는 것으로 간주 된다. 교육 기관별로 한복 관련 교과 현황을 살펴보면 1개 교과를 운영하는 학과가 2~3년제 대학은 7개(약 88%), 4년제 사립대학은 21개(약 47%)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이고, 4년제 국ㆍ공립대학은 2개 교과를 운영하는 학과가 6개(30%),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가장 많은 6개 교과를 운영하는 학과는 한경대학의 의류산업학전공과 성균관대학의 의상학과이다. 한복전문 학과인 배화여자대학교 한복문화콘텐츠과는 10개, 원광디지털대학교 한국복식과학학과는 29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미술공예학과는 30개 교과를 운영하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지역별 평생교육기관은 총 123개로 집계되었다. 이중 평생학습관은 76개, 대학(원) 부설이 27개, 사업장 부설이 11개, 시민사회단체 부설이 5개, 지식ㆍ인력 개발 형태와 언론기관 부설이 각 2개의 기관으로 나타났다. 지역적으로는 서울이 26개, 경기가 24개, 부산이 12개, 인천, 강원, 경남, 충남이 각 7개, 대구, 경북이 각 6개, 광주, 대전, 전남, 전북이 각 4개, 세종, 충북이 각 2개, 울산이 1개, 제주는 시행하는 기관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서울, 경기에 집중적으로 강좌가 시행하는 지역적편차가 심하게 나타나고 있다. 지역적 편차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교육기관은 정부에서 운영하는 평생학습관이다. 평생학습관 76개 강좌 중 50%에 해당하는 38개 강좌가 서울, 부산, 경기지역에서 행해지는 강좌 수의 합산이다. 지자체 차원에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부분이라 생각한다. 반면 대학의 평생교육원은 서울을 제외하고는 전국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교육기관 별 교과과정 특성 분석은 대학별 교과목과 평생교육기관 강좌를 집계하여 분류하였다. 2~3년제 사립대학은 총 10개 과목 중 복식사분야가 7개(70%)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이고, 디자인 2개, 구성 분야 1개 과목으로 나타나 실습보다 한복 관련 이론 수업을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4년제 국ㆍ공립대학은 총 61개 과목 중 구성 분야가 25개(약 41%)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1개 과목을 운영하는 3개 학과는 디자인 2개, 소재 분야 1개 과목이다. 2~6개 과목을 운영하는 17개 학과는 복식사와 구성 분야 과목을 기본 과정으로 하고, 디자인과 소재 분야 과목을 추가하는 형태이다. 4년제 사립대학은 총 95개 과목 중 복식사 분야가 39개(약 41%)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1개 과목을 운영하는 21개 학과 중에 복식사 13개(약 62%), 구성 5개(약 24%), 소재 1개, 마케팅 1개, 소품 1개 과목이다. 2~6개 과목을 운영하는 23개 학과는 복식사와 구성 분야과목을 기본 과정으로 하고, 디자인과 소재 분야과목을 중점적으로 추가하며, 다음으로 마케팅 분야 과목을 선택적으로 추가하는 형태이다. 복수 과목을 진행하는 학과가 기관별 차이를 보였다. 4년제 국공립대학은 구성 분야에서 6개 학과가 2~3개 과목으로 높은 비중을 보였다. 심화 과정과목명은 ‘한국전통예복구성’, ‘고급전통의상 디자인’, ‘한국전통복식(1, 2)’ 등이다. 4년제 사립대학은 복식사 분야에서 5개 학과가 2~3개 과목이고 과목명은 ‘동양 복식사’, ‘세계민속복식’, ‘큐레이터와 복식문화’, ‘한국전통복식연구’, ‘동아시아 문화와 패션’이다. 다양한 복식문화를 심화 과정으로 운영한다. 2~3년제 대학은 한복전문학과를 제외하고는 복수 과목이 운영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비정규 교육 강좌 수는 총 309개 집계되었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76개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이고, 경기(64개), 부산(41개), 그리고 대구, 인천, 경남, 경북, 전북, 충남 지역이 15개 내외 강좌 수를 나타냈고, 그 외 지역인 광주, 대전, 세종, 울산, 강원, 전남, 충북이 10개 미만 강좌 수를 나타냈고, 제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별 강좌를 살펴보면 평생교육기관 교육이 전문가 및 심화과정 강좌가 개설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통한복은 35개 강좌 중 8개(약 23%), 생활한복 57개 강좌 중 4개(약 7%), 신한복 17개 강좌 중 3개(약 18%), 규방공예 76개 강좌 중 4개(약 5%), 매듭 47개 강좌 중 2개(약 4%), 염색 22개 강좌 중 2개(약 9%), 자수 16개 강좌 중 1개(약 6%), 인형 옷 14개 강좌 중 4개(약 29%) 강좌가 ‘지도자 과정’, ‘전문가 과정’이라는 강좌명으로 개설되었다. 대학 교육은 자격이 갖추어져야 수강할 수 있는 반면에 평생교육기관은 횟수와 자격요건이 무관하게 수강할 수 있다. 이런 두 기관의 상호유기적인 관계가 한복 교육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한 방법이라고 제언한다.

한복 교육을 운영하는 정규 교육기관의 감소와 는 다르게 비정규 교육기관에서는 증가하는 추세다. 이는 지자체의 한복에 대한 홍보 노력과 세계적인 한류를 통한 한복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일반 소비자의 한복에 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는 부분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한복에 관한 연구는 전공을 배제한 다각도의 시선으로 확대하여 진행되고 있다. 정작 전공 분야에서 한복 과목의 감소가 나타나는 것이 문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타 전공자의 한복 관련 연구가 증가하는 점을 주지해서 타 전공자들이 쉽게 수강할 수 있는 교양 과목을 증설하는 방법과 다양한 융합 연구가 발표된 점을 고려하여 다양한 전공들과의 융합 교과과정, 그리고 한복 산업체와 연계된 산학 관련 교과과정 등의 확대를 제언한다. 이러한 연구 확대와 비정규 교육기관 활성화로 교육기관들의 상호유기적인 관계를 개선한다면 한복 교육 저변확대에 도움이 되며, 차별화된 교육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본다.

본 연구는 한복 연구 동향과 교육과정의 유기적 관계를 고찰하여, 한복 교육의 새로운 방안 제시와 기존 연구에서는 연구와 교육과정의 구체적인 연관성을 찾기에는 부족함이 있어서 그 부분을 조금 더 심층적으로 살펴본 연구이다. 결론적으로 한복에 관한 연구 및 교육과정의 변화가 많지 않았던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향후 한복을 연구하고 교육하는 것에 노력이 더 많이 필요하다는 부분으로 큰 시사점을 준다. 특히 한류의 흐름으로 많은 영화, 패션, 음악 등에서 한국의 의식주가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시점에 한복 부분의 연구는 답보 상태로 과거와 큰 변화가 없으며, 정규 교육과정은 쇠퇴하는 부분으로 조사된 것은 향후 해결해야 하는 연구 문제로 사료된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22년도 정부(문화체육관광부) 재원으로 한국공예ㆍ디자인문화진흥원의 한복교육보급 사업의 일환으로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References
1. Bae, J. (2021). Convergenc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Doctor’s Gown made in Application of Antimicrobial Properties of Natural Dyes-Andongpo Hemp Cloth (Master's thesis, Andong Nation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5752188
2. Baek, J. H. & Chae, K. (2017). Background to the Formation of the Term Hyangjang (香粧) and Change in Cosmetic (化粧) Culture: Focusing on Change from Visual Make-up to Olfactory Make-up.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41(2), 197-211.
3. Barng, K. J. (2021). A study on visualization of classic make up in Korea through the language in old document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25(1), 96-107.
4. Cha, S., Heo, S., & An, M. (2020). Comparison of new hanbok jeogory pattern for customizing system development.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25(11), 167-178.
5. Chang, M. J. (2018). The Analysis on the Research Trend of Design Applying Korean Traditional Costume in Korea: Focused on Apparel Related Journals Publication Listed on the KCI(Korea Citation Index)from 2007 to 2017.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Knit Design, 16(2), 67-77.
6. Cho, D. (2017). A study of digital hanbok design: focused on online game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4473346
7. Cho, W. H., Kim, H. G., Dong, J. H., & Park, M. J. (2016). Historical investigation and production of Men’s Mourning dress based on Sa-ryae-pyeon-ram[四禮便覽].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6(8), 123-137.
8. Cho, W. H. & Park, M. J. (2020). A study on the aspect of Hanbok in newspaper article of the Dong-A Ilbo in the 1950s.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22(1), 45-59.
9. Choi, I. S. & Kim. E. J. (2016). A study on the production a Norigae using motive ornaments in music instruments of the early Joseon Dynasty.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9(1), 43-56.
10. Choi, I. S. & Kim, E. J. (2018). Development of New-Hanbok accessories through analyzing Yooso(流蘇) Knot in 『Akhakgwebeom(樂學軌範)』.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19(1), 551-564.
11. Choi, J. (2020). Study on Hwapo manufacturing techniques in Joseon Dynasty (Doctor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5467367
12. Choi, S. (2011). The tendency analysis of Korean traditional textile studie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9(1), 19-30.
13. Ha, J. H. & Kim, H. E. (2017). Hanbok pattern research trend analysis: Focused on Korean journals and theses. Fashion & Text. Res. J, 19(1), 11-18.
14. Han, M. & Lee, Y. (2020). Research trend of Korean costume design: Focusing 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and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8(5), 677-691.
15. Heo, S. & An, M. (2019). Characteristics and recent changes of the Hanbok industrial cluster in Gwangju, Korea.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21(3), 161-172.
16. Jang, H. J. (2016). Designing new Hanbok for infants and children by using the constellations found on the murals from Goguryeo Tombs.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9(4), 59-76.
17. Jeon, S. (2020). A study on the design development of Hanbok handbag applying traditional pouch (Master's thesis, Hannam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5463028
18. Jin, D. & Lee, E. (2021). Costume for successful candidates of the exam of Saengwon and Jinsa in Joseon dynasty. Korean Studies, 45, 341-373.
19. Jung, H. (2019). A study on symbolism of traditional pattern in HyungbaeㆍBoe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5093585
20. Kang, S. Y. & Hong, N. Y. (2020). A study on the gold ornament pattern of Late-Joseon Dynasty Dang-ui[唐衣].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70(6), 1-20.
21. Kang, Y. (2017). A study on Korean image archetype for developing cultural contents: Focused on the semiotic approach to the image of Jeju myth (Doctoral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4579676
22. Kim, E. (2020). A study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total coordination culture in Koryo Dynasty (Doctoral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5485028
23. Kim, E. J. (2020). A study on the value and use of cultural property in the field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s.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23(4), 21-32.
24. Kim, H. (2017). The development of local festival costumes in Andong. Fashion & Text. Res. J., 19(1), 1-10.
25. Kim, H. Y. (2019). A Study on Socio-cultural Changes in Excavated Jangui from the 16th to 18th Centuries (Doctoral dissertation, Inha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5096712
26. Kim, J. A. (2018). A study on the change of shapes per element of Pyeonbokpo(Men’s Coat) design in Joseon period: Focused on the clothing excavated in the tombs between the 15th to the 18th century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4903165
27. Kim, J. A. & Lee, S. E. (2016). A study on the composition of Dopo(Long Robe) found in the tomb of Bae Cheonjo(1532): Focusing on the clothing found in the tombs of the Seongsan Bae clan in the Joseon dynasty.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8(2), 35-49.
28. Kim, J. H. (2020). A study on shape and sewing of tuck-up skirts from the Joseon dynasty (Master's thesis, Donkook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5530841
29. Kim, J. H. & Kim, M. Y. (2020).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of color education programs as lifelong educatio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8(3), 376-388.
30. Kim, K. H. (2017). Study on Korea costume research trends in domestic: Focused on journal publications from 2005 through 2015.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20(1), 5-16.
31. Kim, M. (2020). A post COVID-19 outlook: Research and education in Korean dress studies: Considering response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online educational resour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70(6), 120-138.
32. Kim, M. (2022). A review of the dictionary definitions of Hanbo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72(6), 139-155.
33. Kim, M. J. (1990). A study on the 30 years of Korean costume:(1958~1989).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15, 55-61.
34. Kim, N. H. (2016). A study on restoration for a Noeui set of King Injo’s Queen consort Jangryeol of Uigwe for the royal wedding ceremony of King Injo and Queen Jangryeol (Master's thesis, Donkook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4198539
35. Kim, N. H. & Cho, Y. W. (2018). Historical investigation and reconstruction of Noeui (露衣) Set (一襲) of Uigwe for the royal wedding ceremony of King Injo and Queen Jangryeo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42(2), 360-378.
36. Kim, S. (2019a).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home economics maker education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Focusing on the contents of 'hanbok and creative clothing’.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31(4), 63-79.
37. Kim, S. (2019b).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home economics maker education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Focusing on the contents of 'hanbok and creative clothing’ (Doctor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5383229
38. Kim, S. (2021). Analysis on the Hanbok image, perception and preference type of high school students: Focused on participation in Hanbok classes and gender.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33(2), 81-93.
39. Kim, S. H. (2019). Design of service-learning program using Korean traditional costume relics (Master's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8818
40. Kim, S. Y. (2016). Analysis on the standard curriculum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of the academic credit bank system in fashion fields.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51, 67-82.
41. Kim, S., Kim, Y., & Moon, J. H. (2017). The implementation plan for facilitating K-fashion wave with a focus on Korean fashion design. Journal of Cultural Industry Studies, 17(4), 169-179.
42. Kim, Y. (2007). A study on the study status of hanbok cultural society examined through scientific journals.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0(3), 131-137.
43. Kim, Y. (2018). The changes of official uniforms and its cultural direction from late Koryŏ dynasty to early Chsŏn dynasty. Critical Review of History, 22, 195-220.
44. Ko, S., Hwang, B., & Rhee, Y. (2020). Effects of Hanbok experience on consumer recognition and consumer behavior towards Hanbok.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25(2), 59-68.
45. Koo, D. Y. (2021). Hair art research with applied choseon women’s hairstyle and Accersories (Master's thesis, n, Daegu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5914599
46.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College Education [KCUCE]. (2022). University Information [Data file]. Retrieved from https://www.procollege.kr/web/college/webCollegeSearch.do
47. Korean Education Statistics Service [KESS]. (2021). Statistics of Lifelong Education [Book review]. Retrieved from https://kess.kedi.re.kr/index
48. Kweon, E. (2021). A study on restoration for Hang-ra loom in Gisan‘s genre painting (Master's thesis, Donkook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5790021
49. Kweon, J. (2019). A study on the costumes of Geumgwan Gaya: Focusing on the length of upper garm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9(4), 86-103.
50. Lee, B. & Lee, C. (2016). The development of program of practical education of Hanbok culture: Focus on life-ceremonial clothes.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9(4), 77-92.
51. Lee, E. (2017). Textile patterns of the excavated costume from the tomb of Lee's clan from Gyeongju, wife of Jeong Ryu. Journal of Korean Dress, 37, 5-34.
52. Lee, H. (2017). A study on the design of new Hanbok using Danchung's Flower pattern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4589540
53. Lee, H. J., Kim, Y. M., & Jeong, J. R. (2018). The conservation and present status of the costume relics in Gangwon-do.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21(4), 177-195.
54. Lee, H. K. & Yun, S. J. (2022). Assessing the demand for hanbok education and public support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Hanbok brand entrepreneurs and workers. Fashion & Text. Res. J., 24(2), 217-228.
55. Lee, I. H. & Son, M. Y. (2021).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used market of Hanbok and Hanbok reform market.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9(1), 59-69.
56. Lee, J. Y. (2018). A study on the applications and appearance of Jeongja-gwan in the late Joseon peri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8(5), 179-192.
57. Lee, K. M., Nomura, M., & Lee, J. Soo. (2021). A study on the historical research and design of the palace guard costume of the Korean empire: Based on the regulations of the army uniforms[陸軍將卒服裝制式] in 1897.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24(3), 141-164.
58. Lee, M. (2020). Aspects and meaning of the transmission of making casual Hanbok in today’s society: Focusing on the Hanbok culture course of Jecheon and Danyang (Master's thesis, Andong Nation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5472089
59. Lee, S. (2020).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for Hanbok in Korean culture: Focusing on topic selection activities in the free-semester system for junior high-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5666528
60. Lee, S. & Kim, E. J. (2016). A study on representation of the female hair styles of the Anak Tomb No. 3.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9(2), 111-122.
61. Lee, S. K. (2021).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using 3D printing focusing on Korean ten traditional symbols of longevity patterns (Master's thesis, f Konkuk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5742129
62. Lee, S. R. & Kim, M. H. (2021). A study on the suggestion of hanbok cultural policy from the perspective of national policy. The Korean Society of Illustration Research, 66(5), 49-62.
63. Ma, Y. & Kim, E. J. (2019). The development of DIY packages of Gyubang crafts combined with traditional decoration techniques. The Eastern Art, 43, 87-122.
64.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MCST]. (2008). 2007 Basic Survey for Hanbok Promotion. Seoul. Korea.
65.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MCST]. (2017). HANBOK REPORT 2016. Seoul. Korea. Hanbok Advancement Center.
66. Na, H. (2020). A study on development of uniform design applied from local cultural resources: Focused on Jeollanamdo restaurant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5511736
67. National Institute for Lifelong Education [NILE]. (2021). Lifelong Education White Paper [eBook]. Retrieved from https://www.nile.or.kr/contents/contents.jsp?bkind=lifelong&bcode=CAHAAAA&bmode=list&category=C11
68. Park, B. (2018). Reproduction of black color in Joseon dynasty: Focused on dying Poducheongsaekㆍ CheongjosaekㆍHyeonsaek in Imwongyeongjeji (Doctoral dissertation, Incheon Nation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4919345
69. Park, H. (2020). Study on activation of job creation in Pyeongtaek area through natural dyeing education.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6(2), 117-122.
70. Park, H. J., Kim, N. H., Kim, D. G., Kim, M. J., Kim, Y. M., Park, J. S., ... Lee, J. R. (2007a). The role of Hanbok designer. Understanding Hanbok Marketing. Sogang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CenterㆍHanbok Industry Marketing Research Institute. Seoul, Korea: Sogang University International Institute of Culture and Education Press. 96-109.
71. Park, H. J., Kim, N. H., Kim, D. G., Kim, M. J., Kim, Y. M., Park, J. S., ... Lee, J. R. (2007b).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aesthetics and costume. Understanding Hanbok Marketing. Sogang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CenterㆍHanbok Industry Marketing Research Institute. Seoul, Korea: Sogang University International Institute of Culture and Education Press. 28-49.
72. Park, S. (2017). The effects of Hanbok experience marketing on destination revisit intentions (Master's thesis, Pukyoung Nation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4564854
73. Park, Y. & Kim, D. (2017). The study on restoration for weaving loom which is owned at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20(4), 5-26.
74. Shin, J. & Chang, M. (2020). The current status of the application of knit materials in modern New-Hanbok. Fashion & Knit, 18(2), 31-38.
75. Song, S. (2019). The study of the royal insignia badges of the Joseon Dynasty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5329680
76. Woo, M. & Park, S. Y. (2019). A study on Design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Traditional Hairstyles in the Joseon Dynasty.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20(1), 305-314.
77. Yim, L. (2019). A study on New-Hanbok styling of online shopping mall. Journal of Fashion Business, 23(4), 68-85.
78. Yoon, Y. N. (2019). Analysis of Policies and strategies for development of Hanbok culture on K-5.0.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22(3), 159-171.
79. Yun, S. J., Jang, J. Y., & Lee, H. K. (2022).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Hanbok education in the era of fashion Hanbo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46(4), 687-703.
80. Yun, S., Jung, W., & Lee, S. J. (2020).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curriculum for nurturing the talented workforce for Hanbok-busines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70(2), 154-167.
81. Yun, U. J. (2017). The making plan of Cultural product, utilizing design of Shilla necklace.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20(2), 2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