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Current Issu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ol. 74 , No. 1

[ Articl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ol. 67, No. 7, pp. 69-85
Abbreviation: KSC
ISSN: 1229-6880 (Print) 2287-7827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Nov 2017
Received 18 Jul 2017 Revised 17 Oct 2017 Accepted 30 Oct 2017
DOI: https://doi.org/10.7233/jksc.2017.67.7.069

환편 니트 소재를 활용한 유스 세대 교복 디자인 연구
한우리
홍익대학교 대학원 디자인공예학과 의상학전공 박사과정

A Study on Youth Generation School Uniform Design Using Circular Knit Fabric
Woolee Han
Course of Ph.D, Fashion, Dept. of DesignㆍCraft, Graduate School, Hongik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Woolee Han, e-mail: woolee421@hanmail.net


Abstract

In modern society, human desires and values are rapidly changing. Moreover, the existing, standardized school uniforms are limited in terms of how they satisfy the aesthetic preferences of adolescents, who are sensitive to trends. Since clothing satisfaction has a great effect on the emotions and behaviors of adolescents, how school uniform designs follow current trends, as well as provide comfort and functionality, to enhance student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is a worthwhile research topic. The share of knitwear in the casual and sports wear markets is increasing rapidly due to consumer trends that favor comfort and leisure. This tendency corresponds to youth fashion trends, which represent the psychology of adolescents. Accordingly, knitwear can be applied to design comfortable and appropriate school uniforms that represent the fashion preferences of adolescents. This study reviewed the concept and status of school uniforms and knitwear based on a theoretic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chool uniform design and analyzed contemporary youth fashion trends and relevant brands. Through such analysis,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school uniform design model using knit fabric that is responsive to current trends while providing comfort. It is expected that the school uniform design using circular knit fabric proposed i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xpanding the school uniform market and the product development sector of school uniform manufacturing companies. This study will also present new possibilities for design ideas that accommodate the psychology of expectation and expression-seeking tendencies of adolescents.


Keywords: circular knit, school uniform, youth
키워드: 환편 니트, 교복, 유스

Ⅰ. 서론
1. 연구 목적 및 의의

어린 시절부터 모바일 기반의 디지털 미디어와 소셜 네트워크에 노출되어 온 유스 세대는 빠르고 트렌디한 감각적 환경 속에서 성장했다. 불안과 불황이 고착화된 시대에 실용적이고 일상적인 단순함과 진실성이 유스 세대의 동시대적 가치로 부상하고 있다. 평범함을 비범하게 살려내는 유스 세대가 만들어낸 유스 컬처는 획일화된 것은 거부하고 평범하면서도 유니크한 것을 추구하며, 새로운 시도를 통해 개성을 즐긴다. 동시에 게임이나 노스탤지어 소비를 통해 현실에서 도피하려는 욕구, 혹은 확고한 반항 정신과 부조리한 사회에 맞서는 의식 있는 유스 정신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급속한 사회 변화와 쉴 새 없이 업그레이드되는 정보 확산의 시대에 유스 세대는 불안정하지만 감각적인 라이프 스타일을 추구한다. 출생과 함께 모바일을 접한 디지털 라이프 시대의 유스 세대 청소년들에게 있어서 획일화된 기존의 교복은 그들의 기호를 충족시키기엔 한계가 있다. 교복은 주말을 제외하고 하루 대부분을 장시간 착용하는 중요한 의복이지만, 활동성이나 디자인에 있어서 학생들에게 다소 만족도가 떨어지고 있다는 것이 일반적 견해이다(Lee, 2007).

이와 관련하여 Han(2014), Kwon(2016), Ryu(2010)의 연구에서는 교복의 불만족 실태를 파악하고 개선점 등을 연구하였다. Han(2014)의 연구에서 학생들은 체형 결점을 보완하고 몸의 실루엣을 돋보이게 하는 디자인과 보온성이 높은 교복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복에 대한 불만족 요인은 디자인과 품질 저하로 꼽았으며, 유행 스타일에 맞추어 교복의 디자인을 수선하여 착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won(2016)의 연구에서도 교복 디자인에 대하여 불만족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교복의 심미적 디자인보다는 활동적 측면에 대한 불만족이 더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학생들은 불편을 감수하면서도 스타일을 중요시하여 76.4%의 학생 대부분이 교복을 구입한 후 수선한 것으로 나타났다. Ryu(2010)의 연구에서는 디자인 불만으로 인하여 교복을 변형한 경험이 46.6%로 나타났다. 이상의 선행 연구들은 학생들의 교복 불만족 요인을 개선하기 위해 기존 교복의 맞음새 평가 및 만족도에 관한 분석에만 그치고 있으며, 그 해결 방안으로 검증된 소재를 제안하거나 트렌드를 반영하여 교복 디자인을 제품화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니트 산업 현황과 최근 교복 브랜드 현황을 파악하여 유스 세대 청소년의 패션 의식을 반영한 감각적이고 세련된 디자인 즉, 시대의 트렌드에 대응하고 활동성과 심미성을 갖춘 환편 니트 소재 교복 디자인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맞음새를 위한 치수 체계 개발보다는 교복 불만족의 주요인이 되는 활동의 불편함과 디자인의 비선호적 요소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 환편 니트 소재를 활용한 트렌디한 디자인을 그 해결 방안으로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교복 디자인 개발 모형을 제공하고자 한다.

2. 연구 범위 및 방법

본 연구는 유스 세대 즉, 청소년을 위한 환편 니트 소재가 활용된 교복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니트의 특성과 종류, 니트 산업 현황을 파악하고, 교복의 기능적 요소와 브랜드의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유스 컬처를 대표하는 패션 트렌드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의 이론은 니트 및 교복과 관련된 선행 논문 및 정기 간행물, 관련 서적, 인터넷 자료들을 고찰하고, 실증적 자료 분석을 위해 교복과 의류 브랜드의 홈페이지 등 웹 사이트에서 관련 사진과 기사를 수집하고 참고하여 진행한다. 연구 대상으로는 국내 교복시장의 72%를 점유하고 있는 4대 교복 브랜드 '엘리트(Elite)', '아이비클럽(Ivyclub)', '스마트(Smart)', '스쿨룩스(Skoolooks)'(Kim, 2016)를 선정하였으며, 패션 트렌드 정보 그룹 PFIN(firstVIEW korea)이 '2018 유스 컬처 트렌드'에서 제시한, 요즘 유스 세대 청소년들이 가장 선호하는 패션 브랜드, '베트멍(Vetements)', '생 로랑(Saint Laurent)', '슈프림(Supreme)', '팔라스(Palaces)'를 선정하여 디자인을 참고하였다.

연구 범위로는 앞서 제시한 교복 및 의류 브랜드의 2015년~2017년 최근 발표된 컬렉션을 기준으로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제품을 분석하고, 그 특징을 파악하여 남ㆍ여 교복 4세트, 총 12장을 제작하고자 한다. 제작 모형은 니트의 종류 중 환편 니트를 소재로 하였으며, 표현 양상이 비교적 다각적으로 제시될 수 있는 상의로 아이템을 제한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니트의 개념과 종류, 교복의 개념과 기능적 요소를 이해하고, 현시대의 니트 산업 현황과 교복 브랜드 현황을 파악하며, 유스 패션 트렌드를 분석한다. 둘째, 기존 교복에 적용된 기능 및 소재를 브랜드별로 나누어 살펴보고 비교ㆍ분석한다. 셋째, 유스 세대의 문화와 트렌드를 파악하고 선호하는 브랜드의 표현 양상을 분석한다. 넷째, 이러한 분석을 통해 교복 디자인의 제품 모형을 구현하여 환편 니트 소재 활용 및 유스 트렌드를 반영한 교복 디자인의 제작 방법을 검증한다. 다섯째, 환편 니트 소재를 활용한 유스 세대 교복 디자인에 새로운 전개와 확립을 제시한다.


Ⅱ. 일반적 고찰
1. 니트의 특성 및 니트 산업의 현황
1) 니트의 개념 및 특성

니트(Knit)의 어원은 손뜨개를 뜻하는 영어의 ‘맨 매듭', ‘맨다'를 의미하는 색슨(Saxon)어의 니탄(Nyttan)에서 비롯되었다(Harlow, 1979). 니트는 루프(Loop)를 기본으로 하여 한 가닥의 실로 이어 뜨는 모든 것을 말하며,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의 실을 루프로 만들어 연결하는 직조 방법이다. 니트는 대바늘이나 코바늘 또는 수편기를 사용하여 손으로 짜는 것을 수편물, 대량 생산을 목적으로 기계 편직기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을 편성물 또는 편물, 편직물이라 부르며, 스웨터(Sweater), 저지(Jersey), 메리야스(Merias) 등 다양한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Hong & Choi, 2009).

니트는 루프로 형성된 구조이기 때문에 직물과 다른 편직물만의 특성인 신축성, 함기성, 유연성, 방추성 등의 장점이 있다. 신축성은 편물의 가장 큰 특성이며 외력에 의해 자유롭게 늘어나고 원상태로 회복되지만 형태 안정성 면에서 결점이라 할 수도 있다. 니트는 함기량이 많아 보온성이 크며 부피에 비해 가벼운 반면, 통기성이 커서 위생적이나 풍속이 존재할 경우 높은 공기 투과도를 지녀 보온성은 급격히 감소한다. 드레이프성도 우수하여 구속감을 주지 않으며 유연하면서도 인체의 실루엣을 잘 살릴 수 있다. 또한 섬유와 실이 느슨하게 접촉하고 있어서 구김이 잘 생기지 않는 방추성의 특성을 가지며 구김으로부터 회복성도 빠르다.

니트는 루프 단위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실의 일부가 끌어당겨져 밖으로 풀려나오는 스내깅(Snagging)과 코가 끊어지면 올이 풀리는 전선(Run) 현상이 니트의 취약한 부분이다. 또한 마찰에 매우 약하기 때문에 필링(Filling)이 발생하고, 가장자리가 휘감기는 성질인 컬 업(Curl-up)현상으로 재단과 봉제 작업 과정에 불편함이 있는 단점이 있다.

2) 니트의 종류

니트는 크게 위편 니트(Weft Knit)와 경편 니트(Wrap Knit)로 분류된다. 일반적으로 한 가닥의 실이 가로 방향으로 코(Wale)를 형성하여 연속적인 단(Course)을 형성하는 방법의 위편이 많이 사용되며, 경편은 직물의 편직 과정과 같이 세로 방향으로 배열된 수 백 가닥의 코를 좌우로 연결하여 편성하는 것으로 코의 형성이 지그재그 형태를 이룬다(Hong & Choi, 2009).

위편은 환편 니트(Circular knit)과 횡편 니트(Flatted knit)로 다시 분류된다. 환편 니트는 수 편의 편성을 기계화한 것으로 루프를 길이 방향으로 연철하여 원단을 폭 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환편물의 원단은 루프의 연철 방법에 의해서 수없이 많은 원단을 만들 수 있으며, 이러한 환편물 종류는 조직의 변화, 편직의 게이지, 소재의 종류, 원사의 굵기와 밀도, 실의 연수, 연의 종류, 편성시의 장력, 원단의 가공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Oh, 2010). 환편 니트는 한쪽 방향으로 움직여 편성 운동을 하는 원형식의 편직기에 의해 생산된다. 생산 후, 텐터(Tentering) 가공을 거쳐 개폭이 되고 직물과 같은 원단으로 완성되므로 컷 앤 소운(Cut & Sewn) 방식에 따라 옷본에 맞춰 재단하고 봉제하여 제품을 완성한다. 디자인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직물에 비해 간단하며, 본봉(Lock Stitch) 재봉틀보다는 오버로크(Over lock Stitch)과 플랫 록(Flat Lock Stitch) 재봉틀을 사용하여 솔기와 밑단에 신축성을 부여한다. 성형 제품용 편성물과 비교하여 보다 입체적이고 다양한 실루엣의 창작이 쉽다는 이점이 있다. 반면 횡편 니트는 편직의 폭을 증감시킬 수 있는 성형이 가능한데 이는 직물에서는 불가능하고 니트에서도 횡편에서만 가능한 특징이다. 실에서 곧바로 제품화할 수 있기 때문에 재단에 의한 원단 손실은 거의 없으나 생산 속도가 느리다(Song, 2009).

3) 니트 산업의 현황

2003년부터 시작된 경제 저성장 속에서 의류산업은 전반적인 시장 위축과 함께 경기 불황을 거듭하고 있으며, 향후에도 시장 성장은 정체될 것으로 전망된다(Korean Apparel Industry Association [KAIA], 2010). 그러나 경기 침체, 소비심리 저하와는 별개로 전 세계적으로 소비자들의 라이프 스타일이 편안함과 여가를 추구하게 되면서 캐주얼 및 스포츠 의류 제품에 대한 수요가 활발히 증가되고 있다. 또한 레저 문화의 지속적인 발달로 캐주얼ㆍ스포츠 의류 시장은 이들 시장의 핵심 제품인 니트웨어의 소비를 더욱 확대시키고 있다. 캐주얼ㆍ스포츠 의류 시장의 규모는 지난 2000년부터 매년 성장하여 최근까지 가장 높은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으며, 2016년에는 캐주얼 32.7%, 스포츠 17.3%의 실적을 차지했다(Moon, 2017). 전반적으로 스포티즘이 유행하고 있는 것과 더불어 일상 활동에 편리하고 실용적인 니트 캐주얼 의류의 강세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활동성, 보온성, 신축성, 패션성을 갖춘 니트웨어는 디자인의 다각적인 표현이 가능하여 캐주얼 및 스포츠ㆍ레저용 뿐 아니라 패션의 주요 아이템으로 부상하고 있다. 니트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스타일리시한 감각이 강조되는 패션 소비 시장에서 지속적으로 선호되는 요구 품목이 되고 있으며, 첨단 산업화 시대에 혁신 기술의 발달로 제품의 고급화와 가치가 높아지고 있다.

2. 교복의 특성 및 교복 브랜드 현황
1) 교복의 개념 및 특성

교복(School Uniform)의 사전적 의미는 중ㆍ고등학교 학생들이 입는 제복으로 학생복을 말한다. 교복은 단체 생활을 원활히 하고 학생에게 면학의식을 갖게 하기 위한 것으로 신분과 소속감, 유대감을 불러일으키는 수단이 되며, 학생의 공식적 의복인 정장의 역할을 한다.

교복은 상징성, 심미성, 기능성, 경제성의 특성을 갖는다. 교복이 지니는 상징성의 의미는 학생신분을 지각하게 하는 동시에 학생으로서의 올바른 역할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것으로 착용자의 의식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Kang, 1995). 특히 청소년기는 동년배 집단에서 사회적 안정감을 얻으려는 시기로 옷차림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함으로 교복은 착용자 개인의 만족과 단체복으로서의 미적 요구를 충족해야 한다. 또한 학교 내에서 늘 교복을 착용하게 되므로 학습 활동 및 교내 제반활동에 있어서 능률을 높이고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교복에 기능성을 부여하여야 한다. 기능성 향상을 위해 소재에 대전 방지, 유연, 방오 등의 특수 가공이 필요하며, 신축성이 가미된 소재의 활용이 중요하다. 또한 교복은 가계에 부담이 없도록 적절한 가격으로 책정되어 경제성을 갖추어야 하며, 3년의 기간 동안 착용해야 하므로 내구성 및 세탁과 손질이 용이한 소재를 택해야 한다.

2) 교복의 기능적 요소

교복 브랜드들은 청소년기 학생들의 개성을 존중하고, 학부모들이 중시하는 품질 및 세탁의 용이성을 만족시키며, 학교 측의 복장 규제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기능적 요소들을 교복에 적용하고 있다. 친환경 성분, 자외선 차단, 오염 흡수 방지, 흡한 속건, 향균 방취, 구김 방지, 스트레치 및 발열 안감 등의 기능성 소재를 사용하여 쾌적성, 회복성, 신축성, 착용감을 높인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또한 이름표 라벨, 명찰 부착용 플랩, 코인 포켓, 지퍼 포켓 등으로 편리성을 고려하고, 메시 안감, 땀 패치, 앞섶 덧댐, 오염 방지 밴드, 매직 소매, 실리콘 허리 밴드 및 허리 조절기 등 다양한 디테일을 통해 기능적 구조를 부여하고 있다. 실용적인 소재와 편리한 구조로 다양한 기능적 요소를 개발하고 있는 교복 브랜드들의 이러한 지속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교복 만족도에 대한 평은 부정적이다.

이러한 현상은 교복 브랜드들이 앞서 언급한 기능적 요소에 집중하는 반면, 외모와 패션에 관심이 높은 학생들은 교복 중요도는 활동성과 디자인에 있기 때문이다. Yang(2013)의 연구에서는 교복의 구김 문제와 보온성 및 신축성이 낮은 것을 불만족 요인으로 분석하였고, 디자인 부분에서는 꼭 맞는 스타일의 짧은 길이를 선호하여 재킷은 74.9%가 허리 기장을 선택했고, 스커트는 67.4%가 무릎 위 기장을 선택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Choo(2014)의 연구에서도 학생들은 교복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45.7%가 편안한 착용감을 원했고, 다음으로 세련된 디자인이 27.8%로 조사되었다. 앞서 언급한 선행연구와 마찬가지로 학생들은 활동에 있어 편안한 교복을 원하면서도 디자인을 최우선으로 하여 실루엣과 핏을 변형하고 기장을 줄여 불편함을 유발하는 모순된 해소 방법을 택하고 있다.

교복의 디자인 이미지는 입학을 앞둔 청소년들의 학교 선호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추세로, 3년 동안 대부분의 시간을 착용해야 하는 교복은 예민한 시기의 청소년들에게 자신감과 원활한 학교생활을 위하여 중요한 역할을 한다. 청소년기는 학업에 집중하면서도 신체 변화가 급격한 시기인 만큼, 편안하고 활동적인 교복의 착용이 중요함으로 교복의 소재 및 디자인 개발은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야 한다.

3) 교복 브랜드 현황

1990년대 후반, 교복을 착용하는 학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교복 시장은 급성장하였고, 대기업이 교복 시장에 진출하면서 교복의 브랜드화와 기성복화가 진행되었다. 각 대기업들은 광고를 통해 교복의 디자인을 강조하기 시작하였고, 이를 계기로 교복 패션이란 말과 함께 본격적으로 교복 디자인의 발전이 이루어졌다. 과거 성장기를 고려해 큰 사이즈로 교복을 구입하던 경향은 경제ㆍ소득수준의 향상과 웰 빙 문화의 보급으로 건강과 외모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면서 맵시가 강조된 꼭 맞는 스타일로 변화하였다. 스타일과 디자인에 민감한 학생들의 요구에 맞춰 교복 디자인도 변화를 거듭하였으며, 전체적으로 슬림한 라인의 교복 형태가 유행을 이끌게 되었다(Jung, 2006). 이러한 흐름은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획일화와 통제의 상징이던 교복이 학생들의 문화이자 자신을 드러낼 수 있는 하나의 아이템으로 인식되기 시작하면서 청소년들에게 중요한 패션 코드로 자리 잡게 되었다.

국내 교복 시장은 연간 약 3,500~4,000억 원규모로 추정되며, 교복 브랜드 엘리트, 아이비클럽, 스마트, 스쿨룩스 4개 업체가 전체 교복 시장의 72%를 점유하고 있다(Kim, 2016). 이러한 대기업 브랜드들은 전국적인 대리점 망을 형성하고, 매체를 통한 대대적인 홍보를 바탕으로 대규모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학교는 학부모를 중심으로 입찰을 통해 교복 업체를 선정하고 있으며, 대기업과 전국 40여 개의 중소기업이 경쟁하고 있다(Statistics Korea, 2008). 이러한 과정에서 교복의 기성복화로 인한 가격 상승, 중소기업 몰락 등의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으며 가격 합리화, 사이즈 및 제품의 고품질화, 소재 기능화와 더불어 청소년들의 선호 요소가 반영된 교복 디자인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3. 유스 패션 트렌드 분석

유스(Youth)의 사전적 의미는 젊음과 청춘을 뜻하며, 성인이 되기까지의 세대로 그 시기는 문화와 학문 분야의 조망에 따라 차이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ㆍ고등학교 학생에 해당되는 청소년 시기의 14세~19세를 유스 세대로 정의하였다.

청춘의 열정과 열병의 문화가 된 '유스 컬처(Youth Culture)'는 소비 시장을 움직이는 키워드로 부상하면서 패션계에 막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패션 브랜드는 개방적인 사고와 새로운 시도를 선호하는 유스들의 다양성과 창의성을 마음껏 발현할 수 있도록 매력적인 콘텐츠와 디자인 아이템들을 필요로 하고 있다.

청소년들의 반항과 새로운 심리를 대변하는 유스 패션은 90년대 레트로 무드를 담은 캐주얼 스타일로 스트리트 감성을 대변하고 있다. 패션 트렌드 정보그룹 PFIN은 '2018 유스 컬처 트렌드' 세미나에서 가장 신선하고 급진적인 브랜드로 하이패션 브랜드 베트멍, 생 로랑과 스트리트 브랜드 슈프림, 팔라스 등을 소개하였다. 이들 브랜드는 규범을 벗어난 기이함으로 실용과 전위 사이를 오가며 자유분방함을 새로운 스타일링으로 제시하고 있다(Jung, 2016). 유스 컬처가 전 세계적으로 지지를 받으면서 하이패션과 스포츠 브랜드 역시 젊은이들의 감각을 반영하여 로고, 상표, 캐릭터, 카툰 등의 상업적인 요소를 과감히 가미하고 있다.

유스 컬처 패션은 트렌드에 민감한 젊은 세대의 SNS를 통해 더욱 빠르게 확산되면서 패션 트렌드의 중심에 서게 됐다. 이에 따라 국내 패션시장에서도 유스 컬처 분야가 확대되는 추세이며, 캐주얼 및 스포츠 웨어 브랜드는 자신들의 헤리티지와 스트리트 감성을 더욱 강화한 의류 제품을 출시하고 있어 시대적 키워드인 유스 컬처에 패션계가 주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Moon, 2016).


Ⅲ. 교복과 유스 패션 디자인 사례 분석
1. 교복 브랜드 디자인 분석

교복 브랜드 '엘리트(Elite)', '아이비클럽(Ivyclub)', '스마트(Smart)', '스쿨룩스(Skoolooks)'의 2017년 출시된 제품을 기준으로 소재 및 디자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교복 브랜드 엘리트(Elite)의 쿨 메시(Cool Mesh) 소재는 셔츠의 통기성을 높였고, 튼튼하고 가벼운 쿨 스판(Cool Span) 소재의 팬츠는 사방 스트레치 기능이 우수하며, 수분 조절 기능 소재인 인비스타 쿨 맥스(Invista Cool Max)를 적용해 하복용 아이템에 쾌적함을 높였다. 깨끗하고 편리한 교복관리를 위해 섬유 표면에 나노(Nano) 돌기를 부착하여 '나노 오염 방지 셔츠'를 선보여 주목받고 있으며, '탈부착 칼라' 기능을 더해 부분 세탁의 편리함과 시간 절약의 장점을 주고 있다. 이 밖에 소매길이 조절이 가능한 '매직 소매'와 목 밴드, 소맷단 오염을 감춰주는 '샤방 밴드' 등 다양한 기능이 적용됐다.<Fig. 1><Fig. 2>


<Fig. 1> 
Uniform Elite, 2017S/S

(Myelite, n.d.-a)




<Fig. 2> 
Uniform Elite, 2017S/S

(Myelite, n.d.-b)



명품 교복 디자인을 강조하며 교복 고급화를 선도한 아이비클럽(Ivyclub)은 '다리가 길어 보이는 학생복'이라는 일관된 브랜드 콘셉트로 상품 개발 및 품질 연구에 주력하고 혁신적인 소재와 디자인을 교복에 접목시켰다. 특수 제작된 3D 입체 패턴을 사용해 무릎 선을 높여 다리가 길어 보이는 핏과 라인을 돋보이도록 디자인하였다. 또한 교복의 기능성과 디자인을 모두 고려하여 팬츠, 스커트에 탄성 회복력과 내구성이 뛰어난 사방 파워 스트레치(All Power Stretch) 소재를 사용해 활동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Fig. 3><Fig. 4>


<Fig. 3> 
Uniform Ivyclub, 2017S/S

(Ivyclub, n.d.)




<Fig. 4> 
Uniform Ivyclub, 2017S/S

(Ivyclub, n.d.)



이번에 선보인 스마트(Smart) 교복은 '매일매일 입어도 좋은 학생복'을 목표로 학생들이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신체에 맞춘 3D 입체 패턴을 적용하였으며, 친환경 스트레치 소재인 젠트라(Zentra), 노이시아(Noisia)를 사용해 신축성을 한층 강화했다. 또한 피부 속에 침투하는 자외선까지 완벽하게 차단하는 아웃도어 신소재인 코오롱(Kolon) ATB-UV+ 소재를 더한 것이 특징이다. 이외에도 흡한 속건 기능의 '메시(Mesh) 체온 조절 시스템'과 '에어로 쿨(Airo Cool) 수분 조절 시스템'을 이용해 쾌적한 착용감을 제공한다.<Fig. 5><Fig. 6>


<Fig. 5> 
Uniform Smart, 2017S/S

(Smartzzang, n.d.)




<Fig. 6> 
Uniform Smart, 2017S/S

(Smartzzang, n.d.)



스쿨룩스(Skoolooks)는 인체공학적 디자인과 피팅 선호도를 반영한 '워너 비 보디(Wanna be Body)'를 개발하여 체형에 맞게 제작된 교복으로 편안함과 착용감, 최적의 활동성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패션과 기술을 동시에 강조한 패셔놀로지(Fashion+Technology)의 특수 원단을 적용하여 기능성을 한층 강화하였다. 재킷에는 평균 1℃ 이상 올려주는 아웃도어용 발열 소재를 안감으로 사용, 셔츠에는 보온성이 탁월한 웜 라이트(Warmlite) 소재를 적용하여 겨울철 보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Fig. 7><Fig. 8>


<Fig. 7> 
Uniform Skoolooks, 2017S/S

(Skoolooks, n.d.-a )




<Fig. 8> 
Uniform Skoolooks, 2017S/S

(Skoolooks, n.d.-b)



교복 브랜드들은 공통적으로 체형 맞춤화 방안으로 3D 입체 패턴과 인체공학적 설계에 주력하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슬림한 디자인으로 맵시를 강조한 것이 특징이다. 재킷은 몸에 꼭 맞고 전체적으로 짧아진 길이에 어깨라인은 좁아지고 허리선이 강조된 X 라인 실루엣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팬츠는 무릎 선을 올리고 너비를 줄인 슬림한 형태로 설계하여 실제보다 키와 다리가 길어 보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스커트는 3~4년 전에는 슬림해 보이는 효과의 H 라인 형태가 유행했으나, 최근에는 발랄한 느낌을 주면서 체형보완이 가능한 A 라인이나 밑단이 좁아지는 형태로 실루엣을 살린 디자인이 선호되고 있다.

교복 브랜드들은 매일 입는 교복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세탁 및 관리의 편리성에 주력하고 있으며, 자외선 차단, 향균, 방수 방오, 흡한 속건 등의 기능성과 착용감, 활동성, 쾌적성을 강조한 내구성이 강한 소재 사용에 중점을 두고 있다. 생활복, 운동복, 베스트, 카디건의 소재는 일반적으로 편물 소재인 니트를 사용하고, 정복에 해당하는 셔츠와 재킷, 스커트, 팬츠의 소재는 대부분 직물을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교복 브랜드들이 소재 선택에 있어서 오염 방지 및 내구성의 강도를 우선시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 4대 교복 브랜드에 나타난 소재 및 기능을 표로 정리하였다.<Table 1>

<Table 1> 
Current situation of top 4 brand school uniform fabric materials
Current situation of top 4 brand school uniform fabric materialsa
Elite Ivyclub Smart Skoolooks
ShirtsㆍBlouse • Eco stretch: Blended cotton TC Compact yan
• Anti-Wrinkle
• Soft touch
• UV Protection
• Noisia: Vegetable
Eco-Friendly
Flexibility, Good Fit
• UV Protection: ATB-UV+
• Antifungal: AG Ingredient content
• UV Protection: 99.5%
• Antifungal
• S Span: Spring structure
• Wheel Light: Spring structure
• Flexibility, Good fit
JacketㆍSkirtㆍPants • Prevention pollution absorption:
• Surface tensiontise Water-repellent processing
• Keep comfort
• Coil structure: Flexibility, Recoverability good
• Prevention pollution absorption: Ultra Water-repellent processing
• Keep comfort
• Sirofil fabric: Polyester 40%, Australian wool merino 60%
• Four Side Stretch: High elasticity
• Prevention pollution absorption
• Antibacterial: AG Containing
• Keep comfort: Moisture discharge
• Zentra: Flexibility, Recoverability good
• Noisia: Moisture discharge Excellent stretch
• Prevention pollution absorption: Anti-pollution waterproof
• Ice span: Flexibility good
• Speaker Fabric: Lining
• Zentra Span: Flexibility, Recoverability good
• Kingtex: KS certified wool
• Eco Tex: European certification, Harmful component 0%
• Semotron yarn: Fever lining
• Hybrid: merino+Cashmere
CasualㆍTraining • Quick-drying sweat: Invista cool max, Keep comfort
• Cool span: Four side sretch
• Quick-drying sweat: Keep comfort
• UV Protection: Skin protection
• Antifungal: 99.9%, AG Containing
• Deodorizing: Microbial inhibition
• Natural cotton: Hygroscopic Breathability good
• UV Protection:
• ATB-UV+
• Antifungal: AG Containing
• Quick-drying sweat: ATB-UV+, Keep comfort

2. 유스 패션 브랜드 디자인 분석

본 장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유스 컬처 트렌드를 이끄는 대표적인 패션 브랜드 '베트멍(Vetements)', '생 로랑(Saint Laurent)', '슈프림(Supreme)', '팔라스(Palaces)'의 2015년~2017년 컬렉션을 분석하고자 한다.

하이패션 브랜드 베트멍(Vetements)은 언더그라운드 정신에 부르주아 취향을 뒤섞음으로써 유스들의 열광적 지지를 얻어내고 있다(Kim, 2016). 베트멍의 컬렉션에 나타난 하위문화의 표현은 불량스럽고 과장된 실루엣과 패러디식 프린트를 활용한 카피 로고에 잘 나타나고 있다. 물류 택배회사 DHL의 로고를 사용한 티셔츠(T-shirts), 앤트워프 아카데미(Royal Academy Antwerp) 로고와 유명 브랜드 챔피언(Champion) 로고를 오마주한 후디(Hoodie)는 유스 세대를 강렬하게 사로잡았다. 베트멍은 러시아와 독일 출신 디자이너의 탈 관념 요소가 반영된 스트리트 감성으로 타 업체의 로고와 노후 된 브랜드 이미지의 재조합을 통해 유스들의 빠른 욕구 변화에 대응하고 있다.<Fig. 9><Fig. 10>


<Fig. 9> 
Look Vetememes, 2016S/S

(Vogue, n.d.-a)




<Fig. 10> 
Look Vetememes, 2017S/S

(Vogue, n.d.-b)



생 로랑(Saint Laurent)의 컬렉션은 전반적인 느낌을 90년대 감성으로 돌아가고자 스키니한 스타일과 펑크 감성으로 표현하고 있다. 간결하면서도 단순한 실루엣의 라이더 재킷(Rider Jacket)과 봄버 점퍼(Bomber Jumper)는 키치와 반항적 요소의 상징으로 유스 세대의 강한 향유 분위기를 나타낸다. 생 로랑은 대중적으로 밀착되어 있는 하위문화를 하이패션의 범주로 옮겨와 실용과 전위 사이의 정서적 공감을 통해 유스 세대를 표현하고 있다(Nam, 2016).<Fig. 11><Fig. 12>


<Fig. 11> 
Look Saint Laurent,2016S/S

(Vogue, n.d.-c)




<Fig. 12> 
Look Saint Laurent,2017S/S

(Vogue, n.d.-d)



스트리트 브랜드 슈프림(Supreme)은 힙합과 스케이트 보더에서 영감을 받아 스트리트 정신이 반영된 디자인을 보여준다. 트렌드를 빠르게 수용하되 물량을 한정해 다름을 소비하고 싶은 유스들에게 상품을 빠르고 합리적인 가격에 제시한다. 슈프림의 폭발적인 인기로 대량 생산을 하지 않는 스몰 브랜드가 급부상하면서 하이패션 브랜드와의 협업이 활성화되고 있다. 90년대 복고 분위기의 카디건과 타탄체크 셔츠(Tartan Check Shirt) 그리고 니트 셔츠(Knit Shirt)와 같이 슈프림은 스포티브와 데일리 코드의 결합으로 일상적이면서 남과 다른 스타일에 열광하고 빠름에 집착하는 유스들에게 영향력을 주고 있다.<Fig. 13><Fig. 14>


<Fig. 13> 
Look Supreme, 2015S/S

(Supremenewyork, n.d.-a)




<Fig. 14> 
Look Supreme, 2017S/S

(Supremenewyork, n.d.-b)



팔라스(Palace) 역시 스케이트보드를 기반으로 한 스몰 브랜드이며, 아메리칸 스포티즘에 영국식 클래식이 가미된 스트리트 룩으로 유스들에게 주목받고 있다. 팔라스는 스포츠 웨어 브랜드 아디다스(Adidas), 리복(Reebok)과의 성공적인 협업과 시그니처 로고 디자인으로 선호도와 인지도가 높아진 브랜드이다(Jung, 2016). 팔라스의 아디다스 집 업 점퍼(Zip up Jumper)와 로고가 짜인 스웨터(Sweater)는 크고 강렬한 문자와 명료한 디자인으로 브랜드 고유성을 잘 나타내고 있다.<Fig. 15><Fig. 16>


<Fig. 15> 
Look Palace, 2016S/S

(Palaceskateboard, n.d.-a)




<Fig. 16> 
Look Palace, 2016S/S

(Palaceskateboard, n.d.-a)



앞의 분석 결과 브랜드들은 공통적으로 상업적인 상표, 루즈 핏 실루엣 등으로 90년대 취향의 ‘복고적 요소’와 자유분방한 하위문화의 ‘펑크적 요소’를 통해 일상 속의 익숙한 클래식 감성을 나타냈다. 개방적인 협업을 통해 하이패션의 시그니처를 강조한 ‘캐주얼 요소’와 정통 스포츠 브랜드의 헤리티지를 담은 ‘스포티 요소’를 융합하여 오리지널리티의 경계를 넘은 일상화를 추구하고 있다. 오늘날의 혼란스러운 사회에서 하위 계층으로 전락한 유스들이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동시에 낯설면서도 익숙한, 일상적이면서도 개성적인 디자인을 선호하면서 ‘스트리트 패션’ 코드가 유스 컬처를 표현해주는 매개체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베트멍, 생 로랑, 슈프림, 팔라스의 디자인 요소와 특징을 표로 정리하였다.<Table 2>

<Table 2> 
Analysis of fashion brand preferred by youth generation
Analysis of fashion brand preferred by youth generation 2016 S/S ~ 2017 F/W
Youth Culture Fashion Brand Design Characteristic
Form Color Fabric Pattern
High Fashion Brand Vetememes Extended silhouette Bad variation An exaggerated element vivid Knit, Jersey Satin, Lether etc Aged Other brands logo • Deconstructive that reflects Paris-based ideology
• Reconstruction of underground and bourgeois in the '90s
• local characteristics of Russian and German designers
Saint Laurent Simple silhouette Accessory Decoration A punk element Natural Re-Branded Brand Logo Re-Branded Brand Logo • Paris-based practical and transformation of avant-garde
• Reflecting Kitsch mood and rebellious rock in the 90s
• Establish brand identity such as name, logo, and font
Street Brand Supreme Loose fit silhouette Artistic Unique A retro element Neutral Knit Nylon lether its logo, Colorful Various patterns • New York-based skateboarder's hip-hop fashion
• Combination of 90's sporty and daily code
• Collaborate with high brand with small market brand
Palace Easy fit silhouette A clear division Sporty element Achromatic Knit Nylon Cotton Denim etc Strong signature logo • London based original skateboarder fashion
• Combined American sporty and British classic in the 90s
• Collaborate with sports brand with small market brand
Youth Fashion Retro elements of the 90's taste
Punk elements of liberal subculture
Casual Elements of High Fashion Signature
Sporty element of sports brand Heritage
amiliar with familiar island is a compromise Individuality strong daily code Street fashi


Ⅳ. 환편 니트 소재를 활용한 유스 세대 교복 제작
1. 디자인 의도 및 방법

유스 세대가 세계의 패션 트렌드를 실시간으로 탐색하고, 공유하며, 빠르게 실행에 옮기고 있는 현시점에서, 교복 디자인은 그 속도를 맞추지 못하고 정체되어 학생들의 만족도를 여전히 불충족하고 있다. 의복에 대한 만족도는 유스 세대 청소년기의 정서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현세대의 트렌드에 맞는 교복 디자인은 중요한 연구의 가치가 있다. 상용화되고 있는 교복은 대체로 소재와 디자인의 유형이 획일화된 것으로 변화에 소극적인 다수의 만족을 위해 새로운 시도를 실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앞서 교복의 현황에서 언급된 학생들의 교복 불만족 요인은 ‘활동성’과 ‘디자인’이 가장 크게 부각되었으나, 다수의 선행 연구들은 개선 방안으로 디자인 개발이 아닌, 설계 치수 정립을 위한 맞음새 평가 및 설문에 의존한 분포율 조사에만 그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대다수의 학생들은 교복의 기존 형태를 변형하여 슬림하게 착용하는데, 이는 ‘디자인’을 우선순위에 두게 되면서 더불어 중요시했던 ‘활동성’의 불편함을 오히려 자초한 모순된 해소 방법을 취한 것이 되었다. 즉 학생들의 니즈는 ‘디자인’이 먼저인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맞음새를 위한 치수 체계 개발보다는, ‘활동성’과 ‘디자인’을 모두 만족시키는 교복 디자인 개발을 통하여 만족도를 높이는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학생들의 니즈에 부합하는 교복은 첫째, 슬림한 형태를 갖춘 동시에 ‘활동성’을 높이는 것인데, 본 연구자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환편 니트 소재를 선택하였다. 둘째는 실 착용자인 학생들의 취향을 고려한 ‘디자인’을 적용하는 것으로 현시대의 패션 키워드인 유스 컬처 트렌드를 반영하고자 한다. 활동성, 통기성, 보온성 등 니트의 특성을 반영한 환편 니트 소재 적용과 유스 패션 트렌드인 복고, 펑크, 캐주얼, 스포티 요소를 반영한 교복 디자인은 차별화되고 만족도 높은 패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연구자는 앞의 분석 과정을 토대로 환편 니트 소재를 활용한 유스 세대 교복 디자인을 개발하여 교복 제품에 다양한 창조적 변화를 모색하고 학생들의 자긍심과 만족감, 활동성과 경제성을 충족시키는 교복 디자인의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교복 디자인 제작 모형은 여전히 직물만으로 제작되고 있으며, 정복으로서 그 형태가 획일화된 셔츠와 블라우스, 베스트, 카디건, 재킷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하의에 비해 다각적 표현이 자유로운 상의로 아이템을 제한하였다. 남ㆍ여 총 12장의 개발 제품은 모두 F/W 동복 품목으로 셔츠 2장, 블라우스 2장, 베스트 2장, 카디건 2장 그리고 재킷 4장으로 총 12장으로 제작한다. 모든 아이템은 환편 니트 소재가 100% 적용되었다. 이번 연구에 생활복, 운동복은 이미 니트 소재로 제작이 되고 있는 아이템으로 연구 대상에서 배제하였으며, 개발 품목에 불포함된 하의류는 소재 발굴 및 개발 불충분, 디자인의 다양성 제시 부족 등의 사유로 제외되었으며 앞으로 적용 범위를 넓혀 나가야 할 것이다.

2. 디자인 개발 및 제작

기존 교복에 적용되고 있는 셔츠, 블라우스, 재킷의 소재는 착용 시 불편함을 가장 많이 느끼는 아이템으로 거의 대부분 직물로 제작되고 있다. 교복 브랜드들은 일반적으로 셔츠, 블라우스는 스트레치 면 혼방, 재킷은 스트레치 울 혼방을 사용하고 있으며 고신축성의 기능성 원단의 우수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착용자인 학생들은 슬림한 스타일을 위해 적합 치수보다 작은 사이즈를 착용하거나 줄여 입는 과정을 거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이는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직물사용의 한계를 드러나게 한다. 니트 소재는 이러한 부분에서 적합한 소재로 제시될 수 있다. 같은 치수의 제품을 직물에서 니트로 소재만 바꾸어 제작하여도 유연한 소재감으로 신체와 제품 사이의 시각적, 체감적 오차 범위를 줄일 수 있으며, 꼭 맞는 사이즈를 적용해도 직물과는 비교될 수 없는 신축성으로 ‘활동성’에 만족감을 높일 수 있다.

니트는 유스 세대의 패션 트렌드인 90년대 레트로의 스트리트 감성에 적합한 소재이다. 유연성 및 신축성과 더불어 회복력이 우수한 니트는 실제 기능성 스포츠 웨어 소재로 적용되고 있으며 부담없는 소재감으로 편안한 캐주얼 룩을 완성할 수 있다. 니트 소재는 본연의 자연적이고 친숙한 아날로그적 감성으로 90년대 무드를 표현하기에 충분하여 학생들의 니즈를 충족하는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구김이 잘 생기지 않기 때문에 매일 입고 자주 세탁해야 하는 교복의 다림질 등의 손질 관리가 직물에 비하여 용이하고, 보온성 및 통기성의 특징으로 하복, 동복, 춘추복의 사계절, 다품목의 교복 제품 생산이 가능하다.

환편 니트 소재를 사용한 유스 세대 교복 디자인은 기존 교복에서 직물이 극복하기 어려운 ‘활동성’과 ‘디자인’ 부분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디자인의 컨템포러리 감성을 적극적으로 부여하여 획일화된 직물 소재 교복과 차별화되면서 새롭게 제시될 수 있다. 또한 환편 니트는 원형식 편직기로 생산된 후, 직물과 같은 원단으로 완성되어 기존 교복 제작 방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기 때문에 교복에 환편 니트 소재를 적용하는 것은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교복 디자인에 활용되는 환편 니트 소재의 적합성은 국가공인 시험검사기관인 한국섬유소재 연구원 코티티(KOTITI)에서 정한 항목과 기준 수치를 중심으로 하였으며, 기능성 및 고품질 니트소재 개발을 위한 소재 인증 확보 단계로 볼 수 있다. 시험 테스트는 혼용률, 세탁 견뢰도, 마찰 견뢰도, 일광 견뢰도, 드라이클리닝 견뢰도, 물 견뢰도, 치수 변화율, 형태 안정성, 필링으로 그 항목이 설정되었으며, 필요에 따라 항암가발의 안정성 분석을 위한 친환경 원단 인증 기준인 아릴아민, PH, 포름알데히드 등의 항목이 추가될 수 있다. 제작에 사용된 환편 니트 소재 견본은 모두 기준 수치를 넘은 것으로 최종 A등급으로 인증된 것을 사용하였다. 이는 소재의 적합성을 보다 구체적인 기준으로 제시한 것이며, 니트의 단점인 런(Run), 컬 업(Curl up), 필링(Piling) 현상의 품질 불량을 방지하고 개발 향상을 촉진하기 위함이다. 니트 소재의 물성 시험 항목 및 적합성 기준 수치의 표를 정리하였다.<Table 3>

<Table 3> 
Test of material properties of knit and Standard Suitability
Test of material properties of knit and Standard Suitability
Test items ShirtsㆍTop VestㆍCardigan Jacket
outer outer outer outer
composition(%) Display standard (span)P75% R25% Wool 60%
Poly 40%
(Waste)W60% P40% Poly100%
(nomal)P65% R35% (loom)W80% N20% 
proportional within ±5 within ±5 within ±5 within ±5
Wash fastness(grade) Fading color Level 4 or higher Level 4 or higher Level 4 or higher Level 3 or higher
pollution Level 4 or higher Level 4 or higher Level 3 or higher Level 3 or higher
Friction fastness(grade) dry Level 4 or higher Level 3 or higher
wet Level 3 or higher
Daylight fastness(grade) Level 4 or higher
Dry cleaning Fastness (grade) fading color Level 4 or higher Level 4 or higher Level 3 or higher
pollution Level 4 or higher Level 4 or higher
Water fastness(grade) fading color Level 4 or higher Level 4 or higher Level 4 higher
pollution Level 3 or higher Level 3 or higher Level 3 higher
Dimensional change ratio (%) length within ±3% within ±3% within ±3% within ±3%
width within ±3% within ±3% within ±3% within ±3%
Form Stability(%) Oblique within ±3% within ±2% within ±3%
Weft within ±3% within ±3% within ±3%
Peeling(grade) Level 4 or higher Level 4 or higher Level 4 or higher

앞에서 분석한 유스 세대가 선호하는 패션 트렌드의 특징은 90년대 무드의 복고적 요소, 펑크적 요소, 그리고 캐주얼 요소와 스포티 요소로 나타났다. 이러한 특징은 낯 섬과 익숙함이 절충된 개성 강한 데일리 코드의 ‘스트리트 패션’으로 부상하여 유스 컬처를 대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스 패션 트렌드의 특징 중, 복고적 요소와 캐주얼 요소를 적극 반영하여 기존 교복과 차별화된 콘셉트로 스트리트 패션을 강조한 교복 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의 개발 품목이 정복에 해당하는 동복의 셔츠, 블라우스, 베스트, 카디건, 재킷으로 한정되었기 때문에 펑크적 요소와 스포티 요소는 교복의 단체성, 군집성의 조화를 고려하여 소극적으로 반영되었다. 하복, 춘추복, 생활복, 운동복 등 시즌 제품과 품목의 영역을 넓혀 후속 연구에서 지속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제품1~제품6, 제품7~제품12는 각각 세트 착장이 가능한 동복 제품으로 셔츠 또는 블라우스, 베스트 또는 카디건, 재킷으로 구성되며 남ㆍ여 세트로 제작하였다. 제품1, 제품2는 기존 직물로만 제작되던 셔츠, 블라우스를 니트로 제작하여 착용감과 활동성을 높였을 뿐 아니라, 세탁 후 다림질의 번거로움을 줄여 관리의 편리성을 더했다. 신체를 따라 유연하게 안착되어 편안한 착용감의 여유 있는 핏과 니트 본연의 소재 감성은 복고적 요소가 적용된 것이며, 일반적인 정복 셔츠, 블라우스의 형태를 탈피한 캐주얼한 형태로 제작하였다.<Table 4> 제품3, 제품4의 베스트는 부드러운 짜임의 편물 소재로 보온성과 활동성을 높였다. 일반적으로 보편화된 V 네크의 교복 베스트를 유스 패션의 복고적 요소를 반영하여 클래식 감성의 버튼 오픈 형 베스트로 디자인하였다. 버튼 오픈형 베스트가 기존에 없는 형태는 아니지만, 대부분 직물로 제작되기 때문에 정복 형태를 탈피한 니트 소재의 베스트는 캐주얼한 디자인으로 재킷안에 함께 착용했을 때도 부담이 없다.<Table 5> 제품5, 제품6은 고밀도 짜임으로 내구성을 높인 재킷이다. 유스 패션의 펑크 감성을 적용하여 장식용 더블 버튼, 엣지 파이핑으로 메탈릭한 디테일을 사용하여 복고적 요소를 반영하였다. 획일화된 테일러 재킷의 형식을 벗어나 밴드 타입의 칼라와 라펠로 라이더 스타일로 캐주얼하게 표현하였다.<Table 6>

<Table 4> 
Design 1, Design 2


<Table 5> 
Design 3, Design 4


<Table 6> 
Design 5, Design 6


제품7, 제품8의 셔츠, 블라우스는 제품1, 제품2와 마찬가지로 신체적 촉감이 부드러운 니트를 사용하였고, 타탄체크 패턴을 배색하여 클래식한 감성으로 복고적 요소를 나타냈다. 칼라와 버튼 여밈 단의 배색은 타이를 대신할 수 있는 디자인으로 편안함은 물론 소지, 보관의 불편함도 해소할 수 있는 요소로 실용적이고 캐주얼한 셔츠와 블라우스를 제작하였다.<Table 7> 제품9, 제품10의 카디건은 헤링본 자카르 조직으로 제작하여 기존의 획일화된 카디건 스타일에 유스 패션의 클래식 감성을 더하여 복고적인 스타일로 변화를 주었다. 목선에서 이어지는 여밈 부분과 소맷단, 밑단을 니트 립으로 배색하여 캐주얼 요소를 적용하였다.<Table 8> 제품11, 제품12의 재킷 역시 니트 헤링본 패턴의 자카르 소재를 사용하고 소매에 엘보패치를 부착하여 복고적 요소를 가미하였다. 기존 교복의 획일화된 테일러 재킷을 봄버 스타일로 바꾸고 여밈과 포켓에 지퍼가 부착된 점퍼 스타일로 변화를 주어 유스 패션의 캐주얼 요소를 반영한 교복 재킷을 디자인하였다.<Table 9> 12제품을 세트 구성으로 코디하여 착장하면 남, 여 총 4착장으로 완성된다.<Fig. 17><Fig. 18>

<Table 7> 
Design 7, Design 8


<Table 8> 
Design 9, Design 10


<Table 9> 
Design 11, Design 12



<Fig. 17> 
Look 1 2016-17 F/W


<Fig. 18> 
Look 2 2016-17 F/W

교복 디자인 개발 연구는 복고적 요소와 캐주얼 요소를 강조하고, 클래식과 펑크 감성을 더하여 개성 있는 스트리트 패션 스타일로 완성하고자 하였다. 하교 후 일상에서도 만족도 높은 교복으로서 활용되기를 바란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환편 니트 소재를 활용한 유스 세대교복 디자인 개발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니트와 교복의 개념 및 특징과 산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현시대에 유스 컬처의 중심에 있는 패션 브랜드를 분석하였다. 유스 패션 트렌드의 특징이 복고적, 펑크적, 캐주얼, 스포티 요소로 도출되었으며, 클래식과 펑크 감성을 더한 복고적 요소와 캐주얼 요소를 적극 반영하여 스트리트 패션 스타일로 교복 제품을 디자인 개발하였다. 교복 개발제품은 남ㆍ여 총 12제품으로 모든 아이템은 100% 환편 니트 소재를 사용하였다.

교복 디자인 개발 연구는 한국섬유소재 연구원 코티티(KOTITI)의 구체적인 기준을 도태로 테스트 검증을 거친 인증된 니트 소재의 사용이 가능하며, 기존의 획일화된 교복에 현시대 유스 패션의 트렌디한 감성 요소를 디자인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이 고찰되었다. 또한 니트의 물리적 특성 중 하나인 유연성은 신체의 활동을 보완함과 동시에 의복에 숨겨진 신체의 선을 따라 자연스러운 실루엣을 완성하는데, 착용자의 몸 선을 따라 편안하게 안착되는 니트의 이와 같은 특성은 신체와 제품 사이의 시각적, 체험적 오차 범위를 유연하게 대처하여 다수 착용자의 다양한 체형과 취향 사이즈에 융통될 수 있는 소재로 사료된다.

교복은 기능성과 경제성의 고려를 우선으로 하여 심미성을 소홀히 하는 경향이 있는데, 유스 세대 청소년들은 어느 시기보다 의복과 신체적 외모에 관심이 지대하므로, 가장 많은 시간 동안 착용하는 교복은 청소년의 미적 요구와 개성을 살릴 수 있어야 하며 단체복으로서 아름다움을 줄 수 있도록 디자인되어야 한다. 디지털 라이프 세대의 청소년들은 현시대의 트렌드와 유스 세대의 패션의식을 반영한 감각적이고 세련된 교복 디자인을 원하고 있다.

환편 니트 소재를 활용한 유스 세대 교복 디자인 연구는 트렌디한 교복을 제작하여 부가가치 창출을 높이는 디자인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로 니트 소재를 활용한 교복 디자인이 교복 시장 및 교복 생산 업체의 개발 영역을 확대하고, 유스 세대의 기대 심리와 표현 추구 성향에 부응하는 디자인으로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는 데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References
1. Choi, H. J., (2012), A study on the actual wearing conditions and preferred designs of school uniforms for high school gir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2(4), p207-217.
2. Choo, S. H., & Yoon, H. J., & Ahn, J. S., (2014), A study on the fashion attitudes of adolescents and the parents of adolescents : developing achool uniforms and fashion item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Industry, 16(2), p228-234.
3. Chung, E. S., (2007), A study on design of girls’ school uniform since 1996,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7(6), p17-31, school uniform in girl’s high school,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6(4), p177-188.
4. Harlow, E., (1979), The art of knitting, Tokyo, Japan, Vogue-japan Publications.
5. Hong, M. H., & Choi, K. M., (2009), Knit design, Seoul, Republic of Korea, Kyung-Chun Publications.
6. Ivyclub, (n.d.), Retrieved from http://www.ivyclub.co.kr/2017N/page/index.php.
7. Jung, D. K., 2006, February, 15, History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 uniform from uniformity and symbolic to fashion code, The Kukmin Ilbo, Retrieved from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5&ai d=0000235321.
8. Jung, H. W., 2016, November, 25, Street brand, W Korea, Retrieved from http://www.wkorea.com/2016/11/25/%EA%B1%B0%EB%A6.
9. Kang, H. W., (1995),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Seoul, Republic of Korea, Kyo-Mun Publications.
10. Kim, M. U., 2016, March, 2, Elite Ivyclub etc school uniform top4 brands occupy 72%, News 1 korea, Retrieved from http://news1.kr/articles/?2589701.
11. Kim, S. Y., (2016), An analysis of Vetements fashion collections and its internal meaning - focusing on fashion collections from 2014 F/W to 2016 F/W,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2(3), p67-80.
12. Korean Apparel Industry Association, (2010), 2010/2011 Korean fashion brand yearbook, Seoul, Republic of Korea, Apparel-News Publications.
13. Kwon, C. R., & Kim, D. E., (2016), A study on student’s satisfaction with and perceived fit of high school girl’s uniform designs,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Association, 24(4), p399-416.
14. Lee, J. M., (2007), Study on comparison of actual status and satisfaction of school uniform wearing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15. Moon, B. H., 2016, September, 27, This autumn youth culture trend has been strong, Fashion Seoul dot com, Retrieved from http://www.fashionseoul.com/123408.
16. Moon, B. H., 2017, July, 2, Next year’s fashion market 43.6 trillion won up 3.5% from a year ago, Fashion Seoul dot com, Retrieved from http://www.fashionseoul.com/126667.
17. Myelite, (n.d.-a), Retrieved from http://www.myelite.co.kr/el_style/girl.asp.
18. Myelite, (n.d.-b), Retrieved from http://www.myelite.co.kr/el_style/boy.asp.
19. Nam, J. H., 2016, May, 27, 2016 S/S Collection fashion trend, Allure Korea, Retrieved from http://www.allurekorea.com/2016/05/25/%ec%9e%90.
20. Oh, J. Y., (2010), A Study on the One-Piece Dress Pattern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Stretch Rate of Circular Knitted Fabric,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okpo Nation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21. Palaceskateboard, (n.d.-a), Retrieved from https://www.palaceskateboards.com/lookbook/adidas-palace-summer-2016/.
22. Palaceskateboard, (n.d.-b), Retrieved from https://www.palaceskateboards.com/lookbook/spring-2016/.
23. Ryu, M. N., (2010), Satisfaction with school uniforms and comparison of the preference for the partial liberaliz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24. Skoolooks, (n.d.-a), Retrieved from http://www.skoolooks.com/style/sf9.asp.
25. Skoolooks, (n.d.-b), Retrieved from http://www.skoolooks.com/style/twice.asp.
26. Smartzzang, (n.d.), Retrieved from http://smartzzang.com/17S/boyGirl/lookBook.
27. Song, J. W., (2009), Study for Knit Wear Design Using Weft-Kintted Jacquard,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Republic of Korea.
28. Statistics Korea, (2008), 2007 National Mining industry statistical research report, Deajoen, Republic of Korea, Statistics-Korea Publications.
29. Supremenewyork, (n.d.-a), Retrieved from http://www.supremenewyork.com/lookbook/18.
30. Supremenewyork, (n.d.-b), Retrieved from http://www.supremenewyork.com/lookbook/22.
31. Vogue, (n.d.-a), Retrieved from http://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6-ready-to-wear/vetements#collection.
32. Vogue, (n.d.-b), Retrieved from http://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7-menswear/vetements#collection.
33. Vogue, (n.d.-c), Retrieved from http://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6-menswear/saint-laurent#collection.
34. Vogue, (n.d.-d), Retrieved from http://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7-ready-to-wear/saint-laurent#collection.
35. Yang, E. J., & Jeong, S. J., (2013), A study on the uniform preference and demands for uniform improvement of the girl’s high schoo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9(3), p425-4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