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Archives | About JKSC | Guidelines for Auhors | JSKC Regulations |
Sorry.
You are not permitted to access the full text of articles.
If you have any questions about permissions,
please contact the Society.
죄송합니다.
회원님은 논문 이용 권한이 없습니다.
권한 관련 문의는 학회로 부탁 드립니다.
[ Article ] |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ol. 71, No. 3, pp. 76-91 | |
ISSN: 1229-6880 (Print) 2287-7827 (Online) | |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21 | |
Received 26 Apr 2021 Revised 08 Jun 2021 Accepted 14 Jun 2021 | |
DOI: https://doi.org/10.7233/jksc.2021.71.3.076 | |
HI(Hospital identity)요소 활용 치유적 환자복 디자인 개발 : 경희대학교병원 환자복을 중심으로 | |
감선주 ; 유영선⁺
| |
경희대학교 의상학과 강사 | |
⁺경희대학교 의상학과 교수 | |
The Development of a Healing Patient Clothing Design Using HI Elements : Focused on Patient Clothing at Kyung Hee University Medical Center | |
Seonju Kam ; Youngsun Yoo⁺
| |
Lecturer,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Kyung Hee University | |
⁺Professor,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Kyung Hee Univerisity | |
Correspondence to : Youngsun Yoo, e-mail: ysyoo@khu.ac.kr |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patient clothing design that not only reflects the hospital identity, but also considers therapeutic aspects that could enhance patient's psychological stability and convenience. The research method included case analysis and the development of a design for patient clothing that reflected the hospital ident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by analyzing existing cases of patient clothing design that reflect hospitals’ identity, it was evident that many patient clothes were directly patterned using elements of hospital identity. For example, there were many vertical lines or parallel arrangement patterns that emphasized hospital identities. In some cases, pattern designs were developed by extracting some elements of the hospital identity that related to the vision or mission of the affiliated medical institution, or by combining motifs that reflected healing aspects. However, due to the specificity of patient clothing design, there were few differentiated shape designs. Second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ase analysis, the patient clothing design was developed as follows. Among elements of the hospital identity, the healing aspect was illustrated through a nature image motif. Various sizes of motifs were arranged all-over to convey vitality. The motifs were arranged freely but followed eight directions at intervals of 45 degrees to create a sense of stability. The spaces between the motifs were arranged at leisurely intervals to create a sense of comfort. The shape was made to reduce potential patient anxiety about exposure and to ensure their comfort. The color was selected by considering the healing aspect. Through this study, it has been determined that even if a hospital identity, – which has been used as a service design for a medical institution - was introduced into patient clothing, the patient clothing can provide comfort to a patient when combined with the healing aspect.
Keywords: healing design, HI, patient clothing 키워드: 치유디자인, 병원 아이덴티티, 환자복 |
오늘날 기업화된 병원조직에서는 환자복의 디자인에 HI를 도입하여 다른 의료 기관과의 차별화된 조직 이미지를 시도하고 있다. Elrod & Fortenberry (2018)는 HI를 나타내는 요소들의 브랜딩으로 고객과 공감할 수 있는 디자인 이미지를 제시하여, 의료 서비스 제공에 성공할 수 있다고 하였다. Vollmers, Miller, & Kilic, (2010)은 조직의 로고와 아이콘 같은 HI는 기관 이미지를 포지셔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서비스를 쉽게 일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차별화가 어려운 의료 산업의 조직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고 하였다.
개인 병실과 공동 공간에 관련된 인테리어 디자인과 가구, 장식품, 빛, 색상, 풍경과 소리. 의료진의 유니폼 등 감각 자극과 관련된 간단하고 일관된 물리적 환경은 기억에 남는 경험을 만들어 조직에서 서비스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Steinke, 2015). 환자복은 환자의 치료 편의와 심리적 안정을 도와 치유를 돕는 기능을 가지면서 의료기관의 브랜드 정체성을 나타내고 환자들에게 다른 경쟁병원과의 차별화된 이미지를 표현하게 하여 잠재적으로 환자의 만족과 재방문에 관련한 충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환자복은 병원의 고객이 되는 환자들이 직접적으로 착용하게 되면서 병원과 소비자의 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치유는 인간적으로서의 환자에게 초점이 맞추어진 것으로 환자복은 환자의 감성과 신체를 배려하여 치료 환경에 편안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디자인이 되어야 한다. 치유적 측면이 고려된 환자복은 환자의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부정적인 감정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심리적·생리적으로 편안함, 쾌적함, 안정감 등을 이끌어내어 환자의 회복을 돕는 역할까지 할 수 있다.
환자복에 관련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주로 환자복의 설계와 관리에 관련된 것이 많았으며 환자복 디자인의 경우는 문양에 관한 것들이었다. Lee, Lee, & Seong(2006)은 사용자 선호도 조사를 통하여 대학병원의 환자복 디자인 개발 사례를 연구하였고, Chang & Hwang(2010)은 상용화되고 있는 환자복 직물 디자인에 대한 만족도와 선호 디자인의 설문조사를 하였다. Chung & Lee (2010)는 병·의원의 의료 서비스와 환자복에 대한 소비자 만족을 조사 연구하였고, Lee & Kim (2011)은 요양원 고령 환자복 개발을 위한 실태조사를 하였다. Kim & Chung(2012)은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어린이병원 환자복 개발 연구를 진행하였고, Kwon & Yim(2019)은 국내 상급종합병원의 환자복 문양 디자인 현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병원 서비스로서의 환자복 디자인의 HI 반영 방법과 치유 측면을 고려하고 실질적인 환자복 디자인을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화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환자 서비스를 위한 브랜드 이미지를 반영함과 동시에 환자의 심리적 안정과 편의를 도모하는 치유적 측면을 고려한 환자복 디자인을 개발하는 데 있다.
연구의 방법은 HI 반영 환자복에 관한 사례 분석과 디자인 개발로 이루어졌다. 사례의 수집은 위키백과(https://ko.wikipedia.org/)에서 언급한 우리나라 42개 대학병원을 키워드로 온라인 이미지 검색을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HI요소를 활용하여 환자복이 디자인된 전국 8개 대학병원(가천대학교, 고려대학교,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중앙대학교, 전남대학교, 충북대학교, 한림대학교) 환자복 사례들이 채택되었다. 연구 절차는 먼저, 환자복 사례의 HI 요소 활용 요소와 치유적 측면을 분석한 후 이를 기반으로 경희대학교 환자복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환자복 전문 디자이너 Feodoroff는 환자 스스로가 좋아 보인다고 느낄 때 더 빨리 나아질 것이라는 연구 결과를 언급하면서 환자복은 신체 노출이 되지 않는 범위에서 치료 편의를 도울 수 있는 디자인이 되어야 하며, 소재는 편안함을 고려한 부드러운 극세사로 만들어진 것이 좋으며, 약물에 의한 오염을 잘 견뎌야 한다고 하였다. 추가 기능으로 약봉지나 귀중품을 보관할 수 있는 내부 포켓과 손을 따뜻하게 유지하는 기능의 슬래쉬 포켓이 필요하다고 하였다(Greenberg, 2005). 즉, 환자의 치유를 배려한 심미적 요소와 기능성이 같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Lee et al.(2006)은 환자복의 특성에는 기능성, 심미성, 관리성, 상징성이 고려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기능성, 심미성, 관리성은 환자복이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되는 필수 요건으로 체온조절, 세균 방어 및 신체활동을 돕는 기능성과 환자가 안락감을 느낄 수 있는 소재의 사용, 심리적 안정을 도울 수 있는 디자인, 고온세탁이나 약품에 의해 변질이나 변형되지 않는 내구성이 이에 포함된다. 특히 환자의 심리적 안정은 치유적 측면에서 환자의 편안함과 관련되는 요소로 선행연구에서 지속하여 언급해왔다. 환자복의 낡은 외관은 환자의 자존감에 영향(Topo & Iltanen-Tähkävuori, 2010)을 주었으며 의도하지 않은 신체 부위가 노출되면서 불쾌함을 겪는다고 하였다(Karro, Dent, & Farish, 2005). 치료진과 환자 사이에서의 불필요한 노출은 상대적인 지위 하락을 경험하게 하고, 사생활을 보장받지 못했다는 수치심으로 연결되었다고 하였다(Nayeri & Aghajani, 2010). 환자복의 상징성은 입원 의료기관의 소속감을 표현하는 요소를 의미하였으나 의료기관 브랜드 가치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병원 서비스를 나타내는 방식이 이에 포함되었다. 병원의 물리적 환경디자인 품질은 환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다른 사람에게 해당 병원을 추천하려는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측면에서 환자복은 HI가 적용된 다른 물리적 환경과 함께 환자의 치료 편의를 돕고 환자의 심신을 편안하게 함으로서 치유를 도울 수 있다.
HI는 병원 브랜드의 핵심 가치와 차별화를 위한 상징 등을 통합적으로 시각화하여 소비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새로운 의료장비와 진보적 치료기술만으로는 차별화가 어려운 병원의 브랜드 이미지를 효과적인 나타낼 수 있다(Lee & Chung, 2019). HI에는 건강과 생명에 대한 가치, 신뢰성, 병원 문화와 상징성이 담긴 브랜드 정체성을 표현해야 하며 휴머니티, 따뜻함이라는 이미지와 최신 기술을 반영한 첨단성 등이 반영되어야 한다(Kim & An, 2010). HI는 병원의 정체성과 철학을 반영한 기본 콘셉트를 기반으로 하는 심벌마크(symbol mark), 로고(logo), 시그니처(signature), 컬러 시스템(color system) 등으로 구성된다(Yim & Kim, 2017). 이러한 HI의 구성요소는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하여 유니폼, 편집, 웹사이트, 광고, 패키지, 환경사인, 차량, 뉴미디어 등 다양한 매체에 적용된다(Kim, Chu, Lee, & Park, 2017). 이러한 매체에 통일된 HI가 적용되어 타 병원과의 차별화된 포인트로 병원의 브랜드이미지를 효과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병원의 경영 이념과 비전을 시각적으로 형상화한 로고나 심벌마크 등은 병원 브랜드 이미지로 형성되어 병원을 찾은 환자들에게 시각적 통일성과 편안함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신뢰감을 얻을 수 있다(Lee & Chung, 2019). 특히 환자복은 HI의 구성요소가 응용되어 소비자가 병원 서비스를 직접 체감하는 접점이 되며, 심화된 병원간의 경쟁에서 내방한 병원의 서비스 만족감을 고취하여 병원의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HI가 디자인으로 적용된 환자복을 착용한 환자들은 병원에 대한 소속감으로 치유과정의 안정감을 획득할 수 있고 의료진에 게는 환자복의 상징성으로 환자에 대한 치료에 집중해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HI의 구성요소인 심벌마크(symbol mark)는 병원의 대표적인 이미지를 시각화하여 병원의 정체성을 상징화시킨 것으로, 컬러 및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하게 표현한다(Lee & Chung, 2019). 동식물의 자연물을 형상화하거나, 기하학적이거나 유기적 형태의 인공적인 형상화 또는 글자를 형상화하기도 하고 글자나 그림을 결합하여 심벌마크로 형상화하였다(Chu & Lee, 2012). 로고는 일반적으로 국문과 영문으로 디자인되며 폰트 형태, 비례, 굵기, 글자의 간격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것으로 임의 변경이 불가능하다. 시그니처는 심벌마크와 로고의 조합 형태이며, 사용 용도와 적용 상황에 따라 적절한 조합 형태를 선택하여 적용한다. 이외에도 색채 시스템, 코퍼레이션 패턴 등이 HI 요소로 활용된다(Yim & Kim, 2017). 이러한 HI 구성 요소들은 병원의 마케팅 전략을 통하여 무형의 서비스로 활용된다. 로고나 심벌마크 등 핵심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요소는 핵심 디자인 요소가 동일하게 유지되면서 스타일 변경만 으로도 소비자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하였다. 로고를 기울이는 것과 같은 스타일 조작이 움직임에 대한 인식을 추가하여 소비자의 시각적 참여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Sharma & Varki, 2018).
환자의 치유는 발전된 의료기기와 첨단 의학 기술에 따른 치료뿐만 아니라 병원의 물리적 환경에 의한 환자의 심리적 편안함을 위한 서비스 제공으로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의료 환경은 개인의 내적 힘을 강화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시각적으로 쾌적한 치료 환경은 수술 후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Topo & Iltanen-Tähkävuori, 2010). 일부의 의료 경영진은 치료 및 돌보는 수단으로서의 치유 개념을 환자의 심리적 및 신체적 요구 사항 해결, 직원 스트레스 감소, 환자 및 제공자(의료진)의 만족도향상과 관련 있다고 생각한다(Stichler, 2008).
요소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Kim(2011)은 치유환경으로 환자의 심신 안정과 긍정적인 요소로 의료진의 신뢰도, 병원 서비스 수준 향상, 공간 내의 자연요소 도입, 전시회나 연주회를 통한예술적 경험 참여를 제안하였다. Kim, Jeong, Shin, & Im(2009)은 사람들은 자연환경을 찾아 스트레스 및 피로를 해소하려고 하며 자연경관이 인간의 심리적이며 육체적인 부분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어 치유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 Yang & Yang(2018)은 병원환경에 설치된 예술 작품이 장식의 의미를 넘어서, 환자 치유에 영향을 주며 특히 자연이미지를 영감으로 한 예술 조형물들은 간접적으로 환자들에게 자연환경을 체험하는 기회를 주어 쾌적하고 안정적이며 긍정적인 사고로의 전환에 기여한다고 하였다. Lee(2017)는 치유적 색상 계획이 적용된 의료시설 디자인은 쾌적하고 안전한 이미지 제공과 환자들의 심리적, 감성적 치유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수술실은 그린(green), 블루(blue) 컬러로 제안하고, 치과 공간은 기분을 상승시키는 그린(green)과 화이트(white), 복도 공간은 쾌감 호르몬을 분비시키는 옐로(yellow)와 진정과 안정의 효과를 주는 블루(blue), 그린(green) 컬러를 적절히 사용하여 환자들에게 우울증 예방과 회복 기능의 도움을 제안하였다.
Park(2018)은 불교와 도(道) 사상의 가르침을 통해 인간이 고통에서 벗어나 자기 치유와 힐링에 도달하는 법에 관해 이야기하였다. 도가의 경전에서 주체성을 회복하고 내면 깊은 곳의 감정을 깨닫는 것을 강조하는데, 도는 노자의 무위(無爲), 불교의 공(空)이라고 하며, 감정의 통찰을 통해 지금 느끼고 있는 감정들을 그대로 직시하고 자기 본래의 모습을 찾아가는 과정이 치유라고 하였다.
이상으로 볼 때, 환자복 디자인에 고려하여야 할 치유적 측면은 환자의 안정감과 편안함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하며 자연환경 요소의 접촉과 환자의 심리적 편안함을 줄 수 있는 감성 요소의 경험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1>은 선행연구 내용에서 치유요소를 요약 정리한 것이다.
Researcher | Contents | Healing factors |
---|---|---|
Kim (2011) | The introduction of nature images in the medical environment and art experiences through appreciation of exhibitions or concert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atient's mental and physical stability. | art experience nature experience |
Kim, Jeong, Shin, & Im(2009) | The nature scenery has a positive effect on human mind and body recovery and has a healing effect. |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 in nature |
Yang & Yang(2018) | the indirect experience in nature through art sculptures inspired by nature images has a positive healing effect | art experiment nature experiment |
Lee(2017) | the medical environment design of the healing color plan provides comfort and safety to patients with a mental and physical healing effect | color therapy |
Park(2018) | self-healing through religion and meditation | relaxation |
본 연구에서는 앞장의 이론적 연구를 토대로 HI 요소를 반영하여 디자인된 전국 8개 대학병원의 환자복 디자인의 사례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방법은 먼저 환자복 사례 HI 관련 요소인 심벌마크, 로고, 시그니처를 수집하였다. 환자복의 사례는 인터넷의 관련대학병원의 기사 또는 홍보 사진과 동영상의 캡처를 통해 수집되었다. 분석에 선정된 사례들은 HI 요소를 활용한 환자복 사례들로 하였으며, HI 요소와 비교 논의를 가능하게 하고 개인 사생활이 드러나지 않도록 사진의 일부분을 편집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수집된 사례들이 해상도나 출처를 밝히기 어려운 경우 연구자가 직접 그린 그림으로 대체하였다. 사례들은 패션디자인 전공자 5인의 전문가 집단에 의해 선정이 이루어졌다. 절차는 먼저 8개 대학병원 환자복 사례들의 HI 요소 표현 방법을 분석한 후,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한 치유적 측면을 알아보았다. HI 요소 표현 방법에 따른 환자복의 분류는 HI의 심벌, 로고 그리고 시그니처를 직접적으로 활용한 경우, HI 요소를 부분적으로 활용하여 표현한 경우 그리고 HI 대체 상징물 또는 이미지 도입 병원 정체성을 표현한 경우로 분류하였다.
HI 요소를 직접적으로 활용하여 패턴디자인으로 사용한 경우가 대학병원 환자복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 <Fig. 1>은 중앙대학교 병원 HI 요소 중 심볼 마크이다. 중앙대학교의 비전은 다정, 긍정, 열정으로 환자 중심의 최상의 의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십자가 형상 안쪽의 레드스퀘어는 미래를 향한 중앙대학교 의료원의 사회 환원을 통환 신뢰와 사랑을 의미하고 있다(Chung-Ang University Hospital [CAUH], n.d.-a). 심벌마크는 영문 이니셜인 ‘CAU’ 문자와 십자가 형상을 겹쳐 놓은 디자인으로 구상되었다.
중앙대학교 병원 환자복 디자인은 고유의 심벌 마크를 수직 방향으로 뉘어서 배열하여 문양화한 것으로 병원의 아이덴티티를 표현하였다<Fig. 2>. 이 병원의 환자복은 수직으로 배열된 문양으로 스트라이프의 선으로 시선이 유도되어 현대적 이미지를 나타내었고, 흰색 바탕에 일정간격으로 흩어진 심벌마크의 모티프의 간격은 부드러운 느낌과 편안함을 나타냈다. 환자복의 네크라인은 진한 청색의 바이어스로 처리되어 오염을 줄이고자 한 것으로 보이며 세탁 관리를 고려한 것이다.
<Fig. 3>은 한림대 병원의 심벌마크이다. 한림대 병원의 심벌마크는 한비정신을 형상화한 것으로 뭇 새들의 위를 날면서 넓게 세상을 보는 상상의 새 모습을 나타낸다. 새의 모습으로 형상화된 이니셜 HL은 한림대의 뛰어난 인재를 상징하며 새가 날아가는 유려한 모습으로 변형된 형상은 세계와 미래를 지향하는 한림대의 진취적 이미지를 표현한다. 색상은 Pink(성실과 따뜻한 사람의 상징 의미)와 Gray(정확하고 과학적 진단을 상징)를 사용하였다(Hallym Univ. Medical Center [HUMC], n.d.-a). 한림대학교 병원 환자복의 패턴디자인은 새가 나는 모양으로 형상화된 이니셜로 된 심벌마크와 영문 서체의 이니셜을 조합한 모티프를 수직 길이 방향으로 반복 배열하였다<Fig. 4>. 뚜렷한 모티프의 사이에는 심벌마크를 모티프와 같은 방향으로 희미하게 배열함으로써 부드러운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치유 특성 중 새의 형상을 활용한 자연이미지를 표현하였고 희미한 색상으로 모티프의 형상을 표현하여 시각적인편안함을 나타내고 있다.
HI 요소 부분적 도입 경우는 HI 요소 중 부분을 도입한 경우이다. <Fig. 5>는 충북대학교 병원 HI 요소 중 하나인 심볼마크이다. 충북대학교 병원의 미션은 사랑의 교육, 창의적 연구, 감동의 진료로 건강한 삶을 선도하는 것이다(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CBNUH], n.d.-a). HI의 심벌마크에는 충북대학교 병원의 이니셜인 C와 B를 역동적으로 디자인하여, 도약하는 병원의 진취적인 이미지와 사랑으로 환자를 보살피는 임직원의 마음을 보여주며, 청색과 녹색을 활용하여 건강과 생명을 소중히 하고 고객에게 한 발자국 더 다가가는 병원의 마음을 담았다고 하였다(CBNUH, n.d.-b).
충북대학교 병원의 환자복은 HI의 심벌마크를 활용한 것으로 B를 마치 하트 표시의 캐릭터를 연상하도록 디자인하여 병원의 미션을 이미지로 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Fig. 6>. 부드럽게 겹쳐 놓은 세 개의 각이 살아있지 않은 스퀘어와 함께 심벌마크를 45도 경사 각도를 주어 문양을 반복적으로 배열함으로써 경직되지 않고 편안한 느낌의 문양 디자인을 나타냈다.
<Fig. 7>은 전남대학교 병원의 HI 요소인 로고이다. 전남대학교 병원 엠블럼의 형태는 꽃을 모티브로 하여 상단의 꽃을 중심으로 안쪽에 십자 마크를 넣어 배치하였으며, 하단은 두 손을 모아 생명존중과 봉사정신을 담고 있다. 외형을 감싸고 있는 원형의 로고타이프는 안정된 환경, 편리한 의료 서비스로 글로벌 마케팅 환경에 대응하며 종합병원으로서 비전과 미래지향적인 사원들의 일체감을 담고 있다(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CNUH], n.d.-a). 전남대학교의 환자복은 심벌마크의 일부분인 십자 마크를 넣어 배치한 꽃 모양과 시그니처를 수직적으로 배열 문양화 한 것이다<Fig. 8>. 봉사정신을 상징하는 십자가를 꽃모양으로 배치하여 자연물에서 느끼는 사람들의 편안한 감정을 배려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 환자복의 문양으로 가장 많이 나타나는 배열 방식이 스트라이프와 사방 연속 배열이나 이것은 자유로운 해방감으로 편안함을 표현하는 치유 특성을 배려하는 데는 충분치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HI 대체 상징물 또는 이미지 도입은 병원의 차별화된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하여 소속 대학 UI의 상징물을 도입하거나 병원 미션과 비전을 담은 상징 요소들을 응용한 경우이다. 사례는 다음과 같다. 고려대학교 의료원의 HI는 환자 중심의 진료는 물론 연구와 교육 혁신, 사회적 가치 실현을 통해 미래의학을 선도하는 세계 초일류 의료기관으로의 도약을 상징한다(Korea University Medicine [KUMC], n.d.).
<Fig. 9>는 고려대학교 병원의 심벌마크이다. 환자복의 패턴디자인은 고려대학 상징물인 호랑이의 얼굴을 희화하여 대학 로고와 조합하였다<Fig. 10>. 동그라미 형태의 문양과 학교 이니셜로 조합된 ‘KUMC’의 로고 크기에 차이를 두었고 또 하나의 배열을 사선으로 하여 생동감을 살렸다. 색상은 흰색 바탕에 여성용은 분홍색과 회색을 남성용은 분홍색 대신 고려대학교 보조 상징색인 샴페인 골드색과 회색을 조합하였다(Lee et al., 2006). 병원 상징물인 호랑이 이미지를 희화하여 편안한 이미지로 캐릭터화하고, 앰블럼의 딱딱한 둥근 외곽 라인을 생략하였으며, 색상도 부드러운 느낌의 분홍색과 샴페인골드색을 사용함으로써 시각적인 편안함을 유도하여 환자의 치유적 측면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Fig. 11>은 가천대 길병원의 심벌마크이다. 가천대 길병원은 최상의 진료와 첨단 연구로 신뢰와 존경받는 21세기 최고의 고객 만족병원을 이룩한다는 것이 비전이며(Gachon University Gil Medica Center [GIMS], n.d.), HI의 로고는 '길'을 뜻하는 'G'와 가천길재단의 설립이념인 '박애, 봉사, 애국'을 의미하는 바람개비를 형상화하였고 바람개비에 각각의 색깔을 입혀 설립이념을 더욱 강조했다. 색상은 은은하고 도도하게 끊임없이 흐르는 큰 강물을 의미하는 색으로 표현했다(Park, 2012).
가천대 길병원의 환자복은 이니셜인 ‘G’형상의 끝에 있는 꽃을 연상시키는 바람개비 형상과 작은 꽃모티프를 규칙적으로 사방교차 배열하여 문양화한 것이다<Fig. 12>. 선행연구에서 사람들은 자연 속에서 편안함을 느끼고 자연경관이 인간의 심신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어 치유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Kim et al., 2009). 규칙적인 문양 배열 사이에 자연스럽게 배치된 병원의 시그니처는 여유로운 간격을 유지하여 편안한 시각으로 유도하고 치유 특성이 배려된 것으로 보인다.
<Fig. 13>은 연세대학교 병원의 HI 요소 중 하나인 로고이다.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병원은 창립 정신인 하나님의 사랑을 실천하며, 첨단 진료 분야의 집중 육성으로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고 끊임없는 교육과 연구로 의학기술 선도와 첨단 의료서비스 제공을 통한 고객 만족을 실현으로 인간 사랑의 실천을 미션으로 하고 있다(Severance Hospital, n.d.-a). 세브란스 병원은 연세대학교의 UI의 로고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환자복 HI의 한글과 영문, 로고타이프를 함께 사용하고 있으며, 병원 미션을 담은 십자가 이미지로 디자인된 심벌을 함께 사용하여 프린트로 디자인되었다. 모티프들은 수평으로 배열하여 시각적인 안정감을 유도하였다<Fig. 14>.
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의 미션은 사랑의 기독교 정신으로 인류를 질병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며 비전은 무한 가치를 창출하는 상생의 헬스케어 시스템이다(Ewha Womans University Medical Center, Vision[EUMC], n,d.-a). <Fig. 15>는 이화여자대학교 병원의 휘장과 워드마크이다. 휘장은 이화다움과 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의 정통성을 전달하는 매개체로 이화의 상징인 '배꽃'을 바탕으로 표현했다 병원의 워드마크는 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의 영문 약칭인 EUMC를 유연하고 현대적인 이미지로 표현한 것으로 EUMC를 심플하게 강조하면서 'M'을 바이오리듬, 유전자 구조를 상징할 수 있는 띠로 표현하고 환자들의 건강한 생활 리듬을 만드는 병원 기능을 상징화했다(EUMC, n.d.-b).
환자복 디자인은 워드 마크의 상징적 리듬과 관련된 것으로 보이며, 낙서처럼 보이는 무의식 라인드로잉 패턴이 활용되었다<Fig. 16>. 낙서는 시각적으로 정신적 해방감을 유도할 수 있으며 자유감을 느끼는 치유적 요소와 관련된다 할 수 있다. 환자에게 시각적 자유감을 주는 패턴디자인과 HI의 휘장으로 소속감을 나타냈으며 병원을 상징하는 그린계열 색상을 패턴디자인에 도입하였다.
다음 <Table 2>는 8개 대학병원 환자복의 디자인 방법으로 사용된 HI 요소와 치유적 표현 분석결과를 표로 정리한 것이다. 8개 대학병원의 환자복 디자인 분석결과 HI 요소의 표현방법은 다음과 같다.
University | Patient clothing | HI elements | HI expression | Healing design | |
---|---|---|---|---|---|
HI direct application | Chung Ang | symbol mark | relaxed feeling with symbol mark motif spacing | ||
Hallym | a logo that combines the symbol mark and English initials | comfortable feeling using the natural image of the bird in the symbol mark | |||
HI partial application | Chungbuk | hospital mission expression using the symbol mark's heart mark | comfortable feeling with repeated arrangement of the soft image motifin the diagonal direction | ||
Chonnam | combination of partial symbol mark and signature | comfortable feeling using the natural image of the flower in the symbol mark | |||
HI replacement | Korea | logos and symbols of affiliated organizations | relaxed feeling with cartoon character of the tiger,the symbol of the affiliated organization | ||
Gachon | harmonize logo and the pinwheel shape that means the mission | comfortable feeling with regular pattern arrangement and loose spacing | |||
Yonsei | logotypes on the UI and images that signify the hospital mission | stability with the meaning of the cross image and the horizontally arranged motifs | |||
Ewha | symbol mark and colors on HI | freedom with pattern design using unconscious line drawings |
첫째, 심벌마크나 서체, 시그니처의 직접적으로 사용한 경우, HI 요소를 부분적으로 도입하거나 관련 없는 요소를 조합한 경우, 소속 대학 UI의 상징물을 도입하거나 병원 미션과 비전을 담은 싱징 요소들을 응용한 경우로 나타났다.
둘째, 환자복의 패턴디자인에서 자연물 모티프 사용, 문양의 배열, 문양 모티프의 방향성, 모티프와 여백 간의 간격, 그리고 시각적으로 편안한 색계열이 치유 효과가 발현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자연이미지, 안정감, 심미성, 여유로운 감성과 같은 치유감성의 특성과도 관련된 것이다. 자연 이미지의 치유 특성은 생명력 있는 꽃이나 잎사귀와 같은 자연물 모티프를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색채 사용의 경우는 많은 대학이 흰색 바탕색과 시각적으로 부드러운 색채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경희대학교 환자복 디자인 개발에 활용되었다.
<Table 3>은 현재의 환자복디자인을 진행하기전 선행 환자복에 관한 관리자의 의견을 조사 정리한 것이다.
Previous patient clothing | Patient clothing manager opinion in a pre-interview |
---|---|
<Fig. 17> Photo taken by this researcher |
• In the previous patient clothing, magnolia, a Kyunghee University hospital HI element, was introduced as a pattern design motif. • A colored background and thick cotton material were used to consider the patients' anxiety about exposure. • In a pre-interview with the patient clothing manager, the green color background had sanitary problems and inconvenience of not being able to respond quickly to treatment due to inconspicuous contamination. Users reported that they were dissatisfied with the aesthetics. |
디자인 개발은 대학병원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HI 요소활용과 환자의 치유적 측면을 함께 고려하여 진행하였다.
패턴 디자인의 모티프로 의료기관 캐릭터 마크와 시그니처의 글자체를 조합 사용하였고 색상은 후마니타스 병원 캐릭터 마크색상 중 선행연구에서 치유색상으로 언급한 그린과 블루계열을 선택하여 사용하였다. <Fig. 17>은 디자인에 참조된 HI 요소들이다.
경희대학교 UI의 상징인 목련 꽃을 상징화한캐릭터 마크와 색상을 치유적 측면에서 패턴디자인에 도입하였다.
패턴디자인의 모티프 성격과 배열방식은 치유적 측면과 관련되는 것으로 확인하였고 본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치유적 패턴디자인 방법을 진행하였다.
첫째, 선행연구에서 자연을 관찰함으로써 스트레스가 감소하거나 치유에 도움이 되는 긍정적인 감정이 유도된다는 점을 참조하여 생명력을 상징하는 식물 이미지 모티프로 경희대학교 캐릭터 마크인 목련꽃을 선정하였다. 둘째, 패턴디자인의 문양배열은 정서적 안정감은 친숙함과 편안한 디자인의 제공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는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하였고, 전체적인 배열(all-over)은 편안함을 주어 안정된 것처럼 보이는 반면, 길이나 병렬로 모티프가 반복 배치된 방향성 있는 배열은 권위적이고 지배적인 심리학적 효과를 가지고 있다는 선행이론을 참조하여 전체적인 배열로 진행하였다. 셋째, 모티프의 방향성은 45도 경사각도와 간격의 8개 방향의 방향성으로 생동감을 표현하고 자 하였으며 디자인에서의 여백은 환자들에게 여유로운 감성을 자극하여 편안한 마음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문양모티프간의 간격을 조절하였다. 넷째, 목련과 경희대학교 시그니처가 조합된 모티프의 크기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배열함으로써 개방감과 자유로운 느낌을 배려하였다. 다섯째, 색상은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병원의 로고 색상 중 치유의 색으로 심리적 안정에 관련되는 블루계열과 그린 계열의 색상을 채택하였다. 바탕색은 흰색으로 하여 오염이 쉽게 눈에 띄게하여 위생관리를 용이하게 하였다.
환자복의 형태는 선행된 환자복 디자인에서 많이 나타났고 이전 경희대학교 환자복 형태의 상하의를 기본형으로 디자인하였다. 선행연구에서 환자복 심리적 안정을 방해하는 노출에 관한 불안감을 감소하기 위하여 선행 환자복보다 네크라인 깊이를 1.5cm 감소시켰고(Table 3참조), 단추 사이의 노출을 고려하여 앞여밈의 겹침 분량을 이전의 환자복보다 넓혔다. 소매 암홀 부분은 치유적 측면의 환자 안정감과 편안함을 배려하기 위하여 한복의 평면적인 패턴을 도입하여 편안함을 주었다.
위의 디자인 방향을 고려하여 본 연구자는 먼저 패턴디자인을 개발하였고 환자복 디자인 샘플을 제작하였다. 결과는 <Table 4>로 정리하였다.
pattern design | sample | ||||||||||||||
---|---|---|---|---|---|---|---|---|---|---|---|---|---|---|---|
detailed specifications | material | CVC (60% cotton, 40% polyester) | |||||||||||||
standard size (unit: cm) | top | length | shoulder width | bust circumference | sleeve length | sleeve width | sleeve end circumference | neck width | neck depth | ||||||
70 | 52 | 120 | 56 | 44.5 | 42 | 39 | 12 | ||||||||
pants | length | waist circumference (string) | hip circumference | hem circumference | front rise | back rise | |||||||||
106.5 | 110 (70) | 116 | 47 | 36 | 38.5 |
본 연구에서는 의료기관의 HI 디자인 요소들을 활용하여 디자인한 환자복이 환자에게 심리적 편안함을 유도하는 치유적 측면이 고려된 디자인이 될 수 있도록 사례연구를 진행하였고 도출된 결과를 근거로 경희대학교 환자복 디자인 개발을 진행하였다.
먼저 대학병원 HI를 활용한 선행 환자복 디자인 사례들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많은 대학병원들에서는 HI 요소를 직접적으로 활용하여 패턴디자인으로 활용하고 있었고, 병원 표식이 우선적으로 다루어지면서 수직선이나 사방연속의 문양들이 많았다. 또한 대학병원의 비전이나 미션을 표현할 수 있는 HI 요소 중 일부를 발췌하여 디자인을 전개하거나, 치유적 측면을 고려한 것으로 보이는 모티프를 함께 사용하였으며, 패턴디자인을 개발 환자복 디자인으로 전개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다만 환자복 디자인의 특수성으로 차별화된 환자복 형태 디자인은 찾아보기 어려웠고, 지속적으로 선행연구들에서 언급하고 있는 환자들의 심리적 안정을 배려한 디자인을 찾기 어렵다는 점이 아쉬운 대목이었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HI 요소를 활용하여 조직으로서의 대학병원의 정체성을 내포하고 환자의 치유적 측면을 배려하는 환자복 디자인 개발을 시도하였다. 먼저, 경희대학교 HI 요소 중 자연이미지인 목련 캐릭터 마크를 모티프로 활용하여 자연의 간접경험에서 오는 치유적 측면을 고려하였다. 이전의 환자복의 경우에서도 목련 모티프를 사용하였으나 사방반복 배열에 의해 권위적 이미지를 준 것을 탈피하여 다양한 크기의 모티프를 자유롭게 전방 배열하여 생동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고, 45도 각도의 방향성으로 모티프를 배열하여 안정감을 느낄 수 있게 하였으며, 모티프 간의 여유로운 간격 배치로 선행연구의 치유이론인 여유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환자복의 형태는 노출에 관한 불안감을 줄일 수 있도록 네크라인 깊이감소와 앞여밈의 겹침 분량을 넓혀 단추 사이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려하였다. 소매 암홀 부분은 환자 활동의 안락함을 배려하기 위하여 한복의 평면적인 패턴을 도입하였다. 또한 경희대학교 HI 요소에도 포함된 치유색인 그린과 블루 계열색을 사용하여 패턴디자인을 전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의료기관의 서비스 디자인으로 활용하는 HI가 반영된다 하더라도 치유적 디자인 표현 요소들의 적절한 사용은 충분히 환자의 안정감과 편안함으로 인식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한점은 환자의 노출의 불안을 지적한 연구들과 환자복 또는 패턴의 디자인 선호도에 관련한 선행연구들은 다수 있으나 치유적 측면을 다루고 그 결과를 디자인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연구들은 부족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환자복의 치유적 측면을 다루고자 하였다는 점에서는 연구의의가 있으나 사용자의 입장에서 환자복의 치유적 디자인 효과를 다룬 후속 연구가 있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로 환자복 디자인이 의료기관의 브랜드 이미지 구축 함께 환자 치유 중심의 의료 서비스의 질을 제고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1. | Chang, S. R. & Hwang, C. S. (2010). An analysis of consumer's satisfaction and preference toward the textiles design for the uniform of hospitalized patients.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3(3), 153-167. |
2. |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CNUN]. (n.d.-a). HI. Retrieved from https://www.cnuh.com/sub.cs?m=59 |
3. |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CNUN]. (n.d.-b). Retrieved from https://www.cnuh.com/sites/cnuh/images/content/img_hi02.jpg |
4. | Chu, H. Y. & Lee, H. J. (2012). Periodical characteristics of shape and color in Korean corporate symbol mark.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25(3), 184-197. |
5. | Chung, I. H. & Lee, Y. J. (2010). Consumer satisfaction with medical services and hospital patient gow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3), 401-410. |
6. | Chung-Ang University Hospital [CAUH]. (n.d-a). Mission·Vision. Retrieved from https://ch.cauhs.or.kr/about/mission.asp?cat_no=06020000 |
7. | Chung-Ang University Hospital [CAUH]. (n.d-b). Hospital HI. Retrieved from https://ch.cauhs.or.kr/about/hi.asp?cat_no=06060400 |
8. |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CBNUH]. (n.d.-a). Mission. Retrieved from https://www.cbnuh.or.kr/about/introduce05.jsp |
9. |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CBNUH]. (n.d.-b). HI introduction. Retrieved from https://www.cbnuh.or.kr/about/introduce07.jsp |
10. |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CBNUH]. (n.d.-c). Retrieved from https://www.cbnuh.or.kr/img/sub01/sub0106_img1_1.gif |
11. | Elrod, J. K. & Fortenberry, J. L. (2018). Driving brand equity in health services organizations: the need for an expanded view of branding.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18(3), 23-28. |
12. | Ewha Womans University Medical Center [EUMC]. (2017, Jun, 1).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visit and inpatient life information. Youtube. Retrieved from https://youtu.be/tMNJaI_oAFg |
13. | Ewha Womans University Medical Center [EUMC]. (n.d.-a). Mission and Vison. Retrieved from https://www.eumc.ac.kr/intro/vision.do |
14. | Ewha Womans University Medical Center [EUMC]. (n.d.-b). HI. Retrieved from https://www.eumc.ac.kr/intro/hi.do |
15. | Ewha Womans University Medical Center[EUMC]. (n.d.-c). Retrieved from https://www.eumc.ac.kr/asset/img/hos/img_hos04_02_02.jpg |
16. | Gachon University Gil Medical Center[GIMS]. (n.d.). Vision. Retrieved from https://www.gilhospital.com/web/www/mission-vision1 |
17. | Greenberg, J. (2005). SPIRITED SISTERS HEAL WITH FASHION. WWD, 190(127), 8. |
18. | Hallym University Medical Center[HUMC]. (n.d.-a). HI. Retrieved from https://www.hallym.or.kr/hallymuniv_sub.asp?left_menu=left_about&screen=ptp117_3_1 |
19. | Hallym University Medical Center[HUMC]. (n.d.-b). Retrieved from https://www.hallym.or.kr/img/img_ptp117_3_01.png |
20. | Karro, J., Dent, A. W., & Farish, S. (2005). Patient perceptions of privacy infringements in an emergency department. Emergency Medicine Australasia, 17(2), 117-123. |
21. | Khanews. (n.d.-a). Retrieved from http://www.khanews.com/news/photo/201505/111104_31879_2641.jpg |
22. | Khanews. (n.d.-b). Retrieved from http://www.khanews.com/news/photo/201203/79687_12331_3845.jpg |
23. | Kim, I. K. & Chung, S. H. (2012). Development of patient gown for children applying universal design: Focused on the public design improvement project of Seoul.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and Costume Design Association, 14(1), 161-174. |
24. | Kim, J., Jeong, Y., Shin, Y., & Im, S. (2009). A study of the restorative quality of landscape: Focused on the Seoul Asan medical center roof garden. Journal of the Korea Landscape Council, 1(1), 60-73. |
25. | Kim, J. A. (2011). A study on natural element application method for creating healing environment in hospital's interior spac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20(5), 245-253. |
26. | Kim, S., Chu, H., Lee, H., & Park, K. (2017). Symbol mark on hospital identity: Focused on plastic surgery. Journal Korea Society of Visual Design Forum, 55, 97-106. |
27. | Kim, S. H. & An, S. L. (2010). A study on the medical communication and brand logo design.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27, 39-48. |
28. | Korea University Medicine [KUMC]. (2017, February, 28). Guide video for inpatients: We hope the patient recovers quickly. Youtube. Retrieved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VNZ8pFqyij8 |
29. | Korea University Medicine [KUMC]. (n.d.). HI. Retrieved from http://www.kumc.or.kr/introduction/hi.do |
30. | Kwon, J. & Yim, E. (2019). Analyzing the pattern design of patient gowns of domestic general hospital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21(4), 390-400. |
31. | Lee, D. & Chung, D. (2019). A study on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the type of hospital identity for the formation of brand image for the Women's hospitals. Journal of Industrial Design Studies, 50, 129-139. |
32. | Lee, K. (2017). Colour therapeutic design plan for medical facility spac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the Spatial Design, 12(2), 19-30. |
33. | Lee, Y. J. & Kim, A. R. (2011). A case study for developing a sanatorium patient uniform for an advanced 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7(4), 462-472. |
34. | Lee, Y. Y., Lee, Y. J., & Seong, H. K. (2006).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atient clothes designs: Focused on general patient pajamas and obstetrics and Gynecology gowns of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4(12), 9-18. |
35. | Nayeri, N. D. & Aghajani, M. (2010). Patients’ privacy and satisfaction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 descriptive analytical study. Nursing ethics, 17(2), 167-177. |
36. | Park, H. (2012. March. 5). Now call me 'Gachon University Gil Hospital'. Kha news. Retrieved from http://www.kha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9687 |
37. | Park, J. H. (2018). Religion, Tao, Healing -Towards religious citizens through the restoration of identity. Studie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58), 77-93. |
38. | Sharma, N. & Varki, S. (2018). Active white space (AWS) in logo designs: Effects on logo evaluations and brand communication. Journal of Advertising, 47(3), 270-281. |
39. | Steinke, C. (2015). Assessing the physical service setting: A look at emergency departments. Health Environments Research & Design Journal, 8(2), 31-42. |
40. | Stichler, J. F. (2008). Healing by design.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38(12), 505-509. |
41. | The Medical News. (n.d.). Retrieved from https://cdn.bosa.co.kr/news/photo/202101/2141677_175166_5239.jpg |
42. | Topo, P. & Iltanen-Tähkävuori, S. (2010). Scripting patienthood with patient clothing. Social science & medicine, 70(11), 1682-1689. |
43. | Severance. (2018, January, 23). Hospital life guide. Youtube. Retrieved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Fs94hlPoWTY |
44. | Severance Hospital. (n.d.-a). Hospital overview. Retrieved from https://sev.severance.healthcare/sev/about/introduction.do |
45. | Severance Hospital. (n.d.-b). Retrieved from https://sev.severance.healthcare/sev/index.do |
46. | Vollmers, S. M., Miller, D. W., & Kilic, O. (2010). An analysis of hospital brand mark clusters. Journal of hospital marketing & public relations, 20(2), 87-99. |
47. | Yang, T. G. & Yang J. H. (2018). A study on the therapeutic roles and characteristics of sculpture art exhibited in hospital.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19(1), 341-355. |
48. | Yim, O. & Kim, J. (2017).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analysis of symbol mark design in hospital identity.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the Spatial Design, 12(6), 91-9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