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Journal Archiv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ol. 68 , No. 3

[ Articl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ol. 68, No. 3, pp. 103-117
Abbreviation: JKSC
ISSN: 1229-6880 (Print) 2287-7827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Apr 2018
Received 30 Jan 2018 Revised 03 Mar 2018 Accepted 06 Mar 2018
DOI: https://doi.org/10.7233/jksc.2018.68.3.103

남성복 컬렉션에 나타난 수트 재킷의 이미지 분석 : 실루엣에 따른 라펠의 비례를 중심으로
최선영 ; 안가영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생활과학과 전임대우 강의교수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박사과정

Image Analysis of Suit Jacket in Menswear Collection : Focusing on the Lapel’s Proportion in Silhouette
Choi, Sun Young ; Ahn, Ga Young
Fulltime Teaching Professor, Dept. of Human ecology,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Ph.D. Student, Dept. of Textiles, Merchandising and Fashion Design, Seoul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Ahn, Ga Young, e-mail: ann@snu.ac.kr


Abstract

The aesthetic apex of a menswear suit jacket occurs through the combination of collar, lapel, buttons, closure, and silhouette that make up the suit. Proportion is the principle of the relative difference between the whole and the parts, the size between the parts and the parts, the degree of the amount of difference, and the appropriate distance. The proportional aesthetics have changed over time, and men's suit jackets have been created with various proportions depending on the changing fashion trends. There are various proportional relationships in suit jackets. A typical element that changes style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lhouette and the lapel. In this study, 1,784 photographs of suit jackets from menswear collections for each season were collected from 2013F/W~2017S /S through the Vogue website (www.vogue.com), and an x2-test is performed using SPSS23.0. First, we examined various combinations of silhouettes and lapels by years and seasons. It is predicted that the transition from the pitched to the classical and the boxy silhouette will be predicted, and the width of the lapel will be more diversified. Second, we looked at the difference in lapels in the silhouettes of the single-breasted jacket and the double- breasted jacket. As a result, regarding lapel width, the regular lapel was the highest in the pitched and the classic silhouette, and in the boxy silhouette, it was narrow and regular. This study contributes not only to the design trend of the suit jacket but also to the design study that reflects the trend of the whole and the part in harmony with the tradition of the menswear suit.


Keywords: lapel, proportion, silhouette, suit jacket
키워드: 라펠, 비례, 실루엣, 수트 재킷

Ⅰ.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최근 수트 시장의 위축으로 초저가 상품을 찾는 고객이 증가하고 있는 반면 차별적 프리미엄 가치를 찾는 고객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samsung design.net, 2017). 이에 따라 다양한 소비자를 만족시킬 수 있는 남성 수트의 기획 및 개발을 위해 남성 수트의 유행 경향에 대한 체계적 분석이 필요하다.

남성의 수트는 19세기 영국에서 형태와 의복규범이 정착되어 현재까지 오랜 전통과 사회적 상징성을 유지하고 있는 의복이다(Park, 2015). 남성복 수트 재킷의 미적인 쾌감은 수트를 구성하고 있는 칼라와 라펠, 버튼, 여밈 및 실루엣의 조화를 통해 발생한다. 조화로운 디자인은 일관성(consistency)과 다양성(variety)을 동시에 충족시키며 이를 위해 통일, 강조, 균형, 비례, 리듬 등의 디자인 원리가 활용된다. 이 중에서 비례(proportion)는 전체와 부분, 부분과 부분 간의 크기, 양 정도, 거리의 상대적 차이가 적절함을 추구하는 원리이다(Son & Kwon, 2014). 이러한 비례의 미는 시대에 따라 다양한 미적 관점에 따라 변화해 왔으며 남성복 수트 재킷에서도 유행의 변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되었다.

수트 재킷에는 다양한 비례 관계가 존재하며 스타일이나 유행에 변화를 주는 대표적인 요소는 실루엣(silhouette)과 라펠(lapel)의 관계이다. 실루엣은 전체적인 의복의 형태를 말하며, 구체적으로는 의복의 어떤 부분이 맞고 어떤 부분이 헐렁하며 신체의 어느 부위가 가려지고 가려지지 않는가를 의미한다(Lee, 2012). 라펠은 코트나 재킷의 앞 몸판이 깃과 하나로 이어져 접어 젖혀진 부분을 말한다(패션전문자료사전, 1997). 실루엣의 변화는 시각적으로 가장 먼저 확인할 수 있는 수트 재킷 유행 변화의 척도이며 라펠 역시 뚜렷한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디자인 요소이다. 라펠 역시 남성 수트 재킷 트렌드의 척도라고 할 수 있는데 대개 넓으면 복고풍의, 혹은 우아하거나 매우 드레시한 느낌을 주고(‘lapel‘, 2013), 좁은 라펠의 경우 캐주얼하고 트렌디한 느낌을 준다(‘lapel‘, 2013).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5년간 남성 수트 재킷의 실루엣과 라펠의 변화를 분석해 봄으로써 수트 재킷 디자인의 유행 경향을 밝히고자 한다. 이는 최근 수트 재킷의 디자인 경향에 대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향후 남성 수트 디자인 기획 시 트렌드를 반영한 디자인의 방향 설정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 및 시즌에 따른 실루엣의 추이를 분석한다.
둘째, 연도 및 시즌에 따른 라펠폭의 변화를 분석한다.
셋째, 실루엣에 따른 라펠의 차이를 살펴보고 선호되는 실루엣과 라펠의 조합을 분석한다.

2. 연구 방법 및 범위

본 연구는 선행 연구를 따라 suit의 한글 표기를 외래어표기법에 의한 슈트가 아닌 수트로 통일하였다. 컬렉션 분석을 위해 대표적인 패션 매거진 중 하나인 보그(Vogue)의 웹사이트(www.vogue.com)를 통해 2013년 S/S부터 2017년 F/W까지 각 시즌별 Menswear 컬렉션의 수트 재킷 사진 총 1,784개를 수집하였다. 패션전문자료사전에 따르면 수트는 상의와 하의를 같은 천으로 만든 한 벌의 양복을 의미한다. 위아래가 다른 재질 및 색상으로 되어 있는 세퍼레이츠(separates)는 배제하였고 라펠의 종류는 노치트(notched, 이하 노치)와 피크드(peaked, 이하 피크)로 제한하였다. 수집된 재킷은 싱글 브레스티드(single breasted, 이하 싱글)와 더블 브레스티드(double breasted, 이하 더블)로 분류하였다. 싱글의 경우 라펠은 노치와 피크로 나누었고 더블은 대부분 피크 라펠로 구성되어 노치는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싱글은 버튼수를 1-2개와 3개 이상, 더블은 버튼수를 4x2이하와 6x3이상으로 분류하였다. 그런 다음, 실루엣은 가슴너비와 허리너비를 비교하여 허리의 옆선이 드러나면 핏티드(fitted: F), 허리부분이 신체에 여유롭게 맞을 경우 클래식(classic: C), 가슴너비와 허리너비가 거의 차이가 나지 않는 경우는 박시(boxy: B)로 판단하였다. 라펠의 종류는 가슴너비와 라펠폭의 차이에 따라 내로우(narrow N), 레귤러(regular: R), 와이드(wide: W)로 분류하였다. 분류된 자료는 연구자 2인과 1인의 전문가가 재검증하였다. 또한 각 연도 및 시즌에 따른 남성 수트 재킷의 실루엣과 라펠의 비례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SPSS 23.0을 사용하여 x2-test를 수행하였다.

최종 자료를 바탕으로 연도 및 시즌 별 남성 수트 재킷의 실루엣과 라펠의 비례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Fig. 1>~<Fig. 9>는 본 연구의 대표적 사례이다.


<Fig. 1> 
Fitted_Narrow 2013 FW Mugler (VOGUE, n.d.)


<Fig. 2> 
Fitted_Regular 2015 SS Gieves & Hawkes (VOGUE, n.d.-a)


<Fig. 3> 
Fitted_Wide 2017 FW W. V. Beirendonck (VOGUE, n.d.-b)


<Fig. 4> 
Classic_Narrow 2016 FW Tiger of Sweaden (VOGUE, n.d.-c)


<Fig. 5> 
Classic_Regular 2014 SS Brioni (VOGUE, n.d.-d)


<Fig. 6> 
Classic_Wide 2017 FW Prada (VOGUE, n.d.-e)


<Fig. 7> 
Boxy_Narrow 2014 FW Lou Dalton (VOGUE, n.d.-f)


<Fig. 8> 
Boxy_Regular 2014 SS Paul Smith (VOGUE, n.d.-g)


<Fig. 9> 
Boxy_Wide 2014 FW W. V. Beirendonck (VOGUE, n.d.-h)


Ⅱ. 이론적 배경
1. 남성 수트 관련 선행연구

남성 수트, 혹은 신사복에 관한 연구는 크게 디자인 관련 연구와 패턴 연구로 나뉜다. Chun, Hur, & Song(2001)은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에 따라 이지오더 신사복의 소비자 선호도 및 구매의사를 조사하였다. Lee, Park, & Jeong(2002)은 신사복 디자인의 감성에 관해, Park & Han(2010)은 성인 남성의 신사복에 대한 선호 디자인 및 요구 성능에 대해 연구하였고, Park(2015)은 2011년부터 2013년까지 현대 남성 수트의 디자인 요소에 나타난 트렌드 변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라펠에 관한 연구로는 칼라눕힘분에 따른 칼라 및 라펠의 특성에 관한 연구(Lee, 2011)와 테일러드 재킷 꺾임선에 따른 라펠과 윗칼라의 조화에 관한 패턴 연구(Jung & Song, 2012) 등이 있다.

남성 재킷의 패턴에 관한 연구는, Kim & Lee(2004)의 남성 재킷 패턴 설계, Kim & Jo(2006)의 남성 캐주얼 재킷 원형 개발에 관한 연구, Suh, Oh, & Chun(2006)의 남성복 재킷의 Mass Customization을 위한 패턴 제작 방법이 있다. Lee & Sim (2007)은 국내 남성복 산업의 기본원형 사용현황과 남성복 의류원형 비교에 관해 연구했고, Jeong & Kim(2009)은 근육형 남성용 재킷 패턴 설계에 대하여 연구했다. Kim, Kim, & Suh(2012)는 브랜드 존과 버튼수에 따른 남성복 슬림 핏 재킷의 사이즈와 재킷의 스타일에 따른 패턴설계방법 실태를 조사하였고, Kim & Kim(2015)은 30대 남성복 재킷 패턴 설계 시 허리선 절개분량에 관해 연구하였다.

선행연구에 따라 남성 수트 재킷에 관한 연구의 경향을 살펴보면, 디자인에 관한 연구는 주로 소비자에 초점을 맞추어 선호도와 요구 성능에 관해 이루어지다가 최근에는 수트 재킷의 디자인 디테일에 따라 트렌드를 분석하거나 디자인 디테일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연구가 나타났다. 패턴에 관한 연구는, 2000년대 중반에는 전체적인 남성 재킷 패턴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다가 점차 남성복 산업과 연관 지어 특정 소비자 및 체형, 브랜드에 따라 패턴 연구가 세분화되어 온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2000년대 중반 이후, 메트로 섹슈얼, 위버 섹슈얼 등 패션에 관심을 갖는 남성의 등장과 함께 그루밍(grooming)족, 여미(yummy)족, 노무(nomu)족 등 연령에 관계없이 트렌드에 민감하며 세련된 외모와 생활방식을 추구하는 남성이 증가함에 따라 더 다양하고 세분화된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산업계의 대응과 무관하지 않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앞으로 이러한 경향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이에 따라 재킷의 디자인 및 패턴에 관한 연구도 더욱 세분화될 필요가 있다.

트렌드 예측은 의류패션산업에서 신상품의 성공 여부와 더불어 기업 매출에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라펠과 실루엣은 남성 수트 재킷의 인상을 결정지음과 동시에 트렌드를 반영하는 대표적인 요소이다. 따라서 이에 집중하여 트렌드의 추이를 확인하고 예측하는 것은 빠르게 변화해 가는 의류산업 환경에서 유리한 위치를 선점하는데 필수적이다.

2. 남성 수트 재킷의 라펠의 비례

비례는 거리, 크기, 양, 정도 혹은 전체에 대한 부분의 상대적 관계에 기인한다. 이러한 상대적 관계는 한 부분 안에서 혹은 각각 다른 부분과의 관계에서, 또는 한 부분과 전체 디자인 사이에서, 혹은 그 디자인과 환경 사이에서 발생한다(Ellinwood, 2001). 디자인 원리에서 비례는 이러한 상대적 관계에 의해 발생되는 미, 혹은 쾌감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일정한 비례의 관계에 있을 때 미를 느낀다면 이는 균형이 잡혔다, 조화롭다 혹은 적절하다로 표현할 수 있다. 유양(柳亮)은 비례가 조화의 근본이며 부분이 전체에 미치는 합법적 관계, 즉 부분이 전체에 대해 균제를 유지함으로써 쾌감을 느끼는 상태라고 하였다. 여기에서 합법적 관계란 임의로 모인 우연의 집합체가 아니라 상호간 적절한 규칙 하에 질서정연하게 놓여 있으며 숫자로 표시할 수 있는 관계를 의미한다(Lee, Cho, & Hong, 2000).

남성 수트 재킷은 오랜 시간을 거쳐 확립된 규범에 따른 비례, 즉 전체와 부분, 부분과 부분간의 적절한 관계로 이루어진 대표적인 클래식 아이템이다. 따라서 의복 아이템 중에서도 가장 전형성(typicality)이 높은 복식 중 하나인데, 전형성이란 같은 부류의 것들 가운데 가장 일반적이고 본질적인 특성으로써 하나의 제품이 그 제품 범주의 대표성을 얼마나 나타내느냐 하는 것이다(Lee, Cho, & Hong, 2000). 동일한 범주 내에 전형성이 아주 높은 디자인은 클래식한 느낌을 주고 전형성에서 탈피한 디자인은 새롭거나 기존 제품과 차별화된 느낌을 준다. 따라서 지난 5년간 남성복 수트 재킷의 실루엣과 라펠의 트렌드 변화를 분석하기에 앞서 전형적인 라펠의 프로토타입(prototype)이 지니는 비례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프로토타입은 일반적으로 동일 범주의 중심점이거나 그 범주의 속성들이 지니고 있는 가치의 평균점이다(Lee, Cho, & Hong, 2000). 본 연구는 남성 수트 재킷에서 전형성을 지닌 라펠의 프로토 타입을 알아보기 위해 국내에서 출간된 남성복 교재 6종(Cho, 2014, Choi, 2008, Huh, Na, Lee, Kim & Jeong, 2001, Nam & Lee, 1996, Nam & Lee, 2016, Park, Uh, Jeong, Kim & Kim, 2013)과 국외에서 출간된 남성복 교재 2종(Armstrong, 2014, Knowles, 2005)의 남성복 재킷 패턴을 분석하였다.

<Table 1>은 남성 수트 재킷의 평면패턴에서 추출한 라펠의 프로토타입에 나타난 가슴의 너비 대비 라펠의 비례이다. 싱글 1, 2 버튼의 가슴 대비 라펠의 비례는 49.8%~61.3%의 범위 내에 있었고 평균값은 53.9%였다. 싱글 3 버튼의 경우 모든 패턴식에서 1, 2 버튼보다 라펠의 폭이 약간 좁았고 평균치는 49.5%로 라펠의 끝이 가슴너비의 거의 중앙에 위치하였다. 더블 버튼은 싱글 버튼보다 대체로 라펠의 폭이 약간 더 넓은 경향을 띠었다. 이에 따라 싱글의 경우 라펠이 가슴너비의 중간지점 내외(0.495~0.546)에 걸쳐지면 레귤러, 범위를 벗어나 폭이 좁은 것은 내로우, 넓은 것은 와이드로 규정하였다. 더블의 경우에는 싱글보다 레귤러의 범위를 약간 넓게 설정하여 가슴너비의 중간지점보다 약간 넓은 것을 레귤러, 좁은 것은 내로우, 넓은 것은 와이드로 판단하였다.

<Table 1> 
Proportion of lapel measured against chest width in suit jacket pattern
Pattern Nam & Lee (1996) Huh et al. (2001) Knowles (2005) Choi (2008) Park et al. (2013) Armstrong (2014) Cho (2014) Nam & Lee (2016) Mean
Style
Single x Notched 1, 2 0.575 0.535 0.501 0.497 0.545 - 0.512 0.613 0.539
Single x Notched 3 0.504 0.431 - - - 0.502 - 0.544 0.495
Double x Peaked 4x2 0.696 - - 0.545 - - - - 0.620
Double x Peaked 6x4 0.633 0.520 - 0.559 0.581 0.714 0.606 0.602


Ⅲ. 연구결과 및 고찰
1. 남성 수트 재킷의 실루엣과 라펠폭의 추이

<Fig. 10>을 통해 2013 S/S부터 2017 F/W까지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인 수트 재킷의 실루엣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다.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분석의 대상인 수트 재킷의 수가 2015 S/S 시즌을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Vogue.com의 기사에서와 같이 에슬레져 룩(athleisure look)의 유행과 베트멍(Vetements)을 중심으로 한 젊음을 추구하는(youth-centric) 패션이 트렌드를 선도해가기 때문으로 풀이된다(‘menswear trend’, 2017). 또한 남성복 스타일의 다변화와 더불어 같은 원단을 사용하여 만든 재킷, 조끼, 바지로 이루어진 전통적인 스리피스(three-piece)가 아닌 상, 하의를 자유롭게 스타일링하여 갖춰 입는 세퍼레이츠 형식의 비즈니스 캐주얼의 유행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Fig. 10> 
Trend of silhouette in men’s suit jacket

<Fig. 11>을 통해 싱글 재킷의 실루엣 변화를 살펴보면, 2015 F/W시즌까지 클래식 실루엣이 핏티드와 박시 실루엣에 비해 월등히 높은 비례를 차지하다가 최근 2년 동안 급격히 감소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핏티드 실루엣은 2년을 주기로 강세를 보이다가 2017년 F/W 시즌에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박시 실루엣은 5년간 증가와 감소가 반복되는 경향을 보이나 전체적으로는 2016년 S/S시즌까지 꾸준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Fig. 12>는 더블 재킷에서 실루엣의 변화를 보여주는데 클래식과 핏티드 실루엣은 대체로 한쪽의 비례가 증가하면 한쪽이 감소하는 부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박시 실루엣은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는 wwd.com의 리포트와 같이 최근 박시한 실루엣이 강세를 보이는 패션트렌드와도 일치하는 결과이다(‘menswear trend’. 2016).


<Fig. 11> 
Trend of silhouette in single breasted jacket


<Fig. 12> 
Trend of silhouette in double breasted jacket

<Fig. 13>은 싱글 재킷에서 노치 라펠의 폭 변화를 보여준다. 2013년 S/S시즌을 제외하고 내로우와 레귤러 라펠폭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주며 폭이 넓은 와이드 라펠의 경우에는 두 라펠폭과 상관없이 꾸준하게 비슷한 정도로 등장하였는데 최근 두 시즌 동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Fig. 14>는 싱글 재킷에서 피크 라펠의 폭 변화를 보여준다. 싱글 재킷과 피크 라펠의 조합은 노치 라펠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가 적다. 노치에서 내로우와 레귤러가 비슷한 그래프를 보인 것과 달리 피크에서는 레귤러와 와이드가 정의 상관관계를 보이며 내로우에 비해 양이 많다. 이는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전통적인 수트 디자인에서 피크라펠이 노치에 비해 가슴대비 폭을 더 넓게 구성하는 경향에 기인한 것으로 이해된다. 이에 반해 내로우는 노치에서의 와이드와 비슷한 양상을 띠며 적은 숫자이기는 하나 꾸준하게 등장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Fig. 15>는 더블 재킷에서의 피크라펠의 경향을 보여준다. 싱글 재킷의 피크 칼라와 마찬가지로 레귤러와 와이드 라펠폭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주는데 반해 피크 라펠은 부의 상관관계에 있다. 최근 들어 레귤러와 와이드 라펠폭의 비례가 증가하는 반면 내로우 라펠폭은 감소하고 있는데 이 또한 박시한 실루엣이 유행하고 있는 전체적인 패션트렌드와 관련이 있다고 판단된다.


<Fig. 13> 
Trend of notched lapel in single breasted jacket


<Fig. 14> 
Trend of peaked lapel in single breasted jacket


<Fig. 15> 
Trend of peaked lapel in double breasted jacket

본 연구는 수트 재킷의 실루엣과 라펠이 가장 적절한 조화를 이루는 비례의 관계를 클래식 실루엣과 레귤러 라펠의 조합으로 간주한다. 이에서 벗어난 디자인은 전통적인 비례를 벗어난 디자인으로 해석한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싱글 브레스티드 재킷의 실루엣과 라펠의 조합을 살펴보면 핏티드-내로우 라펠의 조합이 전체 1334건 중 482건으로 가장 높은 비율인 36%에 해당하였고 클래식-레귤러 라펠의 조합(362건: 27%), 핏티드-내로우의 조합(326건: 24%) 순이었다<Table 2>. 이를 통해 지난 5년간 싱글 재킷은 슬림한 실루엣과 함께 전통적인 비례의 라펠폭보다 좁은 경우를 더 선호해 온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전히 클래식한 라펠의 비율도 선호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able 2> 
Changes in the proportion of silhouette and lapel of men's single breasted jacket over the year and season N(%)
Lapel shape Number
of
buttons
Silhouette Lapel width 13 13 14 14 15 15 16 16 17 17 Total x2
SS FW SS FW SS FW SS FW SS FW
Notched 1, 2 Fitted Narrow 8
(4.1)
4
(1.9)
23
(11.7)
5
(4.5)
5
(3.0)
5
(6.0)
17
(13.4)
17
(15.6)
19
(25.0)
8
(13.3)
111
(8.3)
45.326***
(.000)
df=18
Regular 22
(11.3)
16
(7.7)
19
(9.7)
7
(6.3)
4
(2.4)
4
(4.8)
5
(3.9)
7
(6.4)
6
(7.9)
5
(8.3)
95
(7.1)
Wide 1
(0.5)
1
(0.5)
1
(0.5)
1
(0.9)
3
(1.8)
1
(1.2)
1
(0.8)
1
(0.9)
0
(0.0)
1
(1.7)
11
(0.8)
Classic Narrow 40
(20.5)
42
(20.3)
33
(16.8)
23
(20.7)
20
(11.8)
14
(16.7)
8
(6.3)
3
(2.8)
6
(7.9)
6
(10.0)
195
(14.6)
46.005***
(.000)
df=18
Regular 52
(26.7)
33
(15.9)
40
(20.4)
19
(17.1)
30
(17.8)
16
(19.0)
10
(7.9)
15
(13.8)
5
(6.6)
2
(3.3)
222
(16.6)
Wide 3
(1.5)
3
(1.4)
3
(1.5)
5
(4.5)
11
(6.5)
3
(3.6)
4
(3.1)
0
(0.0)
0
(0.0)
4
(6.7)
36
(2.7)
Boxy Narrow 2
(1.0)
1
(0.5)
3
(1.5)
8
(7.2)
12
(7.1)
7
(8.3)
2
(1.6)
12
(11.0)
2
(2.6)
6
(10.0)
55
(4.1)
48.242***
(.000)
df=18
Regular 2
(1.0)
3
(1.4)
5
(2.6)
0
(0.0)
3
(1.8)
4
(4.8)
12
(9.4)
9
(8.3)
5
(6.6)
4
(6.7)
47
(3.5)
Wide 0
(0.0)
4
(1.9)
0
(0.0)
0
(0.0)
0
(0.0)
4
(4.8)
8
(6.3)
1
(0.9)
3
(3.9)
1
(1.7)
21
(1.6)
over 3 Fitted Narrow 1
(0.5)
11
(5.3)
9
(4.6)
1
(0.9)
6
(3.6)
2
(2.4)
7
(5.5)
1
(0.9)
1
(1.3)
8
(13.3)
47
(3.5)
58.733***
(.000)
df=18
Regular 0
(0.0)
3
(1.4)
1
(0.5)
4
(3.6)
1
(0.6)
1
(1.2)
1
(0.8)
6
(5.5)
0
(0.0)
0
(0.0)
17
(1.3)
Wide 1
(0.5)
0
(0.0)
0
(0.0)
0
(0.0)
0
(0.0)
0
(0.0)
0
(0.0)
0
(0.0)
0
(0.0)
0
(0.0)
1
(0.1)
Classic Narrow 11
(5.6)
6
(2.9)
7
(3.6)
7
(6.3)
2
(1.2)
5
(6.0)
0
(0.0)
2
(1.8)
1
(1.3)
1
(1.7)
42
(3.1)
9.110
(.427)
df=9
Regular 8
(4.1)
3
(1.4)
5
(2.6)
4
(3.6)
8
(4.7)
3
(3.6)
1
(0.8)
1
(0.9)
0
(0.0)
0
(0.0)
33
(2.5)
Wide 0
(0.0)
0
(0.0)
0
(0.0)
0
(0.0)
0
(0.0)
0
(0.0)
0
(0.0)
0
(0.0)
0
(0.0)
0
(0.0)
0
(0.0)
Boxy Narrow 0
(0.0)
0
(0.0)
1
(0.5)
2
(1.8)
1
(0.6)
0
(0.0)
13
(10.2)
6
(5.5)
4
(5.3)
2
(3.3)
29
(2.2)
11.018
(.685)
df=14
Regular 0
(0.0)
0
(0.0)
1
(0.5)
1
(0.9)
1
(0.6)
2
(2.4)
9
(7.1)
1
(0.9)
3
(3.9)
1
(1.7)
19
(1.4)
Wide 0
(0.0)
0
(0.0)
0
(0.0)
0
(0.0)
0
(0.0)
0
(0.0)
1
(0.8)
0
(0.0)
0
(0.0)
1
(1.7)
2
(0.1)
Peaked 1, 2 Fitted Narrow 5
(2.6)
0
(0.0)
0
(0.0)
1
(0.9)
0
(0.0)
3
(3.6)
6
(4.7)
2
(1.8)
9
(11.8)
0
(0.0)
26
(1.9)
52.186***
(.000)
df=16
Regular 15
(7.7)
2
(1.0)
20
(10.2)
7
(6.3)
0
(0.0)
1
(1.2)
3
(2.4)
12
(11.0)
6
(7.9)
0
(0.0)
66
(4.9)
Wide 4
(2.1)
0
(0.0)
5
(2.6)
2
(1.8)
0
(0.0)
1
(1.2)
2
(1.6)
1
(0.9)
1
(1.3)
4
(6.7)
20
(1.5)
Classic Narrow 4
(2.1)
1
(0.5)
8
(4.1)
0
(0.0)
0
(0.0)
3
(3.6)
2
(1.6)
4
(3.7)
1
(1.3)
2
(3.3)
25
(1.9)
34.259*
(.12)
df=18
Regular 12
(6.2)
5
(2.4)
9
(4.6)
14
(12.6)
6
(3.6)
3
(3.6)
5
(3.9)
3
(2.8)
2
(2.6)
2
(3.3)
61
(4.6)
Wide 3
(1.5)
0
(0.0)
0
(0.0)
0
(0.0)
3
(1.8)
0
(0.0)
0
(0.0)
0
(0.0)
0
(0.0)
0
(0.0)
6
(0.4)
Boxy Narrow 0
(0.0)
0
(0.0)
0
(0.0)
0
(0.0)
3
(1.8)
1
(1.2)
2
(1.6)
3
(2.8)
0
(0.0)
0(0.0) 9
(0.7)
18.296
(.107)
df=12
Regular 0
(0.0)
2
(1.0)
0
(0.0)
0
(0.0)
1
(0.6)
0
(0.0)
4
(3.1)
1
(0.9)
0
(0.0)
1(1.7) 9(0.7)
Wide 0
(0.0)
0
(0.0)
0
(0.0)
0
(0.0)
1
(0.6)
0
(0.0)
0
(0.0)
0
(0.0)
1
(1.3)
0(0.0) 2
(0.1)
over 3 Fitted Narrow 0
(0.0)
1
(0.5)
0
(0.0)
0
(0.0)
1
(0.6)
0
(0.0)
1
(0.8)
0
(0.0)
0
(0.0)
0(0.0) 3
(0.2)
17.537
(.063)
df=10
Regular 0
(0.0)
15
(7.2)
2
(1.0)
0
(0.0)
4
(2.4)
0
(0.0)
0
(0.0)
0
(0.0)
0
(0.0)
0(0.0) 21
(1.6)
Wide 1
(0.5)
9
(4.3)
0
(0.0)
0
(0.0)
2
(1.2)
0
(0.0)
0
(0.0)
1
(0.9)
0
(0.0)
0(0.0) 13
(1.0)
Classic Narrow 0
(0.0)
9
(4.3)
0
(0.0)
0
(0.0)
6
(3.6)
0
(0.0)
1
(0.8)
0
(0.0)
1
(1.3)
1(1.7) 18
(1.3)
11.519
(.174)
df=8
Regular 0
(0.0)
21
(10.1)
0
(0.0)
0
(0.0)
25
(14.8)
0
(0.0)
0
(0.0)
0
(0.0)
0
(0.0)
0(0.0) 46
(3.4)
Wide 0
(0.0)
8
(3.9)
0
(0.0)
0
(0.0)
7
(4.1)
0
(0.0)
0
(0.0)
0
(0.0)
0
(0.0)
0(0.0) 15
(1.1)
Boxy Narrow 0
(0.0)
0
(0.0)
0
(0.0)
0
(0.0)
0
(0.0)
1
(1.2)
1
(0.8)
0
(0.0)
0
(0.0)
0(0.0) 2
(0.1)
14.437
(.071)
df=8
Regular 0
(0.0)
3
(1.4)
1
(0.5)
0
(0.0)
0
(0.0)
0
(0.0)
1
(0.8)
0
(0.0)
0
(0.0)
0(0.0) 5
(0.4)
Wide 0
(0.0)
1
(0.5)
0
(0.0)
0
(0.0)
3
(1.8)
0
(0.0)
0
(0.0)
0
(0.0)
0
(0.0)
0(0.0) 4
(0.3)
Sum 196
(100.0)
207
(100.0)
196
(100.0)
111
(100.0)
169
(100.0)
84
(100.0)
127
(100.0)
109
(100.0)
76
(100.0)
60
(100.0)
1334
(100.0)
1038.145***
(.000)
df=306
***p<.001
**p<.01
*p<.05

더블 브레스티드 재킷을 살펴보면 전체 450건 중, 4x2 버튼에서는 클래식-레귤러가 57건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박시-와이드를 제외하고 나머지 종류는 비교적 고르게 나타났다. 6x3 버튼에서는 핏티드-레귤러의 조합이 77건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클래식-레귤러, 핏티드-내로우 순으로 나타났다<Table 3>. 이 결과는 더블 재킷이 싱글 재킷보다 비교적 전통적인 라펠의 비례를 고수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것은 더블 재킷의 경우 깊이 여며지는 구조와 더불어 버튼이 차지하는 면적이 넓으므로 전체적인 조화를 고려했을 때 라펠폭의 결정이 싱글보다 자유롭지 않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Table 3> 
Changes in the proportion of silhouette and lapel of men's double breasted jacket over the year and season N(%)
Lapel shape Number
of
buttons
Silhouette Lapel width 13 13 14 14 15 15 16 16 17 17 Total x2
SS FW SS FW SS FW SS FW SS FW
Peaked 4×2 Fitted Narrow 0
(0.0)
0
(0.0)
3
(7.3)
1
(2.6)
0
(0.0)
0
(0.0)
4
(8.9)
0
(0.0)
4
(9.5)
5
(11.9)
17
(1.9)
53.743***
(.000)
df=18
Regular 1
(1.2)
4
(13.8)
5
(12.2)
4
(10.5)
1
(2.9)
1
(2.7)
1
(2.2)
0
(0.0)
1
(2.4)
2
(4.8)
20
(2.20)
Wide 7
(8.5)
2
(6.9)
0
(0.0)
0
(0.0)
0
(0.0)
0
(0.0)
0
(0.0)
5
(8.5)
0
(0.0)
1
(2.4)
15
(1.7)
Classic Narrow 3
(3.7)
3
(10.3)
2
(4.9)
0
(0.0)
4
(11.4)
0
(0.0)
1
(2.2)
1
(1.7)
1
(2.4)
0
(0.0)
15
(1.7)
31.485*
(.025)
df=18
Regular 6
(7.3)
14
(48.3)
3
(7.3)
5
(13.2)
22
(62.9)
0
(0.0)
2
(4.4)
4
(6.8)
0
(0.0)
1
(2.4)
57
(6.3)
Wide 5
(6.1)
2
(6.9)
0
(0.0)
0
(0.0)
2
(5.7)
1
(2.7)
0
(0.0)
0
(0.0)
0
(0.0)
2
(4.8)
12
(1.3)
Boxy Narrow 0
(0.0)
1
(3.4)
0
(0.0)
0
(0.0)
1
(2.9)
6
(16.2)
0
(0.0)
1
(1.7)
4
(9.5)
1
(2.4)
14
(1.6)
32.083**
(.010)
df=16
Regular 1
(1.2)
3
(10.3)
0
(0.0)
0
(0.0)
0
(0.0)
0
(0.0)
2
(4.4)
1
(1.7)
2
(4.8)
5
(11.9)
14
(1.6)
Wide 0
(0.0)
0
(0.0)
1
(2.4)
0
(0.0)
1
(2.9)
0
(0.0)
0
(0.0)
3
(5.1)
2
(4.8)
0
(0.0)
7
(0.8)
6×3 Fitted Narrow 2
(2.4)
0
(0.0)
0
(0.0)
4
(10.5)
1
(2.9)
7
(18.9)
8
(17.8)
8
(13.6)
9
(21.4)
5
(11.9)
44
(4.9)
51.484***
(.000)
df=16
Regular 17
(20.7)
0
(0.0)
8
(19.5)
10
(26.3)
0
(0.0)
11
(29.7)
5
(11.1)
13
(22.0)
6
(14.3)
7
(16.7)
77
(8.6)
Wide 12
(14.6)
0
(0.0)
8
(19.5)
0
(0.0)
0
(0.0)
1
(2.7)
0
(0.0)
4
(6.8)
0
(0.0)
1
(2.4)
26
(2.9)
Classic Narrow 6
(7.3)
0
(0.0)
1
(2.4)
3
(7.9)
0
(0.0)
6
(16.2)
6
(13.3)
5
(8.5)
4
(9.5)
0
(0.0)
31
(3.4)
20.964
(.180)
df=16
Regular 15
(18.3)
0
(0.0)
7
(17.1)
7
(18.4)
2
(5.7)
2
(5.4)
4
(8.9)
8
(13.6)
4
(9.5)
4
(9.5)
53
(5.9)
Wide 6
(7.3)
0
(0.0)
2
(4.9)
4
(10.5)
1
(2.9)
0
(0.0)
4
(8.9)
4
(6.8)
0
(0.0)
1
(2.4)
22
(2.4)
Boxy Narrow 1
(1.2)
0
(0.0)
0
(0.0)
0
(0.0)
0
(0.0)
1
(2.7)
5
(11.1)
0
(0.0)
0
(0.0)
4
(9.5)
11
(1.2)
14.632
(.262)
df=12
Regular 0
(0.0)
0
(0.0)
1
(2.4)
0
(0.0)
0
(0.0)
1
(2.7)
2
(4.4)
0
(0.0)
2
(4.8)
1
(2.4)
6
(0.7)
Wide 0
(0.0)
0
(0.0)
1
(2.4)
0
(0.0)
0
(0.0)
0
(0.0)
1
(2.2)
2
(3.4)
3
(7.1)
2
(4.8)
9
(1.0)
Sum 82
(100)
29
(100)
41
(100)
38
(100)
35
(100)
37
(100)
45
(100)
59
(100)
42
(100)
42
(100)
450
(100.0)
1812.311***
(.000)
df=180
***p<.001
**p<.01
*p<.05

연도와 시즌별로 실루엣과 라펠의 조합의 변화에 관한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가장 많은 개체수를 지닌 싱글 노치 1-2 버튼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Fig. 16>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통적인 비례를 지닌 클래식-레귤러 조합이 지난 5년간 점차 그 수가 줄어들고 2015 S/S부터 2017 S/S까지 핏티드-내로우의 비례가 급증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경향은 2017 F/W 시즌에 반등되는데 클래식-레귤러 및 핏티드-내로우의 조합이 감소하고 클래식-와이드와 박시-내로우 및 클래식 내로우의 조합이 증가세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실루엣과 라펠의 전형적인 비례에 변화를 주려는 다양한 시도를 읽을 수 있었다. 전체적인 추이를 관찰할 때 향후 핏티드에서 클래식, 박시 실루엣으로의 이동이 예측되며 라펠의 폭은 더 다변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Fig. 16> 
Trend of combination of silhouette and lapel in jacket

다음으로, 2013 S/S에서 2017 F/W까지 각 연도 및 시즌에 따른 남성 수트 재킷의 실루엣과 라펠폭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x2-test를 실시하였다. 연도 및 시즌에 따른 남성 수트 재킷의 앞여밈 종류에 따라 실루엣, 라펠 형태, 라펠 폭, 버튼수의 종류의 변화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Table 2> 및 <Table 3>과 같다. 싱글 브레스티드 재킷에서 노치 라펠, 버튼수가 1-2개일 경우 모든 실루엣과 라펠폭에서 연도 및 시즌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버튼수가 세 개 이상일 때는 핏티드 실루엣에서만 라펠폭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클래식과 박시 실루엣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싱글 재킷, 피크 라펠의 경우, 버튼수가 1-2개인 핏티드 실루엣에서만 연도 및 시즌에 따라 라펠폭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able 2>. 더블 브레스티드 재킷에서는 4x2의 버튼 형태일 경우 모든 실루엣과 라펠폭에서 연도 및 시즌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6x3의 버튼 형태일 경우 핏티드 실루엣만 라펠폭의 연도 및 시즌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확인 되었다<Table 3>.

2. 남성 수트 재킷의 실루엣에 따른 라펠의 차이

2013 S/S에서 2017 F/W까지 살펴본 실루엣은 싱글의 경우 클래식이 전체 1334건 중 699건으로 약 52.4%에 해당하였고, 핏티드는 전체 1334 건 중 431건으로 32.3%, 박시 실루엣은 총 204건으로 약 15.3%에 해당하였다<Table 4>. 더블의 경우에는 클래식이 전체 450건 중 190건으로 약 42%에 해당하였고, 핏티드는 199건(약 44%), 박시는 61건(약 13.6%)이 도출되었다<Table 5>. 싱글 브레스티드 재킷에서 클래식 실루엣의 비례가 절반 정도를 차지하는 것에 비해 더블 브레스티드 재킷에서는 근소하기는 하나 핏티드의 비례가 더 높았다. 박시 실루엣은 싱글과 더블에서 모두 유사한 비례로 등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013 S/S에서 2017 F/W에 나타난 라펠폭의 종류는 싱글의 경우 레귤러 라펠이 전체 1334 건 중 637건으로 47.3%에 해당하였고, 내로우 라펠은 전체 1334건 중 562건으로 42%에 해당하여 레귤러 라펠과 유사한 비례를 보인 반면 와이드 라펠은 0.07%에 해당하였다<Table 4>. 더블의 경우에는 레귤러 라펠이 전체 450 건 중 227건으로 51%에 해당하였고, 내로우 라펠은 전체 450건 중 132건(29%), 와이드 라펠은 91건(20%)으로 레귤러의 비례가 가장 높았고 싱글과 달리 내로우와 와이드의 비례가 유사하게 도출되었다<Table 5>.

<Table 4> 
Differences in lapel design elements depending on single breasted jacket silhouette
Silhouette Fitted Classic Boxy Total x2
Design elements
Lapel width Narrow 187(43.4) 280(40.1) 95(46.6) 562(42.1) 13.649**
(.009)
df=4
Regular 199(46.2) 362(51.8) 80(39.2) 641(48.1)
Wide 45(10.4) 57(8.2) 29(14.2) 131(9.8)
Sum 431(100.0) 699(100.0) 204(100.0) 1334(100.0)
Lapel shape Notched 282(65.4) 528(75.5) 173(84.8) 983(73.7) 29.395***
(.000)
df=2
Peaked 149(34.6) 171(24.5) 31(15.2) 351(26.3)
Sum 431(100.0) 699(100.0) 204(100.0 1334(100.0)
Number of buttons 1, 2 329(76.3) 545(78.0) 143(70.1) 1017(76.2) 5.403
df=2
over 3 102(23.7) 154(22.0) 61(29.9) 317(23.8)
Sum 431(100.0) 699(100.0) 204(100.0) 1334(100.0)

<Table 5> 
Differences in lapel design elements depending on double breasted jacket silhouette
Silhouette Fitted Classic Boxy Total x2
Design elements
Lapel width Narrow 61(30.7) 46(24.2) 25(41.0) 132(29.3) 12.227*
(.016)
df=4
Regular 97(48.7) 110(57.9) 20(32.8) 227(50.4)
Wide 41(20.6) 34(17.9) 16(26.2) 91(20.2)
Sum 199(100.0) 190(100.0) 61(100.0) 450(100.0)
Number of buttons 4x2 52(26.1) 84(44.2) 35(57.4) 171(38.0) 24.732***
(.000)
df=2
6x3 147(73.9) 106(55.8) 26(42.6) 279(62.0)
Sum 199(100.0) 190(100.0) 61(100.0) 450(100.0)

연도 및 시즌에 따른 재킷의 실루엣과 라펠폭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분명한 차이들이 발견되었다. 보다 세밀한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실루엣에 따른 라펠의 차이를 싱글과 더블로 나누어 재분석하였다. 라펠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라펠의 중요 디자인 요소인 형태, 라펠폭 및 버튼수에 따라 분석하였다. 버튼의 개수는 라펠의 길이에 영향을 미치므로 형태 및 폭과 더불어 라펠의 디자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먼저, 싱글 브레스티드 재킷의 실루엣에 따른 라펠폭과 형태 그리고 버튼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Table 4>와 같이 라펠의 폭과 형태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버튼수에는 차이가 없었다. 이것은 실루엣이 가슴너비에 대한 허리너비의 비례로 분석하여 길이 변수보다 너비 변수에 더 영향을 받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재킷 실루엣의 종류에 따른 라펠폭의 차이를 살펴보면 핏티드와 클래식 실루엣의 경우 레귤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박시의 경우 내로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재킷의 실루엣의 종류에 따른 라펠 형태의 차이를 살펴보면 핏티드, 클래식 그리고 박시 실루엣 모두에서 노치 라펠 형태가 높은 비례를 차지했다.

더블 재킷의 실루엣에 따른 라펠폭과 버튼수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더블 재킷의 경우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더블x노치의 조합은 거의 발견하기 어려워 피크 라펠만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Table 5>와 같이 라펠폭과 버튼수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재킷 실루엣의 종류에 따른 라펠 폭의 차이를 살펴보면 싱글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핏티드와 클래식의 경우 레귤러의 비율이 높았으나 박시의 경우 내로우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버튼수에 있어서는 싱글과 확연한 차이를 보였는데 더블의 경우 재킷 실루엣에 따른 버튼조합의 차이가 분명히 드러났으며 핏티드와 클래식의 경우 6x3의 버튼 조합이 높은 비율로 나타났고 박시의 경우 4x2의 조합이 높게 나타났다.

싱글 브레스티드 재킷과 더블 브레스티드 재킷의 실루엣에 따른 라펠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라펠폭에서는 핏티드와 클래식 실루엣에서 레귤러 라펠이 동일하게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고 내로우, 와이드 순이었으며 박시 실루엣에서는 내로우, 레귤러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남성 수트 재킷의 핏티드와 클래식 실루엣의 경우 전통적인 레귤러 라펠폭이 선호되며 박시 실루엣의 경우 내로우 라펠이 선호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Ⅳ. 결론 및 제언

실루엣과 라펠은 남성복 수트 재킷에서 디자인의 변화를 주는 대표적 요소이다. 2013 S/S에서 2017 F/W까지 각 연도 및 시즌에 따른 남성 수트 재킷의 실루엣과 라펠의 변화를 살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먼저 실루엣의 빈도를 보면 싱글 재킷의 경우 클래식, 핏티드, 박시 실루엣 순으로 나타났고 더블 역시 클래식, 핏티드, 박시 실루엣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최근 5년간 클래식 실루엣의 수가 급격한 감소를 보이는데 반해 박시 실루엣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핏티드 실루엣은 약 2년을 주기로 증가세와 감소세가 번갈아 나타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라펠은 싱글 재킷의 경우 레귤러와 내로우가 각각 47.3%와 42%로 유사하게 높은 비율로 등장하고 있는 반면 와이드는 0.07%로 그 수가 매우 적었다. 더블 재킷에서는 레귤러 라펠이 51%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여주어, 싱글 재킷에 비해 전통적인 라펠의 비례를 고수하려는 경향이 더 강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실루엣과 라펠의 조합에서도 발견된다. 싱글 재킷의 실루엣과 라펠의 조합을 살펴보면 핏티드-내로우가 가장 높은 비율인 36%에 해당하였고 클래식-레귤러(362건: 27%), 핏티드-내로우(326건: 24%)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더블 재킷을 살펴보면 전체 450건 중, 4X2 버튼에서는 클래식-레귤러가 57건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6X3 버튼에서는 핏티드-레귤러의 조합이 77건으로 가장 많이 발견되어 싱글 재킷에 비해 전통적인 비례에 더 충실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분석대상 중 가장 많은 개체수를 지닌 싱글 1-2 버튼의 실루엣과 라펠 조합의 변화 경향을 살펴본 결과, 특히 핏티드-내로우가 최근 5년간 가장 많았는데 2017 F/W에는 그 비례가 급감하였고, 대신 클래식-와이드와 박시-내로우 및 클래식 내로우의 조합이 증가세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핏티드에서 클래식, 박시 실루엣으로의 이동이 예측되며 라펠의 폭에 여러 변화를 주어 적절한 비례를 깨뜨림으로써 슈트 재킷 디자인의 다변화 경향이 더 강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각 연도 및 시즌에 따른 남성 수트 재킷의 실루엣과 라펠폭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x2-test를 실시한 결과, 싱글 재킷에서 노치 라펠, 버튼수가 1-2개일 경우 모든 실루엣과 라펠폭에서 연도 및 시즌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버튼수가 세 개 이상일 때는 핏티드 실루엣에서만 라펠폭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클래식과 박시 실루엣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싱글 재킷, 피크 라펠의 경우, 버튼수가 1-2개인 핏티드 실루엣에서만 연도 및 시즌에 따라 라펠폭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더블 재킷에서 는 4x2의 버튼 형태일 경우 모든 실루엣과 라펠폭에서 연도 및 시즌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6x3의 버튼 형태일 경우 핏티드 실루엣만 라펠 폭의 연도 및 시즌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확인 되었다. 실루엣에 따른 라펠의 차이를 보다 세밀하게 살펴보기 위해 싱글과 더블 재킷을 각각 라펠의 형태, 라펠폭 및 버튼수에 따라 분석하였다. 싱글 재킷의 경우 라펠의 폭과 형태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버튼수에는 차이가 없었다. 더블 재킷의 경우 실루엣의 종류에 따른 라펠폭의 차이를 살펴보면 싱글과 마찬가지로 라펠의 폭과 형태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버튼수에 있어서도 확실한 차이가 드러났다. 핏티드와 클래식의 경우 6x3의 버튼 조합이 높은 비율로 나타났고 박시의 경우 4x2의 조합이 높게 나타났다.

실루엣과 라펠은 남성 수트 재킷에서 가장 두드러진 디자인 요소이자 트렌드의 척도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실루엣에 따른 라펠폭이 연도 및 시즌에 따라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각 시즌 별 강세를 보이는 실루엣과 라펠 및 조합이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통해 더 확실하게 인지할 수 있었으며 나아가 앞으로 다가올 트렌드를 예측하는 데도 중요한 기준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남성복과 관련된 산업에서 수트 디자인 및 기획 시, 과거의 경향을 살펴 현재의 트렌드를 통찰하고 미래의 유행변화를 예측하는 것은 회사의 이익 창출을 위해 필수적인 과정으로써 본 연구가 실루엣과 라펠의 비례에 관해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를 통해 급변하는 글로벌 의류산업 환경에 적절히 대처함과 동시에 소비자들의 요구와 감성을 충족시키는 디자인이 도출되길 기대한다. 다만 거시적인 관점에서 변화를 관찰함과 동시에 그 시대의 사회, 문화적 이슈 및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 미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도 신중하게 고려하여 디자인에 반영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세계 남성복 브랜드의 트렌드를 분석한 것으로서 한국 남성복 시장에 적용할 경우 한국 남성의 체형 및 감성 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향후 라펠폭뿐만 아니라 소매통, 어깨 너비 등 수트 재킷의 디테일간의 관계와 변화를 연구하여 전체적인 남성복 재킷의 경향을 살펴보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를 통해 남성복 수트가 지닌 전통성을 지키며 전체와 부분이 조화를 이루고 트렌드를 반영하는 디자인 및 연구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References
1. Armstrong, H. J., (2014), Patternmaking for fashion design, (5th ed.),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Pearson.
2. Cho, K. Y., (2014), Classic menswear, Seoul, Korea, Book and Tree.
3. Chun, J. S., Hur, J. H., & Song, J. Y., (2001), A study on consumers’ preference and purchasing intention of easy-order business suit,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9(3), p389-397.
4. Choi, Y. L., (2014), Men’s classic patternr, Seoul, Korea, Kyohakyeongusa.
5. Ellinwood, J. G., (2011), Fashion by design, New York, USA, Fairchild Books.
6. Huh, D. J., Na, M. H., Lee, J. S., Kim, J. S., & Jeong, B. H., (2001), Industry patternmaking for menswear, Seoul, Korea, Kyohakyeongusa.
7. Jeong, H. J., & Kim, S. R., (2009), Development of jacket pattern for muscular men,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3(4), p137-153.
8. Jung, D. Y., & Song, J. A., (2012), A study on the combinative patterns of lapel and collar in tailored jackets with different break line,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4(6), p952-959.
9. Kim, J. S., & Lee, W. J., (2004), A study on the design of men’s jacket patter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2(6), p953-970.
10. Kim, M. J., & Jo, J. S., (2006), A study on the basic pattern of men’s casual jacke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0(2), p207-220.
11. Kim, M. O., Kim, I. J., & Suh, M. A., (2012), Comparisons: sizes in men’s slim-fit jackets according to brand zones and number of buttons, and jacket patternmaking methods according to jacket style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0(2), p184-194.
12. Kim, M. O., & Kim, K. A., (2015), A study on appropriate cutting amount at the waistline of men’s jackets in their 30’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7(6), p996-1003.
13. Knowles, L. A., (2005), Practical guide to patternmaking for fashion designers: menswear, New York, USA, Fairchild Books.
14. Lapel type, 2013, May, 18, Retrieved from https://blog.naver.com/spatium1129/130168401523.
15. Lee, E. J., & Shim, B. J., (2007), Survey on use of basic bodice blocks at domestic men’s apparel companies and comparative study on men’s bodice block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1(4), p120-134.
16. Lee, K. H., Cho, K. S., & Hong, J. P., (2000), The prototype theory extension through the proportion, a design element <I>, 2000 Spring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proceeding, p62-63.
17. Lee, S. Y., (2011), A study on the character of collar and lapels according to collar laying amount-focused on tailored jacke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5(4), p421-430.
18. Lee, Y. S., Park, Y. A., & Jeong, E. Y., (2002), A study on human sensitivity in design of men’s sui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6(12), p1709-1715.
19. Men’s Fall 2016 Trend: Supersize Me, 2016, May, 18, Retrieved from http://wwd.com/menswear-news/mens-fashion/mens-fall-2016-trend-ultralarge-silhouette-10429725/.
20. Men’s Fashion Week’s Most Surprising Trend?, 2017, January, 25, Retrieved from https://www.vogue.com/article/mens-fall-2017-trend-business-casual.
21. Nam, Y. J., & Lee, H. S., (1996), Menswear, Seoul, Korea, Kyohakyeongusa.
22. Nam, Y. J., & Lee, H. S., (2016), Patternmaking and production for menswear, Seoul, Korea, Kyohakyeongusa.
23. Park, S. H., & Lee, E. H., (2013), Pattern making method and design of power shoulder jackets, The Korea contents society, 13(7), p131-140.
24. Park, S. H., & Lee, E. H., (2013), A comparative study on the ease of men’s jackets according to the pattern draft methods,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9(2), p112-127.
25. Park, S. K., Uh, M. K., Jeong, J. C., Kim, M. J., & Kim, J. W., (2013), Men’s wear pattern design, Seoul, Korea, Kyomunsa.
26. Park, Y. H., (2015), The trend change showed on the design elements of modern men’s suits - Focused on 2011 S/S~2013 F/W fashion collections,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46, p95-105.
27. Park, Y. H., & Han, S. H., (2010), A study on the preference design and the demand performance for adult men’s suit,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4(1), p1-12.
28. Son, M. Y., & Kwon, Y. J., (2014), Fashion design, Seoul, Korea, KNOU Press.
29. Suh, D. A., Oh, S. Y., & Chun, J. S., (2006), A study of the patternmaking methods for mass customization of the men’s jacket,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4(1), p40-47.
30. You, S. O., Kim, K. S., & Kan, H. S., (2006), Fashion design, Seoul, Korea, Soohak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