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Journal Archiv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ol. 70 , No. 1

[ These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ol. 70, No. 1, pp. 104-120
Abbreviation: JKSC
ISSN: 1229-6880 (Print) 2287-7827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29 Feb 2020
Received 03 Jan 2020 Revised 07 Feb 2020 Accepted 10 Feb 2020
DOI: https://doi.org/10.7233/jksc.2020.70.1.104

광주광역시 지하철 역무원 유니폼 디자인 선호도 연구
김지연 ; 임린
호남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부교수
광주여자대학교 교양교직과정부 겸임교수⁺

A Study on the Uniform Design Preference of Subway Crew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Jie-Yurn Kim ; Lynn Yim
Associate Professor, Dept. of Fashion Design, Honam University
Adjunct Professor, Dept. of Liberal Art &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Kwangju Women’s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Lynn Yim, e-mail: lynn5651@hanmail.net

Funding Information ▼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 for developing a public uniform design for Gwangju metropolitan city’s subway crew. Data were collected from 330 male and female citizens in their 20s to 50s living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during August 2019. Results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variance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via SPSS 24.0.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velopment of a uniform design for the public image of the city would improve the citizens’ satisfaction and help differentiate and enhance the city’s image. The most favored colors by citizens for the uniform design of the subway crew were blue, green, and red. Fiv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preference for the uniform were “functional design,” “visual design,” “differentiated design,” “fashionable design,” and “active-looking design.” The development of a uniform design as a public image can enhance users’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subway and help differentiate the city’s image among other cities.


Keywords: image of a city, public design, subway crew, uniform design
키워드: 도시 이미지, 공공 디자인, 지하철 역무원, 유니폼 디자인

Ⅰ. 서론

유니폼은 소속집단의 이미지를 대내ㆍ외적으로 전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목적이 뚜렷한 상징적 의복이다(Lee, 2014). 특히 공공기관에서 활용되는 유니폼은 도시이미지를 시민이나 외부에서 방문하는 관광객에게 전달, 확산시킬 수 있는 공공영역의 한 분야로 공공기관에서 종사하는 근로자들이 착용하는 근무복이라고 할 수 있다. 공공유니폼은 도시의 이미지를 직접적이면서도 친숙하게 전달하는 매개체 역할을 함으로써, 유니폼은 단순히 통일성과 실용성의 차원을 넘어 도시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에 움직이는 조직의 상징물이자 통합적인 이미지(Lim & Lee, 2013)로 인식된다.

도시이미지는 특정 도시가 가지고 있는 자연환경, 역사적 특성, 문화적 매력, 행정서비스 등 타도시와 차별화된 상징체계이다. 도시가 가지고 있는 자원을 기반으로 잠재력을 가장 큰 ‘핵심가 치’로 지정하고 구체화, 상징화하면서 도시이미지는 긍정적으로 발현될 수 있다(Chang, Jun, & Kwon, 2010). 도시가 가지고 있는 문화, 기능, 서비스 등 무형의 잠재력을 시각적으로 재현하여 도시이미지로 전환시키는 공공영역으로서 지하철유니폼도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다.

광주광역시는 현재 지하철 1호선을 운영하고 있으나, 다른 도시에 비해 지하철을 통한 역세권 접근성에 따른 고밀개발을 유도하는 도시계획 차원의 토지이용과 상업활동의 집적화를 유도하는 개발이 미흡하였다. 또한 지구온난화현상 등 인간의 정주환경을 파괴하는 요소를 지양하고 지속가 능한 도시개발을 요구하는 상황(Oh & Jeong, 2013)에서 지하철은 대표적인 친환경 대중교통수단으로서 관련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광주광역시 지하철 2호선이 2023년 1단계 착공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역무원 유니폼 디자인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므로 도시이미지 제고 를 위한 지하철 역무원 유니폼 개발을 위한 선호도 연구는 시의적절한 연구 과제라고 할 수 있다.

한편 광주광역시는 도시교통 현황을 반영하여 도시철도 2호선을 추가 건설하고자 시민 공론화 절차를 걸쳐(Public Opinion Committee on Gwangju Metropolitan Railway Line 2, 2018), 광주광역시시내를 순환선으로 연결하는 지하철 기공식을 2019년 9월 진행하면서(J. G. Kim, 2019) 광주광역시민을 대상으로 지하철 차량디자인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는 도시 공공시설물인 지하철의 역할과 도시이미지 생산의 파급력을 고려한 조치라 할 수 있는데, 광주광역시민 대상 선호도조사 결과 광주의 이미지는 무등산과 관련하여 파란색, 유선형상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Song, 2018). 이에 따라 차량 내ㆍ외부 디자인을 선정하였고(J. S. Kim, 2019), 노선색상도 파란색으로 선정, 표기하였다. 이처럼 광주광역시는 지하철 2호선 개통을 앞두고 도시이미지를 담아낼 수 있는 공공영역에 대한 심혈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러한 맥락에서 지하철 역무원 유니폼은 도시의 긍정적 이미지를 강화시키고 광주광역시의 도시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는 공공영역에서의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광주광역시의 도시이미지에 대해 평가하고 공공영역으로서 역무원 유니폼과의 관련성을 어떻게 확장시켜 나갈 것인가에 대한 선호도 조사가 필요한 이유이다.

지금까지 공공유니폼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는 집배원 유니폼(Syn, 2000), 국립중앙박물관유니폼(Kim, 2008), 경찰, 소방, 환경미화원 및 행정서비스 요원 유니폼(Lim, 2011), 도시 시내버스 운전기사 유니폼(Kim & Jang, 2016) 등이 있었다. 공공유니폼으로서 직업의 공공성과 국가, 도시이미지를 반영한 유니폼 디자인 개발을 함으로써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러나 유니폼 디자인 개발에 있어 시민과 도시방문자의 선호도 조사가 생략되거나 직업군에 대한 설문조사로 제한되는 등 공공유니폼으로서 디자인 개발의 접근법과 프로세스의 한계성이 있었고 특히 공공유니폼에 대한 피착용자에 대한 도시이미지 제고 효과나 만족도와 관련한 연구는 미흡하였다.

구체적으로 Nam, Kim, & Lee(1997)는 유니폼에 대한 실태조사와 디자인 개선을 위한 연구에서 유니폼 착용자 집단과 관리자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유니폼 구성요소와 유니폼디자인 선호도를 측정하였다. 공공기관 유니폼을 비롯한 유니폼 디자인 연구를 살펴보면, 도시이미지 제고를 위한 지방자치단체 시청 민원실 유니폼 이미지 평가에 대한 연구(Lim & Lee, 2014)는 서울시와 광주광역시 시청 유니폼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한 결과 유니폼 이미지 평가 는 활동성, 상징성, 주목성, 신뢰성, 심미성 등 총 5개의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특히 인구 통계적특성에 따라 서울시와 광주광역시의 유니폼에 대한 이미지 평가가 다르게 나타났다. 공공기관인 한국담배인삼공사 유니폼 개발 연구에서는 유니폼에 대한 선호도와 선호 아이템, 세부 디자인디테일, 무늬, 로고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였다(Ahn, Lee, Park, Shu, & Jin, 2006).

지역문화자원의 시각이미지를 활용한 유니폼디자인 개발 연구(Na & Bae, 2016)에서는 요식업소 종사자를 대상으로 착용자 중심 설문 및 면담 조사를 실시한 결과 종업원들의 유니폼 착용현황을 파악하였고, 담양지역의 연상이미지와 선호도를 조사하여 한정식, 일반음식점, 카페, 국수음식점 등의 업소를 대상으로 한 요식업 유니폼디자인을 개발하여 제안하였다. 인라인 스케이트국가대표 유니폼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에서는 국가대표 16명에 대한 조사 결과 유니폼의 특성은 기능성, 심미성, 상징성으로 나타났고, 선호하는 색상, 문양, 태극무늬 사용 선호 등 디자인 선호도를 조사하였다(Kwon, 2013).

도시이미지를 활용한 유니폼 디자인 개발을 위해서 문화도시 브랜드 이미지 구축을 위한 유니폼 디자인 개발 연구(Lim & Lee, 2013)에서는 아시아 문화중심도시를 포함한 국내외 문화도시브랜드 사례를 조사하고 문헌고찰을 통해 광주광역시 도시이미지와 CI를 활용한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운전기사 유니폼 셔츠 개발 연구에서는 운전기사를 대상으로 착용유니폼에 대한 선호조사를 실시하였고, 디자인선호도 및 기능성 수요정도를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셔츠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Shao & Lee (2014)는 한ㆍ중 항공사 승무원 유니폼 이미지평가에 따른 디자인개발을 위해 한ㆍ중 항공사유니폼에 대한 비교 및 이미지 평가에 대한 비교분석을 하였다. 이처럼 유니폼 디자인 개발을 위해 여러 연구들이 진행되었지만, 도시의 공공디자인 중 하나인 도시지하철 역무원 유니폼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는 미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향후 광주광역시에서 개발하게 될 지하철 역무원 유니폼 디자인에 대한 시민들의 선호도를 조사하여 실제 시민이 만족하는 공공 유니폼 디자인 개발에 활용함으로써 시민들의 지하철 역무원 유니폼에 대한 만족도에 도움을 주고, 결과적으로는 광주광역시의 도시이미지를 강화하는 등 공공디자인의 효과성을 높이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Ⅱ. 이론적 배경
1. 광주광역시 도시이미지와 공공유니폼

도시이미지는 시민들의 반복적인 행동이나 실리적인 요인이 작용하여 복합적인 특성을 갖는 모습으로 만들어진다. 더구나 현대에는 이미지가 형성되는 경로가 매우 다원화되어 도시이미지는 직접적으로 도시를 체험하거나 시각적인 확인을 통해서만이 아니라 대중매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학습되어 영향을 받기도 한다(Ahn & Kim, 2010). 도시의 개별적 부분들이 갖는 이미지가 총체적으로 공간의 장소성, 활동, 의미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이미지는 각 개인이 도시의 각부분을 자신과의 물리적인 상호관계 속에서 인식하는 과거를 통해 그 도시 전체를 하나의 이미지로 정형화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Kim, 2006).

도시이미지는 도시민의 자긍심과 애향심을 높이는 정체성 형성에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면서 이미지 상품화를 통한 관광수입 등과 직결되어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필수 생존요건으로 인식되고 있다. 긍정적이고 지속적인 도시이미지가 도시민의 만족과 도시경쟁력에 미치는 파급력은 이미 상당하다고 할 수 있다. 도시이미지는 객관적, 실제적 공간과 그에 대한 개별적 지각을 연결시켜 주는 필터 역할을 하며 바람직한 도시이미지는 투자, 관광, 거주 등의 의사결정 과정에서 긍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Kampschulte, 1999). 따라서 각 도시들은 문화도시, 녹색도시, 다원도시, 즐거운 도시, 창의도시 등의 이미지를 강조하며 도시경제 활성화, 도시 관광객 유치, 도시사회 통합, 도시문화발전, 도시정체성 확립 등을 달성하고자 도시이미지를 소비하고 있다(Lee, 2006).

광주광역시는 문화도시의 이미지를 강조하고 아시아문화예술의 중심지로 발돋움하기 위해 지역 고유의 전통적 문화자산과 유산을 도시이미지로 활용하고 있다. 광주광역시 비전을 통해 제시하고 있는 도시이미지는 민주, 인권, 평화도시를 지향하며, 정의로운 도시, 품격있는 문화도시 등을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Gwanju Metropolita City, n.d.). 특히 광주광역시는 5ㆍ18 기념공원,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미디어아트센터 등을 통한 인본예술, 융합산업, 지속도시, 창의교류를 목표로 예술-기술-산업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고자 노력하고 있다(Cha, 2018). 광주광역시의 유ㆍ무형 문화자원과 역사적 가치를 재발견하고 도시이미지를 확립하여 관광산업 및 실질적 수익창출과 연결 지으려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강구하고 있다.

이러한 도시이미지를 시민과 방문자에게 전달하는 방법과 과정은 다양하다. 특히 시민들의 반복적인 행동이나 실리적인 요인이 작용하면 도시이미지는 복합적인 특성을 갖는 모습으로 만들어진다(Ahn & Kim, 2010). 따라서 광주광역시는 공공디자인을 통해 도시이미지를 높이는 조례(제 2707호)를 전국 최초로 만들어 실행하고 있다(Hwang, 2007). 특히 2015년에는 광주만의 도시이미지 구축을 위한 공공디자인 기본계획 용역에 착수하였고(Bae, 2016), 광주광역시의회에서는 광주디자인센터와 함께 공공기관 쓰레기 분리수거함 디자인을 기획하여 2020년부터 설치를 앞두고 있다(H. T. Kim, 2019).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공유니폼 부문에서는 광주광역시청 민원실 직원 유니폼의 경우 기성복을 착용하고, 매년 교체하는 등 광주광역시 도시이미지를 전달하기에 부족함이 많았다(Lim & Lee, 2011). 공공디자인으로서 광주광역시 공공유니폼은 상징성, 심미성, 공공성 측면에서 보다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도시이미지는 공공시설물, 공공공간, 공공매체를 포함한 공공유니폼을 통해 고착될 수 있어 공공디자인으로써 상징성, 심미성, 공공성을 갖는다. 공공유니폼의 상징성은 유니폼이 말보다 우선하는 시각 커뮤니케이션으로써 직업, 신분, 소속을 나타내며, 의미전달의 과정을 내포한다(White, 1996)는 측면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즉, 공공유니폼은 공공직종을 상징적으로 드러내며 착용자에게는 공적 소속감을 상징체계로서 고취시킨다. 공공유니폼을 통해 광주의 통일된 집단미, 도시이미지를 형성하며 상징체계로서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디자인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심미성은 공공유니폼이 착용자에게 심리적으로 미적 만족감을 줄 뿐만 아니라 보는 이에게도 아름답게 보일 수 있는 미적 표현력을 말한다. 공공유니폼은 집단 소속감, 유대감뿐만 아니라 도시이미지를 전달하는 매개체로서 착용자와 도시민, 관광객 모두에게 유니폼 자체가 아름답게 구현될 수 있도록 심미성이 요구된다. 공공성은 유니폼을 공공재로서 바라보고 착용자와 보는 이에게 명확하고 간결한 정보 전달 역할을 하면서 공공의 이익을 위해 근무한다는 의미가 내포되어야 한다는 특성을 말한다(Lim, 2011). 공공유니폼으로서 광주의 도시이미지를 인지할 수 있는 CI, 전용색상, 캐릭터 등을 활용할 수 있으며, 도시이미지를 활용한 디자인으로 공공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2. 역무원 유니폼 디자인

지하철은 영어로 ‘Metro’라고 하듯 대도시 ‘Metropolitan’에서 운행되고 있는 대표적인 도시의 공공시설이다. 1974년 서울에 지하철 1호선이 개통된 이래 울산을 제외한 인구 100만 이상의 광역시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등 6개 대도시에서 운행되고 있다(Subway, n.d.). 도시 지하철은 서울의 경우 하루 평균 600만(Seoul subway, n.d.), 부산 지하철은 92만 명(Busan subway, n.d.) 등 많은 도시민과 관광객이 지하철을 이용하고 있다. 광주지하철 역시 2015년 호남선 KTX 개통으로 승객이 늘고 있어(Lee, 2015) 역무원과 시민 및 관광객 대면빈도는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대도시 지하철은 역사의 공공시설 물뿐만 아니라 인적자원이 착용하는 유니폼만으로도 도시의 생태학적 환경, 문화환경 등의 의미를 표현할 수 있으며, 지하철 역사의 공공 공간 및 시설물과의 통일되고 조화로운 이미지를 통해 긍정적인 도시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다. 지하철 역사가 문화공간으로서 이미 도시 문화소통의 창, 도시이미지 가치상승의 장으로 평가받고 있는 것(Kang, 2013)과 마찬가지로 국내외 지하철 유니폼은 도시이미지를 환기시키기 위해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도시 지하철의 근로자 중 지하철역에서 근무하며 시민과 직접 대면하는 역무원은 대시민서비스 및 행정업무를 수행하는 직원, 보안 및 안전요원, 환경미화원으로 크게 구분된다. 또한 지하철을 직접 운전하며, 안내방송 및 교대시간 등을 통해 시민에게 노출되는 기관사 등이 있다. 이들이 착용하는 유니폼은 도시이미지를 포함한 가치를 전달하는 소통 통로가 될 수 있다. 국내 도시 지하철 인터넷 홈페이지에는 각 도시의 지하철 특성과 장점을 부각시키기 위한 시각자료와 홍보영상이 유니폼을 착용한 지하철 역무원과 함께 업로 드 되어 있지만, 아쉽게도 역무원 유니폼과 관련된 다양한 자료는 미흡하다고 생각된다. 근무복 변천자료를 제공하고 있는 부산교통공사를 제외한 5개 도시교통공사 인터넷 홈페이지는 지하철역무원 유니폼을 살필 수 있는 자료가 매우 부족하였고, 도시만의 특색을 강조한 유니폼 활용 자료가 많지 않았다. 일부의 사례로써 국내 6개 도시 지하철 인터넷 홈페이지의 홍보 영상물, 유니폼이 나온 기사 사진을 캡처하는 방법 등을 통해 역무원 유니폼 관련 자료로 정리해 보았다. <Fig. 1>에서 보듯 기관사를 비롯한 역무원의 유니폼은 주요 6개 도시의 특색 있는 이미지를 반영하지 못하고 유사한 양상이다. 기관사 유니폼은 서울지하철의 경우 정복 스타일<Fig. 1>을 갖추고 있으나 서울이라는 도시이미지가 잘 드러나지 못하였다. 이는 부산<Fig. 2>, 인천<Fig. 4>, 광주<Fig. 5>, 대전<Fig. 6> 기관사의 동복 유니폼과 대구 <Fig. 3>의 하복 유니폼이 활동성과 기능성을 강조한 캐주얼 스타일이라는 점과 차이가 있을 뿐이다. 캐주얼 스타일은 지하철역 직원 유니폼에서도 쉽게 확인되었다. 서울 지하철역 직원 유니폼<Fig. 7>을 제외하면 5개 도시의 지하철역 직원 유니폼은 하복, 동복 모두 예외 없이 셔츠, 라운드 티셔츠, 점퍼 스타일로 활동성이 강조되었다<Fig. 8, 9, 10, 11, 12>. 보안 및 안전요원은 안전을 위한 발광소재의 디테일<Fig. 13, 14, 15>을 부착한 것 이외에는 직원 유니폼과 비슷한 모습이었다<Fig. 16, 17, 18>. 특히 6개 도시 지하철 역무원 유니폼의 색상이 감청, 파랑, 검정색 등으로 매우 단조롭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도시 지하철 유니폼에서 색상의 차별화가 필요해 보였다. 마지막으로 지하철 환경미화원은 서울<Fig. 19> 과 부산<Fig. 20>에서 유니폼을 착용하고 있는 것과 달리 대구<Fig. 21>와 인천<Fig. 22>은 앞치마를, 광주<Fig. 23>와 대전<Fig. 24>은 기성 작업용 조끼를 입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해외의 경우 지하철 유니폼은 도시이미지나아가 국가이미지가 반영된 특색있는 유니폼이공공디자인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었다. 중국 심양 지하철 승무원 유니폼<Fig. 25>은 도시의 CI를 모자에 더함으로써 도시이미지를 실현하였다. 프랑스 파리 지하철 관광안내요원은 파리의 도시환경 생태학적 중요성을 환기시키고 도시이미지를 나타내기 위한 녹색 유니폼을 착용하였다 <Fig. 26>. 특히 파리시는 공공시설물인 휴지통과 환경미화원의 유니폼을 녹색으로 바꾼 것과 지하철 역무원 유니폼을 통일하였다(Lim, 2011). 라자스탄 수도인 자이푸르 지하철 유니폼<Fig. 27> 은 디자인 컨테스트를 통해 자이푸르의 전통유산을 현대적인 느낌으로 실현해 도시이미지를 표현하였다(ARCH Team, 2014). 아울러 러시아 모스코바 지하철은 2017년 FIFA 컨페더레이션컵에 맞춰 새 유니폼을 개발하였다<Fig. 28>. 유니폼개발에 있어 지하철 역무원의 자부심을 높이면서 세탁성이 용이하고 활동성을 부여하면서 무엇보다도 러시아 국기의 색인 빨간색과 파란색을 메인 색상으로 사용하였고 전통 방한모인 샤프카(шапка)를 악세서리로 활용하였다. 여기에 모스코바 지하철 로고를 포함시켜 관광객들에게 도시이미지를 환기시키고자 하였다(Moscow Mayor official website, 2017).


<Fig. 25> 
Chenyang Subway in China (Shenyang Metro, n.d.)


<Fig. 26> 
Paris Service Personnel in France (Lim, 2011, p. 47)


<Fig. 27> 
Jaipur Subway in Rajasthan (ARCH, 2014)


<Fig. 28> 
Moscow Subway in Russia (Moscow Mayor official website, 2017)

<Table 1> 
Domestic Subway Crew Uniforms
Category Seoul Busan Deagu Incheon Gwangju Deajeon
Driver
<Fig. 1> Driver (seoulmetro.co.kr, n.d.)

<Fig. 2> Driver (segye.com, 2013)

<Fig. 3> Driver (blog.naver.com, 2017)

<Fig. 4> Driver (anewsa.com, 2016)

<Fig. 5> Driver (nbnnews.co.kr, 2019)

<Fig. 6> Driver (cctoday.co.kr, 2015)
Staff
<Fig. 7> Staff (hyna.co.kr, 2016)

<Fig. 8> Staff (news.naver.com, 2019)

<Fig. 9> Staff (kbmaeil.com, 2016)

<Fig. 10> Staff (blog.naver.com, 2019)

<Fig. 11> Staff (gwangjuin.com, 2019)

<Fig. 12> Staff (daejeonnews.kr, 2019)
Security & Safety Guard
<Fig. 13> Security guard (webzine.seoulmetro.co.kr.or.kr, 2019)

<Fig. 14> Security guard (busan50plus.or.kr, 2017)

<Fig. 15> Safety guard (pn.or.kr, 2016)

<Fig. 16> Safety guard (kspnews.com, 2017)

<Fig. 17> Safety guard (grtc.co.kr, 2019)

<Fig. 18> Safety guard (biz.heraldcorp.com, 2013)
Cleaner
<Fig. 19> Cleaner (seoulmetro.co.kr, 2019)

<Fig. 20> Cleaner (yna.co.kr, 2016)

<Fig. 21> Cleaner (kbsm.net, 2019)

<Fig. 22> Cleaner (itrailnews.co.kr, 2019)

<Fig. 23> Cleaner (news.joins.com, 2015)

<Fig. 24> Cleaner (newspic.kr, 2018)

해외의 사례처럼 도시이미지를 활용한 도시 지하철 역무원 유니폼은 시민과 관광객에게 도시고유의 이미지를 전달하고 나아가 도시 정체성과 문화를 담아내는 역할을 한다. 국내 지하철 역무원 유니폼은 도시이미지를 표현하는 공공재로서의 역할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며 연구가 뒷받침되지 못하고 있다. 광주지하철 역무원유니폼 디자인 개발에 앞서 광주의 도시이미지관련 선호도 조사는 향후 도시 지하철 유니폼 개발에 의미 있는 진전이 될 것이며 도시경쟁력 강화를 위해 필요한 과정이라 본다.


Ⅲ. 연구방법 및 절차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가 지하철 2호선 착공을 결정함에 따라 기존 1호선 역무원을 포함한 광주광역시 지하철 역무원 유니폼 개발을 위한 사전연구로써 공공유니폼에 대한 시민들의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특히 실제 지하철을 탑승해 본 경험이 있는 광주광역시 시민들을 대상으로 지하철역무원 유니폼 디자인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하여 광주광역시에 대한 도시이미지뿐만 아니라 역무원 유니폼에 대한 디자인관련 선호도 및 역무원 유니폼이 지하철 이용 만족도나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까지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및 절차는 첫째, 광주광역시의 도시이미지에 대한 시민들의 생각을 조사하였고, 둘째, 공공디자인으로써 역무원 유니폼 디자인 개발의 중요요인을 추출하였으며, 셋째, 유니폼 디자인 개발의 중요요인이 지하철 이용 만족도나재이용 의도에 영향을 주는지를 밝히는 단계로 진행하였다.

실증적 연구에서는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며 지하철 1호선을 이용해본 경험이 있는 20-50대 남녀 시민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은 2019년 8월 16일부터 8월 23일까지였고, 최종 수집된 유효한 응답 데이터 수는 330개였다. 응답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통계프로 그램인 SPSS 24.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 사용된 설문문항은 모두 5점 Likert 척도로 측정하였으며, 응답자의 인구 통계적 특성을 비롯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개발된 유니폼 디자인 선호도, 지역이미지와 관련된 문항들로 구성되었다. 역무원 유니폼 이미지 평가(Lim & Lee, 2014; So, 2014; Nam et al., 1997), 유니폼 디자인 선호도(Kim & Jang, 2016; Ahn et al., 2006), 광주 도시특성(Kim, 2011), 유니폼 구성 아이템(Na & Bae, 2016), 유니폼 선호도에 중요한 고려사항(Kwon, 2013; Lim & Lee, 2011) 등의 문항으로 구성하였고, 그 외 광주 지하철 이용 빈도 및 지하철 이용만족도, 향후 재이용 의도 등의 문항을 연구자가 작성하여 포함하였다.

조사 응답자 330명의 인구 통계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연령은 20대가 82명(24.8%), 30대가 90명(27.3%), 40대가 88명(26.7%), 50대가 70명(21.2%)으로 구성되었고, 한 달 평균 지하철 이용회수는 2회 미만이 52.7%로 나타났는데 아직 광주광역시는 지하철 2호선이 착공 전인 상태여서 노선이 적은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Ⅳ. 연구결과 및 해석
1. 광주광역시 도시이미지

응답자들이 생각하는 광주광역시 도시이미지 특성은 문화 예술도시(45.2%), 민주정신의 도시(41.5%)가 다수를 차지하였고<Fig. 30>, 광주광역시를 상징하는 물적 특성 형태는 무등산(37.6%)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5ㆍ18국립묘지(33.3%), 국립아시아문화전당(17.9%), 충장로(6.4%), 구 도청(4.5%) 등의 순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Fig. 31>.


<Fig. 30> 
City Image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Fig. 31> 
Symbolic Material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2. 색상 및 무늬 선호도

지하철 역무원 유니폼 디자인 개발을 위해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부분은 색상인 것으로 나타났고(43%), 형태(29.4%), 문양(18.2%), 소재(8.5%)의 순으로 선호도를 나타냈다. 특히 광주광역시를 상징하는 로고를 활용하는 것에 높은 선호도를 나타냈다(83.9%). 역무원 유니폼 디자인 개발을 위해서 선호하는 색상은 파란색 계열이 가장 높은 응답률이 나타났고(28.5%), 녹색계열(14.2%), 붉은색 계열(13%) 등의 순으로 선호도가 나타났다. 유니폼에 적용된 색상의 개수는 1-2개(40.6%)와 3-4개(42.4%)의 유사한 선호도를 나타냈다<Fig 32, 33>.


<Fig. 32> 
Color Preference for Main Colors of Uniform(%)


<Fig. 33> 
Number of Colors for Uniform Usage(%)

3. 지하철 역무원 유니폼 아이템

광주광역시 지하철 남녀 역무원 유니폼에 대한 아이템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남성 동복의 경우 셔츠(51.8%)와 정장 쟈켓(48.5%), 바지(42.4%)의 형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남성 하복 유니폼의 경우 짧은소매 셔츠(72.4%)와 바지(67.0%)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2>.

<Table 2> 
The Item Preferences for Gwangju Subway Crew Uniforms
Category Item n % Category Item n %
Men’s Winter Clothes suit jackets 160 48.5 Women’s Winter Clothes suit jackets 149 45.2
jumper coat 130 39.4 jumper coat 113 34.2
vest 122 37.0 vest 104 31.5
shirts 171 51.8 pants 153 47.3
one-piece dress 44 13.3
tie 76 23.0 blouses 150 45.5
pants 140 42.4 sweater 93 28.2
sweater 94 28.5 scarf 76 23.0
hat 83 25.2
hat 91 27.6 Women’s Summer Clothes short-sleeved shirts 183 55.5
Men’s Summer Clothes short-sleeved blouses 120 72.4 short-sleeved shirts 239 36.4
short-sleeved T-shirts 140 42.4 short-sleeved T-shirts 125 37.9
pants 221 67.0 skirts 114 34.5
pants 158 47.9
hat 65 19.7 one-piece dress 50 15.2
tie 39 11.8 scarf 40 12.1
hat 55 16.7

여성 역무원의 유니폼의 경우 동복에 대해서는 정장 쟈켓(45.2%)과 블라우스(45.5%), 바지(47.3%)의 형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성 역무원 유니폼 하복에 대해서는 짧은소매 셔츠(55.5%)와 바지(47.9%)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기존 여성 유니폼이 스커트로 구성되어왔던 사례들에 비춰볼 때 최근 여성 유니폼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이 다소 실용적으로 변화된 것으로 사료된다.

4. 지하철 역무원 유니폼 디자인 선호이미지

시민들이 광주광역시 지하철 역무원 유니폼 디자인 선호 이미지에 대해 응답한 내용을 요인분석 한 결과 5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Table 3>.

<Table 3> 
An Analysis of Factors on Considerations in the Development of Uniform
Factor Item Factor loading Cronbach’s α (cumulative variance)
functional design • Absorbent and ventilating
• Easy to wash and care
• Anti-pollution material
• Flexibility
• Anti-wrinkle material
• Solid stitching
• Confidence design
0.84
0.83
0.82
0.81
0.78
0.72
0.52
.92
(23.29%)
visible design • A well-known occupation
• A well-recognition
• Conspicuous design
• Classic and decency design
• Distinguishing from other occupational uniforms
• Tidy and natty design
0.69
0.64
0.63
0.62
0.59
0.49
.78
(36.70%)
differentiated design • Differentiation of design elements
• Differentiation with other city uniforms
• Modern and international design differentiator
0.79
0.76
0.63
.74
(47.67%)
fashionable design • Young and casual design
• Fashionable and trendy design
• Modern design
0.65
0.64
0.63
.73
(56.14%)
active-looking design • Active-looking design
• Active-looking fabric
0.79
0.76
.83
(64.14%)

요인1은 흡수성, 세탁 관리, 신축성, 봉제 등실용적이며 기능적인 착용 및 관리와 관련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므로 ‘기능적 디자인’으로 명명하였다. 이는 Lim & Lee(2014)의 지방자치단체유니폼 이미지 평가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활동성’ 요인, Nam et al.(1997)의 연구에서 나타난 유니폼 구성요소 중 ‘기능성’ 요인, 국가대표 인라인 스케이트 유니폼 디자인 연구(Kwon, 2013) 결과에서 나타난 ‘기능성’ 요인, 패밀리 레스토랑유니폼 디자인 연구(Kim, 2013)에서 나타난 ‘기능성’ 요인과 유사한 결과로써 공공 유니폼 디자인의 기능적 특성과 관련된 요인이다.

요인 2는 공공 유니폼이 다른 사람들에게 잘 드러나 보이고, 눈에 잘 띄는 디자인이었으면 좋겠다는 내용과 관련된 문항으로 구성되어 ‘가시적 디자인’으로 명명하였다. 이 요인은 Lim & Lee(2014)의 지방자치단체 유니폼 이미지 평가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주목성’ 요인과 유사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요인 3은 역무원 유니폼 디자인을 개발하기 위해서 차별화된 디자인과 요소, 타 도시 유니폼과 차별화된 디자인, 현대적이며 국제적인 디자인등에 대한 선호를 나타내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차별화된 디자인’으로 명명하였다. 이 요인은 패밀리 레스토랑 유니폼 디자인에 대한 연구결과 (Kim, 2013)에서 나타난 ‘상징성’과 유사한 요인이다.

요인 4는 젊고 캐쥬얼한 디자인, 유행에 맞고 트랜디함 등과 관련된 유니폼 디자인 선호문항들로 구성되었으므로 ‘유행성’이라고 명명하였다. 응답자들은 광주 도시 이미지를 상징하는 유니폼을 선호하지만, 고전적이고 전통적인 유니폼보다는 젊고 현대적인 감각으로 유행에 뒤지지 않는 유니폼 디자인을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요인 5는 역무원 유니폼 디자인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피착용자에게 활동적으로 보이는 디자인, 활동적으로 보이는 소재를 선호한다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활동적으로 보이는 디자인’으로 명명하였다. 따라서 지하철 역무원이 유니폼을 착용하였을 경우보다 활동적으로 보이는 디자인으로 개발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5. 유니폼 디자인 선호요인과 만족도

도시지하철 역무원 유니폼 디자인 선호요인들 중 일부 요인은 역무원 유니폼 착용이 광주광역시 도시이미지나 전반적인 지하철 이용만족도, 향후 지하철 재이용의도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응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무원 유니폼 디자인 선호요인 중 ‘가시적 디자인’과 ‘차별화된 디자인’ 요인은 역무원 유니폼착용이 광주광역시 도시이미지 제고에 영향을 줄것이라는 응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이는 광주광역시 도시 이미지의 제고를 위한 역무원 유니폼 디자인개발 시다른 지역의 유니폼이나 다른 업종의 유니폼과는 차별적인 광주광역시만의 이미지로 상징적이고, 차별화되게 디자인될 필요가 있으며, 평상복보다는 눈에 두드러진 디자인으로 역무원으로서 공공역할이 드러나게 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Table 4> 
The Influence of Uniform Design Preference on City Image
Dependent Variables Independent Variables t F
The Image of City functional design .440 R2=0.43
F=51.256***
visible design .000***
discriminatory design .000***
fashionable design .761
active-looking design .540

유니폼 디자인 선호요인 중 ‘차별적 디자인’ 요인은 광주시 지하철 역무원 유니폼 착용이 지하철 이용 만족도에 영향을 준다는 응답에 대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5>. 그렇지만, 이 결과는 유니폼 디자인 요인이 지하철 이용만족도에 영향을 직접적으로 미친다는 의미보다는 지하철 이용에 영향을 주는 여러 가지 변수들 중 특히 지하철 유니폼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주어 결과적으로는 전반적인 지하철 이용만족도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응답이 나온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전반적인 지하철 이용 만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유니폼 디자인 개발 측면에서 도 다른 지역 및 타업종 유니폼과의 차별화된 디자인 특성이 있다면 더 효과적일 것이다.

<Table 5> 
The Influence of Uniform Design Preference on Usage Satisfaction of Subway
Dependent Variables Independent Variables t F
Subway Satisfaction functional design .324 R2=0.37
F=40.153***
visible design .220
discriminatory design .000***
fashionable design .130
active-looking design .722

역무원 유니폼 디자인 선호요인 중 기능적 디자인’, ‘차별화된 디자인’, ‘유행적 디자인’ 요인들은 유니폼 착용이 광주광역시 지하철 재이용 의도에 영향을 준다는 응답에 대해 유의한 긍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6>. 광주시 지하철 역무원 유니폼 디자인이 기능적이며, 타 도시와 차별성을 가지고, 유행을 따르는 디자인으로 개발되고, 역무원들이 착용한다면, 시민들이 지하철을 재이용하고자 하는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Table 6> 
The Influence of Design Preference on the Intention to Reuse the Subway
Dependent Variables Independent Variables t F
Intention of Reusing the Subway functional design .000*** R2=0.27
F=26.196***
visible design .093
discriminatory design .001***
fashionable design .035*
active-looking design .199

향후 광주광역시 지하철 개통을 앞두고 수요가 발생 예정인 지하철 역무원 유니폼 개발을 위한 사전자료로 지하철 이용 시민들의 역무원 유니폼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 시민들은 지하철 역무원 유니폼 착용효과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기대를 나타내었는데, 역무원의 유니폼 착용은 필요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지하철 유니폼 디자인은 공공유니폼의 하나로써 도시를 상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함으로써 지하철 이용 승객들에게 여러 가지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측되었다. 광주광역시 시민들이 생각하는 도시이미지는 ‘문화 예술 도시’ 이미지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민주정신의 도시’가 그다음으로 높게 나타났다. 광주광역시를 상징하는 물적 형태는 ‘무등산’이 가장 높게 나타나 향후 역무원 유니폼의 블라우스, 셔츠, 스카프 등의 아이템 디자인을 개발할 때 무등산 관련 모티브가 활용되는 것이 유니폼 선호도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측된다.

지하철 역무원 유니폼 디자인 개발을 위해 시민들이 선호하는 색상은 파란색 계열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녹색 계열, 붉은색 계열 등의 순으로 선호하는 색상이 밝혀졌으며 유니폼에 활용될 색상은 2-4개 정도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니폼에 광주광역시를 상징하는 로고나 무늬를 활용하는 것에 긍정적인 응답이 나타나, 향후 유니폼 디자인 시제품 개발에서는 블루 계열의 색상을 주요색상으로 하되 포인트 색상으로 광주광역시 로고색상인 오렌지 계열 색상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며, 광주광역시와 관련된 텍스트나 로고의 개발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지하철 역무원 유니폼 아이템은 남성 역무원의 경우 셔츠, 재킷, 바지 등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성 역무원의 경우 재킷, 블라우스, 바지의 형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기존 KTX 등 열차 승무원 유니폼 아이템 구성과 유사하게 시제품을 개발하면 될 것 같다.

지하철 역무원 유니폼 디자인 개발을 위해 고려해야 할 요인은 ‘기능적 디자인’, ‘가시적 디자인’, ‘차별화된 디자인’, ‘유행적 디자인’, ‘활동적으로 보이는 디자인’ 등 5개의 요인으로 밝혀졌는 데, 특히 ‘가시적 디자인’ 요인과 ‘차별화된 디자인’ 요인은 광주광역시 도시이미지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능적 디자인’ 요인과 ‘차별화된 디자인’ 요인, ‘유행적 디자인’ 요인 등은 시민들이 지하철을 재이용하고자 하는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실제 유니폼 디자인 개발시 이점을 고려해야할 필요가 있다.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도시철도 2호선 착공을 앞두고 있는 광주광역시 지하철 역무원 유니폼 디자인 개발에 앞서 공공유니폼으로서 목적달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역무원 유니폼 디자인에 대한 시민들의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이처럼 공공디자인으로써 유니폼을 개발하기 전에 시민들의 선호도를 조사하는 것은 향후 노선이 확대될 지하철의 높은 이용빈도와 만족도 뿐만 아니라 도시 상징성 및 이미지 제고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수 있는 실제적인 유니폼 디자인 개발에 구체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다.

실증적 연구결과를 보면, 광주광역시 시민들은 지하철 역무원 유니폼 착용효과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기대가 나타났는데, 역무원의 유니폼 착용은 필요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지하철 유니폼 디자인은 공공유니폼의 하나로써 도시를 상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함으로써 지하철 이용 승객들에게 여러 가지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측되었다. 광주광역시 시민들이 생각하는 도시이미지는 ‘문화 예술 도시’ 이미지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민주정신의 도시’가 그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다. 광주광역시를 상징하는 물적 형태는 ‘무등산’이 가장 높게 나타나 무등산에 대한 시민들의 선호와 애정은 매우 높은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유니폼 디자인 개발 시 무등산과 관련된 무늬나 로고, 색상 등의 사용이 고려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지하철 역무원 유니폼 디자인 개발을 위해 시민들이 선호하는 색상은 파란색 계열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뒤를 이어 녹색 계열, 붉은색 계열 등의 순으로 선호하는 색상이 밝혀졌으며 유니폼에 활용될 색상은 2-4개 정도를 선호하였다. 유니폼에 광주광역시를 상징하는 로고나 무늬를 활용하는 것에 긍정적인 응답이 나타났고, 향후 유니폼 디자인 개발에서 광주광역시와 관련된 로고나 상징물에 대한 이미지 문양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지하철 역무원 유니폼 아이템은 남성 역무원의 경우 셔츠, 재킷, 바지 등을 선호하였으며, 여성 역무원의 경우 재킷, 블라우스, 바지의 형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들이 선호하는 지하철 역무원 유니폼 디자인 이미지들은 ‘기능적 디자인’, ‘가시적 디자인’, ‘차별화된 디자인’, ‘유행적 디자인’, ‘활동적으로 보이는 디자인’ 등 5개의 요인으로 밝혀졌다. 도시 공공이미지를 위한 유니폼 디자인 개발은 향후 광주광역시 지하철 이용 시민들에게 이용 만족도를 높여줄 수 있고, 도시이미지 차별화와 이미지 제고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시적 디자인’ 요인과 ‘차별화된 디자인’ 요인은 광주광역시 도시이미지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별화된 디자인’ 요인은 지하철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다른 도시나 타 업종과 차별화되는 유니폼 디자인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기능적 디자인’ 요인과 ‘차별화된 디자인’ 요인, ‘ 유행적 디자인’ 요인 등은 시민들이지하철을 재이용하고자 하는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실제 유니폼 디자인 개발 시 고려해야할 필요가 있다.

도시이미지는 여러 가지 형태와 내용으로 표현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유니폼을 통해 광주광역시의 이미지를 관광객이나 시민들에게 호의적으로 전달, 확산시키는 방법으로 활용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으며, 지하철 이용 시민들의 선호도를 사전 조사함으로써 향후 개발된 역무원 유니폼에 대한 만족도를 제고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정부지원 산ㆍ학ㆍ관 협업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진행하게 될 도시이미지를 활용한 광주광역시 지하철 역무원 유니폼을 위한 DTP 텍스타일 디자인 및 유니폼 디자인 개발에 기초 자료로 제공되어 활용될 예정이며(J. Y. Kim, 2019), 선호도 결과를 바탕으로 개발된 DTP 디자인과 유니폼 디자인은 디지털화하여 향후 광주광역시 공공 유니폼 시제품 개발 및 생산에 활용이 가능하게 할 목적을 갖고 있다. 시제품 개발 이후에는 산학이 공동으로 광주도시철도공사에 제안서를 제출하는 등의 행정절차에 따라 지하철 역무원 유니폼 디자인을 개발, 실무적용 단계를 진행시키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실무적인 활용방안에 대해서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블라우스나 셔츠 용도로 활용될 DTP 직물 디자인의 경우 무등산이나, 광주광역시 영문 로고, 광주를 상징하는 ‘빛의 도시 광주’, ‘The city of light’ 등의 텍스트가 활용된 텍스타일 디자인이 가능할 것이다. 메인색상은 블루계열이 선호색상으로써 우선적으로 제안될 수 있고, 서브컬러도 광주광역시 로고 색상인 오렌지 계열 등이 활용 가능할 것이다. 타도시의 공공유니폼과 차별화된 디자인을 위해 직물이나 자수 디자인 등을 시도할 필요가 있고, 남성과 여성 유니폼, 동복과 하복 유니폼 상호간의 이미지가 연관되어 공공이미지 제고 효과에 시너지가 될 수 있도록 개발될 필요가 있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실제 유니폼 시제품 개발을 위해서 지역의 유니폼 전문 업체와의 산학협력을 통해 공공유니폼인 광주광역시 지하철 역무원 디자인을 공동 개발하고, 유니폼으로 활용 가능한 텍스타일 디자인이나 동계, 하계 유니폼 아이템별 디자인 도식화들을 디지털화 시키려고 한다. 광주광역시 도시이미지를 바탕으로 한 공공유니폼 디자인에 대한 DB가 구축되면 향후 광주광역시의 다양한 공공유니폼 개발 수요를 위한 디자인 제안과 관련된 산학기반 특허 디자인 출원이 가능하고, 시제품디자인 개발 및 수익창출이 가능할 것이다. 공공유니폼 개발 연구들이 결과적으로 타 도시와 차별화된 산학협력기반 공공디자인 유니폼 개발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수익모델 사례가 될 가능성도 기대할 수 있고, 지역사회 이미지 제고 등 지방자치도시 발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 결과 후속연구를 위해 제안할 내용은 다음과 같다. 지하철 역무원 유니폼에 대한 시민들의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개발된 텍스타일 디자인과 유니폼 시제품 디자인에 대한 착용자 즉 역무원들의 선호도 조사가 후속적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이 두 개의 연구결과에 따라 보완된 텍스타일 디자인과 유니폼 디자인이 가장 디자인 만족도가 높은 결과로 이어질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조사 응답자는 피착용자에 한정된 응답이므로, 유니폼 아이템의 종류나 개수는 실제 역무원들의 수요 아이템 및 개수를 파악해서 시제품 디자인 개발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


Acknowledgments

본 논문은 교육부 및 한국연구재단의 재원으로 지원을 받아 수행된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의 연구결과임.


References
1. Ahn, J. K. & Kim, J. Y. (2010). A study on the public design policy for city image improvement. Journal of Korea Intitute of Spatial Design, 5(2), 51-60.
2. Ahn, M. Y., Lee, Y. H., Park, J. O., Suh, M. A., & Jin, S. M. (2006). The Uniform Design Development Applied to an Industry - University Project -Focused on Korean Tobacco and Ginseng Corporation`s Uniform-.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4(1), 27-39.
3. ARCH Team. (2014, February 21). Establishing Identity with Design. ARCH. Retrieved from https://www.archedu.org/blog/establishing-identity-with-design/
4. Bae, S. H. (2016, December 28). Gwangju City Commences Master Plan for Public Design. NEWSIS. Retrieved from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50601_0013699873&cID=10809&pID=10800
5. Busan subway. (n.d.). In Humetro. Retrieved from https://www.humetro.busan.kr/homepage/default/page/subLocation.do?menu_no=1001060101
6. Byun, H. C. (2019, November 24). Manager Ju-hwan Seok and Chief Yi-yun Choi of the city railroad saved passengers who suddenly fell by CPR “The biggest attraction of station workers is that anyone can help.” [갑자기 쓰러진 승객 심폐소생술로 살린 도시철도석주환 과장ㆍ최이윤 주임 “누군가 도울 수 있다는 게 역무원의 가장 큰 매력이죠”]. The Busan Ilbo. Retrieved from https://news.naver.com/main/read.nhn?oid=082&aid=0000960360
7. Cha, J. G. (2018). A Study on the Brand Activation Strategy of Gwangju UNESCO creative city of Media Arts: Focus on the analysis of UNESCO creative cities network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sun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8. Chang, D. R., Jun, M. Y., & Kwon, S. K. (2010). A Study on Place Branding for Promotion of the Value of City Brand.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3(2), 351-366.
9. Choi, C. P. (2016, March 10). "Money in lockers" Subway station staff blocked voice phishing ["보관함에 돈다발이" 지하철 역무원 보이스피싱 막아]. Yonhap News Agency. Retrieved from https://www.yna.co.kr/view/AKR20160310195200004
10. Corporation Business Guide - General control room [공사업무 알리기 – 종합관제실]. (2019, June 25). Gwang ju Metropolitan Rapid Transit Corporation. Retrieve d from http://www.grtc.co.kr/subway/board/view.do?rbsIdx=66&idx=34
11. Fashion Designing Courses. (n.d.). Retrieved from https://www.scoop.it/topic/fashion-designing-courses?page=3&tag=design
12. Gwanju Metropolita City. (n.d.). In Gwangju Vision. Retrieved from https://www.gwangju.go.kr/contentsView.do?pageId=www592
13. Hwang, J. Y. (2007, July 1). Gwangju Metropolitan Government Creates the First “Public Design” Ordinance. KPS. Retrieved from http://www.csojournalist.com/?wz_newno=1966&wz_spage=s4_view
14. Jeon, S. H. (2013, January 14). Record 17.5 Laps without accident by subway [지하철로 지구 17.5바퀴 무사고 대기록]. The Segye Times. Retrieved from https://news.naver.com/main/read.nhn?oid=022&aid=0002482252
15. Jeon, W. Y. (2018, November 30). Water flooding out of the underground water pipe junction of the Daejeon Metropolitan Subway Wolpyeong Station [대전도시철도 지하철 월평역 지하수배관 접합부 빠져 물 홍수]. Geumgang Ilbo. Retrieved from http://www.newspic.kr/view.html?nid=2018113011170002487&cp=z2cdV98d&pn=112&utm_medium=affiliate&utm_campaign=2018113011170002487&utm_source=donpush#_svo
16. Ji, W. H. (2019, June 18). Tens of millions won left in Daegu subway, employees find wallet and return it to owner [대구지하철에 놓고 간 수천만원, 직원이지갑 찾아 주인에 돌려줘]. Kyungbukl Shinmun. Retrieved from http://m.kbsm.net/index.php
17. Jo, J. Y. (2019, July 31). Nongsung station staff blocked voice phishing [농성역 역무원, 보이스피싱 막았다]. Gwangjuin. Retrieved from http://www.gwangjuin.com/news/articleView.html?idxno=204731
18. Jung, C. H. (2019, March 7). Incheon Transportation Cor poration, Announcement of comprehensive manage ment plan to reduce fine dust [인천교통공사,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종합관리계획 발표]. Rail News. Retrieved from http://www.itrailnews.co.kr/mobile/article.html?no=34234
19. Kampschulte, A. (1999). Image as an Instrument of Urban Management. Geographical Helvetica, 54(4), 229-241.
20. Kang, G. C. (2013).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Underground Space as a Future Space of 21C: Focused on the Underground Station of Urban Railway in Seoul.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10(2), 35-40.
21. Kim, C. S. (2006). Understanding of Urban Space. Seoul, Republic of Korea: Kimoondang Publishing.
22. Kim, G. S. (2013, August 13). Urban railway staff, safety barrier installation training [도시철도 직원, 안전막설치 훈련]. Daejeon news. Retrieved from http://www.daejeon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10445
23. Kim, H. T. (2019, December 3). Shin Soo-jeong Gwangju Representative, "Necessary for separate collection of garbage with uniform design". The Hankook Times. Retrieved from http://www.hktimes.kr/read.php3?aid=1575383105122700005
24. Kim, J. G. (2019, August 1). Gwangju Subject Line 2 starts construction in early September, stage 1 opens in 2023. The Korea Times. Retrieved from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908011682789539?did=DA&dtype=&dtypecode=&prnewsid=
25. Kim, J. H. (2017, April 19). Chae-woo Im of Incheon military arms office responsible for civil safety [인천병무지청, 시민안전 책임지는 임채우 사회복무요원]. Korea Special Press News. Retrieved from http://kspnews.com/sub_read.html?uid=92086
26. Kim, J. J. (2011). A Study on Necessity of Symbolic Sculpture According to City Image -Focused on Symbolic Sculpture of Gwangju-. The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14(4), 45-54.
27. Kim, J. S. (2019, January 28). Gwangju urban railway Line 2 selected design preferred by citizens, made from November. Yonhap News. Retrieved from https://www.yna.co.kr/view/AKR2019012812930005 4?input=1195m
28. Kim, J. Y. (2019). The Station Employee Uniform Design Development of the Gwangju Subway 2nd Line for City Brand Building. Hub-Honam University for Industrial Collaboration.
29. Kim, J. Y. & Jang, J. A. (2016). Development of Uniform Shirts for Intra-City Bus Drivers in Bus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2(4), 111 -126.
30. Kim, M. J. (2008). Designing National Museum of Korea Uniform inspired by Korean Symbo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hwa womans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31. Kim, P. S. (2019, October 23). Gwangju metropolitan ra pid transit corporation selected as 'Min chul Lee e ngineer' [광주도시철도공사, 으뜸기관사에 ‘이민철기관사’ 선정]. NBN News Agency. Retrieved from http://www.nb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2121
32. Kim, S. G. (2016, December 30). Selected as Dong-Gun Lee engineer from topcon, Incheon transportation corporation [인천교통공사 탑콘에 이동건 기관사 선정]. Asia News Agency. Retrieved from https://m.anewsa.com/article_sub3.php?number=1111014&type=&mobile=#_enliple
33. Kim, S. H. (2016, January 20). Busan subway sweeper receives commuter tickets after 31 years [부산지하철 미화원 31년만에 출퇴근용 승차권 받는다]. Yonhap News Agency. Retrieved from https://www.yna.co.kr/view/AKR20160120094600051
34. Kim, S. Y. (2013). Uniform Design Development of Family Restaurant.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5(3), 79-90.
35. Kim, Y. H. (2016, May 26). Daegu, removes safety fence by installing screen door [대구, 스크린도어 설치한다고 안전펜스도 철거하다니]. Peace News. Retrieved from http://m.pn.or.kr/news/article-View.html?idxno=14203
36. Kim, Y. T. (2016, December 13). Station staff save two lives with first aid [역무원들 응급조치로 두 생명구해]. The Kyungbuk Maeil. Retrieved from https://www.kb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401762
37. Kwon, S. H. (2013). Development of a Uniform Design for the National Inline Skating Tea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3(2), 53-72.
38. Lee, G. H. (2013, May 7). ‘Reassurance helper’ in Daejeon Subway [대전지하철에 ‘안심도우미’ 떳다]. The Herald Business. Retrieved from http://biz.heraldcorp.com/common_prog/newsprint.php?ud=20130507000996
39. Lee, H. J. (2015, June 20). Gwangju Subway Honam Line KTX Opening Effect, the number of passengers in creased by 70,000 in the second quarter. dongA.com. Retrieved from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150720/72594071/1
40. Lee, K. H. (2014). All about Uniform. Seoul, Republic of Korea: Gyoungchoonsa.
41. Lee, M. Y. (2006). City and Culture. In I. Kim Editor & S. J. Park Editor (Eds.), Urban Geography and Urbanology. Seoul, Republic of Korea: Purungil Book.
42. Lim, S. M. (2011). A Study on the Uniforms as Public Design: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Uniform Design for Public Domain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43. Lim, S. M. & Lee, M. S. (2011).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I and Color Image to Uniforms: Focused on Uniforms of City Hall Public Service Center in the Local Governm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7(1), 514-529.
44. Lim, S. M. & Lee, M. S. (2013). The Uniform Design Development to Build a City Brand using its Culture: Focusing on “Kwangju, The Cultural Hub City of Asi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3(4), 70-83.
45. Lim, S. M. & Lee, M. S. (2014). An Evaluation of the Public Uniform Image to Improve City Image - Focusing on the Service Staff Uniforms in the City Hall of Seoul & Gwangju -. Journal of Fashion Design, 14(4), 137-152.
46. Moscow Mayor official website. (2017, March 22). Moscow metro staff to have new uniform in time for 2017 FIFA Confederations Cup. Moscow Mayor official website news. Retrieved from https://www.mos.ru/en/news/item/21922073/
47. Na, H. S. & Bae, S. J. (2016). Uniform Design development using visual image of regional cultural resour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2(1), 345-358.
48. Nam, Y. J., Kim, K. I., & Lee, Y. J. (1997). A Survey on Uniforms and Development of Design (1).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1(2), 455-470.
49. Naver Blog. (2017, June 4). Retrieved from https://blog.naver.com/goindol115/221021162204
50. Naver Blog. (2019, September 24). Retrieved from https://blog.naver.com/emotionalworker/221693851108
51. Oh, E. Y. & Jeong, B. H. (2013). A Study on the Impact of TOD Planning Factors on Public Transit Demand: The Case of Subway Station Area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KRUMA, 26(4), 219-239.
52. Public Opinion Committee on Gwangju Metropolitan Railway Line 2. (2018). A Study on the Public Opinion on the Construction Consortium of Gwangju City Subway Line 2, p. 5.
53. Pyun, D. U., Jo, H. J., & Oh, S. G. (2017, December 29). John Wayne of Busan Subway, 50 sheriffs [부산지하철 뜬 ‘존 웨인’, 50인의 보안관]. Busan 50+ Career & Job Center. Retrieved from https://www.busan50plus.or.kr/community/take/view?uid=114
54. Ryu, H. G. (2015, June 9). Gwangju subway MERS preventive cleaning [Gwangju subway MERS preventive cleaning]. The JoongAng Ilbo. Retrieved from https://news.joins.com/article/17984944
55. Seoul subway. (n.d.). In Seoulmetro. Retrieved from http://www.seoulmetro.co.kr/kr/page.do?menuIdx=503
56. Shao, C. Q. & Lee, M. S. (2014). Evaluation of the Image of Korean: Chinese Airline Crew`s Uniform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4(8), 111-123.
57. Shenyang Metro. (n.d.). In Shenyang metro, tramway. Retrieved from http://www.subways.net/china/shenyang.htm
58. So, C. Q. (2014). Flight Attendant Uniform Image Evaluation for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Korean and Chinese Airlin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59. Song, C. H. (2018, December 24). Gwangju Urban Railway Line 2, 'Citizens favorite vehicles style'. Newsis. Retrieved from https://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8978066
60. Subway. (n.d.). In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Retrieved from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54454
61. Syn, H. Y. (2000). A Study on the Uniform Design for Post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0(7), 33-46.
62. White, leslie A. (1996). The concept of culture. (M. W. Lee, Trans.). Seoul, Republic of Korea: Iljisa Press. (Original work published 1973)
63. Yang, J. S. (2019, July 3). Face of Seoul Transportation Corporation, Introducing the employee promotion model! [서울교통공사의 얼굴, 직원 홍보 모델을 소개합니다!] [Webzine]. Seoul Metro Newsletter. Retrieved from http://webzine.seoulmetro.co.kr/enewspaper/articleview.php?master=&aid=1793&ssid=73&mvid=685
64. Yang, S. M. (2015, December 4). Selected by Man-ho Choi as Daejeon Metropolitan Rapid Transit Corporation this year [대전도시철도공사 올해 ‘최우수기관사’ 최만호 씨 선정]. Chungcheong Today. Retrieved from http://www.cc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9427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