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Journal Archiv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ol. 71 , No. 1

[ Articl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ol. 71, No. 1, pp. 103-118
Abbreviation: JKSC
ISSN: 1229-6880 (Print) 2287-7827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28 Feb 2021
Received 29 Jan 2021 Revised 12 Feb 2021 Accepted 19 Feb 2021
DOI: https://doi.org/10.7233/jksc.2021.71.1.103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문화 적응을 위한 전략적 수단으로서 의복의 역할과 정체성 재구성과의 관계
김태연 ; 이윤정
서원대학교 패션의류학과 조교수
고려대학교 가정교육과 교수

The Reconstruc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Self-Identity and the Role of Clothing as a Strategic Means for Cultural Adjustment in South Korea
Tae Youn Kim ; Yoon-Jung Lee
Assistant Professor, Dept. of Fashion and Clothing, Seowon University
Professor,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Korea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Yoon-Jung Lee, e-mail: yleehe@korea.ac.kr

Funding Information ▼

Abstract

This study analyze the role of clothing as a strategic means to improve North Korean defectors' cultural adjustment in South Korea from a detailed, everyday life point of view and discusses the aspects of reconstruction of their self-identity during this adjustment process. For this, 10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ir 20-40's were selected through snowball sampling. The data was collected by in-depth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analyzed with multiple case approach. The results showed that some North Korean defectors perceive themselves as superior to South Koreans in clothing-related cultural contexts or conceive of themselves as special individuals through the realization of their unique appearance. The results also found that there were cases of construction of flexible identity by selective reception of South Korean fashion style, the pursuit of individual character, and cases where a self-defensive identity formed through passive and restrictive reception of South Korean clothing culture. Furthermore, the results revealed subjects’ resistive attitudes toward South Koreans' attire while still observing North Korean convention and clothing norm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otentially help the development of socio-cultural programs or social networks which can contribute to North Koreans' cultural adjustment through the use of clothing.


Keywords: clothing, cultural adjustment, North Korean defector, self-identity, South Korea society
키워드: 의복, 문화적응, 북한이탈주민, 정체성, 남한사회

Ⅰ. 서론

북한이탈주민은 1998년 이후 꾸준하게 증가하였으며 2019년에 1,047명, 2020년 9월 기준으로 195명이 입국하여 총 33,718명이 남한에 거주 중 이다(Policy on North Korean Defectors, 2020). 연령대별 입국 현황을 보면, 30대가 28.7%로 가장 높고 20대 28.4%, 40대 17.7%, 10대 11.3% 순으로 20-30대의 비율이 전체 57.1%를 차지하고 있다. 입국자 성별 현황은 2019년 기준으로 여성의 비율이 80.7%로 남성보다 월등히 높다(Policy on North Korean Defectors, 2020). 이처럼 북한이탈주민은 우리 사회를 구성하며 문화를 공유하는 일원으로서 이들을 대상으로 남한사회 적응에 초점을 둔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적응 관련 연구는 탈북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 경우, 경제적ㆍ사회문화적 차원에서 사회적 관계와 여가생활, 가족 구성원ㆍ부모ㆍ직업상의 역할을 통한 사회적응도를 알아보거나(Kang, 2011; Lee, 2006; Lee & Hwang, 2008; Ryu, 2001), 탈북 동기별 남한사회 적응 양상(Jung et al., 2013), 남한사회 적응 실태와 부적응 요소(Chae, 2017; Kim, 2015; Lee, 2006; Lee & Lee, 2020), 사회적 적응에 대한 인식과 유형(Cha, 2017; Yeo, 2015), 남한사회 적응에 미치는 영향 요인(E. Kim, 2019; M. Kim, 2019; Lee & Hwang, 2008), 북한이탈주민의 적응 지원을 위한 사회적응 프로그램 현황(Kim, 2011)이나 지원정책 실태(Ha, 2009), 생활 만족도(Jang & Lee, 2016; Kwak, 2011; Lee & Kim, 2020)를 다룬 연구들이 대부분이다. 북한이탈주민 개인의 심리ㆍ정서적 적응 차원에서는 남한사회에의 적응 또는 사회통합에 있어서 이들의 가치관(Park & Do, 2019)이나 정체성(Cho, Hong, Lee, Yi, & Cho, 2014; Choi, 2020; Choi & Kim, 2020; Lee, Pak, & Lim, 2019)의 변화를 다룬 연구가 있다.

위와 같이 기존 연구들은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사회 적응을 주로 사회적, 경제적, 심리적 차원에서의 적응 또는 부적응 요인과 그 수준에 대해 다루고 있다. 그러나, 북한이탈주민의 원활한 사회적응에는 여전히 한계점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Jeon, Yoon, & Um, 2004; Ha, 2009) 오히려 미시적 차원의 일상생활 속 생활양식 차이를 통해 경험하는 남북한 문화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적응과정을 다룬 연구는 부족하다. 실생활 속에서 생활양식의 수용이나 일상적ㆍ습관적 생활 방식의 습득은 문화적응 범주에 포함되며(Lee & Hwang, 2008; Yoon, 2001) 한 사회 내 소수집단에 속한 개인이 일상 속 주변 환경이나 상황에 어떻게 적응하는지 파악하기 위해서는 문화 적응 관점에서 생활양식과 관련된 개인의 가치, 태도, 행동을 변화시키는 과정을 중심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Lee, 1997; Chae, 2011).

이에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사회 내 적응행태를 연구하기 위해 문화 적응 관점에서 의식주 생활양식 영역 내 소비 주체로서 북한이탈주민을 바라보고, 탈북 후 남한 사람과 비슷하게 외모를 모방하고 가꾸는 것이 이들에게 문화 적응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만큼(Kim, 1999), 의생활 영역의 개인적 경험을 통해 의복이 어떻게 이들의 남한 문화 적응을 위한 전략적 수단으로 이용되는 지 분석하고자 한다. 북한이탈주민은 남한 문화적응과정 동안 과거와 현재의 자아 간 정체성 충돌을 경험할 수 있으므로(Park & Do, 2019) 남한에서 자신의 개인적, 사회적 정체성을 규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Lee et al., 2019). 따라서 본 연구는 개인의 일상적 의생활 차원과 남북한 의복 문화의 이질성을 경험할 수 있는 사회적 상호작용차원에서 북한이탈주민이 자신의 고유한 의복 가치관이나 행동이 드러나는 개인적 정체성과 남한의복 문화의 수용 또는 거부나 북한 문화의 고수를 통해 규정될 있는 사회적 정체성을 어떻게 조정하고 재구성하는지 논의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정체성 재구성 과정에서 의복의 역할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Ⅱ. 이론적 배경
1. 북한이탈주민의 개념에 대한 학술적 관점

북한이탈주민은 북한을 탈출해 대한민국으로 입국한 사람으로(Joung, 2020) 보호ㆍ정착지원법 상 통칭하여 사용하는 용어이다(Kim, 2015). 북한이탈주민은 자발적인 이주(移住)라는 점에서 이주민이지만(Kim, Lee, & Kim, 2011) 탈북 후 본국으로 귀환 희망 시, 자유 결정권이 없는 점에서 난민(難民)의 성격도 있다(Kim, 2007). 북한이탈주민이라는 용어는 ‘탈북 후,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이주민’과 ‘북한을 탈출한 난민 또는 망명자’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사용되어 왔다(Sul & Song, 2015). 따라서 북한이탈주민은 관점에 따라 탈북자, 탈북 난민, 탈북 주민, 월남자, 새터민 등 다양한 대체용어로 지칭된다. ‘탈북자’는 북한의 정치적 박해를 피해 자유주의 체제로 넘어 온 사람이 라는 의미이고 ‘새터민’은 비정치적 관점에서 새로운 삶의 터전에서 사는 사람을 의미하며 ‘이주민’은 경제적 이유로 이주해 온 자로서 다른 외국인 이주민과 유사하게 보호 지원 대상자의 관점에서 사용된다(Kim, 2015).

이에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적응과정 관련 연구는 이들을 난민적 또는 이민자적 관점 중 어떤 시각에서 바라보는지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Eom & Lee(2004)은 북한이탈주민이 탈출 과정과 정착지 적응과정에서 경험하는 심리적ㆍ정신적 스트레스 상황은 일반적으로 난민이 겪는 경험과 유사하다고 하였지만, Chae(2017)는 북한주민들의 탈북이 과거와 달리 단순 탈출이기 보다 더 좋은 삶을 위한 이주적 성격을 가진다고 하였다.

최근 관련 연구에서도 북한주민의 탈북은 난민 차원이 아닌 이주자 차원에서 논의될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이들의 탈북 현상이 과거와 달리 다양한 양상을 띠고 있어 난민의 관점에서 접근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이들의 남한사회 적응은 이주자 관점에서 새로운 사회로의 정착 과정으로 재조명되어야 한다고 하였다(Lee, 2006; Yoon, 2019). Choi(2020), Choi & Kim(2020)은 북한이탈주민을 남한사회의 소수 이주민으로 보고 이들의 정체성 변화를 조사하였고, Yeo(2015)도 이주민 관점에서 이들의 남한사회 적응과정 중 만족도와 어려운 점을 조사하였다. Rha & Park(2019)는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의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소비생활을 접하므로 남한 소비생활에 적응해야 하는 소비 주체로 간주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을 소수 이민자 및 남한사회 주민으로서 수용할 대상이자 남한의 일상생활 속 능동적 소비를 하는 소비자로 간주하고 이들의 남한사회 적응과정을 다루고자 한다.

2.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내 문화 적응 요인과 문화 적응 유형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적응을 다룬 기존 연구들은 주로 사회경제적 요인이 포함된 환경적ㆍ심리적 차원에서 겪는 문제점이나 스트레스, 만족도를 조사해왔다(Cho, Jeun, Yu, & Um, 2005). Jung, Son, & Lee(2013)은 북한이탈주민들의 남한사회 적응을 환경적ㆍ심리적 차원으로 구분하고 환경적 적응 요소인 남한의 법과 사회적 제도, 문화, 언어, 직장생활 등에서의 효과적 적응이 심리적 적응 요소인 재북가족에 대한 죄책감, 관심ㆍ흥미의 범위, 이방인 같은 느낌, 위축이나 두려움, 희망감이나 자신감 등에서도 적응력이 높다고 하였다.

한편,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적응 차원 중 환경적 차원의 문화적 요인은 스트레스나 삶의 만족도와 같은 심리적 차원에 영향을 미치므로 이들의 문화적 적응을 세분화하여 연구할 필요성도 제기되어 왔다(Cho et al., 2005; E. Kim, 2019). 남한사회의 다양한 문화적 요소를 대상으로 북한이탈주민의 문화 적응을 조사한 연구 중 실증조사의 경우, 소득, 주거환경, 이웃 관계, 생활전반의 만족도를 묻는 상당히 포괄적인 측정 항목을 사용하거나(Chae, 2011) 사회적 관계 및 여가생활 시 갖는 역할, 가족 구성원으로서 또는 이성교제에서의 역할 등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하고 있다(Lee & Hwang, 2008). 한자나 외래어와 같이 남한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어려움이나 북한식 언어의 사용과 같은 언어적 이질감을 통해 남한 문화 적응 여부를 조사한 연구도 있다(M. Kim, 2019). 심층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법을 사용하거나 기존 문헌고찰에 의해 북한이탈주민의 문화 적응을 조사한 경우, 문화 적응 관련 요인으로 이웃, 직장동료들과의 관계, 종교 활동 여부를 다루거나(Lee, 2006; Yu, Oh, & Jeon, 2012) 북한식 억양과 남한의 외래어에서 오는 언어문화차이에 의한 이질감(Joung, 2020), 언어 사용(Yeo, 2015) 소통의 어려움(Kim, 2015), 소통 방식에 대한 이해 부족(Lee & Lee, 2020) 등 주로 언어문화를 중심으로 다룬 연구가 대부분이다.

기존 선행연구들은 이러한 다양한 문화적 요인을 중심으로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문화 적응을 Berry(1997)의 문화 적응 유형론을 토대로 분석한 경우가 많다. 즉, 기존 북한 문화와 새로운 남한문화 두 개의 축을 기준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문화적 요인에서 남한 문화의 수용 및 북한 문화 유지 정도를 측정하여 두 문화의 수용 정도가 높은 경우 통합(integration)형, 남한 문화 수용 정도가 높을 시 동화(assimilation)형, 북한 문화 유지 정도가 높을 시 분리(separation)형, 남한 문화의 수용이나 북한 문화의 유지 정도가 모두 낮을 시 주변화(marginalization)로 구분하여 논의하고 있다(Chae, 2017; Joung, 2020; Lee & Hwang, 2008; Yeo, 2015; Yoon, 2012). 그러나, 이러한 네 가지 유형론을 중심으로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문화 적응도나 사회 만족도 등을 논의하기에는 네 가지 유형 이외의 예외적 사례나 미시적 차원의 적응요인, 개인의 내적 특징들을 간과할 수 있으므로 개인의 생활양식이나 다양한 경험 등을 포함한 분석 범위를 확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3.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내 의생활과 문화 적응

남한사회 적응에 도움이 되는 문화적 기제는 언어 요인 외에 외모 가꾸기(Kim, 1999), 의복(Cho et al., 2014), 일상생활 속 소비 방식(Rha & Park, 2019)을 들 수 있다. 북한이탈주민은 남한의 식생활이나 주생활보다 의생활 적응에 상대적으로 어려움을 덜 인지하지만(Rha & Park, 2019), 자신이 남한 사람과 구별되고 남한사회에 적응해야 할 존재임을 인식하게 되는 계기는 외모나 의복 스타일의 차이를 느낄 때라고 한다(Cho et al., 2014). Cho et al.(2014)는 남한 입국 초기에 북한이탈주민의 외모는 남한 사람과 다르므로 이들은 자신의 옷차림, 피부색, 헤어스타일을 통해 자신을 북한 사람으로 재확인할 수 있고 남한 정착 과정 중 남한 사람과의 옷차림 차이에서 문화적 열등감을 느낄 수 있다고 하였다.

이처럼 북한이탈주민은 의복을 통해 남북한 문화의 이질감을 느끼므로 일부 선행연구들은 이들의 의생활 맥락에서 문화 적응을 다루고자 하였다. Jo & Ha(2018)는 이민자의 의복에 의한 새로운 문화 적응은 기존 문화와 새로운 문화 간에서 느껴지는 의복 규범, 신체 이미지, 윤리적 정체성, 쇼핑 성향 차이에서 논의될 수 있으며 북한이탈주민의 의복 문화 적응 분석 결과, 이들이 북한 거주 시 대부분 의복에 많은 제약이 따랐고 쇼핑 경험도 부족했기 때문에 남한의 의복 규범에 익숙하지 않은 편이며 새로운 유행 수용에 개인 간 차이가 있다고 하였다. 또한, Berry(1997)의 문화 적응 유형을 토대로 상황에 맞는 남한 의복 규범의 수용과 북한식 미적 취향의 유지 정도 등에 따라 통합 및 동화 유형과 패션에 무관심한 주변화 유형을 제시하였다. Choi, Jang, & Lee(2020)은 남한의 문화 이질성에 대한 북한이탈주민의 적응기제로서 남한에서의 의생활 어려움 경험 정도가 이들의 자아존중감을 조절하는 요인이 되는지 살펴본 결과, 자아존중감이 남한사회에 적응하는데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남한에서의 의생활에 어려움을 겪을수록 그 영향력은 감소한다고 하였다.

의복이나 옷차림을 통한 남북한 문화적 차이 경험에 의해 북한이탈주민은 자신의 남한사회에의 적응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시적 차원의 의생활 영역에서 북한이탈주민의 문화 적응을 다룬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이에 선행연구에서 주로 다루지 않았던 남한사회 적응과 관련된 문화적 표식으로서 북한이탈주민의 의복이나 옷차림을 중심으로 한 문화 적응과정이나 양상에 대해 분석할 필요가 있다.

4.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문화 적응과정에서의 정체성 변화

북한이탈주민들은 일반적으로 남한 문화 습득에 시간이 걸리고 경우에 따라 남한 문화를 체득하지 못하거나 정체성 협상이 이루어지지 않아 여전히 이방인으로서 정체성을 확립하지 못할 수도 있다(Lee & Hwang, 2008). 북한이탈주민의 정체성 혼란이나 정체성 획득 문제를 다룬 기존 연구들은 이들을 남한사회 시민으로서 정체성 재구성이 시급히 필요한 존재로 설정하고 결과적 측면에서 남한사회 적응 여부 문제만을 강조한다(Cho et al., 2005; Park & Do, 2019). Yoon(2012)Berry(1997)의 문화 적응 유형론을 토대로 북한이탈주민의 문화 적응 유형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 동화형에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나 북한 출신으로서의 정체성을 유지하기보다 남한 문화와 정체성을 수용하려는 경향이 높다고 하였다. 2016년 경제사회통합실태조사 결과에서도 남한 적응을 위해 북한식 생활습관이나 사고방식을 버려야 한다고 생각하는 북한이탈주민이 73.2%로 나타나 북한 문화를 자랑스럽게 여기고 북한 사람으로서의 정체성을 지키기보다 남한 문화와 정체성에 동화되려는 경향이 높음을 알 수 있다(Yoon, 2019). 이러한 기존 선행연구들은 북한이탈주민이 정체성 혼란에서 탈피하여 남한 문화에의 동화 또는 통합 여부에 초점을 두고 북한이탈주민의 문화 적응과정보다는 그 결과를 살펴보는데 치중되어 있다. 이에 북한이탈주민과 같이 새로운 문화에 적응해야 하는 이주민의 정체성 개념은 새로운 문화와 그 구성원과의 접촉 경험에 의해 협상 및 조정이 가능한 개념으로 다루어져야 한다.

Swann(1987)은 서로 다른 사회문화적 배경과 가치관, 사상 등을 가진 구성원들이 상호작용할 때, 정체성이 충돌하게 되고 구성원들은 이러한 충돌을 조정하려는 협상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는 정체성 협상 이론을 제시하였다. 즉, 다른 배경과 가치관을 가진 사람이 타인과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자신을 규정할 수 있는 확증적 피드백(confirmatory feedback)을 습득하면서 정체성을 구성할 수 있다고 하였다. 정체성 협상 이론의 맥락에서 북한이탈주민의 정체성을 조사한 Lee(2009)에 의하면, 이들의 정체성은 남한사회에서 습득한 경험을 통해 시간과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화하며 사회문화적 경계와 위계들의 교차 속에서 자신을 어디에 위치시킬지 결정하는 협상 과정을 거쳐 재구성된다고 하였다. 정체성 협상 이론에 의하면, 의복이나 외모 단서를 사용하여 자신이 희망하는 정체성의 협상이 가능하고 이러한 단서를 통해 이상적인 정체성을 표면적으로 드러낼 때 타인으로부터 긍정적인 피드백을 얻는 경우 긍정적인 자기 개념이 생긴다고 하였다(Swann, 1987).

북한이탈주민은 남한식 의복 스타일이나 외모에서 문화적 차이를 경험한 후, 촌스럽거나 시대에 뒤떨어진다는 편견과 문화적 열등 인식에서 벗어나기 위해 남한식 의복 스타일의 모방 전략을 사용한다(Cho et al., 2014). 특정 사회의 의생활 양식을 이해하고 그 사회에 어울리는 옷차림을 착용하는 것은 그 사회의 문화를 체득하고 있음을 의미하므로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의복 스타일의 수용과 모방은 남한 의복 문화에 적응하기 위한 노력으로 간주할 수 있다. 그러나, 남한 입국 후 초기 단계의 북한이탈주민은 남북한 어디에도 통합될 수 없는 타자이며(Jeon et al., 2004) 남한사회 적응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문화적 소수자이므로(Yeo, 2015) 모호한 정체성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정체성을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옷차림 등에 의한 의복 문화 차이로부터 정체성 갈등을 경험할 수 있다.

이에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문화 적응과정 중 나타나는 정체성 변화에 대한 분석은 이들이 단순 이주민으로서 고정된 정체성을 지닌다는 시각에서 벗어나 남한 문화 적응과정 동안 새로운 정체성을 재정립하는 역동적 존재라는 시각에서 접근해야 한다. 특히, 의복은 외형적으로 남한 사람과 구별되지 않고 동화될 수 있는 문화적 자본이며 북한이탈주민이 정체성 혼란에서 벗어나 문화 적응 및 정체성 재구성을 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단이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문화 적응과정 동안 정체성 재구성에 있어 일상생활 속 의복 역할을 중심으로 개인의 경험을 토대로 이들의 문화 적응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북한이탈주민의 의복 행동 관련 경험을 통한 문화 적응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는 서울에 거주하는 20~40대 여성과 남성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주제의 특성상 북한 이탈 후 남한사회에 적응하면서 의생활 영역에서 체험한 경험들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는 표본을 구하고자 남한 거주기간이 최소 1년 이상인 표본을 표집하였다.

북한이탈주민 특성상 접촉이 쉽지 않으므로 연구 참여자 모집을 위해 북한이탈주민 지원센터인 서울 하나원 및 새터민 지원센터로부터 소규모의 참여자를 먼저 소개받았으며 이들 참여자가 주변 지인들을 연구자에게 소개하는 방식의 눈덩이 표집(snowball sampling)방법을 사용하여 연구에 자발적 참여 의사를 밝히고 연구에 적합하다고 판단된 10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Table 1>. 연구 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5번 참여자를 제외하고 모두 미혼이었으며, 학생 신분의 경우 남한 입국 후 취업을 하고서 30대에 뒤늦게 대학에 진학한다거나 대학 진학 후 휴학을 여러 번 하여 수학 기간이 연장되는 경우, 퇴직 후 평생교육원생이나 학원 수강생 등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는 고려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Korea University Institutional Review Board, KU-IRB-15-204-A-1)의 승인을 받은 후 착수하였다. 자료는 미리 준비한 최소한의 질문 항목을 사용하여 필요에 따라 질문을 추가하거나 순서를 바꾸는 반구조화 심층면담으로 수집되었다. 면담은 1시간 30분에서 2시간 정도 소요되었고 면담 내용은 즉석에서 녹음되었으며 모두 필사본으로 기록되었다.

<Table 1> 
Interviewee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No Age Gender Occupation Defecting year from North Korea Entering year into South Korea Country & period (year or month) of stay Monthly clothing expenditures(₩)
1 34 Female Student 2006 2008 China(2ys) 200,000~300,000
2 33 Male Salesperson 2000 2008 China(8ys) 400,000~500,000
3 25 Female Student 2014 2015 China(transit) 50,000~100,000
4 34 Female Student 2008 2012 China(4ys) 50,000~100,000
5 26 Female Student 2005 2006 China(2m) 200,000~300,000
6 29 Male Jobseeker 2003 2008 China(5ys) 200,000~300,000
7 28 Female Jobseeker 2015 2016 Thai(transit) 100,000~200,000
8 27 Female Jobseeker 2010 2016 China(6ys) 100,000~200,000
9 43 Female Salesperson 2014 2015 China(transit) ~50,000
10 33 Female Student 2009 2016 China(7ys) ~50,000

2. 자료분석 방법

북한이탈주민의 문화 적응을 다룬 연구는 기존 연구들에서 사용한 요인들을 그대로 활용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주로 남북한 언어 문화 차이(M. Kim, 2019; Lee & Hwang, 2008; Yoon, 2019), 사회적 인간관계(Yeo, 2015; Yoon, 2019; Yu et al., 2012) 등을 중심으로 측정하여 문화 적응 수준이나 삶의 만족도, 또는 결과적 측면에서 정체성의 변화 여부 등을 분석한 연구가 많다. 그러나, 북한이탈주민의 문화 적응에 대한 미시적 차원의 연구가 강조되고 일상 경험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만큼(Kim, Kim, & Yoon, 2019) 본 연구는 미시적 차원의 의생활 영역에서 연구 참여자 개인의 경험을 중심으로 문화 적응과정에 나타난 정체성 재구성 양상을 질적 연구방법 중 하나인 사례 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질적 사례연구는 행위 주체자가 일상적 환경에서 체득하는 경험, 가치관, 의식 변화를 발견하고 이해, 해석하는데 적합한 방식이며 본 연구는 다중 사례 분석에 적용되는 사례 간 종합 분석을 실시하였다. 사례 간 종합 분석은 각각의 사례를 분리하여 다루면서 개별 사례에 대한 주제를 발견하면서 사례 간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주제에 대해 종합적으로 기술하는 방법이다(Creswell, 2007/2010). 문화 적응이란 개인이 문화적 환경의 요구에 반응하여 맞추어 살아가고 변화하는 개념으로서 개인적, 사회적 차원 모두 포함시켜야 하므로(M. Kim, 2019) 본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의 개인적 의생활 차원뿐 아니라 타인과의 접촉이나 만남이 이루어지는 사회적 상호작용 차원에서 의복의 역할을 통한 북한이탈주민의 정체성 재구성에 대해 사례 간 종합 분석을 실시하였다. 코딩 시 자료분석 단위는 사례 분석 단위로서 자주 사용되는 ‘사례 간 독특하게 구별되거나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사건’, ‘타자와의 상호작용’, ‘특정 관심사나 행동’, ‘의식 변화’를 중심으로 2명의 연구자가 각각 의미 있는 주제들을 도출하고 상호 비교검토 과정을 통해 합의된 주제들을 토대로 정체성 재구성 양상에 대한 담론을 제시하였다(Creswell, 2007/2010). 결과 해석과 담론 형성을 위한 논리적 서술은 각 연구자의 판단과 분석 관점의 비교 논의를 통해 이루어졌다.


Ⅳ. 연구결과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입국 후 문화 적응과정동안 의복이 이들의 개인적 의생활이나 사회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친 의복의 역할을 중심으로 사례 간 종합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체성 재구성 또는 정체성 협상에 있어 다음과 같은 5가지 양상을 보였다<Table 2>.

<Table 2> 
Aspects of Identity Reconstruction by Cultural Adjustment
South Korean Clothing Culture
Aspects of adjustment Fully conversant Selective reception PassiveㆍRestrictive reception Rejective Detached
Identity reconstruction Feeling superior Flexible identity Self-defensive identity Resistive identity Characteristic identity

1. 남한의 의복 문화 위계에서 패션선도자로서 우월적 정체감 인식

좋은 브랜드 제품을 구매하거나 옷을 잘 입고 유행하는 스타일이나 의복에 대해 잘 알고 있는 등 자신이 의복 지식이나 감각을 지니고 있어 의복을 중심으로 한 문화적 위계에서 자신 스스로를 선도자로 인식하는 북한이탈주민의 경우, 패션 선도자로서 남한 사람보다 상대적으로 우월하다는 존재감을 가지고 있었다. 이 경우, 자신이 남한 사람보다 옷을 잘 입고 의복 스타일을 구현하는데 훨씬 능력이 뛰어나다는 자부심을 지니고 있었다. 남한 입국 후 초기에 방문하였던 동대문 패션시장에서 판매되는 의복의 품질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하거나 북한이탈주민이 유명 패션브랜드 제품을 더 선호하고 잘 착용한다고 생각하였다.

남한에 있는 북한 출신 사람들이 옷을 더 잘 입어요. 우리가 브랜드를 더 따지고 더 좋은 옷을 입으려 해요. 처음에 하나원에서 동대문이 싸다며 추천하셨는데 옷은 별로였어요. 제가 동대문에서 산 옷을 입으면 다들 비싸 보인다고 얘기했어요. 제가 옷을 볼 줄 알거든요. 그런데 동대문 옷은 세탁하면 변형이나 탈색도 있어서 그 뒤로는 백화점에서 세일기간 맞춰서 브랜드 제품을 사요.(연구 참여자 1)
TV나 길에서 ‘올 해는 이런 스타일이 많이 나오네’ 하고 눈에 보여요. 제가 좋아하는 옷을 사서 입고 다니면 친구들이 모두 어디서 샀냐고 물어봐요. 강남이나 명동 지역은 옷을 잘 입는 사람이 조금 보이지만 지하철 같은 데에서 그냥 볼 때 다들 특징도 없고 어두운 컬러 뿐이고...남한 사람들이 저보다 딱히 잘 입는다는 걸 모르겠어요. 북한에서 온 친구들이 오히려 브랜드를 더 많이 알고 있고...(연구 참여자 4)

남한사회에서 의복 문화 적응과정 동안 유명 패션브랜드 제품을 구매하면서 양질의 제품을 착용하거나 자신이 선택한 의복이 남한 사람으로부터 칭찬이나 인정을 받는 경험이 증가하면서 자신이 선택하는 의복은 자아존중감 강화 수단으로 작용하였고 상대적 우월적 정체성을 형성하고 자신의 가치를 높게 평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 사례에 해당하는 연구 참여자의 공통점을 살펴보면, 북한 거주 시 의류봉제업에 종사했거나 중국이나 일본에서 들어 온 원단을 가지고 의복 제작 경험이 있어 의복 관련 지식이 풍부하다고 언급하였다. 또한, 남한 드라마 등 남한 문화 접촉 경험을 통해 남한의 의복 스타일에 대해서도 이미 알고 있는 상태에서 남한 입국을 하였다. 따라서 자신이 남한 의복 스타일이나 소재, 디자인, 사이즈 등 의복 속성에 대해 잘 알고 있다는 점이 남한 문화 적응과정에서 자존감 상승의 역할을 한 것으로 해석된다.

2. 개성에 맞는 남한 의복 문화의 선택적 수용을 통한 유연한 정체성 형성

남한 입국 초반에는 남한의 유행 스타일을 맹목적으로 모방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남한에서 유행하거나 유명인이 착용하는 의복 스타일을 무조건적으로 추종하지 않고 자신의 의복 평가 기준이나 선호 스타일과의 적합 여부 등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수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례가 도출되었다. 남한의 패션 유행을 선택적으로 흡수함으로써 남한 사람과 동질성을 추구하는 동시에 자신만의 취향이나 선호 스타일에 따른 개성을 추구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사례에 해당하는 연구 참여자들은 북한 거주 시 또는 남한 입국 전 제3국 체류 시, 남한의 드라마, 대중가요 등 대중문화를 이미 접한 경험이 있어 남한 패션 스타일에 대해 사전 지식이 있었으며 북한에 살 때 북한의 의복 규범에 벗어나는 의복을 착용하거나 제3국에 체류할 때 남한 스타일을 모방하는 등의 경험을 지니고 있었다.

중국에 체류할 때 남한 대중가수들을 보게 되었고 춤을 따라 추게 되면서 그들의 옷을 따라 했었죠. 아이돌처럼 입으려 했던 것 같아요. 염색도 하고 귀걸이도 한 쪽에 3개 걸고...남한에 온 후 유행에 민감했어요. 요즘은 유행이 지났지만 엉덩이까지 내려가는 배기바지 입고 다니고 체인도 하고 다녔어요. 평범한 것은 싫거든요. 이제는 나의 색깔을 찾아서 입어요. 너무 유행을 따르지 않고 제가 남자이지만 디자인이나 디테일이 예쁜 여성복 아이템도 입어요.(연구 참여자 2)
북한에 살 때 ‘발리에서 생긴 일’ 등 남한 인기 드라마를 정말 많이 봤어요. 남한 와서는 제가 다니던 새터민 중고등학교 학생들이 옷도 잘 입고 유행도 많이 타서 그 때부터 제가 남한 트렌드에 눈을 떴던 것 같아요. 시간이 지나면서 저한테 어울릴지 고민은 하지만 제가 좋아하는 스타일대로 사서 입고 있어요. 이제는 개성있게, 특별하게 입으려 하고 남의 시선을 많이 신경쓰지 않아요.(연구 참여자 5)
북한에서 ‘가을동화’, ‘미생’도 보고 탈출하기 전에 ‘응답하라 1988’도 보고 왔어요. 중국에서 한국 프로그램 방영하는 것을 실시간으로 북한에서도 볼 수 있었어요. 규찰대가 있었지만 저는 북한에서 무릎 위 길이의 짧은 치마도 입어 봤어요. 남한에 와서 사람들이 어떤 옷을 입나 살펴보았는데 최근에 여성들이 어깨선도 처지고 긴 상의에 달라붙는 바지를 많이 입는 거 같은데 저는 키가 작아 안 어울릴 것 같아서 사지 않고 저한테 어울리는 옷을 샀어요.(연구 참여자 7)

이러한 양상을 보인 북한이탈주민의 경우, 북한 거주 때나 제3국 체류 시, 또한 현재에도 의복에 대한 관심이 많고 최근의 남북한 의복 스타일이 상호 이질적이지 않으며 남북한 사람들의 옷차림에서 과거에 비해 큰 차이점이 없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북한이 굉장히 많이 바뀌었어요. 제가 남한에 왔을 때하고는 지금 완전 달라져서 진짜 세대차이를 많이 느껴요. 남한이랑 별 차이가 없더라고요. 북한 트렌드는 약간 럭셔리해요. 잘 사는 여자들은 사모님처럼 입고 다녀요.(연구 참여자 2)
북한에서 경제적으로 부유하진 않았는데 엄마가 중국에서 들어온 옷을 많이 사주셨어요. 북한에서 입는 일반적인 옷은 아니었어요. 제가 좀 옷을 잘 입었어요. 중국에 3개월 있는 동안 학교 다니면서 북한에서 입었던 옷을 입고 다녔는데 제가 중국 친구들보다 옷을 더 잘 입었던 것 같고 남한에 왔을 때 제 외모와 남한 사람 외모랑 전혀 차이점을 못 느꼈어요.(연구 참여자 5)
남한이 여름철에 과감하게 노출한다는 것 빼고 지금 시점에서 저는 서울인지 평양인지 구분이 안 될 정도로 패션에 크게 차이가 없다고 생각해요. 예전에 북한에서 몸에 붙는 바지나 다리가 많이 보이는 옷 입고 밖에 못 나갔었는데 이제는 이런 옷들 입고 출근하는 젊은 사람도 있어요. 북한이 지금 그렇게 변했어요.(연구 참여자 7)

이러한 사례에 해당하는 북한이탈주민은 자신에 대한 부정적 편견, 무시, 차별이 존재함을 인지하고 있지만 이러한 장벽에 적극적으로 맞서기 위해 남한에서 유행하는 의복 스타일에 대한 정보나 패션 용어, 패션 브랜드 정보를 SNS 매체나 잡지, 텔레비전을 통해 지속적으로 습득하여 남한의 의복 문화를 적극적으로 체득하였고 이러한 문화 적응 경험을 바탕으로 남한의 사회문화적 환경 속에서 남한 사람으로서 동질감과 친밀감을 지니고 있었다.

북한에서 온 사람들은 다 옷을 못 입을 것 같고 꾀죄죄할 것 같은 선입견이 있쟎아요. 저는 잡지, 인스타그램, 페이스북으로 패션 정보 많이 찾아봐요. 요즘은 유럽 스타일이 좋아요. 패션은 자신감이고 용기거든요. 옷을 잘 입는다는 소리를 주위에서 많이 듣고 남한 친구들한테도 조언을 많이 해주고 쇼핑갈 때 같이 동행해 주기도 해요. 외모적으로 자신있어요.(연구 참여자 2)
사고 싶은 아이템이 있으면 쇼핑몰 앱으로 탐색해봐요. 북한에서 온 지 얼마 안 지난 사람은 어딘가 ‘북한티’가 묻어난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인터넷 많이 보고 학교 다니거나 자주 외출만 해도 금방 남한에 적응해서 남한 사람처럼 입을 수 있어요. 저는 외국 가서도 당당히 한국인이라고 말해요.(연구 참여자 5)
북한에 있을 때 ‘나이키(NIKE)’ 브랜드를 봤는데 ‘니케’라고 불렀어요. 패션 브랜드 이름이 대부분 영어니까 남한 사람하고 브랜드에 대해 얘기할 때 대화가 끊기지 않기 위해 브랜드에 대해 검색해서 어떻게 제대로 불리는지 익혔어요. 맨투맨, 후드티 같은 영어식 명칭도 익히고...이렇게 알아가는 것도 남한 사람으로 정착하는 방법 같아서요.(연구 참여자 7)

이러한 사례에 해당하는 연구 참여자의 경우, 북한 거주 시에도 중국에서 수입된 의복을 착용하여 북한 사람들과 다른 옷차림으로 다녔다고 고백하거나 중국 의복이나 북한의 특정 정치 인물이 착용하여 북한에서 유행한 스타일을 착용한 경험이 있는 참여자는 초등학교 고학년 시절을 남한에서 보내고 남한 체류 기간이 가장 길어 남한의 패션 유행과 의복 스타일에 대해 습득할 수 있는 시간이 충분했던 것이 특징이었다. 한편, 천편일률적인 유행을 쫓는 것이 아닌 유행의 틀 안에서 자신의 선호 스타일이나 개성 있는 옷차림을 착용하여 남한 사람으로부터 옷을 잘 입는다는 긍정적인 정서적 지지를 얻거나 자신이 남한 사람에게 의복 스타일 관련 조언을 제공해주었던 경험은 자신감을 고취시키는데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이러한 사례에 해당하는 북한이탈주민은 남한 사람으로서 적극적인 정체성을 형성하면서도 남한식을 그대로 수용하지 않는 유연한 정체성을 재구성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의복은 개성 실현을 통한 긍정적 자기만족과 자아 충족의 수단으로 작용한다고 설명할 수 있다.

3. 독특한 외모 실현을 통한 독자적 정체감 인식

남한 정착 후, 일상생활 속에서 매체나 타인의 옷차림을 접하면서 마음에 드는 의복을 발견할지라도 그대로 수용하지 않고 자신의 이미지에 어울리면서 남들과는 다른 스타일을 탐색하여 스스로에게 만족하는 자신만의 외모를 만들어가는 사례도 발견되었다.

본 연구 참여자 중 남성이지만 남한 입국 전 제3국 체류 중에도 머리를 길러 장발로 다니거나 타인들과 구별되기 위해 양쪽 귀에 피어싱(piercing)을 하고 남한에 살면서 여름에도 비니(beanie)를 착용하는 등 대부분의 남성들이 지니는 표준적 외모에서 의도적으로 벗어나기를 희망하며 차별화되고 독특한 외모를 추구하는 사례로서 본 연구에서는 남한에서 독자적 정체성 추구의 경우로 해석되었다. 남한 거주 시 북한이탈주민이라는 출신을 공개하지 않으면서 북한과 관련된 과거 자신의 모습을 지우려 하고 남한에서 대학생활을 하는 동안에도 대부분의 남학생들이 여름에 반팔 티셔츠와 긴 바지 또는 반바지를 착용한다면 자신은 핑크색 티셔츠에 의도적으로 브이 네크라인을 깊게 만들어 문신을 노출하기도 하였다.

제가 원래 장발이었거든요. 묶고 다녔었는데 북한에서 온 사람들도 제가 북한에서 온 줄 몰랐어요. 남한에 와서 학교 다닐 때는 여름에도 비니를 쓰고 다녔어요. 어떤 사람이 예쁜 옷을 입고 있으면 모두 똑같이 입으려고 하는데, 저는 티셔츠 한 장 사도 찢거든요. 일부러 가운데를 가위로 잘라서 브이(V) 자로 만들어서 문신이 보이게요. 우리 학과남자 친구들은 여름에 긴 바지에 넉넉한 반팔 티셔츠 차림으로 거의 입고 다녔는데 저는 핑크색 티셔츠나 찢어진 티셔츠, 마 소재로 된 바지 같은 것 입고 다녔어요.(연구 참여자 6)

또한, 남한 사람의 조언이나 매체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크게 의존하지 않으며 자신이 원하는 다양한 의복 스타일에 도전하고 자신만의 고유한 스타일을 개척하면서 남한 사람, 북한 사람이라는 정체성 구분을 초월하여 ‘나’ 자체로서 존중받고 싶어하며 자신을 독특하고 특수한 개체로 인식함으로써 독자적 정체감을 느끼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관심받고 싶어서도 아니고 다른 사람 시선도 중요하지 않아요. 거울에 선 내 모습을 볼 때 매력적으로 보이는 스타일을 찾아가는 거죠. 옷도 나의 일부이고 ‘나’라는 사람을 만들어내는 하나의 도구에요. 아마 북한에서 온 사람들 중에 저 같은 사람별로 없을 거에요. 제가 독특한 것 같아요.(연구 참여자 6)

이처럼 북한이탈주민이 독자적 정체성을 추구하는데 있어 의복은 개인의 미적 욕구를 자립적으로 실현하는 수단이자 북한에 있었을 때의 자신과 남한사회 속 현재의 자신을 차별화시키고 남한사회에서 실존적 자아로서 자아실현을 돕는 중요한 수단임을 알 수 있었다.

4. 남한 의복 문화의 소극적ㆍ제한적 수용을 통한 자기방어적 정체성 형성

남한에 거주하지만 북한이탈주민 본연의 모습이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고 생각하면서 북한이탈주민임을 가능한 은폐하고 싶어하며 북한에서 거주할 때보다 현재 남한사회에서 사회적, 경제적 등 다양한 측면에서 위치가 낮아진 자신의 모습 때문에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는 사례도 도출되었다. 남한 사람과 구별되는 북한이탈주민의 외면적 이질성에 대해 인정을 하며 이러한 이질감을 조금이라도 해소하고 남한사회에서 무시를 받지 않기 위해 남한 사람들의 옷차림을 소극적으로 모방하려는 시도는 있었다.

북한에서 왔다는 것을 굳이 말하지는 않아요. 어떤 옷을 걸쳤냐에 따라 북한 티를 숨길 수 있는데 저희끼리 ‘먹은 티는 안 나지만 입은 티는 난다’ 이런 말도 해요. 그런데 몸에 너무 달라붙거나 아예 헐렁하거나 하는 남한 스타일대로 따라 입으려니 몸매가 안 따라줘서 스트레스 받아요. 제가 158cm 신장에, 통통한 편인데 북한에서 표준이었고 ‘귀엽다’는 소리 들었거든요. 남한에 와서 생각지도 않게 살을 빼라는 소리를 들어요. 남한에 와서 다이어트 스트레스에, 수급비로 쪼들리게 살고 있고...북한에서 살던 집은 지금의 몇 배로 큰 집이었어요.(연구참여자 3)
몇 년전 부터 북한도 변하긴 했지만 미니스커트, 청바지, 가죽점퍼, 영어나 한글 적힌 옷, 스웨이드 재질의 옷, 체크 무늬 셔츠, 나팔바지, 멜빵바지 등은 규찰대에 걸려요. 저는 그래도 청바지랑 가죽점퍼 입고 다니다 단속에 걸려서 비판서 쓴 적 있어요. 그런데 남한 옷이 북한보다 더 개방적이라서 특히, 여성복은 많이 파여서 살 내놓고 다니고...아직도 목이 깊게 파인 옷은 못 입어요. 그래도 민소매 정도는 입을 수 있어요.(연구 참여자 8)

남한의 의복 스타일이 부담스럽게 느껴져 이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것에는 다소 두려워하는 태도를 지니지만, 남한의 의복 문화에 적응하기 위해 가족이나 주변인을 의복 구매 관련 정보원으로 이용하여 자신이 착용하는 옷차림이나 외모에 대한 긍정적인 타인의 지지를 얻고 주변 환경으로부터 외면적으로 인정 받고 싶어하는 태도도 보였다.

‘와이드 팬츠’같이 남한에서 유행하는 옷을 입고 싶어도 ‘몸매가 이뻐야 어울리지’라는 생각이 들어 자신감이 없어져서 함부로 입지 못해요. 평소에 어떤 옷을 입으면 되는지 지하철 타고 다니면서 눈여겨 봐요. 그래서 쇼핑갈 때도 절대 혼자 가지 않고 북한에서 온 친구나 여동생 등에게 저에게 어울리는 옷을 같이 가서 봐달라고 해요. 남한은 옷 종류도 너무 많고 가격도 다양해서 유행 스타일이면서 가격도 괜찮고 저한테 어울리는 옷을 잘 골라 사 입었을 떄 '잘 샀다'거나 '예쁘다'는 말을 들으면 자신감이 조금 생기는 것 같아요.(연구 참여자 3)

이러한 사례를 통해 남한 사람과 다르다고 인식하는 북한이탈주민에게는 의복이 남북한 사람 간의 의복 스타일이나 외모의 차이에서 느꼈던 문화적 충격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을 완화 또는 감소시키고 스스로 이질적이라 느끼는 외모를 엄폐하는데 전략적 기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상대적 박탈감, 낮은 자신감으로 인해 소극적, 제한적으로 남한의 의복 문화에 적응하는 태도를 가지는 경우, 의복은 외면적 측면에서의 무시나 편견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할 수 있는 수단이자 외적뿐 아니라 정서적으로도 ‘남한 사람 되기’라는 목표를 실현할 수 있는 수단으로 분석되었다.

5. 북한식 의복규범의 준수를 통한 저항적 정체성 형성

북한 거주 시 자신이 중요시 여겼던 의복 가치나 내재화된 의복 규범을 남한 입국 후에도 지속적으로 준수하면서 남한의 의복 문화에 대해 저항적 태도를 지니는 사례도 도출되었다. 북한에 존재했었던 의복 규제가 의식 속에 남아있어 오버사이즈(oversize) 제품처럼 신체 사이즈보다 의복이 과장되게 크거나 과감하게 신체가 노출되는 의복을 착용한 남한 사람을 일상생활에서 접하게 되는 경우, ‘보기 민망하다’, ‘이상하다’는 등의 거부감을 느꼈으며 북한 의복 스타일이 남한 스타일보다 더 깔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북한은 옷 입는데 규제가 있으니까 남들 보기에도 단정하고 깔끔해 보이는 것 같아요. 그런데 남한은 길고 짧고 순서도 없이 걸치는대로 입는 것 같아요. 너무 커서 거추장스러워 보이는 스타일도 있고 노출이 너무 심한 옷은 보기 민망해요. 정장 스타일은 그나마 나은데 캐주얼 스타일들은 이상해 보여요.(연구 참여자 9)
북한에서 여자는 여자답게 남자는 남자답게 입고 외모 단정을 내세워서 옷을 너저분하게 입거나 팔이나 어깨가 드러나도 안되고 너무 파여도, 여자는 치마도 무릎 위로 올라가면 안되요. 복장 단속이 고리타분한 점도 있지만 다 같이 깔끔하고 단정해 보이는 점은 오히려 남한보다 좋은 것 같아요. 정돈된 느낌이 있쟎아요. 남한 옷은 헐렁해서 보기 이상하고 북한에서 따랐던 규제가 의식에 남아있는 것 같아요.(연구 참여자 10)

이러한 사례에 해당하는 연구 참여자들은 남한 사람들의 옷차림을 모방하는 것에 상당히 저항적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남북한의 의복 스타일이나 의복 규범과 관련하여 상호 이질감을 크게 느끼고 있으므로 남한에 살면서 의복을 구매할 때도 스커트 길이, 상의 노출 정도와 같은 측면에서 북한에서의 인습적 규범에 적합한 의복을 선택하는 경향을 보였고 북한에 거주 시 중요하게 여겼던 맞음새, 가격, 원단 품질 등의 요소를 여전히 크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한 사람들 보면 안에는 짧게 입었는데 겉은 길게 입고...그런 너저분한 스타일을 따르고 싶은 생각 없어요. 저는 북한에 있을 때 제가 원단 사서 제 체형에 맞게 맞춤으로 입었어요. 북한은 맞춤이 더 싸거든요. 남한 여성처럼 짧은 것은 아직 못 입고 약간 북한에서 입는 스타일과 비슷하게 몸도 가려지고 사이즈, 가격, 원단의 질을 보고 구매해요. 북한에 있을 때, 중국에서 밀매로 들어와 판매되었던 상표가 떼어진 남한 옷들 중에서 반팔 티셔츠를 사서 입은 적이 있는데 땀을 잘 흡수하고 원단이 좋더라고요.(연구 참여자 9)
저는 너무 과하게 노출된 옷도 피하고, 아무리 유행이라도 레깅스에 니트 걸쳐 입는 그런 스타일도 잠옷 입은 것 같아서 안 따라해요. 개성이라고 생각해도 지저분하다는 생각이 들고 북한에는 캐주얼 스타일보다는 정장 스타일이 많으니까 북한처럼 요란하지 않고 깔끔한 옷을 골라요. 그런데 동대문은 비싼데 옷이 오래가지 않아서 백화점 세일할 때 할인 가격에 한 번 사서 오래 입을 수 있는 옷을 구매해요.(연구 참여자 10)

이러한 사례를 가진 연구 참여자들은 남북한의 상이한 의복 문화를 수용하지 않고 남한 입국 후에도 북한에서 내재화된 의복 규범을 준수하는 자신의 의복 행동을 정당하다고 생각하였으며 남한식 의복 스타일로의 변화를 거부하는 태도를 보였다. 남북한의 의복 문화를 이원분리적 입장에서 접근하여 남한 의복 문화에 순응하지 않음으로써 의복은 북한 문화를 긍정적으로 재평가하는 척도로 사용되었으며 남한의 지배 문화에 대한 저항적 태도를 표출하는 수단이 되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Ⅴ. 결론 및 담론 논의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문화 적응과정에서 의생활 속 다양한 경험을 통해 어떻게 의복이 적응의 전략적 수단으로 이용되는지 알아보고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의복의 역할을 토대로 북한이탈주민의 정체성 재구성 양상을 분석하고 담론을 형성하고자 하였다. 사례 간 종합 분석 결과, 먼저 패션선도자 입장에서 남한 사람보다 옷을 잘 입고 유행 정보에도 더 정통하며 유명 패션브랜드 제품도 잘 구매하는 소비자로서 의복 문화 맥락에서 남한 사람보다 우월적 존재로 인식하는 사례가 도출되었다. 이 경우, 의복은 남한 문화 적응과정에서 자신의 가치가 높다고 느끼게 해주는 역할을 하였다. 정체성 협상 이론(Swann, 1987) 맥락에서 이러한 우월적 정체감은 남한 입국 전부터 습득한 의복 지식이나 남한 의복 스타일 관련 정보를 매개로 남한 의복 문화의 위계에서 자신을 ‘옷 잘 입는 패션선도자’로서 상대적 우위에 위치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두 번째로 남한 입국 초기에 남한 유행 스타일을 추종했으나 시간이 경과하면서 자신의 의복 평가 기준이나 선호 스타일을 토대로 남한 의복 스타일을 선택적으로 수용하는 사례도 발견되었다. 이 경우, 남한의 의복 문화 적응과정 동안 남한 사람들과 유사한 외모를 지니길 희망하면서도 자신의 개성을 동시에 추구하려는 경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ho(2010), Kim(1999)은 동일한 개인이 남한 문화의 거부와 수용을 상황에 따라 선별ㆍ선택함으로써 적응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고 하였는데, 유연한 적응을 통해 남한 옷차림을 전적으로 모방하지 않지만 남한식 미를 추구하고 실현하는 의생활 양식을 선택하면서 자신만의 외모를 개척하는 경우, 남한 사람과 동등한 위치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강화할 수 있다고 제언할 수 있다. 기존 선행연구에서 북한이탈주민의 남한문화 적응과정에서 의복을 중심으로 한 개성 추구 행태는 언급된 적이 없지만 Yeo(2015)는 북한이탈주민이 남한 문화를 그저 수용하면서 살아가는 과정중심적 적응을 선택하는 대신 자신의 목적의 식에 따라 정체성을 재구성해 가며 남한의 삶을 살아가는 목표지향적 적응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고 하였다.

세 번째로 본 연구에서 발견된 독특하고 특수한 존재로서 정체성을 재구성하려 했던 사례는 북한이나 남한 문화에 의존하지 않고 자신만의 독자적 외모를 형성해 간다는 점에서 Berry(1997)의 문화 적응 유형 중 기존 문화와 새로운 문화를 모두 수용하지 않는 주변화 유형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Berry(1997)의 주변화 유형에 속하는 이주민은 기존 문화를 버리거나 은폐하고 새로운 문화 수용에도 실패하여 새롭게 적응해야 하는 사회 속에서 갈등이나 불안 요인을 제공하는 것으로 표현되지만 본 연구에서는 남한 의복 문화에 적응하지 못한 것이 아닌 남한 입국 후 자발적으로 자신만의 스타일을 개발하는 차별화 추구 전략을 사용하는 사례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었다. Choi & Kim(2020)는 남한 입국 후 새롭게 자신의 삶을 개척하면서 주체적인 생활양식, 행동을 선택하는 북한이탈주민은 정체성 협상 과정에서 ‘남한 사람 되기’보다 자신의 존재 자체에 의미를 부여하며 과거의 자아를 버리고 새로운 자아를 발견해 가면서 독립된 개체로서 자신을 인식한다고 하였다.

네 번째로 남한 의복 문화를 수용하려 하지만 남한 의복 스타일이 정숙성 등 자신의 의복 가치관에서 벗어나 수용하기 어렵거나 맞음새나 스타일 면에서 자신과 어울리지 않아 착용하기 두려워하여 남한의 의복 문화를 소극적, 제한적으로 수용하려는 사례였다. 이 경우, 의복 문화 적응에 대해 조사한 Jo & Ha(2018)의 결과처럼 남한 의복에 신체 노출이 많은 것에 거부감을 지닌 점은 공통적이었으나 소극적, 제한적으로라도 남한 의복 문화의 수용을 통해 남북한의 이질적 외모 차이를 감소시키려 했다는 점에서는 남한 의복 문화만 전적으로 강하게 수용하는 동화(assimilation) 유형이나 남북한 두 의복 문화를 동시에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통합(integration) 유형이 나타난 Jo & Ha(2018)의 결과와는 다른 적응 양상을 보였다. Kim(1999)은 남한 사람에 전적으로 동화되는 것이 아닌 남한 사람처럼 보이기 위한 제한적 행동을 가장(假裝)행위로 간주하고 이러한 행동은 남북한 외모의 차이를 좁히기 위한 심리적 방어기제로 작용한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남한 의복 스타일에 거부감을 가지고 북한 거주 시 습득한 의복 규범을 기준으로 남한 의복이나 옷차림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례가 발견되었다. 이 경우, 남한 의복 문화에 적응하는데 다소 저항적 태도를 지녔으며 북한 문화를 통해 체화된 인습은 유지하면서 남한의 새로운 문화는 수용하지 않는다는 면에서 Berry(1997)의 기존 문화 수용 강도는 여전히 높고 새로운 문화 수용 정도는 매우 낮은 분리(separation) 유형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남한 문화를 거부하고 북한 문화를 고수하게 되는 경우, 남한 입국 전 과거의 자아와 연속성을 유지하게 되고 북한 문화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 경우, 정체성 협상 과정 동안 자신의 정체성을 인지적 측면에서는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한 ‘남한 사람’으로서 남한에, 감정적 측면에서는 여전히 남한 내 ‘북한 사람’으로서 북한에 귀속시키게 된다(Cho, 2010; Yu et al., 2012). 본 연구에서는 남한에 입국한지 1~2년 지난 북한이탈주민의 일부가 이러한 사례에 포함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남한 정착 초기에 남한 의복 문화에 대해 배타적 경계를 하는 경우도 발생 가능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와 의복 문화의 적응을 돕는데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새로운 문화에 대한 부정적 태도는 문화 적응의 방해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Park & Do, 2019)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에 적응하면서 자기방어적이거나 저항적 정체성보다 남한 사람으로서 자기인식을 할 수 있도록 남한 의복 문화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심어주는 교육 또는 체험 프로그램의 개발과 제공이 필요하다. 둘째, 자아존중감이 높아도 북한이탈주민이 남한 의생활에 어려움을 겪는다면 전반적인 남한사회 적응에도 어려움을 겪을 수 있고(Choi et al., 2020), 남한사회 내 통용되는 생활양식이나 지식 등을 습득하는데 약 3년 이상 소요되거나 결국 정체성을 확립하지 못해 부적응하는 경우도 있으므로(Lee & Hwang, 2008) 남한의 의복 규범과 가치, 의복 관련 행동 양식을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 북한이탈주민이 남한 사람 등 타인으로부터 외모나 옷차림에 대해 긍정적 반응을 얻었을 때 자존감 향상의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정부 산하 또는 패션 관련 민간 기관, 기업 등에서 외모 관리나 패션에 관심이 많은 남북한 주민을 대상으로 연령대별 공동 패션 커뮤니티나 동호회를 개설한다면, 남한 의복 문화 관련 정보 공유 및 토의 등을 통해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사회 내사회적 관계망도 확대하고 자신 있는 의복 소비생활을 영위하여 정서적으로도 안정된 생활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북한이탈주민 지원 기관에서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사회에 적응하는 동안 자신의 취향과 개성을 살릴 수 있는 스타일링 프로그램이나 남한의 의생활 적응에 유용한 의복 소비 교육을 제공한다면 생존을 넘어선 자기 계발과 자기효능감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이(Cha, 2017; Joung, 2020; Yeo, 2015) Berry(1997)의 네 가지 유형을 기준으로 남한 문화 수용과 북한 문화 유지를 강약 수준으로 구분하여 남한 문화의 수용 또는 비수용이라는 이원적 접근에서 문화 적응을 분석했던 것과 다르게 남한 문화 적응 상태에 있느냐는 결과적 관점이 아닌 과정 중심으로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문화 적응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화 적응과정에서 남한 문화의 선택적 수용이라는 양상을 새롭게 발견 및 제시하였으며 의복이라는 문화적 표식을 중심으로 북한이탈주민의 정체성에 대한 선행연구에서는(Choi et al., 2020) 남한인으로서의 정체성, 남북한인 두 가지 정체성을 모두 수용 또는 거부하는 정체성 유형을 제시하였지만, 자신을 우월적 또는 독자적인 존재로 바라보는 정체성과 같이 기존에 다루지 않았던 새로운 담론도 제시하였다.

선행연구들과의 차별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연구 참여자 대부분이 탈북 여성이었기 때문에 다양한 연령대의 남성 북한이탈주민을 표본에 포함시킨다면 보다 다차원적인 정체성 재구성 양상에 대해 논의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북한 거주 시, 경제적 수준, 사회적 위치, 직업 등에 따라 이미 형성된 내외향적 성격이나 새로운 것에 대한 배타적 또는 수용적 태도와 같은 정체성 관련 태도 요인들도 의복을 통한 남한 문화의 적응 양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요인들도 남한사회 내 정체성 재구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개별 사례로 심도있게 연관지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 참여자들이 언급했듯이 최근 북한 내에서도 라벨이 제거된 밀수된 남한 의복이나 중국 제품 등을 착용하는 등과 같은 과거와 다른 의복 행동들이 보여지는 사례가 있으므로 향후 후속연구에서도 븍한이탈주민이 남한 입국 전부터 지녔던 의복 관여도나 남한 문화 접촉 여부와 그 기간, 제3국 체류 시 남한 문화 접촉 여부, 주변인의 영향 등에 대해서도 다룰 필요가 있다.

의복은 새롭게 적응해야 할 문화의 표식 수단이자 소비재이며 개인의 추구 혜택이나 취향이 반영되는 시각적 매개체이다. 북한이탈주민의 의복을 통한 남한사회문화 적응과 정체성 형성을 다루는 연구에서 개성 추구나 유행성 동조, 브랜드 제품 추구를 포함한 과시성 성향 등의 개인적 의복 행동 성향 요인을 다각적으로 분석한다면, 남한사회의 일반적 의복 소비자로서 북한이탈주민이 원활히 남한 생활에 적응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들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Acknowledgments

이 연구는 2020학년도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특별연구비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College of Education, Korea University Grant in 2020.)


References
1. Berry, J. W. (1997). Immigration,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Applied Psychology, 46, 5–68.
2. Cha, S. G. (2017). A study of subjective perception expansibility of North Korea defectors in Korean society.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4(10), 513-539.
3. Chae, K. (2017). The adaptation status of North Korean defectors to South Korean society and its effect on their problem solving ability.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10), 524-530.
4. Chae, N. R. (2011). A study on the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to South Korea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Journal of Social Work Practice, 10, 165-185.
5. Cho, J. A. (2010). North Korean immigrants’ learning experiences and reconstruction of identity. Unification Policy Studies, 19(2), 175-211.
6. Cho, J. A., Hong, M., Lee, H. K., Yi, H. Y., & Cho, Y. J. (2014). The experiences of crossing boundaries and reconstruction of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identities. Seoul, Republic of Korea: Korea Institute for National Unification.
7. Cho, Y. A., Jeun, W. T., Yu, J. J., & Um, J. S. (2005). Predictors of depression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A 3-year Follow-up Study.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7(2), 467-484.
8. Choi, H. & Kim, Y. (2020). Identity negotiation appearing in North Korean defector women’ cultural adaptation: Focusing on individual aspects. Multiculture & Peace, 14(1), 1-21.
9. Choi, H. (2020). A Study in identity negoti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 women: Focusing on socio-structural aspects. Korean Unification Studies, 24(2), 45-80.
10. Choi, Y. J., Jang, S., & Lee, Y. (2020). Moderating effects of clothing-related barriers experienced by North Korean refuge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elf-esteem and acculturation in South Korea.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8(6), 845-857.
11. Creswell, J. W. (2010).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H. S. Cho, S. W. Jeong, J. S. Kim, & J. S. Kwon, Trans.). Seoul, Republic of Korea.(Original work published 2007)
12. Eom, T. W. & Lee, K. Y. (2004). The relationship among social problem solving capability,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Mental Health & Social Work, 18, 5-32.
13. Ha, Y. S. (2009). A study on the support policy and adaptation of North Korean refugees. Kore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17(1), 125-142.
14. Jang, M. & Lee, J. (2016). Are North Korean young defectors happy in South Korea? Life satisfaction and its determinants. Journal of Social Science, 42(2), 277-301.
15. Jeon, W. T., Yoon, D. Y., & Um, J. S. (2004). The way of thinking and satisfaction level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3(1), 93-104.
16. Jo, J. & Ha, J. (2018). Clothing acculturation of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in South Korea. Fashion and Textiles, 5(1), 1-15.
17. Joung, C. (2020). Exploring the process of social and cultural adaptation by North Korean defectors entering the country via a third country. Journal of Northeast Asian Studies, 25(3), 73-93.
18. Jung, J., Son, Y., & Lee, J. (2013). A study on defecting motive and social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Unification Policy Studies, 22(2), 215-248.
19. Kang, Y. K. (2011). Factors of defectors affecting social adjustment: Focused on Inche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onghoe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20. Kim, E. (2019). Factors affecting adaptation of North Korean refugees to South Korean society: Character strength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3), 361-369.
21. Kim, G. (2015). A study on North Korean defectors’ adaptations to local community: Focusing on North Korean women. Korean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in Social Welfare, 9(1), 201-225.
22. Kim, H. A., Lee, S. Y., & Kim, K. S.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 being: Based on Korean immigrants and North Korean refugee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2(1), 333-354.
23. Kim, J. M. (1999).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the identity of the North-Korean-refugee women. Women's Studies Review, 16, 322-324.
24. Kim, M. (2019). The Self-efficacy of North Korean defectors, The influence of the adaptation to social and cultural adjustment in South Korea: A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 of economic adapta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3), 125-138.
25. Kim, S. H. (2011). A request for the paradigm shift of North Korean defectors’ social adaptation and humanities-integrated paradigm. The Journal of the Humanities for Unification, 52, 181-205.
26. Kim, S., Kim, S. K., & Yoon, B. Y. (2019).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North Koreans' integration into a local community. KINU Study Series, 19-16. Retrieved from https://www.kinu.or.kr/www/jsp/prg/api/dlV.jsp?menuIdx=344&category=44&thisPage=3&searchField=title&searchText=&biblioId=1531969
27. Kim, Y. W. (2007). A life history research of North Korean youth refuge for the support of social adapt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angnam University, Yongin, Republic of Korea.
28. Kwak, J. (2011). A study on the communicative activities and social adaptation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Focused on the acceptance of social value and the evaluation of quality of lif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5(3), 219-247.
29. Lee, E. J., Pak, S., & Lim, H. (2019). Study on how former education experiences of North Korean escapees affect their adaptation and identity formation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57(1), 159-188.
30. Lee, J. M. & Hwang, S. Y. (2008). Identifying factors affecting the adaptation of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 Social Welfare Policy, 33(6), 61-84.
31. Lee, K. (2006). A study on the social adaptation process of women migrants: Focusing on defecting north Korean residents in South Korea. The Journal of Asian Women, 45(1), 191-234.
32. Lee, M. & Lee, S. (2020). A case study on the settlement experience of North Korean refugee women in South Korea. Center For Social Welfare Research Yonsei University, 64, 5-33.
33. Lee, M. S. & Kim, H. J. (2020). Individual, family, social determinants on life satisfaction among North Korean married female refugee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51(3), 205-238.
34. Lee, S. (2009). A Study on the identity composition of North Korean 1.5th generation migrant women(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35. Lee, S. R. (1997). Study on acculturative stress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36. Park, M. & Do, J. (2019). Research on North Korean defectors’ values using the focus group interview(FGI) method: Its objectives, methodology, and significance. The Journal of the Humanities for Unification, 79, 5-35.
37. Policy on North Korean Defectors. (2020, September). Retrieved from http://www.unikorea.go.kr/unikorea/business/NKDefectorsPolicy
38. Rha, J. & Park, S. (2019). Typology of North Korean defectors residing in South Korea: Its implications fo how they are adapting and how they can be helped. Journal of consumer policy studies, 50(1), 1-31.
39. Ryu, S.-Y. (2001). A Study on the influential factors of social adjustment of North Korea Defectors(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Republic of Korea.
40. Sul, J. & Song, E. (2015). Direction of settlement support for North Korean refugees to South Korea from social integration perspective. The Journal of Peace Studies, 16(5), 193-216.
41. Swann, W. B. (1987). Identity negotiation: Where two roads mee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3(6), 1038-1051.
42. Yeo, H. C. (2015). A study on the adaptation to South Korea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Focus in depth interview on North Korean defectors in age 40s. Journal of East Asian social thoughts, 18(3), 325-359.
43. Yoon, I. (2012). Acculturation and social adaptation of North Korean migrants. 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41, 37-61.
44. Yoon, I. (2019). A social integration model of North Korean migrants and their current state of integration. Culture and Politics, 6(1), 61-92.
45. Yoon, Y. S. (2001). A study of attitude change theories for North Korean defector’s adjustment. Kore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10(1), 195-223.
46. Yu, S. E., Oh, K. J., & Jeon, W. T. (2012). A Qualitative study of North Korean refugees’ attitude shifts: Focusing on those in South Korea for three years. Korean Unification Studies, 16(2), 67-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