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Journal Archiv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ol. 66 , No. 5

[ RESEARCH PAPER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ol. 66, No. 5, pp. 163-173
ISSN: 1229-6880 (Print) 2287-7827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Aug 2016
Received 10 Jul 2016 Revised 10 Aug 2016 Accepted 16 Aug 2016
DOI: https://doi.org/10.7233/jksc.2016.66.5.163

한국 에코ᆞ친환경패션 분야의 연구동향 : 2010년부터 2014년까지 학회지를 중심으로
최해주
한성대학교 예술대학 패션학부 교수

A Survey on the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Eco and Eco-friendly Fashion in Korea : Focused on Journal Publications from 2010 through 2014
Hae-Joo Choi
Professor, Schools of Fashion, Hansung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Hae-Joo Choi, e-mail: hjchoi@hansung.ac.kr

Funding Information ▼

Abstract

As the severity of environmental problems has come to light in recent times environmental protection has garnered more interest and import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urrent research trends in ecofriendly fashion in Korea by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eco fashion,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for developing eco and eco-friendly fashion in the future, and set the research direction for related research. The study analyzed 1,746 research papers i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tum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and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and Costume Design Association from 2010 to 2014, and a total of 55 research papers related to eco fashion were selected. Major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published the most papers on eco fashion,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and Costume Design Association published the fewest. Second, the highest number of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a year was 14 in 2014. Only a small number of papers were published in 2012, but the figure increased in 2014. Third, the most frequently covered topic among the 12 topics was the 'eco-friendly' topic with 13 papers (23.64%), followed by topics 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eco, sustainable, green, ethical, and recycle, respectively. The 7 topics above were covered by 47 of the selected 55 papers (85.45%). Fourth, the following research methods were used: the questionnaire method, literature review, case study, Internet search, costume construction, online survey and interview. The questionnaire method was used in 22 papers (29.33%), making it the most frequently used method. Fifth, fields of research were divided into fashion design(19 papers, 34.55%) and fashion marketing(36 papers, 65.45%). Papers on fashion design was published the most in 2010, and fashion marketing papers peaked in 2014. The use of eco fashion will be expanded in various ways in terms of country, firms and consumers in the future.


Keywords: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eco fashion, eco-friendly fashion, green fashion, sustainable
키워드: 기업의 사회적 책임, 에코 패션, 친환경패션, 그린 패션, 지속가능

Ⅰ. 서론

현대사회는 산업기술의 발전이 가속화되면서 경제 성장이 크게 향상되어 물질적으로 풍요로워지게 되었으나, 이러한 과정에서 자연이 파괴되고 오염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지구의 온난화, 오존층의 파괴, 환경호르몬과 발암물질의 배출과 유해한 산업폐기물의 과도한 생산 등으로 자연환경 오염문제가 야기되었다. 다양한 환경오염문제의 심각성이 대두됨에 따라 환경보호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증대되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자연과의 조화, 자연보존을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사회전반에서 모색되고 환경보호운동이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지구온난화, 산업폐기물 등 지구환경 문제를 논의하기 위하여 1992년에 개최된 ‘유엔인간환경회의(UNCHE)'에서는 환경과 개발의 조화를 추구하기 위한 '리우환경선언'을 채택하였다. 이를 통해 지구환경보전을 위한 자연과의 조화, 지속가능한 개발 등의 원칙에 대하여 세계가 협력하도록 하였다.

패션분야에서도 이러한 사회적 움직임에 힘입어 ‘에코’를 화두로 친환경적인 요소를 적용하는 모습이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Lee, Lee, & Kim, 2012). 현재 국내외 환경친화적 의류생산업체와 패션브랜드가 증가하고 있으며, 에코패션 관련 연구도 다양한 측면에서 진행되고 있다.

에코패션은 1960년대 말에 자연회귀와 환경보호운동을 배경으로 자수나 손뜨개, 패치워크 등 수작업이 부활된 전원풍의 히피룩, 에스닉룩으로 표현되어 자연친화성을 추구하였고(Chung, 2000), 1970년대 초 에너지 위기 이후에는 그린디자인이 부각되었다. 1980년 중반에는 ‘프리미에르 비종(Premier Vision)'에서 환경보호를 염두에 두고 자연소재에 대해 논의하면서 자연을 연상시키는 색채와 천연소재를 사용하게 되었고(Kim & Lee, 2010), 1990년대에 환경을 위한 국제기구의 규제 등이 발표됨에 따라 친환경, 지속가능 등의 개념이 강조되었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대표적인 문화트렌드인 웰빙과 접목되어 정신적, 육체적 건강을 중요시하는 인간친화(Han & Kim, 1999)의 개념으로 변화하였고, 업사이클링 디자인(Park & Kim, 2014) 등으로 더욱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다.

최근 환경에 대한 사회적 관심 고조와 소비자의 환경의식 향상으로 많은 기업들이 환경친화적 이미지를 내세운 그린마케팅(Lee & Sung, 2012), 사회공헌 이미지를 내세운 윤리적 마케팅(Lee & Park, 2008) 활동을 선보이고 있다. 또한 인류생존, 지속가능이라는 전 인류적 관점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이라는 개념이 이윤을 사회에 환원하는 기업의 윤리적 책임에 중요한 의미를 부여하는 시각에서 점차 확산하고 있다(Ko, 2010).

에코패션, 친환경패션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Kim & Lee(2010)가 에코 패션디자인의 유형과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였고, Lee(2005)가 에코 디자인의 특성을, Song(2010)이 에코 디자인의 색채경향을 분석하였다.

Lyu & Huh(2010)는 친환경 디자인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고, Yoo(2005)는 친환경 디자인과 친환경 마케팅 경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Jung & Lee(2009)는 패션브랜드의 사회적 책임활동 유형을 소비자 보호활동, 재활용ㆍ친환경활동, 윤리적 책임활동, 기부성 판매 및 모금활동, 장학 문화 봉사활동 등으로 분류하였다. Kang, J. & Kim, H.(2012)은 패션브랜드의 사회적 책임활동 측정 척도를 개발하였다.

Lee, Lee, & Park(2007)은 에코디자인과 관련하여 지속가능한 느린 디자인의 특성을 분류하였고, Kim, Lee, & Chung(2007)은 오가닉 코튼을 이용하여 지속가능한 패션디자인의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윤리적 요인에 관한 특성을 분석하였다.

Park(2011)은 그린 패션 마케팅 현황을 분석하였고, Choi & Kim(2000)은 그린패션 제품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들을 종합하면, 자연과 환경보호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에코, 친환경, 지속가능성, 그린, 기업의 사회적 책임 등의 주제의 연구가 패션디자인분야뿐 아니라 패션마케팅분야에서도 폭넓게 진행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의 환경의식이 발달하고, 패션관련 기업에서 환경친화적인 마케팅과 사회적 책임에 중요한 의미를 부여하는 시각이 확산되는 것은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으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자연환경 보전을 위한 에코패션 관련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현재 국내에서 진행되는 친환경패션에 관한 연구의 흐름을 파악하고, 향후 관련분야의 연구방향과 에코, 친환경패션 개발 및 패션산업에서 미래지향적인 기업경영에 필요한 정보와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연구방법으로 문헌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국내의 복식, 의류 관련 학회 중 학술지를 발행한 년도가 20년 이상이 된 학회에서 발간되는 학술지를 대상으로 하여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최근 5년 동안 발간된 학술지를 선정하였다. 1995년 이전에 창간호를 발행한 한국복식학회, 한국의류학회, 복식문화학회, 한국의상디자인학회 등의 학회에서 발간되는 『복식』, 『한국의류학회지』, 『복식문화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등에 발표된 논문 중 에코, 친환경패션 관련 논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학회지별 논문발행 현황은 <Table 1>과 같다.

2010년부터 2014년까지 5년간 발간된 『복식』의 논문 편수는 총 44호에 502편이며, 한국의류학회지 의 논문 편수는 총 50호에 540편, 『복식문화연구』의 논문 편수는 총 30호에 415편,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의 논문 편수는 총 20호에 289편으로 네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편수는 총 1,746편이었다.

<Table 1> 
publication papers by the journal unit : piece
year year of first publication 2010 2011 2012 2013 2014 total
journ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1977 105 105 101 95 96 502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1977 173 102 107 86 72 540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993 91 102 73 75 74 415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995 50 59 64 54 62 289
total 419 368 345 310 304 1,746

2. 연구자료 분류

연구자료의 분류는 일차적으로 제목을 중심으로 에코, 친환경패션 관련 논문을 분류하였고, 논문의 주제어를 추출하여 분류하였다. 주제가 복합적인 경우는 논문의 연구방향과 내용을 기준으로 주된 분야에 포함시켜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 에코, 친환경패션 관련 연구로 선정한 기준이 되는 주제어는 에코패션(eco fashion), 친환경(eco-friendly), 지속가능한 패션(sustainable fashion), 그린패션(green fashion), 재활용(recycle), 업사이클(upcycle), 중고패션(secondhand fashion), 리디자인(redesign),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윤리적(ethical) 소비, 슬로패션(slow fashion), 공익(public benefit) 등 12가지로 주제어를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에코패션(eco fashion)은 Naver.com(2016)에 의하면, 친환경 소재를 사용해 의류를 제작하는 등 생태계의 보호를 배려한 패션이라고 정의하였다. 소재뿐 아니라 자연을 연상시키는 색채, 자연적인 무늬 등이 이용되며, 패션 장바구니운동인 환경운동도 포함된다.

친환경(eco-friendly)은 Wikipedia.org(2016)에 의하면, 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환경을 배려하는 것으로, Naver.com(2016)에서는 자연환경을 오염시키거나 파괴하지 않고 자연 그대로의 환경과 잘어울리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지속가능한 패션(sustainable fashion)에 관하여 Naver.com(2016)은 미래 세대를 위해 현존자원을 저하시키지 않는 패션제품의 생산·사용·폐기과정이라고 말한다.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 생산, 환경친화성 소재(Eco-friendly textile) 사용, 합리적인 소비, 재사용(reuse), 재활용(recycle)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그린패션(green fashion)은 Park(2011)에 의하면, 생태계를 배려한 패션일 뿐 아니라 지속가능성과 패션제품이 갖추어야 할 트렌디한 디자인의 전개까지를 포함한 개념이라고 하였다.

재활용(recycle)은 Cha & Kim(2014)에 의하면, 일차적으로 사용된 후 폐기물화된 자원을 재이용함으로써 천연자원의 수입 감소, 폐기물의 원천적 감소를 통해 오염을 줄이는 환경보존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하였다.

업사이클(upcycle)은 Naver.com(2016)에 의하면, 기존에 버려지는 제품을 단순히 재활용하는 차원을 넘어서 디자인을 가미하는 등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여 새로운 제품으로 재탄생시키는 것을 말한다.

중고패션(secondhand fashion)은 중고품의 경우 Daum.net(2016)에서 좀 낡은 헌 물품으로 정의하여, 중고패션은 다른 사람이 이미 사용한 새 것이 아닌 패션이라 할 수 있다.

리디자인(redesign)은 Naver.com(2016)에 의하면, 버려진 소재를 활용해 전문 디자이너들이 그 안에 아름답고 예쁜 디자인을 입혀 새로운 제품으로 탄생시키는 것으로 환경을 지키는 에코디자인이라 할 수 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은 Kang & Kim(2012)에 의하면,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경제적, 환경적, 사회적 영역에서 그 활동이 통합적으로 전개되는 것을 의미한다.

윤리적(ethical) 소비에 관하여 Naver.com(2016)는 인간이나 동물, 환경에 해를 끼치는 상품은 피하고, 환경과 지역사회에 도움이 되거나 공정무역을 통해 만들어진 제품을 구매하며, 제 3세계 노동자들을 인식하자는 소비운동이라고 하였다.

슬로패션(slow fashion)은 Lee, Kwon, & Ko(2014)에 의하면, 인간과 환경을 고려한 지속가능한 패션을 말하며, 시간과 장소를 초월한 올바른 제품을 추구하는 패션으로 정의하였다.

공익(public benefit)은 Naver.com(2016)에 의하면, 공공의 이익, 불특정 다수인의 이익을 의미한다. Ko(2010)는 인류생존, 지속가능이라는 관점에서 공익활동의 주체가 공공기관에서 나아가 영리추구집단인 기업에 까지 확대되었다고 하였다.

3. 자료의 분석방법

선정된 에코, 친환경패션 관련 분야의 논문은 년도별, 학회지별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주제, 적용된 연구방법, 관련 연구분야 등을 분석하였다.

자료의 통계적 분석방법으로는 빈도, 백분율 등의 기술통계를 사용하였으며 분포도와 변화추이를 분석한 결과를 원형차트와 막대그래프로 제시하였다.


Ⅲ. 에코, 친환경패션 관련 연구동향
1. 에코, 친환경패션 관련 연구의 발표 현황

최근의 에코패션 관련 연구의 분석을 위해 2010년부터 2014년까지 발간된 『복식』 502편, 『한국의류학회지』 540편, 『복식문화연구』 415편, 『의상디자인학회지』 289편, 총 1,746편의 논문 중에서 에코, 친환경패션 관련 주제를 중심으로 연구자료를 검토, 선정하였다.

에코, 친환경패션 관련 연구로 총 55편이 선정되었다. 에코, 친환경패션 관련 연구의 학회지별, 년도별 분포는 <Table 2>와 같다. 『한국의류학회지』에 22편으로 40.00%, 『복식문화연구』에 18편으로 32.73%, 『복식』에 9편으로 16.36%, 『의상디자인학회지』에 6편으로 10.91%가 발표되었다. 55편 중에서 에코관련 연구가 가장 많이 발표된 학술지는 『한국의류학회지』였으며,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에 가장 적게 발표되었다.

학회지별로 살펴보면, 『한국의류학회지』는 2010년부터 2014년까지 5년 중 2012년을 제외하고 가장 높은 비율로 발표되었으며, 『복식문화연구』는 5년간 지속적으로 유사한 비율로 발표되었다. 『복식』은 2010년과 2014년에는 비교적 많이 발표되었으나, 2011, 2012, 2013년에는 저조한 편이고,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는 대체로 발표가 저조한 현상을 나타내었다.

<Table 2> 
papers relating to eco, eco-friendly fashion by the journal unit : piece(%)
year 2010 2011 2012 2013 2014 total
journ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5(9.10) 6(10.91) 1(1.82) 5(9.10) 5(9.10) 22(40.00)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3(5.45) 5(9.10) 4(7.27) 3(5.45) 3(5.45) 18(32.73)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4(7.27) 0 1(1.82) 0 4(7.27) 9(16.36)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1.82) 1(1.82) 1(1.82) 1(1.82) 2(3.64) 6(10.91)
total 13(23.64) 12(21.82) 7(12.73) 9(16.36) 14(25.45) 55(100)

2. 에코, 친환경패션 관련 연구주제

『복식』, 『한국의류학회지』, 『복식문화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등에 발표된 논문 중 에코패션 관련 논문에 표현된 주제별 분포는 <Table 3>과 같다.

친환경, CSR(기업의 사회적 책임), 에코, 지속가능, 그린(녹색), 윤리 소비(디자인), 재활용, 업사이클, 중고패션, 슬로우 패션, 리디자인, 공익추구 등의 12가지 주제가 적용되었다. 가장 많이 적용된 주제는 ‘친환경’으로 13편(23.64%)이었으며, CSR(기업의 사회적 책임) 9편(16.36%), 에코 6편(10.91%), 지속가능 6편(10.91%), 그린(녹색) 6편(10.91%), 윤리 소비(디자인) 4편(7.27%), 재활용 3편(5.45%)의 순으로 많이 적용되었다. 12 주제 중 앞의 7주제는 47편에 적용되어 전체 55편의 85.45%를 차지하였다.

<Table 3> 
research topics relating to eco, eco-friendly by the journal unit : piece(%)
journal J. KSCT J. CC J. KSC J. KFCDA total
research topics
1. eco-friendly 3(5.45) 7(12.73) 1(1.82) 2(3.64) 13(23.64)
2. CSR 6(10.91) 2(3.64) 1(1.82) 0 9(16.36)
3. eco 1(1.82) 3(5.45) 0 2(3.64) 6(10.91)
4. sustainable 2(3.64) 2(3.64) 2(3.64) 0 6(10.91)
5. green 4(7.27) 1(1.82) 0 1(1.82) 6(10.91)
6. ethical 2(3.64) 0 2(3.64) 0 4(7.27)
7. recycle 0 1(1.82) 2(3.64) 0 3(5.45)
8. upcycle 0 1(1.82) 1(1.82) 0 2(3.64)
9. secondhand fashion 1(1.82) 1(1.82) 0 0 2(3.64)
10. slow 2(3.64) 0 0 0 2(3.64)
11. redesign 0 0 0 1(1.82) 1(1.82)
12. public benefit 1(1.82) 0 0 0 1(1.82)
total 22(40.00) 18(32.73) 9(16.36) 6(10.91) 55(100)
J. KSC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J. CC: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J. KSC: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J. KFCDA: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학회지별로 발표된 에코패션 관련 주제는 『한국의류학회지』에는 CSR(6편), 그린(4편), 친환경(3편)의 순으로 발표되었다. CSR주제는 네 학회지 중 『한국의류학회지』에 가장 많이 발표되었다. 『복식문화연구』에는 친환경 주제가 7편으로 가장 많이 발표되었고, 친환경 주제는 네 학회지 중 『복식문화연구』에 가장 많이 발표되었다. 친환경 주제 다음으로는 에코 주제가 3편 발표되었다. 『복식』에는 지속가능, 윤리 소비, 재활용의 주제가 각각 2편씩,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에는 친환경, 에코 주제가 각각 2편씩 발표되었다.

학회지별 특징을 살펴보면, 『한국의류학회지』는 CSR(6편), 그린(4편)의 주제가 많이 발표되었으며, 연구내용은 패션마케팅 관련 논문이 많이 발표되었다. 『복식문화연구』에 친환경(7편)의 주제가 많이 발표되었고, 연구내용은 패션마케팅 관련분야의 비율이 높았다. 『복식』은 특별히 많이 나타난 주제는 없었으며, 패션디자인과 패션마케팅 분야에 비슷한 분포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에코패션 관련 주제의 경우 학회지간에 논문 발표 성향에 차이가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Table 4>는 에코패션 관련 연구주제의 년도별 분포이며, <Fig. 1>은 <Table 4>에 제시한 연구주제별로 5년간 네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편수의 합계를 기준으로한 연구주제별 분포도를 원형차트로 나타낸 것이다. <Fig. 2>의 막대 그래프는 에코 패션 관련 연구주제별로 년도에 따른 변화 추이를 나타낸 것이다. <Fig. 1>과 <Fig. 2>의 경우, 에코패션 관련 12가지 연구주제 중에서 5년 동안 1회 또는 2회만 적용된 업사이클, 중고패션, 슬로우 패션, 리디자인, 공익추구의 5 주제를 함께 묶어서 ‘기타 주제’로 정리하였다.

<Table 4> 
annual distribution of research topics relating to eco, eco-friendly fashion unit : piece(%)
year 2010 2011 2012 2013 2014 total
research topics
1. eco-friendly 2(3.64) 4(7.27) 2(3.64) 2(3.64) 3(5.45) 13(23.64)
2. CSR 2(3.64) 3(5.45) 1(1.82) 1(1.82) 2(3.64) 9(16.36)
3. eco 1(1.82) 1(1.82) 2(3.64) 0 2(3.64) 6(10.91)
4. sustainable 2(3.64) 1(1.82) 0 1(1.82) 2(3.64) 6(10.91)
5. green 2(3.64) 2(3.64) 1(1.82) 0 1(1.82) 6(10.91)
6. ethical 1(1.82) 0 0 2(3.64) 1(1.82) 4(7.27)
7. recycle 1(1.82) 0 0 1(1.82) 1(1.82) 3(5.45)
8. upcycle 0 0 1(1.82) 0 1(1.82) 2(3.64)
9. secondhand fashion 0 0 0 2 0 2(3.64)
10. slow 0 1(1.82) 0 0 1(1.82) 2(3.64)
11. redesign 1(1.82) 0 0 0 0 1(1.82)
12. public benefit 1(1.82) 0 0 0 0 1(1.82)
total 13(23.64) 12(21.82) 7(12.73) 9(16.36) 14(25.45) 55(100)

에코패션 관련 연구주제의 년도별 추이를 살펴보면, 2010년에 13편, 2011년에 12편, 2012년에 7편, 2013년에 9편, 2014년에 14편이 발표되었다. 2014년에 14편으로 가장 많이 발표되었고, 2012년에 다소 저조하다가 2014년에 14편으로 증가하였다. 이를 통해 에코패션 관련 주제가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는 주제임을 알 수 있다.

친환경, CSR, 에코, 지속가능, 그린의 주제들은 5년간 지속적으로 발표되는 주제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 특히 친환경과 CSR 주제는 매년 연구되고 있었다. 따라서 에코 관련 연구주제 중 가장 관심이 많은 연구주제라고 할 수 있다.

리디자인과 공익추구 주제는 2010년에만 한번씩 발표되고 그 이후에는 연구되지 않았다. 반면에, 윤리, 재활용, 업사이클, 중고패션 등의 주제는 2010년대 초반기보다는 중반기 쪽에 연구가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친환경과 CSR은 모두 2011년에 가장 많이 발표되었으며, 2014년에 다시 발표 논문수가 증가되었다. 에코, 지속가능 주제도 2014년에 발표 논문 수가 증가를 나타내어 친환경, CSR, 에코, 지속가능의 주제들이 에코 패션 관련 연구 주제 12가지 중에서 향후에도 가장 많이 연구될 가능성이 있는 가장 비중이 큰 연구주제라고 할 수 있다.


<Fig. 1> 
distribution of research topics relating to eco, eco-friendly fashion


<Fig. 2> 
research topics relating to eco, eco-friendly fashion by year trend

3. 에코, 친환경패션 연구에 적용된 연구방법

에코패션 관련 연구에 적용된 연구방법은 <Table 5>와 같다. 설문지조사, 문헌조사, 사례연구, 인터넷검색, 의상제작, 온라인설문조사, 면접 등이 활용되었으며, 연구에 따라 연구방법이 중복되어 적용되는 경우가 있었다. 설문지조사방법이 22편(29.33%)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그 다음으로 문헌조사와 사례연구가 각각 13편, 인터넷검색이 11편, 의상제작이 8편, 온라인설문조사와 면접이 각각 4편씩 사용되었다.

설문지조사는 2014년에 특히 가장 많이 활용되었으며, 문헌조사는 2010년에 많이 활용되었다. 에코패션 관련 연구에는 대체로 설문지조사, 문헌조사, 사례연구, 인터넷검색 연구방법이 많이 사용되어 전체 연구의 약 80%를 차지하였다.

<Table 5> 
research methods for the study on eco, eco-friendly fashion unit : piece
year 2010 2011 2012 2013 2014 total
research topics
1. questionnaire 3 4 4 3 8 22
2. literature review 5 2 0 3 3 13
3. case study 4 4 1 1 3 13
4. internet search 3 4 2 0 2 11
5. costume construction 2 2 0 1 3 8
6. online survey 1 0 0 2 1 4
7. interview 1 1 1 0 1 4
total 19 17 8 10 21 75

4. 에코, 친환경패션 연구의 관련 연구분야

에코패션 관련 연구들이 다룬 연구내용을 살펴보면, 연구분야를 크게 패션디자인분야와 패션마케팅분야로 분류할 경우 분야별 분포도는 <Table 6>과 같다.

패션디자인분야로 분류된 에코패션 관련 연구에서 다룬 연구내용은 디자인개발, 디자인분석, 의상제작, 미적가치, 색채경향, 색채배색, 조형적 특성, 디자인교육 프로그램개발 등이다. 패션마케팅 분야로 분류된 에코패션 관련 연구에서 다룬 연구내용은 구매태도, 구매행동, 구매실태, CSR 측정척도 개발, 소비행동, 기업이미지, 마케팅유형, 마케팅전략, 광고, 상품기획, 브랜드현황 등이다.

패션디자인분야는 19편으로 34.55%를 차지하며, 패션마케팅분야는 36편 65.45%로 나타남으로써 에코패션 관련 연구가 패션디자인분야보다 패션마케팅분야에서 약 30% 이상 더 많이 연구되었음을 알 수 있다.

패션디자인분야는 2010년에 가장 많이 발표되었고, 패션마케팅분야는 2014년에 가장 많이 발표되었다.

에코, 친환경패션은 패션마케팅분야의 논문이 매년 패션디자인분야보다 많이 발표되어 디자인개발, 의상제작분야보다 구매행동, 마케팅전략 등에 관한 연구가 더 많이 발표되었음을 알 수 있다.

종합하면, 에코, 친환경패션 관련 연구는 최근 5년간 꾸준히 지속적으로 발표되어왔고, 『한국의류학회지』에 가장 많이 발표되었다. 12가지 연구주제 중 친환경, CSR, 에코, 지속가능 등의 주제가 많이 적용되었다. 연구방법으로 설문지조사 방법, 문헌조사, 사례연구 등이 활용되었으며, 패션 디자인분야보다 패션마케팅분야와 관련된 연구들이 더 많이 발표되었다.

<Table 6> 
research fields relating to the study on eco, eco-friendly fashion unit : piece
year 2010 2011 2012 2013 2014 total
research field
fashion design 5 4 3 3 4 19
fashion marketing 8 8 4 6 10 36
total 13 12 7 9 14 55


Ⅳ. 결론

환경의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패션 분야에서도 다양한 방법으로 친환경적인 요소를 적용하는 현상이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에코패션 관련 연구도 다양하게 활발히 진행되고있다.

『복식』, 『한국의류학회지』, 『복식문화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등의 학술지에 2010년부터 2014년까지 5년간 게재된 1,746편의 논문 중 에코패션 관련 논문 55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주제, 연구방법, 관련 연구분야 등을 분석함으로써 에코, 친환경패션 분야의 연구동향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최근 5년간 학술지에 발표된 에코패션 관련연구 분석 결과 『한국의류학회지』에 가장 많이 발표되었고,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에 가장 적게 발표되었다.

2. 에코패션 관련 연구는 2014년에 가장 많이 발표되었고, 2012년에 다소 저조하다가 2014년에 증가를 나타내었다.

3. 12개의 연구주제 중 ‘친환경’주제가 가장 많이 적용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CSR, 에코, 지속가능, 그린, 윤리, 재활용 등의 주제의 순으로 적용되었다.

4. 활용된 연구방법 중 설문지조사 방법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으며, 문헌조사, 사례연구, 인터넷검색, 의상제작, 온라인설문조사, 면접 등이 활용되었다.

5. 관련 연구분야로는 패션디자인분야보다 패션마케팅분야와 관련된 연구들이 더 많이 발표되었다.

에코패션은 1960년대말 히피풍, 1970년대 에너지 위기, 1980년대 친환경소재 부각 등으로 자연환경친화적인 디자인과 소재 중심으로 확산되었다. 1990년대 환경선언 등으로 사회전반에 친환경의식이 고조됨에 따라 디자인뿐 아니라 생산, 사용, 폐기 단계에 걸쳐 윤리적이고 공익을 추구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기업 이미지 등의 방향이 강화되는 추세로 적용범위가 확대되었다. 21세기글로벌 경기침체 속에서 지속적 사용을 위한 구매, 환경오염을 줄이는 폐기, 생태계를 배려한 생산, 친환경마케팅, 이익의 일부를 사회에 환원하는 공익연계마케팅 등이 전개되고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친환경패션 연구가 디자인이나 제작보다 마케팅과 기업운영 방향에 까지 다양하게 적용, 활용되는 추세를 나타내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동향은 그동안 전개된 에코패션의 적용범위가 디자인, 소재에서 생산, 소비, 폐기단계에 걸쳐 윤리와 공익을 추구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강화로 확대되고, 친환경의식의 향상에 따른 사회환경적 배경의 변화가 연구방향에도 반영된 것으로 사료된다. 에코패션은 향후 국가, 기업, 소비자의 측면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이 확산될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에서 진행되는 친환경패션에 관한 연구의 흐름을 파악하고, 향후 관련분야의 연구방향을 예측하며, 에코, 친환경패션 개발 및 패션산업에서 미래지향적인 기업경영에 필요한 정보와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연구대상의 기간이 5년으로 되어 있어서 추후 장기적인 기간을 대상으로 연구동향을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학술지 이외에 학위논문 등 다양한 자료의 분석을 통한 후속연구를 제안한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한성대학교 교내학술연구비 지원과제임.


References
1. Cha, G., & Kim, M., (2014), A Study on the effects of ethetical consumption consciousness on purchase attitude of consum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4(5), p125-140.
2. Choi, N., & Kim, M., (2000), Analysis of recognization and behavior characteristics of customers for green fashion produ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0(1), p145-159.
3. Chung, S., (2000), Modern fashion mode〔현대패션모드〕, Paju, Republic of Korea.
4. Eco fashion, (n.d.), In Naver Encyclopedia online, Retrieved from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31923&cid=50330&categoryId=50330.
5. Eco friendly, (n.d.), In Wikipedia Encyclopedia online, Retrieved from https://ko.wikipedia.org/wiki/%EC%B9%9C%ED%99%98%EA%B2%BD.
6. Eco friendly, (n.d.), In Naver Encyclopedia online, Retrieved from http://terms.naver.com/search.nhn?query=%EC%B9%9C%ED%99%98%EA%B2%BD&searchType=&dicType=&subject=.
7. Ethetical consumption, (n.d.), In Naver Encyclopedia online, Retrieved from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180445&cid=43667&categoryId=43667.
8. Hahn, S. W., & Kim, Y. I., (1999), Ecological image in fashion during the early period of 1990'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3(2), p296-306.
9. J. H. Park, Y. H. Kim, (2014), A Study on fashion design for up-cycled waste resour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4(8).
10. Jung, Y. Y., & Lee, J. H., (2009), Exploratory Study on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Fashion Brand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8(6), p1247-1256.
11. Kang, J., & Kim, H., (2012), Developing a scale for measuring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a fashion bran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4(8), p67-79.
12. Kim, S., & Lee, K., (2010), A Study on classification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eco fashion design,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2(5), p555-563.
13. Kim, S., Lee, J., & Chung, H., (2007), A study on the sustainable fashion design by organic cott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7(2), p115-131.
14. Ko, H., (2010), The pursuit of public benefit in fashion enterpris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10), p1718.
15. Lee, H., (2010), Eco-design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Unpublished master' thesis, Hanyang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16. Lee, J. S., Kwon, H. S., & Koh, A., (2014), The consumption desire for slow fash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8(1), p59-72.
17. Lee, J., & Sung, H., (2012),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British consumers for the diffusion of green fashion produ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6(10), p1087-1099.
18. Lee, K. H., Lee, J. Y., & Kim, S. B., (2012),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eco t-shirt design,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0(1), p72-82.
19. Lee, S. H., & Park, J. E., (2008), Relationship between ethicts level, its antecedents and perceived performance in fashion industries,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Research, 13(4), p109-126.
20. Lee, Y. H., Lee, H. A., & Park, J. O., (2007), Sustainable slow design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1(1), p21-32.
21. Lyu, K. J., & Huh, E. O., (2006), A study on the environment-friendly design in contemporary fash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6(1), p57-78.
22. Park, S., (2011), A study on the state of green fashion marketing,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3(2), p121-131.
23. Public benefit, (n.d.), In Naver Encyclopedia online, Retrieved from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9249&cid=43667&categoryId=43667.
24. Secondhand, (n.d.), In Daum Encyclopedia online, Retrieved from http://dic.daum.net/word/view.do?wordid=kkw000238041&supid=kku000304349#kku000304349.
25. Song, J. E., (2010), Eco-design color trends in fash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3), p492-507.
26. Sustainable fashion, (n.d.), In Naver Encyclopedia online, Retrieved from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404465&cid=40942&categoryId=32077.
27. Upcycle, (n.d.), In Naver Encyclopedia online, Retrieved from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31148&cid=43667&categoryId=43667.
28. Yoo, H., (2005), A study on environment - friendly design and marketing in our contemporary fashions,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8(2), p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