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Articl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ol. 67, No. 6, pp.96-111
ISSN: 1229-6880 (Print) 2287-7827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17
Received 10 Aug 2017 Revised 19 Sep 2017 Accepted 25 Sep 2017
DOI: https://doi.org/10.7233/jksc.2017.67.6.096

공연예술 의상의 표현특성 비교 연구
- ‘레 미제라블' 뮤지컬과 연극을 중심으로 -

조영아+ ; 금기숙
+홍익대학교 대학원 디자인ㆍ공예학과 의상학 전공 박사
홍익대학교 섬유미술ㆍ패션디자인과 교수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stume Design
- Focused on the Musical and Play ‘Les Misérables’ -
Youngah Cho+ ; Keysook Geum
+Ph. D., Dept. of Design & Craft, Graduate School, Hongik University
Professor, Dept. of Textile Art & Fashion Design, Hongik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Youngah Cho, e-mail: happyfape@naver.com

Abstract

Les Misérables, a novel that represents longing for human freedom and equality, shows the inner truth of life with insight through the journey of the hero, Jean Valjean finding his true self. Les Misérables is expanding and transforming into a variety of cultural contents by evoking public sympathy beyond time and space. Thu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costume design reproduced in musical and play versions of Les Misérables based on the literature. To visualize the costumes in Les Misérables,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d the costumes in each genre based on the illustrations made in the same period, and elici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x main characters. The characteristics depicted in the costume design for Les Misérables are presented in the form of reproducing the costumes of the time, expressing the attributes of the characters, reflecting the sensibility of the same period, specializing each type of performance, and reflecting the directing philosophy. This study had significance in that it promoted the understanding of costume design in performing arts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costumes in performing arts that reproduced a literary work, and that it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costume design in the future.

Keywords:

Les Misèrables, performing art, characteristics

키워드:

레 미제라블, 공연예술, 표현특성

Ⅰ. 서론

문학『레 미제라블 Les Misérables』은 인간 존엄과 사랑, 자유와 정의를 향한 열망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당대 프랑스 민중들의 삶을 사실적이고 감동적으로 그려내었기에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대중 문학의 성공 사례로 꼽힌다.

소설의 배경인 19세기 초 프랑스는 귀족과 성직자 그리고 부르주아가 부와 관직을 독점하는 정치·경제 구조로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었던 시기였다. 당시의 불합리했던 삶은 현대인들에게도 여전히 인생과 역사에 대한 통찰을 주며 다양하게 해석되고 있다. 문학 작품은 시대와 공간을 초월한 공감대를 이끌어내었고 연극, 영화, 뮤지컬, 애니메이션, 동화, 만화, 게임 등으로 꾸준히 제작되고 있다.

이렇게『레 미제라블』을 활용한 다양한 문화콘텐츠의 개발과 성공에도 불구하고 복식에 관한 선행 연구(Kim, H. J., Han, J. E., Hwang, N. W., Zhao, L., & Kim, Y. H., 2011)는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공연예술 의상에 관한 연구 대부분은 작품을 선정하여 등장인물들의 의상을 디자인·제작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이에 본 연구는 문학『레 미제라블』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뮤지컬과 연극에 나타난 각 인물별 복식 디자인을 비교하여 표현특성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공연예술 장르별 의상 디자인의 특성을 이해하고, 향후 공연예술 의상 디자인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먼저 국ㆍ내외 논문 및 학술지, 단행본 등의 문헌 자료를 통해 작품을 살펴보고 당시의 사회 문화적 배경과 등장인물의 성격을 파악하여 의상 분석의 틀을 마련한다. 문학의 내용과『레 미제라블』 유그판에 삽입된 에밀 바야르(Émile Bayard) 등의 삽화를 바탕으로 뮤지컬과 연극의 주요 등장인물 6인의 의상을 분석하여 장르별 특성을 도출한다.

연구 대상은 카메론 매킨토시(Cameron Mackintosh) 제작의 25주년 기념 뮤지컬 콘서트『Les Misérables』과 미국 스피릿츄얼 트위스트 프로덕션(Spiritual Twist Productions: STP)의 연극『Les Misérables: A Story of Grace』를 선정한다. 뮤지컬은 1985년 영국 런던에서 초연된 이래 현재까지 전 세계 44개국에서 공연되고 있으며, 70개 이상의 주요 뮤지컬 상을 받았다(lesmis, n.d.). 특히 25주년 뮤지컬 콘서트는 전 세계에 방영되었을 정도로 인정을 받은 작품이다. 연극은 위키백과에 올라온 ‘레 미제라블’ 연극 중 가장 최근 공연으로 예술성과 대중성을 지닌 작품을 대상으로 한다. 작품의 분석은 뮤지컬과 연극의 DVD를 통해 이미지를 발췌하여 활용하였으나, 실물이 아닌 영상과 사진 자료 등을 통한 분석이라는 한계점도 있다.


Ⅱ. 일반적 고찰

1. 용어 정의

공연예술(公演藝術, performing art)은 무용이나 음악 공연과 같이 관객들 앞에서 라이브로 공연되는 형태들(Collins, 1996)을 말하며 공연자가 직접 연기나 연주로 작품을 만들어가는 실연예술이다(Lee, 2013). 현대의 공연예술은 점차 확대되어져 공연예술 실황을 영상으로 제작함으로써 시공간적인 제한성을 벗어난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Hur, 2016).

공연예술 의상은 무대에서 공연되는 뮤지컬, 오페라, 연극, 무용, 음악극 등에서 등장인물의 역할이나 성격을 관객에게 전달하기 위해 인체에 걸치는 모든 것을 말하며 의상과 신발, 머리장식 및 액세서리 등이 있다(Prisk, 1996).

본 연구에서의 공연예술 의상이란 문학『레 미제라블』을 활용하여 제작된 뮤지컬과 연극에서 배우들이 착장한 의상 및 액세서리로 정의한다.

2. 문학 작품의 개요 및 의의

『레 미제라블』은 빅토르 위고(Victor Marie Hugo: 1802~1885)의 장편 소설로 1815년부터 1832년 6월 봉기 이후까지 약 20여년에 걸친 프랑스인들의 삶이 사실적으로 펼쳐진다. 1862년 1부가 출간 된 후 일주일도 되지 않아 1쇄가 매진되었고 약 23년간 500만 부가 넘게 판매되었으나 사회소설로 인식되어 문학성을 인정받지 못하다가 20세기 중반에 이르러 그 가치가 재평가되었다.

작품은 인간애와 사회진보로의 열망을 보여주는 낭만주의 소설의 대표작(Cha, 2010)으로 사회악에 의해 비인간화를 겪은 한 인간이 운명을 극복하면서 사람과 사랑을 통해 구원에 다가가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 Song(2007)은 “위고의 소설은 텍스트를 대중소설로 또는 사회소설로, 자아에 대한 상징체계로, 서사소설로 읽을 수 있는 시학의 탁월함을 갖추고 있다”고 하였다 (p. 2476).

소설은 빵 하나를 훔친 죄로 19년간의 감옥살이를 한 장 발장을 중심으로 프랑스 하층민들의 절망적인 삶과 당대 사회·역사적 문제점들을 구체적으로 묘사하였다. ‘불쌍한 사람들’이라는 제목처럼 사회의 잔인성을 강하게 고발하면서(Cha, 1986) 휴머니즘에 대한 물음을 던진다. 문학 작품을 통해 주요 등장인물을 분석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Table 1>.

Major Characters Analysis

3. 사회 문화적 배경

1814년 프랑스는 나폴레옹의 퇴위로 루이 18세(Louis XVIII)가 망명 귀족들과 함께 파리로 귀국하면서(Contini, 1977) 왕정복고시대가 시작되었다. 귀족 중심의 사회가 재개되었고 이후 즉위한 샤를르 10세(Charles X)는 강력한 전제 정치를 감행하였다. 이에 분개한 파리 시민들은 1830년 7월 혁명을 일으켜 루이 필리프(Louis Philippe)를 ‘시민의 왕’으로 추대하였다(Briton, Christopher, & Wolff, 1996). 루이 필리프는 부르주아들에게 정권 참여의 길을 열어줌으로써 귀족 세력은 점차 약화되었다.

산업혁명은 경제생활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빈곤과 실업, 도시화와 열악한 작업환경과 같은 사회문제를 야기했고 자본과 노동 사이의 갈등은 심화되었다(Wright, 1987). 특히 프랑스에서 1830년대는 경제 위기와 사회 문제가 본격적으로 대두되는 시기였다.

당시 예술, 문학, 철학, 종교 등에 걸쳐 전개된로맨티시즘(Romanticism: 낭만주의)은 고전적 규범과 형식, 인습에 대한 반항운동으로(Hauser, 1999) 자유로운 감정과 창조정신을 중시하였다. 객관보다는 주관을, 지성보다는 감성을 중요시하고 개성을 존중하며 정신적인 자유로움을 추구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로맨티시즘 복식은 프랑스 대혁명과 산업혁명의 영향 속에서 형성되었고, 현실이 아닌 과거에서 그 이상을 찾고자 하였다. 어깨를 강조한 부풀린 소매에 허리를 조이고 스커트를 넓히는 등 혁명 이전의 귀족풍을 연상시키는 장식적인 스타일의 여성복이 성행하였고, 남성들도 가는 허리, 둥근 엉덩이와 볼록한 가슴 등의 날씬한 외형을 추구하였다(Payne, 1965).


Ⅲ. 레 미제라블 인물별 의상 분석

1. 장 발장(Jean Valjean)

주인공 장 발장은 도망자로 자신의 신분을 숨겨야하는 상황에 따라 가장 많은 의상의 변화가 보인다. 먼저 툴롱(Toulon) 형무소의 죄수로 복역할 때는 “붉은 죄수복으로 갈아입었다”는 표현이 있다(Hugo, 2012a, p. 158). 뮤지컬에서는 문학 작품 속 삽화<Fig. 1>와 같이 낡고 헤진 라운드 네크라인의 반소매 상의와 품이 넉넉한 긴 바지를 입었으나<Fig. 2>, 다음 장면으로의 빠른 전환을 위해 다른 죄수들과 달리 두건과 스카프 없이 연출되었다. 연극에서 장 발장은 아이보리색 셔츠와 서스펜더(suspender)로 고정한 브라운색 판타롱(pantalon)을 입어 죄수보다는 서민적인 모습으로 연출되었다<Fig. 3>. 이는 바로 이어지는 미리엘 주교와의 만남을 연기하기 위한 의도로 해석된다.

1815년 10월에 출옥한 장 발장을 Hugo(2012a)는 “가슴팍이 드러난 누런 삼베 셔츠에 끄나풀처럼 배배 꼬인 넥타이를 두르고 무릎이 닳고 구멍난 푸른 무명 바지와 팔꿈치를 기운 잿빛 상의”를 입은 남루한 나그네<Fig. 4>로 그렸다(pp. 113-114). 뮤지컬에서는 죄수복 위에 카멜색 트렌치 코트를 덧입어 빠른 장면 전환을 보여줬으며 크로스백을 매어 현대적으로 표현하였다. 뮤지컬에서 그가 입은 코트는 신체를 덮는 길고 큰 형태로 자신을 드러내고 싶지 않은 심리를 나타냈으며, 낡고 찢어졌지만 소매의 진동에 주름을 잡은 넉넉한 소매로 로맨티시즘 의상의 특징을 반영하였다 <Fig. 5>. 연극에서 장 발장은 감옥 장면에서 입었던 셔츠와 판타롱 위에 숄칼라가 달린 현대적인 카키색 코트를 매치하였다<Fig. 6>. 장 발장이 입은 코트는 소매부리를 접어 올려 배색을 강조한 스타일로 동 시대의 유행을 반영하였다. 또한 흰머리나 수염 없이 젊고 깔끔하게 연출되었다.

1820년, ‘마들렌(Madelaine)’이라는 가명으로 사업에 성공하고 시장이 된 장 발장은 <Fig. 7>의 삽화와 같이 뮤지컬에서 흰 셔츠의 칼라를 높이 세워 검정색 크라바트(cravate)로 매듭을 묶고 넓은 칼라가 달린 벨벳 르뎅고트(redingote)를 입은 부르주아로 표현되었다<Fig. 8>. 둥근 형태의 숄칼라가 달린 질레(gilet)는 은색의 자카드 소재로 화려하며 은은한 광택이 있어 무대에서 떨어진 객석에서도 장 발장의 변화된 신분을 뚜렷하게 알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연극에서 장 발장은 셔츠의 칼라 안쪽으로 아이보리색 크라바트를 매어 시대 복식의 분위기를 표현하였으나, 셔츠는 현대적인 형태이며 코트도 소매 배색이 있는 테일러드 코트로 현대의 복식과 시대 복식과의 절충을 보여주었다<Fig. 9>.

Jean Valjean's Costume Design

1830년, 숙녀가 된 코제트와 함께 파리 뤽상부르 공원으로 산책을 나간 장 발장<Fig. 10>을 원작에서는 “푸른 바지에 푸른 프록코트를 입고 늘 새로워 보이는 널따란 차양의 모자에 검은 넥타이를 매고 새하야면서도 굵은 베 셔츠를 입고 있었다”고 묘사하였다(Hugo, 2012c, p. 226). 뮤지컬에서는 외출 장면을 위해 흰색 셔츠에 검정색 크라바트를 두르고 회색 더블 브레스티드 질레와 케이프가 달린 개릭(garrick)을 입었다<Fig. 11>. 스트라이프 무늬가 있는 모직 개릭은 허리선 아래로 넓어지는 실루엣에 모피 칼라가 달렸다. 시대 복식의 형태이지만 소재를 더욱 고급스럽고 현대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관객들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그가 부유한 자선 사업가임을 인지하도록 제작되었다. 연극에서 장 발장은 노란색 크라바트를 넥타이처럼 둘러 시대 복식의 분위기를 표현했으며 따뜻한 색채로 파리에서의 안정적인 도피 생활과 인자한 성품을 나타내었다<Fig. 12>.

1832년 6월 마리우스를 구하기 위해 군복을 입고 바리케이드로 간 장 발장은 탈출하는 젊은이들에게 군복을 벗어주어 원작의 삽화 <Fig. 13>처럼 셔츠와 판탈롱만을 입었으나, 뮤지컬에서는 당시 상황을 표현하고 극적인 연출 효과를 위해 군복을 계속 입었다<Fig. 14>. 그가 입은 군복은 나폴레옹 전쟁 시 입었던 스타일로 1830년대 군복을 재현하기보다 당시 군복의 색채를 반영하여 상징적으로 디자인 된 것으로 보인다. 연극에서는 군복으로 위장하고 바리케이드로 왔으나<Fig. 15>, 이후 군복 상의를 벗어 원작의 내용을 충실하게 반영하였음을 알 수 있다.

코제트가 결혼한 후 홀로 남은 장발장은 삽화에서 더블 르뎅고트를 입고 있다<Fig. 16>. 뮤지컬의 에필로그에서는 실내복으로 흰색의 면 셔츠와 흰색 서스펜더로 고정한 판타롱을 입고 죽음을 기다리는 모습을 연기하였다<Fig. 17>. 셔츠의 소매통은 넓고 풍성한 비숍 소매로 손목에서 주름을 잡아 당시 의상의 특성을 반영하였으며 흰색은 그의 숭고한 삶을 더욱 돋보이게 하였다. 연극에서 장 발장은 <Fig. 18>과 같이 질레와 판타롱 위에 출옥 장면에서 입었던 현대적인 코트를 다시 입어 상황의 변화를 표현하였다.

2. 자베르(Javert)

자베르는 장발장을 끊임없이 추적하는 인물이다. 규율과 원칙을 중요시하고 예외를 용인하지 않는 냉혹한 성격을 나타내듯 원작에서는 “쇳빛나는 회색 프록코트를 입고 지팡이를 손에 들고 테가 축 처진 모자를 썼다”고 하였다(Hugo, 2012a, p. 304). 틈을 찾아 볼 수 없는 그의 성격은 삽화에서도 원작과 같이 항상 긴 르뎅고트의 더블 브레스티드 단추를 다 채우고 턱 밑까지 크라바트를 두르고 손에는 곤봉을 든 엄격하고 권위적인 모습으로 표현되었다<Fig. 19>.

자베르는 사복 경찰이지만 뮤지컬에서 더블 브레스티드의 남색 경찰 제복을 입어 장 발장을 쫒는 인물임을 상징적으로 보여주었다<Fig. 20>. 스탠드 칼라가 달린 프락과 페그탑 실루엣의 판타롱을 입고 무릎길이의 검정색 부츠를 신어 남성적이고 반듯한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또한 제복 위에 검정색 더블 브레스티드 르뎅고트를 덧입고 검정가죽 장갑을 끼고 곤봉을 들어 더욱 위압적이었다.

연극에서 자베르는 스탠드 칼라와 금장 단추가 달린 싱글 브레스티드 제복에 금색 브레이드로 장식한 모자를 썼다<Fig. 21>. 자베르가 입은 제복은 심플한 형태와 색상의 디자인으로 19세기 후반 미국의 경찰 제복 디자인과 유사하다. 이는 연극이 제작된 미국의 지역적 특성과 동시대적 감각이 반영된 것으로 뮤지컬보다 현대적으로 보인다.

밀정으로 바리케이드로 들어간 자베르는 뮤지컬에서 제복을 벗고 베이지색 질레에 브라운색의 서민적인 르뎅고트를 입고 허리에 혁명군의 삼색기를 묶어 시민으로 위장하였다<Fig. 23>. 미국의 연극에서는 경찰 제복 위에 블랙 개릭을 덧입어 경찰이라는 신분을 전혀 드러내지 않았다<Fig. 24>.

Javert's Costume Design

장 발장에게 목숨을 구제 받고 가치관에 혼란을 느낀 자베르는 한 밤중에 모자를 벗어 놓고 강물에 투신한다. 뮤지컬에서는 제복을 입었으나 목에 크라바트를 묶지 않아 갈등하는 복잡한 심경을 흐트러진 의상으로 표현하였으며, 연극에서도 경찰 제복에 모자를 쓰지 않은 모습으로 장면을 나타내었다.

3. 팡틴(Fantine)

연애 시절 젊은 팡틴은 여공이지만 자태가 아름답고 정숙한 여인으로 Hugo(2012a)는 다음과 같이 묘사하였다:

엷은 보랏빛의 바레주 직물 드레스를 입고 새하얀 양말 위에 투명 리본을 X자형으로 맨 고동색 구두를 신었다. 그녀의 얇은 모슬린 웃옷인 칸주(canezou)는 투명하기가 살결이 보일락 말락 하여 보는 사람의 가슴을 울렁거리게 하는 신기한 품위를 갖추고 있었다(p. 230).

뮤지컬에서 팡틴은 긴 소매의 흰색 슈미즈를 입고 사각형 패턴이 잔잔하게 프린트된 연한 올리브 그린색의 퍼프 소매가 달린 드레스를 겹쳐 입었다<Fig. 27>. 팡틴이 입은 드레스는 삽화 <Fig. 26>과 같이 허리선이 가슴 아래로 올라 온 초기 로맨티시즘 스타일로 얌전하고 여성스러운 팡틴의 성격을 나타내었다. 연극에서 팡틴은 소매통이 넓은 면 슈미즈 위에 뷔스티에(bustier) 드레스를 겹쳐 입고 앞 중심에서 끈으로 허리를 조여 입어 서민적으로 연출하였다<Fig. 28>.

매춘부가 된 팡틴이 1823년 1월의 눈 내린 어느 날, 한 벌밖에 없는 저녁에 입는 비단옷을 입었다는 대목에서 당시 상황에 따라 다르게 입었던 드레스의 형태와 소재를 유추해 볼 수 있다. 원작과 동시대에 그려진 삽화 <Fig. 25>에서 팡틴은 브이자로 깊게 파여 내려간 어깨선에 지고트 소매(gigot sleeve)가 달리고 허리를 벨트로 조인 로맨틱 스타일의 드레스를 입고 팔에는 숄을 걸치고 있다. 정숙한 스타일을 입었던 그녀이지만 매춘부가 되면서 불가피하게 노출이 많은 의상을 입은것으로 보인다.

<Fig. 25>

Prostitute Fantine (Hugo, 2013, p. 55)

뮤지컬에서는 드레스의 변화 없이 목에 커다란 펜던트가 달린 목걸이를 하였다. 원작 소설에서는 앞니를 빼나 뮤지컬의 특성상 표현하기가 어려워 목걸이를 파는 것으로 대체한 부분으로 초커(choker) 목걸이를 하고 긴 목걸이를 하나 더 걸었다. 연극에서도 팡틴은 여공 시절 입었던 드레스를 그대로 입고 연기하였다.

수녀원에 입원한 팡틴이 숨을 거두는 <Fig. 29>의 장면에서 장 발장은 “슈미즈의 끈을 매어주고 모자 속으로 머리털을 쓸어 넣어 주었다”고 한다(Hugo, 2012a, p. 512). 죽은 후 뮤지컬에서 천사의 모습으로 나타난 팡틴은 하얀 드레스를 입고 임종을 앞둔 장 발장에게 나타나 그를 축복하며 노래하였다<Fig. 30>. 지고트 소매와 긴 트레인이 달린 드레스는 시대의 복식미를 반영하여 현대적으로 해석되었으며 백색은 팡틴의 숭고한 아름다움을 나타내었다. 연극에서는 흰색의 슈미즈를 입고 환자를 연기하였으며 작품의 공간상 한계로 침대가 아닌 휠체어를 타고 나와 현대적인 스타일과 절충된 연출방식을 보여주었다<Fig. 31>. 팡틴이 입은 환자복은 슈미즈 위에 겹쳐 입었던 뷔스티에 드레스를 벗은 모습으로 레이어드 방식을 사용하여 공연에서의 의상 전환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였다.

Fantine's Costume Design

4. 코제트(Cosette)

팡틴은 어린 코제트를 형편보다 잘 꾸며 입혔으나 아이를 맡게 된 테나르디에 부부는 누더기를 입혔고 코제트는 다섯 살이 되기도 전에 여관의 하녀가 되었다. 어린 나이에 구멍투성이의 헌 베옷을 걸치고 새빨갛게 언 작은 손에 커다란 비를 들고 길을 쓸고 있는 모습을 그린 삽화 <Fig. 32>에는 학대와 노동에 시달리는 어린 코제트의 애처로운 모습이 잘 나타나 있다.

뮤지컬에서는 머리에 모브 캡(Mob cap)을 쓰고 낡고 찢어진 블라우스와 스커트를 입은 하녀로 분장되었다<Fig. 33>. 연극에서 코제트는 소매 윗부분이 부풀려진 회색 원피스를 입고 흰색 앞치마와 파랑색 체크무늬 머릿수건을 둘러 뮤지컬보다 깔끔하고 현대적으로 연출되었다<Fig. 34>. 이는 연극의 특성상 대사로 상황을 잘 나타낼 수 있기에 시각적인 사실성에 중점을 두지 않은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숙녀가 된 코제트는 점차 옷차림에 신경을 쓰기 시작하면서 수도원에서 학생복으로 입었던 헌메리노 모직 옷과 벨벳 모자를 부끄러워했다고 한다. 장 발장은 걱정스러워하면서도 새 옷을 허락했고, Hugo(2012d)는 소설에서 “바빌론 거리의 운둔지에서 가장 예쁜 여자였을 뿐만 아니라 파리에서 가장 옷 잘 입은 여자였다”고 표현하였다(pp. 129-130) <Fig. 35>.

뮤지컬에서 코제트는 로맨티시즘 의상의 특성을 반영하여 지고트 슬리브로 어깨를 강조하고 허리를 가늘게 조였으며 치마를 넓게 부풀린 드레스를 입었다<Fig. 36>. 앞 뒤 목둘레는 V형으로 파고 양어깨에서 허리 중심으로 몸판을 대각선으로 접은 터커(tucker) 장식을 넣어 어깨는 더욱 넓고 허리는 가늘어 보이도록 하였다. 연극에서는 고증에 의해 복식을 재현하기 보다는 시대 의상의 특징을 살린 청회색의 자카드 드레스를 입어 우아한 여성미를 나타내었다<Fig. 37>.

Cosette's Costume Design

1833년 2월 결혼하게 된 코제트를 원작에서는 “흰색 호박단 치마에 뱅슈(Binche)산 레이스 드레스를 입고 영국산 레이스 베일을 쓰고 고급 진주목걸이에 오렌지 꽃장식이 달린 흰색 모자를 쓴 흰색 속에서 빛나는 순결한 여인”으로 묘사하였다(Hugo, 2012d, p. 304). 신부 코제트는 뮤지컬에서 드롭 숄더에 퍼프소매가 달린 흰색 웨딩드레스를 입어 X자 실루엣의 전형을 보여주었다.

5. 마리우스(Marius)

부모 없이 외조부와 함께 사는 마리우스는 법률학교 학생 시절, 할아버지와 정치적인 견해 차이로 만날 수 없었던 아버지 퐁메르시 대령에 대한 진실을 알아가며 외조부와 멀어진다. 할아버지와의 갈등으로 집을 나간 마리우스의 일상복은 “장식 끈 옆이 찢어진 모자와 투박한 장화, 무릎이 희뜩희뜩한 검은 바지, 팔꿈치 부분이 희번드르르한 검은 윗도리”로 묘사되어 있어(Hugo, 2012a, p. 233), 홀로 생활하는 어려운 형편을 짐작할 수 있다.

코제트를 의식하게 된 마리우스는 옷장에 남아있던 새 예복과, 새 모자, 새 장화를 차려입고 장갑을 끼고 공원으로 나갔다. 마리우스가 입은 프락(frac)은 삽화 <Fig. 38>과 같이 몸통 부분은 꼭 맞고 뒤 트레인이 달린 형태로 안에 입은 질레가 보이도록 착용했다.

뮤지컬에서 마리우스는 삽화와 같은 검정색 프락과 판타롱을 입어 역삼각형 실루엣을 보이는 댄디풍의 남성복을 고증을 통해 재현하였다<Fig. 39>. 셔츠의 깃을 세우고 검정색 크라바트를 목에 여러 번 둘러 매듭을 지었으며, 화려한 소재의 질레를 입어 부르주아 청년임을 상징적으로 나타내었다. 연극에서는 회색 프락과 질레, 브라운색 판타롱을 입은 귀족적인 모습으로 흰색 셔츠의 칼라 깃을 세우고 붉은색 크라바트를 둘러 앞에서 리본모양으로 매었다<Fig. 40>.

바리케이드 안에서 마리우스는 뮤지컬에서 프락만 벗고 프릴 장식된 셔츠의 윗 단추와 크라바트의 매듭을 풀어 목에 둘렀다. 허리에는 삼색기를 둘러 혁명의 의지와 전의를 상징하였으며 풍성한 셔츠 소매를 걷어 올려 활동적인 모습으로 변화된 장면을 연출하였다<Fig. 41>. 연극에서도 앞장면의 의상에서 르뎅고트를 벗은 편안한 복장으로 소매를 걷어 전투 상황에 적합한 스타일로 표현했다<Fig. 42>. 연극에서 마리우스가 입은 바지는 앞 주름이 없는 현대 바지의 형태로 시대 복식을 재현한 의상과 현대복을 혼합하여 나타냈음을 알 수 있다.

코제트와 결혼식을 올리게 된 마리우스의 의상에 대해 원작에는 ‘검정옷’을 입었다는 표현이 있어(Hugo, 2012e) 검정색 결혼 예복 차림으로 추측할 수 있다. 결혼 이후의 모습을 그린 당시 삽화들에서 마리우스는 더블 브레스티드의 르뎅고트를 입고 있어 결혼 후 남성들은 프락보다 르뎅고트를 더 선호했음을 알 수 있다.

결혼식 장면에서 마리우스는 검정 양모 소재의 상하의 안에 검정색 자카드로 만든 고급스러운 질레를 입고 아이보리색 크라바트를 높이 묶어 예복의 격식과 품위를 갖춘 귀족적인 모습으로 표현되었다<Fig. 43>.

Marius‘s Costume Design

6. 테나르디에(Thénardier)

테나르디에는 장발장과 대조적으로 악을 상징하는 인물이며, 돈을 벌기 위해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인물이다. 원작에서 Hugo(2012b)는 “키가 작고 수척하고 병약해 보였으나 실은 굉장히 튼튼한 사나이로 겉에는 작업복을 입고 안에는 헌 검은 옷을 입었다”고 묘사하였다 (p. 134). 전장에서 약탈한 것을 밑천 삼아 싸구려 여관의 주인이 된 테나르디에의 모습은 삽화 <Fig. 44>에서 살펴볼 수 있다.

뮤지컬에서 테나르디에는 어깨에 노란색의 견장이 달린 파랑색 군복 상의를 입고 브라운색 스웨이드 앞치마를 둘러 노련한 장사꾼이자 빨간 코의 술주정뱅이로 분장하였다<Fig. 45>. 목에는 빨간색 크라바트를 두르고 노란색 호즈와 퀼로트(culotte) 등을 매치하여 의상들 간의 조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스타일이었다. 연극에서는 체크무늬 질레와 판타롱 위에 밝은 파랑색의 군복을 입고 연노랑색 타이를 매었으며 트리콘(tricorn)을 써서 군인이었음을 과시하고 있다<Fig. 46>.

여관이 망하고 파리의 고르보 누옥에 살게 된 테나르디에는 ‘종드레트(Jondrette)’란 가명으로 자선가들에게 구걸 편지를 보내며 어렵게 살아간다. 삽화에서 테나르디에는 눈이 오는 추운 날씨에도 낡은 반소매 슈미즈를 입고 흙투성이 바지와 구멍난 장화를 신은 초라한 모습으로 표현되었다.

뮤지컬에서는 군복 재킷과 앞치마를 벗고 자카드 소재의 질레를 입어 사기꾼으로 변화된 장면을 연기하였다<Fig. 47>. 당시 서민들은 판타롱을 즐겨 입었으나 그는 퀼로트를 입고 여기에 노란색 호즈를 신었다. 노란색은 배반과 불신을 상징하는 색으로(Park, 2009) 테나르디에의 의상에 배색된 노랑색은 밝고 경쾌하지만 가볍고 간교(奸巧)한 이미지를 주었다. 연극에서도 테나르디에는 군복 상의를 벗고 질레를 입었으며 올리브 그린색의 크라바트를 타이처럼 매어 캐릭터를 표현하였다 <Fig. 48>. 테나르디에가 입은 셔츠와 바지는 당시 시대를 재현하기보다 현대복을 사용함으로써 현대적인 감각을 의상에 반영하였다.

Thénardier‘s Costume Design

A Comparative Analysis of Costumes Design in each Genre

뮤지컬에서만 마리우스와 코제트의 결혼식 장면이 연출되었고 결혼식에 참석한 테나르디에는 귀족 복식을 모방한 과시적인 스타일의 복장을 입었다. 셔츠의 칼라를 높이 세우고 아이보리색 크라바트를 둘러 앞쪽에서 작은 리본으로 매듭지었으며 크림색 새틴으로 만든 질레를 입고 흰색 장갑을 꼈다<Fig. 49>. 그가 입은 파랑색 프락에는 과장된 형태의 두껍고 뻣뻣한 검정색 칼라가 달려있어 부자연스러우며 결혼식에서 거짓말로 돈을 뜯어내려는 그를 풍자하고 있다.


Ⅳ. 장르별 의상 디자인의 특성

‘레 미제라블’ 뮤지컬과 연극의 인물별 의상 분석을 통해 시대 복식의 재현, 캐릭터의 특성 표출, 동시대적 감성 수용, 공연 유형별 특화, 연출 철학의 반영이라는 공연예술 의상 디자인의 특성을 도출하였다<Table. 9>

The Characteristics of Costume Design for Les Misérables

1. 시대 복식의 재현

‘레 미제라블’ 공연예술 의상은 고증을 바탕으로 로맨티시즘의 복식미를 현대적으로 표현하였다. 각 장르에 표현된 의상들은 시대 복식의 특성을 재현한 것으로 장르에 적합한 방식으로 해석되었다.

주인공 장 발장은 신분을 숨기고 사업에 성공하여 부자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시민들의 신망을 얻어 시장에도 임명되었다. 이후 그는 부르주아의 전형적인 복식을 착용함으로써 품위를 유지하고 범죄자라는 신분을 숨길 수 있었다. 마들렌 사장은 청교도적인 근엄성과 엄격한 도덕성을 지닌 부르주아로(Kim, 2010) 단정하면서 소탈한 의상을 착용하였고 예절과 품위를 유지하도록 노력했음을 알 수 있다.

마리우스는 슬림한 르뎅고트와 프락을 입어 진보적 성향의 댄디즘을 표현하였다. 19세기 전반 프랑스의 잦은 정권교체와 불안한 사회 상황 속에 전파된 댄디즘(dandyism)은 암울한 시대에 혁명을 꿈꾸는 마리우스의 의상으로 재현되었다.

장 발장의 양녀 코제트는 고급스러운 색상과 소재의 로맨티시즘 의상으로 우아한 여성미를 표현하였다. 뮤지컬에서는 고증을 통해 재현된 스트라이프 드레스를 입어 세련된 직물의 최신 드레스를 입은 아름답고 기품 있는 여성으로 표현되었다. 연극에서도 원작의 ‘파리에서 가장 옷 잘 입은 여자’를 표현하고자 당시의 실루엣을 재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결혼식에서 코제트가 입은 웨딩드레스는 소매를 더욱 크게 부풀린 스타일로 1830년대 X자형 실루엣의 전성기를 표현하였다.

이렇게 근대 사회로 발전하면서 시민 혁명과 사회 문제 등이 대두되었던 당시는 작가의 의도를 극적으로 표현 할 수 있었기에 고찰한 뮤지컬과 연극에서 시·공간적 배경의 변화 없이 그대로 재현되었고 의상에도 시대의 특성이 충실히 반영되었다.

2. 캐릭터의 특성 표출

자신의 결함을 불굴의 의지로 극복해 나가는 장 발장은 끊임없이 가명을 사용하면서 변신을 거듭하고 부르주아로 때로는 서민적인 의상으로 본래의 신분과 부를 드러내지 않고자 하였다. 장 발장의 진실 되고 바른 성격은 절제된 색과 형태의 정장으로 표현되었으며, 그가 입은 의상은 새로 획득한 지위를 보여주면서 동시에 범죄자라는 진실을 은폐하는 도구로도 사용되었다.

극 중 체제를 대표하는 자베르는 완벽하고 권위적인 성격에 따라 뮤지컬과 연극에서 모두 제복을 입었으며 검정색 르뎅고트를 겹쳐 입거나 검정가죽 장갑과 부츠를 신고 곤봉을 들어 더욱 위압적이고 강한 인물로 표현되었다. 특히 제복과 코트의 칼라를 높이 세우거나 턱 밑까지 묶은 크라바트로 신분과 우월성을 나타내었다.

팡틴은 절박한 현실에 내몰린 소외된 이들과 자식을 위해 모든 것을 희생하는 모성을 상징한다. 팡틴이 입은 드레스는 서민적이며 얌전하고 여성스러운 성격이 나타나 있다.

코제트는 장 발장의 사랑과 보호 속에서 밝고 아름답게 자라 당시의 유행을 따르지만 우아함을 잃지 않는 의상으로 순수하면서도 사려 깊은 그녀의 성격을 표현하였다.

캐릭터의 성격은 연출자에 따라 다르게 해석되기도 한다. 테나르디에는 끊임없이 계략을 꾸미는 교활한 인물이지만, 뮤지컬과 연극에서는 우스꽝스럽고 허풍스러운 면모를 지닌 캐릭터로 극에 재미를 주며 밝은 색상과 과장된 형태의 의상을 입어 개성적인 이미지를 만들었다.

3. 동시대적 감성 수용

공연예술은 과거와 현재의 서로 다른 시대의 복식을 혼합하여 재구성하거나 공존을 시키는 절충주의로 시대적 감성이 표현된다. ‘레 미제라블’ 연극에서 특히 로맨티시즘의 특성을 지닌 과거의 의상과 현대 의상이 어우러져 동시대적 감성이 적절하게 나타났다.

연극에서 장 발장과 테나르디에 등 남성 배우들은 현대의 셔츠에 크라바트를 매고 질레를 입어 시대 복식의 분위기를 표현하였다. 또한 르뎅고트로 재현된 코트들은 소매부리에 안감 배색을 넣음으로써 현대의 세련된 감각과 디자이너의 창의성을 적용하였다. 여성 출연자들이 입은 블라우스 역시 소설의 시대에 한정되기보다 현대적인 아이템을 사용함으로써 현대의 복식과 시대 복식이 절충된 모습을 보여주었다.

뮤지컬에서는 시대 복식의 형태에 금·은색의 메탈 소재와 스트라이프 등의 현대적인 패턴을 사용함으로써 두드러진 시각 효과를 주고 현재의 감성에 맞는 효율적인 공연의상을 창출했다.

연출가 Peter Brook(2014)은 “제작가나 디자이너가 아주 객관적으로 고전 작품을 무대에 올리려고 노력한다 해도 살며 일하고 있는 동시대를 반영하지 않을 수 없다"고 하였다 (p. 233). 역사적인 고증에 한정되지 않고 현대적인 이미지를 반영하거나 실험적인 디자인은 관객의 상상력을 새롭게 자극한다. 이렇게 ‘레 미제라블’ 공연예술 의상은 당대의 복식에 현 시대의 감성을 반영하여 스타일을 재해석함으로써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어 관객들로 하여금 이질적인 느낌이 들지 않고 자연스럽게 극을 인지하도록 하였다.

4. 공연 유형별 특화

각 공연은 퀵체인지가 요구되는 무대의 특성상 의상의 간단한 변화로 다른 공간과 상황을 표현하였다. 배우들은 주로 상의를 중심으로 효율적인 의상의 변화를 보여주었다.

뮤지컬에서는 염색 기법과 광택 소재를 사용하여 무대에서 떨어진 객석에서도 장 발장의 신분을 뚜렷하게 알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마리우스와 앙졸라 등 젊은이들은 바리케이드 장면에서 프락을 벗고 셔츠의 단추와 크라바트의 매듭을 풀고 소매를 걷어 올려 활동적인 모습을 연출함으로써 한정된 무대와 시간 속에서 다양한 장면을 표현하였다. 또한 의상의 색상과 소재에 있어 주요 인물들과 에포닌, 가브로슈, 노동자 등의 가난한 일반서민들의 모습을 대조적으로 보여주며 시각적으로 주인공이 잘 드러나는 방식을 사용했다. 이렇게 뮤지컬 ‘레 미제라블’은 30년 이상 공연되면서 의상에 대한 분석과 재정적인 투자, 그리고 풍부한공연 경험으로 더욱 충실하게 원작의 의상을 재현함으로써 관객들로 하여금 그 시대와 인물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반면 연극은 주로 작은 극단에 의해 제작되어 단기간 공연되므로 시대 복식에 대한 완벽한 재현보다는 시대의 특성을 나타내는 의상으로 분위기를 전달하였다. 연극에서 장 발장은 현대 남성용 와이셔츠와 남성 정장 조끼를 함께 입어 기성복이나 보유한 의상을 활용했다. 바리케이드 장면에서도 의상의 전환 없이 코트를 벗거나 타이를 풀어 활동적인 차림으로 연기하는 등 뮤지컬보다 적은 의상으로 다양한 장면을 소화하였다. 연극은 뮤지컬에 비해 작은 공간과 풍부한 대사로 상황 전달력과 몰입도가 높으므로 로맨틱 복식의 특성을 기본으로 다소 간소화하여 표현하였음을 알 수 있다.

5. 연출 철학의 반영

‘레 미제라블’ 공연예술은 당대의 역사와 시대상을 충실히 반영하였으나 장르별 연출의 의도에 따라 해석에 차이를 보였다. 먼저 바리케이드 장면에서 장 발장은 평소 의상 위에 군복 상의만을 걸쳐 위장을 하였고, 연극에서 가장 충실하게 원작의 내용을 반영하였다. 그러나 뮤지컬에서는 극적인 전투 상황과 연출 효과를 위해 바리케이드에서 군복을 착용하였다. 군복은 시대를 고증하기보다 나폴레옹 시대의 군복 색채와 디자인을 반영하여 상징적으로 디자인되었다. 이는 프랑스의 삼색기를 연상시키면서 관객에게 혁명의 정신을 상기시키려는 의도로 보인다.

자베르는 사복형사로 뮤지컬과 연극에서는 제복을 입어 장 발장을 쫒는 경찰임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자 하였다. 두 장르에서는 경찰로써의 극중 역할을 돋보이게 하고 긴장감 넘치는 시각적 대립 효과를 위해 제복을 입힌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연극에서 자베르가 입은 제복은 디테일이나 장식이 없는 심플한 형태와 색상으로 연극이 제작된 미국의 정체성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테나르디에는 무겁고 서사적인 스토리 사이에 지루하지 않도록 재미를 주는 인물로 희화되어 연출되었다. 원작의 테나르디에는 마르고 날카로운 인물이었으나 뮤지컬과 연극에서는 다소 뚱뚱한 배우로 익살스럽게 표현하였다. 테나르디에는 군복 상의를 입어 군인이었음을 과시하였으며, 유치한 색상과 어색한 의상 조합은 사기와 거짓으로 가득 찬 그를 풍자하였다.


Ⅴ. 결론

본 연구는 문학『레 미제라블』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뮤지컬과 연극에서 재현된 공연예술 의상의 표현특성을 비교 고찰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레 미제라블’ 공연예술 의상에서 재현된 각 인물별, 장르별 복식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살펴본 결과, 시대 복식의 재현, 캐릭터의 특성 표출, 동시대적 감성 수용, 공연 유형별 특화, 연출 철학의 반영이라는 표현특성을 도출하였다.

첫째, 시대 복식의 재현은 고증을 바탕으로 하여 로맨티시즘의 복식미를 구체적이고 현대적으로 표현하였다. 장 발장은 당대 전형적인 부르주아 복식으로 연출되었으며 댄디즘은 암울한 시대에 혁명을 꿈꾸는 마리우스의 의상으로 재현되었다.

둘째, 캐릭터의 특성 표출로 각 인물의 성격과 특징 등을 반영한 의상 및 액세서리는 인물을 재현해 내는 매개로서, 극중 역할을 보여주며 개성적인 이미지를 만든다. 장 발장이 입은 부르주아의 의상은 새로 획득한 지위를 보여주지만 동시에 진실을 은폐하는 도구가 되기도 하였다. 자베르가 입은 제복은 사회의 지배적인 권위와 법을 상징하였다.

셋째, 동시대적 감성 수용으로 당대의 복식에 현 시대의 감성을 반영하여 스타일을 재해석함으로써 관객들로 하여금 이질감이 들지 않고 자연스럽게 극을 인지하도록 하였다. 이는 현대적인 형태의 의상과 시대 복식을 혼합하여 재구성하거나 시대가 다른 스타일을 공존 시키는 절충주의로 표현되었다.

넷째, 공연 유형별 특화로 의상의 간단한 변화로 공간과 상황을 나타내었다. 뮤지컬에서는 무대와 관객과의 거리를 고려하여 시각적인 요소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면 연극에서의 의상은 작은 공간과 풍부한 대사로 상황 전달력과 몰입도가 높으므로 로맨틱 복식의 특성을 기본으로 다소 간소화하여 표현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연출 철학의 반영으로 사복형사였던 자베르는 뮤지컬과 연극에서는 제복을 입어 주인공과의 긴장감 넘치는 시각적 대립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테나르디에는 뮤지컬과 연극에서 익살스러운 캐릭터로 무겁고 서사적인 스토리 중간에 지루하지 않도록 재미를 주는 인물로 희화되었다.

텍스트를 기반으로 제작된 공연예술은 현대의 감성을 반영한 재해석의 과정을 통해 더욱 다양한 방식으로 관객들과 소통하고 있다. 공연예술 의상은 작품의 주제와 상징적 의미를 능동적이며 효율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시각적 예술성과 완성도를 높이고 있다. 본 연구가 고전에 대한 이해와 분석이 필요한 작품의 의상 디자인에 적용 가능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고 공연예술 의상 디자인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후속 연구로 다양한 문화콘텐츠에 나타난 ‘레 미제라블’ 복식을 고찰하고 그 특성을 제시한다면 다각적인 관점의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Acknowledgments

본 논문은 박사학위 청구논문 중 일부임

References

  • Briton, C., Christopher, J. B., & Wolff, R. L., (1996), A History of Civilization(M), (S. G. Kim Trans.), Seoul, Republic of Korea, eulyoo publishing.
  • Brook, P., (2014), About Directing of Shakespeare's play. (J. M. Kim, Trans.), The Performing Arts & Film Review, 86, p232-241.
  • Cha, H. S., (1986), Western History, Seoul, Republic of Korea, Tamgudang.
  • Cha, Y. S., (2010), ‘Storytelling’ et ‘OSMU’ chez Victor Hugo, Association Corenne D'Etudes Francaises, 72, p619-638.
  • Collins, H., (1996), Collins COBUILD Learner's Dictionary, New York, U.S., Harper Collins Publishers.
  • Contini, M., (1977), 5000 years of Fashion, Secaucus, U.S., Chartwell Books.
  • Hauser, A., (1999), The Social History of Art, 4, London, U.K., Routledge.
  • Hugo, V., (2007), Les Misérables 6, (M. Song Trans.), Seoul, Republic of Korea, Dongsuh Books, (Original work published 1896).
  • Hugo, V., (2012a), Les Misérables 1, (K. S. Jung Trans.), Seoul, Republic of Korea, Minumsa, (Original work published 1896).
  • Hugo, V., (2012b), Les Misérables 2, (K. S. Jung Trans.), Seoul, Republic of Korea, Minumsa, (Original work published 1896).
  • Hugo, V., (2012c), Les Misérables 3, (K. S. Jung Trans.), Seoul, Republic of Korea, Minumsa, (Original work published 1896).
  • Hugo, V., (2012d), Les Misérables 4, (K. S. Jung Trans.), Seoul, Republic of Korea, Minumsa, (Original work published 1896).
  • Hugo, V., (2012e), Les Misérables 5, (K. S. Jung Trans.), Seoul, Republic of Korea, Minumsa, (Original work published 1896).
  • Hugo, V. M., (2013), Illust Les Misérables, Seoul, Republic of Korea, The classic.
  • Hur, L. Y., (2016), The Value of Performing Arts Content and Convergence Structure, The Korea Contents Society, 16(1), p241-255.
  • Kim, H. J., Han, J. E., Hwang, N. W., Zhao, L., & Kim, Y. H., (2011), A Study of Costumes in the Novel,『 Les Misérable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1(2), p1-21.
  • Kim, J, M., (2010),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the aesthetic values of Romantic style dres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4(2), p95-109.
  • Lee, J. H., (2013), Economics of Stage, Seoul, Republic of Korea, Samyoungsa.
  • Mackintosh, C. (Producer), & Taylor, G. (Director), (2011), Les Miserables: 25th Anniversary Musial [DVD], U.S., Universal pictures.
  • Musical Les Misérables Awards, (n.d.), Retrieved from http://www.lesmis.co.kr/awards.
  • Park, Y., (2009), Yellow image shown in clothing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829914.
  • Payne, B., (1965), History of Costume, New York, U.S., Haper and Row Publisher.
  • Prisk, B., (1996), Stage Costume Hand-book, New York, U.S., Harper & Row Publisher.
  • Spiritual Twist Productions. (Producer), & Sippy, C. (Director), (2014), Les Miserables: A Story of Grace Play [DVD], U.S., ATD.

<Fig. 25>

<Fig. 25>
Prostitute Fantine (Hugo, 2013, p. 55)

<Table 1>

Major Characters Analysis

Name Gender Age Career Character
Jean
Valjean
Man 46~48years
(1815)
Prisoner '24601' hate and grudge against society, greediness, feeling frustration
Early 50s
(1820)
mayor 'Madelaine' humility, punctuality, frugality, feeling of guilt, calm and courage
Mid 50s
(1823)
fugitive '9430' responsibility and carefulness, have fear, do not reveal himself
Early 60s
(1830)
philanthropist 'Leblanc' heartwarming, feeling fatherliness, benevolent, pitiable
Late 60s
(1832~1833)
old man genuine, charitable to the poor, sacrificial love for Cosette
Javert Man 40years
(1820)
police detective stubborn spirit, have convincedness, cool headed and principled
52years
(1832)
a spy in the barricade / police detective an inflexible mind, regarded personal honor very highly
Fantine Woman Early 20s
(1817)
a factory girl / single mother naive and demure, sincerity, act responsibly, sacrifice for daughter
Late 20s prostitute / a consumptive patient toil and moil, have a strong maternal love, lose self-respect, braveness
Marius Man Late teenager Law school student / lawyers bashfulness, have his pride, independent and courageous
Early 20s baron 'Pontmercy' careful deliberation to everything, good nature, live righteously
Cosette Woman 5years daughter of 'Fantine' / young maid have fear, be timid, introspective, accept reality, have a dream
Late teenager
~ 20years
foster daughter / wife of 'Marius' honest and innocent, care about appearance, act thoughtfully
Thénardier Man Early 50s(1823)
~Early 60s(1833)
Innkeeper, thief, swindler greedy and crafty, hypocritical and cunning, flatulent
Éponine Woman Late teenager ~ 20years the eldest daughter of 'Thénardier' active and bold, free-hearted, simplehearted, have jealousy

<Table 2>

Jean Valjean's Costume Design

Prisoner of Toulon Prison October 1815, Release on Parole
Alternate Text: <Fig. 1> (Hugo, 2013, p. 33).
Alternate Text: <Fig. 2> (Musical DVD, Capture).
Alternate Text: <Fig. 3> (Play DVD, Capture).
Alternate Text: <Fig. 4> (Hugo, 2013, p. 23).
Alternate Text: <Fig. 5> (Musical DVD, Capture).
Alternate Text: <Fig. 6> (Play DVD, Capture).
Mayor & Owner of Beads Factory Philanthropist & a Recluse
Alternate Text: <Fig. 7> (Hugo, 2013, p. 60).
Alternate Text: <Fig. 8> (Musical DVD, Capture).
Alternate Text: <Fig. 9> (Play DVD, Capture).
Alternate Text: <Fig. 10> (Hugo, 2013, p. 168).
Alternate Text: <Fig. 11> (Musical DVD, Capture).
Alternate Text: <Fig. 12> (Play DVD, Capture).
June 1832, Barricade Old Man before Death
Alternate Text: <Fig. 13> (Hugo, 2013, p. 270).
Alternate Text: <Fig. 14> (Musical DVD, Capture).
Alternate Text: <Fig. 15> (Play DVD, Capture).
Alternate Text: <Fig. 16> (Hugo, 2013, p. 303).
Alternate Text: <Fig. 17> (Musical DVD, Capture).
Alternate Text: <Fig. 18> (Play DVD, Capture).

<Table 3>

Javert's Costume Design

Police Detective A Spy in the Barricade
Alternate Text: <Fig. 19> (Hugo, 2013, p. 50).
Alternate Text: <Fig. 20> (Musical DVD, Capture).
Alternate Text: <Fig. 21> (Play DVD, Capture).
Alternate Text: <Fig. 22> (Hugo, 2013, p. 262).
Alternate Text: <Fig. 23> (Musical DVD, Capture).
Alternate Text: <Fig. 24> (Play DVD, Capture).

<Table 4>

Fantine's Costume Design

A Factory Girl & Single Mother A Consumptive Patient & Death
Alternate Text: <Fig. 26> (Hugo, 2013, p. 43).
Alternate Text: <Fig. 27> (Musical DVD, Capture).
Alternate Text: <Fig. 28> (Play DVD, Capture).
Alternate Text: <Fig. 29> (Hugo, 2013, p. 69).
Alternate Text: <Fig. 30> (Musical DVD, Capture).
Alternate Text: <Fig. 31> (Play DVD, Capture).

<Table 5>

Cosette's Costume Design

Young Maid of Thénardier's Inn Jean Valjean's foster daughter & Lady in Paris
Alternate Text: <Fig. 32> (Hugo, 2013, p. 47).
Alternate Text: <Fig. 33> (Musical DVD, Capture).
Alternate Text: <Fig. 34> (Play DVD, Capture).
Alternate Text: <Fig. 35> (Hugo, 2013, p. 168).
Alternate Text: <Fig. 36> (Musical DVD, Capture).
Alternate Text: <Fig. 37> (Play DVD, Capture).

<Table 6>

Marius‘s Costume Design

Law school Student / Lawyers Barricade Wedding
Alternate Text: <Fig. 38> (Hugo, 2013, p. 169).
Alternate Text: <Fig. 39> (Musical DVD, Capture).
Alternate Text: <Fig. 40> (Play DVD, Capture).
Alternate Text: <Fig. 41> (Musical DVD, Capture).
Alternate Text: <Fig. 42> (Play DVD, Capture).
Alternate Text: <Fig. 43> (Musical DVD, Capture).

<Table 7>

Thénardier‘s Costume Design

Innkeeper in Montfermeil Swindler in Paris Wedding
Alternate Text: <Fig. 44> (Hugo, 2013, p. 46).
Alternate Text: <Fig. 45> (Musical DVD, Capture).
Alternate Text: <Fig. 46> (Play DVD, Capture).
Alternate Text: <Fig. 47> (Musical DVD, Capture).
Alternate Text: <Fig. 48> (Play DVD, Capture).
Alternate Text: <Fig. 49> (Musical DVD, Capture).

<Table 8>

A Comparative Analysis of Costumes Design in each Genre

Musical Play
Country U.K. U.S.
Performed Date 3 October 2010 23 October 2014
Director Gavin Taylor Carrie Sippy
Costume Designer Andreane Neofitou Erin Phillips
Time 170 minutes 170 minutes
Plot ACT 1 Scene 3 / ACT 2 Scene 3 ACT 1 Scene 12 / ACT 2 Scene 12
Characteristics of Genre - Song-through Musical
- Expression of the character's anguish and the situation lively
- Restrained movements
- Compromise through the coexistence of contemporary and past
- Insert a song between scenes to express emotion
- Skip Marriage and Death Scene of the last part in novel
- Focus on life story that is completed with sacrifice and atonement
Characteristics of Costume - Use of premium materials such as satin, brocade, velvet, and fur
- Combine colors with modern materials
- Contrasted with the general dress
- Wearing the X silhouette
- Ostentatious costumes through exaggerated details and decorations
- Expression Romanticism with lace, frill, etc.
- Clothes without damage or pollution
- Use clean clothing without damage or contamination
- Mix of ready-made clothes and costumes
- Wear active and practical clothing for the common people
- Using American police uniforms
- Understated ornamentation
- Simple design and modest color
Expression Method - Reflect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age
- Creating dramatic effects through distinct contrast between social stratum
- Consideration visual effects
- Expression of personality of characters
- Reinterpretation from a modern viewpoint
- Compromise with modern clothes
- Expression of regional culture characteristics
- Representation of circumstances with change of costume coordination

<Table 9>

The Characteristics of Costume Design for Les Misérables

Expression of Costumes Appearing in Character
Jean Valjean Javert Fantine Cosette Marius Thénardier
ㆍSymbol of the bourgeoisie
ㆍSublimity of the character
ㆍReproduction the costumes at the time
ㆍReflecting contemporary trend
ㆍIdentity concealment
ㆍExpression of the situation of the age
ㆍIdentity concealment
ㆍSymbol of the absolute power
ㆍSymbol of social position
ㆍExpression of authority
ㆍReproduction the trend at the time
ㆍReflection shape of modern uniform
ㆍRepresentation of common people's identity
ㆍReproduction the costumes at the time
ㆍEmphasis of position
ㆍExpression of contemporary sense
ㆍSublimity of the character
ㆍSymbol of death
ㆍReproduction the costumes based on historical research
ㆍSymbol of the bourgeoisie
ㆍReflecting contemporary sense
ㆍRepresentation of compassion
ㆍElegant feminine beauty
ㆍExpression of the nobility
ㆍReproduction the costumes at the time
ㆍSymbol of the bourgeoisie
ㆍAgreement of the revolution
ㆍCraving for change
ㆍReflection of Modern sensibility
ㆍSatire on society
ㆍCharacteristics of fun
ㆍMismatch of the costumes
ㆍShowing off past position
ㆍSymbol of common people's identity
ㆍRepresentation the costumes at the time
Reproducing the costumes of the time Expressing the attributes of the characters Reflecting the sensibility of the same period Specializing each type of performance Reflecting the directing philosop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