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These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ol. 68, No. 8, pp.101-112
ISSN: 1229-6880 (Print) 2287-7827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18
Received 07 Sep 2018 Revised 26 Nov 2018 Accepted 28 Nov 2018
DOI: https://doi.org/10.7233/jksc.2018.68.8.101

고종황제 사진에 나타난 훈장과 기념장 연구

김미래 ; 조우현
국립고궁박물관 유물과학과 연구원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교수
A Study of Medals in the Photographs of Emperor Gojong.
Mi-Rea Kim ; Woo-Hyun Cho
Researcher, Dept. of Collection Management in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Professor, Dept. of Fashion Design in Sungkyunkwan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Woo-Hyun Cho, e-mail: joy54@hanmail.net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Medals (勳章, 記念章) of Emperor Gojong in the Korean (Daehan) Empire and Japanese occupation. This study analyzed photographs of Emperor Gojong wearing medals as well as historical records. The analysis concluded that the medals of Emperor Gojong can be divided into six kinds: the Order of Geumcheok [金尺大勳章] in the Korean Empire, the Order of Seosung [瑞星大勳章] in the Korean Empire, the Order of the Chrysanthemum [菊花大綬章] in Japan, the Order of Leopold in Belgium, Ordine dei Santi Maurizio e Lazzaro in Italia, and Ordre national de la Légion d’honneur in France. The Korean Empire’s commemorative medals of Emperor Gojong have three kinds, consisting of a Commemorative medal for Gojong’s 50th Birthday, a commemorative medal for the Ruby Jubilee of the Emperor, and a commemorative medal for the wedding of the crown prince. Based on this analysis, the medals estimates the chronology for the photographs.

Keywords:

Emperor Gojong, medal, modern times, the Korean empire

키워드:

고종황제, 훈장ㆍ기념장, 근대, 대한제국

Ⅰ. 서론

19세기 말 조선은 국호를 대한제국으로 고치고, 고종이 환구단(圜丘壇)에서 황제즉위식을 거행하면서 제도적으로 다양한 변화가 생겼다. 복식제도 또한 1894년 갑오개혁 이후 큰 변화를 겪게 된다. 그 중, 1895년 4월 9일 칙령 제 78호 ‘육군복장규칙(陸軍服裝規則)1)’이 제정되면서 양복화된 군복이 도입되었고, 1900년 4월 17일 칙령 제 13호 ‘훈장조례(勳章條例)2)’를 반포한 이후 훈장과 기념장을 패용하게 되었다. 훈장은 국가와 사회에 크게 공헌한 사람에게 국가 원수가 수여하는 휘장(徽章)3)이며, 기념장은 국가적으로 경사스러운 일을 기념하기 위해 만든 휘장을 말한다.

대한제국 훈장에 대해 체계적으로 정리한 최초의 단행본은 Lee(1999)의 『대한제국시대 훈장제도』이며, 일제강점기에 발행된 『구한국훈장도(舊韓國勳章圖)』를 참고하여 대한제국 시기에 제작된 우리나라 훈장과 기념장을 정리하고 있다. 또한 고종황제, 순종황제, 의친왕, 영친왕이 촬영된 사진에서 패용하고 있는 대한제국과 일본의 훈장을 밝히는 성과를 보여주었다. 이 후 Mok(2008), Hong(2008), Lee(2010) 등 점차 근대 복식사 연구에서 고종황제, 순종황제, 의친왕이 촬영된 사진에서 패용하고 있는 훈장의 종류를 밝히려는 시도가 있었다. 이를 통해 사진에 나타난 대한제국 훈장과 일본 훈장, 대한제국 기념장의 종류가 다수 밝혀지는 성과가 있었다. 그러나 황실 남성이 패용하고 있는 서양 훈장에 대해서는 ‘외국 훈장’이라고만 밝히고 있다. 이 후 Kim(2012)은 국립고궁박물관 조사연구서를 통해 순종황제가 패용한 벨기에 레오폴드 훈장에 대해 밝혔으며4), Kim & Cho(2016)는 고종황제가 패용한 서양 훈장 4종류를 구체적으로 밝힌 바 있다. 2018년 석조전 대한제국역사관 특별전 도록인 『대한제국 황제복식』에는 고종황제와 순종황제가 패용한 서양 훈장에 대한 언급이 있는데, 이는 Kim(2012)과 Kim & Cho(2016)의 선행연구와 동일한 내용이 수록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글에서는 고종황제 사진에 나타난 훈장과 기념장의 형태를 분석하여 명칭과 국적, 증정 시기를 밝히고, 이를 토대로 고종황제 사진 유물의 촬영 시기를 제시하고자 한다. 2016년 KSC 춘계학술대회 자료집에 실린 초록의 오류를 보완하고, 대수 훈장 1종류를 추가로 밝혀내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사진조사와 문헌조사로 나누어진다. 사진조사는 고종황제가 촬영된 근대 사진 자료 중 훈장과 기념장을 패용하고 있는 경우를 수집하고, 패용된 것의 형태에 따라 분류 및 분석하여 실제 패용한 훈장과 기념장의 명칭과 국적을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고종이 패용한 국내외 훈장과 기념장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규명될 것이다. 그간 대한제국 시대 사진 유물에 대한 촬영시기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복장제식의 변천에 따른 군복 형태에 주로 의존하고 있었다면, 고종이 패용하고 있는 훈장과 기념장이 또 하나의 판단 근거로 추가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연구결과는 근대 황실 군복의 복원작업, 대한제국 시대와 일제강점기를 배경으로 한 무대의상의 고증작업 등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Ⅱ. 훈장 제식과 패용 방법

대한제국 훈장의 등급은 높은 것부터 낮은 순서대로 대훈위(大勳位), 훈(勳), 공(功) 3종류가 있다. 대훈위는 무등(無等)으로 단일 등급이며, 훈과 공은 1등부터 8등까지 8개 등급으로 나뉘며, 가장 높은 대훈위 아래 8개 등급의 훈이 있고, 훈 아래 다시 8개 등급의 공이 존재한다.5) 또한 각 등급에 따라 훈장의 구성품에 차이가 있다.

구성품 종류에는 ①정식 훈장인 정장(正章), ②정장에 덧붙여 주는 부장(副章), ③약식 훈장인 약수(略綬)가 있다. 훈등(勳等)에 따라 정장ㆍ부장ㆍ약수 세 종류를 다 갖춘 것, 정장과 약수로 구성된 것, 정장과 부장으로 구성된 것, 정장만 있는 것 등 조합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모든 조합에는 기본이 되는 정장이 반드시 포함된다. 훈등에 따른 구성품의 갖춤새와 그에 따른 형태는 <Table 1>과 같다.

Components in the Medal’s grade

부장은 흔히 브로치 형태의 훈장6)을 말하는 것으로 잘못 알려져 있는데, 이는 대한민국 훈장 제식을 대한제국 훈장에 그대로 적용시켰을 때 나타나는 오류이다. 대한민국은 부장을 브로치형 한 가지 형태로 정하고 있으나7), 대한제국 시대의 부장은 브로치형과 중수 2종류가 존재한다. 즉, 브로치형 훈장은 대훈위, 훈1등, 공1등 정장에 덧붙여지는 부장이며, 훈2등이나 공2등 훈장의 정장 역할도 함께 하는 것이다. 따라서 등급의 구분이 있는 브로치형 훈장이 단일로 존재할 때에는 1등 훈장의 부장인지, 2등 훈장의 정장인지는 판단하기 어렵다.

훈장의 형태는 크게 수(綬)라고 하는 직물이 달려 있는 것과 달려 있지 않은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수가 달린 훈장은 장(章, 문채), 꼭지[鈕], 고리[環], 수로 이루어져 있다. 수의 아랫부분에 훈등을 상징하는 장이 달려 있고, 장 윗부분에 꼭지와 원형 고리가 있어서 수와 장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장, 꼭지, 고리는 모두 금속 재질이다<Fig. 1>. 수가 달리지 않은 훈장에는 브로치형과 약수가 있다. 브로치형 훈장은 전체가 금속 재질이고, 뒷면에 세로 방향으로 3개의 패침(佩針)이 달려 있다<Fig. 2>.10)

<Fig. 1>

Parts names of Medal with Su(綬) (Illustration of the Korean Empire’s Medal, 20C, p. 12.)

<Fig. 2>

Part name of Brooch type Medal (Illustration of the Korean Empire’s Medal, 20C, p. 13.)

훈장의 형태에 따른 패용 방법은 다음과 같다. 수가 달린 훈장의 경우 수의 길이와 너비에 따라 큰 것부터 작은 순서대로 대수(大綬), 중수(中綬), 소수(小綬) 3종류로 나뉜다. 대수 훈장은 수를 오른쪽 어깨에서 왼쪽 옆구리로 드리워 패용한다. 이 때, 왼쪽 옆구리 부분에 장이 놓이게 된다. 중수 훈장은 수를 목에 걸어서, 소수 훈장은 왼쪽 가슴에 달아서 패용한다. 브로치형 훈장은 패침을 이용해 상의 왼쪽 가슴에 달아 패용한다. 약수는 장의 모양을 단순화한 형태에 수의 색상이 입혀진 것으로, 재킷 왼쪽 아랫깃의 장식 구멍인 라펠 홀(lapel hole)에 꽂아 패용한다<Table 2>. 부장을 갖춘 훈장의 경우 정장과 부장을 함께 패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약수는 단독으로 패용한다.

How to wearing the Medals of Korean empire


Ⅲ. 고종황제 사진에 나타난 훈장

고종황제가 훈장과 기념장을 패용하고 있는 사진 중, 형태 분석이 가능한 화질을 가진 8장의 사진을 수집하였다. 이 중 사진의 일부를 지우는 등 편집을 통해 재생산한 것과 온전히 같은 상황에서 포즈만 달리해 촬영된 것은 같은 건으로 통합했다. 동일한 건 중 가시성이 가장 좋은 것을 분석용으로 활용하고, 분석에서 제외된 사진은 유사본으로 표기하였다. 수집한 사진 중 유사본은 3장으로, 총 5장의 사진을 분석에 사용했다<Table 3>.

Photos of Emperor Gojong wearing Medals

사진1사진2는 고종황제가 대한제국 황제의 위치에 있을 때 촬영된 것이다. 사진1에서 고종황제가 착용한 매듭단추 5개로 앞을 여미는 형태의 군복은 1897년 이후의 군복제도를 따른 것으로, 소매에 금색 실로 11줄의 수장(袖章)을 수놓아 대원수의 신분을 나타내고 있다(Institute for Military History, 1998). 왼쪽 어깨에 드리고 있는 대수를 포함하여 총 2종류의 훈장을 패용하고 있다. 대수의 경우 수 아래에 달린 장(章) 부분이 고종황제의 손으로 가려져 보이지 않는 상태이다. 따라서 훈장 종류 분석의 주요 근거가 되는 부분을 확인할 수 없어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사진2에서는 왼쪽 가슴에 1종류의 훈장을 패용하고 있다.

사진3사진4는 고종황제가 1907년 일본에 의해 퇴위되어 태황제로 물러났을 때 촬영된 것으로, 소매에 신분을 나타내는 수장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사진3에서는 훈장 7종류와 기념장 3종류를 패용하고 있고, 사진4에서는 훈장 5종류와 기념장 3종류를 패용하고 있다.

사진5는 고종황제가 연미복을 착용한 모습이다. 1917년 9월 8일자 『매일신보』에 동일한 사진이 실려 있어 사진의 촬영 하한연대가 1917년임을 알 수 있다(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2012). 연미복 안쪽에 드리고 있는 대수를 포함하여 총 3종류의 훈장을 패용하고 있다.

사진조사 결과, 5장의 사진에서 고종황제가 패용하고 있는 훈장의 형태는 9종류로 확인되었다. 이 중 사진1에서 왼쪽 가슴에 패용하고 있는 브로치 형태의 훈장은 수집한 사진 화질의 한계로 종류를 특정할 수 없었다. 훈장을 형태별로 분류한 결과는 <Table 4>, 훈장의 상한 연대를 추정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Medals[勳章] of Emperor Gojong

Medals[勳章] of Emperor Gojong, upper limit of time

1. 대훈위 금척대훈장

훈장1은 어깨에 드리우는 형태의 대한제국 대훈위 금척대훈장 대수 정장으로, 사진2~4에서 확인된다. 훈장2는 대훈위 금척대훈장 브로치형 부장으로, 사진2~5에서 찾아볼 수 있다. 중앙에 태극무늬가 있는데 현재 태극기 태극방향과 반대이고, 사방에 금색 자[金尺] 모양이 장식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금척대훈장의 금척은 태조 이성계가 왕위에 오르기 전 꿈에서 신인(神人)에게 얻은 금자를 상징화한 것으로, 천하를 마름질해서 다스린다는 뜻이 담겨있다.12)

대훈위 금척대훈장은 대한제국 대훈위 훈장 중 가장 높은 급에 해당한다. 1900년 4월 17일 반포된 칙령 제 13호 ‘훈장조례’에 명시되어 있다. 따라서 대훈위 금척대훈장을 패용하고 있는 사진2~5는 1900년 4월 17일 훈장조례 반포 이후에 촬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2. 대훈위 서성대훈장

훈장3은 대한제국의 대훈위 서성대훈장으로, 사진3에서만 확인된다. 중앙에 3개의 상서로운 별[瑞星]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역시 금척대훈장처럼 조선 초의 역사적 사실에서 형태를 취한 것이다.14)

대훈위 서성대훈장은 대훈위 등급에서 금척대훈장 다음가는 훈장으로, 1902년 8월 12일에 반포된 조령에 명시되어 있다.15) 따라서 대훈위 서성대훈장을 패용하고 있는 사진3은 1902년 8월 12일 조령 반포 이후에 촬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3. 大勳位菊花大綬章(이하 대훈위 국화대수장)

훈장4는 어깨에 드리우는 형태의 일본의 대훈위 국화대수장 대수 정장으로, 사진5에서 확인된다. 훈장5는 일본의 대훈위 국화대수장 브로치형 부장으로, 사진3~5에서 확인된다. 중앙에 일본의 국기인 붉은 해[日の丸]를 중심으로, 주변에 솟아오르는 아침 햇빛을 표현한 광선[旭光]과 네 송이의 노란색 국화를 배치하여 장식된 것이 특징이다. 1876년[明治9] 12월 27일 제정되었으며, 최고 위인 대훈위 국화장경식 다음가는 훈장이다.16)

고종황제가 1897년 4월 22일 일본 공사 가토마스오(加藤増雄)를 접견할 때 국서와 대훈위 국화대릉장을 받았다는 기록이 남아있다17). 따라서 대훈위 국화대수장을 패용하고 있는 사진3~5는 1897년 4월 22일 이후에 촬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4. Order of Leopold(이하 레오폴드 훈장)

훈장6은 벨기에의 레오폴드 훈장으로, 사진3에서 확인된다. 검은색 원형 방패 중앙에 왕관을 쓴 황금 사자 한 마리가 일어선 채로 양각되어 있으며, 방패 외곽의 붉은색 테두리 부분에 ‘L’UNION FAIT LA FORCE[단결이 힘이다]’라는 벨기에 국장(國章)이 새겨진 것이 특징이다. 1832년에 제정되었으며, 벨기에 국민이나 중요한 공헌을 한국외 인사에게 수훈된다.

고종황제가 1901년 10월 18일 벨기에 공사 뱅카르(Leon Vincart)를 접견할 때 국서와 벨기에 황제로부터 훈장을 받았다는 기록이 남아 있으나18), 훈장의 종류에 대한 기록은 없다. 고종황제의 사진에서 확인되는 훈장6의 형태를 분석했을 때 레오폴드 훈장인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레오폴드 훈장을 패용하고 있는 사진3은 1901년 10월 18일 이후에 촬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5. Ordine dei Santi Maurizio e Lazzaro(이하 성 마우리치오 & 나사로 훈장)

훈장7은 이탈리아의 성 마우리치오 & 나사로 훈장으로, 사진3사진4에서 확인된다. 중앙에 녹색의 몰타 십자가(Maltese cross)와 흰색의 삼엽 십자가(cross bottony)가 교차된 것이 특징이다. 이 훈장은 1572년에 제정되었다.

고종황제가 1902년 7월 8일 이탈리아 황제로부터 대수훈장을 받았다는 기록이 남아 있으나19), 훈장의 종류에 대한 기록은 없다. 그러나 고종황제의 사진에서 확인되는 훈장7의 형태를 분석했을 때 성 마우리치오 & 나사로 훈장인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성 마우리치오 & 나사로 훈장을 패용하고 있는 사진3사진4는 1902년 7월 8일 이후에 촬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6. Ordre national de la Légion d’honneur(이하 레지옹 도뇌르 훈장)

훈장8은 프랑스의 레지옹 도뇌르 훈장으로, 사진3사진4에서 확인된다. 다섯 갈래로 갈라진 끝이 굵은 V자형 리본의 끝 부분마다 원형장식이 달린 것이 특징이다. 이 훈장은 1802년 제정되었다.20)

고종황제가 1903년 12월 1일 프랑스 정부로부터 훈장을 받았다는 기록이 남아 있으나21), 훈장의 종류에 대한 기록은 없다. 그러나 고종황제의 사진에서 확인되는 훈장8의 형태를 분석했을 때 레지옹 도뇌르 훈장인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패용하고 있는 사진3사진4는 1903년 12월 1일 이후에 촬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Ⅳ. 고종황제 사진에 나타난 기념장

5장의 사진을 조사한 결과, 사진에서 고종황제가 패용하고 있는 기념장의 형태는 3종류로 확인되었다. 기념장을 형태별로 분류한 결과는 <Table 6>, 기념장의 상한 연대를 추정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Commemorative medals[記念章] of Emperor Gojong

Commemorative medals[記念章] of Emperor Gojong, upper limit of time

총 3종의 기념장은 모두 대한제국의 것이다. 각각의 명칭을 살펴보면 기념장1은 고종황제 성수 50주년 기념장, 기념장2는 고종황제 망육순ㆍ등극 40주년 기념장, 기념장3은 황태자 가례 기념장이다.

고종황제 성수 50주년 기념장은 앞면에 원유관이 양각되어 있고, 뒷면에는 ‘대한뎨국 대황뎨폐하셩슈 오십년 칭경 긔념은쟝 광무오년 구월 칠일’이라고 새겨져 있다. 1901년 9월 7일 고종황제의 탄신 50주년을 기념하여 제정되었다.22)

고종황제 망육순ㆍ등극 40주년 기념장은 앞면에 전각이 양각되어 있고, 뒷면에는 원유관과 함께 ‘대한뎨국 대황뎨폐하 성슈 망륙순 어극 십년 금임기 샤합 경 긔념은쟝(긔념동쟝) 광무륙년 십월 십팔일’이라고 새겨져 있다. 재질은 은과 동 두 종류로, 재질에 따라 새겨진 문구에 차이가 있다. 1902년 고종황제의 탄신 51주년과 등극 40주년을 기념하여 제정되었다. 사적 제171호 ‘서울 고종 어극 40년 칭경기념비’의 비문에 고종황제가 망육순을 맞이하여 영수각(靈壽閣)에 참배하였다는 내용을 미루어 보아,23) 기념장의 앞면에 양각된 전각은 영수각인 것으로 보인다.

황태자 가례 기념장은 앞면에 비둘기 한 쌍이 양각되어 있고, 뒷면에는 ‘대한뎨국 황태자젼하 가례식 긔렴쟝 광무십일년 일월 이십사일’이라고 새겨져 있다. 1907년 1월 24일 당시 순종황제가 황태자 신분으로 치른 가례를 기념하여 제정되었다. 재질은 은과 동 두 종류이다24).

3종의 기념장이 모두 사진3사진4에서 확인되므로, 고종황제가 패용하고 있는 기념장을 통해 본 사진3사진4의 상한 연대는 1907년 1월 24일 이후에 촬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Ⅴ. 결론 및 제언

8장의 고종황제 사진에서 고종황제가 패용한 훈장과 기념장의 종류는 대한제국 훈장 3종류와 외국 훈장 5종류, 국적 미상의 훈장 1종류로 총 훈장 9종류, 대한제국 기념장 3종류로 나타났다. 고종황제가 패용한 훈장 전 종류는 ①대한제국 대훈위 금척대훈장 대수 정장, ②대한제국 대훈위 금척대훈장 브로치형 부장, ③대한제국의 대훈위 서성대훈장, ④일본의 대훈위 국화대수장 대수 정장, ⑤일본의 대훈위 국화대수장 브로치형 부장, ⑥벨기에의 레오폴드 훈장, ⑦이탈리아의 성 마우리치오 & 나사로 훈장, ⑧프랑스의 레지옹 도뇌르 훈장, ⑨국적 미상의 훈장이다. 고종황제가 패용한 기념장의 전 종류는 모두 대한제국의 것으로, ①고종 성수 50주년 기념장, ②고종 망육순ㆍ등극 40주년 기념장, ③황태자 가례 기념장이다.

훈장과 기념장의 반포 및 증정, 제작시기를 미루어 볼 때, 고종황제가 해당 훈장과 기념장을 패용하고 있는 사진의 촬영 시기는 다음과 같이 추측할 수 있다. 대훈위 금척대훈장의 1900년 4월 1일, 대훈위 서성대훈장은 1902년 8월 12일, 대훈위 국화대수장은 1897년 4월 22일, 레오폴드 훈장은 1901년 10월 18일, 성 마우리치오 & 나사로 훈장은 1902년 7월 8일, 레지옹 도뇌르 훈장은 1903년 12월 1일, 고종황제 성수 50주년 기념장은 1901년 9월 7일, 고종황제 망육순ㆍ등극 40주년 기념장은 1902년 10월 18일, 황태자 가례 기념장은 1907년 1월 24일이 상한 연대이다.

따라서 분석에 사용된 5건의 사진 촬영 연대를 추정하면 다음과 같다. 사진2는 대훈위 금척대훈장 대수 정장과 브로치형 부장을 패용하고 있으므로, 1900년 4월 17일 이후에 촬영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사진3은 대훈위 국화대수장 대수 정장과 국적 미상의 훈장을 제외한 훈장 7종류와 기념장 3종류를 패용하고 있다. 이 중 상한 연대가 가장 늦은 것은 황태자 가례 기념장으로, 1907년 1월 24일 이후에 촬영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사진4는 대훈위 금척대훈장 대수 정장과 브로치형 부장, 대훈위 국화대수장 브로치형 부장, 성 마우리치오 & 나사로 훈장, 레지옹 도뇌르 훈장과 기념장 3종류를 패용하고 있다. 이 중 상한 연대가 가장 늦은 것은 황태자 가례기념장으로, 1907년 1월 24일 이후에 촬영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사진5는 대훈위 금척대훈장 브로치형 부장, 대훈위 국화대수장 대수 정장과 브로치형 부장을 패용하고 있다. 이 중 상한 연대가 가장 늦은 것은 대훈위 금척대훈장으로, 1900년 4월 17일 이후에 촬영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종황제 사진에 한정하여 패용하고 있는 훈장과 기념장의 종류를 밝히고, 이를 연대추정의 새로운 근거로 삼아 사진의 촬영시기를 분석하였다. 훈장과 기념장만을 이용한 연대추정의 가능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본 글에서는 다른 요소들은 배제한 채 촬영시기를 분석하였으나, 복식을 비롯한 배경의 가구, 건축물 등 다른 요소들과 함께 분석을 한다면 실제 촬영시기에 더욱 근사한 추정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차후의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사진 화질의 한계로 밝히지 못한 훈장 1개와 더불어 순종황제와 황자로 임명받은 2명의 친왕인 의친왕과 영친왕, 황실 여성도 대상으로 삼아 연구 범위를 넓히고자 한다.

Notes

1) 1895년 4월 9일 칙령 제 78호 ‘陸軍服裝規則’. Official Gazette[官報] 제 10호, 개국504년 4월 11일.
2) 1900년 4월 17일 칙령 제 13호 ‘勳章條例’. Official Gazette[官報] 號外, 광무4년 4월 19일.
3) 훈장. (n.d.). In Korean standard unabridged dictionary online. Retrieved from http://stdweb2.korean.go.kr/main.jsp
4)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2012). The Illustrated Dictionary of the Joseon Royal Culture - Costumes. Seoul, Republic of Korea: Designintro Co. 290-291.
5) “第二條, 勳等은 大勳位와 勳及功三種으로 定 事。第三條, 勳과 功은 各其八等으로 分 事” 고종 37년(1900) 4월 17일 2번째 기사, Gojong silok[高宗實錄].
6) 브로치형 훈장은 정식 명칭이 아니며, 본 글에서 분류의 편의를 위해 만들어낸 용어임을 밝힌다.
7) Orders of merit & Medals of Honor[훈장과 포장].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Retrieved from https://www.sanghun.go.kr/nation/information/posangInfo3.do
8) Illustation of the Korean Empire’s Medal[舊韓國勳章圖]. (20C). pp.12-13.
9) 필자가 직접 그림.
10) 태극장. (n.d.). In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on line. Retrieved from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태극장&ridx=0&tot=2064
11) Photo 1. Gogung543(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n.d.)      Photo 2. Emperor Gojong(Holmes, 1908, p. 6)      Photo 2-1. Emperor Gojong’s family(Holmes, 1908, p. 105)      Photo 3, Gogung951(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n.d.)      Photo 3-1. Emperor Gojong(Choi, 2000, p. 140)      Photo 4. Gojong after Abdication(The Museum of Photography, Seoul, 2012, p. 152)      Photo 4-1. Gojong(google, n.d.)      Photo 5. Gogung366(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n.d.)
12) “昔太祖高皇帝在龍潛時, 夢得金尺, 創業垂統, 實兆於是, 取義於財成天下也。 爰定最上大勳章之名曰‘金尺’。”      고종 37년(1900) 4월 17일 3번째 기사, Gojong silok[高宗實錄].
13) Medal 1, 2. 大勳位金尺大勳章(Illustation of the Kore an Empire’s Medal[舊韓國勳章圖]. 20C. pp. 6-7.) Medal 3. Gogung1974(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n.d.)      Medal 4, 5. Grand Cordon of the Supreme Order of the Chrysanthemum[大勳位菊花大綬章ㆍ副章]. (n.d., In Cabinet Office, Government of Japan. Retrieved from http://www8.cao.go.jp/shokun/shurui-juyotaisho-kunsho/kikkasho.html)      Medal 6. Leopold. (n.d., In RMN online. Retrieved from       https://www.photo.rmn.fr/CS.aspx?VP3=SearchResult&VBID=2CO5PC6J28GAB&SMLS=1&RW=1176&RH=972#/SearchResult&VBID=2CO5PC6J28GAB&SMLS=1&RW=1176&RH=972&PN=1)      Medal 7. Ordine dei Santi Maurizio e Lazzaro. (n.d., In google, Retrieved from http://ordinemaurizianomilano.blogspot.kr/2013/03/ordine-dei-santi-maurizio-e-lazzaro.html)      Medal 8. Légion d'Honneur. (n.d., In RMN online. Retrieved from https://www.photo.rmn.fr/CS.aspx?VP3=SearchResult&VBID=2CO5PC6J284X2&SMLS=1&RW=1176&RH=972#/SearchResult&VBID=2CO5PC6J284X2&SMLS=1&RW=1176&RH=972&PN=1)
14) “玆加定瑞星大勳一章, 蓋亦取義於國初故實也。” 고종 39년(1902) 8월 12일 1번째 기사, Gojong silok[高宗實錄].
15) 1902년 8월 12일 조령. Official Gazette[官報] 號外, 광무6년 8월 15일.
17) “接見日本公使加藤增雄。呈國書及勳章也。大勳位, 菊花大綾章。” 고종 34년(1897) 4월 22일 1번째 기사, Gojong silok[高宗實錄].
18) “十八日。 接見須比國公使方葛。 國書及須比國皇帝贈進勳章奉呈也。” 고종 38년(1901) 10월 18일 1번째 기사, Gojong silok[高宗實錄].
19) “伊大利國皇帝贈進大綬勳章。” 고종 39년(1902) 7월 8일 2번째 기사, Gojong silok[高宗實錄].
21) “自佛國政府, 勳章贈進。” 고종 40년(1903) 12월 1일 2번째 기사, Gojong silok[高宗實錄].
22) “관리들에게 황제의 성수가 50세가 된 것을 경축하는 기장을 하사하다.” 고종 38년(1901) 9월 7일 3번째 기사 제목, Gojong silok[高宗實錄].
23) 서울 도심에서 대한제국과 해방공간을 만나다 (2015, December 15). Retrieved from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131790&ref=nav_search
24) “一日。 陰曆丙午十一月十七日詔曰今番皇太子嘉禮時紀念章, 分以銀、銅兩種, 令表勳院製造, 當日參班人員, 一切頒賜。”      고종 44년(1907) 1월 1일 1번째 기사, Gojong silok[高宗實錄].
25) Commemorative medal 1. Gogung1092(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n.d.)      Commemorative medal 2. Gogung542(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n.d.)      Commemorative medal 3. Changdeok21117(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n.d.)

References

  • B, Holmes, (1908), Burton Holmes Travelogues Volume Ten, The McClure Co.
  • Choi, I., (2000), A History of Korean Photography(2nd ed.), Seoul, Republic of Korea, Noonbit Publishing Co.
  • Daehan empire history museum, (2018), Imperial Attire of the Daehan Empire, Seoul, Republic of Korea, gnacommunications,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Retrieved from http://encykorea.aks.ac.kr/.
  • Grand Cordon of the Supreme Orders of the Chrysanthemum [大勳位菊花大綬章], (n.d.), Cabinet Office, Covernment of Japan, Retrieved from http://www8.cao.go.jp/shokun/shurui-juyotaisho-kunsho/kikkasho.html.
  • Hong, E., (2008), A comparative study on pictures of korean & japanese royal famil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ca.skku.edu:8080/link?id=T11209969 Illustation of the Korean Empire’s Medal [舊韓國勳章圖]. (20C).
  • Institute for Military History, (1998), Korea’s military costume development history Ⅱ, Seoul, Republic of Korea, nstitute for Military History.
  • Lee, K., (1999), Medal system of the Korean Empire [대한제국시대 훈장제도], Seoul, Republic of Korea, Baeksan Publishing Co.
  • Lee, K., (2010), A study on military suit Emperor of the Eaehan Empire in photos, Journal of the Korea culture, 50, p84-104.
  • Les Ordres Nationaux et les décorations, (n.d.), In Grande Chancellerie de la légion d’honneur, Retrieved from http://www.legiondhonneur.fr/fr/page/fondements-et-histoire/103.
  • Kim, M., & Cho, W., (2016), A study on medalsㆍcommemorative medals of Emperor Gojong’s photos, 2016 KSC spring costume conference, p171-172.
  • Korean standard unabridged dictionary. Retrieved from http://stdweb2.korean.go.kr
  •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Retrieved from https://www.sanghun.go.kr/nation/information/posangInfo3.do
  • Mok, S., (2008), A study on the national visual symbol of korea in modern transitional period, (Doctoral dis 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ca.skku.edu:8080/link?id=T11309868.
  •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The Museum of Photography, Seoul, (2012), Photography of the Daehan Imperial Family, Seoul, Republic of Korea, Hans Grahpic.
  •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2012), The Illustrated Dictionary of the Joseon Royal Culture - Costumes, Seoul, Republic of Korea, Designintro Co.
  • Official Gazette [官報], (1895-1900), Retrieved from http://e-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
  • Pressian, (2015, December, 15), Retrieved from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131790&ref=nav_search.
  • Reunion des Musees Nationaux. Retrieved from https://www.photo.rmn.fr
  • Park, S., Lee, S., Choi, J., Cho, K., (2014), Developing the Standard Number of National Medals by Category in the National Medal Conferment Policy, Korea Journal of Policy Studies, 52(3), p179-208.
  •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朝鮮王朝實錄]. Retrieved from http://sillok.history.go.kr

<Fig. 1>

<Fig. 1>
Parts names of Medal with Su(綬) (Illustration of the Korean Empire’s Medal, 20C, p. 12.)

<Fig. 2>

<Fig. 2>
Part name of Brooch type Medal (Illustration of the Korean Empire’s Medal, 20C, p. 13.)

<Table 1>

Components in the Medal’s grade

Hundeung
(勳等)
Medal’s
name
component Grade
nongrade 1st 2nd 3rd 4th 5th 6th 7th 8th
Daehunwi
(大勳位)
金尺大勳章
瑞星大勳章
李花大勳章
正章 Daesu
(大綬)
副章 Brooch
type
略綬 Yaksu
(略綬)
Hun
(勳)
太極章
八卦章
正章 Daesu Brooch
type
Jungsu
(中綬)
Sosu
(小綬)
Sosu Sosu Sosu Sosu
副章 Brooch
type
Jungsu × × × × × ×
略綬 Yaksu Yaksu Yaksu Yaksu Yaksu Yaksu Yaksu Yaksu
瑞鳳章 正章 Daesu Brooch
type
Jungsu Sosu Sosu Sosu
副章 Brooch
type
Jungsu × × × ×
略綬 Yaksu × × × × ×
Gong
(功)
紫鷹章 正章 Daesu Brooch
type
Jungsu Sosu Sosu Sosu Sosu Sosu
副章 Brooch
type
Jungsu × × × × × ×
略綬 × × × × × × × ×

<Table 2>

How to wearing the Medals of Korean empire

Type Medals with Su(綬) Medals without Su(綬)
Wearing Daesu(大綬) Jungsu(中綬) Sosu(小綬) Brooch type Yaksu(略綬)
Medal’s
image 8)
How to
wear 9)

<Table 3>

Photos of Emperor Gojong wearing Medals

Classification Photograph 11)
For analysis
Photo 1

Photo 2

Photo 3

Photo 4

Photo 5
Similar case ×
Photo 2-1

Photo 3-1

Photo 4-1
×
Number Medal
[勳章]
2 1 7 5 3
Commemorative
medal
0 0 3 3 0

<Table 4>

Medals[勳章] of Emperor Gojong

Medal’s
number
Detail of
Photo 1
Detail of
Photo 2
Detail of
Photo 3
Detail of
Photo 4
Detail of
Photo 5
Medal’s
image 13)
Medal’s
name
Country
Medal
1
× × 大勳位
金尺大勳章
(正章)
korean
empire
Medal
2
× 大勳位
金尺大勳章
(副章)
Medal
3
× × × × 大勳位
瑞星大勳章
Medal
4
× × × × 大勳位
菊花大綬章
(正章)
Japan
Medal
5
× × 大勳位
菊花大綬章
(副章)
Medal
6
× × × × Order of
Leopold
Belgium
Medal
7
× × × Ordine dei
Santi
Maurizio e
Lazzaro
Italia
Medal
8
× × × Ordre
national de
la Légion
d’honneur
France
Medal
9
× × × × 未詳

<Table 5>

Medals[勳章] of Emperor Gojong, upper limit of time

Time 1897 1898 1899 1900 1901 1902 1903
Medal’s name
大勳位 金尺大勳章 1900.04.01.
大勳位 瑞星大勳章 1902.08.12.
大勳位 菊花大綬章 1897.04.22.
Order of Leopold 1901.10.18.
Ordine dei Santi
Maurizio e Lazzaro
1902.07.08.
Ordre national de la
Légion d’honneur
1903.12.01.

<Table 6>

Commemorative medals[記念章] of Emperor Gojong

Commemorative
medal’s number
Detail of
Photo 3
Detail of
Photo 4
Commemorative
medal’s image 25)
Commemorative
medal’s name
Country
Commemorative
medal 1
Commemorative
medal for Gojong’s
50th birthday
Korean
empire
Commemorative
medal 2
Commemorative
medal for the Ruby
Jubilee of Emperor
Commemorative
medal 3
Commemorative
medal for the
wedding of the
crown prince

<Table 7>

Commemorative medals[記念章] of Emperor Gojong, upper limit of time

Time 1901 1902 1903 1904 1905 1906 1907
Commemorative medal’s name
Commemorative medal for
Gojong’s 50th birthday
1901.
09.07.
Commemorative medal for the
Ruby Jubilee of Emperor
1902.
10.18.
Commemorative medal for the
wedding of the crown prince
1907.
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