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These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ol. 69, No. 4, pp.123-140
ISSN: 1229-6880 (Print) 2287-7827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19
Received 08 Mar 2019 Revised 23 May 2019 Accepted 27 May 2019
DOI: https://doi.org/10.7233/jksc.2019.69.4.123

중국 사대명수(四大名繡) 기법에 관한 고찰 : 상수(湘繡)를 중심으로

셰쓰쓰 ; 고현진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의류학과 박사수료
건국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교수
Investigation of the Four Chinese Embroidery Techniques : Focused on Xiang Embroidery
Sisi Xie ; Hyunzin Ko
Ph.D. Candidate, Dept. of Clothing,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Professor, Dept. of Apparel Design, Konkuk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Hyunzin Ko, e-mail: ziniko@konkuk.ac.kr

Abstract

This thesis aims to study the structure of stitches and the features of Xiang Embroidery, one of four famous Chinese embroidery methods, by investigating documents and practices. The study shows that there are 73 styles of the Xiang Embroidery and five catalogues in total from the Qing Dynasty until now. Xiang Embroidery uses the valuable techniques of Su Embroidery, the picture construction of Yue Embroidery, and the high quality material of Chu Embroidery. What is more, it also incorporates the features of Hunan native characters. We can see that the blending needle is the main needle and the moustache needle is the unique stitch of Xiang Embroidery. The analysis of the works shows that Xiang Embroidery mainly uses 12 needles of flat embroidery. If we are to make a work with hazy landscapes, we will use the blending needle, curtain needle, straight needle and so on. On the contrary, if we are to make a vivid animal or human figure, we will use the moustache needle, hair needle, willow needle, and rotating needle. The flexibility of using each style of needle makes the works of Xiang Embroidery more real and vivid; it offers a full construction of the art and uses sharp colors. Due to the limitation in materials, Xiang Embroidery uses simple needles on clothes such as plate gold needle and seeding needle. The realistic features of the works of Xiang Embroidery are different from the features of Korean traditional stitches. By introducing the techniques of Xiang Embroidery in this thesis, I hope to combine different embroideries from different places to create a simple and popular needle to offer inspiration and reference for modern fashion.

Keywords:

embroidery technique, four famous Chinese embroideries, realistic features, Xiang embroidery

키워드:

자수 기법, 사대명수, 사실적 특징, 상수

Ⅰ. 서론

중국 전통 수공예가 무형문화 보호 유산으로 지정됨에 따라 전통 자수에 관한 연구가 점점 증가했다. 중국 전통 자수는 수 천 년의 변천을 거쳐 오늘날 많은 자수 종류를 형성하였는데, 그중 가장 유명한 것은 중국의 사대 명수, 즉 촉수(蜀繡), 월수(粤繡), 소수(苏繡), 그리고 상수(湘繡)이다. 촉수는 사천(四川)성, 월수는 광동(廣東)성, 소수는 강수(江蘇)성, 상수는 호남(湖南)성의 전통자수로서, 이들은 중국의 서, 남, 동, 중부 지역을 대표하는 자수이다. 사대 명수는 기법이 다양하고 구도가 풍부하며 품질과 장식 예술성이 뛰어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 중 중부에서 발원된 상수는 비교적 늦게 형성, 발전했지만, 각 지역자수의 특징을 수렴한 자수로서 기법의 종류가 다양하다. 또한 상수만의 독특한 기법을 개발하여 섬세하고 사실적인 이미지 구현에 탁월하다.

중국과 한국은 같은 아시아 문화권으로 비슷한 복식 문화 배경을 가지고 있지만, 자수 연구에 대한 관점에 있어 차이가 있다. 현재까지 한국 전통자수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전통자수의 색채와 문양(Lee, 2009; Yun & Ha, 2006), 주요 기법(Han, 1996; Lee, 2005; Lee & Kim, 2014; Song, 2011) 및 현대패션디자인 관련 응용에 관한 연구(Kim, 2013; Song&Park, 2016) 등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반면, 중국의 선행 연구는 전통 자수의 미적 가치 및 역사적 고찰, 자수의 현대 패션 디자인에 관한 연구와 산업화에 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룬다. 이처럼, 한국에서 전통자수 기법에 관한 연구가 활발한 것에 비해 중국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충분하지 못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자수 기법을 중심으로 중국전통 자수에 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자수 기법은 작품의 예술적 가치를 실질적으로 구현하는데 필수적 요소이다. 따라서 자수의 미학적 가치를 연구하는 것 외에 전통 자수 기법 및 그것의 현대적 적용을 분석하는 연구는 중요한 가치를 갖는다. 특히 사대명수의 경우 전통 작업 공방이나 연구소의 장인들에 의해 운영이 되어 실제적인 작업방식이 대외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 않다. 이러한 작업적 특성으로 인해 각각의 기법은 물론, 작품 구현에 실질적으로 쓰인 기법의 구성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경향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사대명수중 하나인 상수의 기법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상수 작품에 실제로 활용된 주요 기법 및 구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로서 관련 단행본과 선행 논문을 통해 상수 기법의 근원이 되는 사대명수와 상수의 역사적 배경, 정의 및 특성, 그리고 기법을 살펴보았다. 사례연구로는 현재 중국에서 유일한 상수 연구소인 호남상수연구소의 대표적인 작품들의 기법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상수 기법의 특성상 문헌 자료만으로는 그 기법의 분석에 한계가 있어 본 연구자가 직접 중국호남상수연구소에서 자수 과정을 체험하였다. 상수연구소가 소장하고 있는 문헌 자료와 작품의 조사 및 체험 기간은 2018년 4월 7일부터 2018년 10월 7일까지로 하였다. 이 기간 중 특히 2018년 6월 25일부터 2018년 8월 24일까지는 자수 체험 기간으로서, 본 연구자가 상수연구소 소속 국가 공인 자수사의 지도하에 총 8회 3단계의 자수 과정을 이수하였다. 첫 번째 단계에서 상수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배운 후 상수의 피실법(劈線)을 익혔는데, 여기서 피실법은 상수의 사실적이고 섬세한 표현을 위해 실을 여러 갈래로 세분화하는 방법이다. 보통 상수에 사용되는 실은 4~6갈래이며, 한가닥씩 모두 갈라서 사용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상수의 주요 기법위주로 20 여종의 침법을, 세번째 단계에서 상수 작품 구현에 활용할 문양의 구성에 따른 침법을 배웠다. 이때, 침법 간의 공통점 및 차이점을 익혔다.

상수는 소재 선택에서부터 기법의 활용, 완성된 자수 작품까지 한국 자수와 많이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한국 자수와 상수의 비교 연구는 어렵지만, 상수 기법에 대한 본 연구를 통해 한국 복식학계에 잘 알려지지 않은 정보 및 한국 패션에 응용할 수 있는 새로운 자수 기법을 제시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Ⅱ. 이론적 배경

1. 중국 사대명수

중국의 다양한 지역에서는 전통 자수기법을 토대로 각 지역의 특색을 반영한 새로운 자수기법이 생성, 발전하였다. 각 지역의 사회경제적 수요에 따라 자수 제품의 시장이 중국 내부뿐만 아니라 해외로도 확장되었다. 그 중 가장 번성했던 네 지역, 즉, 사천성, 광동성, 강수성, 호남성의 자수가 ‘사대 명수'로 지정되었다(Leng, 2014). 이렇게 중국 전통 자수에서 사대 명수의 명칭이 확립된 것은 19세기 중엽 청나라 말기이다(Yang, 2003).

동진(東晉)시대이후 촉중의 보물(蜀中瑰寶)이라 불렸던 촉수(蜀繡, Chu embroidery)는 사천성(四川省) 중심으로 번성한 자수의 총칭이다. 사천 지역의 기후는 자수의 주재료인 실크 생산에 적합하여 일찍부터 촉수의 발전을 가져왔다(Qiao & Qiao, 2015). 130여 종의 촉수 침법 중 주로 훈침(暈針), 포침(鋪針) 등이 사용되었다(Wang & Wang, 2016). 촉수의 경우 지역 특색 동물인 판다를 소재로 한 작품이 특히 많다<Fig. 1>.

월수(粤繡, Yue embroidery)는 광주(廣州)와 조주(潮州)즉 광동성(廣東省)의 자수를 통칭하는 것이다. 월수는 일천여 년 전에 생성되었으나, 명나라 후기에 비약적 발전을 이루었다. 월수의 기법은 45종이 있으며, 대표적인 침법은 정금수(釘金繡)이다. 기존에 쓰던 소재 이외에 공작 깃털을 꼬거나, 말꼬리를 감아 수를 놓기도 하였다. 보통작품 <Fig. 2>와 같은 용(龍), 봉황(鳳凰)문양을 주로 사용하였다. 화려한 효과를 중시하여 강렬한 색상 대비, 여백 없는 구성과 문양 윤곽의 금실 처리를 선호하였다(Zhang, 2013). 특히, 다른 자수와 달리, 월수의 경우 남성 자수사가 여성 자수사보다 많았다.

소수(苏繡, Su embroidery)는 중국 동부 강소성(江蘇省)을 중심으로 한 자수의 총칭이다. 기록에 의하면, 소수는 삼국시대(220~280)부터 현재까지 2000여 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오늘날 소수의 기법은 40여 종에 이르며, 그중 주요 침법은 난침수(亂針繡)이다. 난침수는 주로 고양이를 묘사하였다<Fig. 3>. 소수는 과거에 주로 황실 및 연극용품에 쓰였고, 현재에는 유화와 사진 이미지를 묘사하는 데 이용되고 있다(Wang, 2010).

상수(湘繡, Xiang embroidery)는 호남성 장사(長沙)를 중심으로 한 자수의 총칭으로, 민간 자수에서 발전하여 청나라 때 명칭을 확립하였다. 대표적 기법으로 봉모침(鬅毛針)이 있으며, 현재 73가지의 침법을 가지고 있다. 상수 작품<Fig. 4> 에는 사자, 호랑이 등을 묘사한 작품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Xu & Xu, 2009). 사대 명수의 각 특징, 역사, 기법, 문양을 비교 분석하면 다음의<Table 1>과 같다.

Comparison of China's four famous embroideries

사대 명수 중 상수는 나머지 세 지역의 자수에 비해 가장 늦게 발전한 자수의 종류이며, 중국 중원에서 발원한 지리적 특성으로 인하여, 다른 세지역 자수의 특징을 흡수하여 발전한 자수이다. 상수의 기법은 소수의 체계를 따르며, 섬침을 토대로 독특한 봉모침을 개발했다. 또한 작품의 구도는 월수를 참고했고, 자수의 재료는 그 당시, 양질의 실크를 생산했던 촉수 지역에서 대량으로 도입했다. 이처럼, 소수의 침법, 월수의 구도, 촉수의 고품질 재료가 집약되어 상수의 형성 및 발전의 틀이 마련되었다. 여기에 호남성 지역의 문화적 특색을 가미하여, 현재 상수는 사실적 표현, 풍부한 구성 및 화려한 색채의 특성을 갖추게 되었다.

2. 중국 호남성 상수

1) 상수의 형성 배경

상수의 기원에는 두 가지 견해가 있다. 하나는 상수가 한나라 시대의 자수를 바탕으로 호남성 민간 자수에서 발전되었다는 것이다. 그 근거로, Tian(1986)의 연구에서 1972년 중국 호남성 장사 마왕퇴(馬王堆) 1호분에서 발견된 한나라 시대 자수인 견지장수수(絹地長壽繡) 자수 조각 등이 현재 상수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고 하였다. 이에 반해, 다른 하나는 단지 출토된 몇 개의 자수 조각을 근거로 상수의 기원이라는 것은 무리라는 견해이다. 이는 상수를 호남성 민간 자수로부터 시작된 것으로서 청나라 후기에 형성된 자수체계로 보는 것이다(Fang, 2015; Xu, 2012; Ye, 2013). 다수의 학자들이 상수의 기원을 청 왕조로부터 보고 있어 본 연구 역시 그 관점을 따르고자 한다.

상수의 기원에 관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청나라 가경(嘉慶)1810년, 장사현지(長沙縣志)의 풍속(風俗)에 부녀자가 자수를 놓았다는 기록이 있다(Tian, 2008). 이는 아직 상수로 지칭되기 전이었다. 1810년부터 1877년에는 대다수의 부녀자가 자수를 놓았으며, 주로 가내 수요에 따른 것이었다. 그러던 중 청나라는 태평천국(太平天國)과의 전쟁을 대비하여, 호남성 상군(湘軍)의 관원수를 대량으로 증가시켰다(Liu, 2014). 이에, 관복의 보자(補子)에 대한 수요 또한 대폭 증가하였다. 호남성 일반 관원의 의복은 모두 타 지역에서 공급되었지만, 이렇게 증가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자수공방이 민간에서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는 호남성 민간 자수의 상업화를 촉진했다(Ye, 2013). 초기 호남성 자수 공방은 여러 지역의 자수를 혼합하여 운영되었는데, 특히 소수, 월수를 많이 수용했다. 그러나 호남성 민간 자수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1878년 청나라 광서무인(光绪戊寅) 시대에 여러 지역의 자수를 토대로 호남성 자수의 독특한 체계가 형성되었다. 호남성의 자수 상수라는 칭호도 이때부터 만들어졌다(Tian, 2010a).

2) 상수의 시대적 변화와 특징

상수라는 명칭이 형성된 이후, 상수는 100여 년에 걸쳐 시대 변화에 따라 자수 작품의 소재 및 표현 기법의 개발을 통해 발전되어 왔다. 상수는 생성기, 발전기, 전성기의 세 시기를 거쳐 현재의 자수기법으로 완성되었다.

상수의 생성기는 1898년부터 1911년까지이다. 이 시기에는 상수 기법의 기초적인 토대가 형성되었다. 장사의 자수 공방에서는 다양한 상수 기법을 개발하여 보급하고 판매를 가르쳤다. 특히, 자수 명인 이의휘(李仪徽)는 기존 자수기법의 하나인 섬침(摻針)을 개량하여, 상수의 대표적 기법으로 발전시켰다(Xu & Xu, 2009).

한편, 이 시기에 유명한 문인 화가들과 자수사들의 협업이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협업 결과 문인 화가들의 다양한 회화를 표현하게 됨에 따라, 상수의 소재는 더욱 풍부해졌다(Tian, 2010a). 또한, 섬세한 표현 방식을 위한 침법 개선을 초래하여 이후 상수 발전의 토대를 제공했다.

상수의 발전기는 1911년부터 1949년까지로, 이 시기에 상수의 제작 방법과 기법의 통일을 갖추게 되었다. 상수 공방이 증가하였고, 화가들과 자수사들의 협업이 대중화되었다(Zhu, 2008). 특히, 자수사 료개(廖凱)는 섬세한 표현을 위한 피실법을 개선했는데, 자수실 한 가닥을 최대 16가닥으로 나눌 수 있게 함으로써 상수 작품의 수준을 높였다(Tian, 2008).

상수의 전성기는 1949년부터 1978년까지이다. 이 시기에 자수사 여진휘(余振輝)는 섬침을 토대로 새로운 침법인 봉모침을 개발했다(Tian, 2010b). 봉모침은 주로 동물털의 질감 표현에 사용되었다. 이 침법을 통해 상수는 생동감 있고 사실적인 표현 기법의 특성을 갖게 되었다.

현재 상수 침법의 종류는 총 73종으로 정리되어(Liu & Tang, 2013) 전문학교 및 상수연구소에서 배울 수 있다. 또한, 상수는 중국 전통 수공예의 중요한 분야로 그 가치를 인정받게 되었는데, 상수 박물관, 상수연구소, 사평(沙坪) 상수 마을 및 예술 대학의 상수 전공과 개설이 이를 반영한다(Hu, 2007). 이러한 상수의 시대적 기법의 발전을 정리하면 <Fig. 5>와 같다.

<Fig.5>

The historical change of Xiang embroidery techniques


Ⅲ. 상수 기법에 관한 고찰

상수는 표현의 섬세함에 따라 작품의 수준이 나눠진다. 특히, 상수에서 실을 세분화하는 기술즉, 피실법은 매우 중요하다. 실 한 가닥이 보통두 가닥에서 네 가닥, 많게는 열여섯 가닥으로 나누어지기도 한다(Tian, 2008). 이러한 실의 세분화를 거쳐 상수의 섬세하고 사실적 묘사가 가능해진다. 이는 상수 작품에 예술적 가치를 부여하는데 크게 기여한다.

상수 작품의 제작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네 단계를 거친다(Zhu, 2008). 첫째, 도안을 디자인한다. 도안의 주된 소재는 중국회화나 사진 작품 등이다. 둘째, 원단을 선택한다. 이때, 주로 실크나 견직물을 사용하며, 선택한 원단위에 디자인한 도안을 복사한다. 셋째, 도안에 따라 실을 선택하여 배치하고, 실의 세분화를 결정한다. 넷째, 수놓을 원단을 자수틀에 끼운 후, 도안의 각 부분에 맞는 효과적인 기법을 이용해 수를 놓는다(Liu, 2017).

1. 상수 기법의 종류와 특징

상수는 중국 전통 자수의 여러 기법을 혁신하여 기법의 다양화를 이루었다. 자수 명인 Liu & Tang(2013)의 연구에서 따르면 상수는 평수(平繡, flat embroidery), 직수(織繡, weaving embroidery), 뉴수(扭繡,twist embroidery), 결수(結繡, knot embroidery), 왕수(網繡, mesh embroidery) 등 총 5가지 기법으로 분류된다. 또한, 그 다섯 가지 기법은 다시 총 73종의 침법으로 세분화 된다. 그 중 평면적 기법은 평수에, 입체적 기법은 직수, 뉴수, 왕수, 결수에 속한다. 그러나 실제 작품에 사용되는 기법에서는 회화적인 표현이 선호되어 평수 기법이 주로 사용된다. 평수에 속하는 침법들은 그라데이션과 명암 등의 표현에 특화되어 있어 작품의 예술적 가치를 증폭시킨다. 따라서 본 장에서는 작품 구현의 실제적 침법인 평수 기법 위주로 고찰하고자 한다.

평수는 자수실이 최대한 원단에 밀착되어 수가놓인 표면이 거의 평면처럼 보이게 수놓는 기법이다(Liu & Tang, 2013). 주로 섬침(摻針, blending needle), 봉모침(鬅毛針, moustache needle), 령침(簾針, curtain needle), 직침(直針, straight needle), 게변침(齊邊針, edging needle), 현전침(旋轉針, rotary needle), 모침(毛針, hair needle), 게모침(齊毛針, blunt needle), 혼침(混針, mixed needle), 평유침(平遊針, horizontal needle), 송침(松針, pine needle), 류침/곤침(柳針, willow needle/滾針, roller needle) 등이 평수에 속한다.

그중, 섬침과 봉모침은 상수의 대표적 침법이다. 섬침은 가로, 세로, 사선으로 수를 놓는다. 한 가지 색의 채도가 다른 여러 실을 사용하며, 방사선 모양으로 배열하여 자연스럽게 그라데이션 효과를 준다. 꽃잎, 산, 동물 털, 얼굴 등의 명암 표현에 주로 섬침이 쓰인다.

봉모침은 섬침을 토대로 발전했다. 봉모침은 자수 명인과 그 계승자 사이에서만 정확한 방법이 전수되고 있다. 따라서 굵은 실을 깔고, 가는 실을 섞어 층층이 겹쳐 수를 놓는 정도만 일반에 알려져 있다. 봉모침은 주로 호랑이와 사자 등의 동물털을 사실적이고 생동감 있게 표현할 때 사용된다.

그밖에 자주 사용하는 령침은 주로 산수의 원경 표현에 쓰인다. 령침은 진한 색 부분에서 시작해서, 일정 간격으로 수평과 수직의 배열을 맞춰, 짧은 길이의 바늘땀을 놓는다. 함께 사용하는 직침은 포침이라고도 하는데, 령침에 비해 바늘땀이 길고, 간격 없이 도안을 꽉 채우는데 쓰인다. 주로 글자를 수놓는데 사용된다. 게변침은 주로 꽃받침, 산의 능선 등 도안의 윤곽처리와 동시에 다른 침법으로 내부 도안을 수놓을 때, 마치 그림처럼 자연스럽게 이어지도록 수놓는다. 예를 들면 꽃받침의 밑 부분을 먼저 게변침으로 윤곽을 수놓은 후, 그 윤곽에서 꽃잎 쪽으로 다른 침법 - 꽃잎에 쓰일 침법 -을 놓을 수 있을 정도의 간격을 두고 직선으로 수놓는다.

현전침은 동물과 인물의 눈 표현에 특화된 침법이다. 첫 바늘땀은 동공 중심에서 시작한다. 첫 바늘땀 사이로 두 번째 바늘땀이 마치 고리처럼 연결되어 나선형을 이룬다. 이때 바늘땀을 짧게 놓아 최대한 사실적인 표현을 추구한다. 모침은 주로 조류의 털과 인물의 머리카락 표현에 사용된다. 도안의 윤곽에 따라 바늘땀의 결 방향으로 겹치거나 결의 반대 방향으로 살짝 교차되게 수놓는다. 실제 머리카락처럼 표현된다. 게모침은 모침에서 발전된 것으로, 주로 두 개 혹은 그 이상의 색을 가진 조류 표현에 사용된다. 혼침은 모침과 섬침을 혼합 사용하는 복잡한 침법이다. 주로 공작처럼 다양한 색이 혼합된 깃털 표현을 위해 쓰인다. 평유침은 나무나 옷의 주름 표현에 주로 사용된다. 먼저 주름의 윤곽선을 만든 후 그 선 안을 짧은 바늘땀으로 촘촘하게 수놓는다. 이때 명암의 자연스러운 그라데이션 효과를 위해 진한 색실에서 밝은 색실의 순서로 수놓는다. 송침은 주로 꽃수술이나 솔잎 등의 단순한 도안에 사용된다. 중심에서 시작하여 방사형으로 수놓는다. 류침은 곤침이라고도 하는데, 동물의 수염이나 잎맥 표현에 쓰인다. 첫 번째 바늘땀부터 도안에 따라 경사지게 수놓는다. 두 번째 바늘땀은 첫 번째 바늘땀의 중간에서 시작되고, 세 번째 바늘땀은 첫 번째 바늘땀의 끝부분과 맞닿은 곳에서 시작된다. 바늘땀이 겹쳐진 형태로 연속된 선을 이룬다.

주로 사용되는 평수 이외의 현재 사용되는 결수 기법의 대표적 침법은 타자침(打籽針, seeding needle)과 반금침(盤金針, plate gold needle)이다. 타자침은 바늘 끝에 2~3번 실을 감아 알갱이 모양을 만들어 수놓는다. 꽃의 수술머리 등과 같은 작은 알갱이 등의 표현에 쓰인다. 반금침은 주로 금실을 사용하며, 먼저 두 가닥의 금실을 평행하게 도안 위에 놓는다. 평행된 두 가닥의 금실은 융실(絨線)을 이용하여 도안을 따라 고정된다. 이때 융실은 0.5-1cm의 간격으로 수놓인다. 반금침은 일반적으로 의복과 액세서리의 문양에 입체감 및 화려함을 주기 위해 많이 사용된다. 직수 중교차침(交叉針, cross needle)은 직수 기법의 대표적 침법으로 난침이라고도 한다. 주로 배경의 자연스런 그라데이션 표현에 쓰인다. 실을 불규칙하게 교차하여 반복적으로 수놓으며, 단층이 아닌 여러 층을 이룬다.

위에서 고찰한 상수의 실제적인 주요 침법을 정리하면 다음 <Table 2>와 같다. 표에 사용된 그림 이미지는 호남상수연구소가 소장한 각 작품 속 일부분이다.

Types and methods of representative techniques of Xiang embroidery

2. 상수 작품의 표현 기법 및 특징 분석

호남상수연구소는 설립 때부터 현재까지 작품을 만 6천여 개를 소장하고 있으며, 작품은 장식 벽화, 의복, 액세서리 등으로 분류된다. 그중 70%가 장식 벽화로, 이는 상수 작품의 특징인 사실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현하는 것에 장식 벽화가 가장 적합하기 때문이다. 현재 상수 연구소에 소장된 1000개의 장식 벽화를 소재별로 분류하면 산수, 누각 등의 풍경화 218개, 사자와 호랑이 등의 동물화 435개, 현대 인물사진 등의 인물화 182개, 화초, 나무 등의 식물화 103개, 그리고 서예 등의 문자 작품 36개, 기타가 26개이다<Fig. 6>.

<Fig. 6>

Classification of Xiang embroidery works in Hunan embroidery research institute

따라서 본 절에서는 상수의 관상 영역인 벽화 작품 중 다수를 차지하는 풍경화, 동물화, 인물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현재 상수의 실생활 속 영역확장을 위해 개발이 촉진되고 있는 의복 및 액세서리 사례를 통해 상수의 다양한 침법 구성 및 특징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작품의 선정은 국가 공인 상수 계승자들이 구현한 2004년 중국 인민 다회당(大會堂)이 소장한 유일한 <Zhang Jiajie>, <Yueyang tower>, 중국 최고의 국가 공예미술관에 입상된 <A Tiger>, <The eagle>,<Plenilune>,<Zedong Mao> 장식 벽화와 상수 연구소의 판매율 1위 작품과 의복 및 액세서리를 기준으로 하였다.

1) 풍경화

상수는 호남성에서 발생한 자수로서 호남성의 장가계(Zhang Jiajie) 및 웨양루(YueYang tower)와 같은 유명한 장소 등을 소재로 많이 사용한다. <Table 3>을 보면 산의 원경과 안개의 몽환적 분위기를 표현할 때 령침과 직침을 사용했다. 이를 위해 피실법을 이용하여 실을 2-4개로 나누고 먼저 직침으로 바닥을 메꾸어 그 위에 령침으로 수놓았다. 산 절벽의 그라데이션과 명암표현에는 섬침을 사용했다. 섬침은 령침보다 더 섬세한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 실을 4-6개로 나눠 사용했다. 또한, 여러 자연경관의 윤곽에 게변침을 같이 썼다. <Fig. 7>에서는 산수와 함께 화초가 사용되었는데, 타자침으로 꽃을, 송침으로 솔잎을 표현했다. <Fig.8>에서 숲은 교차침과 송침으로 같이 표현했고 누각, 정자 등의 옛 건물은 섬침을, 기와 조각의 명암 변화와 윤곽은 류침을 섞어서 완성했다. <Table 3>에서 제시된 두 작품의 주요 침법은 령침, 섬침, 직침으로 작품 전체에서 그 비율이 70% 정도였다. 나머지 30%는 교차침, 송침, 타자침, 평유침 등으로 처리되었다.

Method of representation of landscape paintings

상수 풍경화의 특징은 여백이 많지 않고, 화면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다. 중국화를 토대로 삼기 때문에, 상수의 정교함은 갖췄으나, 동물화나 인물화가 사실적인 것에 비해, 풍경화는 좀 더 몽환적 화풍 구현을 위한 침법으로 구성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풍경화는 대체로 크게 제작하므로 여러 명의 자수사가 함께 완성한다.

2) 동물화

상수 동물화의 주 소재는 호랑이, 사자, 말, 고양이, 새 등이다. 동물 털의 질감과 생동감 있는 표현을 위해 상수의 대표적 침법인 봉모침이 주로 쓰인다. 봉모침은 섬침보다 바늘땀이 짧고, 실제 털처럼 보이기 위해 바늘땀을 촘촘이 놓은 발산침법이다. 이를 위해 실을 8-10개로 나눠 얇게 한다. 또한, 동물화에서 180도 회전 틀을 이용하여 양면자수를 놓은 작품을 많이 볼 수 있다. 양면 자수의 구성은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같은 문양을 회전틀 양면에 똑같이 놓는 양면자수(兩面刺繡)이다. 다른 하나는 한 동물의 앞, 뒷모습을 각 면에 놓거나 두 종류의 다른 동물을 회전틀의 앞뒷면에 각각 놓는 것, 즉 양면전이수(兩面全異繡)이다. 앞뒷면의 그림이 달라, 각각 다른 천에 따로 수놓은 후 합쳐 완성한다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양면전이수는 한 장의 천에 앞뒷면을 동시에 수놓는 것이 일반적이다.

<Fig. 9>은 앞뒤 같은 양면자수로서 호랑이 털의 70%를 봉모침과 섬침을 섞어 수놓았다. 수염에 류침을 사용했고, 그 외 부분은 모침, 현전침 등으로 완성했다. <Fig. 10>은 양면전이수로서, 앞면 매의 윤곽과 뒷면의 매, 소나무, 산의 윤곽이 같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같은 윤곽 안에서, 앞뒤 다른 문양을 따라 각각의 바늘을 사용해 앞뒤로 교차하면서 수놓았다. 이때 앞뒤 다른 문양으로 인해 생기는 바늘땀의 흔적을 숨겨야한다. 따라서 풍경화나 인물화의 것에 비해 동물화, 특히 양면전이수의 바늘땀은 매우 촘촘하며, 가장 짧은 바늘땀의 길이는 0.2 밀리미터 정도이다. 또한 양면 문양이 다르기 때문에 사용하는 침법도 같지 않다. <Fig. 10>의 경우, 앞면 매의 날개는 게모침, 류침, 혼침을 사용했고, 뒷면의 산과 소나무는 송침, 평유침, 직침을, 매의 깃털은 게모침과 모침을 같이 사용했다. 이 밖에 매의 눈은 현전침을, 발톱은 류침과 섬침을 사용했다. <Table 4>의 동물화 작품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침법은 모침, 봉모침, 섬침으로, 전체 침법 중 80%정도를 차지했다. 그 외에 20%정도가 류침, 게모침, 현전침 등으로 처리되었다. 앞서 본 풍경화와 달리, 상수 동물화의 특징은 사실성으로, 생동감 있고 입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침법의 구성을 갖는다.

Method of representation of animal works

3) 인물화

상수 인물화의 소재는 두 종류로 나뉜다. 하나는 중국화풍의 인물화이고 다른 하나는 사진과 서양화풍의 자화상을 참조한 단일 인물 위주의 작품이다. <Fig. 11>의 중국화풍 인물화는 인물의 얼굴, 피부를 섬침으로 표현했고, 머리카락은 모침으로, 옷의 문양 및 주름은 평유침과 직침을 연결하여 수놓았다. 또한, 인물의 윤곽에 게변침을, 배경에는 풍경화에서처럼 령침, 직침 등을 사용했다.

<Fig. 12>와 같은 인물화는 앞서 본 중국화풍 인물화와 표현방식이 다르다. 사진을 참조하여 인물의 생동감을 표현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얼굴 표정, 주름, 점 등의 정교한 표현을 위해 특히 섬침의 바늘땀이 짧고, 색은 같지만 톤이 다른 15종의 실을 사용하여 사실성을 구현했다. 머리카락과 눈썹에 모침과 봉모침을 이용했고, 옷의 문양 및 주름에 평유침과 직침을 연결하여 수놓았다. 교차침은 배경에 쓰였는데, 사진처럼 인물은 부각시키고 배경은 흐릿하게 하는 효과를 냈다. <Table 5>의 두 종류의 인물화는 그 화풍의 차이처럼, 사용된 침법과 그 빈도 역시 달랐다. 중국화풍 인물화인 <Fig. 11>은 인물의 전체 형태 위주의 구현을 위해 평유침, 직침, 섬침을 75%정도 사용했다. 나머지는 모침, 게변침 등으로 처리했다. 반면, 인물사진을 참조한 <Fig. 12>는 마치 실제 사진을 현상한 것 같은 사실성 구현을 위해 교차침, 섬침, 모침을 65%정도 사용했다. 그 외에 혼침, 게변침, 현전침 등이 쓰였다. 인물화는 그 종류에 따라, 앞서 본 풍경화의 몽환적 특징과 동물화의 사실성을 특징으로 가지며, 그에 따른 각각의 침법으로 구성된다<Table 5>.

Methods of representation of character works

4) 의복

상수는 앞서 본 관상용품 위주로 제작되어 상수가 의복에 적용된 사례는 많지 않다. 현재 상수가 응용된 의복은 치파오(旗袍)와 같은 전통복식유형이 대부분이다. 상수의 특징인 이미지의 사실적 표현 및 문양의 풍부한 구성은 원단의 유연성을 없앨 수 있어 몸의 곡선을 강조한 의복에 적용되기 어렵다. 따라서 사실적 표현은 추상적으로, 풍부한 구성은 부분적으로 처리되었다.

풍경화, 동물화 및 인물화의 섬세한 이미지를 위한 자수실에 비해, 의복에서는 굵은 자수실을 사용한다, 기법의 종류는 간소화되었고, 주로 섬침, 직침, 반금침, 타자침 등으로 수놓는다. <Fig. 14>처럼 금실의 입체적 침법인 반금침을 많이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Table 6>.

Method of representation of clothing works

5) 액세서리

현대 패션에서 상수의 응용은 특히 액세서리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상수 연구소에서는 젊은 소비자층을 대상으로, 스카프, 핸드백, 립스틱 케이스, 목걸이 등의 상수 제품을 위주로 판매하고 있다. 액세서리는 의복에 비해 디자인과 소재가 다양한 제품들이 생산되고 있지만 그 제작 과정은 좀 더 복잡하다.

<Fig. 15>의 왼쪽 가방의 경우, 먼저 가방의 패턴에 맞는 실크 원단에 자수를 완성한 후 그 위에 PVC와 같은 투명한 소재를 덮어 고정했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 시 상수가 놓인 부분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오른쪽 가방은 좀 더 도톰한 실크원단에 자수를 놓은 것으로, 견사에만 국한되지 않고 털실이나 면실 등을 사용했다. 이렇게 실의 굵기 및 소재의 다양화를 통해 이미지를 보다 풍부하게 표현했다. 립스틱 케이스와 목걸이는 사이즈를 고려하여 자수의 문양을 디자인했다.

액세서리는 의복처럼 주로 직침, 반금침, 타자침, 류침 등을 사용한다. 비교적 제품의 문양은 단순하지만 입체적 침법을 사용하고 화려하고 강렬한 색채가 특징이다<Table 7>.

Method of representation of accessories works


Ⅳ. 요약 및 결론

본 연구는 중국 사대명수 중 하나인 호남성 상수에 관한 연구로서,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통해 실제적인 기법에 대해 고찰하고 상수 작품의 기법구성을 분석했다. 상수는 사대명수에 비해 늦게 발원된 결과, 다른 세 지역 자수의 특색의 집합체가 됨을 알 수 있었다. 소수의 기법 체계, 월수의 구도, 그리고 촉수의 자수재료를 취합한 것에 호남성의 지역적 특색이 더해져 상수가 형성되었다. 특히, 상수 기법의 역사적 고찰 결과, 청나라 시대에 상수라고 명명된 후, 소수의 섬침을 개선하여 상수만의 독특한 침법인 봉모침이 개발된 점이 파악되었다. 이러한 봉모침의 개발로 인해 다른 사대명수에 비해, 상수는 보다 사실적이고 생생한 표현을 할 수 있다는 점을 가장 큰 특징으로 갖게 되었다. 따라서 호남성의 대표적인 동물인 호랑이, 사자를 묘사한 작품이라든가, 중국 혁명 지도자의 사진을 상세히 생동감 있게 표현해낸 작품이 상수의 대표 작품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현재 상수에는 5종의 기법인 평수, 직수, 결수, 뉴수, 왕수와 총 73가지의 침법이 있다.

상수 작품을 분석한 결과, 상수의 5종 기법 중 주로 평수 위주로 사용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작품의 소재에 따라 침법의 구성이 다르고, 보통 한 문양에 여러 개의 침법이 결합되어 완성되며, 한 작품에 10개 이상의 침법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수 있었다. 몽환적 중국화풍의 풍경화나 인물화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섬침, 령침, 직침, 게변침, 평유침, 송침, 타자침, 교차침 등을 사용했다. 반면, 사실적 화풍의 동물화나 인물화는 주로 봉모침, 섬침, 모침, 류침, 게모침, 혼침, 현전침 등으로 구현되었다. 상수 작품에서 침법의 사용 빈도를 보면, 섬침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그 다음으로는 모침, 봉모침, 령침 등의 순으로 사용되고 있음이 분석되었다.

또한, 의복과 액세서리는 제한적 소재, 제작 과정의 복잡성 때문에, 관상용 작품에 비해 침법을 간소화하여 추상적 문양이 많이 사용되었다. 주로 섬침, 직침, 타자침과 반금침 등의 기법을 사용하였다. 특히 반금침은 금실을 사용하여 의복이나 액세서리에 입체적이고 화려한 특징을 부여했다.

현재 상수 작품의 실제적 기법은 평수 위주여서, 상수의 나머지 4종의 기법은 거의 쇠퇴 위기에 처해 있다. 또, 유명한 작품의 기존 이미지를 반복 사용하고 있어, 더 이상 상수 기법의 발전을 기대하기 어렵다. 상수는 기법이 어렵고 작품의 예술적 가치를 과도하게 강조하여, 한 작품의 완성에 너무 긴 시간이 소요된다. 이러한 점은 예술성은 높지만 실용성이 낮아 상수의 대중화를 어렵게 한다. 그러나 상수의 특징은 상대적으로 약하지만 실용적인 생활용품인 의복이나 액세서리는 대중이 쉽게 접할 수 있어 향후 더 발전할 여지가 많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상수 작품의 새로운 이미지 채택과 이에 따른 보다 다양한 침법의 구성, 쉬운 침법의 개발과 새로운 상품 및 디자인 개발은 상수의 대중화와 혁신을 도모하고, 상수의 저변 확대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와 중국의 유일한 상수 연구소의 현장실습, 대표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보다 실질적으로 사용되는 상수 기법과 구성을 파악하고 정리했다. 이를 통해 상수 기법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현대 패션아이템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자수기법을 한국학계에 소개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References

  • Fang, X. J., (2015), Women's hand: Chinese women's embroidery in late qing dynasty and early republic[女性之手:清末民初中國婦女的刺繡學問], International Sinology, 5(4), p87-108.
  • Han, Y. H., (1996), Traditional embroidery, Seoul, Publishing House.
  • Hu, B., (2007), On the charm of hunan embroidery in Huxiang costume culture [論湖湘服飾文化中湘繡藝術的魅力], Journal of Changsha University, 6, p15-16.
  • Kim, I. G., (2013), Development of Bag Designs Applying Traditional Korean Embroide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 Lee, M. S., & Kim, C. H., (2014), A Study on Modern Applicability of Traditional Korean Embroidery Techniqu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4(7), p45-56. [https://doi.org/10.7233/jksc.2014.64.7.045]
  • Lee, M. Z., (2009), Development of embroidery pattern and dress design based on Korean color scheme,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 Lee, S. H., (2005), Research on the performance of traditional embroider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yongji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 Leng, J., (2014), Four famous embroideries of different styles[風格迥異的四大名繡], Shanghai Arts and Crafts, 3, p14-16.
  • Li, Q. Y., (2017), Discussion on the art and culture of hunan embroidery[湘繡藝術及文化探討], Research on Art Education, 01, p42.
  • Liu, A. Y., & Tang, L. Q., (2013), Xiang embroidery techniques[湘繡技法], Hu Nan, Hunan University Press.
  • Liu, L., (2014), Literature review on the inheritance and development of xiang embroidery from its historical origin[從湘繡的歷史起源看其傳承的發展研究文獻綜述], Packaging Industry of China, 18, p104-106.
  • Qiao, Y., & Qiao, H., (2015), A Study on Features of Traditional Sichuan Embroidery Skills[蜀繡傳統技藝的特性研究], Silk, 52(1), p47-53.
  • Song, S. J. & Park. Z. H., (2016), Research on traditional techniques embodied in modern fashion, centering on embroidery,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5, p85-90.
  • Song, G. S., (2011), Embroidery, Seoul, The Minjinsa Publishing House.
  • Tian, S. X., (2008), Xiang embroidery[湘繡], Hu Nan, Hunan People's Publishing House.
  • Tian, S. X., (2010a), Historical Origin of Xiang embroidery (part 1)[湘繡的歷史淵源(上)], Art China, 3, p106-115.
  • Tian, S. X., (2010b), Historical Origin of Xiang embroidery (part 2)[湘繡的歷史淵源(下)], Art China, 5, p92-99.
  • Tian, Z. B., (1986), History of Chinese Dyeing and Weaving[中國染織史], Shang Hai, Shanghai People's Publishing House.
  • Tong, Y., (2016), The embroidery[刺繡], He Fei, Huangshan Publishing House.
  • Wang, P., & Wang, H. F., (2016), Comparative study of Hunan embroidery and Sichuan embroidery skill and art[湘繡與蜀繡的技藝比較], Journal of Textile Research, 37(3), p66-71.
  • Wang, W. Q., (2010), Comparison between su embroidery and xiang embroidery[湘繡與蘇繡之比較], Great Master, 12, p85-86.
  • Xu, F., & Xu, Q. Q., (2008), Study on Hunan Embroidery Characteristic Art[湖南湘繡藝術特色研究], Journal of Nanjing Academy of Art (Art and Design Edition), 20(6), p127-130.
  • Xu, F., & Xu, Q. Q., (2009), Art themes of Hunan embroidery in different historical periods[不同歷史時期的湘繡藝術題材], Journal of Textile Research, 30(10), p124-129.
  • Xu, J., (2012), Material culture observation of early Xiang embroidery: folk art, craft and art[早期湘繡的物質文化觀察: 民藝、工藝和藝術], Guang Zhou, Chung Tai Educational Press.
  • Yang, S. R., (2003), The four embroidery of Qing dynasty[清代四大名繡], Shanghai Arts and Crafts, 1, p57-58.
  • Ye, Y., (2013), Collection of old Xiang embroidery[老湘繡的收藏], Hu Nan, Hunan Science and Technology Press.
  • Yun, J. Y., & Ha, J. S., (2006), A study on the Coloring and the Arrangement of Colors of Korean Traditional Embroide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6(8), p95-112.
  • Zhang, L., (2013), Research on the inheritance and development of yue embroidery[粵繡的傳承和發展研究], Popular literature and art, 13, p48-49.
  • Zhu, H., (2008), Exploration of the craft and culture of xiang embroidery[湘繡工藝及文化探索], Sichuan silk, 4, p51-53.

<Fig.5>

<Fig.5>
The historical change of Xiang embroidery techniques

<Fig. 6>

<Fig. 6>
Classification of Xiang embroidery works in Hunan embroidery research institute

<Table 1>

Comparison of China's four famous embroideries

Chu embroidery Yue embroidery Su embroidery Xiang embroidery
Representative work drawings
<Fig. 1> Panda (Qiao & Qiao, 2015, p. 48)

<Fig. 2> Dragon and phoenix (Zhang, 2013, p. 49)

<Fig. 3> Cat (Wang, 2010, p. 85)

<Fig. 4> Tiger (Ye, 2013, p. 23)
Production Sichuan province(四川) west China Guangdong province(廣東), south China Jiangsu Province(江蘇) east China Hunan province(湖南) central China
Origin Xia Dynasty(夏朝) and the same period Tang Dynasty(唐朝) Three Kingdoms period(三國) Qing Dynasty(清朝)
Types of techniques 12 kinds of 130 needles 3 kinds of 45 needles 43 needles 5 kinds of 73 needles
Typical needle mixed needle (混針) silver-gold needle (釘金針) brocade needle (亂針) moustache needle (鬅毛針)
Representative patterns panda, carp dragon, phoenix cat, goldfish tiger, lion, great man.
Features various needle methods, light color, realistic and vivid, concise composition dense needles strong color, abstract expression, and full composition dense needles light color, realistic and vivid, concise composition dense needles strong color, realistic and vivid and full composition

<Table 2>

Types and methods of representative techniques of Xiang embroidery

Types of techniques Technical characteristics Representative needling method Application mode Graphicalization Image
(Illustrated by Researchers)
Flat embroidery the plain embroidery technique composed of straight lines covers almost all the techniques in modern Xiang embroidery works blending needle: gradient, radial arrangement leaves, landscape architecture, face
moustache needle: hair texture texture of tiger wool not outside
curtain needle: dotted line parallel arrangement landscape prospect
straight needle: straight flat line landscape, text
edging needle: stitch from side to inside leaves, petals, landscape Lines
rotary needle: rotate at the center of a circle animals, people's eyes
hair needle: stitch around animal hair, fluffy animal's fluff, hair
blunt needle: over 2 hair colors on hair needle two kinds of animal fluff, hair
mixed needle: stitch around animal hair, fluffy bird, feathers
horizontal needle: transit from the contour to inside tree trunks, clothing textures
pine needle: radial dispersion effect pines, stamens
willow needle/roller needle: flat fine line convex twining line effect veins beard
Knot embroidery To grain or ring the embroidery threads seeding needle: convex knotting effect flowers, leaves
plate gold needle: two were combined, the intermediate bundle clothing pattern decoration
Weaving embroidery Weave the net with thread cross needle: the stitches overlap face, background

<Table 3>

Method of representation of landscape paintings

Representative drawings of landscape works

<Fig. 7> Zhang Jiajie, A famous mountain in China, 2002 (Photographed at Hunan Embroidery Research Institute, 2018.8.13)
Size: 490×230cm
Design by: Yan Li
Made by: embroidery teachers of Hunan embroidery research Institute
Material: silk thread wool thread
Needle method
Main needle
distant mountains, mist: curtain needle, straight needle
gradual change of mountains and shades: blending needle, straight needle
rock: cross needle; pine: pine needle
lake: horizontal needle; leaves, flowers, fruits: seeding needle

<Fig. 8> Yueyang tower, 2004 (Photographed at Hunan Embroidery Research Institute, 2018.8.13)
Size: 425×205cm
Design by: Wenhu Lin
Made by: embroidery teachers of Hunan embroidery research Institute
Material: silk thread
Needle method
Main needle
mist: curtain needle, straight needle
pavilions, pavilion corners: blending needle
words: straight needle; woods: cross needle
river wave, bridge: horizontal needle
bridge: straight needle; pine: pine needle

<Table 4>

Method of representation of animal works

Representative drawings of animal works

<Fig. 9> A Tiger, 1995 (Photographed at Hunan Embroidery Research Institute, 2018.8.13)
Size: 70cm diameter
Design by: Cuifeng Huang
Made by: embroidery teachers of Hunan embroidery research Institute
Material: silk thread
Needle method
Main needle
texture of tiger fur: moustache needle, hair needle
nose, tongue: blending needle
beard: willow needle; eye: rotary needle

<Fig. 10> The eagle, 2005 (Photographed at Hunan Embroidery Research Institute, 2018.8.13)
Size: 75×45cm
Design by: Jinxiu Zhou
Made by: embroidery teachers of Hunan embroidery research Institute
Material: silk thread
Needle method
Main needle
feather: blunt needle, hair needle feather stalk: willow needle
eye: rotary needle;
bird claws: willow needle, blunt needle
beak: edging needle blending needle
bird leg villi: willow needle, blunt needle, blending needle

<Table 5>

Methods of representation of character works

Representation of figures and objects

<Fig. 11> Plenilune, 1984 (Photographed at Hunan Embroidery Research Institute, 2018.8.13)
Size:72×38cm
Design by:Cuifeng Huang
Made by:Cuifeng Huang
Material:silk thread
Needle method
Main needle
face: blending needle; head wear: straight needle
hair: blending needles, hair needle
clothing yarn: horizontal needle
clothing pattern: edging needle, straight needle

<Fig. 12> The founder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Zedong Mao, 1985 (Photographed at Hunan Embroidery Research Institute, 2018.8.13)
Size: 80×50cm
Design by: Aiyun liu
Made by: embroidery teachers of Hunan embroidery research Institute
Material: silk thread
Needle method
Main needle
hair: hair needle, mixed needle
eye brow: hair needle; eye: rotary needle
nose: cross needle, mixed needle; clothes: cross needle
outline: edging needle
mouth: blending needle, mixed needle

<Table 6>

Method of representation of clothing works

Representative drawings of clothing works

<Fig. 13> Gold embroidery cheongsam, 2017 (Photographed at Hunan Embroidery Research Institute, 2018.8.13)
Size
40×90cm
Design by
Yixing Zhou
Made by
Yixing Zhou
Source
Hunan embroidery research Institute
Main needle Material
flowers, leaves: plate gold needle, straight needle polyester silk thread
butterfly outline: plate gold needle, lock needle
butterfly pattern: seeding needle

<Fig. 14> Lotus embroidery cheongsam, 2017 (Photographed at Hunan Embroidery Research Institute, 2018.8.13)
Size
45×110cm
Design by
Yixing Zhou
Made by
Yixing Zhou
Source
Hunan embroidery research Institute
Main needle Material
lotus&leaves color gradient: blending needle satin silk thread
flower peduncle: straight needle
petal: horizontal needle, edging needle

<Table 7>

Method of representation of accessories works

Representative drawings of accessories works

<Fig. 15> Peony embroidery handbag(left),Golden evening bag(right), 2017 (Photographed at Hunan Embroidery Research Institute, 2018.8.13)
Size
33×15×26cm(left)
21.5×9.5×14cm(right)
Design by
Hunan embroidery research Institute
Made by
embroidery teachers of Hunan embroidery research Institute
Source
Hunan embroidery research Institute
Main needle Material
flower color gradient(left): blending needle cow hide plastic silk thread
stamen(left): seeding needle
petal& outline(right): edging needle, straight needle
flower rattan(right): plate gold needle

<Fig. 16> Lipstick case(left), Aromatherapy bead chain(right), 2017 (Photographed at Hunan Embroidery Research Institute, 2018.8.13)
Size
8×2.5cm(left)
4.5×6.5×13cm(right)
Design by
Hunan embroidery research Institute
Made by
embroidery teachers of Hunan embroidery research Institute
Source
Hunan embroidery research Institute
Main needle Material
stamen(left): straight needle; leaves: edging needle satin cotton thread
lotus color gradient(right): blending needle, willow needle silk thr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