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These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ol. 69, No. 5, pp.15-34
ISSN: 1229-6880 (Print) 2287-7827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Aug 2019
Received 22 Apr 2019 Revised 09 Jun 2019 Accepted 12 Jun 2019
DOI: https://doi.org/10.7233/jksc.2019.69.5.015

이슬람교 종교 복식과 중국 서북지역 소수민족 여성 복식의 조형적 유사성 연구

쉬루이 ; 배수정
전남대학교 의류학과 박사
전남대학교 의류학과 교수
A Study on the Formative Relationship between Islamic Religious Clothing and Minority Women's Clothing in the Northwestern China
Rui Xu ; Soo Jeong Bae
Doctor, Dept. of Clothing & Textil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rofessor, Dept. of Clothing & Textil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Soo Jeong Bae, e-mail: sjbae@chonnam.ac.k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igious clothing worn by women in four minority groups in northwestern China and analyze the forms, colors, and patterns in order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e research methods combined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ies. Four minorities(Hui, Weiwuer(Uygur), Kazakh and Dongxiang) were selected to undergo case study through frequency analysis using 420 pieces of women’s garments and accessories. The result showed that Islamic garment elements have a strong relationship with morphological closure and symbolism of colors and patterns. First, it was revealed that women of minorities adhering to Islam often wear clothes with several layers and drapery-type headdresses, showing a strong relationship with the closed Islamic religious garments. Second, the colors black, white, green and blue which are often found on typical Islamic garments, frequently appeared on clothing worn by the four groups of minority women, as well as red and yellow which are, preferred Chinese colors. Third, Islamic plants, geometric and abstract designs, and letter pattern for symbols of rebirth, life, hope and sun, were frequently found in the clothing worn by the four groups of minority wome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addresses religious meanings and symbolism hidden in the layers of garments by analyzing clothing worn by women in minority groups in northwestern China and comparing the garments to Islamic religious garments.

Keywords:

Chinese minority, formative relationship, Islamic religious clothing

키워드:

중국 소수민족, 조형적 유사성, 이슬람교 종교 복식

Ⅰ. 서론

중국은 한 국가 안에 한족 이외 55개 소수민족이 존재하여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거대국가이다. 특히 중국 서북지역은 육상 실크로드(silk road)가 지나가고, 중앙아시아 여러 국가와 인접한 지정학적 위치 때문에 다양한 종교적, 문화적 접촉이 이루어지는 중요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Jeong, 2008). 서양에서 중국에 전파된 종교 중 이슬람교는 이 지역에 가장 널리 전파된 종교이다(Zhao & Xu, 2006). 이 결과 서북지역에 전파된 이슬람교는 각 민족의 생활방식, 복식 등에 영향을 미쳤고, 그들의 문화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게 되었다.

중국 소수민족의 여성 의복과 장신구에는 각 민족의 미의식과 더불어 종교상징이 내재되어 있다. 특히 서북지역은 이슬람교의 보편화로 소수민족이 착용하는 민속복식에 종교적인 요소가 다수 잔존해 있다. 먼저 여성의 의복은 다양한 색과 자수 등으로 장식되어 심미성과 더불어 풍요, 길상 등의 종교적 상징을 내포하고 있으며(Duan, 2004), 쓰개 및 요대와 같은 장신구는 방한의 역할과 더불어 유목생활로 인한 간편한 휴대성에 주안점을 두어 재화(財貨)와 칼, 향낭(香囊) 등을 휴대하는 기능적인 도구로 활용되거나 혹은 그 지역의 종교적인 색채를 반영하기도 한다(Zhong & Fan, 2006).

현재까지 본 주제와 관련된 선행연구는 중국 전역에 분포된 소수민족 남녀 쓰개 혹은 여성 요대를 지역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유형을 분석한 연구(Kim, 2001; Xu & Bae, 2016)와 신장자치구 이슬람 소수민족의 여성 쓰개를 형태별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착용동기를 분석한 연구(Kang & Cho, 2015)가 있다. 또한 동북지역 혹은 서북지역의 소수민족을 선정하여 그들의 의복과 장신구의 특성을 분석한 연구(Park, 1995; Kwon, 1995; Han & Cho, 1997) 등이 있다. 이밖에 중국 소수민족 장신구의 조형적 특성을 응용하여 디자인을 개발한 Youn(2009)의 연구가 있다. 이들 선행연구는 대부분 소수민족 의복이나 장신구에 관련된 내용을 다루거나 지역별 혹은 소수민족별 비교를 다루고 있다. 종교와 복식의 관점에서 이슬람교 종교 복식과 중국 서북지역 소수민족 여성 복식의 조형적 유사성을 다룬 연구는 미비한 실정으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의복과 장신구 측면에서 이슬람교 종교 복식과 중국 서북지역 소수민족 여성 복식의 조형적 유사성을 밝힘으로써 중국 서북지역 소수민족의 복식문화 형성의 배경을 이해하고 인류 문화유산을 보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는 중국 소수민족 복식 및 종교 관련 서적과 학술지, 학위논문 등을 고찰하여 중국 서북지역 소수민족의 복식과 이슬람교 종교 복식에 대해 다루었다. 사례연구는 14개 서북지역 소수민족 중 인구가 가장 많은 4개 민족인 후이족(回族), 웨이우얼족(維吾爾族), 하자크족(哈薩克族), 둥샹족(東鄉族)을 중심으로 대표적인 여성 의복과 쓰개, 요대, 신발 유형을 각 30점씩 총 420점을 선정하여 이슬람교 종교 복식과의 조형적 유사성을 분석하였다. 사례 수집은 1차적으로 2016년 3월 2일부터 2017년 8월 21일까지 중국 수도박물관(首都博物館), 민족박물관(民族博物館), 상하이박물관(上海博物館), 신장웨이우얼자치구박물관(新疆維吾爾自治區博物館)을 직접 방문하여 자료를 선정하였다. 2차 자료는 국내ㆍ외 중국 소수민족 복식사 관련 서적, 인터넷 등에서 발췌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객관성 확보를 위해 의류학 전공자 박사 5인으로 구성된 평가단의 객관적 검증을 거쳐 총 420점을 선별하였고, 이를 형태, 색채, 문양으로 분류한 후 이슬람교 복식과의 형태적 유사성을 분석하였다.


Ⅱ. 중국 서북지역의 지리적 특징과 이슬람교 종교 복식

1. 중국 서북지역의 지리적 특징

중국 서북지역은 지리적으로 하자크스탄, 커얼커즈스탄, 타지크스탄, 우즈베크스탄 등의 여러 국가와 인접해 있고(Jeong, 2008), 중국 면적의 약 30%에 분포되어 있으며 전체 인구의 약 7.3%를 차지하고 있다(Chinese northwestern, 2017). 이들 지역에서 주목할 만한 점은 동서 교류의 시발점인 육상 실크로드가 위치해 있다는 점이다(Shi, 2016). 이러한 교통로를 통해 중국 실크를 비롯한 문물이 본격적으로 서양으로 소개되었고(Ju, 2010), 서양의 향료(香料), 소금, 약재, 설탕, 모피, 담배, 유리, 보석의 유입(Y. Kim, 2009)과 더불어 이슬람교를 비롯한 다양한 종교와 문화가 중국으로 전파되었다(Xiao, 2013).

중국 서북지역에 분포된 14개 소수민족 중 가장 인구가 많은 4개 소수민족인 후이족, 웨이우얼족, 하자크족, 둥샹족은 모두 외국에서 유입된 외래 민족인데, 이는 중앙아시아 국가와의 접경에 위치한 서북지역의 지리적 특성에 기인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 지역의 소수민족은 닝샤후이족자치구(宁夏回族自治區), 간쑤성(甘肅省), 신장웨이우얼자치구(新疆維吾爾自治區) 등 자치구를 형성하여 자율적으로 생활하는데, 중국 내륙의 서북단에 지역적으로 고립되어 있고, 긴 겨울과 한행한 기후 조건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Chinese northwestern, 2017).

서북지역의 자연환경을 살펴보면, 닝샤후이족자치구는 평균 해발 1,000m 이상이고, 일조 시간이 길며 강수량이 적은 온대 건조기후이다(Ningxia hui autonomous region, 2017). 간쑤성(甘肅省)은 칭장고원(青藏高原), 황토고원(黃土高原), 네이멍구고원(內蒙古高原) 3대 고원과 친링산맥(秦嶺山脈), 치롄산맥(祁連山脈)이 위치한 산악지대로, 비가 적고 건조한 온대 계절풍 기후이다(Gansu Province, 2017). 신장웨이우얼자치구는 한랭건조기후로, 일조 기간이 2500시간을 넘어서 포도 등의 과일 재배에 적합하다. 이처럼 서북지역의 사막과 오아시스가 분포된 지역에서는 농업이 발달하였고, 추운 고지대에서 생활하는 유목민족들은 농업과 목축업에 주로 종사하였다(Han & Cho, 1997; Son, 2005). 또한 이들 지역의 남녀 전통복식은 자연환경과 일상생활에 적응하기 위한 필요에서 제작되었고, 보온의 목적으로 면이나 가죽이 복식소재로 사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Duan, 2004). 여기에 이슬람교의 종교적 색채가 더해져 그들만의 독특한 복식 문화를 형성하였다.

2. 이슬람교의 전파와 이슬람교 종교 복식

1) 이슬람교의 전파

이슬람교는 570년에 사우디아라비아(Saudi Arabia)의 메카(Mecca)에서 무함마드(Muhammad)에 의해 창시된 종교로(J. Kim, 2009), 현재 중앙아시아, 서아시아, 북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등을 중심으로 전 세계에 퍼져있고, 약 15.7억 명의 신자가 있다(Islamic, 2018). 이슬람교에서는 전지전능한 신인 알라(Allah)의 계시를 아랍어(arabic)로 기록한 코란을 경전으로 하는데(Kim, 2004), 코란은 우상숭배를 금지하고 성별과 신분의 고하를 막론한 평등사상을 설파하고 있다(Park, 2006; Weiss, 2007). 이슬람(Islam)이라는 용어는 순종(順從)과 평화를 의미하고, 인간이 유일신인 알라에게 절대적으로 순종함으로써 몸과 마음의 진정한 평화에 도달할 수 있다는 종교적 의미를 담고 있다(Jeong, 2002). 코란에는 이슬람교를 신봉하는 무슬림들의 복식, 음식 등 생활의 근거가 되는 규정들이 담겨있다(Seo & Kim, 2007). 특히 복식의 경우, “정숙함을 지키며 자연히 노출된 것 이외의 꾸밈새를 드러내지 않는다”라는 코란의 기록에 따라서 여성들은 신체를 은폐하는 형태의 복식을 착용하게 되었다(Kim, 1971; Seo, 2014).

이슬람교는 아랍 상인들이 육상 실크로드를 통해 중국의 당 왕조로 이주해 와서 중국 서북지역의 현지인과 결혼하게 됨에 따라 중국에 최초로 전파되었다(Park, 2006; Jeong, 2007). 송 왕조(960-1279) 시대에 이르러 아랍과 페르시아 상인들이 신장웨이우얼자치구로 이주하여 이슬람사원을 세우게 됨에 따라 이슬람교가 본격적으로 전파되었기 시작하였다. 이후 신장 지역으로 이주해 온 일부 중앙아시아 상인들은 그 범위를 넓혀 칭하이성(靑海省)에서 무역 활동을 하면서 이슬람교를 더욱 널리 전파하였다(Han, 2001). 13세기에는 칭기스칸의 서역(西域) 원정(遠征)으로 인하여 아랍과 페르시아 지역에 거주하는 이슬람교도가 몽골의 군대를 따라 신장 지역으로 이주해 와서 관직에 진출하거나 무역에 종사하였고, 한족 여성과의 혼인을 통해 이슬람교와 그 문화가 뿌리를 내리며 정착하게 되었다(The nationalities introduced into China through the Silk Road, 2011). 이러한 과정을 거쳐 16세기 무렵 이슬람교는 중국 서북지역 전역에 전파되었다(Jeong, 2008). 특히 중국으로 전파된 이슬람교는 지속적으로 중국의 전통문화를 받아들여 자신들만의 고유한 종교 문화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아랍 등 타 국가의 이슬람교와 다른 중국만의 특징을 형성하게 되었다(Park, 2006).

또한 이슬람교는 다른 종교와 달리 성직자(聖職者) 계급이 없으며 종교지도자라고 하는 우라마(Ulama)가 있다. 우라마는 어느 계급에 속해 있든지 신 앞에서 모두 동등한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종교지도자들이 착용하는 종교 복식은 규정된 것이 아니라 각 지역 특유의 민속복식으로 형성되었고(Lee, 1986), 크게 의복, 쓰개, 요대, 신발로 나누어진다.

2) 이슬람교 종교 복식

먼저 이슬람교의 남, 녀 종교 복식을 살펴보면, 인도 혹은 아랍에서 착용하는 쥬바(Jabbah)는 남녀 모두 평상시에 착용하는 의복으로(Jeong, 2011), <Fig. 1>처럼 발목길이의 긴 원피스 위에 앞자락 폭이 넓으며 길이가 종아리 아래까지 내려오는 카프탄(kaftan)형의 겉옷이다. <Fig. 2>와 같이 팔레스타인(Palestine)에서 착용하는 흑색(黑色) 바탕의 카프탄형 겉옷에 모자이크문양이 장식되어 있는 중동지역 여성 의복의 예를 볼 수 있다. 이밖에 성지순례 시 착용하는 이호람(Ihram)은 <Fig. 3>처럼 봉제선이 없는 백색(白色)의 드레이퍼리형 의복이다.

<Fig. 1>

Jabbah Specialty Materials Dictionary(Jeong, 1997, p. 1058)

<Fig. 2>

Women’s Clothing of the Palestine Historic World Costume(Patricia, 2009, p. 61)

<Fig. 3>

Ihram Historic World Costume(Patricia, 2009, p. 53)

이슬람교 종교의 쓰개는 형태에 따라 <Fig. 4>, <Fig. 5>와 같은 의복형의 차도르(Chador), 하이크(Haik)가 있고, <Fig. 6>, <Fig. 7>과 같은 드레이퍼리형의 히잡(Hijab), 니캅(Niqab)이 있으며, <Fig. 8>과 같은 혼합형의 부르카(Burqa)가 있다(Seo, 2013; Kim, Kim, & Han, 2012). 의복형 쓰개는 얼굴을 제외한 전신을 모두 감싸는 구성이고, 드레이퍼리형 쓰개는 얼굴 혹은 눈만 가리는 어깨 길이의 구성이다. 혼합형 쓰개는 원통형 쓰개에 긴 베일이 연결되어 있고, 얼굴을 드러내지 않고 망사로 눈을 가리는 폐쇄적인 형태이다. 또한 이슬람교 종교 요대는 <Fig. 1>에 제시된 것처럼 줄무늬가 장식된 수평형의 커머번드(cummerbund)로 의복형태를 고정하고 있다. 이슬람교 종교 신발의 경우, <Fig. 9>처럼 신목이 올라간 덧신 장화형으로 추위를 막을 수 있도록 제작되었는데, 신발 겉에 굽이 달려 있는 투혜(套鞋)를 덧신으로 신고 있다. 이 외에 <Fig. 1>의 신목이 없는 신발은 앞코가 올라간 형태에 바닥이 구부러져 있는 형태이다.

<Fig. 4>

Chador(wikipedia, n.d.-a)

<Fig. 5>

Haik Specialty Materials Dictionary(Jeong, 1997, p. 1488)

<Fig. 6>

Hijab(naver, n.d.)

<Fig. 7>

Niqab(news, n.d.)

<Fig. 8>

Burqa(wikipedia, n.d.-b)

<Fig. 9>

Shoes of the Samarkand Historic World Costume(Patricia, 2009, p. 149)

이러한 이슬람교 종교 복식의 색채는 주로 흑색, 백색, 녹색(綠色), 청색(青色)이다(Lee, 1986). 문양의 경우, 아라베스크(arabesque)와 수선화, 로터스(lotus), 팔메트(palmette), 로제트(rosette) 등의 꽃문양, 아칸서스(acanthus) 등의 나뭇잎문양을 포함한 식물문, 팔각형, 별, 지그재그, 모자이크 문양 등의 기하문, 아랍 문자문, 추상문이 장식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Kim, 2004; Jin, 2015).

이상과 같은 이슬람교 종교 복식의 조형적 특성을 정리하면 <Table 1>과 같다.

Islamic Religious Clothing’s Formative Characteristics


Ⅲ. 중국 서북지역 소수민족 여성 복식의 조형성

본 장에서는 중국 서북지역 4개 소수민족의 대표적인 여성 의복과 쓰개, 요대, 신발 유형을 각 30점씩, 총 420점을 선정하여 형태, 색채, 문양의 관점에서 조형성을 분석하였다. 의복의 분류기준은 원피스형과 상ㆍ하의형으로 분류하였고(Cho, & Kim, 1992), 쓰개는 착용 시 형태를 기준으로 원통형, 뿔형, 드레이퍼리형, 혼합형으로 분류하였다(Hong, 1986; Kim, 2001; Kang & Cho, 2015). 요대의 형태는 허리선에서 아래로 늘어지지 않거나 요대의 너비와 길이의 비율로 보았을 때 1:3 이하인 것을 수평형으로 규정하였고, 요대의 너비와 길이의 비율로 보아 1:3 이상인 것을 수직형으로 분류하였으며, 에이프런형과 수직형, 수평형을 포함하는 것을 혼합형으로 분류하였다(Xu & Bae, 2016). 신발의 형태는 신목이 없는 일반형, 신목이 올라간 장화형으로 분류하였다(Xu & Bae, 2015). 이 중에 장화형은 덧신 유무에 따라 장화형과 덧신 장화형으로 분류하였다. 그 밖에 의복과 장신구의 색채 분류기준은 전체 면적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주요색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여기에 유사한 비율로 여러 색채가 섞여 있는 경우는 다색(멀티)으로 분류하였다. 문양은 무문과 유문으로 구분하고, 유문은 단문(單紋)인 식물문, 기하문, 동물문, 추상문, 문자문과 복합문으로 분류하였다(Jin, 2009).

1. 후이족

1) 의복

후이족 여성의 의복은 원피스형 18점(60.0%)과 상ㆍ하의형 12점(40.0%)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났다. 이 중 원피스형은 길이가 긴 원피스 위에 겉옷을 겹쳐 착용한 형태가 5점(16.7%)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여러 벌을 겹쳐 착용하는 이슬람교 복식의 레이어드 구성과 형태적으로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원피스형 의복은 <Fig. 10>, <Fig. 11>과 같고, 상ㆍ하의형 의복은 <Fig. 12>와 같다. <Fig. 10>은 길이가 긴 녹색 원피스 위에 진녹색 조끼를 덧입는 구성이며, 조끼의 밑단에 중국인이 선호하는 모란문양이 자수 장식되어 있다. <Fig. 11>은 길이가 무릎 아래까지 내려오는 원피스인데, 이러한 흑색의 원피스는 신체를 가리고 화려한 장식이 없어서 정숙한 복식의 이미지를 나타낸다. <Fig. 12>는 대칭 여밈으로 되어 있는 황색(黃色) 상의와 바지로 구성된 상ㆍ하의형이며, 상의의 옷깃, 가슴, 소맷부리에 이슬람교 종교 복식에 나타난 아랍 문자문양이 자수 장식되어 있다.

<Fig. 10>

One-piece dress of the Hui Xinjiang Uighur Region Museum(Photography by Researcher)

<Fig. 11>

One-piece dress of the Hui(china, n.d.)

<Fig. 12>

Two-pieces of the Hui(blog, n.d.-a)

후이족 의복의 색채는 백색 8점(26.7%), 녹색계열 6점(20.0%), 흑색 5점(16.7%), 청색계열 4점(13.3%), 적색계열 4점(13.3%), 황색계열 2점(6.7%), 자색계열 1점(3.3%) 순으로 나타났다. 문양은 식물문(꽃문양) 19점(63.3%), 무문 6점(20.0%), 기하문(줄무늬, 지그재그문양), 4점(13.3%), 문자문(아랍 문양문양) 1점(3.3%)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식물문 19점(63.3%) 중 이슬람교의 꽃문양인 로터스와 수선화, 로제트문양이 11점(36.7%), 중국인이 선호하는 모란과 국화문양이 8점(26.7%)로 나타났다. 이슬람교 종교 복식에 주로 사용된 백색, 흑색, 녹색, 청색은 후이족 여성의 의복에 76.7%의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이슬람교 종교 복식에 나타난 수선화, 로터스, 줄무늬, 아랍 문자문양이 53.3%로 후이족 여성 의복에 장식된 것으로 나타났다.

2) 장신구

후이족 여성의 장신구에서 쓰개는 드레이퍼리형 22점(73.3%)과 혼합형 8점(26.7%) 두 가지로 나타났다. <Fig. 13>에 제시된 드레이퍼리형 쓰개는 문양이 없는 주황색 직물로 얼굴을 제외한 머리, 귀, 턱, 목을 가리는 어깨길이의 구성이고, 이는 앞서 제시한 <Fig. 6>의 폐쇄적인 이슬람교 히잡과 유사한 쓰개 형태이다. 혼합형 쓰개는 <Fig. 14>에 제시된 것처럼 원통 형태의 모자 위에 백색 베일을 길게 늘어뜨린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원통형 모자에 장식된 별문양과 달문양은 이슬람교에서 길상과 생명, 희망을 상징한다(The patterns of the symbolic meaning of moon and stars, 2014). 이처럼 이슬람교 종교 복식에 나타난 쓰개의 형태는 주로 드레이퍼리형, 혼합형, 의복형이므로 후이족 쓰개의 형태가 드레이퍼리형, 혼합형으로 나타난 점을 볼 때 매우 높은 형태적 유사성을 보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Fig. 13>

Drapery-type Headdress of the Hui The Museum of Ethnic Cultures(Photography by Researcher)

<Fig. 14>

Combined-type Headdress of the Hui(chinafeature, n.d.)

후이족 여성 민속복식은 요대 착용이 없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다. 후이족 여성의 신발은 30점 모두 일반형으로 나타났다. <Fig. 15>는 녹색 바탕에 로터스문양이 비대칭으로 장식되어 이슬람교 종교 복식에 장식된 것과 유사한 문양을 보여준다.

<Fig. 15>

Normal Shoes of the Hui(sucai.redocn, n.d.)

이상에서 장신구의 색채는 흑색 17점(28.3%), 백색 12점(20.0%), 녹색계열 8점(13.3%), 적색계열 8점(13.3%), 청색계열 6점(10.0%), 자색계열 5점(8.3%), 황색계열 4점(6.7%) 순서로 나타났다. 문양은 무문 28점(46.7%), 식물문 25점(41.7%), 기하문 4점(6.7%), 복합문 2점(3.3%), 동물문 1점(1.7%)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식물문 25점(41.7%) 중 이슬람교의 로제트와 로터스문양이 20점(33.3%), 중국인이 선호하는 모란문양이 5점(8.3%)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신구의 색채는 이슬람교 종교 복식에 사용된 색채가 71.6%이고, 문양은 이슬람교 종교 복식의 별, 달, 로제트, 로터스문양이 43.3%의 빈도로 장신구에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2. 웨이우얼족

1) 의복

웨이우얼족 여성의 의복은 30점 모두 원피스형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 원피스 위에 겉옷을 겹쳐 착용하는 구성은 21점(70.0%)인데, 이는 긴 원피스 위에 겉옷을 덧입는 이슬람교 의복의 레이어드 구성과 형태적 유사성을 보인다. 여기에 원피스의 길이에 따라 안에 겹쳐 착용한 바지가 보이지 않는 경우도 있다. <Fig. 16>은 적색계열의 단순한 형태의 원피스 위에 로제트와 로터스문양의 모티브로 아플리케 장식된 코트를 덧입는 사례로, 이슬람교 종교 복식과 유사한 의복 구조를 보이고 있다. <Fig. 17>은 이슬람교 종교 복식에 나타난 백색, 녹색, 적색, 청색, 흑색이 사용된 이카트(ikat, 絣) 직물로 제작된 원피스이다. 이러한 종교적 색채 사용은 웨이우얼족의 의복뿐만 아니라 장신구에도 다수 나타났다. 이슬람교에서 로터스문양은 비옥과 재생을, 로제트문양은 태양을 상징한다(Jeong, 2011).

<Fig. 16>

One-piece dress of Weiwuer Xinjiang Uygur Museum(Photography by Researcher)

<Fig. 17>

One-piece dress of Weiwuer Capital Museum(Photography by Researcher)

본 연구에서 다룬 웨이우얼족 여성 의복의 색채는 적색계열 10점(33.3%), 다색(멀티) 6점(20.0%), 자색계열 4점(13.3%), 황색계열 4점(13.3%), 녹색계열 3점(10.0%), 청색계열 2점(6.7%), 백색 1점(3.3%) 순으로 나타났다. 문양에서 식물문(꽃문양, 나뭇잎문양, 당초문양) 19점(63.3%), 추상문 7점(23.4%), 무문 4점(13.3%)으로 나타났다. 특히 식물문 19점(63.3%) 중 이슬람교의 로제트와 로터스, 아칸서스문양이 13점(43.3%), 중국인이 선호하는 매화와 모란, 당초문양이 6점(20.0%)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웨이우얼족 여성의 의복에는 이슬람교 종교 복식에 사용된 색채가 20.0%, 문양이 66.7%로, 색채 보다는 문양에서 높은 유사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장신구

웨이우얼족 여성의 장신구에서 쓰개는 사각뿔형 13점(43.3%), 드레이퍼리형 8점(26.7%), 혼합형 8점(26.7%), 원통형 1점(3.3%) 순으로 나타났다. <Fig. 18>의 사각뿔형 쓰개는 백색 바탕에 이슬람교 종교 복식에 사용된 추상문양이 자수 장식되어 종교성과 더불어 장식성을 강조한 쓰개의 예를 보여주고 있다. <Fig. 19>는 눈썹, 눈, 코를 제외한 입, 귀, 턱, 목까지 가리는 백색 긴 베일 위에 장식적인 흑색 원뿔형 쓰개를 착용한 혼합형 쓰개의 예인데, 여기에 드리워진 백색 베일은 이슬람교 히잡의 형태와 유사하다. 이 쓰개는 폐쇄적인 구조와 더불어 장식이 배제되어 정숙성을 잘 나타내고 있다. 이와 유사한 형태로 <Fig. 20>의 쓰개는 눈을 제외한 이마, 코, 입, 턱, 귀까지 모두 감싸는 드레이퍼리형으로, 이는 앞서 제시한 니캅과 같은 쓰개의 형태를 보이고 있다. <Fig. 21>의 원통형 쓰개는 모피가 가장자리에 장식된 쓰개의 사례를 보여준다.

<Fig. 18>

Four Pyramid-type Headdress of Weiwuer Uighur Folk Culture(Xin, 2006, p. 17)

<Fig. 19>

Combined-type Headdress of Weiwuer Corpus of Chinese Fabric, Embroidery and Finery 5(Chang, 2005, p. 261)

<Fig. 20>

Drapery-type Headdress of Weiwuer(blog, n.d.-b)

<Fig. 21>

Cylinder-type Headdress of Weiwuer Corpus of Chinese Fabric, Embroidery and Finery 5(Chang, 2005, p. 162)

웨이우얼족 여성의 요대는 수평형 22점(73.3%), 에이프런형 8점(26.7%)으로 나타났고, 주로 폭넓은 의복을 여미는 기능적인 목적으로 착용된 것으로 보인다. <Fig. 22>는 앞서의 의복과 마찬가지로 백색, 흑색, 녹색, 적색이 사용된 이카트 견직물로 제작된 수평형의 예인데, 이는 앞서 다룬 <Fig. 1>의 이슬람교 종교 복식에 착용된 커머번드의 구조가 유사하다. 에이프런형 요대는 <Fig. 23>처럼 로제트문양이 장식되어 이슬람교 종교 복식의 문양과 유사한 점을 볼 수 있다.

<Fig. 22>

Horizontal-type Waistband of Weiwuer Uighur Folk Culture(Xin, 2006, p. 24)

<Fig. 23>

Apron-type Waistband of Weiwuer(Gd4.alicdn, n.d.)

웨이우얼족 여성의 신발은 30점 모두 장화형으로 나타났는데, 추운 기후적 특성으로 방한이 가장 크게 고려된 결과로 보인다. 대표적인 것은 <Fig. 24>에 제시된 것과 같은 굽이 있는 장화형태로, 녹색 바탕에 당초문양과 이슬람교 종교 복식에 사용된 팔각형, 다각형 모티브로 아플리케 장식된 예를 볼 수 있다. 또한 <Fig. 25>의 덧신 장화형 신발은 장화 윗부분에 로터스문양 장식이 있으며, 신발 위에 덧신는 굽이 달려 있는 구성으로, 앞서 다룬 사마르칸트의 장화형 신발과 같은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이슬람교 종교 복식에 착용된 장화형 신발은 굽이 있는 덧신 장화형이고, 이는 53.3%의 빈도로 나타난 덧신이 겹쳐 착용된 웨이우얼족 장화형 신발과 형태적 유사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Fig. 24>

Boots of Weiwuer Capital Museum(Photography by Researcher)

<Fig. 25>

Galosh Boots of Weiwuer Art of Xinjiang Minority Costume(Xu, 2015, p. 25)

장신구의 색채는 흑색 17점(18.9%), 적색계열 16점(17.8%), 다색 15(16.7%), 백색 13점(14.4%), 황색계열 9점(10.0%), 갈색계열 8점(8.9%), 녹색계열 7점(7.8%), 자색계열 4점(4.4%), 청색계열 1점(1.1%) 순으로 나타났다. 문양에서, 식물문(꽃문양, 당초문양) 33점(36.7%), 무문 30점(33.3%), 기하문(팔각형문양, 지그재그문양, 다각형문양) 17점(18.9%), 추상문 5점(5.6%), 복합문(식물문+기하문) 3점(3.3%), 동물문(산양뿔문양) 2점(2.2%)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식물문 33점(36.7%) 중 이슬람교의 로제트와 로터스, 아칸서스문양이 20점(22.2%), 중국인이 선호하는 모란과 당초문양이 13점(14.4%)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웨이우얼족 장신구에는 이슬람교 종교 복식의 색채가 42.2%, 문양은 로터스, 로제트, 아칸서스, 팔각형 등의 문양을 합하여 50.0%의 빈도로 나타났다.

3. 하자크족

1) 의복

하자크족 여성의 의복은 30점 모두 폭이 넓고 길이가 긴 원피스 위에 겉옷이 겹쳐 착용된 형태이고, 이는 이슬람교 종교 복식의 레이어드 구성과 유사성을 보인다. <Fig. 26>은 옷깃과 여밈이 없는 백색 원피스 위에 폭이 넓고 길이가 긴 녹색 카프탄형 코트를 덧입는 구성으로 신체를 드러내지 않은 폐쇄적 특징을 볼 수 있는데, 이는 <Fig. 1>에 제시된 이슬람교 종교 복식과 같은 의복 구조를 보이고 있다. <Fig. 27>은 이의 세부 사진으로, 코트의 가장자리에 장식된 팔메트문양의 사용에서 이슬람교 종교 복식에 장식된 문양과 유사한 것을 찾아볼 수 있다. 이와 유사한 구성은 <Fig. 28>의 의복에서도 볼 수 있는데, <Fig. 29>는 이의 세부 사진으로, 백색 원피스 밑단에 로터스문양이 자수 장식되어 있으며, 자색 긴 셔츠에 직선과 곡선으로 교차된 적색 줄무늬 장식이 이슬람교 종교복식에 사용된 문양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Fig. 26>

One-piece dress of the Kazakh Xinjiang Uighur Region Museum(Photography by Researcher)

<Fig. 27>

Detail One-piece dress of the Kazakh Xinjiang Uighur Region Museum(Photography by Researcher)

<Fig. 28>

One-piece dress of the Kazakh Xinjiang Uighur Region Museum(Photography by Researcher)

<Fig. 29>

Detail One-piece dress of the Kazakh Xinjiang Uighur Region Museum(Photography by Researcher)

의복의 색채는 적색계열 15점(50.0%), 백색 5점(16.7%), 녹색계열 4점(13.3%), 황색계열 3점(10.0%), 청색계열 1점(3.3%), 흑색 1점(3.3%), 자색계열 1점(3.3%) 순으로 나타났다. 문양은 식물문(꽃문양, 나뭇잎문양) 19점(63.3%), 동물문(사슴뿔, 산양뿔문양) 5점(16.7%), 복합문(식물문+기하문) 3점(10.0%), 무문 3점(10.0%) 순서로 나타났다. 특히 식물문 19점(63.3%) 중 중국인이 선호하는 모란과 매화, 당초문양이 13점(43.3%), 이슬람교의 로터스, 수선화, 팔메트, 아칸서스문양이 8점(20.0%)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하자크족 여성 의복 색채에서 이슬람교 종교 복식의 색채가 36.6%, 문양은 30.0%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2) 장신구

하자크족 여성의 장신구에서 쓰개는 혼합형 12점(40.0%), 원통형 8점(26.6%), 드레이퍼리형 5점(16.7%), 원뿔형 5점(16.7%) 순서로 나타났다. 먼저 원뿔형과 드레이퍼리형의 혼합형 쓰개는 7점(25.9%)으로 나타났고, <Fig. 30>과 같이 백색 원뿔형 쓰개 위에 그 위에 같은 색의 긴 베일을 아래로 늘어뜨린 구성이다. 원통형과 드레이퍼리형의 혼합형인 쓰개는 4점(14.8%)으로, <Fig. 31>처럼 얼굴을 제외한 머리, 귀, 턱, 목, 어깨까지 가리는 폐쇄적인 드레이퍼리형 쓰개에 원통형 쓰개가 연결되어 있는 형태이다. 이 쓰개는 백색 바탕에 줄무늬와 격자문양이 자수 장식되어 있고, 앞서 다룬 <Fig. 8>의 부르카와 얼굴을 가리는 망사의 유무만 다를 뿐 구조는 유사하다. <Fig. 32>는 한 장의 천을 머리에 두르고 그 위에 다른 한 장의 천을 겹쳐 착용한 이중 드레이퍼리형 쓰개로, 이슬람교 종교 복식에 사용된 로터스문양이 자수 장식되어 있는 예를 보여준다. <Fig. 33>은 의 쓰개는 적색으로 염색된 짐승의 가죽으로 제작된 원통형 쓰개인데, 모자에 깃털 장식 및 당초문양 아플리케가 장식되어 있다. 또한 <Fig. 34>는 청색의 가죽으로 제작된 원뿔형의 예인데, 쓰개의 정수리에 풍성한 깃털이 장식되어 있다.

<Fig. 30>

Combined-type Headdress of the Kazakh Kazakh Folk Culture(Xin, 2006, p. 88)

<Fig. 31>

Combined-type Headdress of the Kazakh Corpus of Chinese Fabric, Embroidery 5(Chang, 2005, p. 222)

<Fig. 32>

Drapery-type Headdress of the Kazakh Chinese National Costume Culture(Yang, 1991, p. 102)

<Fig. 33>

Cylinder-type Headdress of the Kazakh Chinese Minority Costume(Zhong & Fan, 2006, p. 70)

<Fig. 34>

Conical-type Headdress of the Kazakh Kazakh Folk Culture(Xin, 2006, p. 163)

하자크족 여성의 요대는 수평형 28점(93.3%)과 혼합형 2점(6.7%)으로 나타났다. <Fig. 35>는 당초문양이 장식된 수평형 요대의 예로 <Fig. 1>의 커머번드와 유사한 형태이다. 수직형과 수평형의 혼합형인 요대는 <Fig. 36>처럼 흑색 수평 부분에 당초문양이 장식되어 있고 그 아래에 구슬과 시퀀장식이 사용되었다.

<Fig. 35>

Horizontal-type Waistband of the Kazakh Corpus of Chinese Fabric, Embroidery 5(Chang, 2005, p. 227)

<Fig. 36>

Combined-type Waistband of the Kazakh Chinese Minority Costume(Zhong & Fan, 2006, p. 70)

하자크족 여성의 신발은 웨이우얼족과 마찬가지로 30점 모두 장화형으로 나타났다. <Fig. 37>의 장화형 신발은 앞코가 올라가 있고 굽이 달려 있으며, 양쪽에 하자크족이 선호하는 독수리문양과 이슬람교의 로터스문양이 장식되어 있다.

<Fig. 37>

Boots of the Kazakh Art of Xinjiang Minority Costume(Xu, 2015, p. 46)

이상에서 장신구의 색채는 적색계열 37점(41.1%), 백색 22점(24.4%), 흑색 20점(22.2%), 청색계열 7점(7.8%), 갈색계열 2점(2.2%), 녹색계열과 황색계열 각 1점(1.1%) 순으로 나타났다. 문양에서, 식물문(꽃문양, 당초문양) 41점(45.6%), 무문 22점(24.4%), 동물문(산양뿔문양, 사슴뿔문양, 부엉이문양) 16점(17.8%), 복합문(식물문+동물문, 기하문+동물문) 7점(7.8%), 기하문(격자문양, 줄무늬, 지그재그문양) 3점(3.3%), 추상문 1점(1.1%) 순서로 나타났다. 특히 식물문 41점(45.6%) 중 중국인이 선호하는 모란과 당초문양이 27점(30.0%), 이슬람교의 로터스와 로제트문양이 14점(15.6%)이 있다. 복합문에는 총 7점인데, 이 복합문에는 사슴뿔문양과 마름모문양 혹은 산양뿔문양과 당초문양 혹은 로터스문양과 부엉이문양, 독수리문양이 복합적으로 나타났다. 하자크족 장신구의 색채와 문양에는 이슬람교 종교 복식의 색채와 문양이 55.5%와 23.3%의 빈도로 나타나서 문양 보다는 색채에서 높은 유사성을 보이는 것으로 파악된다.

4. 둥샹족

1) 의복

둥샹족 여성의 의복은 상ㆍ하의형 19점(63.3%)과 원피스형 11점(36.7%)으로 나타났다. 특히 원피스형 11점 모두 긴 원피스 위에 겉옷을 겹쳐 착용한 구조이고, 이는 앞서 제시한 이슬람교 종교 복식의 레이어드 구성과 형태적으로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Fig. 38>은 원피스형 의복의 예로, 황색 원피스 위에 비대칭 여밈으로 되어 있는 흑색 긴 조끼를 겹쳐 착용한 구성인데, 추상문양이 장식되어 이슬람교 종교 복식에 나타난 형태 및 문양과 유사한 점을 보여준다. <Fig. 39>는 상ㆍ하의형 의복의 사례로 상의와 일자형 바지 위에 조끼가 겹쳐 착용된 구성이고, 적색계열 상의에 중국인이 선호하는 국화문양과 이슬람교의 수선화문양이 장식된 조끼는 녹색 바지와 강한 보색대비를 이룬다.

<Fig. 38>

One-pieces of the Dongxiang Chinese Minority Clothes and Ornaments(Wei, 2013, p. 114)

<Fig. 39>

Two-pieces of the Dongxiang The Museum of Ethnic Cultures(Photography by Researcher)

의복의 색채는 적색계열 16점(53.3%), 흑색 7점(23.3%), 녹색계열 3점(10.0%), 백색 2점(6.7%), 갈색계열 1점(3.3%), 자색계열 1점(3.3%) 순서로 나타났다. 문양에서, 식물문(꽃문양, 당초문양) 22점(73.3%), 복합문(식물문+동물문) 3점(10.0%), 추상문 3점(10.0%), 기하문(지그재그문양) 1점(3.3%), 무문 1점(3.3%) 순서로 나타났다. 특히 식물문 22점(73.3%) 중 중국인이 선호하는 모란, 국화와 당초문양이 15점(50.0%), 이슬람교의 수선화문양이 7점(23.3%)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둥샹족 의복에는 이슬람교 종교 복식의 색채와 문양이 40.0%와 36.6%로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장신구

둥샹족 여성의 장신구에서 쓰개는 드레이퍼리형 19점(63.3%)과 원통형 11점(36.7%)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났다. 먼저 <Fig. 40>의 제시된 녹색의 드레이퍼리형 쓰개는 얼굴을 제외한 두부를 가리는 폐쇄적인 형태인데, 이는 앞서 다룬 히잡과 유사한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쓰개에 사용된 녹색은 이슬람교에서 생명, 희망, 평화의 상징으로, 둥샹족 여성의 복식에서 종교적 색채사용을 보여준다. 또한 <Fig. 41>에 제시된 녹색의 원통형 쓰개는 이슬람교 종교 복식에 사용된 로제트문양이 장식된 예를 보여주고 있다.

<Fig. 40>

Drapery-type Headdress of the Dongxiang China National Hair Ornament(Bian, 1999, p. 66)

<Fig. 41>

Cylinder-type Headdress of the Dongxiang(Wenhuagansu, n.d.)

둥샹족 여성의 민속복식은 요대의 착용이 없어서 본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다.

둥샹족 여성의 신발은 후이족 마찬가지로 30점 모두 일반형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인 것은 <Fig. 42>에 제시된 것과 같은 앞코가 뾰족하고 신목이 없는 일반형으로, 청색계열 바탕에 흑색 선으로 가장자리가 처리되었고, 양쪽에 적색 로제트문양의 자수 장식을 보여준다.

<Fig. 42>

Normal Shoes of the Dongxiang Study and Appreciation of Chinese Shoes in the Past Dynasties(Luo, 2007, p. 164)

이상에서 장신구의 색채는 적색계열 18점(30.0%), 흑색 18점(30.0%), 녹색계열 8점(13.3%), 청색계열 7점(11.7%), 백색 5점(8.3%), 자색계열 3점(5.0%), 황색계열 1점(1.7%) 순서로 나타났다. 문양에서, 무문 45점(75.0%), 식물문 13점(21.7%), 복합문(식물문+동물문) 2점(3.3%) 순서로 나타났다. 특히 식물문 13점(21.7%) 중 이슬람교의 로제트문양이 7점(11.7%), 중국인이 선호하는 모란문양이 3점(5.0%)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둥샹족 장신구에 사용된 색채에는 이슬람교 종교 복식의 색채가 63.3%, 문양은 10.0%로 나타났다.


Ⅵ. 이슬람교 종교 복식과 중국 서북지역 소수민족 여성 복식의 조형적 유사성

본 장에서는 앞서 다룬 이슬람교 종교 복식과 중국 서북지역 소수민족 여성 의복 및 장신구를 중심으로 양자 간의 조형적 유사성을 종교 복식의 조형적 특징과 더불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중국 서북지역에 거주하는 이슬람교를 신봉하는 소수민족인 후이족, 웨이우얼족, 하자크족, 둥샹족 여성의 복식은 주로 형태, 색채, 문양에서 그들이 신봉하는 종교 복식의 특징을 높게 반영하고 있었다. 이슬람교 종교 복식의 가장 두드러진 형태적 특징은 신체를 드러내지 않으며 몸을 가리는 폐쇄성이다. 이는 열악한 자연환경으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것과 더불어 그들의 경전인 코란에 나오는 신체노출을 피하는 이슬람교 종교문화 및 폐쇄적인 사회 풍조의 근저에 깔려있는 폐쇄성에 대한 규율 때문으로 이해된다. 특히 여성의 경우, 정숙한 옷차림이 남성보다 더욱 중요시되었으므로 일반 복식에도 이러한 경향이 나타났다. 이 외에 이슬람교의 색채와 문양은 독특한 종교적 상징이 내포되어 있는데, 이 점 역시 복식과의 높은 조형적 유사성을 보인다.

1. 형태적 폐쇄성

중국 서북지역 여성 의복의 형태는 전체적으로 원피스 위에 겉옷을 겹쳐 착용하는 형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외에 원피스만 착용하는 형태, 마지막으로 상ㆍ하의형 의복의 순으로 나타났다. <Fig. 43>에서 보듯이 원피스 위에 겉옷(조끼, 코트, 재킷, 셔츠)을 착용한 경우가 55.8%로 가장 높고, 그 다음은 원피스만 착용한 경우 18.3%, 상의와 바지로 구성된 경우 13.3%, 상의와 바지 위에 겉옷(조끼)을 겹쳐 착용한 경우 12.5% 순으로 나타났다.

<Fig. 43>

The Form of Chinese Northern Area Minority Women’s Garment (N:120)

이슬람교를 믿는 이 지역 소수민족 여성 의복의 형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웨이우얼족, 하자크족 여성은 원피스 위에 겉옷을 겹쳐 착용한 형태가 상당히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이는 폐쇄적인 형태의 의복으로 몸을 가림으로써 신체를 가리는 이슬람교의 종교적 특징과 유사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특히 긴 코트는 폭이 넓고 길이가 무릎 아래까지 내려오는 형태로, 이슬람교 쥬바의 형태적 특징인 폐쇄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여성의 쓰개는 <Fig. 44>에서 볼 수 있듯이 전체적으로 드레이퍼리형 45.0%, 혼합형 23.3%, 원통형 16.7%, 사각뿔형 10.8%, 원뿔형 4.2% 순으로 나타났다. 혼합형 중에는 드레이퍼리형이 포함되므로 드레이퍼리 형태의 쓰개를 착용한 경우는 총 68.3%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의 구체적인 형태는 이슬람교 종교 복식의 특징인 두부를 가리는 폐쇄적인 형태와 유사성이 매우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 44>

The Form of Chinese Northern Area Minority Women’s Headdress (N:120)

먼저 웨이우얼족과 하자크족 여성의 쓰개는 눈을 제외한 이마, 코, 입, 턱, 귀까지 모두 가리는 드레이퍼리형과 혼합형이 총 53.4%와 56.7%, 후이족과 둥샹족 여성의 드레이퍼리형 쓰개는 73.3%와 63.3%의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이는 앞서 다룬 히잡, 니캅의 형태와 매우 유사하므로 이슬람교 종교 쓰개와 형태적인 측면에서 유사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여성 쓰개는 이슬람교 종교 쓰개의 형태적 특징인 폐쇄성이 매우 강하게 나타난 것을 볼 수 있다.

중국 서북지역 소수민족 중 요대를 착용하지 않은 민족을 제외한 웨이우얼족, 하자크족 여성 요대는 <Fig. 45>에서 보듯이 복식의 폐쇄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된 수평형 요대가 83.3%로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이러한 수평형 요대는 이슬람교 종교 의복에 착용된 수평형 요대와 유사한 형태로, 방한을 위한 기능적인 용도와 더불어 이슬람교 종교 복식의 요대와 형태적인 측면에서 높은 유사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Fig. 45>

The Form of Chinese Northern Area Minority Women’s Waistband (N:60)

또한 여성의 신발은 <Fig. 46>에 제시된 것처럼 웨이우얼족의 장화형 신발은 덧신이 없는 것과 덧신이 있는 장화형 2가지로 나타났다. 이 중 53.3%는 덧신을 겹쳐서 신는 장화형으로, 덧신을 신는 폐쇄적인 이슬람교의 장화형 신발의 구성과 매우 유사하다. 신체 보온과 더불어 우천 시 오염을 방지하는 용도로 착용되는 굽이 있는 덧신의 착용은 기후적ㆍ지리적 특성뿐만 아니라 이슬람교에서 중요시하는 청결함에서도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Xu, 2015).

<Fig. 46>

The Form of Chinese Northern Area Minority Women’s Shoes (N:120)

2. 색채와 문양의 상징성

앞서 언급하였듯이 이슬람교 종교 복식에 나타난 색채는 주로 흑색, 백색, 녹색, 청색이다. 이러한 색들은 중국 서북지역 소수민족 여성 복식에도 찾아볼 수 있는데, <Fig. 47>에서 볼 수 있듯이 흑색과 백색, 녹색계열, 청색계열이 후이족 여성의 의복과 장신구, 하자크족 여성의 장신구와 둥샹족 여성의 의복에서 모두 높은 비중으로 나타났다.

<Fig. 47>

The Color of Chinese Northern Area Minority Women’s Clothing(Garments N:120, Accessories N:300)

<Fig. 47>을 보면 순결을 상징하는 백색은 13.3%와 17.3%, 신중함을 상징하는 흑색은 10.8%와 24.0%로 나타났는데, 이는 예배 혹은 장례식에 참석할 때 사용되는 의복의 색채로(The Application and Research of Color in Islam, 2018) 종교적인 정숙성을 상징적으로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녹색계열이 10.8%와 8.0%로 나타났는데, 이는 이슬람교 종교 복식에 내재된 생명의 상징인 녹색의 사용과 유사성이 있다고 보이며, 더불어 유목생활을 즐기는 서북지역에서 녹지(綠地)는 생명을 상징하기 때문에 유목민족들이 주로 선호하는 색채로 사용된 것으로 해석된다(Lee, 2012). 다음으로 청색계열이 5.8%와 7.0%로 나타났는데, 청색은 이슬람교에서 지혜의 상징으로 이슬람교 사원에도 다수 사용되어 신비한 종교적인 분위기를 표현한다(Zuo, 2004). 이러한 색들은 후이족 여성의 의복과 장신구에 76.7%와 71.6%, 하자크족 여성 장신구에 55.5%, 둥샹족 여성 의복에 63.3%의 빈도로 나타난 것을 보아 이들이 이슬람교 종교 복식의 색채상징과 높은 유사성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반면에 이슬람교 종교 복식의 색채상징과 관련이 없는 적색과 황색계열을 사용한 사례도 다수 나타났는데, 이는 중국인들이 선호하는 복색으로(Jeong, 2013) 전통 색채감정이 반영된 사례로 파악된다.

또한 이슬람교 종교 복식에 사용된 문양은 수선화, 로터스, 로제트 등의 꽃문양과 아칸서스문양을 포함한 식물문, 줄무늬, 지그재그, 별, 달, 팔각형 등의 기하문, (아랍)문자문, 추상문으로 나타났다. 이들 문양의 사용은 앞서 언급하였듯이 이슬람교의 경전인 하디스에 나온 우상숭배금지의 영향으로, 신과 사람을 형상으로 표현하는 아이콘(icon) 대신 꽃, 나뭇잎, 기하도형, 추상적인 형태로 표현한 것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문양은 중국 서북지역 소수민족 여성 복식에도 다수 나타났는데, <Fig. 48>에 제시된 것처럼 식물문과 기하문, 복합문이 후이족과 웨이우얼족과 둥샹족 여성의 의복, 하자크족 여성의 장신구에서는 식물문, 기하문, 복합문 등 다양한 문양이 비교적 고른 비중으로 나타났다.

<Fig. 48>

The Pattern of Chinese Northern Area Minority Women’s Clothing(Garments N:120, Accessories N:300)

여성 복식의 문양을 구체적으로 보면, 후이족 여성의 의복에 식물문 중 꽃문양(로터스, 로제트, 수선화)과 문자문, 기하문, 추상문이 53.3%의 빈도로 나타났으며, 웨이우얼족 여성 의복과 장신구에 이슬람교의 상징 문양이 모두 50.0%의 빈도로 나타났다. 이렇듯 이 지역 소수민족 여성 복식에 사용된 문양이 이슬람교 종교 복식의 문양의 사용과 높은 유사성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이들 문양에 내포된 상징적 의미는 앞서 언급하였듯이 식물문인 로터스문양, 로제트문양은 재생과 태양, 기하문인 별문양, 달문양은 생명과 희망을 상징한다.

이 외에 이들 민족 여성 복식에 나타난 식물문 중 이슬람교의 꽃문양 이외에 모란, 매화, 국화, 당초문양을 사용한 사례도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러한 문양의 사용은 이슬람교와의 유사성 보다는 전통적으로 길상적인 의미를 가진 중국 특유의 문양을 선호하는 중국인의 정서에서 기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전체적으로 볼 때 후이족 여성의 의복과 장신구, 하자크족과 둥샹족 여성의 장신구는 상징적인 의미가 내포된 이슬람교 종교 복식과 유사한 색채 상징을 보이고 있었고, 후이족 여성의 의복 및 웨이우얼족 여성의 의복과 장신구에 사용된 문양은 이슬람교 종교 복식의 상징성과 높은 유사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이슬람교 종교 복식과 중국 서북지역 소수민족 여성 복식의 조형적 유사성을 <Table 2>에 정리하였다.

The Formative Relationship between Islamic Religious Clothing and Chinese Minority Women’s Clothing


Ⅴ. 결론

본 연구는 중국 서북지역 소수민족 중 이슬람교를 신봉하는 4개 민족의 대표적인 여성의 의복과 장신구의 형태, 색채, 문양에 나타난 종교 복식의 요소를 고찰하고, 이를 통한 이슬람교 종교 복식과 서북지역 소수민족 여성 복식의 조형적 유사성을 밝히고자 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이슬람교 종교 복식에 나타난 조형성을 살펴보면, 형태면에서 의복은 신체가 드러나지 않도록 길이가 길고 폭넓은 폐쇄형 원피스 위에 카프탄형 겉옷을 덧입는 레이어드 구성으로 나타났다. 장신구에서 쓰개의 경우, 이슬람교는 몸 혹은 두부를 감싸는 드레이퍼리형 쓰개가 대부분이었고, 요대는 주로 수평형으로 나타났으며, 신발은 덧신 장화형과 일반형으로 나타났다. 색채는 흑색, 백색, 녹색, 청색이 주로 이슬람교의 상징색으로 사용되었는데, 흑색과 백색은 정숙성과 순결, 녹색은 생명, 청색은 지혜를 상징하고 있었다. 또한 문양은 로터스와 로제트, 수선화 등의 꽃문양, 아칸서스 등의 나뭇잎문양을 포함한 식물문, 별, 달, 줄무늬 등의 기하문, 추상문, 아랍 문자문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로터스문양, 로제트문양은 재생과 태양, 별문양과 달문양은 생명과 희망을 상징하고 있었다.

이러한 이슬람교 종교 복식과 중국 서북지역 소수민족 여성 복식은 민족별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형태적 폐쇄성과 색채와 문양의 상징성에서 공통적인 조형적 유사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웨이우얼족과 하자크족 여성 의복은 여러벌을 덧입는 레이어드 형태의 의복 구성에서, 후이족, 웨이우얼족, 하자크족, 둥샹족 여성은 두부를 감싸는 드레이퍼리형의 쓰개에서 이슬람교 종교 복식의 형태적 폐쇄성과 높은 유사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웨이우얼족과 하자크족 여성 신발의 경우, 이슬람교 종교 의복에 착용된 덧신 장화형 신발과 형태적인 측면에서 폐쇄적인 특성과 높은 유사성을 보이고 있었다.

둘째, 색채 측면에서 후이족 여성의 의복과 장신구, 하자크족 여성의 의복, 둥샹족 여성의 장신구에 이슬람교 종교 복식의 상징색인 흑색, 백색, 녹색, 청색계열뿐만 아니라 중국인이 선호하는 적색과 황색계열의 사용 빈도도 높게 나타났다. 이는 이슬람교 종교 복식에 내재된 정숙성, 생명, 지혜 등의 색채상징뿐만 아니라 중국 전통색채의 선호경향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문양 측면에서 이슬람교의 식물문, 기하문, 아랍 문자문, 추상문이 후이족 여성의 의복과 웨이우얼족 여성 장신구에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이슬람교 종교 복식에 내재된 재생과 태양, 생명, 희망 등의 문양상징을 가진 이슬람교 종교 복식과 높은 유사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이슬람교를 신봉하는 중국 서북지역 소수민족 여성의 복식에는 신체노출을 금지하는 종교문화의 근저에 깔려있는 형태적 폐쇄성 및 생명, 정숙성, 지혜 등의 내적 의미를 담은 색채와 문양의 상징이 특징적으로 드러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여성 의복과 쓰개, 요대는 형태면에서 이슬람교 종교 복식의 폐쇄성과 높은 유사성을 보여주고 있었으며, 색채와 문양에서도 역시 이슬람교 종교 복식에 내재된 색과 문양이 반복되면서 정숙성, 생명, 지혜, 생명, 희망 등의 상징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러한 종교 복식과 중국 서북지역 소수민족 여성 복식의 조형적 유사성 분석은 종교적 관점에서 복식문화 형성의 배경을 이해하고 사라져가는 인류 문화유산을 보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앞으로 역사 속에서 동ㆍ서 문화의 교차로였던 서북지역 소수민족 여성 복식 이외의 중국 여타 소수민족 복식과 종교 복식과의 연관성을 다룸으로써 수천 년 동안 인류와 함께해 온 종교와 복식과의 관계를 고찰하여 사라져가는 소수민족 복식문화의 이해와 보존에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cknowledgments

본 논문은 박사학위 청구논문 중 일부임.

References

  • Blog, (n.d.-a), Retrieved from http://lxmlsp.blog.163.com/blog/static/242078201267101327702/.
  • Blog, (n.d.-b), Retrieved from http://laoqiezi1899932375.blog.163.com.
  • China, (n.d.), Retrieved from http://www.china.com.cn/aboutchina/zhuanti/hzfq/content_16507874_3.htm.
  • Chinafeature, (n.d.), Retrieved from http://www.chinafeature.net/shaoshuminzufushi/huizu.html.
  • Chinese northwestern, (2017, September, 6), Retrieved from https://baike.baidu.com/item/中国西北地区/870975?fr=aladdin.
  • Cho, H. S., & Kim, H. S., (1992), A study of Chinese ethnic minority costume(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18(-), p81-96.
  • Duan, M., (2004), Oriental gorgeous costumes, Bei Jing, China, The Ethnic Publishing House.
  • Gansu Province, (2017, October, 16), Retrieved from https://baike.baidu.com/item/甘肃/226159?fromtitle=甘肃省&fromid=684374&fr=aladdin.
  • Gd4.alicdn, (n.d.), Retrieved from https://gd4.alicdn.com/imgextra.
  • Han, S, H., & Cho, O. S., (1997), A study on the costumes of the minority peoples of West-North in China.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Ecology, 1(-), p23-52.
  • Han, Y., (2001), The islamic spread and development at the north- west areas in the two Songs period, Nationalities Research in Qinghai, 12(1), p59-63.
  • Hong, N. Y., (1986), (A)Study of women's veil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 Jeong, J. N., (2007), Research on the Chinese minority: China through the analysis of ethnic minorities[중국 소수민족 연구: 소수민족으로 분석하는 중국], Paju, Republic of Korea, Korean Studies Information.
  • Jeong, J. N., (2008), China’s ethnic minorities[중국의 소수민족], Paju, Republic of Korea, Sallim Press.
  • Islamic, (2018, January, 29), Retrieved from https://baike.baidu.com/item/%E4%BC%8A%E6%96%AF%E5%85%B0%E6%95%99/242135?fr=aladdin.
  • Jeong, J. W., (2013),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al Costume and Contemporary Street Fashion in Korea and China,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honnam, Republic of Korea.
  • Jeong, U. G., (2011), Fashion speciality materials dictionary, Korea Dictionary Research Publishing.
  • Jeong, S. I., (2002), Islamic Civilization[이슬람문명], Seoul, Republic of Korea, Changbi Publishers.
  • Jin, B. C., (2015), A study on the fashion design adapting arabesque pattern,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 Jin, D., (2009), A comparison between Chinese and Korean traditional costume patterns and creating textile design applied Chinese and Korean traditional patterns,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 Ju, G. J., (2010), Modern Europe Made by China[중국이 만든 유럽의 근대], (Jeon, H. S, Trans.), Seoul, Republic of Korea, Cheonggye.
  • Kang, S. A., & Cho, W. H., (2015), A Study on women’s headgear of muslim ethnic minority in Xinjiang Uygu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5(4), p124-136. [https://doi.org/10.7233/jksc.2015.65.4.124]
  • Kim, I. G., (2001), The analysis of nationality headgear' : emphasis areaㆍgenderㆍsymbolism,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Republic of Korea.
  • Kim, J. H., (2009), A study on the mission strategy through islamic understanding,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Calvin University, Yongin, Republic of Korea.
  • Kwon, H. J., (1995), Ethnic minorities’ costumes in and around Silk Roa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24(-), p103-120.
  • Kim, H. J., Kim, H. Y., & Han, S. A., (2012), Muslim women's fashion based on the social and the cultural background of the middle east, Design Learning Research, 25(2), p147-156.
  • Kim, H. S., (2004), On the application of the islamic patterns to the textile design,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6(1), p13-24.
  • Kim, Y. S., (1971), Koran, Seoul, Republic of Korea, oceanbooks.
  • Kim, Y. J., (2009), Silk Road, history and people on the road, Paju, Korea, Sakyejul.
  • Kim, H. J., Kim, H. Y., & Han, S. L., (2012), Muslim women's fashion based on the social and the cultural background of the Middle East,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25(2), p147-156.
  • Lee, J. H., (1986), A study on color-symbol in the religious vestment,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 Lee, B., (2012), A study on the ethnic costumes of the minority nationalities of the Chinese muslims,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 Naver, (n.d.), Retrieved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37432&cid=43667&categoryId=43667.
  • News, (n.d.), Retrieved from https://news.joins.com/article/23264920.
  • Ningxia hui autonomous region, (2017, November, 9), Retrieved from https://baike.baidu.com/item/宁夏/15715?fromtitle=宁夏回族自治区&fromid=11229891&fr=aladdin#3_3.
  • Park, C. S., (1995), A Study on the Chinese minority’s costume(1),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26(1), p175-206.
  • Park, J. W., (2006), History of Chinese Religion, Paju, Korea, Sallim.
  • Son, M. W., (2005), Natural environment of Silk Road,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11(1), p29-39.
  • Seo, B. H., & Kim, M. J., (2007), Transactions : A Study on the Beauty of the Islamic Folk Costum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5), p808-820.
  • Seo, M. H., (2013), A study on the ambivalence of the muslim Women's veil,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Republic of Korea.
  • Seo, B. H., (2014), A comparative study on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 value of asian traditional costum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4(6), p47-64.
  • Shi, J. B., (2016), The ethnic groups of Silk Road, History Teaching, (6), p3-9.
  • Sucai.redocn, (n.d.), Retrieved from http://sucai.redocn.com/yishuwenhua_9144839.html.
  • The Application and Research of Color in Islam, (2018, November, 27), Retrieved from https://wenku.baidu.com/view/fcb6b96ca45177232f60a2a6.html.
  • The nationalities introduced into China through the Silk Road, (2011, November, 3), Retrieved from http://www.minzu56.net/hz/ls/1626.html.
  • The patterns of the symbolic meaning of moon and stars, (2014, May, 3), Retrieved from http://logonc.com/4866.html.
  • Weiss, W. M., (2007), Islam, (Im, J, S, Trans.), Seoul, Republic of Korea, Yekyong Publishing.
  • Wenhuagansu, (n.d.), Retrieved from http://www.wenhuagansu.com/html/2012/mzfq_0705/2982.html.
  • Wikipedia, (n.d.-a), Retrieved from https://en.wikipedia.org/wiki/Chador.
  • Wikipedia, (n.d.-b), Retrieved from https://en.wikipedia.org/wiki/Burqa.
  • Xiao, W., (2003), The Silk Road and Religious spreading, Buddhist Culture, (1), p16-21.
  • Xu, H., (2015), Art of Xinjiang Minority costume[新疆少數民族服飾藝術], Urumqi, Republic of China, Xinjiang Fine Arts & Photography Publishing House.
  • Xu, R., & Bae, S. J., (2015), A formative beauty of Chinese foot-binding shoes and the meaning of Chinese costume history,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9(4), p57-74.
  • Xu, R., & Bae, S, J., (2016), An analysis on the form and decoration of Chinese minority women's waistband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20(3), p68-88. [https://doi.org/10.12940/jfb.2016.20.3.68]
  • Youn, J. J., (2009), A study on ‘Pucca’ character design using Chinese minority costume desig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seo University, Busan, Republic of Korea.
  • Zhao, B. M., & Xu, H. J., (2006), The effect of islamic conquering the middle Asia, Journal of Harbin University, 27(5), p78-81.
  • Zuo, L. G., (2004), On color features of decoration art of islamic architecture in Xinjiang, Journal of Shi he zi University, (Philosophy and Social Science), 4(2), p55-57.
  • Zhong, M. L., & Fan, P., (2006), Chinese minority women’s waistband[中國少數民族服飾], Beijing, Republic of China, China Textile & Apparel press.

<Fig. 1>

<Fig. 1>
Jabbah Specialty Materials Dictionary(Jeong, 1997, p. 1058)

<Fig. 2>

<Fig. 2>
Women’s Clothing of the Palestine Historic World Costume(Patricia, 2009, p. 61)

<Fig. 3>

<Fig. 3>
Ihram Historic World Costume(Patricia, 2009, p. 53)

<Fig. 4>

<Fig. 4>
Chador(wikipedia, n.d.-a)

<Fig. 5>

<Fig. 5>
Haik Specialty Materials Dictionary(Jeong, 1997, p. 1488)

<Fig. 6>

<Fig. 6>
Hijab(naver, n.d.)

<Fig. 7>

<Fig. 7>
Niqab(news, n.d.)

<Fig. 8>

<Fig. 8>
Burqa(wikipedia, n.d.-b)

<Fig. 9>

<Fig. 9>
Shoes of the Samarkand Historic World Costume(Patricia, 2009, p. 149)

<Fig. 10>

<Fig. 10>
One-piece dress of the Hui Xinjiang Uighur Region Museum(Photography by Researcher)

<Fig. 11>

<Fig. 11>
One-piece dress of the Hui(china, n.d.)

<Fig. 12>

<Fig. 12>
Two-pieces of the Hui(blog, n.d.-a)

<Fig. 13>

<Fig. 13>
Drapery-type Headdress of the Hui The Museum of Ethnic Cultures(Photography by Researcher)

<Fig. 14>

<Fig. 14>
Combined-type Headdress of the Hui(chinafeature, n.d.)

<Fig. 15>

<Fig. 15>
Normal Shoes of the Hui(sucai.redocn, n.d.)

<Fig. 16>

<Fig. 16>
One-piece dress of Weiwuer Xinjiang Uygur Museum(Photography by Researcher)

<Fig. 17>

<Fig. 17>
One-piece dress of Weiwuer Capital Museum(Photography by Researcher)

<Fig. 18>

<Fig. 18>
Four Pyramid-type Headdress of Weiwuer Uighur Folk Culture(Xin, 2006, p. 17)

<Fig. 19>

<Fig. 19>
Combined-type Headdress of Weiwuer Corpus of Chinese Fabric, Embroidery and Finery 5(Chang, 2005, p. 261)

<Fig. 20>

<Fig. 20>
Drapery-type Headdress of Weiwuer(blog, n.d.-b)

<Fig. 21>

<Fig. 21>
Cylinder-type Headdress of Weiwuer Corpus of Chinese Fabric, Embroidery and Finery 5(Chang, 2005, p. 162)

<Fig. 22>

<Fig. 22>
Horizontal-type Waistband of Weiwuer Uighur Folk Culture(Xin, 2006, p. 24)

<Fig. 23>

<Fig. 23>
Apron-type Waistband of Weiwuer(Gd4.alicdn, n.d.)

<Fig. 24>

<Fig. 24>
Boots of Weiwuer Capital Museum(Photography by Researcher)

<Fig. 25>

<Fig. 25>
Galosh Boots of Weiwuer Art of Xinjiang Minority Costume(Xu, 2015, p. 25)

<Fig. 26>

<Fig. 26>
One-piece dress of the Kazakh Xinjiang Uighur Region Museum(Photography by Researcher)

<Fig. 27>

<Fig. 27>
Detail One-piece dress of the Kazakh Xinjiang Uighur Region Museum(Photography by Researcher)

<Fig. 28>

<Fig. 28>
One-piece dress of the Kazakh Xinjiang Uighur Region Museum(Photography by Researcher)

<Fig. 29>

<Fig. 29>
Detail One-piece dress of the Kazakh Xinjiang Uighur Region Museum(Photography by Researcher)

<Fig. 30>

<Fig. 30>
Combined-type Headdress of the Kazakh Kazakh Folk Culture(Xin, 2006, p. 88)

<Fig. 31>

<Fig. 31>
Combined-type Headdress of the Kazakh Corpus of Chinese Fabric, Embroidery 5(Chang, 2005, p. 222)

<Fig. 32>

<Fig. 32>
Drapery-type Headdress of the Kazakh Chinese National Costume Culture(Yang, 1991, p. 102)

<Fig. 33>

<Fig. 33>
Cylinder-type Headdress of the Kazakh Chinese Minority Costume(Zhong & Fan, 2006, p. 70)

<Fig. 34>

<Fig. 34>
Conical-type Headdress of the Kazakh Kazakh Folk Culture(Xin, 2006, p. 163)

<Fig. 35>

<Fig. 35>
Horizontal-type Waistband of the Kazakh Corpus of Chinese Fabric, Embroidery 5(Chang, 2005, p. 227)

<Fig. 36>

<Fig. 36>
Combined-type Waistband of the Kazakh Chinese Minority Costume(Zhong & Fan, 2006, p. 70)

<Fig. 37>

<Fig. 37>
Boots of the Kazakh Art of Xinjiang Minority Costume(Xu, 2015, p. 46)

<Fig. 38>

<Fig. 38>
One-pieces of the Dongxiang Chinese Minority Clothes and Ornaments(Wei, 2013, p. 114)

<Fig. 39>

<Fig. 39>
Two-pieces of the Dongxiang The Museum of Ethnic Cultures(Photography by Researcher)

<Fig. 40>

<Fig. 40>
Drapery-type Headdress of the Dongxiang China National Hair Ornament(Bian, 1999, p. 66)

<Fig. 41>

<Fig. 41>
Cylinder-type Headdress of the Dongxiang(Wenhuagansu, n.d.)

<Fig. 42>

<Fig. 42>
Normal Shoes of the Dongxiang Study and Appreciation of Chinese Shoes in the Past Dynasties(Luo, 2007, p. 164)

<Fig. 43>

<Fig. 43>
The Form of Chinese Northern Area Minority Women’s Garment (N:120)

<Fig. 44>

<Fig. 44>
The Form of Chinese Northern Area Minority Women’s Headdress (N:120)

<Fig. 45>

<Fig. 45>
The Form of Chinese Northern Area Minority Women’s Waistband (N:60)

<Fig. 46>

<Fig. 46>
The Form of Chinese Northern Area Minority Women’s Shoes (N:120)

<Fig. 47>

<Fig. 47>
The Color of Chinese Northern Area Minority Women’s Clothing(Garments N:120, Accessories N:300)

<Fig. 48>

<Fig. 48>
The Pattern of Chinese Northern Area Minority Women’s Clothing(Garments N:120, Accessories N:300)

<Table 1>

Islamic Religious Clothing’s Formative Characteristics

Form Color Pattern Typical clothing
Islamic Religious Clothing - Garment: one-piece dress
- Headdress: clothing type, drapery type, combined type
- Waistband: horizontal type
- Shoes: normal type, boots
- Black, white, green, blue - Botanical pattern(arabesque, lotus, rosette, narcissus, acanthus)
- Geometric pattern(zigzag, triangle, star, stripes, moon)
- Abstract pattern
- Letter pattern(arabic script)

<Table 2>

The Formative Relationship between Islamic Religious Clothing and Chinese Minority Women’s Clot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