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These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ol. 70, No. 3, pp.92-108
ISSN: 1229-6880 (Print) 2287-7827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20
Received 24 Feb 2020 Revised 24 Apr 2020 Accepted 04 May 2020
DOI: https://doi.org/10.7233/jksc.2020.70.3.092

패션전공자의 심리적 특성, 창업관련 배경요인과 창업교육 관심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김지연 ; 오현정
호남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부교수
광주대학교 패션ㆍ주얼리학부 교수
The Effects of Fashion Student's Psychological Traits, Background Factors Related to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teres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Jie-Yurn Kim ; Hyun-Jeong Oh
Assistant Professor, Dept. of Fashion Design, Honam University
Professor, Division of Fashion & Jewelry Design, Gwangju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Hyun-Jeong Oh, e-mail: ohhj@gwangju.ac.k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ashion students'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terest(EEI) on their entrepreneurial intention(EI). The study also investigates how psychological traits and background factors relating to entrepreneurship influence on EI and EEI. The data recorded in November to December 2018 using a questionnaire targeted at fashion students. The data was analyzed by performing the following using SPSS WIN 17.0 -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EEI amongst fashion students, the higher the EI. Secondly, students who had entrepreneurship course experience had higher EEI than students without experience but demonstra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I. Thirdly, the 'fashion passion' factor, which is enthusiastic about clothes and fashion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I and EEI. Fourthly, psychological trai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I and EEI. Lastly, students with experience of a family start-up had higher EI and EEI than students without such experience, and male students in general had higher EI and EEI than female students. Age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EI and EEI.

Keywords:

entrepreneurial intenti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terest, experience of a family start-up, fashion passion, fashion students, psychological traits

키워드:

창업의지, 창업교육 관심, 가족의 창업경험, 패션열정, 패션전공자, 심리적 특성

Ⅰ. 서론

최근 청년 일자리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지면서 정부 및 지자체뿐 아니라 공공기관들은 청년들의 창업촉진과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다(Jeong & Cho, 2013; Lee, 2015). 창업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고등교육에서의 중요성을 증가시켰고, 대학은 창업관련 정규 교과과정 운영, 창업대학원 개설, 창업지원센터 설립 등으로 창업교육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Jung & Bahn, 2008). 취업 준비생들이 최근에 가장 선호하는 창업의 형태는 인터넷 쇼핑몰이고(Han, 2018), 패션전공자들도 취업보다 온라인 쇼핑몰창업에 대한 관심과 의지가 높아지고 있다(Jeong, 2018; Kim, 2017). 그러나 패션분야의 잠재 창업자라 할 수 있는 패션전공자들의 창업의식은 창업을 취업의 대안 수준으로 인식하는 소극적인 수준이다(Lee & Hwang, 2016). 또한 패션관련 학과 대학생들의 창업의지와 창업교육의 필요성 인식이 높은 것에 비해 전공자들의 창업경험은 거의 없는 편이었고, 학교차원의 창업교육은 부족한 상황으로 보인다(Choi, 2014; Jeong, 2018). 따라서 패션관련 학계는 패션전공자들이 요구하는 창업교육과 창업의지 수준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패션분야 창업은 혁신적이고 독특한 아이템을 개발하고, 소수의 인력과 소규모 생산으로 시작하는 경향이 있다(Yun, 2017). 기술과 혁신을 기반으로 하는 창업은 조직의 역량보다 창업가의 개인능력이 창업성공에 더 중요한 요소라고 한다(Lee, 2012). 그래서 선행연구들은 예비 창업가의 창업의지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창업가의 심리적 특성과 창업관련 배경요인이라고 설명하고 있다(Chang & Lee, 2014; Espiritu-Olmos & Sastre-Castillo, 2015). 창업가의 혁신성, 위험 감수성, 자기 효능감, 성취감, 통제의 소재 등과 같은 심리적인 특성은 창업가 정신의 중요한 특성으로 다뤄졌고,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Lee, 2017; Lee, Hong, & Park, 2015). 또한 창업관련 교육경험이나 가족의 창업경험 같은 배경경험이나 성별, 나이 등의 인구통계적인 특성은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창업관련 배경요인으로 설명되었다(Maresch, Harms, Kailer, & Wimmer-Wurm, 2016; Hong & Yang, 2014). 그러나 패션관련 학계에서 창업가의 심리적 특성이나 창업관련 배경요인을 설명하는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그 동안 패션창업 관련 연구는 패션관련 학과, 청소년의 창업교육과 창업의식을 조사하거나(Choi, 2014; Jeong, 2018; Yi & Oh, 2010) 패션관련 전공 대학생의 창업의지를 설명한 바 있다(Lee & Hwang, 2016). 이와 같은 선행연구들은 패션전공자들의 창업의지를 높이는 요인이 무엇인지, 학생들의 창업교육 관심이 창업의지와 관련이 있는지, 창업의지와 창업교육 관심을 높일 수 있는 개인적 특성 등을 설명하기에 충분하다고 말하기 어렵다. 특히 패션분야 창업은 일반 창업과 달라서 패션열정과 트렌드 감각 같은 패션관여가 성공한 창업가의 중요한 배경요인인데(Oh, 2018), 패션관여와 패션창업에 대한 연구는 없는 형편이다. 패션관여는 패션전공 학생들의 역량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패션관여가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창업관련 배경요인 중 하나라는 의미 있는 결과가 밝혀진다면 창업의지를 높이려는 패션관련학과의 학생지도에 큰 힘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패션전공자들의 창업교육 관심이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창업의지와 창업교육 관심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특성과 창업관련 배경요인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패션전공자들의 창업의지와 창업교육 관심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특성, 배경경험과 패션관여, 인구통계적인 특성이 무엇인지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패션전공자의 심리적 특성이나 창업관련 배경요인에 따른 창업지도 전략을 세우거나 창업마인드를 고취시키기 위한 창업교육 실행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게 될 것이며, 나아가 패션산업의 창업 활성화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Ⅱ. 이론적 배경

1. 창업의지와 창업교육

창업교육(EE: entrepreneurship education)은 사업 아이디어를 탐색하고 구체적으로 사업을 계획하며, 계획한 사업을 성공적으로 운영하는데 필요한 창업관련 지식, 기능, 태도 등을 가르치는 것이다(Lee, 2015). 창업교육에 관심을 가진 선행연구들은 창업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설명하고자 했으며, 가장 먼저 창업교육과 창업의지의 상관성을 밝힘으로써 창업교육의 효과를 입증했다. 창업가 교육과 훈련 프로그램 참가는 창업의지를 긍정적으로 향상시키고(Farashah, 2013), 각종 창업교육에 많이 노출된 학생들일수록 창업의지와 관심이 높아지므로(Lee, 2013) 창업교육이 청년들의 창업의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예비창업자들에게 창업아이템 발굴, 자금조달, 입지선정, 창업실무 등에 대한 창업교육을 제공하는 것은 예비창업자들의 창업의지를 향상시키고 성공가능성도 높일 수 있는 창업촉진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Hong & Seol, 2013).

다음으로 집단 간 비교를 통해 창업교육의 효과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창업교육에 노출된 집단과 아닌 집단 혹은 전공 분야가 다른 집단 간 차이를 통해 창업의지의 차이를 설명함으로써 창업교육이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설명하고자 했다(Maresch et al., 2016). 창업가 교육 프로그램 참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창업가 교육이 끝날 때의 창업에 대한 태도, 창업에 대한 행동 조절력, 창업의지, 창업관련 행동이 시작했을 때보다 긍정적으로 높아지는 결과를 통해 창업교육이 중요함을 강조하기도 했다(Rauch & Hulsink, 2015). 창업교육 경험이 있는 집단이 창업교육 경험이 없는 집단보다 창업의지가 더 높은 것은 창업교육이 창업성공에 대한 기대를 높이고, 창업동기와 흥미를 유지하도록 돕는 역할을 하기 때문일 것이다(Asraf & Khan, 2017). 그러므로 학생들에게 창업교육을 효과적으로 수행한다면 창업에 대한 인식과 의지를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다.

창업교육과 창업의지에 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던 것에 비해 패션분야에서 창업에 대한 연구관심은 미약한 편이다. Yi & Oh(2010)는 청소년이 운영하는 인터넷 쇼핑몰의 취급 아이템이나 운영 현황 등을 파악함으로써 청소년 운영자들에게 필요한 창업교육이 소비자의 요구 파악이나 유행의 흐름, 홍보, 마케팅지식 등의 창업경영 방법 등이라고 제안했다. Choi(2014)는 패션관련 학과 대학생들의 패션관련 쇼핑몰 창업에 대한 의식 조사를 통해, 응답자의 67.2%가 창업을 희망한 것에 비해 학교 차원에서 제공하는 창업교육이 부족하다고 보고했다. Jeong(2018)도 패션디자인 관련전공자들의 창업에 대한 인식과 창업교과목 개설현황을 파악하는 기초연구를 통해서 창업의지가 높은 것에 비해 창업교육의 부족을 지적했다. 이처럼 패션학계에서 발표된 선행연구들은 창업관련의식과 현황을 통해 더 많은 창업교육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그러므로 패션전공자들의 창업교육 관심이 창업의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또는 창업교육이 시작된 패션전공에서 창업교과목의 수강여부가 창업의지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지 등에 대해 알아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2. 창업의지와 심리적 특성

창업의지(EI: entrepreneurial intention)는 사업을 소유하거나 시작하려는 욕구로(An, 2016) 잠재적 창업가가 창업행동에 주의를 기울이고, 창업하려고 의식하는 마음가짐이라고 할 수 있다(Moriano, Gorgievski, Laguna, Stephan, & Zarafshani, 2012). 그동안 선행연구들은 창업의지가 창업으로 실행돼서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한 관심이 많았다. 최근의 창업경향이 기술과 혁신을 기반으로 시작한다는 점에서 창업가의 개인 특성과 기업가 정신은 창업의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Lee, 2012; Oh, Choi, & Noh, 2016; Kim & Kim, 2016: W. Kim, 2016).

창업의지를 높이고 창업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요인이 무엇인지 관심을 가졌던 많은 선행연구들은 창업가의 심리적인 특성과 창업의지와의 관계를 밝히고자 했다. Hong & Yang(2014)은 대학생들의 창업의지 결정요인은 혁신성, 성취 욕구, 위험 감수성, 자기 효능감 같은 개인특성이 창업의지를 높여준다고 했다. 그러나 연구에 따라 여러가지 심리적 특성 중에 혁신성만 창업의지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라고 하거나(Altinay, Madanoglu, Daniel, & Lashley, 2012), 창업의지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심리 특성은 위험 감수성이고(Choi, 2017), 위험 감수성이 높은 학생은 창업을 선택하고 낮은 학생은 고용을 선택하므로(Asraf & Khan, 2017) 위험 감수성은 창업의지에 중요한 영향력을 갖는 심리적 특성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Choi & Park(2012)은 자기 효능감이 높은 청년이 과업 성취에 자신감이 있고, 향후 상황을 주도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는 성취 욕구가 크기 때문에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특별히 패션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했던 Lee & Hwang(2016)은 창업인식을 결정하는 개인 특성이 위험 감수성과 성취 욕구임을 밝힌 바 있다. 이처럼 연구마다 사용한 심리적 특성 변인도 차이나고, 연구 결과도 다양함을 알 수 있다.

창업을 하려는 적극적인 자세로서 창업의지와의 관련성이 크다고 할 수 있는 특성은 시장지향적인 아이디어와 행동으로 새로운 기회를 찾으려는 혁신적인 특성과 개인의 의사 결정 상황에서 계산된 위험을 감수하려는 위험감수성이라고 할 수 있겠다(Bang, Park, & Shin, 2014; Choi, 2017; Seo, 2013). 또한 높은 성과를 얻기 위해 도전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고자 하는 성취 욕구나 아무리 어려운 일일지라도 어떤 일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고 믿는 자기 효능감은 새롭게 시작하는 사업을 성공으로 이끌기에 의미 있는 특성으로서 창업의지와 관련이 깊다고 할 수 있겠다(Han, 2016; Kang & Byun, 2017). 따라서 본 연구는 성취 욕구, 혁신성, 위험 감수성, 자기 효능감 등의 심리적 특성이 패션전공자의 창업의지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게 될 것이다.

3. 창업의지와 창업관련 배경요인

창업을 실천하려는 기업가의 의지는 개인의 심리적 특성 이외에 가족의 창업경험이나 관련업종아르바이트 경험이나 관리 경험 등과 같은 배경경험이 중요한 영향을 갖는다고 한다(Kim, Park, & Lee, 2014; Lee, 2012: Son, 2019). 가족의 기업전통은 사업시작 의도와 긍정적인 관계를 갖기 때문에 가족 구성원의 창업경험은 사업을 시작할지 말지를 정하는 초기에 가장 강력한 영향 요인이 되는 것이다(Altinay et al., 2012). 선행연구에서 부모형제 중 창업경험이 있는 학생은 없는 학생에 비해 창업의지가 높았고(Espiritu-Olmos & Sastre-Castillo, 2015), 학생들의 나이, 성별, 창업교육 여부, 가족의 창업배경 여부 등 여러 가지 배경요인 중에서 가족의 창업배경 만이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쳤다(Marques, Ferreira, Gomes, & Rodrig, 2012). 이처럼 가족의 창업경험은 역할 학습 모델 과정을 통해 창업결정에 영향을 미치므로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갖는 배경경험이라고 할 것이다(Yoon, 2004).

청년들이 창업할 때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역량은 동종업종 경험(73.2%)이었고 다음이 전문창업교육(9.8%)이었다(Lee, 2014). 또한 패션과 디자인을 전공한 후 패션창업에 성공한 창업가들이 자신의 성공에서 가장 중요한 배경요인은 패션에 대한 열정이나 패션트렌드 감각이었고, 대학생시절에 현재 기업과의 유사업종에 근무한 경험이나 예비 창업경험이라고 한다(Oh, 2018). 즉, 동종업종 경험, 유사업종 근무경험, 예비창업 등은 졸업 이후의 창업의지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갖는 창업관련 경험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재학생들의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창업관련 경험은 창업강좌 수강경험, 창업동아리 활동경험, 창업관련 롤모델 경험 등 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Chang & Lee, 2014). 창업관련 활동이나 교과목 수강 등이 창업에 대한 생각을 변화시켜서 창업관심과 창업의지를 높이는 중요한 경험이 되기 때문에(Lee, 2013; Lee, 2015) 학교나 학과에서 개설한 창업교과목 수강경험은 학생들의 창업의지를 높이는 창업관련 배경경험이 될 것이다.

패션감각은 패션전문가로서의 역량 또는 기술이라고 한다(Lee & Lee, 2018). 패션분야 창업에서 중요한 경험요인이 패션열정, 트렌드 감각이라는(Oh, 2018) 연구는 옷과 패션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의 지각 정도가 높은 패션전공자들의 패션관여가 창업관련 경험역량으로서 배경경험으로의 가능성을 추론할 수 있는 결과라고 하겠다. 열정은 개인이 좋아하고, 중요하게 생각하며, 시간과 에너지를 많이 사용한다는 속성을 가진다는 점에서(Hong, 2017) 옷이나 외모에 대한 흥미, 관심, 취향을 중요하게 생각하는(Kim, 2016; Park & Park, 2012) 패션관여와 유사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겠다. Seo(2013)는 창업이나 벤처기업에서 특정한 직무에 효과적이거나 뛰어난 성과를 산출할 수 있는 지식, 기술, 능력을 창업관련 개인역량이라고 정의했고, 이 개인역량이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친다고 했다. 패션감각은 패션관련 경험적 지식과 기술을 중심으로 패션연출에 대한 자신감, 조화의 중요성, 시각적인 민감성, 패션에 대한 통찰력, 패션에 관한 지속적 관심과 노력 같은 패션관련 경험과 사고의 결과물(Lee & Lee, 2018)이라는 점에서 개인역량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패션열정이나 패션트렌드 감각, 패션감각 같은 패션관여는 패션창업에서 성과를 높일 수 있는 패션관련지식, 기술, 능력으로서 패션분야 창업관련 배경경험이라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패션관련 지식이나 패션열정, 패션감각, 트렌드 정보 등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패션관여라고 정의했고, 패션관여를 패션전공자들의 창업관련 배경경험 중의 하나로 간주했다. 패션관여가 창업의지와 창업교육 관심에 미치는 영향이 밝혀진다면 패션전공자들의 패션창업 지도에 유용한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겠다. 본 연구는 창업교과목 수강경험, 가족의 창업경험, 패션관여에 따라 패션전공자의 창업의지와 창업교육 관심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게 될 것이다.

인구통게적인 특성 중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성별과 나이 요인이 가장 빈번히 사용되었다. 연구에 따라 여자 대학생의 창업의지가 남자 대학생보다 더 높았던 연구도 있고(Hong & Yang, 2014),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창업의지가 더 높은 연구도 있으며(Espiritu-Olmos & Sastre-Castillo, 2015), 성별에 따라 창업의지에 차이가 없는 연구(Marques et. al., 2012)도 있었다. 즉 성별에 따른 창업의지의 차이는 일관적인 결과가 없는 편이었다. 나이도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 관심에서 나이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지 못한 연구도 있지만(Marques et al., 2012), 더 많은 연구에서 나이가 많을수록 창업의지가 높다고 한다(Chang & Lee, 2014; Hong & Yang, 2014).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성별과 나이라는 인구통계적인 특성에 따라 패션전공자의 창업의지와 창업교육 관심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게 될 것이다.


Ⅲ. 연구방법 및 절차

1. 연구문제

본 연구는 패션전공자들의 창업교육 관심이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창업의지와 창업교육 관심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특성과 창업관련 배경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했다.

  • 연구문제 1. 패션전공자의 창업교육 관심은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
  • 연구문제 2. 패션전공자의 창업의지에 영향 미치는 개인 특성을 알아본다.
    • 2-1. 개인의 심리적 특성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 2-2. 창업관련 배경요인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 연구문제 3. 패션전공자의 창업교육 관심에 영향력 있는 개인 특성을 알아본다.
    • 3-1. 개인의 심리적 특성이 창업교육 관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 3-2. 창업관련 배경요인이 창업교육 관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2. 측정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한 변수들의 측정도구는 여러 선행연구에서 신뢰성과 타당성이 확인된 척도를 중심으로, 연구자가 패션전공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의 맥락에 맞추어 수정하였다. 창업의지는 잠재적인 창업가가 사업을 소유하거나 시작하기 위해 창업에 주의를 기울이고 창업하려는 마음가짐을 측정하고자 Choi(2017), Seo(2013), Yoon(2004) 등이 사용했던 질문 중에서 5문항을 활용했다. 창업교육 관심은 창업하는데 필요한 창업관련 교육에 대한 관심, 욕구, 참여의지, 필요 등을 측정하고자 Kang & Byun(2017), Yi & Oh(2010)가 사용했던 질문 중 6문항을 사용했다.

패션전공자의 심리적인 특성(위험 감수성, 혁신성, 성취 욕구, 자기 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Choi(2017), Han(2016), Kang & Byun(2017), 그리고 Seo(2013) 등의 문항을 사용하였다. 위험 감수성은 위험을 기꺼이 감수하고 불확실한 상황에 대처하려는 성향을 측정하는 4문항, 혁신성은 새로운 방법과 아이디어를 모색하는 성향을 측정하는 4문항을 사용하였다. 성취 욕구는 도전적인 목표를 설정하여 높은 성과를 얻기 위해 이를 달성하고자하는 욕구를 측정하는 4문항, 자기 효능감은 자기가 어떤 일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자기 능력에 대한 확신을 측정하는 5문항을 사용하였다. 창업관련 배경요인은 가족의 창업경험, 창업교과목 수강여부, 그리고 패션관여를 묻는 문항과 기본 배경이라고 할 수 있는 인구통계적인 특성으로 성별, 나이, 학년 등을 사용했다. 패션관여는 패션열정, 패션연출 감각과 패션관심을 측정하기 위해 Hong(2017), H. Kim(2016), Lee & Lee(2018), Park & Park(2012) 등의 질문을 수정, 보완한 15문항을 사용하였다.

3. 자료수집과 분석

자료수집을 위한 본 조사는 2018년 11월 14일부터 12월 18일까지 광주, 부산, 대구, 전주 소재 6개 대학교의 패션관련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296부가 수집되었고, 불성실한 응답과 패션전공자가 아닌 응답자를 삐고 총 258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방법은 SPSS WIN 17.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t-test, 분산분석, 요인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 설문지는 예비조사를 통해 수정 보완되었으며, 창업의지, 창업교육, 심리적 특성, 패션관여 문항은 5점 리커트 척도로 측정되었다. 창업관련 배경경험과 인구통계적인 배경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아래 <Table 1>에 제시하였다. 응답자는 258명 이었고, 여학생이 200명(77.5%) 남학생이 58명(22.5%)으로 나타났다. 가족의 창업경험이 있는 학생은 78명(30.2%), 없는 학생은 180명(69.8%)이었고, 창업관련 교과목 수강경험이 있는 학생은 141명(54.7%), 없는 학생은 117명(45.3%)로 나타났다. 나이는 19세부터 36세까지 분포되었고, 20세-23세가 216명(83.7%)이었다.

Background Experience and Demographics of Respondents


Ⅳ. 연구 결과

1. 창업교육 관심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패션전공자가 생각하는 창업교육 관심과 창업의지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요인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창업교육 관심을 측정한 6문항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는 <Table 2>와 같았고, 총 분산 설명력이 64.375%로 나타났다. 다음은 창업의지를 측정한 5문항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는 <Table 3>에 제시하였고, 총 분산 설명력이 81.530%로 나타났다. 창업교육 관심과 창업의지의 내적 일관성을 위해 Cronbach’s α 값을 확인했으며, 모두 .88 이상으로 신뢰성에 문제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창업교육 관심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밝히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Table 4>에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창업교육 관심은 창업의지를 높이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β=.723, ρ<.001). 창업교육 관심이 높은 학생일수록 창업의지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Factor Analysi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terest(EEI)

Factor Analysis of Entrepreneurial Intention(EI)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 of EI on EEI

2. 패션전공자의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특성

1) 창업의지와 심리적 특성

패션전공자의 심리적 특성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먼저 심리적 특성 변인들을 요인분석 하였다. 위험 감수성, 혁신성, 성취 욕구, 자기 효능감을 측정하는 17문항으로 주성분 분석과 베리 맥스 회전법에 의한 요인분석을 실행했다. 요인선정 기준을 고유치 1로 설정해서 3개의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총분산 설명력은 67.119%로 나타났고, 결과는 <Table 5>에 제시하였다. 심리적 특성 요인들의 내적 일관성을 위해 Cronbach’s α 값을 확인했으며, 모두 .842 이상으로 신뢰성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 1은 고유치 8.844, 분산 26.591%로서 어떤 어려운 일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자기 능력에 대한 자신감과 어려운 목표라도 성과를 얻기 위해 노력하려는 성향을 중심으로 하기에 ‘성취지향 자기 효능감’이라고 명명하였다. 요인 2는 고유치 1.429, 분산 20.509%로서 불확실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서 위험과 어려움을 기꺼이 감수하려는 성향과 관련되므로 ‘위험 감수성’이라고 명명하였다. 요인 3은 고유치 1.133, 분산 20.020%로서 새로운 기회와 상황에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모색하려는 성향과 관련되므로 ‘혁신성’이라고 명명하였다. 심리적인 특성은 ‘성취지향 자기 효능감’, ‘위험 감수성’, 그리고 ‘혁신성’의 3개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Factor Analysis of Psychological Traits

다음으로 패션전공자의 심리적 특성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해 요인점수를 이용한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결과는 <Table 6>과 같다. 분석 결과, 패션전공자의 심리적 특성은 창업의지(F=31.987, p<.001)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친 심리적 특성 요인은 ‘위험 감수성(β=.396, ρ<.001)’, ‘혁신성(β=.282, ρ<.001)’, 그리고 ‘성취지향 자기 효능감(β=.195, ρ<.001)’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창업의지에 가장 영향력 있는 심리 특성이 위험 감수성이고(Choi, 2017), 혁신성이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쳤고(Altinay et al., 2012),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생이 성취 욕구도 커서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친 것이라 하겠다(Choi & Park, 2012). 특히 패션전공자의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심리적 특성이 위험 감수성과 성취성이라는 Lee & Hwang(2016)의 결과를 지지하는 결과라고 하겠다.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 of Psychological Traits on EI

2) 창업의지와 창업관련 배경요인

패션전공자의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창업관련 배경요인을 밝히기 위해 창업관련 배경경험과 인구통계적인 특성을 분석했다. 먼저 t-test 검증을 통해 가족의 창업경험, 창업교과목 수강경험, 그리고 성별에 따른 창업의지의 차이를 분석했고, 그 결과는 <Table 7>에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창업교과목 수강 경험자와 비경험자의 창업의지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가족의 창업경험 집단이 비 경험 집단에 비해 창업의지의 평균값이 유의하게 높았다(t=3.696, ρ<.001). 성별에 따른 창업의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창업의지가 유의하게 높았다(t=-2.425, ρ<.05). 다음으로 나이에 따라 창업의지에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결과는 <Table 8>에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나이가 많아질수록 창업의지가 유의하게 높았다(F=8.328, ρ<.01). 이처럼 창업교과목 수강자가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고, 이는 창업교육 참여경험이 창업의지를 긍정적으로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선행연구(Farashah, 2013; Hong & Seol, 2013)와는 다른 결과이었다. 부모님이 사업가이거나 부모형제의 창업경험 같은 가족의 창업전통이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갖는 배경경험이라는 연구를 지지하는 결과라고 하겠다(Chang & Lee, 2014; Yoon, 2004). 그리고 인구통계적인 특성 중 성별에 따른 차이에서 남학생의 창업의지가 유의하게 높다는 연구(Espirit-Olmos & Sastre-Castillo, 2015), 나이가 많을수록 창업의지가 높다는 연구(Chang & Lee, 2014; Hong & Yang, 2014)를 지지하는 결과를 보였다고 하겠다.

Differences in EI according to Background Experience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 of Age on EI

패션전공자의 패션관여가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기 위해 요인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주성분 분석과 베리 맥스회전법에 의한 요인분석을 실행했으며, 요인선정 기준은 고유치 1로 설정하였다. 패션관여 15항목 중 요인 값이 0.5 이하이고, 요인 별 요인 값이 뚜렷하게 차이를 보이지 않은 3항목을 제거하고, 다시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3개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요인분석 결과는 <Table 9>와 같고, 요인 전체변량은 73.304%이었다. 패션관여 요인들의 내적 일관성을 위해 Cronbach’s α 값을 확인했으며, 모두 .828 이상으로 신뢰성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 1은 고유치 6.486, 분산 27.772%로서 옷과 패션에 대한 열정, 옷이나 패션과 관련된 활동과 관련되어 ‘패션열정’이라고 명명하였다. 요인 2는 고유치 1.310, 분산 26.023%로서 패션 액세서리 관심, 다른 옷과의 어울림, 다양한 코디네이션 등과 관련되어 ‘패션감각 민감성’이라고 명명하였다. 요인 3은 고유치 1.002, 분산 19.509%로서 유행에 맞추어 옷 입기의 중요성, 유행 경향에 맞는 쇼핑하기, 유행 정보 관심과 관련되어서 ‘패션트렌드 관심’이라고 명명하였다. 패션관여는 ‘패션열정’, ‘패션감각 민감성’, 그리고 ‘패션트렌드 관심’의 3개 요인으로 구성된 패션관여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요인점수를 이용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Table 10>과 같다. 분석 결과, 패션관여는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F=10.103, ρ<.001). 특히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패션관여요인은 ‘패션열정(β=.307, ρ<.001)’ 뿐이었고, ‘패션감각 민감성’과 ‘패션트렌드 관심’ 요인은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패션분야에서 창업에 성공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가 패션열정이라고 설명했던 Oh(2018)의 연구를 부분적으로 지지한다고 할 수 있겠다.

Factor Analysis of Fashion Involvements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 of Fashion Involvements on EI

3. 패션전공자의 창업교육 관심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특성

1) 창업교육 관심과 심리적 특성

패션전공자의 심리적 특성이 창업교육 관심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해 요인점수를 이용한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결과는 <Table 11>에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패션전공자의 심리적 특성은 창업교육 관심(F=42.631, p<.001)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특성 중 창업교육 관심에 유의한 영향력을 보인 요인은 ‘성취지향 자기 효능감(β=.373, ρ<.001)’, ‘위험 감수성(β=.371, ρ<.001)’과 ‘혁신성(β=.241, ρ<.001)’이었다. 성취지향 자기 효능감과 위험 감수성, 혁신성이 높은 패션전공자들은 창업교육 관심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는 결과라고 하겠다.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 of Psychological Traits on EEI

2) 창업교육 관심과 창업관련 배경요인

패션전공자의 창업교육 관심에 영향을 미치는 창업관련 배경요인을 밝히기 위해 창업관련 배경경험과 인구통계적인 특성을 분석했다. 먼저 t-test 검증을 통해 가족의 창업경험, 창업교과목수강경험, 그리고 성별에 따른 창업의지의 차이를 분석했고, 그 결과는 <Table 15>에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창업교과목 수강 경험자가 비수강자에 비해 창업교육 관심이 유의하게 높은 평균값을 보였고(t=2.338, ρ<.05), 가족의 창업경험 집단이 비경험 집단에 비해 창업교육 관심이 유의하게 높았다(t=3.124, ρ<.001). 다음으로 성별에 따른 창업교육 관심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창업교육 관심이 유의하게 높은 평균값을 보였다(t=-2.225, ρ<.05). 또한 나이에 따라 창업교육 관심에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결과는 <Table 16>에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나이가 많아질수록 창업교육 관심이 유의하게 높았다(F=8.667, ρ<.01). 이처럼 창업교과목 수강자와 가족의 창업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창업교육 관심이 더 높았다는 결과에서 창업교과목 수강과 가족의 창업경험은 창업교육 관심을 높이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긍정적인 관련성을 발견할 수 있겠다. 그리고 남학생이 창업교육 관심이 높았고, 나이가 많을수록 창업교육에 관심이 높았다. 성별과 나이는 가까운 미래의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을 뿐 아니라 당장의 창업교육에 대한 관심에도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Differences in EEI according to Background Experience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 of Age on EEI

다음으로 ‘패션열정’, ‘패션감각 민감성’, 그리고 ‘패션트렌드 관심’의 3개 요인으로 구성된 패션관여 요인이 창업교육 관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요인점수를 이용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Table 17>과 같다. 분석 결과, 패션관여는 창업교육 관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F= 15.797, ρ<.001). 특히 창업교육 관심에 영향을 미치는 패션관여 요인은 ‘패션열정(β=.323, ρ<.001)’과 ‘패션감각 민감성(β=.224, ρ<.001)’이었고, ‘패션트렌드 관심’ 요인은 창업교육 관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처럼 ‘패션열정’과 ‘패션감각 민감성’이 높을 수록 창업교육 관심이 높다는 결과에서 패션관여가 패션전공자의 창업관련 배경요인으로서 창업관련 행동에 영향력 있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 of Fashion Involvements on EEI


Ⅴ. 결론 및 논의

본 연구의 목적은 패션전공자들이 갖고 있는 창업교육 관심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창업의지와 창업교육 관심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특성과 창업관련 배경요인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전공자들은 창업교육에 관심이 높을수록 창업의지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위험 감수성’과 ‘혁신성’, ‘성취지향 자기 효능감’ 같은 심리적 특성은 패션전공자들의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창업관련 경험 중 가족의 창업경험자는 무경험자보다 창업의지가 높았고, 패션관여 요인 중 ‘패션열정’은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인구통계적인 특성 중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창업의지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나이가 많을수록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셋째, ‘성취지향 자기 효능감’, ‘위험 감수성’과‘혁신성’으로 구성된 심리적 특성은 창업교육 관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창업교육 관심은 창업교과목 수강 경험자가 무경험자보다 높았고, 가족의 창업경험자가 무경험자보다 높았다. 패션관여 요인 중 ‘패션열정’과‘패션감각 민감성’은 창업교육 관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다음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창업교육 관심이 높았고, 나이가 많을수록 창업교육 관심이 높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얻은 결론과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전공자들의 창업교육 관심은 창업의지를 높이는데 영향력이 있었고, 창업교과목 수강자는 비수강자에 비해 창업교육 관심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창업교육 관심이 높을수록 창업의지가 높아지므로 가까운 장래에 창업을 촉진시키려는 교육기관이라면 재학생들의 창업과 관련된 다양한 교육에 관심을 고취시키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을 암시하는 결과라고 하겠다. 즉, 창업교과목 수강 경험자가 창업교육에 관심이 높으므로 패션전공자에게 제공되는 창업관련 교과 혹은 비교과 프로그램이나 창업지도를 위한 교육 등은 재학생의 창업교육 관심을 높이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대학 뿐 아니라 정부 및 지자체와 공공기관이 제공하는 다양한 창업관련 교육지원도 역시 청년들의 창업교육 관심을 향상시키는데 기여 할 것이다.

둘째, 패션전공자들은 창업교과목 수강여부에 따라 창업의지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창업교과목 수강경험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창업교육의 효과를 설명하려는 목적을 달성하지 못한 결과라고 하겠다. 창업교육이 창업의지를 높이는지를 확인하려면 한 두 과목의 창업교과목 수강여부보다는 각종 창업경험의 빈도나 기간 등의 좀 더 깊은 관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각종 창업관련 교육에 노출된 정도에 따른 차이나 창업교육 프로그램 참가자의 전후 집단 비교(Maresch et al., 2016; Rauch & Hulsink, 2015)와 같이 좀 더 명확하게 설계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셋째, 패션관여는 패션전공자의 창업의지와 창업교육 관심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옷과 패션에 대한 열정이 있는 학생일수록 창업의지와 창업교육에 관심이 높고, 패션감각에 민감한 학생은 창업교육에 관심이 높다는 점에서 패션관여는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고 할 수 있겠다. 패션관여는 패션관련 경험적 지식과 기술의 결과에서 얻을 수 있는 패션역량이므로(Lee & Lee, 2018) 패션창업에서 특정한 직무에 뛰어난 성과를 만들어주는 지식, 기술, 능력으로서 창업관련 개인역량이라고 할 수 있겠다(Seo, 2013). 이는 패션관여가 창업관련배경요인으로 사용될 가능성을 확장하는 결과라는 점에서 패션창업에 관심이 많거나 창업을 준비하는 패션전공자들에게 고무적인 결과라고 할 수 있겠다.

넷째, 심리적 특성은 창업의지와 창업교육 관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성취지향 자기 효능감이나 위험 감수성, 혁신성은 시장 변화를 빠르게 예측해서 대응할 수 있는 개인의 심리적 특성이기 때문에 성공을 위한 창업가의 특성이라고 간주되었다(W. Kim, 2016; Lee, 2014). 이는 성취지향 자기 효능감이 높고, 위험감수성이나 혁신적인 특성이 높은 학생들에게 창업관련 활동을 독려하거나 창업 마인드를 향상시키는 창업관련 교육을 제공하는 등 창업맞춤 상담 및 지도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결과라고 하겠다. 또는 창업의지를 높일 수 있는 자신의 긍정적인 성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미리 발견하도록 학생들을 지도하기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패션전공자의 성별과 나이, 가족의 창업경험은 패션전공자들의 창업의지와 창업교육관심과 긍정적인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인구통계적인 특성과 가족의 창업경험이 패션전공자들의 창업의지와 창업교육 관심을 설명하는 창업관련 배경요인으로서 의의 있는 변수임을 확인하는 결과라고 하겠다. 그러나 조사대상인 패션관련 학과생의 대부분이 여성이란 점을 반영해서 응답자의 성별 집단의 크기를 고려한 표집이 아니라는 한계나 나이의 영향력을 뚜렷하게 보기 위해 조사 대상을 확대하지 못한 한계도 있다. 이외에도 특정 대학을 편의 표집해서 자료를 수집했다는 지역적 한계로 인해 해석의 일반화에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창업교육 과정이 다르거나 전공이 서로 다른 집단의 창업의지나 창업관련 활동비교를 통해 창업교육의 효과를 밝히거나 창업의지에 영향력 있는 개인역량의 차이를 통해 패션전공자의 차별화된 창업역량을 밝히기 위한 후속연구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20년도 광주대학교 대학 연구비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

References

  • Altinay, L., Madanoglu, M., Daniel, R., & Lashley, C. (2012). The influence of family tradition and psychologycal traits on entrepreuerial inten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Hospitality Management, 31(2), 489-499. [https://doi.org/10.1016/j.ijhm.2011.07.007]
  • An, S.-K. (2016). Effect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institutional support 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4021580
  • Asraf, R. M. & Khan, Z. J. Y. (2017).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students. Advanced Sciences Letter, 23(8), 7948-7951. [https://doi.org/10.1166/asl.2017.9616]
  • Bang, J., Park, S., & Shin, J. (2014). Exploratory study on perceived critical sucess factors for young entrepreneurs in the early startup stage.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9(5), 247−254.
  • Chang, S. & Lee, J. (2014). An empirical study of students' start-up activities: Integrated approach of student-focused cognitive model and supportive activities of university.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9(4), 65-76. [https://doi.org/10.16972/apjbve.9.4.201408.65]
  • Choi, J. H. (2014). Awareness of fashion-related department of college students of entrepreneurship. Proceedings of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Winter Conference, Republic of Korea, 104.
  • Choi, M. & Park, E. (2012). A study on the effects of you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Focused on the undergraduate students in culture·tourism entrepreneurship. The Korea Academic Society Of Tourism and Leisure, 24(5), 201-220.
  • Choi, S.-Y. (2017). An empirical study of effects of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and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Focusing of the moderating effect of entrepreneurial mentoring program by entrepreneurship majo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4561293
  • Espiritu-Olmos, R. & Sastre-Castillo, M. A. (2015). Personality traits versus work value: Comparing psychological theorie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8(7), 1595-1598. [https://doi.org/10.1016/j.jbusres.2015.02.001]
  • Farashah, A. D. (2013). The process of impa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training on entrepreneurship perception and intention: Study of educational system of Iran. Education and Training-London then Bradford-, 55(8-9), 868-885. [https://doi.org/10.1108/ET-04-2013-0053]
  • Han, S. K. (2016). A Study on the impact of personal characteristics on entrepreneurship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4021038
  • Han, Y. J. (2018, April 4). 1 in 10 job seekers, “Preparing for business instead of getting a job” [취준생 10명 중 1명 "취업대신 창업 준비 중"]. Fnnews. Retrieved from http://www.fnnews.com/news/201804060832357257
  • Hong, H. S. & Seol, B. M. (2013). Effect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students' business incubation club on youth start-ups.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8(2), 141-151. [https://doi.org/10.16972/apjbve.8.2.201306.141]
  • Hong, J.-P. & Yang, H.-S. (2014). A study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determinants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11), 141-157. [https://doi.org/10.14400/JDC.2014.12.11.141]
  • Hong, M. S. (2017). Validation of the Korean Passion Scale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4593522
  • Jeong, H.-Y. (2018). Basic research for designing start up business education in fashion design related departments.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20(2), 89-100. [https://doi.org/10.30751/kfcda.2018.20.2.89]
  • Jeong, Y. & Cho, S.-E. (2013).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university students' intention for new business startups: Implications for education program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Entrepreneurship Society, 8(1), 57-73.
  • Jung, Y.-W. & Bahn, S. S. (2008). A study on the teenager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Journal of the Korean Entrepreneurship Society, 3(1), 45-67.
  • Kang, S. J. & Byun, S. H. (2017).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re-founders, characteristics of start-up preparations impact on entrepreneurship intention.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2(4), 85-96. [https://doi.org/10.16972/apjbve.12.4.201708.85]
  • Kim, D. H. (2017, September 25). Let's change fashion education now: study abroad or start up rather than work [패션 교육 이제 좀 바꿔봅시다: 취업보다는 유학ㆍ창업 진로 바뀌어]. Apparelnews. Retrieved from http://www.apparelnews.co.kr/news/news_view/?idx=167781&cat=CAT900
  • Kim, H. J. (2016). The effect of fashion interest and media interest on PPL attitude and consumer reaction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4164762
  • Kim, S. K. & Kim, M. Y. (2016). The effect of global marketing capabilities on export outcomes of korean startup firm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6(8), 109-122. [https://doi.org/10.7233/jksc.2016.66.8.109]
  • Kim, W. J. (2016). Th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and strategic orientation on the firm performanc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digital literacy and learning orientation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4170677
  • Kim, Y. J., Park, G. I., & Lee, K. M. (2014). Find the success DNA of a young entrepreneur [청년 창업가의 성공 DNA를 찾아라]. Trade Focus, 13(58), 1−34. Retrieved from https://www.kita.net/cmmrcInfo/rsrchReprt/rsrchReprt/rsrchReprtDetail.do?pageIndex=1&no=1233&classification=3
  • Lee, G. & Lee, Y.-J. (2018). An Exploratory Study on Defining the Concept of ‘Fashion Sense’ to Identify Competenc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42(4), 639−656. [https://doi.org/10.5850/JKSCT.2018.42.4.639]
  • Lee, G. (2012). A study on the effect of person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 to entrepreneurship and business performance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2684181
  • Lee, J. H. (2013). A study on the ways to vitalize students' entrepreneurship.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8(2), 63-74. [https://doi.org/10.16972/apjbve.8.2.201306.63]
  • Lee, J. H. (2014). Status of youth entrepreneurship in korea.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9(6), 1-8. [https://doi.org/10.16972/apjbve.9.6.201412.1]
  • Lee, J.-S. (2015).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820526
  • Lee, K. & Hwang, S. (2016). Effects of person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in fashion schools in Korea on their entrepreneurial intention: Focusing on the regulation effect of business foundation efficacy. Design Forum, 50, 129-144. [https://doi.org/10.21326/ksdt.2016..50.011]
  • Lee, S. B. (2017). An analysis on the critical startup success factors in small-sized venture businesses.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2(3), 53−63.
  • Lee, Y. H., Hong, K. P., & Park, S. H. (2015).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the successful establishment of venture companies: With priority given to domestic articles between 1998 and 2014.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0(6), 15−26. [https://doi.org/10.16972/apjbve.10.6.201512.15]
  • Maresch, D., Harms, R., Kailer, N., & Wimmer-Wurm, B. (2016). The impa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students in science and engineering versus business studies university programs. Technological Forecasting Social Change, 104, 172-179. [https://doi.org/10.1016/j.techfore.2015.11.006]
  • Marques, C. S., Ferreira, J. J., Gomes, D. N., & Rodrig, R. G. (2012). Entrepreneurship education: How psychological, demographic and behavioural factors predict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Education and Training-London Then Bradford-, 54(8-9), 657-672. [https://doi.org/10.1108/00400911211274819]
  • Moriano, J. A., Gorgievski, M., Laguna, M., Stephan, U., & Zarafshani, K. (2012). A cross-cultural approach to understanding entrepreneurial intention.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39(2), 162-185. [https://doi.org/10.1177/0894845310384481]
  • Oh, H. D., Choi, J., & Noh, J. P. (2016). The effect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entrepreneurship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Moderating effect of Hofstede's cultures dimensions.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1(2), 35-48. [https://doi.org/10.16972/apjbve.11.2.201604.35]
  • Oh, H. J. (2018).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success of fashion retail start-up by young entrepreneu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42(1), 133−147. [https://doi.org/10.5850/JKSCT.2018.42.1.133]
  • Park, H.-J. & Park, S.-H. (2012). The effects of fashion involvement on self-satisfaction by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y group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6(11), 1162-1173. [https://doi.org/10.5850/JKSCT.2012.36.11.1162]
  • Rauch A. & Hulsink, W. (2015) Putt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where the intention to act lies: An investigation into the impa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entrepreneurial behavior. Academy of Management Learning and Education, 14(2), 187-204. [https://doi.org/10.5465/amle.2012.0293]
  • Seo, J. h. (2013). A Study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by college students' individual, experienti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s (Master's thesis, Hanbat Nation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093718
  • Son, M. Y. (2019). Study on success factors of startup with limited capital: Focused on on-line fashion sto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9(1), 109-126. [https://doi.org/10.7233/jksc.2019.69.1.109]
  • Yi, B. Y. & Oh, K. W. (2010). A study on the operation realities of the teenager internet shopping malls and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2(2), 115-131.
  • Yoon, B.-S. (2004). Determinants of entrepreneurial intention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factors. Korean Business Review, 17(2), 89-110.
  • Yun, S. J. (2017). Research on 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s of fashion startup brands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4508075

<Table 1>

Background Experience and Demographics of Respondents

Category N %
Gender female 200 77.5%
male 58 22.5%
Family start-up experience yes 78 30.2%
no 180 69.8%
Entrepreneurship course yes 141 54.7%
no 117 45.3%
Age 19 14 5.4%
20 45 17.4%
21 47 18.2%
22 74 28.7%
23 50 19.4%
24 12 4.7%
25 9 3.5%
over 26 6 2.8%

<Table 2>

Factor Analysi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terest(EEI)

Factor Measurement item Factor loading Eigen value Variance% (Cumulative Variance%) Cronbach’s α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terest I will participate in the future if the school or a non-school organization runs a start-up program. .874 3.863 64.375 .888
I'm interested in education for start-up business .835
I have a desire to know enough about starting a business. .829
Entrepreneurship education will help my future career plan. .810
I think that entrepreneurship education needs to be opened as a major subject. .751
I believe that entrepreneurship education is necessary to cultivate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701

<Table 3>

Factor Analysis of Entrepreneurial Intention(EI)

Factor Measurement item Factor loading Eigen value Variance% (Cumulative Variance%) Cronbach’s α
Entrepreneurial Intention I take the idea of starting a business very seriously. .936 4.077 81.530 .943
I have a strong will to start a business. .934
I will start a business in the near future. .898
I will make every effort to run my own independent business .889
I prefer to start my own business for my future. .855

<Table 4>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 of EI on EEI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s β t Adjusted R2 R2 F
***p<.001
EI EE .723 16.733*** .521 .522 279.988***

<Table 5>

Factor Analysis of Psychological Traits

Factor Measurement item Factor loading Eigen value Variance% (Cumulative Variance%) Cronbach’s α
Achievement-Oriented Self-Efficacy If I try, I can solve difficult things. .731 8.848 26.591
(26.591)
.911
I'm good at solving difficulties. .727
When something difficult happens, I try to solve it with all my strength. .727
I have a willingness to do it even if it feels a bit difficult. .696
I plan what I want to do and try to achieve it. .694
I am convinced that I can achieve most of my plans. .663
I work with passion for everything .658
I have the confidence to carry out my work successfully. .608
Risk-Taking Propensity I tend to try new things through pain. .791 1.429 20.509
(47.099)
.877
I like new and challenging things, even though it is somewhat dangerous. .772
I take risks and actively act on environmental changes. .759
I have no fear of new challenges. .563
I think to be brave and aggressive in the face of a bit reckless to explore potential opportunities. .563
Innovativeness I try to be innovative and creative in any situation. .766 1.133 20.020
(67.119)
.842
I have creativity and innovation to sense new opportunities. .763
I constantly have new challenges and creative ideas. .762
I believe that I have enough strength to calm my mind even if something difficult happens. .534

<Table 6>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 of Psychological Traits on EI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s β t Adjusted R2 R2 F
***p<.001
EI Psychological traits risk-taking propensity .396 7.409*** .266 .274 31.987***
innovativeness .282 5.294***
achievement-oriented self-efficacy .195 3.640***

<Table 7>

Differences in EI according to Background Experience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Variable Category EI
Group N Mean t
*p<.05, ***p<.001
Background Experience Entrepreneurship course attendance yes 141 16.673 1.898
no 117 15.529
Family entrepreneurial tradition yes 78 17.807 3.696***
no 180 15.438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female 200 15.765 -2.425*
male 58 17.500

<Table 8>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 of Age on EI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s β t Adjusted R2 R2 F
**p<.01
EI Age .178 2.886** .028 .032 8.328**

<Table 9>

Factor Analysis of Fashion Involvements

Factor Measurement item Factor loading Eigen value Variance% (Cumulative Variance%) Cronbach’s α
Factor 1 Fashion Passion I am passionate about clothes and fashion activities. .851 6.484 27.772
(27.772)
.924
I have a big passion for clothes and fashion. .844
I like clothes and fashion activities. .806
I spend a lot of time and energy on activities related to clothes and fashion. .786
Factor 2 Fashion Sensibility I have clothes and ornaments like accessories. .776 1.310 26.023
(53.795)
.828
I buy clothes that match colors and designs. .756
I think of coordinating with other clothes when buying clothes. .749
I wear bags, shoes and accessories differently to suit my clothes. .677
I often imagine how others would evaluate my attire. .594
Factor 3 Fashion Trend Interest Fashionable dressing is very important. .887 1.002 19.509
(73.304)
.844
I shop often to see new trends. .802
I am interested in fashion items and fashion brand information. .682

<Table 10>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 of Fashion Involvements on EI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s β t Adjusted R2 R2 F
*** p<.001
EI Fashion Involvement fashion passion .307 5.170*** .096 .107 10.103***
fashion sensibility .033 .539
fashion trend interest .107 1.810

<Table 11>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 of Psychological Traits on EEI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s β t Adjusted R2 R2 F
*** p<.001
EEI Psychological Traits achievement-oriented self-efficacy .373 7.285*** .327 .335 42.631***
risk-taking propensity .371 7.260***
innovativeness .241 4.703***

<Table 12>

Differences in EEI according to Background Experience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Variable Category EEI
Group N Mean t
*p<.05, **p<.01
Background Experience entrepreneurship course attendance yes 141 22..815 2.338*
no 117 21.615
family entrepreneurial tradition yes 78 23.474 3.124**
no 180 21.750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female 200 21.965 -2.223*
male 58 23.327

<Table 13>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 of Age on EEI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s β t Adjusted R2 R2 F
**p<.01
EEI Age .181 2.944** .029 .033 8.667**
 

<Table 14>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 of Fashion Involvements on EEI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s β t Adjusted R2 R2 F
***p<.001
EEI Fashion Involvement fashion passion .323 5.614*** .147 .157 15.797***
fashion sensibility .224 3.887***
fashion trend interest .051 .8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