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Articl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ol. 72, No. 1, pp.102-117
ISSN: 1229-6880 (Print) 2287-7827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28 Feb 2022
Received 31 Jan 2022 Revised 14 Feb 2022 Accepted 17 Feb 2022
DOI: https://doi.org/10.7233/jksc.2022.72.1.102

중국 남성복 패션에 나타난 젠더 뉴트럴 디자인

SHAN XIN ; 유영선
경희대학교 의상학과 석사
경희대학교 의상학과 교수
Gender Neutral Fashion Design in Chinese Menswear
SHAN XIN ; Youngsun Yoo
Master,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Kyung Hee University
Professor,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Kyung Hee Univerisity

Correspondence to: Youngsun Yoo, e-mail: ysyoo@khu.ac.kr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comprehensive methods of expressing gender neutral fashion trends to support designers' practical design thinking in Chinese menswear. For cases study emphasizing the practical design methods, an analysis framework was developed from a literature review. Gender neutral menswear fashion in China was classified into deconstructive, queer, fluid, and pluralistic. In the expression of design elements, the most common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be H silhouette, stiff texture, and associated colors matching. These are presumed to result from gender fluidity, i.e. when the boundary between men and women has become ambiguous. The design methods by type of gender neutral menswear in China were considered. The deconstructive gender neutral fashion was characterized by combining elements previously considered women's wear and menswear, e.g. decorating menswear using materials and details with a womenswear, or combining female symbol color. The queer gender neutral fashion was expressed extreme feminine images in menswear through methods that expose the human body, fit and slim silhouettes, transparent, soft textures or wearing items from womenswear as it is. Fluid gender neutral fashion expressed a combination of tradition and modernity, the use of materials heterogeneous in pattern and texture, and harmony between subculture and high class culture. Pluralistic gender neutral fashion appeared in new forms, exhibiting elements in which prior norms were dismantled and recombin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zeitgeist alongside the gender neutral concept of men and women.

Keywords:

Chinese menswear, gender neutral fashion, menswear design

키워드:

중국 남성복, 젠더 뉴트럴 패션, 남성복 디자인

Ⅰ. 서론

젠더 뉴트럴(Gender neutral)은 2006년 옥스퍼드 사전에 등재된 이래, 패션분야를 비롯한 산업 전반의 주도적 디자인 트렌드가 되고 있다. 그 동안 사회적 관념으로 옷은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며, 정체성을 나타내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간주되어 왔다(Akdemir, 2018). 옷차림에서도 여성이 남성의 옷을 입거나 남성이 여성의 옷을 입는 것이 금기와 같이 자리 잡았으며, 남성복과 여성복은 서로 넘나들 수 없는 경계가 있는 것처럼 이분법적 사고로 구분하였다. 남성 패션에서는 브랜드나 제품명에 맨(Man), 옴므(Homme)와 같은 문구를 사용하였고, 블랙, 그레이, 블루 등의 어두운 컬러들이 남성적 이미지를 상징해 왔다(Hong & Joo, 2020). 여성 패션에서도 꽃무늬나 레이스, 분홍, 노랑, 하얀색 등의 밝은 파스텔 색상들이 여성성을 상징하는 것들이었다.

20세기 초 페미니즘의 영향으로 여성의 활동을 위한 여성복에 남성복 요소가 더해지면서 복장 구분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었고, 20세기 후반에 이르러 젠더의 경계는 더욱 더 모호한 방향으로 지속되었다. 2000년 이후 경제, 사회, 정치적 시대의 변화와 함께 개인의 미적기준, 취향, 성격 등을 다양하게 표현하는 수준이 달라지면서, 새로운 시각으로 성 평등이 주요하게 인식되고 패션디자인 분야의 젠더 뉴트럴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사회적인 흐름의 현상이 패션에 전이되어 다양한 문화 및 성의 관념적인 개념에서 벗어난 창조적이고 자유로운 표현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그동안 젠더 뉴트럴에 대한 연구는 언어 교육과 아동심리, 마케팅 분야에서 주로 다루어져 왔다. 패션디자인 분야에서도 최근 Hong & Joo(2020)의 핑크색과 젠더 뉴트럴 패션이미지 연구, Lee & Kwak(2020)의 현대 패션에 나타난 젠더 뉴트럴 스타일에 관한 연구, Lee & Lee(2021)의 미국 팝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젠더 뉴트럴 패션 특성의 연구에서 젠더 뉴트럴을 본격적으로 다루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에 관한 보수적 인식과 사고를 가지고 있는 중국의 남성복디자인을 중심으로 젠더 뉴트럴 패션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특히 한국이나 중국과 같이 유교문화를 기반으로 한 국가들은 남성과 여성의 역할 구분이 오랜 시간 지속되었고, 사회적 관습과 같이 고착화되어 대중들이 젠더 뉴트럴과 같은 젠더의 역할 변화를 수용하는 것에 상대적으로 소극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럽과 미국 등 서양 문화권에서 트렌드가 되고 있는 젠더 뉴트럴 현상을 파악하여, 중국의 젠더 뉴트럴남성복 디자인을 연구함으로써 중국 남성복 패션의 디자인 발상의 범위확장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데 있다. 연구의 절차는 젠더 관련 선행연구에 나타난 디자인 표현특성과 방법을 탐색하여 분석항목과 틀을 마련하고, 이를 근거로 2018년 SS부터 2021년 FW까지 중국 남성복 디자이너의 작품의 젠더 뉴트럴 디자인 방법을 분석하였다.


Ⅱ. 이론적 고찰

1. 젠더 뉴트럴의 개념

젠더 뉴트럴은 2006년 옥스포드 사전 OED에 신조어로 등록되면서 성 중립적인 태도 및 관점으로 정의되었다(‘Gender neutral’, 2006). 남성과 여성이라는 전통적인 이분법적인 성 역할 및 개념에서 벗어나 중립적 자아로 생각하고자 하는 움직임을 의미한다. 성 평등을 전제로 성별은 물론 성 지향성에 대한 구분을 없애는 방향성에 대한 것이며, 성소수자의 범위도 젠더 뉴트럴 영역에 포함된다. 나아가 성 역할에서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개인의 행복을 더 중시하고, 앞으로의 삶의 방식 및 그게 따르는 구분 역시 희미해질 것이라는 희망을 내포한 개념이다. Chung & Jang(2015)의 연구에서는 남성성과 여성성의 이분화된 젠더 규범 자체를 현실적으로 문제가 있다고 하였으며, 젠더가 특정 사회의 역사적 국면과의 관련성을 자세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고 하였다. Huh & Ha (2018)는 한국의 현대 패션과 젠더 가치관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과거에 비해 성역할 고정관념이 많이 허물어졌으나 아직까지 전통적인 인식이 강하게 남아있다고 보았다. 특히, 한국 젠더 가치관의 특징인 강한 이분법적 고정관념 및 다양한 젠더 가치관이 공존은 한국 사회에서의 젠더 가치관을 윤리적 규범으로 인식하게 하면서 패션이 단순히 취향 및 정체성을 표현하는 수단이 아닌 예의 및 규범 표현으로 인식되어 왔다고 주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젠더 뉴트럴이 성별이 아닌 사람 그자체로 생각하려는 움직임이라는 개념을 기반으로 성별의 제한에서 벗어나 개인의 취향에 집중하는 관점을 가지며, 남녀의 인위적 성별의 구분이 없는 패션스타일을 젠더 뉴트럴 패션으로 정의하고 중국의 남성복 패션에 나타난 젠더 뉴트럴의 방법을 연구하였다.

2. 젠더 뉴트럴 패션 트렌드

Bardey, Ahumba-Wöllenstein, & Chiu(2018)는 의도적으로 젠더 뉴트럴 패션제품의 포장에서 젠더 표식을 생략하는 것만으로도 젠더 뉴트럴 의류가 될 수 있다고 하였다, 이것은 런던의 백화점 셀프리지(Selfridges)의 새로운 팝업 숍 ‘Agender’에서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인 Faye Toogood의 말을 인용하였는데 본질적으로 모든 의복은 남녀공용이며 의류 품목에 성별을 부여하고 지속적으로 레이블을 지정하여 인식 방식을 강화하는 것은 문화와 규범에 의한 것이라 했다.

2021년 봄, 마크 제이콥스(Marc Jacobs), 발렌시아가(Balenciaga)와 스텔라 매카트니(Stella McCartney)의 컬렉션에서는 젠더유동성(Gender-fluid), 유니섹스 또는 폴리섹슈얼(Polysexual) 패션이 주를 이루고 있었고, 젠더 뉴트럴 트렌드를 내세운 주요 브랜드의 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Aileen, 2021). <Fig. 1>은 2021년 마크 제이콥스의 폴리섹슈얼(Polysexual) 패션을 표방한 컬렉션 작품사례이다. 패션제품 유통업체나 미용, 뷰티산업에서도 향이나 색상 등으로 남성용 제품이나 브랜드를 구분하여 성별의 역할 및 모습을 규정하는 마케팅전략이 사라지고 있다. <Fig. 2>는 한국의 스킨케어 브랜드 파나케이아(Panacea)의 광고사진으로 단순히 여성용 화장품으로 알려진 모이스처라이저(Moisturizer)를 남녀 모두 사용할 수 있다고 가정하고 그 신념에 맞게 마케팅 및 제품을 조정하면서 젠더 뉴트럴을 표현하고 있다. 성별, 체형별, 인종별 구분을 필수라고 생각한 패션 산업에서 전통적 이분법에서 벗어나 개인의 취향에 중점을 두는 것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Fig. 3> 나이키의 ‘Women’s just do it’ 광고이다. 이 광고에서는 다양한 운동을 하는 여성이 등장하는데, 기존의 광고들처럼 몸매를 부각하거나 운동과 다이어트를 연관짓는 메시지 등은 찾아볼 수 없으며 운동을 소비하는 다양한 형태의 모습을 보여줌으로서 성별이 가지는 의미에서 벗어나 개인이 가진 취향에 집중하고 있다(Choi, 2019). 이와 같은 경향은 앞으로도 지속되고 있는 추세로 예측된다.

<Fig. 1>

Marc Jacobs(Johnson, 2020)

<Fig. 2>

Panacea(Driver, 2019)

<Fig. 3>

Nike(Choi, 2019)

3. 젠더 관련 패션 특성 선행연구

남성복 패션 측면에서 젠더 뉴트럴 디자인특성을 알아보고자 젠더관련 선행연구들을 고찰 하였다. Jung(2015)의 젠더 관련연구에서는 다원성, 상호연관성, 탈재현성으로 나누어 표현양상을 의미의 복합성과 고정관념의 해체, 시대적 상호텍스트성과 이분법의 부재, 신체 구조의 해체와 제 3의 성 등장으로 분류하였다.

Kim & Yim(2015)은 주디스 버틀러(Judith Butler)의 젠더 정체성 이론을 고찰하여 남성의 측면에서 젠더 특성을 전통적 남성성, 저항적 남성성, 해체적 남성성으로 나누었다. 이것을 다시 여성적인 요소로 완화된 전통적 남성성, 마초적 남성성과 관능적 남성성으로 나타난 저항적 남성성, 전통적성 개념에 대한 사고방식을 거부하고 개인의 정체성을 표현하는 해체적 남성성으로 다시 구분하였다. Kim & Lee(2016)는 젠더리스 표현 특성에 대하여 역사성, 관능성, 과장성, 유희성, 절충성 등으로 정리하였다. Chung, Yim, & Suh(2018)는 남성이 여성 전유 복식의 착용을 통해 일탈을 표현하고, 타인의 몸에서 표현된 여성의 외양을 모순으로 젠더 뉴트럴을 정의하였다. Yu & Chun(2020)은 알렉산드로 미켈레의 캠프 미학 연구에서 먼저, 과장성과 젠더 모호성, 팝 캠프 유형으로 구분하여 각 각의 구분에서 나타나는 특성은 과장성 유형에서는 레트로성, 서사성, 극단성으로 분류하였고, 두 번째 기준인 젠더 모호성 유형에서는 해체성과 퀴어성이라는 특성을 나누었고, 세 번째 기준인 팝 캠프 유형에서는 통속성, 패러디성으로 분류하였다.

다음 <Table 1>은 젠더 관련 선행연구에서의 디자인 특성을 정리한 것이다.

Summary of the Gender-related Design Characteristics in Previous Studies

Huh & Ha(2018)는 현대패션이 이분법적인 젠더 가치관이 해체되는 과정에서의 변화를 드러내는 장이라고 하고, 젠더는 패션과 관련되어 많은 담론을 생산하는데 영향력이 컸다고 하였다. 한 인간이 겪어온 다양한 문화적 의미도 젠더관련 패션의 담론에 고려해야할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근거로 한 젠더 뉴트럴의 특성 유형을 해체성(Deconstruction), 퀴어성(Queerness), 유동성(Fluidity), 다원성(Pluralism)으로 구분하고, 이들 특성에 남성과 여성의 젠더 특성과 함께 과거, 현재의 인간 삶의 바탕이 되는 문화적 특성과의 관련성이 포함되고 있다는 점도 고려하여 중국 남성복에 나타난 젠더 뉴트럴의 남성복디자인의 방법적 특성연구를 진행하였다.


Ⅲ. 연구 방법

1. 연구 방법과 범위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병행하였다. 사례 수집은 먼저 포털사이트에서 ‘중국 젠더 뉴트럴’, ‘chinese gender neutral’의 키워드를 사용한 검색으로 중국 젠더 뉴트럴 남성복 패션사례들을 수집하였고, 수집된 사례들의 남성복디자이너의 이름으로 다시 VOGUE(https://www.vogue.com/)와 관련 사이트에서 사례들을 추가 수집하였다. 사례수집 시간적 범위는 수집된 사례들의 디자이너들의 수가 가장 많아진 2018년 S/S부터 2021년 F/W까지 4년간으로 하였고, 선정 범위는 이론적 고찰에서 정리된 젠더 뉴트럴 패션의 네 가지 특성 중 하나만 가지고 있어도 선정되었다. 사례선정에는 5인의 전문가집단 모두가 동의한 것으로 선정하였고, 최종적으로 파리, 런던, 뉴욕, 베이징, 상하이 등의 패션 위크에서 나타난 젠더 뉴트럴 남성복 총 223개가 선정되었다. 선정된 사례들의 디자이너들은 Pronounce, Private Policy, Xander Zhou, Calvin Luo, Sankuanz, Feng Chen Wang으로 확인되었다.

2. 분석 항목

본 연구에서는 젠더 뉴트럴 남성복 패션의 표현 방법 분석항목을 설정하기 위해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였다.

앞장 2절에서 선행연구를 근거로 한 젠더 뉴트럴의 특성 유형을 해체성(Deconstruction), 퀴어성(Queerness), 유동성(Fluidity), 다원성(Pluralism)으로 구분하였고, 이를 근거로 본 연구에서는 중국 남성복 젠더 뉴트럴 패션을 해체적 젠더 뉴트럴 패션(Deconstructive gender neutral fashion), 퀴어 젠더 뉴트럴 패션(Queer gender neutral fashion), 유동적 젠더 뉴트럴 패션(Fluid gender neutral fashion), 다원적 젠더 뉴트럴 패션(Puralistic gender neutral fashion)으로 분류하였다. 해체적 젠더 뉴트럴 패션은 전통적 개념의 남성복과 여성복의 형태나 디테일, 또는 패션 이미지들의 전체 또는 일부가 해체되고 재조합된 것이다(Lee, Byun, & Lee, 2006). 퀴어 젠더 뉴트럴 패션은 남성과 여성의 패션 개념을 극단적으로 혼재시킨 모호함을 보여주면서, 젠더의 자연화에 의문을 제시하는 탈자연화를 나타내는 것이다(Yu & Chun, 2020). 유동적 젠더 뉴트럴 패션은 남성과 여성 이미지의 이질적 요소를 절충하여 남성과 여성의 이미지가 상황에 다라 유동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에는 다양한 양식들을 혼합하여 절충적으로 표현되고, 복식을 착용하는 인간의 정체성과 사회 문화적 범주 및 시대적 맥락을 포괄한다(Kim, 2007). 다원적 젠더 뉴트럴 패션은 성적 경계와 복식이 가진 한계성을 벗어난 상상력의 혼합으로 새로운 형태로 표현된 것이다. 다원성은 기존의 권위적이고 몰개성적인 스타일을 거부하며 민주적이고 자유분방한 방식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Moon, 2004). 즉, 디자이너의 창의적 사고로 소재의 왜곡 및 혼합, 의도적인 부조화의 배치 등으로 이전에 존재하지 않았던 과장된 패션스타일로 표현된다.

젠더 뉴트럴 남성복 디자인 구성요소의 분석 항목들도 선행연구를 통하여 도출하였다. Lee(2010)는 20세기 한국 남성 성역할에 따른 남성복 디자인 변화 특성 연구에서 Y, H, X, 슬림한 H실루엣으로 분류하였다. Jang(2015)은 현대 남성복 컬렉션에 나타난 앤드로지너스룩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에서 실루엣을 Fitted & Slim, Princess , Bulk, Tent로 분류하였다. Kim & Lee(2018)는 남성복 컬렉션 연구에서 남성 패션의 실루엣으로 H, I, X, Y실루엣으로` 분류하였다. 이를 근거로 본 연구에서는 실루엣 분석항목을 H, I, X, Y, A형 실루엣으로 하였다.

소재 표현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본 결과, Lee(2010)는 무겁고 거친 직물, 뻣뻣한 소재, 올이 굵은 소재, 무거운 트위드, 모직, 비치지 않는 재질, 표면질감이 균일한 재질로 구분하였다. Jang(2015)은 니트, 가죽, 실크(오간자), 레이스, 메시, 모피, 기타 등 7가지로 분류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Kim & Lee(2018)는 뻣뻣한(Stiff), 부드러운(Soft), 광택있는(Glossy), 투명한(Transparent)의 텍스추어 분류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젠더 이미지를 표현하는데 텍스추어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Kim & Lee(2018)의 텍스추어 분류를 분석항목으로 사용하였다.

Park & Lee(2013)는 패션제품 광고의 색채 배색에 대한 연구에서 배색 기법의 도구로 단색 배색, 유사색 배색, 보색 배색, 톤 온 톤 배색, 톤 인톤 배색의 5가지로 분류하였다. Kim & Yoo(2021)는 남성복 디자인에 표현된 꽃 이미지에 관한 연구에서 단색배색, 유사색 배색, 대조색 배색, 엑센트 배색으로 분류하였다. Lee & Kwak(2020)은 젠더 뉴트럴의 패션 연구에서 비비드 색상 및 화려한 색상, 파스텔 색상, 무채색 등이 혼재한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Kim & Yoo(2021), Park, & Lee(2013)의 두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배색을 중심으로 한 단색간의 배색(Associated colors), 유사색 배색(Analogous colors),삼원색을 기반으로 한 악센트 배색(Triadic colors),대조색 배색(Complementary colors)을 분석항목으로 하였다. 이상의 분석항목은 <Table 2>로 정리하였다.

Analysis Items


Ⅳ. 중국 젠더 뉴트럴 남성복 패션 사례 분석 결과

1. 중국 젠더 뉴트럴 남성복 패션 유형 분포

다음 <Fig. 4>는 2018년 S/S부터 2021년 F/W까지 중국 젠더 뉴트럴 남성복 패션 유형들의 사례 출현 빈도 분포도이다.

<Fig. 4>

2018 S/S~2021 F/W China Menswear Share Distribution by Gender Neutral Fashion Type

전반적인 사례 출현 빈도 분포도를 살펴보면, 유동적 젠더 뉴트럴 패션이 105개(47.1%)로 압도적으로 많이 나타났고, 해체적 젠더 뉴트럴 패션이 47개(21.1%), 다원적 젠더 뉴트럴 패션이 42개(18.9%), 퀴어 젠더 뉴트럴 패션이 29개(13.0%)의 순으로 나타났다. 젠더 뉴트럴 유형 중 유동적 젠더 뉴트럴 유형이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는데, 젠더 뉴트럴 패션이 성 중립적 사고로 남성복과 여성복의 구분이 착용자의 성별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대표적 특성으로 나타났다는 것과 관련된 것이며, 전통과 현대의 결합, 혹은 문양 및 질감 등, 이질적 문화요소가 조합되어 표현하는 것에 대한 디자이너의 선호 및 관심이 높았기 떄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중국 디자이너들은 중국의 전통문화를 패션트렌드에 담아 디자인에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2. 중국 젠더 뉴트럴 남성복 패션 유형의 디자인 구성요소 분석

1) 실루엣

<Fig. 5>는 중국 젠더 뉴트럴 남성복 디자인 유형별 실루엣 출현빈도 분석결과이다.

<Fig. 5>

Analysis of the Frequency of Silhouettes Appearance by Gender Neutral Menswear Type Design In China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H형 실루엣이 97개 (43.5%)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어서 X형 실루엣이 55개(24.7%), I형 실루엣이 31개(13.9%), Y형 실루엣이 26개(11.7%), A형 실루엣이 14(6.3%) 순으로 나타났다. H형 실루엣은 어깨 폭이 좁고 가슴이 평평하고 허리나 힙이 드러나지 않은 실루엣을 의미하는 것으로 남녀를 구분하지 않은 성 중립적 개념의 실루엣이라 할 수 있으며, 젠더 뉴트럴 패션 유형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이유도 같은 이유인 것으로 사료된다. 젠더 뉴트럴 패션 유형 별로 실루엣 출현 양상을 살펴보면, 퀴어 젠더 뉴트럴 패션을 제외한 해체적, 유동적, 다원적 젠더 뉴트럴 패션에서 H형 실루엣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퀴어 젠더 뉴트럴 패션 유형은 X형 실루엣이 가장 많이 나타났는데 이는 남성의 신체에 허리를 강조하는 여성적 실루엣을 도입하여 극단적 성의 모호성을 보여주는 퀴어 젠더 뉴트럴의 특성으로 인한 것이다. X형 실루엣은 해체적 젠더 뉴트럴 패션에서도 두 번째로 많이 나타났다. 해체적 젠더 뉴트럴 패션에서는 H형 실루엣이 24개(51.1%)로 해당 유형의 5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나 X형 실루엣도 16개(34.0%)로 비중있게 나타났다. 이는 남성과 여성의 신체구조나 의복디자인 구성요소를 해체하여 재구성한 해체적 젠더 뉴트럴 패션특성 때문이다. 즉, 여성적 신체를 표현하는 개념이 포함된 X형실루엣이 활용된 것이다. 유동적 젠더 뉴트럴 패션에서도 H형 실루엣이 51개(48.6%)로 거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었고 이어서 X형 실루엣 23개(21.9%)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젠더 뉴트럴 패션에 나타난 실루엣 양상의 특징은 여성복에서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실루엣이 등장하였다는 점이며 특히 소수이기는 하나 남성복에서 거의 볼 수 없었던 A형 실루엣이 나타났다는 것이다. 이는 남성복과 여성복의 디자인방법도 중립화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2) 텍스추어

젠더 뉴트럴 남성복 패션의 소재 분석은 텍스추어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Fig. 6>은 중국 젠더 뉴트럴 남성복 패션 유형에 따른 텍스추어 출현빈도 분석결과이다.

<Fig. 6>

Analysis of the Frequency of Textures Appearance by Gender Neutral Menswear Type Design In China

전반적인 분석 결과는 뻣뻣한 텍스추어가 113개(50.7%)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이어서 부드러운 텍스추어가 62개(27.8%), 광택있는 텍스추어가 28개(12.6%), 투명한 텍스추어가 20개(8.9%)의 순으로 나타났다. 젠더 뉴트럴 남성복 패션 유형별 텍스추어 출현빈도 양상을 살펴보면, 뻣뻣한 텍스추어가 퀴어 젠더 뉴트럴 패션을 제외하고 나머지 세 유형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 퀴어 젠더 뉴트럴 패션은 부드러운 텍스추어가 16개(55.2%)로 전체의 과반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는 남성과 여성의 이미지를 극단적으로 혼합하는 퀴어의 특성으로 여성성을 상징하는 부드러운 소재를 시용한 것으로 추측된다. 광택있는 텍스추어도 다른 유형에서는 세 번째 순위로 나타난 것이나 퀴어 유형에서는 두 번째 순위를 차지하고 있었고, 투명한 텍스추어의 경우도 다른 유형에서의 분포를 비교 해볼 때 가장 많이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이 역시 적극적인 여성이미지의 도입을 위하여 여성적 이미지로 상징되는 부드러운, 광택있는, 투명한 텍스추어의 소재를 도입한 것으로 사료된다. 유동적 젠더 뉴트럴 패션은 뻣뻣한 텍스추어가 60개(57.1%)로 과반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나 여성적 이미지인 나머지 텍스추어의 유형과의 분포 비율을 감안했을 때, 성 중립을 의미하는 젠더 뉴트럴 양상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다원적 젠더 뉴트럴 패션유형의 경우는 뻣뻣한 텍스추어가 29개(69.1%)로 여성적 이미지인 나머지 텍스추어들보다 우위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것은 다양한 젠더관련 특성으로 새로움을 추구하는 디자이너의 발상이 발현되어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3) 색채

<Fig. 7>은 중국 젠더 뉴트럴 남성복 패션 색채 배색방법 출현 빈도 분석결과이다.

<Fig. 7>

Analysis of the Frequency of Color Matching Methods Appearance by Gender Neutral Menswear Type Design In China

색상환의 인접한 단색간의 배색이 84개(37.7%)로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어서 유사색 배색이 58개(26.0%), 삼원색을 사용한 엑센트 배색이 41개(18.4%), 대조색 배색이 40개(17.9%) 순으로 나타났다. 젠더 뉴트럴 패션 유형별 분석 결과는 모든 유형에서 단색배색이 제 1순위로 나타났으나 두 번째 순위의 배색이 상이하게 나타났다는 점이 주목할 만한 특징이다. 먼저 해체적 젠더 뉴트럴 패션은 1순위의 단색 배색 21개(44.7%)와 함께 대조색 배색 13개(27.6%)와 유사색 배색 10개(21.3%)이 고르게 나타났다. 이점은 유동적 젠더 뉴트럴유형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남성과 여성 의복의 형태나 이미지를 활용하여 특성이 나타난 두 유형의 디자인 특징과 관련된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다만 유동적 젠더 뉴트럴 패션은 엑센트 배색이 23개(21.1%)로 다른 유형에 비해 비중있게 나타났는데 이는 유동적 젠더 뉴트럴이 문화적 요소와 결합된 특성과 관련된 것으로 보이며 문화요소에는 역사와 지역 문화와 관련된 문양의 조합으로 삼원색을 중심으로 한 엑센트 배색이 나타난 것과 연관된 것으로 사료된다. 다원적 젠더 뉴트럴 패션에서도 엑센트 배색 13개(30.9%)이 많이 나타났으나 다른 유형에 비해 대조색 배색 2개(4.8%) 가 현저하게 적게 나타났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중국 젠더 뉴트럴 남성복 패션 유형별 색채 출현빈도의 분석 결과는 해체적 젠더 뉴트럴 유형, 퀴어 젠더 뉴트럴 유형, 유동적 젠더 뉴트럴 유형, 다원적 젠더 뉴트럴 유형은 모두 단색 배색이 가장 많았다.


V. 중국 젠더 뉴트럴 남성복 패션디자인 표현 방법과 특성 논의

1. 성 구분 이미지의 해체와 재구성

중국 디자이너의 젠더 뉴트럴 남성복 패션에서는 기존의 여성복의 아이템이나 여성적 옷 스타일 그리고 여성적 이미지로 간주 되어 온 색상이나 소재 등, 성 구별 이미지의 이분법적 사고를 해체하고 그것을 디자이너의 감성이나 창의성으로 재조합한 디자인들로 나타났다. 이는 서구의 젠더 관련 패션디자인에도 같은 방식으로 나타난 부분이다. 중국의 디자이너들도 중국의 보수적 사회 관념에서 벗으나 젠더를 초월한 디자인을 추구하고 있었고 이것이 젠더 뉴트럴 디자인을 주도하는 방식으로 등장하였다. <Fig. 8>은 중국 패션브랜드 Pronounce의 디자인이다. 전통적 유니섹스 모드의 코트 형태에 절반은 남성복 이미지의 형태, 색상, 소재를 사용하였고, 나머지 절반은 여성적 이미지의 코트 형태와 색상(핑크)을 사용함으로써 전체적인 실루엣은 X 형으로 해체적 젠더 뉴트럴 디자인을 재조합하고 있다. <Fig. 9>는 Feng Chen Wang의 디자인으로 전통적인 남성복의 워크 웨어와 여성적 이미지를 대표적으로 상징하는 핑크 색상을 조합함으로써 이질적 복종 아이템과 색상을 조합하여 해체적 젠더 뉴트럴 디자인을 보여주고 있다. 핑크색은 젠더 뉴트럴 디자인에서 자주 활용되는 색상으로 워크웨어의 거친 이미지에 여성적 실루엣을 적용하여 젠더 유동화를 표현하였다. <Fig. 10>은 Calvin Luo의 디자인으로 여성적 디테일인 리본장식과 남성적 이미지의 팬츠를 조합하여 젠더 뉴트럴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다.

<Fig. 8>

Pronounce 2020 FW(Lofficiel, n.d.-a)

<Fig. 9>

Feng Chen Wang 2018 SS(Vogue, n.d.-a)

<Fig. 10>

Calvin Luo 2019 FW(Vogue, n.d.-b)

<Fig. 11>은 Staffonly의 디자인으로 클래식한 더블버튼의 남성스타일 코트에 여성적 이미지의 스칼럽 디테일을 구성선에 배치하여 젠더해체의 디자인을 보여주고 있다.

<Fig. 11>

Staffonly 2020 SS(Vogue, n.d.-c)

2. 극단적 성 중립적 사고 디자인 방법의 수용

젠더 이분법 안에서 남성성 및 여성성의 극단적인 요소를 인위적으로 차용하여 탈자연화 된 성 의식을 표현하는 젠더 뉴트럴 디자인 방법들이 중국 젠더 뉴트럴 남성복패션에서도 나타났다. 이러한 퀴어 젠더 뉴트럴 표현방법은 남성복에 여성복 요소를 차용, 접목한 것에서 발전하여 페티시적 성적 표현이 비맥락적으로 나타난 것이다. <Fig. 12>는 Xander Zhou의 퀴어 이미지가 반영된 디자인으로 허리를 드러내는 여성적인 섹시한 이미지로 극단적인 성의 모호함을 표현하고 있다. <Fig. 13> Pronounce의 디자인은 여성복의 페티시 패션 이미지 표현에 주로 사용되는 아이템인 그물 스타킹 이미지를 같은 방식으로 도입하였다. <Fig. 14>는 Feng Chen Wang의 디자인으로 여성복의 스타일링을 남자모델에게 적용하면서 성정체성의 모호함을 표현하고 있다. 재킷의 문양 허리라인이 잘룩해 보이는 실루엣은 전형적인 여성적이미지를 나타내고 있다, <Fig. 15>는 Pronounce의 디자인으로 여성 패션 카테고리 중에서도 가장 여성적인 이브닝드레스의 양식을 그대로 남자모델이 착용한 것으로 극단적인 젠더의 대비로 제3의 성 이미지를 표현하였다고 할 수 있다.

<Fig. 12>

Xander Zhou 2019 SS(Vogue, n.d.-d)

<Fig. 13>

Pronounce 2020 SS(Jeziorek, 2019)

<Fig. 14>

Feng Chen Wang 2020 SS(Vogue, n.d.-e)

<Fig. 15>

Pronounce 2020 FW(Lofficiel, n.d.-b)

3. 문화요소 도입을 통한 유동적 성 정체성 표현

젠더 뉴트럴 패션에는 젠더관련 개념과 양식을 바탕으로 전통과 현대의 결합, 이질적 요소의 결합 사용, 하위문화와 고급문화의 조화가 반영되어 있다. 이러한 특성들은 착용자에 따라 여성성과 남성성의 정체성을 유동적으로 표현 가능하게 했다. 중국 디자이너의 젠더 뉴트럴 남성복 디자인에는 중국의 전통문화와 역사적 복식에서 얻은 영감을 현대적 디자인으로 표현한 경우가 많았다. 더불어 워크 웨어와 일상복을 결합하거나 스포티와 포멀 이미지가 결합된 성정체성과 이질적 이미지들이 혼재한 유동적 젠더 뉴트럴 패션디자인을 선보였다. <Fig. 16>은 Xander Zhou의 디자인으로 상의는 데님 소재의 셔츠이고 하의는 다리를 노출하는 짧은 팬츠로 디자인하였다. 숏 팬츠는 여성스러운 면을 부각하는 요소로 남성적인 셔츠이미지와 함께 성 중립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고 셔츠의 여밈은 중국 치파오에서 가져온 모티프이다. 중국 문화적 요소와 현대적 트렌드의 디자인의 병합을 통한 유동적 젠더 뉴트럴 패션을 표현하고 있다. <Fig. 17>은 Private Policy의 디자인으로 레트로 이미지의 정장 코트와 스커트는 안에 입은 캐주얼 후드 티와 함께 클래식이미지와 캐주얼이미지를 유동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남성모델이 입은 깊은 앞트임의 스커트는 섹시한 여성적 이미지와 더불어 유동적 젠더 뉴트럴 패션을 표현하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고급문화와 대중문화요소가 조합된 것으로 보인다. <Fig. 18>은 Calvin Luo의 디자인으로 여성적인 니트 원피스에 하이캐주얼의 점프를 스타일링함으로써 퀴어 이미지와 함께 남성과 여성의 이미지를 넘나드는 유동적 젠더 뉴트럴 패션을 표현하였다. <Fig. 19>는 Feng Chen Wang의 디자인으로 남성적인 소재와 색상의 코트와 하리를 조아 맨 여성적 스타일링 그리고 열쇠 모양의 장난스러운 허리 장식은 젠더가 혼재되어있고 전통문화와 대증문화가 절충된 디자인을 보여주고 있다.

<Fig. 16>

Xander Zhou 2019 SS(Vogue, n.d.-f)

<Fig. 17>

Private Policy 2020 FW(Vogue, n.d.-g)

<Fig. 18>

Calvin Luo 2018 SS(Vogue, n.d.-h)

<Fig. 19>

Feng Chen Wang 2018 FW(Vogue, n.d.-i)

4. 젠더 표현 요소 다원화를 통한 창의성 발현

다원화는 복식이 가지고 있는 어떠한 한계성을 극복하고 기존에 가지고 있는 의미를 넘어 새로운 변화로 나타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젠더 뉴트럴 패션의 다원화는 단순히 남성과 여성의 성별에 관련하여 이미지나 형태를 해체 결합하는 것에서 발전하여 디자이너의 창의성이 결합되면서 다원화되어 새로운 형태로 나타났다. 본연의 요소는 담겨 있지만 다양한 요소의 조합과 무쌍한 변화에 의해 새로운 실루엣으로 표현되기도 하고 여성성과 남성성을 넘어서는 새로운 소재와의 결합, 미래적 상상에 의한 새로운 개념과의 결합 등으로 기존 개념으로는 해석할 수 없는 형태로 나타났다. <Fig. 20>은 Sankuanz의 디자인으로 재킷과 팬츠의 아이템을 취하고 있으나 전형적인 패턴은 해체되고 무작위적으로 보이는 글자 프린트, 부드러우면서 거친 질감의 구겨진 소재, 디자인 구성선은 남성과 여성이미지의 요소가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은 다원화 개념의 젠더 뉴트럴 디자인 룩을 보여준다. 착용자의 성별에 의해 복종을 확인할 수 있는 디자인이다. <Fig. 21>은 중국패션브랜드 STAFFONLY의 다원적 젠더 뉴트럴 이미지가 반영된 디자인으로 여성적 이미지의 새롭고 과장된 칼라 장식과 비대칭적인 실루엣의 풀오버와 트레이닝 팬츠가 조합된 것이다. 바지를 제외한 상의의 형태는 이질적인 소재 결합과 추상적으로 여성과 남성의 이미지가 혼재되어 전통적 의복형태에서 벗어난 미래적 이미지를 나타내고 있다. <Fig. 22>는 FENG CHEN WANG의 디자인으로 남성이미지의 대표적인 아이템인 트렌치 코트의 디테일이 부분적으로 남아있으나 이미 새로운 형태로 창작된 코트와 역시 처음에는 여러개의 남성셔츠였던 아이템들을 드레이핑하여 만든 것으로 보이는 스커트는 다원화된 젠더 뉴트럴 패션을 표현하고 있다.

<Fig. 20>

Sankuanz 2018 SS(Lvmhprize, n.d.)

<Fig. 21>

Staff Only 2019 SS(Staffonlystudio, n.d.)

<Fig. 22>

Feng Chen Wang 2019 SS(Vogue, n.d.-j)

다음 <Fig. 23>은 앞에서 논의한 사례분석결과에 따른 중국 젠더 뉴트럴 남성복 디자인의 유형별 관련 디자인 구성요소와 디자인 접근 방법을 요약 정리한 것이다. 이러한 디자인 특징들은 ‘젠더 고정관념의 해체’, ‘제3의 젠더 출현’, ‘젠더 유동화’, ‘젠더 모호성’의 디자인특성과 연관되어 나타났다.

<Fig. 23>

Summary of Related Design Components, Design Approaches & Characteristics by Type of Gender Neutral Menswear jn China


Ⅴ. 결론

본 연구는 중국 남성 패션에 나타난 젠더 뉴트럴 표현 특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성중립적 사고를 수용하고 본격적인 발전을 시작한 중국의 젠더 뉴트럴 패션 디자인의 표현방법을 연구한 것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남성복 패션에 나타난 젠더 뉴트럴 디자인 사례를 분석한 결과 크게 해체적 젠더 뉴트럴, 퀴어 젠더 뉴트럴, 유동적 젠더 뉴트럴, 다원적 젠더 뉴트럴의 네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이 중 유동적 젠더 뉴트럴 유형이 사레분석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 이유는 이 유형의 특징 중 하나가 다양한 문화를 수용하여 재해석된 표현인데 중국의 디자이너들이 국가의 정체성을 표현할 수 있는 요소를 자주 사용한 것과 관련된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중국 젠더 뉴트럴 디자인 구성요소 표현방법은, H라인 실루엣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소재는 뻣뻣한 텍스추어, 색채는 단색 배색을 가장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젠더 뉴트럴 남성복 패션 유형의 디자인 구성요소와의 관련성은, 해체적 젠더 뉴트럴은 H형 실루엣, 뻣뻣한 텍스추어와 부드러운 텍스추어, 배색은 단색 간을 조합하거나 대조색을 사용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퀴어 젠더 뉴트럴은 H형 실루엣과 I형 실루엣이 많이 나타났으며, 소재는 부드러운 텍스추어가 많이 사용되었다는 점이 특징적이었다. 배색은 단색 간을 조합하거나 유사색 배색이 많이 사용되었다. 유동적 젠더 뉴트럴은 H형 실루엣, 뻣뻣한 텍스추어가 많이 사용되었으며 배색은 단색간의 조화부터 유사색 조화, 엑센트 배색, 대조색의 사용 등 다양한 방법이 혼재되어 나타났다. 다원적 젠더 뉴트럴은 H형 실루엣, 뻣뻣한 텍스추어가 많이 사용되었으며, 단색조화, 엑센트 배색, 대조색을 배색 방법으로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중국 젠더 뉴트럴 남성복디자인의 표현방법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여성과 남성을 구분하는 이미지나 옷 디자인 구성 모티프들을 해체와 재구성을 통하여 성 중립 디자인을 표현하는 서구의 디자이너와 같은 방식을 채택하고 있었다. 젠더 이분법 안에서 남성성 및 여성성의 극단적인 요소를 인위적으로 차용하여 탈자연화된 성의식을 표현하는 퀴어 젠더 뉴트럴 디자인 방법들이 중국 젠더 뉴트럴 남성복 패션에서도 나타났다. 젠더관련 개념과 양식을 바탕으로 중국의 전통문화를 활용하여 성정체성과 문화 간의 결합을 의도한 유동적 젠더 뉴트럴 디자인이 많이 나타났다. 미래적 상상에 의한 새로운 개념과의 결합 등으로 기존 개념으로는 해석할 수 없는 디자인들이 중국의 디자이너들의 작품에서도 자주 나타났다. 남성과 여성의 성별에 관련하여 이미지나 형태를 해체 결합하는 것에서 발전하여 디자이너의 창의성이 결합되면서 다원화 되어 새로운 형태로 나타난 것이다. 이와 같이 중국의 남성복 패션에 나타난 젠더 뉴트럴 디자인은 서구의 방식과 유사하게 나타나면서 중국 고유의 특징을 내재하고 있었다.

Acknowledgments

본 논문은 석사학위청구논문의 일부임.

References

  • Aileen, Y. (2021. February 4). Gende neutral fashion: Fluidity as freedom. Fashion United. Retrieved from https://fashionunited.uk/news/fashion/gendeneutral-fashion-fluidity-as-freedom/2021020453377
  • Akdemir, N. (2018). Deconstruction of gender stereotypes through fashion. European Journal of Social Science Education and Research, 5(2), 259-264. [https://doi.org/10.26417/ejser.v5i2.p185-190]
  • Bardey, A., Achumba-Wöllenstein, J., & Chiu, P. (2020). Exploring the third gender in fashion: From consumers' behavior to designers' approach towards unisex clothing. Fashion Practice, 12(3), 421-439. [https://doi.org/10.1080/17569370.2020.1816317]
  • Choi, M. Y. (2019. March 4). Gender roles in advertising, led by women. The Kyunghyang Shinmun Retrieved fromhttp://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code=114&art_id=201902251442081
  • Chung, S., Yim, E., & Suh, S. (2018, August 31). Genderless styles in menswear analyzed through the heterotopia concep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42(4), 626-638. [https://doi.org/10.5850/JKSCT.2018.42.4.626]
  • Chung, Y. H. & Jang, E. M. (2015). Shaky gender, the changing world: Focusing on drama Misaeng. Media, Gender & Culture, 30(3), 153-184.
  • Driver, G. (2019, May 28). 6 Gender neutral beauty brands paving the way for inclusivity. Elle. Retrieved from https://www.elle.com/uk/beauty/make-up/g25977348/best-gendeneutral-beauty-brands/
  • Gender neutral. (2006). In Oxford English Dictionary[OED]. Retrieved from https://public.oed.com/updates/new-words-list-march-2006/
  • Hong, Y. & Joo, M. Y. (2020).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pink color and fashion images used in gender neutral men’s fashion. Journal of Fashion Business, 24(5), 52–71.
  • Huh, Y. & Ha, J. (2018). Korean modern fashion and gender valu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8(2), 1-19. [https://doi.org/10.18652/2018.18.2.1]
  • Jang, J. H. (2015). A study for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androgynous look in contemporary mens collection: Focusing on 2010 s/s~2014 f/w mens collectio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1(1), 505-519.
  • Jeziorek, N. (2019. June 23) Chinese designers at Pitti Immagine Uomo: Borders do not exist. Vogue. Retrieved from https://www.vogue.pl/a/chinscy-projektanci-na-pitti-uomo
  • Johnson, B. (2020, September 10). MARC JACOBS laun ches polysexual collection featuring fashion and freinds. CR Fashion Book. Retrieved from https://www.crfashionbook.com/fashion/a33971419/marc-jacobs-polysexualcollection-heaven/
  • Jung, M. A. (2015). The simulation phenomenon in fashion of genderplay look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ty, Seoul, Republic of Korea.
  • Kim, H. J. & Lee, E. S.(2018). The analysis of the image style expressed in men’s fashion collection: Focusing on Paris’ collection from 2001 S/S to 2010 F/W.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20(1), 167–182. [https://doi.org/10.30751/kfcda.2018.20.1.167]
  • Kim, H. J. & Yim, E. H. (2015). Gender identity expression in contemporary men's fashion: Focus on Judith Butler's gender identity theo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5(3), 47-61. [https://doi.org/10.7233/jksc.2015.65.3.047]
  • Kim, J. & Lee, Y. (2016).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genderless style appeared in contemporary women’s fashio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4(6), 903–919. [https://doi.org/10.7741/rjcc.2016.24.6.903]
  • Kim, J. & Yoo Y. (2021). Analysis of design elements by men’s fashion type using flower images.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23(1), 47–59.
  • Kim, J. H. (2007). A study on the romanticism design of men's fash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 Lee, H. D. & Lee, M. S. (2021). Fashion characteristics in aspect of gender neutral on American pop music videos.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21(3), 39-55. [https://doi.org/10.18652/2021.21.3.3]
  • Lee, J. E. & Kwak, T. G.(2020). Study on gender neutral style in modern fashion.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22(3), 111–126.
  • Lee, J. H. (2010). Diachronic analysis of Korean men's wear design based on changes in gender rol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0(8), 51-66.
  • Lee, U. Y., Byun, M. Y., & Lee, I. S. (2006). A study for the characteristics of men' costume style on contemporary fashion: Focusing on metrosexual phenomena.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and Costume Design Association, 8(2), 125-133.
  • Lofficiel (n.d.-a). Retrieved from https://www.lofficiel.co.uk/fashion-week/pronounce-and-diesel-the-new-co-lab-at-lfwm
  • Lofficiel (n.d.-b). Retrieved fromhttps://www.lofficiel.co.uk/fashion-week/pronounce-and-diesel-the-new-co-lab-at-lfwm
  • Lvmhprize (n.d.). Retrieved from https://www.lvmhprize.com/designer/sankuanz/
  • Moon, S. (2004). A study of patchwork expressed in post-modernism fash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 Park, E. H. & Lee, W. J. (2013). A study on advertising recall regarding color scheme of fashion advertising.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25(4), 337- 344. [https://doi.org/10.5764/TCF.2013.25.4.337]
  • Staffonlystudio (n.d.). Retrieved from http://www.staffonlystudio.com/#gallery_5-2
  • Vogue (n.d.-a). Retrieved from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8-menswear/feng-chen-wang/slideshow/collection#12
  • Vogue (n.d.-b). Retrieved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9-menswear/calvin-luo/slideshow/collection#16
  • Vogue (n.d.-c). Retrieved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20-menswear/staffonly/slideshow/collection#8
  • Vogue (n.d.-d). Retrieved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9-menswear/xander-zhou/slideshow/collection#11
  • Vogue (n.d.-e). Retrieved from www.vogue.com/fashionshows/ spring-2020-menswear/feng-chen-wang/slide show/collection#12
  • Vogue (n.d.-f). Retrieved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9-menswear/xander-zhou/slideshow/collection#7
  • Vogue (n.d.-g). Retrieved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20-menswear/private-policy/slideshow/collection#13
  • Vogue (n.d.-h). Retrieved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8-ready-to-wear/calvin-luo/slideshow/collection#7
  • Vogue (n.d.-i). Retrieved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8-menswear/feng-chen-wang/slideshow/collection#18
  • Vogue (n.d.-j). Retrieved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9-menswear/feng-chen-wang/slideshow/collection#26
  • Yu, H. & Chun, J. (2020). Alessandro Michele’s camp aesthetics in the Gucci collection: Based on the David Bergman’s classification.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20(2), 103-120. [https://doi.org/10.18652/2020.20.2.7]

<Fig. 1>

<Fig. 1>
Marc Jacobs(Johnson, 2020)

<Fig. 2>

<Fig. 2>
Panacea(Driver, 2019)

<Fig. 3>

<Fig. 3>
Nike(Choi, 2019)

<Fig. 4>

<Fig. 4>
2018 S/S~2021 F/W China Menswear Share Distribution by Gender Neutral Fashion Type

<Fig. 5>

<Fig. 5>
Analysis of the Frequency of Silhouettes Appearance by Gender Neutral Menswear Type Design In China

<Fig. 6>

<Fig. 6>
Analysis of the Frequency of Textures Appearance by Gender Neutral Menswear Type Design In China

<Fig. 7>

<Fig. 7>
Analysis of the Frequency of Color Matching Methods Appearance by Gender Neutral Menswear Type Design In China

<Fig. 8>

<Fig. 8>
Pronounce 2020 FW(Lofficiel, n.d.-a)

<Fig. 9>

<Fig. 9>
Feng Chen Wang 2018 SS(Vogue, n.d.-a)

<Fig. 10>

<Fig. 10>
Calvin Luo 2019 FW(Vogue, n.d.-b)

<Fig. 11>

<Fig. 11>
Staffonly 2020 SS(Vogue, n.d.-c)

<Fig. 12>

<Fig. 12>
Xander Zhou 2019 SS(Vogue, n.d.-d)

<Fig. 13>

<Fig. 13>
Pronounce 2020 SS(Jeziorek, 2019)

<Fig. 14>

<Fig. 14>
Feng Chen Wang 2020 SS(Vogue, n.d.-e)

<Fig. 15>

<Fig. 15>
Pronounce 2020 FW(Lofficiel, n.d.-b)

<Fig. 16>

<Fig. 16>
Xander Zhou 2019 SS(Vogue, n.d.-f)

<Fig. 17>

<Fig. 17>
Private Policy 2020 FW(Vogue, n.d.-g)

<Fig. 18>

<Fig. 18>
Calvin Luo 2018 SS(Vogue, n.d.-h)

<Fig. 19>

<Fig. 19>
Feng Chen Wang 2018 FW(Vogue, n.d.-i)

<Fig. 20>

<Fig. 20>
Sankuanz 2018 SS(Lvmhprize, n.d.)

<Fig. 21>

<Fig. 21>
Staff Only 2019 SS(Staffonlystudio, n.d.)

<Fig. 22>

<Fig. 22>
Feng Chen Wang 2019 SS(Vogue, n.d.-j)

<Fig. 23>

<Fig. 23>
Summary of Related Design Components, Design Approaches & Characteristics by Type of Gender Neutral Menswear jn China

<Table 1>

Summary of the Gender-related Design Characteristics in Previous Studies

Researcher Gender-related Design Characteristics
Jung (2015) De-representation Mutual fluidity Pluralism
Kim & Yim (2015). Deconstructive masculinity Sensual masculinity Traditional masculinity combined with femininity
Kim & Lee (2016) Deconstruction of gender Sensuality, Playfulness Historicity, Fluidity Pluralism
Chung et al. (2018) Deviation Contradictory expression of female appearance
Yu & Chun (2020) Deconstruction Pervasiveness, Extreme queer Retro
Parody
Epic
This study Deconstruction Queerness Fluidity Pluralism

<Table 2>

Analysis Items

Analysis items Contents
Gender neutral fashion(GNF) types Deconstructive GNF Queer GNF Fluid GNF Puralistic GNF
Design component Silhouette H I X Y A
Texture Stiff Soft Glossy Transparent
Color matching Associated colors Complementary colors Triadic colors Analogous col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