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Articl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ol. 72, No. 2, pp.111-128
ISSN: 1229-6880 (Print) 2287-7827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Apr 2022
Received 29 Mar 2022 Revised 16 Apr 2022 Accepted 19 Apr 2022
DOI: https://doi.org/10.7233/jksc.2022.72.2.111

현대 패션에 나타난 댄디의 스타일과 개념연구 : 보그 아카이브를 중심으로

남혜진
홍익대학교 대학원 의상디자인학과 강사
A Study on the Style and Meaning of Dandy in Modern Fashion : Focused on Vogue Archive
HyeJin Nam
Lecturer, Dept. of Fashion Design, Hongik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HyeJin Nam, e-mail: namhyejin08@gmail.com

Abstract

In this study, changes i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dandy fashion were analyzed by era, and changes in the meaning of dandy were derived. The research scope was based on photos and texts in 545 articles from 1893 to 2021, when data began to appear due to keyword searches for. The study found that the formative elements of dandy fashion are mainly a standing collar, a narrow waist, a high neck cravat, and a waistcoat. In, black and white were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colors of dandy fashion, and cashmere, cotton, linen, and velvet were mainly used as materials. In modern fashion, dandy applies not only to attire or objects but also to behavioral patterns, such as being picky and slim, new products, convenience, convenient functionality, and descriptions of things. As such, it can be inferred that the dandy style in modern fashion remains relevant because its image is constantly changing and reflecting the times.

Keywords:

anti fashion, dandy, formativeness, ugly fashion, vogue

키워드:

안티 패션, 댄디, 조형성, 어글리패션, 보그

Ⅰ. 서론

1. 연구목적

현대 패션은 더 이상 말끔하게 세련된 형태나 보편적인 아름다움만을 추종하지 않으며, 추함(ugliness)을 트렌드로 받아들일 만큼 그 어느 때 보다 포용적이다. 또한 단순히 옷에 관한 유행을 넘어 생활과 행동양식 모두를 아우르는 다변화된 양상을 보이며, 그 경계가 희미한 포괄적인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이처럼 급변하는 트렌드의 홍수 속에서도,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현대 패션을 묘사하는데 지속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용어가 있는데, ‘댄디(dandy)’가 이에 속한다.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는 1962년 에세이 『Dandyism and Fashion』에서 현대 패션과 댄디즘 사이의 깊은 연관성을 언급하며, 패션이 후기 자본주의적 모습으로 댄디즘을 말살했다고 주장했으나, 이는 그 본질적인 면에서 사실이 아니었다. 사실 패션은 오히려 댄디를 19세기 사회와 문학 운동의 화신에서 20세기 현대 미디어의 유명인사 버전으로 전환하는데 큰 영향을 주었다(Fillin-Yeh, 2001).

한편 2010년대 후반, 특히 2018년대에는 헐렁한 블레이져(baggy blazers), 못생긴 신발(ugly sneakers), 물빠진 청바지(light-wash jeans)로 대변되는 ‘dadcore’ 즉, 어글리 패션(ugly fashion)에 관한 기사가 쏟아져 나왔다(Berlinger, 2018). 뉴욕타임즈(The New York Times)의 ‘The Dandy Is Dead'라는 제목의 기사에서는 ‘The dandy is dead. We are entering the age of fugly.'고 언급하며, 발렌시아가(Balenciaga)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인 뎀나 바살리아(Demna Gvasalia)가 디자인한 895달러짜리 아버지들이 신을법한 스니커즈(dad sneaker) ‘Triple S'가 출시된 이후로, 이러한 트렌드가 가속화 된 것으로 묘사하였다(Trebay, 2018). 그러나 평범하거나 못생긴 것에 대한 열광이 지속되고 있는 2022년 현재까지도 댄디라는 패션 용어는 사라지지 않고 여전히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댄디는 주로 세련되게 잘 차려 입은 남성을 일컫는데 사용되고 있지만, 그 개념과 스타일 특성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모호하다. 또한 댄디로 표현되는 패션 스타일에 시대별 특성 변화가 있었는지에 대해서도 학술적으로 명확하게 밝혀진바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댄디가 패션의 역사에서 지속적으로 존재하면서 시대별로 그 개념과 스타일 양식이 변화되어온 과정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목적은 첫째, 댄디의 패션 스타일에 나타난 시대별 조형적 특성변화를 분석하고, 둘째, 댄디의 의미 변화를 도출하고자한다. 이는 패션에서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한 단어가 반영하는 조형성과 의미변화의 분석이, 시대별 트렌드와 대중의 심리변화를 구체적으로 밝히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시사하는 점에서 연구의의가 있다.

2.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댄디의 개념과 패션 스타일에 나타난 시대별 조형적 특성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댄디에 관한 전문서적을 바탕으로 한 문헌연구와 함께, 패션잡지 보그에서 ‘dandy’의 키워드로 도출된 기사를 분석하였다. 특히 그동안 패션분야에서의 조형성 연구는 주로 패션 사진에 나타난 이미지 분석을 위주로 진행되어왔으나, 패션 기사의 텍스트는 이미지가 자세하게 전달하기 힘든 문화적 메시지의 파악을 돕고, 시대별 감각과 가치관 등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이기에(Nam, 2020), 본 연구에서는 기사의 사진과 더불어 텍스트 분석을 병행하였다. 지난 200여 년 동안 잡지에 실린 패션 이미지는 패션의 미래를 예측하는데 신뢰할 수 있는 역할을 해왔다. 특히 1892년 미국에서 엘리트 사회 저널로 창간된 보그는 구식 여성 잡지의 편협한 관심사를 넘어, 패션에 나타난 현대적 아이디어를 세계적인 현상으로 뒷받침하는 중심 역할을 해온 권위 있는 스타일 가이드이다(Breward, 2003).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그 아카이브(The Vogue Archive)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연구범위는 댄디의 키워드 검색 결과로 자료가 나타나기 시작하는 1893년부터 2021년까지의 545개의 기사에 나타난 사진과 텍스트를 바탕으로 하였다<Fig. 1>.

<Fig. 1>

Frequency Analysis of 'Dandy' (Dandy, n.d.-a)

분석단위는 검색 기사에 나타난 댄디의 개념 그리고 댄디의 패션스타일에 나타난 조형적 특성을 시대별로 내용 분석하였다. 복식의 조형요소는 크게 형태, 색채, 재질과 무늬로 이루어져 있고, 이 변화가 곧 패션의 변화로서 인식되어왔으므로(Kim, 2013), 본 연구에서도 댄디의 패션 스타일에 나타난 조형성을 형태, 색채, 소재로 구체화하여 분석하였다. <Table 1>은 보그 아카이브에 나타난 댄디 관련 기사의 연도별 빈도분석표이다.


Ⅱ. 이론적 배경

1. 댄디의 개념과 역사

『Oxford Dictionaries』에서는 댄디를 ‘스타일리시하고 패셔너블해 보이는 것에 지나치게 신경을 쓰는 남자’로 정의한다(“Dandy”, n.d.-b). 댄디라는 단어는 대략 1780년경 스코틀랜드 국경의 발라드민요에서 처음으로 등장한 것으로 보이는데, 원래는 멋쟁이라는 뜻의 ‘jack a dandy'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Kim, 2010). 한편 19세기 프랑스의 시인이자 ‘미술비평의 아버지’인 샤를 보들레르(Charles Baudelaire)는 댄디즘의 기원을 카이사르(Caesar)나 카틸리나(Catilina)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 알키비아데스(Alcibiades)에서부터 찾기도 했는데(Baudelaire, 1972), 댄디즘을 완벽에 대한 추구, 엄격하고 금욕적인 규율, 영성의 한 형태, 타락한 과도기적 시대에 대한 사회적 반응으로 표현했다(Wilson, 2003). 보들레르의 『The Painter of Modern Life』에서는 댄디를 다음과 같이 묘사하였다.

The wealthy man, who, blasé though he may be, has no occupation in life but to chase along the highway of happiness, the man nurtured in luxury, and habituated from early youth to being obeyed by others, the man, finally, who has no profession other than elegance, is bound at all times to have a facial expression of a very special kind(Baudelaire, 1972, p.36).

이처럼 보들레르는 댄디를 부유하고 한가로우며, 모든 일에 무관심하고, 행복을 추구하는 것 말고는 다른 관심이 없는 사람, 또한 젊은 시절부터 다른 사람들을 복종시키는데 익숙한 사람 그리고 우아함을 추구하는 것 외에 다른 직업이 없는 사람으로 정의했다(Baudelaire, 2013). 한편 댄디는 외모에 대한 자부심을 완전히 초월한 것으로, 이들의 지위는 혈통과 유산보다는 훌륭한 예의범절과 흠잡을 때 없는 취향에 달려있는 것이었다(Entwistle, 2013). 현대에 댄디라는 형용사는 ‘훌륭한’, ‘대단한’ 등을 의미하지만 익살맞고 풍자적인 의미가 함축되어있고, 명사로는 잘 꾸미고, 잘 차려입은 자기 몰입형 인간을 가리키기도 한다(Kim, 2010).

2. 댄디즘 형성의 사회적 배경 및 특성

댄디즘은 민주주의가 아직 큰 힘을 갖지 못하고, 귀족주의가 쇠퇴하기 시작하는 격동의 시대에 나타났다(Baudelaire, 2013). 18세기에는 고전과 반란이 공존했는데, 부나 출생과 같은 확고한 가치가 사회의 계층화를 이루고 있을 때, 댄디즘은 시크한 스타일로 사회계층을 만들고, 이를 새로운 공화정 정치의 유니폼으로 변형시켰다(Wilson, 2003). 18세기 말 영국의 섭정기에는 남성의 외모가 정치 사회적으로 중요한 지표가 되었는데, 이때 등장한 사교계 명사 조지 브라이언 ‘보’ 브뤼멜(George Bryan ‘Beau’ Brummell)은 배경이 천하고 수입도 많지 않았지만, 독특한 취향과 우아함으로 영국에서 유명해졌고, 물질적 대상으로 정체성이 구축되는 시대를 예고했다(Entwistle, 2013). 그는 1810년대 새빌 로(Savile Row)재단의 기능적이고 신체를 고려한 제품을 활용하여 개인의 미학을 발전시켰고, 취향과 아름다움에 대한 주관적인 규칙을 기반으로 한 혁명적인 의상으로 사회 계급구조를 확립하였다(Breward, 2003).

처음에는 영국에서 그리고 곧 프랑스에서 거의 같은 시기에 번성했던 19세기의 댄디즘은 개인적 자질에 기초한 지배계급을 만들어냈다. 브뤼멜의 댄디즘은 로드 바이런(Lord Byron)에 의해 계승되어 프랑스에 전해졌고, 알프레 도르세(Alfred d'Orsay)와 오노레 드 발작(Honoré de Balzac), 스탕달(Stendhal)을 거치며 발전하다가, 1845년 쥘바르베 도르비이(Jules Barbey d'Aurevilly)의 글 『Du Dandysme et de George Brummell』이 출판되면서 구체적으로 고찰되기 시작했다(Cho, 2011). 그는 당대 여러 문학작품 속의 인물들이 댄디즘을 묘사하고 있음에도, 이를 사상적으로 인정하지 않거나 희화화하고 있던 겉과 속이 다른 프랑스 사회의 이중성에 반발하여 댄디즘의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였다(D'Aurevilly, 2014). 이후 보들레르가 자신의 글에서 댄디즘에 대한 철학을 전개해 나갔다. 한편 브뤼멜의 전성기 때 유행한 댄디 패션과 에티켓은 프랑스 보헤미안 지구에서도 분노와 광기에 가까울 정도로 인기를 끌었는데, 공들여 재단한 의상을 걸치고 유유자적하며 퇴폐적인 라이프스타일을 즐기던 프랑스 댄디들은 천박한 부르주아 사회에 대한 경멸과 그들의 우월성을 주장했다(Kim, 2010). 즉 댄디한 스타일에는 반항과 클래식한 시크함이 공존했고, 정치적으로는 프랑스 혁명 이후, 젊은이들의 아방가르드인 인크로야블(Incroyables)의 혁명적 격변의 결과였다(Wilson, 2003). 이처럼 댄디는 반항적인 입장에서 낭만주의 영웅의 한 버전이었는데, 찰스 디킨스(Charles Dickens)와 오노레 드 발자크(Honoré de Balzac)와 같은 19세기의 위대한 소설가들과 예술가들 중 일부는 댄디즘에 치우쳤지만, 댄디는 오히려 예술가의 반대쪽이었다(Wilson, 2003). 댄디들은 그들 자신의 인격 안에서 아름다움에 대한 생각을 함양하고, 그들의 열정과 감정과 사고를 만족시키는것 외에는 다른 지위가 없다(Baudelaire, 1972). 댄디의 역할은 자아 표현에 대한 강렬한 집착이고 이미지가 전부였는데, 진정한 댄디는 아무것도 하지 않았고, 삶의 모든 불필요한 부분에서도 완벽함을 추구하는 일종의 귀족 수행에 집착했으며, 은밀한 것 같지만 겉으로 드러나는 상류 사회의 공손함으로 사람들을 대하는 절묘한 매너를 지니고 있었다(Wilson, 2003). 이처럼 댄디의 스타일은 완벽하고 절제된 복식뿐 아니라 몸짓과 감정표현에도 근간했고, 외모뿐 아니라 태도와 행동까지도 이상적인 세련미를 이루는 것이야말로 자아의 우월성을 성공적으로 보여주는 것이었다(Entwistle, 2013).

댄디는 도시적인 인물이다. 패션소비의 현대적 형태에 대한 은유로서의 그의 등장은 기득권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의복 실험과 사회적 과시를 위해 상점, 갤러리, 극장 등 패션 산업에 의해 조직된 상업공간을 활보하며, 새로운 스타일의 창조자 역할을 했다(Breward, 2003). 한편 개인은 이러한 도시 광경에 충격과 반감을 느끼기보다는 오히려 무관심한 자세를 취하며 보지 않는 듯 관찰하는 블라세(blasé)태도를 취하는데, 이는 도시에서의 생존의 테크닉이자 이방인의 시선을 가로막는 방패 역할을 한다(Entwistle, 2013). 댄디들은 쿨(cool)을 발명했고, 블라세 태도 역시 댄디의 특징이었다.

3. 댄디의 패션스타일

록스타나 아이돌이 등장하기 이전에, 댄디는 개성적인 예술 형식을 만들었는데, 댄디즘은 필연적으로 예술과 일상적인 영역을 병합하여 자연과 부자연의 구분을 모호하게 했다(Fillin-Yeh, 2001). 전문서적에서 댄디로 일컬어지는 대표적인 인물들의 패션 스타일에 나타난 특징을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절제로 표현되는 우아함

댄디즘은 단순히 화장이나 물질적 우아함에 대한 무절제한 취미라기보다는 품위를 중시하였고, 댄디에게 완벽한 화장은 단순함에 있었으며 이를 스스로가 두드러져 보이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 여겼다(Baudelaire, 2013). 18세기 귀족들의 옷은 대개 조야하게 만들어져 몸에 딱 맞지 않았는데, 댄디즘의 창시자로 여겨지는 브뤼멜의 옷은 주름 하나 없었고, 브리치즈는 타고난 피부처럼 다리에 꼭 맞았다(Laver, 2005). 브뤼멜은 최고의 테일러 링을 기반으로 한 세심한 핏과 신체가 지닌 고유의 우아함을 강조한 새로운 멋을 추구하면서도, 자신의 옷이 눈에 띄지 않기를 바랐고(Hollander, 1994), 장식, 색상 및 과시보다는 커트와 핏을 우선시하는 패션의 시대를 열었다. 이는 귀족들이 애용하던 비단과 새틴 대신 모직물을 사용하였기에 가능했는데, 유연하게 조정되어 원하는 실루엣을 형성할 수 있었다(Wilson, 2003). 댄디 패션의 특징적인 요소들은 브뤼멜의 판화에서 분명하게 드러나는데<Fig. 2>, 세심한 곱슬머리, 정교하게 묶인 넥타이, 깔끔한 테일러링과 오만한 포즈가 돋보인다. 이는 복잡한 듯 보이지만 전체적인 효과는 자연스러운 단순함을 암시하는 것이었다(Breward, 2003). 댄디의 패션은 결코 그 자체로 시선을 끌지 않는 우아함, 과소평가된 단순함을 의미하지만 바로 그 이유 때문에 오히려 두드러지는 시크한 멋을 지니고 있다.

<Fig. 2>

Beau Brummell 'Dandy’ (Breward, 2003, p. 162)

2) 안티패션

안티패션은 시대를 초월한 스타일을 시도하고, 패션 변화의 본질적인 요소를 완전히 배제하려고 하며, 다수의 순응주의자들에게 적대적인 견해를 표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데, 댄디즘 역시 완전히 다른 것, 반대되는 스타일을 포함하고 있다(Wilson, 2003). 자본주의의 과도기는 끊임없는 변화를 일으키고, 모호한 반역자들을 반복적으로 배출하였는데, 댄디즘 역시 이를 탄생시킨 사회만큼이나 모순적이었다. 댄디는 귀족적이면서도 반 부르주아적인 스타일을 보여주었고, 19세기 중반 댄디즘에 매료된 보들레르는 프랑스 보헤미안 서클의 천박한 의상에 항의하기 위해 블랙색상의 옷을 입었다(Wilson, 2003). 그는 블랙이 부르주아 사회의 지배적인 색이 되기 전에도 이미 그의 시에서 블랙을 많이 사용했고, 머리에서 발끝까지 실크모자에서 빳빳한 넥타이, 스트레이트 코트, 구두에 이르기까지 모두 블랙으로 치장했다<Fig. 3>. 바이런경(Lord Byron)이 낭만주의 문학을 선도했던 시기에도 문학적인 안티패션으로서 블랙의 사용이 금새 패셔너블한 것으로 인식되었고, 20세기까지도 남성의 블랙 이브닝 복장은 마성적인 특징을 유지했다(Hollander, 1993). 댄디는 남성복 변혁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는데, 특히 18세기 컨트리 복장과 스포츠 복장을 각색한 스타일을 19세기의 지배적인 남성복으로 만드는데 기여했다. 한편 18세기의 마카로니(Macaroni)는 프릴과 브로케이드, 파우더, 페인트가 과장된 옷을 입었는데, 이러한 스타일은 일반적인 남성복으로 자리 잡기 시작한 댄디들의 스타일에 대한 반작용이었다. 1880년대와 1890년대의 댄디 패션은 배우, 예술가, 작가를 비롯하여 퇴폐적인 성 혁명가들의 스타일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로버트 드 몽테스키외 백작(Comte Robert de Montesquieu), 제임스 맥닐 휘슬러(James McNeill Whistler), 특히 오스카 와일드(Oscar Wilde)는 유행하는 스타일과의 차별성을 띄며, 만연한 현대의 도덕성에 대한 경멸을 보여준다. 한편 20세기 초까지 진화된 댄디즘은 귀족 및 예술적 하위문화와의 좁은 연관성을 넘어 아방가르디즘(avant-gardism)의 일반적인 전유를 상징하게 되었다(Breward, 2003). 이러한 댄디의 모습은 1960년대의 모즈 그리고 이후의 글램 록, 펑크록까지 다양한 대중문화를 통해 빠르게 퍼져 나갔다(Entwistle, 2013).

<Fig. 3>

Baudelaire (Kim, 2010, p. 160)

3) 정교한 허영심

‘예술을 위한 예술’이란 말에서 댄디즘의 속성이 잘 나타나는 것처럼, 댄디는 일종의 옷 속의 예술 가이다(Kim, 2010). 도르비이는 우아한 넥타이 매듭의 창안자로 유명한 18세기 영국의 한량인 브뤼멜에게서 댄디즘의 가장 순수한 형태를 찾았고, 댄디즘을 허영심의 열매라고 하였다(D'Aurevilly, 2014). 댄디들은 화이트 장갑 같은 액세서리에 열광하고, 청결을 강조하였으며, 정기적으로 목욕을 하고 한나절을 몸단장 하는 일에 허비했는데, 보들레르는 화장하는데 매일 2시간을 쓴다고 하기도 했다(Kim, 2010). 또한 완벽하게 손질된 장식 없는 어두운 청색 코트를 몸에 꼭 맞게 입고, 눈처럼 희게 세탁하여 완벽하게 풀 먹인 린넨 셔츠에 아주 정교하게 맨 넥타이를 하고 다녔다<Fig. 4>. 이처럼 브뤼멜은 저속한 장식을 혐오하기는 했지만 허영심이 있었는데, 어떤 것이든 가능한 최고의 품질만 사용했고, 크라바트를 완벽하게 매기 위하여 많은 세탁비와 시간을 할애했다(Stevenson, 2014). 댄디의 세심하게 주의를 기울인 패션디테일, TPO에 적절한 액세서리 선정, 에티켓을 중시하는 귀족적 취향은 세련과 조화를 추구하는 엘레강스의 미학, 나르시스적인 타인과의 구별, 자존심을 기반으로 한 배타주의 등을 담고 있다(Ko, 2018).

<Fig. 4>

Beau Brummell (Kim, 2010, p. 188)

4) 성의 고정관념 타파

댄디는 끊임없이 아름다움을 추구했으며, 존경받는 아름다움의 종류를 바꾸었다. 19세기 이후 사회적 반항은 종종 복장을 통해 표현되는 성적 행동과 성적 정체성을 적절한 매개체로 삼았는데, 댄디즘은 남성성에 대한 보다 엄격한 기준을 확립하고, 남성들을 위한 새롭고 반항적이며 현대적인 도시의 제복을 이끌었다(Wilson, 2003). 댄디는 한때 사치스럽고 외모에 공을 들이는 여성스러운 외모의 18세기 귀족의 의미로 혼용되기도 했으나, 실상은 오히려 모던한 남성적 스타일을 도입했다(Entwistle, 2013). 성적으로 모호했던 시인 바이런도 댄디즘과 관련이 있었는데, 실제로 몇몇 역사가들은 1900년 이후 브뤼멜과 오스카 와일드의 댄디즘 관행은 특유의 엘리트적이고 남성적인 의미를 잃었다고 했다(Breward, 2003). 특히 오스카 와일드는 댄디 중에서도 특별났는데, 항상 유미주의의 상징이었던 백합이나 해바라기를 손에 들거나 라펠에 꽂았으며, 치밀한 계산 하에 스스로를 통제하였다<Fig. 5>. 한편 샤넬(Chanel)의 디자인은 댄디즘의 혁신을 확장하고 발전시켜 여성을 댄디즘의 남성적 이너서클로 안내했고, 댄디즘의 어휘를 많이 차용함으로써 우리가 여성의 몸을 인식하는 방식에 혁명을 일으키기도 했다(Fillin-Yeh, 2001).

<Fig. 5>

Oscar Wilde (D'Aurevilly, 2014, p. 36)

5) 흐트러진 아름다움

19세기 초 낭만적인 패션 중 하나는 머리를 자르는 것이었는데, 댄디는 머리를 짧게 자르고, 다소 헝클어진 고대 로마황제인 티투스의 머리모양을 본뜬 스타일을 유지했다(Laver, 2005). 댄디의 몸매관리 역시 위생적이면서도, 자연스러운 무관심을 암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전통의 기교를 제거하는 데 성공했다. 이 선구적인 이미지는 상업적 패션의 영역을 넘어, 공격하기 힘든 고전적인 스타일의 근사치로서 댄디즘에 대한 역설적 이해를 낳았다(Breward, 2003). 한편 댄디는 넥타이를 느슨하고 캐주얼하게 매듭지었는데, 이러한 흐트러진 아름다움(dishevelled beauty)의 공기는 단순한 옷차림 이상의 정신을 표현했다(Wilson, 2003). 이러한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의 개념은 오늘날의 미적 기준에도 영향을 주었고, 1960년대의 낡고 퇴색된 듯 보이도록 만든 스톤워싱 청바지, 1970년대의 히피 패션 등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6) 시대를 반영하는 현대성과 동시성

보들레르는 『The Painter of Modern Life』에서 영원한 아름다움은 시대의상을 통해 자신을 드러낸다고 하였고, 댄디는 현대성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것을 찾으며, 댄디에게 중요한 것은 역사적인 것임에도 유행에 담겨 있을 수 있는 사적인 면 그리고 찰나적 유행 속에 내포되어 있을 수도 있는 영원성을 유행으로부터 분리하는 일이라고 하였다(Habermas, 1994). 한편 당대의 패션 변화를 날카롭게 포착하며, 동시대성을 담아내는 작업을 한 화가 콩스탕탱 기스(Constantin Guys)를 댄디로 칭하였는데, 기스는 댄디의 사교적인 침착함, 권위 있는 모습속의 단순함, 가벼운 발걸음, 옷을 차려입고 말을 모는 모습<Fig. 6>, 편안하면서도 내적인 힘을 보여주는 태도 등을 묘사하였다(Baudelaire, 2013). 기스는 예술가 이상으로 동시대에 대한 열정에 사로잡힌 세계인이었고, 지구상에 일어나는 모든 일을 알고 싶어 했으며, 이 세상의 도덕적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와 변화하는 최신 특성을 찾는 댄디였다(Fillin-Yeh, 2001).

<Fig. 6>

A Dandy (Art.com, n.d.)

이처럼 전문서적 분석을 바탕으로 도출한 댄디 패션에 나타난 표현특성은 절제로 표현되는 우아함, 안티패션, 정교한 허영심, 성의 고정관념 타파, 흐트러진 아름다움 그리고 시대를 반영하는 현대성과 동시성으로 도출되었는데, 이를 조형적 특성으로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Table 1>.

Formativeness of Dandy Fashion


Ⅲ. 댄디의 스타일과 개념 변화

1. 댄디 관련 기사 빈도 분석

보그에서 댄디와 관련한 기사를 도출한 결과, 1893년부터 자료가 검색되기 시작했고, 2021년까지 나타난 자료의 총 기사 수는 545개였다. 이 중 댄디가 향수나 브랜드, 연극, 소설의 이름 등으로 언급된 사례를 제외한 총 기사 수는 456개로 나타났다<Table 2>.

Frequency Analysis of ‘Dandy’ by Year

댄디에 관한 연도별 기사의 빈도수는 1990년 세기말 경에 다소 증가한 경향을 보이기도 했으나, 전반적으로는 100여년이 넘는 기간 동안 패션에서 그 사용이 꾸준히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 현대 패션에 나타난 댄디 스타일의 조형성 및 스타일링

복식의 조형요소는 크게 형태, 색채, 재질과 무늬로 이루어져 있고, 이 변화들이 패션의 변화로서 인식되어왔다(Kim, 2013). 본 연구에서도 댄디의 패션 스타일에 나타난 조형성을 형태, 색채, 소재로 구체화하여 시대별로 분석하였고, 댄디의 패션스타일링과 더불어 댄디가 지닌 다양한 의미와 그 변화를 함께 내용 분석하였다.

(1) 형태

댄디로 묘사된 패션 아이템 및 형태는 주로 스탠딩 칼라, 잘록한 허리, 높은 목장식 크라바트, 스타킹, 웨이스트 코트, 러프칼라, 짧은 하이 버튼 재킷 등으로 나타났고, 액세서리로는 주로 높은 모자(top hat), 장갑, 스카프, 스터드, 지팡이 등이 언급되었다. 1893년 기사에서는 댄디가 여행할 때 필수로 여기는 패션 아이템 커머번드를 묘사했는데, 그들은 새로운 지역에 도착할 때마다 다른 것을 착용했으며, 이는 정교한 솜씨의 일본 버클로 고정하는 형태로 묘사되었다(Champdoce, 1893). 또한 파리에서는 독특한 모양의 로우 칼라(low collar)가 달린 이브닝 웨어가 유행했는데, 이는 로마 가톨릭 성직자용 서클렛(circlet) 형태였다. Ermyntrude(1895)의 기사에서는 댄디들이 착용하는 패션 아이템으로 칼라에 추가적으로 부착하는 스터드를 언급하였는데, 한 쌍의 여분의 스터드 구멍이 더 있으면 칼라를 항상 완벽하게 유지할 수 있다고 하였다. 한편 18세기말에는 손을 따듯하게 해주는 머프(muff)가 남녀모두에게 유행하였는데, 유행에 흔들리지 않는 댄디들도 즐겨 착용할 정도였다(Editorial: Haphazard, 1909). 1790년경 혁명기시대의 댄디는 긴 꼬리가 달린 프록코트를 입었고, 꽉 조이는 바지에 줄무늬 장갑과 부츠 또는 굽이 있는 슬리퍼를 신었으며, 지팡이를 들고 있었다(Hambidge, 1910).

1913년 기사에서는 요즘 남성에게 주어진 장식은 넥타이 뿐이지만, 루이16세 시절 댄디들은 팔의 커브를 아름답게 보이게 하는 리본장식달린 머프까지 있었다고 하며, 높은 모자는 남성의 위엄을 살려주는 액세서리이고, 그 시대의 댄디적 요소를 추억하고 그리워하는 경향을 보였다. 1913년 모자에 대한 기사에서는 루이 13세의 궁정의 17세기 댄디들은 모두 큰 브림의 정교한 모자를 착용했다고 언급되었고, 브럼멜의 모자트림은 당시 유행보다 약간 더 크고, 아주 약간 삐딱하게 썼지만 깐깐하고 꼼꼼함을 보여주기에 충분했다고 하였다(Art: Beau, 1914). 특히 댄디의 칼라는 <Fig. 7>처럼 하얗고 높은 깔끔한 형태로 묘사되었고, 시계의 장식적 가치가 매우 높이 평가되어 종종 한사람이 두 개 이상의 시계를 착용하기도 했는데 <Fig. 8>, 이처럼 여러 개의 시계를 착용하는 패션 스타일은 당시의 댄디들에게 강력한 유행스타일로 차용되었다(Cartier, 1920). 1910년경부터는 여성 패션에 댄디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하기 시작했는데, 스키아파렐리의 허리가 위로 올라간 재킷 스타일을 댄디 실루엣이라고 칭하거나, 현대 여성들의 길고 타이트한 소매의 로브와 숏트 자켓은 18세기 여성보다는 남성 댄디에게서 영향을 받은 것이며, 흠 없는 프릴장식, 지팡이와 케이프, 목의 리본장식 등은 댄디적 요소라고 언급되기도 했다. 또한 플리츠로 목부분이 화려하게 장식된 여성블라우스를 댄디 탑으로 표현하기도 했다(Hillis, 1920). 특히 향수 Le dandy는 남성 댄디 도르세이 백작의 향기를 담은 것인데, 블랙 보틀의 여성 향수로 출시되었다.

<Fig. 7>

Features: Couturiers (Fashion: It's only, 2006)

<Fig. 8>

Fashion: The Jewelled Flight of Time (Rittenhouse, 1914)

1941년 뉴욕의 봄 컬렉션 기사에서는 손목과 목에 주름 장식이 있는 것 그리고 하나가 아닌 두 개의 페플럼(peplum) 디테일이 댄디적인 것으로 묘사되었다. 그 외에 조끼 아이템, 스키아파렐리 의상의 좁고 가녀린 스타일 등이 댄디로 묘사되었는데, 이처럼 1940년대에 여성스러운 댄디(feminine dandy)로 묘사된 패션의 특징은 잘록한 허리의 스탠딩 컬러 코트, 높은 목장식 크라바트, 웨이스트코트, 프릴 목장식, 세련된 모자, 케이프, 짧고 타이트한 high buttoned 댄디 재킷, 장갑 그리고 스카프 등으로 나타났다.

1972년 기사에서도 타이트한 코트가 댄디로 묘사되었고, 1984년 기사에서는 “예술을 위한 예술”의 개념을 만든 학자 버나드 베렌슨(Bernard Berenson)이 항상 양복의 옷깃에 신선한 꽃을 꽂은 것을 댄디로 묘사하였다(Rose, 1984). 한편 1985년 런던에서는 18세기의 기발함과 19세기 영국식 댄디한 옷차림이 공존하며, 남성복과 여성복의 크로스드레싱이 넘쳐났고, <Fig. 9>처럼 프린트 있는 남성조끼가 댄디로 묘사되었다(Talley, 1985). 또한 밤과 낮에 입을 수 있는 다재다능한 르뎅고트 코트, 1988년에는 노출이 있는 수트와 목이 놀게 올라간 다양한 화이트 셔츠 등이 댄디적 패션 아이템으로 나타났다.

<Fig. 9>

View: Romantic Notions (Cartier, 1920)

1990년대는 그런지 패션, 힙합스타일이 유행했고, 의상의 해체주의가 모든 규칙과 관습을 깨면서 패션을 재정의 하는 또 다른 방식이었는데, 여러 브랜드의 댄디풍 의상에 화려하고 키치적인 디테일 요소가 넘쳐났다. 베르사체의 댄디는 힙합피콕으로 묘사되었고, 안나수이는 벨벳 프록코트, 가죽 드레스로 댄디 스타일을 나타냈으며, 남성정장 스트라이프 댄디룩이 여성패션에 큰 유행을 미치는 등 댄디 정신이 여성패션으로 두드러지게 나타난 시기였다. 프랑스 네오 로맨틱 트렌드와 함께 등장한 풍성한 러플 그리고 웨이스트코트 스타일 댄디는 힙합, 키치풍으로 가장 자유롭고 거침없는 변형을 보여주었고, 이러한 새로운 댄디 스타일이 런웨이를 장악하였다. 1992년 기사에서는 댄디한 실루엣으로 1970년대 록 스타 혹은 에드워드 시대의 살롱에서 영감을 받아 런웨이를 장식한 섹시하고 매력적인 스타일에 대해 묘사했고, Lauren의 룩은 Mick Jagger에서 영감을 받은 Edwardian 스타일에서 남부 동맹 군인까지 다양한 댄디 스타일을 선보였다. 또한 앞뒤가 뒤집힌 위트와 기발함이 담긴 턱시도 재킷이 댄디적인 것으로 묘사되기도 했다(Fashion: Vogue's view: Great buys, 1992).

21세기 댄디 패션은 주로 돌체 앤 가바나(Dolce & Gabbana), 발망(Balmain), 디올(Dior)의 등의 여러 디자이너 컬렉션에서 여성 정장형태로 나타났는데, 톱 햇, 크라바트 혹은 테일코트 등 댄디의 패션아이템을 전반적으로 댄디 패션으로 칭하고 있었다<Fig. 10>.

<Fig. 10>

Tailcoat of Dandy (Talley, 1985)

(2) 색채

댄디의 패션에 가장 여러 차례 언급된 대표적인 색상은 블랙과 화이트였으나 그 외에도, 시대별 유행에 따른 화려하고 다채로운 색상들이 나타났다. 1893년에는 소프트 핑크, 페일 블루, 그린 등의 부드러운 색상으로 만든 커머번드에 관한 기사가 있었고(Champdoce, 1893), 1899년에는 레드줄무늬의 블랙 수트를 입은 포병들과 스카이 블루코트 차림의 경비병들의 옷차림이 댄디로 언급되었다. 한편 Hambidge(1910)의 기사에서는 1790년경 혁명기시대의 댄디는 그의 전임자들과 현저하게 다르게 화려하지 않은 색상을 선호했다고 하였다. 18세기 댄디에 관한 기사에서는 블랙 실크스타킹, 화이트 서스팬더로 고정한 캐시미어 팬츠, 화이트 크라바트로 댄디 의상의 색상을 언급하기도 했다. 한편 19세기 댄디들은 그레이의 주름 가득한 바지와 레드 코트를 입었다는 기사도 있었고(Fashion: Le bal du, 1922), 1941년에는 남성 수트를 닮은 여성 댄디 패션이 유행했는데, 목 부분이 높고, 주름이 있지만 핑크와 스트라이프 그레이 등 색상은 부드러운 경향을 보인다고 묘사되었다(Fashion: Material, 1941). 특히 화이트 블라우스나 셔츠를 댄디로 묘사한 사례가 많았고, Jabots, 스카프, 프릴 및 18세기 스타일 그리고 빨간색과 파란색 펠트 휘장이 있는 화이트 울 저지 등이 댄디적인 것으로 표현되었다. 또한 리본으로 묶는 칼라가 있는 블루, 블랙, 화이트 레이온 새틴 소재의 스트라이프 블라우스를 댄디 칼라로 묘사하기도 하였다. 한편 <Fig. 11>처럼 블랙 포플린 트렌치코트와 질감이 있는 블랙 스타킹, 스웨이드 부츠착장의 올 블랙이 댄디로 표현되거나(Fashion: Mia farrow, 1967), 베이지 실크 팬츠와 골드 무늬가 있는 블랙 패턴의 화이트 니트 가디건, 블랙 밍크재킷과 화이트 셔츠의 주름이 댄디로 묘사되기도 했다. 1987년에는 엠마누엘 웅가로(Emanuel Ungaro)의 타이트한 블랙 자켓, 그리고 앤 드뮐미스터(Ann Demeulemeester)의 화이트 울 코트의 순수함과 고급스러움과 매우 넓은 라펠, 화이트 재킷, 블랙 조끼, 아이보리 바지 등이 댄디 아이템으로 묘사되었다<Fig. 12>. 한편 화장품 Mac의 색상 묘사에서 오스카와일드의 댄디와 보헤미안 감성의 색을 자유로운 컬러라고 언급한 기사도 있었다(Han, 2010).

<Fig. 11>

Black of Dandy (Fashion: Mia Farrow, 1967)

<Fig. 12>

Suit of Dandy (Fashion: Warming, 2007)

(3) 소재

댄디의 의상에 주로 언급된 소재는 캐시미어, 코튼, 린넨, 벨벳 등이었고, 액세서리로는 금, 은, 상아조각이나 상어가죽 등 사치스럽고 화려한 재료가 언급되었다. 1983년 기사에서 언급된 댄디의 커머번드 소재는 금으로 수놓은 화려한 일본 실크였고(Champdoce, 1893), 1894년 기사에서 언급된 댄디의 칼라는 린넨으로 만들어진 것이었다. 1910년에는 실크 자수 혹은 스팽글과 레이스, 줄무늬와 도트무늬 실크, 브로케이드 및 새틴으로 만들어진 댄디의 타이트한 코트와 양복 조끼에 대한 묘사가 있었고(Hambidge, 1910), 1913년에는 18세기 댄디에 대하여, 내추럴 컬러의 꽃무늬가 수놓아진 블랙 실크스타킹을 신고, 서스팬더로 고정한 캐시미어 팬츠를 입고, 마차를 끌 때는 벨벳 컬러가 달린 르뎅고트 코트를 입었다고 하며, 댄디의 대표인물 보브럼멜의 의상을 언급하였다. 한편 요즘 남성에게 주어진 장식은 넥타이에 국한된 반면, 루이 14세의 통치기간의 댄디에게는 모든 색과 원단이 허용되어 거대한 리본이 달린 수달 머프까지 애용되었다는 기사가 있었고, 포슬린, 자개, 돔발상어 가죽 등을 이용한 정교하고 화려한 악세서리인 지팡이가 댄디의 취향으로 언급하기도 했다. 한편 댄디의 액세서리로 언급된 지팡이는 금이나 은으로 상아 조각, 리본으로 장식된 화려한 것이 언급되었다. 댄디의 주요 패션아이템으로 리넨이나 부드러운 실크 소재의 셔츠가 언급되기도 했다(Fashion: The mode, 1925).

1932년 기사에서는 스키아 파렐리(Schiaparelli)의 하이 웨이스트 컷과 프릴이 있는 코트가 댄디 같다고 묘사되었는데, 이는 블랙과 화이트 새틴 리본, 주름 장식 및 퀼트로 되어있고, 새틴 저지 드레스 위에 걸쳐입는 형태였다(Fashion: Paris, 1932). 한편 블랙 알파카 코트나 네이비 울 소재의 양복, 레이온 크레이프 프린트의 블라우스, 부드러운 벨벳 느낌의 듀베틴 코트 등이 댄디 패션으로 언급되었다. 또한 여성 트위드, 실크 케이프를 댄디로 묘사하거나, 스테판 스프라우스(Stephen Sprouse)의 벨벳과 플란넬로 된 운전사 쟈켓, 정교하게 수놓은 실크 벨벳재킷과 메탈릭 실크 모아레 스커트착장 등이 댄디로 묘사되었다. 1992년 기사에서는 다양한 소재와 모양의 위트있는 커프 링크가 댄디 아이템으로 묘사되었는데, 다채로운 크기와 모양의 크리스탈, 유리, 인조보석 등이 사용되었다(Fashion clips, 1992). 한편 19세기 댄디의 크라바트는 무늬 없는 화이트 린넨 소재였던 것에 반해, 21세기 패션에서 댄디로 묘사된 크라바트는 정교한 레이스 패턴에 실크가 사용된 화려한 고급소재로 묘사되는 경향을 보였다<Fig. 13>.

<Fig. 13>

Cravat of Dandy (Fashion & Features: Pretty, 2010)

<Table 3>은 보그 아카이브에서 댄디로 묘사된 패션에 나타난 조형적 특성을 형태, 색채, 소재로 구체화하여 시대별로 분석한 결과이다.

Formativeness of ‘Dandy Fashion’ in Vogue Archive

(4) 스타일링

댄디의 스타일링은 주로 흠 잡을데 없이 완벽하거나 사치스러운 스타일로 언급되면서도, 절제를 중요시하는 이중적인 경향을 보였다. 또한 1980년 이후에는 편안하게 입는 스타일이 댄디로 표현되는 새로운 경향이 나타나기도 했다. 1895년 기사에서는 흠 잡을데 없이 잘 차려 입고, 긴 헤어는 향기가 나고, 포마드를 발라 반짝이며, 코트 카라 아래로 부드럽게 컬이 지는 스타일의 남성을 댄디로 묘사하였다(Chatelaine, 1895). 1909년에도 단정하게 자른 헤어, 왁스 바른 콧수염 그리고 정교하게 다림질된 바지가 댄디의 스타일링으로 나타났다. 한편 Hambidge(1910)의 기사에서는 2개의 시계를 차고 줄을 양복 조끼 아래에 늘어뜨리는 스타일이 유행했다고 묘사되었고, 1790년경 혁명기시대의 댄디는 뒤에 긴 꼬리가 있고 앞에 두 개의 짧은 리버스가 있는 프록코트를 입었으며, 레이스로 장식된 넥타이로 턱 아래에 큰 매듭을 형성했다고 하였다. 또한 꽉 조이는 바지는 종아리까지 내려와 세로 줄무늬로 덮인 스타킹 위에 리본으로 고정되었고, 줄무늬 소재 장갑과 부츠 또는 굽이 있는 슬리퍼를 신고, 손에는 지팡이를 들고 있다고 언급되었다. 1674년에 태어난 Richard Nach는 목욕을 지나치게 많이 하고, 몸을 청결히 한다는 의미로서 최초의 댄디로 언급하고 있었고, 진흙탕에 부츠가 더럽혀지지 않게 조심하고, 보브럼멜 같이 우아하며, 목의 러플이 망가지지 않게 머리를 조심히 움직이는, 흠잡을데 없이 패셔너블하고 완벽한 스타일에 댄디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었다(Friend, 1913). 1914년 기사에서는 과거세대에서 머스큘린 남성타입이 우아했다면, 이번세대에는 옷 잘 입는 남성이 우아하게 여겨진다고 했다<Fig. 14>. 또한 짧고 곱슬진 헤어, 높은 모자와 슬림 웨이스트코트와 타이트한 바지 착장이 댄디로 언급되었다.

<Fig. 14>

Well-Dressed Man (Fashion: The Well-dressed, 1914)

1923년 기사에서 댄디는 옷차림에 있어 절묘한 예의를 갖춘 사람으로 언급되었는데, 결혼식에서 모든 사람들의 시선이 신랑에게 고정되고 신부가 부차적인 역할을 하면 안되는 것처럼, 남성복의 우아함은 결코 조소를 불러일으키지 않아야 한다고 하며, 상황에 맞는 절제를 댄디의 스타일링으로 보았다(Editorial: Bridegrooms, 1923). 반면에 13세기 젊은 노르만 댄디는 과장된 스타일의 장갑을 착용했다는 기사와, 19세기 루이 필리프(1773-1850)시대에는 화이트 피케셔츠 아래 블랙 벨벳조끼 그리고 보석으로 만든 조끼 단추, 잘록한 허리의 다소 사치스러운 코트가 댄디의 패션 아이템으로 묘사되었다.

1950년 기사에서도 높은 칼라가 댄디로 언급되었고, 잘 다듬어진 콧수염에 짙은 회색의 플란넬 수트, 세로로 줄무늬가 있는 네이비, 화이트 셔츠와 뻣뻣한 칼라, 빨간 체크무늬 넥타이, 카네이션, 가볍게 빛나는 블랙 구두를 신은 남성착장이 댄디로 묘사되기도 하였다. 한편 1950년에는 앙드레지드(Andre Gide)의 과장된 영국식 착장, 예를들어 벨벳 스모킹 재킷과 벨벳 슬리퍼를 신고 있는 것 그리고 해리스 트위드 코트에 다양한 해골 캡, 스모킹 캡, 드레이핑 헤드기어 착장을 댄디로 표현하기도 했다(People and ideas, 1951). 반면에 튀지 않는 패션착장에도 댄디라는 표현을 썼으며, 칼라와 소맷단에 레이스 프릴이 달린 화이트 셔츠와 반짝이는 블랙 팬츠에 레이스 주름 장식 커프스. 셔츠차림의 소녀들이 입는 바지 정장 착장이 댄디로 묘사되기도 했다.

1983년 기사에서도 전형적인 댄디 착장으로 블랙 나비넥타이에 화이트 드레스 셔츠, 그리고 타이트하고 포멀하며 자수가 놓인 칼 라거펠트 재킷과 블랙 바지가 언급되었고<Fig. 15>, 그 외에 스웨터로 편안하게 입는 나이트 글래머 스타일이 댄디로 표현되기도 했다. 한편 반짝이는 피부와 머릿결을 가졌고, 베르사체 수트를 입은 퍼프 대디(Puff Daddy)가 힙합 댄디로 묘사되거나(Sykes, 1999), 타이트한 바지, 높고 댄디한 60년대 칼라 착장 등이 댄디 스타일로 나타났다(Fashion: It's only, 2006). 한편 2000년대에 와서는 <Fig. 16>처럼 산책할 때도 입고 일상복으로 입을 수 있는 편안하고 자유로운 착장이 댄디로 묘사되는 경향이 있었다.

<Fig. 15>

Features: Why a Woman (Buck, 1983)

<Fig. 16>

View: Sleep Walking (Adams, 2012)

2) 현대 패션에 나타난 댄디의 의미

패션에서 댄디는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었는데, 이에 대한 연도별 특성은 다음과 같다. 1893년 기사에서는 무신론의 대표로 댄디를 언급하였고, 무신앙은 우아함의 극치이고, 신앙심은 부르주아의 것으로 여겨졌다고 하며, 승마경주에 드나드는 잘난체하는 멋쟁이 남성들을 댄디라고 표현하였다. 또한 댄디는 뉴욕, 런던, 파리 등지의 남성들만의 공간인 Toilet Shop에서 화장, 염색, 수염정리 등으로 단장하는 패션에 관심이 많은 남성으로 묘사되기도 했다(Features: A complexion, 1895). 단정치 못하고 초라하며, 유행에 뒤진 옷차림의 사람들을 바보로 언급한 기사에서는, 그 반대 개념으로 댄디를 사용하고 있었다. 그 외에 댄디는 멋쟁이면서 약간의 허영심 있는 사람 혹은 사치, 과장이 있는 남성의 의미로 언급되기도 했다. 이처럼 초기 댄디의 의미는 주로 외모에 관심 많고 치장하는데 공들이는 남자들이나 인기에 연연하지 않는 주관이 뚜렷한 등의 의미로 외관과 행동양식 모두를 말하고, 과장이라는 부정적 의미로도 사용됨을 알 수 있었다.

1910년에는 시적이고 낭만적인 면이 없고, 쾌락을 즐기는 것도 아니며, 조용하고 차분하면서 옷차림이 눈길을 끌 만한 것이 없다는 것은 댄디가 아니라고 묘사된 기사가 있었고(Fashion: Garnering, 1910), 1913년에는 옷을 요란하게입고, 여성처럼 말하는 남성, 게이컬러의 색깔, 약간 우스꽝스러운것 등을 댄디라고 하며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한 기사도 있었다(Hamilton, 1913). 특히 1915년 댄디의 어원에 관한 기사에서는, 댄디가 "ninny" 또는 "booby"를 뜻하는 프랑스어 단어 dandin에서 왔다고 주장되었으며, 어리석게 보이고, 구부정하게 보이고, 꾸물거리고, 짓밟는 것을 의미하는 동사 dandiner와 전형적으로 게으르고 뻔뻔스러운 Fop의 걸음걸이와 행동 사이에 밀접한 유사점이 있는것 같다고 언급하였다. 또한 크기가 작고 가치가 거의 없는 헨리 7세 시대의 동전 dandiprat라는 단어에서 유래했다고 보기도하며, 다양한 댄디의 의미에 대해 언급했다(Features: Beau nash, 1915). 또한 댄디는 가장 단순한 외투를 걸치고 있지만 그 아래에 행운의 의상과 보석을 걸치고 있는 패셔너블한 여성처럼 반전매력의 의미로 사용되기도 했다. 한편 1772년 영국에서 "마카로니"라는 단어가 "사치스러운 댄디"라는 의미를 갖기 시작했다는 기사가 있었고, 전기가 보급된 시대적 배경과 함께 배터리 광고, 즉 새로운 과학기술도 새롭고 좋다는 뜻의 “fine and dandy”로 묘사했다. 또한 “The Chocolate Dandies”, “Yankee Doodle Dandy” 등의 뮤지컬 코메디의 제목으로도 댄디가 사용되며, 사용의 범위가 확장되고, 다양화되며, 많은 관심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930-1949경에는 여성의 의상에서 댄디적 디테일을 보이거나, 댄디의 대표적 악세서리인 모자, 스카프, 장갑 등의 액세서리 묘사에 댄디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하였다. 패션 외에는 비길데 없이 좋은 혹은 새롭다는 뜻으로 “fine and dandy”와 같은 용어사용이 지속적으로 노출되었다. 그 외에 자동차가 대중화되면서 그에 탑재된 일레트릭 장치들, 혹은 비행기 메탈로 만든 가볍고 멋진 시가렛 홀더 등을 칭하며 댄디라고 하였는데, 이는 새로운 개발과 기능적인 것을 이르는 뜻임을 알 수 있다. 특히 합성섬유의 대중화와 함께 등장한 레이온 광고에 새로운 기능성 원단을 이르는 용어로 댄디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1960년경에는 유명한 아티스트, 소설가 등의 스타일과 성격을 댄디로 묘사하는 예가 많았는데, 그 예로, 시인의 성격 언급에 부끄러워하지만 열정적인 성격의 댄디라는 묘사, 앙드레지드는 벨벳 스모킹 자켓, 벨벳 슬리퍼 등을 즐기는 댄디라고 하였다. 한편 보들레르와 오스카 와일드처럼 부자의 아들로 태어나고 가난하게 죽는 것을 댄디와 같다고 묘사한 기사도 있었다. 1970년대에는 자유로운 예술가였던 앤디워홀(Andy Warhole)을 잘 가꾸어진 댄디라 칭했는데, 그는 우아한 새 브라운 스톤 타운 하우스에서 좋은 돈으로 살 수 있는 모든 것에 둘러싸인 댄디가 되었다고 하였다(Rose, 1974). 한편 짐 모리슨(Jim Morrison), 지미 핸드릭(Jimi Hendrix), 믹 재거(Mick Jagger) 등과 같은 록 가수가 댄디로 언급되었으며, 댄디는 대체로 쿨하다는 의미로 통용되며, 유능하거나 자기관리가 철저한 사람의 특징을 묘사하고 있었다.

2000년대 이후의 댄디는 주로 도시의 세련된 남성 스타일을 일컫는 용어 혹은 디자이너 컬렉션에서 여성의 정장을 표현하는데 사용되고 있었고, 지루함의 반대말로 쓰이거나 혹은 패션에서 지나침(too much)의 의미로 사용되기도 했다(Breaking camp, 2019).


Ⅳ. 결론

본 연구에서는 댄디의 발생과 스타일에 관한 다양한 전문서적과 보그 분석을 바탕으로 그 개념을 명확히 하고, 사적으로는 그 의미의 변화를 고찰하며, 더불어 댄디의 패션 스타일에 나타난 시대별 특성변화를 도출하였다. 이는 현대 패션의 역사에서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패션 용어와 그 스타일분석을 통해. 특성을 밝히는 하나의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댄디는 20세기 초에는 주로 남성이나 남성패션에 사용되는 용어였으나, 점차 여성에게도 그 사용 범위가 확대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현대 패션에서 응용하고 있는 댄디 스타일의 조형적 요소는 형태와 재료 면에서 과거와 흡사하게 나타났는데, 주로 스탠딩 칼라, 잘록한 허리, 높은 목장식 크라바트, 스타킹, 웨이스트 코트, 넥 러프, 짧은 하이버튼 재킷이 대표적 스타일이었으며, 액세서리로는 높은 모자, 장갑, 스카프, 지팡이 등이 있었다. 하지만 시대별로 유행 실루엣과 디테일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는 결국 댄디적 요소가 당대의 트렌드에 맞게 응용되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또한 댄디 패션스타일로 가장 여러 차례 언급된 색상은 블랙과 화이트였으나, 시대별 유행에 따른 화려하고 다채로운 색상들이 나타났다. 소재로는 실제 댄디가 애용했던 캐시미어, 코튼, 린넨, 벨벳 등이 주로 사용되었고, 그 외에 코듀로이, 실크 등이 사용되었고, 액세서리로는 금, 은, 상아조각이나 상어가죽 등 다소 사치스러운 재료가 사용되고 있었다. 특이한 점은 레이온, 나일론 같은 합성섬유가 개발되었을 때 그 새로움과 기능성에 댄디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하고 있어 현대 패션에서의 댄디는 새롭고 기능적인 것에 사용하는 단어로 변용되고 있다는 점을 밝힐 수 있었다. 그외 댄디가 현대 패션에 나타나는 방식은 옷차림이나 대상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까다롭게 군다거나, 날씬함을 유지하는 등의 행동양식, 새로운 제품, 편리하고 간편한 기능성, 사물묘사에도 혼용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점차 그 의미가 확장되고 다변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현대패션에서 댄디의 의미는 대체로 새롭고, 편리하고, 기능적이며 멋진 등의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처럼 현대 패션에서 댄디 스타일은 그 이미지가 다양하게 변화하면서도, 꾸준히 시대를 반영하고 있기에 의미 있는 패션으로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패션 기사의 이미지뿐만 아니라 텍스트 분석을 병행하여, 이미지 분석이 자세하게 도출하지 못했던 문화적 메시지를 분명하게 밝혀내고자 하였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분석대상을 패션 잡지 보그로 한정하였기 때문에, 향후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을 다른 종류의 잡지나 신문 혹은 미디어로 확대한다면 더욱 다양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References

  • Adams, E. (2012, October). View: Sleep walking. Vogue. Retrieved from https://www.proquest.com/docview/1220559735?accountid=146597
  • Art.com (n.d.). Retrieved from https://www.art.com/products/p55962048954-sa-i9356397/constantin-guys-a-dandy-19th-century.htm
  • Art: Beau brummels of the brush (1914, June 15). Vogue. Retrieved from https://www.proquest.com/magazines/art-beau-brummels-brush/docview/911849835/se-2?accountid=146597
  • Baudelaire, C. (1972). The painter of modern life. London, UK: Penguin.
  • Baudelaire, C. (2013). The painter of modern life of Baudelaire [보들레르의 현대 생활의 화가]. (K. H. Park, Trans.). Seoul, Republic of Korea: Inmunseojae. (Original work published 1863)
  • Berlinger, M. (2018, June 13). He wore it first. New York Times. Retrieved from https://www.nytimes.com/interactive/2018/06/13/style/dads-are-cool.html
  • Breaking camp (2019, May 1). Vogue. Retrieved from https://www.proquest.com/magazines/breaking-camp/docview/2235462028/se-2?accountid=146597
  • Breward, C. (2003). Fashion.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 Buck, J. J. (1983, April 1). Features: Why a woman likes to dress like a man. Vogue. Retrieved from https://www.proquest.com/magazines/features-why-woman-likes-dress-like-man/docview/879270889/se-2?accountid=146597
  • Cartier, P. (1920, November 1). Fashion: The jewelled flight of time. Vogue. Retrieved from https://www.proquest.com/magazines/fashion-jewelled-flight-time/docview/904320469/se-2?accountid=146597
  • Champdoce, C. (1893, August 5). Fashion: Paris. Vogue. Retrieved from https://www.proquest.com/magazines/fashion-paris/docview/911813157/se-2?accountid=146597
  • Chatelaine. (1895, March 7). Features: Old manners and customs. Vogue. Retrieved from https://www.proquest.com/magazines/features-old-manners-customs/docview/904244920/se-2?accountid=146597
  • Cho, E. R. (2011). L’Ironie du dandysme chez les dandys-littéraires du ⅩⅨe siècle. Etudes de la Culture Francaise et de Arts en France, 36, 359-389. [https://doi.org/10.21651/cfaf.2011.36..359]
  • Dandy. (n.d.-a). Vogue. Retrieved from https://www.proquest.com/vogue/results/5AA4168181244CA6PQ/1?accountid=146597
  • Dandy. (n.d.-b). In Oxford Lexico dictionary online. Retrieved from https://www.lexico.com/definition/dandy
  • D'Aurevilly, J. B. (2014). Dandyism story of fashionable men: A detailed report on the first gorgeous George Brummel [멋쟁이 남자들의 이야기 댄디즘: 최초의 멋쟁이 조지 브러멀에 대한 상세한 보고서]. (B. M. Ko & J. Lee, Trans.). Paju, Republic of Korea: YIBOM Publishers. (Original work published 1845)
  • Editorial: Bridegrooms, husbands, and fathers (1923, April 1). Vogue. Retrieved from https://www.proquest.com/magazines/editorial-bridegrooms-husbands-fathers/docview/897846077/se-2?accountid=146597
  • Editorial: Haphazard jottings (1909, February 18). Vogue. Retrieved from https://www.proquest.com/magazines/editorial-haphazard-jottings/docview/904268068/se-2?accountid=146597
  • Entwistle, J. (2013). The fashioned body [패션화된 몸]. (K. H. Choi, Trans.). Seoul, Republic of Korea: Hansung University Press. (Original work published 2000)
  • Ermyntrude. (1895, September 26). Society: London: The shooting season.. Vogue. Retrieved from https://www.proquest.com/magazines/society-london-shooting-season/docview/904246872/se-2?accountid=146597
  • Fashion clips: Watch out/riding high (1992, July 1). Vogue. Retrieved from https://www.proquest.com/magazines/fashion-clips-watch-out-riding-high/docview/904339734/se-2?accountid=146597
  • Fashion & features: Pretty tough (2010, September 1). Vogue. Retrieved from https://www.proquest.com/magazines/fashion-features-pretty-tough/docview/879328912/se-2?accountid=146597
  • Fashion: Garnering the mode as the smart world wears it (1910, October 15). Vogue. Retrieved from https://www.proquest.com/magazines/fashion-garnering-mode-as-smart-world-wears/docview/911844517/se-2?accountid=146597
  • Fashion: It's only rock 'n' roll (2006, February 1). Vogue. Retrieved from https://www.proquest.com/magazines/fashion-only-rock-n-roll/docview/879317151/se-2?accountid=146597
  • Fashion: Le bal du second empire a biarritz (1922, November 15). Vogue. Retrieved from https://www.proquest.com/magazines/fashion-le-bal-du-second-empire-biarritz/docview/879156921/se-2?accountid=146597
  • Fashion: Material for self-expression (1941, February 15). Vogue. Retrieved from https://www.proquest.com/magazines/fashion-material-self-expression/docview/879211586/se-2?accountid=146597
  • Fashion: Mia farrow: A dandy in paris (1967, August 1). Vogue. Retrieved from https://www.proquest.com/magazines/fashion-mia-farrow-dandy-paris/docview/904333023/se-2?accountid=146597
  • Fashion: Paris...puts it up to you (1932, September 15). Vogue. Retrieved from https://www.proquest.com/magazines/fashion-paris-puts-up-you/docview/879197639/se-2?accountid=146597
  • Fashion: The mode of the english restoration (1925, March 15). Vogue. Retrieved from https://www.proquest.com/magazines/fashion-mode-english-restoration/docview/879165400/se-2?accountid=146597
  • Fashion: The well-dressed man of europe (1914, February 15). Vogue. Retrieved from https://www.proquest.com/magazines/fashion-well-dressed-man-europe/docview/911850506/se-2?accountid=146597
  • Fashion: Vogue's view: Great buys: Breaking rank (1992, August 1). Vogue. Retrieved from https://www.proquest.com/magazines/fashion-vogues-view-great-buys-breaking-rank/docview/911877277/se-2?accountid=146597
  • Fashion: Warming trend (2007, August 1). Vogue. Retrieved from https://www.proquest.com/magazines/fashion-warming-trend/docview/879325327/se-2?accountid=146597
  • Features: A complexion note (1895, February 7). Vogue. Retrieved from https://www.proquest.com/magazines/features-complexion-note/docview/904251729/se-2?accountid=146597
  • Features: Beau nash and his monarchical rule (1915, December 1). Vogue. Retrieved from https://www.proquest.com/magazines/features-beau-nash-his-monarchical-rule/docview/911859978/se-2?accountid=146597
  • Fillin-Yeh, S. (Ed.). (2001). Dandies: Fashion and finesse in art and culture. New York, U.S.: NYU Press.
  • Friend, M. A. (1913, February 15). Fashion: After the manner of an old style-book. Vogue. Retrieved from https://www.proquest.com/magazines/fashion-after-manner-old-style-book/docview/911847892/se-2?accountid=146597
  • Habermas, J. (1994). The philosophical discourse of modernity [현대성의 철학적 담론]. (J. W. Lee, Trans.). Seoul, Republic of Korea: Moonye Publishing. (Original work published 1985)
  • Hambidge, H. C. (1910, February 5). Fashion: A half century of men's fashions. Vogue. Retrieved from https://www.proquest.com/magazines/fashion-half-century-mens-fashions/docview/879143535/se-2?accountid=146597
  • Hamilton, C. (1913, April 15). Theater: Seen on the stage. Vogue. Retrieved from https://www.proquest.com/magazines/theater-seen-on-stage/docview/904289581/se-2?accountid=146597
  • Han, C. (2010, March 1). Beauty: Makeup: Liberty for all. Vogue. Retrieved from https://www.proquest.com/magazines/beauty-makeup-liberty-all/docview/904358039/se-2?accountid=146597
  • Hillis, M. (1920, April 15). Fashion: Paris counts the returns for the daytime mode. Vogue. Retrieved from https://www.proquest.com/magazines/fashion-paris-counts-returns-daytime-mode/docview/904298831/se-2?accountid=146597
  • Hollander, A. (1993). Seeing through clothes. Berkeley, LosAngeles, and London, U.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Hollander, A. (1994). Sex and suits: The evolution of modern dress. New York, U.S.: Alfred A. Knopf, Inc.
  • Kim, B. R. (2010). Paris bohemian dandies. Seoul, Republic of Korea: Saemoonsa.
  • Kim, M. J. (2013). Aesthetics in dress: New perspective in fashion & fashion thinking. Paju, Republic of Korea: Gyomoon Publishers.
  • Ko, H. (2018). A study on the black dandyism of sapeur subcultu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8(6), 150-166. [https://doi.org/10.7233/jksc.2018.68.6.150]
  • Laver, J. (2005). Costume and fashion [서양 패션의 역사]. (I. H. Jung, Trans.). Seoul, Republic of Korea: Sigongart Publishing. (Original work published 2002)
  • Nam, H. J. (2020). A study on the formativeness and styling of turtleneck sweaters in modern fashion; Focused on Vogue.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22(6), 161-184. [https://doi.org/10.47294/KSBDA.22.6.12]
  • People and ideas: Cecil beaton's "photobiography" (1951, June 1). Vogue. https://www.proquest.com/magazines/people-ideas-cecil-beatons-photobiography/docview/911861832/se-2?accountid=146597
  • Rittenhouse, A. (1914, October 15). Features: Couturiers under arms. Vogue. Retrieved from https://www.proquest.com/magazines/features-couturiers-under-arms/docview/879142493/se-2?accountid=146597
  • Rose, B. (1974, June 1). Features: Andy warhol's american women. Vogue. Retrieved from https://www.proquest.com/magazines/features-andy-warhols-american-women/docview/879259996/se-2?accountid=146597
  • Rose, B. (1984, May 1). Features: Berensen & wife. Vogue. Retrieved from https://www.proquest.com/magazines/features-berensen-wife/docview/904353191/se-2?accountid=146597
  • Stevenson, N. J. (2014). The chronology of fashion [패션 연대기]. (J. E. An, Trans.). Seoul, Republic of Korea: Two plus books. (Original work published 2011)
  • Sykes, P. (1999, October 1). Vogue point of view: Puffy takes paris. Vogue. Retrieved from https://www.proquest.com/magazines/vogue-point-view-puffy-takes-paris/docview/904354068/se-2?accountid=146597
  • Talley, A. L. (1985, January 1). View: Romantic notions. Vogue. Retrieved from https://www.proquest.com/magazines/view-romantic-notions/docview/879276919/se-2?accountid=146597
  • Trebay, G. (2018, June 12). The dandy is dead. New York Times. Retrieved from https://www.nytimes.com/2018/06/12/style/mens-fashion-fugly-pitti-spring-2019.html?searchResultPosition=1
  • Wilson, E. (2003). Adorned in dreams: Fashion and modernity. New Brunswick, U.S.: Rutgers University Press.

<Fig. 1>

<Fig. 1>
Frequency Analysis of 'Dandy' (Dandy, n.d.-a)

<Fig. 2>

<Fig. 2>
Beau Brummell 'Dandy’ (Breward, 2003, p. 162)

<Fig. 3>

<Fig. 3>
Baudelaire (Kim, 2010, p. 160)

<Fig. 4>

<Fig. 4>
Beau Brummell (Kim, 2010, p. 188)

<Fig. 5>

<Fig. 5>
Oscar Wilde (D'Aurevilly, 2014, p. 36)

<Fig. 6>

<Fig. 6>
A Dandy (Art.com, n.d.)

<Fig. 7>

<Fig. 7>
Features: Couturiers (Fashion: It's only, 2006)

<Fig. 8>

<Fig. 8>
Fashion: The Jewelled Flight of Time (Rittenhouse, 1914)

<Fig. 9>

<Fig. 9>
View: Romantic Notions (Cartier, 1920)

<Fig. 10>

<Fig. 10>
Tailcoat of Dandy (Talley, 1985)

<Fig. 11>

<Fig. 11>
Black of Dandy (Fashion: Mia Farrow, 1967)

<Fig. 12>

<Fig. 12>
Suit of Dandy (Fashion: Warming, 2007)

<Fig. 13>

<Fig. 13>
Cravat of Dandy (Fashion & Features: Pretty, 2010)

<Fig. 14>

<Fig. 14>
Well-Dressed Man (Fashion: The Well-dressed, 1914)

<Fig. 15>

<Fig. 15>
Features: Why a Woman (Buck, 1983)

<Fig. 16>

<Fig. 16>
View: Sleep Walking (Adams, 2012)

<Table 1>

Formativeness of Dandy Fashion

Formativeness of Dandy Fashion
Form - Carefully coiffed hair, Skin-tight breeches, Expertly tailored blue swallow-tail coat, Polished
riding boots
- Fashions that put cut and fit before ornament
- Tying the ultimate cravat to create an impression of indifference
- Pursuing elegance that never draws attention
Color - Black tailoring
- White gloves, White Shirts
Fabric - Spotless linen
- Woollen cloth

<Table 2>

Frequency Analysis of ‘Dandy’ by Year

Year Vogue Archive 1. Formativeness 2. Styling 3. Meaning
Frequency Form Color Fabric
1893-1909 80 (14.7%) 15 (8.9%) 6 (8.8%) 8 (9.8%) 10 (12.5%) 10 (17.2%)
1910-1929 69 (12.7%) 31 (18.5%) 8 (11.8%) 10 (12.2%) 16 (20.0%) 15 (25.9%)
1930-1949 75 (13.8%) 32 (19.0%) 12 (17.6%) 13 (15.9%) 9 (11.3%) 4 (6.9%)
1950-1969 81 (14.9%) 20 (11.9%) 10 (14.7%) 14 (17.0%) 8 (10.0%) 6 (10.4%)
1970-1989 90 (16.5%) 29 (17.3%) 15 (22.0%) 16 (19.5%) 10 (12.5%) 10 (17.2%)
1990-2009 113 (20.6%) 33 (19.6%) 13 (19.2%) 17 (20.7%) 21 (26.2%) 9 (15.5%)
2010-2021 37 (6.8%) 8 (4.8%) 4 (5.9%) 4 (4.9%) 6 (7.5%) 4 (6.9%)
합계 545 (100%) 168 (100%) 68 (100%) 82 (100%) 80 (100%) 58 (100%)

<Table 3>

Formativeness of ‘Dandy Fashion’ in Vogue Archive

Year Formativeness
Form Color Fabric
1893-1909 -Cummerbunds, and sash
-Long hair scented and pomaded into glossiness,
-Extra stud in the collar / muff
Soft pink
Sky blue
Black/White
-Hand-painted and made of gold embroidered Japanese silk
1910-1929 -Replace their buttons with rows of tiny watches
-Double waistcoats / Slim waist coat
-Long, tight sleeves robe and Short jacket
-Wide brim hat / Top hat / Gloves
-Otter muff splashed with an immense bow
-Walking sticks / Lofty cane
-Two watches with elaborate chains
Canary yellow
Apple green Orange
Black/White
Red
Blue
Cream
-Silk embroideries
-Spangled and lace
-Striped and spotted silk
-Brocades / Plain satin
-Otter fur / Dogfish
-Velvet
-Linen / Cashmere
1930-1949 -Schiaparelli's waistcoat with its high-waisted cut
-Ruffled and quilted ribbon
-Women's capes / Vest
-Suits with up-standing collars
-A foam of ruffles at your wrists and throat
Black/White
Navy-blue
Pink
Grey
-Satin / Silk
-Wool /Rayon crêpe
-Window-pane checks
-Vivid stripes and plaids
-Chalk-striped sharkskin
1950-1969 -A flannel suit, a vertically striped / White shirt and stiff collar / Small tie / Carnation, and a pair
of shining black shoes, very lightly soled
-Harris tweed coat & A variety of skullcaps
-Pants suits with spanking white shirts lace-ruffled at the collar and cuffs
-Black Trench coat, Stockings, Boots
-Stretch pants and knit cardigan
Black/White
Dark Grey
Navy-blue Beige
-Flannel
-Tweed
-Silk
-Polyester
-Poplin
-Suède
-Mink
-Velvet
1970-1989 -White shirt with a black bow tie
-Tight and formal embroidery evening dress
-Fresh flower on the lapel of hand-tailored suits
-Waistcoats / Redingote coat
-Leather coat tops a full-length mink cardigan
-Chauffeur's jacket with bellbottom pants or skirts
-The suit, a new sense of bareness beneath it
Black/White
Grey
Gold
-Chamois suède jean
-Leather
-Mink
-Velvet
-Flannel
-Embroidered silk
-Metallic silk
1990-2021 -Cuff links in every witty, colorful size and shape
-Women's rock 'n' roll houndstooth pantsui
-Women's Savile-Row jacket over leggings
-Wit and whimsy tuxedo jacket which front detailing to the back of the jacket
-Where the tie should have been, an extravagant diamond cross the size of a fist now hangs.
-Tight Ziggy Stardust trousers, high and dandy Stones in-the-sixties collars
-Leather accents tailcoat with extra-wide lapels
-A trousseau of robes and pajamas with folded cuffs and tuxedo striping
Black/White
Blue
Green
Cream
Ivory
Navy-blue
-Satin / Silk
-Crystals
-Faux gems
-Chalk-striped wool
-Houndstooth check
-Satin / Silk
-Paisley and brocade
-Leather
-W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