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버트 모리스의 미니멀리즘 작품을 활용한 3D 디지털 패션디자인
Abstract
In a fast-evolving society, people often look for simplicity and minimalism amid complexity. Minimalism emerged in response to the complexities of the 1960s, characterized by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and embodies the concept of minimal art. Robert Morris, a prominent American artist and sculptor, is a key figure in the minimalism movement, creating sculptural works that deviated from formalist modernism in the 1960s. This study examines Robert Morris’s artworks from the 1960s to the 1970s, highlighting their key sculptural features. It proposes new fashion designs inspired by these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contents include examining the concept and background of minimalism, and deriving its sculptural characteristics based on previous studies; collecting and analyzing Robert Morris’s artworks through art museum websites, and combining minimalism’s sculptural characteristics with Robert Morris’s artwork features to develop fashion designs using the CLO3D program. Minimalism is characterized by simplicity, materiality, repetition, spatiality, and environmentality. First, various compositional methods inspired by Robert Morris’s artworks demonstrated the multifaceted nature of minimalism’s sculptural aspects. Second, combining minimalism’s sculptural characteristics with Morris’s artwork features resulted in creative and contemporary fashion designs that emphasize composition. Third, utilizing the CLO3D program for digital fashion designs allowed the pursuit of minimalism in garment production.
Keywords:
3D digital fashion design, minimalism, Robert Morris키워드:
3D 디지털 패션디자인, 미니멀리즘, 로버트 모리스Ⅰ. 서 론
현대 사회에서는 학문과 예술 간의 상호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며 각 분야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다양한 실험적인 연구들이 행해지며 발전하고 있으며,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의 복잡함 속에서 또한 단순함과 간결함을 추구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러한 경향은 현대인들의 생활방식과 건축, 미술, 패션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Lee & Kim, 2021).
1960년대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한 복잡함 속에서 단순함과 간결함을 지향하여 나타난 미니멀리즘(Minimalism)은 ‘최소한의 예술’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예술사조이다(Suk, 2009). 1960년대 미국에서는 사회구조 전반적으로 형식주의 모더니즘 미술인 추상표현주의(Abstract Expressionism)에 대항하는 새로운 형태의 예술 사조가 필요해졌고, 당시 활동한 로버트 모리스 또한 이를 비판하며 조각 조형, 대지미술, 퍼포먼스 등 다양한 예술 활동을 펼쳤다. 회화에서 시작한 미니멀리즘은 단순한 기하학적 형태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러한 기하학적 형태는 의복을 구성하는 평면 도형들의 가장 근본적인 형태로 현대의 다양한 디자인의 모티브가 된다. 미니멀리즘 대표 작가로 단순한 기하학적 형태를 기반으로 조형물을 제작한 로버트 모리스(Robert Morris)는 1960년대부터 활발히 활동하였다(Lyu, 2017).
현대 패션에 나타난 미니멀리즘 조형성과 관련된 연구는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나, 미니멀리즘이 태동되어진 1960-1970년대 조각 작품의 조형성을 응용한 연구도 필요한 상황이다. 로버트 모리스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작품세계에 관련된 미술학적 연구는 꾸준히 진행되었으나, 작품의 조형성을 응용한 패션디자인 관련 연구 사례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로버트 모리스의 초기 미니멀리즘 작품들을 살펴보고, 이에 나타나는 미니멀리즘 조형성과 작품 특성을 도출하여 창의적인 패션디자인을 개발하고 그 자료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미니멀리스트 작가들이 추구한 최소, 간결성, 단순성은 물론 환경을 고려한 사고와 작품세계는 친환경, 지속가능이 대두되는 현대 시대에 다시 되돌아볼 가치가 있으며 이를 접목시켜 패션디자인에 활용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니멀리즘의 개념과 배경에 대해 고찰하고 미니멀리즘 조형적 특성을 도출하였다. 둘째, 로버트 모리스의 성장배경과 작품세계를 고찰하고 로버트 모리스의 미니멀리즘 조각 작품의 특성을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로버트 모리스의 작품은 문헌 고찰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미니멀리즘 조형적 특성이 잘 드러난 1960- 1970년대의 조각 작품들로 그 범위를 한정하였으며, 작품의 수집은 MoMA 뮤지엄과 National Gallery of Art 등의 갤러리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셋째, 분석된 자료를 바탕으로 로버트 모리스 작품의 특성과 미니멀리즘 조형성을 결합한 3D 디지털 패션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작품 제작은 CLO 3D 가상착의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가상착의 디자인은 시간적, 경제적, 환경적으로 디자인 과정에 유용함을 제공하고 있으며 디자인 과정에서 다양한 표현 방법을 빠른 시간에 효과적으로 시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현재 패션산업 분야에서도 가상착의 프로그램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Ⅱ. 이론적 배경
1. 미니멀리즘
미니멀리즘(Minimalism)은 단순함과 간결함을 추구하는 예술사조로서, 미니멀리즘이라는 단어는 1937년 파리에서 발표된 “예술의 체계와 변증법(System and Dialectices of Art)”에서 존 그래함(John Graham)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Ma, 2020). 이후 미니멀리즘이라는 명칭을 미술에 적용한 사람은 영국의 철학자 리차드 볼하임(Richard Wolheim)으로, 그는 1966년 ‘Art Magazine’이라는 잡지에서 발표한 ‘미니멀아트’에서, 60년대 미국에서 나타난 단순하고 장식적인 디테일이 없이 기하학적인 추상성만이 강조되는 엄격한 형식의 작품들이 최소한의 예술적 내용을 지니는 것으로 보고 그러한 작품의 경향에 대해 ‘미니멀 아트’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를 계기로 미니멀리즘이 하나의 양식으로 인정받게 되었다(Baker, 1988).
미니멀리즘은 1960년대 한 시대를 대표한 스타일로써 예술의 자율성, 순수성, 또 예술의 절대자의 혁신으로서 비예술, 비 물체라고 하는 20세기 미술 특유의 예술개념의 추구와 관련을 가지고 있다고 보아야 한다. 그러나 많은 디자인과 미니멀리즘의 관계를 연구하는 연구들은 미니멀리즘의 다양한 층위를 고려하지 않은 채, 무채색과 표현의 단순성에 초점을 맞추어 미니멀리즘이 디자인에 상호 연관성이 갖고 있음을 고찰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Song, 2015).
미니멀리즘은 당시 지배적이었던 추상표현주의와 비교했을 때, 보다 엄격하고 비개성적이며 소극적인 성격을 가진다. 두 차례의 세계 대전을 겪은 이후, 정신적 빈곤과 절망을 극복하기 위해 추상표현주의가 나타났으나 시간이 흐름에 따라 서서히 경제적, 심리적 안정을 되찾으며 추상표현주의의 과도한 자기표현에 부담을 느끼기 시작하였다(Ma, 2020). 또한 Colpitt(1990)은 미니멀리즘의 특성은 단색 회화를 통한 평면성과 연극성 강화. 예술장르의 경계 허물기라고 표현하였다. 이와 함께 1964년 전후로 고도의 산업 발달로 인해 자동화가 이루어지며 산업환경과 사람들의 생활방식과 환경 등이 변화하였는데, 이러한 복잡함 속에서 단순함과 간결함이 돋보이는 기하학적 예술 형식인 미니멀리즘이 등장하고 유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미니멀리즘 조형적 특성 분석을 위하여 관련 선행연구를 조사하였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Yeon and Yang(2004)은 기본적인 기하학적 구조로 본질적인 특성을 추구하는 본질성, 재료의 특수성을 그대로 오브제로 사용하는 물체성, 비관계적 구도의 반복성, 작품의 목적을 인간과 환경의 연속체로 보는 환경성으로 정리하였다. Lee(2008)은 조형적 특성을 3가지로 분류하였는데, 제작과정과 색채, 형태의 간결성에서 오는 단순성, 연속적이고 단순한 형태의 반복적인 질서에서 오는 반복성, 그리고 다양한 소재를 변형하여 사용함으로써 재료의 특성을 살린 그대로 사용하는 물질성으로 정리하였다.
Kim(2010)은 미니멀아트의 회화적 특성 연구에서 미니멀아트 작품에 나타나는 공통된 조형적 특성으로 단순화, 반복, 물질화, 공간, 단색화로 분류하였다. 단순한 기하학적 형태의 단순성, 비관계적 구도를 형성한 반복과 연속의 배열에서 오는 반복성, 작품을 이루는 요소들이 하나로 보이게 하는 물질화, 작품의 내재적 의미를 제거하고 외부 공간의 영역에서 의미가 완성되는 공간성, 마지막으로 단색화는 회화의 경향으로 단색으로 표현함으로써 평면의 절대성을 강조한 특성이다.
Shin(2010)는 일반적인 조형적 특성으로 단순한 기하학적 형태의 단순성, 최소화된 수단만을 활용하는 단일성, 동일한 요소를 반복해서 나타나는 중성적인 구조의 반복성, 작품을 최대한으로 단순화시켜 형태나 재료 면에서 근원적으로 환원시키는 환원성, 과거의 제한된 틀에서 벗어나 작품이 존재하는 공간이 외부로 확장되며 관객과의 소통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공간성, 총 다섯 가지로 정리하였다.
Cheng(2011)의 연구에서는 현대 패션에 나타나는 미니멀리즘 조형성으로 단순성, 최소성, 반복성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 형태와 장식 등의 간결화에서 오는 단순성, 조형 수단을 최소화하고 재질과 색상을 단순화하는 최소성, 마지막으로 동일한 요소를 반복하거나 형태의 확대적 반복에서 오는 반복성으로 정리하였다.
Park(2013)는 미니멀리즘 건축의 조형적 특성으로 단순성, 반복성, 환원성, 환경성, 다변성, 극대비성으로 분류하였다. 현대 문화와 생활의 과도함에 저항해 본래의 근원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환원성, 작품에 주위 환경까지 포함되는 환경성, 하나의 공간이 절대적이지 않고 다기능을 수행하는 다변성, 공간과 소재의 개방감과 폐쇄감이 공존하는 데서 오는 극대비성으로 정리하였다. 또한 패션디자인에서 미니멀리즘은 장식을 최소화하여 기능성과 실용성을 강조한 형태로 나타난다. 또한 원색이나 무채색 등의 단색 사용, 단순한 실루엣 등을 추구하는 경향을 보인다.
Ma(2020)의 연구에서는 절제되고 엄격한 표현에서 오는 단순한 형태, 단순한 형태의 반복적 구성, ‘환경’이라는 개념을 도입해 평면 예술에서 입체 예술로 공간을 확장한 지역성의 표현, 재료의 물성이 가지고 있는 환원적인 성격을 추구하는 면의 순수성, 기존 재료를 다양하게 변화시켜 새로운 물성을 느낄 수 있게 하는 세련된 구사로, 총 다섯 가지의 특성으로 정리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를 정리하면 다음 <Table 1>과 같으며, 공통적으로 언급된 특성을 기준으로 미니멀리즘 조형적 특성은 단순성, 물질성, 반복성, 공간성, 환경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단순성은 미니멀리즘 조형적 특성 중 가장 기본으로 여겨지는 특성으로 주로 기하학적 형태의 단순한 실루엣을 사용하고, 색채와 소재를 최소화하는 데에서 온다(Ma, 2020). 크기나 색상 등이 같은 원형이나 정육면체 등의 기본적인 형태로 이루어진 조형 요소를 사용해 단순성을 나타내기도 하고, 장식적인 요소를 최소화하거나 배제하여 본래의 기하학적 형태를 강조하기도 한다(Shin, 2010). 이미지와 조형요소를 단순화하여 관람자로 하여금 작품 형태의 기본적인 구조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널드 저드(Donald Judd)의 'Table Object(1967)'<Fig. 1>와 토니 스미스(Tony Smith)의 'Die(1962)<Fig. 2>'는 단순성을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물질성은 작품에 사용된 요소를 최소한으로 하여 형태와 소재를 강조하는 특성으로 나타난다(Kim, 2010). 미니멀리즘은 작품에 사용되는 재료가 지니는 가장 근본적인 물리적 상태의 물성을 추구하는데, 단일한 자체적 형태로 나타날 때 강조된다. 물질성은 주로 소재를 통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내화벽돌, 아연, 철, 유리, 플라스틱, 공업용 펠트 등의 재료를 가공없이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미술 재료의 새로운 시작을 의미한다(Lee, 2008). 물질성은 재료의 본질적인 특성을 강조하며 물성을 그대로 보여주는 환원성의 개념 또한 내포한다(Cheng, 2011). 도널드 저드의 '무제(Untitled)(1968)'<Fig. 3>는 브라스 한가지 소재를 단일한 형태로 제시해 물질성을 강조하였고, 칼 안드레(Carl Andre)의 'Manet Post and Lintel(1980)'<Fig. 4> 작품 또한 가공되지 않은 하나의 요소를 활용해 그 형태와 소재를 강조하였다.
미니멀리즘에 나타나는 반복성은 단순한 형태가 동일하게 반복되는 구조에서 나타난다(Ma, 2020). 동일한 요소를 반복함으로써 중성적 구조를 따르는 미니멀리즘의 반복성은 연속 병렬 형태로 나타난다. 같은 요소들이 비관계적 구도로 쌓아 올려지거나 배열되는 반복적인 구성 방식으로, 합리적인 질서보다는 획일적이고 단조로운 배열을 가진다. 이는 기계적인 미학을 바탕으로 하며, 이러한 기하학적 반복 형태는 부분보다는 전체를 강조한다(Shin, 2010). 요소들 사이에서 계층적인 관계나 종속적인 관계의 존재를 거부하기 위해 비상관적 구도의 반복적인 방법을 선택하였다(Park, 2013). 이러한 점에서 일반적인 반복성과 차별화를 둔다. 감성적이고 이성적인 반복이 아닌 단순한 형태를 단순히 연속적으로 배치함으로써 미학적이기보다는 기계적이고 사물의 본질을 강조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도널드 저드의 대표적인 작품 '무제(Untitled, 1967)'<Fig. 5>는 단일한 소재를 층층이 단순하게 반복한 작품으로 반복성을 보여준다. 칼 안드레(Carl Andre)의 'Rackblox(1998)'<Fig. 6> 작품 또한 같은 형태의 동일한 조각을 단조로이 배열한 모습으로 반복성을 강조한다.
공간성은 작품과 관람자의 관계를 통해 나타난다. 미니멀리즘 작품은 단순히 보는 것에서 관람이 끝나는 것이 아니라, 작품을 체험하는 공간으로서의 의미를 가지며, 작가는 작품의 이미지보다는 관람자와 작품이 존재하는 상황을 만드는 데에 목적을 둔다. 빛의 사용, 작품의 배치와 배열 방법 등 다양하게 공간을 나타내는데, 전시 공간 전체를 특수한 상황으로 의도하거나 공간에서 크기와 방향, 비례 등을 관람자가 체험할 수 있도록 대형화 함으로서 대지미술 등의 무한한 공간까지 예술 공간을 확장시킨다(Shin, 2010). 토니 스미스(Tony Smith)의 'Cigarette(1961)'는 거대 조형물로서 관람자들이 작품을 제험하며 경험할 수 있다<Fig. 7>. 리처드 세라(Richard Serra)의 'Circuit(1972)'은 4개의 판으로 이루어진 작품 속에서 관람자가 체험할 수 있는 대형 조각품이다<Fig. 8>.
환경성은 미니멀리즘 작품이 공간성, 장소성을 포함해 작품 자체로는 미완성적이고, 작품이 위치한 주변 환경의 일부가 작품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Yeon & Yang, 2004). 미니멀리즘 작품은 그 의미가 그것이 존재하는 공간과 제작한 작가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닌, 작품이 존재하는 공간의 외부 환경과 관람하는 관객이 받아들이는 방식에 영향을 받는다. 즉, 작품이 존재하는 공간에서 관람자는 작품과 작품이 존재하는 주위 환경, 그리고 자신의 존재를 의식하게 된다(Shin, 2006). 작품 요소의 장소 이동과 위치 변형을 통해 관람자로 하여금 작품 형태의 변화를 인지하게 함으로써 관람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한다. 솔 르윗(Sol Lewitt)의 'Horizontal Progression(1991)'은 기초적 구조물(Primary Structures)을 토대로 관람자의 위치에 따라 작품의 형태가 변화하도록 의도하였다<Fig. 9>(Kim, 2010). 토니 스미스의 'Moondog(1964)'는 관람자의 위치에 따라 뒤틀리거나 이동하는 것처럼 보이며 환경성의 특성을 가진다<Fig. 10>. 이러한 미니멀리즘 조형성을 정리하면 <Table 2>와 같다.
2. 로버트 모리스의 미니멀리즘
로버트 모리스(Robert Morris, 1931-2018)는 미니멀리즘, 프로세스 아트, 랜드 아트의 설립에 중요한 인물이다. 그의 초기 미니멀리즘 탐구는 그의 아내 시몬느 포르티(Simone Forti)가 안무가이자 무용수로 활동하던 저드슨 댄스 극장에서 공연을 위해 만든 소품들이었다. 이후 모리스는 알루미늄과 강철과 같은 산업 재료의 사용과 미니멀리즘 및 기타 운동에 대한 이론을 확립하는 데 도움이 되는 영향력 있는 에세이를 함께 탐구했다(Artsy.net. n.d.).
1961년 뉴욕에 정착하게 된 모리스는 미니멀리즘 조각 작품을 제작하게 되었는데, 단일한 형태라는 공통점을 기반으로 조각과 퍼포먼스를 결합한 다양한 작품들을 시도하였다. 1967년부터는 무겁고 견고한 재료를 사용한 이전과 달리 부드럽고 유연한 펠트를 활용한 설치미술을 시도하며 예술세계를 확장하였다(Chung & Song, 2014). 펠트의 재료 특성을 활용해 매달아 놓거나 바닥에 펼쳐 놓아두는 등 중력과 시간의 흐름의 영향으로 작품이 변화하는 것을 보여주며 ‘과정’을 설치미술로 표현하였다(Talking to the listening tree, 2011). 펠트 이외에도 다양한 산업용 재료를 활용해 작품을 제작하며 예술세계를 확장시키며 미니멀리즘 대표 작가로 자리 잡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로버트 모리스의 작품을 MoMA 뮤지엄과 National Gallery of Art, Mutualart 등의 갤러리 사이트를 통하여 작품을 수집하였다. 1960년대 초 로버트 모리스는 기존 주류 예술사조인 형식주의 모더니즘의 한계를 체감하고 이를 해체하는 작품을 시도한다. 일상에서 사용하는 오브레로 작품을 제작하여 예술의 순수성을 부정하였는데, 이에 마르셀 뒤샹(Marcel Duchamp)의 레디메이드(Ready-Made) 작품들이 큰 영향을 주었다(Lyu, 2017). 일상 사물을 활용한 대표적인 작품은 다음과 같다. ‘세 개의 자(Three Rulers, 1963)’는 일상에서 흔하게 접할 수 있는 ‘자’를 활용해 절대적인 측정의 가치에 의문을 제기한 작품이다<Fig. 11>. 전체 길이가 다른 세 개의 36cm 자를 배열해 절대적인 측정 단위를 부정하였다. ‘사진 캐비닛(Photo Cabinet, 1975)’은 문을 열면 다른 공간이 나타날거라는 일반적인 상식에서 벗어나 문을 열면 문 형태의 다른 상자가 보이도록 제작된 작품이다<Fig. 12>(Mutualart, n.d.). 이러한 작품들은 극히 평범하고 일상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오브제를 그대로 활용하여 물성을 그대로 드러내었다(Battaglia & Greenberger, 2018) 또한 모리스는 시각 중심주의를 비판하는 작품을 제작하였다. 기존 형식주의 모더니즘의 예술 작품은 관람자의 ‘시각’으로만 감상한 것을 비판하며 작품이 존재하는 공간에서 관람자들이 직접 이동하여 작품을 경험하도록 한 것이다. 1966년 아트포럼에 발표된 모리스의 '조각에 관한 노트(Notes on Sculpture)'는 조각을 '규모, 비율, 모양 및 질량'으로 정의했다. 모리스는 이러한 본질적인 특성을 드러내기 위해 간단한 형태를 사용했으며, 이러한 형태가 관람자와 작품 사이에 보다 직접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고 믿었다. 모리스의 작품은 관람자가 예술이 차지하는 공간에서 자신의 존재를 인식하는 조각적 '상황'으로 볼 수 있다. 그의 큐브 박스<Fig. 13>는 공간과 관람자와 상호작용하는 커다란 거울 물체로, 그들은 관람 경험에 필수적인 끊임없이 변화하는 작품을 만든다. 지각 행위, 공간의 표현, 움직임을 포착한다. 이는 움직이는 물체와 정지된 물체 사이의 관계에 대한 그의 개인적인 관심을 반영한 것이다(Talking to the listening tree, 2011).
이와 함께 신체를 사물로 표현하거나 신체의 일부분을 오브제로 그대로 표현한 작품 등을 제작하였다. 퍼포먼스의 도구로써 조각 작품을 활용한 첫 번째 작품인 ‘기둥(Column, 1961)은 약 8피트 높이의 비어있는 기둥으로 작품을 세우거나 눕혀서 전시하였다<Fig. 14>. 관람자들은 이 기둥을 돌아다니며 다양한 각도에서 관람하였고, 시간에 따라 작품이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자화상(Self-Portrait, EGG, 1963)은 뇌파 기록 장치를 활용하여 뇌의 활동을 기계적으로 측정하여 문자로 기록한 작품으로 신체를 사물로 표현하였다<Fig. 15>. ‘무제, 주먹(Untitled, Fist, 1963)’은 서랍장 같은 오브제 위에 신체의 일부인 ‘손’ 오브제가 올라가 있는 형태의 작품이다<Fig. 16>. 이를 통해 신체로부터 분리된 ‘익명성’을 갖도록 하여 이성 중심적인 기존 세계관을 해체하고자 하였다(Lyu, 2017).
1960년대 중반 이후, 미술작품이 제한된 전시장 내 존재하는 하나의 작품이라는 한계점에 도달한 모리스는 정해진 형태가 없는 작품을 시도하였다(Shin, 2005). 모리스는 자신의 예술과 저술을 통해 미니멀리즘의 원리를 정의하는 데 도움을 주었지만, 1960년대 후반에는 종종 엄격하고 기하학적인 외관을 더 부드럽고 유기적인 재료로 다듬어 포스트 미니멀리즘의 창시자가 되었다. 펠트, 구리 튜브, 아스팔트, 강철 케이블, 납, 양면 거울과 같은 소재의 활용으로 의도적으로 활용하면서 불확정성에 대한 암시를 하였다(Moma, n.d.-h).
모리스는 작품의 제작 과정과 소재가 우연성과 비결정성(Indeterminacy)을 가진 비정형의 특성을 부여하여 완성된 결과만을 보여주는 작품을 비판하고 변화 가능성을 가진 ‘반(反) 형태’ 작업을 시도하였다. ‘Untitled, Six legs(1969)’는 공업용 펠트를 마치 다리처럼 잘라 제작한 작품이다<Fig. 17>. 펠트의 부드러운 물성이 피부와 유사하고, 이로 인해 중력의 영향을 받아 작품이 변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신체를 환기시킨다는 점에 집중하였다. ‘Untitled, Threadwaste(1968)’는 폐기된 실뭉치들을 바닥에 펼쳐 놓은 작품으로, 비결정적으로 작품을 배치하고 관람자들이 자유로이 배치할 수 있도록 전시하였다<Fig. 18>(Moma, n.d.-i). 로버트 모리스의 작품 특성을 소재와 의도, 작품 형태 등을 분석하여 정리하면 <Table 3>과 같다.
Ⅵ. 미니멀리즘의 조형적 특성을 응용한 3D 디지털 패션디자인 전개
1. 작품 제작 의도
미니멀리즘은 예술 사조의 하나로 현대의 복잡한 사회 속에서 지친 현대인들은 간결하고 단순함을 찾으며 여러 분야에서 미니멀리즘을 추구하는 경향을 보인다. 패션디자인에서의 '미니멀리즘'은 과한 장식 등을 제외한 간단하고 단순한 형태만으로 완성되는 디자인으로 표현된다. 모든 사물은 단순 기하학적 형태로 환원이 가능하며, 이러한 기본적인 기하학 형태를 기반으로 하는 미니멀리즘은 여러 조형성을 가진다.
본 연구는 로버트 모리스의 미니멀리즘 작품 특성과 미니멀리즘 조형적 특성을 결합하여 새로운 패션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로버트 모리스의 미니멀리즘 작품은 단순한 형태를 통해 작품 본연의 형태를 강조하면서 작품을 존재 그대로 받아들이는 기존 형식주의 모더니즘을 비판하며 관객의 위치와 작품이 존재하는 공간 등 주변에 따라 작품을 다르게 보고 해석하는 것이 큰 특성으로 드러난다.
로버트 모리스의 미니멀리즘 작품은 일상 사물을 활용한 작품, 신체를 통해 시각중심주의를 비판한 작품, 반(反)형태 작업에 의한 작품 등 선행 연구와 작품 분석을 통해 세 가지특성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작품을 분석한 결과 파악된 분류 별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미니멀리즘 조형성 두 가지 이상과 작품 특성 등을 결합하고 응용하여 3D 디지털 패션디자인 6벌을 디자인하였으며, 작품 계획표는 <Table 4>와 같다.
2. 디자인 전개
디자인 Ⅰ은 초기 일상 사물을 활용한 작품 특성으로 주로 직사각형의 직선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는 것에 착안하여 전체적으로 직선적이고 단순한 실루엣으로 나타내었다. 물질성을 강조하기 위해 원단의 물질성을 보여주고자 장식과 무늬가 없는 원단을 사용하였다. 소재는 면과 캔버스를 사용하여 단단한 느낌을 주고자 하였다. 조형적 특성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밝은 무채색을 사용하였으며, 단순성에 중점을 두고 디자인하였으며, 일상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단일 오브제를 활용한 작품 특성을 응용하여 하나의 아이템으로 구성하였다<Fig. 19>. 무늬나 장식성을 배제하고, 옷의 실루엣 자체를 강조하고자 하였다. 조각 작품의 무채색 색채를 활용하여 밝은 화이트 컬러를 단독으로 사용하였다.
디자인 2는 신체를 통해 시각 중심주의 비판을 담은 작품으로, 단순성, 반복성의 조형성을 응용하여 디자인하였다. 세로로 긴 주름이 있는 원단과 함께 주름과 조각이 부착된 모습을 반복적으로 배치하였다. 원피스 단일 아이템으로 단일성을 나타내었고, 뒷부분은 색상은 같으나 무늬가 없는 원단을 사용해 보는 위치에 따라 원피스가 다르게 보이도록 하는 공간성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가슴 폭을 여유롭게 설정해 착용이 용이하도록 하여, 각각 분해되어 새로운 형태로 재조합이 가능한 작품의 특성을 응용하고자 하였다<Fig. 20>.
디자인 3은 움직임에 따라 형태가 변화하며 신체를 보여줄 수 있는 신체를 통해 시각 중심주의 비판적 특성을 바탕으로 공간성과 환경성을 나타내고자 디자인하였다<Fig. 21>. 신체를 통한 시각중심주의 비판을 담은 작품에는 단순성, 물질성, 공간성, 환경성의 특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작품 특성 중 신체를 오브제로 제시한 점을 활용해 오브제를 반복적으로 배치해 옷으로 디자인하였다. 또한 디자인에 절개나 트임을 주어 움직일 때 마다 다른 모습으로 나타날 수 있도록 하여 공간성과 환경성을 표현해주고자 하였다. 무늬 없는 원단을 활용해 물질성을 표현하였고, 아이템을 다양하게 구성해 신체를 다채롭게 보여주고자 하였다. 무릎까지 오는 갈이의 민소매 원피스를 치마 부분에 커팅을 주어 분해하였 고, 피스를 추가해 풍성하게 제작함으로써 움직일 때마다 원피스가 여러 방향으로 움직일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바지는 세로로 길게 잘라 원단 사이로 신체가 보이고, 사람이 착용했을 때 비로소 바지로서 활용되게 하여 공간성의 특성을 담아내고자 하였다. 조각 작품에 주로 활용된 단색의 회색을 사용하였다.
디자인 4는 ‘손’을 그대로 조각물로 제시하고 반복성의 특성을 자유롭게 반복적으로 배치하여 치마로 연출하였으며 반(反) 형태 특성과 비정형의 특성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치마는 펠트 소재의 분위기를 연출하고자 하였으며, 탑은 주름을 주어 사이즈에 구별을 두지 않게 하여 다양한 관람자들이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던 작품 특성을 담아 의복의 신체 사이즈에 자유로움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반(反) 형태 작업에 의한 작품으로 물질성, 반복성, 공간성, 환경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디자인하였다. 펠트 작업에서 여러 겹으로 쌓여지고 겹쳐지며 작품을 형성하는데, 레이어드 방법을 활용해 작품 특성을 활용하고자 하였다<Fig. 22>.
디자인 5는 반(反)형태의 특성을 펠트 작업의 조형성을 응용하여 나타나도록 디자인하였다. 박스 플리츠 기법을 활용해 동일 크기의 주름이 반복되도록 접힌 형태로 탑을 구성하여 로버트 모리스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단순한 반복성을 표현하고자 하였다<Fig. 23>. 바지는 탑과 유사한 밝은 색의 회색을 사용하여 상의에서 하의로 조화롭게 이어져 물질성의 본질을 추구하는 로버트 모리스의 작품 특성을 응용하고자 하였다. 앞 주름이 무릎까지 트인 형태로 디자인하여 움직임에 따라 실루엣에 변화를 주어 공간성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디자인 6은 기하학적 구성의 모듈형 디자인으로, 로버트모리스의 반(反) 형태의 특성을 펠트 작업의 형태를 응용하여 공간성 물질성 등의 표현에 중점을 두었다<Fig. 24>. 또한 신체를 기하학적 객체로 묘사하기에위하여 여러 겹의 원단을 다른 색채와 형태로 겹쳐 움직임에 따라 형태가 달라지도록 하여 공간성을 부여하여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하고자 하였다, 다채로운 하의와 상반되는 상의로 디자인하여 미완성의 펠트 덩어리들이 합쳐져 작품이 되는 로버트 모리스의 작품처럼, 미완성의 원단 조각들이 합쳐져 치마의 모양을 이루도록 하여 그 특성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색채는 로버트 모리스 펠트 작품에서 사용된 붉은색, 회색, 검정색을 사용하였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미니멀리즘을 다양한 조형예술로 표현하였던 로버트 모리스의 예술관을 분석하고 응용하여 새로운 현대 패션의 표현 다양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선행연구와 문헌고찰을 통해 5개의 미니멀리즘 조형적 특성을 도출하였다. 로버트 모리스의 작품은 미니멀리즘의 특성이 가장 잘 드러나는 1960-1970년대에 제작된 조각 작품들로 한정하였고, 작품은 미술관 홈페이지와 인터넷 자료를 활용하여 조사, 수집하였다. 수집된 작품은 특성과 형식주의 모더니즘을 비판한 기준을 토대로 3가지로 분류하였다. 각 분류된 작품들의 형태적 특성과 비판적 의미에 미니멀리즘 조형적 특성을 결합하여 3D 디지털 패션디자인을 제작하였다.
미니멀리즘 조형적 특성으로 단순성, 물질성, 반복성, 공간성, 환경성으로 나타났다. 단순성은 장식과 색상을 최소화한 단순 기하학적 형태로 나타나는 특성이며, 물질성은 작품의 소재를 가공 없이 그대로 제시해 본질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뜻한다. 반복성은 동일한 요소를 반복하는 중성적 구조를 가지며 간결한 형태가 단순 반복되는 비관계적 구도로 나타난다. 공간성은 작품과 관람자의 관계성에 관한 특성으로, 같은 작품이라도 관람자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볼 수 있다는 특성이다. 환경성은 외부 환경에 따라 작품의 의미가 결정되는 특성으로 이를 통해 작품이 존재하는 공간이 확장됨을 의미한다.
로버트 모리스의 작품은 일상 사물을 활용한 작품, 신체를 통한 시각중심주의 비판의 특성이 담긴 작품, 반(反)형태 작업에 의한 미니멀리즘 작품으로 3가지 특성으로 분류하였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상 사물을 활용한 작품은 기존 주류를 이루던 형식주의 모더니즘을 해체하는 초기 단계로, 미술 밖의 요소를 더하여 예술의 순수성을 부정하며 레디메이드의 영향을 많이 받아 일상 생활에서 사용되던 사물들을 작품 요소로 활용하였다. 둘째, 신체를 통한 시각중심주의 비판 특성이 담긴 작품은 신체의 일부분을 오브제로 전시하는 작품과 신체를 사물로 표현한 작품이 있다. 또한 사람이 직접 들어갈 수 있는 상자나 통로 등의 큰 작품을 제작해 관람자가 자신의 신체를 이동하며 작품을 경험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오직 시각만을 가지고 작품을 관람하던 시각 중심주의를 해체하고자 한 것이다. 셋째, 반(反) 형태 작업에 의한 작품은 미술작품이 제한된 전시장 내에서만 전시되었던 한계점을 탈피하고자 하는 과정에서 제작되었다. 작품의 제작 과정과 소재 등이 우연성과 비결정성을 갖는 비정형적 특성을 가져야 한다고 판단하여 작가가 작품을 완성하는 것이 아닌, 미완성의 작품을 관람자와 전시된 작품 환경에서 비로소 완성되도록 의도하였다. 공업용 소재들을 가공하지 않고 그대로 전시하여 물질성의 특성도 함께 나타났다.
이러한 고찰을 토대로 본 연구는 3D 디지털 패션디자인 6개를 전개하였으며, 작품 제작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니멀리즘의 조형성과 로버트 모리스의 작품 형태의 특성을 함께 응용하여 일상 사물 활용, 신체를 통해 시각 중심주의 비판, 반(反)형태 작업의 특성을 바탕으로 창의적이며 다양한 표현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둘째, 미니멀리즘 특성과 로버트 모리스의 특성을 바탕으로 패션디자인을 전개하였으며, 단순성은 색채의 단순화, 실루엣의 단순화 등을 통해 나타낼 수 있었다. 물질성은 무늬 없는 원단, 소재의 대비 등을 통해 표현할 수 있었다. 반복성은 일정한 주름이 반복되는 셔링, 같은 크기의 절개선 등을 통해 표현할 수 있었다. 공간성은 많은 레이어드와 절개 패턴 등을 활용해 움직일 때 마다 실루엣이 변화하는 등의 방법으로 표현하였다. 환경성은 주변 환경이 미치는 소재를 활용하여 환경의 변화에 따라 디자인이 다르게 보일 수 있도록 의도하였다. 셋째, 3D 가상착의는 CLO 프로그램을 활용해 제작함으로써 환경적 부담을 최소화하며 다양한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미니멀리즘은 사물의 근본과 본질에 집중하고 예술적인 표현과 작업을 최소화하여 사물의 물성과 특성을 그대로 드러내거나 단순화하는 특성을 가지며, 이와 같은 특성이 조각이나 작품에 응용되며 최소한의 색상을 사용하고, 기하학적인 기본 형태만으로 작품이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로버트 모리스의 작품은 관람객과 상호작용하며 완성을 가져오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사고들은 소비자들과 공감해야하는 패션디자인 분야에서도 주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는 로버트 모리스의 미니멀리즘 조각 작품의 형태적 특성과 미니멀리즘 조형성을 응용하여 디자인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미니멀리즘 패션의 표현방법과 다양성을 제안하는데 의의가 있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한양대학교 교내연구지원사업으로 연구되었음(HY-202300000003599)
References
- Artnet. (n.d.-a). Carl Andre, Rackblox, 1998. https://www.artnet.com/artists/carl-andre/rackblox-a-uCkpPe-6jiY0BZESpXCvng2
- Artnet. (n.d.-b). Robert Morris, Three Rulers, 1963. https://www.artnet.com/artists/robert-morris/three-rulers-zINbiVLnd9w5Vu36cvJ6rg2
- Artsy.net. (n.d.). Robert Morris Artworks. https://www.artsy.net/artist/robert-morris-1931-2018, .
- Baker, K. (1988). Minimalism. Abbeville Press.
- Battaglia, A., & Greenberger, A. (2018, December 4). ‘Welcome to my haptic world’: Art world tributes to Robert Morris. ARTnews. https://www.artnews.com/art-news/news/welcome-haptic-world-art-world-tributes-robert-morris-11428/
- Cheng, Q. (2011). A study on the minimalism design with application of Chinese natural dy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seo University.
-
Chung, K.-Y., & Song, Y.-J. (2014). Study about the variability of fiber in process art -centered on the works of Robert Morris and Eva Hess-. The Korean Society of Art and Media, 13(4), 115-134.
[https://doi.org/10.36726/cammp.2014.13.4.115]
- Colpitt, F. (1990). Minimal art: The critical perspective. UMI Research Press.
- Kim, S. Y. (2010). A study on pictorial characteristics of minimal art [Unpublished master’s thesis]. Gangneung-Wonju University.
- Lee, J. H. (2008). A study on minimalism fashion styl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seo University.
-
Lee N.-Y., & Kim N.-H. (2021). Minimalism in Sol LeWitte’s work and Thomas Phifer’s architectural space. Korea Society of Exhibition Design Studies, 36, 71-80.
[https://doi.org/10.34144/EDS.36.8]
- Lyu, H. J. (2017). A study on the criticism of formalist modernism in Robert Morris’s works: Focus on the period 1960-1970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 Ma, H. N. (2020). Fashion designs using the minimalism in Ando Tadao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duk Womans University.
- Moma. (n.d.-a), Table object, Donald Judd, 1967. https://www.moma.org/collection/works/78136?artist_id=2948&page=1&sov_referrer=artist
- Moma. (n.d.-b). Tony Smith, Die, 1962. https://www.moma.org/collection/works/81364?artist_id=5494&page=1&sov_referrer=artist
- Moma. (n.d.-c). Donald Judd, Untitled, 1968. https://www.moma.org/collection/works/81787, https://www.moma.org/collection/works/81324
- Moma. (n.d.-d). Donald Judd, Untitled, 1967. https://www.moma.org/collection/works/81324
- Moma. (n.d.-e). Cigarette, Tony Smith, 1961. https://www.moma.org/collection/works/80965
- Moma. (n.d.-f). Richard Serra, Circuit, 1972. https://www.moma.org/collection/works/181114
- Moma. (n.d.-g). Tony Smith, Moondog, 1964. https://www.moma.org/collection/works/81039
- Moma. (n.d.-h). Art and artists, Robert Morris. Untitled, Six legs, 1969. https://www.moma.org/collection/works/81407
- Moma. (n.d.-i). Robert Morris. Untitled, Threadwaste, 1968. https://www.moma.org/collection/works/81515
- Mutualart. (n.d.). Robert Morris, "Photo Cabinet", 1963-75. https://www.mutualart.com/Artwork/Robert-Morris---Photo-Cabinet---1963-75/D3192CC71CCB1F7528297DAB337DD9A4
- Nena, A.-S. T. (2010). Thematics in the art of Robert Morri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ussex.
- Pacegallery, (n.d.). Horizontal progression, Sol Lewitt, 1991. https://www.pacegallery.com/artists/sol-lewitt/
- Park, H. S. (2013). Application of the minimalism architecture characteristtic to fashion design-Focusing on the works of Alberto Campo Baeza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 Paulacoopergallery. (n.d.). Manet post and lintel, Carl Andre, 1980. https://www.paulacoopergallery.com/exhibitions/carl-andre24#tab:slideshow;tab-1:slideshow;slide-1:5
- Shin, B. C. (2006).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minimal design appeared in interior of contemporary commercial spac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 Shin, H. N. (2010). The study on minimalism in fashion design from the environment-friendly aspec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angmyung University.
- Shin, J. H. (2005). The political meaning of the formal shift in Robert Morris's work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
Song, M. Y. (2015). A study on design minimalism in digital media. The Korean Society of Art and Media, 14(4), 171-196.
[https://doi.org/10.36726/cammp.2015.14.4.171]
- Spruethmagers. (2005). Robert Morris. Two columns, 1961. https://spruethmagers.com/exhibitions/robert-morris-early-sculpture-london/
- Suk, M. Y. (2009). A study of textile design based on minimalism -emphasizing on the construction spa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 Talking to the listening tree. (2011). A quick look at influential minimal art…. Art Journal for BA Fine Art.
- Yeon, H, R., & Yang, J. S. (2004). The influence from feature of plastic minimalism on fashion material and color. Journal of Korea Society of Design Culture, 10(3), 147-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