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산업의 창조적 선진화를 위한 패션디자인 발상 분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give the basic educational sources that could nurture creative fashion designers for the creative advancement of the fashion industry. After investigating and categorizing the ideation behind designer collections in four fashion capitals - Paris, London, Milan and New York, the materialization of concepts was analyzed in relation to inspiration and design elements. As a result, design inspiration was classified into figures, artworks and art trends, historicity of fashion, regional features, natural objects, artificial objects, abstract concepts, clothing for specific occasions, events, and others. This study found that inspiration for fashion design comes from various fields, and that creative design skills can be nurtured through ideation training using a wide variety of subjects.
Keywords:
design ideation, design inspiration, fashion collection, fashion design elements키워드:
디자인 발상, 디자인 영감, 패션 컬렉션, 패션디자인 요소Ⅰ.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창조적이고 창의적인 사고에 의한 문제해결 과정이 필요한 패션 디자인 분야는 디자이너의 창의적 능력 개발에 따라 산업적으로도 발전 가능성이 큰 분야이다. 이에 따라 패션 디자인 산업은 현 정부가 추구하는 창조경제 패러다임 하에서 국가 발전과 성장의 원동력이 되는 산업으로서 육성 가치를 인정받고, 투자와 지원을 받고 있다. 또한 국제적으로는 지난 11월 한중 FTA 비준 동의안이 의결되면서, 관세 철폐 효과에 기반하여 국내 글로벌 기업의 중국 진출 장벽이 낮아지고 패션산업을 포함한 고부가가치를 지닌 소비재 분야에서 투자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Lee, 2015). 이 밖에도 FTA 발효로 인해 한국과 중국 간 교역 환경이 개선되고 한국 제품에 대한 인식을 환기시키는 효과 등이 발생해 중국 내 한국산 제품 구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Kim, 2015).
그러나 저가 패션시장 및 섬유시장의 경우 오히려 저가의 중국 제품의 유입으로 경쟁력이 더욱 약화될 것이라는 부정적인 시각도 있다(Oh, 2015). 또한 몇 년 사이 내수 패션시장의 장기적인 위축에 대한 우려와, 디자인 카피나 저작권 논란 등 패션과 관련한 도덕성 이슈는 꾸준히 언급되고 있는 문제들이다. 국내 패션산업이 지속적으로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고 국제적으로 선진화되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속적인 투자와 지원이 필요하며, 이와 더불어 창의적인 디자이너 육성을 위해 체계적인 패션 디자인 교육 자료의 준비가 필수적이다.
그동안 패션디자인 발상과 관련하여 Kim(2010), Oh & Kim(2011)을 비롯한 선행연구와 같이 특정 패션 디자이너의 디자인 발상 과정을 분석하거나, 스캠퍼나 체크리스트 등 아이디어 발상법을 활용하여 패션디자인 발상법을 제시하는 등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디자인의 영감이나 주제에 집중하여 그에 따른 발상을 분석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비중이 적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패션산업의 창조적 선진화를 위해 창의적 패션디자이너 육성을 위한 기초적 교육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패션의 주요 중심지인 파리, 런던, 밀라노, 뉴욕 4개 지역을 중심으로 발표된 디자이너들의 컬렉션을 살펴보고, 디자인 영감 또는 디자인 발상 자료를 조사하여 범주화한 후, 각 범주별로 발상 자료가 실제 작품에서 어떻게 구체화되었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발상 자료가 실제 디자인에서 어떻게 구체화되었는지를 디자인의 3요소인 선, 색채, 재질별로 분석하여 디자인의 기본 요소에 따른 발상의 특징을 알아봄으로써 창의적 발상 훈련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2. 연구 방법 및 범위
컬렉션 분석 대상은 2000년 이후 Council of Fashion Designers of America(CFDA)와 British Fashion Awards에서 여성복 분야 수상 경력이 있는 디자이너 중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활동을 해 온 브랜드 또는 디자이너를 대상으로 하였다. CFDA Awards는 미국을 기반으로 활동해 온 브랜드를 대상으로 상업성과 독창성 및 스타성을 고려하여 수상하며, British Fashion Awards는 그해 패션 산업적으로 가장 크게 공헌하고 주목을 받은 브랜드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패션 디자인 분야에서 그 역사와 권위를 인정받고 있다. 결과적으로 분석 대상으로는 Alexander McQueen, Altuzarra, Burberry, Calvin Klein Collection, Carolina Herrera, Céline, Chalayan, Christopher Kane, Donna Karan, John Galliano, Marc Jacobs, Michael Kors, Narciso Rodriguez, Oscar de la Renta, Proenza Schouler, Ralph Lauren, Rodarte, Stella McCartney, The Row, Tom Ford, Vera Wang, Vivienne Westwood의 총 22개 브랜드 및 디자이너가 포함되었다.
기간은 2011 Spring/Summer 시즌부터 2015 Fall/Winter 시즌까지 총 10개 시즌의 Ready-to-Wear 컬렉션으로 하였으며, 기간 내에 발표되지 않은 컬렉션을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총 22개 브랜드의 217개 컬렉션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VOGUE(www.vogue.com)와 VOGUE Korea(www.style.co.kr)에서 이루어졌으며, 각 컬렉션에 대한 전문가들의 리뷰 원문을 읽고 컬렉션 사진 자료를 분석하여 디자인 영감 및 발상과 관련한 키워드를 추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 때 분석에 사용된 217개 컬렉션의 리뷰 중, 디자이너의 인터뷰에 의해 직접적으로 컬렉션의 영감이나 주제가 언급되지 않고 리뷰어의 추측이나 생각 위주로 작성된 리뷰는 제외하였다. 이에 따라 결과적으로 207개의 키워드를 추출하였으며, 키워드를 바탕으로 디자인 발상을 분석하는 데 있어 디자이너의 인터뷰를 기반으로 한 비평을 중심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연구 및 사례연구를 병행하여 VOGUE와 VOGUE Korea에서 수집한 패션 컬렉션 사진과 전문가의 컬렉션 리뷰, 디자이너 인터뷰 기사 등을 사용하였으며, 패션디자인 발상이나 예술 및 문화와 관련된 국내외 서적과 관련 논문 등의 선행연구를 참고하였다.
패션디자인 영감을 분류하여 범주화하기 위해 패션디자인 발상에 관한 Lee & Lee(2011)의 단행본 중 발상의 종류와 분류에 대한 내용을 참고하고 수정하여 적용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네 가지 분류를 보다 세분화하고 범주를 추가하여, 영감의 종류를 인물, 예술작품 및 예술사조, 패션의 역사성, 지역적 특성, 자연물, 조형물, 추상적 개념, 특정 목적을 위한 의상, 특정 사건, 기타의 10개 카테고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디자인의 요소에 따른 디자인 발상을 분석하기 위해 고려할 디자인 요소를 선, 색채, 재질 및 무늬의 3가지로 압축하였다. 각 디자인에서 특징적으로 강조된 요소에 따라 디자인을 분류하고 발상을 분석하였는데, 두 가지 이상의 요소가 혼합된 경우 컬렉션의 주제나 발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한 가지 요소를 중점적인 기준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사진을 분석 대상으로 하므로 의상의 실물을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선, 색채, 재질 및 무늬의 분석은 모두 머리부터 발까지 한 착장의 전체가 나타나는 정면 사진만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특히 재질의 경우 시각적으로 판단이 가능한 특성만 고려하였다.
Ⅱ. 이론적 배경
1. 디자인 영감과 발상의 관계 및 분류
디자인 영감(inspiration sources)이란 디자인의 계기, 즉 디자인의 시작이 되는 생각이나 자극을 말하며, 디자인 발상이란 디자인 영감으로부터 실제 디자인을 구체화하여 만들어내기까지의 일련의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디자인 영감과 발상은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데, 디자인 영감으로부터 시작하여 창의적인 발상을 통해 변형 및 확장되고 재구성된 이미지가 최종적인 디자인 결과물이 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일부 연구에서는 영감을 뜻하는 영어인 'inspiration'을 직접적으로 ‘발상’이라는 단어로 번역하여 사용하거나, ‘작품의 아이디어를 생각하고 선택 및 구체화하는 디자이너의 고유한 창조적 이미지 과정’이라고 정의하는 등 발상의 개념과 동일시하여 설명하고 있다(Park, Lee, Yum, Choi, & Park, 2006). 따라서 디자인 발상을 분석하는 데 있어 디자인 영감의 분석 역시 필수적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디자인 영감과 디자인 발상의 밀접한 관계에 따라 다수의 선행연구가 디자인의 영감이나 주제의 성격에 따라 패션디자인 발상을 분석하고 분류하고 있다. 이론적으로 디자인 영감이 될 수 있는 대상은 구체적인 형태가 있는 것부터 추상적인 것, 자연과 기술, 예술과 문화, 과거의 패션 등 매우 광범위하고 다양한 분야에 걸친 거의 모든 개념을 포함한다(Geum & Lee, 1996; Lee & Lee, 2011; Park et al., 2006).
이렇듯 다양한 디자인 영감의 종류를 분석하고 분류하는 기준은 연구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Lee & Lee(2011)의 분류를 참고하였다. 이들은 패션 디자인 발상의 종류를 디자인 요소에 의한 발상과 이미지에 의한 발상으로 분류하여, 디자인 요소에 의한 발상은 선, 형태, 색채, 소재, 무늬에 의한 디자인 발상으로 나누었고, 이미지에 의한 발상은 역사성, 민속성, 자연 조형, 인공 조형에 의한 발상으로 나누었다. 그러나 이미지에 의한 발상의 경우, 실제로 컬렉션들에 사용된 디자인 영감의 종류는 네 가지로 분류하기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분류를 보다 세분화하고 범주를 추가하여, 영감의 종류를 인물, 예술작품 및 예술사조, 패션의 역사성, 지역적 특성, 자연물, 조형물, 추상적 개념, 특정 목적을 위한 의상, 특정 사건, 기타의 10개 카테고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2. 패션디자인 요소의 결정
패션디자인의 요소에 어떤 요소를 포함할 것인가에 대한 의견 역시 각 연구마다 조금씩 차이를 보인다.
Lee(2003)는 복식디자인의 요소를 선, 색채, 재질의 3가지로 보았다. 그는 선에 의해 형이 결정되고, 형의 반복으로 선이 형성되며, 형이 선으로 지각된다는 측면에서 선과 형이 상호의존적이며 밀접한 관련성을 갖는다고 하였다. 그리고 이에 따라 의복의 형태적인 면, 즉 엄밀히 말해 실제로 선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나 선으로 지각되는 의복의 실루엣을 선적인 요소에 포함하였다. 색채는 색의 삼속성인 색상과 명도, 채도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며, 색상과 톤의 변화나 색채간의 배색과 조합을 통하여 수많은 이미지를 표현하거나 보는 이로 하여금 여러 가지 감정을 일으키도록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대부분 옷감에 의해 구체화되는 패션디자인은 소재의 재질이나 특성에 영향을 많이 받으며, 같은 디자인이라도 소재에 따라 다른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소재와 재질을 패션디자인의 요소에 포함하였다. 이 외에 Park et al.(2006)은 패션디자인의 요소를 형태, 색채, 소재로 나누었으며, Kim & Lee(2011)도 선, 색채, 재질을 디자인의 3요소로 보았다. Son & Kwon(2014)은 선과 형태를 구분하여 선, 형태, 색채, 질감 및 무늬의 네 가지를 패션디자인의 요소로 설명하고 있으며, Lee & Lee(2011)는 디자인 요소에 의한 발상 및 연출에서 디자인 요소를 선, 형태, 색채, 소재, 무늬의 다섯 가지로 모두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세 번째 연구 문제로 디자인 요소를 중심으로 한 발상의 표현을 분석하였는데, Lee(2003)의 연구를 참고하여 디자인 요소를 선, 색채, 재질 및 무늬의 3요소로 한정하였다. 선과 형의 관계에 따라 형태적인 면은 선에 포함하여 하나의 요소로 보았다. 질감과 무늬는 그 구체적인 성격은 다르나, 옷감의 표면에서 나타나는 특성에 의한 요소라는 점을 고려하여 한 요소로 묶은 Son & Kwon(2014)의 분류를 참고하여 한 요소로 다루었다.
Ⅲ. 패션컬렉션에 나타난 디자인 영감 및 발상 분석
1. 패션컬렉션에 나타난 디자인 영감의 분류
패션컬렉션에 나타난 디자인 영감의 종류에 따른 디자인 발상 분석을 위해, 각각의 컬렉션마다 전문가들이 작성한 리뷰에서 언급된 컬렉션 주제나 디자인 영감을 성격 별로 분류하여 범주화하였다.
첫 번째 카테고리는 ‘인물’ 카테고리로, 이는 개인과 단체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실존인물, 작품이 아닌 인물 자체로서 언급된 예술가, 혹은 상상의 인물, 영화·TV 캐릭터, 하위문화그룹, 사회계층 등의 이름이나 명칭이 명시된 경우 이 카테고리에 포함하였다. 책이나 영화, 그림 등 예술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의 경우에도 특정 인물의 이름이 구체적으로 언급되었으면 작품 전체의 분위기보다는 해당 인물의 성격이나 스타일 등에 보다 초점을 맞춘 것으로 보아 첫 번째 카테고리에 포함하였다. 또한 인물을 대상으로 하였더라도 히피나 라이더, 전사(warrior)와 같이 비교적 뚜렷한 스타일이나 특징이 있는 그룹의 경우는 이 카테고리에 포함하였으나, ‘the girls you hate at school’과 같이 구체적인 이미지가 떠오르지 않고 추상적인 느낌으로 표현한 경우는 추상적 개념 카테고리로 분류하였다.
두 번째 카테고리는 ‘예술작품 및 예술사조’로, 이 카테고리는 미술 작품, 조형예술 작품, 영화를 포함한다. 또한 드라마, 음악, 문학, 만화도 예술의 한 장르로 보아 포함하였다. 단, 작품의 이름, 특정 작가의 작품, 전시회명이 구체적으로 명시된 경우에 한하였으며, 건축물은 조형물로 분류하였다. 또한 아르데코, 옵아트, 콜라주 기법 등 예술 사조나 예술의 표현 기법을 영감으로 한 컬렉션도 포함하였다.
세 번째 카테고리는 ‘패션의 역사성’ 카테고리이다. 여기에는 특정 시대에 유행했던 스타일에서 영감을 얻거나, 어떤 스타일이 유행했던 시대 혹은 기간 자체를 디자인의 영감으로 한 경우가 포함된다. 또한 ‘샤넬의 리틀 블랙 드레스’와 같이 특정 인물이나 디자이너의 영향으로 창작되거나 명명된 패션 스타일 및 디자인의 명칭이 언급된 경우도 포함하였다.
네 번째 ‘지역적 특성’ 카테고리는 유럽과 미국 등의 지역을 디자인 영감으로 하여 세련되고 도시적인 이미지를 나타내는 컬렉션을 분류한 서구 문화와, 인디안, 아프리카, 중동, 아시아, 중남미 등 비서구 문화로 세분화하였다. 따라서 서구 문화권의 지역에서 영감을 받았더라도 과거의 원주민이나 민속적 컨셉을 주제로 하여 에스닉하고 토속적인 이미지가 강한 경우 비서구 문화로 분류하였다.
다섯 번째 카테고리는 ‘자연물’이며, 자연 그 자체, 지구, 땅, 태양, 달, 바다, 물의 자연환경과 벌과 새, 꽃의 동식물이 포함된다.
여섯 번째 카테고리인 ‘조형물’은 예술 작품을 제외하고 인간에 의해 만들어진 인공 조형물을 의미한다. 건축물, 자동차, 정원, 가공된 보석, 비디오 게임, 스카프, 장화, 특수 기능성 소재와 같이 인간에 의해 만들어지거나 가공된 모든 인공적인 대상을 포함하였다.
일곱 번째는 ‘추상적 개념’ 카테고리이다. 이는 실체가 없는 상상의 이미지나 추상적인 개념을 모두 포함하며, 미니멀이나 밀리터리 룩 등 특정 스타일이나 예술 사조를 지칭하는 개념이라도 컬렉션의 분위기나 느낌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 경우에는 이 카테고리에 포함하였다. 단, 디자이너가 이에 대해 직접 언급한 경우에 한하였으며, 리뷰어가 컬렉션 분위기를 설명하기 위해 디자인의 영감을 추측하거나 개인적인 생각으로 언급한 경우 분석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여덟 번째는 ‘특정 목적을 위한 의상’ 카테고리이다. 비치웨어, 운동복, 아웃도어 의상, 군복과 같은 유니폼 등 특수한 상황에서 입거나 특정 목적을 위해 필요한 의상에서 영감을 얻어 디자인한 경우가 포함된다.
아홉 번째는 ‘특정 사건’ 카테고리로, 분석 범위인 217개 컬렉션 중에서는 ‘런던 올림픽’을 주제로 한 2012 F/W 시즌 Stella McCartney 컬렉션의 한 개 사례만이 해당되었다.
마지막으로 디자이너가 직접 ‘주제가 없다’고 언급한 특수 사례인 2012 F/W Chalayan 컬렉션을 기타 카테고리로 분류하였으나, 디자인 영감에 따른 발상을 분석하는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디자인 분석 대상에서는 제외하였다.
위의 기준을 고려하여 컬렉션 주제 및 디자인 영감을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여 정리한 내용은 <Table 1>과 같다.
2. 패션디자인 영감에 따른 디자인 발상 분석
각각의 카테고리별로, 각 컬렉션에서 주제의 표현이 비교적 뚜렷하게 나타나거나 컬렉션의 분위기를 대표하는 한 개의 착장을 선정하여 디자인 발상을 분석하였다.
개인과 그룹을 포함하는 인물 카테고리에서 영감의 대상은 배우, 가수, 모델, 패션 잡지 에디터처럼 실존 인물을 비롯하여 영화나 책, 희극 등 예술 작품의 등장인물과 같은 가상의 인물, 히피(hippies)나 라이더(rider)와 같이 특정 개인을 지칭하지 않은 집단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발상 방식은 그 인물이 가지는 이미지나 즐겨 입던 스타일, 특별히 화제가 되었던 스타일, 혹은 그 모습을 찍은 사진 등에서 영감을 얻어 그 스타일을 재해석하여 표현하는 방식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디자인 발상과 표현의 예를 살펴보면, <Fig. 1>의 좌측 사진은 Marc Jacobs의 2013 S/S 시즌 컬렉션의 작품으로, 1960년대에 모델이자 영화배우로 활동했고 미술 작가 앤디 워홀의 뮤즈이기도 했던 에디 세즈윅(Edie Sedgwick)을 주제로 하고 있다. 디자이너는 특히 에디 세즈윅이 스트라이프 셔츠를 입고 있는 사진(<Fig. 1>의 우측)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언급하였다. 작품에 전체적으로 사용된 스트라이프 패턴과 금발의 숏커트, 짙은 아이라인의 메이크업 등이 이를 드러내고 있으며 절개하여 흩날리도록 한 스커트가 자유스러운 분위기를 표현하고 있다.
예술작품에서 영감을 얻은 디자인의 경우 영감의 종류는 그림과 조형물을 포함한 미술작품, 사진, 가구 및 인테리어, 영화, 드라마, 음악, 소설, 희극, 예술 장르 및 기법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발상의 방식은 미술 작품을 그대로 옷감에 프린팅 해 무늬로 사용하는 등 작품을 직접적으로 드러낸 예, 작품이나 작가의 작업 방식을 재해석하여 응용한 예, 대상의 색채나 형태 같은 디자인 요소에서 특징적인 부분을 추출하고 변형하여 추상적으로 영감을 표현한 예 등이 있었다.
<Fig. 2>의 좌측은 2014 F/W Céline컬렉션의 디자인으로, 독일의 다다이스트 한나 회흐(Hannah Hoch)의 작품에서 영감을 얻었다. 다다(Dada)란 1915년에서 1922년경 사이에 미국과 유럽 등에서 일어난 예술 운동으로, 서구 문명과 전통적이고 관습적인 예술을 거부하고 본능성과 비합리성을 강조했던 움직임을 말한다(Monthly Art, 1999). 한나 회흐는 사진이나 인쇄물 등을 찢어 새롭게 조합하는 포토몽타주 기법이나 콜라주 기법 등을 통해 초현실적이고 전위적인 작품을 만들어 여성에 대한 고정관념과 관습적인 미의 관념을 비판했다(Farthing, 2009). <Fig. 2>의 우측은 한나 회흐의 1926년 작품‘감미로운 것(The Flirt)'으로, 초현실적이고 전위적인 성격을 보여준다. Céline의 작품에서도 옷을 찢거나 다른 소재를 붙인 것 같은 해체적이고 아방가르드한 디자인이 나타나 전통적인 여성복의 이미지와는 다른 성격을 나타내고 있다.
과거의 패션을 디자인 영감으로 하는 패션의 역사성 카테고리에서는 바로크 등 중세시대를 비롯하여 1920년대부터 20세기 후반까지 폭넓은 시대가 언급되었다. 그 중에서도 특히 1920년대와 40년대, 60년대, 70년대 등 20세기의 패션을 참고로 한 컬렉션이 다수로 나타났으며, 주된 발상의 방식은 그 시대에 유행했던 전형적인 스타일을 반영하는 레트로 룩으로 나타났다.
<Fig. 3>의 우측 사진은 1920년대 및 30년대에 영화배우로 활동했던 도리스 힐(Doris Hill)의 사진이다. <Fig. 3>의 좌측은 1920년대 스타일에서 영감을 얻은 Marc Jacobs의 2012 S/S 시즌 컬렉션에 등장한 디자인으로, 도리스 힐의 20년대 사진의 착장과 매우 유사한 스타일을 보인다. 로우 웨이스트의 직선적인 라인, 숏커트의 헤어에 클로슈 모자, 광택 있는 비닐 소재를 활용하여 연출한 반짝이는 장식 등이 발랄하고 화려했던 재즈시대의 전형적인 스타일을 보여준다.
특정 지역이나 지역의 특성을 디자인의 영감으로 한 지역적 특성 카테고리는 미국과 유럽을 포함하는 서구 문화권과 일본, 중국, 인도, 멕시코, 아메리칸 인디안 등 그 외의 지역을 포함하는 비서구 문화권으로 세분화되었다. 디자인에는 그 지역의 전통 의상의 특징적인 디테일을 서구적이고 모던한 디자인과 결합하는 방식, 전통 무늬를 활용하는 방식, 전통 의상에 주로 사용되는 색채, 혹은 지역 특유의 자연 환경에서 추출한 색채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디자인 영감이 반영되었다.
<Fig. 4>는 한국의 전통 복식에서 영감을 얻은 2011 S/S Carolina Herrera 컬렉션의 의상들이다. 소색을 연상시키는 베이지톤과 흰색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한복의 동정 달린 깃을 본 딴 V네크라인과 옷고름 장식, 옛 한국의 남성들이 착용했던 갓 모양의 모자 등의 액세서리로 한국 전통복식의 느낌을 강조하였다.
자연물 카테고리에서 영감의 종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서의 자연, 바다, 물, 땅, 달과 태양 등 자연환경과 나무, 꽃, 벌, 새 등의 동식물을 포함하였다. 디자인 영감을 표현하는 방식으로는 주로 대상의 색채적인 요소를 활용하여 유사성을 나타내는 발상이 많았으며, 일정한 형태가 없는 대상의 모습을 패턴화하여 무늬로 활용한 디자인, 대상의 특징적인 형태나 일부분에 집중하여 디테일로 활용한 디자인, 대상의 형태를 그대로 프린트하여 모티프로 사용한 디자인이 나타났다.
<Fig. 5>는 바다를 주제로 한 2015 S/S Rodarte 컬렉션 중 한 디자인으로, 푸른색과 비취색, 흰색을 중심으로 파도와 물결의 색상과 햇빛에 반짝이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모델의 피부를 바다의 모래사장에 비유하여 해변에서 파도가 들어오고 나가면서 생기는 거품과 파도 자국 등을 표현하며, 얇고 가벼운 쉬폰 소재를 사용하여 부드럽고 로맨틱한 느낌을 준다.
조형물 카테고리는 인간에 의해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인공물이 포함된다. 조형물에 의한 발상의 표현 방식은 매우 다채롭게 나타났는데, 디자인 영감이 되는 대상의 형태와 색채, 재질 등의 요소가 전반적으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대상의 사실적인 모습을 그대로 모티프로 사용하여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방식부터 매우 단순한 형태로 추상화하여 표현하는 방식까지 폭넓은 발상 표현이 사용되었다.
<Fig. 6>의 좌측 사진은 2012 F/W Céline 컬렉션의 디자인으로, <Fig. 6> 우측의 브루탈리즘(brutalism) 건축물인 런던의 트렐릭 타워(Trellick tower)를 주제로 하고 있다. 브루탈리즘이란 20세기 후반, 특히 1950년에서 1960년대 사이의 건축 양식으로, 가공하지 않은 재료와 설비를 사용하는 야수적이고 거친 표현을 특징으로 한다(Hanguksajeonyeongusa, 1998). 트렐릭 타워는 브루탈리즘 양식을 대표하는 건축물로 볼 수 있는데, Irving & St. John(2009)에 의하면 주위 환경과는 어울리지 않는 순정 기하학에 따른 전위적이고 거대한 외형으로 인해 모더니즘 건축물이 가지는 문제점을 보여주는 전형적인 예로 비난받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트렐릭 타워의 디자인적 특징에서 영향을 받아 Céline의 컬렉션에서는 박시하고 직선적인 디자인이 나타나며, 빛바랜 콘크리트의 색상과 무채색을 바탕으로 블루와 레드 등 트렐릭 타워의 내부 인테리어에서 영향을 받은 포인트 색채로 컬러 블록을 구성하였다.
추상적 개념을 영감의 원천으로 한 컬렉션의 경우, 실체가 없는 개념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디자인 발상에 있어 디자이너의 상상력과 창의적인 능력에 의존도가 높다. 하지만 그만큼 특정 형태나 대상의 특징에 얽매이지 않은 자유로운 디자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컬렉션의 빈도수가 가장 많고 발상의 표현 방식 역시 가장 다양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브랜드가 추구하는 방향이나 시즌의 트렌드에 따라 몇 가지의 특징적인 주제들로 세분화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기하학적이고 구조적인 형태 중심의 건축적(architectural) 디자인과, 미니멀(minimal)한 디자인, 여성성이나 남성성 등과 관련된 성성(sexuality), 스포츠나 움직임의 표현과 관련된 운동성(athleticism), 그리고 그 외의 개념들로 나누어 볼 수 있다.
<Fig. 7>은 여성성과 남성성의 결합(‘insert the feminine into the masculine')을 주제로 한 2013 F/W 시즌 Stella McCartney 컬렉션의 한 모델의 모습이다. 저지 소재의 폴로 셔츠 형태의 보디스에 여성적인 레이스 소재의 스커트를 결합하여 여성성과 남성성의 결합을 표현하였으며 양성적인 느낌을 준다.
<Fig. 8>은 함께함(togetherness)이라는 매우 추상적인 주제를 의상으로 표현한 2013 S/S Céline 컬렉션의 작품이다. 디자이너는 ‘함께함’이나 ‘우정’ 같은 인간 사이의 관계, 혹은 관계맺음이라는 개념을 다른 색상이나 다른 재질의 옷감을 서로 꼬거나 엮는 등의 방법으로 형상화하였다.
특정 목적을 위한 의상에 의한 발상은 영감이 되는 대상의 스타일이나 형태의 영향을 비교적 많이 받았다. 승마복을 영감으로 한 디자인에서 기존의 승마복 형태에 러플 장식을 달거나, 코르셋과 케이프를 영감으로 한 컬렉션의 매우 짧고 타이트한 미니드레스와 긴 망토형 코트 디자인 등 기존의 의복에 장식적인 면을 추가하거나 확장과 축소를 이용하여 과장하는 변형이 나타났다.
코르셋과 케이프에서 영감을 얻은 <Fig. 9>의 의상은 2013 S/S Burberry 컬렉션의 작품이다. 코르셋을 변형한 형태의 매우 짧고 타이트한 의상과 긴 케이프형 코트로 한 앙상블을 구성하여 주제를 표현하였다.
3. 디자인 요소에 따른 발상의 분석
각각의 컬렉션마다 전문가들의 리뷰에서 언급된 디자인 발상을 디자인의 3요소인 선, 색채, 재질 및 무늬 별로 특징적인 표현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예로 제시된 컬렉션들은 디자인 영감을 중심으로 할 때 각각 1절에서 분류한 범주 중 하나에 포함되나, 특정 디자인 요소에서 보다 특징적인 발상의 표현이 나타나는 경우를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디자인 요소 중 선을 이용하여 컬렉션의 주제나 영감의 원천을 강조한 경우, 외부의 선인 실루엣을 이용한 예로 과장되거나 기하학적인 실루엣으로 디자인 영감을 표현한 예, 옷의 형태가 바뀌어 전혀 다른 실루엣으로 변하는 예, 그리고 구성선이나 장식선 등 내부의 선을 이용하여 디자인 영감이 되는 대상의 특성을 표현한 예 등이 있었다.
<Fig. 11>은 디자인 영감은 ‘추상적 개념’에 포함되며, 형태를 중심으로 ‘낙관주의(optimism)’라는 주제를 표현한 2012 F/W Alexander McQueen 컬렉션의 의상이다. 거의 원 모양에 가까운 과장된 실루엣의 분홍색 의상은 중앙의 금속 벨트 장식을 중심으로 수십 겹의 프릴 장식으로 인해 마치 한 송이의 꽃이 활짝 피어 있는 것 같은 화사한 느낌을 준다. 구체적으로 디자이너는 밝은 미래와 긍정적인 에너지를 표현하기 위해 ‘폭발하는’ 형태를 의도하였다고 언급하며, 이처럼 과장된 형태의 의상과 사이버틱한 선글라스로 미래적인 낙관주의를 표현하였다고 하였다.
디자인 요소 중 색채를 이용한 발상의 표현 방법은 색채 감성에 의한 발상, 톤에 의한 발상, 배색을 이용한 발상 등이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Lee & Lee, 2011).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요소를 이용하여 컬렉션의 영감의 원천을 어떻게 구체화시켰는가 하는 발상 과정의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으므로, 색채를 통해 주제가 잘 드러나는 사례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색채를 이용한 발상의 경우 디자인 영감이 되는 대상의 실제 색을 이용하거나 대상의 이미지를 연상시키는 색 등의 활용이 나타났는데, 디자인 요소 중 색채 요소가 단독적으로 사용되기보다는 선과 재질 등 다른 요소와 함께 사용되어 주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드러내는 사례가 많았다.
<Fig. 12>는 ‘조형물’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화장품(cosmetics)’에서 영감을 얻은 2014 F/W Chalayan 컬렉션에서의 한 모델의 모습이다. 이 컬렉션의 컬러 팔레트는 파운데이션의 베이지톤부터 아이라이너의 검은색, 립글로즈를 연상시키는 와인색까지 화장품에서 추출한 색상으로 구성되었다. 특히 <Fig. 12>의 디자인에서는 회색톤의 그라데이션을 바탕으로 와인색과 약간의 펄 감이 있는 흰색을 사용하여 전체적으로 아이섀도우나 눈화장의 느낌을 준다.
마지막으로 재질 및 무늬에 의한 발상으로는 오일이나 지푸라기 등 일반적으로 의복에 잘 사용되지 않는 소재로 옷을 만들거나, 소재의 기능성에 집중한 기능적이고 미래적인 디자인, 소재가 만드는 형태를 이용한 아방가르드한 디자인, 소재가 갖는 특유의 표면 성질을 활용한 디자인 등이 있었다.
<Fig. 13>은 인공물에서 영감을 얻은 2011 F/W 시즌 Christopher Kane 컬렉션의 디자인이다. 크로셰 기법을 활용한 뜨개질 패턴과, 네크라인과 포켓의 곡선 장식으로 인해 디자인 요소 중 선의 활용이 눈에 띄나, 이 컬렉션에서 디자이너는 무엇보다도 ‘독특한 소재’의 활용에 집중하였다. 플라스틱 재질의 곡선 장식 안에는 특수한 오일이 들어있으며, 이 오일의 발열 작용으로 인해 인체를 따뜻하게 해주는 효과를 가진다. 소재의 특성을 이용한 미래적이고 기능적인 디자인의 예로 볼 수 있다.
Ⅳ. 결론 및 제언
창의적인 사고에 의한 문제 해결 능력과 새로운 결과물을 창조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되는 패션 디자인 분야는 아이디어와 기술 등이 결합된 창의적 자산을 기존 산업과 융합시켜 새로운 산업의 발달과 부가가치의 창출을 꾀하는 현 정부의 창조경제 패러다임과 맞물려, 창의적 자산의 생산 가능성이 있는 산업으로써 정부로부터 여러 지원을 받고 있다. 창의적인 디자이너는 새로운 발상을 통해 창조적인 디자인과 가치를 창출하여 국내 패션산업의 발달에 기여할 수 있으므로, 국내 패션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국제적 선진화를 위해서는 창의적인 디자이너 육성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 자료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패션의 주요 중심지인 파리, 런던, 밀라노, 뉴욕에서 발표된 디자이너들의 컬렉션을 시즌별로 살펴보고 디자인 발상을 분석하여, 창의적인 디자이너 육성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라 디자인 영감의 종류는 인물, 예술작품 및 예술사조, 패션의 역사성, 지역적 특성, 자연물, 조형물, 추상적 개념, 특정 목적을 위한 의상, 특성 사건, 기타의 총 열 개 카테고리로 분류되었으며, 각각의 카테고리와 패션 디자인 요소에 따른 디자인 사례의 분석을 통해 발상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매우 다양한 분야에 걸친 거의 모든 대상이 패션 디자인의 영감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디자인 영감 자료의 활용은 곧 다양하고 창의적인 발상의 가능성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주위의 어떤 대상이든지 패션의 주제와 소재가 될 수 있음을 염두에 두고, 그 대상을 선, 색채, 재질 등의 측면에서 패션디자인에 어떻게 반영할 수 있을지 다양한 방향으로 고민하는 과정, 즉 발상 과정을 연습하는 것이 창의적인 디자인 능력을 키우기 위한 훈련이 될 수 있다. 또한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같은 대상을 주제로 할지라도 디자이너나 브랜드의 성격과 추구하는 이미지에 따라 주제의 표현 방법과 디자인 스타일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앞서 언급했던 디자인 카피나 저작권 침해 문제 등으로 인해 디자인 윤리가 강조되는 현재의 패션 산업에서, 빠르게 변하는 유행에만 집중하여 맹목적으로 인기 있는 스타일을 쫓는 것보다 디자이너나 브랜드의 가치관과 스타일을 명확히 하는 것 역시 중요한 과제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패션디자인 교육에서, 학생들이 디자인의 영감이나 주제로부터 실제 디자인을 구체화하는 발상 과정에 참고할 수 있는 다양한 사례를 제시할 수 있으며, 나아가 학생들이 디자인 사례에 나타난 디자이너의 발상 과정을 직접 분석 해 보고 자신의 디자인에 응용하여 표현하도록 하는 등 디자인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발상의 훈련법이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창의적인 패션 디자이너 육성을 위한 교육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단, 본 연구에서 발상의 예로 제시한 컬렉션 사진들은 연구자의 주관에 의해 선택된 것으로, 분석을 하는 데 있어 가능한 전문가의 리뷰를 참고하였으나 연구자의 주관적 견해가 반영될 수 있음은 연구의 한계점이 될 수 있다. 또한 연구 과정에서 전문가들의 리뷰나 비평에 디자이너의 인터뷰 내용이나 디자인 영감에 대한 내용이 누락되어 있는 경우에는 어떠한 발상 과정을 거쳐 디자인이 전개되었는지 파악할 수 없었던 점도 한계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모든 패션 컬렉션을 일일이 접해 볼 수 없는 일반인들이 얻을 수 있는 정보의 종류나 소재지가 한정되어 있음을 고려하여, 패션 컬렉션 및 디자인 발상에 대한 정보를 보다 정확하고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관련 업계와 전문가들의 협력이 요구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분석 대상을 22개 브랜드의 5년간의 컬렉션으로 한정하였으나, 대상의 범위를 확대하고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보다 다양한 사례를 분석한다면 방대하고도 체계적인 교육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cknowledgments
본 논문은 석사학위 청구논문의 일부임.
본 연구는 대림수암장학문화재단의 지원에 의하여 수행되었습니다(대림수암 2013-7).
References
- Farthing, S., (2009), 501 Great artists, M. H. Park Trans., Seoul, Republic of Korea, Maroniebooks, (Original Work published 2008).
- Found a Grave, (n.d.), Edie Sedgwick. Found a Grave, Retrieved from http://www.foundagrave.com/grave/edie-sedgwick/.
- Geum, K. S., & Lee, Y. J., (1996), A study on the methodology for fashion design through the source of inspiration and its appl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29, p53-53.
- Hanguksajeonyeongusa, (1998), Dictionary of art terms [美術事典. 1 :用語編], Seoul, Republic of Korea, Hanguksajeonyeongusa.
- Hoch, H., (1926), The Flirt Hannah Hoch Aus Einem Ethnographischen Museum, Retrieved from http://slowartday.tumblr.com/post/34864588705/hannah-hoch-the-flirt-1926.
- Irving, M., & St. John, P., (2009), 1001 buildings you must see before you die, N. R. Park, S. H. Jeong, & H. J. Kim Trans., Seoul, Republic of Korea, Maroniebooks, (Original Work published 2007).
- Kim, J., (2010), Design ideas and characteristics of Victor & Rolf,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0(10), p47-64.
- Kim, K. S., (2015, December, 1), Korea-China FTA, positive influence on outdoor industry. Outdoornews, Retrieved from http://www.outdoor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325.
- Kim, M. J., & Lee, Y. Y., (2011), Finding fashion ideas in culture, Seoul, Republic of Korea, Episteme.
- Leaper, C., (2015, December, 14), 1920s fashion: Meet 18 iconic women who changed our style forever, Marie Claire, Retrieved from http://www.marieclaire.co.uk/blogs/545941/1920s-fashion-icons-who-defined-twenties-style.html.
- Lee, E. Y., (2003), Theory of fashion design, Seoul, Republic of Korea, Gyomoonsa.
- Lee, K. H., & Lee, E. R., (2011), Fashion design plus conception, (2nd ed.), Paju, Republic of Korea, Gyomoonsa.
- Lee, S. J., (2015, November, 30), Approve for ratification of Korea-China FTA, Newsway, Retrieved from http://news.newsway.co.kr/view.php?tp=1&ud=2015113017533110233&md=20151130180621_AO.
- Monthly Art, (1999), Dictionary of world art terminology [세계미술용어사전], Seoul, Republic of Korea, Monthly Art.
- Oh, Y., & Kim, J., (2011), A study on Gianni Versace's idea source for fashion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1(8), p18-31.
- Oh, Y. J., (2015, November, 30), Korea-China FTA, emergency in low-price industries, Yonhapnews, Retrieved from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11/30/0200000000AKR20151130185200030.HTML?input=1195m.
- Park, H. W., Lee, M. S., Yum, H. J., Choi, K. H., & Park, S. J., (2006), Contemporary fashion design, Seoul, Republic of Korea, Gyomoonsa.
- Sones, R., (2009, October, 20), Trellick tower, Wikimedia Commons, Retrieved from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Trellick_Tower,_Elkstone_Road_W11_-_geograph.org.uk_-_1561694.jpg?uselang=ko.
- Son, M. Y., & Kwon, Y. J., (2014), Fashion design, Seoul, Republic of Korea, KNOU Press.
- VOGUE, (n.d.-a), Retrieved from http://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3-ready-to-wear/marc-jacobs/slideshow/collection#45.
- VOGUE, (n.d.-b), Retrieved from http://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4-ready-to-wear/Céline/slideshow/collection#33.
- VOGUE, (n.d.-c), Retrieved from http://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2-ready-to-wear/marc-jacobs/slideshow/collection#7.
- VOGUE, (n.d.-d), Retrieved from http://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1-ready-to-wear/carolina-herrera/slideshow/collection#15 http://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1-ready-to-wear/carolina-herrera/slideshow/collection#7.
- VOGUE, (n.d.-e), Retrieved from http://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5-ready-to-wear/rodarte/slideshow/collection#26.
- VOGUE, (n.d.-f), Retrieved from http://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2-ready-to-wear/Céline/slideshow/collection#14.
- VOGUE, (n.d.-g), Retrieved from http://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3-ready-to-wear/stella-mccartney/slideshow/collection#19.
- VOGUE, (n.d.-h), Retrieved from http://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3-ready-to-wear/Céline/slideshow/collection#4.
- VOGUE, (n.d.-i), Retrieved from http://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3-ready-to-wear/burberry-prorsum/slideshow/collection#1.
- VOGUE, (n.d.-j), Retrieved from http://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2-ready-to-wear/stella-mccartney/slideshow/collection#9.
- VOGUE, (n.d.-k), Retrieved from http://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2-ready-to-wear/alexander-mcqueen/slideshow/collection#30.
- VOGUE, (n.d.-l), Retrieved from http://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4-ready-to-wear/chalayan/slideshow/collection#44.
- VOGUE, (n.d.-m), Retrieved from http://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1-ready-to-wear/christopher-kane/slideshow/collection#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