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Articl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ol. 67, No. 3, pp.66-80
ISSN: 1229-6880 (Print) 2287-7827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Apr 2017
Received 05 Oct 2016 Revised 17 Mar 2017 Accepted 09 Apr 2017
DOI: https://doi.org/10.7233/jksc.2017.67.3.066

중국 이족(彝族) 여성 두식(頭飾)의 형성요인과 특징에 관한 연구

왕혜원 ; 소황옥
중앙대학교 패션예술학과 박사수료
중앙대학교 패션예술학과 교수
A Study on the Formation Factors and Characters of Yi Women's Headdress in China
Huiyuan Wang ; Hwangoak Soh
Ph. D Candidate, Dept. of Fashion, Chung-Ang University
Professor, Dept. of Fashion, Chung-Ang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Hwangoak Soh, e-mail: oaksoh@cau.ac.kr

Abstract

The headdres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lothing characters in China, as it was used to distinguish the 55 minority groups in China. Each minority group has a unique headdress culture. Among the 55 minority groups, the Zang, the Yi, and the Miao focus their ethnic costumes on the headdress, and have a more distinctive headdress culture compared to be other nationality groups. The Yi is one of the minority groups that linvd in Southwest China. They usually lived in compact communities in Sichuan, Yunnan, and Guizhou provinces, as well as the Guangxi Zhuang Autonomous region. The total population of the Yi is the sixth largest among the 55 minority groups. Modern scholars believe that the Yi people are descendants of the ancient Qiang people, which is a group that lived in Northwest China six or seven thousand years before. It is believed that the Qiang went down to the southern part of China and allied with the aboriginals in that region, and this group of people became the Yi, Due to its long history, cultural background, and the large number of people and settlements, they have produced a unique costume culture. The women's headdress culture is considered to be the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eir costume culture. There are four forming element of the Yi women’s headdress, religious faith, myths,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customs & festivals. The first three element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rotection and spread of headdress, while the fourth element provides potential for the modern headdress development. Because of much influence factors, more than 100 types of Yi women headdresses have developed. Depends on categories, Yi woman headdress can be divided into kerchief, hat, fascinator and other accessories wore on the ha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velopment of the Yi women's headwear, and screened and analyzed representative Yi women accessories, such as the headscarf, hat, and fascinator. This analysis will provide basic materials for further studies of Yi women's headdress or costume.

Keywords:

headdress, headscarf, hat, Yi

키워드:

두식, 頭飾, 두건, 頭巾, 이족, 彝族

Ⅰ. 서론

중국내에서 55개 소수민족의 두식은 소수민족을 식별할 수 있는 중요한 특징이 될 수 있다. 그중에서도 이족(彝族)은 중국 서남지역에서 인구수가 가장 많고 지역적으로 넓게 분포되어 거주하고 있는 민족이다. 특히, 이족의 여성 두식은 지역 분포에 따라 백여 개의 다양한 유형으로 두식을 착용하고 있다.(Zhong, 2008)

두식(頭飾)은 언어대전(Wang, 1990)에 보면, 머리카락을 여러 형태로 땋아 다양한 모양을 내거나 머리 위에 쓴 수건이나 모자 위로 구슬이나 은, 금 등으로 화려하게 장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지만 이족 여성 두식은 두의(頭衣, 쓰개)로도 불릴 수 있고, 주로 두건(頭巾), 모자, 두파(頭帕, 실용성보다 장식적인 의미가 더 강한 두식이다.) 및 기타 머리 장식을 포함한다(Su, 2008).

두식이나 이족에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중국 신장자치구에서 거주하고 있는 무슬림계 4개 소수민족의 여자가 착용한 쓰개를 형태에 따라 분석한 연구가 있다(Kang & Cho, 2015). 동슬라브민족의 여성이 결혼유무에 따라 착용한 두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한 연구가 있다(Choi & Cho, 2000). 또한, 이족의 문양을 활용한 현대 가방 디자인을 개발하거나, 중국 초웅(楚雄) 지역에만 거주하는 여성의 두식에 관한 연구가 있다(Lee, 2014; Cheng, 2010). 이외에도 지역이나 복식의 종류에 따라 중국소수민족의 복식에 관한 고찰이나 연구가 있다(Cho, 1992; Park, 2001). 그렇지만 이족 여성 두식의 형성요인을 살펴보면 실제 이족 여성들이 착용하고 있는 두식의 유형, 종류와 특징에 대한 세분화된 연구는 부족한 현상이다. 이족은 '중두경각(重頭輕脚)'1)의 소수민족이고(Zhong, 2008) 두식의 실용성보다 장식성과 종교 신앙적 의미를 더 많이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족 여성 두식이 형성된 요인을 살펴보고, 지금까지 착용하고 있는 두식을 종류별로 분류하여 각 두식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중국 소수민족가운데 이족은 2010년 현재 약 800만 (Census, 2010)명으로 소수민족의 인구 순위 중 6위에 해당되며, 주요 거주 지역은 중국의 쓰촨성, 윈난성, 구이저우성 등에 분포되어 살고 있고 광시좡족자치구에도 거주하고 있지만 인구수가 많지 않다(Soh & Kim, 2008). 그래서 본 연구 범위는 중국 서남부의 쓰촨성, 윈난성, 구이저우성과 광시좡족자치구에 분포하고 있는 이족 여성의 두식을 중심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중국소수민족복식과 이족 관련 선행연구와 문헌자료, 그리고 이족에 관한 온라인 박물관에 공개된 실물자료도 함께 참고하여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Ⅱ. 중국 이족의 이해

1. 이족의 역사와 문화

이족은 중국에서 제일 오래된 민족 중에 하나다. 이족과 합니족(哈尼族), 율률족(傈僳族), 납호족(拉祜族)등이 고이족(古彝族)에서 발원하였다. 이족은 옛날부터 중국 서남쪽에서 거주하고 있고 인류의 발전에 따라 현재의 이족이 되었다. 이러한 주장의 근거는 한족의 고문헌과 고이문(古彝文)의 문헌자료와 신화를 통해 알 수 있다. (Zhong, 2008)

서창(西昌)지역의 공번(邛蕃)과 윈난(云南)지역의 전번(滇蕃) 등이 이족의 조상이다. 3 천 년 전부터 이족은 이미 폭 넓게 거주하고 있었다. 이족고대문명사(彝族古代文明史, Qie, 2002)에서 나오는 ‘월숭이(越嵩夷)’, ‘모(侮)’, ‘곤명(昆明)’, ‘로 침(勞浸)’, ‘미막(靡莫)’, ‘수(叟)’, ‘복(濮)’ 등의 부족이 이족이다. 한(漢)나라 때에는 ‘서남이(西南夷)’라고 불렸다. 수·당(隋·唐)나라 때에는 이족선민 지역은 오만(烏蠻)과 백만(白蠻)으로 나누어져 있었고 기타 민족과도 결합하였다. 따라서 이족 조상은 장기간의 형성과 발전을 통하여 윈난성, 쓰촨성, 구이저우성과 광시좡족자치구 일부 지역에서 활동했으며 핵심지역은 3개성과 연결되는 중심지역이다.(Jin, 2010; Yin, 2012)

이족 역사상 중요한 사회적 특징 중의 하나는 장기간 이어져 온 노예제도이다. 기원전 2세기경 서한(西漢)과 그 이전에 이족 사회는 이미 유목부락과 정착농업부락으로 분화되었다. 동한(東漢)과 위진(魏晉)시대에 계속 수수(叟帥), 이왕(夷王) 등이 분화되었다. 곤명(昆明) 갈래는 이미 원시부락에서 노예점유제도로 완성되었으며 8세기 30년대 몽사조(蒙舍詔)는 6조를 통일하고 윈난성 이족이 각종 상류층을 연합시키고 남조노예제정권을 만들었다. 통치의 중심은 현재의 윈난성 서부 대리(大理) 지역이다. 통치 범위는 현 윈난성 동부, 구이저우성 서부와 쓰촨성 남부까지 대부분의 이족 주요지역이다. 남조(南詔) 노예제 왕조는 장기간 동안 이족 지역을 통치하고 현지의 노예제도 발전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당천부이년(唐天復二年, 902) 과 남조(南詔)의 멸망을 따라 이족의 노예제도도 사라졌다.

이족의 인구는 ‘대분산(大分散), 소취집(小聚集)(Yang & Zhang, 2004)'의 거주 특징을 보이고 있다. 대분산은 중국 쓰촨성, 윈난성, 구이저우성과 광시좡족자치구에 넓게 분산되어 거주하는 현황을 말하며, 소취집은 같은 성이나 자치구에서 분포된 이족이 여러 개의 일정한 지역범위 안에서(시, 구, 현) 거주하는 현황을 말한다. 즉, 대소양산이족은 쓰촨성 안에 양산이족자치주(凉山彝族自治州)에서 살고 있고, 윈난성의 서부 지역에 외산이족회족자치현(巍山彝族回族自治縣)에서 거주하고 있고, 윈난성의 중부 지역에 초웅이족자치주(楚雄彝族自治州)에 거주하고 있다. 이족은 이런 거주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여러 개 지계2)(支系)를 나타난다.

이족은 한장어계(漢藏語系)에 속하는 이어(彝語)를 사용하며 이족의 문자는 음절문자로 3세기에 형성되었다. 한족과 거주하거나 연계가 많은 편이라 한어(漢語)도 할 수 있다(Soh & Kim 2008).

이족은 주로 대량산(大凉山), 운귀고원(雲貴高原), 전동고원(滇東高原)등 산악과 고원지역에 살고 있고, 기후는 주로 고원기후이고 낮과 밤 온도 차이가 큰다.

2. 이족 복식의 기본형과 여성의 발양(髮樣)

남자 기본복식은 대금우임(大襟右衽), 착수상의(窄袖上衣)를 착용하고, 아래에는 장고(長褲)로 바지의 폭이 대"E중"E소로 3종이 있다. 바지부리의 둘레가 넓어서 착용 모습은 치마와 같다. 남자 복식의 가장 독특한 특색은 머리에 매는 '영웅결(英雄結)'이다. 남자의 영웅결은 남, 흑색인 긴 가닥으로써 머리를 싸맬 때 앞쪽에 저울추 모양의 장결(長結)을 하는데 아주 높이 들어올리면 길이는 약 10-13cm정도가 된다.<Fig. 1> 여자 복식은 대금장삼(大襟長衫)과 장고(長褲)나 주름치마를 입었다. 장삼의 앞과 뒤는 흑색이며 소매는 홍색의 좁은 소매인데, 옷깃을 뒤 부분으로 올려 묶어 착용한다.<Fig. 2>

<Fig. 1>

Men's clothing(Firstview, n.d.-a)

<Fig. 2>

Men's clothing(Firstview, n.d.-a)

이족 여성은 일반적으로 15세 때 성인의식을 치른다. 발양(髮樣)은 15세가 되기 전에 머리 뒤의 가운데에 변을 하나만 빗고, 15세 되면 머리의 양쪽을 대칭으로 두 개의 변으로 나눈다. 이족 여성이 변을 하나만 빗거나 두 개를 나누어 빗은 것에 상관없이 머리를 꼭 깔끔하게 빗질해야 한다<Fig. 3, 4>.

<Fig. 3>

Before the age of 15(Su, 2008, p50)

<Fig. 4>

After the age of 15(Su, 2008, p50)


Ⅲ. 이족 여성 두식의 형성 요인

이족 여성의 두식은 이족 역사문명의 발전과정에서 생긴 것이며, 이족의 복식 문화 중에 가장 직관적인, 가장 미학적인 특징을 지닌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WYHACYS, 2006) 이족 여성들에게 두식은 장식품뿐만이 아니라 동시에 여러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족의 역사와 문화 등 여러 방면의 심층연구를 통해, 광범위한 지역 분포와 다양한 명절축제는 이족 여성 두식의 종류가 다양하게 많아 건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이족의 원시종교 신앙과 민간에 전해져 내려오는 신화는 이족 여성 두식에 더욱더 깊은 의의를 부여하였으며, 동시에 이족 여성 두식의 풍속이 완전하게 보존되고 전해서 내려갈 수 있는 주요 원인이라 하겠다.(Zhong, 2008) 따라서 이족의 신앙, 신화전설, 지역분포 및 이족의 명절과 축제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이족여성두식의 형성요인을 찾을 수 있다.

자연 숭배는 가장 오래 되고 현존하고 있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원시 종교로써 사람들이 직접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자연계의 물건과 자연력을 대상으로 숭배하는 것이다. 이족의 자연 숭배는 원시 씨족(氏族)의 가장 중요한 공동 활동과 농업, 축산, 사냥에 관련되어 있으며, 풍작을 기원하고, 계급사회에서 통치자의 중요한 통치 수단(Bai, 2002)이라는 세 가지 큰 특징이 있다. 이족의 자연 숭배 중에서 가장 신성한 것은 하늘에 대한 숭배이다. 앞서 언급한 '중두경각'의 말이 하늘에 대한 숭배에서 유래한 것이며, 이는 머리가 직접 하늘에 직면하지 않도록 두의와 두식을 씀으로써 하늘에 대한 존경을 표현하는 것이다.

토템 숭배는 자연숭배, 귀신숭배, 조상숭배가 서로 결합한 형태이다(Bai, 2002). 토템 숭배는 자연 숭배가 발전과 심화한 결과로 그 대상이 다양하며, 특히 동물과 식물에 대하여 친족 개념으로 가하여 숭배하는데 사람이 초자연적 초사회적인 세력을 상상하면서 나타난 것이다. 조상 숭배는 이족 종교숭배의 핵심이다(Bai, 2002). 조상숭배는 자기의 혈족인 조상에 대한 숭배로, 토템숭배 단계에는 사람이 생산성이 낮기 때문에 동물, 식물이 사람보다 상위에 있고 사람을 보호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토템 숭배 단계에서 조상 숭배로 발전된 과정은 생산력의 발달, 사회의 진보, 인간의 지식 발전의 산물이다. 이러한 숭배 문화의 배경 때문에 이족 여성 두식에서는 두식의 외형이나 두식의 모양에서는 동물과 신물을 많이 볼 수 있다.

이족에게 널리 전해진 신화와 전설에 영향을 받아 형성된 두식이 있다. 이족 여성의 두식에 관한 신화 및 전설은 여러 가지 있지만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것이 5개가 있다. ① 연잎모의 유래에 관한 전설이 있다. 고대에 영웅 지격아로(支格阿魯)3)가 있었다. 그는 농장에서 경작하고 있는 남자에게 ‘당신은 오늘 얼마나 토지를 갈았느냐?’고 질문을 하였는데 남자는 대답을 하지 못하였다. 다음날 남자는 지격아로에게 ‘당신의 말이 오늘 몇 보를 걸었냐?’고 질문하였다. 지격아로는 남자의 아내가 답을 가르쳐준 것을 알고 그 여인의 지혜에 감탄하여 연잎모를 선물하였다. 여인은 연잎모를 쓰니 더 아름다워 보였고, 여자들은 그 여인을 따라 연잎모를 만들어 쓰기 시작했다고 한다. 전설에 따르면, 지격아로는 여자의 지혜를 막기 위해 연잎모를 선물한 것이었다고 하지만, 연잎모가 여인의 지혜를 막지 못하고 이족 여자의 예쁜 머리장식이 되었다고 한다.(Luo& Wu, 2012) ② 계관모에 관한 전설이 있다. 옛날 한 연인이 있었다. 여자는 예쁘고, 남자는 용감하였는데, 이는 마왕의 질투를 초래하였다. 마왕은 남자를 큰 돌로 둔갑시켰고, 여자랑 결혼하려 하였다. 여자는 마왕이 수탉을 무서워하는 것을 발견하고 수탉을 안고숲으로 갔다. 수탉이 울면서 남자는 사람으로 변하였고, 남자와 여자는 결혼해서 행복하게 살았다. 수탉이 마왕을 쫓아버릴 수 있는 것을 이족 살매인(撒梅人)4)에서 전하여 여자들은 계관모를 머리에 쓰고 영원히 자기를 보호하기 바랐다. ③ 서산(西山) 지역의 이족여성은 포두(包頭)를 착용하는데, 전설에 의하면 당대 남조(南詔)시기부터 유래한 것이다. 당대초기 피라각(皮羅閣)은 전쟁에서 머리에 부상을 입었다. 당대 왕은 명의를 파견 하여 피라각을 치료하도록 하였는데, 명의는 피라각에 대한 존경을 표하기 위해 정교한 비단으로 피라각의 머리를 싸매었다. 치료 후, 피라각의 머리는 다시 아프지 않았고 전쟁에서도 이겼다. 육조(六詔)를 통일한 후 남조국(南詔國)을 건국하였고, 피라각은 이를 기념하기 위해 남조국 국민들은 비단으로 머리를 싸야 한다고 명을 내렸다. 이 습관이 현재까지 전해져 내려온 것이다(Wang, 2012). ④ 검은색 두건에 관한 전설이 있다. 상고시대에, 련모노조(蓮母老祖)가 말을 탄 남자로부터 한 염소를 구했는데 이는 천신의 원한을 샀다. 천신은 연모로조가 계조화(鷄爪花)를 머리에 꽂는 사실을 알고 반점표범으로 변해 련모로조를 잡아먹을 계획을 하였다. 천신은 이 계획을 산신에게 알려주었고, 산신의 친구인 염소가 연모노조에게 보답하고자 이 위험을 연모노조한테 전달하였다. 련모로조는 계조화를 버리고 검은 색 천으로 머리를 감싸 도망쳤다. 사람들은 검은 색 두건이 련모로조의 가족을 구한 것이라 여겨, 이 후부터 이 검은색 두건이 전승하여 전해져 내려왔다(Zhang, 2009). ⑤ 무지개무늬에 관한 전설은 원래 이름이 아와노츠인 여자가 있었는데 잘생기고 용감한 부다노수와 사랑에 빠진다고 한다. 하지만 토사는 이 둘을 잡아 부다노수를 불로 태우려 하였는데, 아와노츠가 그 불 속으로 뛰어들었다. 둘을 태운 연기가 모여 무지개로 변했다. 토사는 화가 나서 9 개 불을 만들었는데, 이 때 갑자기 바람이 불고 폭우가 쏟아져 토사는 익사했다. 비가 멈추고 하늘에 한 쌍의 무지개가 나타났다. 살니(撒尼) 사람들은 무지개의 진한색은 여자이고 옅은 색은 남자라고 여겼다. 그 후 살니 여자들은 두건에 무지개무늬를 자수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이족이 넓게 분포되어 거주함에 따라, 인접한 소수민족의 영향을 받았다. 지금까지 중국 55개 소수민족 중에서는 포의족, 백족, 이족, 묘족 등 약 30개 소수민족이 중국 서남지역(쓰촨성, 윈난성, 구이저우성과 광시좡족자치구)에서 거주하고 있다. 그 중에서는 대부분 소수민족 남녀가 다두식을 착용하지만 여성두식의 종류와 모양이 특히 뛰어나다. 시간이 지나면서 이족 여성은 자기 고유한 두식 양식을 계속 유지할 뿐만 아니라 다른 소수민족으로부터도 영향을 받았다;

또한, 이족의 고유한 명절 및 축제의 영향이 있다. 이족의 명절과 축제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축제는 5가지로 구분한다. 제사성 축제, 명절성 축제, 기념성 축제, 사교성 축제와 농사성 축제가 있다. 제사성 축제에는 주로 화파절(火把節), 제용절(祭龙節), 제공절(祭宫節), 미지절(密枝節), 제화절(祭火節) 등이 있으며, 그 중 화파절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다. 명절성 축제는 주로 양산 이족의 이력년(彝历年)과 이족의 이월팔(二月八) 등의 명절이 있다. 기념성 축제는 운남초웅(雲南楚雄)의 삽화절(插花節) 등이 있고, 사교성 축제는 주로 운남대요(雲南大姚) 이족의 복장절과 초웅모정(楚雄牟定) 이족의 삼월회(三月會) 등이 있다. 농사성 축제는 주로 대"E소량산 이족의 음력 6월 중순의 전양모절(剪羊毛節), 메밀절(荞菜節), 식수절(植树節) 등이 있다. 쓰촨성 양산 지역의 또 하나의 성대한 축제는 화파절 다음날에 진행되는 미인 선발 대회이다. 현대 이족 여성들은 일상생활에서는 편하게 활동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화려한 두식을 착용하지 않기 때문에 명절 때에는 화려한 두식을 착용함으로써 자신의 수공예 기술과 미적 감각 등을 다른 사람에게 보여주고자 한다. 특히 미인 선발 대회 때에는 젊은 여성들이 하루에도 몇 번씩 여러 벌의 옷을 바꿔 입는데, 이를 통하여 이족 여성들의 꾸밈에 대한 미적 감각을 알 수 있다.


Ⅳ. 이족 여성의 두식

이족 여성의 두식은 발양(髮樣), 두의(頭衣)로 나누어진다. 발양은 머리 모양을 나타내고 두의는 두건(頭巾), 모자, 두파(頭帕)와 기타 머리쓰개를 포함한다(Su, 2008). 또한 두식의 양식(색, 문양, 형태 등)에 따라 이족 내의 신분이나 결혼여부 등의 구분을 나타내기도 하여 이족 두식의 차이는 이족과 분포지역과 지계를 구별할 수 있게 한다.

1. 이족 여성 두식의 유형과 종류

1) 두건(頭巾)

가. 장두건(長頭巾) - 장두건은 보통 40세 이상 되는 기혼 여성이 착용하며, 넓이는 30~40cm이고 앞에 이마부터 뒤의 머리카락이 보이지 않도록 머리를 싸매고 일반적으로 파란 색이나 흑색 면천으로 만들었다. 쓰촨성 양산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들은 장두건을 착용하고 있다.<Fig. 5, 21>

<Fig. 5>

Long scarf(Su, 2008, p. 60)

<Fig. 21>

Sichuan Province Liangshan region(zh.wikipedia.org, 2017, Feb 1)

나. 방두건(方頭巾) - 방두건은 사각형이고, 신분과 나이에 관계가 없이 겨울에는 방한, 여름에는 햇빛 가리기의 기능을 한 실용적인 두식이다.<Fig. 6>

<Fig. 6>

Square scarf(Su, 2008, p. 65)

다. 흑백두건(黑白頭巾) - 흑백두건은 흑색두건과 백색두건을 같이 착용한 것이고, 머리에 매는 방법이 장두건과 유사하지만 색의 순서에 따라서 여성의 나이나 결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미혼 여성은 먼저 백색 천으로 머리를 싸서 흑색 천으로 밖에서 또 한 층을 감싼다. 또는 머리 양쪽에 은제품으로 장식하고 어깨까지 늘어지게 한다. 이렇게 하는것은 포백정흑(包白頂黑)라고 부른다. 기혼여성은 미혼여성과 반대로 하여 포흑정백(包黑頂白)라고 한다. 노인은 바로 2개의 흑색두건을 착용하는데 포흑정흑(包黑頂黑)이라고 한다. 이 두건은 주로 윈난성의 서부지역에서 살고 있는 이족 여성들이 착용하고 있다.<Fig. 7, 23>

<Fig. 7>

Black&white scarf(Firstview, n.d.-c)

<Fig. 23>

Yunnan Province: Western region; North-east region; Central region; South-east region.(zh.wikipedia.org, 2017, Feb 1)

라. 흑색두건 - 흑색두건은 흑색 면으로 만들고 앞에 이마까지 머리카락과 양쪽 귀를 보이지 않도록 머리를 싸서 원판 모양을 만든다. 흑색두건은 주로 윈난성의 서부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일부 여성들이 착용하고 있다.<Fig. 8>

<Fig. 8>

Long black scarf(Zhong, 2008, p. 134)

마. 무지개 두건 - 여자들이 긴 생머리로 높은 상투를 만들고, 상투에서 한 오라기를 남겨야한다. 그리고 '발죽'을 쓴다. 발죽은 약 5cm정도 넓이인 나무로 만드는데말굽형이고 천으로 감싼다. 발죽의 휘어지는 부분이 뒤로 향하게 머리에 쓴다. 한쪽 머리로 발죽을 감싸고, 1m 정도 길이인 액도마(額度磨)라는 천으로 발죽을 감싼다. 하얀 색방울을 매달고, 오채(五彩) 천을 두건 밖에 매고, 삼각형 나비를 앞뒤 하나 씩 매고, 마지막으로 '활결(滑结)'로 감싼다. 이렇게 하여 두건을 단단히 묶고 아무리 흔들어도 흐트러지지 않게 한다. 윈난성 중부지역에서 살고 있는 젊은 여성들이 착용하고 있다.<Fig. 9>

<Fig. 9>

Rainbow scarf(Firstview, n.d.-b)

바. 인(人)자 두건 - 먼저, 앞머리를 두 줄로 나눠서 뒤로 빗어 내린다. 평평하게 만들고 매화모양의 하얀 단추가 장식된 끈으로 머리카락의 언저리 부분에 맨다. 넓이 6cm 백색 천으로 원반을 만들고, 겉면에 같은 폭의 자수 끈으로 묶는다. 이것을 머리위에 덮는다. 미혼 여자의 띠는 머리 뒤에서 앞으로 가는 것이고 머리 앞에서 인(人)자 형으로 이마 위에 고정한다. 그 중에 특히 마가(馬街) 여자의 머리 장식은 매우 정교하다. 길이는 3cm 넘고, 넓이가 6cm 빨간색 천에서 삼각형으로 배열하는 하얀색 단추를 여섯 세트를 꿰맨다. 이 때 은으로 만든 단추도 쓴다. 이 빨간색 끈은 이마에 쓰고 두 개의 꽃무늬 천 오라기를 머리에 단다. 그 다음에 길이 6m, 넓이 6cm인 하얀색 천 오라기로 한 층 씩 감는데 직경이 30cm 넘는다. 또 마지막에 팔각형과 네 개 동그라미로 구성한 무늬가 있는 빨간색 천 오라기로 노란색 테 위를 두른다. 최종적으로 두건의 앞부분은 인(人)자 형태가 되고, 뒤 부분은 목덜미까지 내려온다. 양쪽 끝에는 보리이삭 모양의 장신구를 단다. 구이저우성의 서북부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소수의 이족 여성들이 착용하고 있다. <Fig. 10, 22>

<Fig. 10>

'Human(人)'symbo l scarf(Firstview, n.d.-e)

<Fig. 22>

Guizhou Province North-west region(zh.wikipedia.org, 2017, Feb 1)

2) 모자

가. 연잎모자(荷葉帽) - 연잎모는 이족 언어로

'哦尔(아이)'라고도 한다. 연잎모는 8 조각의 삼각형 청색 천으로 패치워크 식으로 만들어진다. 모자 안에 안감이 여러 층이 있고, 모자 뒷면에 넓이는 4cm, 길이는 15cm의 검형(劍形) 도안이 있다. 도안의 가장자리는 홍· 황· 남·녹색의 자수가 놓여 있다. 모자 가운데는 8개 삼각형으로 이루어진 문양이 있다. 그 위에는 정성껏 만드는 원형의 은으로 만든 패나 천으로 만든 단추가 붙어 있다. 기혼 여성의 연잎모는 가장자리와 뒷면이 올라와 있고, 마치 바람에 불리는 연잎과 같이 생동감이 살아 있다. 노년 여성의 연잎모는 처져 있다. 연잎모는 주로 쓰촨성 양산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기혼 여성들이 착용하고 있다.<Fig. 11>

<Fig. 11>

Lotus leaf hat(Su, 2008, p. 74)

나. 홍위병모자(紅衛兵帽) - 홍위병모는 1950년대 문화 혁명 때에 착용한 군대식 얇은 모자인데 군대에서 사용하는 녹색과 이족이 선호하는 흑, 남색이 서로 겹쳐 이족 여자들이 이 녹색을 받아드릴 수 없어서 진한 짙은 남색으로 대체하였다. 홍위병모자는 일반적인 양산지역의 기혼 여성이 쓰다. <Fig. 12>

<Fig. 12>

The army hat(Firstview, n.d.-f)

다. 계관모(鷄冠帽) - 계관모(鷄冠帽)는 미혼 여자가 착용하는 기본 머리 장식이다. 딱딱한 재질의 천으로 모자의 형태를 만든다. 그리고 두 개의 닭볏 모양의 천 조각을 꿰매어 은포를 끼워 장식하는데한다. 이때 은포로 여러 가지 형태를 배열할 수 있다. 계관모를 쓸 때 변발을 묶거나 머리두건을 쓰고, 계관모를 착용해도 된다. 모자의 앞부분은 위로 솟은 형태이며 길이는 보통 10-15cm이다. 모자의 옆면은 귀까지 내려오고, 귀와 변발은 밖에 보인다. 윈난성의 동남부지역에서 살고 있는 여성이 착용하고 있다.<Fig. 13>

<Fig. 13>

Crest hat(Firstview, n.d.-g)

라. 은포모(銀泡帽) - 은포모는 은관(銀冠)이라고도 한다. 윈난성의 동남부지역에서 살고 있는 여자들이 착용하고 있으며, 모자의 앞부분에는 은장식으로 만든 줄이 박혀있는데, 이는 얼굴을 가린다. 모자의 앞부분은 새 부리 모양이고, 뒷부분은 물고기 꼬리 모양이다. 모자의 꼭대기와 모서리부분은 은포로 여러 개 “T”자 무늬를 만들고, 뒷부분에는 은포로 한자 '福(복), 祿(록), 壽(수), 喜(희)'로 장식한다. <Fig. 14>

<Fig. 14>

Silver bubble cap(Zhong, 2008, p. 116)

마. 어미모(魚尾帽) - 어미모는 외형을 물고기 꼬리 모양으로 만든다. 윈난성의 서부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미혼 여자는 변발을 묶고 머리에 은포로 장식한 어미모를 쓴다.<Fig. 15>

<Fig. 15>

Fishtail hat(Wei, 2006, p. 153)

바. 앵취모(鸚嘴帽) - 앵취모(鸚嘴帽)는 모양이 앵무새 부리 모양과 비슷해서 지어진 이름이다. 윈난성의 중부지역에 살고 있는 일부 여성들이 앵취모를 쓰고 있다. 앵취모는 두 가지 형태가 있는데, 하나는 검은색 천으로 안감을 만들고, 모자 윗부분에는 수(壽)자와 등나무줄기, 봉황 깃털 등 무늬로 수놓는다. 모자의 양쪽에는 봉황깃털, 마영화(馬纓花, Rhododendron delavayi Franch), 나비 등 무늬로 장식되어있다. 모자의 높이 18cm, 길이 31.5cm이다. 다른 하나는 모자 윗부분에는 마영화와 쌍용무늬로 장식되어 있고, 양쪽에 꽃무늬가 있으며, 앞면에는 은색 볼이 있다.<Fig. 16>

<Fig. 16>

Parrot mouth hat(Zhong, 2008, p. 56)

사. 나비모 – 윈난성 중부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젊은 여성이 나비모를 애용한다. 모자 높이는 27cm이고, 모자의 표면에 마영화로 수놓으며 은색 구슬이 가득 장식되어있다. 모자를 쓸 때 빨간색이나 분홍색 실로 단단히 묶어 착용하여야 한다.<Fig. 17>

<Fig. 17>

Butterfly hat(Zhong, 2008, p. 101)

3) 두파(頭帕) 및 기타 머리쓰개

가. 기와 두파(瓦片頭帕) - 두파는 이족 언어로 ‘와발(沃髮)’이라 부르고, 쓰촨성 양산지역만 있는 특별한 두식이다. 장건(長巾)이 한 가지 형태로 반복적으로 접어 만들어진 모양을 말한다. 이는 기와(瓦片)나 파자(帕子)로 불리기도 한다. 두파는 독특한 형태로 발변이나 두건으로 여자 머리 위에 고정시켜 착용한다. 보통 소녀의 두파는 층수가 적은 편이고, 성인 여성의 두파는 층수가 많은 편이다. 두파는 보온 또는 햇빛 가리는 기능이 없으며, 두식의 하나일 뿐이다.<Fig. 18>

<Fig. 18>

Roof tiles head scarf(Firstview, n.d.-h)

나. 선형두대(扇形頭帶) - 선형두대는 홍영 은포모(紅纓銀泡帽)라고도 하며, 윈난성의 동남지역에서 살고 있는 여성이 착용한 두식의 하나이다. 이 모자는 주로 원기둥 형태이다. 모자의 직경은 4cm 이고 길이는 약 40cm이다. 중간은 가체이고 겉면은 빨간색 천으로 싸여있으며 진주로 감아 장식한다. 모자의 윗부분과 양옆면에는 빨간색 실로 만들어진 구슬로 장식하는데 이는 새의 오색 깃털과도 같다. 이 모자를 착용할 때 실을 머리 위에 고정하고, 양쪽은 귀 뒤에 고정한다.<Fig. 19>

<Fig. 19>

Sector headband(Firstview, n.d.-i)

다. 소보탑두식(小寶塔頭飾) - 변발을 땋아 높게 탑 모양으로 쌓은 뒤, 길이20~30cm, 폭 10~20cm인 검은색 천인 소포두(小包頭)를 머리에 쓴다. 소포두는 이족언어로 미일아(味日阿)라고 부른다. 두식의 앞부분에는 은으로 만든 소보탑(小寶塔)으로 장식하며 소보탑은 이족언어로 정봉(正鳳)이라고 부른다. 소보탑은 큰 것과 작은 것 두 개가 있다. 윗부분에 장식되어 있는 큰 소보탑은 은으로 만들어졌고 노란색으로 되어있는데 중간에 빨간색 보석 하나를 끼워 넣은 형태이다. 밑에 있는 작은 소보탑은 은으로 만들어졌고 녹색으로 되어있는데, 중간에 녹색 보석 하나를 끼워 넣은 형태이다. 머리 윗부분에는 자수로 장식 되어있는 가체로 둘둘 감고 있으며 은제품이 한 줄로 장식되어 있다. 머리 맨 윗부분에는 빨간색 꽃한 송이와 작은 꽃들로 장식하고 은제품이 한 줄로 장식되어 있다. 이 두식은 윈난성의 위산(巍山)지역에 고유한 두식이다.<Fig. 20>

<Fig. 20>

Small pagoda(Wei, 2006, p. 20)

2. 이족 여성 두식의 특징

이족의 두식에 관한 풍습은 전체적으로 자연숭배 중 천신에 대한 숭배로 '중두경각'의 특성으로 형성되었다. 중두경각은 두식을 착용한 풍습의 형성 요인 중 가장 기본적인 요인이다. 그러나 이족 여성의 두식은 지역과 지계, 두식의 유래, 토템숭배나 개인취향 등 여러 가지 원인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다양한 두식양식이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위에 언급한 이족 여성의 두식에서는 장두건, 방두건, 연잎모, 홍위병모자와 기와두파 등은 쓰촨성 양산지역에서 거주한 이족 여성들이 착용하고 있는 두식이다. 흑백두건, 어미모, 소보탑두식은 윈난성 서부지역에서 거주한 이족 여성들이 착용하고 있는 두식이다. 흑백두건은 윈난성 동북부지역의 이족여성만 착용한 두식이다. 계관모, 은포모와 선형두대 등은 윈난성 동남부지역의 이족 여성들이 착용하고 있는 두식이고 인자두건은 구이저우성의 서북부지역에서 거주한 이족 여성들이 착용하고 있는 두식이다. 같은 지역이나 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여성의 결혼 여부, 아이 유무나 연령 등을 구분하기 위해 다른 유형의 두식을 착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미혼 여성이 두파를 쓰고 기혼 여성이 두건이나 모자를 착용하고 있는 것을 통하여, 두식이 결혼의 여부, 연령 등을 알 수 있는 매개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결혼 유무에 따라 반드시 정해진 두식을 착용하는 것은 아니다.

이족의 종교 숭배는 여성 두식 중 여러 가지 외형과 문양이 형성되는 요인이다. 이족의 자연과 토템에 대한 숭배는 여성 두식을 통해서 볼 수 있다. 이족의 각 거주지역 또는 지계는 기본적으로 자연과 토템에 대한 숭배를 가지고 있지만, 그 내용은 각기 다르기 때문에 두식의 형태나 문양은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족여성의 여러 가지 두식에 대하여는 전설 또는 신화가 있다. 이들은 두식의 기원뿐만 아니라 두식을 보존하기 위해 대대로 전한 민간 고사이다. 두식 자체보다 두식에 포함된 의미를 더 중요시하며, 일반적으로 호신부로 여기거나 사랑을 상징하는 의미를 두식에 표현하고 있었다.

두식의 색은 주로 한색계와 난색계로 나뉘는데, 한색계는 검은 색, 백색, 파란 색 위주이고, 난색계는 빨강색, 노란 색과 분홍색이 중심으로 구성되어있다. 일반적으로 중 노년층 여성의 두식은 한색 계를 선호하며, 젊은 여성들은 난색 계를 더 선호하고 난색계의 장신구를 착용한다.

두식의 소재는 주로 기후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기본적으로 면직물을 주로 사용하고, 기온 변화가 뚜렷한 지역에서는 면직물과 보온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양모나 모전을 함께 사용하고 있지만 면직물이 주된 소재임을 알 수 있다.

위에 이족 여성 두식에 관한 내용을 세분하게 정리하면 <Table 1>, <Table 2>, <Table 3>과 같다.

Type and characteristics of scarf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hat

Head scarf and other headdress


Ⅴ. 결론

이족 복식에서 두식은 역사상 아주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른 민족과 제일 구별하기 쉬운 표식이다. 이족은 독특한 사회 규범, 민족 풍습, 심미안 등으로 인해 자신들의 생존환경에 맞게 머리를 장식하고 인체 장식예술이 형성하였다. 이러한 두식은 종합적인 민속 문화라고 할 수 있으며, 인류의 인체 장식예술이지만 복식의 중요한 구성 요소일 뿐만 아니라 이족의 생산 활동 중 자연에 대한 인식, 정복, 개조 등의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것이고, 자연환경, 기후조건, 종교 신앙, 이족의 풍습이 사회나 경제 발전 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객관적으로 두식이 생산된 것이고 각 민족의 생활과 밀접하게 상관되며 다른 민족과 구분되는 상징이 된다.

본 연구는 두식을 종류별로 분류하여 이족 여성 두식의 전체 양식을 보여줄 수는 없지만 이족 여성 두식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두건, 모자와 두파 등 종류에 따라 지금까지 이족들이 많이 착용하고 있는 것을 중심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이족 여성 두식이 형성된 요인을 살펴본 것을 통해서 두식의 특징을 분석한다. 이족의 지역분포, 명절과 축제는 여성 두식의 양식과 문양에게 미친 영향을 준다. 이족의 종교와 신앙은 두식이 일반 장식품으로써 것을 뿐만 아니라 더 많은 의의를 갖게 하였다. 이족 여성 두식은 여성의 신분이나 사회지위를 식별할 수 있는 표지이기도 하다. 소재는 면을 위주로 하고 은으로 만든 장식품이나 털실을 많이 사용한다.

이 연구를 통해서 이족 여성 두식의 유형과 특성에 대해 인식할 수 있었지만 현대에 들어서 변화하고 있는 모습과 함께 더 자세한 이족의 두식과 복식 문화를 연구하려면, 이족 사람들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에서 그들의 문화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고 사회가 개방화되어 사라지고 있는 이족의 복식 문화를 알리고 이족의 복식 문화를 지속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또한, 본 연구를 토대로 향후 한국뿐 아니라 중국에서 이족 외의 중국 소수 민족의 두식에 관한 연구를 기대해본다.

Notes

1) 중두경각(重頭輕脚)이란‘머리의 장식은 중요시하고 발의 장식은 가볍게 보라'는 뜻으로, 중국의 소수민족들이 중두경각에 입각하여 머리나 몸에 하는 장식물에 대하여 옷보다 더 높은 가치로 여기는데서 비롯된 말이다.
2) 지계(支系): 지계는 소수민족은 특유한 같은 한 민족이며 여러 개 방계를 나눠진 것이라고 말한다.
3) 지격아로(支格阿魯): 기이한 탄생과 버려짐, 그리고 귀환이라는 영웅 신화의 전형적인 과정을 지격아루는 잘 보여주고 있다. 그가 몸에 걸친 망토를 휘두르면 바람도 거꾸로 불고 안개는 길을 열어야 했다. 그가 어깨 위에 멘 활은 새와 동물들을 놀라게 했고, 그의 형형한 눈빛은 바위를 뚫을 정도였다. 지격아로는 아무리 혼탁한 물이라도 모두 들여다 볼 수 있는 밝은 눈을 가지고 있었다.
4) 이족의 한 지계이다.

References

  • Bai, X. F., (2002), Yi Cultural History, Yunnan, China, Yunnan Nationalities Publishing house, p81.
  • Black & white scarf, (n.d-c), Retrieved from http://big5.xinhuanet.com/gate/big5/www.yn.xinhua.org/newscenter/2005-12/08/content_5773741.htm.
  • Choi, S. B., & Cho, W. H., (2000), A Comparative Study of Headgear among the Eastern Slavs- Focus on the unmarried and married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0(1), p33-49.
  • Cheng, Y. X., (2010), The research of Yi Headwear Art in Chuxiong, (Master’s degree), Kunmi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Kunming, China.
  • Cho, H. S., (1992), A Study on Minority Costume in Chin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1(18), p81-96.
  • Crest hat, (n.d-g), Retrieved from http://druixing.blog.163.com/blog/static/34305246200842072536128/.
  • Guizhou Province North-west region https://zh.wikipedia.org/wiki/%E8%B4%B5%E5%B7%9E%E7%9C%81#/media/File:China_Guizhou.svg
  • Human(人) symbol scarf, (n.d-e), Retrieved from http://www.dalitravel.cn/templet/def/ShowArticle.jsp?id=122540.
  • Jin, K. C., (2010), Yi Nationality, Changchun, China, Jilin Literature and History Press, p2-10.
  • Kang, S. A., & Cho, W. H., (2015), A Study on Women’s Headgear of Muslim Ethnic Minority in Xinjing Uygu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5(4), p124-136. [https://doi.org/10.7233/jksc.2015.65.4.124]
  • Lee, M. J., (2014), Development of a Bag Design using a Yi tribe's Traditional Patterns: Focusing on the Fabric Pattern Design, (Dept. of Clothing), Graduated School of Gachon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 Luo, Q., & Wu, N, W, Q., (2012), Talk about on the Yi culture, Beijing, China, China Social Sciences Press.
  • Men's clothing, (n.d-a), Retrieved from http://chinaabc.showchina.org/zgwhxl/zgssmzfs/200701/t107236.htm.
  •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15, Sep, 19), http://www.stats.gov.cn/tjsj/pcsj/.
  • Park, C. S., (2001), A Comparatic Study of the Costume Culture between the Northern and the Southern Chinese Nationality, Chungnam journal of human ecology, 14, p1-10.
  • Qie, C. W. N., (2002), The History of Yi Ancient Civilization, Beijing, China, The Ethnic Publishing House.
  • Rainbow scarf, (n.d-d), Retrieved from http://www.nmg.xinhuanet.com/zt/2007-08/06/content_10782304_1.htm.
  • Roof tiles head scarf, (n.d-h), Retrieved from http://www.photofans.cn/album/showpic.php?year=2009&picid=569979.
  • Sector headband, (n.d-i), Retrieved from http://tieba.baidu.com/p/1381108350.
  • Soh, H. O., & Kim, Y. H., (2008), Chinese ethnic minoritiesand doubles, Soul, Republic of Korea, p113-116.
  • Su, X. Y., (2008), After the age of 15 Liangshan Yi Costumes and Technology, Beijing, China, China Textile & Apparel Press, p50.
  • Su, X. Y., (2008), Before the age of 15 Liangshan Yi Costumes and Technology, Beijing, China, China Textile & Apparel Press, p50.
  • Su, X. Y., (2008), Long scarf Liangshan Yi Costumes and Technology, Beijing, China, China Textile & Apparel Press, p60.
  • Su, X. Y., (2008), Square scarf Liangshan Yi Costumes and Technology, Beijing, China, China Textile & Apparel Press, p65.
  • Su, X. Y., (2008), Lotus leaf hat Liangshan Yi Costumes and Technology, Beijing, China, China Textile & Apparel Press, p74.
  • Sichuan Province Liangshan region https://zh.wikipedia.org/wiki/%E5%9B%9B%E5%B7%9D%E7%9C%81#/media/File:China_Sichuan.svg
  • The army hat, (n.d-f), Retrieved from http://www.360doc.com/content/10/1113/14/2920122_69011409.shtml.
  • Weishan Yi and Hui Autonomous County of Yi Society[WYHACYS], (2006), Small pagoda The Yi Nationality Clothes of Weishan, Kunming, China, Yunnan People’s Publishing House, p20.
  • Wang, G, R., (2012), Yi Folk Customs, Nanning, China, Guangxi Ethnic Publishing House.
  • WYHACYS, (2006), Fishtail hat The Yi Nationality Clothes of Weishan, Kunming, China, Yunnan People’s Publishing House, p153.
  • Women's clothing, (n.d-b), Retrieved from http://blog.sina.com.cn/s/blog_76ed975b0100sajc.html.
  • Wang, T. Y., (1990), A Great Chinese Dictionary, Haikou, China, Tricyclic Press, p1280.
  • Yin, G. S., (2012), Costumes of the /ethnic Minorities, Beijing, China, Chemical Industry Press.
  • Yunnan Province: Western region; North-east region; Central region; South-east region. https://zh.wikipedia.org/wiki/%E4%BA%91%E5%8D%97%E7%9C%81#/media/File:China_Yunnan.svg
  • Zhang, Y. X., (2009), Yi folk tales, Kunming, China, Yunnan People's Publishing House.
  • Zhong, S. M., (2008), Parrot mouth hat, The Yi Nationality's Costumes and Ornaments of China, Kunming, China, Yunnan Arts Press, p56.
  • Zhong, S. M., (2008), The Yi Nationality's Costumes and Ornaments of China. Kunming, China, Yunnan Arts Press.
  • Zhong, S. M., (2008), Butterfly hat The Yi Nationality's Costumes and Ornaments of China, Kunming, China, Yunnan Arts Press, p101.
  • Zhong, S. M., (2008), Silver bubble cap The Yi Nationality's Costumes and Ornaments of China, Kunming, China, Yunnan Arts Press, p116.
  • Zhong, S. M., (2008), Long black scarf The Yi Nationality's Costumes and Ornaments of China, Kunming, China, Yunnan Arts Press, p134.

<Fig. 1>

<Fig. 1>
Men's clothing(Firstview, n.d.-a)

<Fig. 2>

<Fig. 2>
Men's clothing(Firstview, n.d.-a)

<Fig. 3>

<Fig. 3>
Before the age of 15(Su, 2008, p50)

<Fig. 4>

<Fig. 4>
After the age of 15(Su, 2008, p50)

<Fig. 5>

<Fig. 5>
Long scarf(Su, 2008, p. 60)

<Fig. 21>

<Fig. 21>
Sichuan Province Liangshan region(zh.wikipedia.org, 2017, Feb 1)

<Fig. 6>

<Fig. 6>
Square scarf(Su, 2008, p. 65)

<Fig. 7>

<Fig. 7>
Black&white scarf(Firstview, n.d.-c)

<Fig. 23>

<Fig. 23>
Yunnan Province: Western region; North-east region; Central region; South-east region.(zh.wikipedia.org, 2017, Feb 1)

<Fig. 8>

<Fig. 8>
Long black scarf(Zhong, 2008, p. 134)

<Fig. 9>

<Fig. 9>
Rainbow scarf(Firstview, n.d.-b)

<Fig. 10>

<Fig. 10>
'Human(人)'symbo l scarf(Firstview, n.d.-e)

<Fig. 22>

<Fig. 22>
Guizhou Province North-west region(zh.wikipedia.org, 2017, Feb 1)

<Fig. 11>

<Fig. 11>
Lotus leaf hat(Su, 2008, p. 74)

<Fig. 12>

<Fig. 12>
The army hat(Firstview, n.d.-f)

<Fig. 13>

<Fig. 13>
Crest hat(Firstview, n.d.-g)

<Fig. 14>

<Fig. 14>
Silver bubble cap(Zhong, 2008, p. 116)

<Fig. 15>

<Fig. 15>
Fishtail hat(Wei, 2006, p. 153)

<Fig. 16>

<Fig. 16>
Parrot mouth hat(Zhong, 2008, p. 56)

<Fig. 17>

<Fig. 17>
Butterfly hat(Zhong, 2008, p. 101)

<Fig. 18>

<Fig. 18>
Roof tiles head scarf(Firstview, n.d.-h)

<Fig. 19>

<Fig. 19>
Sector headband(Firstview, n.d.-i)

<Fig. 20>

<Fig. 20>
Small pagoda(Wei, 2006, p. 20)

<Table 1>

Type and characteristics of scarf

Illustration Area Fabric Color Shape Myth, Legend Others
(Illustrated by Researcher)

<Fig. 5-1>
Long scarf
Sichuan Province-Liang shan region cotton blue, black round - old women or married women

<Fig. 6-1>
Square scarf Sichuan
Province-Liang shan region cotton, wool multicolor triangle - -

<Fig. 7-1>
Black&white scarf
Yunnan Province-Weste rn region cotton blue, black, white irregular quadrangle - with a scarf tied order to distinguish married or not

<Fig. 8-1>
Long black scarf
(back side)
Yunnan Province-North-east region cotton black round Amulet -

<Fig. 9-1>
Rainbow scarf
Yunnan Province-Centr al region cotton multicolor round A symbol of love young girls

<Fig. 10-1>
'Human(人)'
symbol scarf
Guizhou Province-North-west region cotton white, red round - -

<Table 2>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hat

Illustration Area Fabric Color Shape Myth, Legend Others
(Illustrated by Researcher)

<Fig. 11-1>
Lotus leaf hat
Sichuan Province-Liangsh an region cotton blue lotus leaf shape Nature worship, A symbol of wisdom married women

<Fig. 12-1>
The army hat
Sichuan Province-Liangsh an region cotton, wool blue, black round - married women

<Fig. 13-1>
Crest hat
(side face)
Yunnan Provinc-South-east region cotton, silver bubble red, silver combshaped Animal worship, Amulet -

<Fig. 14-1>
Silver bubble cap
(back side)
Yunnan Provinc-Southeast region cotton, silver bubble black, silver round Clifford -

<Fig. 15-1>
Fishtail hat
(side face)
Yunnan Provinc-Western region cotton multicolor fishtail Animal worship, Amulet unmarried women

<Fig. 16-1>
Parrot mouth hat
(side face)
Yunnan Province-Central region cotton, silver bubble red parrotshaped Animal worship -

<Fig. 17-1>
Butterfly hat(plane)
Yunnan Province-Central region cotton, woolen, silver bubble red, blue butterfly shape Animal worship -

<Table 3>

Head scarf and other headdress

Illustration Area Fabric Color Shape Myth, Legend Others
(Illustrated by Researcher)

<Fig. 18-1>
Roof tiles headscarf
Sichuan Province-Lian gshan region cotton, coral beads black, blue tile form Nature worship unmarried women or married women without children

<Fig. 19-1>
Sector headband
Yunnan Provinc-South-east region pompon red sector Nature and Animals worship -

<Fig. 20-1>
Small pagoda
(back side)
Yunnan Provinc-Western region artificial flower multicolor pagoda-shape A symbol of royal descendants identit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