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Articl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ol. 68, No. 1, pp.126-138
ISSN: 1229-6880 (Print) 2287-7827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Jan 2018
Received 23 Nov 2017 Revised 15 Jan 2018 Accepted 24 Jan 2018
DOI: https://doi.org/10.7233/jksc.2018.68.1.126

조선시대 민화(화조도)를 응용한 바디아트제작

이유림 ; 김유승 ; 소황옥+
중앙대학교 디자인학과 박사수료
중앙대학교 패션예술학과 석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패션디자인 전공 교수
The Study of Body Art Using Folk Paintings (Paintings of Flowers and Birds) in the Chosun Dynasty
You Rim Lee ; Yu Seung Kim ; Hwang Oak Soh+
Doctoral course, Dept. of Design, Chung-Ang University
Master Course, Dept. of Design, Chung-Ang University
+Professor, Dept. of Fashion Design, Chung-Ang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Hwang Oak Soh, e-mail: oaksoh@cau.ac.kr

Abstract

In addition to the current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cultural identity to protect culture, there have been continuous efforts to restore and artistically express traditional culture in diverse areas. As practical paintings that enhanced the beauty and emotional vibrancy of ordinary people's lives by representing the traditional culture of our nation, folk paintings are based on the theme of flowers and birds as materials of nature most familiar to humans. These admiring paintings of flowers, trees, grass, insects, and animals on a canvas, depending on seasonal changes, not only contain the shamanistic meanings of people's hopes, but also provide symbolic meaning through the external beauty of numerous flowers and birds as art according to our love of natu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ability of creative works to produce a formative and modern image through pictorial and air-brush techniques in body art production, based on the images of beauty shown in folk paintings of flowers and birds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rough this study, it would therefore be possible to widely inform the traditionality and aesthetic value of folk paintings, and also to practically utilize them in diverse areas.

Keywords:

body art, folk drawing, painting of flowers and birds

키워드:

바디아트, 민화, 화조도

Ⅰ. 서론

1. 연구 목적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다” 라는 말과 같이 오늘날 우리 문화를 지키기 위해 문화에 대한 주체성을 중요시 여기고 다양한 분야에서 전통문화를 복원 및 예술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끊임없는 노력은 계속 진행되고 있다. 그 중 민화는 우리 민족의 전통문화를 대표하며 서민들의 생활을 정서적으로 아름다고 풍요롭게 해주던 실용화로, 인간과 가장 친숙한 자연의 소재인 꽃과 새를 주제로 삼은 작품이다. 사계절의 변화에 따라 꽃, 나무, 풀, 벌레, 짐승에 대한 애정을 화폭에 담았으며 사람들의 소망을 담은 주술적인 의미를 담고 있을 뿐 아니라 자연을 사랑하는 우리의 삶과 일치하는 예술이라고 할 수 있다. Yu(2006)은 기법이나 지식이 묻어나 있지 않아도 정신적 의미와 순수함과 소박함이 담겨져 예술적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민화 속 수많은 꽃들과 새들은 길흉화복을 나타내고 있고 꽃의 의미는 외형적인 미를 통하여 상징적인 의미를 부여 하고 있다고 말하였다. 민화는 전통예술뿐 아니라 패션, 가전, 리빙, 공예, 광고, 디자인 등의 분야에서 재해석하고 활용하는 사례들이 많이 늘어나고 있다. Shim(2012)은 수묵 화훼화의 이해와 작품 표현에 관한 연구를 하였고, Kim(2007)은 민화의 현대적 표현 연구를 하였으며, Park(2004)는 조선후기 민화의 표면적 특성을 이용한 패션 일러스트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그러나 민화 속 화조도의 이미지를 응용한 바디아트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바디아트는 아트메이크업과 여러 표현기술을 필요로 하는 예술성이 결합된 아트라고 볼 수 있다. Lee(2012)는 인간의 인체에 시각적으로 표현 할 수 있는 방법과 작가의 주관적인 감성을 통하여 표현기법, 다양한 소재 및 재료로 작품의 주제를 이미지화 하여 메이크업을 표현하는 예술적인 분야로 정의 하였다. 바디아트를 통해 조형적 표현으로 작품의미를 전달하고 대중과의 교감, 소통을 통해 미적 표현과 예술적 가치를 표현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조선시대 후반 민화 속 화조도가 가지고 있는 미에 대한 의미를 회화적 방법으로 재해석하여 바디아트의 조형적이고 현대적인 이미지로 응용 및 제작함으로써 창조적인 작품의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2. 연구 문제와 방법

본 연구는 단순한 작품재현 표현의 개념보다 조선시대 후반의 민화 속 화조도의 조형양식과 특성 및 예술적 상징성을 분석하고 전통적인 화조도 작품을 바디아트제작을 통해 예술적 조형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작품은 총 4점으로 조선시대 후반기 민화 ‘화조도’ 속 꽃은 연꽃, 매화, 모란, 장미 그 외 학, 원앙, 봉황, 거북이, 물고기, 나비를 모티브로 상징적인 이미지를 선정하여 의미연구와 바디아트작품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목적을 위한 구체적인 연구 내용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시대 민화 중 민화가 가장 성행했던 조선시대 후기의 민화 중심으로 국내외의 전문서적, 인터넷, 선행된 관련 연구 자료를 수집하여 이론적 고찰 및 상징성과 조형성에 대하여 분석한다.

둘째, 바디아트의 정의 및 유형과 바디아트의 제작표현기법에 대하여 분석한다.

셋째, 바디아트의 작품제작을 위해 모티브로 삼은 조선시대 후반기 민화 화조도의 작품 속 가장 많이 표현되어지고 있는 요소들 중 꽃(연꽃, 매화, 모란, 장미), 새(학, 원앙, 봉황), 거북이, 물고기, 나비 등을 대상으로 일러스트 작업을 통하여 디자인을 구체화한다. 19세기 화조도의 전통 미적가치를 기본으로 다양한 소재의 상징적 의미를 분석하고 현대적인 미적가치를 재구성해 총 4점의 바디아트 작품을 제작하였다. 인체상반신 바디모형을 연구 대상의 범위로 정하여 조선 후기 우리 민화를 현대적 회화 기법을 통해 조형화시켜 제작하고자 한다.


Ⅱ. 이론적 배경

1. 조선시대 민화(民畵)

민화는 조선시대 민예적인 그림을 의미하며 실용성과 대중성을 목적으로 상징적 의미를 부여하여 무명화가들이 그린 우리 민족의 고유 정서가 담긴 그림이다. 상층신분의 불쾌감의 표현과 정통회화의 범주에서 벗어났다는 이유로 일명 속화(俗畵)라고 부르기도 하였던 민화 그림은 방랑화가나 서민 화가들의 작품에서 볼 수 있는데 병풍이나 족자, 벽화, 세속, 치레 등의 장식하는 실용화로 사용되었었다. 민화라는 어휘는 일본인 미술 평론가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1889∼1961)가 1929년 3월 일본교토에서 일본 민예품 전람회에서 토속적인 회화라는 의미로 민화라는 명칭을 처음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Yun, 1997). 그 후 ‘공예’라는 월간지 1937년 2월호 에 민중 속에서 태어나고 민중을 위하여 그려지고 민중에 의해서 구입되는 그림을 민화라고 주장하여 그로부터 민화라는 어휘의 명확한 개념을 1959년 월간지 민예 8월호 불사의 한 조선민화(不思議한朝鮮民畵)라는 논문에서 발표하여 인정받았다(Kim, 1977). ‘한얼의 미술’을 시작으로 The Humor of Korea Tiger에서 folk painting이란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한 Cho(1989)는 민예 수집가로 한국의 모든 회화를 순수회화의 실용회화로 분류하여 넓은 의미로는 한화, 좁은 의미로는 실용회화라고 말했다. Kim(1991)은 종교와 민속에 관련된 그림이 민화라고 정의하였고, An(1998)은 실용성이 강한 생활화로 정의하였다. 이렇듯 민화연구가들이 내린 정의를 토대로 보면, 민화는 한국인의 사상과 정서, 미의식, 순수한 고유의 얼이 담긴 한국화로 외래문화에 의한 것이 아니며 선인들의 소박한 삶과 의식구조의 맥을 이어받아 전통의 흐름을 갖춘 회화이다. 한국 민화(民畵)는 방법과 내용에 따라 다르지만 주제, 용도, 상징 등의 분류에 따라 대중성, 해학성, 상징성, 실용성, 다양성, 색채 표현성 등의 특성을 통해 상징적 의미와 추상적인 표현을 부여한 생활화(生活畵)(Han, Gang, Han & Gwon, 2014)로 조선후기 이후 크게 발달되어 현대에 이르러 한국의 전통적인 색채와 문양, 소재는 그 상징적인 요소가 매우 우수하여 전통적인 양식과 변용된 양식으로 현대 작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민화의 소재와 내용은 다음과 같다<Table 1>.

A classified table of Chosun Folk Paintings

2. 민화 화조도

1) 화조도의 개념

민화의 화조화란 꽃과 나무, 새, 동물, 풀벌레, 물고기등 식물과 조류들을 조합하여 그린 그림을 일컫는다. 그리고 이를 주제에 따라 유형별로 다시 나누게 되면 꽃만을 주제로 그린 화훼도(花卉圖), 새와 동물을 주제로 그린 영모도(翎毛圖), 물이나 바위를 배경으로 꽃과 새 등을 주제로 그린 화조도(花鳥圖), 물고기와 해산물을 주제로 그린 어해도(魚蟹圖), 풀벌레와 야생화를 주제로 그린 초충도(草蟲圖), 그리고 과일이나 채소를 주제로 그린 소과도(蔬果圖)로 분류된다(Park, 2014). 이렇듯 화조화는 종류나 수량에 있어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며 아름다운 자연물 속에 꽃과 나비, 새가 어우러져 있는 풍경의 그림은 보는 이로 하여금 행복하고 풍요로운 마음을 갖게 해준다. 화훼도를 대표할 수 있는 인물은 <Fig. 1>의 조선 초기 신사임당(1504-1551년)작품을 들 수 있다. 우리민족의 풍토적인 정서와 한국인만의 미의식을 화풍의 근원으로 반영한 신사임당의 작품은 소박한 소재를 품위 있는 구도와 색채 그리고 섬세함으로 인위적인 것을 거부하고 자연과의 조화를 추구하였다(Gwon, 2004). 조선중기에는 영모화와 화조도가 발달하기 시작하였고 <Fig. 2>의 조지운의 수묵화조화가 서정적 한국화를 대표한다. 초기의 평면적인 공간감과 양식적 특성이 점차 간단한 구도로 주제가 함축되어 표현되어 졌다. 화조도는 꽃과 새가 어우러진 모습을 그려낸 그림을 말하며 넓은 의미로는 새뿐 아니라 네발 달린 짐승 및 곤충, 채소와 과일, 어해 등을 대상으로 한 그림을 말한다. 또 이 모든 것을 화조영모화(花鳥翎毛畵)라고 한다. 한국적인 정서와 서정적인 분위기를 나타낸 <Fig. 3>의 김홍도의 화조도는 실학사상이 대두된 조선후기(약1700-1850)작품으로 정치적 사회적으로 안정되어 문화의 꽃을 피운 시기로 새로운 화풍의 전개로 인해 다양한 변화가 이루어졌다는 것을 볼 수 있다. <Fig. 4>와 같이 조선후기 이후 19세기 화조도는 왕성한 회화 활동과 수요층의 확산으로 다채롭게 변화된 양상을 보이고 구성에 있어 정적인 공간에 생동감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단조로움을 피하는 구도를 볼 수 있다.

<Fig. 1>

Shin Sa Im Dang A Painting of 19C Watermelon field mouse(http://www.museum.go.kr)

<Fig. 2>

Jo Ji Woon A Painting of Japanese Flowers and Birds(http://www.museum.go.kr)

<Fig. 3>

Kim Hong Do A Painting of Flowers and Birds(http://arts.search.naver.com)

<Fig. 4>

Unknown Authorship A Painting of Flower and Birds(www.kdata.or.kr)

2) 화조도의 상징성

꽃과 새의 그림은 전통회화의 중요한 의미 중 하나로 각종 문양과 실용적 도형으로 사용되어 왔다. 이는 동양 심미적인 자연관과 신앙적 소망을 담은 상징물로 인간의 삶에 요구되는 희망과 바람을 꽃과 새, 짐승 등에 의미를 부여하였다(Jang, 2003). 화조도의 주제를 번영, 장수, 부귀, 행복, 다산 등 주술적인 효과와 사랑의 표현, 숭배, 존경, 축하 등을 표현하는 마음의 정표로 아름다운 자연의 풍경뿐 아니라 정신적인 염원을 자연의 여러 가지 의미를 담아 상징적으로 표현하였다(Jeong, 2011).

(1) 꽃(花)의 상징적 의미

민화속의 꽃은 민중의 신앙, 생활양식, 풍속, 관습, 민중문화를 표출한 민속화로 구분 지을 수 있고, 생활화, 실용화로서의 성격을 지닌다(Lee, 1988).

특히 꽃은 자체에 본연의 아름다움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소박한 우리정서와 조화가 잘 이루어져 민화의 소재로 많이 표현되어졌다. 더 아름답게 표현하고자 과장된 경우도 섬세한 표현과 화려함이 더욱 장식적으로 느껴진다(Kim, 1998).

(2) 새(鳥)의 상징적 의미

우리나라의 지리적 특성상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고 국토 절반이상이 산으로 이루어져 다양한 종류의 새 들을 가까운 주변에서 볼 수 있다. 화조도의 나타나는 새는 정다운 모습의 한 쌍으로 부부의 화합과 금술, 가정의 행복을 반영한 그림이다 (Han, 2012).

(3) 꽃(花)과 새(花鳥)의 관계적 의미

꽃과 새의 관계적 의미는 다음 <Table 4> 와 같이 꽃과 새 자체의 상징을 중요시 여기며 의미를 부여했다. 이러한 꽃과 새의 관계적 의미가 상징적으로 표현되어져 더 큰 의미를 나타내었다.

A Symbol of Flowers Signification and Content

A Symbol of Birds Signification and Content

Relational Signification of Flowers and Birds


Ⅲ. 민화(民畵)를 응용한 바디아트(Body Art) 표현기법 및 사례

바디아트의 유래는 인간의 생존을 위한 적이나 짐승으로 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또는 계급사회에 따른 신분표시, 주술적 표현 등을 위한 방법으로 시작되었고 점차 인간의 미적욕구와 현대의 다양한 표현양상들로 인해 오늘날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대표적인 수단으로 새로운 가치관을 가져오게 되었다(Kim, 2002). 이러한 바디아트는 디자인 요소와 원리를 접목하여 주관적 예술 감성을 부여하고 인체라는 캔버스 위에 틀에 박힌 형식과 방법에 구애 없이 메시지와 주제를 전달하는 예술적인 분야이다. 바디아트의 창의적인 디자인을 제작하기 위해서 주제에 맞는 소재 구성을 잘 정립하여 재해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대의 다양한 바디아트 이미지 표현을 위해 여러 기법들이 등장하였고 색상의 다양화와 피부에 무해한 고품질의 재료 발전으로 시각 예술의 예술적 가치를 볼 수 있다. 표현 기법들 중 제일 많이 사용하는 회화적 기법 이외에 에어브러시 기법, 그래픽 표현기법, UV 발광 기법, 오브제(object)기법, 3D 디지털 기법 들이 있다. <Table 5>에서 보면 회화적 기법은 작가의 감성과 이념을 통해 시각화 하여 눈에 보이는 사실적인 부분과 추상적인 부분까지 형상화하여 수성물감과 유성물감을 사용하여 표현한다. 수성물감은 물의 농도를 이용해 표현하며 물에 쉽게 지워지는 것이 장점이나 마르면 균열이 생기는 것이 단점이다. 유성물감은 물 없이 사용하는 것으로 농도가 짙고 수성물감보다 유분이 함유되어 있어 균열은 생기지 않으나 쉽게 묻어나는 단점이 있다(Park, 2016). 오늘날 발전된 기능성과 다채로운 색상과 질감의 물감들이 생산되고 사용되어지고 있어 작가의 의도에 의한 다양한 표현방법이 자유롭게 나타난다. 에어브러시 기법은 수성물감을 컴프레서(compressor)로 압축된 공기를 일정한 압력과 에어브러시 건을 통해 색상의 명도 조절로 표현한다. 에어브러시는 일반 브러시로 작업하는 것에 비해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정교한 그러데이션 표현과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을 필름화 하여 스텐실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작품의 독특한 예술적 가치를 높여 준다. 추상적인 대상을 형상화하여 표현하는 그래픽 표현기법은 추상적인 모티브를 주제로 사실적이고 눈앞에 보는 듯하게 이미지를 나타낸다(Kang, 2011). UV 발광 기법은 수성물감의 한 종류로 일반조명에서는 불투명하게 나타나고 블랙라이트에 의해서 색이 선명한 형광으로 투명하게 발광되어 일반 물감과는 빛의 결합이 다르게 이루어져 나타난다(Kim, 1991). UV 발광물감은 선명한 형광 색상을 가지고 있는 것만큼 작품 표현 시 다른 물감에 비해 생명력과 생동감을 줄 수 있어 작품의 재미와 흥미를 줄 수 있다. 오브제(object)기법은 창의적인 조형적 작품을 표현하기 위해 작품의 디테일과 포인트 되는 이미지를 부각시켜주는 스톤, 비즈, 종이, 플라스틱, 레이스, 깃털, 직물, 반짝이, 꽃 등을 사용한다. 3D 디지털 기법은 새로운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예술의 형태인 디지털 아트의 형태로 2, 3차원 공간인 컴퓨터에 인체와 손으로 그려낸 회화적인 디자인을 결합하여 재구성한 정교한 기법이다. 평면의 한계를 능동적으로 탈피하여 재료의 표현 가치를 살려 입체적이고 공간적인 기법 중의 하나이다(Choi & Nam, 2010).

Body Art Technique of Expression

본 연구에서 화조도를 응용한 바디아트의 사례는 다음 <Fig. 5><Fig. 6><Fig. 7>과 같다. <Fig. 5>는 화조도의 주제인 꽃과 바위 나무를 바디와 종이에 표현함으로 다양한 채널의 프로세스로 시각적인 예술을 보여준다. <Fig. 6>은 동양적인 색감과 머리장식 연출이 신비함과 몽환적 이미지를 느끼게 해준다. 인체의 곡선과 연결된 평면적인 표현과 선이 새롭게 시각화되어진 작품이다. <Fig. 7>은 사실적인 꽃과 잎, 새의 머리를 해체하여 오브제를 통해 은유적으로 표현함으로 움직이는 인체의 움직임을 통해 시각적 환상성을 표현하고 있다.

<Fig. 5>

Dallae Baewww.insaartcenter.com 2009

<Fig. 6>

Emma Hackhttp://kr.people.com 2016

<Fig. 7>

Daegu International Body Painting Festivalhttp://eczone.tistory.com 2013


Ⅲ. 작품 제작

1. 작품 제작 의도 및 방법

19세기 후 민화는 단순히 감상하고 즐기는 관점이 아니라 우리나라 작가들에 의해서 재구성, 재해석함으로써 현대 미술사에 가능성의 폭을 넓혀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9세기의 화려한 채색의 화조도를 모티브로 원색의 다양한 수용성물감을 사용하였고 기법은 회화적 기법과 에어브러시 기법을 사용하여 바디아트라는 현대미술에서 주관적이고 현대적인 방법으로 표현하였다. 바디아트의 디자인 기획을 일러스트레이션을 통해 모티브를 구체화 한 후 인체상반신 바디모형에 19세기 전통 미적가치를 기본으로 다양한 소재의 상징성을 이해하며 현대적인 미적가치를 재구성해 총 4점의 바디아트 작품을 제작하였다. 본 작품을 통해 바디아트의 다양성과 예술성,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기여하고 우리나라 민화의 고전미가 현대적으로 응용되어 재해석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2. 작품 해설

1) 작품 Ⅰ

작품 Ⅰ은 민화 속 화조도의 상징적 요소인 연꽃과 물총새, 물고기, 거북이를 모티브로 제작하였다. 인간의 기본적이고 원초적인 기원(祈願)의 상징물인 연꽃과 물고기가 함께 그려진 관계적 의미는 일생 동안 재물이 풍부하여 모자랄 때가 없고, 정신적으로 여유로움을 의미하며 금붕어들이 무리지어 헤엄치는 모습은 즐겁고 여유로운 생활을 소망하는 뜻을 의미하고 있다. 물총새와 연꽃의 관계적 의미는 새가 연밥 속의 씨앗을 쪼아 먹는 모습은 연밥 속의 씨앗만큼 많은 아들을 잉태한다는 의미가 있다. 화조도는 좋은 부부 금슬과 자손번식, 또 그 자손들과 행복하게 살기를 바라는 인간의 세속적 욕망을 솔직하게 드러낸 우리 서민들의 미의식이 담겨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작품의 의도는 회화적 기법과 에어브러시 기법을 사용하여 바디모형의 곡선을 따라 연꽃과 연잎 특유의 문양을 표현하고 물과 땅, 잎과 꽃, 물고기와 거북이의 자유로운 모습을 색상의 대비와 역동적인 표현으로 조형적이고 입체적인 표현을 함으로서 현대사회의 인간이 실질적으로 추구하고자 하는 여유로운 삶을 회화적 이미지로 재해석 하였다.

2) 작품 Ⅱ

작품 Ⅱ는 부귀를 상징하는 모란꽃은 십장생의 하나로 영원불멸을 상징하는 괴석이나 새, 짐승 등과 함께 자주 그려졌다. 그 중 괴석은 남자의 남근을 연상시키는 형태로 양(陽)을 뜻하고, 모란은 여자로 음(陰)을 상징하여 남녀 간의 사랑과 교감을 상징한다. 왕이 갖추어야 할 모든 덕목을 다 갖추었다 하여 군왕의 상징인 봉황을 소재로 하는 그림은 봉황의 거소인 오동나무가 항상 함께 등장한다. 본 작품의 의도는 회화적 기법과 에어브러시 기법을 사용하여 부귀와 여자를 상징하는 모란의 고유의 색상을 원색과 흰색을 사용하여 강렬하게 표현하였고 바디의 곡선을 이용하여 여성스럽고 우아한 느낌을 주었다. 석괴는 모란과 대비되는 색을 사용하여 입체적이고 강한 선을 표현하여 남자의 이미지를 부각시켰다. 봉황은 상징적인 의미답게 절도 있고 근엄하게 표현하였고 색상 또한 원색대비로 강하게 채색하여 장식적인 표현을 주었다. 오동나무와 모란, 석괴의 내재적 의미는 현대사회와 남과 여 즉, 인간들로 해석하였고 그것을 배경으로 서로를 바라보고 있는 화려한 봉황의 모습은 서로의 마음과 음양화합 또는 부부화합, 나라의 왕과 국민의 조합의 상징적 의미를 두는 현대의 인간에 내면적인 모습으로 재해석하였다.

Explanation of Study of Body Art Ⅰ

Explanation of Study of Body Art Ⅱ

3) 작품 Ⅲ

작품 Ⅲ의 운치가 빼어나고 격조가 높은 매화는 희망, 재생, 지조를 상징하는 꽃으로 겨울이 채가시기도 전에 봄의 도래를 알리듯 피어나는 꽃이 매화이다. 암수가 서로 다정하게 마주만 보아도 자손이 생기고 품위 또한 일품인 학과 소나무의 관계적 의미는 장수를 상징한다. 우리 민족은 학을 귀하고 상서로운 새로 인식하였을 뿐만 아니라 학과 같은 높고 청아한 경지를 동경하고 이상향으로 생각하여 정통회화에서도 많이 그려졌지만, 민화에서도 서민들의 이러한 염원을 담아 많이 그려졌다(Jo, 1989). 본 작품의 의도는 회화적 기법과 에어브러시 기법을 사용하여 매화의 작지만 강인한 상징적 의미를 표현하기 위해 하늘과 구름 배경을 대비 색으로 사용하여 아름답게 표현하였고 학의 자태에 자연스러움은 바디 라인과 굴곡에 따라 표현하였다. 석괴 역시 매화의 아름다움과 대비되는 색을 사용하여 차가운 느낌을 표현하고 소나무는 자연의 원색을 사용하여 나무와 조화를 이루도록 표현하였다. 푸른 하늘 아래 힘찬 생명력과 재생의 힘의 상징인 매화와 건강과 행복 염원의 상징인 소나무 아래에 학 두 마리는 긴 목을 꼿꼿이 세우고 깃털을 뒤로 뻗으며 서로를 마주하고 있다. 이는 생명력과 건강, 행복의 염원아래 서로를 동경하고 이상향을 생각하는 인간의 모습을 표현하여 재해석하였다.

4) 작품 Ⅳ

작품 Ⅳ의 길상적인 상징의 나비는 화조도의 다른 주제들과 어우러져 사랑, 행복, 기쁨, 부부화합 등의 의미로 미술품이나 민속품, 현대에는 혼수품 등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화조도에서 나비는 색상의 무늬가 화려하여 아름다움을 상징하지만 단독으로 표현되어지기보다 주로 주제가 되는 꽃의 의미를 강조하여 더욱 화려하고 아름답게 보이도록 해준다. 또한 나비의 성장과정을 인간이 태어나서 죽은 후 다시 새로운 존재로 태어나는 불교의 윤회사상과 비유되어 종교적 의미에 재생과 부활을 의미하기도 한다(Lee, 2006). 청춘을 상징하는 장미는 4계절 내내 피는 꽃이라 하여 젊음과 아름다움 또한 평안과 화목을 의미한다. 본 작품의 의도는 회화적 기법과 에어브러시 기법을 사용하여 잎이 큰 장미의 붉고 화려함과 매화의 단아함이 어우러져 조화를 이루고 대비되는 색채를 사용하여 나비의 형태와 움직임을 표현하였다. 땅에는 나비와 꽃이 하나 되어 어우러져 살고 물에는 물고기들이 어우러져 살듯이 혼자의 삶보다 함께 조화를 이루는 인간의 삶을 현대적인 관점의 회화적 방법으로 재해석하였다.

Explanation of Study of Body Art Ⅲ

Explanation of Study of Body Art Ⅳ


Ⅳ. 결론

민화는 조선시대 후기 신분제도의 붕괴와 함께 더욱 발전 하게 된 서민문화의 일부로 가장 대중적이며 한국적이라고 볼 수 있다(Jang, 2003). 그 중 화조도의 수많은 꽃과 새, 자연의 아름다움과 내재적 의미는 주술적 상징성, 아름다운 삶의 승화를 위하여 표현되었다. 즉 화조도의 다양한 주제와 색채의 화려함은 그 시대를 살아온 조상들의 예술적 가치와 미의식을 의미하고 있다. 현 시대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민화의 화조도 이미지를 적용하는 사례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고전 그림으로서의 정체성이 결여된 채 전통성을 지닌 예술소재로 널리 활용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본 연구자는 국내외의 전문서적, 인터넷, 선행된 관련연구 자료 등을 바탕으로 조선시대 민화 속 화조도의 예술적 가치와 정의 및 상징성에 대하여 고찰한 후 모티브 작품 속 가장 많이 표현되어지고 있는 요소들을 대상으로 일러스트 작업을 일차적으로 하고 고전의 상징적 의미를 토대로 회화적 방법을 이용한 바디아트제작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였다. 화조도에 등장하는 꽃 모양의 형태들이 비슷하여 구별이 어려웠으나 꽃잎의 유무와 모양, 색깔 그리고 함께 등장하는 소재와의 관계적 의미를 보면서 확인할 수 있었다. 화조도에 나타나는 꽃과 새의 상징성과 관계적 의미는 매우 다양하고 내적 의미의 전달을 중요하게 생각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작품제작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우리나라 전통 민화의 상징적 의미와 해석을 통해 우리나라 선조의 얼과 정신을 알 수 있고 구도, 형태, 색채, 선 등의 조형적 특성을 통해 바디아트 예술의 현대적인 감성과 유사점도 볼 수 있었다. 둘째, 민화라는 우리나라의 고전미술을 소재로 한 바디아트 제작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제작표현기법에 다양성을 활용하여 창의성과 응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전통 민화의 다양한 상징적 요소들의 의미와 특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연구한다면 바디아트 작품개발에 예술적, 문화적, 학문적 가치 활용도가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바디아트 제작을 회화적인 방법으로만 현대적인 미적가치로 재해석하기에는 제한이 있어 향후 후속 연구에서는 본 연구를 토대로 다양한 방법과 기법들을 사용하여 재해석한 연구들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 화조도를 응용한 바디아트제작을 통하여 창조적인 작품 가능성과 민화의 전통성 및 미적가치를 널리 알리고, 다양한 분야에서 실용적으로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이다.

References

  • An, H. J., (1998), Understanding of korean folk paintings (Folk painting of dreams and love fascination), Seoul, Republic of Korea, Samsung Culture Foundation.
  • A painting of watermelon field mouse of Shin Sa Im Dang, (n.d), Retrieved from http://www.museum.go.kr.
  • A Painting of Japanese Flowers and Birds of Jo Ji Woon, (n.d), Retrieved from http://www.museum.go.kr.
  • A Painting of Flowers and Birds of Kim Hong Do, (n.d), Retrieved from http://arts.earch.naver.com.
  • A Painting of 19C Flower and Birds of Unknown Authorship, (n.d), Retrievedfrom www.kdata.or.kr.
  • Air Brush Technique, (n.d), Retrieved from http://xague.tistory.co.kr.
  • Cho, J. Y., (1989), Korea in the chosun dynasty, Seoul, Republic of Korea, Yegyeong Publications.
  • Choi, I. S., & Nam, Y. H., (2010), A study on functional roles of folk paintingand illustration : With a focus on symbolism by types o folk painting, Journal of Korea Illustrators Association, 24(1), p65-74.
  • Gwon, Y. J., (2004), A modern groping and unfolding in korean cho-chung-do: centered around the writer work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yang University, Daejeon, Republic of Korea.
  • Graphic Technique, (n.d), Retrieved from http://www.flickriver.com.
  • Han, Y. O., Gang, J. J., Han, M. K., & Gwon, K. H., (2014), A study on hair art of peony painting motive on the korean folk painting, Journal of Beauty Art Management, 8(2), p122-132.
  • Jang, Y. J., (2003), , The study of plasticity In chosun flower and bird folk painting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Republicof Korea.
  • Jeong, K. I., (2011), Study of the folk paintings in the late chosun dynasty (Paintings of birds and flowers), Hongik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 Jo, J. L., (1989), The folk painting of korea, Seoul. Republic of Korea, Yegyeong Publications.
  • Kim, H. Y., (1977), Artistic value of folk painting, Seoul, Republic of Korea, Seoul Space Publications.
  • Kim, S. J., & Park, J. Y., (2012), The modern transformation case of birds and flower paintings in the chosun dynasty era folk paintings (Minhwa), Journal of Formative Fine Art, 12(1), p1-13.
  • Kim, S. K., (2002), A study on the art make-up based on surrealism-focus on the creation of body painting work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15(4), p47-56.
  • Kim, G. W., (1991), Airbrush illustrations, Seoul, Republic of Korea, Johyeonga Publications.
  • Kang, H. S., (2011), A study on the image of cubism expressed on the art make-up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Republicof Korea.
  • Kim, Y. H., (1998), Minwha. Gwangju, Republic of Korea, Daewonsa Publications.
  • Kwak, J. Y., (2012), Research on body paint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 Kim, Y. H., (2002), Minwha, Gwangju, Republic of Korea, Daewonsa Publications.
  • Kim, Y. S., (2007), A study on modern expression of minwha (Centering onmy printmaking works), Hongik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 Lee, J. M., (2005), Study on the fashion design applying pictures of butterfly in the korean folk painting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hwa Women’s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 Lee, Y. R., (2006),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folk paintings and pop art :in terms of communication aspect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and Technology, Republic of Korea.
  • Lee, T. H., (1988), Review of the late chosun folk painting, Seoul, Republic of Korea, Monthly Art the July Issue.
  • Lee, K. M., (2012), A study on picasso-cubistic expression of artistic makeu p using photoshop,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 Object Technique, (n.d), Retrieved from http://mulpix.com.
  • Park, G. H., (2014), A study on the materials and symbols of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of flowers and birds, Gyeongju University, Gyeongju, Republic of Korea.
  • Park, K. Y., (2003), The influence of face-painting on regional culture festiv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Republic of Korea.
  • Park, H. S., (2001), A study on the work of body painting which applied the character drawing of folk painting at chosun peri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sung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 Park, K. S., (2013), The study on art makeup using image of floral pictures as a kind of folk painting in the chosun dynas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Daegu, Republic of Korea.
  • Park, S. A., (2004), A study of expression humorous illust in the korean folkpainting, Chosun University, Gwangju, Republic of Korea.
  • Park, L. R., (2016), A study on art make-up using depaysement surrealism: focusing on creating artworks., Chungang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 Picturesque Technique, (n.d), Retrieved from http://www.google.co.kr.
  • Painting in Body of Dallae Bae, (n.d), Retrieved from www.insaartcenter.com.
  • Painting in Body of Emma Hack, (n.d), Retrieved from http://kr.people.com.
  • Shim, Y. K., (2012), The understanding of ink wash painting of flowers and the expression of artworks, Dongguk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 UV Luminous Technique, (n.d), Retrieved from http://www.flickriver.com.
  • Unknown Authorship of Daegu International Body Painting Festival, (n.d), Retrieved from http://eczone.tistory.com.
  • Yun, Y. S., (2006), , Korean art book-korean folk paintings, Seoul, Republic ofKorea, Yegyeong Publications.
  • Yun, Y. S., (1997), Folk tales, Seoul, Republic of Korea, Design House Publications.
  • Yu, J. S., (2006), , A study of unbo kim gi-chang's paintings (The influence of korean folk painting expressd in unbo kim gi-chang's painting and a study on folk painting character), Dongguk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 3D Digital Technique, (n.d), Retrieved from http://www.tvcf.co.kr.

<Fig. 1>

<Fig. 1>
Shin Sa Im Dang A Painting of 19C Watermelon field mouse(http://www.museum.go.kr)

<Fig. 2>

<Fig. 2>
Jo Ji Woon A Painting of Japanese Flowers and Birds(http://www.museum.go.kr)

<Fig. 3>

<Fig. 3>
Kim Hong Do A Painting of Flowers and Birds(http://arts.search.naver.com)

<Fig. 4>

<Fig. 4>
Unknown Authorship A Painting of Flower and Birds(www.kdata.or.kr)

<Fig. 5>

<Fig. 5>
Dallae Baewww.insaartcenter.com 2009

<Fig. 6>

<Fig. 6>
Emma Hackhttp://kr.people.com 2016

<Fig. 7>

<Fig. 7>
Daegu International Body Painting Festivalhttp://eczone.tistory.com 2013

<Table 1>

A classified table of Chosun Folk Paintings

Type Contents
A Painting of Flowers A Painting of Flowers and Branch
A Painting of Flowers and Birds A Painting of Birds or Birds with Animals
A Painting of Ten Traditional
Symbol of longevity
A painting of turtles, pine tree, sun, moon, deer, crane, stone, water and elixir plant in one paper
A Painting of Anecdotes A Painting of Characters with Their Anecdotes
A Painting of Tiger and Magpie A painting of a magpie seat on a pine tree and A tiger is laugh at magpie
A Painting of Fish A painting of fish, crab and seafood
A Painting of Chinese Characters A painting of chinese characters or sentence of chinese characters
A Painting of Custom A painting of custom and life style
A Painting of Hills and Water A painting of landscape, nature scenery

<Table 2>

A Symbol of Flowers Signification and Content

Type Symbol of Signification Content
Lotus Upright, Noble-mindedness, Constancy, Deliver a Baby Boy symbol of the blooming Lotus
(live in the muddy water, but always clean and beautiful without staining in the world)
Peony Prosperity of Country, King of Flower, Wealth, Harmony symbol of wealth If the flowers and leaves are blooming beautifully and richly
Chrysanthemum Endurance, Revival, Good Sign, Longevity symbol of a life that lives alone
Camelia Upright, Prosperity symbol of high values by analogy with human ideal
Japanese Apricot Pure, Noble-mindedness, Wish, Constancy, The Five Virtues Symbolizes the perfection that scents alone in the snow
Bamboo Gentleman, Classical Scholar, Constancy symbol of bamboo is the same as the ideological value of a man who is the completion of Confucian ethics morality
Pine Tree Perennial Youth and Long Life, Longevity symbol of worship and respect because it is an adult of all trees

<Table 3>

A Symbol of Birds Signification and Content

Type Symbol of Signification Content
Rooster Success, An Official Hat Symbol of hopeful start and auspicious
Mandarin Duck Hundred year’s Fellowship Symbol of a devoted couple
Duck Win the First Place in a State Examination Symbol of winning the frist place in a state examination
Crane Pray for a Long Life, Success in Life Symbol of living more than a thousand years old and a leader of dignity bird
Phoenix A King, A Queen Symbol of a king of virtue. In the past dynasty dresses embroidered with phoenix
Pheasant Filial Duty, Married Couple Growing Old Together Symbol of courtesy and filial duty to parents
Magpie Good Sign Symbol of warmth with human and good luck

<Table 4>

Relational Signification of Flowers and Birds

Type Relational Signification
Mandarin Duck and Lotus Symbol of great fortune
Kingfisher and Lotus Fecundity, Pray for begetting a son
Rosster and Peony Symbol of wealth
Phoenix and Royal Foxglove Tree Symbol of Phoenix habitat is Royal foxglove tree
Peacck and Rose Symbol of grow old together with youth
Pheasant and Chrysanthemum Symbol of live in harmony with someone
Crane and Pine Tree Symbol of long to live long

<Table 5>

Body Art Technique of Expression

Body Art Technique of Expression

Picturesque Technique
http://www.google.co.kr/

Air Brush Technique
http://xague.tistory.com

Graphic Technique
http://www.flickriver.com

UV Luminous Technique
http://www.flickriver.com

object Technique
http://mulpix.com

3D Digital Technique
http://www.tvcf.co.kr

<Table 6>

Explanation of Study of Body Art Ⅰ

Subject Lotus, Fish, Turtle, Indian Kingfisher
Illustration Motive Technique of
Expression
Symbolic
Meaning
Picturesque
technique,
air brush
technique
Pleasant
and
relaxed life

<Table 7>

Explanation of Study of Body Art Ⅱ

Subject Phoenix, Royal foxglove tree, An oddly shaped stone
Illustration Motive Technique of
Expression
Symbolic
Meaning
Picturesque
technique,
air brush
technique
Couple unity,
the king's
kingdom and
the people's
union

<Table 8>

Explanation of Study of Body Art Ⅲ

Subject Japanese Apricot Flower, Pine tree, Crane
Illustration Motive Technique of
Expression
Symbolic
Meaning
Picturesque
technique,
air brush
technique
Life and health,
happiness, utopia

<Table 9>

Explanation of Study of Body Art Ⅳ

Subject Rose, Fish, Butterfly
Illustration Motive Technique of
Expression
Symbolic
Meaning
Picturesque
technique,
air brush
technique
Love, happiness,
joy, harmo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