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코로나: 한국 복식 연구와 교육의 향방 제언 : 사회적 폐쇄 직후 미국 학계와 박물관의 대응 및 개방 교육 자료 분석
Abstract
The worldwide rapid transition to digital education in response to the outbreak of COVID-19 foreshadows expansive systematic transformation in the current pedagogical paradigm. Envisaging forthcoming shifts in the field of Korean dress studies that encompasses two subject divisions of Korean dress history and Korean dress constriction, this paper examines (1) the alternative actions taken by the universities, academic associations, and museums in the United States for the three months right after the lockdown in the mid-March, 2020, and (2) the available online resources for this field. The result finds that (1) freely accessible quality educational resources are exponentially increasing, and (2) the dress history education in Western academia is being implemented with close connection with institution, museum, and film and performing arts production. Upon the findings, the author contends that the field of Korean dress studies must grow to serve for a wider audience and meet global needs, and suggests the following groundworks: technical enhancement of e-learning tools; originality in curriculum contents; a pedagogical transition to build skills in solving real-world problems, teamwork and collaboration; global professional network bridging classrooms and community.
Keywords:
future education, Korean dress construction, Korean dress history, Korean dress studies, Post COVID-19키워드:
미래 교육, 한복 구성, 한국 복식사, 한국 복식 연구, 포스트 코로나Ⅰ. 서론
이 글은 코로나 19로 변모하는 교육 현실을 인식하고, 대학, 학회, 박물관의 대처 방향을 모색함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 복식사와 한복 구성을 아우르는 한국 복식 분야를 중점으로 고찰하지만, 복식사 전반과 타 의류학 분야에도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지난 20년간 한국 복식사와 한복 구성 분야의 학문적 궤적은 복식학 내의 다른 분야와 다소 다른 상황을 겪어왔다. 국내 대학의 관련 학과에서 한국 복식을 담당할 전임 교원은 시간강사로 대체되고, 기존의 한국 복식사와 한복 구성관련 교과목은 축소, 폐지되는 경우도 생겨났다. 이러한 현실은 대학에서의 한국 복식 연구와 교육이 어떻게 존립하도록 해야 하는가, 또 연구 성과는 사회에 어떻게 이바지하도록 연결할 것인가에 대한 구체 방법을 모색하게 한다. 그런 가운데 코로나 19의 발발이 가져온 “국경 없는 온라인 교육환경”은 오히려 한국 복식 연구 분야가 가진 특수성이 국제적 경쟁력이 될 수도 있는 상황을 제공하였다. 이에 한국 복식 연구의 학문적 의의를 교육 세계화의 환경에서 조명하고, 현실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연구와 교육의 향방을 논의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2020년 3월 15일을 전후하여 미국에서는 코로나 19의 확산을 저지하기 위한 전면적인 사회적 폐쇄 조치가 내려졌다. 이에 미국 내 대학, 학회, 박물관이 즉각적으로 가상공간이라는 대안을 통해 교육의 수요자와 소통한 양상과 그 긍정적 효과를 연구자가 목격하면서, 사례들을 기록하여 추후 변화에 도움이 될 자료로 제공하고자 이 연구는 출발하였고, 6월 중순에 마무리하였다. 이하에 전개될 연구 문제는 두 가지이다. 첫째, 사회적 폐쇄 명령 이후 초기의 3개월간 미국의 대학, 학회, 박물관이 채택한 대안들을 검토한다. 여기에서 발견된 동향과 대안들이 가져온 장점은 온라인 영역이 확대될 미래 교육 환경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한국 복식사와 한복 구성에 관련된 온라인 개방 교육 자료의 현황을 알아본다. 동시에 최근 십 수년간 영미권에서 제작된 서양 복식사 관련 온라인 교육 자료를 분석하여 복식사와 복식 구성 학문 분야의 성과가 실무에 이바지할 수 있는 방법적 모델을 살핀다. 이상의 검토로 첫째, 교육의 수요자, 콘텐츠, 제공 방식 등의 교육환경이 빠르고 근본적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주지한다. 둘째, 새로이 창출되어가는 글로벌 온라인 교육 환경에서의 한국 복식사와 한복 구성 분야의 학문적 수요를 새롭게 조명하고, 셋째, 대학과 학회, 박물관이 연계된 교육과 연구 현장의 변화를 위한 구체적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Ⅱ. 사회적 폐쇄: 미국 대학, 학회, 박물관의 대응 사례
1. 복식사 수업
복식사의 경우 줌 웨비나(Zoom Webinar), 시스코 웹엑스 미팅(Cisco Webex Meeting) 등의 프로그램이 이용되었다. 이용자 대부분에게 온라인 강의의 한계와 대면 강의의 혜택을 절감한 경험이 되었겠지만, 의외로 온라인 강의가 주는 편리와 부분적인 강점도 발견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미팅의 호스트가 강의 내용을 저장하여 학생들이 언제든 재생해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빠르게 진행되는 일회성의 오프라인 수업에서 노트 필기와 수강내용 경청을 동시에 완벽하게 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저장된 수업을 반복해 보면서 수강자는 완전히 이해할 수 있을 때까지 학습할 수 있고, 제시된 사료의 이미지를 자세히 다시 볼 수 있다. 이 점은 기실 코로나 19 이전부터 이미 미국 내 대학에서 효용이 인정되어 쓰이고 있었다. 한 예로 스탠포드 대학에서는 캔버스 교육관리시스템(Canvas Learning Management System)과 연계하여 강의 콘텐츠를 수강자와 쉽게 공유할 수 있게 한 “파놉토(Panopto- a self-capture and self-publishing teaching tool)”이라는 교육 장치를 교수에게 제공한다(Stanford University, n.d.). 강의실에서 진행된 오프라인 강의를 녹화하여 수업 공지 공간에 올리는 조건을 명시한 과목은 이전부터 증가해 왔지만, 코로나 19를 계기로 점점 더 많아질 것이다. 강의를 녹화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녹화된 강의를 수강생이 다시 보기를 할 수 있도록 개방한 강의를 맡은 강사로서는 더욱 충실한 강의 준비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그러한 강의의 개설 수는 대학 경쟁력의 지표로 활용된다.
이와 별도로 외부 전문가 초청 특강을 통해 다양한 배움의 기회를 제공하는 대학 부설 연구소의 프로그램은 콘텐츠를 홈페이지, 뉴스레터, 동영상 공유 채널에 공개함으로써 기관의 인지도를 높이고 온라인 커뮤니티와 소통을 고양하고자 노력했다. 이 경우 이미지 및 내용의 저작권에 따르는 법적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각 대학에서는 공개 강의 콘텐츠의 저작권 지침을 마련하고 있다(American University School of Communication Center for Social Media, 2009; Stanford University, 2017).
2. 복식 구성 실습
복식 구성 실습 강의의 온라인 진행은 모두에게 곤혹스러운 경험이지만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수밖에 없었다. 여기서는 문제 해결을 위해 어떤 노력이 있었는지에 대해 중점적으로 보겠다. 학교 실습실에 비치된 공용의 기자재-바디폼, 재봉틀, 다리미대, 다리미 등-를 이용할 수 없어서 개인이 각자 마련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고, 학교의 비품을 대여할 경우 고장, 사고의 위험에 대한 대비책이 마련되어야 하였다. 강사는 기존의 강의실 공간에서 진행했던 시간에 비해 학생들의 진행 상황 체크, 작업의 수정 등에 월등히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주목되는 것은 이러한 문제를 논의하고 해결책을 구하고자 전문가들이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한 점이다. 그 중의 하나가 미국 복식학회에서 회원 간의 전문 정보력을 연결, 공유, 활용하는 방안으로 2018년 하반부터 운영해 온 “커뮤니티 포럼”이었다(Costume Society of America [CSA], n.d.-a). 로욜라 매리마운트 대학(Loyola Marymount University) 극 의상 디자인학과(Department of Costume Design)의 리온 위버스 교수가 이에 첫 포문을 열었는데 그가 제기한 질문을 비롯, 이에 대한 연쇄 응답 내용을 정리하여 운영자의 허락을 받고 이 글에 공유한다.
그가 구성 수업의 온라인 실시와 관련하여 구한 조언 내용은 “(1)4시간으로 주어진 실습 시간 내내 온라인으로 지침을 주는 강의가 가능한가? 어떤 시간 안배와 노하우가 효과적인가? (2)수행과제를 잘게 나누어 설명할 경우 강사가 첫 데모를 보여준 후 학생들의 진행 상황을 어떻게 개인적으로 모니터할 수 있는가? 얼만큼의 동기시간(synchronous time: 온라인에 함께하는 시간)과 비동기시간(asynchronous time: 온라인에 함께하지 않는 시간)을 가지는 것이 적절한가?”였다. 이에 사우스 오레건 대학(South Oregon University)의 로리 커럿츠 교수는 자신이 지난 5년간 자신의 유튜브(YouTube) 채널에 올린 57개의 지도 영상(tutorial video-2020년 5월 12일 기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그 영상들은 가정용 재봉틀 및 공업용 다리미 사용방법, 치수 재는 법, 각종 평면재단 활용디자인, 입체재단법(Draping), 모델 피팅(Fitting) 방법, 재킷 구성법 등을 다룬 것들이었다. 영상들의 길이는 3분 36초부터 22분 21초에 이르는 범주에 있다(Kurutz, 2013). 낸시 버지니아 마틴 교수는 “5-6주 동안의 온라인으로 평면재단 패턴 메이킹과 구성 수업을 한 경험을 통해 제약과 동시에 장점도 발견하였다”고 하면서 “오히려 이 방법을 통해 더욱 역동적인 교수법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보았다”고 평가하였다. 그가 꼽은 장점으로는 “학생들이 개별적으로 자신의 진도에 맞게 진행을 조절할 수 있고, 필요한 때에 필요한 만큼 강사와 체크가 가능하다는 점, 다양하게 발전한 소통의 기술들, 예를 들어 포럼, 투표, 브레이크아웃 룸 등을 서로에게 맞는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점 등이었다. 아울러 “과제 채점, 재봉틀 고장과 같은 기술적 문제가 발생했을 때 해결이 쉽지 않은 점” 등의 어려움도 함께 지적했다. 알리사 크리스티나 오피신스키 교수는 페이스북(Facebook) 내 의상교육 전문가 그룹(Costume Educators Forum, 2017)을 소개하고 그 그룹 내에서 있었던 주요 쟁점 논의를 공유했다. 그 내용은 “(1)학교 재봉틀을 집으로 가져가서 사용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와 대책, (2)학생들의 기계사용의 미숙으로 인한 고장을 어떻게 원격으로 해결해줄 수 있으며, 수리가 어려운 상황이라면 여분의 재봉틀을 보내줄 수는 있는가? 이에 따른 비용 부담은 어떻게 되는가?” 등이다. 이에 클레어 쉐퍼 교수는 그러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이 담겨있는 자신의 저서 The Complete Book of Sewing Shortcuts(1981)와 Sewing for the Apparel Industry(2014) 두 권을 소개했다. 사라 앤드류스-콜리에 교수는 학생 개개인의 진전 상황 체크에 소요되는 시간 때문에 대면 수업보다 온라인 수업이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기기 고장이나 사고를 대비한 부수 비용의 별도 책정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아브라 플로어스 교수는 어떻게 진행될 지 불확실한 가을 학기 수업 “극 의상 기술(Costume Technologies)” 16주 강의안을 “(1)정상 대면 수업, (2)사회적 거리두기를 적용한 대면 수업과 온라인 수업을 병행한 하이브리드 수업, (3)전면 온라인 수업의 세 경우”로 나누어 생각해 본 내용을 공유했다. 독일 남부의 한 사립 패션 학교에서 가르치는 실비아 페이셔 교수는 “쉐퍼 교수의 저서가 도움이 되는 것이 사실이지만 학생들이 학습하는 방식이 다양하므로 기기 사용 문제 해결에 관한 영상 자료를 함께 제시하여 보완할 수 있으며, 유튜브 영상 자료를 참고하도록 추천하는 것도 좋지만 강사가 직접 나오는 영상이 상호 친밀감을 고양시켜 학습에 효과적”이라는 점 등을 부연했다. 또 오피신스크 교수는 페이스 북 내 의상 교육 전문가 그룹 공간에 2008년에 설립된 온라인 패션대학(University of Fashion[UoF], n.d.)의 존재를 소개했다. UoF는 다양한 패션 분야에 저명한 교수와 업체 전문가에 의해 만들어진 500개 이상의 비디오 강의를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많은 대학들이 UoF의 자료를 구독하고 있다고 했다(Opishinski, 2020; Wiebers et al., 2020).
이상 다소 장황한 내용을 그대로 공개한 이유는 학회 회원이면 누구나 전문적 도움을 청하고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소통의 공간이 학회 내에 마련되어 있는 점을 부각하기 위함이다. 이 공간은 코로나 19시대에 더욱 효용을 발휘했다.
봄 학기가 끝난 6월 17일, 사우스 오레건 대학의 총장 린다 숏은 커럿츠 교수의 온라인 코르셋 제작 수업을 참관한 평을 대학 블로그에 올렸다. 이 글은 처음 경험하는 어려운 환경에서 온라인 실습수업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 커럿츠 교수가 어떠한 다양한 측면에서의 노력을 기울였는가를 상세히 조명하였다. 커럿츠 교수는 14명의 수강생 각자에게 필요한 첫 실습 비품을 준비하여 학생이 거주하는 곳으로 우편 배달하였고, 가까운 거리에 거주하는 학생들은 시간대를 달리하여 실습 준비물을 수령했다. 수업 진행에 따라 필요한 실습 물품은 계속해서 교수가 준비해서 비슷한 방법으로 조달하였다. 숏 총장은 이 새로운 방식(“the new norm”)의 성공적 실현에 가장 중추적인 요건으로 커럿츠 교수의 “지속적 업데이트”와 “학생과의 의사소통 기술”을 꼽았다. 준비물 조달뿐 아니라 이해에 필요한 다양한 링크, 지도 영상(video tutorials)과 파워포인트 자료를 제공하였고, 언제든 학생들의 질문에 응답할 수 있는 기술적 준비가 되어 있었고, 인내심으로 학생들의 질문에 응했으며, 학생과의 의사소통과 진행 상황 체크는 필요 이상으로 수행했다(the necessity of “over-communication”)고 언급했다(Schott, 2020). 숏 총장의 글에 팬데믹 시대의 온라인 복식 제작 실습 강의의 모델을 통해 필요한 교육 전략 요건이 제시되었다 하겠다. 또 주목되는 내용은 “코르셋 만들기” 과목에서 단순히 코르셋을 만드는 것뿐 아니라 “코르셋”의 착용이 여성에게 어떤 힘을 부여하였는지 복식사적으로 의미를 추적하고, 현대 패션에서 응용된 코르셋의 의미와 힘에 대한 논의도 함께 진행한 점이다. 이러한 교수법은 한복 구성 수업에도 적용할 수 있는 측면이라 사료된다.
3. 학술대회
미국 복식학회(Costume Society of America)는 지역별로 6개의 지부로 나누어 평소에는 지부를 중심으로 모여 활동하며 지부가 돌아가며 1년에 한 번열리는 전국적 규모의 학술대회를 주관한다. 2020년에는 중부 대서양 지부(Mid-Atlantic Region)의 주관으로 46번째 연례 학술대회가 “Made in New York”이라는 주제로 6월 1일부터 7일까지 뉴욕에서 열리기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코로나 19가 급속히 번지면서 학회의 이사진과 학술대회 주관위원회는 6월 초에 열기로 한 학술대회의 취소를 결정하고 3월 14일 전 회원에게 이메일로 공지했다. 행사를 위해 담당 지부가 3년 이상 준비를 해왔기 때문에 주최 측은 의견 수렴을 거쳐 발표자들의 연구를 공유하고 공로상 수상자를 기념할 대안을 마련하여 5월 6일에 공지하였다. 2020 학술대회 웹페이지를 만들어 발표 예정자의 희망에 따라 (1)연구 초록과 연구자 이력 정보, (2)발표 영상을 녹화하여 유튜브에 올린 링크, (3)연구 논문 전문 pdf 파일을 선택적으로 웹페이지에 올려놓을 수 있게 했다. 완비된 심포지움 사이트는 6월 11에 전 회원에게 공지되었다(CSA, 2020).
한편 미국 직물 학회의 학술대회 “숨은 이야기/인간의 삶(Hidden Stories/Human Lives)”은 2020년 10월 14-18일에 메사추세츠 주 보스톤에서 열리기로 되어 있었는데, 코로나 19의 추이를 보면서 회원들의 의견을 수렴할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이메일로 회원의 의견을 조사한 결과에 따라 예정된 학회를 온라인으로 열기로 결정하고 이를 5월 22일에 공지했다. 주최 측은 온라인으로 전환된 만큼 물리적 참석이 불가능했던 회원도 참여할 수 있기를 요망했고, 이것이 전례가 없는 시도인 만큼 온라인 학회의 등록비를 산정하는데 시간이 걸리므로 8월 초에 등록 접수를 받겠다고 했다(이후 등록비는 참가자의 희망과 형편에 따라 $25에서 $150까지 원하는 금액을 이유를 묻지않고 선택할 수 있도록 정하여 공지하였다). 미국 직물 학회는 격년제로 학술대회를 열어왔다. 주최측은 2020년 5일간의 일정으로 계획한 대회를 온라인으로 전환함과 동시에, 공중 보건 상황이 호전될 경우 학회가 열리지 않는 2021년 9월에 회원들이 모여 참가할 수 있는 이틀간의 행사를 계획한다고 하였다. 전문가 네트워킹과 호스팅 지역의 특화된 프로그램 체험, 학회에서 제공하는 워크샵 참여 등 대면 활동의 혜택을 온라인에서는 경험하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했다(Textile Society of America [TSA], 2020a; 2020b).
그 견해는 일리가 있다. 지금까지 학문 분야는 직접 만나 교류하는 활동을 마련해 준 학회를 통해 성장해왔다. 그러나 이 시점에서 경험하게 된 온라인 학회는 여행 경비와 시간을 들이지 않고도 원하는 논문 발표를 듣고 토론 참석이 가능하며 참석자 간의 후속 연결도 가능하기에 실제 더 많은 참석자의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다는 장점을 드러냈다. 코로나 19 이후 학술대회의 운영 방식은 온라인이 주도가 될 가능성이 크며, 오프라인으로 개최가 되더라도 온라인으로도 참여할 수 있는 등록 옵션도 제공하거나, 분야별 소규모의 온라인 학회가 활성화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4. 박물관
회원과 후원자는 미국 박물관 운영에 중추적 존재이다. 박물관으로서는 이들과 소통하고 지속적 연결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폐쇄 기간에도 전문 분야의 고용직은 재택근무를 하면서 원격 프로그램을 신속히 개발하여 고객층에 제공했다. 코로나 19 이전에도 박물관의 웹페이지는 온라인 소장품 검색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고 있었고, 유튜브,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트위터, 핀터레스트, 플리커 등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를 공유해왔다. 이 시기에 기관들은 보유하고 있는 디지털 아카이브를 점검하여 고객에게 제공 가능한 콘텐츠를 확장하고, 고객 층에 지속적으로 창조적 영감을 제공하기 위해 박물관 홈페이지를 “집에서 관람하는 박물관(Museum From Home)”의 공간으로 쇄신했다(de Young Museum, 2020;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MET], 2020; The Museum at FIT, 2020).
이 시기에 제공된 패션 및 복식과 관련한 프로그램 몇 예를 보겠다.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서 제공한 영상 “내부자의 통찰: 이슬람 갑옷의 보존처리(Insider Insights: Conserving a Piece of Islamic Armor)”는 금속 보존처리 전문가 숀 벌레어(Sean Belair)가 만 이천여 개의 새김이 있는 고리를 연결하여 만든 이슬람 사슬 갑옷을 보존처리한 과정을 담았다. 박물관 회원들에게 이메일로 제공함과 동시에 유튜브 채널에도 올려 반복 시청이 가능하도록 했다(The Met, 2020)<Fig. 1>. 격리조치 이후 이 영상은 무한히 재학습할 수 있는 교육 자료로 접근이 가능해진 것이다.
지역 사회의 역사를 담은 의상 콜렉션으로 잘 알려진 시애틀의 역사산업박물관은 의상 소장품에 대한 상세한 뒷이야기를 나누는 “솔기 뒤: 상세한 조명(Behind the Seams: Zoom In on the Details)”이라는 프로그램을 수년간 진행해 왔다. 과거 오프라인 프로그램에서는 20명 내외의 지역의 패션 애호가, 후원자들이 참석하였다. 그러나 5월 8일 금요일 저녁 온라인으로 진행된 프로그램은 전 미국 각지에서 등록한 500명이 열띤 질문과 발전적 견해로 성공적인 성과를 거두었고, 녹화된 프로그램은 다시보기가 가능하도록 했다(Museum of History & Industry [MOHAI], 2020a; 2020b).
뉴욕 주립 대학의 패션 교육기관인 Fashion Institute of Technology [FIT]는 코로나 19 이전에도 특강, 워크샵 등 많은 대면 행사를 주관하여 학생들에게 다양한 배움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코로나 19 이후 모든 대면 행사가 취소되자 학교 측은 이 기간에 실무에서 중진으로 활약하는 졸업생과의 온라인 대담을 담은 “Hue Live”라는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1주일에 한 편씩 내보냈다(FIT, 2020). 이 대학의 박물관(Museum at FIT)은 선구적 아이디어로 세계 패션의 미래에 영감을 주는 전시와 교육 프로그램을 선도해왔다. 그간 운영한 온라인 전시, 팟캐스트, 심포지움 영상 등 양질의 콘텐츠가 구비되어 있었기에 이 기간 중에도 박물관 측은 지속적으로 디지털 콘텐츠를 홍보하며 패션 학도 및 관련 전문가 층과 소통할 수 있었다(The Museum at FIT, 2020). 5월 25일 미네소타주 미니아폴리스에서 발생한 죠지 플로이드(George Floyd)의 죽음 이후 “흑인들의 목숨 소중하다(Black Lives Matters)” 운동이 확산되자 박물관 측은 2016년 12월 6일부터 2017년 5월 16일까지 전시한 Black Fashion Designers 모바일 투어를 한시적으로 제공하며 즉각 동참했다. 이 박물관의 교육 연구부문 학예사 멜리사 마라-알바레즈(Melissa Marra-Alvarez)와 의상 학예사 엘리자베스 웨이(Elizabeth Way)가 사회적 폐쇄 기간 동안의 업무 변화에 대해 인터뷰한 내용은 패셔니스타(FASHIONISTA) 저널에 실렸다(Bauck, 2020).
샌프란시스코 드 영 미술관에는 독립적인 의상 직물 부서(Caroline and H. McCoy Jones Department of Textile Arts)가 있어 14,000여점의 의상 직물 소장품을 관리한다. 이 부서의 후원 조직으로 직물 예술 후원회(Textile Arts Council)가 있어서 미술관의 활동과 연계하여 800여명의 후원회 회원에게 특강, 워크샵, 전문가와 함께 하는 직물 투어 등의 프로그램을 제공해왔다. 대면 행사가 중단된 기간 동안 직물 예술 후원회는 회원들과 연계를 유지하는 방안으로 회원 내의 상호 교류에 착안했다. 회원들의 창작활동에 관한 내용을 접수받아 일주일에 한 번씩 보내지는 이메일 뉴스레터에 실었다. 또 회원 가운데 직물학자 크리스토퍼 버클리(Christopher Buckley)는 자신의 소장품에 대한 지식을 공유하는 영상 “Small Talk Series-Indian Saree와 Kerek Batik”를 만들어 전 회원과 공유했다(Tracing Patterns Foundation, 2020a; 2020b). 결국 이 기간은 비슷한 관심사를 가진 회원들이 서로가 가진 재능과 지식을 교류하고 배우는 기회가 되었는데 이에 대한 반응은 아주 긍정적이었다.
버클리 주립대학 내에 있는 인류학 박물관에서는 제직 문화를 시공간을 넘어 조명한 특별 전시 “Cloth that Stretches: Weaving Community Across Time and Space (2020.2.13-6.21)”가 열리고 있었다(Phoebe A. Hearst Museum of Anthropology, 2020a). 박물관은 문을 닫았지만, 운영팀은 고객층의 의견을 수렴한 최선의 박물관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설문 조사를 진행했다. 관람객과 지속적인 연결을 위한 소셜 미디어의 유용성 조사와 박물관이 다루어 주었으면 하는 지역사회의 이슈와 글로벌 이슈에 대한 조사도 함께 진행했다. 그 의견을 반영하여 4월 15일에는 전시되었던 모든 콘텐츠를 집에서 감상할 수 있도록 PDF로 만들어서 이메일 뉴스레터에 공지했다(Phoebe A. Hearst Museum of Anthropology, 2020b).
산호세 퀼트 직물 박물관(San Jose Museum of Quilts and Textiles)은 여러 면에서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5개의 소기관-현대 퀼트 조합(Modern Quilt Guild), 퀼트 연합(Quilt Alliance), 스튜디오 아트 퀼트 연합(Studio Art Quilt Associates), 표면 디자인 연합(Surface Design Association), 국제 퀼트 연구 센터 및 미술관(International Quilt Study Center & Museum)과 연합하여 “Textile Talks”라는 무료 웨비나 프로그램 운영을 시작했다. 매주 수요일, 직물 예술에 관한 시의적절한 주제로 전문가를 초대해 발표를 듣고, 학예사가 웨비나 참석자의 질문을 정리해 전달하고 답변을 듣는 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프로그램의 시작은 5월 13일, 전 샌프란시스코 미술관의 의상 큐레이터로서 2005년에 아트웨어 전시를 기획했던 멜리사 레벤튼(Melissa Leventon)의 “패션과 반패션: 아트웨어 회고”로 패션 전문가와 애호가의 참여를 이끌었다. 매주 진행되는 프로그램은 박물관의 영상 채널에서 다시 볼 수 있다(San Jose Museum of Quilts & Textiles, 2020).
마지막으로 6월 18일 새인트 루이스의 게이트웨이 코리아 재단에서 기획한 조선의 사상과 복식 변천을 다룬 한국 복식 토크 프로그램 “Dress, Ideology, and Fashion Change in Joseon-Dynasty Korea”를 소개한다<Fig. 2>. 새인트 루이스 미술관의 아시아 미술 학예사 필립 후(Phillip Hu)의 진행으로 워싱턴 D.C.의 죠지 워싱턴 대학 직물 박물관 학예사 리 탈봇(Lee Talbot)이 조선 후기 남녀 복식의 변천과 사회, 경제, 정치적 배경을 다각도에서 논의했다. 미국 전 지역에서 약 60여 명의 전문가가 접속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했다(Gateway Korea Foundation, 2020).
웨비나 형식의 대담이나 강의 외에도 가상 전시 관람(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LACMA], 2020a), 가상 예술가 작업실 방문(Wong, 2019), 손으로 만드는 공예 워크샵(LACMA, 2020b; Phoebe A. Hearst Museum of Anthropology, 2020c) 등 다양한 형태의 온라인 프로그램이 이 시기에 급증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방식의 교육은 시간과 비용을 절대적으로 절약하면서 지역적 한계를 넘어 교육의 기회를 확대시키는 엄청난 전환을 가져오고 있었다.
Ⅲ. 온라인 개방 교육 자료 검토
앞 장에서의 검토는 온라인 상에서의 교육과 학술 활동이 코로나 19을 계기로 확대되면서 국경을 초월한 교육 수요자의 창출에 대한 전망을 제공한다. 한국 복식 분야에서는 학내 수강생 외에도 온라인 교육을 통해 공략할 수 있는 새로운 수요자 층을 상정하고 어떠한 콘텐츠를 어떤 방식으로 제공할 것인가를 연구해야 하는 시점에 와 있다. 이 장에서는 현재 이용이 가능한 한국 복식사와 한복 구성 관련 개방 교육 자료의 현황을 살피고, 영미권에서 제작된 서양 복식사 관련 자료를 분석하여 어떤 점들을 벤치마킹할 수 있는지 알아본다.
1. 한국 복식사 개방 강의
학술연구 정보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전남대학교 김은정 교수의 “한국 복식 문화의 이해”는 로그인을 통해 무료로 학습할 수 있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2013).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 교육원에서 문화재청의 지원을 받아 2015년에 제작한 영상 “삼국시대복식의 특성”, “한국복식의 기원”(원광대학교 최정 교수 강의)도 영상 공유 채널에서 시청이 가능하다(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KNUCH], 2019a; 2019b). K-MOOC에서는 2019년부터 전북대학교 김순영 교수의 “한국복식문화사” 강의를 제공하고 있다(K-MOOC, n.d.). 온라인 강의가 새로운 규범으로 자리 잡는 상황에서 이러한 무료 개방 강의가 각 대학에서 전통적으로 진행해 온 한국 복식사 강의를 대체하는 현실이 절대 오지 않을 것이라고 확신을 할 수 없는 상황이다. 기제작된 온라인 강의는 더 많은 수요자를 확보하기 위해, 전통 방식으로 진행하는 대면 강의는 생존을 위해, 한국 복식사 연구 및 수업 방식은 지속적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한국 복식사 학문이 대학에서 존립해야 하는 의의와 향후 변화의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다음 항에서 영미권에서 제작된 서양 복식사 교육과 실무에 관련된 영상자료를 분석하고자 한다.
2. 서양 복식사 개방 강의 및 시대 복식 재현 영상
뉴욕 림(LIM) 대학 아만다 할리(Amanda Hallay) 교수는 2012년부터 패션사 강좌 채널을 운영해왔다. 이 채널에는 선사 시기부터 21세기 패션까지의 흐름을 망라한 “The Ultimate Fashion History” 시리즈 외에 20세기 패션에 영향을 미친 스타일 아이콘을 조명하는 “20th Century Style Icons” 시리즈, 역사적 가치가 있는 개별 드레스에 담긴 뒷이야기를 알아보는 “That Dress” 시리즈, 영화 속 의상으로 복식사를 읽는 “Fave Film Fashion” 시리즈, 예술 사조와 패션의 연관성을 다룬 “Fashion and Art” 시리즈, 하위문화그룹의 패션을 집중적으로 조명한 “Spotlight” 시리즈, 한 달에 한 번 그 때 그 때 떠오르는 사회적 이슈에 맞추어 관련 주제의 패션을 알아보는 “What We Are Into” 시리즈, 패션 역사상의 주요 디자이너나 스타일을 5분 이내의 프레젠테이션으로 짧게 조명한 “Five Minutes Fashion” 시리즈, 특정 기념일과 관련한 패션 특강-발렌타인(Valentine Special), 할로윈(Halloween Special) 등 무려 195개(2020년 5월 22일 검색 기준)의 강의가 올라와 있으며 시의적절한 새로운 주제의 강의가 지속적으로 제공되고 있다(The Ultimate Fashion History [UFH], 2012). 자택 격리 기간 중인 2020년 4월 20일에는 “격리 영감: 100년간의 ‘가정 내’ 패션(ISOLATION INSPIRATION: 100 Years of ‘At Home’ Fashion)”을 업로드하였다(UFH, 2020)<Fig. 3>. 할리 교수의 강의는 사진과 영상, 텍스트 등 자료를 역동적으로 활용하여 이해에 도움을 준다. 시기별로는 18세기 이후에 집중되어 있는데, 특히 현재 이슈가 되는 문제에 복식사를 맥락에 맞게 조명하여 비판적 사고를 유도하는 점이 탁월하다.
복식사 강의 외에 최근 십 수년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개방 자료는 시대 의상의 제작이나 착용 시연에 관한 동영상이다. 크로우즈 아이 프로덕션(Crow’s Eye Productions)은 영국의 인디 필름제작자 닉 로번(Nic Loven)이 2005년에 설립하여 역사 속 한 시점에서 모델로 삼은 인물의 성장(盛裝) 과정을 재현하는 영상 시리즈 “Getting Dressed”를 제작해왔다(CrowsEyeProductions, 2007). 모델의 메이크업, 의상, 소품, 실내 장식, 배경 등은 철저한 고증을 거쳤으며, 영상에 동반된 의상 착용 해설은 복식사적 지식에 기반하였다. 영상의 독창성과 역사적 정확성은 크로우즈 아이 프러덕션이 내세우는 자부심이다. 지금까지 제작된 영상은 2020년 5월 검색 기준 92개의 동영상이 제공되어 있으며, 연대기적 범주는 14세기부터 20세기까지이다. 서양 복식사 상의 주요 스타일을 짚은 것들이어서 복식사 수업에 여러모로 활용될 수 있다(CrowsEyeProductions, n.d.).
빅토리안 드레스메이커(The Victorian Dressmaker)의 저자 이자벨라 핏처(Izabela Pitcher)가 설립한 프라이어 어타이어 (Prior Attire)는 영국 버킹햄샤이어(Buckinghamshire, UK)에 베이스를 두고 있는 회사로 1999년 이후 박물관, 재현 행사, TV 프로그램, 국가 문화 유산 보존 행사 등을 위한 시대 의상을 제작, 보급하는 서비스를 제공해왔다(Priorattire, n.d.). 2012년 이후 현재까지 96개의 동영상을 공개하였다. 크로우즈 아이 프러덕션에서 제작한 영상과 유사한 형식이나 프라이어 어타이어에서 제공하는 일부 영상에는 각 편에서 다루는 시대 의상의 해설뿐 아니라 제작 과정까지 담겨있다(Priorattire, 2012).
영국의 패션사가(fashion historian) 앰버 부차르트(Amber Butchart)가 진행하는 “제 때의 한 땀(A Stitch in Time)”은 2018년 BBC Four에서 방영된 6개의 에피소드로 구성된 미니시리즈이다(Elizabeth, 2006). 부차르트는 역사 속의 의상에 대해 배경이 된 정치, 문화, 예술의 영역을 넘나드는 심도 있는 분석을 통해 그 뒷 이야기를 들려준다. 복식사가의 통찰력으로 짜임새 있게 구성된 매 에피소드는 당시 복식이 영국 사회와 역사를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를 일깨운다(Butchart, n.d.).
미국 아리조나주 그랜드캐년 대학(Grand Canyon University)의 놀라 여젼(Nola Yergen) 교수는 특수 의상 제작 공급자(costumer)이자 디자이너로 코스튬트렉(CostumeTrek)이라는 회사를 운영하고 있다. 코스플레이가 하나의 문화 현상으로 확산됨에 따라 “한 번에 한 벌의 코스튬에 대해 탐구해 보자(Experiencing the world one costume at a time!)”는 슬로건을 내걸고 특수(특별) 의상(costume)을 제작하고 입히는 과정을 영상으로 제작하여 현재 121개의 영상이 시청 가능하다(CostumeTrek, 2013a; 2013b). 그 중 “르네상스 여왕을 옷 입히다(Dressing a Renaissance Queen)(CostumeTrek, 2019)<Fig. 4>”는 2018년 여성 영화 제작자 축제(Lady Film Makers Festival)에서 심사위원상(Jury Award)을 수상한 것을 비롯 2019년 독립 영화 제작자 발굴 축제(Independent Filmmakers Showcase Film Festival)와 실리콘 비치 영화제(Silicon Beach Film Festival)에 공식 채택되었다(CostumeTrek, n.d.). 복식사와 영상 제작 기술이 만나서 어떻게 효과적인 교육 도구로 이용될 수 있고 또 영화 의상이나 코스플레이 의상 제작에도 활용될 수 있는가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는 자료이다.
아울러 박물관에서 제공하는 교육용 영상도 복식사 수업에 십분 활용된다. 의상연구소(costume institute)가 있는 세계 유수 박물관들은 그들의 의상 소장품에 대해 전시, 심포지움,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해오면서 자료를 온라인에서 공유해왔다. 이들은 체계적 구성으로 제작되어 때로는 실제 전시장에 가서 유물을 실견하며 파악할 수 있는 정보 이상을 제공한다. 전시장에서 유리장 안의 예술품을 육안으로 감상할 때에는 알아낼 수 없었던 사항들, 예를 들어 직물의 직조에 사용된 조직, 자수의 바늘땀, 의복의 세부 구조, 시접 처리 방식, 바느질 마무리 등 숨겨진 요소의 파악은 고해상도 현미경 사진이나 X-ray 분석 등을 제공하는 영상 자료로 학습할 수 있다(Victoria and Albert Museum, 2017)<Fig. 5>.
이상을 검토한 결과 관찰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복식사 교육이 국가, 교육기관, 시간의 경계를 무너뜨리며 무료로 가능해지고 있다. 둘째, 복식사 전문가는 교육 효과를 위한 영상 기술력을 극대로 활용하고 있다. 셋째, 복식사 콘텐츠가 일원화된 연대기적 설명 방식이 아닌 다양한 주제와 관점에서 조명되면서 현재의 이슈와 대화한다. 넷째, 패션 저널리즘, 시대 의상 제작 등 실무에서 필요한 분야와 연결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다섯째, 시대 의상의 제작과 스타일링, 연출의 전과정을 담은 총체적 복식사 다큐멘터리 제작이 늘고 있다. 여기에 복식사 전문가의 해석과 연출력이 주요하게 조명된다. 여섯째, 영상 강의의 분량이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영상 교육 자료가 양적, 질적 진화를 거듭하면서 대학 강의실에서 진행되는 전통적인 교육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다. 교육의 보조 자료라는 쓰임을 넘어서 원하는 분야의 양질의 자가학습(self-taught)이 가능한 환경으로 교육환경을 변화시키고 있다.
이 특징적 변화를 현행 한국 복식사 교육에 비추면, 어떤 부문의 교육에 주력해야 하는지 방향을 잡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세계 어디서든 한국 복식사를 원하면 배울 수 있다는 새로운 수요에 주목하고 국내 수강자뿐 아니라 세계를 상대로 콘텐츠를 개발해야 할 것이다. 국내에서 서양 복식사 연구의 1차 자료는 접근이 어렵지만 한국 복식사 연구의 1차 자료에 대한 접근은 현재로서 세계 어느 나라보다 유리한 위치에 있다. 왕조적 변천에 따른 시대 구분으로 한국 복식사의 자료를 발굴하고 흐름을 체계화한 것이 20세기에 쌓은 업적이었다면 21세기에는 축적된 자료를 주제나 관점에 따라 분절하여 글로벌 시대에 맞게 세계 문명사, 세계 복식사의 현상에 비추어 새롭게 해석하고, 이를 전 세계 전문가들과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에서 세계 복식사 흐름에 자리매김할 수 있는 방향으로 교육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 세계를 상대로 한국 복식사 콘텐츠를 개발한다는 것은 단순한 한국 복식사 지식의 번역이 아니다. 이에는 세계 복식사의 보편적 기초(common ground)에 동참할 수 있는 한국 복식의 특성과 독특하게 구분되는 특성을 객관적으로 논할 수 있는 학문적 교류, 세계 복식사(global fashion history) 담론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사안과 시각에의 업데이트 등이 전제된다.
“다양성(diversity)”과 “포용성(inclusivity)”은 세계화 시대 문화의 키워드로 부상했다. 대학 발전을 위해서도, 패션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도, 기관 내 문화에서, 또 사업 방향으로도 “다양성의 존중과 흡수”는 필수 화두가 되었다. 1990년대 이후 영미권 복식사학계에서는 지금까지 복식사 서술에 서구중심적 시각(Eurocentrism)이 지배적이었음을 비판하고, 이제 보다 포용적이고 보편적인 인류 문명사적 관점에서 복식사를 새로 써야 한다는 움직임이 커가고 있다. 최근 년간에는 탈중심화(decentralization), 탈식민지화(decolonization)하는 복식사 수업 방안의 구체적 논의도 활발하다(Baizerman, Eicher, & Cerny, 1993; Lehnert et al., 2013; Welters & Lillethun, 2018; Cheang & Suterwalla, 2020). 실제 지난 30여년간 세계 패션 산업과 학계가 글로벌화 하면서 복식학은 다양한 인접 학문을 하는 학자들에게 학문적 공통의 관심사가 되어 소홀했던 지역의 복식 문화를 상당부분 조명해왔지만 방대한 지역을 최신 연구 수준으로 아우르기는 아직 부족하다. 그래서 여전히 다양성을 제고 (提高)하는 내용은 복식, 직물, 패션 관련 연구서에 요청되고, 환영받는다(CSA, n.d.-b; Kim, 2019; The Research Collective for Decolonising Fashion [RCDF], 2012; Welters & Lillethun, 2018). 복식학계는 한국 복식사가 자생 학문으로서 세계화하는 지식 시장의 수요에 독창적으로 부응할 수 있는 자원임을 직시하고 국제적 교류와 다양한 분야와의 협업으로 교육 도구를 개발하는 영역을 개척해야 한다. 이것이 글로벌한 시각에서 바라본 한국복식사 학문의 존재 의의이고 앞으로의 연구와 교육이 주력할 방향이다.
3. 한복 구성 개방 자료
한복 만들기에 관한 개방 자료는 꽤 발견된다. 한복진흥센터에서 이화여대 한국복식 연구실과 협업하여 만든 남녀 저고리, 치마, 바지 제작법 영상은 한국어뿐 아니라 영문 자막을 제공한다(Hanbok Advancement Center [HAC], 2016a, 2016b, 2016c, 2016d, 2016e, 2016f, 2016g, 2016h). 구혜자 침선장과의 협업으로 제작한 쌍밀이 단추, 기러기매듭, 잣물리기 등 세부 장식 기법에 대한 영상도 영문 자막과 함께 올라와 있다(HAC, 2016i, 2016j, 2016k).
개인 유튜버들의 한복만들기 영상도 최근 년간 급증했다(DAOL Hanbok, 2018; ManoHanbok, 2019; Tv Ganghong Hanbok, 2014). 한복 리폼 방법을 알려주는 영상도 있고, 생활한복 만들기 DIY (Do It Yourself)에 관한 영상도 여럿 있으며, 철릭원피스를 손쉽게 만들기위한 서양식 패턴도 나와있다(3SIK Fabric, 2019; Ask Everything TV, 2019; Design Class, 2020; Hello Fabric, 2019; SHYDIY, 2020). 이 동영상들을 검토하면, 이제 한복을 만드는 데 전통적인 한복 패턴만 써야 한다는 고정 관념이 사라진 현실을 보게 된다. 한복을 “전통”, “고유한 우리 문화”로 신화적 믿음을 부여하든 않든, 서양복 구성과 한복 구성의 융합은 서양 문물이 이입되던 19세기 후반부터 진행되어 왔고, 21세기에는 더욱 다양한 창의적 상상력으로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그렇다면 대학 강단에서의 한복 구성은 무엇을 가르쳐야 할 것인가? 이 시대에 표준으로 삼을 한복 패턴은 무엇이며, 존재하기는 하는가? 한복 만들기 DIY류의 동영상으로도 따라 배우기가 가능하고 다양한 디자인이 난무하니 이제 이들 영상에서 다루는 디자인, 교습법과 대학 강단의 교수법이 경쟁해야 하는 입장에 있다.
과거의 대학 한복 구성 수업이 정해진 패턴과 제작 방식으로 모든 학생이 같은 스타일의 작품을 만들었다면 이제는 수업을 유연성 있게 운영할 수 밖에 없는 시대적 요구에 직면했다. 학부에서는전통 한복 구성법의 이해 위에 서양 의복 구성법을 적용해 자유자재로 원하는 디자인으로 실현할 줄 아는 능력을 기르고, 대학원에서는 학습한 응용력을 토대로 시대 의상 고증에 필요한 패턴 개발과 제작 과정을 기록한 다큐멘터리 영상을 만드는 방안도 시범적으로 시도할 만하다. 영화 연극 의상 실무자를 초청하여 학과 내 특강을 마련하거나, 공연 프러덕션과 수업을 연계하여 학생들이 제작한 작품을 무대에 올리는 등의 협업 방안도 제안한다. 앞서 언급한 BBC Four에서 제작한 미니시리즈 중 얀 반 아익(Jan van Eyck)이 그린 아놀피니 초상화(The Arnolfini Portrait)에 등장하는 여주인공의 옷을 재현하는 과정을 담은 영상은 이러한 작업에 통찰력을 제공한다<Fig. 6>. 패션사가인 앰버 부차르트(Amber Butchart)는 미술사적 배경 설명과 함께 복식의 재현 과정을 설명하며 시청자를 사로잡는다(Elizabeth, 2018). 한 학기 수업에서 재현할 복식을 선정하는 것부터 학생들의 토론과 참여를 끌어내고, 의상 패턴 개발, 의상 제작, 과정 촬영, 영상 해설까지 분업, 협업을 거치는 총체적 프로젝트를 한복 구성 수업 채널에 학기마다 하나씩 올리는 일을 상정해 보자. 영화 의상 제작 등의 실무에 도움이 될 학술적 의의가 큰 교과목이 될 것이다.
따라서 한복 구성 수업은 “극 의상(theater costume) “시대 의상(period costume) 재현”과 연계하여 “costume으로서의 한국 복식”이라는 영역으로 발전을 모색할 것을 제안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계와 업계, 박물관의 연계가 필요하다. 국립 의상 특화 박물관으로 꼽히는 대구 국립 박물관과 민속박물관, 단국대학교 석주선 기념 박물관, 이화여대 박물관 등에 소중한 복식 유물이 소장되어 있다. 복식학회에서는 해마다 복식전문 큐레이터 과정 강좌를 운영해왔다. 각 기관에서 해 온 노력을 연결할 전문가 네트워킹 구축이 필요한데, 이에 학회의 역할과 리더쉽이 중요하게 요구된다. 미국 복식학회에서 해마다 영화, TV, 공연 예술 분야의 우수 의상상을 수여하는 제도, 학회 회원들에게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발생한 수익으로 격년제로 학생과 의상전문 박물관을 연결하는 인턴쉽 지원 제도 등은 벤치마킹을 고려할만하다(CSA, n.d.-c).
Ⅳ. 결론 및 제언
코로나 19위기는 교육과 연구 체계의 재정비를 위한 대화와 아이디어 혁신의 포문을 열었다. 이 글에서는 “온라인화”, “세계화”하는 교육환경에서 향후 한국 복식 연구와 교육의 방향을 모색을 위해 미국에서 자택격리 명령이 내려진 초기 3개월간 (2020년 3월 중순부터 6월 중순까지) 대학, 학회, 박물관이 대안으로 채택한 방식을 기록,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참고가 될 만한 사항은 (1)복식사 수업의 경우 재생 가능한 강의 콘텐츠의 제공, (2)실습수업의 성공적 요건으로 “지속적인 업데이트”, “학생과의 의사소통 기술”, “수업 이해에 필요한 다양한 링크와 지도 영상, 보조 자료 제공”, “학생들의 진행 상황을 필요 이상으로 체크”, (3)학회 내 온라인 전문가 소통 공간의 효율적 이용, (4)온라인 학술대회 참가비를 획일적으로 정하지 않고 형편에 맞게 선택하도록 범주를 넓힌 점, (5)학술대회는 취소되었으나 학회 홈페이지에 심포지움 사이트를 마련하여 발표 예정자의 연구내용을 공유한 점, (6)박물관 회원과 일반인에게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다양한 영상 교육 자료—무료 대담, 전시 투어 영상, 강의, 워크숍, (7)온라인 프로그램 운영에 졸업생, 기관 내 회원 등 커뮤니티 구성원의 참여를 활용한 점 등이 있었다. 온라인 교육은 반복 시행을 통해 개선, 발전될 것이며, 궁극적으로 미래 실무 전반에 확대될 것으로 전망한다.
또 이 글에서는 한국 복식사와 한복 구성에 관한 개방 영상 강의 현황을 알아보고, 세계화하는 환경에 어떠한 방향의 노력이 필요한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영미권에서 제작된 서양 복식사 교육 영상과 시대 의상 재현 및 착장 시연 영상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영미권에서 제작된 복식 관련 영상 자료들이 내용과 기술 면에서 양적, 질적 진화를 거듭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들이 교육의 보조 자료라는 쓰임을 넘어서 복식학 분야를 양질의 자가학습이 가능한 환경으로 변화시키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었다. 교육 내용의 주제와 프로그램은 “표준화”된 것에서 벗어나 다양하고 도전적이며 학문 내 변화를 주도하거나 반영하는 쪽으로 확대되고 있었다. 복식사도 연대기적 틀에서 벗어나 다양한 주제와 시대적 이슈에 맞추어 재해석되고 재구성되는 경향이 있었다. 한국 복식 연구와 교육은 앞으로 다가올 글로벌 수요에 부응할 수 있도록 이러한 경향을 반영하여 준비해야 할 것이다. 다양성과 포용성을 지향하는 세계복식사 서술에 한국 복식의 위치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세계의 복식사 연구 추세를 파악하고 연구를 연마해야 하며, 온라인 및 오프라인 내에서의 국제 연구 교류도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서양 복식사와 한국 및 동양 복식사를 별개로 보는 시각을 지양하고, 두 영역의 학문적 성과를 교류하여 복식사 해석의 공통된 기반을 찾을 필요가 있다. 그러한 통합적 시각은 우리나라의 20세기와 21세기의 복식사를 이해하고 서술하는데 특히 필요하다. 교과 과정 개편 및 향후 연구에 이러한 통합적 시각을 반영하여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 능력을 배양할 것을 제안한다.
향후 한국 복식 연구와 교육은 역사적으로 존재한 한국 복식을 “dress”의 관점에서 연구하되, “costume”이라는 시각에서도 폭넓게 활용, 발전시켜야 한다. 과거의 생활 속에서 인체를 장식하거나 보호하기 위해 존재한 모든 물질문화를 대상으로 하는 “dress”로서의 한국 복식은 지식 기반으로 학습(knowledge-based learning)하고, 패션 저널리즘, 패션 비평, 전시 기획 등의 실무 분야에 기여하도록 한다. 또 시대극, 재현 행사, 코스플레이 등 특수 의상 개념인 “costume”으로서의 한국 복식의 영역은 한복 구성 분야에서 기술 기반 학습(skill-based learning)으로 진행하여 실무와 연계함으로써 학문적 입지를 굳힐 수 있을 것이다. 효과적인 온라인 학습 도구, 시각 자료의 활용에 최신 영상 제작 기술 접목, 이미지와 콘텐츠의 윤리적 사용, 디지털 환경에서 학생과의 소통 기술과 문제 발생 대처 능력 등에 관한 개발이 변화하는 교육환경에 대처하는데 필요한 요건들이다. 아울러 미래의 인재 양성을 위해 지식 전달 보다는 학생이 참여하여 성과를 창출하는 프로젝트에 기반한 수업(project-based learning)의 시행과 경쟁이 아닌 협업 능력과 기여도에 의한 수업 역량의 평가 도입도 제안한다. 패션 저널리즘, 박물관 큐레이터, 복식 재현 등의 실무에는 역사를 보는 통찰력과 비판적 사고 능력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네트워킹의 중요성이다. 디지털화, 세계화하는 교육환경에서 한국 복식 교육 콘텐츠의 개발과 지속적 업데이트에는 대학, 학회, 박물관의 협업과 전문가의 연합이 주는 혜택이 클 것이다. 강의 콘텐츠의 혁신에 박물관 자료를 십분 활용하고, 학회는 전문가 네트워크를 주도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최하여 교육 기회를 창출하기를 제안한다. 학회는 리더쉽과 발런티어리즘을 강화하여 교육과 실무의 지속적 교량 역할을 할 수 있다. 실무에서 필요로 하는 교육을 개발하고 수강이 인정된 인재를 실무에 투입하도록 시스템 구축, 교육 프로그램에 신진 학자의 참여 유도 등 다양한 활성화 방안이 강구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은 코로나 19로 인해 각 방면에서의 변화가 시작된 시점에서 앞으로의 향방을 살핀 시론적 연구이다. 2020년 6월에 탈고하기까지 초기의 변화를 기록한 내용이 이 글이 발표될 시점에는 이미 세계적인 새 규범으로 자리잡아 너무 당연한 얘기로 들릴 수도 있겠으나, 미증유의 사회적 폐쇄 조치 직후 실시된 대안을 기록하였다는 의의는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국학의 세계화라는 측면에서 한국 복식 연구와 교육의 방향을 고민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References
- 3SIK Fabric. (2019, December 15). Cheollik Dress. Youtu be. Retrieved from https://youtu.be/96CMFCkYSSU
- American University School of Communication Center for Social Media. (2009, October 29). Code of Best Practices in Fair Use for Open Course Ware [PDF document]. American University. Retrieved from http://archive.cmsimpact.org/sites/default/files/10-305-OCW-Oct29.pdf
- Ask Everything TV. (2019, December 12). Hanbok Reform: Old Long Skirt into New Short Skirt [안 입는 한복 리폼, 오래된 한복 치마로 생활한복 허리치마 만들기]. YouTube. Retrieved from https://youtu.be/e-8ChRfiGWM
- Baizerman, S., Eicher, J. B., & Cerny, C. (1993). Eurocentrism in the study of ethnic dress. Dress, 20(1), 19-32. [https://doi.org/10.1179/036121193805298291]
- Bauck, W. (2020, April 28). Can You Curate a Fashion Museum Exhibition from Home?. Fashionista. Retrieved from https://fashionista.com/2020/04/fashion-curators-remote-work-museum-fit
- Butchart, A. (n.d.). Amber Butchart. Broadcasting. Amber Butchart. Retrieved from https://www.amberbutchart.com/media
- Cheang, S. & Suterwalla, S. (2020). Decolonizing the Curriculum? Transformation, Emotion, and Positionality in Teaching. Fashion Theory 24(6), 879-900. [https://doi.org/10.1080/1362704X.2020.1800989]
- Costume Educators Forum. (2017, March 30). Facebook (non-public, open only for qualified members). Retrieved from https://www.facebook.com/groups/costumeeducators/
- Costume Society of America [CSA]. (2020). 2020 Symposium Presentations. Costume Society of America. Retrieved from https://costumesocietyamerica.com/national-symposia/2020-virtual-symposium/
- Costume Society of America [CSA]. (n.d.-a). Communities for the Study of Dress and Fashion. Costume Society of America. Retrieved from https://costumesocietyamerica.com/resources/listserv/
- Costume Society of America [CSA]. (n.d.-b). Overview. Costume Society of America. Retrieved from https://costumesocietyamerica.com/mission/
- Costume Society of America [CSA]. (n.d.-c). Western Region| Student Opportunities. Costume Society of America. Retrieved from https://costumesocietyamerica.com/regions/we_home/scholarships/
- CostumeTrek. (2013a, November 18). Videos. YouTube. Retrieved from https://www.youtube.com/channel/UCez7xDUHTfX-UklDGcc3meg/videos
- CostumeTrek. (2013b, November 18). YouTube. Retrieved from https://www.youtube.com/channel/UCez7xDUHTfX-UklDGcc3meg/about
- CostumeTrek. (2019, April 2). Dressing a Renaissance Queen. YouTube. Retrieved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_3aj2vQbJHU&t=78s
- CostumeTrek. (n.d.). Dressing a Renaissance Queen. CostumeTrek. Retrieved from http://costumetrek.com/dressing-a-renaissance-queen/
- CrowsEyeProductions. (2007, March 19). Videos. YouTube. Retrieved from https://www.youtube.com/user/CrowsEyeProductions
- CrowsEyeProductions. (n.d.). Videos. YouTube. Retrieved from https://www.youtube.com/c/CrowsEyeProductions/videos
- DAOL Hanbok. (2018, October, 9). Videos. YouTube. Retrieved from https://www.youtube.com/channel/UCMxlPYn67vq0-JW3rDMfwWg/videos
- De Young Museum. (2020). #MuseumFromHome. de Young Museum. Retrieved from https://deyoung.famsf.org/museum-from-home
- Design Class. (2020, January 29). [DIY] Upcycling hanbok / how to make / 한복리폼 [Hanbok Reform]. YouTube. Retrieved from https://youtu.be/2wc1J5bdI_w
- Elizabeth. (2006, May 19). Videos. YouTube. Retrieved from https://www.youtube.com/user/smilecat/videos
- Elizabeth. (2018, February 1). A Stitch in Time S01E02 Arnolfini. YouTube. Retrieved from https://youtu.be/-u2RM1odsf4
- Fashion Institute of Technology [FIT]. (2020). Hue Live. Fashion Institute of Technology. Retrieved from https://www.fitnyc.edu/development/events/hue-live/index.php
- Gateway Korea Foundation. (2020). June Webinar- Dress, Ideology, and Fashion Change in Joseon-Dynasty Korea. Gateway Korea Foundation. Retrieved from https://www.gateway-korea.org/webinar
- Hanbok Advancement Center [HAC]. (2016a. October 17). Hanbok Construction: Women’s Jeogori (Korean Subtitle). YouTube. Retrieved from https://youtu.be/uzFujXH6gwQ
- Hanbok Advancement Center [HAC]. (2016b. October 18). HANBOK: How to make a Jeogori for Women (English Subtitle). YouTube. Retrieved from https://youtu.be/Ki84X3z-alI
- Hanbok Advancement Center [HAC]. (2016c. October 17). Hanbok Construction: Men’s Jeogori (Korean Subtitle). YouTube. Retrieved from https://youtu.be/NyZIjQfm6Go
- Hanbok Advancement Center [HAC]. (2016d. October 17). HANBOK: How to make a Jeogori for Men (English Subtitle). YouTube. Retrieved from https://youtu.be/m41th_AfNoM
- Hanbok Advancement Center [HAC]. (2016e. October 18). Hanbok Construction: Chima (Korean Subtitle). YouTube. Retrieved from https://youtu.be/FXoBpWcxFdQ
- Hanbok Advancement Center [HAC]. (2016f. October 18). HANBOK: How to make a Chima (English Subtitle). YouTube. Retrieved from https://youtu.be/9D6t2jOOa_I
- Hanbok Advancement Center [HAC]. (2016g. October 17). Hanbok Construction: Men’s Pants (Korean Subtitle). YouTube. Retrieved from https://youtu.be/MWxCERPxQog
- Hanbok Advancement Center [HAC]. (2016h. October 17). HANBOK: How to make a Baji (English Subtitle). YouTube. Retrieved from https://youtu.be/ja9DujaVWSQ
- Hanbok Advancement Center [HAC]. (2016i. November 15). HANBOK: How to make Ssangmiri-danchu (Double-Loop Knot) (English Subtitle). YouTube. Retrieved from https://youtube/_TKxzrMto34_
- Hanbok Advancement Center [HAC]. (2016j. November 15). HANBOK: How to make Gireogi-maedup (Wild Goose Knot) (English Subtitle). YouTube. Retrieved from https://youtu.be/E-Ylh7HWGh8
- Hanbok Advancement Center [HAC]. (2016k. November 15). HANBOK: How to do Jatmulligi (English Subtitle). YouTube. Retrieved from https://youtu.be/efh2jCl151s
- Hello Fabric. (2019, September 9). Daily Lifestyle Hanbok part 1/ hanbok dress sewing tutorial. YouTube. Retrieved from https://youtu.be/6MWP8wGl_LY
- Kim, M. (2019, July). Hanbok: Korean national dress mirroring the zeitgeist. In Y. Ahn, K. Lee, & I. Yoon (Eds.), Our Dress Hanbok 10 [우리옷 한복 10] (pp. 4-13). Seoul: Hanbok Advancement Center [한복진흥센터].
- K-MOOC. (n.d.) History of Korean Dress Culture [한국복식문화사]. K-MOOC. Retrieved from http://www.kmooc.kr/courses/course-v1:CBNUk+CBNU09k+2020_1/about
-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KNUCH]. (2019a, December 25). The Characteristics of Dress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Traditional Korean Dress [삼국시대복식의 특성: 한국의 전통복식]. YouTube. Retrieved from https://youtu.be/FjsiK2fkyj4
-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KNUCH]. (2019b, December 25). The Origin of Korean Dress: Traditional Korean Dress [한국복식의 기원: 한국의 전통복식]. YouTube. Retrieved from https://youtu.be/5okyIglFnHg
- Kurutz, L. (2013, January 29). Videos. YouTube. Retrieved from https://www.youtube.com/channel/UCfHbCSRIVveCjVG9O3grA7A/videos
- Lehnert, G., Kawamura, Y., Mentges, G., Chen, B., Abaza, M., Shukla, P., Firsching-Tovar, O., ... Devoucoux, D. (2013). Fusion fashion: Culture beyond Orientalism and Occidentalism. Frankfurt am Main, Germany: PL Academic Research. [https://doi.org/10.3726/978-3-653-03343-4]
-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LACMA]. (2020a) Exhibitions Archive. Current Exhibition.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Retrieved from https://www.lacma.org/athome/watch
-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LACMA]. (2020b). Make Art @ Home.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Retrieved from https://www.lacma.org/search?keyword=Make%20Art%20%40%20home
- ManoHanbok. (2019, April 15). Videos. YouTube. Retrieved from https://www.youtube.com/channel/UC-3TyG5xI9ObJXYJ_D8uPxA/videos
- Museum of History & Industry [MOHAI]. (2020a). Behind the Seams: Zoom In on the Details. Museum of History & Industry. Retrieved from https://mohai.org/event/behind-the-seams-zoom-in-on-the-details/
- Museum of History & Industry [MOHAI]. (2020b, May 9). Behind the Seams: Zoom In on the Details. YouTube. Retrieved from https://youtu.be/JU_axnJTAy0
- Opishinski, A. C. (2020, March 18). University of Fashion. Facebook. (non-public link). Retrieved from https://www.facebook.com/groups/costumeeducators/?post_id=795092634230284
- Phoebe A. Hearst Museum of Anthropology. (2020a). Cloth that Stretches: Weaving Community Across Time and Space. Phoebe A. Hearst Museum of Anthropology. Retrieved from https://hearstmuseum.berkeley.edu/exhibit/cloth-that-stretches/
- Phoebe A. Hearst Museum of Anthropology. (2020b). Cloth that Stretches: Weaving Community Across Time and Space [PDF document]. Phoebe A. Hearst Museum of Anthropology. Retrieved from https://hearstmuseum.berkeley.edu/wp-content/uploads/ClothThatStretches_exhibit_v3.pdf
- Phoebe A. Hearst Museum of Anthropology. (2020c, May 15). Crochet Jam at the Hearst Museum. YouTube. Retrieved from https://youtu.be/a02-oN9HkcA
- Priorattire. (2012, February 13). Videos. YouTube. Retrieved from https://www.youtube.com/user/priorattire/videos
- Priorattire. (n.d.). Prior Attire. Retrieved from www.priorattire.co.uk
-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2013, November 28). Understanding of Korean Dress Culture [한국복식 문화의 이해]. RIS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K848722
- San Jose Museum of Quilts & Textiles. (2020, May 15). TEXTILE TALKS: Fashion and Anti-Fashion: Reflections on Artwear, presented by Melissa Leventon. YouTube. Retrieved from https://youtu.be/vNRvXMcsOKI
- Schott, L. (2020, June 17). President Schott’s Blog-Adventures in Zoom Learning: Corsetry Class. South Oregon University. Retrieved from https://sou.edu/president/adventures-in-zoom-learning-corsetry-class/
- SHYDIY. (2020, February 18). DIY: Reform Hanbok. YouTube. Retrieved from https://youtu.be/Z-2efLyPZvw
- Stanford University. (2017, February 3). Stanford Public Online Course Guidelines. Stanford University. Retrieved from https://stanford.app.box.com/s/ihu4yp16zwbp58p3zvmi
- Stanford University. (n.d.). Lecture Capture. Stanford University. Retrieved from https://vptl.stanford.edu/panopto
- Textile Society of America [TSA]. (2020a). Symposium 2020 and COVID-19. Textile Society of America. Retrieved from https://textilesocietyofamerica.org/symposia/symposium-2020
- Textile Society of America [TSA]. (2020b). Registration. Textile Society of America. Retrieved from https://textilesocietyofamerica.org/symposia/symposium-2020/registration-2
- The MET. (2020, May 9). Conserving a Piece of Islamic Armor | Insider Insights [Video]. YouTube. Retrieved from https://youtu.be/9UFyqhU4kb0
-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MET]. (2020). Art at home.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Retrieved from https://www.metmuseum.org/art/art-at-home
- The Museum at FIT. (2020, March 17). Stay Connected to The Museum at FIT. The Museum at FIT. Retrieved from https://www.fitnyc.edu/museum/news/archive/2020/stay-connected.php
- The Research Collective for Decolonising Fashion [RCDF]. (2012). About. The Research Collective for Decolonising Fashion. Retrieved from https://rcdfashion.wordpress.com/home/
- The Ultimate Fashion History [UFH]. (2012, October 26). Videos. YouTube. Retrieved from https://www.youtube.com/user/ProfHallay/videos
- The Ultimate Fashion History [UFH]. (2020. April 8). ISOLATION INSPIRATION: 100 Years of 'At Home' Fashion. YouTube. Retrieved from https://youtu.be/vtEhpabvQEA
- Tracing Patterns Foundation. (2020a, May 3). Small Talk Series-Indian Saree. YouTube. Retrieved from https://youtube/119w-pzmSUM
- Tracing Patterns Foundation. (2020b, May 23). Small Talk Series-Kerek Batik. YouTube. Retrieved from https://youtu.be/AFNbo0MXZhQ
- Tv Ganghong Hanbok. (2014, August 30). Videos. YouTube. Retrieved from https://www.youtube.com/channel/UC25fbtocalysK-1I73Wg0Fg/videos
- University of Fashion [UoF]. (n.d.). What is the University of Fashion? University of Fashion. Retrieved from https://www.universityoffashion.com/about/
- Victoria and Albert Museum. (2017, May 24). Learning from 'The Master': Balenciaga Revealed. YouTube. Retrieved from https://youtu.be/6qYEUlq7wLI
- Welters, L. & Lillethun, A. (2018). Fashion history: A global view. London, UK; New York, NY, USA: Bloomsbury Publishing. [https://doi.org/10.5040/9781474253666]
- Wiebers, L., Kurutz, L., Martin, N. V., Opishinski, A. C., Shaeffer, C. B., Andrews-Collier, S. E., Flores, A. P., ..., Paischer, S. (2020, April 21). Teaching Beginning Construction online-hints and advice. [Electronic forum message]. Costume Society of America. Retrieved from The Community Forum: Communities for the Study of Dress and Fashion (non-public link).
- Wong, E. (2019, April 22). Jeanie Low, Studio Visit. Vimeo. Retrieved from https://vimeo.com/3318639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