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Articl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ol. 71, No. 6, pp.19-36
ISSN: 1229-6880 (Print) 2287-7827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21
Received 26 Oct 2021 Revised 16 Nov 2021 Accepted 24 Nov 2021
DOI: https://doi.org/10.7233/jksc.2021.71.6.019

스트리트 패션을 통한 인도네시아 무슬림 여성의 패션 디자인 특성 연구 : 서부 자바(West Java) 반둥시(Bandung City)를 중심으로

양정희 ; 세티아와르다니 샤피라 데위 ; 박혜원
창원대학교 의류학과 강사
창원대학교 시니어 휴먼 에콜로지 협동과정 석사과정
창원대학교 의류학과, 시니어 휴먼 에콜로지 협동과정 교수
A Study on Fashion Design Characteristics of Indonesian Muslim Women through Street Fashion : Focused on Bandung City, West Java
Junghee Yang ; Shaffira Dewi Setiawardhani ; Heywon Park
Lecturer, Dept. of Clothing & Textile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Master Course, Dept.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Senior Human Ecology,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Professor, Dept. of Clothing & Textiles,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Senior Human Ecology,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Heywon Park, e-mail: hwpark@changwon.ac.kr

Abstract

This study studied fashion design characteristics of Muslim women in Indonesian street fashion and analyzed fashion images, items wearing, patterns and silhouettes, and colors and styling of each image through local street fashion photos. Fashion image analysis was carried out by a group of experts (masters and PhDs in fashion design including these researchers). For street fashion, image classification (multiple choice possible) was performed based on 8 fashion images referenced in previous studies. For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design, the researcher first analyzed top and bottom clothing items, accessories, patterns and silhouettes, and styling by image, and secondly classified them after verification by two experts (fashion design doctors). The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for frequency through the SPSS Statistics 27 program. As a result of analyzing fashion images, they were often found to be modern, sportive, and romantic, and clothing items such as T-shirts, shirts & blouses, long pants and long skirts were mostly found. For accessory items, the veil was most of them wore short hijabs that covers up to their necks. For shoes, casual items including sneakers and running shoes as well as sandals were frequently found, and for bags, shoulder bags were found the most. For hats, they created fashionability by wearing brimmed bucket hats or knit caps over hijabs. It was identified that non-pattern clothing and veil predominated and if there were patterns, geometric patterns were preferred. For silhouettes, H-line silhouette was predominant. In the modern images, the street fashion was characterized by straight silhouettes and unity of veil and clothing colors. In the sportive images, the street fashion featured outstanding coordination of casual items, and in the romantic images, pastel-tone A-line silhouettes was the most striking feature.

Keywords:

fashion design characteristics, Indonesian fashion, Muslim women’s fashion, street fashion

키워드:

패션 디자인 특성, 인도네시아 패션, 무슬림 여성 패션, 스트리트 패션

Ⅰ. 서론

전 세계 무슬림 인구가 가장 많은 나라는 인도네시아이다. 인도네시아의 노동 가능 인구는 전체 인구의 68% 내외이며 이들의 평균 연령은 약 29세로 젊은 노동인구층들은 인도네시아인의 소비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인도네시아의 젊은 인구층으로 인해 패션, 뷰티산업의 지출 확대 추세가 전망(Huh, 2019) 되는 등 인도네시아는 무슬림 패션 산업의 메카로 선두주자가 될 가능성이 충분히 높은 나라이다. KOTRA(Korea Trade-Investment Promotion Agency)에서는 무슬림 패션은 의류업계의 아이콘으로 성장 가능성이 높은 시장으로 분석한 바 있다(Ahn, 2017). 그리고 최근 명품 브랜드 및 SPA 브랜드를 막론하고 글로벌 패션 기업들은 무슬림 여성을 위한 라인을 출시하고 있으며, 특히 세계 굴지의 패션 기업인 돌체 앤 가바나(Dolce & Gabbana), 타미힐피거(Tommy Hilfiger), 망고(Mango), 유니클로(Uniqlo) 등은 아바야 컬렉션과 라마단 컬렉션을 출시하였다(Song, 2016). 글로벌 패션 불황기에 새로운 거대 소비 시장으로 떠오르는 무슬림 패션은 아세안(ASEAN) 국가들과의 협력을 통해 우리나라의 경제 저변 확대와 해외시장 다변화의 필요성을 강조한 정부의 신남방 정책에 부응하는 산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무슬림 의류 시장이 이처럼 성장 가능성이 매우 높고 수익성이 좋은 시장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여성의 지위 상승 및 여성 노동 비중 증가로 이슬람 규율에 맞게 수수하되 개성 있는 옷차림을 추구하는 젊은 여성층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Ahn, 2017). 이러한 패션 업계의 아이콘으로 부상하는 무슬림 패션을 반영하듯 미국 최대 백화점인 메이시스(Macy’s)는 무슬림 여성을 대상으로 한 패션 브랜드인 베로나 컬렉션을 통해 히잡 및 무슬림 의상들을 판매하였다(Sung, 2018). 또한 인도네시아인 패션 디자이너 애니사 하시부안(Anniesa Hasibuan)은 2017년 뉴욕 패션위크 런웨이 모든 컬렉션에서 히잡을 매칭한 의상을 선보이는 등 무슬림 패션은 더 이상 여성의 억압이 아닌 패션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Lee & Park(2020)의 연구에서는 젊은 무슬림 여성들은 종교와 패션의 균형은 곧 행복을 의미하며 히잡을 패션 아이템으로 활용하며, 히잡 착용의 의미가 변화하였다고 지적하였다. 이슬람 의상을 패션으로서 즐기며, 전통과 현대, 서구화의 물결 속에서 전통적인 이슬람 복장 착용의 틀에서 벗어나 자유롭고 다채로운 스타일의 히잡 패션의 연출로 히잡을 패션화하였다고 밝혔다. 이렇듯 패션화된 무슬림 패션은 앞으로의 패션 산업에서의 발전 가능성을 의미하며 최근 글로벌 패션 기업들이 선보인 무슬림 패션들은 그 현상의 반영이다.

따라서 인도네시아 스트리트 패션에 대한 조사 연구는 무슬림 패션연구와 글로벌 패션 마켓연구에 필요할 것이다. 스트리트 패션은 각 나라와 지역에 거주하는 개개인의 패션에 대한 개성과 취향이 반영되며 한 시대의 유행과 젊은 세대들의 일상복 패션 현황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패션의 유행을 이끄는 대표적인 패션의 도시인 뉴욕, 파리, 런던, 밀라노 등의 스트리트 패션은 세계 패션 트렌드 예측 및 마케팅 분석을 위한 필수적인 자료이기도 하다. 최대 이슬람 국가인 인도네시아 대표 도시의 스트리트 패션 분석은 앞으로 우리나라의 동남아시아 패션 산업 진출에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다.

스트리트 패션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스트리트 패션디자인 분석 시스템 연구(Park, Park, & Lee, 2005; Park & Lee, 2006), 에슬레저 웨어 관련 연구(Hong, 2019; Park & Chun, 2018), 소셜 빅데이터 의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스트리트 패션 연구(Seon, Jung, & Lee, 2021), 미학 관점의 스트리트 패션 브랜드 연구(Kim, 2019), 스트리트 패션 속 밀리터리 스타일링 비교 연구(Kim & Ro, 2018), 패션 매거진 속 글로벌 스트리트 패션 색채 연구(Ju, Lee, & Choo, 2012), 일본 남성 스트리트 패션 연구(Y. Kim, 2018), 한·중 스트리트 패션 스타일 비교 분석 연구(Jung & Bae 2019), 중국 스트리트 패션 연구(Cheon & Bae, 2006; Oh & Bae, 2019; Yoo & Lee, 2014), 서울·파리 스트리트 패션 비교 연구(Yang & Kim, 2019) 등 다양한 연구가 있었으며, 타국의 스트리트 패션 연구는 중국과 관련된 스트리트 패션 연구가 많았다.

그러나 무슬림 패션과 관련된 스트리트 패션 연구로는 이란 테헤란 스트리트 패션 분석을 통한 히잡 연구(Kim, Kim, & Na, 2020)가 있었으나 실제 스트리트 패션 사진 촬영 수집을 통한 연구가 아닌 소셜 미디어 사이트 ‘Pinterest’에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스트리트 패션 전체 디자인 특성이 아닌 히잡과 패션 연출에 한정한 연구였다. 이처럼 무슬림 여성 스트리트 패션 관련 국내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며, 동남아시아 패션 산업 진출 및 패션 마켓 전략을 위한 무슬림 여성 스트리트 패션 연구는 가치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슬람 패션의 메카로 급성장한 인도네시아 스트리트 패션에 나타난 무슬림 여성들의 패션디자인 특성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패션 디자인 특성으로는 패션이미지, 착용 아이템, 무늬 및 실루엣, 이미지별 색채 및 스타일링 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정부의 신남방 정책에 부응하는 패션 산업 전략의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실증연구이다. 스트리트 패션 및 무슬림 패션에 대한 개념 및 특성 분석을 위해 선행연구 및, 전문서적, 신문기사 등을 중심으로 문헌 연구를 실시하고, 인도네시아 현지 스트리트 패션을 통해 무슬림 여성 패션 디자인 특성 분석의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Ⅱ. 이론적 배경

1. 스트리트 패션의 개념 및 특성

스트리트 패션(street fashion)은 말 그대로 거리의 패션으로 유명 디자이너들의 하이패션과는 구별되는 대중들의 패션이다. 상류층이나 기성세대들에 의해 주도되는 패션이 아닌 기존 스타일과 계층의 정체성을 깨기 시작하면서 거리를 배회하고 방황하던 젊은이들 사이에 생성된 스타일을 말한다(Jo & Lee, 2004). 스트리트 패션은 대중의 유행에 대한 수용도를 감지할 수 있는 무대로, 패션의 성향이 스트리트 패션에 가장 잘 나타나 있기 때문에 한 시대의 대중적 성향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며(Lee, 2011), 대중들의 패션 취향과 기호를 읽을 수 있다는 점에서 패션 트렌드의 실제를 확인할 수 있다(Kim & Ro, 2018).

대중들의 패션 수요에 대한 관심을 읽을 수 있는 스트리트 패션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하이패션과 스트리트 패션과의 경계가 허물어지며 하이패션과 스트리트 패션의 협업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하이패션 브랜드인 루이비통과 스트리트 패션 슈프림의 콜라보 사례<Fig. 1>, 펜디의 휠라와의 협업 사례<Fig. 2>, 베트멍과 리복의 협업 사례<Fig. 3> 등 스트리트 패션 시장의 저변이 확장되고 있다.

<Fig. 1>

Louis Vuitton & Supreme Collaboration (Ryu, 2017).

<Fig. 2>

Fendi & Fila Collaboration (Yoo, 2018).

<Fig. 3>

Vetements & Reebok Collaboration (Park, 2017).

인터넷과 SNS의 발달은 대중들의 스트리트 패션의 접근과 패션 트렌드 파악을 용이하게 하였다. 세계적인 패션 파워 블로그 ‘사토리얼리스트’(www.thesartorialist.com), ‘페이스헌터’(www.face-hunter.org) 등을 통해 뉴욕, 파리, 런던, 밀라노 등의 세계 스트리트 패션에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스트리트 패션은 단순히 한 시대에 나타나서 대중의 유행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한 시대의 유행 경향을 통해 다양한 변화 요인을 확인할 수 있는 요소가 되며, 후대의 패션에도 큰 영향을 미치며 현 시점의 스트리트 패션 전개 양상을 통해 패션의 흐름을 예견할 수 있다(Yang & Kim, 2019). 대중들의 유행과 패션의 흐름을 알아볼 수 있는 스트리트 패션은 패션 산업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패션 시장 개척과 마케팅을 위한 유용한 자료로서 그 의의가 있다.

2. 동남아시아 무슬림 여성 패션의 동향

무슬림 패션은 이슬람의 종교적 율법에 부합하는 의류로, 여성 의상의 경우 실루엣이 나타나지 않으며, 신체의 노출을 최소화해 모디스트 패션(modest fashion)이라고 칭한다(Modest Fashion, 2017). 현대 글로벌 패션 산업에서 의미하는 모디스트 패션은 히잡으로 통칭되는 무슬림 여성의 전통 의상 및 무슬림 친화적인 패션스타일을 기반으로 하되 종교적 범주를 넘어 신체 노출을 최소화하고 신체 라인을 부각시키지 않은 편안한 실루엣 등 정숙함이라는 코드를 강조함으로써 자신만의 개성과 취향을 세련되게 연출하는 새로운 패션 스타일을 지칭한다(Kim, 2018).

동남아시아의 1970-80년대 이슬람부흥운동은 정치·경제, 국민의 의식주 및 일상생활양식의 전반적인 변화를 주었다. 그리고 2000년대 이후 민주주의 사고로 탄생한 팝 이슬람(Pop Islam: Popular Islam, Modern Islam으로 불리며 도시 중산층의 이슬람과 민주주의 사고로부터 탄생한 현대 이슬람 종교와 문화)의 영향으로 대학교육 및 유학을 통한 서구교육을 받은 무슬림 여성의 증가, 여성의 사회적 지위상승 및 여성 노동의 비중이 늘어나면서 히잡 착용의 급격한 변화가 나타났다. 중산층으로 살아가는 무슬림 여성에게 있어 히잡의 착용은 높은 사회·경제적 배경을 표현하는 동시에 미적표현의 다양화를 위한 패션 아이템으로 사용되었다(Lee & Park, 2020). 종교적 상징과 여성 인권 억압 등의 부정적 이미지로 여겨지던 무슬림 여성의 패션은 최근 하이패션과 스트리트 패션에서 재해석되어 하나의 패션의 요소로 등장하는 등 글로벌 패션 산업에서 모디스트 패션의 인식이 변모해가고 있으며, 무슬림 패션이 하나의 패션의 장르로서 활용 가능함을 의미하게 되었다. 현대 사회에서 무슬림 여성 의상에 대한 인식 변화와 더불어 무슬림 여성 스스로 자신의 문화적 자긍심과 정체성을 드러내는 수단으로 히잡을 적극 활용하고 있고, 히자비스타(hijabista)라는 신조어가 탄생하며 개성적인 패션 연출 아이템으로 변화되었다(Kim, 2018). 히자비스타는 히잡(hijab)과 패셔니스타(fashionista)의 합성어로 히잡을 착용 하지만 패셔너블한 옷차림을 연출하는 이슬람 여성을 말한다. Park & Jang (2020)의 연구에서 소셜 미디어를 통한 동남아시아 히자비스타의 패션 특성을 연구하였는데 히자비스타들은 종교적 상징인 베일과 패션 의복 아이템을 활용하여 이슬람의 규범을 따르면서도 매우 다양한 글로벌 패션 트렌드를 지향하고 있음을 지적한 바 있다. 더불어 Jang & Park(2021)의 말레이시아 무슬림여성 패션 선호도 조사 연구에서 말레이시아 무슬림 여성 소비자들은 패션 트렌드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 패셔너블하고 조화로운 스타일링 연출을 추구하며 패션 선택에 있어 도시적이고 활동적인 경향을 보여 모던, 소피스티케이트, 스포티 이미지에 대한 선호가 높고 무늬가 없는 깨끗한 직물을 가장 선호함을 밝혔다.

결국 현대 무슬림 여성들의 패션은 종교성을 유지하며 전통복식을 착용하지만 종교나 율법의 상징으로 제한하여 착용하지 않고 이슬람 복식을 패션으로서 다양하게 연출하고 즐기며 모디스트 패션은 글로벌 패션산업에서 하나의 장르가 됨을 알 수 있었다.


Ⅲ. 연구 절차 및 방법

1. 자료 수집 및 대상

본 연구의 실증 자료는 인도네시아 제2의 도시이자 섬유산업의 중심지인 서부자바의 반둥시 무슬림 여성의 스트리트 패션을 대상으로 하였다. 반둥시는 17개의 대학이 밀집한 젊은이들의 도시이며 네덜란드 식민지 시절의 휴양지로 관광과 패션산업의 중심지이다. 자료 수집은 현지 스트리트 패션 사진 촬영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창원 대학교 IRB심의를 통과하였고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대상자의 동의하에 직접 촬영, 수집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20년 1월 14일부터 3월 2일까지이다. 조사대상은 반둥시의 대학가, 카페 및 쇼핑 문화 밀집지역의 20-30대 젊은 무슬림 여성의 패션으로 총 608장의 자료를 수집하고 머리부터 발끝까지의 패션 아이템을 포함하였다.

2. 절차 및 연구 방법

무슬림 여성들의 패션 디자인 특성 분석을 위해 인도네시아 현지에서 촬영된 스트리트 패션 사진 총 608장 중 중복된 사진을 제외하고 상·하의 의복 아이템과 신발, 가방 등 액세서리 디자인 파악이 가능한 전신 촬영 이미지를 선별하여 최종 329장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패션 디자인 특성으로는 패션 이미지, 착용 아이템, 무늬 및 실루엣을 분석하였으며, 분석된 이미지별 스타일링 분석을 실시하여 무슬림 여성의 패션을 연구하였다.

패션이미지 분석은 본 연구자 포함 패션디자인 전공 석박사 대학원생 10명에 의해 진행되었다. 총 8가지 패션이미지(클래식, 엘레강스, 모던, 로맨틱, 매니시, 에스닉, 스포티브, 아방가르드)를 기준으로 각 사진의 적합한 이미지를 분류하도록 설문(중복 선택 가능)하였다. 패션디자인 특성은 1차로 연구자가 의복의 상·하의 아이템과 액세서리, 무늬 및 실루엣, 이미지별 스타일링 분석을 하고 2차로 전문가 2인(패션디자인 전공 박사)의 검증을 통해 최종 분류하였다. 조사 결과는 SPSS Statistics 27 프로그램을 통해 빈도분석 실시하였다.


Ⅳ. 무슬림 여성들의 스트리트 패션 디자인 특성

1. 패션 이미지 분석

인도네시아 무슬림 여성들의 스트리트 패션 이미지 분석은 문헌 및 선행연구(Park, Lee, Yum, Choi, & Park, 2006; Park & Jang, 2020)의 기준을 근거로 클래식, 엘레강스, 모던, 로맨틱, 매니시, 에스닉, 스포티브, 아방가르드의 8가지 패션 이미지를 기준으로 하였다.

인도네시아 무슬림 여성의 스트리트 패션을 통한 패션이미지 분석 결과 모던 이미지가 32.7%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스포티브 이미지 21.6% 〉로맨틱 이미지 13.2% 〉엘레강스 이미지 8.4% 〉클래식 이미지 8.2% 〉매니시 이미지 6.9% 〉에스닉 이미지 5.7% 〉아방가르드 이미지 3.2%의 순으로 나타났다<Table 1>, <Fig. 4>.

Fashion Image Analysis Result (Multiple Choice)

<Fig. 4>

Fashion Image Position of Muslim Women

인도네시아 무슬림 여성의 스트리트 패션은 8가지 이미지 중 모던 이미지, 스포티브 이미지, 로맨틱 이미지가 많이 분석되었다. 이는 동남아시아 일상 패션이 담긴 스트리트 패션에 글로벌 패션 트렌드가 반영되거나 여성의 사회진출이 높아진 특성 또한 모던이미지에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캐주얼 의상과 페미닌한 스커트 등의 착용으로 스포티브 이미지와 로맨틱 이미지도 함께 많이 보인다. 히잡을 착용하는 무슬림 여성들의 패션이지만 에스닉 이미지가 5.7%로 낮게 나타난 것은 히잡 착용이 전통복이나 종교복의 의미보다 일상의 패션으로 착용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하겠다. 아방가르드 이미지가 3.2%로 가장 낮게 나타난 것은 무슬림 여성들의 패션이 독특하고 파격적이기보다는 베이직한 패션을 선호한다는 걸 알 수 있다. 즉 인도네시아 무슬림 여성들의 스트리트 패션 이미지는 현대적이고 로맨틱한 특성이 우세하며, 스포티브 하지만 남성적인 매니시 이미지는 낮게 나타났으며 에스닉하고, 아방가르드한 패션은 매우 희박하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분석 결과는 소셜 미디어를 통한 히자비스타의 패션 특성을 연구한 선행연구(Park & Jang, 2020)와 무슬림 여성의 패션제품 구매와 패션의식을 연구한 선행연구(Jang & Park, 2021)의 결과와 유사함에 있어 의미가 있다.

2. 착용 아이템 분석

인도네시아 무슬림 여성들이 착용한 아이템 분석은 선행연구(Hong, 2019; Park & Chun, 2018; Park & Jang, 2020) 기준 의복 아이템과 액세서리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의복 아이템은 상의, 하의, 원피스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의복 아이템의 세부 분류로 상의는 티셔츠, 티셔츠 온 티셔츠(반팔 티셔츠와 긴팔 티셔츠의 레이어드), 셔츠 & 블라우스, 자켓, 점퍼, 카디건, 가운(로브), 베스트, 스웻 셔츠, 후디, 니트, 기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하의는 반바지, 긴 바지, 짧은 스커트, 롱스커트, 레깅스, 기타로 세부 분류하였고 원피스는 짧은 원피스와 롱 원피스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액세서리는 베일, 신발, 가방, 모자로 나누고 베일은 머리에서 가슴까지 가리는 긴 히잡, 머리에서 목까지 가리는 짧은 히잡, 베일 쓰지 않음으로 분류하였다. 신발은 스니커즈, 운동화, 샌들, 플랫 슈즈, 슬리퍼, 플리플랍, 펌프스, 로퍼, 기타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가방은 숄더백, 토트백, 백팩, 크로스백, 쇼퍼백, 기타로 분류하고 모자는 출현 빈도가 적어 스트리트 패션에 보이는 모자 유형을 그대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는 <Table 2>와 같다.

Fashion Item Analysis Result (Multiple Choice)

의복 아이템 751개 중 상의 아이템 408개, 하의 아이템 324개, 원피스 19개가 분석되었다. 상의는 티셔츠가 135개(33.1%) 셔츠 & 블라우스가 113개(27.7%)로 많이 나타났으며<Fig. 5>, 점퍼, 베스트, 후디 등은 1%의 낮은 분포를 보였다. 하의는 긴 바지가 256개(79%), 롱 스커트가 49개(15.1%)로 많이 나타났으며<Fig. 6>, 반바지와 짧은 스커트는 각 2개(0.6%)로 낮은 비율의 결과를 보였다. 원피스는 짧은 원피스 6개 (31.6%)에 비해 롱 원피스가 13개(68.4%)로 많이 나타났다.

<Fig. 5>

T-Shirts & Shirt/Blouse (Photographed by authors, 2020)

<Fig. 6>

Long Pants & Long Skirt (Photographed by authors, 2020)

긴 바지와 티셔츠의 착용이 가장 많이 나타났는데, 이는 앞서 분석된 패션이미지의 스포티브 이미지 분석 결과와 관련이 있으며, 캐주얼한 아이템인 티셔츠와 팬츠의 많은 빈도 및 스웻 셔츠(7.8%) 아이템 등이 스포티브 이미지의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여 진다. 또한 셔츠 & 블라우스, 롱 스커트와 롱 원피스의 페미닌한 아이템의 많은 착용이 로맨틱 이미지의 결과에 영향을 준 것으로 생각된다.

많은 빈도를 보인 긴 바지와 롱 스커트, 롱 원피스 등의 결과를 토대로 다리를 노출 시키는 짧은 아이템 보다는 길이가 긴 아이템을 선호함을 알 수 있었으며, 카디건(7.1%), 반팔 티셔츠와 긴팔 티셔츠의 레이어드 룩(7.4%)과 많지 않은 비율이지만 스커트 또는 원피스와 레이어드 되어 나타난 레깅스(3.4%)는 의미 있는 결과로서 이는 일상생활의 실내 냉방환경과 열대성 기후에서 신체를 보호하기 위해 선택된 아이템으로 사료된다. 또한 신체를 드러내지 않는 이슬람 교리를 따르는 종교적 영향의 반영으로 생각된다.

인도네시아 무슬림 여성의 스트리트 패션의 베일의 경우 수집된 스트리트 패션 사진 329장 중 2장을 제외한 모든 사진에 베일을 포함하고 있었다. 머리에서 가슴까지 가리는 긴 히잡은 6.7%였으며, 머리에서 목까지 가리는 짧은 히잡은 92.7%로 대부분의 무슬림 여성 스트리트 패션에서 목까지 가리는 짧은 히잡을 착용하였다<Fig. 7>. 스트리트 패션 속 무슬림 여성 99.4%가 히잡을 착용한 것은 무슬림의 종교적 정체성을 나타낸 것을 의미하며, 0.4%의 적은 비율이지만 베일을 착용하지 않은 결과는 종교적 의무를 넘어 자신의 패션의 선택으로 히잡을 취사선택한 것으로 보여 진다. 이는 선행연구(Lee & Park, 2020)에서 지적하였듯이 베일 착용은 본인이 결정하는 것으로 자신의 선택으로 패션으로서 히잡을 착용한다는 내용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Fig. 7>

Hijab–Cover to Neck & Hijab-Cover to Chest (Photographed by authors, 2020)

신발은 다양한 아이템들이 분석되었으나 특히 스니커즈(25.5%)와 운동화(25.5%)의 캐주얼 아이템과 샌들(20.7%)의 출연 빈도가 높았다<Fig. 8>. 이러한 신발 아이템들은 스포티브 이미지와 로맨틱 이미지의 영향으로 이어진 것으로 보여 진다. 가방은 숄더백이 48.1%로 가장 많이 분석되어 절반에 가까운 사진에서 착용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크로스 백 또한 24.1%로 많은 비율로 나타났다. 무슬림 여성들은 어깨에 매는 숄더백과 크로스 백을 선호함을 알 수 있었고 크지 않은 크기의 가방들을 착용함을 확인하였다. 모자는 모두 다 베일과 함께 착용하였으며, 히잡 위에 챙이 있는 버킷 햇 또는 니트 캡을 착용하여 패션성을 연출하였다.

<Fig. 8>

Sneakers, Running Shoes & Sandal (Photographed by authors, 2020)

인도네시아 무슬림 여성의 스트리트 패션 속 의복 및 액세서리 아이템을 종합하면 스포티브한 이미지를 형성하는 캐주얼 티셔츠와 긴 바지, 운동화, 스니커즈가 가장 많았으며, 로맨틱 이미지를 형성하는 셔츠 & 블라우스, 롱 스커트, 샌들, 숄더백 등이 많이 나타났다. 또한 티셔츠 온 티셔츠(반팔 티셔츠와 긴팔 티셔츠의 레이어드)와 롱스커트 또는 롱 원피스와 함께 레이어드 된 레깅스 등 다양한 스타일링을 보여주었다. 베일은 2장을 제외한 모든 사진에서 분석되었으며, 베일을 착용하지 않은 2장의 사진 또한 의미 있는 결과로서 베일 착용이 무슬림으로서의 표현인 동시에 베일 착용을 패션 스타일링의 하나의 요소로 생각함을 알 수 있었다<Fig. 9-10>.

<Fig. 9>

Clothing Item of Muslim Women

<Fig. 10>

Accessory Item of Muslim Women

3. 무늬 및 실루엣 분석

인도네시아 스트리트 패션 속 무슬림 여성 패션의 무늬는 의복 상·하의와 베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무늬가 있는 경우와 무늬가 없는 경우로 나누고 무늬가 있을 시 기하학 무늬, 캐릭터 & 일러스트 무늬, 식물 무늬, 동물 무늬, 혼합 무늬, 기타 등으로 나누어 구분하여 분류하였다 <Table 3>. 의복의 상의의 경우 무늬가 없는 경우가 219개(66.6%)로 절반 이상의 결과를 보였으며 무늬가 있는 경우는 기하학 무늬가 82개(24.9%)로 가장 많은 비율을 보였다<Fig. 11>. 기하학 무늬 이외에 캐릭터 & 일러스트 12개(3.6%), 기타 6개(1.8%), 식물무늬 5개(1.5%), 혼합 무늬 4개(1.2%), 동물 무늬 1개(0.3%)로 적은 비율을 보였다. 의복의 하의의 경우 무늬가 없는 경우가 292개(88.8%)로 상의보다 더 많은 빈도를 보여 무슬림 여성의 스트리트 패션에서 상의보다 하의에 무늬 없는 아이템을 선호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의복 하의의 무늬가 있는 경우는 기하학 무늬 34개(10.3%), 기타 2개(0.6%), 식물무늬 1개(0.3%)로 상의와 같이 기하학 무늬가 가장 많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Fig. 12>. 베일의 경우 무늬가 없는 단색의 베일이 323개(98.8%)로 인도네시아 스트리트 패션 속 대부분의 무슬림 여성은 무늬 없는 민무늬의 베일을 선호함을 확인하였고, 무늬가 있는 베일은 기하학 무늬 3개(0.9%), 식물 무늬 1개(0.3%)로 매우 적게 나타났다.

Fashion Pattern Analysis Result

<Fig. 11>

Geometry Pattern of Top (Photographed by authors, 2020)

<Fig. 12>

Geometry Pattern of Bottom (Photographed by authors, 2020)

무슬림 여성의 패션에서 의복과 베일은 무늬가 없는 경우가 지배적이었고 의복에서 무늬가 있는 경우 기하학 무늬를 선호함을 확인하였으며, 상의에서 적은 비율이지만 캐릭터 문양들이 확인되었으며 선행연구(Jang & Park, 2021)와 유사한 결과였다.

인도네시아 스트리트 패션 속 무슬림 여성 패션의 실루엣은 다음 <Table 4>와 같다. 전제 329장의 인도네시아 스트리트 패션 사진 중 H라인 실루엣이 297장(90.3%)으로 지배적인 실루엣으로 분석되었고, 다음으로 23장(7%)으로 A라인 실루엣 순으로 나타났다. 이외의 실루엣은 X라인 5장(1.5%), O라인 실루엣 4장(1.2%)으로 적은 비율을 보였다. H라인 실루엣이 독보적으로 많이 나타난 이유는 패션이미지 결과의 모던, 스포티브 이미지 영향으로 직선적인 캐주얼웨어와 슬림하고 미니멀한 아이템들의 착용의 영향으로 보여 진다. 또한 A라인 실루엣은 플레어 롱 스커트와 롱 원피스의 영향으로 A라인 실루엣이 로맨틱 이미지의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Fashion Silhouette Analysis Result

4. 패션 이미지별 색채 및 스타일링 분석

인도네시아 스트리트 패션 속 아이템 분석과 실루엣 분석 결과 등을 토대로 패션 이미지와의 상관성을 확인하였다. 셔츠, 팬츠, 스웻 셔츠, 운동화, 스니커즈 등의 캐주얼 아이템과 H라인 실루엣이 패션이미지의 스포티브 이미지의 분석 결과에 영향을 미쳤으며, 셔츠 & 블라우스, 롱 스커트와 롱 원피스, 샌들 등의 페미닌한 아이템의 많은 착용과 A라인 실루엣이 로맨틱 이미지의 결과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패션 스타일링은 패션 아이템 및 실루엣 등이 요소로 포함됨으로 패션 이미지의 연관성을 토대로 패션 이미지별 스타일링은 인도네시아 무슬림 여성의 스트리트 패션에서 많이 보여 지는 모던 이미지, 스포티브 이미지, 로맨틱 이미지의 스트리트 패션 사진을 대상으로 패션 이미지별 의복 아이템 및 액세서리 등의 색채 및 스타일링을 분석하였다<Fig. 13>.

<Fig. 13>

Fashion Image Styling of Muslim Women

인도네시아 무슬림 여성의 스트리트 패션에서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인 모던 이미지의 스트리트 패션의 스타일링을 살펴보면 <Fig. 14>에서는 블랙 컬러의 티셔츠와 화이트 컬러의 스트레이트 팬츠를 착용하고 브라운 컬러의 재킷을 매치하여 무채색 코디네이션과 함께 브라운 컬러 포인트를 준 스타일링을 한 것을 볼 수 있다. 베일은 머리에서 목까지 가리는 길이의 블랙 컬러 히잡을 착용하여 상의 티셔츠와의 연결성을 주었으며 블랙 컬러의 스니커즈, 숄더백을 매치하여 베일과 함께 액세서리의 컬러를 통일한 스타일링을 나타내었다. 전반적으로 장식이 없는 미니멀한 아이템들을 매치하여 직선적인 H라인 실루엣을 연출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 14>

Modern Image Styling 1 (Photographed by authors, 2020)

<Fig. 15>의 스트리트 패션에서는 레드 컬러의 티셔츠, 블랙 컬러의 팬츠, 목까지 가리는 길이의 블랙 컬러의 히잡, 블랙 컬러의 크로스 백, 화이트 컬러의 스니커즈를 착용하였다. 전반적으로 무채색 코디네이션에 레드 컬러를 포인트를 준 스타일링과 베일과 팬츠 컬러를 통일한 코디네이션을 볼 수 있었다. 의복과 액세서리에 장식이 들어가지 않은 미니멀한 아이템들로 스타일링 되었으며, 직선적인 H라인 실루엣이 나타났다.

<Fig. 15>

Modern Image Styling 2 (Photographed by authors, 2020)

<Fig. 16>의 사진에서는 블랙 컬러의 블라우스, 베이지 컬러의 팬츠, 베이지 컬러의 목까지 가리는 길이의 히잡, 블랙 컬러의 슬리퍼, 블랙 앤 화이트 컬러의 쇼퍼백이 코디네이션 된 것을 볼 수 있다. 블랙 앤 화이트의 무채색과 베이지 컬러로 코디네이션하고 베일과 팬츠의 컬러를 베이지 컬러로 통일시켰다. 장식 없는 아이템들로 직선적인 H라인 실루엣으로 스타일링 되었다.

<Fig. 16>

Modern Image Styling 3 (Photographed by authors, 2020)

모던 이미지의 대표적인 스트리트 패션 사진에서의 아이템들은 상의는 티셔츠, 블라우스 등이었으며, 하의는 스트레이트 팬츠, 베일은 머리에서 목까지 가리는 길이의 히잡을 착용하였다. 액세서리로 신발은 스니커즈, 슬리퍼를 착용하였으며 가방은 숄더백, 크로스백, 쇼퍼백을 착용하였다. 컬러는 의복에서는 무채색의 블랙 앤 화이트 컬러 아이템과 함께 브라운, 레드 등의 포인트 컬러 아이템을 매치하여 코디네이션 하였으며, 액세서리는 의복 컬러와 통일하여 매치하는 경향이 많았고 특히 베일은 상의 또는 하의 컬러의 히잡을 착용하여 의복과의 색채 통일성을 주는 스타일링을 하였다. 장식이 없는 미니멀한 아이템의 코디네이션과 H라인 실루엣, 무채색과 컬러 포인트의 스타일링으로 모던 이미지를 형성하였다.

인도네시아 무슬림 여성의 스트리트 패션에서 두 번째로 많이 나타난 스포티브 이미지의 스타일링을 살펴보면 <Fig. 17>의 스트리트 패션에서는 그린 컬러의 반팔 길이의 티셔츠와 블랙 컬러의 긴 팔 티셔츠를 함께 착용하고 데님 소재의 와이드 팬츠를 코디네이션 한 것을 볼 수 있다. 히잡은 티셔츠와 유사색상인 그린 컬러의 목까지 가리는 히잡을 착용하였으며 레드, 옐로우, 화이트 컬러가 믹스된 컬러의 운동화를 착용하였다. 전반적으로 핏 되지 않는 루즈한 H라인 실루엣으로 장식성 없는 아이템들로 코디네이션 되었다.

<Fig. 17>

Sportive Image Styling 1 (Photographed by authors, 2020)

<Fig. 18>의 사진에서는 베이지 컬러의 스웻 셔츠, 다크 그린 컬러의 카고 팬츠가 코디네이션 되었다. 액세서리는 그레이 컬러의 목까지 가리는 히잡을 착용하였으며 블랙 컬러의 스니커즈를 착용하고 카드지갑을 목에 걸어 코디네이션 한 것을 볼 수 있다. 상의는 루즈한 실루엣으로 착용하였으며, 하의는 몸에 살짝 핏 되게 착용하여 직선적인 느낌의 실루엣을 나타내었다.

<Fig. 18>

Sportive Image Styling 2 (Photographed by authors, 2020)

<Fig. 19>에서는 화이트 컬러의 스웻 셔츠, 여러 가지 패치가 부착된 데님 팬츠를 착용하였으며, 액세서리로 블랙컬러의 목까지 가리는 길이의 히잡, 숄더백, 운동화를 착용한 것을 볼 수 있다. 인체에 핏 되지 않는 아이템들을 착용하여 전반적으로 H라인의 실루엣을 보여주었으며, 찢어진 데님팬츠의 패치 장식들이 스포티브하며, 캐주얼한 이미지를 형성하였다.

<Fig. 19>

Sportive Image Styling 3 (Photographed by authors, 2020)

<Fig. 20>

Romantic Image Styling 1 (Photographed by authors, 2020)

<Fig. 21>

Romantic Image Styling 2 (Photographed by authors, 2020)

<Fig. 22>

Romantic Image Styling 3 (Photographed by authors, 2020)

스포티브 이미지의 대표적인 스트리트 패션 사진에서의 아이템들은 상의는 티셔츠와 긴팔 티셔츠의 레이어드와 스웻 셔츠를 착용하였고, 하의는 데님 팬츠와 카고 팬츠를 착용하였다. 액세서리로 베일은 머리에서 목까지 가리는 베일을 착용하였으며, 신발은 운동화와 스니커즈를 착용하였고, 가방은 숄더백과 목에 거는 카드지갑을 코디네이션 하였다. 컬러는 그린, 화이트, 베이지, 블랙, 블루 등의 컬러가 나타났으며, 모던 이미지의 스트리트 패션에 비해 베일과 의복 색상의 통일성을 부여하는 경향은 적었으며 실루엣은 직선적인 H라인 실루엣이 나타났다. 스포티브 이미지의 스트리트 패션에서는 티셔츠, 스웻 셔츠, 데님 팬츠, 운동화 등의 캐주얼한 아이템들이 스포티브 이미지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인도네시아 무슬림 여성의 스트리트 패션에서 세 번째로 많이 나타난 로맨틱 이미지의 스타일링을 살펴보면 <Fig. 16>에서는 블랙 컬러의 티셔츠, 화이트 컬러의 와이드 팬츠, 핑크 컬러의 카디건을 매치하여 코디네이션 되었다. 액세서리는 연한 퍼플 컬러의 목까지 가리는 길이의 히잡이 착용되었으며, 옐로우 컬러의 토트백, 그레이 컬러의 블로퍼를 착용하였다. 전반적으로 루즈한 실루엣의 아이템들을 착용하였고 특히 밑단 주름 장식의 통이 넓은 팬츠로 A라인 실루엣의 러블리한 이미지를 형성하였으며 블랙 앤 화이트의 무채색을 제외하고 핑크, 옐로우, 퍼플 등의 파스텔 컬러를 매치하여 여성스러운 이미지로 코디네이션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 17>의 스트리트 패션 사진에서는 핑크 컬러의 블라우스와 길이가 긴 플레어 스커트를 코디네이션 하였고, 베이지 컬러의 목까지 가리는 히잡을 착용하고, 화이트 컬러의 숄더백, 그레이 컬러의 러플 장식 슬리퍼를 착용하였다. 컬러는 전반적으로 톤 다운된 핑크 베이지, 그레이 컬러로 코디네이션 되었고 하의 밑단으로 갈수록 퍼지는 A라인 실루엣을 나타내었다. 허리 주름 장식의 블라우스와 러플 장식 슬리퍼 등 여성스러운 이미지가 장식된 아이템으로 인해 로맨틱 이미지를 형성하였다.

<Fig. 18>의 사진에서는 블루계열 프린트가 장식된 플레어 롱 원피스와 레깅스를 같이 매치하여 코디네이션 한 것을 볼 수 있다. 액세서리는 연한 베이지 컬러의 목까지 가리는 길이의 히잡을 착용하고 화이트 컬러의 샌들 힐을 착용하였다. 플레어 롱 원피스로 A라인 실루엣을 형성하였으며, 스커트 주름과 소매 주름 장식, 샌들 힐 등으로 인해 페미닌한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로맨틱 이미지의 대표적인 스트리트 패션 사진에서의 의복 아이템들은 롱 플레어 스커트와 롱 플레어 원피스, 블라우스 등을 착용하였다. 액세서리는 머리에서 목까지 가리는 길이의 히잡을 착용하였으며 신발은 블로퍼, 샌들, 슬리퍼 등을 착용하였고 가방은 토트백, 숄더백, 크로스백 등을 코디네이션 하였다. 의복과 액세서리 아이템에서 러플 또는 주름 장식으로 로맨틱한 이미지를 가미하였으며, 파스텔 계열의 핑크 컬러, 베이지 컬러 등으로 페미닌한 이미지를 형성하였다. 베일의 컬러는 의복 또는 액세서리 색상과 유사색상으로 코디네이션 하였으며 전반적으로 하의로 갈수록 실루엣이 퍼지는 A라인 실루엣이 나타났다.

인도네시아 무슬림 여성의 스트리트 패션에서 많이 나타난 패션이미지별 스타일링을 종합하면 모던 이미지의 스트리트 패션은 장식이 없는 미니멀한 아이템과 직선적인 실루엣, 무채색과 포인트 컬러의 배색 코디네이션, 베일 컬러와 의복 컬러의 통일성 등이 특징적이었다. 스포티브 이미지의 스트리트 패션은 루즈한 스웻 셔츠, 반팔 티셔츠와 긴 팔 티셔츠의 레이어드, 데님 팬츠, 운동화 등의 캐주얼 아이템의 코디네이션이 돋보였으며, 로맨틱 이미지는 파스텔 계열 컬러의 길이가 긴 플레어 스커트 및 원피스 아이템으로 A라인 실루엣이 나타났으며 러플, 주름 장식 등이 두드러졌다.


Ⅴ. 결론

본 연구는 이슬람 패션의 메카로 급성장한 인도네시아 스트리트 패션에 나타난 무슬림 여성들의 패션디자인 특성을 연구하였다. 패션이미지, 착용 아이템, 무늬 및 실루엣, 이미지별 색채 및 스타일링 등의 분석을 통해 글로벌 패션 시장 전략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인도네시아 무슬림 여성들의 스트리트 패션을 통한 패션 이미지 분석 결과 모던 이미지, 스포티브 이미지, 로맨틱 이미지가 많이 분석되었다. 동남아시아 여성의 높아진 사회진출 및 세계 패션 트렌드의 반영으로 모던 이미지가 많이 나타났으며, 스트리트 패션 속 캐주얼 의상과 페미닌한 스커트, 원피스 등의 많은 착용이 스포티브 이미지와 로맨틱 이미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전반적인 인도네시아 무슬림 여성들의 스트리트 패션 이미지는 현대적이고 로맨틱한 특성이 우세하며, 스포티브 하지만 남성적인 매니시 이미지는 낮게 나타났으며 에스닉하고, 아방가르드한 패션은 매우 희박하게 나타나 독특하기 보다는 베이직한 패션을 선호 한다는 걸 알 수 있었다.

의복 아이템의 상의는 티셔츠와 셔츠 & 블라우스, 하의는 긴 바지와 롱 스커트가 많이 나타났다. 특히 긴 바지와 티셔츠의 착용이 가장 두드러졌는데 이는 캐주얼 아이템이 패션이미지의 스포티브 이미지의 분석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여 지며, 셔츠 & 블라우스, 롱 스커트와 롱 원피스의 페미닌한 아이템의 많은 착용이 로맨틱 이미지의 결과에 영향을 준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많은 빈도를 보인 하의의 긴 바지와 롱 스커트, 롱 원피스 등의 결과를 토대로 인도네시아 무슬림 여성들은 일상패션에서 다리를 노출 시키는 짧은 아이템 보다는 길이가 긴 아이템을 선호하며, 반팔 티셔츠와 긴팔 티셔츠의 레이어드 및 스커트 또는 원피스와 레깅스의 레이어드 룩을 통해 실내 냉방 환경과 열대성 기후에서 신체를 보호하고 신체를 드러내지 않는 이슬람 교리를 따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액세서리 아이템 중 베일의 경우 수집된 스트리트 패션 사진 중 2장을 제외한 모든 사진에 베일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대부분 목까지 가리는 짧은 히잡을 착용하였다. 대부분의 스트리트 패션 속 무슬림 여성이 히잡을 착용한 것은 무슬림의 종교적 정체성을 나타낸 것을 의미하며 적은 비율이지만 베일을 착용하지 않은 결과는 종교적 의무를 넘어 자신의 패션의 선택으로 히잡을 취사선택한 것으로 보여 진다. 신발은 다양한 아이템들이 분석되었으나 특히 스니커즈와 운동화의 캐주얼 아이템과 샌들의 출연 빈도가 높았으며 이는 스포티브 이미지와 로맨틱한 이미지의 영향으로 이어진 것으로 보여 진다. 가방은 숄더백이 가장 많이 분석되어 절반에 가까운 사진에서 착용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크로스 백도 많은 비율로 나타나 무슬림 여성들은 어깨에 매는 숄더백과 크로스 백을 선호함을 알 수 있었고 크지 않은 크기의 가방들을 착용함을 확인하였다. 모자는 모두 다 베일과 함께 착용하였으며, 히잡 위에 챙이 있는 버킷 햇 또는 니트 캡을 착용하여 패션성을 연출하였다.

무슬림 여성의 패션에서 의복과 베일은 무늬가 없는 경우가 지배적이었고 의복에서 무늬가 있는 경우 기하학 무늬를 선호함을 확인하였으며, 실루엣은 직선적인 캐주얼 웨어와 슬림하고 미니멀한 아이템 착용의 영향으로 H라인 실루엣이 독보적으로 많이 나타났다.

패션이미지별 스타일링에서 모던 이미지의 스트리트 패션은 장식이 없는 미니멀한 아이템과 직선적인 실루엣, 무채색과 포인트 컬러의 배색 코디네이션, 베일 컬러와 의복 컬러의 통일성 등이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스포티브 이미지의 스트리트 패션은 루즈한 스웻 셔츠, 반팔 티셔츠와 긴팔 티셔츠 레이어드, 데님 팬츠, 운동화 등의 캐주얼 아이템의 코디네이션이 돋보였으며, 로맨틱 이미지는 파스텔 계열 컬러의 길이가 긴 플레어 스커트 및 원피스 아이템으로 A라인 실루엣이 나타났으며 러플, 주름 장식 등이 두드러졌다.

이슬람 패션 산업 진출을 위해 인도네시아 현지 트렌드를 파악할 수 있는 스트리트 패션은 중요한 자료이며, 패션 시장을 탐색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가 될 것이다. 특히 전통복, 종교복 연구가 아닌 패션으로서의 무슬림 여성 패션 연구가 부족한 시점에서 이상의 인도네시아 스트리트 패션 연구를 통해 분석된 인도네시아 여성들의 패션 연구는 차별점이 있다고 본다. 모던, 스포티브, 로맨틱 이미지의 선호와 캐주얼 아이템과 롱 스커트 및 롱 원피스, 미니멀 아이템과 직선적 실루엣 및 A라인 실루엣, 무늬 없는 직물 및 기하학 무늬 등의 선호에 대한 연구 결과는 동남아시아 패션 산업 진출을 위한 디자인 기획 및 패션 소비자와 마켓 전략을 위한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론적 이슬람 복식 연구, 모디스트 연구에서 벗어나 현지 촬영 스트리트 패션 자료를 대상으로 실증적인 무슬림 여성 패션에 대해 연구한 것으로 의미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디자인 기획과 개발 및 해당지역의 마케팅 전략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후속 연구로 인도네시아 무슬림 여성들의 스트리트 패션 색채 분석을 집중적으로 수행하여 이슬람 패션 시장 진출 및 무슬림 여성 패션 공략을 위한 효과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웨스트 자바의 반둥시만을 중심으로 하였기에 결과의 확대해석에는 신중해야 할 것이며, 코로나 펜데믹 상황에서 마스크를 착용하고 촬영한 제한점이 있음을 밝힌다.

Acknowledg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Grant funded by the Korea Government(NRF-2019R1F1A1046037).

References

  • Ahn, R. (2017, August 11). Modest fashion rises as an icon in the apparel industry [모디스트 패션, 의류업계의 아이콘으로 부상하다]. Kotra. Retrieved from https://news.kotra.or.kr/user/globalAllBbs/kotranews/list/2/globalBbsDataAllView.do?dataIdx=160278
  • Cheon, J. Y. & Bae, S. j. (2006). An analysis of 2005 summer women`s street fashion in Dalian, China.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0(2), 1-17.
  • Hong, Y. J. (2019). Characteristics of male athleisure wear shown in street fash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9(4), 65-85. [https://doi.org/10.7233/jksc.2019.69.4.065]
  • Huh, Y. J. (2019, April 29). Indonesia premium consump tion market trend and entry strategy [인도네시아 프리미엄 소비 시장동향 및 진출전략]. Kotra. Retrieved from https://news.kotra.or.kr/user/globalAllBbs/kotranews/list/2/globalBbsDataAllView.do?dataIdx=174575
  • Jang, S. W. & Park, H. W. (2021). The fashion product purchase and fashion consciousness of Malaysian muslim women. Journal of Fashion Business, 25(2), 63-79. [https://doi.org/10.12940/jfb.2021.25.2.63]
  • Jo, K. H. & Lee, H. S. (2004). Fashion aesthetic [패션미학]. Seoul, Republic of Korea: Soohaksa.
  • Ju, N., Lee, J., & Choo S. (2012). A study of the color characteristics of global street fashion: Focused on street fashion magazine from 2010 to 2011. Journal of Korea Society of Color Studies, 26(4), 107-121. [https://doi.org/10.17289/jkscs.26.4.201211.107]
  • Jung, J. W. & Bae, S. J. (2014). A comparative study on design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Chinese women’s street fashion: Between Seoul and Beijing from 2012 S/S, 2014 S/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0(3), 581-594. [https://doi.org/10.12940/jfb.2021.25.1.108]
  • Kim, C. J. & Ro, M. K. (2018). Styling comparison of military look appeared on street fashion of Korea and oversea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8(1),14-29. [https://doi.org/10.7233/jksc.2018.68.1.014]
  • Kim, H. S., Kim, H. J., & Na, H. S. (2020). A study on the hijab as a fashion item in the Tehran street. Journal of Fashion Business, 24(2), 1-16. [https://doi.org/10.12940/jfb.2020.24.2.1]
  • Kim, M. H. (2019). A study on the contemporary street fashion desig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esthetics of ugliness proposed Karl Rosenkranz. Journal of Communication Design, 68(0), 84-94. [https://doi.org/10.25111/jcd.2019.68.07]
  • Kim, S. Y. (2018). Internal meaning and case of modest fashion in contemporary fashion.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60(3), 39-52. [https://doi.org/10.21326/ksdt.2018.23.3.004]
  • Kim, Y. (2018). A study on Japanese men’s street fashion: From Urahara to Neo-Urahara.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8(4), 1-16. [https://doi.org/10.18652/2018.18.4.1]
  • Lee, H. Y. & Park, H. W. (2020). A study on the Muslim women's fashioning in southeast Asia: Focus on Indonesia and Malaysia. Journal of Fashion Business, 24(2), 85-99. [https://doi.org/10.12940/jfb.2020.24.2.85]
  • Lee, Y. M. (2011). A study on the acceptance degree of overseas collections by Korea's knitted street fashion: With a focus on the 2011 s/s seaso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Knit Design, 9(1), 57-71. [https://doi.org/10.35226/kskd.2011.9.1.57]
  • Modest fashion, a new icon in the apparel industry [모디스트 패션, 의류업계의 새로운 아이콘] (2017, October 11). Korea Trade News. Retrieved from https://www.weeklytrade.co.kr/news/view.html?section=1&category=136&item=&no=33909
  • Oh, H. A. & Bae. S. J. (2019). An analysis on the transition of street fashion style in Harbin for targeting on Chinese fashion market: Focused on 2016~2018 s/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5(4), 307-325. [https://doi.org/10.18208/ksdc.2019.25.4.307]
  • Park, H. W. & Jang, S. W. (2020), Characteristics of hijabista fashion in southeast Asia according to social media: Focused on Indonesia and Malaysia. Journal of Fashion Business, 24(3), pp.51-68. [https://doi.org/10.12940/jfb.2020.24.3.51]
  • Park, H. W. & Lee, H. Y. (2006). Application of web-based system for street fashion design analysis (2): Focused on applying fashion image data from Gyeong-Nam area in 2004 f/w.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0(2), 60-82.
  • Park, H. W., Lee, M. S., Yum, H. J., Choi, K. H., & Park, S. J. (2006). Contemporary fashion design [현대패션디자인]. Seoul, Republic of Korea: Kyomunsa.
  • Park, H. W., Park, H. C., & Lee, H. Y. (2005). A study on application of web-based system for street fashion design analysis: Focused on applying fashion image data from Gyeong-Nam area in 2004 s/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9(5), 77-95.
  • Park, J. A. (2017, March 19). Reebok X Vetements coll aboration hit item, ‘Pump Supreme’ original! [리복 X 베트멍 콜라보레이션 히트템, ‘펌프 슈프림’ 오리지널!]. Fashion Webzine Snapp. Retrieved from http://zine.istyle24.com/Fashion/FashionView.aspx?Idx=31768&Menu=12&_C_=23069
  • Park, J. H. & Chun, J. H. (2018). The characteristics of styling of a mix and match of an athleisure wear: Focused on street fashion.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8(2), 55-72. [https://doi.org/10.18652/2018.18.2.4]
  • Ryu, S. H. (2017, July 7), Changes in fashion power! Louis Vuitton x Supreme limited edition collaboration sales craze [패션 권력의 변화! 루이비통x슈프림 한정판 콜라보 판매 광풍]. Fashionn. Retrieved from https://www.fashionn.com/board/read_new.php?table=1004&number=21109
  • Seon, J. H., Jung, H. J., & Lee, J. Y. (2021), Changes in street fashion networks using social big data: Time-series approach to public attention and cluster attribut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71(3), 124-142. [https://doi.org/10.7233/jksc.2021.71.3.124]
  • Song, J. E. (2016, June 29). Hijabista, muslim fashion at tracting attention from all over the world [전 세계가 주목하는 무슬림 패션, 히자비스타]. KOTRA. Retrieved from https://news.kotra.or.kr/user/globalAllBbs/kotranews/album/2/globalBbsDataAllView.do?dataIdx=150646
  • Sung, B. C. (2018, Febrary 8). Macy's to be the first U.S. department store to sell hijabs [메이시스, 히잡 판매하는 첫 미국 백화점 될 듯]. Economic Review. Retrieved from http://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331505
  • Yang, Y. J. & Kim, M. H. (2019). Comparative study of street fashion in Seoul and Paris from the perspective of accepting trend forecast information. Journal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58(0), 155-172. [https://doi.org/10.18555/kicpd.2019.58.15]
  • Yoo, J. B. (2018, August 18). Fendi x Fila collaboration ‘Fendi Mania’ popularity in Paris! [펜디x휠라 콜라보레이션 ‘펜디 마니아’ 파리에서 인기 대박!]. Fashionn. Retrieved from https://www.fashionn.com/board/read_new.php?table=1025&number=26239
  • Yoo, J. M. & Lee, I. S. (2014). A comparative study of one-piece dress design based on regional characteristics of street fashion in China: Focused on Beijing, Shenzen in 2012 s/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4(6), 161-175. [https://doi.org/10.7233/jksc.2014.64.6.161]

<Fig. 1>

<Fig. 1>
Louis Vuitton & Supreme Collaboration (Ryu, 2017).

<Fig. 2>

<Fig. 2>
Fendi & Fila Collaboration (Yoo, 2018).

<Fig. 3>

<Fig. 3>
Vetements & Reebok Collaboration (Park, 2017).

<Fig. 4>

<Fig. 4>
Fashion Image Position of Muslim Women

<Fig. 5>

<Fig. 5>
T-Shirts & Shirt/Blouse (Photographed by authors, 2020)

<Fig. 6>

<Fig. 6>
Long Pants & Long Skirt (Photographed by authors, 2020)

<Fig. 7>

<Fig. 7>
Hijab–Cover to Neck & Hijab-Cover to Chest (Photographed by authors, 2020)

<Fig. 8>

<Fig. 8>
Sneakers, Running Shoes & Sandal (Photographed by authors, 2020)

<Fig. 9>

<Fig. 9>
Clothing Item of Muslim Women

<Fig. 10>

<Fig. 10>
Accessory Item of Muslim Women

<Fig. 11>

<Fig. 11>
Geometry Pattern of Top (Photographed by authors, 2020)

<Fig. 12>

<Fig. 12>
Geometry Pattern of Bottom (Photographed by authors, 2020)

<Fig. 13>

<Fig. 13>
Fashion Image Styling of Muslim Women

<Fig. 14>

<Fig. 14>
Modern Image Styling 1 (Photographed by authors, 2020)

<Fig. 15>

<Fig. 15>
Modern Image Styling 2 (Photographed by authors, 2020)

<Fig. 16>

<Fig. 16>
Modern Image Styling 3 (Photographed by authors, 2020)

<Fig. 17>

<Fig. 17>
Sportive Image Styling 1 (Photographed by authors, 2020)

<Fig. 18>

<Fig. 18>
Sportive Image Styling 2 (Photographed by authors, 2020)

<Fig. 19>

<Fig. 19>
Sportive Image Styling 3 (Photographed by authors, 2020)

<Fig. 20>

<Fig. 20>
Romantic Image Styling 1 (Photographed by authors, 2020)

<Fig. 21>

<Fig. 21>
Romantic Image Styling 2 (Photographed by authors, 2020)

<Fig. 22>

<Fig. 22>
Romantic Image Styling 3 (Photographed by authors, 2020)

<Table 1>

Fashion Image Analysis Result (Multiple Choice)

Fashion Image Elegance Modern Romantic Avantgarde Sportive Ethnic Manish Classic
Frequency (%) 327
(8.4)
1270
(32.8)
511
(13.2)
125
(3.2)
839
(21.6)
222
(5.7)
267
(6.9)
317
(8.2)
Total 3,878(100)

<Table 2>

Fashion Item Analysis Result (Multiple Choice)

Item Category Frequency(%) Item Category Frequency(%)
Clothes Top T-Shirts 135(33.1) Accessories Veil Hijab-cover to chest 22(6.7)
T-shirts on T-shirts 30(7.4) Hijab–cover to neck 305(92.7)
Shirt & Blouse 113(27.7) No veil 2(0.6)
Jacket 22(5.4) Total 329(100)
Jumper 4(1.0) Shoes Sneakers 84(25.5)
Cardigan 29(7.1) Running shoes 84(25.5)
Gown(Robe) 22(5.4) Sandal 68(20.7)
Vest 4(1.0) Flat shoes 27(8.2)
Sweat shirts 32(7.8) Sleeper 15(4.6)
Hoody 4(1.0) Flip-Flop 8(2.4)
Knit 11(2.7) Pumps 6(1.8)
Etc 2(0.5) Loafer 10(3.0)
Total 408(100) Etc 27(8.2)
Bottom Short pants 2(0.6) Total 329(100)
Long pants 256(79.0) Bag Shoulder bag 116(48.1)
Short skirt 2(0.6) Tote bag 22(9.1)
Long skirt 49(15.1) Back pack 15(6.2)
Leggings 11(3.4) Cross bag 58(24.1)
Etc 4(1.2) Shopper bag 22(9.1)
Total 324(100)
Onepiece Short 6(31.6) Etc 8(3.3)
Long 13(68.4) Total 241(100)
Total 19(100) Hat Bucket hat 4(80)
Total 751 Knit cap 1(20)
Total 5(100)

<Table 3>

Fashion Pattern Analysis Result

Item Category Frequency(%) Total
Pattern Top Non pattern 219(66.6) 329(100)
Geometry 82(24.9)
Character & Illustration 12(3.6)
Plant 5(1.5)
Animal 1(0.3)
Mixed 4(1.2)
Etc 6(1.8)
Bottom Non pattern 292(88.8) 329(100)
Geometry 34(10.3)
Plant 1(0.3)
Etc 2(0.6)
Veil Non pattern 323(98.8) 327(100)
Geometry 3(0.9)
Plant 1(0.3)

<Table 4>

Fashion Silhouette Analysis Result

Item Category Frequency(%) Total
Silhouette H line 297(90.3) 329(100)
A line 23(7.0)
X line 5(1.5)
0 line 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