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TI 성격유형과 그리스 신화 원형에 근거한 드라마 의상 분석 : 메데이아 신화 소재의 드라마 「부부의 세계」를 중심으로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stume expression of the main characters in the drama The World of the Married, drawing on the Myers-Briggs Type Indicator (MBTI) personality type theory, Keirsey’s and Bates's four trait theories (1998), and Greek mythology archetypes. We conducted a drama viewer survey to estimate each character's personality and collected online viewer analysis data. We found that Seonwoo was ISTJ (Epimetheus), Teo was ENFP (Apollon), and Dakyeog was ISTP (Dionysus). Our results concerning the clothes of the main characters in the drama coincided with those of previous studies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BTI personality type, Keirsey's four trait types, and clothing behavior. Additionally, each character's costume expression changed when the Greek mythology prototype changed. We also found that even when the mythical archetype did not change, costume expression could still change depending on the character's situation.
Keywords:
drama costume, Greek mythology, Keirsey’s four temperament characteristics, Myers-Briggs Type Indicator, The World of the Married키워드:
드라마 의상, 그리스 신화, 커시의 4기질, MBTI, 부부의 세계Ⅰ. 서론
작품 속 의상은 시나리오 작가가 구상한 추상적 인물을 구체적 인물로 형상화하는 수단으로, 시나리오, 캐릭터의 성격, 감독의 연출 의도와 같은 고려사항을 바탕으로 구상된다(Kim, 2013). 특수한 목적성을 가지고 있기에 일상적으로 입는 옷인 “의복(衣服)”보다는 “의상(衣裳)”이라는 용어로 쓰이며, 상업적 목적을 가진 “패션(Fashion)”과도 구분된다(Jin, 2017). “등장인물”은 시나리오에는 존재하나 아직 시각화되지 않은 인물이지만, “캐릭터”는 이미지 작업을 통한 시각화가 이루어진 인물이다(Kim, 2017). 이러한 캐릭터 의상에서 나타난 시각적 요소들은 성별, 나이, 성격, 취향, 심리, 행동, 직업, 사회적 지위, 관계성, 대립구도 등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단서로 작용한다(Choi & Lee, 2020).
영화나 드라마 의상은 시각 예술이자 독립적인 영상 언어로서(Kim, 2013), 국제적으로는 1949년 아카데미 의상상부터, 한국은 1990년대 초반 대종상 의상상부터 가치를 인정받았다. 특히, K-드라마가 전 세계적으로 작품성과 흥행성을 인정받게 되면서, 드라마 의상도 이전보다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인 JTBC <부부의 세계>는 아시아 국가들을 상대로 큰 인기를 끈 K-드라마로(Anarcon, 2020), 작품성, 예술성, 메데이아 신화라는 신선한 소재, 리얼리즘 등의 요소로 호평을 받고 있다(Lee, 2020).
드라마 <부부의 세계(2020)>는 BBC One의 <닥터 포스터(2015)>를 원작으로 한다. 완벽한 결혼과 가정을 꿈꾸었던 아내가 남편의 외도에 대해 응징하는 내용이다. 원작은 ‘메데이아’ 신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것이다(Kim, 2021), 메데이아는 유능하고 헌신적인 아내에서 남편의 배신으로 인해 남편의 새 여자와 자식들을 살해하는 신화 속 인물이다(Chang, 2021). 일부 연구들에서는 이보다 확장하여 드라마 <부부의 세계> 속 캐릭터를 그리스 신화 속 인물의 원형에 적용하였다(Yun & Kim, 2021). Choi(2021)의 연구에서는 구체적으로 제우스-헤라, 헤파이스토스-아프로디테와 같은 신화 속 부부 관계가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캐릭터 개인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서는 개별 캐릭터의 성격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성격을 유형화하는 척도로, 가장 대중적인 MBTI를 적용하였다. MBTI 검사는 지나친 일반화의 오류, 반복 측정에 따른 신뢰도 문제, 융의 초기이론에 대한 타당도 문제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지만(Kim, 2022; Park, 2022), 이해와 적용이 쉽다는 실용적 측면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Ko. 2022). 최근 한국인 응답자의 75% 이상이 MBTI 검사 결과를 신뢰한다고 할 정도로, MBTI는 한국 사회에서 대중적으로 자리 잡았다(Choi, 2021). 본 연구에서도 캐릭터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도구로서 MBTI 이론을 활용하였다.
현재까지 진행된 MBTI에 따른 의복 행동 연구에서는 대부분 소수의 특질을 위주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Kahng et al., 1984). MBTI는 2020년 이후부터 트렌드로 나타나고 있지만(Kim et al., 2021), 의복 행동과 관련한 연구는 주로 2010년 전후로 진행되었다. 일부 연구에 한하여 드라마나 애니메이션 캐릭터들을 대상으로, 캐릭터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성격 유형을 분석하였다(Bae & Kim, 2020; Hong & Yi, 2020). 한편, Keirsey & Bates(1984)는 MBTI의 16가지 유형을 그리스 신화 속 4가지 인물 유형인 에피메테우스형(SJ), 디오니소스형(SP), 프로메테우스형(NT), 아폴론형(NF)으로 단순화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를 MBTI 유형 분류와 함께 제시하여, 성격에 대한 해석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드라마 작품 속 캐릭터의 성격과 그리스 신화원형에 따른 의상 표현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첫째, 주요 캐릭터들의 성격유형을 분류하고, 이에 따른 의상 표현을 선행연구의 결과와 비교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MBTI 성격 특질과 의복 행동을 규명한 선행연구 중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난 결과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둘째, 캐릭터의 상황 및 심경을 그리스 신화원형 패턴에 적용하여 의상 표현을 분석하고자 한다. 총 16개 영상 자료를 바탕으로, 최종 193건(지선우 84건, 여다경 52건, 이태오 57건)의 이미지를 수집하였다. 중복되거나, 어두운 효과로 인해 잘 보이지 않는 이미지는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작품 속 캐릭터는 리얼리티를 극대화하기 위해 실재 인간상을 반영하여 설정된다. 이러한 이유로, 영화나 드라마 의상에 대한 연구는 연극학, 인문학, 미학, 사회학 등의 학문과도 연계되어 융합적 가치를 지닐 수 있다. 현재까지 진행된 영화 및 드라마 의상 관련 연구들은 색을 통한 표현과 상징적 의미해석에 집중되어 있다(Choi & Lee, 2020). 본 연구에서는 융합적 관점에서 영화나 드라마 작품 속 의상을 분석하여 연구의 다양성을 높이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최근 유행하는 MBTI와 K-드라마에 나타난 신화적 요소를 활용하여, 드라마 의상 분석을 새로운 방법으로 해석하고자 하였다.
Ⅱ. 이론적 배경
1. 성격유형에 따른 의상 표현
성격은 개인의 특징적인 행동과 사고를 결정하는 정신, 물리적 체계로서 개인 안에 있는 역동적 조직이다(Hjelle & Ziegler, 1992). 본질적으로 안정된 것이며, 환경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여 행동할 것인지를 결정짓고 개인의 인생 경험을 조직하는 심리적 구조이다(Lazarus & Monat, 1979).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는 캐서린 브릭스(Catherine Briggs)와 이사벨 마이어스(Isabel Myers)가 융(Jung)의 심리유형론(Jung, 1971)을 확장하고 실용화한 성격유형 검사이다(Myers & Myers, 1980). 성격 차원의 조합을 통해 성격을 쉽게 이해할 수 있기에(Park, 2020), MBTI는 가장 대중적인 심리검사로 사용되고 있다(Ko, 2022).
MBTI 성격유형은 4가지 지표에 대한 선호성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주의집중과 에너지의 방향에 따라 외향(Extraversion)-내향(Introversion), 정보수집 방법에 따라 감각(Sensing)-직관(Intuition), 판단과 의사결정에 따라 사고(Thinking)-감정(Feeling), 외부 세계에 대한 태도와 생활양식에 따라 판단(Judging)-인식(Perception)으로 분류된다(Myers, McCaulley, Quenk, & Hammer, 1998). 각각의 성격유형은 <Table 1>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Mutlu, 2018)
과거부터 성격유형에 따른 의복 행동을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는 노력은 이어져 왔으나, 내향성-외향성만이 비교적 일관성 있는 차이를 만들어내는 특질로 알려졌다(Mischel, Shoda, & Ayduk, 2008). 성격특질에 대한 의복 관련 연구는 선호하는 의복 이미지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Kim, Lee, & Lee, 2012), 다음으로 선호 컬러(Han, 2011)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Table 2>는 관련 선행연구 중에서 유의미하게 도출된 결과만을 정리한 것이다.
Sweat & Zenter(1985)에 의하면 특질에 따라 스타일 지각에 차이를 보였다. 직관형은 클래식 스타일과 드라마틱 스타일을 세련된 것으로, 감정형은 내추럴 스타일을 복종적인 것으로, 사고형은 내추럴 스타일이 지배적이고 로맨틱 스타일이 복종적인 것으로 지각하였다. 인상형성과 관련하여, 외향형, 직관형이 총체적인 지각을 하였고, 내향형, 감각형은 부분적인 지각을 하였다(Lee & Park, 1998). 선호하는 컬러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는데, 외향적인 사고형, 감정형, 직관형은 모두 여름, 겨울 색상을 선호하였고, 외향적 감각형, 내향적인 감정형은 여름 색상을 가장 선호한 것으로 나타났다(Radeloff, 1991). Han(2011)의 연구에서는 외향형, 내향형, 감각형, 직관형, 사고형, 감정형 모두 명청색톤의 계열을 가장 선호하였으나, 판단형은 유일하게 명청색 다음 컬러로 원색 톤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의복 이미지와 관련하여, 외향형이 선호하는 의복 이미지로는 캐주얼, 스포티, 젊음, 발랄함, 서양적인 이미지, 내향형은 단순한 이미지, 감각형은 여성적인 이미지, 직관형은 강렬한 이미지, 사고형은 서양적인 이미지, 판단형은 우아하고 고상한 이미지, 인식형은 강렬한 이미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Oh, 2001). Oh & Kim(2006)의 연구에 따르면, 외향형이 전위적이고 혁신적인 이미지, 직관형이 이국적이고 신비로운 이미지와 전위적이고 혁신적인 이미지, 감정형은 활동적인 이미지, 판단형은 우아한 이미지를 선호하였다.
외향형이 내향형에 비해 세련된/감각적 이미지와 주도적/활동적 이미지를 추구하였으며, 반면 내향형은 외향형에 비해 보수적/지적 이미지의 의복을 선호하였다(Kim et al., 2012). 또한, 추구하는 의복 이미지와 가치로, 직관형이 감각형에 비해 유행성 정도가 높게 나타났고, 내향성이 외향성에 비해 정숙성 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사치성 정도는 외향형이 내향형보다 높게 나타났다(Jon & Kim, 2001).
드라마 주인공의 MBTI와 의상 표현 분석 연구로, Yun(2010)은 드라마 <스타일> 캐릭터의 기질을 분류하여 감각형(S)-판단형(J)에 맞는 의상 스타일링을 제안하였다. 감각-판단형을 중심으로, 외향적인 남녀 스타일링에는 많은 디테일을, 내향적인 남녀 스타일에는 제한된 디테일로 연출하였다. Bae & Kim(2020)은 드라마 <스카이 캐슬>에서 김주영(ENTJ/INTJ)의 블랙은 감정의 동요 없이 일처리가 유능하고 통솔력이 뛰어난 지도자를 상징하며, 한서진(INTJ)의 레드는 딸의 성적이 떨어지면서 느끼는 불안, 분노, 긴장을 상징하고, 이수임(INFP)의 화이트는 따뜻한 감성과 바른 양심을 상징한다고 하였다. Hong & Yi(2020)의 연구에서도 애니메이션 <알라딘>의 캐릭터 별 MBTI를 도출하고, 성격 변화가 있는 캐릭터는 해당하는 연상의 색채가 적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2. 그리스 신화 속 인물 관계 및 네 가지 기질
드라마 <부부의 세계> 캐릭터에 나타난 신화적 소재를 분석한 결과, 제우스와 헤라, 헤파이스토스와 아프로디테, 이아손과 메데이아, 데메테르와 페르세포네의 관계가 도출되었다. 다음은 그리스 신화 관련 저서에서 나타난 인물에 대한 해석(Lee, 2004; Lee, 2016; Ji & Hong, 2018; Kim, 2022; Park, Seong, Lee, & Kim, 2021; Pépin, 2017), 드라마 <부부의 세계> 속 신화적 요소에 대한 연구(Choi, 2021)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 맞게 재정리한 것이다.
① 제우스와 헤라
제우스는 올림포스의 최고의 권위를 가진 신으로, 아내인 헤라 외에도 신과 인간을 포함한 수많은 여성과 수없이 많은 자식을 낳았다. 제우스는 성공신화를 일군 남자의 자신감을 상징하며, 최고의 권력과 지위 뿐 아니라, 변신 능력을 가지고 있는 신이다(Pépin, 2017). 사랑에 대한 제우스의 의지는 권력에 대한 의지만큼 강하게 발현되는데, 연애할 때의 제우스는 신분과 윤리를 무시한 채 접근하기 가장 적합한 상태로 변신한다(Lee, 2016). 제우스의 아내인 여신 헤라는 ‘결혼 생활의 수호신’이다. 남편 제우스의 바람기 탓에 종종 드세고 질투심 많은 여성으로 인식되지만, 한편으로는 정절과 일부일처제를 사회규범으로 삼은 그리스인들에게 귀감이 되었다(Pépin, 2017). 아프로디테가 자기 열정에 충실했던 여신이라면 헤라는 아내라는 자신의 권리에 충실한 여인이며, 데메테르가 자식의 안위를 가장 소중히 여기는 여신이라면 헤라는 남편을 가장 우위에 두는 여신이라고 할 수 있다(Lee, 2016).
② 헤파이스토스와 아프로디테
헤파이스토스는 제우스와 헤라의 아들로, 못생긴 외모로 태어났다. 자신의 아들을 인정하기 싫었던 헤라가 올림포스 정상에서 바다로 던졌으나, 테티스가 그를 구하여 신들의 궁전, 장신구, 무기, 갑옷 등을 만드는 기술을 가르쳤다(Kim, 2022). 헤파이스토스는 올림포스에서 유일하게 일하는 신이며, 인정받기 위하여 무던히 노력하는 인물의 표상이라고 할 수 있다(Lee, 2016). 아버지 제우스는 헤파이스토스에게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를 아내로 맞이하게 해주었으나, 아내의 외도로 결혼생활은 행복하지 않았다(Kim, 2022).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는 남성을 사로잡는 사랑의 욕망을 주관하는 여신으로(Lee, 2004), 아프로디테를 죄의식이 없는 욕망의 표상이다(Lee, 2016). 그녀는 트로이의 왕자 파리스의 욕망을 정확하게 간파하여, 헤라와 아테나를 이기기도 하였다(Koo, 2017). 그러나 아프로디테의 사랑은 불화를 만들고 전쟁을 야기했기에, 자비보다는 욕망, 소유, 편애, 전쟁, 폭력, 무책임으로 평가된다(Lee, 2016).
③ 이아손과 메데이아
이아손은 이올코스 왕국의 왕자였으나, 삼촌 펠리아스에게 왕권을 빼앗겼다. 펠리아스는 황금 양털을 가지고 오면 왕위를 돌려주겠다고 약속하였고, 이아손은 원정대를 꾸려 황금 양털이 있는 콜키스 왕국으로 간다(Park et al., 2021). 이아손 원정대는 황금 양털을 획득하였으나, 콜키스 왕국의 왕은 황금 양털을 내주지 않았다. 이 때, 왕국의 공주 메데이아가 왕의 추격을 따돌리기 위해 이복동생을 납치해서 배에 태우고, 그를 죽여 사지를 하나씩 바다에 던지면서 이아손 원정대가 왕의 추격을 벗어나도록 하였다(Kim, 2016). 또한, 펠리아스가 이아손에게 약속대로 왕위를 넘겨주지 않자, 메데이아는 왕의 딸들을 속여 왕을 잔인하게 살해하도록 유도하기도 하였다(Kim, 2022). 그러나 이는 이콜코스 국민들의 여론을 악화시켰고, 결국 이아손과 메데이아는 나라에서 추방되어 코린토스로 피신하였다.
코린토스의 왕은 이아손이 자신의 딸과 혼인할 것을 요구했는데, 마침 메데이아에게 싫증이 난 이아손은 공주를 새 아내로 맞이하려고 하였다(Kim, 2022). 분노한 메데이아는 신부의 옷에 독을 발라 공주를 살해하고, 이아손과의 사이에서 낳은 자식들마저 죽였고, 이아손은 지난날의 영광을 생각하며 살다가 떨어지는 뱃머리에 맞아 죽었다(Lee, 2004). 메데이아의 사랑이란 이아손에 대한 절대적 헌신이었다기보다는 사실 그를 차지하고 그와 함께 즐거운 삶을 살겠다는 욕망에서 이어져 온 것이라고 해석되기도 한다(Kim, 2022).
④ 데메테르
데메테르는 대지에서 자라는 곡물을 주관하는 여신으로, 남동생 제우스와의 사이에서 외동딸 페르세포네를 낳았다(Kim, 2016). 페르세포네가 하계의 신 하데스에게 납치되자 상심한 데메테르는 곡물이 자라게 하는 의무를 수행하지 않았다(Koo, 2017). 곡식이 자라지 않자 굶어 죽는 사람들이 늘어났고, 결국 제우스의 중재로 페르세포네는 하계와 지상에서 번갈아 가며 살게 되었다(Lee, 2016). 데메테르는 심성이 착하며, 모성이 강한 여신으로 알려져 있는데, 자신의 딸이 아닌, 다른 아기를 지극정성으로 돌봐주기도 하였다(Kim, 2016). 데메테르의 이러한 모습은 자기 아이를 사랑했던 힘으로 다른 아이를 사랑하고 보살피는 어머니에게는 희망이 있다는 것을 상징한다(Lee, 2016). 그러나 한편으로는 상대에 대한 독점욕이 강해 과도하게 통제하는 사람 또는 엄마의 집착으로 비춰지기도 한다(Ji & Hong, 2018; Lee, 2016).
Keirsey & Bates(1984)는 MBTI의 16가지 성격유형을 각각 그리스 신화에 나타나는 인물에 적용하였다. 그들은 네 가지 기질(에피메테우스:SJ, 프로메테우스:NT, 아폴론:NF, 디오니소스:SP)이 각각 어떤 특성을 가지는지 파악하고, 그 연장선에서 16가지 유형을 이해하면 인간의 행동을 예측하고 이해하기 수월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Keirsey & Bates, 1984). SJ형은 판도라의 남편으로서 판도라의 상자가 열린 뒤 세상 사람들을 온갖 죄악에서 보호하고, 계도하고자 애썼던 에피메테우스를 의미한다. NT형은 고된 형벌을 감내하면서 인간에게 불(지식, 과학)을 전해주었던 프로메테우스를 의미한다. NF형은 정열적이고 이상을 추구하는 아폴론을 의미한다. SP형은 술과 쾌락의 신이자, 방랑하는 자유주의자였던 디오니소스를 의미한다. 기질 별 특징을 정리하면 <Table 3>와 같다(Kim, 2006).
3. 의상을 통한 영화와 드라마 캐릭터 표현방법
Fiore & Kimle(1997)는 색에 대한 상징은 사회적인 관습을 따르고, 사회구성원들의 합의를 바탕으로 발전된다고 하였다. 색은 영화, 드라마, 뮤직비디오 등의 영상물에서 육안으로 쉽게 확인이 가능한 요소로(Choi & Lee, 2020), 색이 가진 고유의 이미지는 캐릭터에 부여되어 직접 또는 함축적으로 캐릭터를 설명하는 상징적 의미로 사용된다. 색의 다양한 조합을 통해 캐릭터의 성격, 감정, 심리, 행동, 성, 연령, 계절, 긴장감, 편안함 등이 표현될 수 있다(Kim, 2013). 또한, 의상의 색은 시각적으로 가장 큰 효과를 주는 요소이면서도, 상징성이 높아 다양하게 해석될 여지가 많은 요소이다. 선행연구(Haller, 2019; Morton, 1997; Kim, 2013; Choi & Lee, 2020)를 바탕으로 색의 긍·부정적 상징을 정리하면 <Table 4>와 같다.
통상적으로 악역은 검은색 의상, 주인공은 흰색 의상을 착용한다는 도식이 있으며, 명랑한 캐릭터는 밝은 색으로, 우울한 캐릭터는 어두운 색으로 표현된다(Kim & Han, 2015). 블랙은 느와르 영화에서 자주 사용되는 컬러로, 흑백은 선과 악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Kim, 2013). 레드는 욕망, 애정, 질투, 애증, 열정적 사랑, 모성을 의미하며, 블루는 진지하고 차가운 성격, 슬픔과 우울로, 선한 이미지로 표현되고, 그린은 어린 시절의 싱그럽고 청순함으로 표현되기도 하지만, 부정적인 힘으로 표현될 수 있다(Kim, 2013). 주인공의 상황도 색을 통해 상징적으로 표현될 수 있는데, 채도가 낮은 어두운 컬러는 가난한 시절을, 무채색의 대비는 능력있고 부유한 시절, 당당한 시절로 표현되기도 한다(Shin & Kim, 2019).
의복의 선은 캐릭터의 성격, 취향, 인상 등의 디테일을 포현한다. 직선은 단정한, 경직된, 직관적인, 엄격함을 상징하며, 곡선은 여성스러운, 부드러운, 완만한, 유연한 느낌을 표현한다(Kim, 2013). 그 예로, <델마와 루이스(1991)>에서 덜렁대는 주부인 델마의 의상은 주로 여성스러운 곡선을, 당당한 독신녀인 루이스의 의상은 주로 직선을 사용했다. 극의 후반부에서 델마의 의상이 직선 실루엣으로 바뀐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극한 상황에 부딪힌 델마가 의존적인 성격에서 강인한 성격으로 바뀌었음을 상징한다.
무늬의 크기, 무게, 섬세함, 장중, 안정성, 율동성도 캐릭터의 성격 형성에 영향을 준다(Kim, 2013). 구상무늬는 따뜻한 이미지, 기하학적 무늬는 차가운 이미지, 줄무늬는 차갑고 딱딱함, 꽃무늬는 부드럽고 따뜻함의 감성을 가진다(Kobayashi, 1981). 또한, 부분적인 배치의 구상무늬는 여성적이고 부드러운 감성을 이끌어내고, 전면적인 배치의 비구상무늬는 발랄하고 동적인 감성을 이끌어낸다(Kim & Lee, 2000). Kim(2013)은 영화 <그들만의 세상(1996)>을 예로 들며, 직선적인 무늬는 곧고, 정직하고, 스포티한 이미지를 주고, 곡선적인 무늬는 부드럽고, 여성스럽고, 귀여운 이미지를 준다고 하였다. 또한, 규칙적인 무늬는 일관되고 단정하고 성실해 보이며, 불규칙한 무늬는 자유롭고 혼란스러워 보인다고 설명하였다.
스타일을 통해서도 캐릭터의 사회적, 경제적 위치가 표현될 수 있다. 영화 <살인의 추억(2003)>에서도 촌스러운 시골 형사는 몸에 끼는 기하학적 문양의 남방셔츠에 누런 점퍼, 허리선이 높이 올라간 혼방 팬츠에 흰색 프로스펙스 운동화의 캐주얼 스타일로 표현되는 반면, 도시에서 온 형사는 와이셔츠, 사파리 재킷, 코튼 팬츠를 활용한 세미정장 느낌으로 표현되었다(Kim & Han, 2015). 또한, 영화 <기생충(2019)>에서도 가난한 기택 부부는 캐주얼 스타일로 표현되는 반면, 상류층인 동식 부부는 비즈니스 캐주얼로 표현되었다(Choi & Lee, 2020).
<Sex and the City(1998)>에서는 인물의 사회적 지위와 성격이 의상을 통해 표현되었다. 캐리는 과시적 소비를 즐기는 칼럼니스트로 등장하는데, 핑크 타이츠와 흰색의 짧은 투투 드레스 등의 조합을 통해 과감하고 로맨틱한 면모를 강조하였다. 예술품 딜러인 샬롯은 순진하고 로맨틱한 성격으로, 여성스러운 도트 원피스에 클래식한 샤넬퀼트 숄더백을 매거나, 트렌치코트와 핑크 핸드백 등의 아이템을 통해 표현된다. 사만다는 홍보직 관련 여성으로, 낮에는 전형적인 슈트와 펜슬 타이트스커트, 실크 블라우스의 사무복, 밤에는 부드러운 실크나 저지의 드레스를 선보여 섹시한 커리어 우먼의 이미지로 표현된다. 냉소적이고 지적인 변호사 미란다는 팬츠 슈트에 스트라이프 셔츠의 미니멀한 스타일로 표현된다(Kim & Han, 2015).
Ⅲ. 성격에 따른 의상 표현
1. <부부의 세계> 캐릭터의 성격유형
JTBC <부부의 세계> 홈페이지의 인물 설명에 따르면, 각 캐릭터는 다음과 같은 서사를 가진다(JTBC, n.d.). 지선우는 병원의 부원장이자, 가정의학과 전문의이다. 평온한 가정, 남편의 사랑, 기대에 부응하는 아들, 지역사회에서 인정받는 지위와 명성을 바탕으로 행복한 삶을 살아왔지만, 남편 이태오의 외도로 인해 이혼한다. 아들을 빼앗기지 않기 위해 전 남편 이태오를 경계하고 응징한다. 지선우의 전 남편 이태오는 영화감독이자 엔터테인먼트 사업가로, 인간적, 감정적, 즉흥적, 로맨틱한 사람이다. 지선우의 도움으로 차린 회사를 운영하던 중, 자신을 성공한 사업가로 봐주는 여다경과 사랑에 빠지게 된다. 여다경과 재혼 후에도 전처에 대해 미련을 가지다가 또 다시 이혼당한다. 여다경은 지역유지인 아버지를 둔 필라테스 강사로, 로맨틱한 성격의 이태오에게 매력을 느껴 불륜 관계를 유지한다. 이혼한 이태오와 결혼하지만, 이태오가 자신만을 온전하게 사랑하지 않을 것을 깨닫고 그를 떠난다.
캐릭터는 작품 속에서 창조한 가상의 인물이므로, 직접 MBTI를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캐릭터의 성격을 이해하기 위해, 시청자들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Table 5>. Ko(2022)가 제안한 MBTI 1차 행동분류 문항은 총 18개 문항(에너지의 방향 5문항, 정보인식 5문항, 의사결정 4문항, 외부세계에 대한 태도 및 행동양식 4문항)으로 구성된다. 이를 활용하여, 본 연구에서는 드라마에서 포착된 모습만을 한정하여 최종 14개 문항으로 설문을 구성하였다. 응답자들은 자신이 각각 지선우, 여다경, 이태오라고 생각했을 때 맞는 문항에 체크하였으며, 하나의 문항 당 유형 한 개만 선택하도록 하였다.
설문에는 드라마 <부부의 세계> 전편을 시청한 시청자 7인이 참여하였다. 응답자들의 평균 연령은 30.57세이며, 모든 응답자들은 전편을 시청한 횟수는 평균 1.71회이다. 결과적으로, 지선우는 ISTJ, 이태오는 ENFP로 명확하게 도출되었다. 반면, 여다경은 감각-직관, 사고-감정 유형에서 명확하게 도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여다경은 ISTP, INTP, ISFP, INFP 중에 하나의 유형으로 볼 수 있다.
시청자 MBTI 조사 결과를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캐릭터의 MBTI를 다룬 블로그 및 영상 자료를 참고하였다. 드라마의 팬덤 커뮤니티에서 재생산된 콘텐츠는 드라마의 생애주기를 연장시키고, 다양한 파생 밈(Meme)을 발생시키는 가치 있는 결과물이다(Kong, 2015). 또한, 드라마의 시청자들은 기본적으로 드라마에 대한 몰입도 및 이해도가 높기 때문에, 이들이 재생산한 정보는 캐릭터의 평가에 있어서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도 드라마 <부부의 세계> 속 캐릭터의 MBTI 유형을 분류한 시청자 분석 자료를 탐색하였다<Table 6>. 캐릭터의 MBTI를 명확하게 제시한 블로그 포스팅 및 영상 자료 7건을 활용하였다. 지선우는 ISTJ/ESTJ, 이태오는 ENFP/INFP, 여다경은 ISTP/INFP로 지목되었다. 시청자 MBTI 조사 결과와 드라마 팬덤의 리뷰 자료를 바탕으로, 지선우는 ISTJ, 여다경은 ISTP, 이태오는 ENFP로 도출할 수 있다.
외향형은 자아의 관심이 타인 및 사회, 사물, 사건 등이 있는 외부 세계를 향하고, 내향형은 자아의 관심이 상상이나 기억, 개념, 느낌 등이 있는 내부세계를 향한다(Mutlu, 2018). 이태오는 문제가 생기면 주로 친구들을 불러, 자신의 고민을 표현하고 이들의 피드백을 통해 해결하려고 한다. 반면, 지선우와 여다경은 문제가 생겼을 때, 내향형의 특성과 같이 혼자 오랜 시간을 고민하고, 거기서 답을 찾는 모습을 보인다(Park, 2020). 따라서, 이태오는 외향형, 지선우와 여다경은 내향형으로 분류된다.
감각형은 오감을 통해 정보를 수용하지만, 직관형은 있는 그대로의 정보가 아니라 연상되는 의미에 초점을 두고 정보를 수용한다(Ko, 2022). 이태오는 지선우와 여다경에게 똑같은 노래를 틀며 청혼했고, 이러한 방식이 두 여자에게 모두 통했다. 노래의 멜로디나 가사에 로맨틱한 감정을 느낀 지선우와 여다경은 감각형이고, 두 여자에게 같은 상징적 의미를 부여한 이태오는 직관형이라고 할 수 있다.
사고형이 지향하는 가치는 진실이며, 증거와 증명을 중요시 한다(Mutlu, 2018). 지선우와 여다경도 이태오의 명백한 외도사실, 그리고 외도는 반복될 것이라는 학습을 바탕으로 이별을 결정한다. 반대로, 감정형은 자신이 생각한 가치가 진실보다 앞선다(Mutlu, 2018). 이는 외도가 발각되고 나서, 지선우에게 “사랑에 빠진 게 죄는 아니잖아!”라고 말하는 감정형 이태오와 대비된다. 이는 여다경이 사고형일 가능성이 높다는 근거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지선우와 여다경은 사고형, 이태오는 감정형으로 분류된다.
한편, 지선우는 이태오를 응징하기 위해 오랜 기간 상황을 설계하고, 증거 자료를 수집했기에, 장기계획에 유리한 판단형일 가능성이 높다(Mutlu, 2018). 판단형은 종종 자신의 계획 내에서 가족을 비롯한 주변 사람들을 통제하려고 할 가능성이 있는데(Park, 2020), 결혼 생활을 잘 유지했지만, 아들에게도 자신의 스케줄을 강요하고 확인하려는 지선우의 면모는 판단형에 가깝다. 반대로, 인식형은 임기응변에 능하며, 삶의 매 순간을 즐기려는 경향이 강하다. 이태오와 여다경은 그들은 순간적인 욕망을 더 중시했고, 계획에 없던 임신이 되고 나서야 앞으로 서로의 방향성을 고민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인식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시청자 설문 및 분석자료, 캐릭터 행동을 바탕으로 한 MBTI 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지선우는 ISTJ, 여다경은 ISTP, 이태오는 ENFP로 결정되었다. 각 MBTI 유형을 Keirsey and Bates(1984)의 분류에 적용하면, 지선우는 에피메테우스형(SJ), 여다경은 디오니소스형(SP), 이태오는 아폴론형(NF)으로 분류되었다.
2.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의상 표현
첫째, 지선우의 의상은 대부분 색상이 어우러져 조화를 이루기보다, 부분적인 패션 아이템(머플러, 스카프, 팬츠 또는 셔츠)을 통한 포인트를 주는 방식으로 표현되었다. 이는 내향형, 감각형이 다른 유형 보다 부분적인 지각을 한다는 Lee & Park(1998)의 연구 결과와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다. 지선우의 의상은 <Fig. 1>과 같이 주로 머플러나 스카프를 통해서 의상에 포인트를 주는 방식으로 연출되었다. 둘째, 지선우는 판단형이기 때문에 원색 톤의 컬러도 선호 색상으로 사용할 수 있다(Han, 2011). 인식형인 이태오, 여다경과는 달리, 지선우의 의상에는 강렬한 원색 컬러의 의상이 등장한다. 지선우 의상에서는 레드, 블루, 퍼플, 그린, 블랙 컬러가 단일 컬러로 사용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강렬하면서도 절제되고 우아한 이미지로 연출되었다<Fig. 2-3>.
셋째, 전반적으로 정숙하고 우아하게 연출되었다. 에피메테우스 기질은 결혼서약을 충실히 지키는 편으로, 가정환경이나 업무방식, 회사동료가 자주 바뀌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Keirsey & Bates, 1998). 지선우의 의상도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면 노출이 거의 없는 정숙한 스타일로 일관되게 표현된다. 이는 의사라는 직업의 환경적 특징, 현모양처라는 극 중 설정에 의한 것일 수도 있으나, 실제로 내향형, 감각형, 사고형, 판단형의 유형들이 추구하는 의복 스타일과 부합한 것이다. Jon & Kim(2001)의 연구에서도 내향형이 외향형에 비해 정숙성이 높게 나타났다고 하였는데, 지선우의 의상에서도 이러한 경향성이 나타났다. 슬립만 입고 등장하는 여다경과 달리, 지선우는 <Fig. 4>와 같이 슬립 위에 항상 가운이나 가디건을 걸쳐 노출을 최소화하였다.
넷째, <Fig. 5>와 같이 외출복은 대부분 블루, 네이비, 브라운 아이템으로 우아하면서도 보수적으로 표현되었다. Oh(2001), Oh & Kim(2006)의 연구에서도 판단형은 우아한 이미지를 선호하며, Kim et al.(2012)의 연구에서도 내향형, 사고형, 판단형이 보수적, 지적 이미지를 추구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경향성이 ISTJ인 지선우의 의상에서도 표현되었다. 다섯째, 지선우의 실내복은 편안하고 내추럴하게 연출되었다. 사고형은 내추럴한 스타일을 지배적, 로맨틱한 스타일을 종속적이라고 지각하며(Sweat & Zenter, 1985), 감각형과 감정형은 편안한 이미지를 추구한다(Kim et al., 2012). 지선우는 주체적인 삶을 살아가는 커리어우먼이며, 사고형으로 추정되므로, 지선우의 성격에 맞는 의상 표현이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외출복과 달리, 지선우의 실내복은 <Fig. 6> 같이 케이프나 숄을 사용하여 넉넉하게 연출되었고, 화이트, 베이지, 페일 핑크 등의 컬러를 통해 포근하고 내추럴하게 표현되었다.
여다경은 지선우와 마찬가지로, 내향형, 감각형, 사고형의 특질을 가지고 있다. 인식형이라는 점이 판단형인 지선우의 차이로, 디오니스소 유형(SP)이다. 의상 표현에서 나타난 특징으로, 첫째, 여다경의 의상도 지선우와 마찬가지로, 색상의 조합보다는 포인트 컬러를 통한 부분을 강조하였다. 머플러, 스카프, 장갑 등의 액세서리를 통해 포인트를 주는 지선우와 달리, 여다경의 의상 표현에서는 <Fig. 7>과 같이 화이트 컬러 아이템을 다른 컬러 아이템과 대비시켜서 강조하였다.
둘째, 결혼 전 여다경은 같은 내향형인 지선우와 다르게 신체 노출이 있는 의상을 착용한다<Fig. 8>. 내향형은 정숙성의 정도가 외향형에 비해 높다는 선행연구 결과가 있으나(Jon & Kim, 2001), 여다경의 결혼 전 의상은 그렇지 않다. 여기에는 두 가지 의미를 부여할 수 있었는데, 해당 시점이 극의 전개상 여다경이 이태오를 유혹해야 하는 시점이기 때문이다. 또한 인식형이 또래와 비슷한 의상을 착용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Lee & Park, 1998), 인식형인 여다경이 20대 젊은 여성 스타일을 추구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여다경의 의상에서도 어린, 젊음을 상징하는 봄의 컬러와 파스텔 컬러가 색채의 상징적 의미로서 표현되었다. <Fig. 9>처럼 여다경의 젊음은 화이트 롱 스커트에 베이비 핑크나 베이비 블루 컬러의 니트의 매치, 핑크, 옐로, 화이트, 베이지 등 명도가 높은 컬러의 의상으로 표현된다. 반면, 지선우나 여다경의 엄마 엄효정은 원색의 강렬한 컬러로 표현된다. 이를 바탕으로, 드라마에서 강렬한 원색 컬러는 중년을, 높은 명도의 파스텔 컬러는 청년을 상징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결혼 후의 여다경은 블랙이나 화이트 컬러, 단색의 심플한 디자인의 의상으로 표현되었다. 특히, 거의 유사한 디자인이지만, 디테일이 조금씩 다른 블랙 컬러의 원피스가 자주 등장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보수적이고, 정숙하고, 단정한 이미지를 선호하는 내향형, 사고형의 의복 행동이 반영된 것으로도 해석된다(Kim et al., 2012). Jon & Kim(2001)에 따르면, 내향형은 외향형에 비해 사치성의 정도가 낮고, 정숙성의 정도가 높은데, 내향형인 여다경의 대사에서도 이러한 면모가 드러난다. <Fig. 10>은 여다경이 자신의 엄마와 파티 때 입을 원피스를 고르는 장면이다. 여다경의 엄마는 강렬한 레드 컬러의 드레스를 추천하지만, 여다경은 “힘주면 오히려 촌스러워”라고 말하며 페일 핑크 컬러의 정숙하고 단순한 디자인의 드레스를 선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크롭 티셔츠에 스키니진, 파자마 칼라의 스트라이프 셔츠, 새틴 소재의 레이어드 원피스, 트로피컬 패턴의 드레스처럼 클래식하기 보다는 트렌디하고 다채로운 의상들이 등장하였다<Fig. 11>. 외출복과 실내복이 일관적인 스타일로 표현되는 지선우와의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변화와 다양함을 추구하는 디오니소스 유형의 특징과 일맥상통한다(Keirsey & Bates, 1998). 다섯째, 여다경과 지선우는 모두 사고형이 선호하는 단순한, 여성적인, 서구적, 보수적, 지적인 이미지로 표현되었다(Kim et al., 2012), 여다경도 지선우처럼 자기 확신을 바탕으로, 타인을 의식하지 않는 당당한 모습을 보인다. 이에 따라, 사고형이 지배적이라고 지각하는 내추럴한 느낌이 컬러와 실루엣으로 표현되었다. 여다경의 실내복은 화이트 컬러의 니트, 넉넉한 오버사이즈의 오프숄더 니트, 편안한 저지 소재의 바지가 활용되었으며, 뉴트럴 컬러가 주로 사용되었다<Fig. 12>.
아폴론적 기질은 직관, 감정형으로 음악이나 아름다운 인용구를 사용하여 구애하며, 자신의 구애를 극적이고도 완벽한 사랑으로 변모시키는 재주가 있는 로맨틱한 유형이다(Keirsey & Bates, 1998). 이태오 의상 표현에 나타난 첫 번째 특징은 클래식한 스타일의 외출복이다<Fig. 13>. 이는 직관형이 클래식하고 드라마틱한 스타일을 선호한다는 Sweat & Zenter(1985)의 연구 결과와 부합한다. 여기에 ENFP의 활동적인 성격이 가미되어(Oh & Kim, 2006), 단추를 몇 개 풀기도 하고, 와이셔츠 대신 니트나 티셔츠, 헨리넥 셔츠와 같은 아이템들의 사용을 통해 활동성이 표현되었다.
둘째, 네이비, 그레이, 브라운의 컬러의 조합, 화이트와 베이지의 컬러 조합을 통해 전체적인 색상 조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Lee & Park(1998)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외향형과 직관형은 색상 조화단서에 민감한데, 이태오의 의상에서 나타나는 컬러 조화는 특정 컬러의 아이템을 강조했던 내향형 지선우, 여다경의 의상 표현과 차이를 보인다. <Fig. 14>에서도 같은 채도, 비슷한 명도의 버건디와 네이비 컬러를 적절하게 매치시켰다. 셋째, ENFP의 특징인 따뜻하고 다정한 성격이 이태오의 실내복으로 표현되었다. 이태오의 실내복은 주로 포근한 니트나 부드러운 저지 소재들로 구성되어 있다. <Fig. 15>와 같이 이태오의 실내복이 모노톤이나 뉴트럴 컬러 위주여서, 아내와 아이에게 편안하고 다정한 느낌을 주는 남편으로 표현되었다.
넷째, 이태오의 경제적 상황도 의상을 통해 표현되었다. <Fig. 16>은 이태오가 지선우에게 프로포즈하는 장면이다. Shin & Kim(2019)에 따르면, 브라운 컬러는 인물의 가난한 상태, 의기소침한 상태를 의미하기도 하는데, 드라마 <부부의 세계>에서도 성공 전 이태오의 가난한 상태를 표현하였다. 또한, 지선우의 경우, 하얀 의사 가운에 수술복을 안에 입고 있어서 다소 차가운 느낌을 주는 반면, 상대적으로 이태오는 따뜻하고 두터운 브라운 코듀로이 셔츠를 입는다는 것이 대조적이다. 가족 없이 외로웠던, 지선우의 차가운 성격과는 달리, 다정하고 로맨틱한 이태오의 성격이 의상을 통해 표현되었다.
다섯째, ENFP는 혁신적이고 이국적인 이미지를 추구하기도 하는데(Oh & Kim, 2006), 이태오의 의상도 터틀넥을 자켓과 매치하거나, 머플러를 코트 안으로 길게 늘어뜨리는 등 클래식한 의상에 변주를 주었다. <Fig. 17>은 이태오의 옷장으로, 에스닉 프린트, 경쾌한 스트라이프, 기하학적 문양의 셔츠가 보인다. 직관형이 이국적이고 신비로운 이미지를 선호한다는 Oh & Kim(2006)의 연구와도 일맥상통한다. 여섯째, 외향형은 내향형보다 정숙성보다는 사치에 더 중점을 둔다는 연구 결과가 있었는데(Jon & Kim, 2001), 이태오의 의상과 들고 있는 소품에서 이러한 요소들이 연출되었다. <Fig. 18>과 같이 화려한 시계, 와인, 고급 승용차 등이 이태오의 수트와 어우려져 과시적이고, 사치스러운 모습으로 연출되었다.
Ⅳ. 신화적 원형 패턴에 따른 의상 표현
1. 신화적 원형 패턴 도출
그리스 신화 원형과 드라마 <부부의 세계> 속 캐릭터를 매칭하여, 그리스 신화적 원형을 추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7>. 지선우의 경우, 남편의 외도로 배신당한 시점(헤라), 복수하는 시점(메데이아), 과잉 모성애를 보여주는 시점(데메테르)으로 구분하였다. 이태오는 외도 시점(제우스), 성공과 발전 시점(헤파이스토스), 파멸 시점(이아손)으로 구분하였다. 여다경은 관능적이고 도전적인 시점(아프로디테), 완전한 가정을 꿈꾸고 현모양처로 살아가는 시점(헤라), 자신의 딸과 전처 지선우의 아들을 양육하는데 몰두하는 시점(데메테르), 파멸시키는 아내 시점(메데이아)으로 구분하였다.
헤라는 결혼을 통한 완벽한 삶을 지향하며, 자신의 결혼 생활에 위협이 되는 상대에게 분노를 느끼는 여신이다. 헤라는 외도한 이들을 단죄함으로써 자신의 완벽성을 고수한다(Ji & Hong, 2018). 이혼 전 가정을 통해 완벽을 추구하고, 끝까지 이태오와 여다경을 단죄하고자 하는 지선우의 모습과 상당히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제우스는 성공신화를 일군 남자의 자신감을 상징하는 신이다(Lee, 2016). 바람둥이로 알려져 있으나, 정식결혼을 통한 아내 헤라를 떠나지는 않는다. 이태오는 여다경에게 남자로서 인정받고, 처가의 재력을 바탕으로 성공했을 때 가장 과시적인 면모를 보인다. 그러나, 그는 첫 아내인 지선우를 떠나려 하지 않으며, 외도가 밝혀졌을 때 여다경을 정리하겠다고 항변한다. 극의 초반 자신만만한 이태오의 모습은 제우스의 원형과 유사하다.
제우스와 헤라의 관계는 지선우와 이태오의 관계와 닮아있다. 제우스는 아내의 눈을 피해 몰래 바람을 피우면서도 아내를 바꾸지 않는다. 헤라 또한 남편 제우스를 떠나지 않는다(Lee, 2016). 바람을 피웠지만 지선우를 늘 마음에 두는 이태오는 제우스로 표현될 수 있을 것이다. 지선우는 남편 없이도 스스로 사회적 지위를 얻었기 때문에 헤라의 원형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그러나, 극단적인 선택을 하려는 이태오를 달려가 안아주는 지선우의 모습은 헤라의 원형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데메테르는 넉넉한 인심으로 도움 주기를 좋아하나, 자식에 대한 독점욕이 강해 과도하게 통제한다는 특징이 있다(Lee, 2016). 이러한 모습은 지선우와 여다경 모두에게서 발견된다. 지선우는 아들의 친구에게도 친절을 베푼다. 그러나, 아들이 누구를 만나는지, 아빠와 연락을 했는지 등 아들을 과도하게 통제하려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아들이 엄마와의 갈등으로 아빠에게 갔을 때, 지선우는 망연자실하여 극단적인 선택을 시도하기도 한다. 이 시기는 지선우에게 데메테르의 전형적인 원형이 드러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지선우는 결국 남편을 외면하지 못했지만, 남편에게 돌아가지 않고 아들을 기다리는 것을 선택했다. 따라서, 지선우의 결말은 헤라가 아닌 데메테르 원형으로 구분된다.
여다경은 결혼 후, 자신의 딸과 남편이 전처와의 사이에서 낳은 아들을 잘 보살핀다. 그러나, 여다경은 부모가 없는 사이 자신이 낳은 딸이 울음을 터뜨리자, 바로 전처의 아들 준영이를 가해자로 여기며 타박한다. 가정을 유지하기 위하여 준영이를 자신의 곁에 두고자 집착하지만, 한편으로는 멀리 유학을 보내서 준영이를 떼어놓으려고 한다. 이는 헤라의 원형과 데메테르의 원형이 복합적으로 발현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타인의 아이에게도 순수하게 친절을 베 푸는 지선우의 모성과 달리, 여다경의 모성은 다른 의도를 숨기고 있다.
아프로디테는 창조적, 열정적, 직관적인 성격으로, 감정에 충실하다(Lee, 2016). 아프로디테의 욕망은 양심이나 죄의식이 없기에 항상 전쟁과 불화를 유발한다. 결혼 전 여다경은 이태오의 가족과 지인들을 모두 알고 있으면서도 개의치 않고 연애를 했다. 이는 여다경에게 나타나는 아프로디테의 원형이다. 헤파이스토스는 어머니 헤라나 아내 아프로디테에게 복수하기 위한 장치를 만드는데 자신의 출중한 재능을 사용한다. 이태오도 영화 제작자로서 성공했지만, 자신의 성공을 지선우에게 과시하는데 사용하고자 하는 면모를 보인다. 이태오의 성공에도 주변 지인들은 그를 무시하는데, 올림포스의 신이지만 비교적 낮은 대우를 받았던 헤파이스토스와 유사하다(Lee, 2016).
메데이아는 이아손의 배신 전에는 남편에게 헌신적인 좋은 아내지만, 배신 이후에는 파괴적인 성품을 보여준다. 극 중, 지선우와 여다경은 모두 이태오의 배신 이후에 그를 응징한다. 메데이아는 현대에서 주체적이고 능력 있는 여성을 상징하는데(Choi, 2021), 지선우는 이태오와 이별 후 직장에서 승진하였고, 여다경은 하고 싶었던 공부를 시작한다. 이들의 메데이아 시기는 커리어를 쌓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이혼 후 메데이아의 원형이 드러난 지선우와 다르게, 이태오는 새로운 아내인 여다경과 그녀의 아버지에게 큰 도움을 받아 성장하였다. 그러므로, 이태오가 지선우에게 버려진 시기는 이아손의 원형이 드러난 시기라고 볼 수 없다. 이태오가 모든 것을 잃은 시기는 여다경에게도 이혼당한 시기이다. 이태오는 아내의 도움을 받았지만, 이를 배신하고 모든 것을 잃는 이아손의 원형을 상징한다.
2. 지선우의 시기별 의상
지선우의 헤라 시기는 이혼 전, 남편과 아들 모두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시기이다. 헤라시기 지선우의 의상은 대체로 밝은 컬러, 옐로나 화이트 계열의 의상으로 표현되었다. <Fig. 19>에서도 옐로 컬러의 스웨터에 넝쿨 문양이 장식된 화이트 컬러의 스커트로 표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Haller(2019)를 비롯한 선행연구에 따르면, 옐로에는 행복함, 긍정적, 자신감, 즐거움, 친근함의 상징이 있으며, 화이트에는 완벽함, 순수, 평화로움의 상징이 있다. 완벽한 결혼과 가정을 상징하는 헤라 여신이 원형패턴으로서 발현된 시기에는 지선우의 의상도 전반적으로 곡선적인 실루엣과 밝은 컬러로 표현되었다.
지선우에게 메데이아의 원형이 드러난 시기란, 결혼 생활을 정리하고 이태오와 여다경에게 복수를 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기에 의상에서도 가장 큰 변화들이 나타났다. 먼저, 메데이아 시기에는 관능적인 의상들이 등장한다. <Fig. 20>은 지선우와 이태오가 와인을 마시는 장면으로, 셔츠 칼라가 목 뒤쪽으로 쏠리면서 목이랑 쇄골이 노출되는 시스루 블라우스를 착용하였다. 노출이 전혀 없었던 헤라 시기나 데메테르 시기, 원래 지선우의 MBTI 성격에 따른 의상 표현과 대조적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블랙, 레드, 블루, 퍼플 등의 강렬한 컬러와 이에 대한 상징적 의미들이 나타났다. 지선우는 이태오의 친구를 유혹하며 그를 위협할 때, <Fig. 21>과 같이 블랙 컬러의 드레스를 입기도 한다. 이는 지선우의 첫 일탈적 행동이기도 한데, 블랙 컬러의 상징적 의미인 매력, 악, 위협의 요소가 지선우의 일탈적 심리, 남편에 대한 복수, 사회도덕적 통념의 위반과 결합하여 의상으로 표현되었다. <Fig. 22>에서는 레드 컬러의 코트, 블루 컬러의 롱 부츠, 가죽 장갑, 사격용 총을 활용하였다. 메데이아의 원형이 가진 남편에 대한 분노, 복수심, 잔혹함이 레드의 색채상징인 분노, 긴장, 폭력 등과 결합하여, 표현되었다.
지선우에게 데메테르 시기란, 삶의 목적이 남편에 대한 복수가 아니라, 자식과 함께 하는 행복한 삶인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기에는 이태오와의 갈등보다는 아들과의 갈등에 초점이 맞춰 극이 전개된다. 데메테르 시기의 지선우의 의상은 전반적으로 넉넉한 실루엣, 파스텔, 뉴트럴 컬러의 사용을 통해 편안한 느낌으로 연출되었다. <Fig. 23>와 같이 편안한 실루엣의 오버핏 셔츠나 오버핏 원피스, 니트와 와이드 팬츠로 표현되었다. 파스텔 톤의 부드러운 컬러의 사용을 통해, 강렬한 컬러의 메데이아 시기와 대조적이다. 또 다른 특징으로, 다양한 의상 연출이 이 시기에 시도되었다는 것이다. 남편과 아들에 대한 갈등이 해소되고 나서, 지선우의 의상도 치파오 원피스, 청바지, 트위드 자켓을 통해, 전보다 다양하게 연출되었다<Fig. 24>.
3. 여다경의 시기별 의상
여다경의 아프로디테 시기는 이태오를 유혹하는 시기로, 현실적 상황보다는 자신의 감정과 연인에게 충실한 시기이다. 이 시기에 여다경은 미니스커트, 타이트한 니트, H라인 스커트, 스키니진과 같이 몸매가 드러나는 의상으로 표현되었다<Fig. 25>. <Fig. 26>과 같이 잠시 필라테스 강사로 일할 때에는 타이트한 크롭 탑과 레깅스를 착용하기도 하였다. 이것은 내향형이 의상에서 정숙성을 추구한다는 Jon & Kim(2001)의 연구 결과와 상충하는 부분이다. 이는 신화적 원형에 따른 것으로, 캐릭터가 추구하는 목적이 연애에 있던 시기(아프로디테)와 결혼 생활의 유지(헤라) 및 육아에 있던 시기(데메테르)일 때의 의상 표현 차이로 나타났다.
아내와 엄마의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 헤라 시기와 데메테르 시기의 여다경은 넉넉하고 포근한 소재의 니트, 단순한 디자인의 가디건, 롱 원피스 등으로 표현되었다<Fig. 27-28>. 특히, 이 시기 여다경의 의상은 <Fig. 29>와 같이 핑크 컬러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은데, 핑크의 긍정적 의미인 자녀에 대한 사랑, 여성성, 지원, 돌봄, 포옹이 상징화됨과 동시에, 부정적 의미인 억제, 불안, 피로, 연약, 결핍을 상징한다. 이는 남편과 자녀에 대한 사랑과 동시에, 후처로서의 감정 억제, 경쟁 상대에 대한 불안, 남편과 아이를 모두 돌봐야 하는 피로를 대변한다고 해석된다. 가정에서의 여다경은 화이트 컬러의 의상을 많이 착용하였으며, 이외에도 베이지, 파스텔 블루, 파스텔 핑크와 같은 명도가 높은 의상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았다.
메데이아 시기의 여다경은 이태오를 떠나 아내의 역할을 버리고, 하고 싶었던 미술 공부를 시작한다. 메데이아 시기의 여다경의 의상에서는 처음으로 지선우와 같은 투피스 정장이 등장한다<Fig. 30>. 지선우가 그리스 신화 원형패턴과 상관없이 모든 시기에서 투피스를 즐겨 입었다는 것을 감안하면, 투피스는 드라마 <부부의 세계>에서 여성의 커리어에 대한 상징이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메데이아 시기의 여다경의 투피스는 아내로서 역할을 버림과 동시에 커리어 개발에 대한 시작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
3. 이태오의 시기별 의상
이태오의 제우스 시기는 남자로서 자신감이 가장 넘치는 시기, 아내와 애인에게 모두 사랑받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제우스는 올림포스의 최고 권력자이지만, 이태오에게 제우스 시기는 강인한 남성의 이미지보다는 부드러운 남성의 이미지로 표현되었다<Fig. 31>. 제우스 시기의 이태오는 주로 화이트, 파스텔, 뉴트럴 컬러의 의상으로 표현되었으며, 니트나 가벼운 린넨 소재의 셔츠를 통해 부드럽고, 친근하고, 자상한 이미지로 표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시기의 이태오의 의상을 살펴보면, <Fig. 32>와 같이 회사에서도 수트 보다는 편안한 셔츠에 니트를 착용한 비즈니스 캐주얼한 의상을 입었다.
헤파이스토스 시기는 이태오가 가장 사회적, 직업적으로 성공한 시기이자, 동시에 전 와이프 지선우에 대한 미련으로 욕심을 부리는 시기이다. 헤파이스토스가 아프로디테와 아레스의 불륜 관계를 만천하에 폭로한 것처럼, 이태오도 지선우와 김윤기의 관계에 불만을 품고 이들을 주시한다. 이 시기의 이태오는 <Fig. 33>과 같이 수트, 타이, 구두, 시계, 브리스 케이스를 완벽하게 갖춰 입는 모습으로 표현된다. 영화 제작사의 CEO이며, 예술가적인 직업 특성을 표현하기 위해 <Fig. 34>와 같이 무채색이나 낮은 채도의 터틀넥, 머플러를 와이셔츠 대신 착용하기도 한다. 제우스 시기에는 부드럽고 자상한 이미지로 표현되었다면, 헤파이스토스 시기에는 성공에 대한 열망이 가장 강한시기인 만큼, 포멀웨어를 통해 격식 있고, 무겁고, 정돈된 이미지로 표현되었다.
이아손 시기는 이태오가 두 여자에게 모두 버림받고, 사회적, 경제적 지위를 박탈당한 시점이다. 이 시기에 나타나는 첫 번째 특징은 정돈되지 않은 의상의 상태이다. <Fig. 35>는 이태오가 모든 것을 잃고, 삶의 의지를 포기한 장면에서는 헝클어진 머리, 밖으로 삐져나온 셔츠, 여미지 않은 셔츠 단추를 통해 그의 심리상태와 상황이 표현되었다. 두 번째 특징으로는 포멀웨어, 비즈니스웨어에서 캐주얼웨어로 스타일이 변화하였다는 것이다. <Fig. 36>은 이태오가 자신이 쓴 시나리오를 돌리며, 영화 제작사들에게 투자를 요청하는 장면이다. 수트나 자켓을 대신하여 사파리 점퍼를 착용하고, 브리프 케이스 대신 노트북 가방을 착용하여 그의 사회적, 직업적 위치 변화를 표현하였다.
Ⅴ. 결론
최근 K-드라마가 전 세계 각지에서 작품성과 흥행성을 인정받게 되면서, 작품 속에 등장하는 의상도 이전보다 더욱 주목받게 되었다. JTBC의 드라마 <부부의 세계>는 메데이아 신화를 소재로 하는 리메이크 드라마로서, 작품성을 인정받음과 동시에 아시아 국가들을 상대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드라마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MBTI 성격유형 이론, Keirsey and Bates(1998)의 네 가지 특질이론, 그리스 신화 원형패턴을 활용하여 JTBC 드라마 <부부의 세계>에 나타난 주요 캐릭터 3인의 의상 표현을 알아보았다. 설문 조사, 시청자 분석 자료, 캐릭터의 행동을 바탕으로 한 MBTI 분석을 통해, 지선우는 ISTJ/에피메테우스, 여다경은 ISTP/디오니소스, 이태오는 ENFP/아폴론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MBTI 성격유형과 의복 행동과 의 관계를 규명한 선행연구와 드라마 <부부의 세계> 속 의상 표현 방법이 상당 부분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선우(ISTJ, 에피메테우스)의 의상 표현 특징은 내향형, 감각형의 특징인 포인트 컬러의 사용, 내향형의 정숙하고 내추럴한 스타일 선호, 판단형이 선호하는 원색의 사용으로 나타났다. 여다경(ISTP, 디오니소스)의 의상은 결혼 전과 후에서 정숙성의 정도 차이가 나타났다. 결혼전에는 내향형의 특징인 높은 정숙성보다는, 디오니소스 유형의 특성인 다양한 변화의 반영, 판단형의 특성인 젊은 이미지의 추구가 반영되었다. 이태오(ENFP, 아폴론)의 의상은 외향형의 특징인 전체 색상의 조화 추구, 외향형과 직관형의 특징인 혁신적이고, 친근하고, 사치스럽고, 클래식 이미지의 추구로 나타났다.
신화적 원형이 바뀜에 따라, 캐릭터의 의상 표현도 변화하였다. 같은 원형이 발현되었어도, 캐릭터가 처한 상황에 따라 표현 방법에 차이가 나타났다. 화이트가 가지는 ‘완벽’의 의미는 헤라 시기에 ‘완벽한 결혼 생활’로서 의상 표현에 활용되었다. 메데이아 시기 지선우 의상에서는 색채상징을 통한 관능미, 분노, 복수가 표현되었으나, 여다경 의상에서는 투피스를 통한 새로운 커리어의 시작으로 표현되었다. 데메테르 시기에는 모두 편안하고 포근한 소재와 실루엣을 통해, 따뜻한 어머니의 모습으로 표현되었다. 제우스 시기의 이태오 의상은 친근하고 자상하게 표현되었으나, 성공을 열망하는 헤파이스토스 시기에는 강렬하고 무겁게 표현되었다.
본 연구의 한계는 다음과 같다. 작품 속 캐릭터의 MBTI 분석에 관련된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 그러하듯, 제3자의 입장에서 드라마의 대사 및 행동만을 바탕으로 캐릭터의 MBTI유형을 정확히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보완하기 여러 단계의 조사를 거쳐, 캐릭터의 최종 MBTI 유형을 도출하였으나, 실제 제작자가 설정한 캐릭터와 시청자가 바라보는 캐릭터의 성격에는 차이가 존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캐릭터의 의상은 각 캐릭터의 외모, 성격, 심리를 반영하여 설계되는 반면, 본 연구는 상향식 접근을 따르고 있다. 드라마 <부부의 세계>는 확실한 모티프가 존재하고, 선행연구에서 확인된 유의미한 결과들이 각 캐릭터의 의상 표현에 잘 반영되었으나, 모든 K-드라마에 적용되기에는 한계가 따른다.
본 연구는 MBTI와 Keirsey의 4가지 기질, 그리스 신화적 요소를 활용하여 드라마 의상 분석에 새롭고 융합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현재 <기생충>, <오징어 게임>, <파친코> 등의 작품이 전 세계적으로 작품성을 인정받고 있는 시점에서, K-드라마 의상 분석은 시의적절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MBTI 도출 방법 및 결과를 활용하여, 다양한 작품 속 의상을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K-콘텐츠 속 의상에 대한 연구가 다양한 관점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References
- Anarcon, J. P. (2020). How ABS-CBN quickly acquired airing rights of K-Drama The World of a Married Couple. PEP.ph News, Retrieved from https://www.pep.ph/guide/tv/152393/world-of-married-couple-abs-cbn-a724-20200702
- Bae, S. H. & Kim, M. H. (2020). A study on the color symbolism of the clothes according to the character type of the TV drama ‘SKY Castle’.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61, 21-35. [https://doi.org/10.18555/kicpd.2020.61.03]
- Chang, Y.-R. (2021). Medea’s gender trouble and the ambivalence of archetypal feminity. Journal of Mediterranean Area Studies, 23(4), 81-107. [https://doi.org/10.18218/jmas.2021.23.4.81]
- Choi, S.-K. (2021). A study on the patterns of mythological archetypes of characters in Korean melo dramas about infidelity: Focusing on <The World of the Married>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 Choi, Y.-H. & Lee, K.-H. (2020). Social class in modern film costumes: Focused on Bong Joon-Ho's <Parasit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44(5), 856-877. [https://doi.org/10.5850/JKSCT.2020.44.5.856]
- Fiore, A. M. & Kimle, P. A. (1997). Understanding aesthetics for the merchandising & design professional. New York, U.S.: Fairchild Publications.
- Haller, K. (2019). The little book of colour: How to use the psychology of colour to transform your life. Dublin, UK: Penguin Random House UK.
- Han, C. A. (2011). Relevance of the preferring color & tone and personality type from MBTI by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Design Culture, 17(1), 641-652.
- Hjelle, L. A. & Ziegler, D. J. (1992). Personality theories: Basic assumptions, research, and applications (3rd ed.). New York, U.S.: Mcgraw-Hill Book Company.
- Hong, M. & Yi, E. (2020).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ity changes and costume colors of characters in disney animations and live action films. Archives of Design Research, 33(4), 191-218. [https://doi.org/10.15187/adr.2020.11.33.4.191]
- Jon, M.-S. & Kim, Y.-I. (200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lothing behavior and the MBTI personality type.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0(1), 57-71.
- Ji, S. H. & Hong, J. H. (2018). Read people in Greek mythology [그리스 신화에서 사람을 읽다]. Seoul, Republic of Korea: Boasbook.
- Jin, K. (2017). Fashion styling film. Busan, Republic of Korea: Sanzinibook.
- JTBC (n.d.). <The World of the Married> character introduction. Retrieved from https://tv.jtbc.joins.com/cast/PR10011175
- Jung, C. G. (1971). Psychological types. Princeton, NJ, U.S.: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 Kahng, H. W., Lee, K. S., Koh, A. R., Chung, M. S., Nam, M. W. & Kim, Y. J. (1984).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Paju, Republic of Korea: Kyomunsa.
- Keirsey, D. W. & Bates, M. (1998). Please understand me II: Temperament, character, intelligence. Carlsbad, CA, U.S.: Prometheus Nemesis Book Company.
- Keirsey, D. W. & Bates, M. (1984). Please understand me: Character and temperament types. Carlsbad, CA, U.S.: Prometheus Nemesis Book Company.
- Kim, H. (2022). Kim Heon's Greek and Roman mythology [김헌의 그리스 로마 신화]. Seoul, Republic of Korea: Eulyoo Publishing Co.
- Kim, H. S., Lee, J. Y. & Lee, Y. H. (2012). Fashion image preference, pursued image and self-image satisfaction of business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2(1), 1-13. [https://doi.org/10.7233/jksc.2012.62.1.001]
- Kim, J.-C. (2006). Types de personnalité de lycéens et leurs préférences des stratégies d'apprentissage: Une application de la grille de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éclairée par celle de Keirsey. Societe Coreenne d'Enseignement de Langue et Litterature Francaises, 23, 53-80.
- Kim, N., Jeon, M., Choi, J., Lee, H., Lee, J., Lee, S., ... & Lee, H. (2021). Trend Korea 2022. Seoul, Republic of Korea: Miraebook.
- Kim, S. J. (2016). Greek mythology read through psychology [심리학으로 읽는 그리스 신화]. Seoul, Republic of Korea: Boaz.
- Kim, Y.-K. & Lee, K.-h. (2000). A study on the visual sensibility of clothing patter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4(6), 861-872.
- Kim, Y. M. (2021). A study on cultural reciprocity in the TV drama <The World of the Married>: Focused on people, spaces, and objects. Proceedings of Korean Association for Literacy, 321-329.
- Kim, Y. S. (2013). Movie costume [영화 의상]. Seoul, Republic of Korea: CommunicationBooks.
- Kim, Y. S. (2017). Movie costume design [영화 의상 디자인]. Seoul, Republic of Korea: Communication Books.
- Kim, Y. S. & Han, S. Y. (2015). Fashion and video culture [패션과 영상문화]. Paju, Republic of Korea: Gyomoonsa.
- Ko, Y. (2022). The MBTI you knew is not the real MBTI [당신이 알던 MBTI는 진짜 MBTI가 아니다]. Seongnam, Republic of Korea: Inspiration Books.
- Kobayashi, S. (1981). The aim and method of the color image scale. Color research & application, 6(2), 93-107. [https://doi.org/10.1002/col.5080060210]
- Kong, B. (2015). A study on the UCC and fanfiction creation/production process of drama fandom community. Media Convergence Research, 22, 1-43.
- Koo, Y. (2017). Greek Roman mythology of sensuality and provocation [관능과 도발의 그리스 로마 신화]. Seoul, Republic of Korea: Pacific Books.
- Lazarus, R. S. & Monat, A. (1979). Personality. Englewood Cliffs, NJ, U.S.: Prentice-Hall.
- Lee, H. H. & Park, C. B. (1998). Effects of clothing cues and perceiver’s personality traits variables on impression 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2(3), 341-352.
- Lee, J. H. (2016). Greek mythology, 12 stars in my heart: 12 keywords to understand humans [그리스 신화, 내 마음의 12별: 인간을 이해하기 위한 키워드 열둘]. Paju, Republic of Korea: Sallimbooks.
- Lee, J. S. (2004). Understanding Greek mythology [그리스 신화의 이해]. Paju, Republic of Korea: Acanet.
- Lee, M. J. (2020, May 8). The secret to the popularity of Korea's 'The World of the Married' as seen by the British media... 3 things not in the original [英언론이 본 韓‘부부의 세계’ 인기비결⋯원작에는 없는 3가지]. The JoongAng, Retrieved from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772221
- Mischel, W., Shoda, Y., & Ayduk, O. (2008). Introduction to personality: Toward an integrative science of the person. Hoboken, NJ, U.S.: John Wiley & Sons.
- Mo. W. I. (Producer) & Joo, H. (Director). (2020). The World of the Married [TV series]. Korea: Joongang Tongyang Broadcasting Company.
- Morton, J. (1997). A guide to color symbolism. Honolulu, HI, U.S.: Colorcom.
- Mutlu, V. (2018). Relationship of personality types and strategy choices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Sustainable Multilingualism, 13(1), 146-163. [https://doi.org/10.2478/sm-2018-0015]
- Myers, I. B., McCaulley, M. H., Quenk, N. L. & Hammer, A. L. (1998). MBTI manual: A guide to the development and use of the Myers-Briggs Type Indicator. Palo Alto, CA, U.S.: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 Myers, I. B. & Myers, P. B. (1980). Gifts differing: Understanding personality type. Boston, MA, U.S.: Davies-Black Publishing
- Oh, J.-Y. & Kim, Y.-C.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hair style and clothing image preference by personality types in college student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4(4), 635-646.
- Oh, H.-J. (2001). The preferred clothing images and clothing behaviors on personality typ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5(3), 606-616.
- Park, C. Y. (2020). The meaning of MBTI: Carl Jung’s epistemology [MBTI의 의미: 칼 융의 인식론]. Gunsan, Republic of Korea: Haum.
- Park, C. Y. (2022). The meaning of MBTI: Is MBTI a science? [MBTI의 의미: MBTI는 과학인가?]. Gunsan, Republic of Korea: Haum.
- Park, G. H., Seong, H. S., Lee, M. S. & Kim, H. M. (2021). Greek Roman mythology characters dictionary 10 [그리스 로마 신화 인물사전 10]. Paju, Republic of Korea: Korea Institute of Humanities and Classic.
- Pépin, C. (2017). 50 nuances de Grecs: Encyclopédie des mythes et des mythologies. Paris, France: Dargaud.
- Radeloff, D. J. (1991). Psychological types, color attributes, and color preferences of clothing, textiles, and design student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9(3), 59-67. [https://doi.org/10.1177/0887302X9100900309]
- Shin, H. W., & Kim, H. R. (2019). Fashion through movies [영화로 만나는 패션]. Paju, Republic of Korea: Gyomoonsa.
- Sweat S. J. & Zenter A. N. (1985) Female appearance presentation: Gender difference in social attribution and situatioal choice.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14(2), 175-186. [https://doi.org/10.1177/1077727X8501400201]
- Yun, B. & Kim, G. (2021). Mythical archetype of a betrayed good wife character in the drama “The World of the Married”. Global Cultural Contents, (49), 59-84. [https://doi.org/10.32611/jgcc.2021.11.49.59]
- Yun, C. J. (2010). A study on the character styling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s: Focused on fashion drama “Sty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sung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