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Articl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ol. 74, No. 3, pp.74-96
ISSN: 1229-6880 (Print) 2287-7827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24
Received 26 Apr 2024 Revised 10 Jun 2024 Accepted 14 Jun 2024
DOI: https://doi.org/10.7233/jksc.2024.74.3.074

한국 근대 부인모(婦人帽)의 수용과 전개

박누리 ; 김지연+
이화여자대학교 의류산업학과 석사수료
이화여자대학교 의류산업학과 초빙교수
Acceptance and Development of Modern Millinery in Korea
Nuri Park ; Jiyeon Kim+
Master Candidate, Dept. of Fashion Industry, Ewha Womans University
Invited Professor, Dept. of Fashion Industry, Ewha Womans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Jiyeon Kim, e-mail: garnet17@empas.com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types and development of “Buinmo(婦人帽, millinery),” a Western-style hat for women that was introduced after Korea's opening to foreign trade. Confucian norms in the late Joseon period forced women to cover their faces in public, but the influx of Western culture after the port opened gradually led to the disappearance of face-covering headwear for most Korean women, and the appearance of Western hats for some. The introduction of buinmo to Korea in the 1890s, particularly among the upper class and students studying abroad, led to its widespread adoption in the 1920s. During this period, media such as films influenced women's fashion, leading to the popularity of hats. In the 1930s, with the widespread adoption of Western clothing, the variety of buinmo also increased. Not only modern girls but also female students and working women adopted Western attire, incorporating it into their daily lives. The wartime regime of the 1940s imposed restrictions on the wearing of buinmo, leading to a rise in practical clothing and a stagnation in fashion trends.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detailed examination of the types of Western-style hats worn by Korean women during the modern period, a topic that has not been extensively researched. By organizing scattered information, this research seeks to trace the introduction and spread of buinmo in Korea.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women's clothing culture during the modern period and aid in the historical research and reproduction of various types of buinmo.

Keywords:

hat, millinery, modern girl, modern hat, new women, women’s hat

키워드:

모자, 부인모, 모던 걸, 근대 모자, 신여성, 여성 모자

Ⅰ. 서론

19세기 말, 한국 사회는 본격적인 근대화 시기로 접어들었다. 1876년 강화도 조약을 통해 문호를 개방한 후, 조선은 일본, 청[淸國], 미국 등과의 교역을 시작하였고, 이에 따라 서구 문화가 대거 유입되었다. 조선 정부는 이에 대응하여 다양한 개화 정책을 추진하였으며, 이러한 변화는 사회 전반의 제도와 생활 문화를 급격하게 변화시켰다(Lee, 2017).

근대 시기에 서양 모자는 개화(開化)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1895년의 단발령(斷髮令) 이후, 남성의 전통 모자는 중절모자(中折帽子)나 맥고모자(麥藁帽子) 등 서양 모자로 대체되었으며(Kim, 2007), 유교의 내외법(內外法)에 따라 외출 시 얼굴을 가리던 여성도 서구 사상의 영향으로 얼굴을 점차 드러내기 시작하였다. 1890년대 후반, 여성 운동 단체와 여학교를 중심으로 제기된 폐면용(蔽面用) 쓰개의 폐지 문제는 여성이 남성에게 종속된 존재에서 벗어나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중요한 과제였다. 대부분의 조선 여성이 착용하던 각종 폐면용 쓰개는 우산과 양산(洋傘)으로 대체되었고, 일부 계층에게는 외출 시 장식을 주요 목적으로 하는 서양 모자가 소개되었다(Kim & Lim, 1999). 조선 남성에게 모자는 의관정제(衣冠整齊)의 예를 실천하는 중요한 부분이었기 때문에, 서양모자는 점차 흑립(黑笠)의 자리를 대체하며 수용되었으며, 양복뿐만 아니라 두루마기 차림과도 절충, 소비될 수 있었다. 남성의 서양 모자는 의제개혁(衣制改革)이나 단발령이라는 제도적 요인으로 인해 변화의 시기가 비교적 뚜렷하고, 근대 매체기사나 광고에서도 종종 발견되므로 이를 바탕으로 한 선행연구들이 있었다. 반면, 여성의 서양 모자는 수용 과정이 남성보다 점진적인 경향이 있었고, 기록이나 자료도 산발적인 까닭에 그간 학계에서 큰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당시 여성의 서양모자는 종류가 매우 다양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밝힌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며, 근대 시기 양장의 변천을 다룬 Kwon & Lee(1983)Yoo(1989)의 연구, 신여성 복식을 다룬 Kim(2004), Ryu(2007), Lee & Soh(2019)의 연구에서 복식 연구의 일부로 다루어졌을 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양 여성 모자의 종류와 국내 수용 과정을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범위는 서구 문물이 본격적으로 유입되기 시작한 1876년 개항 이후부터 1945년 광복 이전까지이며, 연구의 주된 방법은 당시 국내외 신문과 잡지 등을 통한 문헌 고찰이다. 국내 신문은 고(古)신문 99종의 기사를 제공하는 ‘대한민국 신문 아카이브’ 웹사이트를 통해 『대한매일신보(大韓每日申報, 1904-1910)』, 『매일신보(每日申報, 1910-1945)』, 『경성일보(京城日報, 1906-1945)』, 『조선신문(朝鮮新聞, 1908-1942)』을 살펴보고, 『동아일보(東亞日報, 1920-1940)』, 『조선일보(朝鮮日報, 1920-1940)』의 창간 이후의 모든 신문 기사를 제공하는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웹사이트를 참고한다. 미국 신문은 미국의 고신문 자료를 검색할 수 있는 ‘Chronicling America’ 웹사이트를 통해 『The New York Herald』, 『New-York Tribune』, 『Evening Star』, 『The Washington Times』, 『The Indianapolis Times』 등과 같은 동시대의 미국 신문을 조사하고, 모자의 명칭과 종류에 대한 국내 자료의 부족한 정보를 보완한다. 잡지로는 『신여성(新女性, 1923-1934)』과 『별건곤(別乾坤, 1926-1934)』, 『삼천리(三千里, 1929-1950)』를 대상으로 모자에 관한 시각 자료와 기사를 참고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여성의 서양 모자 의 수용과 전개 양상을 구체적으로 고찰함으로써, 20세기 전반 여성 쓰개 문화의 변천 과정을 밝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여성의 서양 모자를 가리켜 앞서 언급한 국내 신문들에서 공통으로 나타난 ‘부인모(婦人帽)’라는 명칭을 사용하고자 한다.


Ⅱ. 서양 근대 부인모의 종류와 특징

우리나라 부인모의 사용 양상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 당시 서양에서 유행한 부인모의 종류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부인모는 머리에 쓰는 크라운(crown)과 모자챙인 브림(brim)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다양한 명칭으로 분류된다. 본 연구에서는 브림의 유무가 눈으로 쉽게 구분된다는 점과 일부 모자 전문 서적에서 브림을 분류 기준으로 삼은 방식을 참고하여(McDowell, 1994), 브림의 유무를 기준으로 유형을 분류하고, 그 안에서 세부적인 형태에 따른 부인모의 종류와 특징을 고찰하고자 한다.

1. 브림이 있는 유형

1) 카플린(Capeline)

카플린은 브림의 폭이 넓은 모자로, 형태와 소재, 장식에 다양한 변형이 있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후 모자를 포함한 패션의 추세가 극도로 단순해졌다는 점(Wilcox, 2008)을 고려하여 카플린의 스타일을 1914년 전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전쟁 이전에는 장식을 강조한 스타일이 주로 확인되고, 전쟁 발발 이후에는 장식이 간소화된 스타일이 주를 이루었다(Lee & Park, 2011).

전쟁 이전에 나타난 카플린은 <Fig. 1>과 같이 깁슨 걸 스타일(Gibson girl style)의 드레스에 퐁파두르(pompadour) 머리를 하고 레이스 등으로 모자를 화려하게 장식한 경우가 많았다. 넓은 브림 위에 다양한 재료를 올리기 때문에 모자의 기본 구조가 대체로 단단한 양상을 보였으며(Lee & Park, 2011), <Fig. 2>와 같은 햇핀(hatpin)으로 크고 화려한 모자를 머리에 고정하였다. 햇핀은 장식이 달린 긴 일자 핀으로, 고정 및 장식용으로 사용하였다(De Courtais, 2006).

<Fig. 1>

Camille Clifford in Capeline, around the 1900s(Draycott Galleries, n.d.)

<Fig. 2>

Hatpin Illustration(De Courtais, 2006, p. 143)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후 서양에서는 장식적 요소가 절제된 단순하고 기능적인 옷차림이 요구되었다(Wilcox, 2008). 이에 따라 <Fig. 3>과 같이 직선적인 실루엣을 가진 드레스에 어울리는 간소화된 형태의 카플린이 확대되었다(Lee & Park, 2011). <Fig. 1>과 <Fig. 3>을 비교해 보면, 카플린의 장식이 확연히 줄고 이전보다 브림이 자연스럽게 처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카플린은 1920년대를 대표하는 모자인 클로슈(cloche)가 등장한 후에도 꾸준히 인기를 얻고 다양한 디자인으로 개발되었다(“Snapshots of the Mode”, 1907).

<Fig. 3>

A Woman in a Simplified Capeline(“Harmonious ensemble aim of women in selecting costumes for the summer”, 1922)

2) 보터(Boater)

보터는 <Fig. 4>와 같이 크라운의 윗부분이 평평하고 수평인 브림을 가진 모자이다(McDowell, 1994). 19세기 말 남성이 강에 놀러 갈 때 쓰던 스트로(straw)로 만든 보터를 여성도 똑같이 착용하였다. 보터는 카노티에(canotier), 세일러(sailor), 스트로 세일러(straw sailor)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으며, 19세기와 20세기 서양 여성과 어린이의 전형적인 모자였다. 주로 스트로로 제작하여 여름철에 착용했으나 펠트로 만든 것도 있었다(Amphlett, 2003).

<Fig. 4>

A Woman in a Boater, around 1895(Gernsheim, 1981, Image 178)

3) 브레톤(Breton)

브레톤은 브림 전체를 위로 젖혀 얼굴을 노출한 모자이다. 이 모자는 프랑스 북서부 브르타뉴(Bretagne) 지방의 어부들이 바람과 햇빛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하던 것으로, 1890년대에는 <Fig. 5>와 같이 해안경비대가 착용하였다. 이후에는 여성과 아동의 모자로 확대되었다(Brown, 2012). 크라운은 <Fig. 6>과 같은 각진 스타일과 <Fig. 7>처럼 둥근 스타일 모두 확인되며, 앞 브림의 접힌 부분이 눈썹까지 내려올 정도로 크라운이 머리에 꼭 맞게 착용된 것을 볼 수 있다. 모자의 재료로는 펠트나 스트로가 사용되었다(Amphlett, 2003).

<Fig. 5>

A Sailor in a Breton(Matthew, 2015)

<Fig. 6>

A Woman and Child Wearing Bretons(“A season of extravagance”, 1920)

<Fig. 7>

A Woman in a Breton(“Hats for spring are here already, bringing some new ideas in silhouette”, 1934)

4) 보닛(Bonnet)

보닛은 머리의 뒷부분에서부터 머리 전체를 감싸듯이 가리고 얼굴과 이마를 드러낸 모자이다. 전통적으로는 <Fig. 8>과 같이 천으로 만들어 크라운을 부드럽게 처리하였으며 턱 아래 끈을 묶어 모자를 고정하였다. 서양에서 새롭게 장만한 봄 모자를 칭하는 말로 ’이스터 보닛(Easter Bonnet)’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을 만큼 보닛은 서양 여성의 대중적인 모자였다. 이 용어는 부활절 일요일에 겨울 모자에서 봄 모자로 바꿔 쓰는 풍속에서 비롯되었다(Picken, 1957). 봄이나 여름에 착용하는 보닛은 <Fig. 9>와 같이 주로 스트로로 만들었고, 겨울용 보닛은 두꺼운 천으로 제작하였다(Wilcox, 2011).

<Fig. 8>

A Lady in a Bonnet, around in 1849(Gernsheim, 1981, Image 24)

<Fig. 9>

Straw Bonnet Advertisement(“Vacation hats”, 1941)

5) 티롤리안 햇(Tyrolean Hat)

티롤리안 햇은 뾰족한 크라운과 깃털 장식이 특징인 모자이다. 이 모자는 오스트리아 티롤의 요들 연주자가 착용한 모자에서 유래했으며 남성이 주로 착용하던 것이다(Picken, 1957). 1930년대에는 서양 여성의 스포츠웨어나 외출복으로 애용되었다(“Tyrolean brush adorns sport hats for both men and women”, 1938). <Fig. 10>은 중절모자처럼 크라운의 중앙이 눌린 유형이고, <Fig. 11>과 같이 크라운의 윗부분이 평평한 것도 있었다. 이 모자는 주로 펠트로 만들어 가을·겨울용으로 썼으며, 스트로 중에서도 고급 재료인 밀란 스트로(milan straw)나 벨벳을 사용하여 격식 있게 착용하는 경우도 있었다(“Hats take an upward turn to achieve smartness”, 1932; “New style tickles Cecilia”, 1934).

<Fig. 10>

A Woman in a Tyrolean Hat(“Year round hat is green velour”, 1938)

<Fig. 11>

A Woman in a Tyrolean Hat(“Outfit for spring Wear”, 1935)

2. 브림이 작거나 없는 유형

1) 클로슈(Cloche)

클로슈는 크라운이 깊고 머리에 꼭 맞는 종(鐘) 모양의 모자로(Picken, 1957), 1920년대에 전세계적인 인기를 얻었다(Lee & Park, 2011). 종모양의 모자는 제1차 세계 대전 이전에도 존재했지만(“Midsummer millinery modes”, 1907), 1920년대에 들어와 단순한 형태로 변하였다(Brown, 2012). 당시 ‘플래퍼(flappers)’로 불린 신여성은 <Fig. 12>와 같이 허리선이 낮고 직선적인 실루엣의 드레스와 함께 클로슈를 단발머리에 매치하여 자유롭고 중성적인 패션을 선보였다(Design Museum, 2011). 전쟁 발발 후에는 여성들이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고 이전보다 독립적으로 생활하게 되면서, 화려한 모자보다 간결한 디자인의 클로슈가 유행하였다(Lee & Park, 2011). 파리에서는 공작부인부터 상점 노동자까지 클로슈를 즐겨 착용하였다(Hopkins, 1999).

<Fig. 12>

A Woman in Cloche, around 1922(Alamy Stock Photo, n.d.)

2) 토크(Toque)

토크는 <Fig. 13>과 같이 크기가 작고 머리에 꼭 맞는 모자로, 브림이 없거나 작았다. 모자의 재료로는 주로 벨벳이 사용되었지만, 스트로로 만든 것도 있었다(Picken, 1957). 토크는 13세기부터 16세기의 유럽에서 프랑스를 중심으로 인기를 끌던 모자인데, 1930년대에 들어와 여성용 모자로 다시 유행하였다(Ewing, 2001). 1933년 신문 광고에서는 4시 이후에 토크를 쓰라는 슬로건을 건 것으로 보아, 주로 오후 외출용으로 토크를 착용했던 것으로 보인다(“Be smart! wear a toque after 4 o’clock”, 1933).

<Fig. 13>

A Woman in Toque(“Up washington heights”, 1916)

3) 필박스 햇(Pillbox Hat)

필박스 햇은 이름 그대로 원통형의 약통을 닮은 모자로, <Fig. 14>에서 볼 수 있듯이 크기가 작고 브림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대체로 원통 기둥 모양이지만, <Fig. 15>와 같이 변형된 디자인도 있었다. 필박스 햇은 로마제국의 군모에서 유래해 긴 역사가 있으며, 1930년대에 여성용 모자로 다시 인기를 끌었다(Ewing, 2001). 모자의 크기가 작고 브림이 없다는 점이 토크와 유사하고, ‘필박스 토크(pillbox-toque)’와 같은 혼합된 형태도 확인되어(“Hats for fall”, 1941) 두 모자의 구분이 모호할 때도 있다. 필박스 햇은 주로 펠트로 제작되었으며, 스트로와 니트 소재도 사용되었다(“Today’s nee-dlework”, 1945).

<Fig. 14>

Pillbox Hat(“The pill box”, 1934)

<Fig. 15>

Pillbox Hat(“Ladies spring hats”, 1938)

4) 베레(Beret)

베레는 <Fig. 16>에서 볼 수 있듯이 둥글납작하고 부드러우며 챙이 없는 모자이다. 이 모자는 바스크 지방 양치기의 모자인 바스크 베레(basque beret)에서 유래하였다. 베레는 19세기 후반부터 군인의 유니폼으로 착용되기 시작해 경찰, 혁명가, 테러리스트 등 다양한 집단의 유니폼으로 채택되었다(Brown, 2012). 1920년대부터는 남성과 여성의 스포츠웨어로 착용되었으며, 이후에는 멋을 내기 위한 모자로 확대되었다(Hopkins, 1999).

<Fig. 16>

A Woman in a Basque Beret(“Carol Hughes”, 1937)

베레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다. <Fig. 17>에서 볼 수 있는 헤일로 베레(halo beret)는 뒤통수에 모자가 후광처럼 보이는 형태이며, <Fig. 18>은 동양의 삿갓을 모방한 쿨리 베레(coolie beret)이다. <Fig. 19>는 원반 모양의 베레로, 모자를 머리에 비스듬히 얹어 끈으로 머리에 고정한 모습이 앞서 본 <Fig. 15>의 필박스 햇과 유사하다.

<Fig. 17>

A Woman in a Halo Beret(“Destined for a fashion future”, 1940)

<Fig. 18>

A Woman in a Coolie Beret(“Silhouette hats add interest to costumes”, 1943)

<Fig. 19>

Modified Beret(“Charmers all these new hats”, 1938)

5) 터번(Turban)

터번은 꼭 맞는 크라운과 드레이프가 특징인 모자로, 동양의 터번을 변형한 것이다(Picken, 1957), 1909년 디자이너 폴 푸아레(Paul Poiret, 1879-1944)는 동양적인 요소가 가미된 스타일을 선보였는데, 터번도 그중 하나였다(Mercie, 1990). <Fig. 20>과 같이 할리우드 영화에서 여배우들이 터번을 착용하며 더욱 인기를 끌었다(Landis, 2007). 부드러운 천에 주름을 잡아 만든 이 모자는 브림이 없는 경우가 많으며, 브림이 있는 경우에는 <Fig. 21>과 같이 말리거나 드리워져 있는 형태가 주를 이루었다.

<Fig. 20>

Joan Crawford in The Women (1939)(IMDb, n.d.)

<Fig. 21>

Turbans(“Turbans”, 1932)


Ⅲ. 한국 근대 부인모의 시기별 변천

조선 후기 여성들은 강력한 내외법에 따라 얼굴을 가리는 다양한 폐면용 쓰개를 사용하였다. 대표적으로 장옷과 쓰개치마가 있었으며, 신분에 따라 가리마[遮額], 너울, 삿갓, 전모(氈帽), 처네[薦衣] 등을 착용하였다(Hong, Shin, & Lee, 2020).

19세기 말, 서구 문물이 조선에 본격적으로 유입되고 근대화가 진행됨에 따라 여성의 폐쇄적인 쓰개 문화는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정부가 주도했던 의제 개혁은 주로 남성 관리와 상류층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이 과정에서 일반 여성의 복식 개량도 점진적으로 논의되었다(Kim, 2007). 특히 계몽적인 성격의 신문이 간행되고 여성 단체가 활동하기 시작하면서 전통 복식 개량은 여성복에서 더 활발히 이루어졌다. 1898년 여성 교육을 목표로한 찬양회(贊襄會)에서 공개적으로 쓰개치마를 착용하지 말자는 주장을 시작으로 폐면용 쓰개들이 점차 사라지게 되었다(Koh, 2001).

얼굴을 가리는 풍습이 사라지는 데는 상당한 시간이 걸렸기 때문에, 여성들은 우산과 양산을 폐면용 쓰개의 대용품으로 사용하였다. 일부 계층에서는 외출 시 장식을 목적으로 하는 서양 모자인 ‘부인모(婦人帽)’를 수용하기 시작하였다(Kim & Lim, 1999).

본 장에서는 국내 부인모의 유래와 변천을 사회 문화적 배경과 함께 시기별로 고찰한다. 시기 구분은 부인모 유행의 변화 양상을 기준으로 한다.

1. 1890-1919년: 부인모의 유입기

1) 부인모 명칭의 시작

국내 신문에서 ‘부인모(婦人帽)’1)라는 명칭이 처음 확인된 것은 1909년 대한매일신보에 게재된 <Fig. 22>의 서양 모자 광고이다. 한글로는 <Fig. 23>과 같이 ‘부인모자’로 기재되었다. 이 명칭은 이후에도 꾸준히 여성의 서양 모자를 칭하였으며, ‘부인모자부 신설’(“New women's hat, free repair, 20% off cosmetics”, 1926), ‘여름 부인모자’(“The story of women's shoes and millinery in summer”, 1934), ‘부인모, 단연 폐지하자!’(“Let’s abolish millinery and high-heeled shoes by far!”, 1940) 등의 기사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Fig. 22>

Okho-Seorim’s Hats and Accessories Ad(“Okho-seorim ad”, 1909)

<Fig. 23>

Millinery(“Okho-seorim ad”, 1909)

한편, 전통 쓰개의 경우 기존 명칭 그대로 근대신문에서 확인된다(“What Is Jangot For”, 1907; “That Man With A Satgat On His Way Back To The Mountain Path”, 1915). 오랜 기간 동안 착용되어 온 전통 쓰개는 구체적인 명칭을 사용했지만, 새롭게 유입된 여성의 서양 모자는 ‘부인모’, ‘부인모자’라는 통칭으로 표현되었다.

2) 부인모의 착용 양상

폐면용 쓰개가 대다수의 조선 여성에 의해 착용된 것과 달리, 부인모는 초기에는 소수의 계층만이 착용하였다. 부인모가 국내에 처음 소개된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조선에 입국한 서양인, 해외에서 공부하고 온 유학생, 상류층 부인 등에 의해 다양한 경로로 양장과 함께 소개된 것으로 보인다. 국내 상류층 여성인 윤고려(尹高麗또는 尹高羅, 1891-1913)와 고종의 후궁인 순헌황귀비(純獻皇貴妃, 1854-1911) 엄씨의 모습에서는 <Fig. 24>, <Fig. 25>와 같이 넓은 브림의 부인모를 확인할 수 있다. 이들이 착용했던 부인모는 제1차 세계 대전 이전에 서양에서 유행했던 브림이 넓고 화려한 디자인의 ‘카플린’으로 추정된다. 1910년대에는 해외 유학 경험이 있는 교육자이자 여성 운동가인 차미리사(車美理士, 1879-1955)가 테일러드 슈트(tailored suit)를 입고 각종 재료로 장식한 카플린을 쓴 모습을 <Fig. 26>과 같이 확인할 수 있다.

<Fig. 24>

Yun Goryeo in Western Clothing, around the 1900s(Koh, 2001, p. 134)

<Fig. 25>

Imperial Consort Sunheon in Western Clothing, around the 1900s(Koh, 2001, p. 90)

<Fig. 26>

Melissa Cha in Western Clothing, around the 1910s(Duksung Women’s University, 2021)

동시대에 카플린과 함께 확인되는 부인모로는 ‘보터’가 있다. <Fig. 27>은 미국으로 유학을 다녀온 국내 최초의 여성이자 여의사 박에스더(金點童, 1877-1910)가 보터를 착용한 모습이다. 보터는 서양에서 여성과 어린이의 대표적인 모자였으며, 국내에서도 여자아이가 보터를 쓴 모습이 <Fig. 28>과 같이 확인된다. <Fig. 23>에서 ‘부인모자[婦人帽]’로 명명된 모자 역시 윗부분이 평평한 것으로 보아 보터 유형으로 추정된다. 이 보터는 브림이 곡선 형태로 변형되었고, 리본 장식과 조화(造花)로 보이는 장식이 가미되었다.

<Fig. 27>

Esther K. Pak in Western Clothing, 1900(Yoo, 1990, p. 132)

<Fig. 28>

A Girl in a Boater, 1909(Yoo, 1990, p. 132)

1907년 숙명여학교에는 국내 여학교 중 최초로 양장을 교복으로 채택하여 <Fig. 29>와 같이 원피스에 모자를 착용하였다. 그러나 당시 양장에 대한 보수적인 사회 분위기로 인해 공감대를 얻지 못하고 3년 후 한복 교복으로 돌아가게 되었다(Kim, 2011). 이때 교모로 착용한 모자는 ‘브레톤’으로 추정되며, <Fig. 30>과 같이 위로 젖혀진 브림이 확인된다.

<Fig. 29>

Sookmyung Girls’ School Students in Western School Uniform, 1907(Kim, 2011, p. 141)

<Fig. 30>

Schoolgirl in a Breton, 1907(Kim, 2011, p. 141)

이처럼 부인모는 서양복과 함께 나타났으며, 1910년대 말까지도 상류층 여성, 유학생, 신여성 등 일부 계층에게 제한되어 착용되었다(Kim, 2020). 대부분의 여성은 여전히 전통복식과 전통적인 머리 모양을 고수하였다. 그러나 여성 교육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복식 개량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진행되었고, 활동성을 고려한 복식 개량이 점진적으로 이루어졌다(Koh, 2001).

2. 1920-1929년: 부인모의 확산기

1) 대중문화의 확산과 모던 걸의 등장

1920년대부터 일제의 통치 방식이 무단 통치에서 문화 정치로 전환되면서, 다방면에 걸쳐 근대화가 진행되었고 일본과 서구의 문화가 빠르게 확산되었다. 특히 한국어 신문 및 잡지의 재발행, 극장의 활성화는 대중문화의 확산을 촉진하였다. 백화점, 잡화점, 카페 등 근대적 소비 공간이 늘어나면서 이를 중심으로 한 소비문화가 발전하였다(Yi, 2022).

근대적 미디어 중에서도 특히 영화 속 배우들의 모습은 서양복이 유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1927년, 조선인이 설립한 최초의 영화배급사인 기신양행(紀新洋行)을 시작으로 서양 영화의 수입이 본격화되었고(Lee, 2009), 서양 여배우들의 패션은 영화, 포스터, 신문 및 잡지 화보를 통해 지속적으로 대중에게 노출되었다(Ryu, 2013). 이들의 의상과 머리 모양은 당시 젊은 여학생과 모던 걸 사이에서 유행하며 새로운 문화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The influence of young women and activity photography”, 1929). 1929년에는 프랑스 영화 '몽, 파리(Mon, Paris)'가 국내에서 큰 인기를 끌며, 영화 속 패션도 함께 유행하였다. <Fig. 31>은 극 중 패션을 따라 한 모던 걸의 모습을 풍자한 삽화이다. 속이 비치는 소재의 옷과 서양 구두, 부인모를 포함한 다양한 서양 잡화로 치장한 모습을 보여준다.

<Fig. 31>

Modern Girls Following Fashion in the Movie Mon Paris(“Mon Paris, women showing their body”, 1929)

모던 걸의 ‘모던(modern)’은 ‘모단(毛斷)’으로 불릴 정도로 이들의 상징은 짧게 자른 단발머리였다(Ryu, 2013). 당시 모던 걸들은 백화점에서 쇼핑하고 영화를 감상하며 레코드점에서 음반을 구매하는 등 근대 문화를 즐겼다. 이들이 선보인 의복, 장신구, 머리 모양 등은 새로운 유행을 만들어 냈다(Yi, 2022). 이러한 모던 걸들의 패션과 소비문화는 지식인 남성을 비롯한 대중의 입방아에 오르내리곤 하였다(Ryu, 2013). <Fig. 32>는 서구식 외양을 한 여성이 허름한 초가집에서 나오는 모습으로, 모던 걸을 사치스럽게 묘사하고 있다. 이처럼 모던 걸들은 옷차림을 통해 구별되었으며, 당시 단발과 양장과 함께 부인모도 자주 등장하였다(Park, 1927).

<Fig. 32>

A Woman in Western Clothes Coming Out of a Shabby Thatched Cottage(“Seen on the streets”, 1928)

1920년대에는 양복점이 확대되면서 여성복의 보급과 함께 부인모도 확산될 수 있었다. 충무로 일대에는 일본인이 운영하는 양복점이 100여 개나 있었고, 종로 일대에는 한국인이 운영하는 양복점도 50여 개가 넘었다(Koh, 2001). 남대문통(南大門通, 現남대문로)에 위치한 정자옥(丁子屋;ちょうじや)은 남성복뿐만 아니라 부인복과 아동복, 학생복 등을 판매하였고, 모자도 함께 취급하였다(“New soft felt hat special bargains”, 1927). 또한, <Fig. 33>과 같은 모자 전문점도 확인되며, 1920년대 대표적인 부인모인 종 모양의 ‘클로슈’를 광고하였다.

<Fig. 33>

Advertisement for Women’s Hats(“Preparing for the new semester with various hats”, 1928)

2) 부인모의 착용 양상

1920년대 여성들은 단발머리에 크라운이 꼭 맞는 클로슈를 즐겨 착용하였다. 클로슈는 유학을 다녀온 여성들에 의해 플래퍼 룩과 함께 국내에 소개되었으며(Lee & Park, 2011), 신여성 사이에서 유행하게 되었다. 이 모자는 1920년대 말 경성거리에서도 <Fig. 34>와 같이 다양한 다른 부인모와 함께 확인되며, 뒤집힌 그릇 모양의 깊은 크라운이 특징이다.

<Fig. 34>

Women on the Street of Gyeongseong Wearing Western Hats including Cloche(“People on gyeongseong street”, 1929)

클로슈는 덕혜옹주(德惠翁主, 1912-1989)를 비롯한 조선과 일본 왕가의 여성, 상류층 부인이었던 나혜석(羅蕙錫, 1896-1948)이 착용한 모습으로도 확인된다. <Fig. 35> 속 세 인물은 왼쪽에서부터 의민황태자비(懿愍皇太子垠; 英親王妃, 1901-1989), 덕혜옹주, 모리마사 왕비 이쓰코(守正王妃伊都子, 1882-1976)로, 각자 브림의 형태가 조금씩 다른 클로슈를 쓰고 있다. 나혜석은 파리 여행 중에 머리를 자른 사실이 전해졌기 때문에(“Yeo-gye news”, 1927), 그 여행 이전에 촬영된 <Fig. 36>에서는 단발하지 않고 클로슈를 착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사진 속 나혜석은 신여성이 머리를 짧게 자르고 클로슈를 쓴 것과 달리, 유행하는 서양 모자로서 클로슈를 썼던 것으로 보인다.

<Fig. 35>

Princess Euimin, Princess Deokhye, Princess Morimasa Itsuko Wearing Cloche, 1928(National Diet Library, n.d.)

<Fig. 36>

Na Hye-Seok in Cloche, 1927(Koh, 2001, p. 97)

1920년 『동아일보』에 실린 각종 모자를 소개한 광고에서는 <Fig. 37>과 같이 상단의 클로슈를 비롯하여 하단 좌측부터 카플린과 보터가 소개되었다. 서양에서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간소화된 카플린이 등장했는데, 국내에서도 브림의 너비와 장식이 줄어든 카플린의 모습이 확인된다. 기생 출신 배우 강향란(姜香蘭, 1900-?)은 <Fig. 38>과 같이 단발머리에 간단한 스타일의 카플린을 착용하였다.

<Fig. 37>

Advertisement for Hats(“Sanghyup Store”, 1920)

<Fig. 38>

Kang Hyang Ran in a Capeline(“Kang Hyang Ran, from gisaeng to actress”, 1926)

3. 1930-1939년: 부인모의 성숙기

1) 양장의 대중화

1920년대 후반부터 경성 거리에서 간혹 마주칠 수 있었던 단발미인(斷髮美人)은 1930년대에 들어서면서 일상적인 존재가 되었다(Ryu, 2013). 이 시기에는 모던 걸뿐만 아니라 양장 차림의 여학생과 직업을 가진 여성이 등장하면서, 서양복이 일상의 여러 영역에서 가시화되었다(Koh, 2001).

1930년대에는 많은 여학교에서 양장 교복을 채택하였다(Koh, 2001). 1907년에 국내에서 처음 양장 교복을 도입했던 숙명여학교는 당시 사회적 공감대를 얻지 못해 한복 교복으로 돌아갔었지만, 1930년대에 서양복이 대중화되면서 다시 한번 양장 교복을 채택하였다. <Fig. 39>는 1931년 숙명여학교의 양장 교복으로, 밀짚 소재의 교모(校帽)가 확인된다. 둥근 크라운과 넓은 브림으로 보아 간소화된 카플린 유형으로 추정된다. 여학생의 서양모자는 단발에 이어 화제가 되었고, 잡지 기사에서도 ‘여학생도 모자를 써라’라는 주제로 토론이 진행되었다(“Girls should wear hats, too”, 1932).

<Fig. 39>

Sookmyung Girls’ School Students in Western School Uniform in 1931(Yoo, 1990, p. 206)

한편, 여성의 사회적 참여가 점차 확대되면서 직업을 가진 여성을 뜻하는 ‘직업부인(職業婦人)’이라는 용어가 등장하였다. 이 시기에 확인된 새로운 직업으로는 백화점 종업원인 ‘데파트 걸’, 버스 안내원인 ‘버스 걸’, 학교 교원, 전화 교환수, 카페 여급, 미용사 등이 있었으며, 이들은 대부분 서양식 차림을 하였다. <Fig. 40>은 서양 유니폼을 착용한 버스 걸들의 모습으로, 머리에는 부인모를 착용하고 있다. 이처럼 양장을 한 여성의 모습이 일상의 여러 영역에서 보편화되며 여성 복식에 새로운 유행을 가져왔다(Koh, 2001).

<Fig. 40>

Bus Girls in Western Uniform(“The beautiful bus girls of the booyoung bus in new clothes”, 1928)

1930년대에는 ‘양장 전성시대’로 불릴 만큼 서양복이 일반 여성에게도 확산된 시기였다. 양장이 대중의 눈에 익숙해지고 다양해졌으며, 대량생산으로 인해 가족 구성원 중 절반 이상은 서양복을 입게 되었다(Koh, 2001). 『동아일보』의 1932년 기사에서는 서양복을 ‘지금은 너나업시 다 입는’ 옷으로 소개하였다(“It's been 50 years since the western clothes, which everyone wears, were imported”, 1932). 신문과 잡지는 계절마다 유행하는 의복의 스타일, 색상, 옷감 등의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대중은 이전보다 더욱 세련되고 정교하게 서구 취향을 소비하였다(Kim, 2002). 1931년 『동아일보』에 실린 기사에서는 <Fig. 41>과 같이 모자를 고를 때 ‘몸맵시’, ‘얼굴빛’, ‘절기’에 맞는 것을 착용하도록 소개하였다. 1937년 『조선일보』 기사에서는 여름에 유행할 부인 모자에 대해 소개하며, <Fig. 42>와 같이 ‘토크’라는 모자 명칭과 ‘네오라’와 같은 소재 명칭 등을 구체적으로 언급하였다.

<Fig. 41>

An Article About How to Select a Hat(“How to select a hat”, 1931)

<Fig. 42>

An Article About the Trend of Women’s Summer Hats(“A millinery that will be in fashion this summer”, 1937)

양장은 일반 대중이 소비하기에 가격대가 높은 편이었는데, 1930년대에 ‘양재(洋裁) 강습’이 유행하면서 더욱 확산될 수 있었다. 양복과 양장 제작을 배우는 양재 강습은 양재 학교, 신문 지국, 여성 단체 등을 통해 전국 각지에서 이루어졌다(“Sewing lessons for children’s clothing and women’s clothing”, 1933; “Sewing workshop”, 1937). 이와 함께 『양재강습록』과 같은 책을 통해 집에서도 서양복 제작법을 익힐 수 있게 되었다(“A book of dressmaking lessons”, 1937). 이처럼 누구나 원하면 직접 서양복을 제작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면서 양장과 양복의 대중화가 가속화 되었다.

1938년 『조선일보』 기사에서는 양장 한 벌을 갖추는 데 필요한 드레스, 속옷, 구두, 모자 등을 소개하며, 부인모에 대해서는 “모자는 양복빗체잘 소화되는 것을 택하십시오. 손에 들고 보느니 보다 머리에 이것저것 써보아 골르십시오.”라고 언급하였다(“A neat summer dress set”, 1938). 모자를 직접 착용하고 고르라는 내용으로 보아, 전문 상점에서 모자를 구매했던 것으로 보인다. 1933년 『조선일보』 기사에서는 모자 판매원이 고객을 응대할 때 확인해야 할 항목들을 세부적으로 나누어 소개하였다. 모자의 색상, 크라운과 브림의 크기, 장식, 원산지, 소재, 무게, 가격, 착용 상황 등을 다루었다(“Management of store-level products and salesman's efficiency enhancement measures 15”, 1933). 그중 용도는 ‘일본 옷용[和服用]’, ‘평상용(平常用)’, ‘산책용[散步用], ‘운동용(運動用)’으로 분류되어, 상황에 맞는 다양한 형태의 모자가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모자를 상점에서 구입하는 것 외에도, 직접 만들어 착용하는 경우도 있었다. 1931년 『동아일보』에 실린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 중 ‘부인모 제조법’이 확인되었으며(“A simple way to make a millinery”, 1931), 집에서 간단히 만들어 착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1926년 『경성일보』 기사에는 천을 사용한 간단한 부인모 제작법이 <Fig. 43>과 같이 소개되었는데, 이는 1930년대에 성행한 양재 강습에서도 유사하게 다뤄졌을 가능성이 있다. 밀짚모자나 펠트 모자처럼 특별한 기술이 필요한 모자는 상점에서 구매하였을 것이다. 또한 집에서 만든 모자로는 <Fig. 44>와 같은 편물 모자가 있었는데, 이는 주로 어린이들이 착용한 것으로 알려져(Lee, 2014) 부인모로 사용되었을지는 확실하지 않다.

<Fig. 43>

A Guide on How to Make a Woman’s Hat(“Making a women's and children's hat, first day~fourth day”, 1926)

<Fig. 44>

Knitted Clothes and Hats Made by Knitting Workshop Members(“End of the knitting class”, 1930)

2) 부인모의 착용 양상

1930년대에는 단발머리 스타일에 추가로 파마머리가 유행하면서(Koh, 2001), 다양한 부인모를 함께 착용한 모습이 많이 나타났다. <Fig. 45>는 조선 악극단의 모습으로, 단원들은 정성을 다한 웨이브를 드러내거나 다양한 부인모를 함께 착용하고있다. 이를 확대한 <Fig. 46> 속 단원은 크라운이 위로 갈수록 좁아지는 티롤리안 햇을 썼으며, <Fig. 47> 속 또 다른 단원은 깃털로 장식한 토크를 착용하였다. 당시 조선 악극단은 조선뿐만 아니라 일본과 중국까지 공연을 다녔는데, 이러한 환경적 요인과 직업의 특수성으로 인해 서구에서 유행하던 스타일을 빠르게 수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Fig. 45>

Members of Chosun Musical Troupe. 1939(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MMCA], 2017, p. 183)

<Fig. 46>

Chosun Musical Troupe Member in Tyrolean Hat, 1939(MMCA, 2017, p. 183)

<Fig. 47>

Chosun Musical Troupe Member in Pillbox Hat, 1939(MMCA, 2017, p. 183)

무용가 최승희(崔承喜, 1911-1969)도 1920년대 일본에서 유학하고 1930년대부터 세계 무대로 진출해 유럽과 미국 등지에서 순회공연을 다녔다. 서구 문물을 직접 접한 최승희가 다양한 부인모를 착용한 모습을 여러 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 중 <Fig. 48>과 <Fig. 49>에서는 모두 단발머리에 망사로 장식된 베레를 한쪽으로 기울여 착용하였다. <Fig. 49>는 접시 모양의 베레로, 비스듬히 머리에 얹은 모습이 <Fig. 15>와 <Fig. 19>와 유사하다. 이 두 모자처럼 끈으로 묶어 고정했을 가능성이 있다.

<Fig. 48>

Choi Seung-Hee in a Beret, 1937(Kim, 2017)

<Fig. 49>

Choi Seung-Hee in a Beret, 1939(Kim, 2022)

이외에 보닛과 터번도 동시대에 함께 확인된 부인모이다. <Fig. 50>은 넓은 앞 챙과 둥근 크라운으로 보아 보닛으로 추정되며, 신문에서는 이를 ‘맥고모’로 칭하였다. 이 모자는 보터 형태를 띠는 남성용 맥고모자와는 다른 형태로, ‘맥고모’라는 명칭이 맥고, 즉 스트로로 만든 모자라는 의미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Fig. 51>은 『별건곤』 잡지 표지에 실린 터번을 쓴 여성의 모습으로, 짧은 파마머리가 모자 밖으로 삐져나오게 연출하였다. 이처럼 서양 스타일의 머리를 한 여성이 증가하면서 모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모자 스타일도 다양해졌다.

<Fig. 50>

A Woman in a Bonnet(“The polygon of love 63”, 1930)

<Fig. 51>

A Woman in Turban(Byeol-geon-gon [別乾坤], 1934)

한편, 부인모가 처음 유입되었을 때부터 나타난 카플린은 여전히 확인할 수 있었다. 앞서 <Fig. 39>에서 살펴본 숙명여학교의 교모인 기본 형태의 카플린 외에도 브림이 매우 넓은 브림을 가진 카플린도 등장하였다. <Fig. 52>는 해수욕복을 입은 마네킹이 쇼윈도에 전시된 모습으로, 오른쪽 마네킹은 브림이 매우 넓은 카플린을 쓰고 있다. 1930년대에는 여가 개념이 생겨나면서 사람들은 여름철 해수욕장을 방문하는 사람들이 증가했고, 서구에서 유행하는 수영복 패션이 매체를 통해 소개되었다(Lim, 2015). 이와 유사한 카플린은 『신여성』의 표지에서도 <Fig. 53>과 같이 확인된다. 부드럽고 얇은 소재를 사용하여 큰 브림이 우아하게 물결치는듯한 선을 강조하였다. 특별한 장식은 없지만 큰 브림을 통해 여름철 햇빛을 막아주면서도 우아함을 더해 해변에서 애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Fig. 52>

Mannequins in Beachwear(“Bringing in western goods”, 1936)

<Fig. 53>

A Woman in a Capeline(National Hangeul Museum, 2022)

3) 서양 모자 소재 산업의 발달

서양복과 서양 모자 착용의 증가는 소재 산업의 발전을 촉진하였다. 대표적인 서양 모자의 소재로는 스트로(straw)와 펠트(felt)가 있으며, 국내 기술을 활용해 말총으로 제작한 1900년대의 사례도 확인된다(“Okho-seorim ad”, 1909).

스트로는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나(Picken, 1957), 국내에서는 주로 보릿짚이나 밀짚을 뜻하는 ‘맥고(麥藁)’라는 일본식 한자로 소개되었다. ‘맥고모자’, 즉 맥고로 만든 모자는 1920년대에 완제품을 수입하여 유통했던 것으로 보이는데, 당시 맥고모자 제조업의 수익성을 강조하며 국내 사업으로 도입하자는 주장이 제기되었다(“Direct import of raw materials for rubber shoes and straw hats”, 1923). 맥고모자 제조업을 전도유망한 산업으로 보는 인식은 1930년대에도 이어졌다. 맥고모자의 제조 강습(“A straw hat making teacher's lesson”, 1933) 및 농촌 부업으로 장려하는 기사(“Establishment of production plan for straw imported in large quantities from China”, 1938), 지방 농가에 원재료 경작을 장려하는 기사(“Encouraging the cultivation of raw materials for straw hats”, 1936) 등이 이를 뒷받침한다. 이를 통해 맥고모자가 수입품뿐만 아니라 내수품으로도 확대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모자의 높아진 인기를 짐작할 수 있다.

스트로는 봄과 여름철에 주로 사용된 재료로, 이를 사용한 대표적인 부인모에는 카플린과 보터, 보닛 등이 확인된다. 1938년 『조선일보』 기사에는 여름철 부인모로 <Fig. 54>가 소개되었으며, 모자의 재료로는 ‘스트로’와 ‘밀짚’이 언급되었다(“Summer dress accessories hat and belt”, 1938). <Fig. 55>의 보닛을 소개한 『조선신문』 기사에서는 모자의 원단으로 밀란 스트로, 네오라, 파나마, 종이 파나마 등이 언급되어(“An elegant, smart midsummer millinery”, 1939), 다양한 스트로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 신문은 조선에 거주한 일본인을 대상으로 한 신문이기 때문에 일본 혹은 서양에서 수입한 모자로 생각된다.

<Fig. 54>

Capeline and Boater(“Summer dress accessories hat and belt”, 1938)

<Fig. 55>

Bonnet(“An elegant, smart, midsummer millinery”, 1939)

펠트는 주로 가을, 겨울용 모자에 사용된 재료이다. 대표적인 펠트 모자로는 남성의 중절모자와 중산모자가 있는데, 주로 영국과 일본에서 수입되었다(Kim, 2007). 부인 모자도 유사한 경로로 유통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수입품으로 소비되던 펠트 모자 또한 점차 국내에서 원료를 생산하는 방향으로 확대되었다. 펠트지용 털로는 주로 양털과 토끼털을 사용했는데, 한국은 양을 사육하기 적합한 기후 조건이 아니었기 때문에(Min & Hong, 2008) 토끼의 사육이 장려되었다. 그중에서도 고급 의복과 모자용 원단으로 사용되는 ‘앙고라 토끼털[兔毛]’에 주목하여 그 경제적 가치를 근거로 국내 산업으로 도입하자는 주장이 제기되었다(“The industrial status of rabbits in terms of the production value of angora wool”, 1932).

이후 전남 지역을 중심으로 앙고라 토끼를 사육한다는 내용의 기사(“Active breeding of angora rabbits in Jeollanam-do province”, 1937)와 앙고라 토끼 사육법을 소개하며 농가 부업으로 장려하는 기사(“Reasonable breeding method of angora rabbits, which is advantageous as a farmhouse side job”, 1936)가 확인된다. 앙고라 토끼털로 만든 옷감은 의복과 모자에 사용되어 1930년대 초중반부터 일반 대중에게 소비되었다. 1930년대 후반에는 중일전쟁(1937-1945) 등으로 인해 양털수입에 어려움이 생기자, 대용품으로 앙고라 토끼털이 더욱 적극적으로 사용되었다(“The production and utilization of animal hair”, 1940).

일제강점기 유물 중 펠트로 제작된 부인모가 <Fig. 56>에서 확인된다. 크라운의 평평한 윗부분과 단순한 리본 밴드 장식으로 보아 보터 유형으로 판단되며, 한쪽 브림이 위로 젖혀진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브림의 형태는 남성의 맥고모자 중 <Fig. 57>에서 보이는 유형에서도 확인된다. 남성의 모자에서 시작된 보터가 여성용으로 착용되면서 소재나 장식에 변형을 주었던 것으로 보인다.

<Fig. 56>

A Felt Boater, in Japanese Colonial Era(Bupyeong History Museum, n.d.)

<Fig. 57>

Boater Advertisement(“Summer hats big sale”, 1915)

이처럼 스트로와 펠트로 만든 서양 모자가 국내에 도입되면서 초기에는 완제품으로 수입하거나 원료를 들어와 국내에서 제작되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 모자들은 국내에서의 생산이 확대되고 내수 시장에서도 더 많은 판매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1930년대 모자 제조 산업이 성장하였고, 이를 통해 서양식 외양이 국내에 확산되고 유행한 흐름을 확인할 수 있다.

4. 1940-1945년: 부인모의 정체기

1940년대에 접어들면서 일본의 전시 체제가 강화됨에 따라 유행과는 무관한 기능적이고 실용적인 의복이 강요되었다. 특히 1940년에는 일본이 사치품 제한 금지령을 내려 조선인에게 모든 물자에 대한 절약과 긴축을 강요하였다(Koh, 2001). 이러한 상황 속에서 부인모도 사치품으로 규정하고 폐지하자는 주장이 아래와 같이 제기되었다:

여자로서 양장을 하면 반듯이 모자를 쓰지만 모자란 그러케 필요한 것은 아닌 모양입니다. ... 부인모자를 순전히 장식으로 보면 별문제지만 의학상으로는 부인모자는 아무 의미가 업슴니다. 이런 비상시기 아래서 부인모자를 애여 사치품의 일종으로서 폐지하도록 하면 어떴습니까? (“Let's completely abolish meaningless millinery”, 1940).

1943년부터는 일본의 궁중 여성의 정장이 폐지되고 모든 경우에 간편한 평상복을 입도록 규제가 강화되었다. 이에 따라 조선 여성의 의생활은 더욱 위축되었으며, <Fig. 58>과 같이 몸뻬와 머릿수건을 착용하고 부역에 동원되었다(Koh, 2001). 1944년에 발행된 『신여성』 잡지 표지에도 <Fig. 59>와 같이 머릿수건을 두른 여성의 모습이 등장하여 당시 시대적 상황을 짐작할 수 있다.

<Fig. 58>

Kyunggi Girls’ High School Students in Momppe and Headscarves(Youn, 2011, p. 9)

<Fig. 59>

A Woman in a Headscarf(Adanmungo, n.d.)


Ⅳ. 결론

Ⅳ. 결론

여성의 서양 모자는 ‘부인모’라는 이름으로 국내에 소개되었다. 그 당시 서양에서 유행한 다양한 모자 유형은 브림의 유무에 따라 유형을 분류할 수 있었다. 브림이 있는 모자로는 카플린(capeline), 보터(boater), 브레톤(breton), 보닛(bonnet), 티롤리안 햇(tyrolean hat)이 있고, 브림이 작거나 없는 유형으로는 클로슈(cloche), 토크(toque), 필박스 햇(pillbox hat), 베레(beret), 터번(turban) 등이 있었다.

부인모는 1890년대 상류층과 유학생을 중심으로 국내에 유입되었으며, 카플린, 보터, 브레톤 등의 종류가 확인되었다. 1920년대는 부인모가 확산되기 시작한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일제가 문화정치로 통치 방식을 전환함에 따라 다방면에 걸친 근대화가 진행되었다. 근대적 미디어의 등장으로 대중문화가 확산되었는데, 특히 영화에 등장한 서구 패션은 여성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서구 문물에 영향을 받은 모던 걸들은 단발머리에 양장과 부인모를 착용하였다. 또한, 서양복의 보급과 함께 부속품인 모자의 수요도 증가하게 되었다. 1920년대를 대표하는 부인모는 단연 클로슈였다. 이외에도 간소화된 형태의 카플린과 보터 등이 착용되었다.

1930년대에는 양장의 대중화와 함께 부인모의 종류도 더욱 다양화되었다. 모던 걸뿐만 아니라 여학생과 직업을 가진 여성도 서양복을 즐겨 착용하며 일상생활에 자리 잡았다. 이 시기에는 다양한 부인모가 체형, 계절 등에 맞게 소개되었고, 강습을 통해 모자를 직접 제작하는 방법을 배우기도 하였다. 1930년대에는 파마머리가 새롭게 유행하면서, 이 머리에 다양한 부인모를 쓴 모습들이 나타났다. 당시 착용된 부인모로는 티롤리안 햇, 토크, 베레, 보닛, 터번 등이 있다. 또한, 브림이 매우 넓은 형태의 카플린이 여름철에 즐겨 착용되었다. 1940년대에는 전시 체제로 인해 실용적인 의복이 강요되면서 부인모 착용이 제한되고 유행이 정체되었다.

본 연구는 그동안 많이 연구되지 않았던 근대시기 한국 여성이 착용했던 서양 모자의 종류를 구체적으로 고찰하고, 산발적으로 흩어져 있던 자료를 정리함으로써 부인모가 국내에 전개된 흐름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가 근대 시기 여성의 복식 문화를 이해하고 이를 재현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Acknowledgments

본 논문은 석사학위 청구논문의 일부임.

Notes
1) 일본어 사전에서 확인되는 ‘부인모(婦人帽)’는 영미권에서 여성의 모자를 뜻하는 ‘millinery’에 해당한다. 일본어에서 ‘부인(婦人)’이 결혼 여부와 관계없이 성인 여성을 의미하며 상류층 여성에게는 귀부인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아, 이 표현은 일찍이 서양복을 접했던 일본의 상류층 여성이 주로 쓰던 서양 모자를 지칭했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부인모(婦人帽)’ 또한 ‘맥고모(麥藁帽)’와 유사하게 개항 이후 유입된 일본식 표현으로 추정할 수 있다.

References

  • A book of dressmaking lessons [洋裁講習錄] (1937, August 13). Gyeongseong Ilbo. Retrieved from https://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129174189
  • A millinery that will be in fashion this summer [올여름에 유행될 부인모자] (1937, June 8). Chosun Ilbo. Retrieved from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37060800239204003&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37-06-08&officeId=00023&pageNo=4&printNo=5770&publishType=00020
  • A neat summer dress set [말쑥하고 경첩한 여름의 양장 일습] (1938, July 23). Chosun Ilbo. Retrieved from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38072300239204001&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38-07-23&officeId=00023&pageNo=4&printNo=6179&publishType=00020
  • A season of extravagance (1920, April 4). New-York Tribune. Retrieved from https://chroniclingamerica.loc.gov/lccn/sn83030214/1920-04-04/ed-1/seq-47/
  • A simple way to make a millinery [簡單한 婦人帽의 造法] (1931, September 22). Dong-A Ilbo. Retrieved from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31092200209207013&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31-09-22&officeId=00020&pageNo=7&printNo=3859&publishType=00020
  • A straw hat making teacher's lesson [麥藁帽子製造敎員講習會] (1933, August 19). Dong-A Ilbo. Retrieved from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33081900209103020&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33-08-19&officeId=00020&pageNo=3&printNo=4556&publishType=00010
  • Active breeding of angora rabbits in south Jeollanam-do Province [全南에 "앙고라" 飼育熱旺盛] (1937, May 2). Chosun Ilbo. Retrieved from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37050200239208011&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37-05-02&officeId=00023&pageNo=8&printNo=5733&publishType=00020
  • Adanmungo (n.d.). New women [新女性], 6(9). Retrieved from http://adanmungo.org/view.php?idx=15834
  • Alamy Stock Photo (n.d.). Young woman in a 'flapper' dress and cloche hat posing for portrait with hands on hips. Retrieved from https://www.alamy.com/young-woman-in-a-flapper-dress-and-cloche-hat-posing-for-portrait-with-hands-on-hips-circa-1922-image454434109.html
  • Amphlett, H. (2003). Hats: A history of fashion in headwear. NY, U.S.A.: Dover Publications.
  • An elegant, smart, midsummer millinery [典雅でスマートな型盛夏の婦人帽] (1939, July 21). Chosun Sinmun. Retrieved from https://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124863634
  • Be smart! wear a toque after 4 o’clock (1933, September 26). Evening Star. Retrieved from https://chroniclingamerica.loc.gov/lccn/sn83045462/1933-09-26/ed-1/seq-26/
  • Bringing in western goods [納凉風物帖三] (1936, July 2). Dong-A Ilbo. Retrieved from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36070200209203010&editNo=2&printCount=1 &publishDate=1936-07-02&officeId=00020&pageNo=3&printNo=5603&publishType=00020
  • Brown, S. (2012). Fashion: The definitive history of costume and style. NY, U.S.A.: DK Publishing.
  • Bupyeong History Museum (n.d.). A woman’s hat. Retrieved from https://www.emuseum.go.kr/detail?relicId=PS0100309000200144600000
  • Byeol-Geon-Gon [別乾坤] (1934, January 1). 69. Retrieved from https://db.history.go.kr/common/imageViewer.do?levelId=ma_015_0630
  • Carol Hughes (1937, March 13). The Washington Times. Retrieved from https://chroniclingamerica.loc.gov/lccn/sn84026749/1937-03-13/ed-1/seq-25/
  • Charmers all these new hats (1938, September 9). Evening Star. Retrieved from https://chroniclingamerica.loc.gov/lccn/sn83045462/1938-09-09/ed-1/seq-29/
  • De Courtais, G. (2006). Women’s hats, headdresses and hairstyles. NY, U.S.A.: Dover Publications.
  • Design Museum (2011). Fifty hats that changed the world. (J. I. Jung., Trans.). London, England: Conran Octupus. (Original work published 2011)
  • Destined for a fashion future (1940, September 13). Eve ning Star. Retrieved from https://chroniclingamerica.loc.gov/lccn/sn83045462/1940-09-13/ed-1/seq-34/
  • Direct import of raw materials for rubber shoes and straw hats [고무靴와 麥稾帽原料를 直輸入] (1923, March 11). Chosun Ilbo. Retrieved from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23031100239203018&editNo=1&printCount=1& publishDate=1923-03-11&officeId=00023&pageNo=3&printNo=913&publishType=00020
  • Draycott Galleries (n.d.). Camille Clifford [photographs]. National Portrait Gallery, London, U.K. Retrieved from https://www.npg.org.uk/collections/search/portrait/mw166132/Camille-Clifford-Camilla-Antoinette-Clifford?LinkID=mp50754&role=sit &rNo=2&_gl=1*10l6bzv*_up*MQ..*_ga*MzkyMDI3MDUyLjE3MTgwOTU0ODU.*_ga_3D53N72CHJ*MTcxODA5NTQ4NC4xLjAuMTcxODA5NTQ4NC4wLjAuMA, ..
  • Encouraging the cultivation of raw materials for straw hats [麥稈帽製造原料眞田編法奬勵] (1936, February 15). Dong-A Ilbo. Retrieved from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3602150020910400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36-02-15&officeId=00020&pageNo=4&printNo=5465&publishType=00010
  • End of the knitting class [편물강습회終了] (1930, Nove mber 16). Chosun Ilbo. Retrieved from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30111600239205007&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30-11-16&officeId=00023&pageNo=5&printNo=3546&publishType=00020
  • Establishment of production plan for straw imported in large quantities from China [支那에서大量輸入되는 麥稈眞田生產計劃樹立] (1938, May 14). Dong-A Ilbo. Retrieved from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38051400209205003&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38-05-14&officeId=00020&pageNo=5&printNo=6005&publishType=00020
  • Ewing, E. (2001). History of 20th century fashion (4th ed.). NY, U.S.A.: Costume & Fashion Press.
  • Duksung Women’s University (2021, December 3). Founder, Mrs. Melissa Cha [설립자 차미리사 선생]. Retrieved from https://www.duksung.ac.kr/contents/contents.do?ciIdx=35&menuId=927
  • Gernsheim, A. (1981). Victorian and edwardian fashion: A photographic survey. NY, U.S.A.: Dover Publications.
  • Girls should wear hats, too [女學生도 帽子를 써라] (1932, May 1). Samcheonri [三千里], 4(5). Retrieved from https://db.history.go.kr/modern/level.do?levelId=ma_016_0260_0190
  • Harmonious ensemble aim of women in selecting costumes for the summer (1922, July 2). The New York Herald. Retrieved from https://chroniclingamerica.loc.gov/lccn/sn83045774/1922-07-02/ed-1/seq-38/
  • Hats for fall (1941, August 30). The Daily Monitor. Retrieved from https://chroniclingamerica.loc.gov/lccn/sn96077287/1941-08-30/ed-1/seq-6/
  • Hats for spring are here already, bringing some new ideas in silhouette (1934, January 18). The Washington Times. Retrieved from https://chroniclingamerica.loc.gov/lccn/sn84026749/1934-01-18/ed-1/seq-10/
  • Hats take an upward turn to achieve smartness (1932, February 7). Evening Star. Retrieved from https://chroniclingamerica.loc.gov/lccn/sn83045462/1932-02-07/ed-1/seq-11/
  • Hong, N. Y., Shin, H. S., & Lee, E. J. (2020). The history of east asian costume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2nd ed.). Paju, Republic of Korea: Gyomoon.
  • Hopkins, S. (1999). The century of hats: Headturning style of the twentieth century. London, England: Aurum.
  • How to select a hat according to your body shape, comp lexion, and season [뭄맵시 얼굴빗, 절긔에 딸하 모자 선택하는 법] (1931, October 11). Dong-A Ilbo. Retrieved from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31101100209204005&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31-10-11&officeId=00020&pageNo=4&printNo=3878&publishType=00020
  • IMDb (n.d.). Joan Crawford in the women. Retrieved from https://www.imdb.com/title/tt0032143/mediaviewer/rm732432897/?ref_=ext_shr_lnk
  • It's been 50 years since the western clothes, which ever yone wears, were imported [지금은 너나업시 다 입는 양복이 수입된 지 五十년] (1932, January 18). Dong-A Ilbo. Retrieved from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32011800209204001&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32-01-18&officeId=00020&pageNo=4&printNo=3977&publishType=00020
  • What Is Jangot For [장옷은 무엇해] (1907, November 13). Daehan Maeil Shinbo. Retrieved from https://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5676345
  • Kang Hyang Ran, from gisaeng to actress [강향란, 기생에서 배우까지] (1926, October 8). Dong-A Ilbo. Retrieved from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26100800209205001&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26-10-08&officeId=00020&pageNo=5&printNo=2187&publishType=00020
  • Kim, E. (2007). A study on man’s hats in Korea from 1876 to 1945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599
  • Kim, H, K. & Lim, S. L. (1999). A study on the the decline of traditional Korean women’s headwear and emergence of parasolsan umbrella and a hat [한국여성 쓰개류의 쇠퇴와 양산, 모자의 출현에 관한 연구]. Theses Collection, 22, 287-295.
  • Kim, H.-J. (2004). Study on the attire of new women described 「beol geon go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2(2), 211-223.
  • Kim, J. A. (2011). A study on children’s clothing in Korea after the open-door period (Doctoral dissertation, E wha Womans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995
  • Kim, J. (2020). Context of acceptance of western living culture in modern ages. The Study of Practice Fol kloristics, (35), 209-229. [https://doi.org/10.35303/spf.2020.02.35.209]
  • Kim, K. C. (2022, July 30). Choi Seunghee's 'world tour,' which Picasso fell in love with [피카소도 반한 최승희의 '월드 투어']. Chosun Ilbo. Retrieved from https://www.chosun.com/culture-life/culture_general/2022/07/30/4N77A7DZOJCRTJSZC7LRIHN3ZY/
  • Kim, K.-I. (2002). Urban consumption culture and the new women in seoul during the 1920-1930s. The Journal of Seoul Studies, (19), 227-262.
  • Kim, S. Y. (2017, September 29). In the 1930s, if Choi Seunghee tasted this place again [1930년대 '모단걸' 최승희가 이 곳, 이 맛을 다시 본다면…]. Chosun Il bo. Retrieved from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9/28/2017092802048.html
  • Koh, B. J. (2001). 100 years of our lives・clothes [우리 생활 100년・옷]. Seoul, Republic of Korea: Hyeonamsa.
  • Kwon, H. Y. & Lee, K. J. (1983). A study on change of the Korean woman’s western clothes in modern__ age: Mainly from 1900 till 1945.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7, 21-37.
  • Ladies spring hats (1938, March 29). Henderson Daily Dispatch. Retrieved from https://chroniclingamerica.loc.gov/lccn/sn91068401/1938-03-29/ed-1/seq-2/
  • Landis, D. N. (2007). Dressed: A century of Hollywood costume design. NY, U.S.A.: Collins Design.
  • Lee, H. G. (2009). Film distribution in the 1920~30s of Korea. Cinema Studies, (41), 127-152.
  • Yi, H.-H. (2022). Acculturation of western culture emergent from modern media-mediated appearance of new women. The Japanese Modern Association of Korea, (77), 195-212. [https://doi.org/10.16979/jmak..77.202208.195]
  • Lee, J. J. & Park, S. (2011). Fashion, Speaking of Culture [패션 문화를 말하다]. Seoul, Republic of Korea: Yekyong.
  • Lee, J.-M. (2014). A study on Korea’s hand knitting from 1886 to 1945 displayed in printed media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421
  • Lee, S. R. & Soh, H. O. (2019). A comparative study on the fashion of modern girl and new women in 20th century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9(5), 1-14. [https://doi.org/10.7233/jksc.2019.69.5.001]
  • Lee, Y. (2017). Acceptance and development of western agriculture after opening of port. Journal of History and Culture, (61), 163-203. [https://doi.org/10.18347/hufshis.2017.61.163]
  • Let’s abolish millinery and high-heeled shoes by far! [婦人帽와 굽높은 구두 斷然廢止하자!] (1940, August 20). Maeil Shinbo. Retrieved from https://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5040528
  • Let's completely abolish meaningless millinery [의미업는 婦人帽- 이 時期에 全廢합시다] (1940, August 10). Maeil Shinbo. Retrieved from https://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5038834
  • Lim, S.-S. (2015). A study on summertime leisure found in modern printed media - focused on dualistic recognition on leisure-. Dongnam Journal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1(39), 99-126.
  • Making a women's and children's hat, first day [紙上講習會, 婦人帽と小供帽の作り方, 第一日] (1926, December 14). Gyeongseong Ilbo. Retrieved from https://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119897001
  • Making a women's and children's hat, second day [紙上講習會, 婦人帽と小供帽の作り方, 第二日] (1926, December 15). Gyeongseong Ilbo. Retrieved from https://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119897221
  • Making a women's and children's hat, third day [紙上講習會, 婦人帽と小供帽の作り方, 第三日] (1926, December 16). Gyeongseong Ilbo. Retrieved from https://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119897448
  • Making a women's and children's hat, fourth day [紙上講習會, 婦人帽と小供帽の作り方, 第四日] (1926, December 17). Gyeongseong Ilbo. Retrieved from https://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119897703
  • Management of store-level products and salesman's efficiency enhancement measures 15 [商店及商品의 管理(와 販賣員의 能率增進策十五] (1933, January 20). Chosun Ilbo. Retrieved from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33012000239203004&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33-01-20&officeId=00023&pageNo=3&printNo=4213&publishType=00020
  • Matthew (2015, June 30). Vintage sailors on shore leave in old Bombay (Mumbai). Matthew’s Island. Retrie ved from https://mattsko.com/2015/06/30/vintagesailors-on-shore-leave-in-old-bombay-mumbai/
  • McDowell, C. (1994). Le chapeau et la mode. Paris, France: Celiv.
  • Mercie, M. (1990). Voyages autour d’un chapeau. Paris, France: Ramsay.
  • Midsummer millinery modes (1907, June 16). The Times Dispatch. Retrieved from https://chroniclingamerica.loc.gov/lccn/sn85038615/1907-06-16/ed-1/seq-44/
  • Min, B. & Hong, N. (2008). The usage and feature in Joseon dynasty’s fel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10), 1559-1570.
  • Mon Paris, women showing their body [녀름風情二몽파리裸女] (1929, July 27). Chosun Ilbo. Retrieved from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29072700239203017&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29-07-27&officeId=00023&pageNo=3&printNo=3069&publishType=00020
  • National Diet Library (n.d.). A photo album of the royal family : The memorial of the Imperial Court 12th edition [金枝玉葉帖: 御大典記念訂12版]. Retrieved from https://dl.ndl.go.jp/pid/1171065/1/62
  • National Hangeul Museum (2022). New women [新女性], 6(9). Retrieved from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17800
  •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NMCA] (2017). The arrival of new women. Seoul, Republic of Korea: Misul Munwha.
  • New soft felt hat special bargains [新型中折帽子大廉賣] (1927, September 21). Gyeongseong Ilbo. Retrieved from https://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119988218
  • New style tickles Cecilia (1934, November 15). Brownsville Herald. Retrieved from https://chroniclingamerica.loc.gov/lccn/sn86063730/1934-11-15/ed-3/seq-8/
  • New women's hat, free repair, 20% off cosmetics [婦人帽子新設, 修繕無料化粧品二割引] (1926, December 10). Gyeongseong Ilbo. Retrieved from https://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118747083
  • Okho-seorim ad [玉虎書林廣告] (1909, August 29). Dae han Maeil Shinbo. Retrieved from https://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3184766
  • Outfit for spring wear (1935, March 29). The Indianapolis Times. Retrieved from https://chroniclingamerica.loc.gov/lccn/sn82015313/1935-03-29/ed-1/seq-20/
  • Park, Y. H. (1927, December 20). Comments on modern girls and modern boys [有産者社會의 所謂『近代女』, 『近代男』]. Byeol-Geon-Gon [別乾坤], (10). Retrieved from https://db.history.go.kr/modern/level.do?levelId=ma_015_0100_0800
  • People on gyeongseong street (1929, September 27). Byeol -Geon-Gon [別乾坤], (23). Retrieved from https://db.history.go.kr/modern/level.do?levelId=ma_015_0210_0010
  • Picken, M. B. (1957). The fashion dictionary. NY, U.S.A.: Funk & Wagnalls.
  • Preparing for the new semester with various hats [新學期の御用意は, 各種帽子] (1928, March 15). Gyeong seong Ilbo. Retrieved from https://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120266877
  • Reasonable breeding method of Angora rabbits, which is advantageous as a farmhouse side job [平南道農家副業] (1936, August 11). Maeil Shinbo. Retrieved from https://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786505
  • Ryu, J. Y. (2007). A comparative study of new women’s clothing in Korea and Japan: focusing o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https://doi.org/10.23174/hongik.000000009155.11064.0000205]
  • Ryu, S. Y. (2013). Modern, be captivated by bobbed hair.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51), 313-336.
  • Sanghyup store [相協商店] (1920, April 19). Dong-A Ilbo. Retrieved from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20041900209201006&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20-04-19&officeId=00020&pageNo=1&printNo=17&publishType=00020
  • Seen on the streets [街上所見] (1928, February 9). Chosun Ilbo. Retrieved from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28020900239205004&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28-02-09&officeId=00023&pageNo=5&printNo=2669&publishType=00020
  • Sewing lessons for children’s clothing and women’s clothing [裁縫講習兒童服婦人服] (1933, September 26). Chosun Ilbo. Retrieved from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33092600239112002&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33-09-26&officeId=00023&pageNo=12&printNo=4421&publishType=00010
  • Sewing workshop [洋裁講習錄] (1937, August 13). Gyeong seong Ilbo. Retrieved from https://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129174189
  • Silhouette hats add interest to costumes (1943, September 24). Evening Star. Retrieved from https://chroniclingamerica.loc.gov/lccn/sn83045462/1943-09-24/ed-1/seq-38/
  • Snapshots of the modes (1907, June 16). The Caucasian. Retrieved from https://chroniclingamerica.loc.gov/lccn/sn88064469/1907-06-16/ed-1/seq-5/
  • Summer dress accessories hat and belt [여름 양장 부속품 모자와 벨트] (1938, June 15). Chosun Ilbo. Retrieved from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38061500239204005&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38-06-15&officeId=00023&pageNo=4&printNo=6141&publishType=00020
  • Summer hats big sale [夏帽子割引] (1915, May 25). Maeil Shinbo. 3.
  • That man with a satgat on his way back to the mountain path [가는비 빗긴날에 산길로 돌아가는 삿갓쓴 저 사람아] (1915, August 25). Maeil Shinbo. Retrieved from https://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3997298
  • The beautiful bus girls of the booyoung bus in new clothes [새옷을 입은 부영쓰의 미인차장들 이십일 낫에] (1928, April 21). Maeil Shinbo. Retrieved from https://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350823
  • The industrial status of rabbits in terms of the productio n value of angora wool [앙고라 毛絲의 生産價値로 본 兎의 產業的地位二] (1932 March 29). Dong-A Ilbo. Retrieved from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32032900209206002&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32-03-29&officeId=00020&pageNo=6&printNo=4048&publishType=00020
  • The influence of young women and activity photography [젊은 여자들과 __________활동 사진의 영향] (1929, April 5). Chosun Ilbo. Retrieved from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29040500239203002&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29-04-05&officeId=00023&pageNo=3&printNo=2956&publishType=00020
  • The pill box (1934, January 12). Evening Star. Retrieved from https://chroniclingamerica.loc.gov/lccn/sn83045462/1934-01-12/ed-1/seq-27/
  • The polygon of love 63 [사랑의 다각형 63] (1930, October 25). Dong-A Ilbo. Retrieved from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30102500209205009&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30-10-25&officeId=00020&pageNo=5&printNo=3527&publishType=00020
  • The production and utilization of animal hair [獸毛類의 生產과 利用1] (1940, February 20). Dong-A Ilbo. Retrieved from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4002200020920601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40-02-20&officeId=00020&pageNo=6&printNo=6647&publishType=00020
  • The story of women's shoes and millinery in summer [夏の婦人靴と婦人帽子の話] (1934, May 26). Chosun Sinmun. Retrieved from https://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109435428
  • Today’s needlework (1945, June 15). The Wilmington Morning Star. Retrieved from https://chroniclingamerica.loc.gov/lccn/sn78002169/1945-06-15/ed-1/seq-6/
  • Turbans (1932, November 11). Evening Star. Retrieved from https://chroniclingamerica.loc.gov/lccn/sn83045462/1932-11-11/ed-1/seq-23/
  • Tyrolean brush adorns sport hats for both men and women (1938, December 2). The Washington Times. Retrieved from https://chroniclingamerica.loc.gov/lccn/sn84026749/1938-12-02/ed-1/seq-31/
  • Up washington heights (1916, December 17). New-York Tribune. Retrieved from https://chroniclingamerica.loc.gov/lccn/sn83030214/1916-12-17/ed-1/seq-49/
  • Vacation hats (1941, June 20). Evening Star. Retrieved from https://chroniclingamerica.loc.gov/lccn/sn83045462/1941-06-20/ed-1/seq-47/
  • Wilcox, R. T. (2008). The mode in hats and headdress. NY, U.S.A.: Dover Publications.
  • Wilcox, R. T. (2011). Folk and festival costume. NY, U.S.A.: Dover Publications.
  • Year round hat is green velour (1938, February 4). The Washington Times. Retrieved from https://chroniclingamerica.loc.gov/lccn/sn84026749/1938-02-04/ed-1/seq-18/
  • Yeo-gye news [女界消息] (1927, November 9). Chosun Ilbo. Retrieved from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27110900239203004&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27-11-09&officeId=00023&pageNo=3&printNo=2577&publishType=00020
  • Yoo, S. K. (1989). A study on the changes in Korean women’s western-style clothing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198
  • Yoo, S. K. (1990). Changes in Korean women’s western-style clothing [한국여성양장변천사]. Seoul, Republic of Korea: Iljisa.
  • Youn, J. R. (2011). A study on momppe’s introduction and adoption in Korea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029

<Fig. 1>

<Fig. 1>
Camille Clifford in Capeline, around the 1900s(Draycott Galleries, n.d.)

<Fig. 2>

<Fig. 2>
Hatpin Illustration(De Courtais, 2006, p. 143)

<Fig. 3>

<Fig. 3>
A Woman in a Simplified Capeline(“Harmonious ensemble aim of women in selecting costumes for the summer”, 1922)

<Fig. 4>

<Fig. 4>
A Woman in a Boater, around 1895(Gernsheim, 1981, Image 178)

<Fig. 5>

<Fig. 5>
A Sailor in a Breton(Matthew, 2015)

<Fig. 6>

<Fig. 6>
A Woman and Child Wearing Bretons(“A season of extravagance”, 1920)

<Fig. 7>

<Fig. 7>
A Woman in a Breton(“Hats for spring are here already, bringing some new ideas in silhouette”, 1934)

<Fig. 8>

<Fig. 8>
A Lady in a Bonnet, around in 1849(Gernsheim, 1981, Image 24)

<Fig. 9>

<Fig. 9>
Straw Bonnet Advertisement(“Vacation hats”, 1941)

<Fig. 10>

<Fig. 10>
A Woman in a Tyrolean Hat(“Year round hat is green velour”, 1938)

<Fig. 11>

<Fig. 11>
A Woman in a Tyrolean Hat(“Outfit for spring Wear”, 1935)

<Fig. 12>

<Fig. 12>
A Woman in Cloche, around 1922(Alamy Stock Photo, n.d.)

<Fig. 13>

<Fig. 13>
A Woman in Toque(“Up washington heights”, 1916)

<Fig. 14>

<Fig. 14>
Pillbox Hat(“The pill box”, 1934)

<Fig. 15>

<Fig. 15>
Pillbox Hat(“Ladies spring hats”, 1938)

<Fig. 16>

<Fig. 16>
A Woman in a Basque Beret(“Carol Hughes”, 1937)

<Fig. 17>

<Fig. 17>
A Woman in a Halo Beret(“Destined for a fashion future”, 1940)

<Fig. 18>

<Fig. 18>
A Woman in a Coolie Beret(“Silhouette hats add interest to costumes”, 1943)

<Fig. 19>

<Fig. 19>
Modified Beret(“Charmers all these new hats”, 1938)

<Fig. 20>

<Fig. 20>
Joan Crawford in The Women (1939)(IMDb, n.d.)

<Fig. 21>

<Fig. 21>
Turbans(“Turbans”, 1932)

<Fig. 22>

<Fig. 22>
Okho-Seorim’s Hats and Accessories Ad(“Okho-seorim ad”, 1909)

<Fig. 23>

<Fig. 23>
Millinery(“Okho-seorim ad”, 1909)

<Fig. 24>

<Fig. 24>
Yun Goryeo in Western Clothing, around the 1900s(Koh, 2001, p. 134)

<Fig. 25>

<Fig. 25>
Imperial Consort Sunheon in Western Clothing, around the 1900s(Koh, 2001, p. 90)

<Fig. 26>

<Fig. 26>
Melissa Cha in Western Clothing, around the 1910s(Duksung Women’s University, 2021)

<Fig. 27>

<Fig. 27>
Esther K. Pak in Western Clothing, 1900(Yoo, 1990, p. 132)

<Fig. 28>

<Fig. 28>
A Girl in a Boater, 1909(Yoo, 1990, p. 132)

<Fig. 29>

<Fig. 29>
Sookmyung Girls’ School Students in Western School Uniform, 1907(Kim, 2011, p. 141)

<Fig. 30>

<Fig. 30>
Schoolgirl in a Breton, 1907(Kim, 2011, p. 141)

<Fig. 31>

<Fig. 31>
Modern Girls Following Fashion in the Movie Mon Paris(“Mon Paris, women showing their body”, 1929)

<Fig. 32>

<Fig. 32>
A Woman in Western Clothes Coming Out of a Shabby Thatched Cottage(“Seen on the streets”, 1928)

<Fig. 33>

<Fig. 33>
Advertisement for Women’s Hats(“Preparing for the new semester with various hats”, 1928)

<Fig. 34>

<Fig. 34>
Women on the Street of Gyeongseong Wearing Western Hats including Cloche(“People on gyeongseong street”, 1929)

<Fig. 35>

<Fig. 35>
Princess Euimin, Princess Deokhye, Princess Morimasa Itsuko Wearing Cloche, 1928(National Diet Library, n.d.)

<Fig. 36>

<Fig. 36>
Na Hye-Seok in Cloche, 1927(Koh, 2001, p. 97)

<Fig. 37>

<Fig. 37>
Advertisement for Hats(“Sanghyup Store”, 1920)

<Fig. 38>

<Fig. 38>
Kang Hyang Ran in a Capeline(“Kang Hyang Ran, from gisaeng to actress”, 1926)

<Fig. 39>

<Fig. 39>
Sookmyung Girls’ School Students in Western School Uniform in 1931(Yoo, 1990, p. 206)

<Fig. 40>

<Fig. 40>
Bus Girls in Western Uniform(“The beautiful bus girls of the booyoung bus in new clothes”, 1928)

<Fig. 41>

<Fig. 41>
An Article About How to Select a Hat(“How to select a hat”, 1931)

<Fig. 42>

<Fig. 42>
An Article About the Trend of Women’s Summer Hats(“A millinery that will be in fashion this summer”, 1937)

<Fig. 43>

<Fig. 43>
A Guide on How to Make a Woman’s Hat(“Making a women's and children's hat, first day~fourth day”, 1926)

<Fig. 44>

<Fig. 44>
Knitted Clothes and Hats Made by Knitting Workshop Members(“End of the knitting class”, 1930)

<Fig. 45>

<Fig. 45>
Members of Chosun Musical Troupe. 1939(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MMCA], 2017, p. 183)

<Fig. 46>

<Fig. 46>
Chosun Musical Troupe Member in Tyrolean Hat, 1939(MMCA, 2017, p. 183)

<Fig. 47>

<Fig. 47>
Chosun Musical Troupe Member in Pillbox Hat, 1939(MMCA, 2017, p. 183)

<Fig. 48>

<Fig. 48>
Choi Seung-Hee in a Beret, 1937(Kim, 2017)

<Fig. 49>

<Fig. 49>
Choi Seung-Hee in a Beret, 1939(Kim, 2022)

<Fig. 50>

<Fig. 50>
A Woman in a Bonnet(“The polygon of love 63”, 1930)

<Fig. 51>

<Fig. 51>
A Woman in Turban(Byeol-geon-gon [別乾坤], 1934)

<Fig. 52>

<Fig. 52>
Mannequins in Beachwear(“Bringing in western goods”, 1936)

<Fig. 53>

<Fig. 53>
A Woman in a Capeline(National Hangeul Museum, 2022)

<Fig. 54>

<Fig. 54>
Capeline and Boater(“Summer dress accessories hat and belt”, 1938)

<Fig. 55>

<Fig. 55>
Bonnet(“An elegant, smart, midsummer millinery”, 1939)

<Fig. 56>

<Fig. 56>
A Felt Boater, in Japanese Colonial Era(Bupyeong History Museum, n.d.)

<Fig. 57>

<Fig. 57>
Boater Advertisement(“Summer hats big sale”, 1915)

<Fig. 58>

<Fig. 58>
Kyunggi Girls’ High School Students in Momppe and Headscarves(Youn, 2011, p. 9)

<Fig. 59>

<Fig. 59>
A Woman in a Headscarf(Adanmungo, 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