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전통 여성 ‘도대수(倒大袖)' 의상을 활용한 현대패션디자인 분석 : 2014년~2024년 컬렉션을 중심으로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design features of traditional Chinese women’s garments, specifically the Daodaxiu clothing, and explores their application in contemporary fashion, focusing on their influence on global design practices. As a representative element of women’s clothing during the Republic of China period, Daodaxiu clothing embodies historical changes and has been reinterpreted in modern fashion. The study analyzes fashion collections from 2014 to 2024, including 92 images from 45 brands across 20 seasons. The results indicate that Daodaxiu clothing elements are more prevalent in S/S compared to F/W collections.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Chinese and Western collections demonstrates notable similarities in silhouette. Western collections favor modern simplicity, whereas Chinese collections integrate traditional and modern elements in their details. Regarding color and patterns, Western collections tend to use high-saturation solid colors and realistic motifs, whereas Chinese collections favor low-saturation colors and symbolic patterns. Both silk fabrics and synthetic materials are extensively used, with Chinese collections exhibiting a diverse mix of fabrics. This study highlights the cultural and material diversity of Daodaxiu clothing elements in contemporary fashion and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the cultural integration of fashion design in Asia.
Keywords:
application of modern fashion, Chinese traditional women's clothing, Daodaxiu clothing, Western and Chinese collections키워드:
현대 패션에의 적용, 중국 전통 여성 의상, 도대수 의상, 서양과 중국 컬렉션Ⅰ. 서론
글로벌 패션 산업에서 전통문화 요소의 활용은 학계에서도 지속적인 관심사로 자리 잡고 있다. 전통 복식의 현대화 응용과 문화적 상징성 등 관련 주제는 꾸준히 연구의 대상이 되어왔으며(Adongo, 2021; Chen & Kim, 2024; Tsui, 2016), 이는 갑작스럽게 나타난 현상이 아니라, 역사적 문화 교류와 디자인 혁신이 결합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를 돌아보면, 일본 기모노(Kimono) 요소가 유럽 의상 디자인에 미친 영향과 이집트 문양이 서구 예술에 활용된 사례는 전통 복식 요소가 문화 간 확산과 재창조의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Abaza, 2006; González, 2016; Hansen, 2004; Lee, 2016). 이러한 역사적 현상은 현대 패션디자인에 지속적인 문화적 아이디어를 제공했을 뿐만 아니라, 전통 복식이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 속에서도 적응력과 지속성을 발전한다는 사실을 뒷받침한다. 전통 복식의 현대적 재해석은 시대적 요구와 디자인 혁신이 결합 되어 이루어진다. 이는 문화적 특성과 글로벌 패션 산업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전통 복식 요소가 현대적 맥락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중국에서 전통적 복식 요소의 현대화 발전은 깊은 역사적 맥락과 문화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중화민국 시대(1912-1949)는 중국과 서양 문화의 교차 및 사회 구조의 변혁이 복식 디자인의 혁신을 촉진한 시기였다. 도대수 의상은 신중식 디자인 요소 중 하나로, 넓은 소매, 간결화된 구조, 현대적 스타일을 통해 현대 복식 디자인에 독창적인 통찰을 제공한다(Xia, 2010), 또한 디테일 디자인을 통해 여성에 대한 사회의 심미적, 기능적 요구의 변화를 반영하였다(Feng, 2022). 전통과 현대를 결합하고 기능을 고려하여 도대수 의상은 20세기 초반에 문명신장(文明新装, Civilized new dress) 등 현대 복식에 광범위하게 응용될 수 있다. 이 시기에 신문화운동(新文化運動, The New Culture Movement)과 여성해방운동(Women's Liberation Movement)의 추진으로 도대수(倒大袖, Daodaxiu) 의상은 점차 일상적이고 사회적인 욕구에 더 부합하는 현대적인 복식으로 전환되었다(Qin, 2019). 이와 동시에 도대수 의상의 조형적 구조는 계속 변화하고 있었으며, 재단 기술, 칼라, 여밈 등 전통적인 공예, 그리고 장식과 재질의 변화를 통해 그 당시 가장 유행하는 여성 복식 유형이 형성되었다(Song, 2017; Wang & Cui, 2023).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도대수 의상은 현대 패션디자인에서 새로운 발전의 기회를 맞이했다. 문화적 자부심의 상승과 디자인 개념의 혁신에 따라 ‘신중식(新中式, New Chinese style outfits)’ 디자인 스타일이 점진적으로 형성되었으며, 이는 전통 복식 요소와 현대적 디자인을 결합하는 중요한 경로로 자리 잡았다(China Daily, 2014). 도대수 의상은 신중식 디자인의 요소 중 하나로서, 넓은 소매, 간결화된 구조, 현대적 스타일을 통해 현대 복식 디자인에 독창적 통찰을 제공하고 있다. 이 스타일은 중국 국내 패션 시장에서 널리 활용될 뿐만 아니라, 파리, 밀라노와 같은 국제 패션위크 무대에서도 독특한 문화적 표현과 시장 잠재력을 보여주고 있다(Gong, 2022). 또한, 중국 지도자와 퍼스트레이디의 국제 행사에서 의상 선택은 전통 의상 요소가 글로벌 패션 언어 환경에서 확산되도록 더욱 촉진했다. 2014년, 시진핑(習近平) 주석 외국 방문 때 개량한 전통 복식을 입었는데, 전통 디자인 요소와 현대 심플한 스타일을 결합하여 중국 전통문화가 당대 장소에서의 적응성과 전파력을 보여주었다(Ramzy, 2014). 또한 펑리위안(彭丽媛) 여사는 입고 개량 치파오 등 전통 디자인을 현대적 맥락에 접목한 의상을 선택함으로써 전통 복식이 현대적 패션에서 지닌 디자인적 가치와 문화적 상징성을 성공적으로 표현했다(Wang & Hunt, 2016). 이러한 사례들은 도대수 의상과 같은 전통 복식 요소들이 단순히 문화적 상징성에 머무르지 않고 현대 패션디자인에서 강한 적응력을 보여준다. 그러나 도대수 의상의 기존 연구는 주로 그 역사적 배경, 형태적 특성, 재단 기법의 정리에 집중되어 있다(Bao, 2004; Feng, 2022; Song, 2017). 2014년부터 2024년까지 도대수 의상이 현대패션디자인에서 구체적으로 활용된 사례와 글로벌 패션 맥락에 대한 체계적 연구는 여전히 부족하다. 이러한 연구의 공백은 도대수 의상이 현대적 디자인을 통해 전통과 혁신의 결합을 어떻게 이루어내는지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한계를 드러내며, 다양한 문화 시장에서의 활용 특성과 적응 경로를 규명하지 못하게 한다.
이에 본 연구는 2014년부터 2024년까지 도대수 의상이라는 중국 전통 여성 의상이 국내외 컬렉션에서 어떻게 활용되었는지를 중점적으로 고찰한다. 본 연구는 105가지 사례에 대한 체계적 분석을 통해 도대수 의상의 현대 컬렉션에서의 특징과 문화적 가치를 탐구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도대수 의상의 실루엣, 디테일, 색, 재질 및 기다 요소의 현대화된 활용 방식을 분석하여, 도대수 의상이 현대 패션디자인에서 지닌 적용 특성과 문화적 가치를 규명할 것이다. 이를 통해 패션 디자이너들에게 전통 복식 요소와 현대 디자인을 결합하는 전략적 제언을 제공하고, 나아가 전통 복식 문화가 글로벌 패션 산업에서 적응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와 실천적 경로를 제시하고자 한다.
Ⅱ. 이론적 배경
1. 여성 도대수 의상의 개념과 기원
여성 도대수 의상은 중국 근대 여성복에서 중요한 구성 요소로, 특정 의상 유형이자 의상 디자인의 독특한 구조적 특징으로 정의된다. 의상 유형으로서 도대수 의상은 일반적으로 넓은 소매와 넉넉한 실루엣을 특징으로 하는 상의나 포(袍, pao)를 가리키며, 전형적인 특징으로는 넓은 소매 디자인, 부드러운 선이 강조된 의상 구조, 다양한 의상 스타일과의 조화를 들 수 있다. 또한, 디자인적 특징으로서 도대수 의상의 소매 형태는 전통 여성복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특히 1920년대 유행했던 짧은 상의와 치파오(旗袍, Qipao) 디자인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Qin, 2019).
도대수 의상의 역사는 위진남북조 시대(魏晉南北朝, 420–589)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시기에는 ‘오(襖, Ao)’와 ‘유(襦, Ru)’라는 짧은 상의로 나타났으며, 평면재단 기법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당시 의상은 간결한 선이 특징이며, 착용자의 일상적이고 기능적인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설계되었다<Fig. 1>. 당나라(618–907)와 송나라(960–1279)에 이르러 도대수 의상은 장식 요소가 더해진 짧은 상의 형태로 발전하였고, 스커트 앙상블(skirt ensemble)과 결합하여 여성의 일상복으로 자리를 잡았다(Jiang, 2015). 이후 청나라에 들어서 도대수 의상 디자인은 전통적인 넓은 소매와 평면재단 기법을 유지하면서도, 자수와 화려한 색상 조합과 같은 장식적 요소를 도입하였다. 이는 청나라(1636–1912) 복식의 제작 기술과 소재 선택에서의 변화를 보여주며, 복식의 미적 완성도를 크게 향상시켰다 <Fig. 2>.
20세기 초, 신문화운동과 여성해방운동의 영향을 받아 도대수 의상은 전통 의상 유형에서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전환되었다. 이 시기 도대수 의상의 특징은 문명신장에 널리 활용되었으며, 일상적이고 사교적 요구를 충족시키는 의상 스타일로 발전하였다<Fig. 3>. 이를 통해 도대수 의상 디자인은 여성복의 기능성과 편안함을 강화하면서, 실용성과 우아함을 겸비한 획기적인 변화를 이끌어냈다(Feng, 2022; Yu, 2014).

1920s Civilized New Dress and 1930s-1940s Women's Qipao(biftmuseum, n.d.-a; biftmuseum, n.d.-b; chinasilkmuseum, n.d.-b)
종합적으로 보면, 도대수 의상은 특정 시기 의상 문화의 중요한 상징일 뿐만 아니라, 각 역사적 시기에서 기능적 요구, 미학적 가치, 사회적 역할 간의 상호작용을 반영한다. 따라서 도대수 의상은 근대 여성복의 디자인을 연구할 데 중요한 학문적 근거를 제공하며, 전통 복식과 현대화된 복식 디자인 간의 연관성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사례로 여겨진다.
2. 여성 도대수 의상의 조형적 특성
도대수 의상은 중국 전통 여성복의 중요한 요소로, 오랜 역사적 변천 과정을 거치며 독창적이고 체계적인 디자인 논리를 형성해왔다. 이 논리는 의상의 실용적 기능을 구현함과 동시에 구조 및 장식 방식을 통해 문화적 소재와의 밀접한 연관성을 보여준다. 도대수 상의는 길이와 실루엣에서 도대수 치파오와 차이를 보이지만, 재단 기법과 디테일, 장식, 소재 사용 면에서 유사성을 유지한다.
구조적으로, 도대수 상의는 보통 엉덩이까지 오는 길이를 가지며, H라인 또는 A라인 실루엣을 기본으로 하여 허리선을 강조하는 디자인을 적용한다. 이러한 디자인은 전통 평면재단을 활용하여 원단의 경제적 사용을 유지하면서도, 선의 수축과 확장을 통해 착용 적합성을 강화한다(Zhang, 2021)<Fig. 4>. 반면, 도대수 치파오는 길이가 종아리까지 이르며, 전체적으로 여유로운 A라인 실루엣을 통해 기능성과 착용감을 더욱 강조한다(Song, 2021)<Fig. 5>.
디테일 디자인은 전통성과 장식성을 동시에 강조한다. 대금우임(大襟右衽, Dajinngyouren)은 주요 대금(옷깃이 가슴에서 겹침), 우임(옷섶이 오른쪽으로 향함)이 특징이고 단추가 아닌 끈으로 묶어 우아하고 방식으로 규범성을 보인다(Garrett, 2007)<Fig. 6>. 깃은 주로 입령(立领, standing collar)이나, 20세기 초 폐령운동(廢領運動, Collar-Free Movement)의 영향을 받아 점차 원령(圓領, round collar), 방령(方領, square collar) 및 물방울 모양인 수저령(水滴領, water-drop collar) 등 다양한 형태가 등장하였다(Wang & Cui, 2023)<Fig. 7>.
단추는 매듭단추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점차 금속, 유리, 도자기와 같은 산업화된 재료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변화는 단추의 소재 선택을 다양화했을 뿐만 아니라, 장식적 차원에서 전통 공예와 현대 생산 방식을 결합시켰다(Song, 2017).
색 활용 측면에서 도대수 의상은 전통 예복의 엄격한 색채 규정을 넘어, 흰색, 파란색, 검은색 계열을 주로 사용한다. 이러한 색채 선택은 일상복의 실용적 요구를 충족시키는 동시에, 복잡한 장식이 전체적인 시각 효과를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Feng, 2022).
문양 장식은 매화, 모란과 같은 식물 문양, 용과 봉황 같은 동물 문양, 그리고 기하학적 패턴을 포함하며, 자수와 염색 등의 공예를 통해 표현된다. 20세기 후반부터 기계화 공예가 전통 수공예를 점차 대체하기 시작했으며, 특히 인레이(Inlay)와 파이핑(Piping) 같은 기술이 널리 적용되어 장식적 공예의 효율성을 높였다(Song, 2017).
재질 선택 측면에서, 도대수 의상은 전통 실크 및 면직물에서 합성섬유로 확장되었다. 전통 소재는 가볍고 부드러우며 주로 예복과 일상복에 적합한 반면, 합성섬유는 내구성과 경제성을 강화하였다(Feng, 2022; Wang, 2021).
도대수 의상의 조형적 특성, 특히 대금우임 디자인, 넓은 소매, 장식은 중국 전통 의상 문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동아시아 인근 국가에도 직접적인 디자인 참고를 제공하였다. 또한, 19세기 말 동양주의(Orientalism) 열풍에서 유럽 및 미국 디자이너들에 의해 변형 및 현지화되어 지역 의상 시스템에 융합되었다. 이러한 적응성과 문화적 상징성은 도대수 의상이 문화 간 전파에서 지속적으로 재현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이를 통해 현대 글로벌 패션 문맥에서의 가치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근거를 제공한다.
3. 도대수 의상 디자인의 문화 간 교류와 현대패션에서의 재현
도대수 의상은 전통 의상의 요소로, 넓은 소매, 대금, 우임 디자인과 같은 주요 특징을 통해 동아시아 여러 국가의 복식 체계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일본, 한국, 베트남은 제도적 전파와 문화 교류를 통해 도대수 의상 디자인의 핵심 요소를 수용하고 이를 자국의 의상 문화에 맞게 변형하였다. 예를 들어, 일본은 8세기 「요로 율령」(Yoro Code) 이후 대금 우임 형식을 채택하였으며, 이 디자인은 현재까지 기모노의 중요한 특징으로 이어져 왔다(Stevens & Wada, 1996). 한국의 한복은 삼국시대에 중국의 단유(短襦,duanru) 스타일을 모방하면서 초기 좌임(左衽) 형식을 우임으로 바꿔 착용의 편의성과 예식적 가치를 높였다(Kim, 1977). 베트남의 전통 의상 Áo giao lĩnh(交領衣, 교령 의상)은 중국의 대금 디자인을 기본으로 하여 응우옌 왕조(Nguyen Dynasty) 시기에 입깃과 Áo ngũ thân (오신 장포)을 도입하며 전통성과 실용성의 균형을 추구하였다(Condra, 2013)<Table 1>.
19세기부터 20세기 초에 이르기까지 도대수 의상 디자인은 무역과 문화 교류를 매개로 서구 패션 문맥에 유입되었다. 특히, 19세기 오리엔탈리즘(Orientalism) 열풍 속에서 도대수 의상의 넓은 소매와 우임 형태는 서구 디자이너들에게 신선하고 독창적인 영감을 제공하였다. 영국의 시누아즈리(Chinoiserie) 스타일은 도대수 의상의 넓은 소매 디자인을 비공식 의복에 적용하였으며, 1901년 미국 「The Delineator」 잡지에서는 'San Toy' 의상이 중국풍 스타일로 등장하였다. 이 의상은 도대수 의상의 넓은 소매, 좌임 형태와 장식적인 리본 타이를 결합하여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걸친 서구 패션과 동양 디자인 융합의 대표적인 사례로 자리 잡았다(Parkins & Sheehan, 2011). 20세기 초, 도대수 의상 디자인의 여유로운 실루엣과 깊은 암홀은 서구 여성복에서 널리 적용되었다. 특히, 코르셋의 소멸과 함께 도대수 의상실루엣이 제공하는 편안함과 자유로움은 현대 여성복의 중요한 특성 중 하나로 부각되었다(Cheang, 2019)<Table 2>.
글로벌화의 맥락에서 도대수 의상 디자인은 현대 디자이너들의 재구성을 통해 다시 한번 패션 무대에 등장하였다. 현대 패션에서는 도대수 의상의 전통적인 장식 요소가 최신 기술과 결합하여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재구성되었다. 디자이너들은 소매 크기를 조정하고 깃 형태를 단순화하여 도대수 의상 디자인을 현대 소비자의 일상적 요구에 맞추었으며, 이는 착용 편의성과 편안함을 높이는 동시에 전통적 가치를 현대적 디자인에 통합시켰다.
이러한 재현은 도대수 의상 디자인이 다원적 디자인 배경 속에서 지닌 문화적 가치와 시장 잠재력을 보여주는 동시에, 글로벌 패션 문맥에서의 독창적이고 지속 가능한 역할을 재확인시킨다.
Ⅲ. 현대 패션컬렉션에 나타난 도대수 의상 사례 분석
1.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본 장에서는 2014년부터 2024년까지 세계 4대 패션 컬렉션(밀라노, 파리, 런던, 뉴욕)과 상하이 및 베이징 컬렉션에서 발표된 도대수 의상의 현대 패션디자인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www.vogue.com, www.chinafashionweek.org, www.art.cfw.cn, www.dailyfashion.cn 등 업계 권위 있는 패션 정보 웹사이트에서 선정되었다. 이러한 사이트는 포괄적이고 정확한 디자인 사례를 제공하는 신뢰할 수 있는 정보원으로 평가되기 때문이다.
사례 선정과 시간 범위 설정은 명확한 현실적 근거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특히 2014년은 상징적인 전환점으로, 당시 시진핑 주석이 네덜란드 국빈 만찬에서 개량된 중산복을 착용하고, 펑리위안 여사가 청록색 중국식 롱드레스를 착용한 모습이 국제적으로 큰 주목을 받았다. 「더 뉴욕 타임스(The New York Times)」는 이를 "전통과 현대적 요소를 절묘하게 결합한 전형"으로 해석하면서 중국 예복 디자인이 문화적 자신감과 현대적 미감을 갖춘 스타일을 점차적으로 형성하고 있음을 강조하였다(Ramzy, 2014). 도대수 의상은 디자인 요소로서 작품마다 다양한 표현 형식을 가지며, 이를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디자인 트렌드를 포괄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사례 분석은 이론적 배경에 기반하여 도대수 의상의 조형적 특성을 실루엣, 디테일, 색, 문양, 재질 등 여러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특히 디테일 특성은 칼라, 여밈, 소매 및 밑단의 네 가지 유형으로 세분화되었다<Fig. 8>.

The Whole and Details of Daodaxiu Clothing Appearing in Chinese CollectionHeaven Gaia 2018 Fall (chinafashionweek, n.d.-e)
분석 자료는 선정된 패션 정보 웹사이트를 통해 각 컬렉션에서 발표된 도대수 의상 디자인 사례 사진을 수집하여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패션디자인 전문 석사 1명과 박사 2명 등 총 3명의 전문가가 사례 선정과 분석 과정에 참여하였다. 도대수 의상의 특징요소 중 소매 형태와 칼라 형태를 포함하여 두 가지 이상의 대표적인 표현 특징을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따르면, 총 105건의 사례가 선정되었으며, 이 중 해외 컬렉션 사례는 32벌, 중국 컬렉션 사례는 73벌, 관련 브랜드 및 디자이너는 총 45명이었다. <Table 3>은 도대수 의상이 중국과 해외 컬렉션에서 선보인 디자인의 수를 정리한 표다. 사례 수는 비교적 적지만, 현대 사회에서 도대수 의상이 다문화 환경의 국제 디자인에서 활용상황을 보여준다.
6대 컬렉션에 나타난 도대수 의상 적용 디자인의 빈도를 살펴보면 2017, 2020, 2021, 2023, 2024년도에 비교적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2017년 ‘중국 브랜드의 날’(Pan & Zhang, 2017)의 제정,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과 2023년 항저우 아시안게임의 개최는 중국 전통 복식 문화에 대한 국제적 관심을 이끌고 있다. 시즌별 경향을 보면, S/S 시즌에 더 많이 응용되었다. 이는 도대수 의상의 경쾌하고 편리한 스타일의 특징인 투피스 또는 원피스의 깔끔한 아이템, 팔꿈치 길이의 넓은 소맷부리 양식, 얇고 가벼운 직물 등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Fig. 9>는 현대 패션에 응용된 도대수 의상 사례의 시즌별 빈도를 정리한 것이다.
2. 해외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도대수 의상 스타일의 디자인 특성
해외 컬렉션에서 도대수 의상의 실루엣을 분석한 결과, 주로 H라인과 A라인으로 구분되었다. H라인은 직선적인 박시 실루엣과 타이트 실루엣을 포함하며, 전체 사례의 68.8%를 차지해 A라인보다 두 배 높은 비율을 보였다. 특히 박시 실루엣이 50%를 차지하였으며, 이는 타이트 실루엣보다 더 빈번하게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이는 서양 디자이너들이 중국 전통 복식의 평면재단 기법에서 영감을 받아 이를 현대 패션디자인에 적용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한편, 타이트 실루엣의 대부분은 치파오 형태로, 서양의 입체재단과 중국의 평면재단의 조화로운 융합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이러한 의상은 도대수 의상 디자인이 현대 패션에서 전통과 현대의 디자인 요소를 어떻게 창의적으로 결합하는지에 대한 중요한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전통적 도대수 의상을 재해석한 현대 패션디자인 사례들은 원피스, 재킷, 블라우스, 코트의 네 가지 주요 아이템으로 분류되었다. <Table 5>의 분석 결과, 원피스로 재해석된 디자인이 43.8%로, 이어서 재킷(28.1%), 블라우스(25%) 순으로 나타났다. 해외 컬렉션에서 도대수 의상을 적용한 아이템 디자인은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재해석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첫째는 도대수 치파오의 영향을 받은 원피스형 디자인이며, 둘째는 도대수 상의에서 영감을 얻은 블라우스형과 재킷형 디자인이다. 이러한 결과는 전통 도대수 의상이 현대 패션디자인에서 활용되는 방식과 그 영향력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중화민국 시기 도대수 의상의 조형적 특성을 바탕으로, 디테일은 전통 도대수 의상의 특징적 디테일 깃, 여밈, 소매, 밑단의 네 가지로 분류하여 분석되었다. 현대 패션디자인 사례를 바탕으로, 깃과 여밈은 각각 칼라와 오프닝으로 현대적 디자인 용어로 재해석하여 분석하였다. <Table 6>에 따르면, 입령의 변형인 서양식 하이칼라가 전체 사례의 43.8%를 차지하였으니, 그 다음으로는 스탠딩 칼라가 28.1%, 치파오의 수저령을 변형한 현대적 워터 드롭 칼라가 15.6%, 칼라 없는 디자인이 12.5%를 차지하였다. 이 결과는 서양 디자이너들이 도대수 의상의 대표적 특징 중 하나인 입령 형태를 현대적 디테일로 변형하여 활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현대 패션 디테일 분석은 칼라, 오프닝, 소매, 밑단의 네 가지 주요 디자인 요소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도대수 의상의 디테일이 현대 패션디자인에서 어떻게 재해석되고 활용되었는지를 구체적으로 분석했다.
오프닝의 경우 <Table 7>에 따르면, 대부분 앞 오프닝이 없는 디자인(50%)이었으며, 전통 도대수 의상에서 흔히 볼 수 없는 대칭적인 오프닝과 왼쪽 오프닝 형태가 현대 해외 디자인에서도 등장하였다.
소매 형태는 주로 소매 길이의 변화에 집중되어 있으며, <Table 8>에 따르면 팔꿈치 길이 소매의 비율이 50%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이는 전통적인 도대수 의상의 소매 길이를 계승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현대 해외 디자인에서는 긴 소매, 반소매, 짧은 소매 등 다양한 소매 길이가 나타났다.
밑단 디자인은 기존 도대수 의상의 곡선형 밑단과 달리 <Table 9>에 따르면 현대적 직선이 가장 높은 비율인 81.2%를 차지했다. 이외에 전통 도대수 의상에서 보이던 곡선 라인과 창의적인 웨이브 라인 등 디자인도 불 수 있다.
색은 유채색과 무채색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Table 10>에 따르면, 유채색 중에는 파란색 비율이 15.7%로 가장 높았으며, 그다음에 노란색이 12.5%였다. 무채색 중 흰색이 28.1%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검은색은 25%로 그 뒤를 이었다. 서양 디자이너들은 색을 표현할 때 대부분 넓은 면적으로 표현하고 강렬한 단색 디자인을 선호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해외 컬렉션에서는 실크와 새틴 같은 광택이 있는 견직물이 59.5%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Table 11>. 합성 직물이 28.1%를 차지했고. 면, 가죽 등도 볼 수 있었다. 해외 컬렉션에서는 직물 혼용이 거의 사용되지 않고 대부분 통일된 소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해외 컬렉션에서 도대수 의상 스타일의 문양은 자연 문양, 기하 문양, 추상 문양, 중국화 문양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문양이 없는 경우도 있었다. <Table 12>에서 보면 자연 문양이 가장 높은 비율인 53.1%를 차지하였다. 문양에는 중국 전통 대나무, 모란, 국화 등이 있었으며 해외 컬렉션 디자이너들의 문양은 사실적 효과와 현대추상적 효과 모두 볼 수 있었고 문양 색은 직물 색과 강한 대조를 볼 수 있다. 패턴에 대한 표현방식은 디지털 프린팅, 자수, 비즈 등 장식을 사용하여 화려하게 표현되기도 하였다.
3. 중국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도대수 의상 스타일의 디자인 특성
<Table 13>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실루엣 표현에서 H라인 사례가 총 59건으로 80.8%로, 전체 사례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다. 특히 박시 실루엣의 사용 빈도가 가장 높았다. H라인과 A라인은 중국 전통 복식 실루엣 중 폭이 넓은 '관의(寬衣, Kuanyi)' 형태를 반영한 것으로, 이는 전통 도대수 의상의 고전적인 실루엣을 계승하는 동시에 신중식 패션 트렌드를 반영한 결과로 볼 수 있다.
<Table 14>의 분석 결과, 블라우스가 42.5%, 원피스가 37.0%, 재킷이 20.5%의 비율을 보였다. 블라우스와 원피스 아이템은 전통 도대수 의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아이템이다. 이외에도 중국 컬렉션에서는 전통 복식 아이템인 포복(袍服, Paofu)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형태도 등장하였다.
중국 컬렉션의 디테일은 서양 컬렉션과 마찬가지로 칼라, 오프닝, 소매, 밑단 네 가지 측면으로 분석되었으며, 구체적인 결과는 <Table 15>에 제시되어 있다. 칼라 디자인에서는 스탠딩 칼라가 58.9% 비율을 보였고, 그 외에는 칼라 없는 디자인이 21.9%, 크로싱 칼라 11.0%, 서양식 하이 칼라 6.8%, 워터 드롭 칼라 1.4% 순으로 나타났다. 중국 컬렉션에서 현대 도대수 의상의 칼라는 전통 깃 형태를 바탕으로 현대적인 변형을 가미하여 새로운 디자인 요소를 도입하였다.
오프닝 디자인에서는 <Table 16> 오른쪽 오프닝이 32.9%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그다음으로는 오프닝이 없는 디자인이 30.1%, 대칭적 오프닝 27.4%, 왼쪽 오프닝이 9.6%로 나타났다. 전통 도대수 의상의 오프닝 형태를 변형한 현대적 오프닝 형태가 많이 나타났다.
소매 디자인에서는 <Table 17>의 분석 결과, 팔꿈치 길이 소매가 43.8%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반소매 24.7%, 긴 소매 19.2%, 짧은 소매 12.3% 순으로 나타났다. 중국 컬렉션에서는 도대수 의상 소매 디자인이 많이 활용되었으며, 길이뿐만 아니라 왜곡된 형태와 입체감을 강조한 창의적인 현대적 디자인도 많이 보였다.
밑단 디자인에 대한 분석 결과는 <Table 18>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대부분 직선형 밑단이 84.9%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그 외에는 곡선형 8.2%, 웨이브형 6.9% 순으로 나타났다. 중국 컬렉션은 기존 밑단 라인을 바탕으로 레이어드 등 다양한 디자인으로 재해석했다.
중국 컬렉션에 나타난 색상은 <Table 19>에서 살펴볼 수 있으며, 유채색 중 빨간색이 17.8%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무채색으로는 해외 컬렉션과 마찬가지로 흰색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중국 컬렉션에서는 대부분 채도가 낮은 색을 사용하여 조화를 이루었으며, 문양의 색은 직물색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경우가 많았다. 단일한 색을 사용하더라도 컬러 블로킹 기법이 등장하였고, 색상의 명암 변화나 유사색 원단을 조합하여 그러데이션 효과를 구현하였다. 또한, 전통 중국 염색 공예 기법을 통해 전통 색상의 의미를 현대적으로 표현하였다.
중국 컬렉션에서는 실크와 새틴 같은 광택 있고 부드러운 견직물이 많이 사용되었으며, 전통적인 면, 마, 모직 소재도 사용되었다<Table 20>, 또한 중국 컬렉션에서는 현대 합성섬유의 활용이 두드러졌으며, 망사와 합성섬유의 혼합 디자인도 등장하였다.
<Table 21>을 보면 해외 컬렉션과 마찬가지로 자연 문양이 63.1%로 가장 높았다. 자수와 디지털 프린팅 기법을 활용하여 국화, 모란, 난초 등 전통 패턴과 함께 중국화 기법으로 식물의 추상적 형태를 표현하였다. 또한 중국 디자이너들은 중국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를 지니고 있어 선택의 폭이 넓어져 구름과 같은 길상 문양도 나타났다. 이은 중국 전통문화의 조화를 강조하고 전통 의미를 표현하였다.
4. 해외 컬렉션과 중국 컬렉션에 나타난 도대수 의상 스타일의 디자인 특성 비교
실루엣은 해외 컬렉션과 중국 컬렉션 모두 H라인과 A라인을 사용하였고, 특히 H라인 실루엣에서는 박스형 스타일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두 컬렉션 모두에서 블라우스와 원피스의 활용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중국 컬렉션은 전통 복식의 형태와 아이템을 더 다양하게 활용한 점이 특징적이다. 오프닝의 경우, 해외 컬렉션과 중국 컬렉션 모두 오프닝이 없는 디자인의 사용 빈도가 높았다. 하지만 중국 컬렉션에서는 전통적인 여밈 디자인을 현대적으로 변형한 사례가 두드러졌다. 소매 디자인에서는 팔꿈치 길이 소매가 가장 흔히 사용되었고, 중국 컬렉션에서 더욱 다양한 소매 디자인이 선보였다. 밑단 디자인은 주로 직선형이었으며, 창의적이고 현대적인 디자인들이 돋보였다. 색상 면에서, 두 컬렉션은 전통색을 현대적이고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였다. 무채색 계열에서는 백색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해외 컬렉션은 단일 색상 또는 순색을 선호한 반면, 중국 디자이너들은 전통적인 중국 색을 유지하면서도 컬러 블로킹과 그러데이션 기법을 사용하여 색채 간의 조화와 품위를 강조하였다. 문양과 직물 색상은 대부분 일관된 경향을 보였으며, 전통적인 중국 문양의 사용이 눈에 띄었다. 재질은 실크 사용이 빈번했으며, 현대 합성섬유도 선호되었다. 해외 디자이너들은 주로 한 가지 재질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었고, 중국 컬렉션에서는 전통 직물과 현대 합성섬유를 혼합한 디자인도 나타났다. 패턴 디자인에서는 두 컬렉션 모두 자연 문양을 주제로 많이 사용했으나, 표현방식에서 차이를 보였다. 해외 디자이너들은 사실적인 형태를 강조하고 강렬한 색상 대비를 사용한 반면, 중국 디자이너들은 상징적이고 불규칙한 문양 배치를 통해 전통과 현대의 조화를 강조하였다. 디지털 프린팅과 자수 기술로 중국 전통 문양을 재해석하여 현대적 의미를 부여한 점이 특징적이었다. 이러한 비교 분석을 통해 해외 컬렉션과 중국 컬렉션에서 나타나는 도대수 의상 스타일의 주요 차이점과 공통점을 <Table 22>에 정리하였다.
Ⅳ. 결론
2014년 ‘신중식’ 개념의 등장 이후, 중국 전통 복식 문화는 계승과 혁신을 통해 현대적 가치를 새롭게 모색해 왔다. 특히, 2017년 ‘중국 브랜드의 날’ 제정,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 2023년 항저우 아시안게임의 개최는 중국 전통 복식 문화가 국제적 주목을 받으며 현대 패션과 긴밀히 연결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도대수 의상은 중국 전통 여성복의 상징적인 양식으로 자리 잡았으며, 독창적인 조형적 특징과 심오한 문화적 함의를 통해 현대 패션디자인에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과 사례 분석을 통해 도대수 의상의 역사적 변천과 현대 패션디자인에서의 적용 방식을 탐구하였다. 연구 결과, 도대수 의상은 1920년대 중화민국 시기에 일본 복식과 서양 복식의 융합을 통해 독창적이고 융합적인 양식으로 발전하였다. 전통적 특징인 몸에 맞는 실루엣과 넓은 소매는 착용감과 실용성을 동시에 구현하였으며, 복잡한 장식을 단순화한 디자인은 여성의 독립성과 신체 해방이라는 당대의 사회적 변화를 반영하였다. 이는 단순한 복식의 변천을 넘어, 현대 패션에서도 문화적 영감을 제공하는 중요한 유산으로 평가된다.
현대 패션 컬렉션에서는 도대수 의상이 다양한 방식으로 재해석되었다. H라인과 A라인 실루엣은 전통적인 조형미를 유지하면서도 현대적 감각으로 구현되었으며, 박시 실루엣이 가장 빈번하게 활용되었다. 해외 디자이너들은 간결하고 실용적인 디테일을 강조하며, 미니멀한 칼라와 여밈을 활용한 현대적 디자인을 선호하였다. 반면, 중국 디자이너들은 전통적 디테일인 매듭단추와 대금의 요소를 현대적으로 변형하고 자수 및 입체 장식을 더해 전통과 현대의 조화를 강화하였다. 색상 활용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다. 해외 컬렉션은 단색 또는 강렬한 색 대비를 선호하는 반면, 중국 컬렉션은 전통 색채의 깊이를 강조하며 그러데이션과 컬러 블로킹을 통해 동양적 미감을 표현하였다. 재질에서는 실크와 합성섬유가 공통적으로 사용되었으며, 해외 컬렉션은 단일 소재를 주로 활용한 반면, 중국 디자이너들은 전통 직물과 현대 소재를 혼합하여 실용성과 미적 가치를 높였다. 문양은 양쪽 모두 자연 문양을 주제로 삼았으나, 해외 컬렉션은 사실적이고 강렬한 대조를 통해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하였고, 중국 컬렉션은 상징적이고 조화로운 문양 배치를 통해 전통적 의미를 현대적으로 해석하였다.
본 연구는 사례 분석이 주로 주요 컬렉션과 공개 자료에 의존하였으며, 지역적 디자인 실천이나 소규모 브랜드 사례에 대한 심층적 고찰이 부족하였다. 또한, 시각적 분석과 문헌 고찰에 중점을 두면서 실제 디자인 과정과 소비자 반응과의 연계 분석이 미흡하였다. 특히, 다양한 문화적 배경에서의 비교 연구가 제한적이어서, 전통 복식 요소가 각 지역의 현대적 맥락에서 어떻게 재창조되고 적용되는지를 탐구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앞으로의 연구는 지역적 디자인 사례를 포함하여 도대수 의상과 같은 전통 복식 요소가 현대 패션에서 어떻게 재구성되고 활용되는지에 대한 보다 폭넓은 탐구가 필요하다. 특히, 사회학적 접근, 마케팅 전략 분석, 기술 혁신과의 연계를 통해 전통 복식 요소의 상업화와 지속 가능성에 대한 심층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나아가, 글로벌 패션 산업에서 전통 디자인 요소의 역할을 재조명하고, 이를 토대로 현대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은 다각적이고 학제적인 접근은 전통 복식 연구의 학문적 지평을 넓히고, 현대 패션디자인에서 전통 요소의 가치를 재구성하는 데 의미 있는 기준점을 제공할 것이다.
References
-
Abaza, M. (2006). A new consumer culture. In The changing consumer cultures of modern Egypt: Cairo's urban reshaping (pp. 165-228). Brill.
[https://doi.org/10.1163/9789047410478_009]
- Adongo, F. (2021). The use of mediation to resolve conflicts arising from cultural appropriation by western fashion brands. Cardozo Journal of Conflict Resolution, 22(2), 367-392.
- art cfw. (n.d.). TUYUE 2023 spring/summer collection at shanghai fashion week [上海時裝周TUYUE塗月2023春夏系列]. https://art.cfw.cn/news/348010-1.html
- Bao, M. X. (2004). Robe[袍] & Jacket[上衣]. In A record of women's clothing in modern china [近代中國女裝實錄] (pp. 7-57). Donghua University Press.
- biftmuseum. (n.d.-a). Exhibition preview: "new embroidered luoru-collection of traditional costumes for han women in the qing dynasty and the republic of china" [展覽預告: “新帖繡羅襦-清代·民國漢族女性傳統服飾館藏展"]. http://biftmuseum.com/news/detail/27112
- biftmuseum. (n.d.-b). Exhibition preview: "new embroidered luoru-collection of traditional costumes for han women in the qing dynasty and the republic of china"[展覽預告: "新帖繡羅襦-清代·民國漢族女性傳統服飾館藏展"]. http://biftmuseum.com/news/detail/27112
- biftmuseum. (n.d.-c). Royal blue brocade jacket with daodaxiu and round hem [寶藍色織錦緞倒大袖圓擺女短襖]. http://biftmuseum.com/collection/info?sid=14626&colCatSid=2
- biftmuseum. (n.d.-d). Light purple plain satin jacket with daodaxiu and pearl embroidery [淺紫素緞倒大袖珠繡托絨女襖]. http://biftmuseum.com/collection/info?sid=14971&colCatSid=2
- biftmuseum. (n.d.-e). Goose yellow checkered curly grass pattern jacquard silk cheongsam with side-opening stand-up collar and daodaxiu [鵝黃色方格卷草紋提花綢側開立領倒大袖旗袍]. http://www.biftmuseum.com/collection/info?sid=16043&colCatSid=2
- biftmuseum. (n.d.-f). Green jacquard silk jacket with daodaxiu and round hem along black satin edge [綠色提花綢沿黑緞邊圓擺倒大袖]. http://biftmuseum.com/collection/info?sid=15461&colCatSid=2
-
Cheang, S. (2019). Fashion, chinoiserie, and the transnational: Material translations between China, Japan, and Britain. In P. T. D. Chu & J. D. Milam (Eds.), Beyond chinoiserie: Artistic exchange between China and the West during the late Qing dynasty (1796-1911) (pp. 239–292). Brill.
[https://doi.org/10.1163/9789004387836_011]
-
Chen, Y. H., & Kim, C. (2024). A study on cultural appropriation of fashion design in the era of globalization-focusing on traditional culture. Journal of Fashion Business, 28(3), 69-89.
[https://doi.org/10.12940/jfb.2024.28.3.69]
- China Daily. (2014, December 11). 新中裝 (Xin zhong zhuang): new chinese tunics. https://www.chinadaily.com.cn/opinion/2014-11/14/content_18912196.htm
- chinafashionweek. (n.d.-a). JEFEN. https://www.chinafashionweek.org.cn/wjhg/wjtp/2019cx/zcfu/pic/201810/t20181026_3800252.html
- chinafashionweek. (n.d.-b). NE·TIGER. https://www.chinafashionweek.org.cn/tpxz/2017xz/2017zcfu/201610/t20161025_2312893.html
- chinafashionweek. (n.d.-c). CHUYAN [楚和聽香·楚豔]. https://www.chinafashionweek.org.cn/tpxz/2017xz/2017zcfu/201610/t20161027_2313182.html
- chinafashionweek. (n.d.-d). EVE de CINA. https://www.chinafashionweek.org.cn/wjhg/wjtp/20152016/zcfb/pic/201503/t20150325_1926305.html
- chinafashionweek. (n.d.-e). Heaven Gaia [蓋婭傳說·熊英]. https://www.chinafashionweek.org.cn/tpxz/20182019xz/20182019zcfb/201804/t20180401_3695213.html
- chinafashionweek. (n.d.-f). GRACE CHEN haute couture [GRACE CHEN高級時裝]. https://www.chinafashionweek.org.cn/wjhg/wjtp/20212022/zcfb/pic/202104/t20210401_4125565.html
- chinafashionweek. (n.d.-g). CHUYAN [楚和聽香·楚豔]. https://www.chinafashionweek.org.cn/wjhg/wjtp/20212022/zcfb/pic/202103/t20210328_4123932.html
- chinafashionweek. (n.d.-h). GUAN JU [關雎記·關亞爭]. https://www.chinafashionweek.org.cn/wjhg/wjtp/2024qd/2024qd/2024qdzcfbtp/202403/t20240328_4344218.html
- chinafashionweek. (n.d.-i). LEEXBAO. https://www.chinafashionweek.org.cn/wjhg/wjtp/2020cx/zcfb/pic/201910/t20191027_3944300.html
- chinafashionweek. (n.d.-j). MUMIANDAO [木棉道]. https://www.chinafashionweek.org.cn/wjhg/wjtp/2019cx/zcfu/pic/201810/t20181027_3800379.html
- chinafashionweek. (n.d.-k). La brocart [成錦衣局·張彥]. https://www.chinafashionweek.org.cn/wjhg/wjtp/2022cx/zcfb/pics/202109/t20210903_4183739.html
- chinafashionweek. (n.d.-l). CHIAYI [旗藝·盛亞榮]. https://www.chinafashionweek.org.cn/wjhg/wjtp/20212022/zcfb/pic/202103/t20210331_4125204.html
- chinafashionweek. (n.d.-m). TIANXI [天璽]. https://www.chinafashionweek.org.cn/tpxz/2020xz/2020zcfb/201910/t20191031_3948005.html
- chinafashionweek. (n.d.-n). MUMIANDAO [木棉道]. https://www.chinafashionweek.org.cn/wjhg/wjtp/2019cx/zcfu/pic/201810/t20181027_3800379.html
- chinafashionweek. (n.d.-o). Beautyberry [Beautyberry風華·王玉濤]. https://www.chinafashionweek.org.cn/wjhg/wjtp/2021cx/zcfb/pic/202010/t20201027_4072177.html
- chinafashionweek. (n.d.-p). TIANXI [天璽]. https://www.chinafashionweek.org.cn/wjhg/wjtp/2020cx/zcfb/pic/201910/t20191031_3948002.html
- chinafashionweek. (n.d.-q). CHUYAN [楚和聽香·楚豔]. https://www.chinafashionweek.org.cn/wjhg/wjtp/20212022/zcfb/pic/202103/t20210328_4123932.html
- chinafashionweek. (n.d.-r). GALLERY&BOUTIQUE [飞梵逸爵·孙雪飞]. https://www.chinafashionweek.org.cn/wjhg/wjtp/2016cx/zcfb/pic/201511/t20151101_2043208.html
- chinafashionweek. (n.d.-s). GUAN JU [關雎記·關亞爭]. https://www.chinafashionweek.org.cn/wjhg/wjtp/2024qd/2024qd/2024qdzcfbtp/202403/t20240328_4344218.html
- chinafashionweek. (n.d.-t). Heaven Gaia [蓋婭傳說·熊英]. https://www.chinafashionweek.org.cn/tpxz/2017xz/2017zcfu/201610/t20161028_2315437.html
- chinafashionweek. (n.d.-u). Heaven Gaia [蓋婭傳說·熊英]. https://www.chinafashionweek.org.cn/tpxz/2017xz/2017zcfu/201610/t20161028_2315437.html
- chinafashionweek. (n.d.-v). SUNCUN by Yan Zhang. https://www.chinafashionweek.org.cn/tpxz/2021xz/2021zcfb/202010/t20201026_4072165.html
- chinafashionweek. (n.d.-w). Beautyberry [Beautyberry風華·王玉濤]. https://www.chinafashionweek.org.cn/wjhg/wjtp/2021cx/zcfb/pic/202010/t20201027_4072177.html
- chinasilkmuseum. (n.d.-a). Impressions of han and wei dynasties: chinese costumes(200BC-600AD)[漢魏印象:漢晉南北朝服飾藝術展]. https://www.chinasilkmuseum.com/yz/info_18.aspx?itemid=30762
- chinasilkmuseum. (n.d.-b). Blue printed crepe jacket with daodaxiu and floral sesame tulle skirt [藍色印花縐綢倒大袖襖&花卉紋芝麻紗裙]. https://www.chinasilkmuseum.com/zggd/info_21.aspx?itemid=2043
-
Condra, J. (2013). Vietnam. In Encyclopedia of national dress : traditional clothing around the world (pp. 758–763). Bloomsbury Publishing.
[https://doi.org/10.5040/9781440880131.0043]
- dailyfashion. (n.d.-a). Heaven Gaia 2017 spring/summer ready-to-wear show paris spring 2017 [蓋婭傳說 Heaven Gaia 2017春夏高級成衣發布秀-Paris Spring 2017]. https://www.dailyfashion.cn/lookbook/25594#guard
- dailyfashion. (n.d.-b). Heaven Gaia 2017 spring/summer ready-to-wear show paris spring 2017 [蓋婭傳說 Heaven Gaia 2017春夏高級成衣發布秀-Paris Spring 2017]. https://www.dailyfashion.cn/lookbook/25594#guard
- Feng,Z. (2022). Research on women's clothing with "upside down big sleeves" in the republic of china based on the perspective of traditional innovation [基於傳統活化視野下的民國“倒大袖”女裝研究] [Master's thesis, China Academy of Art]. https://kns.cnki.net/KCMS/detail/detail.aspx?dbname=CMFD202301&filename=1022711401.nh
- Garrett, V. (2007). Republican dress 1912–1949. In Chinese dress: From the Qing dynasty to the present (pp. 267–323). Tuttle Publishing.
- Gong, J. P. (2022). Dimensional presupposition and paradigm shift in the study of clothing history in the republic of china [論民國服飾史研究中的向度預設與範式轉換]. Art&Design Research, (3), 16-21.
-
González, A. L. (2016). Moroccan fashion: design, culture, and tradition by M. Angela Jansen. Journal of Middle East Women's Studies, 12(1), 99-101.
[https://doi.org/10.1215/15525864-3422578]
-
Hansen, K. T. (2004). The world in dress: anthropological perspectives on clothing, fashion, and culture.Annu. Rev. Anthropol., 33(1), 369-392.
[https://doi.org/10.1146/annurev.anthro.33.070203.143805]
- Jiang, S. Q. (2015). The study on the women's traditional coat during the period of the republic of china [民國時期傳統女式襖服研究] [Master's thesis, China Academy of Art]. https://kns.cnki.net/KCMS/detail/detail.aspx?dbname=CMFD201601&filename=1015656674.nh
- Kim, J. G. (1977). Korean costume : an historical analysis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https://www.proquest.com/openview/9f3d2c65258139213a2d8e4deecca19f/1?pq-origsite=gscholar&cbl=18750&diss=y
-
Lee, K. E. (2016). Korean traditional fashion inspires the global runway. In M. Gardetti, S. Muthu (Eds.), Ethnic fashion (pp. 47-81). Springer.
[https://doi.org/10.1007/978-981-10-0765-1_3]
- Lian, Z. J. (2021, Jan 12). "In a small space, ups and downs": the evolution of chinese women's collars (1910s-1940s) ["方寸之間, 起起落落", 中國女裝衣領的嬗變(1910s-1940s)]. https://zhuanlan.zhihu.com/p/343655198
- Pan, X. H., & Zhang, Y. K. (2017, May 2). The state souncil approved the establishment of "china brand day": how to tell the story of chinese brands well? [國辦批文同意設"中國品牌日":怎樣講好中國品牌故事?]. people.cn. http://politics.people.com.cn/n1/2017/0502/c1001-29249261.html
- Parkins, I., & Sheehan, E. M. (2011). Introduction: Cultures of femininity in modern fashion. In Cultures of femininity in modern fashion (pp. 1–16). University of New Hampshire Press.
- Qin, J. W. (2019). Research and innovative application of "big sleeve" design of clothing in the period of the republic of china [民國時期服裝“倒大袖”設計研究及創新運用] [Master's thesis, Beijing Institute of Fashion Technology]. https://kns.cnki.net/KCMS/detail/detail.aspx?dbname=CMFD201901&filename=1019816615.nh
- Ramzy, A. (2014, March 25). A chinese-style suit for xi jinping’s european trip. The New York Times. https://archive.nytimes.com/sinosphere.blogs.nytimes.com/2014/03/25/a-chinese-style-suit-for-xi-jinpings-european-trip/
- Ru. (n.d.). In Wikiwand. https://www.wikiwand.com/en/articles/Ru_(upper_garment)
- Song, C. L. (2021). Research on pattern restoration and development through design analysis of the republic of china cheongsam by period [Doctoral dissertation, Cheongju University]. https://cj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200000489541
- Song, X. (2017). Research on women's "dao-da-xiu" coat in republic period [民國時期女性“倒大袖”上衣研究] [Master's thesis, Jiangnan University]. https://kns.cnki.net/KCMS/detail/detail.aspx?dbname=CMFD201701&filename=1017018533.nh
- Stevens, R. A., & Wada, Y. I. (Eds.). (1996). The history of the kimono-Japan's national dress. In The Kimono inspiration: art and art-to-wear in America (pp. 131-162). Pomegranate.
-
Tsui, C. (2016). 'Fashion' in the Chinese context. In M. A. Jansen & J. Craik (Eds.), Modern fashion traditions: Negotiating tradition and modernity through fashion (pp. 51-70). Bloomsbury Publishing.
[https://doi.org/10.5040/9781474229524.ch-003]
- Vogue China. (n.d.-a). M ESSENTIAL NOIR 2023 spring/summer collection unveil [M ESSENTIAL NOIR 2023春夏系列發布]. https://m.vogue.com.cn/invogue/news_1734a3195e3746e8.html
- Vogue China. (n.d.-b). M ESSENTIAL NOIR 2023 spring/summer collection unveil [M ESSENTIAL NOIR 2023春夏系列發布]. https://m.vogue.com.cn/invogue/news_1734a3195e3746e8.html
- Vogue China. (n.d.-c). M ESSENTIAL NOIR 2023 spring/summer collection unveil [M ESSENTIAL NOIR 2023春夏系列發布]. https://m.vogue.com.cn/invogue/news_1734a3195e3746e8.html
- Vogue US. (n.d.-a). Hui spring 2024 ready-to-wear.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24-ready-to-wear/hui/slideshow/collection#13
- Vogue US. (n.d.-b). Mithridate spring 2024 ready-to-wear.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24-ready-to-wear/mithridate/slideshow/collection#21
- Vogue US. (n.d.-c). Jil Sander spring 2020 ready-to-wear.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20-ready-to-wear/jil-sander/slideshow/collection#36
- Vogue US. (n.d.-d). Andrew Gn fall 2021 ready-to-wear.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21-ready-to-wear/andrew-gn/slideshow/collection#48
- Vogue US. (n.d.-e). Gucci spring 2018 ready-to-wear.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8-ready-to-wear/gucci/slideshow/collection#43
- Vogue US. (n.d.-f). Andrew Gn fall 2022 ready-to-wear.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22-ready-to-wear/andrew-gn/slideshow/collection#54
- Vogue US. (n.d.-g). Gucci spring 2017 ready-to-wear.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7-ready-to-wear/gucci/slideshow/collection#33
- Vogue US. (n.d.-h). Andrew Gn fall 2023 ready-to-wear.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23-ready-to-wear/andrew-gn/slideshow/collection#33
- Vogue US. (n.d.-i). Andrew Gn spring 2023 ready-to-wear.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23-ready-to-wear/andrew-gn/slideshow/collection#29
- Vogue US. (n.d.-j). Schiaparelli spring 2017 couture.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7-couture/schiaparelli/slideshow/collection#28
- Vogue US. (n.d.-k). Andrew Gn fall 2023 ready-to-wear.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23-ready-to-wear/andrew-gn/slideshow/collection#7
- Vogue US. (n.d.-l). Andrew Gn fall 2021 ready-to-wear.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21-ready-to-wear/andrew-gn/slideshow/collection#19
- Vogue US. (n.d.-m). Shiatzy Chen spring 2024-ready-to-wear.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24-ready-to-wear/shiatzy-chen/slideshow/collection#54
- Vogue US. (n.d.-n). Armani spring 2015 couture.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5-couture/armani-prive/slideshow/collection#15
- Vogue US. (n.d.-o). Hui fall 2022 ready-to-wear.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22-ready-to-wear/hui/slideshow/collection#23
- Vogue US. (n.d.-p). Andrew Gn spring 2023 ready-to-wear.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23-ready-to-wear/andrew-gn/slideshow/collection#15
- Vogue US. (n.d.-q). Altuzarra fall 2020 ready-to-wear.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20-ready-to-wear/altuzarra/slideshow/collection#10
- Vogue US. (n.d.-r). Andrew Gn fall 2022 ready-to-wear.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22-ready-to-wear/andrew-gn/slideshow/collection#76
- Vogue US. (n.d.-s). Andrew Gn fall 2023 ready-to-wear.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23-ready-to-wear/andrew-gn/slideshow/collection#11
- Vogue US. (n.d.-t). Richard Quinn spring-2020-ready-to-wear.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20-ready-to-wear/richard-quinn/slideshow/collection#9
- Wang, J. (2021). Study on the historical changes of dress culture from the viewpoint of the republic of china dress regulations [從民國服制條例觀服飾文化的曆史變遷研究] [Master's thesis, Northeast Electric Power University]. https://kns.cnki.net/KCMS/detail/detail.aspx?dbname=CMFD202102&filename=1021082173.nh
- Wang, S., & Hunt, K. (2016, November 17). The maverick designer who dresses china’s first lady. CNN. https://edition.cnn.com/style/article/china-fashion-ma-ke/index.html
-
Wang, Z. C., & Cui, R. R. (2023). Women's "waste collar movement" in the republic of china and its derivation and new collar design [民國女性“廢領運動”及其衍生和新生領型設計]. Decoration, (1), 87-91.
[https://doi.org/10.16272/j.cnki.cn11-1392/j.2023.01.026]
- Xia, Y. (2010). The influence of the new culture movement on clothing evolution in republic of china [論新文化運動對民國服飾嬗變的影響] [Master's thesis, Suzhou University]. https://kns.cnki.net/KCMS/detail/detail.aspx?dbname=CMFD2011&filename=2010152056.nh
- Yu, Y. (2014). Study on traditional chinese cheongsam style and structure in republic of China [民國時期傳統旗袍造型結構研究] [Master's thesis, Beijing Institute of Fashion Technology]. https://kns.cnki.net/KCMS/detail/detail.aspx?dbname=CMFD201401&filename=1014126511.nh
- Zhang, X. F. (2021). Study on the change of women's clothing in the late qing and the republic china from the viewpoint of people-clothing relationship [人衣關系視域下的晚清民國女性服飾變革研究] [Doctoral dissertation, Donghua University]. https://kns.cnki.net/KCMS/detail/detail.aspx?dbname=CDFDLAST2022&filename=1021647190.n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