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Articl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ol. 75, No. 1, pp.115-133
ISSN: 1229-6880 (Print) 2287-7827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28 Feb 2025
Received 18 Dec 2024 Revised 08 Feb 2025 Accepted 14 Feb 2025
DOI: https://doi.org/10.7233/jksc.2025.75.1.115

베트남 컨템포러리 패션에 나타난 미니멀리즘과 맥시멀리즘

당미한 ; 이경림 ; 박숙현
경성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석사
경성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조교수
경성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교수
Minimalism and Maximalism in Contemporary Vietnamese Fashion
Myhanh Dang ; Kyunglim Lee ; Sookhyun Park
Master, Dept. of Fashion Design & Merchandising, Kyungsung University
Assistant Professor, Dept. of Fashion Design & Merchandising, Kyungsung University
Professor, Dept. of Fashion Design & Merchandising, Kyungsung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Sookhyun Park, e-mail: shpark@ks.ac.k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inimalist and maximalist design trends in contemporary Vietnamese fashion and to provide data that will assist Korean fashion brands in exporting fashion products and Vietnam local fashion brands. Photographs from the Vietnam fashion collection as presented over the last four years, from the 2021 spring/summer season to the 2024-25 fall/winter season were collected for this research. Following the removal of duplicates based on expert evaluation, 971 sampl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6 for frequency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Vietnamese fashion was classified as minimalist, maximalist, and eclectic. Minimalism was characterized as minimal, simple, repetitive, and as including decorative accents. Maximalism was characterized as avant-garde, ornamental, and voluminous. Eclectic style was classified as a combination of minimal(maximal) upper clothing and maximal(minimal) lower clothing and minimal silhouette with maximal decoration.

Keywords:

contemporary fashion, eclectic style, maximalist style, minimalist style

키워드:

컨템포러리 패션, 절충적 스타일, 맥시멀리즘 스타일, 미니멀리즘 스타일

Ⅰ. 서론

2000년대 중반부터 케이팝(K-pop)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한류가 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로 확산되기 시작하였다. 케이팝과 드라마 등의 분야를 넘어 의식주, 예술, 사회 운영 시스템 등 많은 영역에서 한국 스타일(K-Style)이 받아들여지면서 한국문화를 이해하기 위해 한국에 오는 외국인들이 늘어나고 있다. 통계청(Statistics Korea)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적별 등록 외국인은 2023년 기준으로 한국계 중국인이 가장 많고 두 번째로 베트남인이 많이 차지하고 있다(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SIS], 2024). 또한 베트남은 2023년 인구 1억의 거대 소비시장이 되었다. 베트남은 전통적으로 여성의 노동 참여도가 다른 국가에 비해 높은 편이며 여성의 경제권 강화로 인하여 화장품, 의류 등 여성 소비시장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Ko, 2023).

과거에는 한국 패션 기업의 의류 생산지였던 베트남은 최근 새로운 패션 소비시장으로 부상하고 있고 우리나라는 베트남이라는 거대 시장의 소비자들을 공략해서 이익을 창출해야 하는 시기를 맞고 있다. 따라서 베트남 현지에서 유행하고 있는 의류제품의 스타일을 분류하고 이해하는 것은 수출시장에 적합한 제품디자인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베트남의 현대 패션은 베트남만의 독특한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하면서도 현대적인 요소를 포함 시켜 현대와 전통이 조화할 수 있는 디자인을 많이 개발해왔다. 이와 함께 최근에는 베트남의 젊은이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신선하고 창의적인 컨템포러리 스타일의 제품디자인도 많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Fashion Commute, 2024).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2024a)의 자료에 따르면 최근 베트남 소비자에게 스타일 있는 패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베트남 로컬 패션 브랜드(local fashion brand)도 크게 성장하고 있다.

컨템포러리(contemporary)란 ‘동시대의, 현대의’라는 의미로 현재 가장 새로운 콘셉트를 표현하는 용어로 유행과 시대상에 따라 변화하거나 바뀌는 특성이 있다(Contemporary, n.d.). 최근 베트남의 컨템포러리 패션은 글로벌한 패션 경향과 같이 간결하며 절제된 미니멀 디자인부터 화려한 색상, 과장된 장식과 실루엣 등으로 강렬한 시각적 효과를 추구하는 맥시멀한 패션 경향이 공존하고 있다. 따라서 최신 유행 디자인을 광범위하게 포함시킬 수 있는 미니멀리즘 스타일부터 맥시멀리즘 스타일을 살펴본다면 베트남 패션 디자인에 대한 최신 정보가 필요한 기관이나 개인에게 폭넓은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베트남의 패션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베트남 패션 제품 선호 경향에 관한 연구(Oh & Bae, 2024), 베트남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및 서비스에 관한 연구(Nguyen, 2020), 베트남 레트로 패션에 나타난 한국적 이미지에 관한 연구(Nguyen, 2016)가 있으며, 패션디자인에 관한 연구로는 한국과 베트남 전통의상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연구(Nguyen, 2023), 베트남 여성복 변화와 디자인 특징(Do, 2013)에 관한 연구 등이 있다. 그러나 최근 베트남 여성복 디자인을 장식의 유·무에 따라 미니멀리즘 스타일부터 맥시멀리즘 스타일까지 대부분의 컬렉션 디자인이 포함될 수 있도록 광범위하게 분석하여 베트남 최신 유행 패션의 동향을 살펴본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패션 시장 규모가 성장하고 있는 현재 베트남 컨템포러리 패션의 디자인 경향을 단순하고 절제된 디자인부터 다양한 장식을 이용한 디자인까지 대부분의 디자인이 포함될 수 있는 주제를 선정하였다. 한국 수출기업이나 한국에서 유학하고 베트남으로 의류를 수출하는 기업에 취업하고자 하는 유학생 그리고 베트남에서 새롭게 브랜드를 런칭하고자 최신 정보를 수집해야 하는 신진 디자이너들에게 다양한 스타일을 가능한 많이 제공할 수 있는 연구 주제를 탐색하다가 미니멀리즘부터 맥시멀리즘까지로 선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베트남 컨템포러리 패션에 나타난 미니멀리즘 디자인과 맥시멀리즘 디자인 그리고 미니멀리즘 특성과 맥시멀리즘 특성이 공존하는 절충적 스타일로 분류하고 각 스타일에 나타난 조형성을 분석하여 세부적인 특성을 규명함을 목적으로 한다.


Ⅱ. 이론적 배경

1. 베트남 패션 시장과 여성 소비자의 특징

베트남 지역이 최근 급속도로 이루어진 경제 성장으로 여성 소비자들의 소비패턴이 다양해지고 소비수준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어 새로운 패션 제품과 소비 활동에 대한 니즈가 증가하고 있기에 이에 맞춤화된 패션 소비제품 개발 또한 더욱 필요하게 되었다. KOTRA의 자료에 따르면 여러 상품군 중에서도 베트남에서 패션디자인과 뷰티 분야가 고부가가치 가능성이 높은 분야로 조사되었다(Nguyen, 2020).

2023년 한국 베트남 정상회담 경제사절단에 베트남을 성장 동력으로 신시장을 개척하기 위해 한세실업과 패션그룹 형지 대표 외 많은 패션 관련자들이 합류해 눈길을 끌었다. 베트남의 인구와 소득 규모가 젊은 중산층을 중심으로 빠르게 상승하고 있어 잠재력이 높은 소비시장으로 전문가들은 예측하고 있다. 베트남은 중국과의 무역이 힘들어진 상황에서 대체 시장을 찾고 있는 K패션과 뷰티 등 한류 수혜 산업이 가장 잘 받아들여질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 나라로 평가되고 있다(Maeil Business TV News, 2023).

베트남 패션 시장은 최근 수출 회복과 로컬 패션 브랜드들의 독특한 디자인과 마케팅 전략으로 젊은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Well-made K-Content(2024)에 따르면 패션 산업에서 최근 많은 브랜드가 눈에 띄고 있으며 복잡한 제품에서 간단한 제품으로 방향을 전환하고 있고 로고와 패턴보다는 재료와 디자인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여성 의류는 베트남 여성 시장의 최대 수입원으로 이들은 우수한 품질과 디자인을 선호한다(Pham, 2021). 베트남 여성들은 경제활동 참여율이 높고 대부분 직접 소득을 창출하므로 여성의 구매력은 높은 편이다(Korean Federation of Textile industries[KOFOTI], 2016). 향상된 생활 수준에 따라 의류구매 시 가격보다 품질과 디자인을 우선하는 여성 소비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현재 글로벌 패션 기업들이 중산층 이상의 소비자를 목표로 하여 대도시의 패션 거리, 대형 쇼핑몰 등의 유통 채널을 통해 베트남 내수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Korea Creative Content Agency[KOCCA], 2024b).

2. 미니멀리즘

1) 미니멀리즘의 개념 및 특성

미니멀리즘에서 미니멀(minimal)이란 ‘매운 작은, 가장 작은, 최소의, 극소의’라는 의미를 가진다(Kim, 1987). 1960년대 말 미국 뉴욕에서 시작된 시각 예술과 음악 분야의 운동으로 가장 단순한 형식의 예술이 가장 많은 진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예술 양식이다(Yoon, 1997).

미니멀리즘은 최소한의 조형 수단으로 엄격하고 비개성적이며 소극적인 화면을 구성하고 장식적 세부 묘사와 표현적 기법이 배제된 미술을 지칭한다(Baker, 1993). 미니멀 아트는 1966년 4월 뉴욕의 쥬이쉬(Jewish) 미술관에서 열린 기본구조(primary structure) 전시회에서 처음 등장하였다(Tuchman, 1977). 영국의 철학자 리챠드 볼하임(Richard Wolheim)이 1966년 아트 매거진이라는 잡지에서 발표한 미니멀 아트론에서 처음으로 사용된 이후 대중화되었으며 이를 계기로 미니멀리즘이 하나의 양식으로 인정받게 되었다(Baker, 1988).

미니멀리즘 관련 연구들에 나타난 조형적 특성을 종합해보면 단순성, 최소성, 반복성, 미래지향성 등이 공통적으로 나타났다(Choi & Chung, 2001). 단순성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얼 아트의 구성 원칙은 장식적인 세부 사항과 표현적인 기교의 생략이라고 할 수 있다(Yoon, 1997). 기하학적 형태는 그 형태가 단순하면 할수록 보는 이로 하여금 즉각적으로 확실하게 인식될 수 있는 동시에 전체성이 보여진다는 환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Kim, 1987). 최소성은 디자인의 조형적 요소인 선, 실루엣, 소재, 색채, 디테일, 무늬 등의 제작과정에서 최소화하여 기본적인 형태로의 환원을 의미한다(Chae & Chae, 2008). 회화적인 요소를 극도로 배제함으로써 최소화를 추구하였고 작품의 조형적 요소를 최소한으로 줄여서 기본적인 형태로의 환원을 시도하였으며 매개체의 전통적 요소들을 제거하여 최소한의 감각과 본질을 추구하였다(Bae, 2000). 반복성은 장식적인 모티브의 반복과 다양한 배열의 반복을 통해 나타나게 되는데 현란한 착시 효과보다 단순 명료한 기하학적 패턴의 반복 특성을 의미한다(Chae & Chae, 2008). 미니멀 아트는 물체 간의 계층적 관계를 허용하지 않는 비관계적 구도를 형성함으로써 반복성을 가진다. 이러한 반복은 전체적인 질서를 중시해서 동등한 비중을 갖는 격자무늬 조직 혹은 색상의 변화가 없는 단색화면으로 형성되어 화면 내에서 총체적으로 조직을 강조하게 된다(Kim & Kim, 1995).

2) 패션에 나타난 미니멀리즘 특성

미니멀리즘은 1960년대 장식이 배제된 단순한 미니스커트의 출현에 영향을 미쳤다. 미니스커트는 단지 단순하다는 것만이 아니라 최소로 억제된 표현이라는 점에서 단순성과 최소성을 가장 잘 표현한 패션 아이템이다(Kwon, 2002). 미니멀리즘 패션에 있어 조형성은 디자인 요소인 선, 형, 색채, 문양, 재질 등의 최소화 작업과 제작과정의 최소화, 적절한 제작기법의 선택을 통해 이루어진다. 미니멀리즘 패션은 인위적인 실루엣과 구조를 거부하고 장식을 배제함으로써 인체의 왜곡과 과장에서 벗어나 인체를 따라 흐르는 선으로 순수성을 가진다(Kim & Kim, 1995). 단순화된 형태, 단일한 색채와 무늬의 사용, 형식의 단순화, 제작과정의 최소화, 감각의 최소화 등의 표현 특성이 있다(Cho & Lim, 2009).

60년대 미니멀리즘 스타일은 90년대에 들어와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단순한 스타일로 다시 유행하였다. 90년대의 미니멀리즘 패션은 짧은 미니스커트보다는 장식이 절제된 슬림한 롱원피스나 롱스커트를 활용하여 성숙하면서 자유로운 이미지의 형태로 다시 유행하였다. 따라서 미니멀리즘 패션은 형태 미학적 관점에서 유행에 덜 민감하고 절제된 디자인을 나타내었으며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형태적 측면에서 장식을 최소한으로 하여 본질을 제시하였다. 미니멀리즘 패션은 자원 절약과 환경 보존이라는 측면에서 반복, 재사용과 같은 순환 시스템을 통해 확장 가능한 디자인을 제시하면서 앞으로의 패션에도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Bae, 2013). 위의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미니멀리즘의 특성을 정리하면 <Table 1>과 같다.

Characteristics of Minimalism Style

3. 맥시멀리즘

1) 맥시멀리즘의 개념 및 특성

맥시멀리즘의 기원은 '더 많은 것이 더 많다' 또는 '큰 것이 아름답다'는 심미적 원칙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가장 효과적인, 완전한, 최고의, 최대한의, 극대의 뜻을 지녀 맥시멀(maximal)에 'ism'의 접미사가 붙어 형성된 단어로 최대주의, 극대주의 등의 뜻을 지니고 있다(Lee, 2012). 맥시멀리즘이란 용어는 2000년대부터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며 디자인, 음악, 그래픽, 건축 등에서 언급되었다(Park, 2008). 확대 지향적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인간의 감성에 충실하고 과거와 전통에 대한 관심이 다양한 양식으로 나타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한 경향으로 디자인을 할 때 여러 요소와 이미지를 최대한 많이 표현하고자 하는 것이다(Lee, 2007).

맥시멀리즘의 특성은 다양한 시대와 문화, 다양한 이미지의 혼합, 다양한 소재의 혼합, 과장되고 거대한 디테일, 복잡한 구성, 무늬와 색상의 복잡하고 과도한 혼합 등으로 나타난다(Park, 2008). 맥시멀리즘을 표현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과장된 디자인으로 과장성은 화려함과 창조성을 보여주기에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기 때문이다(Jeong & Jeong, 2009). 디자인 분야에서는 과장, 과잉, 퓨전, 장식의 넘침, 비합리적 또는 불가능한 형태, 감각의 풍부함, 새로움 및 과도한 즐거움(Cuito, 2002), 여러 정체성의 통합으로 나타나는 다문화, 서로 다른 요소들의 융합인 혼용, 극단적 쏠림현상과 극대화로 인한 데포르마시옹(deformatation) 등의 방법으로 맥시멀리즘이 표현되었다(Kim et al., 2008).

2) 패션에 나타난 맥시멀리즘 특성

패션에서 맥시멀리즘은 프랑스 패션 디자이너 크리스챤 라크르와(Christian Lacroix)가 '맥시멀리즘적 패션은 매우 화려하고 장식적이며 이국적인 패션이다'라고 언급한 이후 단순하고 절제된 미니멀리즘의 개념과는 반대되는 개념으로 사용되어 졌다(Lee, 2008). 맥시멀리즘 패션에는 다양한 요소의 혼합을 추구하는 것, 복고적인 성향이 반영된 모든 디테일과 과장된 장식, 재미를 추구하는 것 등의 특성이 있다(Byun & Park, 2007). 더 이상의 창조는 없고 과거 현재 미래의 모든 것을 혼합하는 절충주의 특성를 지닌 포스트모더니즘은 맥시멀리즘 패션의 확산에 영향을 미쳤다. 포스트모더니즘을 반영하는 맥시멀리즘의 특징은 대담한 꽃문양과 페이즐리 문양, 술 장식, 깃털 장식 등의 히피룩, 글램룩, 다양한 민족적 특징이 보이는 에스닉스타일 등 다양한 스타일이 혼합되고 디테일이 두드러지며 과장되거나 비구조적인 실루엣으로 요약될 수 있다(Shin, 2001). 맥시멀리즘 패션은 다문화주의 영향과 다양한 의식의 변화로 생겨난 복식의 형태이며 신체를 무시하거나 왜곡하여 표현함으로써 조형적이고 유희적 의미를 띤다. 옛것을 새롭고 독특하게 표현하고 해석하려는 복고 스타일과 다양한 민족적 특징을 보이는 에스닉스타일로 표현되어 서로 어울리지 않는 요소의 혼합과 이미지의 합성을 통해 부조화스러운 이미지로 표현되는 것도 많다(Kim, 2005).

맥시멀리즘 패션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확대성, 장식성, 혼합성 등의 조형적 특성들이 나타난다. 확대성은 일반적으로 모양이나 규모 따위를 더 크게 한다는 의미로 정의되며(Enlargement, n.d.), 패션에서 확대성은 인체와 패션의 공간적 관계를 넘어서는 과장된 실루엣과 디테일의 과도한 중첩을 통해 나타난다(Park, 2008). 장식성은 수공예적 표현이 특징인 오트쿠튀르 의상에서 주로 볼 수 있으며(Lee & Roh, 2012), 다양한 문양과 추상적인 형태의 프린트, 자수, 비즈 등 소재가 화려하고 복잡한 색채나 과잉장식의 디테일로 표현된다(Kang, 2015). 패션에서 혼합성은 서로 이질적인 요소들을 모아 결합시켜 기존의 요소들을 전혀 다른 의미의 요소로 재조합시키는 특성으로 크게 성의 혼합, 스타일의 혼합, 소재의 혼합, 문양의 혼합으로 분류할 수 있다(Kim, 2016). 위의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맥시멀리즘의 특성을 정리하면 <Table 2>와 같다.

Characteristics of Maximalism Style


Ⅲ. 연구방법

1. 연구문제

본 연구의 주제를 선정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것은 베트남의 최신 패션 경향을 전체적으로 보여줄 수 있도록 가능한 많은 패션디자인 자료가 포함되는 주제를 선정하는 것이었다. 장식의 유·무를 기준으로 단순한 디자인부터 장식이 많은 디자인까지의 범위라면 다른 패션 이미지나 패션 컨셉에 관한 것보다는 더 많은 자료를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할 수 있으므로 미니멀리즘 스타일에서부터 맥시멀리즘 스타일까지 그리고 두 가지가 공존하는 절충적 스타일까지를 분류하고 조형성을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연구문제 1. 베트남 최근 4년간 패션컬렉션에 나타난 디자인을 미니멀리즘 스타일과 맥시멀리즘 스타일로 분류한다.
  • 연구문제 2. 미니멀리즘 스타일과 맥시멀리즘 스타일을 조형적 특성에 따라 분석하여 분류한다.
  • 연구문제 3. 미니멀 특성과 맥시멀 특성이 공존하는 절충적 스타일을 조형적 특성에 따라 분석하여 분류한다.

2.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문헌 고찰과 베트남 패션컬렉션 작품 분석을 중심으로 한 실증적 연구로 진행하였다. 연구 자료의 선정은 2021 S/S 시즌부터 2024-25 F/W 시즌의 4년간 베트남 패션컬렉션에 발표된 사진 자료를 기준으로 수집하여 평가하였다. 베트남 패션 사진 자료의 빈도수로 정량적 분석을 한 후 조형적 특성을 미니멀리즘, 맥시멀리즘 그리고 절충적 스타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미니멀리즘과 맥시멀리즘 스타일을 분류하고 두 스타일에 포함되지 않고 두 가지 특성이 모두 공존하는 절충적 스타일을 분류하였다. 절충적 스타일은 상의가 미니멀리즘, 하의가 맥시멀리즘 또는 상의가 맥시멀리즘, 하의가 미니멀리즘으로 구성된 스타일과 실루엣은 미니멀하나 장식적 경향은 맥시멀한 스타일로 분류하였다.

3. 자료수집 및 분석

자료수집은 2021 S/S부터 2024-25 F/W 시즌을 대상으로 정면 사진으로 선정하였으며 중복체크가 가능하도록 하여 3회에 걸쳐 수집되었다. 연구자가 최초로 사진 자료를 수집하고 조형적 요소에 따라 패션디자인 관련 전문가 5인이 중복체크 하였다. 수집된 사진 자료 1000개 중 전문가의 평가를 거쳐 미니멀리즘 또는 맥시멀리즘 디자인이라고 판단된 사진 자료는 917개였으며 각 항목에 대해 중복체크 하여 971개의 자료로 평가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6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하였으며 바자 베트남(https://bazaarvietnam.vn), 로피시엘 베트남(https://www.lofficielvietnam.com), 식스도 베트남(https://sixdo.vn) 컬렉션 자료를 활용하였다.


Ⅳ. 결과 및 고찰

본 연구 자료로 수집된 971점의 베트남 여성복 디자인을 미니멀리즘 스타일, 맥시멀리즘 스타일 그리고 미니멀리즘과 맥시멀리즘이 혼합된 절충적 스타일로 분류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Table 3>을 살펴보면 미니멀리즘 스타일에 나타난 디자인 특성은 단순성, 포인트 장식, 최소성 그리고 반복성 순으로 분류되었다. 맥시멀리즘 스타일에 나타난 디자인 특성으로는 장식성, 볼륨성, 전위성 순으로 분류되었다. 절충적 스타일은 실루엣은 미니멀 하지만 의복의 표면 장식이 맥시멀한 특성을 가진 스타일이 상·하 서로 대비되는 스타일보다 더 많이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보면 맥시멀리즘 스타일이 448개(46.14%)로 가장 많은 빈도수를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미니멀리즘 스타일 262개(26.98%)와 절충적 스타일 261개(26.88%)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맥시멀리즘 스타일 중에는 장식성이 356개(36.66%), 미니멀리즘 스타일 중에는 단순성이 146개(15.04%), 절충적 스타일 중에는 실루엣은 미니멀하나 장식이 맥시멀한 스타일이 204개(21.01%)로 많이 나타났다.

Frequency Analysis in Vietnamese Contemporary FashionN(%)

1. 미니멀리즘 스타일의 특성

본 연구에서는 미니멀 스타일의 조형적 특성을 최소성, 단순성, 반복성, 포인트 장식 미니멀리즘으로 분류하였다.

1) 최소성

미니멀리즘 패션에서 최소성은 최소한의 요소만을 사용하여 디자인하는 것을 의미한다. 최소성에 속하는 패션의 특성은 장식적 요소를 줄이고 간결하면서 세련된 디자인을 강조하기 때문에 실루엣과 색상 그리고 소재의 품질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특징이다.

<Fig. 1>~<Fig. 5>와 같이 불필요한 장식을 최대한 배제하고 길이가 짧고 몸에 타이트하여 신체를 최소한으로 감싸 간결하면서 고급스러운 디자인을 통해 심플함을 추구하는 것이 특징이다. 색채는 <Fig. 1>, <Fig. 2>, <Fig. 4>와 같이 화이트(white), 블랙(black), 베이지(beige)와 같은 무채색이나 중성색을 사용하여 차분하고 세련된 느낌을 주거나 <Fig. 3>, <Fig. 5>와 같이 유채색 중 선명한 컬러나 딥톤(deep tone)을 사용하여 심플하고 강렬함을 연출한다. 미니멀 스타일은 의복의 면적 등을 최소화하고 색채에 있어 원색, 무채색, 자연색 등을 의미하는 것이라는 Kim and Kim(1995)의 연구와도 일치한다. 현대 미니멀리즘 패션이 단순성을 통한 최소한의 표현으로 형태의 최소화, 장식이나 디테일을 최소화하는 감각의 최소화로 분류한 Park(2001)의 연구에서도 알 수 있다.

<Fig. 1>

Cȏng Trí 2024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4a)

<Fig. 2>

Studio No.6 2023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3c)

<Fig. 3>

Cȏng Trí 2024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4a)

<Fig. 4>

Hà Linh Thư 2022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2b)

<Fig. 5>

Trần Hùng 2023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3d)

2) 단순성

미니멀 스타일에서 단순성은 디자인의 기본적인 형태와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무장식이거나 최소한의 장식으로 패션의 본질을 더욱 돋보이게 한다. 단순성에 속하는 베트남 패션의 특성은 간결한 디테일과 단정한 라인으로 표현되어 절제된 모던 디자인이 특징이다. 베트남 패션은 다른 국가의 패션에 비해 비비드톤(vivid tone)의 컬러가 많이 활용되고 있지만 단순성에 속하는 패션은 무채색과 누트럴 컬러의 배색을 활용하여 시각적인 부담을 단순화시키고 있다.

<Fig. 6>~<Fig. 10>과 같이 블랙, 화이트 또는 베이지 컬러에 장식이 없고 실루엣은 직선이나 완만한 곡선 형태로 간결하고 소재가 가진 질감을 돋보이게 만들어 심플하면서 고급스러운 것이 특징이다. 현대 미니멀리즘 패션은 위아래 동색이나 동일톤의 바리에이션으로 단순함을 추구한다고 한 Kwon(2002)의 연구 결과와 유사하다.

<Fig. 6>

Peter Do 2022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2g)

<Fig. 7>

Peter Do 2022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2g)

<Fig. 8>

Cȏng Trí 2024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4a)

<Fig. 9>

Cȏng Trí 2024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4a)

<Fig. 10>

Tracy Studio 2021 F/W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1d)

3) 반복성

미니멀리즘 패션에서 반복성은 디자인 요소나 제한된 패턴을 여러 번 반복하여 시각적 일관성을 만들어 스타일을 강조하는 것을 의미한다. 베트남 패션에 나타난 반복성은 같은 패턴을 옷 전체에 반복하여 강렬하면서 시각적 효과를 주는 디자인이 많았다.

<Fig. 11>은 자연 모티브의 양식화 문양으로 작은 크기에서부터 큰 크기의 모티브를 방사형 리듬으로 반복한 디자인이다. <Fig. 12>는 비비드한 동일 크기의 기하학 패턴의 소재를 바꾸어가며 반복함으로써 소재의 느낌에 따라 동일한 컬러라도 시각적으로 다르게 보이는 효과를 준 디자인이고, <Fig. 13>은 사선의 방향으로 블랙과 비비드 컬러를 반복한 디자인으로 넓은 면적으로 포인트 컬러를 반복하는 것은 강렬하고 대담한 느낌을 준다. <Fig. 14>는 블랙 스트라이프를 반복한 디자인으로 소재가 다른 동일한 컬러의 반복은 차분함과 균형감을 주는 동시에 질서, 통일감, 리듬감을 준다. <Fig. 15>는 블랙 스트라이프를 전환 리듬감으로 반복한 디자인으로 독창적이고 세련된 분위기를 연출한다. 이와 같이 시각적으로 심플하지만 시선을 주는 매력을 끄는 기하하적 모티브의 반복성은 미니멀리즘한 분위기를 추구하는데 적합하다. Park(2001)은 현대 미니멀리즘 패션의 패턴은 비관계적, 반복적 구성의 패턴으로 유추하였다. 미니멀리즘한 형태의 구조적 간결성과 극도로 단순화된 패턴의 반복적 구성은 패션에 있어 다양한 방식으로 반영된다고 하였다.

<Fig. 11>

Phan Huy 2024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4c)

<Fig. 12>

Cȏng Trí 2024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4a)

<Fig. 13>

Trần Hùng 2023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3d)

<Fig. 14>

Cȏng Trí 2024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4a)

<Fig. 15>

Lý Giám Tiền 2022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2e)

4) 포인트 장식 미니멀리즘

미니멀리즘 패션에서 포인트 장식을 주는 것은 전체적인 의복 디자인이 심플할 때 특정 부위에 장식적 요소를 추가해 시선을 끌고 강조의 효과를 줄 수 있다. 미니멀리즘한 디자인에 포인트 장식을 줌으로써 스타일에 활기를 줄 수 있다. 포인트 장식 미니멀 스타일은 본 연구의 특징적 분류로 베트남 현대 패션에는 <Fig. 16>~<Fig. 20>과 같은 특성이 있었다.

<Fig. 16>

Studio No.6 2023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3c)

<Fig. 16>은 간결한 화이트 셔츠에 블랙의 유기적 곡선 넥타이를 포인트로 장식한 디자인으로 젊은 베트남 여성 소비자에게 매니시(mannish)한 개성과 매력을 선사한다. <Fig. 17>~<Fig. 20>은 자수 디자인으로 <Fig. 17>은 블랙 컬러 미니멀리즘 스타일 수트의 가슴 부분에 아이보리 컬러의 자연적이고 평면적인 자수를 주었고, <Fig. 18>은 비치는 화이트 셔츠와 팬츠에 입체 자수로 포인트를 주었다. <Fig. 19>는 슬림한 실루엣의 핫팬츠 점프 수트의 가슴 부분에 전통 모티브 자수 장식을 주었다. <Fig. 20>은 슬림한 블랙 컬러의 원피스 중심에 플라워 포인트 자수를 준 디자인이다. 일반적으로 자수는 현대 복식에서 새로운 트렌드로 부각될때만 많이 활용되는 장식인데 베트남 패션에서는 미니멀한 디자인에서 맥시멀한 디자인까지 특정 이미지와 무관하게 많이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베트남 전통 복식의 주된 장식이었던 자수가 여전히 현대 복식에서도 많이 활용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Fig. 17>

Peter Do 2022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2g)

<Fig. 18>

Hà Linh Thư 2023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3b)

<Fig. 19>

Hà Linh Thư 2022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2b)

<Fig. 20>

Hà Linh Thư 2021 F/W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1b)

2. 맥시멀리즘 스타일의 특성

본 연구에서는 맥시멀 스타일의 조형적 특성을 전위성, 장식성, 볼륨성으로 분류하였다.

1) 전위성

전위성은 인체의 자연스러움과는 대비되는 과장성과 아방가르드하고 실험적인 스타일을 의미한다. <Fig. 21>은 상반신에 유기적인 버팀대 같은 구조를 확대 과장한 디자인으로 웅장하고 조화로운 느낌을 더한다. 금속이나 패브릭 등의 요소가 버팀대에 결합되어 비대칭적이고 독특한 매력을 부각시킨다. <Fig. 22>는 상반신에 자연으로부터 영감을 받은 듯한 조각 천(piece of fabric)과 깃털(feather), 러플(ruffle) 등의 디테일을 부정형으로 과장한 디자인으로 상반신 부분을 크게 부풀려 확장하고 과장된 볼륨과 비율, 화려한 컬러의 대비로 시선을 끈다. <Fig. 23>은 비대칭 디자인으로 좌·우측이 다르고 한쪽만 볼륨감으로 강조한 디자인이다. 한쪽이 비대칭으로 튀어나온 실루엣은 몸의 자연스러운 균형과 대비를 이루며 실험적이고 예술적인 디자인이다. <Fig. 24>는 과장된 텍스처와 입체감, 비정형적이고 자유로운 형태감, 광택의 반사 효과 등을 나타내고 있다. 평면적인 소재와는 완전히 다른 대비를 만듦으로써 복합적인 소재와 텍스처의 움직임에 따라 형태 변화를 주는 디자인이다. <Fig. 25>는 드레스의 상하에 후프와 같은 유동적인 곡선과 입체적인 움직임을 준 디자인으로 동적인 형태와 움직임, 입체적인 시각적 효과, 자유로운 움직임의 비대칭과 불균형, 강렬한 시각적 대비의 디자인이다. 이러한 특성은 다채로움과 풍부한 감각적 경험을 제안하고 이 디자인은 Kim and Lee(2011)의 맥시멀리즘 특징을 이용한 패션디자인의 표현성 연구에서 상∙하반신 과장성으로 분류될 수 있다.

<Fig. 21>

Cȏng Trí 2023 F/W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3a)

<Fig. 22>

Tuyết Lê 2022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2h)

<Fig. 23>

Phan Dăng Hoàng 2024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4b)

<Fig. 24>

Hoàng Minh Hải 2022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2d)

<Fig. 25>

Tuyết Lê 2022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2h)

2) 장식성

장식성은 맥시멀리즘 디자인의 본질적 요소 중 하나로 의도적인 디테일과 트리밍을 더해 시각적이고 감각적인 충족을 극대화하는 디자인 특성을 의미한다. 패션 전체에 소재의 표면적 특성, 무늬나 프린트, 디테일, 트리밍 등의 장식이 가득한 스타일이다.

<Fig. 26>은 옷의 전체를 레이스 장식이 있는 소재를 활용하여 표면에 자연 모티브로 장식 효과를 준 디자인이다. 컬러가 아이보리로 단순하지만 레이스 소재의 특성이 장식적 특징을 나타낸다. <Fig. 27>은 화이트 바탕 전체에 기하학 모티브의 종류와 크기가 다양하게 배치되어 프린트되었고, <Fig. 28>은 다채로운 컬러에 자연 모티브를 프린트하여 장식적 효과를 주었다. <Fig. 29>는 컷아웃과 입체 주름 장식 디테일을 교차로 준 디자인, <Fig. 30>은 비치는 소재의 표면에 얇은 레이스 끈으로 표면 장식하고 비비드한 컬러의 나비 문양 트리밍으로 엠보싱의 효과를 주어 과감한 미적 감각을 표현한다. Lee and Yum(2017)에 의하면 현대 패션에 나타난 맥시멀리즘의 장식성은 수공예적인 오브제를 이용한 과도한 디테일 장식과 다채로운 색상, 화려한 프린트 등에 의해 외형 및 디테일이 과장되는 것으로 나타난다고 하였다.

<Fig. 26>

Nguyễn Minh Cȏng 2021 F/W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1c)

<Fig. 27>

Võ Công Khanh 2022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2i)

<Fig. 28>

Vungoc & Son 2023 F/W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3e)

<Fig. 29>

Võ Công Khanh 2022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2i)

<Fig. 30>

Hoàng Hải 2022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2c)

3) 볼륨성

일반적으로 물체가 가진 고유의 형태에서 벗어나 확대되어지고 사실보다 지나치게 부풀려 나타냄을 Cho et al.(2003)의 사전에서는 과장성이라 하였고, 인체와 복식간의 공간적 관계를 넘어서는 과장된 실루엣과 디테일의 과도한 중첩을 통한 거대 조형을 Park(2008)의 연구에서는 확대성이라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부풀려 나타냄을 의미하는 과장성의 특징과 과장된 실루엣과 디테일의 과도한 중첩으로 표현되는 확대성의 특징을 본 연구에서는 볼륨성이라 명명하였다. 볼륨성은 옷의 실루엣과 구조에서 과장되고 풍성한 형태를 통해 시각적 임팩트를 크게 하는 특성이다.

<Fig. 31>은 X라인 실루엣으로 소재의 어깨 부분 주름 디테일과 스커트의 풍성한 개더(gather)가 볼륨감을 연출한다. 이는 어깨 과장과 스커트의 확대는 웨이스트 라인을 조임으로써 상·하반신을 더욱더 부각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였다고 한 Kim and Lee(2011)의 연구와 유사한 부분이 있다. <Fig. 32>는 하의에 풍성한 개더와 러플을 줌으로써 상의와 대비적인 실루엣을 연출하였다. <Fig. 33>은 드레스 전체에 자연무늬 모티브로 장식적 무늬를 주고 상의의 보우 디테일과 스커트에 풍성한 개더 볼륨이 극적인 X라인을 연출한 패션이다. <Fig. 34>는 상반신에서 하반신으로 내려오면서 A라인 실루엣을 형성하고 루슈(ruche) 디테일로 입체감과 풍성함을 주어 움직일 때마다 동적인 아름다움을 부여하는 맥시멀리즘 디자인이다. <Fig. 35>는 상·하의 부정형으로 프릴(frill)을 이용하여 디테일을 줌으로써 볼륨감을 형성하여 비정형적 개성과 독특함을 연출한 디자인이다. Jeong and Jeong(2009)의 패션컬렉션에 나타난 맥시멀리즘 패션의 표현유형 분석 연구에서 맥시멀리즘의 표현유형별 디자인 요소 출현 빈도를 비교분석 하였는데, 현대 패션의 표현유형별 실루엣은 과장성에서 벌크 실루엣 형태로 많이 나타났다고 함으로써 본 연구의 볼륨성을 뒷받침 한다.

<Fig. 31>

Hoàng Minh Hải 2020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0)

<Fig. 32>

Nguyễn Minh Cȏng 2022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2f)

<Fig. 33>

Vungoc & Son 2023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3e)

<Fig. 34>

Nguyễn Minh Cȏng 2022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2f)

<Fig. 35>

Tuyết Lê 2022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2h)

3. 절충적 스타일

컬렉션 자료를 미니멀 스타일에서 맥시멀 스타일로 분류하면서 두 가지 특성이 공존하는 디자인들이 많이 나타났다. 가능한 많은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기 위해 절충적 스타일을 연구에 포함시켰다. 미니멀리즘과 맥시멀리즘의 절충적 스타일에는 첫째, 상의와 하의의 스타일이 상반되어 대조적이면서도 균형 잡힌 매력이 돋보이는 디자인, 둘째, 실루엣은 미니멀하고 장식은 맥시멀하여 세련된 기본 형태에 화려한 디테일을 더하는 스타일이 포함된다.

1) 미니멀리즘 & 맥시멀리즘 공존 스타일

절충적 스타일에는 상의는 미니멀한데 하의는 맥시멀하거나 상의는 맥시멀한데 하의는 미니멀한 디자인이 있었다. 미니멀한 부분은 절제미를, 맥시멀한 부분은 독특한 장식미를 주어 서로의 분위기가 상반됨으로써 더욱 돋보이게 해주는 특징이 있다.

<Fig. 36>은 통이 넓은 하의에 다양한 포켓 디테일로 독특함을 주었고, <Fig. 37>은 길고 풍성한 실루엣의 플리츠 디테일로 하의에 장식을 줌으로써 하의가 중심적인 포인트가 되어 상의의 절제미가 하의의 화려함을 돋보이게 한다. <Fig. 38>은 상의에 화려한 드레이프 장식, <Fig. 39>는 상의의 화려함이 강조된 자연 모티브 레이스 장식, <Fig. 40>은 상의의 화려한 자수 장식으로 맥시멀하게 주고 하의는 단정하고 클래식한 미니멀 팬츠로 대조적인 느낌을 줌으로써 상체의 화려함이 강조되어 얼굴이나 상반신으로 시선이 집중될 수 있는 스타일이다. 이러한 경향은 베트남의 최근 패션이 미니멀리즘과 맥시멀리즘의 혼합 특징을 가진다는 것에서도 알 수 있고 베트남 패션은 이 두 가지 스타일이 각기 다른 방식으로 활용(Nguyen, 2024)된다는 기사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Fig. 36>

Chung Thanh Phong 2021 F/W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1a)

<Fig. 37>

Cȏng Trí 2024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4a)

<Fig. 38>

Cȏng Trí 2024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4a)

<Fig. 39>

Cȏng Trí 2023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3a)

<Fig. 40>

Hà Linh Thư 2022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2b)

2) 미니멀리즘 실루엣 & 맥시멀리즘 장식 스타일

실루엣이 미니멀하고 장식은 맥시멀한 특성은 세련된 기본 형태에 화려한 디테일을 추가해 개성을 부각하는 스타일을 의미한다. <Fig. 41>, <Fig. 42>는 미니멀 실루엣에 화려한 코사지(corsage)나 조각 천을 가득 장식한 디자인, <Fig. 43>, <Fig. 44>는 단순하고 절제된 실루엣에 스팽글(spangle)이나 비즈 트리밍(beads trimming) 또는 로고 엠블럼(logo emblem) 등을 장식한 디자인, <Fig. 45>는 심플한 실루엣에 다양한 컬러의 루프를 가득 장식한 디자인이다. 이와 같은 디자인은 장식은 많지만 실루엣이 단순하기 때문에 과해 보이지 않고 오히려 독특하고 세련된 분위기를 자아낸다.

<Fig. 41>

Cȏng Trí 2022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2a)

<Fig. 42>

Vungoc & Son 2023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3e)

<Fig. 43>

Cȏng Trí 2024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4a)

<Fig. 44>

Studio No.6 2023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3c)

<Fig. 45>

Tuyết Lê 2022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2h)


Ⅴ. 결론

베트남 컨템포러리 여성 패션의 디자인 경향을 미니멀 디자인과 맥시멀 디자인으로 분류하여 그 특성을 알아보고 베트남 패션 시장에서 이익을 창출해야 하는 한국 패션 기업과 베트남 패션 산업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수행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자료 분석 결과 미니멀리즘 특성, 맥시멀리즘 특성 그리고 절충적 특성을 가진 세 가지 스타일로 분류되었다. 베트남 컨템포러리 패션의 조형적 특성은 맥시멀리즘 특성이 가장 많았으며 미니멀리즘과 절충적 특성은 비슷하게 나타났다. 맥시멀리즘 특성 중에는 장식성의 특성이 가장 많았고 미니멀리즘 특성 중에는 단순성, 절충적 특성 중에는 실루엣은 미니멀한데 장식이 맥시멀한 특성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첫째, 미니멀리즘 스타일은 최소성, 단순성, 반복성, 포인트 장식 미니멀리즘으로 분류되었고 최소성의 경우 장식적 요소를 줄이고 간결하고 세련된 디자인을 강조하기 때문에 실루엣과 색상 그리고 소재의 품질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특징이다. 단순성의 경우 간결한 디테일과 단정한 라인으로 표현되어 클래식하고 절제된 디자인이 특징이다. 반복성의 경우 디테일, 패턴, 색상 등에서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같은 패턴을 옷 전체에 반복하여 강렬하면서 시각적 효과를 주는 디자인이 많았다. 포인트 장식 미니멀리즘 스타일의 경우 주로 옷의 특정 부분에 포인트 장식이 추가되어 전체적인 디자인은 미니멀한데 그것과 대비를 이루며 스타일에 활기를 더함으로써 스타일과 개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맥시멀리즘 스타일은 전위성, 장식성 그리고 볼륨성의 조형적 특성으로 분류되었다. 전위성은 인체의 자연스러움과는 대비되는 과장성과 아방가르드하고 실험적인 스타일로 비대칭적이고 독특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장식성은 의도적인 디테일과 트리밍을 더해 시각적이고 감각적인 충족을 극대화하는 특성이 있었다. 볼륨성은 인체의 자연스러운 실루엣을 따르면서 풍성한 형태를 통해 시각적 임팩트를 주는 디자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의와 하의가 미니멀리즘과 맥시멀리즘으로 나누어진 대비 스타일과 미니멀 실루엣에 맥시멀 장식이 조합된 스타일로 분류되었다. 절충적 스타일은 상·하의 대비 스타일의 경우 상의와 하의가 대조적으로 조화를 이루는 스타일로 한 부분은 절제미와 나머지 한 부분은 독특한 장식미를 주어 서로의 분위기를 대조적으로 돋보이게 해주는 스타일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베트남 여성복 시장에 진출하려는 한국 패션 기업과 베트남 패션 기업 및 신진 디자이너들에게 베트남에서 유행하고 있는 다양한 패션스타일에 관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는 특정 패션이미지나 브랜드 컨셉을 설정해야하는 기업이나 특정 연구 주제를 중심으로 자료 선정을 하기 위해 베트남 최신 디자인을 이해하는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온라인에 발표된 사진 작품을 중심으로 수집되어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므로 소재나 장식 등에 대한 섬세한 디테일이 사진상으로 명확히 표현되지 않은 자료가 포함된 한계가 있다. 또한 베트남 최신 패션 경향을 알 수 있는 연구 자료를 가능한 많이 포함시키기 위해 가장 체계적으로 최근 몇 년간의 흐름을 볼 수 있는 컬렉션 사진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였기 때문에 젊은이들이 선호하는 스트리트 스타일이나 스포티브 스타일 등이 많이 포함되지 못한 한계점이 있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 스트리트 스타일과 스포티브 스타일을 중심으로 베트남 젊은이들의 선호스타일을 연구한다면 트렌디 패션 상품에 대한 또 다른 관점에서의 정보나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ferences

  • Bae, G. W. (2000).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inimalism Expression in modern architecture and interior desig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sung University.
  • Bae, J. (2013). A study on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the minimalism fashion design from a perspective of ecological aesthetics.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14(2), 163-169.
  • Baker, K. (1988). Minimalism: Art of circumstance. Abbeville Press.
  • Baker, K. (1993). Minimalism. (S. Kim, Trans.). Youlhwadang.
  • Bazaar Vietnam. (2020). Hoàng Minh Hải Spring/Summer 2020. https://bazaarvietnam.vn/hoang-minh-ha-bst-phuong-hoang-tai-viff-2020
  • Bazaar Vietnam. (2021a). Chung Thanh Phong Fall/Winter 2021. https://bazaarvietnam.vn/chung-thanh-phong-thu-dong-2021-ctp-no01
  • Bazaar Vietnam. (2021b). Hà Linh Thư Fall/Winter 2021. https://bazaarvietnam.vn/tai-koski-ha-linh-thu-da-tiec-harpers-bazaar-christmas-2021
  • Bazaar Vietnam. (2021c). Nguyễn Minh Cȏng Fall/Winter 2021. https://bazaarvietnam.vn/nguyen-minh-cong-thu-dong-2021
  • Bazaar Vietnam. (2021d). Tracy Studio Fall/Winter 2021. https://bazaarvietnam.vn/tracy-studio-mang-anh-hoang-hon-tai-manhattan-den-avifw-2021
  • Bazaar Vietnam. (2022a). Cȏng Trí Spring/Summer 2022. https://bazaarvietnam.vn/nguyen-minh-cong-bat-khoc-tren-san-dien-avifw-xuan-he-2022
  • Bazaar Vietnam. (2022b). Hà Linh Thư Spring/Summer 2022. https://bazaarvietnam.vn/ha-linh-thu-moi-gioi-mo-dieu-vao-rung-di-san-voi-bst-welcome-to-the-jungle/#post-2642134
  • Bazaar Vietnam. (2022c). Hoàng Hải Spring/Summer 2022. https://bazaarvietnam.vn/hoang-hai-bst-buom-hoang-avifw-xuan-he-2022
  • Bazaar Vietnam. (2022d). Hoàng Minh Hải Spring/Summer 2022. https://bazaarvietnam.vn/anh-thu-dat-vang-len-nguoi-trinh-dien-bst-infinity-cua-hoang-minh-ha-tai-avifw-xuan-he-2022
  • Bazaar Vietnam. (2022e). Lý Giám Tiền Spring/Summer 2022. https://bazaarvietnam.vn/bst-the-future-woman-by-ly-giam-tien-tai-avifw-xuan-he-2022
  • Bazaar Vietnam. (2022f). Nguyễn Minh Cȏng Spring/Summer 2022. https://bazaarvietnam.vn/nguyen-minh-cong-bat-khoc-tren-san-dien-avifw-xuan-he-2022
  • Bazaar Vietnam. (2022g). Peter Do Spring/Summer 2022. https://bazaarvietnam.vn/peter-do-xuan-he-2022/#post-2587214
  • Bazaar Vietnam. (2022h). Tuyết Lê Spring/Summer 2022. https://bazaarvietnam.vn/ntk-tuyet-le-rose-secret-avifw-xuan-he-2022
  • Bazaar Vietnam. (2022i). Võ Công Khanh Spring/Summer 2022. https://bazaarvietnam.vn/vo-cong-khanh-bst-h2o-avifw-xuan-he-2022
  • Bazaar Vietnam. (2023a). Cȏng Trí Fall/Winter 2023. https://bazaarvietnam.vn/cong-tri-thu-dong-2023
  • Bazaar Vietnam. (2023b). Hà Linh Thư Spring/Summer 2023. https://bazaarvietnam.vn/bst-a-tale-of-knots-cua-ha-linh-thu-2023
  • Bazaar Vietnam. (2023c). Studio No.6 Spring/Summer 2023. https://bazaarvietnam.vn/klei-studio-no-6-power-suiting
  • Bazaar Vietnam. (2023d). Trần Hùng Spring/Summer 2023. https://bazaarvietnam.vn/tran-hung-xuan-he-2023
  • Bazaar Vietnam. (2023e). Vungoc & Son Fall/Winter 2023. https://bazaarvietnam.vn/ao-vay-cho-mua-thu-tu-bst-cruise-2023-cua-vungocson/#post-2768003
  • Bazaar Vietnam. (2024a). Cȏng Trí Spring/Summer 2024. https://bazaarvietnam.vn/cong-tri-xuan-he-2024
  • Bazaar Vietnam. (2024b). Phan Dăng Hoàng Spring/Summer 2024. https://bazaarvietnam.vn/ntk-phan-dang-hoang-sculpture-tuan-le-thoi-trang-milan-xuan-he-2024/#post-2763272
  • Bazaar Vietnam. (2024c). Phan Huy Spring/Summer 2024. https://bazaarvietnam.vn/ntk-phan-huy-ra-mat-bst-tai-tuan-le-thoi-trang-paris/#post-2809043
  • Byun, H. J., & Park, S. K. (2007). A study on formative beauty of maximal look in the 21st century.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7(2), 169-188.
  • Chae, H. S., & Chae, G. S. (2008). A study on the ethnic minimalism expressed in modern fashion: Comparing with minimalis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8(3), 63-78.
  • Cho, K. H., & Lim, H. S. (2009). A study of minimalism reflected in modern design: Focused on advertising and fashion design. Communication Design Society, 30, 23-33.
  • Cho, Y. J., Kwon, M. K., Ahn, S. S., & Lee, S. J. (2003). Design dictionary: The dictionary of contemporary design. Ahngraphics.
  • Choi, H. J., & Chung, Y. S. (2001). A study 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minimalism fash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1(7), 93-109.
  • Contemporary. (n.d.). Naver Dictionary online. Retrieved May 5, 2024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86329&cid=50345&categoryId=50345
  • Cuito, A. (2002). Minimalism Maximalism. Loft Publications S.L. and HBI.
  • Do, T. V. T. (2013). The changing dynamics and characteristics of vietnamese women’s fashion from 1945 onwards: Focused on the women in hanoi [Unpublished master’s thesis]. Pai Chai University.
  • Enlargement. (n.d.). Naver Korean Dictionary online. Retrieved May 5, 2024 from https://ko.dict.naver.com/#/entry/koko/acf619e0339548da900b61f2bf85ec34
  • Fashion Commute. (2024, September). Street style in saigon: A look at the fashion trends of vietnam’s youth. https://welcon.kocca.kr/cmm/fms/crawling/2024년%20베트남콘텐츠산업동향%209호_미리보기?atchFileId=FILE_fc002ec9-9246-46e2-9a15-23c0b85d65b6&fileSn=1
  • Han, J. (2018). Analysis of the maximalism design in dolce & gabbana’s collection.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19(4), 509-522. [https://doi.org/10.47294/KSBDA.19.4.37]
  • Jeong, S. H., & Jeong, H. J. (2009). Characteristic to express maximalism fashion appearing in fashion colle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11(1), 155-167.
  • Kang, H.-M. (2015). A study on the maximalism in modern fashion knit. The Korean Society of Knit Design, 13(2), 91-99.
  • Kim, E. D., & Kim, M. J. (1995). The study on minimal expression techniques depicted in modern fashion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24, 157-176.
  • Kim, H, J. (2005). A study of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symbolic meanings of the exaggeration type in modern fash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angmyung University.
  • Kim, H.-J., & Lee, E.-S. (2011). The expression of fashion design using a maximalism character.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3(1), 7-16. [https://doi.org/10.5805/KSCI.2011.13.1.007]
  • Kim, H. K. (1987).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inimal art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 Kim, J., Kim, J., & Hwang, Y. (2008), A Study on maximalism style in space.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9(1), 235-244.
  • Kim, S. Y. (2020). Characteristics of maximalism in fashion designer richard quinn’s work: Focusing on fashion collections from 2018 S/S to 2020 S/S.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68, 29-42.
  • Kim, Y. J. (2016). Fashion styling research by applying the express nature of maximalism fash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 Ko, U. R. (2023, March 30). Shifting consumer trends with changes in vietnam's population structure. Korea Trade-Investment Promotion Agency.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SITE_NO=3&MENU_ID=180&CONTENTS_NO=1&bbsGbn=243&bbsSn=243&pNttSn=201270
  •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2024a, May 30). Trends in vietnam's content industry changes in 2024. https://www.kocca.kr/kocca/bbs/view/B0158950/2006042.do?menuNo=204160&categorys=0&subcate=0&instNo=0
  •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2024b, October 2). Vietnam content industry trends: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trends of the vietnamese digital advertising market. https://welcon.kocca.kr/cmm/fms/crawling/2024%EB%85%84%20%EB%B2%A0%ED%8A%B8%EB%82%A8%EC%BD%98%ED%85%90%EC%B8%A0%EC%82%B0%EC%97%85%EB%8F%99%ED%96%A5%2017%ED%98%B8_%EB%AF%B8%EB%A6%AC%EB%B3%B4%EA%B8%B0?atchFileId=FILE_b30cbe5e-bd13-4902-97ef-0c1afd8e1586&fileSn=1
  • Korean Federation of Textile Industries. (2016). Vietnam textile and apparel industry. Economist Intelligence Unit(EIU).
  •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24, October 21). Registered foreigners by nationality. https://www.immigration.go.kr/immigration/1569/subview.do?enc=Zm5jdDF8QEB8JTJGYmJzJTJGaW1taWdyYXRpb24lMkYyMjclMkY1ODg3MTMlMkZhcnRjbFZpZXcuZG8lM0ZwYXNzd29yZCUzRCUyNnJnc0JnbmRlU3RyJTNEJTI2YmJzQ2xTZXElM0QlMjZyZ3NFbmRkZVN0ciUzRCUyNmlzVmlld01pbmUlM0RmYWxzZSUyNnBhZ2UlM0QxJTI2YmJzT3BlbldyZFNlcSUzRCUyNnNyY2hDb2x1bW4lM0QlMjZzcmNoV3JkJTNEJTI2
  • Kwon, G. Y. (2002). The study of minimalism in costume. Human Ecology Research, 40(8), 167-182.
  • Lee, B. W. (2012). A study on the effectis of different types of expression of maximalism as a creative element of visual communication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 Lee, H. J. (2008). A study maximalist hairstyle since 2000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http://konkuk.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327012
  • Lee, J.-H., & Roh, Y. S. (2008). A study on minimalism fashion styling.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8(1), 95-115.
  • Lee, J.-H., & Roh, Y. S. (2012). A study on the formative character of maximalism shown in the works of Jean Paul Gaultier: Focusing on the haute couture collections. The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16(4), 205-214.
  • Lee, M, Y. (2007). Types of exotic images used in domestic fashion brand products: Focusing on women’s cloting since 2001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KyungHee University.
  • Lee, S., & Yum, M. (2017). Study on the fashion design us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maximalism.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9(6), 681-691. [https://doi.org/10.5805/SFTI.2017.19.6.681]
  • Lee, S.-H. (2005). A study on fashion design using minimalism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won University.
  • Maeil Business TV News. (2023, June 22). Fashion and beauty industry joining vietnam economic delegation… accelerating new market expansion [Video].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saimNyA3iWA
  • Nguyen T. H. (2023). A study on fashion design using traditional costume of korea and vietnam: Focusing on ao dai and hanbok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 Nguyen T. N. B. (2020). The influences of products and services features of vietnam online shopping mall on customer performance: Focus on customers who have purchased korean produc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MokWon University.
  • Nguyen T. T. T. (2016). The korean image in contemporary vietnam retro fash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University.
  • Nguyen, Q. H. (2024, June 22). Minimalism shapes modern fashion trends. Thoi Trang Tre. https://thanhnien.vn/thoi-trang-tre/phong-cach-toi-gian-dinh-hinh-xu-huong-thoi-trang-hien-dai-185240620215701349.htm
  • Oh, H. A., & Bae, S. J. (2024). A study on the preference of fashion products for social enterprises in vietnam: Focusing on vietnamese students in korea. The Vietnamese Studies Review, 22(1), 179-199. [https://doi.org/10.31535/vs.2024.22.1.179]
  • Park, E. K. (2008). A study on maximalism expressed in contemporary fashion: Focusing on the 2000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8(3), 1-18.
  • Park, E. K. (2012). A comparative study on minimalism and maximalism in the 2000s fash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2(8), 100-117. [https://doi.org/10.7233/jksc.2012.62.8.100]
  • Park, H., & Kim, M. (2016). A study on the maximalism in the contemporary men's wear: focus on international collections in 2012 S/S~2016 F/W.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8(5), 577-587. [https://doi.org/10.5805/SFTI.2016.18.5.577]
  • Park, H. J. (2023). Characteristic factors and formativeness of maximalism design in works of alessandro michele.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28(2), 173-186. [https://doi.org/10.21326/ksdt.2023.28.2.015]
  • Park, S., & Kim, M. (2016). Maximalism characteristics expressed in Rei Kawakubo’s collection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4(5), 626-641. [https://doi.org/10.29049/rjcc.2016.24.5.626]
  • Park, S. C. (2001). A study on application of minimalism in modern fash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 Pham T. N. P. (2021). A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purchase intention in the fashion market: Vietinam market ca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 Shin, H. S. (2001). An analysis of consumer’s acceptance and needs for the recent fashion trends in domestic women’s wear market: Focused on 1998~2001’s fashion trends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https://library.yonsei.ac.kr/search/detail/CATTOT000000705995
  • Tuchman, G. (1977). Art and politics in the weimar period: The new society and the new art. Pantheon Books.
  • Well-made K-Content. (2024, June 28). https://welcon.kocca.kr/ko/main
  • Yoon, H. S. (1997). Abstract art and the ego of wisdom [추상미술과 지(知)의 자아]. Ingan Sarang Publishing.

<Fig. 1>

<Fig. 1>
Cȏng Trí 2024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4a)

<Fig. 2>

<Fig. 2>
Studio No.6 2023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3c)

<Fig. 3>

<Fig. 3>
Cȏng Trí 2024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4a)

<Fig. 4>

<Fig. 4>
Hà Linh Thư 2022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2b)

<Fig. 5>

<Fig. 5>
Trần Hùng 2023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3d)

<Fig. 6>

<Fig. 6>
Peter Do 2022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2g)

<Fig. 7>

<Fig. 7>
Peter Do 2022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2g)

<Fig. 8>

<Fig. 8>
Cȏng Trí 2024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4a)

<Fig. 9>

<Fig. 9>
Cȏng Trí 2024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4a)

<Fig. 10>

<Fig. 10>
Tracy Studio 2021 F/W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1d)

<Fig. 11>

<Fig. 11>
Phan Huy 2024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4c)

<Fig. 12>

<Fig. 12>
Cȏng Trí 2024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4a)

<Fig. 13>

<Fig. 13>
Trần Hùng 2023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3d)

<Fig. 14>

<Fig. 14>
Cȏng Trí 2024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4a)

<Fig. 15>

<Fig. 15>
Lý Giám Tiền 2022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2e)

<Fig. 16>

<Fig. 16>
Studio No.6 2023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3c)

<Fig. 17>

<Fig. 17>
Peter Do 2022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2g)

<Fig. 18>

<Fig. 18>
Hà Linh Thư 2023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3b)

<Fig. 19>

<Fig. 19>
Hà Linh Thư 2022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2b)

<Fig. 20>

<Fig. 20>
Hà Linh Thư 2021 F/W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1b)

<Fig. 21>

<Fig. 21>
Cȏng Trí 2023 F/W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3a)

<Fig. 22>

<Fig. 22>
Tuyết Lê 2022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2h)

<Fig. 23>

<Fig. 23>
Phan Dăng Hoàng 2024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4b)

<Fig. 24>

<Fig. 24>
Hoàng Minh Hải 2022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2d)

<Fig. 25>

<Fig. 25>
Tuyết Lê 2022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2h)

<Fig. 26>

<Fig. 26>
Nguyễn Minh Cȏng 2021 F/W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1c)

<Fig. 27>

<Fig. 27>
Võ Công Khanh 2022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2i)

<Fig. 28>

<Fig. 28>
Vungoc & Son 2023 F/W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3e)

<Fig. 29>

<Fig. 29>
Võ Công Khanh 2022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2i)

<Fig. 30>

<Fig. 30>
Hoàng Hải 2022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2c)

<Fig. 31>

<Fig. 31>
Hoàng Minh Hải 2020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0)

<Fig. 32>

<Fig. 32>
Nguyễn Minh Cȏng 2022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2f)

<Fig. 33>

<Fig. 33>
Vungoc & Son 2023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3e)

<Fig. 34>

<Fig. 34>
Nguyễn Minh Cȏng 2022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2f)

<Fig. 35>

<Fig. 35>
Tuyết Lê 2022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2h)

<Fig. 36>

<Fig. 36>
Chung Thanh Phong 2021 F/W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1a)

<Fig. 37>

<Fig. 37>
Cȏng Trí 2024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4a)

<Fig. 38>

<Fig. 38>
Cȏng Trí 2024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4a)

<Fig. 39>

<Fig. 39>
Cȏng Trí 2023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3a)

<Fig. 40>

<Fig. 40>
Hà Linh Thư 2022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2b)

<Fig. 41>

<Fig. 41>
Cȏng Trí 2022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2a)

<Fig. 42>

<Fig. 42>
Vungoc & Son 2023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3e)

<Fig. 43>

<Fig. 43>
Cȏng Trí 2024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4a)

<Fig. 44>

<Fig. 44>
Studio No.6 2023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3c)

<Fig. 45>

<Fig. 45>
Tuyết Lê 2022 S/S Vietnam Collection (bazaar vietnam, 2022h)

<Table 1>

Characteristics of Minimalism Style

Previous Research
Design Characteristics
Park (2001) Choi & Chung (2001) Kwon (2002) Lee (2005) Lee & Roh (2008) Cho & Lim (2009) Bae (2013)
Minimality
Unity
Reductiveness
Simplicity
Clarity
Repetition

<Table 2>

Characteristics of Maximalism Style

Previous Research
Design Characteristics
Kim & Lee (2011) Park (2012) Lee & Roh (2012) H. Park & Kim (2016) S. Park & Kim (2016) Lee & Yum (2017) Han (2018) Kim (2020) Park (2023)
Non-structure
Exaggeration
Fantastic
Experiment
Avant-Garde
Ornament
Fusion
Pluralism
Enlargement

<Table 3>

Frequency Analysis in Vietnamese Contemporary FashionN(%)

Design Characteristics
Year & Season
Minimalism Eclecticity Maximalism Total
Minimality Simplicity Repetition Point Ornament Upper

Lower Differences
Minimal Silhoutte
with
Ornament
Avant
-Garde
Ornament Volume
Note. 971 pictures were double checked.
2024 S/S 6 29 8 24 4 21 2 5 0 99 287
(29.56)
( .62) ( 2.99) ( .82) ( 2.47) ( .41) ( 2.16) ( .21) ( .51) ( .00) (10.20)
F/W 4 13 0 2 20 45 2 76 26 188
( .41) ( 1.34) ( .00) ( .21) ( 2.06) ( 4.63) ( .21) ( 7.83) ( 2.68) (19.36)
2023 S/S 7 13 1 11 1 82 2 46 4 167 239
(24.61)
( .72) ( 1.34) ( .10) ( 1.13) ( .10) ( 8.44) ( .21) ( 4.74) ( .41) (17.20)
F/W 1 10 0 4 5 3 1 48 0 72
( .10) ( 1.03) ( .00) ( .41) ( .51) ( .31) ( .10) ( 4.94) ( .00) ( 7.42)
2022 S/S 4 44 3 24 8 28 8 137 38 294 346
(35.63)
( .41) ( 4.53) ( .31) ( 2.47) ( .82) ( 2.88) ( .82) (14.11) ( 3.91) (30.28)
F/W 0 10 0 1 3 2 0 31 5 52
( .00) ( 1.03) ( .00) ( .10) ( .31) ( .21) ( .00) ( 3.19) ( .51) ( 5.36)
2021 S/S 0 15 0 5 0 6 0 4 0 30 99
(10.20)
( .00) ( 1.54) ( .00) ( .51) ( .00) ( .62) ( .00) ( .41) ( .00) ( 3.09)
F/W 3 12 0 8 16 17 0 9 4 69
( .31) ( 1.24) ( .00) ( .82) ( 1.65) ( 1.75) ( .00) ( .93) ( .41) ( 7.11)
Total S/S 17 101 12 64 13 137 12 192 42 590
( 1.75) (15.68) ( 1.24) ( 6.59) ( 1.34) (14.11) ( 1.24) (19.77) ( 4.33) ( 60.76)
F/W 8 45 0 15 44 67 3 164 35 381
( .82) ( 4.63) ( .00) ( 1.54) ( 4.53) ( 6.90) ( .31) (16.89) ( 3.60) ( 39.24)
Total 25 146 12 79 57 204 15 356 77 971
(100.00)
( 2.57) (15.04) ( 1.24) ( 8.14) ( 5.87) (21.01) ( 1.54) (36.66) ( 7.93)
262
(26.98)
261
(26.88)
448
(4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