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Archives | About JKSC | Guidelines for Auhors | JSKC Regulations |
Sorry.
You are not permitted to access the full text of articles.
If you have any questions about permissions,
please contact the Society.
죄송합니다.
회원님은 논문 이용 권한이 없습니다.
권한 관련 문의는 학회로 부탁 드립니다.
[ Article ] |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ol. 74, No. 5, pp. 65-84 | |
Abbreviation: JKSC | |
ISSN: 1229-6880 (Print) 2287-7827 (Online) | |
Print publication date 31 Oct 2024 | |
Received 03 Aug 2024 Revised 14 Aug 2024 Accepted 20 Aug 2024 | |
DOI: https://doi.org/10.7233/jksc.2024.74.5.065 | |
한복 융합 교양 교과목 개발 및 운영에 관한 연구 | |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패션전공 강사 |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건축조영연구소 연구교수 | |
한남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부교수 | |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Convergence Liberal Arts Courses Based on Hanbok | |
Lecturer, Fashion Major, Chung-Ang University | |
Research Professor, Architectural Research Institut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Heritage | |
Associate Professor, Dept. of Fashion Design, Hannam University | |
Correspondence to : Jeongah Kim, e-mail: thenandnow@hnu.kr | |
This study summarizes the development and one operation case of the liberal arts course Hanbok, Meets Modernity at Hannam University. Currently, university-based hanbok education is conducted in departments related to clothing and fashion. However, these courses are mostly established as 'major elective' subjects, resulting in issues such as course cancellations due to insufficient enrollment or biennial offerings, making it difficult for interested students to receive adequate education. Liberal arts courses, however, have two distinct advantages, being less burdensome to establish and allowing for various attempts. Hanbok, Meets Modernity is a convergence liberal arts course that examines hanbok along with architecture, cities, and food, and is designed using the 'ADDIE Model'-educational framework. In our analysis of the 2022/23 course, we found that it focused on modern hanbok and examined the changes in traditional hanbok according to social changes and lifestyles. It combined theoretical lectures with various experiential programs to engage students' interest. Course evaluation was conducted through both the university's official course evaluation and self-assessment, with the latter showing high ratings for systematic course structure and efforts to improve understanding. Positive outcomes of the course operation included an increase in enrollment and an influx of students from various departments. Additionally, utilizing campus infrastructure and exploring local modern facilities promoted interest from both the university and the local community. Suggested future improvements include adjustments in course content and difficulty, coordinating project implementation timing, providing sufficient evaluation and differentiated support, securing long-term implementation periods, and improved budget allocation. This case presents a new direction for hanbok education and can serve as a useful reference for future developments.
Keywords: ADDIE model, convergence course, course development, Hanbok education, liberal arts course 키워드: ADDIE 모형, 융합 교과목, 교과목 개발, 한복 교육, 교양 교과목 |
한류 현상은 1990년대 후반부터 한국 드라마를 중심으로 시작되어, 2000년대 이후 음악이나 예능, 음식, 웹툰, 뷰티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었다. 이에 따라 한국의 문화콘텐츠에 ‘K’를 접두사로 붙인 ‘K-culture’라는 개념이 정착되고 있다. 이러한 글로벌 한류의 발전과 함께, 한국의 전통문화 요소들도 점차 주목받고 있으며, 한복 역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2021년 9월 옥스퍼드 영어사전에 ‘한국의 전통 의상’으로 ‘한복(Hanbok)’이 등재된 것은 한복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을 반영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정부는 2004년의 ‘한브랜드화’ 사업을 시작으로 2006년의 ‘한패션’ 사업, 2007년의 ‘한스타일’ 사업 등 한복 관련 진흥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왔다. 2014년에는 한복진흥센터가 출범하면서 한복의 문화적 가치를 끌어올리고 한복의 대중화를 위한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2022년 7월 20일에는 ‘한복생활’이 국가무형문화재로 공식 지정되었으며, 2024년 9월 15일 ‘전통문화산업 진흥법’의 시행을 앞두고 있다. 또한 2000년대 이후, 한국의 전통과 패션 트렌드를 결합한 새로운 한복 디자인이 유행하면서 패션 산업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한복 및 한복 산업에 대한 교육 수요가 급증하고 있지만, 현재의 한복 전문 교육은 이러한 수요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 대학에서 한복 전공 전임교수의 감소로 한복 교육이 축소되고 있으며, 관련 교과목이 감소되거나 폐지되고 있는 실정이다. 4년제 대학의 일부 의류ㆍ패션전공 학과에서는 전공 교육과정 중 한국 복식사 등의 이론 교과목과 한복 제작 관련 실기 교과목을 진행하고 있으나 그 수가 현저히 줄어들었다. 2년제 대학에서는 이러한 과목조차 거의 운영되고 있지 않으며,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양수업으로서의 한복 관련 교과목도 찾아보기 어렵다. 이는 한복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수요증가에 비해 교육 기회가 충분히 제공되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복 관련 교양 교과목의 개발 및 운영을 통해 학생들의 한복에 관한 관심을 증대시키고, 다양한 전공 분야와 한복을 융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22년부터 2023년까지 한남대학교에서 교양 교과목으로 운영된 '한복, 근대를 만나다'라는 교과목에 관한 것이다. 이 교과목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공예ㆍ디자인문화진흥원이 주관한 '2022~2023년 한복 전문교육사업'의 일환으로 개발 및 운영되었으며, 근대 한복과 다양한 역사 배경을 융합한 새로운 접근방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설계모형인 ADDIE 모형을 적용하여 교과목을 설계하였는데, 교과목의 개발 및 운영은 ‘Analysis(교과목 개설 현황 분석)-Design(교과목 설계)-Development(교안 개발 및 제작)-Implementation(강의 실시)-Evaluation(교육 평가)’의 다섯 단계로 진행되었으며, 2022년 2학기부터 2023년 2학기까지 세 학기 동안 운영된 결과를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한복 관련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에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나아가 한복의 문화적 가치 확산과 산업적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한복 교육에 대한 연구는 크게 정책 관련 연구(Lee & Kim, 2021)와 교육 기관별로 진행되어온 교육 관련 연구로 나눌 수 있다. 교육 기관별 한복 교육은 초등학교, 중ㆍ고등학교 학습자료 관련 연구(Kim, 2019; Kim, 2020; Suh, 2021)가 주를 이루며, 최근에 한복 비즈니스 교육(Yun, Jang & Lee, 2022; Yun, Jung & Lee, 2020) 이나 대학 교육 현황(Kim, 2014)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 외에도 평생교육원을 중심으로 진행된 교육(Yim & Kim, 2023)이나 문화재 전승 교육에 관한 연구(Lee, 2019)가 있다. 대학 교육 관련 연구는 패션 관련 학과에서 개설되는 전공 교과목 개설 추이를 기반으로 한 한복 교육 현황을 파악하는 내용이 대부분이며 교양 교과목을 중심으로 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한복 교육은 한복과 관련한 이론 및 실기 교과목을 아우르는 것으로, 교육 주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 정규 교육기관, 박물관, 학회, 공공기관, 민간 교육기관 등이 한복 교육을 담당하고 있으며, 각각의 기관에서는 정기교육 혹은 비정기적인 특강의 형태로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교육은 교수자가 교육의 현장에서 수강자를 대상으로 대면으로 운영하는 것이었으나, 2019년 COVID-19 이후로 온라인을 통한 비대면 형식의 교육도 보편화되었다. 한복 관련 이론 교육은 한국 복식사를 기본으로 하는 ‘한복의 역사’ 관련 교육과 한복 산업 현장에 관한 ‘한복 마케팅 및 비즈니스’ 교육 등이 포함되며, 실기 교육으로는 단계별로 한복을 제작하는 ‘전통한복 구성’, 디자인 한복 제작을 위한 ‘생활한복 구성’ 및 전통소재에 관한 ‘전통 섬유 교육’ 등이 있다. 또한 한복을 직간접적으로 착용하면서 문화적인 경험을 할 수 있는 ‘체험교육’도 포함한다.
교육을 진행하는 정규 교육기관은 연령대별로 유치원, 어린이집,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2년제ㆍ4년제 정규 대학 및 대학원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민간 교육기관은 평생교육원, 직업전문학교, 문화재 전수 공방, 박물관, 지방자치단체 부설기관,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등으로 구분된다.
한복 교육은 단발적이거나 비정기적인 교육의 형태보다 장기적이고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교육의 형태에서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 유의미하다. 한복전문인 양성의 관점에서 한복의 이론과 실기에 관한 정규교육을 동시에 시행하는 교육기관의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교육의 진행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장에서는 교육부 교육 기본통계 조사 자료를 기본으로 2023년 발간된 ‘2022 한복백서’의 내용을 반영하여 대학의 한복 교육현황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향후 한복 교육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학의 한복 교육은 교육부의 정식 인가를 받아 규정된 학제와 교육 강령에 따라 교육을 진행하는 교육기관인 전국 대학원(일반대학원, 전문대학원, 특수대학원), 4년제 대학, 2-3년제 대학, 교육대학, 산업대학,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기술대학 등에서 한복 전공, 의류학 전공, 패션 전공학과의 전공과목으로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교육부 자료에 의하면 2022년 우리나라에는 4년제 대학이 196개(국ㆍ공립 :29개, 사립:155개, 사립 산업대학:2개, 국립 교육대학:10개), 2-3년제 대학이 133개(국ㆍ공립:8개, 사립:125개)이다(Kim, Kim, & Kim, 2023).
2022년 12월을 기준으로 의류ㆍ패션 관련 학과를 운영 중인 4년제 대학은 77개교로 이중 국ㆍ공립대학은 19개교(9.7%) 20개 학과, 사립대학은 58개교(29.6%) 64학과이다. 이중 한복 관련 교과목을 운영하는 학과는 59개 학과인데, 국ㆍ공립대학은 18개(22.1%), 사립대학은 41개교(54.5%) 이다(Kim et al., 2023).
4년제 국ㆍ공립대학 18개 대학 19학과 중 한복 관련 교과목을 1개 편성한 학과는 1개(5.6%), 2개 교과목을 편성한 학과는 10개(55.6%), 3개를 편성한 학과는 1개(5.6%), 4개를 편성한 학과는 2개(11.1%)이다. 5개를 편성한 학과와 6개를 편성한 학과는 각각 2개씩(11.1%)이다.
4년제 사립대학 중 한복 관련 교과목을 편성한 학과는 40개 대학 41학과가 있으며, 이 중 1개의 한복 관련 교과목을 편성한 학과가 20개(48.8%)로 가장 많았다. 2개 교과를 편성한 학과는 7개(17.1%), 3개를 편성한 학과는 10개(24.4%), 4개를 편성한 학과는 1개(2.4%)이다. 5개를 편성한 학과는 2개(4.9%), 6개를 편성한 학과는 1개(2.4%)로 <Table 1>과 같다(Kim et al., 2023). 국ㆍ공립대학에서는 이론과 실습교과목을 각각 1개씩 편성하는 학교가 가장 많았고, 사립대학에서는 이론 또는 실습교과목 중 1개만 편성하는 학교가 가장 많았다.
National/Public university | Private university | ||||||||
---|---|---|---|---|---|---|---|---|---|
Number of courses |
Hanbok course | Number of universities |
Number of departments |
Number of courses |
Hanbok course | Number of universities |
Number of departments |
||
Theory class |
Practical class |
Theory class |
Practical class |
||||||
1 | 1 | - | - | - | 1 | 1 | - | 11 | 11 |
- | 1 | 1 | 1 | - | 1 | 9 | 9 | ||
2 | 1 | 1 | 9 | 10 | 2 | 1 | 1 | 7 | 7 |
3 | 1 | 2 | 1 | 1 | 3 | 1 | 2 | 9 | 10 |
4 | 1 | 3 | 2 | 2 | 4 | 1 | 3 | 1 | 1 |
5 | 1 | 4 | 2 | 2 | 5 | 1 | 4 | 1 | 1 |
6 | 1 | 5 | 1 | 1 | 6 | 2 | 3 | 1 | 1 |
2 | 4 | 1 | 1 | 1 | 5 | 1 | 1 | ||
Total | 16 | 17 | Total | 39 | 40 |
4년제 국립대학에서 한복 관련 교과목을 4~5개 편성한 학교는 전북대학교(4개), 경상국립대학교(4개), 순천대학교(5개), 안동대학교(5개)이며, 사립대학의 경우는 전주대학교(4개), 성균관대학교(5개), 성신여자대학교(5개)가 이에 해당한다. 국립대학의 학부 과정에서 가장 많은 교과목인 6개를 편성한 곳은 한경국립대학교와 제주대학교이며, 사립대학에서는 한남대학교이다.
2-3년제 대학에서 의류ㆍ패션 관련 학과를 운영하는 대학은 사립대학은 총 28개교로, 이 중 8개 학과에서 <Table 2>와 같이 한복 관련 교과목을 운영하고 있다(Kim et al., 2023). 백석문화대학교, 서일대학교, 숭의여자대학교, 신구대학교, 용인예술과학대학교, 청강문화산업대학교 등 6개 대학에서 이론 교과목 1개(75.0%)를 편성하고 있으며, 군장대학교는 3개의 교과목(12.5%)을 편성하고 있다. 배화여자대학교 한복문화콘텐츠학과는 한복 전문 학과로 총 9개(이론수업 1개, 실기수업 8개, 12.5%)에 달하는 교과목을 편성하여 개설 교과목 수에 있어 다른 학교와 큰 차이를 보였다.
Number of courses | Hanbok course | Number of universities |
Number of departments |
|
---|---|---|---|---|
Theory class | Practical class | |||
1 | 1 | - | 6 | 6 |
- | 1 | - | - | |
3 | - | 3 | 1 | 1 |
6 | 1 | 8 | 1 | 1 |
Total | 8 | 8 |
대학원에서는 한복 관련 전공 심화 교육을 받을 수 있는데 대학별 의류ㆍ패션 전공의 일반대학원에서 한복 전공 분야를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2022년 12월 기준 국ㆍ공립대학에서 의류ㆍ패션 관련 학과를 운영하는 19개 대학 중 전공 대학원이 개설된 곳은 16개 학교 17개(89.5%) 학과이며, 한복 관련 교과목을 편성한 학과는 11개(57.9%) 학과이다. 사립대학 58개 중 대학원이 개설된 학교는 32개(55.2%)이며, 한복 관련 교과목을 편성한 학과는 25개(43.1%) 학과로 <Table 3>과 같다(Kim et al., 2023).
National/Public university | Private university | ||||||
---|---|---|---|---|---|---|---|
Number of courses |
Hanbok course | Number of departments |
Number of courses |
Hanbok course | Number of departments |
||
Theory class |
Practical class |
Theory class |
Practical class |
||||
1 | 1 | - | 3 | 1 | 1 | - | 2 |
- | 1 | 1 | - | 1 | 3 | ||
2 | 2 | - | 1 | 2 | 1 | 1 | 4 |
2 | - | 3 | |||||
1 | 1 | 1 | |||||
- | 2 | 1 | |||||
4 | 3 | 1 | 1 | 4 | 2 | 2 | 1 |
3 | 1 | 1 | |||||
2 | 2 | 1 | |||||
4 | - | 1 | |||||
5 | 3 | 2 | 1 | 5 | 4 | 1 | 1 |
3 | 2 | 1 | |||||
6 | 1 | 5 | 1 | 6 | 6 | - | 1 |
7 | 5 | 2 | 1 | 8 | 7 | 1 | 1 |
5 | 3 | 2 | |||||
9 | 4 | 5 | 1 | 21 | 16 | 5 | 1 |
33 | 19 | 14 | 1 | 28 | 7 | 11 | 1 |
42 | 32 | 10 | 1 | ||||
Total | 13 | Total | 25 |
4년제 국ㆍ공립대학의 대학원 13개 학과 중에서 한복 관련 교과목을 1개 편성한 학과가 4개교(30.7%)로 가장 많았으며, 일반대학원에서 가장 많은 9개의 교과목을 편성한 학교는 전남대학교이다.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학원은 33개 교과목을 편성하고 있는데, 일반적인 한복 관련 분야를 교육하는 것보다 전통공예의 기능을 전승하는 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다.
4년제 사립대학 대학원 25개 학과 중 1개 교과목을 편성한 학과는 5개(20.0%)이며, 2개를 편성한 학과가 8개(32.0%)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4~5개의 교과목을 편성한 학과는 5개(20.0%)이며, 6~8개의 교과목을 편성한 학교는 4개(16.0%)이다. 20개 이상의 교과목을 편성한 학과는 3개(12.0%)로, 가장 많은 44개의 교과목을 편성한 학교는 단국대학교 대학원이다. 단국대학교 대학원 전통의상학과는 대학원 직속 학과로 학부 과정 없이 대학원에서 전통 복식 교육과정을 진행한다는 특징이 있다.
대학 이상 정규 교육기관의 의류ㆍ패션 관련학과에서 진행하는 한복 관련 교육은 주로 한국복식사를 중심으로 한 이론수업과 한복구성 등의 실기 교과목이 기본으로 편성되어 있다. 학교에 따라서 이론 교과목으로 동양복식사를 추가로 진행하거나 한복구성 실기 교과목을 단계별로 진행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4년제 대학에서는 3개 이하의 교과목을 편성하고 있다. 배화여자대학교나 한국전통문화대학과 같이 한복을 전공으로 하는 특수한 학과의 경우 전통예복디자인이나 전통문화상품 관련한 교과목을 개설하기도 한다. 학과의 졸업 사정 원칙에 따라 한복 작품 제작을 졸업의 기준으로 정해놓은 일부 대학에서는 한복 디자인 및 제작 수업을 세분화해서 진행하고 있지만 국내 대학의 전체 수에서 극히 일부분에 해당한다. 또한 대부분의 전공 교과목이 전공선택으로 편성되어 교과목이 정원 미달로 폐강되거나 학교에 따라서는 한복 관련 교과목을 격년으로 개설하는 경우가 있어 학생들이 한복에 관한 전문적인 교육을 받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다. 패션 관련 교과목이 패션디자인, 단계별 의복구성, 마케팅, 어패럴CAD 등의 컴퓨터 수업 등으로 세분화 되어 있는 것에 비해 한복 관련 교과목은 단순하게 편성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한복의 산업을 보다 발전시키고 다양한 분야와 융합하기 위해서는 한복에 대한 전문지식을 갖춘 인재가 양성되는 것이 우선이다. 이를 위해서는 각 대학의 학과에서 한복 분야에 대한 관심을 기울여 다양한 교과목 개발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2019년부터 실시된 <한복 전문교육 지원>사업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재)한국공예ㆍ디자인문화진흥원이 주관하는 사업으로, 한복 분야 전문 교육을 강화하여 한복 산업 역량을 향상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매년 사업의 세부 내용이 변화하며, 2022~2023년에는 대학의 한복 관련 교과목 개설을 지원했다.
2022년도 <한복 전문교육지원> 사업은 한복 전문 교육 프로그램(강좌)을 운영할 수 있는 기관을 대상으로 교양 교과목 신설, 코드쉐어 적용, 마이크로디그리 연계, 계절학기 개설 등의 프로그램을 공모했다. 이 사업은 교과목 개발 및 강좌 운영전반에 필요한 예산을 지원하며, 프로그램의 운영 및 성과에 따라 최대 3년까지 연속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2022년에는 총 8개 기관이 선정되어 한복 관련 교육을 개발하고 진행했으며, 2023년에는 이 중 5개의 대학이 연속 지원을 받았고 신규 5개 교가 선정되었으나 2024년도에 사업이 폐지되었고 관련 내용은 <Table 4>와 같다.
University | 2022 | 2023 | |
---|---|---|---|
Program | Program | ||
1 | Korea University |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Hanbok's Costume and Beauty |
Continuous support |
2 | Kookmin University | Hanbok Props Craft Practic / Understanding Practical Hanbok <K-Baeja> |
Continuous support |
3 | Baewha Women's University | Seminar on Korean Costume Culture/ Women's Traditional Wedding Costume design / Making a doll Hanbok |
- |
4 | Seoul National University | Hanbok & K-Culture | Continuous support |
5 | Seoul Women's University | Korean Traditional Costume Design | Continuous support |
6 | Andong University | Designing Hanbok Convergence Products/Hanbok field training |
- |
7 | Cheongju University | Capstone Design with Hanbok Brands | - |
8 | Hannam University | Hanbok, meets modernity | Continuous support |
9 | Konkuk University | - | Workshop on Traditional Costume Development |
10 | Dankook University | - | Development of Hanbok Craft Education Program |
11 |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 - | Our clothes in the World, Hanbok |
12 | Wonkwang Digital University | - |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Hanbok Decoration Crafts |
13 |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 - | Reproduction and Design of Korean Costume/ Hanbok Business |
대학에서 한복 관련 교과목을 신설하기 위해서는 여러 단계의 절차를 진행해야 하며 전공교과목의 경우 학과 내 타 전공과의 합의가 이루어져야하므로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교양교과목 신설의 경우도 비슷한 어려움이 있으나 전공에 비해 신규 교과목 개발에 부담이 적고 다양한 성향의 교과목을 개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계절학기 교과목 개설의 경우 기본적으로 한복 관련 교과목이 개설되는 학교에서 진행할 수 있으며 방학 동안 짧은 기간으로 전공교과목을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사업을 통해 2022년도에는 6개의 한복 관련 교양 교과목이 개발되고, 3개의 계절학기 교과목이 운영되었다. 교양 교과목의 경우 이론으로 개발한 경우가 2건, 실습교과목은 4건이며 계절학기 교과목 3건은 모두 실습교과목으로, 이론 교과목의 개발이 상대적으로 적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설계모형인 ADDIE 모형을 적용하여 한복 융합 교양 교과목을 설계하고자 한다. ADDIE 모형은 1975년 플로리다주립대학교 교육기술센터에서 군사용으로 만든 교육모형이다. 모형의 이름은 5단계 설계의 약자이며, 분석(Analysis), 설계(Design), 개발(Development), 실행(Implementation), 평가(Evaluation)의 다섯 단계로 효과적인 교육 및 교육자료를 만들기 위한 지침으로 만들어졌다(Branson, 1978). ADDIE 모형은 교육과정 설계, 교재 개발, 훈련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 방식을 제공하여 다양한 교육 환경에서 효과적인 학습 경험을 창출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교육 설계 모형 중 하나이다. ADDIE 모형을 적용한 한복 융합 교양 교과목 개발을 위한 각 단계별 연구범위와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단계인 교육 현황 분석에서는 현재 고등교육기관의 한복 교과목 개설 현황을 분석하여 한복 융합 교양 교과목의 방향과 목표를 설정하였다. 본 교과목의 교육 대상은 한남대학교에 재학중인 학생으로, 한남대학교의 기존 교양 교과목 및 패션디자인학과 교과목 개설 현황과 강의평가를 기반으로 교육 대상의 교양 교과목 선호도와 요구사항을 분석하였다.
두 번째 교과목 설계 단계에서는 한복 관련 교육 현황 및 한남대학교 학생 수요도를 기반으로 설정한 교육 목표에 맞추어 이론, 체험, 학생 과제 및 발표, 시험 모듈을 반영한 15주차의 교양 교과목을 설계하고, 교육목표 달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평가도구를 개발하였다. 또한, 교과목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교수전략 및 방법을 제시하고자하였다.
세 번째 강의교안 개발 단계에서는 두 가지의 강의교안 개발을 진행하였는데, 이론모듈과 체험모듈에 필요한 강의교안을 제작하였다. 이론모듈의 강의교안은 근대시기 분야별 강의내용을 15주에 맞춰 작성하였고, 체험모듈의 강의교안으로 교육 및 체험용 근대 한복을 제작하였다.
네 번째 강의 실시에 앞서 한남대학교 전교생을 대상으로 수강 정원 30명(2차 학기부터는 40명)에 대한 수강 신청을 받았고, 본격적으로 강의를 실시하기 이전에 강의 목표, 내용, 평가 등 교과목 전반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오리엔테이션을 실시하였다. 2주차부터 교수진은 강의교안을 바탕으로 이론, 체험, 학생과제 및 발표, 시험 모듈이 반영된 강의를 실시하였다.
마지막 단계인 교육평가 단계에서는 두 가지 교육평가 도구를 사용하였다. 한가지는 한남대학교에서 매 학기 기말에 실시하는 강의평가 도구로, 교과목에 대한 종합 평가와 평점을 통해 강의만족도를 판단하는 지표로 활용하였다. 나머지 한가지는 교수진이 개발한 평가도구로, 14주차 수업에서 수강생의 수업에 대한 이해도, 만족도, 성취도 등을 설문형으로 실시하였다. 두 가지 교육평가를 바탕으로 강의내용 구성, 수준, 개선사항을 분석하여 그 다음 학기 강의에 반영할 수 있도록 수업개선보고서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과목은 <Fig. 1>과 같이 ADDIE 모형의 단계에 맞춰 3차(세 학기)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전체적인 프로세스 및 각 단계에서 강의에 대한 보완을 진행하였다
(Produced by Author)
본 교과목은 교양 교과목으로, 패션디자인학과 외에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이 수강하였다. 2022년 2학기부터 2023년 2학기까지 세 학기 동안 교과목을 운영하였으며, 전체 수강생은 26명에서 41명까지로 증원되었다. 세 학기에 걸쳐 총 38개 학과의 학생들이 수업을 수강하였고, 매 학기 15~20개 학과의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교양 교과목의 특성상 전공별로 1인씩 수강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매학기 새로운 학과에서 수강생이 유입되는 경향이 있었다.
패션디자인학과ㆍ식품영양학과ㆍ컨벤션호텔경영학과ㆍ경영학과는 세 학기 연속 수강생이 있었으며, 교과목 운영 기간 동안 총수강생 수가 가장 많은 상위 다섯 개 학과는 패션디자인학과(아트&디자인테크놀로지대학), 식품영양학과(생명ㆍ나노과학대학), 융합디자인전공(아트&디자인테크놀로지대학), 컨벤션호텔경영학과(경상대학), 회화과(아트&디자인테크놀로지대학) 순이었다. 단과 대학별 수강생 분포도를 보면 <Table 5>와 같으며, 본 교과목의 개설 대학인 아트&디자인테크놀로지 대학에서 가장 많은 학생이 수강했던 것을 알 수 있다.
College | Semester | ||
---|---|---|---|
2022-2 | 2023-1 | 2023-2 | |
College of Art & Design Technology | 7 | 10 | 15 |
College of Economics and Business Administration | 5 | 3 | 9 |
College of Life Science and Nano Technology | 4 | 3 | 6 |
College of Liberal Arts | 2 | 4 | 5 |
College of Social Science and Law | 4 | 5 | 2 |
College of Engineering | 2 | 6 | 0 |
College of Smart Interdisciplinary Engineering | 1 | 2 | 4 |
College of Education | 1 | 2 | 0 |
Open Major | 1 | ||
Total | 26 | 36 | 41 |
교과목의 내용은 근대 한복을 중심으로 개항 이후 서양 문물의 유입, 신분 구조의 변화 등 사회 변화에 따라 전통한복이 변해가는 양상을 체계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다양한 전공의 재학생이 수강하는 교양 교과목의 특성상 깊이 있는 전공을 다루기가 어려울 수 있어 비전공자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흥미로운 콘텐츠로 커리큘럼을 구성하였다.
한복에 관한 내용뿐만 아니라 역사, 음식, 건축, 도시 등의 분야를 함께 구성하여 전반적인 시대 환경 속에서 한복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문헌과 유물로 남아 있는 근대 한복을 살펴봄과 동시에 문학, 영화 등의 매개체를 이용하여 학생들의 흥미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함께 강의 내용과 연계된 시음 및 한복 착복, 교내 선교사촌과 근대시설 탐방 등의 프로그램을 기획함으로써 교과서 위주의 기존 강의 방법을 벗어나 공감각적인 경험을 통해 근대 한복 문화를 체득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강의 내용은 <Table 6>과 같이 크게 ‘도입→전개 1→전개 2→마무리’의 네 단계로 구분하여 구성하였다.
Part | Introduction | Development 1 | Development 2 | Conclusion |
---|---|---|---|---|
Week | 1~2 | 3~8 | 9~13 | 14~15 |
Contents | Korean Modern History |
Modern Attire through Literature and Film |
Costumes in Modern Life |
Evaluation of Understanding Modern Attire |
<도입> 부분은 1~2 주차에 진행하는 것으로, 강의 내용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고 강의 전반에 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한국 근대사를 주제로 설정하였다. 3~8 주차에 진행하는 <전개 1>은 근대 한복을 본격적으로 다루는 부분으로, 다양한 사료(史料) 및 문학과 영화 작품을 통해 근대 한복의 변화와 수용 양상을 알아보고, 이것이 미디어에서는 어떻게 재현되는지를 학생들과 함께 분석해 보는 것으로 하였다. 9~13 주차에 진행하는 <전개 2>는 근대 생활 속에 나타난 복식을 살펴보는 부분으로, 음식ㆍ건축ㆍ도시 등에서의 생활 변화와 함께 새롭게 나타난 복식들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특히 이 영역에서는 강의 테마에 맞춰 다양한 체험 행사를 함께 기획함으로써 학생들의 흥미와 참여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마무리>는 14~15 주차에 진행하는 것으로, 학생들의 발표와 기말 평가로 구성하였다.
본 교과목은 융합 교과로 새롭게 개발된 것으로서, 세 명의 교수진이 교안을 직접 제작하고 모든 수강생에게 배포하였다. 2022년 4월부터 8월까지 초판의 교안을 작성하였으며, 교양 교과목의 내용과 비전공자인 수강생의 특성을 고려하여 난이도를 조절하였다. 또한 교과목을 운영하는 동안 매 학기 학생들의 피드백과 강의진 회의를 통해 수업 진행과 학생들의 이해를 돕는 방향으로 교안의 내용을 수정, 보완하였다. <Fig. 2>와 같이 교안의 표지를 직접 디자인하였는데, 매 학기 새로운 디자인을 적용하였다.
(Photo by Author, 2023)
‘한복, 근대를 만나다’는 다양한 한복의 착복 체험을 바탕으로 기획된 것으로서, 본 교과목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체험용 근대 한복 역시 직접 개발하였다. 2022년 6월부터 회의를 통해 수업에서 활용 가능하면서 학생들 체험에 용이한 한복 아이템을 선정하였으며, 협력업체에 제작을 의뢰하였다. 체험 한복 샘플을 제작한 후 <Fig. 3>과 같이 가봉, 패턴 수정, 재작업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완성도를 높였다. 개강 이후 수강생의 성별을 고려하여 2022년 2학기에 최종으로 제작한 한복은 여성복 17벌, 남성복 13벌이며, 1900년대 전통한복(기본 복식, 덧옷 및 겉옷류)과 근대 한복, 교복 등 다양한 품목으로 구성하였다.
(Photo by Author, 2022)
2023년도에는 2022년 2학기 수업 진행 과정에 서 보완이 필요했던 품목 30벌을 추가로 제작하였다. 여학생 교복 형태가 선호도가 높아 여러 벌을 더 제작하였으며, 외국인 유학생의 체형을 고려하여 좀 더 다양한 치수를 구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기온이 낮아지는 2학기 수업에서의 체험시기에 대비하여 방한용 복식을 추가로 제작하였다. <Fig. 4>는 추가로 제작한 한복 중 일부이다.
(Photo by Author, 2023)
본 교과목의 강의는 복식사 전공자 2인과 비전공자 1인으로 구성된 세 명의 강사진이 팀티칭 형식으로 진행하였다. 이론 강의는 총 11회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Table 7>과 같이 한국 근대사를 개괄하고, 근대 복식의 변화를 살펴본 후 근대 생활 속의 복식을 체득해보는 순서로 실시하였다.
Classification | Specific Objectives | Educational Materials |
---|---|---|
Modern Korean History | An Overview of Modern Korea | |
Introduction to Hanbok | An Introduction to Joseon Dynasty Hanbok and the Evolution of Traditional Hanbok | Costume |
Modern Costume in East Asia | Exploring Modern Life and Costume in Korea, China, and Japan through Film | Film |
Hanbok in Modern Life | School Uniforms, Sportswear, and Uniforms | Costume, Food, Tasting Tools |
Wedding Ceremony | ||
Architecture, Cities, and Food |
먼저, 한국 근대사를 살펴보기 위해 개항 이후부터 일제강점기까지 근대화의 과정과 주변국의 정세를 살펴보며 시대적 배경을 개관하였다. 다음으로 교양 교과목의 특성상 수강생들이 한국 복식사에 대한 기본 지식이 부족한 점을 고려하여 조선시대 한복 개론을 다루었으며, 근대 시기 의제 개혁과 전통 복식의 변화, 서양인들의 한복에 관한 시각 등을 소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 단계에서는 중국, 일본을 포함한 동아시아 전반에서 근대 복식의 수용과 변화가 어떤 양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비교, 고찰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추후 학생들의 과제수행에 도움을 주고 강의에 대한 흥미를 높이기 위해 근대 시기를 배경으로 한 영화를 주제로 하였으며, 이론 강의와 영상 관람을 병행하였다.
후반부 강의는 근대 생활 속 한복을 각각의 주제에 맞춰 살펴보는 주간으로, 복식에서는 교복ㆍ운동복ㆍ제복 및 혼례복을 좀 더 깊이 살펴보았다. 복식 외의 분야로는 건축과 도시, 음식을 선정하여 생활 양식 및 주거 환경의 변화를 살펴보고, 그에 따른 근대 복식의 도입과 수용 양상도 함께 알아보았다.
체험 강의는 융합형 교양 교과목 개발에 있어 중점을 둔 부분으로, 한복 착복 및 시음, 답사의 세 가지 형태로 기획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교과목의 운영을 위해 제작된 근대 복식은 총 60벌이며, 기존에 한남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에 보관되어 있던 전통한복들도 착복 체험에 함께 활용하였다.
착복 체험은 복식 관련 내용을 다루는 주차에 <Fig. 5>, <Fig. 6>과 같이 강의실에서 간략한 형태로도 진행되었으며, 근대 건축을 다루는 주차에는 <Fig. 7>, <Fig. 8>과 같이 한복을 입고 근대 건축물을 답사하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학생들 각자 원하는 한복을 골라서 착용한 후 한남대학교 내에 있는 선교사촌을 방문하여 근대 건축물로서의 의미를 알아보며 해당 공간에서 자유롭게 사진을 찍는 시간을 마련하였다. 학생들이 한복을 입고 교내를 돌아다니는 과정을 통해 다른 학생들도 자연스럽게 한복 및 본 교과목에 관해 관심을 갖게 되는 홍보 효과가 나타나기도 했다.
(Photo by Author, 2023)
(Photo by Author, 2023)
(Photo by Author, 2023)
(Photo by Author, 2023)
시음 행사는 근대 생활 속 음식을 다루는 주차의 체험 행사로, <Fig. 9>와 같이 바리스타를 초빙하여 근대 시기 커피인 양탕국을 제조하고 시음해보는 프로그램을 기획하였다. 이와 함께 근대 시기에 새롭게 도입되어 인기를 끌었던 우유와 단팥빵도 먹으면서 좀 더 흥미롭게 강의 내용을 이해해보는 시간을 마련하였다.
(Photo by Author, 2023)
학생 발표는 중간, 기말로 나누어 총 2회 진행하였다. 중간발표는 ‘영화 속 근대복식 찾기’를 주제로 한 팀 프로젝트로, 3~4명이 한 조를 이루어 발표를 진행하였다. 2022년 2학기와 2023년 1학기는 12개 조, 2023년 2학기는 10개 조의 발표가 있었으며, 조별로 근대 시기를 배경으로 한 영화를 선정하여 캐릭터의 특성 및 시대적 배경이 복식을 통해 어떻게 표현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189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의 다양한 영화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론 강의 시간에 미처 다루지 못했던 여러 작품을 함께 보고 실제로 분석하며 한복 및 근대 복식에 관한 학생들의 이해도가 향상되는 계기가 되었다.
기말 발표는 근대 한복을 입고 브이로그를 촬영하는 것으로 하였다. 가급적 근대 시기와 관련된 공간에서 촬영하되 주제는 자유롭게 선정하도록 하였으며, 한복은 제작해 둔 다양한 체험용 한복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발표 인원은 1인~3인까지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여, 세 학기 동안 총 61건의 브이로그 영상이 제출되었다. 한남대학교 선교사촌, 근현대사전시관을 비롯한 대전 구도심부터 논산의 드라마 촬영지, 전주, 군산, 서울의 정동, 익선동 및 서대문 형무소 등 다양한 지역이 촬영 장소로 활용되었으며, 낯선 한복을 입고 생활하는 것에 관한 학생들의 새로운 시각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Fig. 10>과 <Fig. 11>은 2023년도에 제작된 브이로그의 일부 장면이다.
(Captured by Author, 2023)
(Captured by Author, 2023)
기말시험은 지필 고사로 시행하였으며, 이론 강의 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를 평가하였다. 문제는 총 50문항으로, 단답형 주관식ㆍO/X형ㆍ객관식의 세 유형으로 구성하였다. 교양 교과목의 특성과 외국인 학생들을 고려하여 객관식 문항의 비중을 가장 높게 두었으며, 객관식은 60%, 단답형과 O/X 문항은 각각 10%의 비율로 출제하였다.
강의평가에서는 학생 강의평가와 교수진의 교과과정 평가가 진행되었다. 학생들의 강의평가는 두 가지로 진행되었는데, 교내에서 학기 기말에 실시하는 강의평가와 교수진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한 평가도구를 활용한 평가가 진행되었다.
(1) 교내 평가
한남대학교에서 기말에 실시되는 강의평가는 성적 확인 기간전에 온라인(모바일, 인터넷)으로 진행하며, 5점 척도 객관식 13문항과 서술형 1문항으로 구성된다. 평가 문항은 강의계획서와의 일치도, 강의 내용, 강의 교안, 강의 방법, 상호작용, 강의평가의 공정성, 강의 만족도, 강의 성과 등을 평가하며, 서술형 문항은 수업에 관한 요구사항을 자유롭게 서술하는 방식이다. 평가 문항은 <Table 8>과 같다.
Type | No. | Question |
---|---|---|
Mulitiple-choice Question |
1 | I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class. |
2 | The class content was systematic and clear to understand. | |
3 | The teaching method sparked interest in the class. | |
4 | There was active interaction between the professor and the students. | |
5 | I participated diligently in class activities (attendance, assignment completion, etc.). | |
6 | The syllabus provided sufficient information about the class. | |
7 | The class content was aligned with the nature and objectives of the subject. | |
8 | The textbooks or materials used in the class were helpful for learning. | |
9 | The teaching method sparked interest in the class. | |
10 | There was active interaction between the professor and the students. | |
11 | The methods and procedures for grade evaluation are fair and reasonable. | |
12 | I would recommend this class to other students. | |
13 | This class enhanced my interest or knowledge in the related field. | |
Descriptive Question |
14 | Please briefly describe any requirements or suggestions regarding the class. |
2022년 2학기에는 총 26명의 학생 중 24명이 강의평가에 응답하였는데, 과목 전체에 대한 종합 강의평가는 4.53이다. ‘강의계획서에 수업에 관한 정보가 충분히 제시되었다’는 강의계획서의 충실도에 대한 평가(4.67)가 가장 높게 나왔으며, 다음순으로 성적평가의 공정성과 합리성에 대한 평가(4.63)가 높게 나왔다. 가장 낮은 평가항목은 수업에 대한 만족도(4.29)로 집계되었다. 서술형 문항에서는 교양 교과목에 맞는 시간과 학습량 조절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2023년 1학기에는 총 36명의 학생 중 34명이 강의평가에 응답하였는데, 과목 전체에 대한 종합 강의평가는 4.37로 전 학기 대비 다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 학기와 마찬가지로 가장 높게 집계된 평가항목은 강의계획서의 충실도(4.47)였으며, 그 다음 순으로는 강의 교안에 대한 평가 및 성적평가의 공정성과 합리성에 대한 평가가 4.44로 높게 나왔다. 가장 낮은 강의평가 항목은 강의만족도로 집계되었다. 강의 요청사항으로는 강의 시간의 조절과 시험 기간 내 과제 수행의 어려움을 서술하였다.
2023년 2학기에는 총 39명의 학생 중 35명이 강의평가에 응답하였는데, 과목 전체에 대한 종합 강의평가는 4.38로 전 학기 대비 다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의 두 학기와 마찬가지로 가장 높게 집계된 평가항목은 강의계획서의 충실도(4.49)로 나왔고, 그 다음 순으로 강의 교안에 대한 평가(4.46)가 높게 나왔다. 가장 낮은 평가항목은 강의 만족도와 성적평가의 공정성과 합리성에 대한 평가이며, 4.29로 집계되었다. 항목별 세부점수는 <Table 9>와 같으며, 강의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별도의 요청사항은 없었다.
Evaluation Area |
No. | Evaluation criteria | 2022-Fall semester |
2023-Spring semester |
2023-Fall semester |
---|---|---|---|---|---|
Average | Average | Average | |||
Course Delivery and Evaluation |
1 | Course Plan | 4.67 | 4.47 | 4.49 |
2 | Course Content | 4.58 | 4.41 | 4.40 | |
3 | Teaching Materials | 4.54 | 4.44 | 4.46 | |
4 | Teaching Methods | 4.46 | 4.35 | 4.37 | |
5 | Interaction | 4.50 | 4.29 | 4.37 | |
6 | Course Evaluation | 4.63 | 4.44 | 4.29 | |
7 | Course Satisfaction | 4.29 | 4.18 | 4.29 | |
8 | Course Outcomes | 4.54 | 4.35 | 4.34 | |
Total | 4.53 | 4.37 | 4.38 |
(2) 자체 개발 평가도구
교수진에서는 별도의 자체 평가도구를 개발하여, 14주차에 강의평가를 진행하였다. 자체평가의 문항은 교내 평가보다 강의에 대한 상세한 평가내용을 담고 있으며, <Table 10>과 같이 한복에 대한 이해,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 한복 착용 경험 등 한복 교과목에 관련된 질문사항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서술형으로는 강의 중 가장 유익했다고 생각하는 사항과 기억에 남는 사항에 관한 문항을 추가하였다. 평가항목은 객관식 9문항과 서술형 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Categories | Evaluation Questions | 2022-Fall Semester |
2023-Spring Semester |
2023-Fall Semester |
---|---|---|---|---|
Average | Average | Average | ||
Course Structure |
Did the course objectives and content match the course title? | 4.68 | 4.94 | 4.94 |
Was the overall course content systematically organized and well-prepared? | 4.91 | 4.97 | 4.97 | |
Course Delivery |
Were the textbooks or reference materials appropriate for understanding the subject matter? | 4.51 | 4.94 | 4.94 |
Did the instructor make their best efforts to enhance students' understanding? | 4.91 | 4.97 | 4.97 | |
Understanding of the Course |
Did this course help you understand Hanbok? | 4.69 | 4.91 | 4.91 |
Did this course help you understand Korean culture? | 4.86 | 4.9 | 4.91 | |
Overall Satisfaction |
Are you generally satisfied with this course? | 4.68 | 4.78 | 4.91 |
This course includes a process of wearing Hanbok. Was this experience satisfying? | 4.81 | 4.74 | 4.78 | |
Would you recommend this course to your friends or juniors/seniors? | 4.77 | 4.81 | 4.89 | |
Total | 4.76 | 4.88 | 4.91 |
2022년 2학기에는 총 26명 중 24명이 응답하였는데, 강의평가의 전체평균은 4.76이었다.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평가항목은 강의의 체계적인 구성과 학생들의 이해도 향상 노력에 대한 평가(4.91)였고, 가장 낮은 점수를 받은 것은 교과목 이해를 위한 강의교재의 적절성(4.51)이었다. 강의에서 가장 유익했던 점에 대한 서술형 문항의 답변으로는 이론과 실무 경험의 조화로 근대 의복을 이해하고, 실제로 보고 체험할 수 있어서 좋았다는 의견이 많았고, 전공 커리큘럼에서 다루기 어려운 근대 복식과 전반적인 역사를 배울 수 있는 기회가 유익했다는 평가가 있었다. 강의에서 기억에 남는 점에 대한 답변으로 많은 학생들이 일제강점기 파트와 혼례복을 입어 본 경험을 꼽았다. 커피를 내려 마시는 체험도 인상 깊었고, 특히 한복을 입고 선교사촌을 방문하거나 교내의 근대 건물 양식을 알아본 활동이 기억에 남았다는 의견이 많았다.
2023년 1학기에는 총 36명 중 32명이 응답하였는데, 강의평가의 전체평균은 4.88이었다.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평가항목은 전 학기와 마찬가지로 강의의 체계적인 구성과 학생들의 이해도 향상 노력에 대한 평가(4.97)였으며, 가장 낮은 점수를 받은 것은 한복 착용의 만족도(4.74)였다. 강의에서 가장 유익했던 점으로 언급된 내용으로는 근대 복식의 변화를 학습하고, 그 시대의 한복을 입어 보는 경험이 유익했다는 의견이 많았다. 또한, 한복을 입고 당시의 배경과 역사를 함께 배우는 점이 교육적으로 효과적이었다는 반응이 많았다. 강의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점으로는 많은 학생들이 선교사촌을 방문한 체험을 언급했으며, 이 과정에서 한복을 직접 입고 다니며 역사적 공간을 체험하는 활동이 인상 깊었다는 의견이 많았다.
2023년 2학기에는 총 39명 학생 중 35명이 응답을 하였는데, 강의평가의 전체평균은 4.91로, 세 학기 중에서 가장 높은 평균을 받았다. 가장 높은점수를 받은 평가항목은 전 학기와 마찬가지로 강의의 체계적인 구성과 학생들의 이해도 향상 노력에 대한 평가(4.97)로 나왔고, 전 학기와 마찬가지로 가장 낮은 점수를 받은 항목은 한복 착용의 만족도(4.78)였다. 강의에서 가장 유익했던 점으로는 중간발표 준비 과정에서 학습 내용의 이해가 깊어졌고, 직접 한복들을 입어볼 수 있어 흥미를 유발하는 체험활동이 많았다고 대답하였다. 또한, 학교선교사촌을 방문하거나 옛날 방법으로 커피를 만들어 먹는 등 여러 체험 활동을 통해 기분을 환기시키고 색다른 경험을 할 수 있었다고 평가하였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한복을 입고 사진을 찍는 활동도 기억에 남았다고 응답했으며, 근대 생활 속 한복과 도시와 한복, 조선시대 한복에 대해 배우는 수업들이 기억에 남는다는 의견이 있었다.
자체평가의 경우가 교내 평가보다는 높은 평가를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다른 교과목과 동일한 평가항목으로 진행되는 교내 평가보다 자체평가의 평가항목이 한복 교육에 맞춰 설계되었다는 점에 기인하고, 또한, 강의평가를 진행했던 시기가 기말 평가 전이라는 점에서 기말 평가 난이도가 교내 평가의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정량적인 객관형 평가 문항에서는 잘 드러나지 않았지만, 서술형 문항에서 학생들의 한복에 대한 이해 향상, 융합적 접근으로써의 한복 교육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받았다는 점에서 융합적인 한복 교육에 있어서 정성적인 평가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부각된다.
<Table 11>에 정리된 바와 같이 개설 이후 본 교과목의 수강인원이 매 학기 증가한 것은 기 수강생의 한복 착용 후 학교 시설 방문 과정에서 재학생들에게 자연스럽게 수업에 관한 홍보를 할 수 있었다는 점과, 기존 수강생들의 강의 추천 및 교과목에 관한 좋은 평가에 기인한다. 수강생들의 성비 또한 여학생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음에도 불구하고, 남학생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패션디자인학과를 제외한 타전공의 수도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남녀불문, 다양한 전공의 재학생들에게서 본 교과목에 관심이 증가한 것을 의미한다.
Categories | No. | Assessment Tool |
2022-Fall Semester |
2023-Spring Semester |
2023-Fall Semester |
||||
---|---|---|---|---|---|---|---|---|---|
Number of Students |
1 | Gender | M | F | M | F | M | F | |
Number | 5 | 21 | 6 | 30 | 11 | 29 | |||
Total | 26 | 36 | 39 | ||||||
Number of Majors | 2 | Number | 15 | 19 | 20 | ||||
Student Attitude | 3 | Attendance | 92.82 | 94.57 | 90.71 | ||||
Student Grade | 4 | Grade | 3.43/4.5 | 3.43/4.5 | 3.22/4.5 | ||||
5 | Rating (%) |
A | 30.77 | 33.33 | 30.77 | ||||
B | 46.15 | 41.67 | 43.59 | ||||||
C | 23.08 | 22.22 | 17.95 | ||||||
D | - | - | 2.56 | ||||||
F | - | 2.78 | 5.13 |
세 학기의 출석률을 비교한 결과, 2학기의 출석률이 1학기에 비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2학기에 조기 취업, 졸업으로 인해 학생들의 출석률이 상대적으로 미진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학생성적의 경우, 등급별 비율이 고정되어있는 상대평가로 진행되었다. 다만, 출석률이 미진하였던 2023-2학기의 경우, 출석점수와 기말시험점수가 크게 작용하여 하위등급의 비율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본 교과목은 근대역사와 사회상, 문학과 영화, 건축과 도시 등 다양한 관점에서의 근대 한복에 대한 융합연구의 결과를 체계적으로 강의에 반영하였다. 그 결과, 근대 시기의 다양한 분야의 문화를 알려주는 계기를 마련하였고, 강의 내용에 따라 체험, 한복 착용, 발표 등의 다양한 형식을 병행하는 수업이 진행되는 강점을 가지게 되었다. 이는 학생들의 흥미를 자극하고 참여율을 높이는 결과를 낳았고, 더 나아가 강의 내용과 학교의 인프라를 적절하게 활용하여 교과목의 홍보뿐만 아니라 학교 시설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과 자긍심을 높이는 계기를 마련하여 학교 측의 관심을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교내 평가 및 자체 평가도구를 통해 진행된 강의평가와 교수진들의 개선 의견을 종합한 결과 3차 학기에 걸쳐 진행된 본 융합 교과목에 관한 개선사항은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 번째, 이론 강의 이외에 시식, 시음, 착복, 답사 등 학생들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수업내용을 확대하고, 조별 토론 및 활동 등을 추가로 계획하여 학생 참여도와 이해도를 높일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두 번째, 교양 교과목의 특성을 고려하여 수업내용을 재점검하고, 수업 시간 및 분량을 일부 조정할 필요가 있다. 매 학기 강의 내용의 조정이 진행되었으나, 학생들의 집중도에 따른 지속적인 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마지막으로, 교양 교과목이라는 특성상 해당 교과목의 기말시험의 범위를 축소하고, 시험 난이도를 낮추는 방안에 대한 검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대학에서 개설되는 한복 관련 교과목은 주로 한국 복식사를 중심으로 한 이론 수업 및 한복 구성과 같은 실기 과목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한복 교육이 특화된 일부 대학을 제외하면 대다수의 4년제 대학에서는 한복 관련 교과목이 3개 이하로 편성되어 있다. 하물며 이러한 교과목들은 대부분 ‘전공 선택’ 과목으로 설정되어 정원 미달로 인한 폐강이나 격년 개설 등의 문제로 학생들이 한복에 관한 다양하고 심도깊은 교육을 받기 어려운 실정이다.
전공과목으로 한복 관련 교과목을 신설하는 데는 학과 내 타 전공과의 협의가 필요하여 현실적인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비해 교양 교과목은 상대적으로 신규 개설의 부담이 적고 새롭고 다양한 시도를 해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교양과목을 통해 전공 교과과정에서 다루지 못했던 내용을 담아 관련 전공 학생들에게 새로운 학습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동시에 한복과 연계할 수 있는 다양한 분야와 융합된 내용을 다룸으로써 비전공 학생들도 한복에 대한 흥미를 갖게 할 수 있다면 대학 내 한복 교육의 저변을 확대하는 데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한남대학교에서 진행되었던 <한복, 근대를 만나다>의 교과목 개발에 있어서 동일한 목표를 설정하였으며, 교육설계모형인 ADDIE 모형을 적용하여 교과목을 설계하였다. 교과목의 개발 및 운영은 ‘Analysis(교과목 개설 현황 분석)-Design(교과목 설계)-Development(교안 개발 및 제작)-Implementation(강의 실시)-Evaluation(교육 평가)’의 다섯 단계로 진행되었으며, 2022년 2학기부터 2023년 2학기까지 세 학기 동안 운영되었다.
교과목의 내용은 근대 한복을 중심으로 개항 이후 사회 변화에 따라 전통한복이 변해가는 양상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한복에 관한 내용뿐만 아니라 역사ㆍ음식ㆍ건축ㆍ도시 등의 분야를 함께 구성하여 전반적인 시대 환경 속에서 한복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문학이나 영화 등의 매개체를 이용하여 학생들의 흥미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함께 강의 내용과 연계된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기획함으로써 교과서 위주의 기존 강의 방법을 벗어나 공감각적인 경험을 통해 근대 한복 문화를 능동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강의 교안은 세 명의 강의진이 직접 집필하여 수강생에게 배포하였으며, 매 학기 학생들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난이도를 조절하면서 지속적으로 개선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다양한 착복 체험을 위해 1900년대 전통 한복, 근대 한복, 교복 등으로 구성된 60벌의 근대 한복을 직접 개발, 제작하였다.
이론 강의는 세 명의 강의진이 각자의 전문 영역을 바탕으로 나누어 진행하였으며, 체험 강의는 시음 및 한복 착용, 근대 건축물 탐방의 세 가지 형태로 구성하였다. 시음 프로그램에서는 근대 시기 커피인 양탕국을 제조하고 시음해보는 것과 함께 빵과 우유를 제공하였으며, 착복 프로그램은 복식 관련 내용을 다루는 이론 강의 시간과 근대 건축물 탐방 주차에 여러 번 시행되었다. 특히 근대 건축물로서 교내 선교사촌을 탐방할 때 전체 수강생이 한복을 입고 교내를 거니는 과정은 본 교과목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효과적인 홍보 수단이 되었다. 학생 참여는 ‘영화 속 근대 복식 분석’을 주제로 한 중간 발표와 ‘한복 입고 브이로그 촬영하기’를 주제로 한 기말 발표로 총 2회 진행하였으며, 기말시험은 단답형 주관식ㆍO/X형ㆍ객관식 50문항으로 구성된 지필 고사로 시행하였다.
강의평가는 교내에서 실시하는 학생 강의평가와 교수진이 개발한 평가도구를 활용한 자체평가를 병행하였다. 교내 공식 강의평가에서 세 학기 동안 가장 높은 평가를 받은 항목은 강의계획서의 충실도였으며, 성적평가의 공정성과 합리성도 좋은 평가를 받은 항목이었다. 반면, 강의 만족도의 경우 다른 항목에 비하여 다소 낮게 나타났는데, 자체평가에서의 강의 만족도는 이를 상회하는 상반된 결과가 나왔다. 이는 자체평가 항목이 교과목 특성에 맞춰 설계되었다는 점과 교내 강의평가 시기가 기말시험 이후라는 점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
자체평가에서는 강의의 체계적인 구성과 학생들의 이해도 향상 노력에 대한 평가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서술형 문항을 통해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피드백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었다. 이론과 다각적 체험의 병행, 다양한 교수진의 전문 강의, 영화 분석 및 브이로그 제작의 주체적인 활동을 통한 학생들의 한복 이해도 향상과 융합적 접근으로서의 한복 교육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한복 교과목 평가에 있어 정성적인 평가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체감하였다.
교수진의 교과목 평가 결과, 세 학기에 걸쳐 수강생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다양한 학과의 학생들이 유입된 점이 주목할 만한 긍정적인 성과이다. 이는 기존 수강생들의 추천과 교과목에 대한 좋은 평가, 수업 운영 과정에서의 홍보 효과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수강생들의 전공이 매우 다양하고, 특히 패션디자인학과를 제외한 비전공 학생들의 특성이 각기 달라 한복과 개별 전공을 긴밀히 연계하는 성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웠다. 그러나 다양한 체험 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한복'이라는 낯선 소재를 더 가깝고 친숙하게 느끼게 되었다는 점에서 한복 교육의 확산을 위한 중요한 토대를 마련했다고 생각한다. 다만, 다양한 전공의 수강생들이 자신의 전공과 한복을 어떻게 융합하였는지를 구체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자료가 부족했던 점은 본 연구의 한계로 남는다. 향후 연구에서는 강의 내용을 보다 체계적으로 구성하여, 학생들이 자신의 전공과 한복을 창의적으로 융합하고 그 결과물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면, 더욱 의미 있는 강의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교과목은 단순히 강의실 내 교육에 그치지 않고, 교내 인프라를 적극 활용하고 지역 내 근대시설로의 탐방을 유도하면서 대학은 물론 지역 사회의 관심을 환기시킨 점에도 의의가 있다. 이는 한복 교육이 대학 교육의 테두리를 넘어 지역 사회와 연계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변화하는 학생들의 학업 특성과 교양 교과목의 한계점을 고려할 때, 강의 내용 및 시험의 범위와 난이도 조절에 대한 지속적인 검토와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국가보조사업의 시행과 관련하여 몇 가지 재고되어야 할 사항들도 있었다. 첫째, 대학의 학사 일정에 맞춰 사업의 선정 및 수행 시기가 조정되어야 한다. 신규 교과목 개설이라는 사업의 취지에 맞춰 양질의 교과목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3개월에서 길게는 1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는 점을 고려한 충분한 준비 기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둘째, 동일한 사업 수행이라 할지라도 계절학기 수업, 온라인 수업, 한 학기 수업, 1년 수업 등 교과목 유형 및 운영 방식에 따른 충분한 평가와 함께 차등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수행 기간 확보 및 적절한 예산 배정과 집행이다. 본 사업의 경우 3년 운용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2년 운용 후 종료되었으며, 1년 단위의 사업평가 및 연속 지원 결정으로 장기적인 수업 계획을 세우거나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충분한 홍보를 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물론 수업의 운용 실태에 대한 재평가는 필요할 것이나, 그 시기 역시 합리적으로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교과목 운영 규모에 맞는 예산 지원과 물가 상승 등 변동 요인을 고려한 예산 배정이 필요하며, 당초 예정된 예산의 삭감으로 인해 사업 수행 의지를 저하하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본 사업과 같은 국가보조사업 지원 정책은 지속되어야 한다. 한정된 예산과 제한된 인력으로 교과목이 운영되는 대학의 현 상황을 고려했을 때, 본 사업에서와 같이 보조 예산을 통해 새롭고 다양한 시도를 할 수 있는 기회가 늘어난다면 한복 교육은 변화하는 교육환경에 적응하며 새로운 세대와 함께 성장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본 사업을 통해 시도된 한복 융합형 교양 교과목의 개발과 운영 사례는 향후 한복 교육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는 의미 있는 출발점이 될 것으로 생각하며 본 연구에서 제시된 사례와 개선점들이 향후 한복 교육의 발전을 위한 유용한 참고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이 논문은 문화체육관광부 주최, 한국ㆍ공예ᆞ디자인문화진흥원 주관의 ‘2022~2023년 한복 전문교육사업’의 일환으로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임
1. | Branson, R. K. (1978). The interservice procedures for instructional systems development. Educational Technology, 18(3), 11–14. |
2. | Kim, H. A., Kim, J. A., & Kim, A. R. (2023). Hanbok report 2022 [2022 한복 백서]. Seoul, Republic of Korea: Korea Craft & Design Foundation. |
3. | Kim, S. (2019).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home economics maker education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Focusing on the contents of 'Hanbok and Creative Clothing’ (Doctor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s://lib.knue.ac.kr/#/search/detail/7788208 |
4. | Kim, S. M. (202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eaching-learning plan for Hanbok education in high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32(2), 1-17. |
5. | Kim, W.-K. (2014). Current tendency analysis & proposal of korean costume curriculum - focusing on colleges (2-3 years) -. Journal of Asian Ethno- Forms, 14, 5-15. |
6. | Lee, M.-J. (2019). The study on the transmission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focused on the heritage skills in the field of clothing-. Korean Journal of Intangible Heritage, (6), 5-36. |
7. | Lee, S. R. & Kim, M. H. (2021). A study on the suggestion of hanbok cultural policy from the perspective of national polic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llustration Research, 66, 49-62. |
8. | Suh, C.-Y. (2021). Analysis of the contents of 'Hanbok and Creative Clothing' i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for a high school textbook -focused o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24(1), 31-48. |
9. | Yim, L. & Kim, E. J. (2023). A study on the actual state of hanbok program in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cent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9(2), 435-448. |
10. | Yun, S. J., Jang, J. Y., & Lee, H. K. (2022).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hanbok education in the era of fashion hanbo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46(4), 687-703. |
11. | Yun, S. J., Jung, W., & Lee, J. S. (2020).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curriculum for nurturing the talented workforce for hanbok-busines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70(2), 154-16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