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Articl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ol. 73, No. 2, pp.50-66
ISSN: 1229-6880 (Print) 2287-7827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Apr 2023
Received 22 Feb 2023 Revised 15 Mar 2023 Accepted 16 Mar 2023
DOI: https://doi.org/10.7233/jksc.2023.73.2.050

사회변동에 따른 화장의 사회적 의미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일본의 화장을 중심으로

김주연
동경문화학원대학 문화패션연구기구 연구원
A Study on the Social Meaning of Makeup According to Social Changes : The Case of Korean and Japanese Makeup
Ju-Youn Kim
Researcher, Tokyo Bunka Gakuen Fashion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Correspondence to: Ju-Youn Kim, e-mail: anies96@hotmail.com

Abstract

Looking at the research on makeup,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various aspects such as comparison of makeup culture, recognition of the role of the face, recognition in relationships with others, makeup behavior, and expansion of areas as a part of fashion. However, most of these studies are based on limited research patterns and methods, and it is judged that a sociological approach to makeup is rare.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social meaning, and change of makeup due to social change, which is one of the sociological contexts. As a research method,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text analysis, focusing on makeup in South Korea and Japan. This study extracts and describe the social meaning of makeup according to the times, and it purposes to clarify that makeup can serve as a cultural code and cultural interpretation index beyond the stage of comparative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and customs of each period. do it with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hich started from a sociological approach, can be a useful data that opens the possibility of research on makeup from various perspectives.

Keywords:

cultural code, makeup, social change, social meaning, sociological approach

키워드:

문화코드, 화장, 사회변동, 사회적 의미, 사회학적 접근

Ⅰ. 서론

우리는 자신의 취향에 맞춰 자유롭게 화장을 하지만 그 배경엔 국가, 지역의 문화, 시대의 가치기준에 의해 크게 좌우되고 있음을 인식하고 있다. 그리고 사회구성원이 이루고 있는 사회는 기술적, 정치적, 경제적 제 분야의 발전에 따라 끊임없이 다양하게 생성, 소멸, 변화, 발전되면서 형성되어 왔으며, 사회적 행위의 하나인 화장 또한 그러한 사회 변화의 영향을 받으며 다양하게 변모되어왔다. 여기서 사회적 행위란, 상징을 매개로 한 행동, 또는 문화적 수준에 있는 인간의 행동을 말하며, 행위의 개념과 일치하기도 한다(Hamashima, Takeuchi, & Ishikawa, 2002). 이러한 관점에서, 화장 행위는 보통 사회 안에서 다른 행동자와 관련되어서 하는 행위로 사회적 행위라고 하겠다. 이러한 사회성이 강한 화장에 관한 연구의 방향성을 살펴보면 화장품 구매와 역할, 화장법의 역사적 연구, 화장품 사용의 기호에 관한 소비자 행동, 화장문화 비교연구, 화장의 심리와 타인과의 관계에서의 인식, 생리적 효과에 관한 연구, 패션 분야로의 영역 확대 등 여러 측면에서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다. 하지만 화장에 대하여 논의할 때 그것이 사회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임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방향성과 패턴의 사회학적 어프로치 화장연구는 부족하다고 판단된다. 일상생활에서의 화장은 과거 어떠한 사회 환경 속에서 행해지고, 무슨 의미가 내재 되어있었으며, 어떠한 사회적 영향과 변화를 거쳐 현재의 모습과 사회적 의미를 지니게 되었을까. 본 연구는 화장이 개개인의 행위가 아닌 사회문화적 배경(context) 속에서 형성된 사회적 행위라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그리고 화장의 사회적 의미에 대한 모색을 추구하며, 그 배경을 사회변동과의 관계성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러한 사회학적 어프로치의 연구방법은 인간의 심적 과정과 문화적, 역사적 맥락에서 제도적 상황과의 본질적 관련성을 설명 해주는 데 있어서 유용하며(Wertsch, 1991), 이 방법은 기존의 패러다임에 구속되지 않고, 제 문제의 복잡성에 있어서 영역을 뛰어넘어 문제를 논의하는데 적절하다고 설명하고 있다(Ishibashi, 1997).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을 대상으로 화장의 시대별 특징과 풍속사적인 비교문화연구의 단계를 넘어 시대에 따른 화장의 사회적 의미를 도출, 서술함으로써 화장이 그 시대의 문화 코드이자 사회의 상징적 의미체계가 될 수 있음을 궁극적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화장의 문화로서의 재인식과 시대별 화장의 의미를 명시함으로써 화장연구의 유용한 자료로서의 가치와 역할을 기대한다.


Ⅱ.이론적 배경

1. 사회변동의 해석과 요인

사회변동은 사회체계에 있어서 제 요소의 상호적 패턴인 역할, 제도, 질서로 엮어진 개인, 집단, 사회 등의 사회구조가 일정기간 동안 어떤 형식으로 변화하는 것, 시간과 함께 변화되어 가는 과정이다(Hamashima et al., 2002). 사회변동의 관심은 사회학에서 비롯되었으며, 17-18세기 시민 혁명과 산업화에 따른 사회 급변화의 본질을 과학적으로 이해하고 해석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시작했다. 사회변동론은 학자에 따라 이론이 다양하지만, Lauer(2018)는 사회변동론을 크게 순환론(cycle theory), 발전론(developmental theory), 구조 기능주의 이론(structural-functional theory), 사회심리적 이론(social-psychological theory)으로 구분하였다. 순환론은 사회가 유기체처럼 성립, 발전, 쇠퇴의 과정이 반복과 연속을 통해 사회가 변화되는 것, 발전론은 단순에서 복잡한 것으로, 불완전한 사회에서 완전한 사회로 변화되는 것을 사회변동의 원리로 설명하고 있다. 또한, 구조 기능주의 이론은 사회를 하나의 기제로 전제하고 각 기능을 행하는 구조들의 분화, 갈등과 마찰, 변화를 통해 사회변동이 이뤄짐을 말하고 있다(Lauer, 2018). 이상의 사회변동론의 동인은 사회조직이나 사회제도라고 할 수 있는 마크로 레벨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사회가 복잡해지고 다양해짐에 따라 오늘날의 사회변동에 적용하기엔 협소하며, 그 한계점을 드러내, 사회변동에 대한 해석도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Lauer(2018)의 사회변동 요인으로 개인의 역할을 부각한 사회심리론은 주목할 부분이다. 시대의 변화와 사회의 발전에 따라 물질적, 정신적 측면의 문화변동을 포함하는 개념과 작은 범위에서 큰 범위에 이르는 사회생활의 다양한 수준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현상들의 변화도 사회변동의 범위에 포함되었다. Anthony(2011)도 사회변동의 요인을 문화적, 정치적, 경제적, 관념의 변화, 가치관의 변화, 환경의 변화, 기술발전, 세계화 등이 사회변동의 다양한 요인임을 설명하며, 사회변동을 구조적 변화로만 특정 짓기 어렵다는 것이 현대 사회학의 견해임을 밝혔다. 엄밀히 말하면 사회학에서 언급하는 이론적 관점들과 연구 대상의 배경은 사회변동에서 비롯되었으며 사회변동의 범위는 사회학에서 다루고 있는 거의 모든 분야를 포함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사회변동의 관점은 사회생활의 다양한 수준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현상들도 시야에 넣은 포괄적 개념을 가진다.

2. 문화와 화장의 관계

문화를 ‘culture’라고 인식할 경우 그 어원은 라틴어의 동사 ‘colere’에서 왔음을 알 수 있으며 ‘조심하다’, ‘마음을 괴롭히다’, ‘보살 피다’, ‘지키다’, ‘수호하다’, ‘양육하다’, ‘경작하다’, ‘살다’, ‘거주하다’라는 의미 등을 내포하고 있다(Terry, 2006). 원래 이 언어는 라틴어에서 프랑스어를 거쳐 독일어와 영어로 변환되면서 근대에 이르기까지 농작물과 가축을 보살핀다는 의미가 중심이었으나 16세기 이후 인간의 발달과정과 강한 관계성을 표출, 18세기에 이르러 ‘토지를 경작하다’의 의미는 동식물의 보살핌과 육성에서 인간 마음의 양성, 즉 인격의 도야와 수양으로 발전, 교양이라는 의미로 확대되었고, 오늘날의 문화라는 개념으로 정착된다. 특정의 실체를 나타내던 의미가 추상적 개념이 된 것이다. 또한‘colere’가 어원인‘cultivated’(교양있는, 세련된, 교화된, 경작된)가 ‘enlightened’(계몽되다), ‘polished’(우아한, 품위 있는), ‘refined’(세련된), ‘educated’(교육된)와 같은 의미로 취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Hiramatsu, 2009). 문화(culture)는 결국 최초엔 단순히 자연의 양육인 토지를 경작하고 동식물의 보살핌만을 의미하는 물질적 과정에서 인간과 관계된 생활 전반에 관한 양식으로 그 의미가 확대되었음을 알 수 있다. 나아가 문화는 보편성으로는 설명될 수 없는 지역, 민족, 집단의 전통에 바탕을 둔 복수 적인 가치나 습관 등을 정당화하는 개념으로 발전하게 되었다(Yoshimi, 2018). 이러한 문화는 인간으로서의 사상, 표상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형태를 갖춘 미술, 건축, 음악, 패션 등 각 분야에서 그 실체를 드러내기도 한다. Kido(2007)는 문화는 인간 생활을 구성하는 데에 있어 상호관계성을 연결해주는 도구이자 매개체로 커뮤니티 안에서 공유되고, 선택되고, 세대를 넘어 계승되는 것이며, 문화에는 신체, 상식적 지식이나 신념, 사회적 인식, 그리고 그것들과 관련된 습관적 행동 양식 등도 포함된다고 하였다. 이상에서 문화는 생활 속에서 인간의 생활 모습이 고스란히 반영되는 것으로, 사회의 구성원들 사이에서 나타나는 집단생활양식, 상징체계의 행위 또는 그 산물이라 정의할 수 있다.

3. 한국과 일본의 화장문화

1) 한국과 일본의 화장 기원

화장은 고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인류의 여러 양식의 변화과정을 거치며 이어진 보편적 행위였음이 알려져 있다(Kido, 2015). 화장의 일반적 정의는 얼굴에 칠하고 바르는 행위를 말한다. 하지만 현대에는 외면의 건강을 유지하고, 용모를 아름답게 연출시키기 위해 화장품을 사용하는 모든 행위의 총칭으로 정의되고 있다(Hiramatsu, 2009). 오늘날의 화장은 남녀 관계없이, 국경과 관계없이 세계 각지의 일상에서 이뤄지는 일상적 행동의 하나로 자리매김하였다. 한국과 일본 화장의 기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한국의 경우 고조선 시대(1C)의 단군신화를 통해 미의식과 화장의 근원을 읽어 낼 수 있다. 그 중, 곰이 미백효과를 가지고 있는 쑥과 마늘을 100일 동안 먹으며 태양을 보지 않고 견뎌내어 인간(여인)이 되었다는 내용은 하얀 피부에 대한 숭고함, 귀함, 샤머니즘을 엿볼 수 있다. 당시의 흰색은 귀하고 신성한 색으로, 여겨지고 있었으며(Cheon, 1987), 그 사상이 피부에도 반영되었다고 할 수 있겠다. 일본 화장의 시작은 <Fig. 1>과 <Fig. 2>와 같이 고분 시대(3C)의 일본 특유의 적색토기인 하니와(Haniwa: はにわ)를 통해 그 유래를 알 수 있다. 적색토기는 액막이, 제사 등의 용도로 신분이 높은 사람의 무덤 주변에 세워놓았으며, 전체적으로 붉은색으로, 우리나라의 황토와 색이 유사하다. 볼 부분 등은 더 붉게 덧칠이 되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당시 일본에서의 적색은 태양의 색으로, 힘의 상징이며, 죽은 자의 영혼을 달래주고, 재생을 염원, 살아 있는 사람들의 액막이를 위한 것 등으로 인식하고 있었다(Yamamura, 2016). 한국과 일본의 초기 화장은 주술적인 의미가 강한 화장으로, 한국은 흰색, 일본은 적색에 그 의미를 두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Fig. 1>

Women Haniwa. Pola Research Inst. (History of Japanese makeup culture, n.d.)

<Fig. 2>

Koshikake Miko: 腰かける巫女 Tokyo Nation Museum (Haniwa female figure, n.d.)

2) 화장의 유형과 문화적 프레임

화장의 유형은 크게 개인적인 측면과 대인 관계적 측면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개인적인 측면(intra-personal)의 화장은 개인의 신체 관리, 건강 유지, 외상의 심리적 케어 등에 중점을 두는 것을 말한다. 반면, 대인 관계적 측면(inter-personal)의 화장은 내면적으로 바라는 자신의 모습을 외적으로 표현, 타인과의 관계에서의 자신 표현, 커뮤니케이션의 일환이며 뷰티피케이션(미화, 장식) 기능에 중점을 둔 것이라 할 수 있다(Kido, 2007). 이러한 유형의 화장 특징은 보편적으로 그사회가 형성하고 있는 문화적 테두리를 크게 벗어나지 않으며, 많은 사람이 공감하고 허용되는 범주에서 움직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Mack & Rainey(1990)는 회사의 면접에서 외견상 매력이 높은 사람이 채용될 확률이 높은 배경으로, 사회문화적 매너와 인상관리 효과 등 기능적 측면으로 간주 되는 화장 행위가 사회문화적 기준에 뿌리 깊게 내재 되어있기 때문이라 설명하고 있다. 다시 말해 화장을 갖춰야 하는 교양, 사회참여의 보편적 문화적 인식으로 판단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Kido(2007)도 개인이 행하는 행위는 개인이 속한 사회 내부에서 다양성을 보이지만, 그 행위의 근원은 문화라는 공통배경을 지니고 있다. 즉, 개인이 가진 문화는 개인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것이 아니라 생성, 전승된 다양한 문화를 개인이 선택적으로 받아들여 형성된 것이라 설명하였다. 따라서 한 사회 안에서 개인이 행하는 화장의 행위 또한 온전히 개인의 행위가 아닌 대화, 상호작용, 불특정 대상을 향한 의미의 행위임을 설명해 준다.


Ⅲ. 연구의 방법

본 연구의 방법은 사회문화와 화장의 다원적 다의적 관계, 개인과 사회 레벨에서의 화장의 행위 등이 갖는 의미의 추이, 결과를 도출해 내기 위해 한국과 일본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을 방법으로 하였다. 내용분석이란 텍스트(text)로부터 목적에 맞추어 타당한 추론을 이끌어 내는 것으로, 사회과학에서의 연구방법으로 시작되어 다양한 분야의 연구에서 사용되고 있다(Choi, Jung, & Jung, 2016). 내용 분석의 주요한 목적은 대상에 대한 비교, 시대의 특징을 명백하게 하고자 할 때(가치관, 유행등), 특정 인물의 의도와 특성, 개인이나 집단의 표현에서 내포된 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는 등 자료 속에 포함된 다양한 의미를 드러내는 것이다. 또한, 내용분석의 접근 방법은 다양하나 본 연구에서는 Lee & Seo(2011)Choi et al.(2016)의 연구를 참고로 질적 내용분석(qualitative content analysis)의 방법으로 하였다. 질적 내용분석방법은 자료를 특정 주제나 범주에 따라 분석, 해석하는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세부적인 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화장을 문화로 인식하고 사회변동이라는 측면에서 사회변동과 사회적 의미와의 관계에 대해 초점을 두고, 화장의 사회적 의미를 모색하기 위해 한국과 일본을 대상으로 하는 본 연구의 방향성으로부터 사회문화적 배경, 화장의 특징에 관한 세부적인 서술, 화장의 사회적 의미에 대한 문화 코드로서의 역할 관계의 객관적인 도출과 비교를 위해 적절한 연구방법이라 판단된다. 질적 연구방법에 있어 중요한 것은 연구자의 방향과 목표에 맞는 카테고리화, 그에 따른 자료의 수집과 선택, 자료의 해석과 의미파악이다(Choi et al., 2016). 카테고리화는 연구자가 구체적으로 어떠한 부분을 바라볼 것인가, 자료수집과 내용분석을 위해 규명하는 작업으로 분석대상에 대한 분명한 개념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문화의 변화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시간적 순서를 정하고 비교, 정리하여 사회의 변동과 화장의 사회적 의미에 관한 사실적 내적 연관성을 찾아 목적에 맞추어 내용을 분석하기 위해 먼저 ‘사회문화적 배경(context)’, ‘화장의 특징’, ‘화장의 사회적 의미’로 카테고리화하였으며, ‘한국의 사회적, 정치적 배경, 일본의 사회적, 정치적 배경, 양국의 시대별 명칭과 화장, 화장문화, 화장의 특징’을 키워드로 하여 서적, 논문(한국과 일본의 화장 비교, 한국과 일본의 화장문화에 관한 논문), 인터넷 자료를 중심으로 수집하였다. 다음 단계로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과 일본의 화장사(史)의 시대를 구분하고 시대별 배경(context)에 따른 화장의 특징을 통해 화장의 사회적 의미를 도출, 서술, 분석하였으며, 연구방법의 과정은 <Fig. 3>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Fig. 3>

Process of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of This Study

여기서 시대란 인간사회의 역사에서 역사적으로 구분된 특정한 시기를 말하며, 시대를 구분한다는 것은, 상호 간의 관계와 체계를 정리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다(Cha, 1995). 이러한 시대구분은 역사 인식의 자세와 방법을 투영하고 있으며 긴 역사의 발전과정을 파악하기 위해 그 과정에서 보이는 지표를 설정함으로써 누구나가 조감하기 위한 불가결한 작업이다(Moon, 1994). 시대구분은 한 민족, 또는 한 문화권의 역사 전체가 있다는 이해를 전제로 전후 시대들이 일정한 연관성이 공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Yi, 1998). 그리고 시대구분은 역사의 모든 단계 들을 종합하여 하나의 통일성 속에서 파악, 정리하는 작업 중의 하나로, 본 연구에서는 사회변동에 따른 순서와 정리, 비교와 함께, 화장과의 내적 관련을 이론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필요한 작업이라 하겠다. 시대구분의 기준은 정치적인 변화, 문화, 경제발전 등 각 국가 고유의 제 측면에 따라, 연구자의 연구내용, 기준 등에 따라 다종다의(多種多義)한 시대구분이 가능하다(Hiramatsu, 2009). 일본 화장연구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정치적 변화를 기준으로 한 시대구분의 연구와 르네상스 이후의 시대 구분법인 3구분법(고대, 중세, 근대)을 기준으로 한 연구, 혼합된 시대구분의 연구 등이 있었다. 반면, 한국은 정치적 변화의 구분 기준에 준한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치적 변화를 공통된 시대구분의 기준으로 채택하였다. 시대의 범위는, 현대의 2000년대 초반, 일본의 헤이세이까지로 범위를 설정, 연구조사하였으며, 연구의 취지에 맞추어 큰 범주에서의 사회 변화와 화장의 특징만을 중점으로 서술하였다. 한국과 일본의 상대적 시대구분 비교는 <Fig. 4>와 같으며, 시간의 흐름의 화살표를 중심으로 윗부분은 한국, 아랫부분은 일본의 시대별 명칭이다.

<Fig. 4>

Comparing the Period of Korea and Japan


Ⅳ. 연구결과

이상의 연구방법을 증심으로 한국과 일본을 대상으로, 사회변동에 따른 시대를 구분하고, 각 시대의 두드러진 사회적 배경을 조사, 그에 따른 화장의 특징, 화장의 사회적 의미를 도출 및 서술하였으며, <Table 1>은 한국, <Table 2>는 일본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Table 3>에는 <Table 1>과 <Table 2>의 결과를 중심으로, 양국의 대표적인 화장의 사회적 의미와 화장에 대한 인식 변화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Characteristics and Social Meaning of Korean Makeup According to Social Changes

Characteristics and Social Meaning of Japanese Makeup According to Social Changes

Changes in the Social Meaning and Perception of Makeup in Korea and Japan

<Table 1>과 <Table 2>를 통해 다시 양국을 크게 고대, 중기, 근대, 현대로 구분(<Fig. 4>의 점선원)하여 화장의 의미를 정리, 고찰해 보면 고대시대라 할 수 있는 한국의 고조선과 일본의 고분시대는 주술적 사상이 지배적인 시대로 화장의 의미는 협소하며, 미의 표출이라기보다 신체의 보호와 주술적, 종교적 의미가 컸다. 화장이 신체의 안전을 지켜주는 부적 같은 역할을 하였으며, 긍정적 상징체계로서의 인식이 컸음을 알 수 있다.

양국의 중기시대(한국은 삼국시대, 통일 신라, 고려, 조선시대, 일본의 아스카/나라, 헤이안, 카마쿠라/전국, 에도)의 화장은 사회적 제도, 경제적 상황, 정치적 배경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양국 모두, 신분의 구분, 계급의 구분, 권력/권위의 표현, 여성의 아름다움의 표현, 여성의 이상(동경), 귀천을 뜻하는 것이 공통된 화장의 상징의미였다. 양국의 차이점은, 한국은 정조의 개념, 기생 화장으로 인한 부정적인 의미도 있었으며, 일본은 결혼의 유무, 나이의 구분 등의 상징적 차이를 볼 수 있다. 중기시대의 양국 화장은 고대에 비해 상징적 의미는 다양해졌으나, 사회적 제도, 사회적인식, 도덕적 관념이라 할 수 있는 사회적 프레임이 강하게 내재 된 화장이었다. 특히, 일본의 경우는 남성도 화장을 통해 계급과 권위, 충성의 상징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중기시대의 가장 큰 화장의 사회적 의미는 사회적 구분(social distinction)이라고 할 수 있으며, 긍정과 부정의 의미가 공존하는 화장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근대시대(한국은 개화기/일본강점기, 일본은 메이지/다이쇼)는 근대의 개념 중 하나인 전통의 가치관에 대한 거부, 행동의 자유 등이 화장에 반영된 시기로 범위 지을 수 있으며, 그 배경엔 양국 모두 신문물의 도입을 특징지을 수 있다. 한국은 갑오개혁, 일본은 메이지유신이라는 개혁 운동은 기존의 가치관과 사회적 질서를 바꾸어 놓았다. 그에 따라 화장법도 전통적 화장법에서 탈피한 신식화장으로 변화, 서양에 대한 동경, 신여성, 진보적 여성, 새로운 가치관, 전통의식과 관념에서의 탈피를 상징하였다. 하지만, 개혁을 국가가 주도, 새로운 문물의 도입이 업다운 방식의 전파였던 일본은 신식화장에 대한 긍정적 의미가 컸던 반면, 한국은 기생들의 신식화장과 신여성들의 자유연애와 같은 가치관에 대한 반감은 불량이라는 의미로 인식되었고, 일반여성들은 진한 화장을 기피 하는 등 화장에 대한 부정적 의식이 함께하였다.

현대 시대(한국은 대한민국, 일본은 쇼와, 헤이세이)를 살펴보면, 양국 모두 여성의 사회진출이 무엇보다 활발해지고, 활약이 점점 커졌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양국의 사회문화는 더욱 다양해지고 복잡해졌으며, 국내는 물론 세계로, 사람들의 관심과 시야가 넓혀지고 있었다. 그에 따라 사회 관념과 다양한 가치관이 생성, 변화되면서 화장의 모습과 의미도 사회적, 개인적 의식의 변화에 따라 다양해졌다. 기존의 사회 고정 관념의 지배가 강한 화장에서 개인의 의식과 가치관에 준 한 개인의 미의 표출, 개성 중심에 따른 다양하고 긍정적 의미로의 화장으로 확장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사회적 성(social gender)대한 관심과 영향은 화장의 상징적 역할을 더욱 크게 하였다. 특히 현대 시대에 주목할 점은 양국 모두 이전은 화장의 사회적 의미에 사회적 프레임이 크게 작용하였지만, 현대 시대는 개인의 가치 기준이 크게 영향력을 미쳤다는 것이다. 따라서 현대화장의 가장 큰 사회적 의미는 다양한 의미의 공존과 개인의 아이덴티티, 사회적 성(social gender)에 대한 상징이라 하겠다.

이상의 4시대로 구분한 한국과 일본 화장의 사회적 의미와 화장에 대한 인식을 <Table 3>으로 정리하였으며, 이를 통해 화장 행위의 판단기준이 사회적 관념과 제도의 영향력에서 개인으로 무게 중심이 이동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문화의 개념을 바탕으로 사회변동에 따른 화장의 사회적 의미와의 관계성에 주목하여 한국과 일본을 대상으로 시대별 화장이 보였던 특징과 변화, 그에 따른 사회적 의미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과 일본에서 공통된 화장의 사회적 의미를 보인 시대도 있었지만, 화장의 형태와 모습은 다르게 표현되었으며, 동시대의 화장이지만 화장의 상징적 의미는 다양하고 사회적 배경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한국과 일본의 초기 화장이라 할 수 있는 고대 시대의 화장은 미의 표출이기보다 종교적, 주술적 사상에 의한 신체적 보호의 의미가 컸다. 이러한 화장은 부적 같은 역할을 하였으며, 한국은 흰색으로, 일본은 적색으로 표현하였다. 흰색은 숭고함, 고귀함, 일본의 적색은 힘의 상징, 재생의 염원 등의 의미로 상징되었다.

두 번째, 중기시대는 한국과 일본의 전통적 화장의 모습이 나타나는 시기이며, 아름다움을 위한 화장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시기이기도 하다. 또한, 고대 시대의 한국의 흰색과 일본 적색의 상징적 의미는 중기시대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한국의 흰색에 대한 상징적 의미는 피부의 청결함과 백분(白粉)에 의한 피부표현으로 승화되었다. 일본의 적색은 여성미를 표현하는 색으로 승화되었으며, 검정, 흰색과 함께 일본 전통 화장의 3색으로 성립되었다. 하지만, 이 시기의 양국 화장은 모두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배경에 크게 좌우되었다. 특히, 신분제도에 의한 각기 다른 화장의 표현은 신분을 구분하는 상징적 의미가 되었다. 그 밖에도 한국은 정조의 개념, 일본은 결혼의 가부, 나이의 구분 등의 상징적 매개체 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중기시대는 사회적 프레임이 크게 반영된 화장이었음을 알 수 있다.

세 번째, 근대시대의 한국과 일본 화장에 영향을 크게 미친 것은 개혁에 의한 신문물의 도입이다. 신문물의 도입은 한국, 일본 모두 전통적 가치관에 대한 거부와 행동의 자유 등 새로운 가치관의 성립을 가져왔고, 기존의 전통 화장에 대한 탈피로 연결되었다. 이 시기의 또 다른 중요한 사회적 배경은 여성의 사회진출이었으며, 그들의 화장은 진보적 여성, 신현대 여성, 전통적 의식에서의 탈피, 새로운 가치관을 나타내는 상징적 의미가 되었다. 하지만, 일반여성들의 새로운 가치관에 대한 반감은 화장에 대하여 부정적 인식을 낳았고, 부정적 이미지로 상징되기도 하였다.

넷째, 현대 시대 화장에 있어서 중요한 특징적 배경은 한국, 일본 모두 경제발달에 의한 여성의 활발한 사회진출과 다양한 사회 관념, 가치관의 생성에 따른 개인의 존중과 다양성에 대한 인정이다. 이러한 양국의 사회적 배경은 각각 화장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기존의 사회 고정관념이 크게 내재된 화장에서 개인의 의식과 가치관이 크게 반영된 다양한 의미를 상징하는 화장으로 변모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화장 행위의 판단 무게 중심이 사회적 관념과 제도의 영향력에서 개인의 판단과 취향, 가치관으로 이동됨을 알 수 있으며, 화장의 사회적 의미 또한 개인의 개성과 다양한 미의 표현, 개인의 아이덴티티 등으로 상징되고 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서 양국 모두 사회문화의 변동에 따라 화장의 의미도 변화, 그 시대의 사회적 정서를 반영하고 있으며, 화장의 모습은 사회적 배경에 근거함을 알 수 있었다. 즉, 인간은 사회와 문화를 통해 어떤 모습으로 있어야 하는지 학습하고 행동함을 알 수 있었으며, 그 시대의 표정과 매력에 관계, 그것을 강조하기 위해 화장을 통해 의도적으로 표현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따라서 화장은 신체의 보호 차원을 넘어 의미의 행위로, 한 시대 구성원들의 양식, 정신 등의 실체가 사회적 가치 기준, 심리적인 것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행동 양식으로 설명된다.

종합적으로, 화장은 정체적, 독자적인 것이 아니라 항상 변화하며, 선택적이고 전승되며 그 사회의 변화와 축적에 따라, 학습과 경험, 교양의 취득을 통해 다양화되는 신체화된 문화, 그 시대를 바라볼 수 있는 상징화된 문화 코드임이 인식되었다. 하지만, 연구방법의 가능성과 화장의 사회적 의미의 변화에 초점을 둔 본 연구의 광범위한 시간의 설정은, 다양한 관점에서의 화장의 의미를 도출하고 해석하는 데에는 한계점이 있었으며, 다음 연구의 과제를 남겨두었다. 그러나 화장연구에 있어서 사학적 또는 풍속사적 관점이 아닌 개연성을 사회학적 동기에 두었다는 점은 다양한 사회학적 어프로치의 연구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References

  • Anthony, G. (2011). Sociology. (M. S. Kim, Y. H. Kim, G. S. Park, H. G. Song, K. Y. Shin, H. J. Yoo, & S. H. Jung, Trans.). Seoul, Republic of Korea: Eulyoo Publishing. (Original work published 2009)
  • Cha, H. S. (1995). Korean history period division theory [한국사 시대 구분론]. Seoul, Republic of Korea: Sowha.
  • Cheon, W. K. (1987). The history of cosmetic in Korea. Seoul, Republic of Korea: Youlhwadang publisher.
  • Cheon, W. K. (1995). Makeup. Encyclopedian of Korean culture. Retrieved from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4848
  • Choi, E. S. (n.d.). Modern boy & modern girl, It’s our history [우리 역사넷].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Retrieved from http://contents.history.go.kr/front/km/view.do?levelId=km_009_0090_0030
  • Choi, S. H., Jung, H. J., & Jung, S. W. (2016). Concept and procedures of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Journal of Qualitative Inquiry, 2(1), 127-155.
  •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CHA] (2014, March 12). The history of makeup seen through Korean beauties [한국 미인을 통해 본 화장의 역사].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Retrieved from https://www.cha.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16627&bbsId=BBSMSTR_1008
  • Hamashima, A., Takeuchi, I. O., & Ishikawa, A. H. (2002). The compact dictionary of sociology. Tokyo, Japan: Yuhikaku.
  • Haniwa female figure [埴輪女子倚像] (n.d.). E. national treasure, collection of the national institutes for cultural heritage [E,国宝, 国立文化財機構所蔵]. Retrieved from https://emuseum.nich.go.jp/detail?langId=ja&webView=&content_base_id=100578&content_part_id=1&content_pict_id=1
  • Higuchi, K. Y. (1984). Cultural history of makeup [化粧の文化史]. Tokyo, Japan: Kokusaishogyo publishing.
  • Hiramatsu, R. (2009). Japanese culture in makeup [化粧にみる日本文化]. Tokyo, Japan: Suiyousha.
  • Hiromi, Y. M. (2016). Japanese history of makeup: Beauty consciousness [化粧の日本史: 美意識の移りかわり]. Tokyo, Japan: Yoshikawakobunkan.
  • History of Japanese makeup culture[日本の化粧文化史] (n.d.). Pola research institute beauty & culture. Retrieved from https://www.cosmetic-culture.po-holdings.co.jp/culture/cosmehistory/4.html
  • Hong, I. J. (2001). The study on the chronological charcharacteristics of Korean cosmetics cultu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uduate School of Hansung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 Inoue, S. & Ito, K. (2010). Japanese culture and society. Tokyo, Japan: Sekai shisosha.
  • Ishibashi, Y. M. (1997). Iterpreting wertsch’s sociocultual approach: By using the perspectives of Bruner’s cultural psychology. Japanese Research Association of Psychological Science, 2, 32-48.
  • Ishida, K. (2000). The history of humans who cannot live without makeup [化粧せずには生きられない人間の歴史]. Tokyo, Japan: Kodansha.
  • Ishigami, N. S. (1988). Tradition of makeup [化粧の伝承]. Tokyo, Japan: Ofu publisher.
  • Japaness makeup culture (n.d.). Kaleidoscope of books national diet liberary Japan. Retrieved from https://www.ndl.go.jp/kaleido/entry/29/
  • Ji, M. K. (2011). Korean cultural history [韓国文化史]. Tokyo, Japan: Akashishoten.
  • Jung, G. B. (2009). Periodization theory [시대구분론]. Encyclopedian of Korean culture. Retrieved from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2329
  • Kido, A. E. (2007). Culture constituting makeup behavior: From the perspective of socio-cultural approach [化粧行為を構成する文化: 社会・文化的アプローチの視点から]. 教育方法の探求, 10, Kyoto University, 57-63.
  • Kido, A. E. (2015). Talk about makeup, talk with makeup: Socio-cultural context and personal relationships [化粧を語る・化粧で語る: 社会・文化的文脈と個人の関係性]. Kyoto, Japan: Nakanishiya.
  • Kook, S. C. (2016). Comparative study on Korean and Japanese make-up culture: Focusing on make-up women’s magazin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 Lauer, L. H. (2018). Perspective on social change. (H. S. Kim & G. S. Jung, Trans.). Republic of Korea: Hanul academy publisher. (Original work published 1977)
  • Lee, D. H. & Seo, S. H. (2011).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n changes in public officials' health sentiment. The Journal of Korean Pollicy Studies, 11(3), 177-193.
  • Lee, J. Y. & Miyoshi, E. K. (2008). Contemporary Korean women's aesthetic consciousness(1). New Food Industry, 50(3), 73-83.
  • Lee, K. Y. (2006). On the study of beauty and behavior regarding makeup: Comparison of Japanese and Korean. The Society for Fashion Business, 6(11), 35-43.
  • Mack, D. & Rainey, D. (1990). Female applicants’ grooming and personel selection. Journal of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5, 399-407.
  • Modern (n.d.). Enclopedia of Korea culture. Retrieved from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7398
  • Moon, C. Y. (1994). Discussion of period division in Korean history. Dankook University Institute of Korean Studies, 1, 79-94.
  • Murasawa, H. T. (2008). Cultural magazine of face [顔の文化誌]. Tokyo, Japan: Kodansha.
  • Ohno, M. K., Ogawa, N. H., Imai, N. B., Hayashi, D. Z., Takenaka, K. H., & Azuma, S. K. (2009). Sociology of culture. Tokyo, Japan: Bunrikaku publishier.
  • Okada, T. O. (2012). Why do people wear makeup [人はなぜ化粧をしてきたのか]. Tokyo, Japan: Bungeisha.
  • Oya, K. K. (2007). Makeup culture: Makeup and aesthetics. Tokyo, Japan: Shiseido.
  • Suzumori, M. Y. (2016). Makeup culture in the Meiji, Taisho, and Showa periods historical background and changes in makeup and beauty. Tokyo, Japan: Pola Research Institute.
  • Takahashi, M. O. (2018). The story of makeup. Tokyo, Japan: Yuzankaku.
  • Takano, K. H., Kashima, S., & Iida, Y. (2018). Sociology of contemporary culture: Comparing the 1990s and "Now" [現代文化への社会学−90年代と 「いま」 を比較する]. Tokyo, Japan: Hokki Publishing.
  • Terry, E. (2006). The idea of culture. (Y. I. Ohashi, Trans.). Tokyo, Japan: Shohakusha. (Original work published 2000)
  • Tsukamoto, T. & Sato, A. (2007). Japanese makeup culture: Makeup and aesthetics [日本の化粧文化: 化粧と美意識]. Tokyo, Japan: Shiseido.
  • Uetani, K. Y. (2006). On “Womens body” and cosmetics: The social construction of suhada. The Journal of Applied Sociology, 153-161.
  • Wertsch. J. V. (1991). The voice of rationality: A sociocultural approach to the Mind. (H. A. Ishikuro, Trans.). Tokyo, Japan: Seidosha. (Original work published 1990)
  • Yamamura, H. M. (2016). Japanese history of makeup. Tokyo, Japan: Furukawa Kobunkan.
  • Yi, H. H. & Park, O. L. (2010). Comparative study on women's cosmetic culture of Japan and Korea in modern times. The Japanese Modern Association of Korea, 29, 295-313. [https://doi.org/10.16979/jmak..29.201008.295]
  • Yi, S. S. (1998). Possibility of periodization and its historiographical function: A study of 20th century marxist theories. The Korean Historical Assosiation, 157, 231-239.
  • Yoshimi, T. Y. (2018). Contemporary culture theory: What is new humanistic knowledge [現代文化論: 新しい人文とは何か]. Tokyo, Japan: Yuhikakuarma.
  • Yuji, T. D. & Murata, T. K. (2020). Fashion and aesthetics in the Edo period: A cultural history of clothing [江戸時代の流行と美意識:装いの文化史]. Tokyo, Japan: Mikipress.

<Fig. 1>

<Fig. 1>
Women Haniwa. Pola Research Inst. (History of Japanese makeup culture, n.d.)

<Fig. 2>

<Fig. 2>
Koshikake Miko: 腰かける巫女 Tokyo Nation Museum (Haniwa female figure, n.d.)

<Fig. 3>

<Fig. 3>
Process of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of This Study

<Fig. 4>

<Fig. 4>
Comparing the Period of Korea and Japan

<Table 1>

Characteristics and Social Meaning of Korean Makeup According to Social Changes

Divison Context Characteristics of makeup Social meaning of makeup
(Cheon, 1987; Cheon, 1995; Choi, n.d.; Cultural heritage adminisration[CHA], 2014; Hong, 2001; Ji, 2011; Jung, 2009; Kook, 2016; Lee, 2006; Lee & Miyoshi, 2008; Modern, n.d.; Yi & Park, 2010)
Gojoseon (1C) Shamanism,
Sacred and respected white, Recognize the owner of fair skin as a noble person.
Mugwort decoction face wash for white skin without special makeup,
Massage mixed with minced garlic honey,
Urine face wash,
Apply oil (pork fat) to protect frostbite.
White skin is an object of respect, Shamanistic, Religious meaning, Protection of the body(skin).
Three Kingdoms: Goguryeo, Baekje, Silla
(18~668)
Centralized system, Politics by kings and nobles, Strict social class system, Clothing according to rank,
Development of agriculture, Development of commerce, Prevalence of trade with China, Emphasis on martial arts, Large gap between rich and poor,
Buddhism was introduced,
Emphasis on bathing according to buddhist doctrine, Idea of unity of body and soul, Manufactures cosmetics, Manufacturing technology for white lead,
Outward beauty is required as an absolute qualification for a leader,
Both men and women have a strong
sense of beauty (Hwarang, Wonhwa).
Goguryeo: Shamans and musicians have red foreheads, lips and cheeks made red (high status person),   Baekje: Makeup according to social status, subtle makeup, Silla: Makeup for both men and women, skin expression
with white powder, cheek and lip makeup with rouge,
mimuk (眉黙: Eyebrow expression),
places importance on cleanliness and appearance, women are makeup with a difference in status but most
of them wear makeup.
Symbol of beauty: The beginning of makeup for beauty, The formation of makeup culture, Symbolize power and authority,
Social status classification, Symbol of beauty, Aestheticexpression.
Unified Silla (668~935) Centralized system, County government, Nobility rules, Strict social class system, Succession of the idea of unity of body and soul,
Succession and maintenance of Silla, Active trade with China, Economic prosperity,
Active acceptance of Chinese culture, Development of cosmetic manufacturing technology,
External beauty are the conditions for being a leader: Both men and women were highly interested in being stylish.
The trend of makeup is rather fancy and the techniques are diverse, Heavy makeup: Chinese influence, Makeup harmonizes with accessories and clothes. The meaning of authority and power, Social status classification, Means a high sense of beauty.
Goryeo (918~1392) Centralized system, Politics by kings and nobles, Succession of the idea of unity of body and soul, Belief in buddhism, Strict social class system, Development of Confucianism, Transmission and development of Silla's cosmetic manufacturing technology,    Implementation of policies to inherit the politics, culture, and traditions of Silla, Emphasis on body cleanliness and external beauty, Longing for white. Makeup that is gorgeous on the outside and rich in color of aestheticism on the inside, The makeup i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Makeup according to social status, Light makeup for those with
high status, Bundae (粉黛)
makeup for low status:
Gisaengs are typical (Gisaengs are sometimes called squads because they are painted white like powder on the face and the eyebrows are  trimmed and drawn clearly),
Longing for white skin.
Symbolize power and authority,
Social status classification, A means of expressing a
beautiful appearance.
Joseon (1392~1896) Centralized system, Strict social class system, Despotic monarchy, Confucian moral ideas are dominant, Natural acclimatization,
Male-centered ideas, Patriarchal system, Emphasizing women's immorality,
A ban on extravagant clothing, jewelry and makeup, Emphasis on physical cleanliness and appearance, Emphasis on inner beauty rather than outer appearance,
Pursuing the unity of knowledge, virtue and body,
Ideal woman: Putting more emphasis on the right mindset, A woman who knows how to persevere,
The economic situation worsened by the war (Imjin War, Jeongyu War),  Savings matter.
Seasonal makeup,    Efforts in skin cleanliness,
Preference for natural red lips, Effort in skin care due to economic difficulties and contempt for fancy makeup, Preference for simple basic makeup,
Depending on the form and nature of makeup, Light makeup: High ranking women, Heavy makeup: Gisaeng's makeup,
Red makeup: Classed as bride's makeup, Gyuhapchongseo:
How to make your body fragrant, Hair long and shiny, How to whiten your face,
How to style your hair, How to draw eyebrows and apply lip rouge etc. were recorded, Becoming the interest and standard of beauty for women in high society.
Expression of beauty, Social status classification,   Meaning of cleanliness, Double standard for men: Recognizes and prefers female beauty while despising Gisaeng makeup, Flashy makeup has a negative image: A symbol of Gisaeng, Ideal of women, Rustic makeup: Society's ideal woman, A symbol of natural beauty,
Clear social standards of beauty established.
Enlightenment/Japanese rule
(1897~1945)
Gabo Reform, Introduction of western culture, Western education, Merger between Korea and Japan,
The inflow of foreign cosmetics, The advent of a new makeup culture,
The spread of western films, Change in social values: Coexistence of old and new values,
Criticism of free love
The emergence of a new modern woman, Women's awareness of social participation has grown, Beauty standards have changed,
Appearance of newspapers/magazines, Chosun Cosmetics Association and Pacific Chemical Industry Co.Ltd. were born, Domestic cosmetics were produced.
The existing makeup: Makeup not much different from the Joseon, The color of the lips has become darker, White skin expression: Park Ga-bun is popular,
Thin eyebrows,
Lively cheek rouge, Ordinary women wear light makeup to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professional women and Gisaengs.
Modern girl: New modern style women, New values,
New makeup Admire of western culture,
Deviation from traditional social norms, Social distinction  (ex. working or non working women), Social status classification, Rebellious and unconventional, Overdone and gaudy, Deviation of public morals,
An offense against public decency, Licentiousness
A woman of loose moral,
Freedom.
Republic of Korea
(1946~2019)
6.25 War, Influence of the US military, Import of foreign films, Production of domestic cosmetics, Start of door to door sales, Supply of mono TV,
High economic growth, Spread and development of mass media (newspapers, TV, magazines, etc.), Rise in GNP, Spread of color TV, liberalization of world travel, Seoul Olympics, Improvement of living and cultural standards, Environmental issues, Rapid development of science and industry growth,
Social advancement of highly educated women:
Appearance of many popular celebrities, Rich environment,
The emergence of the individual centered tendency and the emotional generation,
Commercialization of high speed internet, Global era, Experience of various cultures, Prevalence of plastic surgery, Emergence of smartphones, The development of social media culture, Growth of personal broadcasting, Various values and life  styles coexist.
Boundary on heavy makeup, Makeup has become thicker, Korean makeup has appeared, Over-lip style, Overall full makeup has become popular, Eyelash gluing has become established,
Sophistication and diversification of makeup, Fashion for female celebrities' makeup, Appearance of low cost cosmetics,
Variety of makeup, Natural makeup,
Makeup according to face shape and personality, Makeup for men,   Interest in body makeup: Nail, pedicure, tattoo, etc..
Expression of transformation, Coexistence and conversion of various consciousnesses, Expression of identity, Self-suggestion, Self-appeal,
Self-satisfaction, Self-assertion, Social etiquette,
Social manners, Social gender, Recognition and existence of various beauty, Popularization of makeup, Expression of individuality, Expression of various beauty and means, Skin protection, Ambiguous boundaries of sex, Expansion of the concept of makeup, Diversity of makeup
meanings.

<Table 2>

Characteristics and Social Meaning of Japanese Makeup According to Social Changes

Divison Context Characteristics of makeup Social meaning of makeup
(Higuchi, 1984; Hiramatsu, 2009; Hiromi, 2016; History of Japanese makeup culture, n.d.; Inoue & Ito, 2010; Ishida, 2000; Ishigami, 1988; Japaness makeup culture, n.d.; Lee, 2006; Murasawa, 2008; Ohno et al., 2009; Okada, 2012; Tsukamoto & Sato, 2007; Oya, 2007; Suzumori, 2016; Takahashi, 2018; Takano, Kashima, & Iida, 2018; Uetani, 2006; Yamamura, 2016; Yuji & Murata, 2020)
Kofun
(250~600)
Shamanism,
Red is perceived as the color of the sun.
The origin of Japanese makeup, Coloring the face and body with red dye(red clay),
Red makeup.
Body protection from evil and nature, Shamanic,
Religious meaning.
Aska/Nara (592~710) Influenced by continental culture from China and Joseon: Letters, lifestyle, religion, cultural relics, etc., Inflow of Chinese makeup. White makeup with white powder, Red lips, Bright green point makeup on the forehead, mouth and dimples. Magical meaning, Beauty of social standards: Defined beauty,
The origin of Japanese makeup, Social status classification,
A reflection of social consciousness.
Heian (794~1185) Transition from the yulryeong system to the dynastic state system, Buddhism, Establishment of manor government system: Nobility class growth,
Power shifted from the emperor to the upper aristocrats and samurai, Development of court culture,
The delegation sent to the Chinese party was abolished,
Silla's cosmetics manufacturing method was delivered,
Independent customs and culture began to blossom,
Development of Kana characters,
Japanese songs and novels: Representative work 'Kenji Monogatari'.
Beginning of Japanese unique makeup: Not showing one's face to others is regarded as a virtue, Expressionless makeup that does not reveal one's emotions on one's face, The three basic colors of Japanese traditional makeup: White, red and black, Nobility centered makeup, Front face center ‘Nakadaka’ makeup:
Apply white powder to make the face white, thin eyes,
small puckered mouth red and cover the hair,
Black tooth(歯黒: Haguro) started,
The original eyebrows were removed and the upper part of the forehead was painted black: Depending on the status, age and class.
The elegance of Japanese readers, Habits of the nobility,
Social status classification, Classifying age,
A symbol of nobility, wealth and status, Symbolize power and authority.
Kamakura/Sengoku
(1185~1569)
Monarchy, Decline of the king's authority, The ruling class moved from the nobility to the samurai class,
Simplification of clothing, Politically unstable times
Buddhism and art prospered which was easy for samurai and the common people, The trend of men's makeup was born.
There is no significant change from the makeup of the  Heian period,
Makeup spread to the general public,
Simplification of makeup, Light white powder makeup: Emphasizes the natural skin color,
Red makeup mixed with white powder is revived, Black teeth(Haguro),  The cheeks rouge begins,
Eyebrows are natural eyebrow makeup,
Men's makeup stands out : Classifying social status with black teeth and white powder
makeup.
Reflection of social trends: Symbolizing the transfer of power,
Social status classification, Classifying men's status,
Male identity,   The symbol of the samurai class,
Symbolize power and authority,
The culture of the nobility: Ruling class, Mark of adulthood: Children of samurai.
Edo (1603~1868) Commerce and industry developed rapidly, Cities developed: Edo, Osaka, Kyoto,  With the development of trade,  Merchants accumulated wealth,  Merchants became the protagonists of culture, Power shifted from the samurai class to the merchants and artisans in the city,
The Shogunate system: Feudal system led by Samurai, Infrastructure such as roads and ports,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network,
The birth of a civic culture with abundant economic power,
Advent and prosperity of fashionable culture,
Birth of Japan's representative culture: Hanami(花見), Sumo and Kabuki,   The advent of the cultural age.
Women from samurai families must wear white powder makeup,
No makeup for men(samurai): Remains only in some noble classes,  Women get black teeth as soon as they get married, Eyebrows are removed upon childbirth to indicate that you are married,
To color the face mix a lot of red and use it,
Light makeup is popular in Edo, Heavy makeup is popular in Osaka and Kyoto,
Kabuki actors and prostitute  (遊女:Yujo) lead the makeup trend,
Makeup is widespread among the general public.
Social status classification, Status of samurai, Family pedigree
Symbol of generation and regional color,   In particular, Eyebrows and black teeth: Whether married or not, Symbol of chastity, Classifying age, Woman's eroticism and attractiveness, Beauty,
Dignity, Courtesy.
Meiji/Taisho (1868~1926) Cabinet system started, The advent of the modern era, Centralized system, Civilization,
Promoting new industries and nurturing capitalism,
Meiji Restoration,
Introduction of western culture, Westernization led by the state, Import of cosmetics:
Domestic production of cosmetics,
The cosmetics industry began to develop, Advertisement of cosmetics by printed matter: Standards of beauty are common, Clear features are regarded as beautiful, Western clothes fixation,
The Miss World Contest was held for the first time,
Department store appearance,    Localization of perfume and cosmetic soap, Women's social advancement,
Movie was made,
Modern girl and boy appeared.
Ban on traditional makeup: Prohibition of removing dirty teeth and eyebrows,
Aim for white teeth,   Glowing makeup: Apply the base and lightly apply the white powder, Japan's first oil based cream foundation appears,
Thick and natural eyebrow expression,
Lipstick is applied only in the center to express a small mouth,
Localization of perfume and cosmetic soap.
Women's social advancement,  Social manners, Communication, Self-expression of beauty,   Progressive woman, Changes in beauty standards,
Expression of a new beauty,
Modern girl: New modern style women, Badness,
Freedom, Rebellious and unconventional, Admire of western culture.
Showa (1926~1989) The gloom of war, Post war revival and high economic growth coexist,
Cabinet system,
Since the 1950s makeup has spread in earnest,
Innocence is the beauty of social consciousness, Perm supply,    Appearance of clay mono/color TV, Start of TV broadcasting, Publication of various fashion magazines,
Trend of american style,   Enactment of the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act (1985),
The age of economic power,
2nd largest national income, Bubble era, Pursuit of the upper class, Era of prosperity, Popularization of department stores, The emergence of career moms.
Natural skin and eye makeup, Natural thick eyebrows,
Aim for makeup that looks like no makeup,
Emphasis on point makeup: Emphasis on eye makeup and lip makeup,
Glued eyelashes are fashionable,
Makeup that makes the face smaller,
Express the desired female image with eyebrows.
Recognized as a luxury during war, The meaning of innocence, Naturalness and health,   Sociability: The beauty of social recognition,
The image of women desired by society, Standardization of beauty,
Women's oriented image: An intelligent woman and a strong woman,
Women's social advancement, Transformation of
social awareness.
Heisei (1989~2019) Collapse of bubble economy, Free market boom, Heightened ecology consciousness, Recycling style, Unification of ready to wear size,
Street brand trend, Coexistence of various styles, Social phenomenon of ‘Amuro Boom’: Female singer Amuro’s fashion is a social issue,
Diversification of standards of beauty: Appearance of female celebrities of various beauty, Fashion of cosplay, The emergence of smartphones, Development of the IT industry, Increased interest in social sex(gender) and changes in fixed values,
The growth of personal broadcasting, Various values and lifestyles coexist.
Overall natural and light makeup, Thin eyebrows, Non glamorous eye makeup, Avoidance of excessive makeup,
Makeup that transcends gender boundaries, Men's makeup. Existence of various makeup, Aim for makeup that suits your face, Young people's ‘Ganguro’ makeup: In some limited places such as Shibuya, (appeared in Shibuya in 1998, disappeared around 2000), Highlighting of the eyes, Various makeup,
Makeup that transcends gender boundaries, Men's makeup.
Belonging, Rebelliousness, Self-expression, Self-suggestion, Self-appeal, Self-satisfaction, Self-assertion, Expression of individuality, Expression of beauty, Social manners,  Social etiquette,  Social gender, Expression of identity, Expression of values, Recognition and existence of various beauty,
Ambiguous boundaries of sex, Expansion of the concept,
Diversity of makeup
meanings.

<Table 3>

Changes in the Social Meaning and Perception of Makeup in Korea and Japan

Divison Ancient MIdle period Modern Contemporary
Korea Gojoseon Three Kingdoms, Unfied
Silla, Goryeo, Joseon.
Enlightenment
Period/Japaness rule.
Republic of Korea
Japan Kofun Aska/Nara, Heian, Kamakura/Sengoku, Edo. Meiji/Taisho Showa, Heisei
Social meaning of makeup Magical, Religious. Common meaning: Social status classification,
A symbol of authority and power,
Beauty of social standards, The beauty of social ideas: Religious, social, moral, etc., Korea: Chastity concept, Japan: Whether married or not.
New woman: New modern style woman,
Women's social advancemen, Admire of western culture, Admire of the upper class, Escape from tradition and existing values,
New values,  Difference in status: Difference from others.
Social manners, Individual consciousness, Expression of values,
Expression of individuality and beauty,
Expression of identity, Social gender.
Awareness for makeup Positive Positive/Negative Korea: Positive/Negative, Japan: Positive Posi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