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중산복의 변천 및 현대패션에의 적용사례 고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occurrence and evolution of Mao suit which is important position in the modern costume history of China and to provide a source of design inspiration to contemporary fashion designers. In the research method,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ies was conducted in parallel. For the literature review, changes of Mao suit in each age were reviewed with reference to the related documents, Chinese costume and cultural history, prior research papers and internet resources. The case analysis was qualitatively done focusing on the silhouette, color and detail of clothes in fashion collections. The scope of the study was from 1912 to 2000. The case analysis of the Mao suit applied to the contemporary fashion was made on the applications centered around ‘London Collection’, ‘New York Collection’, ‘Paris Collection’, ‘Milan Collection’ and ‘Chinese Fashion Week’ from 2008 to 2015. The results found that Mao suit changed into many different forms after Sun Wen designed it for the first time in 1912. This study classified it into Phase 1(1912~1927), Phase 2(1928~1965), Phase 3(1966~1977), and Phase 4(1978~2000) with historical and political issues and conformational changes in Mao suit. The frequency analysis of the cases of the fashion collections using Mao suit from 2008 to 2015 showed an increased application of Mao suit to the western collection in New York, Paris and London in 2008 due to the impact of Beijing Olympics. However, from 2009 onwards, the frequency of the utilization of Mao suit was higher in the Chinese Fashion Week and the New York Collection. This cause is explained by the fact that the designers who inspired from Mao suit in the New York Collection are American Chinese.
Keywords:
Chinese traditional costume, fashion collection, mao suit키워드:
중국 전통복식, 패션 컬렉션, 중산복Ⅰ. 서론
중국이 서양 문명을 받아들이기 시작한 때는 1840년 무렵으로 아편전쟁의 패배로 인해 17세기 청 왕조 이후부터 문호를 개방하게 되었으며, 이 시기에는 서양복식의 재단과 구성방법이 유입되면서 여성복은 치파오, 남성복은 중산복을 중심으로 하는 근대적 복식의 형태를 갖추기 시작하였다.
청 왕조가 붕괴되고 1912년 신해혁명(辛亥革命)이 성공하자 난징(南京)에 중화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면서 쑨원(孫文, 호 中山, 1866~1925)이 초대 총통으로 선출되었다. 쑨원은 새로운 시대를 맞아 봉건적인 의복제도를 폐지하고자 중국 전통복식에 서양의 남성복을 접목한 중산복(中山服)을 직접 고안하여 각종 회의와 외국사절 접견 시 착용하였다. 이를 계기로 중산복은 1977년 무렵까지 중국의 남녀노소가 착용하였고, 중국 근대사의 중요한 의복으로 자리 잡았다. 1978년 덩샤오핑(鄧小平, 1904~1997)의 개혁개방 이후 중국에는 드라마, 영화, 패션을 중심으로 한 외국 문화가 전파되었고, 이에 따라 중국인들은 중산복과 전통복식 대신 서구식의 다양한 스타일을 추구하기 시작하였다.
중국의 중산복과 전통복식이 서양 패션무대에 본격적으로 응용된 시기는 20세기말로, 패션계의 다원화 경향과 중국의 국력 신장으로 인하여 시작하였다(Zhang, 2012). 특히 2008년 북경 올림픽의 총감독인 장이머우(張藝謀)가 중국의 유구한 역사와 문화를 토대로 한 개·폐막식을 연출하면서 세계인에게 중국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전 세계의 패션디자이너들이 중국 전통복식에서 새로운 의미를 찾고 현대 패션에 응용하기 시작하였고, 특히 치파오와 중산복을 중심으로 자수, 서예 등 중국 전통의 미적 요소를 가미한 디자인이 대거 등장하였다. 특히 중산복은 단순한 디자인과 색상, 중국적 상징의 사용 등으로 중국을 대표하는 근대 남성복이라고 할 수 있으며, 1912년 등장 이후 지금까지 중국 지도자들이 중요한 국제회의에 참석하거나 외국 손님 접견 시 자주 착용하여 중국의 대표 남성복으로 인식되고 있다.
중국 전통복식 및 중산복에 대한 선행연구 Hong, Shin, & Lee(2011)는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에서 중산복의 의미를 고찰하였고, Hwa & Kim(2008)은 저서 「복식」 에서 중산복의 변천에 관해 분석하였다. Zhang(2012)은 2008년 이후 중국과 서양 디자이너 컬렉션에 나타난 중국풍 연구에서 중산복이 중국의 군복과 인민복에 준 영향을 밝혔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은 중산복의 등장과 의미를 고찰하고 있으나 중산복의 각 시기별 변천과 현대 컬렉션에 활용한 사례 분석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 근대복식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 중산복의 등장과 변천을 고찰하고, 디자인 아이디어의 원천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현대 컬렉션에 나타난 중산복의 응용 사례를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병행하였는데, 문헌연구로는 중국 복식사, 근대사, 전통문화사 등에 관련한 중국의 문헌 및 선행연구, 인터넷 자료를 참고하였다. 사례연구는 5개 컬렉션에 나타난 중산복을 응용한 사례를 중심으로 실루엣, 색상, 디테일을 중심으로 정성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소재는 사진이라는 연구 자료의 한계로 인해 분석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연구범위는 중산복의 형태 변화에 대한 고찰은 중산복이 등장한 것으로 알려진 1912년부터 2000년까지를 중심으로 하였으며, 현대패션에 응용된 중산복의 사례는 중국 디자인이 세계 패션 무대에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한 2008년부터 2015년까지의 4대 프레타포르테 컬렉션과 ‘Chinese Fashion Week’ 컬렉션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Ⅱ. 이론적 배경
1. 중산복의 등장 배경
중국의 청왕조는 1840년 아편전쟁의 패배 이후 서구에 문호를 개방하였으며, 개혁파들은 문호개방과 더불어 모든 백성이 단발(斷髮)을 할 것과 관복을 개정할 것을 주장하였다(Hong, Shin, & Lee, 2011). 이후 서양복이 중국인들 사이에서 점차 인기가 높아져서 중국복식에 서양복식을 절충한 형태가 등장하였고(Hong, Shin, & Lee, 2011), 1900년대 초반 이후 전통 남성복인 장포마쾌(長袍馬褂)와 양복을 착용하였다<Fig. 1>.
1912년 1월 신해혁명의 성공 이후 봉건사회의 복식제도인 대수장포는 긴 길이와 넓은 소매 때문에 혁명기 사람들의 변화된 생활상에 맞지 않게 되었고, 이에 쑨원은 새로운 의복 제도를 공표하였다(Zhang, 2012). 이 시기부터 봉건문화의 상징인 대수장포(大袖長袍)와 장포마쾌 등은 서구식 재단방법에 의해 새로운 형태로 변형 되었으며 ‘장포’라고 불리게 되었다<Fig. 2>(Hwa, 2014). 신해혁명 이후 남자 복식의 종류는 크게 군복, 서민복, 제복의 3가지였으며, 군복은 영국과 독일식군·경찰복을, 서민 복식은 중국식 장포에 서양복과 일본식 제복을 착용하였다.
특히, 쑨원은 1912년 1월 난징 중화민국 임시정부 수립 행사에 중산복의 초기 형태로 볼 수 있는 재킷을 착용하였는데(Zhang, 2010), 이는 당시의 영국 군복과 일본식 제복의 형태를 응용한 것으로 <Fig. 3>과 같이 스탠드칼라에 앞 중심에 5개의 단추가 달려 있고 가슴부분에 좌우 대칭으로 덮개가 있는 포켓이 달려있는 형태였다.
이후 중산복의 형태는 <Fig.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앞 중심에 7개의 단추, 스탠드칼라, 3개의 포켓에 두 장의 소매로 구성되었다. 이에 대해 쑨원은
“새로운 의상은 양복의 장점을 유지하면서도 중국의 전통성이 살아있고 실용적이며 활동하기 편해 어떠한 장소에서도 정중하고 품위를 잃지 않는다.”
라고 하여(Chen, 2014, p.19), 중국 전통식 장포에 영국식과 일본식이 가미된 새로운 형태의 의복에 대한 호평을 한 바 있으며, 1916년 이후 쑨원을 비롯한 혁명당원들은 중산복을 혁명의 상징으로 착용하기 시작하였다(Bian, Ma, Dan, & Wnag, 2014).
이후 중산복은 1923년 쑨원이 광저우(廣州)에서 중국혁명정부 대원수 취임에 착용한 것을 계기로 중국 복식사에 정식 등장하였으며(Zhang, 2010), 이때 착용한 형태가 기본 형태로 정착되었다(Zhang, 2012). 이 중산복 재킷의 칼라는 이전의 스탠드칼라에서 팔자형(八字形) 스탠드칼라로 바뀌었고 원래 3개였던 인사이드 플랩 포켓(inside flap pocket)을 수정하여 위․아래로 총 4개의 아웃사이드 플랩 포켓(outside flap pocket)을 부착하였으며 두 장 소매에 전체적으로 빳빳한 와이셔츠를 입은 것처럼 딱딱한 디자인으로 변형되었다<Fig. 5>. 더불어 바지는 단추로 여미고 양 옆에는 큼지막한 인사이드 포켓을, 허리춤에는 작은 시계 포켓을 만들고 오른쪽 엉덩이에 덮개가 있는 인사이드 포켓을 하나 더 추가하여 덮개를 달아 마무리하였다(Hwa & Kim, 2008). 이 시기의 중산복은 공무원들과 혁명당원들이 제복으로 착용하였다<Fig. 6>. 1924년부터는 공무원과 교사들의 제복과 군복의 두 가지 종류로 변화하였다(Yang, 2014).
1928년 무렵에는 중산복의 단추가 7개에서 5개로 줄었고, 팔자형 스탠드칼라에 4개의 플랩 포켓과 한 장 소매로 변형되어 현재의 중산복과 유사한 형태로 정착되었다(Yang, 2014). 1920년대 무렵 중산복 색상은 일반적으로 봄과 가을에는 블랙 컬러, 여름에는 화이트나 옐로우 컬러가 많았으나(Yang, 2014), 1928년 이후부터 1949년까지는 주로 카키색 직물을 사용하였다. 1929년 국민당 복제조례(服製條例) 에 의해 치파오는 중국의 국복(國服)으로 중산복은 공무원 및 당원들의 제복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2. 중산복의 의미
중산복은 쑨원이 고안하였고 또한 자신이 즐겨 착용하였기 때문에 1926년 중국 잡지 양우(良友)의 손중산선생기념특간(孫中山先生紀念特刊)에서 쑨원의 호인 중산(中山)을 붙여 중산복으로 명명되었다(Bian, Ma, Dan, & Wnag, 2014). 이후 쑨원의 정치적인 영향력이 지속되면서 1949년까지 중산복으로 불리다가 후에 마오쩌둥(毛澤東, 1893~1976)이 즐겨 착용하였다고 하여 마오 재킷(Mao jacket) 또는 인민복(人民服)으로 그 이름이 달라지게 되었다(Di, 2011).
중산복에는 중국 고전인 역경(易經) , 주례(周禮) 등의 내용을 근거로 각 부분마다 의미가 담겨져 있다(Hong, Shin, & Lee, 2011). <Fig. 7>에 제시된 것처럼 앞 4개 주머니는 예(禮), 의(義), 염(廉), 치(恥)를 상징하며 앞 중심 5개의 단추는 5권(행정, 입법, 사법, 고시, 검찰권) 분립을, 양 소매에 달린 3개의 단추는 공화혁명의 이념인 삼민주의(三民主義)를 상징한다(Nam & Park, 2013). 이후에 나타났던 인민복, 마오 재킷, 작업복, 군복 등이 모두 중산복을 바탕으로 디자인이 변용되어 제작된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1929년 공무원의 제복으로 정착된 이후 현재까지 착용되고 있다.
1929년부터 1978년 개혁개방 이전까지 중산복은 중국 남자의 주요 의복으로 중국 고유의 평면 재단 대신 서양의 입체적인 재단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새로운 시대의 중국인들이 활동적이면서 품위 있는 복장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Yang, 2014). 이렇듯 중산복은 중국 전통복식과 서양복식이 결합된 사례로, 단순미, 소박미, 실용미, 정숙미, 절제미를 지니고 있으며(Nam & Park, 2013), 봉건복식문화에서 현대복식문화로 바뀌어 가는 전환점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역사적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Yang, 2014).
Ⅲ. 시대별 중산복의 변천
1912년부터 2000년까지 중산복은 각 시대의 정치적, 경제적 상황에 따라 변화되어 왔다. 특히 2001년 중국이 WTO에 가입한 이후 중국 지도자들의 세계 공식 석상 참석이 빈번해지면서 중산복은 언론에 자주 노출되었고 서양 패션디자이너의 주목을 받게 되었고, 2007년 영국에서 발표한 ‘세계에 영향을 끼친 복장 10’에서 1위를 차지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현재는 중국 지도자와 유명인들도 국제 영화제 및 국제 행사에 참석 시에 중산복을 착용한 사례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에 본 장에서는 중산복의 형태 변화 및 이에 영향을 미친 역사적 사건을 중심으로 그 시기를 구분하고 각 시기별로 중산복의 형태적 변화에 대해 구체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1. 1912년~1927년 : 1기
중산복이 처음 등장했던 1912년 무렵의 형태는 <Fig. 8>에 제시된 것처럼 당시 유행했던 일본식 제복과 비슷한데, 스탠딩칼라와 가슴 부분에 2개의 아웃사이드 플랩 포켓이 달려 있고(Yuan, 2007), 서양식 입체재단법에 따라 소매가 두 장으로 구성되었으며, 색상, 단추, 포켓 등은 특별히 고정된 형태가 없었다. 이 시기 중산복의 바지는 이전과 큰 차이가 없이 바지통이 넓은 편안한 형태였다.
그러다 1920년 경의 중산복을 보면 <Fig. 9>의 쑨원이 착용한 것처럼 포켓은 여전히 없으나 6개의 단추가 달려 있는 형태를 보여준다. <Fig. 10>의 중산복은 스탠딩칼라에 팔자형 칼라가 추가로 부착된 팔자형 스탠드칼라로 변형되었으며, 7개의 단추, 4개의 아웃사이드 플랩 포켓, 두 장 소매로 그 형태가 변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중산복의 기본형으로 정착되어 1928년까지 혁명당원과 공무원들의 제복으로 착용되었다.
2. 1928년~1965년 : 2기
1928년 경 중산복은 팔자형 스탠드칼라에 아웃사이드 플랩 포켓 4개, 두 장 소매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단추는 7개에서 5개로 줄어든 형태로 변화되었다. 1929년에 국민당 정부는 중산복에 국가통일의 의미를 부여하여 한 장 소매로 변화된 형태로 통일되었다(Hong, Shin, & Lee, 2011). 이후 1930년대를 거치면서 중산복은 공무원과 혁명당원들의 제복으로 착용되다가, 1936년 장개석이 육군복제조례(陸軍服製條例)를 공표한 이후 군복 대용으로 착용되었다(Liu, 2011). <Fig. 11>은 1945년 무렵의 중산복으로 팔자형 스탠드칼라와 4개의 플랩 포켓, 5개의 단추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1949년부터 1965년까지 중화인민공화국 건립과 문화혁명을 거치면서 경제발전 및 문화교류 등에 많은 변화가 있었으며 이는 중산복의 형태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Kim, 2012). 특히 이 시기에는 남녀노소를 불문한 대부분의 중국인들이 중산복을 평상복으로 널리 착용하여 ‘인민복(人民服)’이라는 명칭으로 불리며 가장 대중적으로 착용되었다(Liu, 2015). 또한 마오쩌둥, 저우언라이(周恩來, 1898〜1976), 덩샤오핑 등 중국의 대표적 정치가들이 각종 회의와 외국사절 접견 시 정장으로 착용함으로써 중국 지도자들을 상징하는 의상으로 여겨졌으며 마오쩌둥의 이름에서 연유해 마오 슈트(Mao Suit)(Xu, 2010)라는 명칭으로도 부르게 되었다.
중국은 1949년 10월 1일 마오쩌둥이 중화인민공화국(中華人民共和國)의 초대 주석으로 선출된 후 새롭게 변모하기 시작하였고, 특히 동부 연안 도시에서는 서구 패션의 영향으로 남성은 양복, 여성은 개량 치파오를 착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가 되었다(Hwa & Kim, 2008). 당시 중국 정부는 의복개혁을 더욱 강하게 추진하여 장포마쾌와 치파오는 구시대의 유물로 폐기하는 대신, 공무원의 제복인 중산복은 색상과 형태를 변형시켜 인민복, 군복, 작업복으로 다양하게 변형되었다(Hwa & Kim, 2008). 또한 이 시기는 중국과 소련 간의 우호적 관계로 인해 서구 문화가 적극적으로 유입되어 <Fig. 12>와 같은 레닌복(列寧服)과 중산복을 혼용하여 착용하였다(Hwa & Kim, 2008).
1956년 ‘중국공산당 제8회 대표대회’ 개최 시 북경복장공장 홍두(洪都)는 마오쩌둥의 얼굴형과 신체에 맞추어 중산복의 칼라를 약간 키우고 <Fig. 13>에 제시된 것처럼 어깨는 살짝 올리고 실루엣은 원래의 H라인에서 A라인으로 변형시켰다. 이후 마오쩌둥은 변형된 중산복을 즐겨 착용하였으며, 현재 천안문(天安門)에 걸려 있는 마오쩌둥 사진도 이 시기의 중산복을 착용한 모습이다(Liu, 2015).
3. 1966년~1977년 : 3기
1966년부터 1977년은 중국의 문화혁명 시기이자 3년간의 자연 재해를 겪은 시기로 의류산업은 큰 타격을 받았다(Bian, Ma, Dan, & Wnag, 2014). 또한 중국과 소련의 관계가 악화되어 소련의 영향을 받았던 서구식 문화를 배척하게 되면서 정부에서는 양복과 개량 치파오를 강제로 폐지하였으며, 더 나아가 복장의 색상, 스타일, 종류, 소재, 무늬 등을 규제함으로써 대중은 중산복의 변형인 청년복, 군편복, 인민복을 주로 착용하였다(Yang, 2014). 당시 군복은 혁명 정신의 상징으로 중산복의 변형인 카키색 군편복(军便服)이 착용되었으며, <Fig. 14>에 제시된 것처럼 스탠딩 밴드칼라와 5개의 단추, 4개 인사이드 플랩 포켓이 달려 있었고 갈색의 허리띠를 매는 스타일이었다(Bian, Ma, Dan, & Wnag, 2014).
중산복의 또 다른 변형으로 홍위병복이 있었는데, 이는 군편복의 디자인에 허리에는 갈색의 무장대를 매었으며 앞판에는 마오쩌둥 마크가 달려 있고 소매에는 홍색 완장(紅章), 칼라에는 홍기(紅旗)식의 령장(領章)을 장식한 것이 특징이었다<Fig. 15>(Kim, 2012). 특히 전국의 대학과 중·고등학교에서는 ‘홍위병’을 소학교에서는 ‘홍소병’을 조직함에 따라 1966년부터 1976년까지 군편복과 홍위병복은 중국 청년들의 주된 의복이 되었다(Kim, 2012). 1968년 마오쩌둥의 ‘상산하향(上山下鄕)’ 정책으로 ‘지식청년(知識靑年)’이라고 불렸던 학생들은 농촌으로 돌아가 농업에 종사하였고, 이때 학생들은 중국 정부에서 지급한 군편복을 착용하고 공산주의를 적극 선전하였다. 이 때문에 지금까지도 중국의 농촌이나 지방에서는 군편복이 착용되고 있다(Kim, 2012).
이 시기 중산복을 변형한 또 하나의 의복으로 작업복과 청년복을 들 수 있다. 중산복에서 변형된 파란색 면직물로 제작된 작업복은 중산복의 상의 형태에 레닌복의 칼라를 접목한 스타일로 인사이드 플랩 포켓에 손목에는 흰색 커프스를 부착한 디자인이 유행하기도 하였다<Fig. 16>. 청년복 역시 학생과 서민층이 착용하였으며 형태는 중산복 상의에 스탠딩 밴드칼라와 5개의 단추, 인사이드 플랩 포켓으로 구성되었다<Fig. 17>.
4. 1978년~2000년 : 4기
1976년 마오쩌둥 사망 후 ‘문화대혁명’이 끝나고 1978년 덩샤오핑이 개혁개방을 주장한 후 중국은 현대화와 국제화의 시기를 맞이하게 되었고 경제적, 사회적 여건이 개선되면서 중국인의 인식도 크게 변화하게 되었다(kim, 2012). 특히 1980년대 개혁·개방 정책이 진행되면서 양복은 다시 인기가 높아졌고 청바지, 운동복, 슈트 등 새로운 아이템이 중산복을 대신하게 되어 중산복은 점차 중국 패션무대에서 사라져 80년대 말기에는 거의 보이지 않게 되었다(Chen & Zhu, 2008).
1980년대 말 이후 중산복은 일상복으로는 거의 착용되지 않는 반면, 덩샤오핑을 비롯한 중국 지도자들이 국제회의 참석 시 중국을 상징하는 남성 정장으로 착용하고 있다<Fig. 18>. 이 시기 중산복의 형태는 스탠딩 밴드칼라와 팔자형 스탠드칼라의 두 가지로 다양화되었고 단추는 5개가 달려 있는 경우가 많았다<Fig. 19, 20>. 또한 몸에 잘 맞는 실루엣과 짧아진 길이, 두 장 소매 등 서양복의 디자인이 반영된 스타일이었다(Liu, 2012).
1990년대는 중산복이 중국을 상징하는 남성복으로 서양 패션디자이너들의 관심을 끌기 시작한 시기이며 2000년 이후에는 중국의 학자들이 중산복의 역사적 가치를 발견하기 시작하면서 2005년 문화 유물로 등재된 후 ‘중국의 의복(中國的服)’으로 재평가되었으며 현재는 중국 지도자와 연예인을 비롯한 유명인이 중요한 국제무대에서 자주 착용하고 있다(Xu, 2007). <Table 1>은 1912년부터 2000년까지 중산복의 형태 변화를 정리한 표이다.
Ⅳ. 현대 컬렉션에 나타난 중산복 응용 사례
본 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에서 살펴본 시대별 중산복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주요 요소인 포켓, 단추, 칼라의 세 가지를 기준으로 현대 컬렉션에 나타난 중산복의 응용 사례를 분석하였다. 시간적 범위는 2008년부터 2015년까지 세계 4대 프레타 포르테 컬렉션인 London, New York, Paris, Milano 컬렉션과 Chinese Fashion Week(Beijing) 컬렉션으로 설정하였다. 분석 대상은 패션정보 사이트 firstview.com, www.vogue.com, www.chinafashionweek.org, www.lady.163.com에서에서 선정하였다. 사례 선정과 디자인 분석 시 객관적인 검증을 위해 석사학위 이상의 의류학 전공자 3인(중국인 2명 포함)이 참여하였으며, 중산복의 특징적 요소 중 2개 이상을 활용한 사례를 선정한 결과, 남성복 37점, 여성복 48점 총 85점의 의상을 대상으로 빈도 및 디자인을 분석하였다. <Table 2>는 현대 패션에 응용된 중산복 사례의 시즌별 빈도를 정리한 표이다.
4대 컬렉션에 나타난 중산복의 빈도를 살펴보면 2008, 2011, 2012, 2013년도에 비교적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2008년은 베이징 올림픽이 개최되어 중국의 전통문화가 세계 패션 디자이너의 주목을 받았던 해였으며, 이를 계기로 서양 패션디자이너들이 중국을 대표하는 남성복식인 중산복을 디자인에 응용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주목할 점은 2008년도 Chinese Fashion Week에서는 중산복 응용 사례가 없었던 반면 New York 9점, London 6점, Paris 4점의 사례를 찾아볼 수 있었던 것으로 볼 때, 이 시기는 중국 내에서 보다 해외 컬렉션에서 중산복의 활용이 더욱 두드러졌던 것을 알 수 있다. 이후 중국의 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중국 패션계도 발전하였으며 Chinese Fashion Week에 이를 응용한 작품이 점차 많이 등장하게 된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2011년 Chinese Fashion Week에서는 중산복 탄생 백주년을 기념하기 위하여 중산복을 주제로 한 총 13점의 의상이 발표되었으며, 이후 2012년, 2013년의 컬렉션에도 중산복을 활용한 의상이 지속적으로 발표되었다.
컬렉션별 중산복을 활용한 사례를 살펴보면, Chinese Fashion Week를 제외하고는 New York 컬렉션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고, Paris 컬렉션에서 가장 낮은 빈도를 보였다<Table 2>. 이처럼 4대 컬렉션 중 New York 컬렉션에 중산복을 응용한 디자인이 높은 빈도로 등장한 이유는 먼저 중국과 미국의 정치적 관계를 들 수 있다. 베이징 올림픽으로 중국에 대한 세계의 관심이 고조된 때인 2008년 중국의 주석 후진타오(胡錦濤, Hujintao)와 미국의 부시 대통령(George W. Bush)의 정상회담이 개최되었고, 이어 2009년과 2014년의 오바마 대통령(Barack Hussein Obama)의 중국방문, 2015년 시진핑(習近平, Xijinping) 주석의 미국 방문 등 중국과 미국의 긴밀한 정치적 관계가 중산복을 응용한 디자인이 증가하는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해석된다. 더불어 전 세계의 브랜드가 중국으로 진출하게 되는 시점에서 미국의 패션디자이너들도 중국이라는 거대 패션시장을 겨냥한 것이라 볼 수 있다. 특히 중산복을 활용한 Derek Lam, Vivienne Tam, Phillip Lim, Alexander Wang, Jason Wu 등의 패션디자이너가 모두 미국계 중국인인 점도 요인으로 제시할 수 있다.
2009년 10월 주석 후진타오는 ‘신중국건국기념 60주년(新中國建立六十週年)’ 열병식 참석 시 중산복을 착용하였고, 이후 급속도로 중국 디자이너들의 컬렉션에 중산복 응용 사례가 증가하였다. 2009년 11월 북경복장학원(北京服裝學院)에서는 ‘개교 50주년’을 기념하여 중산복을 주제로 한 50여 점의 의상이 등장하였고, 2011년 Chinese Fashion Week에서 디자이너 Hongdu는 ‘백년의 중산정(百年中山情)’을 모티브로 중산복을 응용한 의상을 다수 선보였다. 또한 2011년부터 중산복은 중국의 국복으로 인식되어 중국 디자이너들이 이를 활용하였고, 현대적 디자인을 가미한 중산복은 중국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남성복이 되어 2013년까지 지속적으로 활용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2013년 Beijing에서 열린 Chinese Fashion Week에서는 중산복의 응용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이후 그 열풍은 점차 약해져 2014과 2015년에는 다소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1. 남성복
2008년부터 많은 패션디자이너들은 중산복의 단정하고 소박한 스타일을 디자인의 원천으로 활용해 왔기 때문에 중산복을 응용한 총 37점의 현대 남성복은 형태 상 차이가 거의 없으며, 실루엣, 색상, 장식을 약간 변형하는 방식으로 디자인되고 있었다.
구체적인 사례로 <Fig. 21>의 2008 S/S Steve & Yoni P의 의상은 중산복을 보다 캐주얼하게 변형시킨 사례로 볼 수 있다. 중산복의 특징 중하나인 단추는 기존의 중산복에 달린 단추보다 큰 브라운 단추로 변형되어 포인트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디자인하였으며, 아웃사이드 플랩 포켓의 위․아래의 색상을 달리 하여 경쾌한 느낌을 자아내고 있다. <Fig. 22>는 2008 F/W Rag & Bone의 의상으로 상의는 스탠딩 밴드칼라에 중앙에 일렬로 이어지는 5개의 단추, 대칭으로 이루어진 2개의 플랩 인사이드 포켓 등 중산복의 특징을 살린 디자인으로 깔끔하면서도 실용적인 느낌을 강조하고 있다. <Fig. 23>은 2011 S/S Chinese Fashion Week에 출품된 Chenkun(陳坤)의 의상으로 높은 스탠딩 밴드칼라에 5개의 단추와 4개의 포켓이 중산복 원형을 충실하게 재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Fig. 24>는 2011 F/W Chinese Fashion Week에서 발표된 Hongdu의 작품으로 스탠딩 밴드칼라와 5개의 단추, 상의 하단 양 옆의 포켓 등 중산복의 형태적 특성을 그대로 활용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흰색 실크에 붉은색 용문양 자수를 가미함으로써 중국색을 더욱 직접적으로 표현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2. 여성복
중산복은 남성복 뿐만 아니라 여성복에도 디자인 원천으로 자주 활용되고 있는데, 중산복을 모티프로 한 남성복은 형태상의 차이가 두드러지지 않는 반면, 여성복은 다양하게 변형된 모습을 보였다. 중산복을 활용한 의상은 크게 여성미를 강조한 원피스와 앙상블, 재킷을 중심으로 한 페미닌 스타일과 단정한 머스큘린 스타일, 밀리터리 스타일 그리고 경쾌한 캐주얼 스타일로 분류할 수 있었다.
<Fig. 25>는 2008 S/S Derk Lam 컬렉션에 등장한 의상으로 상의는 팔자형 스탠드칼라에 블랙 단추 6개, 플랩 아웃사이드 포켓 2개를 달아 중산복을 원형 활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소매는 플레어 형태로 변형시키고 허리에는 브라운 컬러의 가죽 벨트를 매어 여성스러운 페미닌 스타일로 표현하였다. <Fig. 26>은 2010 F/W Max Mara 의상으로 2개의 견장, 5개의 단추, 2개의 포켓을 달아 중산복의 핵심적 요소를 활용하고 있다고 생각되며, 페미닌한 느낌이 더해진 밀리터리 스타일로 연출하였다. <Fig. 27> Andrew GN의 2009 S/S 컬렉션 의상은 전체적으로 단아한 이미지를 자아내는 화이트 코트로 스탠딩 밴드칼라에 4개의 화이트 컬러 단추, 4개의 포켓으로 중산복의 디자인을 활용하였으며 꽃 장식을 추가함으로써 여성스러운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Fig. 28>은 Jason Wu의 2012 S/S 컬렉션 의상으로 강렬한 붉은 컬러에 광택이 있는 소재를 사용하였으며 팔자형 스탠드 칼라에 5개의 단추와 4개의 포켓을 대칭으로 부착하여 중산복의 디자인을 응용하였다. 여기에 블랙 컬러의 벨트를 매어 허리에 포인트를 주어 밀리터리 룩을 연출하였다. <Fig. 29>는 디자이너 Vivianne Tam의 2008 S/S 의상으로 중산복의 형태미를 살린 품이 넓은 회색 상의와 팬츠를 매치함으로써 직선적인 머스큘린 룩을 연출하였다. 특히 이 컬렉션은 Vogue.com(2008)에서도 설명하고 있듯이 베이징 올림픽이 열린 시기에 맞추어 발표된 디자인으로 중국 출신 디자이너의 정체성을 표현한 컬렉션으로 주목받았다.
Ⅴ. 결론
중산복은 2008년 베이징 올림픽 개최 후 중국을 대표하는 남성복식으로 서양 패션디자이너들의 주목을 받으면서 디자인 영감의 원천으로 활용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중국의 주석 및 유명인들이 중국의 이미지를 세계에 보여 주고자 할 때 정장으로 착용되면서 점차 중국의 국복(國服)으로 인식되어 중국 패션 컬렉션에 이를 활용한 디자인이 다수 등장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 근대복식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중산복의 등장과 변천을 고찰하고 현대 컬렉션에 나타난 중산복 활용의 사례 분석을 통해 중산복의 복식사적 의의를 분석함으로써 현대패션 디자이너에게 영감의 원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따라 중산복의 형태 변화를 1912년부터 2000년까지 시대별로 고찰한 후, 2008년부터 2015년까지 현대패션에 나타난 중산복을 활용한 사례를 실루엣, 색상, 디테일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역사적으로 중산복은 쑨원이 중국 전통복식에 당시 유행한 일본식 학생복과 서양 남성복의 디자인을 가미하여 제작한 것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중산복은 1912년 쑨원이 임시정부 수립 시 처음 착용한 후 여러 형태로 변화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를 역사적, 정치적 사건과 중산복의 형태 변화를 참고하여 1기(1912~1927), 2기(1928~1965), 3기(1966~1977), 4기(1978~2000)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먼저 1기에는 스탠딩 밴드칼라에 3개의 인사이드 포켓, 7개의 단추, 두 장 소매로 구성된 형태였고, 2기에는 팔자형 스탠드칼라와 4개의 아웃사이드 플랩 포켓, 5개의 단추, 한 장 소매의 형태가 기본형으로 정착되었다. 3기의 중산복은 평상복, 군복, 작업복 등 다양한 용도로 착용되었고, 스탠딩 밴드칼라, 4개의 인사이드 플랩 포켓, 5개의 단추, 한 장 소매의 형태로 변화하였다. 4기의 중산복은 스탠딩 밴드칼라와 팔자형 스탠드칼라, 3~4개의 포켓, 5~7개의 단추, 두 장 소매의 형태로 다양하게 착용되다가 중국 개방정책의 영향을 받아 점차 사라졌다. 그리고 현재는 중국 정치인 및 유명인들이 국제회의 참석 시 남성 정장으로 착용하고 있다.
현대패션에 중산복을 활용한 디자인 중 남성복은 중산복의 단정하고 소박한 스타일을 활용하였기 때문에 형태적 차이는 거의 없이 상의 재킷과 팬츠로 구성되었고 색상과 디테일을 변형하는 방식으로 디자인된 반면, 여성복은 원피스, 투피스, 앙상블 등 여성스러움을 살린 페미닌 스타일과 중성적인 매력을 살린 머스큘린 스타일 혹은 밀리터리 스타일의 투피스, 중산복에 밝은 색상과 다양한 배색을 추가하여 경쾌하게 연출한 캐주얼 스타일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특히 2008년부터 2015년까지 중산복을 활용한 디자인 사례를 분석한 결과 2008년은 베이징 올림픽의 영향으로 New York, London, Milano, Paris 컬렉션에서 중산복을 활용한 의상이 많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2009년 이후부터는 2015년까지 중국 컬렉션에서 중국 디자이너들에 의한 중산복의 활용이 활발해졌다. 분석 결과 다른 컬렉션에 비해 중국 Chinese Fashion Week와 New York 컬렉션에서 중산복의 활용 빈도는 높게 나타났는데, New York 컬렉션에서 중산복을 활용한 Derek Lam, Vivienne Tam, Phillip Lim, Alexander Wang, Jason Wu 등의 디자이너들이 모두 미국계 중국인인 점을 원인으로 제시할 수 있다. 4대 컬렉션에 나타난 중산복은 대체로 중국의 전통 복식과 문양, 전통 색을 응용해 중국적 미감을 표현한 디자인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New York 컬렉션에서 중산복을 활용한 디자인의 빈도가 높은 것은 중국과 미국의 우호적인 협력 관계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된다. 중국에서는 지도자들이 중요 회의에서 중국을 상징하는 의상으로 중산복을 착용함으로써 중국 내 컬렉션인 Chinese Fashion Week에서 현대적 디자인을 가미한 응용 디자인이 나타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렇듯 본 연구는 1912년부터 2000년까지 중산복의 형태 변화를 시대별로 살펴보았으며 현대패션에 응용된 사례 분석을 통해 중산복이 현대패션 디자이너에게 다양한 디자인 영감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제 중산복은 중국을 대표하는 복식으로 인식되고 있는 상황이며 앞으로 세계의 정치와 경제 무대에서 중국의 국력과 위상이 높아질수록 더욱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단, 본 연구의 사례분석은 인터넷 상에서 수집한 사진을 중심으로 4개의 컬렉션만을 중심으로 하였기 때문에 연구범위가 넓지 않으며, 컬러 분석에 있어 실물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보완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Acknowledgments
이 연구는 석사학위 청구논문 요약임.
References
- Andrew GN 2009 S/S Paris. Retrieved from http://www.firstview.com/collection_image_closeup.php?of=29&collection=19519&image=2648827#.WA8ZXuz_rIU
- Bian, X. Y., Ma, C. Q., Dan, F., & Wang, J., (2014), The ancient centuries of Chinese fashion- The changes of the Shanghai fashion. Shanghai, China, Donghua University Press, p40-75.
- Chen, F. Y., (2014), Sunzhongshan and Chinese tunic suit, Sichuan, China, Sichuan united front serial, p19.
- Chenkun 2011 S/S Beijing. Retrieved from http://www.chinafashionweek.org/wjhg/wjtp/2011cx/zcfb/tp/201202/t20120221_897433.html
- Chen, Z. H., & Zhu, W., (2008), A history of Chinese costumes, Beijing, China, China Textile Press, p141-271.
- Derk Lam 2008 S/S N.Y. Retrieved from Derk Lam s/s 2008 womans wear collection photos
- Di, J. F., (2011), Preliminary exploration of produce, evolution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zhongshan suit,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ner Mongolia University, Inner Mongolia, China, p20.
- Eight-Shaped Stand Collar Mao Siut. Retrieved from goo.gl/UNxlD8
- Hongdu 2011 F/W Beijing. Retrieved from http://english.chinafashionweek.org/wjhg_en/wjtp_en/20112012qd_en/zcfb_en/tp_en/201202/t20120224_900611.html
- Hong, N. Y., Shin, H. S., & Lee, Y. G., (2011), History of East Asia, Korea, Gyomunsa.
- Hwa, M., (2014), Clothing. Beijing, China, China Intercontinental Press, p65-108.
- Hwa, M., & Kim, S. S., (2008), Clothing, Goyang, Korea, Daega, p66-105.
- Jason Wu 2012 F/W N.Y. Retrieved from Jason Wu f/w 2012 womans wear collection photos
- Kang, J. A., (2010), The story of Guangzhou, Seoul, Korea, Suryusanbang, p258.
- Kim, Y., (2012), Characteristic of Chinese style in contemporary men's jacket desig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 Yang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p36.
- Liu, J. J., (2011), The Chinese tunic suit's change, characteristic and innovative research, (Unpublished master’s thesis), Hunan Normal University, Changsha, China, p18.
- Liu, R. L., (2012), Tracing and Evolu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hanghai theatre academy, Shanghai, China, p68.
- Liu, S. Y., (2015), The funnel plot analysis of the Chinese tunic suit's history evolution, China, China Academy of Art journal, p42.
- Liu, X. L., (2012), Expound the Chinese clothing history, take Chinese tunic suit and qipao for example, China, Youngth Science, Teacher edition, p254.
- Mao Suit of Chiang Kai-shek & Mao Zedong, 1945. Retrieved from goo.gl/8iJ08R
- Mao Suit of Deng Xiaoping, 1979. Retrieved from https://en.wikipedia.org/wiki/Deng_Xiaoping
- Mao Suit of Mao Zedong, 1959. Retrieved from goo.gl/yuY9uv
- Mao Suit of Sun Wen, 1920. Retrieved from http://www.doc88.com/p-1905304411758.html
- Mao Suit of Sun Wen, 1923. Retrieved from goo.gl/rsnFOt
- Max Mara 2010 F/W Milano. Retrieved from Max Mara f/w 2010 womans wear collection photos
- Nam, M. Y., & Park, E. Y., (2013), A Study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Chinese Fashion Design- based on traditional culture code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3(2), p129.
- Rag & Bone 2008 F/W N.Y. Retrieved from Rag & Bone f/w 2008 menswear collection photos
- Standing Band Collar Mao Suit. Retrieved from goo.gl/vzfywC
- Steve J & Yoni P 2008 S/S London. Retrieved from http://www.firstview.com/collection_image_closeup.php?of=8&collection=15835&image=2140020#.WA8Y0Oz_rIU
- Sun Wen, 1921. Retrieved from http://www.ycwb.com/ePaper/ycwb/html/2011-08/20/content_1191113.htm
- Uniform of Kuomintang of China, 1926. Retrieved from http://www.997788.com/22886/search_191_22296292.html
- Vivianne Tam 2008 S/S N.Y. Retrieved from Vivianne Tam s/s 2008 womans wear collection photos
- Xu, H. Y., (2007), Application for world heritage for Chinese tunic suit. Beijing, China, China Textile press, p58-60.
- Xu, J., (2010), Chinese clothing history, Shanghai, China, Donghua University press, p154.
- Yang, Y. F., (2014), Yi Guan Xia Pei, Anhui, China, Anhui Wenyi Press, p116-117.
- Yuan, Z., (2007), A preliminary examination of sun yat sen's uniform, Tsinghua University, Beijing, China, Art & Design, 6, p52-55.
- Zhang, J., (2010), Chinese tunic suit its enlightenment to contemporary the new national dress, Journal of Donghua university: social sciences, 10(3), p214-218.
- Zhang, J. Q., & Cao, Z., (2012), The visible Chinese fashion history, Beijing, China, Zhonghua Book Company, p330-338.
- Zhang, Y. G., (2012), The Chinese style in the Chinese and western designers’ collection since 2008- focus on the influence of Chinese traditional plastic art and costum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 Kuk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p1.